KR101128752B1 - 반도체 칩의 검사용 지그,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그리고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칩의 검사용 지그,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그리고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752B1
KR101128752B1 KR1020090061537A KR20090061537A KR101128752B1 KR 101128752 B1 KR101128752 B1 KR 101128752B1 KR 1020090061537 A KR1020090061537 A KR 1020090061537A KR 20090061537 A KR20090061537 A KR 20090061537A KR 101128752 B1 KR101128752 B1 KR 101128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ape
semiconductor chip
area
sprocket holes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127A (ko
Inventor
노부히로 사와
Original Assignee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6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검사용 지그는 디자인이 상이한 캐리어 테이프의 품종마다 흡착 구멍 위치를 개별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었다.
검사용 지그 (10) 는, 모두 띠 형상으로 형성된, 반도체 칩 및 이것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체 패턴이 주행 방향으로 반복 배치된 디바이스 영역과, 디바이스 영역의 측방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프로킷 (sprocket) 홀이 상기 주행 방향으로 나열 형성된 비디바이스 영역을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프로브에 가압하여 반도체 칩의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용 지그로서, 캐리어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면 (20) 을 구비함과 함께, 가압면 (20) 이 비디바이스 영역으로서 상기 스프로킷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대향하는 공용부 대향 영역 (FCA) 에, 캐리어 테이프를 흡착하는 흡착 구멍 (21) 의 개구부 (22) 를 가지고 있다.
검사용 지그, 캐리어 테이프, 스프로킷 홀, 흡착 구멍, 비디바이스 영역

Description

반도체 칩의 검사용 지그,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그리고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JIG,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SEMICONDUCTOR CHI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의 검사용 지그,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그리고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의 드라이버 회로 등에는, TAB (Tape Automated Bonding) 테이프로 불리는 캐리어 테이프에 반도체 칩을 실장한 반도체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반도체 칩의 전기 특성 시험에 있어서는, 길이가 긴 캐리어 테이프에 다수의 반도체 칩을 실장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캐리어 테이프에는 도체 패턴이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미리 반복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반도체 칩이 도체 패턴에 대해 각각 실장된다.
전기 특성의 검사 결과, 양품으로 판단된 반도체 칩은 TAB 테이프로부터 잘라 내어져, TAB 가 부착된 반도체 장치로서 개편화 (個片化) 되어 액정 패널 등에 실장된다.
전기적 특성의 양품, 불량품 검사는, 반도체 칩과의 사이에서 검사 신호를 주고 받는 프로브에 캐리어 테이프를 갖다 댄 상태에서 실시한다. 이와 같은 검사에 사용하는 치공구 (治工具) 류의 하나로서, 흡착 플레이트로 불리는 검사용 지그 (Jig) 가 있다.
흡착 플레이트는, 캐리어 테이프를 진공 흡착하여 위치 결정한 데다가, 반도체 칩에 접속된 테스트 패드를 프로브에 갖다 대어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지그이다.
이러한 검사용 지그에 관해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프레셔 플레이트 (201) 가 알려져 있다 (하기 특허 문헌 1 을 참조). 프레셔 플레이트 (201) 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된 디바이스 홀 (202 ~ 206) 의 주위에 각각 흡착 구멍 (212)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착 구멍 (212) 을 진공화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를 가압면 (207 ~ 209) 에 대해 흡착 유지할 수 있다.
이 프레셔 플레이트 (201) 는, 검사 대상의 반도체 칩의 퇴피 (退避) 부가 되는 디바이스 홀 (204) 의 주위에는 흡착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그 전후의 디바이스 홀 (202, 203, 205, 206) 에 대해서는 주위에 흡착 구멍 (212) 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50855 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프레셔 플레이트 (201) 는 검사 대상이 되는 반도체 칩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홀 (204) 의 주위에 흡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당해 반도체 칩의 근방에 대해서는 캐리어 테이프의 흡착력이 약하여, 테스트 패드와 프로브의 접촉이 양호하게 실시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상기 프레셔 플레이트 (201) 에 있어서, 디바이스 홀 (204) 의 주위에도 동일하게 흡착 구멍 (212) 을 형성한 경우에도, 역시 테스트 패드와 프로브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것은 흡착 구멍 (212) 이 캐리어 테이프의 테스트 패드 바로 위에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즉, 캐리어 테이프의 진공 흡인 (吸引) 시에는, 검사 대상이 되는 반도체 칩의 테스트 패드가 빨려 올라가 프로브와의 접촉 상태가 변동되고, 검사 신호의 주고 받음이 불균일해지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의 검사용 지그는 반도체 칩이나 도체 패턴의 형상이나 치수에 따라, 캐리어 테이프마다 전용 설계할 필요가 있었다. 왜냐하면, 테스트 패드를 포함하는 도체 패턴을 흡착하면 상기와 같이 프로브와 테스트 패드의 접촉 상태가 변동되어, 양품의 반도체 칩이 불량품으로 판정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검사용 지그의 흡착 구멍은 디자인이 상이한 캐리어 테이프의 품종마다 개별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지그 자체의 설계 및 제작비 이외에, 다수의 지그 관리 비용이나, 상이한 캐리어 테이프를 전기 특성을 검사할 때마다 지그를 교체하는 작업 비용 등이 방대해졌다.
본 발명의 검사용 지그는, 모두 띠 형상으로 형성된, 반도체 칩 및 상기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체 패턴이 주행 방향으로 반복 배치된 디바이스 영역과, 상기 디바이스 영역의 측방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프로킷 (sprocket) 홀이 상기 주행 방향으로 나열 형성된 비디바이스 영역을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프로브에 가압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용 지그로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가압면이 상기 비디바이스 영역으로서 상기 스프로킷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흡착하는 흡착 구멍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주행 방향이란 캐리어 테이프의 길이 방향이다. 또, 측방이란, 주행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 디바이스 영역 및 비디바이스 영역은 각각 캐리어 테이프의 주행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바이스 영역이란, 반복 배치된 반도체 칩 및 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최소폭의 띠 형상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비디바이스 영역이란, 캐리어 테이프 중 디바이스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칩이나 도체 패턴이 캐리어 테이프 상에 일렬로 나열되어 반복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바이스 영역은 1 개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 고, 비디바이스 영역은 디바이스 영역의 편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반도체 칩이나 도체 패턴이 캐리어 테이프 상에 복수열로 나열되어 배치된 경우, 디바이스 영역은 복수개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비디바이스 영역은 디바이스 영역끼리의 사이, 또는 폭 방향의 단부 (端部) 측에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본 발명의 검사용 지그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 복수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주행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검사용 지그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 복수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주행 방향으로 나열되어 직선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가 나열된 직선과, 상기 스프로킷 홀이 나열된 직선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검사용 지그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주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스프로킷 홀끼리의 중간 위치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인접하는 스프로킷 홀의 중간 위치란, 당해 스프로킷 홀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분의 엄밀한 중앙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는 한, 그 주위에 소정의 넓이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검사용 지그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가압면 중, 상기 비디바이스 영역으로서 상기 스프로킷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검사용 지그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 상기 가압면이 상기 반도체 칩에 대향하는 위치에 디바이스 홀을 가져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반도체 칩의 검사 장치는, 상기 검사용 지그와, 회전치 (回轉齒) 를 상기 스프로킷 홀에 걸어 맞춰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주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검사용 지그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대해 승강 구동하는 승강 장치와, 상기 흡착 구멍을 진공 흡인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개구부에 흡착시키는 흡인 장치와, 상기 검사용 지그에 흡착된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닿아, 상기 반도체 칩과의 사이에서 검사 신호를 주고 받는 프로브를 구비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흡착 구멍을 진공 흡인하는 것은, 흡착 구멍의 내부를 분위기압 이하의 부압 (負壓) 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 진공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반도체 칩의 검사 방법은, 모두 띠 형상으로 형성된, 반도체 칩 및 상기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체 패턴이 주행 방향으로 반복 배치된 디바이스 영역과, 상기 디바이스 영역의 측방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프로킷 홀이 상기 주행 방향으로 나열 형성된 비디바이스 영역을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칩을 검사하는 검사 방법으로서, 상기 비디바이스 영역이고, 또한 상기 스프로킷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진공 흡착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위치 결정하는 흡착 공정과, 위치 결정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프로브에 가압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진공 흡착하는 것은, 부압을 이용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흡착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 진공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모두 띠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 패턴이 반복 배치된 디바이스 영역과, 상기 디바이스 영역의 측방에 형성되어 스프로킷 홀이 반복 배치된 비디바이스 영역을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도체 패턴에 각각 반도체 칩을 접합하는 실장 공정과, 상기 캐리어 테이프 중, 상기 비디바이스 영역이고, 또한 상기 스프로킷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진공 흡착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위치 결정하는 흡착 공정과, 위치 결정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프로브에 가압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 공정과, 검사된 상기 반도체 칩 및 그 반도체 칩에 접합된 상기 도체 패턴을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잘라 내는 절단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종의 구성 요소는, 개개로 독립된 존재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구성 요소가 한 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 하나의 구성 요소가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인 것, 어떤 구성 요소의 일부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 등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칩의 검사 방법이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복수의 공정을 순번에 따라서 기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그 기재된 순번은 공정을 실행하는 순번을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복수의 공정은,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개개로 상이한 타이밍으로 실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어떤 공정의 실행 중에 다른 공정이 발생되는 것, 어떤 공정의 실행 타이밍과 다른 공정의 실행 타이밍의 일부 내지 전부가 중복되는 것 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검사용 지그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를 흡착하는 공정과, 검사용 지그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를 프로브에 가압하는 공정은 공정의 전후 또는 동시에 실시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인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캐리어 테이프에 대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도체 칩의 검사용 지그,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그리고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로써, 검사용 지그의 설계, 제작 및 관리 비용이나, 전기 특성 검사시의 작업 비용이 대폭 저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검사용 지그 (10) 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 는 그 B - B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검사용 지그 (10) 와 함께 사용되는 캐리어 테이프 (50) 의 평면도이다.
먼저, 검사용 지그 (10) 및 캐리어 테이프 (50) 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캐리어 테이프 (50) 는, 모두 띠 형상으로 형성된, 반도체 칩 (60) 및 이것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체 패턴 (62) 이 주행 방향 (도 1, 도 2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으로 반복 배치된 디바이스 영역 (D) 과, 디바이스 영역 (D) 의 측방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프로킷 홀 (52) 이 주행 방향으로 나열 형성된 비디바이스 영역 (ND) 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검사용 지그 (10) 는, 캐리어 테이프 (50) 를 프로브 (70) (도 4 를 참조) 에 가압하고 반도체 칩 (60) 의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검사용 지그 (10) 는 캐리어 테이프 (50) 를 가압하는 가압면 (20) 을 구비함과 함께, 가압면 (20) 이 비디바이스 영역 (ND) 으로서 스프로킷 홀 (52)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 (공용부 (CA)) 에 대향하는 위치 (공용부 대향 영역 (FCA)) 에, 캐리어 테이프 (50) 를 흡착하는 흡착 구멍 (21) 의 개구부 (22) 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캐리어 테이프 (50) 및 본 실시형태의 검사용 지그 (10)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캐리어 테이프>
캐리어 테이프 (50) 는 내부에 이너 리드 (inner lead) 가 배선된 가요성의 수지 필름 (66) 의 표면에 도체 패턴 (62) 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이다. 도체 패턴 (62) 에는, 반도체 칩 (60) 의 범프 전극 (64) 이 접합되는 본딩 패드와, 검사 장치 (100) (도 4 를 참조) 의 프로브 (70) 가 닿는 테스트 패드가 포함되어 있다.
수지 필름 (66) 에는 폴리이미드가 사용되고, 도체 패턴 (62) 에는 구리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테스트 패드는 캐리어 테이프 (50) 에 탑재되는 반도체 칩 (60) 의 표면측에 형성된 경우와 이면측에 형성된 경우가 있다.
도 3 은, 캐리어 테이프 (50) 와 반도체 칩 (60) 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a) 는, 이른바 COF (Chip 0n Film) 구조로 불리는 것이고, 수지 필름 (66) 의 상면에 형성한 도체 패턴 (62) 에 대해 반도체 칩 (60) 의 범프 전극 (64) 을 실장하는 방식이다.
COF 구조의 반도체 칩 (60) 에 관한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도체 패턴 (62) (테스트 패드) 이 반도체 칩 (60) 의 탑재면측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3(a) 의 상방측으로부터 프로브 (70) 를 캐리어 테이프 (50) 에 닿게 한다.
도 3(b) 와 도 3(c) 는, 이른바 TCP (Tape Carrier Package) 구조라고 불린다. 이 중, 도 3(b) 는 페이스 다운 타입, 도 3(c) 는 페이스 업 타입이라고 불리고 있다. TCP 구조의 경우, 도체 패턴 (62) 중 본딩 패드 부분은 수지 필름 (66) 에 지지되어 있지 않은 플라잉 리드 (flying lead) 로 되어 있다. 본딩 패드에 실장된 반도체 칩 (60) 은 플라잉 리드와 함께 수지 봉지된다.
페이스 다운 타입의 TCP 구조의 경우, 특성 검사용의 프로브 (70) 는 반도체 칩 (60) 의 탑재면측인 도 3(b) 의 상방측으로부터 캐리어 테이프 (50) 에 닿게 된다.
한편, 페이스 업 타입의 TCP 구조의 경우, 프로브 (70) 는 반도체 칩 (60) 의 비탑재면측인 도 3(c) 의 상방측으로부터 캐리어 테이프 (50) 에 닿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 (50) 를 진공 흡착하는 본 실시형태의 검사용 지그 (10) 는, COF 구조 및 페이스 다운 타입의 TCP 구조의 경우, 반도체 칩 (60) 의 이 면측에 맞닿게 된다. 한편, 페이스 업 타입의 TCP 구조의 캐리어 테이프 (50) 에 대해서는, 검사용 지그 (10) 는 반도체 칩 (60) 의 표면측에 맞닿게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테이프 (50) 에는, 반도체 칩 (60) 및 도체 패턴 (62) 이 폭 방향 (동 도면의 상하 방향) 의 중앙에 반복 배치되어 있다. 즉, 캐리어 테이프 (50) 는 폭 방향의 중앙에 디바이스 영역 (D) 을 가지고, 그 양측에 비디바이스 영역 (ND) 을 가지고 있다.
비디바이스 영역 (ND) 에는, 캐리어 테이프 (50) 의 주행 방향을 따라 다수의 스프로킷 홀 (52) 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스프로킷 홀 (52) 에는, 후술하는 스프로킷 (72) (도 4 를 참조) 의 회전치가 걸어 맞춰지고, 캐리어 테이프 (50) 를 반도체 칩 (60) 과 함께 주행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캐리어 테이프 (50) 중, 주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스프로킷 홀 (52) 의 중간 위치가 검사용 지그 (10) 에 의해 흡착된다.
<검사용 지그>
검사용 지그 (10) 는, 절연성 기재 (26) 에 디바이스 홀 (24) 과 흡착 구멍 (21) 이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고, 캐리어 테이프 (50) 와 대향하는 측 (도 1(b) 에 있어서의 하방) 에 평탄한 가압면 (20)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면 (20) 에는 흡착 구멍 (21) 의 개구부 (22) 가 나열 형성되고, 또, 반도체 칩 (60) 에 대향하는 위치에 디바이스 홀 (24) 이 형성되어 있다.
디바이스 홀 (24) 과 흡착 구멍 (21) 의 반복 방향을 캐리어 테이프 (50) 의 주행 방향과 일치시켜 가압면 (20) 을 캐리어 테이프 (50) 에 접근시키고, 흡착 구멍 (21) 을 부압으로 흡인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 (50) 를 가압면 (20) 에 흡착 유지시킬 수 있다.
검사용 지그 (10) 폭 치수 (도 1(a) 의 상하 방향) 는, 이것에 흡착되는 캐리어 테이프 (50) 의 폭 치수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검사용 지그 (10) 의 가압면 (20) 에는, 캐리어 테이프 (50) 의 전체면을 흡착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면 (20) 에는, 반도체 칩 (60) 및 도체 패턴 (62) 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영역 (D) 에 대향하는 위치에, 디바이스 대향 영역 (FD) 이 가상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디바이스 대향 영역 (FD) 은 캐리어 테이프 (50) 를 가압면 (20) 에 흡착 유지시킬 때에 반도체 칩 (60) 을 퇴피하기 위한 디바이스 홀 (24) 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있다.
디바이스 대향 영역 (FD) 의 폭 방향 양측에는, 비디바이스 영역 (ND) (도 2 를 참조) 에 대향하는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이 가상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
또한, 캐리어 테이프 (50) 의 폭 치수와 가압면 (20) 의 폭 치수가 동등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은 가압면 (20) 의 폭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은 특성 검사시에는 캐리어 테이프 (50) 의 비디바이스 영역 (ND) 에 대해 중첩된다. 또, 캐리어 테이프 (50) 가 검사용 지그 (10) 에 흡착될 때에, 스프로킷 홀 (52) 은 가압면 (20) 의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과 맞닿는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가압면 (20) 은 캐리어 테이프 (50) 의 스프로킷 홀 (52) 을 커버하는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캐리어 테이프 (50) 의 폭 치수가 가압면 (20) 의 폭 치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가압면 (20) 의 폭 방향의 단부에는, 캐리어 테이프 (50) 에 맞닿지 않는 잉여 영역이 생긴다. 이 경우, 비디바이스 영역 (ND) 에 대향하는 가압면 (20) 내의 영역을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이라고 호칭한다. 그리고, 가압면 (20) 의 폭 방향의 단부에 가상적으로 형성되는 상기의 잉여 영역은,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에도 디바이스 대향 영역 (FD) 에도 속하지 않는다.
흡착 구멍 (21) 의 개구부 (22) 는 가압면 (20) 중, 이러한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검사용 지그 (10) 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 (50) 를 흡착 유지할 때에, 캐리어 테이프 (50) 의 비디바이스 영역 (ND) 의 내부에 흡착 위치 (54)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개구부 (22) 는 가압면 (20) 의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중, 캐리어 테이프 (50) 에 있어서의 스프로킷 홀 (52) 의 비형성 영역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이것은 흡착 위치 (54) 가 스프로킷 홀 (52) 에 간섭되면, 당해 흡착 구멍 (21) 에 대해서는 스프로킷 홀 (52) 로부터 주변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흡착 구멍 (21) 의 내부를 진공 흡인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검사용 지그 (10) 에 있어서는, 공용부 대향 영역 (FCA) 의 내부에 개구부 (22) 를 형성하고 있다.
공용부 대향 영역 (FCA) 의 내부에 있어서, 개구부 (22) 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부 (22) 의 배치 패턴에 대해서도 직선 형상, 지그재그 형상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검사용 지그 (10) 에 있어서는,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부 (22) 가 캐리어 테이프 (50) 의 주행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검사용 지그 (10) 에 있어서는, 복수의 개구부 (22) 가 주행 방향으로 나열되어 직선 상에 형성되고, 개구부 (22) (흡착 위치 (54)) 가 나열된 직선과, 스프로킷 홀 (52) 이 나열된 직선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 를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개구부 (22) 는 캐리어 테이프 (50) 에 있어서 주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스프로킷 홀 (52) 끼리의 중간 위치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 (50) 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 (54) 는 나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스프로킷 홀 (52) 의 중간 위치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부 (22) 는 캐리어 테이프 (50) 중 비디바이스 영역 (ND) 으로서 스프로킷 홀 (52)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용부 (CA) (도 2 를 참조) 에 대향하는 공용부 대향 영역 (FCA) 에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 (22) 는, 디바이스 홀 (24) 의 내부에, 또는 디바이스 홀 (24) 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흡인 장치 (90) (도 4 를 참조) 가 흡착 구멍 (21) 의 내부의 공기와, 디바이스 홀 (24) 의 내부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 (50) 를 가압면 (20) 에 흡착시킬 수 있다.
<검사 장치>
도 4 는, 검사용 지그 (10) 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100) 의 모식도이다.
검사 장치 (100) 는 본 실시형태의 검사용 지그 (10) 와, 회전치를 스프로킷 홀 (52) 에 걸어 맞춰서 캐리어 테이프 (50) 를 주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프로킷 (72) 과, 검사용 지그 (10) 를 캐리어 테이프 (50) 에 대해 승강 구동하는 승강 장치 (96) 와, 흡착 구멍 (21) 을 진공 흡인하여 캐리어 테이프 (50) 를 개구부 (22) 에 흡착시키는 흡인 장치 (90) 와, 검사용 지그 (10) 에 흡착된 캐리어 테이프 (50) 가 닿아 반도체 칩 (60) 과의 사이에서 검사 신호를 주고 받는 프로브 (70)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스 업 타입의 TCP 구조의 캐리어 테이프 (50) 를 사용하고 있다. 캐리어 테이프 (50) 는 공급 릴 (도시 생략) 에 롤 형상으로 감겨져 특성 시험에 제공된다. 그리고, 1 개 또는 복수 (도 4 에서는 3 개) 의 반도체 칩 (60) 을 포함하는 소정 길이에 걸쳐, 캐리어 테이프 (50) 는 검사용 지그 (10) 에 흡착되어 프로브 (70) 에 가압된다.
프로브 (70) 는, 기대 (基臺) (82) 에 탑재된 신호 처리 장치 (80) 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프로브 (70) 의 선단이 도체 패턴 (62) 의 테스트 패드에 각각 닿음으로써, 신호 처리 장치 (80) 가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반도체 칩 (60) 에 입력한다. 또, 소정의 출력 신호가 프로브 (70) 로부터 신호 처리 장치 (80) 에 입력됨으로써, 반도체 칩 (60) 의 전기 특성 검사를 한다.
프로브 (70) 는 복수의 반도체 칩 (60) 에 대해 동시에 검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복수식이 신호 처리 장치 (80)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흡인 장치 (90) 는 검사용 지그 (10) 의 상면을 덮는 커버 (92) 와, 커버 (92) 를 통하여 흡착 구멍 (21) 의 각각과 연통된 흡인관 (94) 을 구비하고 있다. 흡인관 (94) 은 가요성을 가지고, 승강 구동되는 검사용 지그 (10) 의 높이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흡착 구멍 (21) 내를 진공 흡인할 수 있다.
스프로킷 (72) 은 캐리어 테이프 (50) 의 주행 방향에 대해 검사용 지그 (10) 의 전후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캐리어 테이프 (50) 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스프로킷 홀 (52) 에 대응하여, 검사용 지그 (10) 의 전후에 2 식 (式) 씩의 스프로킷 (72) 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검사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이하의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칩 (60) 의 전기 특성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반도체 칩의 검사 방법>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검사 방법은, 비디바이스 영역 (ND) 이고 또한 스프로킷 홀 (52)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용부 (CA) 를 진공 흡착하고, 캐리어 테이프 (50) 를 위치 결정하는 흡착 공정과, 위치 결정된 캐리어 테이프 (50) 를 프로브 (70) 에 가압하고 반도체 칩 (60) 의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 공정을 포함한다.
흡착 공정에서는, 먼저, 스프로킷 (72) 을 회전 구동하고, 반도체 칩 (60) 이 탑재된 장척 (長尺) 의 캐리어 테이프 (50) 를 주행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그리고, 디바이스 홀 (24) 과 반도체 칩 (60), 및 개구부 (22) 와 흡착 위치 (54) 가, 각각 소정의 위치 정밀도로 중첩되도록, 캐리어 테이프 (50) 를 가압면 (20) 에 대해 위치 결정한다.
다음으로, 승강 장치 (96) 를 동작시켜 검사용 지그 (10) 를 캐리어 테이프 (50) 의 상방으로부터 근접시키면서, 흡인 장치 (90) 를 동작시켜 흡착 구멍 (21) 을 진공 흡인한다. 이로써, 캐리어 테이프 (50) 의 상면이 가압면 (20) 에 흡착 유지되어 캐리어 테이프 (50) 가 검사용 지그 (10) 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검사 공정에서는, 먼저, 승강 장치 (96) 는 계속해서 검사용 지그 (10) 를 프로브 (70) 를 향하여 하강시키고, 도체 패턴 (62) 의 테스트 패드를 프로브 (70) 의 선단에 소정의 가압력으로 닿게 한다.
다음으로, 프로브 (70) 를 통하여 테스트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 (80) 와 반도체 칩 (60) 사이에서 주고 받아, 반도체 칩 (60) 의 불량 검사를 실시한다.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캐리어 테이프 (50) 의 도체 패턴 (62) 에 각각 반도체 칩 (60) 을 접합시키는 실장 공정과, 전기 특성 검사에 관한 상기 각 공정과, 검사된 반도체 칩 (60) 및 이것에 접합된 도체 패턴 (62) 을 캐리어 테이프 (50) 로부터 잘라 내는 절단 공정을 포함한다.
실장 공정에 있어서는, 도체 패턴 (62) 의 본딩 패드에 대해 반도체 칩 (60) 의 범프 전극 (64) 을, 이른바 금 (金) 범프에 의해 접합시킨다.
흡착 공정과, 검사공정은 상기 서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특성 검사의 결과, 양품으로 판정된 반도체 칩 (60) 만을 남기고, 불량품으로 판정된 반도체 칩 (60) 을 캐리어 테이프 (50) 로부터 제거한다. 양품의 반도체 칩 (60) 만이 남겨진 캐리어 테이프 (50) 는 롤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반송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액정 패널의 어셈블리 라인에 있어서의 절단 공정에 있어서, 롤 형상의 캐리어 테이프 (50) 는 다시 평탄하게 길게 늘어뜨려진다. 그리고, 도체 패턴 (62)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 (66) 과 함께 반도체 칩 (60) 은 캐리어 테이프 (50) 로부터 절단되어 반도체 장치로서 개편화된다.
상기 본 실시형태의 검사용 지그 (10) 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검사용 지그 (10) 에 있어서는, 가압면 (20) 이, 캐리어 테이프 (50) 중, 비디바이스 영역 (ND) 으로서 스프로킷 홀 (52)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 (공용부 (CA)) 에 대향하는 위치 (공용부 대향 영역 (FCA)) 에, 캐리어 테이프 (50) 를 흡착하는 흡착 구멍 (21) 의 개구부 (22) 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검사용 지그 (10) 는, 캐리어 테이프 (50) 의 비디바이스 영역 (ND) 을 진공 흡착하여 이것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품종 고유의 에어리어인 디바이스 영역 (D) 의 디자인이 상이한 캐리어 테이프 (50) 에 대해서도, 검사용 지그 (10) 을 범용 (凡用) 할 수 있다.
또, 개구부 (22) 는 비디바이스 영역 (ND) 에 대향하는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어 테이프 (50) 의 도체 패턴 (62) 을 흡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체 패턴 (62) 과 프로브 (70) 의 전기적 접촉이 불량이 되지 않고, 반도체 칩 (60) 의 전기 특성 검사는 양호하게 실시된다.
또, 개구부 (22) 는 스프로킷 홀 (52) 의 비형성 영역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어 테이프 (50) 를 흡착할 때에 스프로킷 홀 (52) 을 통해서 주변 공기가 개구부 (22) 에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 (50) 가 국소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흡착 불량이 되는 경우는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 (22) 가 주행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성 검사의 대상이 되는 반도체 칩 (60) 의 근방에도 흡착 구멍 (21) 이 균등하게 배치되어, 가압면 (20) 과 캐리어 테이프 (50) 가 균형있게 밀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 (22) 가 주행 방향으로 나열된 스프로킷 홀 (52) 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와 동일 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개구부 (22) 에 대향하는 흡착 위치 (54) 의 위치를, 스프로킷 홀 (52) 및 도체 패턴 (62) 으로부터 균형있게 이간 (離間) 시킬 수 있다.
또, 캐리어 테이프 (50) 의 디바이스 영역 (D) 은, 품종 고유의 디자인에 의해 그 폭 치수가 증감되고, 최대인 경우에는 스프로킷 홀 (52) 에 대해 매우 근접한다. 그러나, 디바이스 영역 (D) 은, 주행 방향으로 나열되는 스프로킷 홀 (52) 의 형성 영역의 내측까지 미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흡착 위치 (54) 를 스프로킷 홀 (52) 과 동일 직선 상으로 해두는 것으로, 모든 폭 치수의 디바이스 영역 (D) 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 (50) 를 복수 종류로 바꾸어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캐리어 테이프 (50) 로는, 주행 방향으로 나열되는 스프로킷 홀 (52) 의 피치 와,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프로킷 홀 (52) 끼리의 간격이 공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 (22) 가 주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스프로킷 홀 (52) 의 중간 위치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 (50) 상의 흡착 위치 (54) 를, 스프로킷 홀 (52) 및 도체 패턴 (62) 으로부터 주행 방향에 관해서도 균형있게 이간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면 (20) 중, 비디바이스 영역 (ND) 으로서 스프로킷 홀 (52)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 (공용부 대향 영역 (FCA)) 에만, 개구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 (50) 의 품종마다 디자인이 상이한 디바이스 영역 (D) 에는 개구부 (22) 가 존재하지 않아, 검사용 지그 (10) 의 범용화가 최대한 도모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면 (20) 이 반도체 칩 (60) 에 대향하는 위치에 디바이스 홀 (24) 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 (50) 중 가압면 (20) 에 가압되는 상면으로부터 반도체 칩 (60) 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 (TCP 구조의 페이스 업 타입: 도 3(c) 를 참조) 라도, 디바이스 홀 (24) 에 의해 이것을 퇴피할 수 있다. 이로써, 개구부 (22) 에 의한 흡착 위치 (54) 의 흡착과 가압면 (20) 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50) 의 가압이 가능해진다.
또, 디바이스 홀 (24) 을 갖는 가압면 (20) 에 의하면, 캐리어 테이프 (50) 중, 가압면 (20) 과 반대면측에 반도체 칩 (60) 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 (COF 구조, 또는 TCP 구조의 페이스 다운 타입: 도 3(a), 도 3(b) 를 참조) 라도, 동일하게 캐 리어 테이프 (50) 의 흡착 및 가압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압면 (20) 에 디바이스 홀 (24) 을 갖는 검사용 지그 (10) 이면 범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칩의 검사 방법, 및 이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비디바이스 영역 (ND) 이고 또한 스프로킷 홀 (52)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 (공용부 (CA)) 을 진공 흡착하여 캐리어 테이프 (50) 를 위치 결정하는 흡착 공정을 포함한다. 이로써, 품종 고유의 영역인 디바이스 영역 (D) 의 디자인이 상이한 캐리어 테이프 (50) 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위치 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의 변형, 개량 등의 양태도 포함한다.
도 5 는, 검사용 지그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검사용 지그 (12) 는, 가압면 (20) 에 디바이스 홀 (24) 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디바이스 대향 영역 (FD) 이 평탄면인 점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검사용 지그 (10) 와 상이하다.
즉, 이러한 검사용 지그 (12) 는, COF 구조의 캐리어 테이프 (50) 나, 페이스 다운 타입의 TCP 구조의 캐리어 테이프 (50) 에 탑재된 반도체 칩 (60) 을 전기 특성 검사할 때에 사용된다.
검사용 지그 (12) 에 대해서도, 흡착되는 캐리어 테이프 (50) 의 디바이스 영역 (D) 에 대응하여, 가압면 (20) 에는 가상적으로 디바이스 대향 영역 (FD) 과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이 구획 형성된다. 그리고,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FND) 중, 가압면 (20) 의 대향 위치에 스프로킷 홀 (52)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용부 대향 영역 (FCA) 에, 개구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은, 검사용 지그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검사용 지그 (14) 는 주행 방향으로 나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개구부 (22) 가 나열된 직선과, 스프로킷 홀 (52) 이 나열된 직선이 대향하고 있지 않다. 즉, 검사용 지그 (14) 를 평면에서 봤을 때, 개구부 (22) 와 스프로킷 홀 (52) 이 평행 또한 상이한 직선 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 (22) 가, 스프로킷 홀 (52) 의 대향 위치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나열 형성되어 있다. 즉, 검사용 지그 (14) 에 있어서 개구부 (22) 가 나열된 직선과, 캐리어 테이프 (50) 에 있어서 스프로킷 홀 (52) 이 나열된 직선은 중첩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위치에 개구부 (22) 를 형성함으로써, 검사용 지그 (14) 는, 도 1 에 나타내는 검사용 지그 (10) 에 비해, 캐리어 테이프 (50) 에 있어서 스프로킷 홀 (52) 과 흡착 위치 (54) 의 거리를 보다 이간시키면서도, 캐리어 테이프 (50) 를 주행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가압면 (20) 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용 지그 (10, 12, 14) 에서는, 모두 개구부 (22) 를 스프로킷 홀 (52) 과 등피치로 형성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주행 방향으로 나열된 개구부 (22) 의 피치와 스프로킷 홀 (52) 의 피치를 다르게 하여도 된다. 이 경우, 흡착 위치 (54) 와 스프로킷 홀 (52) 이 간섭하지 않도록, 개구 부 (22) (흡착 위치 (54)) 의 피치를, 스프로킷 홀 (52) 의 피치의 정수배로 하면 된다.
그 밖에, 검사용 지그 (10, 12, 14) 에는, 가압면 (20) 의 폭 방향의 편측 또는 양측에, 캐리어 테이프 (50) 를 가이드하기 위한 리브 (rib) 가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져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검사용 지그 (10, 12, 14) 에는, 가압면 (20) 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50) 의 흡착을 방해하지 않는 한, 가압면 (20) 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착 위치 (54) 를 공용부 (CA) 의 내부뿐만 아니라, 일부 흡착 위치 (54) 에 대해서는, 디바이스 영역 (D) 의 내부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검사용 지그 (10, 12, 14) 의 범용성은 감소되는데, 캐리어 테이프 (50) 가 보다 양호하게 흡착되어 그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검사용 지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 는 그 B - B 단면도.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c) 는 캐리어 테이프와 반도체 칩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검사용 지그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의 모식도.
도 5 는 검사용 지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은 검사용 지그의 기타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은 종래의 검사용 지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14: 검사용 지그
20: 가압면
21: 흡착 구멍
22: 개구부
24: 디바이스 홀
26: 기재
50: 캐리어 테이프
52: 스프로킷 홀
54: 흡착 위치
60: 반도체 칩
62: 도체 패턴
64: 범프 전극
66: 수지 필름
70: 프로브
72: 스프로킷
80: 신호 처리 장치
82: 기대
90: 흡인 장치
92: 커버
94: 흡인관
96: 승강 장치
100: 검사 장치
D: 디바이스 영역
FD: 디바이스 대향 영역
ND: 비디바이스 영역
FND: 비디바이스 대향 영역
CA: 공용부
FCA: 공용부 대향 영역

Claims (9)

  1. 반도체 칩 및 상기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체 패턴이 캐리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반복 배치된 디바이스 영역과,
    상기 디바이스 영역의 측방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프로킷 (sprocket) 홀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나열 형성된 비디바이스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디바이스 영역과 비디바이스 영역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프로브에 가압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용 지그로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가압면이 상기 비디바이스 영역으로서 상기 스프로킷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흡착하는 흡착 구멍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개구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열 형성되어 있는, 검사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개구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직선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가 나열된 직선과, 상기 스프로킷 홀이 나열된 직선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검사용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스프로킷 홀끼리의 중간 위치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가압면 중, 상기 비디바이스 영역으로서 상기 스프로킷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는, 검사용 지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은 상기 반도체 칩에 대향하는 위치에 디바이스 홀을 갖는, 검사용 지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사용 지그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검사용 지그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대해 승강 구동하는 승강 장치와,
    상기 흡착 구멍을 진공 흡인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개구부에 흡착시키는 흡인 장치와,
    상기 검사용 지그에 흡착된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닿아, 상기 반도체 칩과의 사이에서 검사 신호를 주고 받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의 검사 장치.
  8. 반도체 칩 및 상기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체 패턴이 캐리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반복 배치된 디바이스 영역과,
    상기 디바이스 영역의 측방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프로킷 (sprocket) 홀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나열 형성된 비디바이스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디바이스 영역과 비디바이스 영역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캐리어 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칩을 검사하는 검사 방법으로서,
    상기 비디바이스 영역이고, 또한 상기 스프로킷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진공 흡착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위치 결정하는 흡착 공정과,
    위치 결정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프로브에 가압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 공정
    을 포함하는, 반도체 칩의 검사 방법.
  9. 도체 패턴이 반복 배치된 디바이스 영역과,
    상기 디바이스 영역의 측방에 형성되어 스프로킷 (sprocket) 홀이 반복 배치된 비디바이스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디바이스 영역과 비디바이스 영역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도체 패턴에 각각 반도체 칩을 접합하는 실장 공정과,
    상기 캐리어 테이프 중, 상기 비디바이스 영역이고, 또한 상기 스프로킷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진공 흡착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위치 결정하는 흡착 공정과,
    위치 결정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프로브에 가압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 공정과,
    검사된 상기 반도체 칩 및 상기 반도체 칩에 접합된 상기 도체 패턴을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잘라 내는 절단 공정
    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90061537A 2008-07-08 2009-07-07 반도체 칩의 검사용 지그,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그리고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28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78243A JP5073599B2 (ja) 2008-07-08 2008-07-08 半導体チップの検査用治具、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8-178243 2008-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27A KR20100006127A (ko) 2010-01-18
KR101128752B1 true KR101128752B1 (ko) 2012-04-12

Family

ID=4152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537A KR101128752B1 (ko) 2008-07-08 2009-07-07 반도체 칩의 검사용 지그,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그리고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73599B2 (ko)
KR (1) KR101128752B1 (ko)
CN (1) CN101625394B (ko)
TW (1) TW2010138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298B1 (ko) 2011-11-21 2013-07-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엘씨 칩의 세정 및 검사용 지그
JP5591852B2 (ja) * 2012-03-19 2014-09-1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検査用治具
KR101389047B1 (ko) * 2013-12-03 2014-04-23 주식회사 원진산업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커버 조립방법 및 그를 위한 조립장치
CN107817435A (zh) * 2017-11-20 2018-03-20 上海御渡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测试电路板的吸附夹具工装
CN109283452A (zh) * 2018-10-19 2019-01-29 义乌臻格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二极管芯片光电属性检测方法和检测装置
CN110209009A (zh) * 2019-07-01 2019-09-06 深圳市深立精机科技有限公司 摄像头自动调焦机夹具
WO2021041917A1 (en) * 2019-08-29 2021-03-04 Hrl Laboratories, Llc Small pitch integrated knife edge temporary bonding microstructures
CN113092994B (zh) * 2021-06-08 2021-09-10 上海菲莱测试技术有限公司 一种大功率光芯片检测平台
CN116705671B (zh) * 2023-08-07 2023-10-13 江苏海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ft测试装置及测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142A (ko) * 1996-09-05 1998-06-25 김광호 액정 표시 장치(lcd) 탭(tab) 제품의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JPH1167845A (ja) 1997-08-11 1999-03-09 Oki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キャリア
JPH11142472A (ja) 1997-11-06 1999-05-28 Nec Corp フィルムキャリア型半導体装置及び検査用プローブヘッド並びに位置合わせ方法
KR20050114215A (ko) * 2003-02-21 2005-12-05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칩 실장용 테이프의 검사 방법 및 검사에 이용하는 프로브유닛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74B2 (ja) * 1987-09-19 1996-02-07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移送装置
JPH0262972A (ja) * 1988-08-29 1990-03-02 Teru Tohoku Kk テープキャリアの検査装置
JPH03173146A (ja) * 1989-12-01 1991-07-26 Hitachi Ltd 検査装置
KR0175268B1 (ko) * 1996-05-10 1999-04-01 김광호 수평 하향식 접속 방식의 베어 칩 테스트 장치
KR100835431B1 (ko) * 2006-11-09 2008-06-04 스테코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를 테스트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142A (ko) * 1996-09-05 1998-06-25 김광호 액정 표시 장치(lcd) 탭(tab) 제품의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JPH1167845A (ja) 1997-08-11 1999-03-09 Oki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キャリア
JPH11142472A (ja) 1997-11-06 1999-05-28 Nec Corp フィルムキャリア型半導体装置及び検査用プローブヘッド並びに位置合わせ方法
KR20050114215A (ko) * 2003-02-21 2005-12-05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칩 실장용 테이프의 검사 방법 및 검사에 이용하는 프로브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25394A (zh) 2010-01-13
JP2010019599A (ja) 2010-01-28
CN101625394B (zh) 2012-10-03
TW201013832A (en) 2010-04-01
KR20100006127A (ko) 2010-01-18
JP5073599B2 (ja)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752B1 (ko) 반도체 칩의 검사용 지그,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그리고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7446398B2 (en) Bump pattern design for flip chip semiconductor package
JP7065650B2 (ja)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50007144A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및 그것에 이용되는 반도체 제조장치
JP2005322921A (ja) バンプテストのためのフリップチップ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048197A (ja) 半導体製造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452310B (zh) Test device for stacked wafers
JP6640142B2 (ja) 切断装置、半導体パッケージの貼付方法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20090140422A1 (en) Substrate for semiconductor package with improved bumping of chip bumps and contact pads and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the same
JP6074734B2 (ja) 半導体製造装置用吸着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の吸着方法
TW201742231A (zh) 半導體元件載體及包括該半導體元件載體的元件處理器
JP5005605B2 (ja) パッケージ基板の切削方法
TWI501349B (zh) Wafer adsorption head
JP550772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85481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1145548A (zh) 通用封装基板及其应用机构
JP476983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405278B (zh) 固定治具及打線機台
KR20070082316A (ko) 솔더 볼 고정 판을 이용한 솔더 볼 부착 방법
JP2005345271A (ja) 検査ソケット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839686B2 (ja) フィルムキャリヤテープおよびこのフィルムキャリヤテープ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3408473B2 (ja) 半田ボールマウンタおよび半導体装置
TWI387022B (zh) 晶片結構以及晶片封裝結構
JP4124207B2 (ja) 半導体装置検査用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検査用装置、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
JP2010182793A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