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903B1 -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신규한 중간체 화합물 - Google Patents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신규한 중간체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903B1
KR101123903B1 KR1020090011388A KR20090011388A KR101123903B1 KR 101123903 B1 KR101123903 B1 KR 101123903B1 KR 1020090011388 A KR1020090011388 A KR 1020090011388A KR 20090011388 A KR20090011388 A KR 20090011388A KR 101123903 B1 KR101123903 B1 KR 10112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hydrogen
straight
branched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424A (ko
Inventor
이춘호
구자혁
권경찬
현 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한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한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한양행
Publication of KR2009008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C07C67/31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ntroduction of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only in singly bound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6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from ketenes or polyke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12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and hav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in the acid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Abstract

본 발명은 항히스타민 활성을 나타내는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를 보다 단순화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 이에 사용되는 중간체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약학적으로 유용한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를 고수율, 고순도 및 산업적 규모로 제조할 수 있다.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중간체, 제조 방법, 단순화

Description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신규한 중간체 화합물{PROCESS FOR PREPARATION OF 2-METHYL-2'-PHENYLPROPIONIC ACID DERIVATIVES AND NOVEL INTERMEDIATE COMPOUNDS}
본 발명은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이에 사용되는 신규한 중간체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 1의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는 우수한 항히스타민 활성 및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약학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8695584-pat00001
상기 식에서, A는 산소 또는 질소이며, A가 산소일 때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A가 질소일 때 R1은 A와 함께 5-7개 원을 갖는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으 며, R2는 수소 또는 -CH2CH2OR2′이며(단, A가 질소이면, R2는 -CH2CH2OR2′이다.),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다.
특히, 상기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는 거의 독점적으로 H1 항히스타민 약리학적 활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높은 투여량 하에서도 다른 약학적 수용 물질에 작용하지 않고 높은 선택성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상기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는 알레르기성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다른 약물을 동시에 투여받는 환자, 예를 들어, 심장 순환계에 병을 가진 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미국 특허 공보 제 5877187 호).
유럽 특허 공보 제 0818454 호에는, 화학식 1에 속하는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제조 방법은 크게 2 가지 측면에서 단점을 갖는다. 먼저, 옥사졸기가 도입된 화합물의 제조 단계 및 옥사졸기의 가수 분해 단계가 불가피하게 포함되어 전체적인 제조 단계가 복잡해진
다. 또한, 피페리디닐기에 뿐만 아니라 이미다졸기에도 N-알킬화가 가능한 N-H 결합이 존재하므로, 부산물이 다량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조방법은 화학식 1의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를 산업적 규모로 대량 생산하는데 있어서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한편, J. Med. Chemistry(1986, 29, 1178-1183) 및 J. Heterocyclic Chem.(1987, 24, 31-37)에는, 피페리디닐 벤조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니트로기를 아민기로 환원시키는 과정에서 고 인화성인 아연가 루를 사용해야 하고, 수율 또한 30% 정도로 매우 낮아 여전히 산업적 규모의 생산에는 부적합한 비효율적인 것이었다.
이로 인해, 약학적으로 유용한 상기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수율이나 순도가 향상되고 이의 산업적 생산에 적합한 제조 방법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용한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를 보다 높은 수율로 산업적 규모로 생산하는데 적합한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중간체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08695584-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09008695584-pat00003
[화학식 1]
Figure 112009008695584-pat00004
상기 식에서, A는 산소 또는 질소이며, A가 산소일 때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A가 질소일 때 R1은 A와 함께 5-7개 원을 갖는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수소 또는 -CH2CH2OR2′이며(단, A가 질소이면, R2는 -CH2CH2OR2′이다.),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며, X는 이탈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를 위해 중간체로 사용 가능한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05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를 위해 중간체로 사용 가능한 하기 화학식 2a의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2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06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X는 이탈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를 위해 중간체로 사용 가능한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6]
Figure 112009008695584-pat00007
상기 식에서, R3은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B는 수소 또는 실릴 보호기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를 위해 중간체로 사용 가능한 하기 화학식 3a의 화합물의 신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3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08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 는 C2-C6 알케닐이다.
이하,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중간체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08695584-pat00009
[화학식 3]
Figure 112009008695584-pat00010
[화학식 1]
Figure 112009008695584-pat00011
상기 식에서, A는 산소 또는 질소이며, A가 산소일 때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A가 질소일 때 R1은 A와 함께 5-7개 원을 갖는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수소 또는 -CH2CH2OR2′이며(단, A가 질소이면, R2는 -CH2CH2OR2′이다.),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며, X는 이탈기이다.
상기 식에서, X는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 간의 반응에 적합한 이탈기, 예를 들어, 할로겐, 설피닐옥시기 및 설포닐옥시기로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2 및 3의 화합물은 유기 용매 내에서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할 수 있다. 이때, 염기로는 예를 들어, 소디움 C1-C6 알콕사이드, 포타시움 C1-C6 알콕사이드, 소디움카보네이트, 포타시움카보네이트, 리튬카보네이트, 세슘카보네이트,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포타시움바이카보네이트 또는 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같은 무기 염기를 사용하거나,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 (DBU), 1,4-디아자바이시클로[2.2.2]옥탄 (DABCO), 1,5-디아자바이시클로[4.3.0]논-5-엔 (DBN),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유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디움 C1-C6 알콕사이드, 포타시움 C1-C6 알콕사이드, 소디움카보네이트, 포타시움카보네이트, 리튬카보네이트, 세슘카보네이트, 소디움바이카보네 이트, 포타시움바이카보네이트 또는 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같은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학식 2 및 3의 화합물 간의 반응이 바람직하게 진행되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이 알킬인 경우, 상기 화학식 2 및 3의 화합물을 반응시킨 후 그 반응 결과물을 에스테르 가수 분해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여 산 형태의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 및 3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결과물의 R2가 수소인 경우(즉, 화학식 1a의 화합물인 경우), 필요에 따라 반응 결과물을 화학식 9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진행하여 상기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12
[화학식 9]
YCH2CH2OR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고, Y는 이탈기이 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A가 산소일 때 R1이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로 되어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되거나, A가 질소일 때 R1가 A와 함께 5-7개원을 갖는 고리를 형성하고 이러한 고리가 비치환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로 치환되어 하기 화학식 2b 등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될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13
[화학식 2b]
Figure 112009008695584-pat00014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X는 이탈기이다.
상기 화학식 2b의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유럽 특허 공보 제 0818454 호),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은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제조에 유용한 신규한 중간체로서, 이에 따라 보다 단순화된 제조 공정 수행이 가능하므로 높은 수율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 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화학식 2a의 화합물은 신규한 중간체인 화학식 6의 화합물의 -OB기를 이탈기 X로 치환시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09008695584-pat00015
상기 식에서, R3은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B는 수소 또는 실릴 보호기이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은 화학식 4의 화합물 및 화학식 5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09008695584-pat00016
[화학식 5]
Figure 112009008695584-pat00017
상기 식에서, Hal은 할로겐이고, R3은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B는 수소 또는 실릴 보호기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상기 화학식 4 및 5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 및 5의 화합물은 유기 용매 내에서 팔라듐(Pd) 촉매의 존재 하에 반응할 수 있다. 이러한 팔라듐 촉매로는 Pd(dba)2, Pd2(dba)3 또는 Pd(t-Bu3P)2 등의 Pd(0)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Pd(dba)2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의 B가 수소인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화학식 4 및 5의 화합물의 반응 단계 전에, 화학식 4의 화합물에 대해 실릴 보호기를 도입하는 반응 단계를 진행하여 이러한 실릴 보호기가 도입된 형태로 반응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가능한 실릴 보호기로는 헥사메틸디실릴, 트리메틸실릴, tert-부틸디메틸실릴, 트리아이소프로필실릴 및 tert-부틸디페닐실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디실릴, 트리메틸실릴 또는 tert-부틸디메틸실릴이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실릴 보호기가 도입된 형태의 화학식 4의 화합물과 화학식 5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된 화학식 6의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탈보호 반응을 거친 후 다음 반응 단계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형성한 후에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의 -OB기를 이탈기 X로 치환하여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이때 사용 가능한 이탈기 X는 이후의 화학식 3의 화합물과의 반응에 적합한 이탈기, 예를 들어, 할로겐, 설피닐옥시기 또는 설포닐옥시기로 될 수 있다. 이러 한 이탈기의 종류에 따른 일반적인 치환 반응 조건에 따라,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의 -OB기를 이탈기 X로 치환하여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탈기 X가 할로겐인 경우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과 통상적인 할로겐화 시약을 반응시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이탈기 X가 설피닐옥시기 또는 설포닐 옥시기인 경우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과 통상적인 설피닐화 시약 또는 술포닐화 시약(예를 들어, 설피닐 할라이드 또는 술포닐 할라이드)을 반응시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서, R1 및 R3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의 R3을 R1로 치환한 후에, 상기 이탈기 X로의 치환 반응을 진행하여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1이 수소인 경우에는,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에스테르 가수 분해하는 단계를 거친 후 이로부터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R1 및 R3이 서로 다른 C1-C6 알킬인 경우에는,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알킬화하여 R3을 R1로 치환하는 단계를 거친 후 이로부터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에스테르 가수 분해하고, 이를 다시 알킬화하여 R3을 R1로 치환한 후에 이로부터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얻을 수도 있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또 다른 출발물질인 화학식 3의 화 합물은 바람직하게는 R2가 -CH2CH2OR2′로 되어, 하기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될 수 있다:
[화학식 3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18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상기 화학식 3a의 화합물은 보다 단순화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a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의 피페리딘 고리의 아민기를 보호기로 보호하여 화학식 8의 화합물을 형성하고, 이를 화합물 9의 화합물과 N-알킬화 반응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형성한 후,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탈보호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112009008695584-pat00019
[화학식 8]
Figure 112009008695584-pat00020
[화학식 9]
YCH2CH2OR2
[화학식 10]
Figure 112009008695584-pat00021
상기 식에서, P는 아민 보호기이고,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고, Y는 이탈기이다.
상기 식에서, 이탈기 Y는 N-알킬화 반응에 적합한 통상적인 이탈기, 예를 들어, 할로겐, 설피닐옥시기 또는 설포닐옥시기로 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은 유기 용매 또는 수용매 내에서 아민 보호기(P)가 도입되어 화학식 8의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 가능한 아민 보호기 P는 카바메이트, 아마이드 및 실릴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바메이트를 사용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8의 화합물과 화학식 9의 화합물을 N-알킬화 반응시킴에 있어서는, 유기 용매 내에서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이때, 염기로는 소디움 히드록시드, 포타시움 히드록시드, 소디움 C1-C6 알콕사이드, 포타시움 C1-C6 알콕사이드, 소디움카보네이트, 포타시움카보네이트, 리튬카보네이트, 세슘카보네이트,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포타시움바이카보네이트 또는 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같은 무기 염기를 사용하거나,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 (DBU), 1,4-디아자바이시클로[2.2.2]옥탄 (DABCO), 1,5-디아자바이시클로[4.3.0]논-5-엔 (DBN),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유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디움 히드록시드, 포타시움 히드록시드, 소디움 C1-C6 알콕사이드, 포타시움 C1-C6 알콕사이드, 소디움카보네이트, 포타시움카보네이트, 리튬카보네이트, 세슘카보네이트,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포타시움바이카보네이트 또는 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같은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형성한 후에는, 이를 탈보호하여 화학식 3a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탈보호 반응의 방법 및 조건은 통상적인 아민 보호기의 탈보호 반응 방법 및 조건에 따른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상기 화학식 1의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는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으로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항히스타민 활성을 나타내어 약 학적으로 유용한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를 보다 단순화된 방법으로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를 산업적 규모에 보다 맞게 효율적으로 생산하여, 약학적, 산업적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4-브로모페네틸알코올(2.0g), Pd(dba)2(0.11g), t-Bu3P(0.08g), ZnF2(0.52g), 메틸트리메틸실릴 디메틸키텐 아세탈(2.6g) 및 DMF(20mL)를 투입하고, 80℃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증류수(50mL)와 에틸아세테이트(50mL)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 처리한 후 여과 농축하고 정제하여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2.4g, 수율 100%)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δ 1.57(s, 6H), 2.82-2.84(t, 2H), 3.65 (s, 3H), 3.83-3.86(t, 2H), 7.18-7.20(d, 2H), 7.27-7.29(d, 2H)
<실시예 2>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4-브로모페네틸알코올(2g), Pd2(dba)3(0.18g), t-Bu3P(0.16g), ZnF2(0.51g), 메틸트리메틸실릴 디메틸키텐 아세탈(2.6g) 및 DMF(20mL)를 투입하고 80℃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증류수(50mL)와 에틸아세테이트(50mL)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 처리한 후 여과 농축하고 정제하여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2.2g, 수율 94%)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δ 1.57(s, 6H), 2.82-2.84(t, 2H), 3.65 (s, 3H), 3.83-3.86(t, 2H), 7.18-7.20(d, 2H), 7.27-7.29(d, 2H)
<실시예 3>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4-브로모페네틸알코올(5.0g), 헥사메틸디실라잔(HMDS; 3.0g), 아세토니트릴(25mL) 및 암모늄클로라이드(0.01g)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1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그 결과물을 감압농축하고 다이클로로메탄(30mL)과 증류수(20ml)를 투입 하여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 처리한 후 여과 농축하고, Pd(dba)2(0.29g), t-Bu3P(0.20g), ZnF2(1.28g), 메틸트리메틸실릴 디메틸키텐 아세탈(2.2g) 및 DMF(50mL)를 투입하여 80℃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증류수(75mL), 에틸아세테이트(75mL) 및 1N 염산수용액(9mL)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 처리한 후 여과 농축하고 정제하여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5.2g, 수율 88%)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δ 1.57(s, 6H), 2.82-2.84(t, 2H), 3.65 (s, 3H), 3.83-3.86(t, 2H), 7.18-7.20(d, 2H), 7.27-7.29(d, 2H)
<실시예 4>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4-브로모페네틸알코올(2.0g), Pd(dba)2(0.11g), t-Bu3P(0.08g), ZnF2(0.52g), 에틸트리메틸실릴 디메틸키텐 아세탈(2.7g) 및 DMF(20mL)를 투입하고 80℃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증류수(50mL)와 에틸아세테이트(50mL)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 처리한 후 여과 농축하고 정제하여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 르(2.3g, 수율 92%)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δ 1.25(t, 3H), 1.57(s, 6H), 2.82-2.84(t, 2H), 4.10-4.45(q, 2H), 3.83-3.86(t, 2H), 7.18-7.20(d, 2H), 7.27-7.29(d, 2H)
<실시예 5> 2-[4-(2-메탄설포닐옥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2.2g), 트리에틸아민(1.2g),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1.25g) 및 다이클로로메탄(20mL)을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증류수(50mL)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 처리한 후 여과 농축하여 2-[4-(2-메탄설포닐옥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3.2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δ 1.57(s, 6H), 2.86(s, 3H), 3.02 (t, 2H), 3.65(s, 3H), 4.39-4.43(t, 2H), 7.19-7.21(d, 2H), 7.28-7.30(d, 2H)
<실시예 6> 2-메틸-2-{4-[2-(톨루엔-4-설포닐옥시)-에틸]-페닐}-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제조
반응용기에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2g), 트리에틸아민(1.1g), p-톨루엔설포닐클로라이드(1.9g) 및 다이클로로메탄(20mL)을 투입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증류수(50mL)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 처리한 후 여과 농축하여 2-메틸-2-{4-[2-(톨루엔-4-설포닐옥시)-에틸]-페닐}-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3.0g, 수율 91%)를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CDCl3, ppm : δ 1.57(s, 6H), 2.44(s, 3H), 2.93(t, 2H), 3.65(s, 3H), 4.18(t, 2H), 7.05-7.07(d, 2H), 7.19-7.21(d, 2H), 7.27-7.30(d, 2H), 7.69(d, 2H)
<실시예 7> 2-[4-(2-클로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1g), 염화티오닐(2.7g) 및 다이클로로메탄(15mL)을 투입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톨루엔(30mL)을 투입하여 감압 농축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다이클로로메탄(50mL) 및 중탄산나트륨 수용액(30mL)을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 처리한 후 여과 농축하여 2-[4-(2-클로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1.0g, 수율 92%)를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CDCl3, ppm : δ 1.57(s, 6H), 3.03-3.06(t, 2H), 3.65(s, 3H), 3.67-3.72(t, 2H), 7.17-7.19(d, 2H), 7.28-7.30(d, 2H)
<실시예 8> 2-[4-(2-메탄설포닐옥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2.2g), 트리에틸아민(1.2g),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1.25g) 및 다이클로로메탄(20mL)을 투입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증류수(50mL)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 처리한 후 여과 농축하여 2-[4-(2-메탄설포닐옥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3.2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δ 1.57(s, 6H), 2.86(s, 3H), 3.02 (t, 2H), 3.65(s, 3H), 4.39-4.43(t, 2H), 7.19-7.21(d, 2H), 7.28-7.30(d, 2H)
<실시예 9> 2-{1-[4-(2-클로로-에틸)-페닐]-1-메틸-에틸}-4,4-다이메틸-4,5-다이하이드로-옥사졸의 제조
반응용기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2-[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25g) 및 다이클로로 메탄(200mL)을 투입한 후,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10.6mL)를 투입하고 포타시움 t-부톡사이드(11.9g)을 서서히 투입하였다. 반응완료 후 증류수(100mL)를 투입하여 층 분리하고 유기층을 감압 농 축하였다. 농축한 유기층에 아세토니트릴(150mL)를 투입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16mL)를 적가한 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하였다. 반응완료 후 냉각하고 가성소다 수용액을 서서히 투입하여 pH를 5~7로 조절하였다. 이후 농축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증류수(150mL)와 다이클로로 메탄(150mL)을 투입하여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2-{1-[4-(2-클로로-에틸)-페닐]-1-메틸-에틸}-4,4-다이메틸-4,5-다이하이드로-옥사졸(22.5g,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1.27(s, 6H), 1.57(s, 6H), 3.07(t, 2H), 3.69(t, 2H), 3.85(s, 2H), 7.18(d, 2H), 7.32(d, 2H)
<실시예 10> 4-(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벤조이미다졸(1.1g) 및 메틸알콜(8mL)을 투입하고 다이 tert-부틸다이카보네이트(1.2g)을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3시간 정도 교반한 후 반응액을 농축하여 4-(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1.5g, 수율 91%)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1.63(s, 9H), 1.89(m, 2H), 2.11(d, 2H), 2.87(t, 2H), 3.14(m, 1H), 4.23(s, 2H), 7.22~7.24(m, 2H), 7.41 (s, 1H), 7.72(s, 1H), 9.77(s, 1H)
<실시예 11> 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4-(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1.5g), 톨루엔(10mL)과 수산화칼륨(0.8g)을 투입하고 반응액을 50℃이상으로 조절하였다. 반응액에 에톡시에탄올 메탄 설폰에이트(1.3g)을 투입한 후 동일 온도에서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증류수(10mL)를 투입하여 층 분리 한 후 유기층을 농축하여 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1.7g, 수율 91%)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1.07(t, 3H), 1.47(s, 9H), 1.92(m, 2H), 2.01(s, 2H), 2.85(s, 2H), 3.14(m, 1H), 3.36(m, 2H), 3.69(t, 2H), 4.28(t, 2H), 7.12-7.26(m, 3H), 7.75(t, 1H)
<실시예 12> 1-(2-에톡시에틸)-2-피페리딘-4-일-1H-벤조이미다졸의 제조
반응용기에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1.6g)에 증류수(15mL)와 염산(1.5g)을 투입한 후 교반하여 탈보호 반응을 진행한 후, 가성소다 수용액(10mL)과 다이클로로 메탄(20mL)을 투입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농축하여 1-(2-에톡시에틸)-2- 피페리딘-4-일-1H-벤조이미다졸(1.2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1.05(t, 3H), 2.09~2.23(m, 4H), 3.17(q, 2H), 3.24(d, 1H), 3.39(q, 2H), 3.51(q, 3H), 3.77(t, 2H), 4.51(t, 2H), 7.27(m, 2H), 7.52(d, 1H), 7.62(d, 1H)
<실시예 13> 2-(4-{2-[4-(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2-[4-(2-메탄설포닐옥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3.0g), 소디움카보네이트(1.1g), 2-(4-피페라디닐)-1H-벤조이미다졸(3.0g) 및 메틸알콜(30mL)을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환류 조건에서 14시간 반응시켰다. 증류수(50mL)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결정을 감압여과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2-(4-{2-[4-(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3.4g, 수율 85%)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 ppm: 1.48(s, 6H), 1.80-1.84(m, 2H), 1.98-2.00(m, 2H), 2.08-2.13(t, 2H), 2.50-2.54(m, 1H), 2.67-2.75(t, 2H), 2.80-2.90(m, 1H), 3.01-3.04 (d, 2H), 7.05-7.08(m, 2H), 7.13-7.23(d, 4H), 7.46(s, 2H), 12.15(s, 1H)
<실시예 14>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2-(4-{2-[4-(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0.5g), 포타시움-t-부톡사이드(0.14g), 에톡시에틸메질레이트(0.25g) 및 DMF(20mL)를 반응용기에 투입한 후 5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증류수(50mL)와 에틸아세테이트(50mL)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증류수(50mL)로 세척한 후 탈수하고 감압 농축하여 목적하는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0.5g, 수율 85%, HPLC 순도 98.5% 이상)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 ppm: 0.98(t, 3H), 1.48(s, 6H), 1.87(m, 4H), 2.05-2.20(m, 2H), 2.50(t, 2H), 2.73(t, 2H), 3.04(m, 3H), 3.30(q, 2H), 3.58(s, 3H), 3.65(t, 2H), 4.39(t, 2H), 7.00-7.30(m, 6H), 7.40-7.60(dd, 2H)
<실시예 15>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용기에 실시예 8에서 제조된 2-[4-(2-메탄설포닐옥시-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3.2g), 소디움카보네이트(1.1g),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1-(2-에톡시에틸)-2-피페리딘-4-일-1H-벤조이미다졸(3.0g) 및 메틸알콜(30mL)을 투입하고 환류 조건에서 14시간 반응시켰다. 증류수(50mL)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결정을 감압여과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4.5g, 수율 90%, HPLC 순도 98.5% 이상)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1.12(t, 3H), 1.56(s, 6H), 2.12(m, 2H), 2.18(m, 4H), 2.63(q, 2H), 2.81(q, 2H), 3.00(m, 1H), 3.16 (d, 2H), 3.42(q, 2H), 3.74(t, 2H), 4.15(q, 2H), 4.33(t, 2H), 7.15-7.40(m, 7H), 7.77(q, 1H)
<실시예 16>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의 제조
반응용기에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2.3g), 가성소다(0.6g) 및 에틸알코올(13mL)를 투입한 후 50-55℃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증류수(20mL)를 투입한 후 아세트산을 투입하여 pH 7로 조절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50mL)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감압농축하고 부탄올(9mL)을 투입하여 가온 용해한 후, 냉각하여 결정이 석출되면 감압 여과하여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2.0g, 수율 90%, HPCL 순도 99% 이상)을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CDCl3, ppm : δ1.08(t, 3H), 1.59(s, 6H), 2.15-2.30(m. 4H), 2.64-2.79(m, 6H), 3.25(s, 1H), 3.67(q, 2H), 3.47(m, 2H), 3.71(t, 2H), 4.32(t, 2H), 6.79(d, 2H), 7.26(m, 2H), 7.29-7.32(m, 3H), 7.76(t, 1H)
<실시예 17>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의 제조
반응용기에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2.3g), 가성소다(0.6g) 및 에틸알코올(13mL)를 투입 후 50-55℃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증류수(20mL)를 투입한 후 아세트산을 투입하여 pH 7로 조절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50mL)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층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감압농축하고 부탄올(9mL)을 투입하여 가온 용해한 후, 냉각하여 결정이 석출되면 감압 여과하여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1.84g, 수율 85%, HPLC 순도 99% 이상)을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CDCl3, ppm : δ1.08(t, 3H), 1.59(s, 6H), 2.15-2.30(m. 4H), 2.64-2.79(m, 6H), 3.25(s, 1H), 3.67(q, 2H), 3.47(m, 2H), 3.71(t, 2H), 4.32(t, 2H), 6.79(d, 2H), 7.26(m, 2H), 7.29-7.32(m, 3H), 7.76(t, 1H)
<실시예 18> 2-[1-(2-{4-[1-(4,4-다이메틸-4,5-다이하이드로-옥사졸-2-일)-1-메틸-에틸]-페닐}-에틸)-피페리딘-4-일]-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의 제조
반응용기에 실시예 9에서 제조된 2-{1-[4-(2-클로로-에틸)-페닐]-1-메틸-에틸}-4,4-다이메틸-4,5-다이하이드로-옥사졸(1.9g), 소디움카보네이트(0.8g),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1-(2-에톡시에틸)-2-피페리딘-4-일-1H-벤조이미다졸(2.0g) 및 메틸알콜(20mL)을 투입하고 환류 조건에서 14시간 반응시켜 2-[1-(2-{4-[1-(4,4-다이메틸-4,5-다이하이드로-옥사졸-2-일)-1-메틸-에틸]-페닐}-에틸)-피페리딘-4-일]-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4.4g, 수율 87%, HPLC 순도 98% 이상)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ppm : 1.10(t, 3H), 1.27(s, 6H), 1.57(s, 6H), 1.92(m, 2H), 2.10(m, 4H), 2.60(t, 2H), 2.80(t, 2H), 3.01(m, 1H), 3.10(d, 2H), 3.41(q, 2H), 3.70(t, 2H), 3.90(s, 2H), 4.30(t, 2H), 7.10~7.32(m, 7H), 7.8(m, 1H)
<실시예 19>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의 제조
반응용기에 실시예 18에서 제조된 2-[1-(2-{4-[1-(4,4-다이메틸-4,5-다이하이드로-옥사졸-2-일)-1-메틸-에틸]-페닐}-에틸)-피페리딘-4-일]-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4.4g) 및 염산수용액(50mL)를 투입하고 환류 교반하여 반응이 완 결된 후 가성소다 수용액을 투입하여 pH 7로 조절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50mL)를 투입하여 층 분리한 후, 유기층을 감압농축하고 부탄올(9mL)을 투입하여 가온 용해시켰다. 이후, 냉각하여 결정이 석출되면 감압 여과하여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3.43g, 수율 87%, HPLC 순도 99% 이상)을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CDCl3, ppm : δ1.08(t, 3H), 1.59(s, 6H), 2.15-2.30(m. 4H), 2.64-2.79(m, 6H), 3.25(s, 1H), 3.67(q, 2H), 3.47(m, 2H), 3.71(t, 2H), 4.32(t, 2H), 6.79(d, 2H), 7.26(m, 2H), 7.29-7.32(m, 3H), 7.76(t, 1H)

Claims (21)

  1.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11004851431-pat00022
    [화학식 3]
    Figure 112011004851431-pat00023
    [화학식 1]
    Figure 112011004851431-pat00024
    상기 식에서, A는 산소 또는 질소이며;
    A가 산소일 때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CH2CH2OR2′이며;
    A가 질소일 때 R1은 A와 함께 5-7개 원을 갖는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CH2CH2OR2′이고;
    상기 R2에서,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며; X는 이탈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단계는 소디움 C1-C6 알콕사이드, 포타시움 C1-C6 알콕사이드, 소디움카보네이트, 포타시움카보네이트, 리튬카보네이트, 세슘카보네이트,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포타시움바이카보네이트, 포타시움포스페이트,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 (DBU), 1,4-디아자바이시클로[2.2.2]옥탄 (DABCO), 1,5-디아자바이시클로[4.3.0]논-5-엔 (DBN),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및 트리에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염기의 존재 하에 진행되는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결과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결과물의 R2가 수소인 경우, 상기 반응 결과물을 화학식 9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화학식 9]
    YCH2CH2OR2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며, Y는 이탈기이다.
  5.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는 2-[4-(2-{4-[1-(2-에톡시-에틸)-1H-벤조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에틸)-페닐]-2-메틸-프로피온산인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제조방법:
    [화학식 2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25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X는 이탈기이다.
  7. 제 6 항에 있어서, 화학식 4의 화합물 및 화학식 5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화학식 6의 -OB기를 이탈기 X로 치환하여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09008695584-pat00026
    [화학식 5]
    Figure 112009008695584-pat00027
    [화학식 6]
    Figure 112009008695584-pat00028
    [화학식 2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29
    상기 식에서, Hal은 할로겐이고,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R3은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B는 수소 또는 실릴 보호기이고, X는 이탈기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R1과 R3이 서로 다른 경우, 화학식 6의 화합물의 R3을 R1로 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제조방법:
    [화학식 2b]
    Figure 112009008695584-pat00030
    상기 식에서, X는 이탈기이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제조방법:
    [화학식 3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31
    상기 식에서, R2′은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화학식 7의 화합물의 피페리딘 고리의 아민기를 보호기로 보호하여 화학식 8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화학식 8의 화합물과 화학식 9의 화합물을 N-알킬화 반응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탈보호 반응시켜 화학식 3a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화학식 7]
    Figure 112009008695584-pat00032
    [화학식 8]
    Figure 112009008695584-pat00033
    [화학식 9]
    YCH2CH2OR2
    [화학식 10]
    Figure 112009008695584-pat00034
    상기 식에서, P는 아민 보호기이고,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고, Y는 이탈기이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8의 화합물과 화학식 9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소디움 히드록시드, 포타시움 히드록시드, 소디움 C1-C6 알콕사이드, 포타시움 C1-C6 알콕사이드, 소디움카보네이트, 포타시움카보네이트, 리튬카보네이트, 세슘카보네이트,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포타시움바이카보네이트, 포타시움포스페이트,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 (DBU), 1,4-디아자바이시클로[2.2.2]옥탄 (DABCO), 1,5-디아자바이시클로[4.3.0]논-5-엔 (DBN),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및 트리에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염기의 존재 하에 진행되는 제조방법.
  13. 화학식 1a의 화합물:
    [화학식 1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35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다.
  14. 화학식 2a의 화합물:
    [화학식 2a]
    Figure 112011066157191-pat00036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X는 할로겐, 설피닐옥시기 또는 설포닐옥시기이다.
  15. 화학식 6의 화합물의 -OB기를 이탈기 X로 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2a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6]
    Figure 112009008695584-pat00037
    [화학식 2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38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R3은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B는 수소 또는 실릴 보호기이고, X는 이탈기이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R1과 R3이 서로 다른 경우, 화학식 6의 화합물의 R3을 R1로 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7. 화학식 6의 화합물:
    [화학식 6]
    Figure 112009008695584-pat00039
    상기 식에서, R3은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B는 수소 또는 실릴 보호기이다.
  18. 화학식 4의 화합물 및 화학식 5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09008695584-pat00040
    [화학식 5]
    Figure 112009008695584-pat00041
    [화학식 6]
    Figure 112009008695584-pat00042
    상기 식에서, Hal은 할로겐이고, R3은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이고, B는 수소 또는 실릴 보호기이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단계는 팔라듐 촉매의 존재 하에 진행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20. 화학식 7의 화합물의 피페리딘 고리의 아민기를 보호기로 보호하여 화학식 8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화학식 8의 화합물과 화학식 9의 화합물을 N-알킬화 반응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탈보호 반응시켜 화학식 3a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3a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7]
    Figure 112009008695584-pat00043
    [화학식 8]
    Figure 112009008695584-pat00044
    [화학식 9]
    YCH2CH2OR2
    [화학식 10]
    Figure 112009008695584-pat00045
    [화학식 3a]
    Figure 112009008695584-pat00046
    상기 식에서, P는 아민 보호기이고, R2′는 수소, C1-C6 직쇄 또는 분쇄 알킬, C3-C6 시클릭알킬, 또는 C2-C6 알케닐이고, Y는 이탈기이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8의 화합물과 화학식 9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소디움히드록시드, 포타시움 히드록시드, 소디움 C1-C6 알콕사이드, 포타시움 C1-C6 알콕사이드, 소디움카보네이트, 포타시움카보네이트, 리튬카보네이트, 세슘카보네이트,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포타시움바이카보네이트, 포타시움포스페이트,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 (DBU), 1,4-디아자바이시클로[2.2.2]옥탄 (DABCO), 1,5-디아자바이시클로[4.3.0]논-5-엔 (DBN),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및 트리에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염기의 존재 하에 진행되는 제조방법.
KR1020090011388A 2008-02-12 2009-02-12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신규한 중간체 화합물 KR101123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2656 2008-02-12
KR1020080012656 2008-02-12
KR20080090385 2008-09-12
KR1020080090385 2008-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424A KR20090087424A (ko) 2009-08-17
KR101123903B1 true KR101123903B1 (ko) 2012-03-23

Family

ID=4095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388A KR101123903B1 (ko) 2008-02-12 2009-02-12 2-메틸-2'-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신규한 중간체 화합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367704B2 (ko)
EP (1) EP2240464A4 (ko)
JP (1) JP5629214B2 (ko)
KR (1) KR101123903B1 (ko)
CN (2) CN101952273B (ko)
WO (1) WO20091021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9214B2 (ja) 2008-02-12 2014-11-19 ユーハン・コーポレイションYUHAN Corporation 2−メチル−2′−フェニルプロピオ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される新規な中間体化合物
CN102675101B (zh) * 2012-05-16 2014-01-29 王蕾 2-(4-卤乙基)苯基-2-甲基丙酸酯的制备方法及合成比拉斯汀的方法
CZ307500B6 (cs) 2012-08-15 2018-10-24 Zentiva, K.S. Způsob přípravy derivátu 2-methyl-2´-fenylpropionové kyseliny využívající nové intermediáty
CN103214455B (zh) * 2013-03-30 2018-08-31 北京万全德众医药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比拉斯汀的制备方法
CN104151160A (zh) * 2013-05-15 2014-11-19 重庆华邦制药有限公司 用酯类化合物合成2-甲基丙酸酯衍生物的方法
CN103351380B (zh) * 2013-06-30 2019-01-22 北京万全德众医药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制备比拉斯汀的方法
CN103896915A (zh) * 2014-04-01 2014-07-02 中国药科大学 苯并咪唑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CN104326909A (zh) * 2014-09-22 2015-02-04 暨南大学 一种制备α,α-二甲基-4-(2-卤乙基)苯乙酸酯及合成比拉斯汀的方法
CN106146308A (zh) * 2015-04-09 2016-11-23 南京长澳医药科技有限公司 α,α-二甲基-4-(2-卤乙酰基)苯乙酸酯的纯化方法
CN106336394A (zh) * 2015-07-13 2017-01-18 南京长澳医药科技有限公司 比拉斯汀氧化杂质的制备方法
CN105272977A (zh) * 2015-09-19 2016-01-27 万全万特制药江苏有限公司 一种制备比拉斯汀中间体的方法
EP3452462A4 (en) * 2016-05-05 2019-10-23 MSN Laboratories Private Limited, R&D Center SOLID STATE FORMS OF 2- [4- (2- {4- [1- (2-ETHOXYETHYL) -1H-BENZIMIDAZOL-2-YL] -1-PIPERIDINYL} ETHYL) PHENYL] -2-METHYLPROPANOIC ACI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146459B (zh) * 2016-07-18 2019-12-20 山东罗欣药业集团恒欣药业有限公司 一种比拉斯汀的制备方法
WO2018042305A1 (en) * 2016-08-29 2018-03-08 Symed Labs Limited Improved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bilastine using novel intermediates
CN107365297B (zh) * 2016-10-21 2020-07-03 罗欣药业(上海)有限公司 一种2-甲基-2’-苯基丙酸衍生物的制备方法及其中间体
CN106565467B (zh) * 2016-11-04 2017-12-01 杭州励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过敏药比拉斯汀中间体的制备方法
EP3576734A4 (en) * 2017-02-03 2020-12-09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SMALL MOLECULE ANTAGONISTS OF THE SUMO-RELATED MODIFICATION OF CRMP2 AND THEIR USES
CN107365298A (zh) * 2017-03-14 2017-11-21 罗欣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2‑甲基‑2’‑苯基丙酸衍生物的制备方法
CN109810093A (zh) * 2017-11-20 2019-05-28 重庆华邦胜凯制药有限公司 一种比拉斯汀中间体的制备方法
CN107857702A (zh) * 2017-12-14 2018-03-30 重庆华邦制药有限公司 一种比拉斯汀中间体的制备方法
EP3599235A1 (en) * 2018-07-24 2020-01-29 Faes Farma, S.A. Process and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of bilastine
CN109081827A (zh) * 2018-11-06 2018-12-25 北京天弘天达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比拉斯汀的制备方法及应用
CN109694367B (zh) * 2019-03-06 2021-06-11 湖北省医药工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制备比拉斯汀的方法
CN111689953A (zh) * 2019-03-14 2020-09-22 北京万全德众医药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比拉斯汀中间体的制备方法
CN112552157B (zh) * 2021-02-19 2021-05-11 南京桦冠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2-(4-(2-取代乙基)苯基)-2-甲基丙酸的制备方法
CN115557861A (zh) * 2021-07-01 2023-01-03 海南大学 一种磺酸酯类化合物及其合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448B1 (ko) * 1996-06-04 2005-12-02 화브리까 에스파놀라 데 프로둑또스 뀌미꼬스 이 화르마세우띠꼬스 쏘시에떼 아노님 항히스타민활성을가지는신규한벤조이미다졸유도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9983A (ja) * 1981-11-06 1983-05-13 Kanebo Ltd 新規なベンズイミダゾ−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医薬組成物
ES2048109B1 (es) * 1992-07-20 1994-12-16 Espanola Prod Quimicos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nuevos derivados piperidicos del bencimidazol.
AU699559B2 (en) 1993-06-25 1998-12-10 Aventisub Ii Inc. Novel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of antihistaminic piperidine derivatives
ES2124167B1 (es) * 1996-06-04 1999-09-16 Espanola Prod Quimicos Nuevos derivados del bencimidazol con actividad antihistaminica.
GB0018691D0 (en) * 2000-07-28 2000-09-20 Rolabo Sl Process
TW200803855A (en) * 2006-02-24 2008-01-16 Kalypsys Inc Quinolones useful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s
JP5629214B2 (ja) 2008-02-12 2014-11-19 ユーハン・コーポレイションYUHAN Corporation 2−メチル−2′−フェニルプロピオ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される新規な中間体化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448B1 (ko) * 1996-06-04 2005-12-02 화브리까 에스파놀라 데 프로둑또스 뀌미꼬스 이 화르마세우띠꼬스 쏘시에떼 아노님 항히스타민활성을가지는신규한벤조이미다졸유도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 51, pp. 4013-4016, 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33223B2 (en) 2014-01-21
EP2240464A2 (en) 2010-10-20
CN104402773A (zh) 2015-03-11
US20110009636A1 (en) 2011-01-13
EP2240464A4 (en) 2011-09-14
CN101952273B (zh) 2014-11-12
KR20090087424A (ko) 2009-08-17
US8487106B2 (en) 2013-07-16
US8367704B2 (en) 2013-02-05
US20130116439A1 (en) 2013-05-09
WO2009102155A2 (en) 2009-08-20
JP2011511788A (ja) 2011-04-14
US20130116466A1 (en) 2013-05-09
CN101952273A (zh) 2011-01-19
WO2009102155A3 (en) 2009-11-12
JP5629214B2 (ja)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903B1 (ko) 2-메틸-2&#39;-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신규한 중간체 화합물
KR101868166B1 (ko) 트레프로스티닐의 제조
TWI631121B (zh) 製備細胞凋亡誘導劑的方法
AU2018201421B2 (en) Method for preparing 2-amino-n-(2,2,2-trifluoroethyl) acetamide
CA2908244C (en) Process of making prostacyclin compounds with linker thiol and pegylated forms
JP5959117B2 (ja) ビフェニル−2−イルカルバミン酸を調製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20130037079A (ko) 1-(4-(4-(3,4-디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미노)-7-메톡시퀴나졸린-6-일옥시)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염산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중간체
US7528264B2 (en) Hydride reduction process for preparing quinolone intermediates
EP3091007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iperidine compounds
US11130734B2 (en) Amino alcohol-boron-binol complex and method for preparing optically active amino alcohol derivative by using same
WO2011145019A1 (en) Improved process for diphenylpropylamine derivatives
KR101134021B1 (ko) 새로운 중간체를 이용하는 피타바스타틴 헤미칼슘의 신규한 제조방법
KR100928776B1 (ko) (r)-1-[(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 또는 이의 염의제조방법
CN102976949A (zh) 一种2-硝基亚苄基乙酰乙酸甲酯的制备方法
CN111868031B (zh) N-烷氧基羰基哌啶衍生物的制备方法及其中间体
KR101299720B1 (ko) 3-아미노-5-플루오로-4-디알콕시펜탄산 에스테르의 새로운제조방법
US10696633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exofenadine and of intermediates used therein
KR101323664B1 (ko) 몬테루카스트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중간체
JP6158168B2 (ja) 光学活性2−ビニルシクロプロパン−1,1−ジ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JP2011526257A (ja) N−フェニル−n−(4−ピペリジニル)アミド塩の製造方法
JP4556057B2 (ja) 新規なビフェニルオキシ酢酸誘導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20050062944A (ko) 디이소프로필((1-((2-아미노-6-클로로-9h-퓨린-9-일)메틸)사이클로프로필)옥시)-메틸포스포네이트의 새로운 제조방법
KR20120055562A (ko) 피라졸 글리코시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US20150051400A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ethylphenidate hydrochloride and its intermediates thereof
JPH055990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