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926B1 -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926B1
KR101111926B1 KR1020057020954A KR20057020954A KR101111926B1 KR 101111926 B1 KR101111926 B1 KR 101111926B1 KR 1020057020954 A KR1020057020954 A KR 1020057020954A KR 20057020954 A KR20057020954 A KR 20057020954A KR 101111926 B1 KR101111926 B1 KR 101111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nteger
hydrogen atom
copolymer
p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049A (ko
Inventor
가즈노리 가타오카
나오키 가나야마
게이지 이타카
시게토 후쿠시마
아츠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일본국(동경대학장소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본국(동경대학장소관) filed Critical 일본국(동경대학장소관)
Publication of KR2006000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0Alpha-amin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5Polycationic or polyanionic oligopeptides, polypeptides or polyamino acids, e.g. polylysine, polyarginine, polyglutamic acid or peptide 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 A61K47/690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the form being a microemulsion, nanoemulsion or micel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08G8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being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G81/024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 C08G81/028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containing polyamid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Polyether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Polyamid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폴리 (에틸렌글리콜) 세그먼트와 특정한 아민 잔기 1 종 이상을 측쇄에 갖는 폴리 (아미노산 유도체)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공중합체와 폴리뉴클레오티드 등과의 폴리이온 착물도 제공된다. 이들 블록 공중합체는, DNA 를 비롯한 작용 물질의 생체 내 전달용 캐리어로서 유용하다.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

Description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POLYETHYLENE GLYCOL/POLYCATION BLOCK COPOLYMER}
본 발명은, 친수성 세그먼트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구조 부분과 양이온성 세그먼트로서 여러 가지 구조의 아민 잔기 측쇄를 가지는 폴리아미노산 구조 부분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 그리고 그 공중합체와 핵산 또는 음이온성 단백질의 폴리이온 착물에 관한 것이다.
양이온성의 블록 공중합체인 폴리에틸렌글리콜-block-폴리(L-리신) 으로 대표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와 음이온성 고분자는, 수중에서 양자 간에 작용하는 정전 상호 작용을 구동력으로 하여 구형의 미셀을 자발적으로 형성한다. 이 입자는, 입경이 수십 나노미터로, 코어 (또는 내핵) 에 양이온과 음이온의 폴리이온 착물, 쉘 (또는 외각) 에 폴리에틸렌글리콜 (이하, PEG 라고도 한다) 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폴리이온 착물 (PIC) 미셀이라고 불리고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문헌명 등은 후술한다. 이하, 동일). 이렇게, PIC 미셀은 내핵에 음이온성의 고분자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십 나노미터라는 입경과 코어-쉘 구조에 의해 생체의 이물 인식 기구를 회피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천연 음이온성 고분자인 DNA 의 운 반체 (벡터) 로서의 응용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유전자 벡터 개발의 우위성이 명백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검토되고 있는 양이온성의 블록 공중합체는 합성 상의 제한 등과 같은 이유에서 PEG-block-폴리(L-리신), PEG-block-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PEG-block-폴리에틸렌이민에 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PIC 미셀은 생리적 조건 하에서 상당히 안정적이지만,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정맥 주사에 의한 투여 후의 희석에 의해 PIC 미셀이 해리되거나, 혈청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는 등, 생리 조건 하에서의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이 때문에, 확실하게 목적 부위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도달한 후, 일정 기간 해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하도록 PIC 미셀의 성질을 개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PIC 미셀의 성질을 개변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PEG-block-폴리(L-리신) 의 폴리(L-리신)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일정한 비율의 L-리신 단위의 아미노기에 메르캅토알킬기를 도입하고, 그 기 사이에 디술파이드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PIC 미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새로운 타입의 것으로, PEG-block-폴리(β-벤질아스파르테이트) 의 벤질을, 예를 들어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등으로 에스테르-아미드 교환한 공중합체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2 참조).
폴리 양이온과 DNA 에 의해 형성되는 미셀에 있어서 폴리 양이온 블록이 하는 역할은 DNA 와의 정전 상호 작용부로서의 역할이 중심이지만, 그 이외의 기능도 부여하는 것도 원리적으로 가능하다. 그 기능의 하나로서, 프로톤 스폰지 효과가 있다. 프로톤 스폰지 효과란, 프로톤화도가 낮은 폴리아민이 엔도좀 내에 주입되었을 때에, V 형 ATPase 에 의해 엔도좀 내에 공급되는 수소 이온을 차례차례로 흡수하여 엔도좀 내의 pH 의 저하를 방해하고, 그 결과 엔도좀 내의 침투압의 상승에 수반되는 물의 침입에 의해 엔도좀이 팽창하여, 결과적으로 엔도좀의 파괴를 유발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효과에 의해, DNA 의 세포질로의 이행이 촉진되어, 유전자 발현 효율의 상승이 기대된다. 이 효과는 버퍼능을 가지고 있는 양이온에 있어서 관찰되는 효과로서, 이를 위해서는 pKa 가 낮은 양이온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에서, 유전자 발현 효율에는 PIC 미셀의 안정성이나 내포된 DNA 의 응축 상태 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 요인도 폴리 양이온의 성질에 의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는 폴리 양이온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고, 또한 2 종류 이상의 폴리 양이온을 동시에 도입하여 역할을 분담시킨다는 발상도 없었기 때문에, 이들 요인을 컨트롤하기란 매우 어려웠다.
인용문헌의 리스트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98/46655호 팜플렛 (20~21페이지, 실시예 10 및 11 참조)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46556호
비특허문헌 1: Harada and Kataoka, Macromolecules. 1995, 28, 5294-5299
비특허문헌 2: Polymer Preprints, Japan Vol.51. No.5 (2002)
발명의 개시
예를 들어, 상기의 특허문헌 2 및 비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PEG-block-폴리 양이온은 안정적으로 DNA 를 내포한 폴리이온 착물 미셀 (PIC 미셀) 을 형성하지만, DNA 등의 생리 활성 물질을 전달해야 할 생체의 표적 환경 또는 그 환경 하에서의 생리 활성 물질의 PIC 미셀로부터의 최적 방출 속도의 다양성을 고려하면, 한층 더 새로운 특성을 나타내는 PIC 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PEG-block-폴리 양이온 공중합체의 폴리 양이온 세그먼트를 낮은 pKa 의 부피가 큰 측쇄를 갖는 폴리 양이온 세그먼트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공중합체에서는 PIC 미셀에 DNA 가 상당히 응축된 상태로 내포되는 데에 대하여, DNA 가 거의 프리한 상태로 내포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프리 상태에서 내포된 DNA 는, 예를 들어, 그것을 전달해야 할 표적 세포와 생리적 조건에서 접촉한 경우에는, 응축된 상태로 내포된 경우에 대하여 유의하게 늦게 방출되는 것도 발견하였다.
또한, 폴리 양이온 중에 1 급 아민과 2 급 또는 3 급 아민의 양쪽을 함유하는 경우, DNA 와의 회합체(會合體)의 형성에는 1 급 아민이 주로 관여하고 2 급 또는 3 급 아민은 거의 관여하고 있지 않은 것도 발견하여, 더욱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1)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A 세그먼트와, 폴리아미노산 또는 그 유도체 또는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B 세그먼트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로서, B 세그먼트 중에, pKa 값이 7.4 이하인 부피가 큰 아민을 함유하거나, 또는 1 급 아민과 2 급 아민, 3 급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양쪽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특정한 양태로서, (2) 블록 공중합체의 구조가 일반식 (Ⅰ) 또는 (Ⅱ) 또는 그들의 염인 상기 (1) 에 기재된 공중합체:
Figure 112005063497312-pct00001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의 C1 -12 알킬기를 나타내고, L1, L2 는 연결기를 나타내고, R2 는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보호기, 소수성기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R4 는 R5 와 동일하거나 또는 개시제 잔기이고, R5 는 각각 독립하여 수산기, 옥시벤질기, -NH-(CH2)a-X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X 는 각각 독립하여 pKa 값이 7.4 이하인 부피가 큰 아민 화합물 잔기이거나, 또는 1 급, 2 급, 3 급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 중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아민 화합물 잔기이거나, 또는 아민이 아닌 화합물 잔기이고, a 는 1~5 의 정수이고, m 은 5~20,000 의 정수이고, n 은 2~5,000 의 정수이고, x 는 0~5,000 의 정수이지만, x 는 n 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한다) ;
특정한 양태로서, (3) 블록 공중합체의 구조가 일반식 (Ⅲ) 또는 (Ⅳ) 또는 그들의 염인 상기 (1) 에 기재된 공중합체:
Figure 112005063497312-pct00002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의 C1 -12 알킬기를 나타내고, L1, L2 는 연결기를 나타내고, R2 는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보호기, 소수성기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R4 는 R5 와 동일하거나 또는 개시제 잔기이고, R5 는 각각 독립하여 수산기, 옥시벤질기, -NH-(CH2)a-X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X 는 각각 독립하여 pKa 값이 7.4 이하인 부피가 큰 아민 화합물 잔기이거나, 또는 1 급, 2 급, 3 급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 중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아민 화합물 잔기이거나, 또는 아민이 아닌 화합물 잔기이고, a 는 1~5 의 정수이고, R6 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보호기이고, 여기서 보호기란 통상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 사용되고 있는 Z 기, Boc 기, 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등이고, m 은 5~20,000 의 정수이고, n 은 2~5,000 의 정수이고, y 는 0~4,999 의 정수이고, z 는 1~4,999 의 정수이지만, z 는 n 보다 작고, y+z 는 n 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한다) ;
한층 더 특정한 양태로서, (4) R1 이 메틸기인 상기 (2) 또는 (3) 에 기재된 공중합체;
그리고, 더 특정한 양태로서, (5) R1 이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의 C1 -12 알킬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치환기가 아세탈화 포르밀기, 시아노기, 포르밀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C1 -6 알콕시카르보닐기, C2 -7 아실아미드기,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트리 C1 -6 알킬실록시기, 실록시기 또는 실릴아미노기인 상기 (2) 또는 (3) 에 기재된 공중합체 ;
그리고, 더 특정한 양태로서, (6) L1 이 -(CH2)b-NH- 이고, b 가 1~5 의 정수인 상기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 (7) L2 가 -(CH2)c-CO- 이고, c 가 1~5 의 정수인 상기 (2) ;
더욱 특정한 양태로서,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 ;
그리고 한층 더 특정한 양태로서, (8) R2 가 메틸렌기인 상기 (2)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 더욱 특정한 양태로서, (9) X 가 하기의 A, B, C, D 또는 E 군에 나타낸 식으로 표시되는 기인 상기 (2)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 ;
A 군:
Figure 112005063497312-pct00003
B 군:
Figure 112005063497312-pct00004
C 군:
-(CH2)f-NH2
D 군:
-(NR7(CH2)d)e-NHR8, -N(CH3)2 또는 -N(CH2CH3)2
E 군:
Figure 112005063497312-pct00005
(식 중, X2 는 수소 원자 또는 C1 -6 알킬기이고, X3 은 아미노 C1 -6 알킬기를 나타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d 는 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e 는 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f 는 0~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R8 은 보호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보호기란 통상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 사용되고 있는 Z 기, Boc 기, 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등을 나타내고, g 는 0~15 의 정수를 나타낸다) ;
그리고 더욱 특정한 양태로서, (10) R3 이 아세틸기,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인 상기 (2)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 ;
또한 한층 더 특정한 양태로서, (11) R4 가 -NH-R9 이고, 여기서 R9 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의 C1 -20 알킬기를 나타내는 상기 (2)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 ;
별도 양태로서,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와 핵산 또는 음이온성 단백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이온 착물: 보다 특정한 별도의 양태로서, (13) 코어부에 핵산 또는 음이온성 단백질을 담지하고, 그리고 쉘부에 폴리에틸렌글리콜 세그먼트가 주로 존재하는 폴리머 미셀 형태에 있는 상기 (12) 에 기재된 폴리이온 착물, 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PIC 미셀 중의 유전자의 응축 상태, 미셀로부터의 유전자의 방출 속도, 프로톤 스폰지 효과, 미셀의 안정성과 같은 유전자 도입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컨트롤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해 높은 유전자 도입 효율을 갖는 PIC 미셀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유용한 비(非)바이러스성 유전자 벡터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MeO-PEG-MOPA 와 p-DNA 의 여러 가지 N/P 비로 혼화한 용액의 전기 영동 결과 (각각 왼쪽으로부터, N/P 비: 0, 10, 5, 4, 3, 2, 1, 0) 를 나타내는 도면을 대신하는 사진이다 (또, N/P=0 이란, p-DNA 만을 영동한 레인을 가리킨다).
도 2 는, MeO-PEG-DET 와 p-DNA 의 여러 가지 N/P 비로 혼화한 용액의 전기 영동 결과 (각각 왼쪽으로부터, N/P 비: 10, 5, 3, 2, 1, 0.5, 0.25, 0) 를 나타내는 도면을 대신하는 사진이다 (또, N/P=0 이란, p-DNA 만을 영동한 레인을 가리킨다).
도 3 은, 동적 광산란 (DLS) 에 의해 측정된 MeO-PEG-MOPA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MeO-PEG-MOPA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의 입경의 N/P 비 의존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동적 광산란 (DLS) 에 의해 측정된 MeO-PEG-DET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MeO-PEG-DET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의 입경의 N/P 비 의존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MeO-PEG-MOPA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의 제타 전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MeO-PEG-DET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의 제타 전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MeO-PEG-MOPA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의 에티듐브로마이드 분석 (ethidium bromide assay) 의 결과 (10mM Tris-HCl 완충액, pH=7.4)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은, 생리염 농도 조건 하에서의 MeO-PEG-MOPA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의 에티듐브로마이드 분석의 결과 (10mM Tris-HCl 완충액+150mM NaCl, pH=7.4)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MeO-PEG-DET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의 에티듐브로마이드 분석의 결과 (10mM Tris-HCl 완충액, pH=7.4)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는, MeO-PEG-MOPA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 미셀 (N/P=5) 의 293T 세포로의 유전자 도입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각, 4 시간 및 24 시간 인큐베이션에 의한 것이다).
도 13 은, MeO-PEG-DET, MeO-PEG-DMAPA 또는 MeO-PEG-DAP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회합체 미셀 (N/P=10) 의 293T 세포로의 유전자 도입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24 시간 인큐베이션에 의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일반식 (Ⅰ), (Ⅱ), (Ⅲ) 또는 (Ⅳ) 에 있어서,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의 C1 -12 알킬기를 나타내며, C1 -12 알킬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n-헥실, 데실, 운데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된 경우의 치환기로는 아세탈화 포르밀기, 시아노기, 포르밀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C1 -6 알콕시카르보닐기, C2 -7 아실아미드기,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트리-C1 -6 알킬실록시기, 실록시기 또는 실릴아미노기를 들 수 있다. 치환기가 아세탈화 포르밀기일 때에는, 산성의 온화한 조건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다른 치환기인 포르밀기 (-CHO: 또는 알데히드기) 로 전화할 수 있다. 이러한 포르밀기, 또는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노기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는 공중합체와 핵산 또는 음이온성 단백질과의 폴리이온 착물 미셀의 쉘부에 존재할 수 있고, 이들 기를 통하여, 항체 또는 그 특이 결합성을 갖는 단편 (F(ab')2, F(ab), 등) 및 그 밖의 기능성 또는 표적 지향성을 그 미셀에 부여할 수 있는 단백질 등을 그 미셀에 공유 결합시키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능기를 한쪽 말단에 갖는 PEG 세그먼트는, 예를 들어, WO 96/32434, WO 96/33233, WO 97/06202 에 기재된 블록 공중합체의 PEG 세그먼트부의 제조법에 의해서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형성되는 PEG 세그먼트 부분과 폴리 (아미노산 또는 그 유도체) 세그먼트 부분은, 일반식 (Ⅰ), (Ⅱ), (Ⅲ) 또는 (Ⅳ) 의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어떠한 연결 양식도 취할 수 있고, 또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는 한, 어떠한 연결기로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한가지 방법으로서, 말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PEG 유도체를 사용하고, 그 아미노 말단에서, β-벤질-L-아스파르테이트, Nε-Z-L-리신 등의 보호 아미노산의 N-카르복실산 무수물 (NCA) 을 중합시켜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그 후 측쇄를 변환함으로써,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공중합체의 구조는 일반식 (Ⅰ) 또는 (Ⅲ) 이 되고, 연결기 L1 은 사용한 PEG 유도체의 말단 구조에 유래하는 구조가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CH2)b-NH- 이고, 또한 b 는 1~5 의 정수이다.
또, 폴리 (아미노산 또는 그 유도체) 세그먼트 부분을 합성하고 나서 PEG 세그먼트 부분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고, 이 경우 결과적으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것과 동일한 구조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식 (Ⅱ) 또는 (Ⅳ) 의 구조가 되는 경우도 있으며, 연결기 L2 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CH2)c-CO- 이고, 또한 c 는 1~5 의 정수이다.
일반식 (Ⅰ), (Ⅱ), (Ⅲ) 또는 (Ⅳ) 중의 R5 는 각각 독립하여 수산기, 옥시벤질기, -NH-(CH2)a-X 기일 수 있지만, 대부분 (일반적으로는 85%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 -NH-(CH2)a-X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Ⅲ) 또는 (Ⅳ) 중의 R6 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보호기일 수 있지만, 대부분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호기란 통상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 사용되고 있는 Z 기, Boc 기, 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등을 말한다.
X 는 공중합체가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또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5 개 군으로 분류되는 잔기 중에서 선택된다.
즉, A 군: pKa 값이 7.4 이하인 부피가 큰 아민 화합물 잔기:
Figure 112005063497312-pct00006
; B 군: 1 급 아민과 2 급 아민, 3 급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양쪽을 함유하는 아민 화합물 잔기:
Figure 112005063497312-pct00007
; C 군: 1 급 아민만을 함유하는 아민 화합물 잔기:
-(CH2)f-NH2
; D 군: 2 급 아민, 3 급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만을 함유하는 아민 화합물 잔기로 A 군에 포함되지 않는 것:
-(NR7(CH2)d)e-NHR8, -N(CH3)2 또는 -N(CH2CH3)2
; E 군: 아민이 아닌 화합물 잔기:
Figure 112005063497312-pct00008
이다.
일반식 (Ⅰ) 또는 (Ⅱ) 의 공중합체의 경우, A 군 및 B 군의 잔기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하나의 잔기만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되고, C 군은 A 군 및 D 군의 잔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잔기를 동시에 함유해야 하고, D 군은 B 군 및 C 군의 잔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잔기를 동시에 함유해야 한다. 또한 E 군은 공중합체의 물성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함유시킬 수 있지만, E 군을 제외한 부분으로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어야 한다. 일반식 (Ⅲ) 또는 (Ⅳ) 의 공중 합체의 경우, R6 의 적어도 1 개 이상이 수소 원자이면, A 군, B 군 및 D 군의 잔기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하나의 잔기만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C 군 및 E 군은 상기 조건과 동일하다.
각각의 군에 관해서 바람직한 잔기의 예를 식으로 나타낸다. 식 중, A 군에서 X2 는 수소 원자 또는 C1 -6 알킬기이고, B 군에서 X3 은 아미노 C1 -6 알킬기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d, e 는 모두 1~5 의 정수이고, C 군에서 f 는 0 내지 15 의 정수이고, D 군에서 d, e 는 모두 1~5 의 정수이고, R8 은 Z 기, Boc 기, 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등의 보호기이고, E 군에서 g 는 0~15 의 정수일 수 있다.
폴리아미노산 구조의 측쇄에 이들 잔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 특히 폴리아스파라긴산 구조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2777530호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β-벤질-L-아스파르테이트) 부분의 아미놀리시스에 의한 에스테르에서 아미드에 대한 교환 반응에 의해 적절히 제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벤질에스테르를 접촉 환원, 산, 알칼리 등에 의해 가수분해하여 폴리아스파라긴산 또는 폴리글루타민산으로 변환한 후, 축합제 등을 사용하여 이들 잔기를 갖는 화합물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양이온 측쇄는 염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 염을 형성하는 쌍이 온으로는 Cl-, Br-, I-, (1/2SO4)-, NO3 -, (1/2CO3)-, (1/3PO4)-,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Ⅰ), (Ⅱ), (Ⅲ) 또는 (Ⅳ) 에서의 R2 는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를 나타내지만, 메틸렌기의 경우는 폴리 (아스파라긴산 유도체), 에틸렌기의 경우는 폴리 (글루타민산 유도체) 에 상당한다. 이들 일반식 중, R2 가 메틸렌기 및 에틸렌기의 양자를 나타내는 경우, 아스파라긴산 유도체 및 글루타민산 유도체의 반복 단위는, 각각 블록을 형성하여 존재하거나 또는 랜덤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일반식 (Ⅰ) 또는 (Ⅲ) 에서의 R3 은 수소 원자, 보호기, 소수성기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내지만, 보호기로는 C1 -6 알킬카르보닐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틸기이다. 소수성기로는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피렌 등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중합성기로는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기를 들 수 있고, 이러한 중합성기를 일반식 (Ⅰ) 또는 (Ⅲ) 의 공중합체가 갖는 경우에는 이들 공중합체는 소위 마크로머(macromer)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IC 미셀을 형성한 후, 필요에 따라 다른 코모노머를 사용하여 이들 중합성기를 통해 가교시킬 수도 있다.
이들 보호기, 소수성기, 중합성기를 공중합체의 말단에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산할로겐화물을 사용하는 방법, 산무수물을 사용하는 방법, 활성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방법 등, 통상적인 합성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법을 들 수 있다.
일반식 (Ⅱ) 또는 (Ⅳ) 에 있어서의 R4 는 R5 와 마찬가지로 수산기, 옥시벤질기, -NH-(CH2)a-X 기일 수 있지만, 저분자의 개시제를 사용하여 보호 아미노산의 NCA 를 중합시켜 폴리 (아미노산 또는 그 유도체) 세그먼트를 합성한 다음 PEG 세그먼트와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사용한 개시제에 유래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NH-R9 이고, R9 가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의 C1 -20 알킬기이다.
PEG 세그먼트의 사슬 길이 및 폴리 (아미노산 또는 그 유도체) 세그먼트의 사슬 길이를 규정하는 m 및 n 은, 각각 5~20,000 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0~5,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500, 및 2~5,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00 이지만, 일반식 (Ⅰ), (Ⅱ), (Ⅲ) 또는 (Ⅳ) 의 공중합체가 핵산 또는 음이온성 단백질과 PIC 미셀을 형성는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 양이온 등으로 칭하고 있지만, 「폴리」라는 단어에는 소위 「올리고」로 분류되는 것도 포함되는 개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폴리 (아미노산 또는 그 유도체) 세그먼트의 구성 비율을 규정하는 x, y, z 는, 각각 0~5,000 의 정수 (단 n 보다 크지 않다), 0~4,999 의 정수, 1~4,999 의 정수 (단 z 는 n 보다 작고, y+z 는 n 보다 크지 않다) 이며, z 는 10~ n-10 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각 구성 성분은 랜덤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나 블록형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이나 어느 쪽도 가능하다.
일반식 (Ⅰ), (Ⅱ), (Ⅲ) 또는 (Ⅳ) 로 나타내는 공중합체는, 핵산, 예를 들어, 공지의 유전자 치료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유전자 또는 치료상 필요한 단백질을 코드하는 유전자, 이러한 유전자를 함유하는 플라스미드 등의 DNA 단편, RNA 단편, 안티센스 DNA 등, 또는 음이온성 (특히 생리적 pH 에 있어서 음이온에 하전할 수 있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 과 수성 매체 (수혼화성의 유기 용매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중, 실온 하에 교반함으로써, 공중합체의 폴리 양이온부와 예를 들어 핵산과의 폴리이온 착물을 코어부로 하고, PEG 층을 쉘부로 하는 PIC 미셀을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PIC 또는 PIC 미셀 그 자체도 제공된다.
이하,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예는 설명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벤질-L-아스파르테이트)-Ac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한쪽 말단이 메톡시, 다른쪽 말단이 아미노프로필이고 평균 분자량이 12,000 인 폴리에틸렌글리콜 (MeO-PEG-NH2) 을 염화메틸렌에 용해하고, β-벤질-L-아스파르테이트-N-카르복실산 무수물 (BLA-NCA)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와 염화메 틸렌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여 첨가하고, 40℃ 에서 2 일간 반응시켜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벤질-L-아스파르테이트) 블록 공중합체 (MeO-PEG-PBLA) 를 얻고, 다시 무수아세트산에 의해 N 말단의 아세틸화를 실시하여, MeO-PEG-PBLA-Ac 를 얻었다.
1H-NMR 에 의한 해석으로부터, PBLA 부분의 평균 분자량은 14,000, 중합도는 68 이었다.
실시예 2: 모르폴리노프로필아민에 의한 아미놀리시스에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Figure 112005063497312-pct00009
[상기 식 중, R=
Figure 112005063497312-pct00010
]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MeO-PEG-PBLA-Ac 를 벤젠에 용해하여 동결 건조시켰다. 또한 모르폴리노프로필아민을, 수소화칼슘을 건조제로 하여 감압 증류하였다.
MeO-PEG-PBLA-Ac 를 건조 DMF 에 용해하고, PBLA 유닛에 대하여 10 배량의 모르폴리노프로필아민을 첨가하여, 아르곤 분위기 하, 40℃ 에서 24 시간 교반하였 다. 24 시간 후, 반응 용액을 10% 아세트산 수용액에 적하하고, 이것을 분획 분자량 3,500 의 투석막으로 0.01N-염산 수용액에 대하여 투석하여, 투석막 내 액을 증발시키고,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백색 고체의 목적물 (MeO-PEG-MOPA) 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의 구조는, 1H-NMR 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MeO-PEG-PBLA-Ac 의 벤질기에 귀속되는 피크가 완전히 소실되고, 새롭게 아미드 형성에 유래하는 프로톤 시그널이 확인되었다. 적분치로부터, 고분자 측쇄의 아미놀리시스가 거의 정량적으로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디에틸렌트리아민에 의한 아미놀리시스에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식 중, R=
Figure 112005063497312-pct00011
]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MeO-PEG-PBLA-Ac 를 벤젠에 용해하여 동결 건조시켰다. 또한 디에틸렌트리아민을, 수소화칼슘을 건조제로 하여 감압 증류하였다.
MeO-PEG-PBLA-Ac 를 건조 DMF 에 용해하고, PBLA 유닛에 대하여 50 배량의 디에틸렌트리아민을 첨가하여, 아르곤 분위기 하, 40℃ 에서 24 시간 교반하였다. 24 시간 후, 반응 용액을 10% 아세트산 수용액에 적하하고, 이것을 분획 분자량 3,500 의 투석막으로 0.01N-염산 수용액에 대하여 투석하여, 투석막 내 액을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백색 고체의 목적물 (MeO-PEG-DET) 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의 구조는, 1H-NMR 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MeO-PEG-PBLA-Ac 의 벤질기에 귀속되는 피크가 완전히 소실되고, 새롭게 아미드 형성에 유래하는 프로톤 시그널이 확인되었다. 적분치로부터, 고분자 측쇄의 아미놀리시스가 거의 정량적으로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N,N-디메틸프로필아민에 의한 아미놀리시스에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식 중, R=
Figure 112005063497312-pct00012
]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MeO-PEG-PBLA-Ac 를 벤젠에 용해하여 동결 건조시켰다. 또한 N,N-디메틸프로필아민을, 수소화칼슘을 건조제로 하여 감압 증류하였다.
MeO-PEG-PBLA-Ac 를 건조 DMF 에 용해하고, PBLA 유닛에 대하여 10 배량의 N,N-디메틸프로필아민을 첨가하여, 아르곤 분위기 하, 40℃ 에서 24 시간 교반하였다. 24 시간 후, 반응 용액을 10% 아세트산 수용액에 적하하고, 이것을 분획 분자량 3,500 의 투석막으로 0.01N-염산 수용액에 대하여 투석하여, 투석막 내 액을 증발시키고,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백색 고체의 목적물 (MeO-PEG-DMAPA) 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의 구조는, 1H-NMR 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MeO-PEG-PBLA-Ac 의 벤질기에 귀속되는 피크가 완전히 소실되고, 새롭게 아미드 형성에 유래하는 프로톤 시그널이 확인되었다. 적분치로부터, 고분자 측쇄의 아미놀리시스가 거의 정량적으로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
디아미노프로판에 의한 아미놀리시스에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식 중, R=
Figure 112005063497312-pct00013
]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MeO-PEG-PBLA-Ac 를 벤젠에 용해하여 동결 건조시켰다. 또한 디아미노프로판을, 수소화칼슘을 건조제로 하여 감압 증류하였다.
MeO-PEG-PBLA-Ac 를 건조 DMF 에 용해하고, PBLA 유닛에 대하여 50 배량의 디아미노프로판을 첨가하여, 아르곤 분위기 하, 40℃ 에서 24 시간 교반하였다. 24 시간 후, 반응 용액을 10% 아세트산 수용액에 적하하고, 이것을 분획 분자량 3,500 의 투석막으로 0.01N-염산 수용액에 대하여 투석하여, 투석막 내 액을 증발시키고,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백색 고체의 목적물 (MeO-PEG-DAP) 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의 구조는, 1H-NMR 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MeO-PEG-PBLA-Ac 의 벤질기에 귀속되는 피크가 완전히 소실되고, 새롭게 아미드 형성에 유래하는 프로톤 시그널이 확인되었다. 적분치로부터, 고분자 측쇄의 아미놀리시스가 거의 정량적으로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블록 공중합체와 플라스미드 DNA 에 의한 PIC 미셀의 조제
루시페라제를 코드한 플라스미드 DNA (p-DNA, pGL3-Luc) 는 키아겐사의 Maxi kit 에 의해 정제하고, 50㎍/㎖ 가 되도록 트리스-염산 완충액 (10mM, pH=7.4) 으로 용액 조제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또는 비교예 2 에서 제작한 공중합체 용액 (트리스-염산 완충액 (10mM, pH=7.4)) 과 p-DNA 용액을 각 N/P 비를 만족하도록 혼화하고, 이 용액을 실온 어두운 곳에서 하룻밤 정치하였다. 용액은 투명하고, 응집체, 침전의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 N/P 비란 [블록 공중합체 중의 양이온 잔기의 농도]/[p-DNA 중의 인산기 농도] 이지만, 실시예 3 에서 제작한 MeO-PEG-DET 에 한하여 1 급 아미노기만의 농도로 계산하고 있다.
실시예 5: 전기 영동에 의한 캐릭터리제이션
0.9wt% 의 아갈로스겔을 조제하고, p-DNA 농도=0.17㎍/lane, 영동 버퍼는 트리스-염산 완충액 (3.3mM, pH=7.4) 을 사용하여, 인가 전압 50V, 영동 시간 2 시간의 조건으로 영동하였다. 종료 후, 에티듐브로마이드 용액 (0.5㎎/ℓ) 으로 1 시간 염색하였다.
도 1 에 MeO-PEG-MOPA 와 p-DNA 의 혼합 용액의 결과를, 도 2 에 MeO-PEG-DET 와 p-DNA 의 혼합 용액의 결과를 나타낸다. 모두 N/P 비>1 에 있어서 프리한 p-DNA 에 기인하는 밴드는 소실되어 있어, PIC 미셀이 형성되었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N/P 비의 정의 방식에서 생각할 때, MeO-PEG-DET 에서는 회합체의 형성에는 블록 공중합체 중의 1 급 아민이 주로 관여하고, 2 급 아민은 거의 관여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회합체 중에서는 2 급 아민이 탈프로톤 상태에서 계 중에 잔류하고 있어, 버퍼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6: 동적 광산란법 (DLS) 에 의한 캐릭터리제이션
입경을 동적 광산란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6 에 나타낸다. 도 3, 4 는 MeO-PEG-MOPA 와 p-DNA 의 혼합 용액에 관한 결과이고, 도 5, 6 은 MeO-PEG-DET 와 p-DNA 의 혼합 용액에 관한 결과이다. 도 3, 5 는 N/P 비가 1 일 때의 입도 분포의 도면이고, 도 4, 6 은 여러 가지 N/P 비에 있어서의 입경 측정의 결과이다. 이들 결과로부터, 모든 계가 입경이 80~100나노미터의 단봉성(單峰性) 회합체 입자를 형성하고 있어, N/P 비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한 입경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제타 전위 측정에 의한 캐릭터리제이션
제타 전위의 측정 결과를 도 7, 8 에 나타낸다. 도 7 은 MeO-PEG-MOPA 와 p-DNA 의 혼합 용액에 관한 결과이고, 도 8 은 MeO-PEG-DET 와 p-DNA 의 혼합 용액에 관한 결과이다. 모든 계가, N/P 비의 상승에 동반하여 약간 정(正)의 전하를 띠는 경향이 관찰되지만, 절대치는 매우 작아 거의 0mV 에 가까운 제타 전위를 나타내었다.
이는 형성된 회합체 입자의 표면이 전기적으로 중성에 가깝다는 것으로, 표면에 PEG 층을 갖고, 내핵에 폴리이온 착물을 갖는 코어-쉘형의 미셀 구조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 8: 에티듐브로마이드 분석에 의한 캐릭터리제이션
PIC 미셀 내부의 p-DNA 의 응축 정도를, 에티듐브로마이드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590㎚ 의 형광 강도는, 미셀 내부의 p-DNA 의 응축 정도를 반영하고 있다. 즉, 형광 강도가 높을수록 p-DNA 는 완화된 (프리한) 상태이고, 형광 강도가 낮을수록 응축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플롯에 있어서는, 소정 농도의 p-DNA 에 에티듐브로마이드를 첨가했을 때의 590㎚ 의 형광 강도를 100 으로 규격화하여, 그것에 대한 상대 강도로서 플롯하고 있다.
MeO-PEG-MOPA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미셀에 관한 측정 결과를 도 9 에 나타낸다. N/P 비의 상승에 동반하여 형광 강도가 약간 감소해가는 경향이 관찰되지만, N/P=10 에서도 약 70 이라는 값을 나타내었다. 종래 연구되어 온 블록 공중합체와 비교하여 이 값은 대단히 높은 값이다 (통상, 폴리리신 등의 DNA 를 효율적으로 응축시키는 폴리 양이온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대 형광 강도는 N/P>1 에서 5 정도까지 감소한다).
또한, 생리적 농도 (150mM) 의 식염을 첨가한 계에서 동일하게 측정한 결과를 도 10 에 나타낸다. 상대 형광 강도는 더욱 100 에 근접하여, 미셀 내의 p-DNA 가 프리 p-DNA 와 거의 같은 정도까지 완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배양 세포, 생체 내에 미셀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도 9 보다도 도 10 에 나타낸 결과의 상태인 쪽이 보다 가까운 조건인 것으로 생각된다.
MeO-PEG-DET 와 p-DNA 로 이루어지는 미셀에 관한 측정 결과를 도 11 에 나타낸다. N/P 비가 0~2 까지의 사이에는, N/P 비의 상승에 동반하여 급격한 형광 강도의 감소가 관찰되고, N/P 비가 2~10 의 사이에서도 완만하게 형광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9: 유전자 도입 효율의 평가
N/P=5 로 MeO-PEG-MOPA 와 p-DNA 의 미셀을 조제하고, 이것을 배양 세포 (293T 세포) 와 일정 시간 접촉시킨 후, 배지를 교환하여, 다시 24 시간 배양한 후, 루시페라제 분석, 단백질의 정량에 의해 유전자 도입 효율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도 12 에 나타낸다. 미셀과 세포의 접촉 시간이 4 시간인 경우와 24 시간인 경우를 비교하면, 접촉 시간의 연장에 의해 비약적으로 유전자 도입 효율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미셀 중에 내포된 유전자의 방출 속도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MeO-PEG-DET 에 대해서는, 비교예 1, 2 에서 제작한 MeO-PEG-DMAPA 및 MeO-PEG-DAP 를 비교 대조 시료로 하여 평가하였다. MeO-PEG-DET 는 1 급 아민과 2 급 아민을 동시에 갖는 것, MeO-PEG-DMAPA 는 3 급 아민만을 갖는 것, MeO-PEG-DAP 는 1 급 아민만을 갖는 것이다. 3 종류의 공중합체 각각과 p-DNA 의 미셀을 N/P=10 로 조제하고, 이들을 배양 세포 (293T 세포) 와 24 시간 접촉시킨 다음, 배지를 교환하여, 다시 24 시간 배양한 후, 루시페라제 분석, 단백질의 정량에 의해 유전자 발현 효율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도 13 에 나타낸다. MeO-PEG-DET 는 다른 2 종류의 공중합체에 비해 높은 유전자 도입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착물 형성에 관여하는 아민 (1 급) 과 버퍼능의 발휘가 기대되는 아민 (2급) 을 하나의 공중합체 중에 도입함으로써, 세포 내에 주입된 PIC 미셀에 내포된 P-DNA 의 세포질로의 이행이, 프로톤 스폰지 효과에 의해 촉진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유전자 도입 효율을 갖는 PIC 미셀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유용한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벡터의 제공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료 산업에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3)

  1. 하기 일반식 (Ⅰ) 또는 (Ⅱ) 로 나타내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염:
    Figure 112011035522036-pct00032
    상기 식 중,
    m 은 5~20,000 의 정수이고,
    n 은 2~5,000 의 정수이고,
    x 는 0~5,000 의 정수이지만, 단, x 는 n 보다 크지 않고,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의 C1-12 알킬기를 나타내고,
    L1, L2 는 연결기를 나타내고,
    R2 는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보호기, 소수성기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R4 는 R5 와 동일하거나 또는 개시제 잔기이고,
    R5 는 각각 독립하여 수산기, 옥시벤질기 또는 -NH-(CH2)a-X 기를 나타내고, 단, R5 의 85% 이상이 -NH-(CH2)a-X 기이고, X 는 각각 독립하여 하기로 표시된다:
    Figure 112011035522036-pct00033
    ,
    Figure 112011035522036-pct00034
    , -(NR7)(CH2)d)e-NH2, -(CH2)f-NH2, -(NR7(CH2)d)e-NHR8, -N(CH3)2 또는 -N(CH2CH3)2
    (상기 식 중,
    a 는 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X2 는 수소 원자 또는 C1-6 알킬기이고,
    X3 은 아미노 C1-6 알킬기를 나타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d 는 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e 는 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f 는 0~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R8 은 Boc 기, 아세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를 나타낸다).
  2. 하기 일반식 (Ⅲ) 또는 (Ⅳ) 로 나타내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염:
    Figure 112011035522036-pct00035
    상기 식 중,
    m 은 5~20,000 의 정수이고,
    n 은 2~5,000 의 정수이고,
    x 는 0~5,000 의 정수이지만, 단, x 는 n 보다 크지 않고,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의 C1-12 알킬기를 나타내고,
    L1, L2 는 연결기를 나타내고,
    R2 는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보호기, 소수성기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R4 는 R5 와 동일하거나 또는 개시제 잔기이고,
    R5 는 각각 독립하여 수산기, 옥시벤질기 또는 -NH-(CH2)a-X 기를 나타내고, 단, R5 의 85% 이상이 -NH-(CH2)a-X 기이고, X 는 각각 독립하여 하기로 표시되고:
    Figure 112011035522036-pct00036
    ,
    Figure 112011035522036-pct00037
    , -(NR7)(CH2)d)e-NH2, -(CH2)f-NH2, -(NR7(CH2)d)e-NHR8, -N(CH3)2 또는 -N(CH2CH3)2
    (상기 식 중,
    a 는 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X2 는 수소 원자 또는 C1-6 알킬기이고,
    X3 은 아미노 C1-6 알킬기를 나타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d 는 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e 는 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f 는 0~15 의 정수를 나타내고,
    R8 은 Boc 기, 아세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R6 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Boc 기, 아세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를 나타낸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1 이 메틸기인 공중합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1 이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 C1-12 알킬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치환기가 아세탈화 포르밀기, 시아노기, 포르밀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C2-7 아실아미드기,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트리 C1-6 알킬실록시기, 실록시기 또는 실릴아미노기인 공중합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L1 이 -(CH2)b-NH- 이고, b 가 1~5 의 정수인 공중합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L2 가 -(CH2)c-CO- 이고, c 가 1~5 의 정수인 공중합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2 가 메틸렌기인 공중합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3 이 아세틸기,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인 공중합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4 가 -NH-R9 이고, 여기서 R9 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의 C1-20 알킬기를 나타내는 공중합체.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와 핵산 또는 음이온성 단백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이온 착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코어부에 핵산 또는 음이온성 단백질을 담지하고, 그리고 쉘부에 폴리에틸렌글리콜 세그먼트가 주로 존재하는 폴리머 미셀 형태에 있는 폴리이온 착물.
  12. 삭제
  13. 삭제
KR1020057020954A 2003-05-08 2004-05-07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 KR101111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0520 2003-05-08
JPJP-P-2003-00130520 2003-05-08
JP2003315858A JP4535229B2 (ja) 2003-05-08 2003-09-08 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ポリカチオンブロック共重合体
JPJP-P-2003-00315858 2003-09-08
PCT/JP2004/006488 WO2004099287A1 (ja) 2003-05-08 2004-05-07 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ポリカチオンブロック共重合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049A KR20060007049A (ko) 2006-01-23
KR101111926B1 true KR101111926B1 (ko) 2012-02-17

Family

ID=3343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954A KR101111926B1 (ko) 2003-05-08 2004-05-07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780957B2 (ko)
EP (1) EP1621569B1 (ko)
JP (1) JP4535229B2 (ko)
KR (1) KR101111926B1 (ko)
AU (1) AU2004236542B2 (ko)
CA (1) CA2524907C (ko)
WO (1) WO2004099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8084A1 (ja) * 2004-02-13 2005-08-25 Toudai Tlo, Ltd. 2本鎖オリゴ核酸を担持したポリイオンコンプレ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法とそれを含む医薬組成物
NZ556290A (en) * 2005-01-04 2010-11-26 Intezyne Technologies Inc Synthesis of hybrid block copolymers and uses thereof
EP1859812B1 (en) * 2005-02-10 2014-01-01 The University of Tokyo Polycation chargeable polymer and use as carrier of nucleic acid
US20110124840A1 (en) * 2005-02-11 2011-05-26 Kurt Breitenkamp Synthesis of Homopolymers and Block Copolymers
KR101288729B1 (ko) * 2005-04-01 2013-07-23 인터자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약물 전달용 중합체성 마이셀
EP1878766B1 (en) * 2005-05-02 2020-01-01 The University of Tokyo Electrostatic bonding type polymer vesicle
KR20080064827A (ko) 2005-10-05 2008-07-09 도쿄 씨알오 가부시키가이샤 생체 적합성 블록 공중합체, 그 용도 및 제조법
WO2007099660A1 (ja) * 2006-03-01 2007-09-07 The University Of Tokyo 核酸内包高分子ミセル複合体
JP5277440B2 (ja) * 2006-03-01 2013-08-28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核酸内包高分子ミセル複合体
JPWO2007126110A1 (ja) * 2006-04-24 2009-09-17 ナノキャリア株式会社 低分子薬物内包ポリマーミセルの製造方法
JP5294858B2 (ja) * 2006-07-18 2013-09-18 ナノキャリア株式会社 生理活性ポリペプチドまたはタンパク質内包高分子ポリマーミ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08245404B2 (en) * 2007-04-30 2013-12-05 Intezyne Technologies, Inc. Hybrid block copolymer micelles with mixed stereochemistry for encapsulation of hydrophobic agents
RU2526904C2 (ru) * 2007-05-11 2014-08-27 Дзе Борд Оф Риджентс Оф Дзе Юнивёрсити Оф Небраска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доставки белков и методы их применения
KR100941774B1 (ko) * 2007-09-06 2010-02-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안전성이 우수한 온도 및 피에치 민감성 블록공중합체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
KR101564796B1 (ko) 2008-03-10 2015-10-30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비하전성 친수성 블록 및 측사슬의 일부에 소수성 기가 도입된 카티온성 폴리아미노산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그 사용
US20090232762A1 (en) * 2008-03-11 2009-09-17 May Pang Xiong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WO2009140423A2 (en) * 2008-05-13 2009-11-19 University Of Washington Targeted polymer bioconjugates
ES2404136T3 (es) 2008-05-13 2013-05-24 University Of Washington Ensamblajes micelares
KR20110026424A (ko) * 2008-05-13 2011-03-15 유니버시티 오브 워싱톤 중합체 캐리어
BRPI0912159B8 (pt) * 2008-05-13 2021-05-25 Phaserx Inc copolímero compreendendo um primeiro bloco que compreende uma unidade hidrofílica em ph fisiológico e um segundo bloco que compreende grupos hidrofóbicos, e uso do dito copolímero para liberação intracelular de um polinucleotídeo
WO2009140432A2 (en) * 2008-05-13 2009-11-19 University Of Washington Micelles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WO2010021770A1 (en) 2008-08-22 2010-02-25 University Of Washington Heterogeneous polymeric micelles for intracellular delivery
JP5766611B2 (ja) 2008-11-06 2015-08-19 ユニヴァーシティ オブ ワシントン マルチブロック共重合体
US8822213B2 (en) 2008-11-06 2014-09-02 University Of Washington Bispecific intracellular delivery vehicles
JP2012511053A (ja) 2008-12-08 2012-05-17 ユニヴァーシティ オブ ワシントン オメガ機能性化ポリマー、ジャンクション機能性化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ラジカル連鎖延長重合
JP4582821B2 (ja) * 2009-02-13 2010-11-17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カチオン性のポリ(アミノ酸)およびその使用
WO2010098265A1 (ja) * 2009-02-27 2010-09-02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プロテアソームインヒビター内包高分子ミセル
WO2010100781A1 (ja) * 2009-03-06 2010-09-10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核酸デリバリー用組成物
US9051354B2 (en) 2009-03-17 2015-06-09 The University Of Tokyo Protein charge regulator and protein-encapsulating polymer micelle complex
WO2010110455A1 (ja) 2009-03-27 2010-09-30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疎水化ポリアミノ酸からなるポリイオンコンプレックスとその用途
JP5804453B2 (ja) 2009-05-14 2015-11-04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結晶性ポリオール微粒子及びその調製方法
WO2011002077A1 (ja) * 2009-07-02 2011-01-06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高分子ミセル内包TNF-α遺伝子治療剤
JP5463531B2 (ja) * 2009-07-22 2014-04-09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Phd2発現抑制物質搭載ポリイオンコンプレックス
EP2480207B1 (en) 2009-09-25 2016-11-0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icelle encapsulation of therapeutic agents
WO2011062965A2 (en) 2009-11-18 2011-05-26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Targeting monomers and polymers having targeting blocks
US20110142886A1 (en) * 2009-12-01 2011-06-16 Intezyne Technologies, Incorporated Pegylated polyplexes for polynucleotide delivery
JP4655298B1 (ja) * 2010-02-23 2011-03-23 ナノキャリア株式会社 短鎖のカチオン性ポリアミノ酸およびその使用
WO2011113065A2 (en) * 2010-03-12 2011-09-15 Intezyne Technologies, Incorporated Pegylated polyplexes for polynucleotide delivery
EP2591792B1 (en) * 2010-07-09 2016-12-21 The University of Tokyo Composition for nucleic acid delivery, carrier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ing the composition for nucleic acid delivery or the carri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nucleic acid
WO2012138730A1 (en) 2011-04-04 2012-10-11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Drug delivery compositions and methods
US9808480B2 (en) 2012-04-27 2017-11-07 Nanocarrier Co., Ltd. Unit structure-typ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nucleic acid delivery
CN105579584B (zh) 2013-06-28 2020-08-28 埃泽瑞斯公司 用于将rna引入细胞的组合物
AU2014296278C1 (en) 2013-07-30 2023-02-02 Genevant Sciences Gmbh Block copolymers and their conjugates or complexes with oligonucleotides
EP3106177B1 (en) 2014-02-12 2022-07-27 NanoCarrier Co., Ltd. Polyion complex comprising mrna for therapy
CN104856950A (zh) * 2014-02-25 2015-08-26 苏州雷纳药物研发有限公司 一种紫杉醇胶束载药系统及其制备方法
AU2014384269A1 (en) 2014-02-26 2016-09-08 Ethris Gmbh Compositions for gastrointestinal administration of RNA
JP2016014074A (ja) * 2014-06-19 2016-01-28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プログラム可能なナノロボットに添付されたセンサ、分子機械及びコントローラ
EP3034539A1 (en) 2014-12-19 2016-06-22 Ethris GmbH Compositions for introducing nucleic acid into cells
CA2974503A1 (en) 2015-01-21 2016-07-28 Phaserx, Inc. Methods, compositions, and systems for delivering therapeutic and diagnostic agents into cells
US20190008980A1 (en) 2015-07-31 2019-01-10 Accurna, Inc. Polyion complex capable of efficiently delivering mrna into living body, and drug and method for treating arthropathy in which said complex is used
JP6965248B2 (ja) * 2016-08-23 2021-11-10 公益財団法人川崎市産業振興財団 ポリマー、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薬物複合体
EP3562510A4 (en) 2016-12-30 2021-01-06 Genevant Sciences GmbH BRANCHED PEG MOLECULES AND ASSOCIATED COMPOSITIONS AND PROCEDURES
JP6644326B2 (ja) * 2017-08-31 2020-02-12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核酸搭載ユニット型ポリイオンコンプレックス
JPWO2021075567A1 (ko) 2019-10-17 2021-04-22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556A (ja) * 1999-11-19 2001-05-29 Nano Career Kk コア−シェル構造のポリイオンコンプレックスミセ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81106A (ko) * 1961-07-18
JP2626654B2 (ja) * 1990-03-31 1997-07-02 科学技術振興事業団 標的指向性高分子医薬化合物及びその中間体
JPH05117385A (ja) * 1991-10-31 1993-05-14 Res Dev Corp Of Japan ブロツク共重合体の製造法、ブロツク共重合体及び水溶性高分子抗癌剤
JP3268913B2 (ja) * 1992-10-27 2002-03-25 日本化薬株式会社 高分子担体
EP1203784B1 (en) * 1999-05-19 2008-12-10 Nof Corporation Polymer, in vivo degradable material, and use
EP1063254A1 (de) 1999-06-25 2000-12-27 Technische Uni München, Klinikum rechts der Isar, Inst. für Experiment. Onkoligie und Therapieforschung Copolymere für den Transport von Nukleinsäuren in die Zelle
JP2001120268A (ja) * 1999-10-20 2001-05-08 Hisamitsu Pharmaceut Co Inc ポリペプチドおよび組換えウイルスベクターを含む核酸運搬体
JP3523821B2 (ja) 2000-02-09 2004-04-26 ナノキャリア株式会社 薬物が封入されたポリマーミセルの製造方法および該ポリマーミセル組成物
TWI321054B (en) * 2000-12-19 2010-03-01 California Inst Of Techn Compositions containing inclusion complexes
JP4462928B2 (ja) * 2001-06-20 2010-05-12 日本化薬株式会社 不純物含有量の低減したブロック共重合体、高分子担体及び高分子医薬製剤並びに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556A (ja) * 1999-11-19 2001-05-29 Nano Career Kk コア−シェル構造のポリイオンコンプレックスミセ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1569B1 (en) 2012-09-19
US8318205B2 (en) 2012-11-27
AU2004236542A1 (en) 2004-11-18
AU2004236542B2 (en) 2009-02-26
US7780957B2 (en) 2010-08-24
CA2524907C (en) 2012-01-31
US20070059271A1 (en) 2007-03-15
JP2004352972A (ja) 2004-12-16
EP1621569A4 (en) 2008-04-02
WO2004099287A1 (ja) 2004-11-18
EP1621569A1 (en) 2006-02-01
KR20060007049A (ko) 2006-01-23
CA2524907A1 (en) 2004-11-18
US20100137512A1 (en) 2010-06-03
JP4535229B2 (ja)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926B1 (ko)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 양이온 블록 공중합체
KR100839900B1 (ko) 정전결합형 고분자 미셀 약물담체에 하전성 약물을 담지시키는 방법
US20070231392A1 (en) CHEMICALLY MODIFIED POLYCATION POLYMER FOR siRNA DELIVERY
EP1503802B1 (en) Controllably degradable polymeric biomolecule or drug carrier and method of synthesizing said carrier
EP2272897B1 (en) Copolymer including uncharged hydrophilic block and cationic polyamino acid block having lateral chain to which hydrophobic radical is partially introduced, and use of copolymer
Alavi et al. Hyperbranched–dendrimer architectural copolymer gene delivery using hyperbranched PEI conjugated to poly (propyleneimine) dendrimer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ransfection efficiency
JP5271715B2 (ja) ジスルフィド架橋高分子ミセルを用いた環境応答性siRNAキャリア
US20090258416A1 (en) Polymer micelle complex including nucleic acid
Huang et al. Polypeptide–poly (ethylene glycol) miktoarm star copolymers with a fluorescently labeled core: Synthesis, delivery and imaging of siRNA
JPWO2005078084A1 (ja) 2本鎖オリゴ核酸を担持したポリイオンコンプレ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法とそれを含む医薬組成物
Tsutsumiuchi et al. Ion complex formation between poly (amido amine) dendrimer HCl salt and poly (L-glutamic acid) sodium salt
Ahn et al. Polyethylenimine-poly (amidoamine) dendrimer modified with l-arginines as an efficient gene delivery vector
JP2012060997A (ja) 遺伝子導入用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WO2023227724A1 (en) Star-shaped graft copolymers
Si et al. Thiourea Functionalization Enhances Transfection of Bioreducible Poly (amido amine) s as Gene Vectors under Serum Conditions
Coué et al. Novel thermo-responsive polymers based on bioreducible poly (amidoamine) s
AU4574202A (en) Electrostatic bonding type macromolecular micelle drug carrier and drug carried thereon
AU1013400A (en) Electrostatic bonding type macromolecular micelle drug carrier and drug carried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