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280B1 - 전자기기 및 액세서리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액세서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280B1
KR101111280B1 KR1020050034733A KR20050034733A KR101111280B1 KR 101111280 B1 KR101111280 B1 KR 101111280B1 KR 1020050034733 A KR1020050034733 A KR 1020050034733A KR 20050034733 A KR20050034733 A KR 20050034733A KR 101111280 B1 KR101111280 B1 KR 10111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lectronic device
accessory
accessory devic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483A (ko
Inventor
고우이치로 다카시마
요이치 미야지마
요시타케 다카하시
노부타츠 다카하시
유이치로 노고
기요시 미야모리
마사요시 이이다
노부히토 에비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31552A external-priority patent/JP4042717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25Reflector
    • G03B2215/0535Built-in diffu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 전자 기기와 액세서리 기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는 한 쌍의 잠금판, 가이드 그루브 및 공간을 포함한다. 각 잠금판은 에지에 제 1오목부, 제 1볼록부, 제 2오목부 및 제 2볼록부를 가진다. 가이드 그루브보다 아래의 액세서리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중간면은 제 2오목부와 제 2볼록부보다 아래에 설치된다. 복수 접편에 설치된 접편 장착면은 제 1볼록부보다 아래에 설치된다. 가이드 그루브의 폭 방향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가이드면이 제 1오목부와 제 2볼록부보다 아래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액세서리 기기{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device}
도 1은 제 1실시예의 전자기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액세서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A)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화살표(B)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라인(C-C)를 따라 얻어진 선단면도이다.
도 11은 액세서리 기기가 전자기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선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액세서리 기기가 전자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선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13b는 제 2실시예의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제 3실시예의 전자기기에 대한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연결기 커버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연결기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전자기기의 연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7a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7b는 도 17a에서 화살표(B)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17c는 도 17a에서 화살표(C)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17d는 도 17a에서 화살표(D)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8에서, 도 18e는 도 17d에서 화살표(E)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18f는 도 18e에서 라인(F-F)을 따라 얻어진 선단면도이다.
도 19는 액세서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화살표(A)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에서 화살표(B)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에서 라인(C-C)을 따라 얻어진 선단면도이다.
도 25는 액세서리 기기가 전자기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선단면도이다.
도 26은 액세서리 기기가 전자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선단면도이다.
도 27은 액세서리 기기가 전자기기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액세서리의 연결기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서 화살표(A)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29는 액세서리 기기가 전자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서 화살표(A)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31은 제 4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1에서, 도 31a는 제 4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에 대한 정면 정면도이고, 도 31b는 도 31a에서 화살표(B)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31c는 도 31a에서 화살표(C)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31d는 도 31a에서 화살표(D)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32는 제 4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2에서, 도 32e는 도 31a에서 화살표(E)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32f는 도 32e에서 화살표(F)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33은 제 5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3에서, 도 33a는 제 5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에 대한 정면 정면도이고, 도 33b는 도 33a에서 화살표(B)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33c는 도 33a에서 화살표(C)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33d는 도 33a에서 화살표(D)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34는 제 5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3에 서, 도 34e는 도 33a에서 화살표(E)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34f는 도 34e에서 화살표(F)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35은 제 6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5에서, 도 35a는 제 6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5b는 도 35a에서 화살표(B)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35c는 도 35a에서 화살표(C)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36는 제 6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6에서, 도 36d는 도 35c에서 화살표(D)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36e는 도 35c에서 화살표(E)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대한 설명
100. 전자기기 200. 액세서리 기기
10. 전자기기 연결기 16. 접편
18. 가이드 그루브 20. 잠금판
22. 공간 2002. 제 1오목부
2004. 제 1볼록부 2006. 제 2오목부
2008. 제 2볼록부 40. 액세서리 슈 연결기
44. 클램프 링, 동작 링 48. 접편
50. 삽입부, 축부 5002. 제 1잠금부
5004. 제 2잠금부 70. 클램프 블록
7004. 클램핑부 7006. 이동 저지부.
52. 스프링편
본 발명은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된 전체 내용인 2004. 4. 27에 일본 특허 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JP 2004-131321, 2004. 4. 27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JP 2004-131552, 2004. 8. 9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JP 2004-231818, 2005. 3. 29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JP 2005-093897에 관련된 주제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액세서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촬상 소자(이하 전자기기로 언급함)는 많은 경우에서 보조광을 방사하는 후렛쉬와 같은 액세서리 기기와 음성을 기록하는 마이크로 폰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 액세서리 장착부에 설치된다.
액세서리 실장부의 종래 형태는 편평한 장착면, 장착면에 연결된 유지부, 전기 전원을 공급하고 또는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장착면에 설치된 접편을 포함한다.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액세서리 기기는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전기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접편에 설치된다.
액세서리 장치의 연결부를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부는 액세서리 장착부의 장착면에 인접되는 위치에 넣어진다. 그리고, 유지부 에 의해 유지되는 연결부를 야기하는 장착면을 따라 선형적으로 슬라이드 된다. 연결부가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저편은 액세서리 장착부의 접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JP-A NO. 163200/1997과 166816/1997을 참조) 그러한 액세서리 장착부와 결합된 연결부는 액세서리 슈(shoe) 장치로 간주된다.
종래 방법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는 연결부의 윤곽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를 따라 선형적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것은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 주위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의 윤곽보다 약 2배 큰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고, 전자기기를 보다 소형화하거나 전자기기의 설계를 향상시키는데 불이점이 있다.
이러한 사정에서, 본 발명은 전자기기와 기기의 설계를 향상시키거나 장치를 더 소형화하는데 이점이 있는 액세서리 기기를 제공하는 상기 문제와 목적을 다룬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장착하는 액세서리 장착부를 가지는 전자기기에 속한다. 액세서리 장착부는 같은 평편에 놓인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잠금판(plate)과, 한 쌍의 잠금판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groove)와, 한 쌍의 잠금판과 가이드 그루브보다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을 포함한다. 가이드 그루브는 한 쌍의 잠금판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폭, 폭에 수직인 길이를 가진다.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오목부, 제 1볼록부, 제 2오목부, 제 2볼록부가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서 언급된 순서로 배치되어 가이드 그루브를 형성하는 한 쌍의 잠금판의 한 쌍의 에지(edge)에 설치된다. 가이드 그루브의 부분 즉, 한 쌍의 제 2오목부와 한 쌍의 잠금판의 한 쌍의 제 2볼록부 사이에 존재하는 가이드 그루브의 부분보다 아래에 있는 공간의 기저부를 구성하고,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의 가이드 그루브보다 아래에 있는 위치를 결정하고,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면이 설치된다. 가이드 그루브의 부분 즉, 한 쌍의 잠금판의 한 쌍의 제 1볼록부 사이에 존재하는 가이드 그루브의 부분보다 아래에 있는 공간의 기저부를 구성하는 접편 장착면이 상부 가이드면보다 낮은 레벨에서 설치된다. 액세서리 기기와 전기적인 연결을 하는 복수의 접편이 가이드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접편 장착면에 설치된다. 가이드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의 위치를 결정하고,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면이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잠금판의 제 1오목부와 제 1블록부의 아래 쪽 공간부에서 양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가지는 액세서리 기기에 속한다.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는 액세서리 기기의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축부재를 포함한다. 축부재의 중심축에 수직인 두 방향 중에서 하나는 축부재의 폭 방향이다. 두 방향의 다른 하나는 축부재의 전후 방향이다. 동일 평면에서 돌출하는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 즉, 전후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공간을 두는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는 전후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 이 축부재의 양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축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에서, 두 개의 잠금부 사이의 부분은 홈을 형성한다. 축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연장되고,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대하여 축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를 결정하고, 길이 방향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부재의 전방부 즉, 축부재의 측상에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설치된 단부보다 앞쪽에 있으면서,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에 설치된다. 축부재의 길이방향에서 상부 가이드면보다 케이스로부터 더 멀어지고, 상부 가이드면에 평행인 평면에 놓인 접편 장착면은 길이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의 전방부 즉, 축부재의 측상에 제 1잠금판이 설치된 단부보다 앞쪽에 있는 축부재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전자기기에 전기적인 연결을 하는 복수의 접편은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접편 장착면에 설치된다.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대하여 축부재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를 결정하고,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축부재를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면은 전후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편 장착부의 양측에 설치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전자기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커버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도 2b는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도 3a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화살표(B)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비슷하게, 도 3c는 도 3a에서 화살표(C) 방향에 대한 도면이고, 도 3d는 도 3a에서 화살표(D)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4e는 도 3d에서 화살표(E)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4f는 도 3d에서 화살표(E)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4f는 도 4e에서 라인(F-F)를 따라 얻어진 선단면도이다.
도 5는 액세서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A)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화살표(B) 방향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라인(C-C)를 따라 얻어진 선단면도이다.
도 11은 액세서리 기기가 전자기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선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액세서리 기기가 전자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대한 선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전자기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 전자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의 외부를 구성하며, 편평한 직방체 모양을 가진 케이스(102)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이다. 이 명세서에서, 좌우는 전자기기(100)의 전방으로부터 보여진다. 또한, 전후는 전자기기(100)의 광학계의 광학 축을 따라 촬상 소자를 향하 는(후방) 영상의 물체로부터(전방) 보여진다.
전방으로 향하고, 촬영 광학계(104)를 포함하는 렌즈 경통(106)은 케이스(102)의 전방 상부 부분에 설치된다.
케이스(102)는 촬영 광학계(104)를 통하여 전송된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상 소자와 정지화상 데이터나 동영상 데이터와 같은 촬상 소사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상을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부를 수용한다.
촬상소자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상을 보여주는 전자 뷰파인더(108)는 케이스(102)의 후방의 상부 부분에 설치된다.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110)는 케이스(102)의 우측 방향에 개방될 수 있고 폐쇄될 수 있게 설치된다.
촬영을 개시하거나 종료하는 것과 같은 동작 스위치와 다양한 설정을 하는 설정 스위치는 케이스(102) 상단의 후방부분과 케이스(102)의 좌측 방향에 설치된다.
상기로부터 보여진 직사각형 모양을 가진 홈(112)은 케이스(102)의 상단의 전방 부분에 설치된다. 홈(112)은 커버하거나 벗기기 위해 사용된 분리 뚜껑(114)에 설치된다. 전자기기의 연결기(10)는 홈(112)에 설치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가 사용되지 않을 때, 뚜껑(114)은 연결기(10)를 숨기기 위해 홈(112)에 부착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가 사용될 수 있을 때, 뚜껑(114)은 연결기(10)를 노출하기 위해 홈(112)으로부터 분리된다.
전자기기(100)는 액세서리 기기(200)를 장착하는 액세서리 장착부를 가진다( 도 5참조). 액세서리 장착부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로 구성된다. 액세서리 기기(200)(도 5참조)는 전자기기(100)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장착된 연결기를 가진다. 연결부는 액세서리 기기에서 연결기(40)(도 5참조)로 구성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는 다음에 설명된다.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은 솔리드 부분에 다이 형성된 합성수지로 구성된 내부 부재(12)와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강판으로 구성된 외부 부재(14)를 포함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는 액세서리 기기(200), 가이드 그루브를 형성하는 잠금판(20), 잠금판(20)과 가이드 그루브(18)보다 아래 방향에서 형성된 공간(22)을 포함한다.
외부 부재(14)는 기저판부(14A), 기저판부(14A)의 양측으로부터 위 방향에서 연장되는 측면판부(14B), 측면판부(14B)의 상부 에지로부터 위에 걸리도록 구부러져 형성된 상부판부(14C)를 포함하므로, 상부판부(14C)의 에지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 동일 평면에 연장되는 잠금판(20)은 상부판부(14C)에 형성된다.
가이드 그루브(18)에 형성되는 잠금판(20)의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에 있어서, 한 쌍의 제 1오목부(2002), 한 쌍의 제 1볼록부(2004), 한 쌍의 제 2오목부(2006) 및 한 쌍의 제 2볼록부(2008)는 가이드 그루브(18)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언급된 순서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므로, 한 쌍의 에지를 따라서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가이드 그루브(18)를 가로질러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가이드 그루브는 연장되는 방향에서 양단에서 개방된다. 각각의 제 1오목부(2002), 제 1 볼록부(2004)의 에지는 가이드 그루브(18)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선형적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그루브(18)는 한 쌍의 잠금판(20)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폭과, 그 폭에 수직인 길이를 가진다. 가이드 그루브(18)가 연장되는 방향은 길이 방향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 1볼록부(2004)는 볼록면 부분(2004A) 이상 돌출한 볼록면 부분(2004B)을 가진 볼록면 부분(2004A)과 볼록면 부분(2004B)을 포함하고, 두 볼록면 부분은 가이드 그루브(18)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각각의 제 2볼록부(2008)는 돌출부의 양이 볼록면 부분(2004B)의 양과 같이 형성된다.
공간(22)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삽입되고, 그 다음에 삽입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는 위치이다. 공간의 위치는 잠금판(20) 아래에 측면판부(14B)들 사이에서, 측면판부 부재(12)보다 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편의상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장착한다는 것은 삽입 방향으로서 간주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이 가이드 그루브(18)를 거쳐서 공간(22)에 삽입된다. 비슷하게, 공간(22)에 삽입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가 공간(22) 내부로 이동된 방향, 즉 가이드 그루브(18)가 연장되는 방향은 장착 방향으로서 간주되고, 삽입 방향에 반대인 방향은 제거 방향으로서 간주되고, 장착 방향에 반대인 방향은 꺼냄 방향으로서 각각 간주된다.
연결기(10)의 하부 가이드면을 구성하고, 장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면(24)은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공간(22)의 기저부를 형성하며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부분, 즉 내부 부재(12)의 제 1오목부(2002)와 제 1볼록부(2004)보다 아래 부분에 설치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한 쌍의 가이드면(24)는 가이드 그루브(18)가 연장되는 방향 즉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가이드면(24)은 한 쌍의 잠금판(20)의 제 1 오목부(2002)와 제 2 볼록부(2004)보다 아래, 즉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 방향에 보여진 바와 같이 공간(22)의 양측에 설치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면(24)는 가이드 그루브(18)의 폭을 따라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를 따라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를 가이드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전기적인 연결을 하기 위한 복수의 접편은 내부 부재(12)의 부분, 즉 공간(22)의 기저에 있고,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한 쌍의 가이드면(24) 사이에 있는 부분에 위치된다.
좀더 상세하게 하기 위해, 기저면(1202), 기저면(1202)의 에지로부터 위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1204) 및 기저면(1202)과 평행하여 경사면(1204)의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편평한 접편 장착면(1206)이 내부 부재(12)의 부분, 즉 공간(22)의 기저부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한 쌍의 가이드면(24) 사이에 있는 공간 (22)의 기저부를 형성하는 내부 부재(12)의 부분에 설치된다. 기저면(1202), 경사면(1204) 및 접편 장착면(1206)은 장착 방향을 따라서 언급된 순서로 배치된다.
기저면(1202)에 평행하여 연장되고, 상부 가이드면을 구성하는 편평한 중간면(1207)은 내부 부재(12)의 부분 즉, 제 2오목부(2006)와 제 2볼록부(2008)보다 아래에 있는 내부 부재(12)의 부분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중간면(1207)은 공간(22)의 기저부, 즉 가이드 그루브(18)의 부분보다 아래에 있는 공간(22)의 기저부를 형성한다. 가이드 그루브(18)는 한 쌍의 제 2오목부(2006)와 한 쌍의 잠금판(20)의 제 2볼록부(2008) 사이에 있다. 중간면(1207)은 내부 부재(12)의 부분 즉, 제 1옥목면부(2002)와 제 1볼록부(2004)보다 아래에 있는 부분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측면판부(14B)를 따라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공간(22)에 삽입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단면(5006)(도 6참조)이 중간부(1207)에 인접됨으로 인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 깊이가 삽입 방향의 공간(22)에서 제한되도록 야기한다. 즉,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 방향에서 위치를 결정한다.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편 장착면(1206)은 중간면(1207)보다 하부레벨에서 공간(22)의 기저부, 즉 가이드 그루브(18)의 부분보다 아래에 있는 기저부를 형성한다. 가이드 그루브(18)는 한 쌍의 잠금판(20)의 제 1볼록부(2004) 사이에 있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복수의 접편(16)은 경사면(1204)과 접편 장착면(1206) 사이의 경계로부터 장착 방향으로 분리된 접편 장착면(1206)의 부분에 설치된다. 복수의 접편(16)은 가이드 그루브(18)의 폭을 따라 서로 떨어지도록 선형적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편(16)은 접편 장착면(1206)의 중간면(1207)을 향하는 방향에 설치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20)은 가이드 그루브(18)을 따라 접편 장착면(1206)의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방향으로 보이듯이 양측에 제공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복수 접편은 다음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편(16)은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확장 금속 판재로 구성된다. 각 접편(16)의 일단(16A)은 개방을 통하여 접편 장착면(1206)보다 위로 노출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편 장착면(1206)보다 위에 노출된 각 접편(16)의 일단(16A)은 장착 방향이 일치하는 세로 방향에 선형적으로 연장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복수 접편(16)에 대한 일단이 배치되므로, 장착 방향에 보여진 바와 같이 일단(16A)의 단부는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에 선형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접편(16) 사이에서 접지 전위에 연결되는 접지 접편(1602)의 일단(16A)은 다른 신호 접편(1604)의 일단(16A)보다 세로방향으로 더 크도록 형성된다.
꺼냄 방향에 보여진 바와 같이, 접지 접편(1602)의 단부는 다른 신호 접편(1604)의 해당하는 단부 이상으로 돌출된다. 다시 말하면, 복수 접편(16) 사이에 전위 접편(1602)은 접편(16) 사이에서의 다른 접편(16)보다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를 따라 제 1오목부(2002)를 향하는 제 1볼록부(2004)로부터의 방향에서 보다 길게 연장된다. 도 3a에서 부호(1605)는 전원 접편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접편(1602, 1604, 1605)의 기초 설계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를 연결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접편(48) 사이에 있고, 다른 신호 저편(4804)에 앞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지 접편(1602)과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접지 전위에 연결될 수 있는 전위 접편(4802)을 접촉 야기하는 것이다. 이 배치에서, 전자기기와 액세서리 기기(200)의 기준 전위는 동작 시작에서 접지 전위로 설정된다. 결과로서, 정전 노이즈의 효과는 감소되고, 액세서리 기기(200)와 전자기기(100)의 실행은 안정된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편(16)의 일단(16A) 이외 부분은 내부 부재(12) 안쪽에 설치된다. 접편(16)의 타단(16B)은 내부 부재(12)의 장착 방향에서 보여진 단부내에서 개방된 홀(1208)로 각각 가이드된다.
도 3c와 도 4e,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208)로 통하는 개방부(1402)는 내부 부재(12)의 기저와 또한 외부 부재(14)의 기저판부(14A)에 설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0)에 설치된 플렉서블(flexible) 기판(150)의 연결단(152)은 개방부(1402)를 거쳐서 홀(1208)에 삽입되고, 홀(1208)내 각각의 접편(16)의 타단(16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연결단(152)은 각각의 접편(16)의 타단(16B)의 탄력성에 기인하여, 각각의 접편(16)의 타단(16B)과 홀(1208)을 가진 벽 사이에 유지된다.
이 배치에서, 액세서리 기기(200)를 구동하는 전기 신호는 전자기기(100)의 내부 전기회로로부터 각각의 접편(16)에 제공되거나, 전기 신호는 액세서리 기기 (200)으로부터 각각의 접편(16)을 거쳐서 전자기기(100)의 내부회로에 제공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부재(14)의 기저판부(14A)는 전자기기(100)의 홈(112)의 기저에 고정될 때, 외부 부재(14)의 개방부(1402)는 플렉서블 기판(150)이 굽어지거나, 전자기기(100)로 끌어들이도록 한다.
상기 배치에서, 플렉서블 기판(150)은 상기로부터 보여진 바와 같이 외부 부재(14)의 윤곽내부, 즉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윤곽 내부에 위치되므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 외부에서 플렉서블 기판(150)을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이것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된 공간의 크기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도 4f에서, 참조 번호(1211)는 외부 부재(14)의 기저로부터 돌출된 위치 결정용 보스를 나타낸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위치는 전자기기(100)의 홈(112)(도 1참조)의 기저에 설치된 홀에 보스(1211)를 계합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204)는 접지 전위에 연결되는 접지 접편(1602)에 대응하는 경사면부(1204A)와 다른 접편(1604, 1605)에 대응하는 경사면부(1204B)를 포함한다. 부분(1204A)와 부분(1204B)는 다른 평면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부분(1204B)은 부분(1204A)에 비교하여 기저면(1202)의 부분(1204B)의 근처 부분에 설치된 홈(1203B)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장착 방향으로 이동되어 형성된다. 홈(1203B)에서, 연결기(10)를 전자기기(100)의 홈(100) 하부에 고정하도록 사용된 볼트(bolt)를 삽입하는 홀(도 3a를 참조)이 있다. 홈(1203B)는 볼트의 헤드(head)를 수용한다.
경사면(1204)는 액세서리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을 부드럽게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진다.
접편 장착면(1206)에 설치된 접편(16)은 장착 방향으로 경사면(1204)와 접편 장착면(1206)의 사이에 경계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삽입된 다음에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경계로부터 접편(16)을 분리하면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이 안정 상태에서 접편(16)과 접촉하게 하기 위해 접편 장착면(1206)의 부분에 슬라이드하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을 허락한다. 그러므로, 경사면(1204)과 접편 장착면(1206) 사이의 경계와 각각의 접편(16)의 꺼냄 방향에서 보여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접편 장착면(1206)의 부분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을 위한 슬라이딩면으로서 기능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편(16)을 커버하는 커버(26)는 공간(22)의 기저를 형성하는 내부 부재(12)의 부분 즉, 한 쌍의 가이드면(24) 사이와 중간면(1207)보다 아래에 있는 내부 부재(12)의 부분에 장착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커버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편(16)을 커버하는 폐쇄 위치(도 2a, 도 11a 참조)를 향하여 커버(26)를 작동시키기 위해 설치된 스프링(2602)(도 3a 참조)이 있다.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커버(26)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부(50)의 부분을 구성하는 상면(60)(제6도)에 대하여 인접함으로 인해, 접편(16)이 노출되도록 야기하는 개방 위치(도 2(b), 도 12(b))로 삽입부(50)가 커버를 이동하게 한다.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위치 결정면을 형성하는 인접면(1210)은 중간면(1207)의 꺼냄 방향에서 보여진 에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공간(22)에 삽입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상면(60)(도6)은 인접면(1210)에 대하여 인접되므로, 공간(22)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장착 방향으로의 삽입의 깊이는 인접면(1210)에 의해 제한된다. 다시 말해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장착 방향으로의 위치는 인접면(1210)에 의해 결정된다. 인접면(1210)은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를 따라 제 1오목부(2002)를 향하여 제 1볼록부(2004)로부터의 방향으로 향한다.
다음에 액세서리 기기(200)는 설명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200)은 전자기기(100)과 비교하여 작은 외부 모양을 가진 작은 카메라이다. 예를 들면, 작은 카메라는 전자기기(100)가 촬영하는 동일 시간에서 전자기기(100)이 촬영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거나, 전자기기(10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는 피사체를 전자기기(100)의 다른 확대율로 촬영하도록 동작한다.
액세서리 기기(200)은 평행육면체 모양을 가지며, 액세서리 기기(200)의 외부를 구성하는 케이스(202)를 가진다. 전방으로 향하고 촬영 광학계(204)를 포함하는 렌즈 경통(206)은 케이스(202) 앞의 상부 부분에 설치된다.
케이스(202)는 촬영 광학계(204)를 통하여 전송된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수용하고, 나중에 설명될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에 처리된 신호를 출력한다.
케이스(202)의 아래면으로부터 돌출된 원통형의 모양을 가지는 연결부(208)는 케이스(202)에 집적 형성된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은 연결부(208)의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하며, 연결부(208)의 아래측에 연결된다. 도 5에서, 참조 번호(210)는 회전각으로 연결기부(208)에 연결기(40)를 고정하는 고정 나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은 연결부(208)의 하측에 연결된 원통형 축부재(42)를 가진다. 축부재(42)의 하단에서, 직각기둥 축부재(42)의 크로스부가 축부재(42)의 크로스부보다 작게 구성된 삽입부(50)이 설치된다. 삽입부(50)의 중심축에 평행한 두 방향 중에서 한 방향은 삽입부(50)의 폭 방향이고, 다른 방향은 삽입부(50)의 전후 방향(장착 방향과 꺼냄 방향)이다.
삽입부(50)에 대한 단부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는 한 쌍의 제 1블록부(2004)의 에지 사이와 또한 한 쌍의 제 2볼록부(2008)의 에지 사이의 거리 즉, 삽입부(50)의 단부가 가이드 그루브(16)로부터 부드럽게 삽탈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그루브(18)의 각 한쌍의 최내부 에지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다.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은 삽입부(50)의 각 축 단부에 설치된다. 그들은 동일 평면에 형성된 돌출 부분이 있고, 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 로 공간을 두고 있다. 제 1잠금부(5002)는 전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제 1오목부(2002)를 거쳐서 공간(22)에 삽입될 수 있고, 그 다음에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잠금부(5004)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제 2오목부(2006)를 거쳐서 공간(22)에 삽입될 수 있고, 그 다음에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를 가진 각측에서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을 배제하는 부분은 오목부(5005)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를 결합하는 방향의 길이는 삽입부(50)의 삽입방향에서 크기의 대략 ⅓이다.
도 6,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편(52)은 삽입부(50)의 단부 각측에서 제 1잠금부분(5002)과 제 2잠금부분(5004) 사이에서의 부분으로 굽어져 돌출되어 있따. 스프링편(52)은 스프링 강철의 얇은 판로 구성되고, 삽입부(50)에 장착된다.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비교되며, 삽입부의 단부 각측에서 스프링편(52)은 삽입부(50)의 베이스부에 더 가까이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삽입부(50)의 단부 각측에서, 스프링편(52)은 오목부(5005)가 설치된 케이스보다 더 가깝게 위치된다. 각각의 스프링편(52)은 설치된 측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그것이 설치되는 경우, 외부 방향, 즉 돌출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활성화된다.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각각의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을 거쳐서 나오는 공간(22)에 위치된 상태에서 각각은 스프링편(52)은 제 1오목부(2002) 내부를 지지한다. 공간(22)에서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각각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 아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스프링편(52)은 제 1볼록부(2004)의 에지에 탄성 접편으로 나온다.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각각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에서, 스프링편(52)은 제 2오목부(2006) 내부를 유지한다. 이 배치에서 스프링편(52)은 액세서리 기기(200)를 장착할 때 사용자가 클릭(click)을 느끼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간(22)의 장착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각각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 아래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각측의 스프링편(52)은 각측에서 제 2오목부(2006)의 에지의 제 1볼록부(2004)를 향하는 부분에 액세서리 기기(200)가 임시적으로 그곳에 유지되도록 야기하면서 탄성 접촉을 지지한다.
상부 가이드면을 구성하는 단면(5006)은 삽입부(50)의 단에서 설치된다. 삽입부(50)가 공간(22)에 삽입될 때, 단면(5006)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중간면(1207)에 인접하므로 인해, 공간(22)으로 액세서리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한다. 즉, 삽입 방향에서의 연결기(40)에 대한 위치를 결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5006)은 케이스(202)로 부터 멀어져 삽입부(50)의 길이에 따른 방향으로 보여진 바와 같이 삽입부(50)의 각측에서의 단부 즉, 제 1오목부(5005)와 제 2오목부(5004)를 포함하는 각측에서의 단부에 위치한다. 단면(5006)은 삽입부(5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삽입부(50)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삽입부(50)가 가이드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측에서의 제 1잠금부(5002)의 베이스 단으로부터 삽입부(50)의 세로 방향(삽입 방향)내에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상호 마주보는 가이드 벽(58)이 설치된다. 각각의 가이드 변(58)의 외측면은 하부 가이드면을 구성하는 액세서리 가이드면(52)을 형성한다. 한 쌍의 가이드면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한 쌍의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된다.
액세서리 가이드면(52)는 가이드 그루브(18)의 폭방향에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면과 접촉하여 나옴으로써,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40)의 공간에서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서 공간(22)으로 삽입부(50)를 삽입하는 시도가 될 때, 장착 방향을 따라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부(50)가 역으로 향하게 되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한 쌍의 가이드 벽(58)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중간면(1207)에 인접함므로 인해, 삽입부(50)를 공간(2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면(5006)에 평행인 편평한 접편 장착면(56)은 삽입부(50)의 단부 즉, 한 쌍의 가이드 벽(58)의 베이스 부분 사이에 있는 단부에서 설치된다. 접편 장착면(56)은 단면(5006)의 전방에 위치된다. 접편 장착면(56)과 단부(5006)에 수직인 위치 결정면을 구성하는 상면(60)이 접편 장착면(56)과 단부(5006)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편 장착면(56)은 삽입부(50)의 부분 즉, 제 1잠금부(5002)이 형성된 앞으로 향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접편 장착면(56)은 단면(5006)에 평행인 반면, 삽입부(50)의 길이 방향에 보여진 바와 같이, 단면보다 더 외부로 위치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가이드면(52)은 길이 방향에 보여진 접편 장착면(56)의 양측에 위치된다.
상면(60)은 전후 방향을 따라 단면(5006)을 향하여 접편 장착면(56)으로부터의 방향으로 향한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복수 접편은 접편 장착면(56)에 설치된다. 그들은 한상의 가이드 벽 사이에 서로 떨어져 선형으로 배치된다.
상면(60)은 삽입부(5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공간에 삽입될 때, 커버(26)의 에지에 대항하여 인접하여 배치된다.
나중에 설명될 바와 같이, 상면(60)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인접면(1210)에 인접하므로써, 장착 방향으로 삽입부(50)의 위치를 결정한다.
설명된 배치에서, 삽입부(5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공간(22)에 삽입되고, 다음에 장착 방향의 공간(22)으로 삽입될 때,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복수 접편(48)과 접편으로 나오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복수 접편(16)을 각각 야기하면서,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 하부로 나온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복수 접편(48)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편(48)은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확장 금속 조각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접편(48)의 일단(48A)은 접편 장착면(56)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다(삽입부(50)가 연장되는 방향 즉, 삽입 방향).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벽(58)은 가이드그루브(18) 길이 방향에 보여진 바와 같이, 접편 장착면(56)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각각의 복수 접편(48)의 일단(48A)이 각측에 가이드벽(58)의 단보다 삽입부(50)의 베이스 단에 가깝게 위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각가의 접편(48)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조되므로, 접편 장착면(56)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각각의 접편의 일단(48A)은 위 방향으로 밀어낼 때, 접편 장착면(56)의 내부로 넣어진다.
접편(48)은 접지 전위에 연결되도록 접지 접편(4802)과 다른 신호 접편(4804)을 포함한다. 접지 접편(4802)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전지 접편(1602)에 연결된다. 다른 신호 접편(4804)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다른 신호 접편(1604)에 연결된다. 도 7에서, 참조번호(4805)는 접원 접편을 나타낸다. 전원 접편(4805)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전원접편(1605)에 연결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편(48)의 일단(48A)을 배제하는 부분은 삽입부(50) 내부로 설치된다. 각각의 접편(48)의 타단(48B)은 액세서리 기기(200)에 설치된 배선 부재(2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배치에서, 액세서리 기기(200)를 구동하는 전기 신호는 배선 부재(201)와 접편(48)을 거쳐서 액세서리 기기(200)의 내부 전기 회로에 공급되거나 전기 신호는 배선 부재(201)를 거쳐서 접편(48)에 대한 액세서리 기기(200)의 내부 전기 회로로부터 공급된다.
수나사선(도시되지 않음)은 축 재료(42)의 하부 주위에 형성된다. 즉, 삽입부(50)의 베이스부와 클램프 링(clamp ring)(44)은 수나사선에 고정된다.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을 거쳐서 삽입되는 공간(22)에 각각 위치되는 상태에서 클램프 링(44)은 잠금판(20)보다 위체 위치된다. 공간(22)의 장착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 아래에 각각 위치되는 상태에서, 클램프 링(44)을 회전하는 것은 클램프 링(44)이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을 협동하여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을 억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잠금부(5002), 제 2잠금부(5004), 제 1볼록부(2004), 제 2볼록부(2008) 및 클램프 링(44)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고정하거나 억압하는 고정 수단으로 구성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사용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전자기기 위에 액세서리 기기(200)를 장착하기 위해, 다음의 과정이 사용된다. 뚜겅(114)은 케이스(102) 외부로 액세스되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0)을 노출하기 위해 제거된다. 액세서리 기기(200)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단면(5006)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중간면(1207)을 향하므로 향하게 되고,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을 각각 향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위치된 액세서리 기기(200)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부(50)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 그루브(18)에 삽입된다. 이것이 행해질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양측에서 액세서리 가이드면(520)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면(24)에 접촉하여 나오므로 인해 그루브(18)의 폭방향으로 연결기(40)의 공간(22) 위치를 결정한다.
앳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0)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가이드 그루브(18)을 통하여 공간(22)에 삽입될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는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을 거쳐서 삽입되는 공간(22)에 각각 위치된다. 또한 동일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단면(5006)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중간면(1207)에 인접하고,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스프링편(52)은 제 1오목부(2002) 내부에 위치된다.
다음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50)은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스프링편(52)은 삽입부(50)의 측면 내부로 약간 밀어내도록 제 1볼록부(2004)의 에지에 탄성 접편으로 나온다. 제 1볼록부(2004)의 에지를 가진 탄성 접편에 있는 스프링편(52)은 삽입부(50)에 일치하여 이동한다.
제 1 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 아래에 각각 연속적으로 위치된다. 스프링편(52)은 제 2오목부(2006) 내부로 돌출되고,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상면(60)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인접면(1210)에 인접되므로 인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장착 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은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 아래로 각각 위치될 때, 스프링편(52)은 제 2오목부(2006)의 에지의 제 1볼록부(2008)를 향하는 부분을 가진 탄성 접편내에 있다.
삽입부(50)가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상면(60)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커버(26)를 밀어낸다. 동시에, 접편 장착면(1206)으로 미끄러지 후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은 전기적인 연속성을 성립하도록 전기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편(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에,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과 협동하여 제 1 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를 고정하여 억압하도록 클램프 링(44)을 회전한다. 이것은 전자기기(100)에서의 액세서리 기기(200)의 장착을 완전하게 한다.
전자기기(100)에 장착된 액세서리 기기(200)에서 액세서리 기기(200)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또한 전자장치(100)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세서리 기기(200)에 생성된 화상 신호는 전자기기(100)에서의 연결기(10)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거쳐서 전자기기(100)에 전송되고, 전자기기(100)의 필요에 따라 처리된다.
전자기기(100)로부터 액세서리 기기(200)를 떼어내기 위해 다음의 과정을 사용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로부터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떼어내기 위해 클램프 링(44)을 회전한다.
다음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부(50)가 꺼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은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공간으로 각각 이동된다. 동시에 스프링편(52)은 삽입부(50)의 측면 내부로 약간 밀어내기 위해 제 1볼록부(2004)의 에지를 가진 탄성 접편으로 나오는 제 2오목부(2006) 밖으로 이동된다. 제 1볼록부(2004)의 에지를 가진 탄성 접편에 있고, 삽입부(50)와 일치하여 이동하는 스프링편(52)은 제 1오목부(2002)를 들어가게 하거나 돌출하게 한다. 삽입부(50)이 꺼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은 전기적인 연속성을 깨뜨리기 위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편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상태에서, 꺼냄 방향으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부(50)를 이동하는 것은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를 거쳐서 공간(22) 밖으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제 2잠금부(5004)을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로부터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부(50)를 분리하기 위해 각각 들어올린다. 이것은 전자기기(100)로부터 액세서리 기기의 떼어냄을 완성하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제 2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서, 제 1실시예에 사용된 부분과 부재에 비슷한 부분과 부재는 제 1실시예를 설명할 때에 사용된 바와 같은 참조 번호에 의해 나타낼 것이다.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는 다르게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공간(22)이 틀린 방향으로 장착된 것을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를 통해 저지하도록 설계된 벽을 포함한다.
도 13a는 제 2실시예의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의 연결기를 도시한다. 도 13b는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연결기를 도시한다.
도 13a,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서 가이드 그루브(18)의 폭방향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면(24)를 따라 연장되는 홈(1220)이 기저면(1202)의 양측에 설치된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0은 공간(22)에 삽입되고, 홈(1220)은 가이드 벽(58)의 단부를 수용한다. 제 2실시예에서, 꺼냄 방향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홈(1220)의 단은 개방된다. 제 2실시예에서 홈(1220)의 단부는 꺼냄방향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벽부(1222)에 각각 차단된다.
각 벽부(1222)의 상부면은 기저면(1202)와 동일 평면위에 있다.
상기 배치에서 꺼냄 방향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전자 기기에서의 연결기(100의 단부를 거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부(50)를 장착 방향에서 삽입되는 시도가 행해지면, 삽입부(50)의 가이드 벽(58)은 삽입부(50)가 장착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벽부(1222)에 대항하여 인접한다.
그러므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부(50)가 꺼냄 방향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전자 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단부를 거쳐서 장착 방향으로 삽입되는 오류 동작이 저지될 수 있다.
상기 배치에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고정할 때, 연결기(40)가 가이드 그루브(18)을 거쳐서 공간(22)에 삽입되는 하나의 모드 동작만이 허가된다. 하나의 동작에서만 전자기기(100)상에 액세서리 기기(200)를 장착하는 동작을 제한하는 것은 기기의 유용성을 향상시킨다.
제 1, 2실시예에 따라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장착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는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을 거쳐서 공간(22)에 각각 삽입된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부(50)은 그 다음에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 아래의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를 위치하도록 장착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복수 접편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복수 접편(48)과 접촉하여 나온다,
길이(S) 즉, 전자 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장착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장착 방향에 대한 길이를 검토하기 위해 도 11, 12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의 장착 방향에 대한 길이는 대략 삽입부(50)의 장착 방향에 대한 3분의 1이다. 그러므로, 길이(S)는 L과 L/3의 합만큼 커질 수 있다. 여기서 L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장착 방향에 대한 길이(삽입부(50)의 대응 길이)를 나타내고, L/3은 대략 각각의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의 장착 방향에 대한 길이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를 장착되기 위해 요구되는 장착 방향에 대한 길이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장착 방향에 대한 길이의 합만큼 클 수 있고, 각각의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의 장착 방향에 대한 길이만큼 클 수 있다.
반면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가 연결기의 윤곽 외측으로부터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장착될 때, 길이(S)는 적어도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장착방향에 대한 길이(L)가 2배인 2L만큼 크도록 요구된다.
그러므로, 종래 방법이 사용된 경우와 달리,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 주 위에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장착되는데 사용하는 큰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전자기기(100)와 액세서리 기기(200)를 더 작게 만들거나 기기의 설계를 향상시키는데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제 1잠금부(5002)에 의해 고정되고 유지되는 제 1볼록부(2004) 즉,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고정하도록 사용된 제 1볼록부(2004)는 사용자에 의해 느껴지는 클릭을 생성하기 위해 탄성 접편내로 나온다. 이것은 구성요소의 수에 대한 증가를 점검하거나 생산 비용을 감소하는데 이점이 있다.
게다가, 배치에 있어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과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편(16)이 접편내에 있을 때, 스프링편(52)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임시로 유지하기 위해 제 1볼록부(2004)의 에지를 가진 탄성 접편에 지지된다. 그러므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제 1볼록부(2004)는 또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임시로 유지하는 부재로서 사용된다. 이것은 구성요소의 수에 대한 증가를 점검하거나 생산 비용을 감소하는데 이점이 있다.
(제 3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 3실시예의 전자기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연결기 커버가 폐색된 위치인 상태에서 전기기기에서의 연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연결기 커버가 개방된 위치인 상태에서 전자기기에 서의 연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화살표(B) 방향에서의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17c는 도 17a의 화살표(C) 방향에서의 도면이고, 도 17d는 도 17a의 화살표(D) 방향에서의 도면이다.
도 18e는 도 17d의 화살표(E) 방향에서의 도면이다. 도 18f는 도 18e에서 라인(F-F)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액세서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화살표(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은 도21의 화살표(B) 방향에서의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라인(C-C)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25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와 연결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와 연결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액세서리상의 연결기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화살표(A) 방향에서의 도면이다. 도 29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화살표(A) 방향에서의 도면이다.
먼저, 전자기기를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100)는 비디오 카메라의 외장을 구성하는 편평한 직방체 모양 평행육면체의 케이스(102)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으로 향하고 촬영 광학계(104)가 포함된 렌즈 경통(106)이 케이스(102)의 전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02)는 촬영 광학계(104)에 의해서 전송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소자와, 정지영상 데이터와 동영상의 데이터 및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촬상소자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상을 기록하는 기록 및 재생부를 수용한다.
촬상소자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상을 보기 위한 전자식 뷰파인더(viewfinder)(108)는 케이스(102)의 후면 상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촬상소자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0)는 케이스(102)의 우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촬영을 시작 및 정지와 같은 동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다양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는 케이스(102)의 표면 후부분 및 케이스(102)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보여진 직사각형 모양을 가지는 오목부(112)는 케이스(102)의 상부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112)는 오목부(112)를 개폐하는 분리가능한 뚜껑(114)이 설치되어 있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는 오목부(112)에 설치되어 있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가 사용되지 않을 때, 뚜껑(114)은 연결기(10)를 덮도록 오목부(112)에 장착되어 있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가 사용될 때, 뚜껑(114)은 연결기(10)를 노출하도록 오목부(112)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전자기기(100)는 액세서리 기기(200)(도 19 참조)를 장착하기 위한 액세서리 장착부를 구비한다. 이 액세서리 설치부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로 구성되어 있다. 액세서리 기기(200)(도 19 참조)는 전자기기(100)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장착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이 연결부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도 19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는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고체 부분으로 성형된 내부 부재(12)와 강판이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된 외부 부재(14)를 포함한다. 내부 부재(12)는 외부 부재(14)의 안쪽 하부에 고정하여 맞추어져 있다.
외부 부재(14)는 기저판부(14A), 기저판부(14A)의 양측에서 위로 향해 연장하는 측판부(14B)와 측판부(14B)의 상부 에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상판부(14C)로 내밀어 구부러져 형성된 상판부(14C)를 포함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는 전원용 또는 신호 이동용의 접편(16), 한 쌍의 잠금판(20), 이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잠금판(20)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18)와 각 잠금판(20)의 하부와 가이드 그루브(18)의 하부에 임하도록 형성된 공간(2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잠금판(20)은 한 쌍의 상판부(14C)에 의해 형성되어 동일한 면으로 연장하고 에지가 서로 대향한다.
가이드 그루브(18)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잠금판(20)의 에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잠금판(20)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 연장하는 방향의 양단은 개방되어 있다.
가이드 그루브(18)는 한 쌍의 잠금판(20)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의 폭과 상기 폭과 직교하는 길이를 가진다. 가이드 그루브(18)가 연장하는 방향이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 방향이다.
서로 대향하는 잠금판(20)의 한쌍의 에지에는,서로 대향하는 잠금판(20)의 에지로부터 떨어져 오목하게 하는 한 쌍의 제 1오목부(2002)(또는 잠금판(20)의 각 컷아웃(cutout)(2002)), 타측에서 잠금부분(20)의 에지를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한 쌍의 제 1볼록부(2004), 타측에서 잠금부분(20)의 에지로부터 멀어져 각각 오목하게 되는 한 쌍의 제 2오목부(2006)와 타측에서 잠금판(20)의 에지를 향하여 각각 볼록하게 되는 한 쌍의 제 2볼록부(2008)는 가이드 그루브(18)의 연장하는 방향에서 언급된 순서로 배치되어져 형성되고 있다.
각 제 1볼록부(2004)의 에지와 각 제 2볼록부(2008)의 에지는 가이드 그루브(18)의 연장하는 방향에서 직선으로 연장한다.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 1볼록부(2004)는 가이드 그루브(18)가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볼록한 부분이 작은 볼록부분(2004A)과 볼록한 부분이 큰 볼록부분(2004B)을 포함한다. 제 2볼록부(2008)의 각각은 볼록부분(2004B)과 동일한 돌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공간(22)은 액세서리 기구상의 연결기(40)(도 19 참조)가 삽입되어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공간의 위치는, 측판부(14B)와 내부 부재(12)의 위쪽의 사이에 잠금판(20)의 하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형태의 설명에 대한 편의상, 액세서리 기구상의 연결기(4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장착할 때, 가이드 그루브(18)를 거쳐서 삽입되는 액세서리 기구상의 연결기(40) 방향은 삽입 방향으로써 간주될 것이다. 유사하게, 공간(22)에서 삽입되어지는 액세서리 기기 상의 연결기(40) 방향이 공간(22) 내부로 이동되는, 즉, 가이드 그루브(18)가 연장하는 방향을 장착 방향으로써 간주되고, 삽입 방향의 역방향이 제거 방향으로써 간주되고, 장착 방향의 역방향이 꺼냄 방향으로써 각각, 간주될 것이다.
연결기(10)의 하부 가이드 표면을 만들고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면서 장착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표면(24)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공간(22)의 기저부, 즉 내부 부재(12)의 제 1오목부(2002)와 제 1볼록부(2004)의 하부에 형성하는 부분에서 설치되어 있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한 쌍의 가이드 표면(24)은 직교하는 방향에서 가이드 그루브(18)가 연장하는 방향, 즉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방향으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위치를 정하도록 제공한다.
바꾸어 말하면,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 표면(24)은 한 쌍의 잠금판(20)의 제 1오목부(2002)와 제 1볼록부(2004)의 아래에, 즉, 공간(22)의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 방향으로 표시된바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 표면(24)은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을 따라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위치를 결정하고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접편(16)은 공간(22)의 기저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한 쌍의 가이드 표면(24)의 사이의 내부 부재(12)의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저면(1202)과 기저면(1202)의 에지로부터 위로 향하여 기울어지게 하는 경사면(1204)과 기저면(1202)과 평행한 경사면(1204)의 에지로부터 연장하는 편평한 접편 장착면(1206)이 내부 부재(12)의 부분과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한 쌍의 가이드 표면(24) 사이의 공간(22)의 기저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기저면(1202)과 경사면(1204)과 접편 장착면(1206)은 장착 방향에서 상기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기저면(1202)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가이드 표면 위에 이루어지는 편평한 중간면(1207)은 제 2오목부(2006)와 제 2볼록부(2008)의 하부의 내부 부재(12)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중간면(1207)은 공간(22)의 기저부를 형성한다. 공간(22)의 기저부는 가이드 그루브(18)의 부분과 한 쌍의 제 2오목부(20)의 사이의 가이드 그루브(18) 부분 아래이다. 중간면(1207)은 제 1오목부(2002)와 제 1볼록부(2004)의 하부에서 한 쌍의 측판부(14B)에 따라 연장하는 내부 부재(12)의 부분으로 연장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공간(22)에 삽입될 때에, 연결기(40)의 끝단면(5006)(도 20 참조)이 연결기(40)의 삽입 깊이가 삽입 방향으로 제한되도록, 바꾸어 말하면 연결기(40)의 삽입 방향에서 위치 결정이 되도록 중간면(1207)에 인접한다.
도 17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편 장착면(1206)은 중간면(1207)보다도 하부에서, 공간(22)의 기저부를 형성한다. 공간(22)의 기저부는 한 쌍의 잠금판(20)의 제 1볼록부(2004) 사이에 가이드 그루브(18)의 부분 아래이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복수의 접편(16)은 경사면(1204)과 접편 장착면(1206)과의 사이의 경계로부터 장착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서로 가이드 그루브(18)의 폭방향으로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접편(16)은 접편 장착면(1206)의 중간면(1207)을 향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복수의 접편(16)은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8f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접편(16)은 굽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 연장한 금속 판재가 구성되어 있다. 각 접편(16)의 일단(16A)이 통로를 거쳐서 접편 장착면(1206)의 윗쪽에 노출되어 있다.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편 장착면(1206)상에 노출된, 각 접편(16)의 일단(16A)이 장착 방향과 일치하는 세로의 방향에서 직선으로 연장한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복수 접편(16)의 일단(16A)은,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가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에서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접편(16) 중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접지 접편(1602)의 일단(16A)이 다른 신호 접편(1604)의 일단(16A)보다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접지 접편(1602)의 꺼냄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는 다른 신호 접편(1604)의 대응하는 단부보다 내밀어 나온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접편(16) 중 접지 접편(1602)은 다른 접편(16)보다,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에 따라 제 1 볼록부(2004)로부터 제 1오목부(2002)로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한다. 도 17a에 대해 부호(1605)는 전원공급 접편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된 접편(1602, 1604 및 1605)의 레이아웃은, 액세서리상의 연결기(40)를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연결할 때에,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서리상의 연결기(40) 중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접지 접편(4802)이, 다른 신호 접편(4804)에 전에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지 접편(1602)에 접속시킨다.
이러한 배치에서, 액세서리 기기(200)와 전자기기(100)의 기준 전위는 동작의 시작에서 접지 전위로 설정된다. 그 결과, 정전 노이즈의 영향은 감소되고 액세서리 기기(200) 및 전자기기(100)의 동작은 안정화된다.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편(16) 중 한 쌍의 가장 바깥쪽 접편은 2개의 접지 접편(1602)이다.
이러한 접편(1602, 1604 및 1605)의 레이아웃(918)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가이드 그루브(18)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어떤 각도로 경사해 삽입되었을 경우에도,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 방향에서 보인 바와 같이, 2개측 중 접지 접편(1602)의 어느 쪽을 허가하고,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지 접편(4802)(도 20 참조)의 대응하는 어느 쪽에 접촉한다. 이러한 배치에서, 액세서리 기기(200)와 전자기기(100)의 기준 전위는 보다 확실하게 접지 전위에 설정된다. 그 결과로써, 정전 노이즈의 영향이 감소되고 액세서리 기기(200) 및 전자기기(100) 양측의 동작은 한층 더 안정화된다.
도 18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접편(16)의 일단(16A)을 제외한 부분은 내부 부재(12)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접편(16)의 타단(16B)은 장착 방향에서 보인것 처럼, 내부 부재(12)의 단부에 열린 홀(1208) 안으로 가이드 된다.
도 17c, 도 18e 및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1208)로 이끄는 공간이 설치되도록 고안된 개방부(1402)가 내부 부재(12)의 기저 및 외부 부재(14)의 기저판부(14A)에서 설치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기기(100)에 설치된 플렉서블 기판(150)의 접속단(152)이 개방부(1402)를 거쳐서 홀(1208)에 삽입되고 홀(1208)에서 각 접편(16)의 타단(16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접속단(152)은, 각 접속단(16)의 타단(16B)이 탄력적이기 때문에, 각 접편(16)의 타단(16B)과 홀(1208)을 형성하는 벽면과의 사이에 유지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액세서리 기기(200)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신호는 전기기기(100)의 내부 전기 회로로부터 각 접편(16)에 설치되거나, 전기 신호는 액세서리 기기(200)로부터 각 접편(16)을 거처셔 전기기기(100)의 내부 회로에 설치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부재(14)의 기저판부(14A)가 전자기기(100)의 오목부(112)의 기저에 고정되는 경우, 외부 부재(14)에 개방부(1402)가 굽어지록, 플렉서블 기판(150)을 허가하고 전자기기(100)로 전송된다.
상기 배치에서, 플렉서블 기판(150)은, 상기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부 부재(14)의 윤곽의 안쪽, 즉,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외부에 윤곽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외부에 플렉서블 기판(150)을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접속되도록 요구되는 공간의 크기를 감소하는데 유리하다.
도 18f에서 부호(1211)는 외부 부재(14)의 기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위치는 전자기기(100)의 오목부(112)(도 1참조)의 기저에 설치된 홀과 돌기(1211)의 계합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1204)은 접지 전위에 연결되는 접지 접편(1602)에 연결기에 대응하는 경사면부(1204A)를 포함하고, 다른 접편(1604 및 1605)에 대응하는 경사면부(1204B)를 포함한다. 부분(1204A) 및 부분(1204B)는 다른 수평면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부분(1204B)는 기저면(1202)의 근처 부분(1204B)의 부분에 설치된 홈(1203B)으로부터 분리를 위한 장착 방향으로 부분(1204B)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홈(1203B)에서, 전자기기의 오목부(100)의 기저로 연결기(10)를 고정하도록 사용되는 볼트를 삽입하는 홈(1203B)이 있다. 이 홈(1203B)은 볼트의 헤드에 수용되어 있다.
경사면(1204)은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을 원활히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진다.
접편 장착면(1206)상에 설치된 접편(16)은, 장착 방향에서, 경사면(1204)과 접편 장착면(1206)과의 사이에 경계의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삽입하여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안정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을 접편(16)에 접촉하여 나오도록 하기위해 경계로부터 접편(16)을 분리하는 접편 장착면(1206)의 부분에 미끄러지도록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 접편(48)을 허용한다. 따라서, 접편 장착면(1206)상에서 의, 기우러진면(1204)과 접편 장착면(1206)과의 경계과 각 접편(16)의 꺼냄 방향으로 단부와의 사이가 연장하는 부분은, 액세서리측 연결기(40)의 접편(48)의 활주면으로서 기능한다.
공간(22)의 기저를 형성하는 내부 부재(12)의 부분에서 한 쌍의 가이드면(24)과 중간면(1207)의 하부 사이가 되는 내부 부재(12)의 부분에,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편(16)을 커버하는 커버(26)가 내부 부재(12)의 부분에 장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2602)(도 17a 참조)은 커버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편(16)을 가리는 폐색 위치(도 2 및 도25 참조)를 향하여 커버(26)와 계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장착 방향으로 이동할 때, 커버(26)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축부(50)의 부분인 상면(60)(도 20 참조)에 대향하여 인접하고 축부(50)에 의해 접편(16)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3 및 도 26 참조)에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면(1207)의 꺼냄 방향에 있어서의,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위치면을 형성하는 인접면(121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공간(22)에 삽입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상면(60)(도 20 참조)이 인접면(1210)에 대향하여 인접하는 것으로, 공간(22)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장착 방향으로 삽입 깊이는 인접면(1210)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장착 방향으로의 위치는 인접면(1210)에 의해 결 정되어 있다. 인접면(1210)은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에 따라 제 1볼록부(2004)로부터 제 1오목부(2002)의 방향으로 향한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부재(12)의 기저면(1202)의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 방향에는, 바꾸어 말하면, 접편 장착면(1206)의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면(24)을 따라 연장하는 오목부(1220)가 설치되어 있다. 악세사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될 때, 이 오목부(1220)는 가이드벽(58)(도 20 참조)의 단부가 수용된다.
오목부(1220)의 꺼냄 방향의 끝단은 벽부(1222)가 폐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꺼냄 방향에서 단부를 거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축부(50)(도 20 참조)를 장착 방향으로 삽입하려고 해도, 축부(50)의 가이드벽(58)이 장착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으로부터 축부(50)가 금지되도록 벽부(1222)를 대향하여 인접한다.
따라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축부(50)를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꺼냄 방향으로 임하는 단부를 거쳐서 장착 방향으로 삽입되는 잘못된 동작을 금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장착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가이드 그루브(18)를 거쳐서 공간(22)에 삽입되는 동작의 모드가 허용될 수 있다. 액세서리 기기(200)를 전자기기(100)에 장착하는 동작을 1개 모드로 한정은 기기의 유용성을 향상한다.
다음에, 액세서리 기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액세서리 기기(200)는 전자기기(100)와 비교하여 외형이 작은 소형 카메라이다. 이 소형 카메라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100)의 촬상과 동시에, 이 전자기기(100)와는 다른 방향의 피사체나, 전자기기(100)와는 다른 촬영 배율로 전자기기(100)를 같은 피사체나 다른 피사체의 촬영을 행하도록 하고있다.
액세서리 기기(200)는 액세서리 기기(200)의 외부를 구성하는 직방체 모양의 케이스(202)를 가진다. 케이스(202)의 전면 상부에는 촬영 광학계(204)가 전면으로 향하여 포함된 렌즈 경통(206)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02)는 촬영 광학계(204)에 의해서 전달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이 촬상 소자에 의해서 생성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고 후술하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에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가 수용된다.
케이스(202)의 아래쪽 면에는, 하부에 돌출하는 원주 모양을 가지는 연결부(208)가 케이스(202)와 완전하게 설치되어 있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208)의 하부에 이 연결부(208)와 같은 축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원주상의 축부재(42)를 가진다. 도 19에서, 부호(210)는 연결부(208)에 대한 회전 각에서 축부재(42)의 회전의 고정을 나타낸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재(42)보다 작은 직사각형 단부를 가지고 길이 방향의 축부재(42)의 선부(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축부재(42)로써 같은 축을 따라 연장하는 축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50)의 중심 축으로 대해 직교하는 2 방향 중, 한편의 방향이 축부(50)의 폭 방향이고 다른편의 방향이 축부(50)의 전후방향(장착 방향과 꺼냄 방향)이다.
축부(50)의 단부의 폭 방향을 따른 크기는, 가이드 그루브(18)에 대해서 원활히 끼우고 꺼낼 수 있도록, 가이드 그루브(18)의 가장 안쪽의 에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 1볼록부(2004)의 에지 사이 및 한 쌍의 제 2볼록부(2008)의 에지 사이의 거리 보다 약간 작게된다.
축부(50)의 단부의 각 측면에는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각 측면에서, 동일 평면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돌출부이다. 제 1잠금부(5002)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제 1오목부(2002)를 거쳐서 공간(22)에 삽입될 수 있고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잠금부(5004)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제 2오목부(2006)를 거쳐서 공간(22)에 삽입될 수 있고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잠금부(5004)와 제 2잠금부(5006)를 가지는 각 측면에서, 제 1잠금부(5004)와 제 2잠금부(5006)를 차단하는 부분은 오목부(5005)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잠금부(5002 및 5004)의 각 장착 방향의 길이는 축부(50)의 장착 방향의 크기의 약 1/3 이다.
도 19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편(52)이 축부(50)의 단부의 각 측면에서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와의 사이의 부분에 구부러져서 돌출된다. 스프링편(52)은 얇은 스프링 강판으로 만들어지고 축부(50)에 장착되어진다.
축부(50)의 단부의 각 측면에서, 설치된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를 비교하여, 스프링편(52)은 축부(50)의 기초부에 보다 가까이 위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축부(50)의 단부의 각 측면에서, 스프링편(52)은 오목부(5005)가 설치된 위치보다 케이스(202)로 가까이 위치되어 있다. 각 스프링(52)은 설치된 측면에서 내부로 가세될 수 있다. 설치되는 위치, 돌출하는 방향인 외부로 계합되어 있다.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각각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를 거쳐서 삽입된 공간(22)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프링편(52)은 제 1오목부(2002)내에 위치한다. 공간(22)에서,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가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아래쪽으로 각각 이동할 때, 스프링편(52)은 제 1볼록부(2004)의 에지에 탄력적으로 연결된다.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각각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 아래로 이동되는 상태에서, 스프링편(52)은 제 2오목부(2006)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액세서리 기기(200)를 장착시 유저에게 클릭감을 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22)에서 장착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가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 측면에서 스프링편(52)은 액세서리 기기(200)를 임시로 유지하도록 각 측면에서 제 2오목부(2006)의 에지에 제 1볼록부(2004)를 향하는 위치에 탄접하여 위치한다.
축부(50)의 끝단에는 상부 가이드면을 만드는 끝단면(5006)이 설치되어 있다. 끝단면(5006)은 축부(50)가 공간(22)에 삽입될 때,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 (10)의 중간면(1207)에 인접하여, 공간(22)내에 있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삽입 깊이가 규제되도록, 바꾸어 말하면 삽입 방향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5006)은 축부(50)의 길이 방향과 케이스(2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부(50)의 각 측면에서 단부의 끝에서, 오목부(5005)와 제 2 잠금부(5004)를 포함하는 각 측면에서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단면(5006)은 축부(5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연장하고 길이 방향에서 축부(50)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축부(50)를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양측의 제 1잠금부(5002)의 기초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벽(58)이 축부(50)의 긴 방향(삽입 방향)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벽(58)의 각 외측면은 한 쌍의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면(24)에 미끄러질수 있는 하부 가이드면을 만드는 액세서리 가이드면(52)을 형성한다. 액세서리 가이드면(52)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면(24)과 연결되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공간(22)에서의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축부(5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공간(22)에 삽입될 때에,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중간면(1207)에 인접하는 것으로 축부(50)가 공간(22)에 삽입되는 것이 금지된다. 끝단면(5006)에 평행한 한 쌍의 가이드벽(58)의 기초부의 사이의 단부인 축 부(50)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접편 장착면(56)은 끝단면(5006)을 향하여 위치되어 있다. 접편 장착면(56)과 끝단면(5006)에 직교하는 위치면을 형성하는 상면(60)은 접편 장착면(56)과 끝단면(5006)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편 장착면(56)은 제 1잠금부(5002)가 형성되는 삽입부(50)의 부분의 설치되어 있다. 접편 장착면(56)은 끝단면(5006)보다 축부(50)의 길이 방향으로 외부에 위치해 끝단면(5006)에 평행하고 있다.
또,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서리 가이드면(52)은 접편 장착면(56)의길이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면(60)은 전후방향으로 접편 장착면(56)을 향하여 접편 장착면(56)으로부터의 방향으로 향한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복수의 접편(48)은 접편 장착면(56)에 설치되어, 한 쌍의 가이드벽(58)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면(60)은 축부(5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공간(22)에 삽입되고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커버(26)의 에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면(60)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인접면(1210)에 대향하여 인접하는 것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축부(50)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술되는 배치에서, 축부(5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공간에 삽입되어 장착 방향으로 공간(22)에 이동 되었을때,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가 제 1볼록부(2004)와 제 2 볼록부(2008)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복수의 접편(48)과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복수의 접편(16)이 연결하도록 된다.
액세서리상의 연결기(40)의 복수의 접편(48)에 대해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접편(48)은 굽은 것에 의해 형성된 연장된 금속 판재의 구성이다. 각 접편(48)의 일단(48A)이 접편 장착면(56)으로부터 하부로(축부(50)가 연장 방향으로, 즉, 삽입 방향으로) 돌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접편 장착면(56)의 양측에서 가이드벽(58)이 돌출한다. 복수의 접편(48)의 일단(48A)은 양측의 가이드벽(58)의 끝단보다 축부(50)의 기초단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접편(48)은 그 일단(48A)이 접편 장착면(56)의 하부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고 일단(48A)이 윗쪽으로 가세 되었을 경우에 일단(48A)이 접편 장착면(56)내에 넣는다.
각 접편(48)은 접지 전위에 연결되는 접지 접편(4802)과 다른 신호 접편(4804)을 포함한다. 접지 접편(4802)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지 접편(1602)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신호 접편(4804)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다른 신호 접편(1602)에 연결되어 있다. 도 21에서, 부호(4805)는 전원 공급 접편 나타낸다. 전원 공급 접편(4805)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전원 공급 접편(1605)에 연결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접편(48)의 일단(48A)을 제외한 부분은 축부(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접편(48)의 타단(48B)은 액세서리 기기(200)에 설치된 배선 부재(2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편(48) 및 배선 부재(201)를 거쳐서 액세서리 기기(200) 내 부의 전기 회로에 액세서리 기기(200)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신호가 공급되고 또는, 배선 부재(201)를 거쳐서 액세서리 기기(200) 내부의 전기 회로로부터의 전기신호가 각 접편(48)에 공급된다.
축부(50)의 단부가 가이드 그루브(18)에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판(20)의 상기의 축부(50)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재(42)와 축부(50)와의 사이의 부분에 그루브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50)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된 동작 링(44)이 회전 되었을때, 축부(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램프 블록(70)이 설치되어 있다. 동작 링(44)의 회전 동작에 의해 클램프 블록(7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구로서 종래 공지의 다양한 기구가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클램프 블록(70)을 축부(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클램프 블록의 표면에 형성한 수나사를, 동작 링(44)의 암나사에 나합하는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각 클램프 블록(70)은 축부(50)의 연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판부(7002)와 세로판부(7002)의 하단에 설치된 클램핑부(7004)와 동일한 측에서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 사이에 형성된 제 2 오목부(2006)에 삽입된 이동 금지부(7006)를 포함한다.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아래쪽 면에 대향하여 인접한 상태에서, 클램핑부(7004)는, 각각,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표면에 인접하고,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로 협동하여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를 억압하고 고정한다. 이동 금지부(7006)는 가이드 그루브(18)의 연장하는 방 향에서 이동으로부터 축부(50)을 금지한다.
각 클램핑부(7004)는 가이드 그루브(18)의 연장하는 방향으로 평행육방체 모양을 가지고, 각 세로판부(7002)보다 큰 단면을 가진다.
각 이동 저지부(7006)는 클램핑부(7004)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직방체 모양을 가진다. 제 1볼록부(2004)와 제2 볼록부(2008)의 사이에 장착되어지는 크기, 즉 제 2볼록부(2006)에 장착되어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 및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기기(100)에 액세서리 기기(20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절차가 사용된다. 뚜껑(114)을 제거되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를 케이스(102)의 외부로부터 이용할 수 있게 노출시킨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서리 기기(200)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중간면(1207)을 향하고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제 1잠금판(5002)과 제 2잠금판(5004)이 제 1오목부(2002)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제 2오목부(2006)를 향하도록 된다. 상기 설명에서 향하여진 액세서리 기기(200) 상태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축부(5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 그루브(18)에 삽입되어 있다. 이것이 행하여 질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양측의 액세서리 가이드면(52)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가이드면(24)에 접촉하여 공간(22)내에 있어서의 가이드 그루브(18)의 폭 방향에서의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 의) 위치를 결정한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상기 설명된 가이드 그루브(18)를 통해 삽입되었을 때,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는 각각, 제 1오목부(2002) 및 제 2오목부(2006)를 거쳐서 삽입되는 공간에 위치되어 진다. 또, 동일한 상태에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끝단면(5006)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중간면(1207)에 인접하고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스프링편(52)이 제 1오목부(2002)내에 위치된다.
다음에,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50)가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스프링편(52)은 축부(50)의 내측으로 약하게 가세되어 제 1볼록부(2004)의 에지에 탄력있게 접한다. 스프링편(52)이 제 1볼록부(2004)의 에지에 탄력적으로 접하면서 축부(50)에 일치하여 이동한다.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가 각각, 제1 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아래쪽에 계속하여 위치되었을 때, 스프링편(52)은 제 2오목부(2006) 돌출되고, 악세사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상면(60)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인접면(1210)에 대향해서 인접하여 장착 방향에서의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가 각각,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아래쪽에 위치되었을 때, 스프링편(52)은 제 2오목부(2006)의 에지의 제 1볼록부(2004)쪽의 위치에 탄력적으로 접한다.
축부(50)가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상 면(60)이 개방 위치로 전자기기 상의 연결기(10)의 커버(26)를 가세한다. 이와 동시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이 경사면(1204) 및 접편 장착면(1206)에 미끄러져 간 후 전기적 연속이 확립되도록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편(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다.
다음에, 동작 링(44)를 클램프 블럭(70) 아래에 이동하도록 회전시킨다. 클램프 블럭(70)이 아래로 이동할 때, 각 측면에서 이동 저지부(7006)가 가이드 그루브(18)의 연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축부(50)를 금지하는 동일한 측에서,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사이의 제 2오목부(2006)에 삽입되었다.
또, 클램프 블록(70)하강함으로써,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각각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아래쪽 면에 대향하여 인접하는 것에 반하여, 클램핑부(7004)의 아래쪽 면이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표면에 대향하여 인접한다.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와 협동하여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를 억압 및 고정하도록 클램핑부(7004)를 허가한다. 이와 같이, 액세서리 기기(200)는 전자기기(100)에 장착되어 있다.
액세서리 기기(200)가 전자기기(100)에 장착된 상태로, 액세서리 기기(200)에 의한 촬영과 전자기기(100)에 의한 촬영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액세서리 기기(200)에서 생성된 촬상 신호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를 거쳐서 전자기기(100)로 전달되고, 전자기기(100)에서 요구되는 것이 처리된다.
전자기기(100)로부터 액세서리 기기(200)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다음의 처리를 사용한다. 동작 링(44)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클램프 블록(70)을 상승 이동시킨다. 클램프 블록(70)을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이동 저지부(7006)는 제 2오목부(2006)와 클램핑부(7004)를 배출하여 나오고, 또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협동하여 클램핑부(7004)가 억압되어지도록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를 억압하지 않는 것으로 상승하여 나온다.
다음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축부(50)가 꺼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가 공간(22)에서 각각,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이동되어 있다. 이와 함께, 스프링편(52)은 축부(50)의 내측으로 약하게 가세되어 제1 볼록부(2004)의 에지와 탄력적으로 접하도록 제 2오목부(2006)의 외부로 이동되어 있다. 스프링편(52)은 제 1볼록부(2004)의 에지와 탄력적으로 접속되고 축부(50)가 일치하여 이동되어 제 1오목부(2002)가 돌출되도록 한다.
축부(50)가 꺼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전기적 연속성이 깨지도록 접편(16)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커버(26)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색 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제거의 방향으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축부(50)의 이동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로부터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축부(50)를 분리하도록,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를 각각 거쳐서 공간(22)의 외부를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제 1잠금부(5002) 및 제 2 잠금 부(5004)를 들어올린다. 전자기기(100)로부터 액세서리 기기(200)가 떼어내지는 것이 완성되나.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장착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는 제 1오목부(2002)와 제 2오목부(2006)를 각각 거쳐서 공간(22)에 삽입되어 있다. 액세서리 기기에서 연결기(40)의 축부(50)가 제 1잠금부(5002) 및 제 2 잠금부(5004)를 각각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아래쪽의 위치에 장착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결과로써, 전자기기에서 연결기(10)의 복수의 접편(16)은 액세서리 기기에서 연결기(40)의 복수의 접편(48)과 연결된다.
여기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액세서리 기기에서 연결기(40)를 전자기기에서 연결기(10)에 장착하기 위해서 필요한 공간의 장착 방향의 치수(S)를 고려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의 각 장착 방향으로 길이는 축부(50)의 장착 방향의 치수의 약 1/3이다. 따라서, 치수(S)는 L과 L/3의 합 만큼 더 커질 수 있으며, L은 장착 방향에 따른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길이(축부(50)의 치수)를 나타내고, 약 L/3은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의 각 장착 방향의 길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액세서리 기기에서 연결기(40)를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에 장착하기 위해서 필요한 공간의 장착 방향에 따른 길이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장착 방향으로의 길이와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의 각 장착 방향으로의 길이의 합 만큼 더 커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액세서리 기기에서 연결기(40)가 연결기(10)의 외부로부터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로 장착되는 종래의 방법의 경우, 길이(S)는 장착 방향에 따른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길이(L)의 적어도 2배인 2L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주위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장착시키기 위한 넓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전자기기(100) 및 액세서리 기기(200)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전자기기(100) 및 액세서리 기기(200)의 설계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지극히 유리하다.
동작 링(44)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허가하는 클램핑부(7004)가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표면에 인접하고 제 1잠금부(5002) 및 제 2잠금부(5004)와 협동하여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를 억압 고정하는 것과 동시에, 이동 저지부(7006)가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사이의 제 1볼록부(2006)에 삽입되어 축부(50)의 가이드 그루브(18)의 연장하는 방향에 따른 이동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로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가이드 그루브(18)의 연장 방향에 따른 외력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에 적용되었을 경우에,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또, 제 1볼록부(2004)는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제 1잠금부(5002)에 의해 고정 및 유지되는, 즉,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에 접속되도록 사용된 제 1볼록부(2004)는 사용자에 의해 클릭감을 발생하도록 탄력적으로 접하는 스프링편(52) 부재로써 또한 사용된다. 이는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하고 비용 다운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더구나,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의 접편(48)과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10)의 접편(16)이 접속할 때, 스프링편(52)이 제 1볼록부(2004)의 에지에 탄력적으로 접속하여,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임시로 고정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볼록부(2004)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를 임시로 유지하는 부재로써 또한 사용된다. 이는 부품 점수의 증가를 체크하고 생산 비용를 감소하는데 유리하다.
(제 4의 실시예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a는 제 4의 실시예의 형태의 액세서리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31b는 도 31a의 화살표(B) 방향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도 31c는 도 31a의 화살표(C) 방향을 나타낸다. 도 31d는 도 31a의 화사표(D)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32e는 도 31a의 화살표(E) 방향을 나타낸다. 도 32f는 도 32e의 화살표(F) 방향을 나타낸다.
제 4 및 이하의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제 3의 실시예의 형태에 의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40)가 설치되어 있다. 액세서리 기기상의 연결기(40)는 제 3의 실시예의 형태와 같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에 장착되어 있다.
제 4의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액세서리 기기(200)는 피사체에 대해서 보조 빛을 조사하는 조명 기기(302)이다. 조명 기기(302)는 광원(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케이스(304)를 가진다.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케이스(304)의 전면에 설치되 윈도우(308)을 거쳐서 방출된다.
제 4의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연결부(208) 및 축부재(42)가 생략되어, 케이스(304)의 아래쪽으로부터 축부(50)각 직접 돌출된다.
제 4의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또한, 액세서리 기기(200)를 허가하도록 위 및 아래로 클램프 블럭(70)을 이동하도록 회전된 동작 링(44)은, 제 1잠금부(5002), 제 2잠금부(5004), 클램핑부(7004) 및 이동 저지부(7006)를 거쳐서 액세서리 기기(20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3의 실시예의 형태에 의해 안출된 유사한 효과는 제 4의 실시예의 형태에서 또한 안출될 수 있다.
(제 5의 실시예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3a는 제 5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33b는 도 33a에서 화살표(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유사하게, 도 33c는 도 33a의 화살표(C)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3d는 도 33a의 화살표(D)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4e는 도 33a의 화살표(E)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4f는 도 34e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 5의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액세서리 기기(200)는 피사체에 대해서 빛의 플래시를 조사하기 위한 플래시 기기(402)이다.
플래시 기기(402)는 케이스(404)를 가진다. 케이스(404)는 빛의 플래시를 조사하는 광원(도시하지 않음)과 빛의 플래시의 강도를 조정하는 목적을 위한 피사체 주위의 조명을 측정하는 빛 제어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한다. 2개의 윈도우(408)은 전면(406)에 설치되어 있다. 광원에 의해 생성된 빛의 플래시는 2개의 윈도우(408) 중 하나의 하부를 거쳐서 조사된다. 광 제어 센서는 2개의 윈도우(408) 중 하나의 상부를 거쳐서 광의 플래시의 조명을 측정한다.
제 5의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또한, 액세서리 기기(200)를 허가하도록 위 및 아래로 클램프 블럭(70)을 이동하도록 회전된 동작 링(44)은, 제 1잠금부(5002), 제 2잠금부(5004), 클램핑부(7004) 및 이동 저지부(7006)를 거쳐서 액세서리 기기(20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4의 실시예의 형태에 의해 안출된 유사한 효과는 제 5의 실시의 형태에서 또한 안출될 수 있다.
(제 6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5a는 제 6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35b는 도 35a의 화살표(B)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35c는 도 35a의 화살표(C)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6d는 도 35c의 화살표(D)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6e는 도 36c 부분의 화살표(E)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 6실시예에서, 액세서리 기기(200)는 마이크로폰(502)이다.
마이크로폰(502)은 옆으로 긴 케이스(504)를 가진다. 오디오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케이스(504)의 전면(506)에 설치된다.
베이스(508)는 케이스(504)의 아래쪽의 뒷부분에 돌출되어 설치된다. 축 부(50)는 베이스(508)의 아래쪽에 돌출되어 설치된다.
제 6실시예에서, 또한, 동작 링(44)는 액세서리 기기(200)가 제 1잠금 부분(5002), 제 2잠금 부분(5004), 클램핑부(7004), 그리고 움직임 방지 부분(7006)을 통하여 제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자기기의 연결기에 맞도록 클램프 블록(70)이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회전된다.
다음에 설명할 발명은 제 1에서 제 6실시예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액세서리 소켓 기기는 전자기기에 설치되고 전력이나 전송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접편을 가진 연결기와, 액세서리 기기에 설치되고 전력이나 전송함수를 공급하기 위한 접편을 가진 연결기를 갖는다. 여기서,
전자기기에 설치된 연결기는 가이드 그루브를 구성하는 잠금판과 잠금판 아래표면을 향하는 공간을 갖고,
제 1볼록부의 서로 마주보는 쌍, 제 1오목부, 제 2볼록부, 제 2오목부가,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언급한 순서로 배열되어, 가이드 그루브를 구성하는 잠금판의 에지의 서로 마주보는 쌍에 설치되고,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는 접편을 갖는 삽입부와 가이드 그루브를 통해 공간에 삽입되는 단부를 가지고,
제 1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 1잠금부분과 제 2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 2잠금부분이 삽입부의 단부의 양쪽면에 설치되고,
스프링편은,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각각, 제 1오목부에 위치하고,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의 아래쪽으로 움직일 때, 각각, 제 1오목부의 에지와 탄성 접편을 하게되고,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각각, 제 2오목부에 위치하고 삽입부의 단부내의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 사이에 공급되고,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에 포함되는 접편과 전자기기의 연결기에 포함되는 접편은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의 접편이다.
상술한 발명은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각각, 스프링편이 제 2볼록부의 에지의 제 1오목부를 향한 부분과 탄성 접편된 것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상술한 발명은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각각,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를 전자기기의 연결기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설치되고, 고정부는 전자기기의 연결기와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를 정렬한다.
상술한 발명은 삽입부의 단부가 가이드 그루브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판 위에 위치한, 삽입부의 베이스에 나사로 고정되고,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가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와 협동하여 고정시키고 고정하는 클램프 링가 설치되고, 잠금부는 제 1잠금부, 제 2잠금부, 제 1오목부, 제 2오목부, 그리고 클램프 링을 가지 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음에 설명되는 발명은 또한 도출될 수 있다.
액세서리 기기에 연결기를 가지는 액세서리 기기는 전자기기의 연결기와 연결되고, 전력 또는 전송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접편을 갖는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는:
전자기기의 연결기는 가이드 그루브과 잠금판 아래에 제공되는 공간으로 구성된 잠금판을 가지고, 제 1오목부, 제 1볼록부, 제 2오목부, 제 2오목부의 서로 마주보는 쌍이 설치되고, 가이드 그루브를 형성하는 잠금판의 에지의 서로 마주보는 쌍에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언급된 순으로 배열되고,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는 접편이 설치된 삽입부와 가이드 그루브를 통해 공간에 삽입된 단부를 가지고,
제 1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삽입되고 그리고 나서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 1잠금부와 제 2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삽입되고 그리고 나서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 2잠금부가 삽입부의 단부의 양쪽에 설치되고,
스프링편은,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각각, 제 1볼록부의 에지의 제 1오목부를 향한 부분과 접촉하고,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아래의 공간에 이동된 상태로, 각각, 제 2오목부의 에지의 제 1볼록부를 향한 부분과 접촉하고 제 1잠금부와 삽입부의 단부의 제 2잠금부 사이의 부분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를 전자기기의 연결기에 연결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는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를 통해, 각각, 공간에 삽입된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삽입부는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를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 아래에 위치하기 위해, 각각, 연결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복수의 접편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복수의 접편과 접편하게 된다.
그러므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를 전자기기의 연결기에 연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결 방향의 공간의 크기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연결 방향의 크기와 각각의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의 연결방향의 크기의 합만큼만 크면 된다.
그러므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윤곽의 바깥쪽으로부터 연결되는 전통적인 방법이 사용될 때와 달리, 전자기기의 연결기 주위에,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큰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이는 전자기기와 액세서리 기기를 더 작게 만들고 장치의 설계을 향상시키는 데 큰 이점이다.
또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제 1볼록부는,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한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스프링편과 사용자에 의해 느껴지는 클릭을 생성하기 위한 탄성 접편을 하게 되는 요소로 사용된다. 이는 구성요소의 수의 증가를 검사하고 생산 단가를 줄이는 데 이점이 있다.
다음에 설명할 발명은 또한 도출될 수 있다.
전자기기에 설치되고 전력 또는 전송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접편을 가진 연결기와 액세서리 기기에 설치되고 전력 또는 전송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접편을 가진 연결기를 가진 액세서리 슈 기기는:
전자기기의 연결기는 같은 면에 확장하고 에지가 서로 마주하는 잠금판 쌍과, 서로 마주보는 잠금판 쌍의 에지 사이에 구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에지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확장하는 가이드 그루브과, 잠금판의 아래 표면에 마주하는 공간을 가지고,
가이드 그루브를 넓히는 방향으로 각각 오목한 제 1오목부의 쌍과, 가이드 그루브를 좁히는 방향으로 각각 볼록한 제 1볼록부의 쌍과, 가이드 그루브를 넓히는 방향으로 각각 오목한 제 2오목부의 쌍과, 가이드 그루브를 좁히는 방향으로 각각 볼록한 제 2볼록부의 쌍이 설치되고, 잠금판의 서로 마주보는 에지에 가이드 그루브가 확장하는 방향으로 언급된 순서로 배열되고,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는 길이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본 단부에 설치되는 접편을 가진 축부를 가지고,
제 1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 1잠금부와 제 2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 2잠금부가 축부의 단부의 양쪽 면에 설치되고,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접편은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아래 표면에, 각각, 서로 기댄 상태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와 접편되도록 배열되고,
동작 링는, 잠금판 위에, 축부의 단부가 가이드 그루브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된 축부의 부분에 설치되고,
동작 링의 회전에 의해 축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클램프 블록은 축부의 양쪽면에 설치되고,
클램프 블록은 고정 부분을 가지고,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아래 표면에 기댄 상태로,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위 표면에 기대고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를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와 협동하여 고정시키고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 사이에 형성된 제 2오목부에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축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된 보호부를 움직인다.
상술한 발명은 스프링편은,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각각, 제 1오목부에 위치하고,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아래쪽으로 움직일 때, 각각, 제 1볼록부의 에지와 탄성 접편을 하게되고,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각각, 제 2오목부에 위치하고 제 1잠금부와 삽입부의 단부내의 제 2잠금부 사이에 설치되는 특성을 가진다.
상술한 발명은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로, 각각, 스프링편이 제 2오목부의 에지의 제 1볼록부를 향한 부분과 탄성 접편된 특성을 가진다.
다음에 설명할 발명은 또한 도출될 수 있다.
액세서리 기기에 연결기를 가지는 액세서리 기기는 전자기기의 연결기와 연 결되고, 전력 또는 전송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접편을 갖는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는:
전자기기의 연결기는 같은 면에 확장하고 에지가 서로 마주하는 잠금판 쌍과, 서로 마주보는 잠금판 쌍의 에지 사이에 구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에지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확장하는 가이드 그루브과, 잠금판의 아래 표면에 마주하는 공간을 가지고,
가이드 그루브를 넓히는 방향으로 각각 오목한 제 1오목부의 쌍과, 가이드 그루브를 좁히는 방향으로 각각 볼록한 제 1볼록부의 쌍과, 가이드 그루브를 넓히는 방향으로 각각 오목한 제 2오목부의 쌍과, 가이드 그루브를 좁히는 방향으로 각각 볼록한 제 2볼록부의 쌍이 설치되고, 잠금판의 서로 마주보는 에지에 가이드 그루브가 확장하는 방향으로 언급된 순서로 배열되고,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는 길이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본 단부에 설치되는 접편을 가진 축(shaft)부를 가지고,
제 1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 1잠금부와 제 2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 2잠금부가 축부의 단부의 양쪽 면에 설치되고,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접편은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아래 표면에, 각각, 서로 기댄 상태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와 접편되도록 배열되고,
동작 링는, 잠금판 위에, 축부의 단부가 가이드 그루브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된 축부의 부분에 설치되고,
동작 링의 회전에 의해 축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클램프 블록은 축부의 양쪽면에 설치되고,
클램프 블록은 고정 부분을 가지고,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아래 표면에 기댄 상태로,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위 표면에 기대고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를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와 협동하여 고정시키고 가이드 그루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축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 사이에 형성된 제 2오목부에 삽입된 보호부를 움직인다.
상술한 발명은 스프링편이,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를 통해 공간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각각, 제 1오목부에 위치하고,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아래쪽으로 움직일 때, 각각, 제 1볼록부의 에지와 탄성 접편을 하게되고,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각각, 제 2오목부에 위치하고 제 1잠금부와 삽입부의 단부내의 제 2잠금부 사이에 설치되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를 전자기기의 연결기에 연결할 때,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는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를 통해, 각각, 공간에 삽입된다.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삽입부는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를 제 1볼록부와 제 2볼록부 아래에 위치하기 위해, 각각, 연결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로,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복수의 접편 이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복수의 접편과 접편하게 된다.
그러므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를 전자기기의 연결기에 연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결 방향의 공간의 크기는 액세서리 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연결 방향의 크기와 각각의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의 연결방향의 크기의 합만큼만 크면 된다.
그러므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가 전자기기에서의 연결기의 윤곽의 바깥쪽으로부터 연결되는 전통적인 방법이 사용될 때와 달리, 전자기기의 연결기 주위에,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큰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이는 전자기기와 액세서리 기기를 더 작게 만들고 장치의 설계을 향상시키는 데 큰 이점이다.
동작 링(44)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인해 클램핑부(7004)가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윗 표면에 기대게 하고 클램핑부(7004)가 제 1잠금부(5002)와 제 2잠금부(5004)와 협동하여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동작 링(44)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인해 또한 가이드 그루브(18)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축부(50)가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 제 1볼록부(2004)와 제 2볼록부(2008)의 사이에 형성된 제 1볼록부(2006)에 삽입되는 보호부(7006)가 움직인다. 이런 식으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40)는 전자기기의 연결기(10)와 단단하게 맞춰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외부의 힘이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40)에 가이드 그루브(18)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해졌을 경우에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기(40)가 전자기기의 연결기(10)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액세서리 소켓 기기가 적용되는 비디오 카메라의 경우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으며, 본 발명의 적용은 그러한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말할 필요도 없이, 본 발명을 카메라가 부착된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와 카메라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 같은 여러 가지 촬영 장치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수정, 조합, 부분 조합 그리고 교체가 설계상의 필요와 다른 요소들에 따라 첨부한 청구의 범위 또는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서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전자기기에서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해,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는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를 거쳐서 공간에 삽입된다. 다음에,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는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해 제 1볼록부를 향하는 제 1오목부 방향(제 2볼록부를 향하는 제 2 오목부로로부터)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실시예의 전자기기에 따라서,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연결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가능하도록 요구되는 공간의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따른 길이 종래 경우에 요구되는 공간과 비교할 때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전자기기와 액세서리 기기를 더 작게하고, 기기의 설계를 향상하는데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액세서리 기기에서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해,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이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삽입된다. 다음에, 축부는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해 전후 방향에서 이동된다.
그러므로, 실시예의 액세서리 기기에 따라서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연결된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가능하도록 요구되는 공간의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따른 길이 종래 경우에 요구되는 공간과 비교할 때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전자기기와 액세서리 기기를 더 작게하고, 기기의 설계를 향상하는데 우수한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액세서리 장착부에 설치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액세서리 장착부는 동일 평면에 놓인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잠금판과, 상기 한 쌍의 잠금판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와, 상기 한 쌍의 잠금판과 가이드 그루브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는 상기 한 쌍의 잠금판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폭과 상기 폭에 평행한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제 1오목부, 제 1볼록부, 제 2오목부 및 제 2볼록부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언급된 순서로 배치하여 상기 가이드 그루브를 형성하는 각 한 쌍의 잠금판의 에지에 설치되므로, 상기 한 쌍의 잠금판 에지에 설치된 상기 각 한 쌍의 제 1오목부, 제 1볼록부, 제 2오목부 및 제 2볼록부는 서로 대향하게 되고,
    상부 가이드면은 공간의 기저부를 구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간의 기저부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부분보다 아래에 있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제 2오목부와 상기 한 쌍의 잠금판에 설치된 한 쌍의 제 2볼록부 사이에 있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있으며, 상기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 그루브보다 아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가이드하여 설치되고,
    접편 장착면은 상기 상부 가이드면보다 하위레벨에서 공간의 기저부를 구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저부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부분보다 아래에 있는 공간이며, 상기 가이드 그루브는 상기 한 쌍의 잠금판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제 1볼록부 사이에 있고,
    상기 액세서리 기기에 전기적인 연결을 하는 복수 접편은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폭방향에 배치하여 상기 접편 장착면에 설치되고,
    상기 그루브의 폭방향으로 상기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를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면은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보여진 바와 같이, 공간의 부분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잠금판에 설치된 상기 제 1오목부보다 아래에 있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상기 길이를 따라 상기 제 1오목부를 향하는 상기 제 1볼록부로부터의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액세서리의 연결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은 상기 상부 가이드면의 상기 접편 장착면을 향하는 에지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접편은 상기 장착면의 상기 상부 가이드면을 향하는 부분에 설치 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을 커버하는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복수 접편을 노출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복수 접편을 커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가이드면 아래로 수용되고,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는 커버를 활성화하는 스프링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은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접편 장착면의 각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경사면은 상기 접편 장착면의 에지에 설치되며, 상기 에지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서 위치결정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에지로부터 떨어진 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접편은 접지 전위에 연결되는 접편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전위에 연결되는 접편은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를 따라 상기 제 1오목부를 향하는 상기 제 1볼록부로부터의 방향에서 상기 복수 접편 사이의 다른 접편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홈에 설치된 케이스를 가지고, 상기 액세서리 장착부는 상기 홈에 설치되고, 상기 홈은 상기 홈을 폐색 및 개방하는 뚜껑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촬상 장치인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액세서리 기기의 액세서리 장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에 설치되는 액세서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기기의 연결부는 상기 액세서리 기기의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축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축 부재의 중심축에 평행한 두 방향 중 하나는 상기 축부재의 폭 방향이고, 두 방향 중 다른 방향은 상기 축부재의 전후 방향이고,
    상기 전후 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는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는 상기 축부재의 각 측면 단부에 돌출적으로 동일 평면으로 설치되며, 상기 축부재의 각 측면에서 상기 제 1잠금부와 상기 제 2잠금부 사이의 부분은 홈을 형성하고,
    상기 축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연장되고, 전자기기의 상기 액세서리 장착부에 대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축부재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축부재가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액세서리 장착부에 대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상부 가이드면은 상기 축부재의 길이 방향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축부재의 부분의 케이스로부터 떨어진 단에 설치되며, 상기 축부재의 부분은 상기 축부재의 각 측면에서 홈과 제 2잠금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면과 평행하여 연장되는 접편 장착면은 상기 축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면의 전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축부재의 부분에 대한 단에 설치되며, 상기 축부재의 부분은 상기 축부재의 각 측면에서 제 1잠금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전기적인 연결을 하는 복수 접편은 상기 접편 장착면에서 상기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액세서리 장착부에 대해서 상기 축부재의 상기 폭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축부재가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액세서리 장착부에 대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하부 가이드면은 상기 길이 방향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접편 장착면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기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가이드면을 향하는 상기 접편 장착면으로부터의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액세서리 장착면에 대하여 상기 축부재의 전후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면은 상기 상부 가이드면과 상기 접편 장착면 사이의 경계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기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의 각 측면에서 상기 단부의 외부방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제 1잠금부의 베이스를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벽은 상기 축부재의 길이 방향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편 장착면은 상기 축부재의 양 측면에서 가이드 벽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축부재의 길이 방향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벽의 단은 상기 접편 장착면의 전방으로 위치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면은 상기 접편 장착면으로부터 떨어져 향하는 상기 가이드 벽의 외부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기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의 각 측면에서 스프링편이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활성화되는 상기 스프링편은 오목부가 설치되는 위치보다 상기 케이스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측벽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기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접편은 상기 장착면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고 복수 접편이 돌출하는 방향으로 작동되게 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기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의 상기 제 1잠금부와 상기 제 2잠금부가 설치되는 상기 축부재의 각 측면에서 상기 단부보다 케이스에 더 가까운 부분에 회전하여 설치되는 동작 링과,
    상기 동작 링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잠금부와 상기 제 2잠금부를 향하거나 멀리 떨어져 이동하고, 상기 제 1잠금부와 상기 제 2잠금부와 협동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액세서리 장착부를 고정하고 억압하는 클램프 블록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블록은 상기 제 1잠금부와 상기 제 2잠금부와 협동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액세서리 장착면을 고정하고 억압하며, 하나의 클램핑부에 대한 중간부로부터 돌출되는 각각의 부분을 저지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액세서리 장착부와 계합함으로써, 상기 축부재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을 저지하는 상기 클램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기기.
KR1020050034733A 2004-04-27 2005-04-26 전자기기 및 액세서리 기기 KR101111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1321 2004-04-27
JPJP-P-2004-00131552 2004-04-27
JP2004131321 2004-04-27
JP2004131552A JP4042717B2 (ja) 2004-04-27 2004-04-27 アクセサリーシュー装置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アクセサリー
JPJP-P-2004-00231818 2004-08-09
JP2004231818 2004-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483A KR20060047483A (ko) 2006-05-18
KR101111280B1 true KR101111280B1 (ko) 2012-02-21

Family

ID=3494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733A KR101111280B1 (ko) 2004-04-27 2005-04-26 전자기기 및 액세서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612826B2 (ko)
EP (1) EP1594310B1 (ko)
KR (1) KR101111280B1 (ko)
DE (1) DE602005000371T2 (ko)
SG (1) SG116636A1 (ko)
TW (1) TWI3051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9310B2 (en) 2001-09-07 2004-06-15 Contrast Lighting Services, Inc. Wide area lighting effects system
US7604361B2 (en) 2001-09-07 2009-10-20 Litepanels Llc Versatile ligh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kit
US7612826B2 (en) * 2004-04-27 2009-11-03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device
JP4855001B2 (ja) * 2005-07-25 2012-01-18 Hoya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
JP5106060B2 (ja) * 2007-11-16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438862B2 (ja) * 2007-12-25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装置
JP5173397B2 (ja) * 2007-12-26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機器
KR20120136671A (ko) * 2011-06-09 2012-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장착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US9049378B2 (en) * 2011-06-30 2015-06-02 Nikon Corporation Accessory, camera, accessory shoe, and connector
US20130010185A1 (en) * 2011-06-30 2013-01-10 Nikon Corporation Accessory, camera, accessory shoe, and connector
US8885094B2 (en) 2011-06-30 2014-11-11 Nikon Corporation Accessory, camera, accessory shoe, and connector
TWI468840B (zh) * 2012-02-28 2015-01-11 Canon Kk 可裝卸地安裝到相機側配件插座的相機配件裝置
JP3187195U (ja) * 2013-09-03 2013-11-1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カメラシュー延長装置
JP6272056B2 (ja) * 2014-01-30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TWI576631B (zh) * 2015-11-19 2017-04-01 晶睿通訊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及其影像監控設備
CN107037667A (zh) * 2016-02-03 2017-08-11 佳能株式会社 多极化的用于附件的信号端子连接器、附件插座装置、摄像设备及附件
US9985399B2 (en) * 2016-02-03 2018-05-29 Canon Kabushiki Kaisha Accessory shoe device to which accessory is attached, image pickup apparatus, and accessory
JP6923312B2 (ja) * 2016-12-01 2021-08-1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撮像装置用の電子部品及び撮像装置
US20200295483A1 (en) * 2019-03-14 2020-09-1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20220156883A (ko) * 2020-04-09 2022-11-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기 및 악세서리
CN113906341B (zh) 2020-04-09 2024-01-09 佳能株式会社 电子设备和配件
KR102669396B1 (ko) * 2020-04-09 2024-05-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슈 장치, 악세사리, 악세사리 슈 장치 및 전자기기
CN113906340B (zh) 2020-04-09 2022-10-04 佳能株式会社 电子设备和配件
KR20220154172A (ko) * 2020-04-09 2022-11-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기 및 악세서리
DE102020210496B3 (de) * 2020-08-19 2021-12-1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dapterstecker und Elektronikbaugruppe mit einem Adapterstecker
JP2022089679A (ja) * 2020-12-04 2022-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中継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5263A (ja) * 2002-03-28 2003-10-15 Fuji Photo Film Co Ltd ストロボ装置
JP2004029733A (ja) * 2003-03-14 2004-01-29 Sony Corp アクセサリーシュー及びアクセサリーシューを有する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2394A (en) 1963-02-13 1966-05-24 Agfa Ag Flash device for cameras
US4591250A (en) * 1984-11-01 1986-05-27 Woodruff Robert L Level and accessory mounting attachment for cameras
US5089834A (en) 1988-05-16 1992-02-1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Mounting devices for removably mounting an accessory on a camera
US5016142A (en) * 1990-07-27 1991-05-14 Sundstrand Corporation Printed circuit board guide apparatus for a limited access area
JPH09163200A (ja) 1995-12-13 1997-06-20 Omron Corp コネクタ装置
TW457755B (en) * 1997-08-20 2001-10-01 Sony Corp Connector device
US6587152B1 (en) * 1998-10-19 2003-07-01 International Police Technologies, Inc. Camcorder mounting and control system
JP3799542B2 (ja) 2000-12-01 2006-07-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22108B2 (ja) * 2001-01-30 2011-02-02 株式会社ニコン 閃光装置
US7612826B2 (en) * 2004-04-27 2009-11-03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5263A (ja) * 2002-03-28 2003-10-15 Fuji Photo Film Co Ltd ストロボ装置
JP2004029733A (ja) * 2003-03-14 2004-01-29 Sony Corp アクセサリーシュー及びアクセサリーシューを有する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0371D1 (de) 2007-02-08
EP1594310A3 (en) 2005-12-28
TW200605643A (en) 2006-02-01
EP1594310B1 (en) 2006-12-27
US7612826B2 (en) 2009-11-03
TWI305106B (en) 2009-01-01
US20050237426A1 (en) 2005-10-27
SG116636A1 (en) 2005-11-28
US8098326B2 (en) 2012-01-17
DE602005000371T2 (de) 2007-10-18
KR20060047483A (ko) 2006-05-18
EP1594310A2 (en) 2005-11-09
US20080204591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280B1 (ko) 전자기기 및 액세서리 기기
JP4375268B2 (ja) 電子機器およびアクセサリー機器
JP4042717B2 (ja) アクセサリーシュー装置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アクセサリー
JP3263629B2 (ja) 電子機器コネクタ
JP4438862B2 (ja) カメラ装置
US20060128226A1 (en) Accessory
JP5272824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カメラボディおよび撮像ユニット
US20040219809A1 (en) Connector connecting construction and a connector connecting method
US11016372B2 (en) Electronic apparatus to which accessory is removably attached, accessory, and system
JP2006179393A (ja) 電子機器
JP4019776B2 (ja) 電子機器及び電池収納装置のロック機構
JP2009159118A (ja) カメラ装置
JP4472913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4019777B2 (ja) 電子機器及び電池収納装置のロック機構
JP4513561B2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
JP5272817B2 (ja) カメラボディ及びこのカメラボディに着脱される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H09213401A (ja) コネクタ
JP4453011B2 (ja) アクセサリー
US20200006725A1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battery chamber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electronic apparatus
JP2003272749A (ja) コネクタ
JP2007300494A (ja) 画像読取装置
JP2010153225A (ja) 撮像装置
JP2009159117A (ja) 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1064461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6174283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