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671A - 플래시 장착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 Google Patents

플래시 장착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671A
KR20120136671A KR1020110055740A KR20110055740A KR20120136671A KR 20120136671 A KR20120136671 A KR 20120136671A KR 1020110055740 A KR1020110055740 A KR 1020110055740A KR 20110055740 A KR20110055740 A KR 20110055740A KR 20120136671 A KR20120136671 A KR 20120136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external flash
flash
termin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헌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6671A/ko
Priority to US13/301,879 priority patent/US8761595B2/en
Priority to CN2012100253843A priority patent/CN102819166A/zh
Publication of KR2012013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6Connection with camera, e.g. adap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카메라는, 외장 플래시의 접속 단자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단자부를 상면에 구비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래시 장착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Camera with mount for flash}
실시예들은 플래시 장착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작은 크기로 갖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외장 플래시와의 전기적 접속 성능이 향상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의 플래시는 순간적인 섬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촬영을 위한 광량의 확보를 돕는 장치이다. 카메라는 외장 플래시의 장착을 위해 일명 핫슈(hot shoe)라고도 불리는 전용 단자를 구비하며, 필요한 경우에 핫슈에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여 촬영에 이용하기도 한다.
카메라에 설치되는 외장 플래시 장착용 단자는 외장 플래시와 카메라의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단자핀과, 단자핀과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배선 등의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외장 플래시 장착용 단자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 제작 비용을 증가시키고, 단자핀과 배선과 회로기판을 납땜에 의해 연결해야 하므로 조립이 불편하였으며, 크기가 커서 카메라를 소형화하는 데 한계로 작용하였다.
실시예들의 목적은 단순하면서도 작은 크기로 갖도록 설계된 플래시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며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플래시와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플래시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는, 외장 플래시의 접속 단자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단자부를 상면에 구비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지지부는 외장 플래시의 접속부를 지지하도록 회로기판의 양측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된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는 날개부와 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날개부와 회로기판의 사이에 외장 플래시의 접속부가 삽입되면 변형되어 접속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프링은 회로기판에 형성된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외장 플래시의 접속부가 지지부에 삽입될 때, 외장 플래시의 접속 단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외장 플래시의 접속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외장 플래시의 접속부가 지지부에 삽입될 때, 외장 플래시의 접속 단자의 삽입을 허용하는 복수 개의 절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외장 플래시의 접속부가 지지부에 삽입될 때, 외장 플래시의 접속 단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외장 플래시의 접속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회로기판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단자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안내 패턴부를 구비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일단이 단자부의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로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회로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는 회로 패턴의 타단에 접속되는 유연성 회로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회로패턴의 타단은 지지부가 설치되는 케이스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유연성 회로기판의 일단이 회로 패턴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유연성 회로기판은 케이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카메라는, 외장 플래시를 카메라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핀과 이를 지지하는 스프링 등의 부가적인 부품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외장 플래시를 카메라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핀을 이용하던 종래 방식에서는 단자들의 접촉 부분에서 접촉에 의한 전기 저항이 증가하지만, 플래시 마운트의 단자부는 회로기판에 형성된 회로패턴을 형성할 때에 함께 형성되므로, 전기 저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서 신호 전달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에 플래시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가 구비한 플래시 마운트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래시 마운트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플래시 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포함된 회로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플래시 마운트의 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플래시 마운트의 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카메라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에 플래시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3)는, 이미지의 영상광을 수광하는 렌즈부(2)와, 케이스(4)를 구비한다. 케이스(4)의 상측에는 외장 플래시(7)가 장착되는 플래시 마운트(5)가 설치된다.
외장 플래시(7)가 카메라(3)의 플래시 마운트(5)에 장착될 때에는, 외장 플래시(7)의 접속부(8)가 플래시 마운트(5)에 삽입된다.
플래시 마운트(5)는 외장 플래시(7)의 접속 단자(9)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단자부(11)를 구비한다. 플래시 마운트(5)가 외장 플래시(7)가 결합되면, 접속 단자(9)와 단자부(11)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외장 플래시(7)와 카메라(3)의 사이에 전기적 신호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3)의 플래시 마운트(5)에 외장 플래시(7)를 장착하려면, 외장 플래시(7)의 접속부(8)를 플래시 마운트(5)에 삽입하여 카메라(3)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외장 플래시(7)의 접속부(8)가 플래시 마운트(5)에 삽입되는 동안 외장 플래시(7)의 접속 단자(9)가 플래시 마운트(5)의 홈(15)을 따라 이동한다. 플래시 마운트(5)의 홈(15)은 접속 단자(9)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의 역할을 한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가 구비한 플래시 마운트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플래시 마운트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플래시 마운트의 단면도이다.
외장 플래시(7)가 장착되는 플래시 마운트(5)는 외장 플래시(7)의 접속 단자(9)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단자부(11)를 상면에 구비한 회로기판(10)과, 회로기판(10)을 지지하는 지지부(20)를 구비한다.
지지부(20)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3)에 설치되며, 플래시 마운트(5)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지지부(2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회로기판(10)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22)와, 베이스(22)의 양측 단부에서 회로기판(10)의 상측을 향해 돌출된 날개부(21)를 구비한다.
회로기판(10)은 절연성 소재의 기판부(19)와, 기판부(19)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자부(11)와, 단자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판부(19)의 상면을 따라 연장하는 회로패턴(12)을 구비한다. 회로패턴(12)의 일단은 단자부(11)의 각각에 연결되고, 회로패턴(12)의 타단은 회로기판(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회로패턴(12)은 여러 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기판부(19)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방법, 도금 방법, 에칭 방법 등이나 이들 방법들을 조합하여 회로패턴(12)을 기판부(19)에 형성할 수 있다.
회로기판(10)의 단자부(11)의 표면은 내구성 강화를 위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부(11)의 표면은 전해 하드 골드 코팅(Electrolytic hard gold plating)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전해 하드 골드 코팅은, 금속의 표면에 금도금을 실시한 후, 광택제(brightener)를 가함으로써 금도금 입자가 매우 조밀해지도록 하여 코팅된 금속의 표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회로패턴(12)의 타단에 형성된 접속 단자부(18)에는 유연성 회로기판(4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연성 회로기판(40)은 유연성을 갖는 절연성 소재의 기판부(41)와 기판부(41)를 따라 연장하는 패턴부(42)를 구비한다. 유연성 회로기판(40)은 카메라(3)의 제어부(미도시)와 회로기판(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부(20)의 날개부(21)와 회로기판(10)의 사이에는 스프링(30)이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30)은 회로기판(10)에 결합되는 결합부(31)와, 일단은 결합부(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부(20)의 날개부(21)에 접촉하는 탄성 변형부(32)를 구비한다.
탄성 변형부(32)는 날개부(21)와 회로기판(10)의 사이에 삽입되는 외장 플래시(7)의 접속부(8)에 의해 가압되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탄성 변형부(32)는 날개부(21)와 회로기판(10)의 사이에 삽입된 외장 플래시(7)의 접속부(8)에 탄성력을 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로기판(10)의 상면에서 결합부(31)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그라운드 단자(17)가 형성된다. 스프링(30)이 회로기판(10)에 결합되면, 결합부(31)와 그라운드 단자(17)의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회로기판(10)의 하면에도 베이스(22)에 접촉하도록 그라운드 단자(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포함된 회로기판의 단면도이다.
회로기판(1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홈(15)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홈(15)은 외장 플래시(7)의 접속 단자(9)가 회로기판(1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 개의 홈(15)은 외장 플래시(7)의 접속부(8)의 이동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회로패턴(12)의 타단에 형성된 접속 단자부(18)는 카메라(3)의 케이스(4)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속 단자부(18)는 회로기판(10)의 X축 방향에서 후방을 향하는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유연성 회로기판(40)의 일단은 접속 단자부(18)에 연결되고, 유연성 회로기판(40)은 케이스(4)의 연장 방향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의 플래시 마운트(5)가 도 1의 카메라(3)에 장착되면, 유연성 회로기판(40)은 케이스(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카메라(3)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유연성 회로기판(4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플래시 마운트(5)를 구비한 카메라(3)를 이용하면, 외장 플래시(1)를 카메라(3)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인 핀과 이를 지지하는 스프링 등의 부가적인 부품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카메라 설계가 가능해진다.
또한 외장 플래시(1)를 카메라(3)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핀을 이용하던 종래 방식에서는 단자들의 접촉 부분에서 접촉에 의한 전기 저항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플래시 마운트(5)의 단자부(11)는 회로기판(10)에 형성된 회로패턴(12)을 형성할 때에 함께 형성되므로, 전기 저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서 신호 전달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플래시 마운트의 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플래시 마운트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난 플래시 마운트의 구성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회로기판(110)의 구성이 변형되었다.
회로기판(11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단자부(111)와, 단자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면을 따라 연장하는 회로패턴(112)이 형성된다. 회로패턴(112)의 일단은 단자부(111)의 각각에 연결되고, 회로패턴(112)의 타단은 회로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회로패턴(112)의 타단에는 유연성 회로기판(14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기판(110)의 상면에는 또한 복수 개의 안내 패턴부(115)가 형성된다. 안내 패턴부(115)의 일단은 단자부(111)의 각각에 연결되고 안내 패턴부(115)의 타단은 회로기판(110)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안내 패턴부(115)는 회로기판(110)에 회로패턴(112)과 단자부(111)를 형성할 때 이들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안내 패턴부(115)는 도 1에 도시된 외장 플래시(7)의 접속부(8)가 회로기판(11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로기판(110)의 단자부(111)와 안내 패턴부(115) 등의 표면은 내구성 강화를 예를 들어, 전해 하드 골드 코팅(Electrolytic hard gold plating)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유연성 회로기판(140)의 일단은 회로패턴(112)의 타단에 연결되고, 유연성 회로기판(140)은 케이스(미도시; 도 1 참조)의 연장 방향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플래시 마운트의 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플래시 마운트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난 플래시 마운트의 구성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회로기판(210)의 구성이 변형되었다.
회로기판(21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단자부(211)와, 단자부(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면을 따라 연장하는 회로패턴(212)이 형성된다. 회로패턴(212)의 일단은 단자부(211)의 각각에 연결되고, 회로패턴(212)의 타단은 회로기판(2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회로패턴(212)의 타단에는 유연성 회로기판(24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기판(210)은 타측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절개부(215)를 구비한다. 절개부(215)는 회로기판(21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단자부(211)에 인접한 위치에 까지 연장한다. 절개부(215)는 도 1에 도시된 외장 플래시(7)의 접속부(8)가 회로기판(11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연성 회로기판(240)의 일단은 회로패턴(212)의 타단에 연결되고, 유연성 회로기판(240)은 케이스(미도시; 도 1 참조)의 연장 방향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술한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선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 외장 플래시 18: 접속 단자부
2: 렌즈부 19: 기판부
3: 카메라 20: 지지부
4: 케이스 21: 날개부
5: 플래시 마운트 22: 베이스
7: 플래시 30: 스프링
8: 접속부 31: 결합부
9: 접속 단자 32: 탄성 변형부
10, 110, 210: 회로기판 40, 140, 240: 유연성 회로기판
11, 111, 211: 단자부 41: 기판부
12, 112, 212: 회로패턴 42: 패턴부
15: 홈 115: 안내 패턴부
16, 17: 그라운드 단자 215: 절개부

Claims (10)

  1. 외장 플래시의 접속 단자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단자부를 상면에 구비한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외장 플래시의 접속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양측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된 날개부를 구비한,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날개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에 상기 외장 플래시의 상기 접속부가 삽입되면 변형되어 상기 접속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한,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는, 카메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외장 플래시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지지부에 삽입될 때, 상기 외장 플래시의 상기 접속 단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외장 플래시의 상기 접속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는, 카메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외장 플래시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지지부에 삽입될 때, 상기 외장 플래시의 상기 접속 단자의 삽입을 허용하는 복수 개의 절개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외장 플래시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지지부에 삽입될 때, 상기 외장 플래시의 상기 접속 단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외장 플래시의 상기 접속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안내 패턴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일단이 상기 단자부의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회로패턴을 구비하는,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의 상기 타단에 접속되는 유연성 회로기판을 더 구비하는, 카메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의 상기 타단은 상기 지지부가 설치되는 케이스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연성 회로기판의 일단이 상기 회로패턴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유연성 회로기판은 상기 케이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카메라.
KR1020110055740A 2011-06-09 2011-06-09 플래시 장착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KR20120136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740A KR20120136671A (ko) 2011-06-09 2011-06-09 플래시 장착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US13/301,879 US8761595B2 (en) 2011-06-09 2011-11-22 Camera including mount for flash
CN2012100253843A CN102819166A (zh) 2011-06-09 2012-02-06 相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740A KR20120136671A (ko) 2011-06-09 2011-06-09 플래시 장착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671A true KR20120136671A (ko) 2012-12-20

Family

ID=4729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740A KR20120136671A (ko) 2011-06-09 2011-06-09 플래시 장착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61595B2 (ko)
KR (1) KR20120136671A (ko)
CN (1) CN1028191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2056B2 (ja) * 2014-01-30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4079831B (zh) * 2014-06-30 2017-09-12 苏州吉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路闪光同步信号的相机
JP6643119B2 (ja) * 2016-02-03 2020-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ーシュー装置及び撮像装置
CN107037667A (zh) * 2016-02-03 2017-08-11 佳能株式会社 多极化的用于附件的信号端子连接器、附件插座装置、摄像设备及附件
US9985399B2 (en) * 2016-02-03 2018-05-29 Canon Kabushiki Kaisha Accessory shoe device to which accessory is attached, image pickup apparatus, and accessory
US10061184B2 (en) * 2017-01-25 2018-08-28 Bby Solutions, Inc. Mounting system with break away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944A (en) * 1974-02-11 1975-11-04 Optigon Res & Dev Corp Radiation sensitive flash apparatus
JPS5258529A (en) * 1975-11-08 1977-05-14 Canon Inc Camera system
JPS5454029A (en) * 1977-10-06 1979-04-27 Canon Inc Light varying strobo camera of program type
JPS5815932Y2 (ja) * 1978-08-01 1983-03-3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ボ装置の取付具
JPS55106439A (en) * 1979-02-08 1980-08-15 Olympus Optical Co Ltd Single-lens reflex camera
JP2695245B2 (ja) * 1989-07-03 1997-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デオカメラ
US7218353B2 (en) * 2001-12-26 2007-05-15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that selectively performs different exposure calculation routines
JP4429125B2 (ja) * 2003-10-14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閃光装置、閃光撮影システム及び閃光装置の制御方法
CN100401747C (zh) * 2004-04-27 2008-07-09 索尼株式会社 电子装置和附件装置
US7612826B2 (en) * 2004-04-27 2009-11-03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device
US7940365B2 (en) * 2007-01-05 2011-05-10 Apple Inc. Compact display flex and driver sub-assemblies
JP5106060B2 (ja) * 2007-11-16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0026263A (ja) * 2008-07-18 2010-02-04 Panasonic Corp 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15029A1 (en) 2012-12-13
US8761595B2 (en) 2014-06-24
CN102819166A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6671A (ko) 플래시 장착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JP6325720B1 (ja) 多接点コネクタ
TWI322537B (en) Electrical connector
US8113887B2 (en)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55397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for signal-transmitting connection of two circuit boards
JP2014164884A (ja) コネクタ
US10468798B2 (en) Electrical contact pre-load structure
JP6342991B2 (ja) 薄型回路基板コネクタ
JP6045953B2 (ja) コネクタ
US9136621B1 (en) Guides and tab arrangement to retain a card having an edge connector and method of use
JP2018200850A (ja) 電気コネクタ
JPWO2018012243A1 (ja) コネクタ
US9685749B1 (en) Cable limiting device and server thereof
US20200221573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US9743556B1 (en)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KR101754088B1 (ko) Pcb 기판의 안착홀에 삽입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pcb 조립체
JP5769589B2 (ja) フラット回路体のコネクタ接続構造
JP2017164280A (ja) 撮像モジュール、内視鏡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264921B2 (ja) 光電変換ユニットおよび光電変換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1001890B1 (ko) 연결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US20120122324A1 (en) Circuit connection assembly
JP3246221U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101320597B1 (ko)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KR20120107176A (ko)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5820205B2 (ja) 端子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