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911B1 -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911B1
KR101107911B1 KR1020087020256A KR20087020256A KR101107911B1 KR 101107911 B1 KR101107911 B1 KR 101107911B1 KR 1020087020256 A KR1020087020256 A KR 1020087020256A KR 20087020256 A KR20087020256 A KR 20087020256A KR 101107911 B1 KR101107911 B1 KR 101107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igonucleotide
base
seq
probe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922A (ko
Inventor
미츠하루 히라이
사토시 마지마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1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48Glycosyltransferases (2.4)
    • C12N9/1051Hexosyltransferases (2.4.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Primer sets for multiplex ass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nt Pathology (AREA)

Abstract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에서의 검출 목적 부위를 포함하는 목적 영역을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 셋트로서, 상기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셋트를 제공한다. 서열 번호 4 또는 서열 번호 81, 서열 번호 21 및 서열 번호 42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포워드 프라이머와, 서열 번호 13 또는 서열 번호 91, 서열 번호 29 및 서열 번호 48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리버스 프라이머를 각각 포함하는 3쌍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한다. 이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함으로써, 동일 반응액에서 동시에 UGT1A1 유전자의 3종류의 다형(UGT1A1*6, UGT1A1*27, UGT1A1*28)이 발생하는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3개의 목적 영역을 증폭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PRIMER SET FOR AMPLIFICATION OF UGT1A1 GENE, REAGENT FOR AMPLIFICATION OF UGT1A1 GENE COMPRIS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UGT1A1 유전자를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글루쿠론산 전이 효소(UDP-Glucuronosyl Transferase:UGT)는, 약물, 이물질, 내재성 물질인 빌리루빈, 스테로이드 호르몬, 담즙산 등에 글루쿠론산을 부가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며, 약물 대사 효소로서 알려져 있다. UGT로는, UGT1 패밀리와 UGT2 패밀리로 분류되는 복수의 아이소자임이 보고되어 있다. 이들 아이소자임 중에서도 UGT1 패밀리에 속하는 UGT1A1을 코드하는 유전자(UGT1A1 유전자)에는, 유전자 다형이 존재하고, 일반적으로 항암제인 염산일리노테칸의 부작용의 발현에 관여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환자가 UGT1A1 유전자 다형을 갖는 경우, 높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일리노테칸 가수분해물(SN-38)을 UGT에 의해 해독하는 기능이 저하되므로, 백혈구의 감소나 설사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생기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부작용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유전자 다형으로서, 프로모터 영역의 다형 UGT1A1*28, 엑손 1의 다형 UGT1A1*6 및 UGT1A1*27이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다형 UGT1A1*28에 더해, 추가로 다형 UGT1A1*6 및 UGT1A1*27의 적어도 하나를 겸비함으로써, 보다 강한 부작용이 나타나기 쉽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 UGT1A1은 생체내에서 글루쿠론산에 의한 빌리루빈 포합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 다형은 길버트 증후군 등의 체질성 황달의 원인도 되고 있다. 이 때문에 UGT1A1 유전자에 대해 복수의 다형을 조사하는 것은,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의 정도를 예측하여 부작용의 발증을 예측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한편, 모든 질환의 원인이나, 개체간의 질환 이(易)나환성(질환에 걸리기 쉬움), 개체간에 있어서의 약효의 차이 등을 유전자 레벨로 해석하는 방법으로서, 점돌연변이, 소위 일염기 다형(SNP)의 검출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점돌연변이의 일반적인 검출 방법으로는, (1) 시료의 표적 DNA에 대해, 검출 대상 서열에 상당하는 영역을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의해 증폭시켜 그 전체 유전자 서열을 해석하는 Direct Sequencing법, (2) 시료의 표적 DNA에 대해, 검출 대상 서열에 상당하는 영역을 PCR에 의해 증폭시켜, 상기 검출 대상 서열에서의 목적의 변이의 유무에 따라 절단 작용이 상이한 제한 효소에 의해 그 증폭 산물을 절단하고, 전기 영동을 행함으로써 타이핑을 행하는 RFLP 해석, (3) 3' 말단 영역에 목적의 변이가 위치하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행하고, 증폭의 유무에 따라 변이를 판단하는 ASP-PCR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시료로부터 추출한 DNA의 정제, 전기 영 동, 제한 효소 처리 등이 필수이므로, 수고나 비용이 들게 된다. 또, PCR을 행한 후 반응 용기를 일단 개봉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증폭 산물이 다음 반응계에 혼입되어 해석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자동화가 어렵기 때문에, 대량의 샘플을 해석할 수 없다. 또, 상기 (3)의 ASP-PCR법은 특이성이 낮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최근 점돌연변이의 검출 방법으로서, 표적 핵산과 프로브로 형성되는 이중쇄 핵산의 융해 온도(Tm:melting temperature)를 해석하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Tm 해석, 또는 상기 이중쇄의 융해 곡선의 해석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융해 곡선 해석이라 불리고 있다. 이것은 이하와 같은 방법이다. 즉, 우선 검출 목적의 점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사용하여, 검출 시료의 표적 단일쇄 DNA와 상기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이중쇄 DNA)를 형성시킨다. 이어서, 이 하이브리드 형성체에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온도 상승에 따르는 하이브리드의 해리(융해)를, 흡광도 등의 시그널의 변동에 의해 검출한다. 그리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Tm값을 결정함으로써, 점돌연변이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Tm값은,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상동성이 높을수록 높고, 상동성이 낮을수록 낮아진다. 이 때문에, 점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과 그것에 상보적인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에 대해 미리 Tm값(평가 기준치)을 구해 두고, 검출 시료의 표적 단일쇄 DNA와 상기 프로브와의 Tm값(측정치)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치가 평가 기준치와 동일한 정도라면 매치, 즉 표적 DNA에 점돌연변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측정치가 평가 기준치보다 낮으면 미스매치, 즉 표적 DNA에 점돌연변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하면, 유전자 해석의 자동화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Tm 해석을 이용한 검출 방법도, PCR에 있어서 검출 목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이적이고 효율적으로 증폭시켜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UGT에는 많은 아이소자임이 존재하고, 이들을 코드하는 서열도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PCR에 있어서 UGT1A1 이외의 아이소자임의 코드 유전자까지도 증폭될 우려가 있다. 또, 이와 같이 다른 아이소자임의 코드 유전자까지도 증폭된 경우, 예를 들어 UGT1A1 유전자의 특정 다형(UGT1A1*28, UGT1A1*6 또는 UGT1A1*27)의 해석(비특허문헌 1)에 있어서 해석 결과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나의 샘플을 해석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이 수반되므로, 대량의 샘플을 해석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비특허문헌 1 : PMID:11156391 Cancer Res. 2000 Dec 15; 60(24):6921-6.
따라서, 본 발명은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의 목적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 셋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는,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를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 셋트로서, 하기 프라이머 셋트 (1)∼(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 셋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라이머 셋트 (1)
하기 (F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
(F1)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120번째 아데닌 염기 (A)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8∼22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아데닌 염기 (A)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140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8∼34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 (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1)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226번째 구아닌 염기 (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17∼27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2226번째 구아닌 염기 (G)에 상보적인 시토신 염기 (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198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22∼39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2198번째 시토신 염기 (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 (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셋트 (2)
하기 (F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
(F2)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622번째 구아닌 염기 (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5∼27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구아닌 염기 (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2)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687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17∼26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2687번째 시토신 염기 (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 (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셋트 (3)
하기 (F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
(F3)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1863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7∼31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 (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3)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1928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16∼20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1928번째 시토신 염기 (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 (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 본 발명의 유전자 증폭용 시약은,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를 증폭시키기 위한 시약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은,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의 증폭 산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I)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 시료 중의 핵산을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여, 반응액 중에서 상기 UGT1A1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공정.
본 발명의 다형 해석 방법은, UGT1A1 유전자에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해석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i)∼(iv)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에서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반응액 중에서 증폭시키는 공정,
(ii) 상기 (i) 공정에서의 증폭 산물과, 상기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드화가능한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준비하는 공정,
(iii)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증폭 산물과 상기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값을 측정하는 공정,
(iv) 온도 변화에 따르는 상기 시그널값의 변동으로부터 상기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결정하는 공정.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에 의하면, UGT1A1 유전자에서의 검출 목적의 다형(UGT1A1*28, UGT1A1*6 또는 UGT1A1*27)이 발생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목적 영역을, 반응액 중에서 특이적으로 또한 고효율로 증폭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법과는 달리, 수고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UGT1A1 유전자의 특정 다형이 발생하는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더 사용함으로써, 상기 반응액을 사용하여 그대로 Tm 해석을 행하여, 상기 다형을 타이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하나의 반응액으로 상기 목적 영역의 증폭 및 다형의 타이핑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의 자동화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불순물이 포함되는 시료(예를 들어, 전혈(全血)이나 구강 점막 등)라 하더라도, 전처리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증폭 반응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면, 종래보다 우수한 증폭 효율로 증폭 반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증폭 반응도 단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나 이것을 포함하는 시약, 및 이들을 사용한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 및 다형 해석 방법에 의하면, UGT1A1 유전자의 다형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분야에서 매우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에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에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 셋트 (1)∼(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 셋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라이머 셋트를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어 UGT1A1 유전자에서의 특정한 목적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는, 예를 들어 상기 프라이머 셋트 (1)∼(3) 중 어느 1종류만을 포함해도 되고, 어느 2종류, 또는 프라이머 셋트 (1)∼(3) 모두를 포함해도 된다. 후술하지만, 프라이머 셋트 (1)에 의해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목적 영역은, UGT1A1 유전자에 있어서 다형 UGT1A1*6이 발생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이고, 프라이머 셋트 (2)에 의해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목적 영역은, UGT1A1 유전자에 있어서 다형 UGT1A1*27이 발생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이고, 프라이머 셋트 (3)에 의해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을 목적 영역은, UGT1A1 유전자에 있어서 다형 UGT1A1*28이 발생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UGT1A1 유전자의 이들 3종류의 다형은, 모두 약제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다형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어느 1종류 뿐만 아니라, 어느 2종류 또는 3종류 모두의 다형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법에서는, 하나의 반응계에서 복수의 서열을 해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UGT에는 많은 아이소자임이 존재하기 때문에, PCR에 있어서 UGT1A1 이외의 아이소자임의 코드 유전자까지도 증폭되는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UGT1A1 유전자의 3종류의 다형(UGT1A1*28, UGT1A1*6 및 UGT1A1*27) 중 2종류 또는 3종류 모두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별개의 반응계에서 각각 증폭시켜, 얻어진 증폭 산물을 별개로 해석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서는, UGT 유전자 중에서도 UGT1A1 유전자만을 주형으로 하고, 또한 UGT1A1 유전자에 있어서 상기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를 각각 포함하는 2종류 또는 3종류의 목적 영역만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나의 샘플을 해석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이 수반되므로, 대량의 샘플을 해석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에 의하면, 상기 프라이머 셋트 (1)∼(3) 중 어느 2종류 또는 3종류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각각의 목적 영역을, 동일 반응액에서 동시에 또한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종래법과는 달리, 수고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동일 반응액에서 2개 또는 3개의 목적 영역이 특이적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각각의 목적 영역에서의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반응액을 사용하여 그대로 Tm 해석을 행하여, 상기 2종류 또는 3종류의 다형을 각각 타이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UGT1A1 유전자에서의 2종류 또는 3종류의 다형을 동일 반응액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 셋트 (1)∼(3) 중 어느 1종류를 포함하는 경우는 물론, 어느 2종류 또는 3종류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UGT1A1 유전자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여, 1개의 목적 영역은 물론, 2개 또는 3개의 목적 영역을 동시에 증폭시키면, 종래보다 효율적으로 UGT1A1 유전자의 다형 해석을 행할 수 있다.
이하, 포워드 프라이머를 F 프라이머, 리버스 프라이머를 R 프라이머라고 하기도 한다.
상기 프라이머 셋트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기 (F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이다.
(F1)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120번째 아데닌 염기 (A)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8∼22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아데닌 염기 (A)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140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8∼34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 (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1)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226번째 구아닌 염기 (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17∼27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2226번째 구아닌 염기 (G)에 상보적인 시토신 염기 (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198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22∼39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2198번째 시토신 염기 (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 (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 번호 1에 나타내는 염기 서열은, 인간(Homo sapiens) 유래 UGT1 패밀리의 UGT1A1 유전자의 완전한 장서열이며, 예를 들어 NCBI 수탁 번호 No. AY603772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프라이머 셋트 (1)은, 서열 번호 1에서의 2121번째∼2225번째 영역, 2141번째∼2197번째 영역, 2121번째∼2197번째 영역, 또는 2141번째∼2225번째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DNA쇄 및 그 상보쇄를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 셋트이다. 이 영역내의 2160번째 염기(서열 번호 1에서의 2160번째 염기)는, UGT1A1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점돌연변이(2160G, 2160A)의 존재가 알려져 있고, 이 다형이 상술한 UGT1A1*6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부위의 다형은, 호모 접합체의 경우 2060G/G, 2160A/A, 헤테로 접합체의 경우 2160G/A로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이 프라이머 셋트 (1)을, 「UGT1A1*6용 프라이머 셋트」라고도 한다. UGT1A1*6의 다형만을 해석하는 경우에는, UGT1A1*6용 프라이머 셋트만을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 셋트 (1)의 F1 프라이머 및 R1 프라이머는, DNA 폴리머라제에 의한 증폭의 개시점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3' 말단의 염기가,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이와 같이 각 프라이머의 3' 말단의 염기를 고정함으로써, 프라이머 셋트 (1)가 예를 들어, 유사한 다른 아이소자임의 유전자(예를 들어, UGT1A3 유전자, UGT1A4 유전자 등)에 결합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F1 프라이머 및 R1 프라이머는, 그 3' 말단의 염기가 고정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에, 각 프라이머의 길이 자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길이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프라이머의 길이의 일례로는, 예를 들어 13∼50mer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4∼45mer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mer이다. 구체예로서, 상기 F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에서의 2120번째 아데닌 염기 (A)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8∼22번째 염기(바람직하게는 19∼22번째 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19∼21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에서의 2140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8∼34번째 염기(바람직하게는 21∼33번째 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24∼31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R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에서의 2226번째 구아닌 염기 (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17∼27번째 염기(바람직하게는 19∼26번째 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19∼23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에서의 2198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22∼39번째 염기(바람직하게는 23∼36번째 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4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F1 프라이머와 R1 프라이머의 3' 말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라이머로부터 신장되는 영역은,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서열 번호 1에서의 2121번째∼2225번째 영역, 2141번째∼2197번째 영역, 2121번째∼2197번째 영역, 또는 2141번째∼2225번째 영역 중 어느 하나이지만, 얻어지는 증폭 산물의 전체 길이는 사용하는 프라이머의 길이에 따라 변화한다.
또, R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에 나타내는 염기 서열에 대해, F1 프라이머는 상기 염기 서열의 상보쇄에 대해, 각각 완전히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아니라도 된다. 즉, 각 프라이머에서의 3' 말단의 염기를 제외한 부분에서, 완전히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1개∼5개의 염기가 상이해도 된다.
이하에, F1 프라이머와 R1 프라이머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이들 F1 프라이머와 R1 프라이머의 조합은 전혀 제한되지 않지만, 이들 중에서도, 서열 번호 4 또는 서열 번호 8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F1' 프라이머와 서열 번호 13 또는 서열 번호 9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R1'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셋트 (1')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기 표에서의 「Tm(℃)」는, 하기 표의 서열과 완전히 상보적인 서열이 하이브리드화한 경우의 Tm(℃)이고, MELTCALC 소프트웨어(http://www.meltcalc.com/)에 의해, 파라메터를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농도 0.2 uM, 나트륨 당량(Na eq.) 50 mM로 하여 산출한 값이다(이하, 동일). 상기 Tm값은,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MELTCALC 소프트웨어(http://www.meltcalc.com/) 등에 의해 산출할 수 있고, 또 인접법(Nearest Neighbor Method)에 의해 결정할 수도 있다(이하, 동일).
Figure 112008058971462-pct00001
다음으로, 상기 프라이머 셋트 (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기 (F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이다.
(F2)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622번째 구아닌 염기 (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5∼27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구아닌 염기 (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2)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2687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17∼26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2687번째 시토신 염기 (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 (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상기 프라이머 셋트 (2)는, 서열 번호 1에서의 2623번째∼2686번째 영역을 포함하는 DNA쇄 및 그 상보쇄를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 셋트이다. 이 영역내의 2635번째 염기(서열 번호 1에서의 2635번째 염기)는, UGT1A1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점돌연변이(2635C, 2635A)의 존재가 알려져 있고, 이 다형이 상술한 UGT1A1*27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부위의 다형은, 호모 접합체의 경우 2635C/C, 26359A/A, 헤테로 접합체의 경우 2635C/A로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이 프라이머 셋트 (2)를 「UGT1A1*27용 프라이머 셋트」라고도 한다. UGT1A1*27의 다형만을 해석하는 경우에는, UGT1A1*27용 프라이머 셋트만을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 셋트 (2)의 F2 프라이머 및 R2 프라이머는, 상기 프라이머 셋트 (1)과 동일한 이유로, DNA 폴리머라제에 의한 증폭의 개시점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3' 말단의 염기가,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이 때문에, F2 프라이머 및 R2 프라이머의 길이 자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길이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상기 F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에서의 2622번째 구아닌 염기 (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5∼27번째 염기(바람직하게는 16∼27번째 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27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R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에서의 2687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17∼26번째 염기(바람직하게는 18∼26번째 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19∼26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F2 프라이머와 R2 프라이머의 3' 말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라이머로부터 신장되는 영역은, 통상 상술한 바와 같이 서열 번호 1에서의 2623번째∼2686번째 영역이지만, 얻어지는 증폭 산물의 전체 길이는 사용하는 프라이머의 길이에 따라 변화한다.
또, R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에 나타내는 염기 서열에 대하여, F2 프라이머는 상기 염기 서열의 상보쇄에 대하여, 각각 완전히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아니라도 된다. 즉, 각 프라이머에서의 3' 말단의 염기를 제외한 부분에서, 완전히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1개∼5개의 염기가 상이해도 된다.
이하에, F2 프라이머와 R2 프라이머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이들 F2 프라이머와 R2 프라이머의 조합은 전혀 제한되지 않지만, 이들 중에서도, 서열 번호 21 또는 서열 번호 9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F2' 프라이머와 서열 번호 29 또는 서열 번호 9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R2'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셋트 (2')가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58971462-pct00002
다음으로, 상기 프라이머 셋트 (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기 (F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이다.
(F3)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1863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7∼31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 (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3)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UGT1A1 유전자에서의 1928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16∼20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1928번째 시토신 염기 (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 (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상기 프라이머 셋트 (3)은, 서열 번호 2에서의 1864번째∼1927번째 영역을 포함하는 DNA쇄 및 그 상보쇄를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 셋트이다. 이 영역내에는, UGT1A1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점돌연변이로서, 서열 번호 1의 1895번째부터 시작하는 TATAbox에서의 변이(6회의 TA 리피트, 7회의 TA 리피트)가 알려져 있고, 이 다형이 상술한 UGT1A1*28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부위의 다형은, 호모 접합체의 경우 1895-TA7/TA7, 1895-TA6/TA6, 헤테로 접합체의 경우 1859-TA6/TA7로 나타낼 수 있다. 서열 번호 1은, 7회의 TA 리피트를 갖는 다형 UGT1A1*28의 서열이다. 이하, 이 프라이머 셋트 (3)을 「UGT1A1*28용 프라이머 셋트」라고도 한다. UGT1A1*28의 다형만을 해석하는 경우에는, UGT1A1*28용 프라이머 셋트만을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 셋트 (3)의 F3 프라이머 및 R3 프라이머는, 상기 프라이머 셋트 (1)과 동일한 이유로, DNA 폴리머라제에 의한 증폭의 개시점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3' 말단의 염기가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이 때문에, F3 프라이머 및 R3 프라이머의 길이 자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길이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상기 F3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에서의 1863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7∼31번째 염기(바람직하게는 18∼28번째 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19∼24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R3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에서의 1928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16∼20번째 염기(바람직하게는 17∼20번째 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19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F3 프라이머와 R3 프라이머의 3' 말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라이머로부터 신장되는 영역은,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서열 번호 2에서의 1864번째∼1927번째 영역이지만, 얻어지는 증폭 산물의 전체 길이는 사용하는 프라이머의 길이에 따라 변화한다.
또, R3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에 나타내는 염기 서열에 대하여, F3 프라이머는 상기 염기 서열의 상보쇄에 대하여, 각각 완전히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아니라도 된다. 즉, 각 프라이머에서의 3' 말단의 염기를 제외한 부분에서, 완전히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1개∼5개의 염기가 상이해도 된다.
이하에, F3 프라이머와 R3 프라이머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이들 F3 프라이머와 R3 프라이머의 조합은 전혀 제한되지 않지만, 이들 중에서도, 서열 번호 42 또는 서열 번호 12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F2' 프라이머와 서열 번호 46 또는 서열 번호 4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R3'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셋트 (3')가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58971462-pct00003
또, 상술한 프라이머 셋트 (1)∼(3)의 각 프라이머는, 예를 들어 증폭 반응의 반응 온도를 높이기 위해, 종래 공지의 임의의 서열을 5' 말단에 부가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프라이머 셋트 (1)∼(3)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는, 예를 들어 전혈 시료 등의 생체 시험에서의 UGT1A1 유전자를 증폭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형의 검출용 프로브와 함께 사용할 때에는, 유전자 증폭용 반응액에서의 전혈 시료의 첨가 비율을 0.1∼0.5체적%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를 증폭시키기 위한 시약으로서,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그 외의 조성 등은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한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얻어지는 증폭 산물을 검출하기 위해, UGT1A1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드화가능한 프로브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에 의하면, 예를 들어 그것에 포함되는 프라이머 셋트 (1)∼(3)의 종류에 따라,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에서의 1개∼3개의 목적 영역의 증폭 산물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각 목적 영역에서의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공존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증폭의 유무나 검출 대상 부위의 유전자형(다형) 등을,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프로브나 그 이용 방법에 관해서는, 이후의 다형의 해석 방법에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은, 전혈 등의 생체 시료에서의 UGT1A1 유전자를 증폭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을, 상술한 프로브와 함께 사용할 때에는, 유전자 증폭용 반응액에서의 전혈 시료의 첨가 비율을 0.1∼0.5 체적%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검출 대상 서열」이란,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함유하는 액체 시약이어도 되고, 사용전에 용매로 현탁하는 건조 시약이어도 된다. 또,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의 함유량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의 증폭 산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I)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 시료 중의 핵산을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여, 반응액 중에서 상기 UGT1A1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공정.
이와 같이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여 증폭 반응을 행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UGT1A1 유전자의 목적 영역을 증폭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가, 상기 프라이머 셋트 (1)∼(3) 중 어느 2종류를 포함하는 경우는, UGT1A1 유전자에서의 2개의 검출 대상 부위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목적 영역을, 동일 반응액 중에서 동시에 증폭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가, 상기 프라이머 셋트 (1)∼(3)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UGT1A1 유전자에서의 3개의 검출 대상 부위를 각각 포함하는 3개의 목적 영역을, 동일 반응액 중에서 동시에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증폭시키는 목적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다형(UGT1A1*28, UGT1A1*6 및 UGT1A1*27)이 발생하는 검출 대상 부위를 각각 포함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유전자 증폭법의 종류나 조건 등은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전자 증폭법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 NASBA(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법, TMA(Transcription-mediated amplification)법, SDA(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법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PCR법이 바람직하다. 이하, PCR법을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시료로는, 예를 들어 주형이 되는 핵산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불순물이 포함되는 시료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순물이 포함되는 시료로는, 예를 들어, 전혈, 구강내 세포(예를 들어, 구강 점막), 손톱이나 모발 등의 체세포, 생식세포, 객담, 양수, 파라핀 포매 조직, 뇨, 위액(예를 들어, 위세정액) 등, 또는 이들의 현탁액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한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어 여러가지 불순물이 포함되는 시료(특히, 전혈이나 구강내 세포 등의 생체 시료)라 하더라도 그 영향을 잘 받지 않아, UGT1A1 유전자의 상기 목적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법에서는 어려웠던 불순물이 많은 시료라 하더라도, 예를 들어 정제 등의 전처리를 행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료의 전처리의 관점에서도, 종래법보다 더욱 신속하게 증폭 산물을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반응액에서의 시료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 상기 시료가 생체 시료(예를 들어, 전혈 시료)인 경우, 상기 반응액에서의 첨가 비율의 하한이, 예를 들어 0.01 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체적% 이상이다. 또, 상기 첨가 비율의 상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 체적%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체적% 이하이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은 광학적 검출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특히 표지화 프로브를 사용한 광학적 검출을 행하는 경우, 상기 반응액에서의 전혈 시료 등의 생체 시료의 첨가 비율은, 예를 들어 0.1∼0.5 체적%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R 반응에 있어서는, 통상 DNA 변성(단일쇄 DNA로의 해리)을 위해 열처리가 실시되지만, 이 열처리에 의해 시료에 포함되는 당이나 단백질 등이 변성되어, 불용화의 침전물이나 혼탁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증폭 산물의 유무나 검출 대상 부위의 유전자형(다형)을 광학적 수법에 의해 확인하는 경우, 이러한 침전물이나 혼탁의 발생이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반응액에서의 전혈 시료의 첨가 비율을 상술한 범위로 설정하면, 메커니즘은 불명확하지만, 예를 들어 변성에 의한 침전물 등의 발생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학적 수법에 의한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혈 시료 중의 불순물에 의한 PCR의 저해도 충분히 억제되기 때문에, 증폭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의 사용에 더하여, 전혈 시료 등의 시료의 첨가 비율을 상술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한층 더 시료의 전처리의 필요성을 배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응액 중의 전혈 시료의 비율은, 상술한 바와 같은 체적 비율(예를 들어, 0.1∼0.5 체적%)이 아니라, 헤모글로빈(이하, 「Hb」라 한다)의 중량 비율로 나타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응액에서의 전혈 시료의 비율은, Hb량으로 환산하여, 예를 들어 0.565∼113 g/L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825∼56.5 g/L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65∼28.25 ㎍/L의 범위이다. 상기 반응 중에서의 전혈 시료의 첨가 비율은, 예를 들어 상기 체적 비율과 Hb 중량 비율의 양쪽 모두를 만족해도 되고, 어느 하나를 만족해도 된다.
전혈로는, 예를 들어 용혈한 전혈, 미용혈의 전혈, 항응고 전혈, 응고 분획을 포함하는 전혈 등 어느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료에 포함되는 표적 핵산은, 예를 들어 DNA이다. 상기 DNA는, 예를 들어 생체 시료 등의 시료에 원래 포함되는 DNA이어도 되고,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증폭시킨 증폭 산물 DNA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상기 시료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RNA(토탈 RNA, mRNA 등)로부터 역전사 반응(예를 들어, RT-PCR(Reverse Transcription PCR))에 의해 생성시킨 cDNA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전자 증폭 반응의 개시에 앞서, 상기 반응액에 알부민을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부민의 첨가에 의해,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침전물이나 혼탁의 발생에 의한 영향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증폭 효율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I) 공정의 증폭 반응이나, 단일쇄 DNA로의 해리 공정전에 알부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액에서의 알부민의 첨가 비율은, 예를 들어 0.01∼2 중량%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8 중량%이다. 상기 알부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소혈청 알부민(BSA), 인간 혈청 알부민, 래트 혈청 알부민, 말 혈청 알부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어느 1종류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전혈 시료에 대해 DNA를 표적 핵산으로 하여, 상기 프라이머 셋트 (1)∼(3)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한 PCR에 의해 UGT1A1 유전자의 3개의 목적 영역의 증폭 산물을 제조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다른 구성 및 조건은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PCR 반응액을 조제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프라이머 셋트 (1)∼(3)의 F 프라이머를, 각각 0.1∼2 μ㏖/L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1.5 μ㏖/L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1 μ㏖/L이다. 또, 프라이머 셋트 (1)∼(3)의 R 프라이머를, 각각 0.1∼2 μ㏖/L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1.5 μ㏖/L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1 μ㏖/L이다. 각 프라이머 셋트에서의 F 프라이머와 R 프라이머와의 첨가 비율(F:R, 몰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25∼1:4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1:2이다.
반응액에서의 전혈 시료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술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전혈 시료는, 그대로 반응액에 첨가해도 되고, 미리 물이나 완충액 등의 용매로 희석하고 나서 반응액에 첨가해도 된다. 전혈 시료를 미리 희석하는 경우, 그 희석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반응액에서의 최종적인 전혈 첨가 비율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100∼2000배이고, 바람직하게는 200∼1000배이다.
상기 반응액에서의 다른 조성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성분을 들 수 있고, 그 비율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DNA 폴리머라제, 뉴클레오티드(뉴클레오시드 삼인산(dNTP)) 및 용매을 들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액은 알부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 각 조성 성분의 첨가 순서는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DNA 폴리머라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내열성 세균 유래의 폴리머라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는, 테르무스 아쿠아티쿠스(Thermus aquaticus) 유래 DNA 폴리머라제(미국특허 제4,889,818호 및 동 제5,079,352호)(상품명 Taq 폴리머라제), 테르무스 테르모필루스(Thermus thermophilus) 유래 DNA 폴리머라제(WO 91/09950)(rTth DNA polymerase), 파이로코커스 퓨리어서스(Pyrococcus furiosus) 유래 DNA 폴리머라제(WO 92/9688) (Pfu DNA polymerase : Stratagenes사 제조), 테루모코커스 리토랄리스(thermococcus litoralis) 유래 DNA 폴리머라제(EP-A 455 430) (상표 Vent : Biolab New England사 제조) 등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테르무스 아쿠아티쿠스(Thermus aquaticus) 유래의 내열성 DNA 폴리머라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액 중의 DNA 폴리머라제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100U/㎖이고, 바람직하게는 5∼50U/㎖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U/㎖이다. DNA 폴리머라제의 활성 단위(U)는, 일반적으로 활성화 연어정자 DNA를 주형 프라이머로 하여, 활성 측정용 반응액 중 74℃, 30분간에 10n㏖의 전체 뉴클레오티드를 산불용성 침전물에 도입하는 활성이 1U이다. 상기 활성 측정용 반응액의 조성은, 예를 들어 25 mM TAPS 완충액(pH9.3, 25℃), 50 mM KCl, 2 mM MgCl2, 1 mM 메르캅토 에탄올, 200 uM dATP, 200 uM dGTP, 200 uM dTTP, 100 uM 「α-32P」dCTP, 0.25 ㎎/㎖ 활성화 연어정자 DNA이다.
상기 뉴클레오시드 삼인산으로는, 통상 dNTP(dATP, dCTP, dTTP)를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액 중의 dNTP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1∼1 mmol/L이고, 바람직하게는 0.05∼0.5 mmol/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3 mmol/L이다.
상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Tris-HCl, 트리신, MES, MOPS, HEPES, CAPS 등의 완충액을 들 수 있고, 시판하는 PCR용 완충액이나 시판하는 PCR 키트의 완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PCR 반응액은, 헤파린, 베타인, KCl, MgCl2, MgSO4, 글리세롤 등을 포함해도 되고, 이들의 첨가 비율은, 예를 들어 PCR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하면 된다.
반응액의 전체 체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용하는 기기(서멀 사이클러)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통상 1∼5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다음으로 PCR을 행한다. PCR의 사이클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전혈 유래 이중쇄 DNA의 단일쇄 DNA로의 해리, (2) 프라이머의 어닐링, (3) 프라이머의 신장(폴리머라제 반응)은, 각각 이하와 같다. 또, 사이클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하기 (1)∼(3)의 3스텝을 1사이클로 하여, 예를 들어 30사이클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합계 100사이클 이하, 바람직하게는 70사이클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사이클 이하이다. 각 스텝의 온도 변화는, 예를 들어 서멀 사이클러 등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제어하면 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증폭 효율이 우수하므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50사이클에 3시간 정도를 요한 데 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약 1시간 정도(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내)로 50사이클을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 및 시간(초)
(1) 단일쇄 DNA의 해리 예를 들어, 90∼99℃, 1∼120초
바람직하게는, 92∼95℃, 1∼60초
(2) 프라이머의 어닐링
예를 들어, 40∼70℃, 1∼300초
바람직하게는, 50∼70℃, 5∼60초
(3) 신장 반응
예를 들어, 50∼80℃, 1∼300초
바람직하게는, 50∼75℃, 5∼60초
이상과 같이 하여, UGT1A1 유전자의 3개의 목적 영역에 상보적인 증폭 산물을 제조할 수 있다. 3개의 목적 영역 중 어느 1개 또는 어느 2개에 상보적인 증폭 산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 셋트 (1)∼(3) 중 목적 영역에 대응하는 어느 1종류 또는 어느 2종류의 프라이머 셋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증폭 반응에 의해 얻어진 목적 영역의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공정을 더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증폭 산물의 유무나, UGT1A1 유전자의 상기 목적 영역에서의 유전자형(다형 UGT1A1*6, UGT1A1*27 또는 UGT1A1*28)을 검출할 수도 있다. 증폭 산물의 유무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I) 공정에서 상기 반응액에 UGT1A1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드화가능한 프로브(예를 들어, 형광 표지화 프로브)를 더 첨가해 두고, 또한 (II) 공정으로서, 상기 반응액에 대하여 상기 프로브에서의 형광 표지의 형광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 증폭시키는 목적 영역이 2개 또는 3개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I) 공정에서 상기 반응액에 UGT1A1 유전자의 각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드화가능한 프로브(예를 들어, 형광 표지화 프로브)를 2종류 또는 3종류 더 첨가해 두고, 또한 (II) 공정으로서, 상기 반응액에 대해 각 프로브에서의 각 형광 표지의 형광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UGT1A1 유전자에서의 다형 UGT1A1*6, UGT1A1*27 및 UGT1A1*28의 검출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한 형태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UGT1A1 유전자의 다형 해석 방법>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의 다형 해석 방법은, UGT1A1 유전자에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해석하는 방법이며, 하기 (i)∼(iv)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에서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반응액 중에서 증폭시키는 공정,
(ii) 상기 (i) 공정에서의 증폭 산물과, 상기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드화가능한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준비하는 공정,
(iii)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증폭 산물과 상기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값을 측정하는 공정,
(iv) 온도 변화에 따르는 상기 시그널값의 변동으로부터 상기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결정하는 공정.
이와 같이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여 증폭 산물을 제조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UGT1A1 유전자에서의 다형(UGT1A1*6, UGT1A1*27 또는 UGT1A1*28)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목적 영역을 증폭시켜, 상기 목적 영역에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해석할 수 있다.
상기 (ii) 공정에서의 프로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형 UGT1A1*6의 발생 부위에 하이브리드화하는 프로브(이하, 「UGT1A1*6용 프로브」라고도 한다), 다형 UGT1A1*27의 발생 부위에 하이브리드화하는 프로브(이하, 「UGT1A1*27용 프로브」라고도 한다) 및 다형 UGT1A1*28의 발생 부위에 하이브리드화하는 프로브(이하, 「UGT1A1*28용 프로브」라고도 한다)를 들 수 있다. 이들 프로브는, 상기 검출 대상 서열을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프로브는, 어느 1종류이어도 되고, 어느 2종류 또는 3종류 모두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에 의해 증폭시킨 목적 영역의 종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2종류 또는 3종류의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예를 들어 동일 반응액을 사용하여, 어느 2개의 검출 대상 부위 또는 상기 3개 모든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해석할 수 있다.
상기 다형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형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로서, UGT1A1 유전자의 센스쇄의 서열에 기초하여 설계해도 되고, 안티센스쇄의 서열에 기초하여 설계해도 된다. 또, 다형의 검출 대상 부위의 염기는, 각 다형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즉, UGT1A1*6의 경우, 서열 번호 1에서의 2160번째 염기에 「G」 및 「A」의 다형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2160번째가 G인 검출 대상 서열 및 2160번째가 A인 검출 대상 서열 중 어느 하나에 상보적인 프로브(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나, 그 안티센스쇄의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안티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를 들 수 있다. 또, UGT1A1*27의 경우, 서열 번호 1에서의 2635번째 염기에 「C」 및 「A」의 다형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2635번째가 C인 검출 대상 서열 및 2635번째가 A인 검출 대상 서열 중 어느 하나에 상보적인 프로브(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나, 그 안티센스쇄의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안티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를 들 수 있다. 또, UGT1A1*28의 경우, 서열 번호 1에서의 1895번째 염기부터 시작하는 TATAbox의 염기에 「6회의 TA 리피트 : TA6」 및 「7회의 TA 리피트 : TA7」의 다형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1895번째 염기부터의 TA 리피트가 6회인 검출 대상 서열, 및 1895번째 염기부터의 TA 리피트가 7회인 검출 대상 서열 중 어느 하나에 상보적인 프로브(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나, 그 안티센스쇄의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안티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형이 발생하는 검출 대상 부위의 염기를 상술한 바와 같은 어느 하나의 염기에 설정하여 프로브를 설계하더라도,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UGT1A1 유전자의 각 검출 대상 부위에서 어떠한 다형을 나타내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프로브는, 상기 (i) 공정의 후, 즉 UGT1A1 유전자의 목적 영역에 대해 증폭 반응을 행한 후, 증폭 반응액에 첨가할 수도 있지만, 용이하고 신속하게 해석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i) 공정의 증폭 반응에 앞서, 미리 반응액에 첨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액에서의 프로브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각 프로브를 10∼400 n㏖의 범위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 n㏖이다. 또, 프로브의 표지로서 형광 색소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검출하는 형광 강도를 조정하기 위해, 표지화 프로브와 동일한 서열인 미표지 프로브를 병용해도 되고, 이 미표지 프로브는 그 3' 말단에 인산이 부가되어도 된다. 이 경우, 표지화 프로브와 비표지 프로브의 몰비는, 예를 들어 1:10∼10:1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브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5∼50mer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mer이다.
Tm값에 관해 설명한다. 이중쇄 DNA를 포함하는 용액을 가열하면, 260㎚에서의 흡광도가 상승한다. 이것은, 이중쇄 DNA에서의 두 쇄간의 수소 결합이 가열에 의해 풀어져, 단일쇄 DNA에 해리(DNA의 융해)되는 것이 원인이다. 그리고, 모든 이중쇄 DNA가 해리되어 단일쇄 DNA가 되면, 그 흡광도는 가열 개시시의 흡광도(이중쇄 DNA만의 흡광도)의 약 1.5배 정도를 나타내고, 이에 의해 융해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현상에 기초하여, 융해 온도 Tm이란, 일반적으로 흡광도가 흡광도 전체 상승분의 50%에 도달했을 때의 온도로 정의된다.
상기 (iii) 공정에서, 상기 증폭 산물과 상기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의 측정은, 상술한 260㎚의 흡광도 측정이어도 되지만, 표지 물질의 시그널 측정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로브로서, 표지 물질로 표지화된 표지화 프로브를 사용하여, 상기 표지화 물질의 시그널 측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화 프로브로는, 예를 들어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는 표지화 프로브, 또는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는 표지화 프로브를 들 수 있다. 전자와 같은 프로브라면, 검출 대상 서열과 하이브리드(이중쇄 DNA)를 형성하고 있을 때에는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고, 가열에 의해 프로브가 유리되면 시그널을 나타낸다. 또, 후자의 프로브라면, 검출 대상 서열과 하이브리드(이중쇄 DNA)를 형성함으로써 시그널을 나타내고, 가열에 의해 프로브가 유리되면 시그널이 감소(소실)한다. 따라서, 이 표지에 의한 시그널을 시그널 특유의 조건(흡수 파장 등)으로 검출함으로써, 상기 260㎚의 흡광도 측정과 마찬가지로,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의 진행 및 Tm값의 결정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반응액으로 증폭시킨 2개 또는 3개의 목적 영역의 증폭 산물에 대해 다형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2종류 또는 3종류의 프로브를 사용할 때에는, 각각 상이한 조건으로 검출되는 상이한 표지에 의해 표지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이한 표지를 사용함으로써, 동일 반응액이라 하더라도, 검출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각 증폭 산물을 별개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표지화 프로브에서의 표지 물질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형광 색소(형광단)를 들 수 있다. 상기 표지화 프로브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형광 색소로 표지되고, 단독으로 형광을 나타내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형광이 감소(예를 들어, 소광)하는 프로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광 소광 현상(Quenching phenomenon)을 이용한 프로브는, 일반적으로 형광 소광 프로브라 불린다. 그 중에서도, 상기 프로브로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3' 말단 또는 5' 말단이 형광 색소로 표지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지화되는 상기 말단의 염기는 C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표지화 프로브가 하이브리드화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있어서, 상기 표지화 프로브의 말단 염기 C와 쌍을 이루는 염기 또는 상기 쌍을 이루는 염기로부터 1∼3 염기 떨어진 염기가 G가 되도록, 상기 표지화 프로브의 염기 서열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브는, 일반적으로 구아닌 소광 프로브라 불리고, 소위 QProbe(등록 상표)로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아닌 소광 프로브가 검출 대상 서열에 하이브리드화하면, 형광 색소로 표지화된 말단의 C가 상기 검출 대상 DNA에서의 G에 근접함으로써, 상기 형광 색소의 발광이 약해지는(형광 강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프로브를 사용하면, 시그널의 변동에 의해, 하이브리드화와 해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형광 색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플루오레세인, 인광체, 로다민, 폴리메틴 색소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시판하는 형광 색소로는, 예를 들어 BODIPY FL(상표명, 몰레큘러ㆍ프로브사 제조), FluorePrime(상품명, 아마샴파마샤사 제조), Fluoredite(상품명, 미리포어사 제조), FAM(ABI사 제조), Cy3 및 Cy5(아마샴파마샤사 제조), TAMRA(몰레큘러ㆍ프로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복수의 프로브에 사용하는 형광 색소의 조합은, 예를 들어 상이한 조건으로 검출할 수 있으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Pacific Blue(검출 파장 450∼480 ㎚), TAMRA(검출 파장 585∼700 ㎚) 및 BODIPY FL(검출 파장 515∼555 ㎚)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다형 UGT1A1*6, UGT1A1*27 및 UGT1A1*28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의 서열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기 프로브 (1)은, UGT1A1*6용 프로브의 일례이며, 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다. 하기 프로브 (2)는 UGT1A1*27용 프로브의 일례이며, 하기 (2-1)은 안티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고, 하기 (2-2)는 안티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다. 또, 하기 프로브 (3)은 UGT1A1*28용 프로브의 일례이며, 안티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다.
프로브 (1)
서열 번호 1에서의 2173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7∼25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 (2)
(2-1) 서열 번호 1에서의 2645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해 15∼22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2-2) 서열 번호 1에서의 2625번째 구아닌 염기 (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17∼22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구아닌 염기에 상보적인 시토신 염기 (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 (3)
서열 번호 1에서의 1892번째 시토신 염기 (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해 25∼31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상기 프로브 (1)에 있어서, 서열 번호 1의 2160번째에 해당하는 염기는 r로 표시되고, 상기 r은 G 또는 A이다. 상기 프로브 (2-1)에 있어서, 서열 번호 1의 2635번째에 해당하는 염기는 m으로 표시되고, 상기 m은 C 또는 A이다. 상기 프로브 (2-2)에 있어서, 서열 번호 1의 2635번째에 상보적인 염기는 k로 표시되고, 상기 k는 G 또는 T이다. 상기 프로브 (3)에 있어서, 서열 번호 1의 1895번째부터의 TATAbox에 해당하는 영역은 7회의 TA 리피트 또는 6회의 TA 리피트이다.
또한, 상기 프로브 (1), 프로브 (2) 및 프로브 (3)의 구체예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하기 표에서의 「Tm(℃)」은, 하기 표의 서열과 완전하게 상보적인 서열이 하이브리드한 경우의 Tm(℃)이며, MELTCALC 소프트웨어(http://wwwmeltcalc.com/)에 의해, 파라메터를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농도 0.2 uM, 나트륨 당량(Na eq.) 50 mM으로서 산출한 값이다.
Figure 112008058971462-pct00004
상기 표에서의 프로브 (1)은, 서열 번호 1에서의 2160번째가 A인 영역과 동일한 서열로 이루어지고, 대문자의 염기가 서열 번호 1의 2160번째 염기를 나타낸다. 상기 프로브 (1)에 있어서, 상기 대문자의 염기는 r로 치환할 수 있고, 상기 r은 A 및 G 어느 것이라도 된다. 하기 표에 있어서, 서열 번호 59∼66으로 표시되는 프로브 (2-1)는, 서열 번호 1에서의 2635번째가 A인 영역과 동일한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문자의 염기가 서열 번호 1의 2635번째 염기를 나타낸다. 상기 프로브 (2-1)에 있어서, 상기 대문자의 염기는 m으로 치환할 수 있고, 상기 m은 A 및 C 어느 것이라도 된다. 상기 표에 있어서, 서열 번호 100∼105로 표시되는 프로브 (2-2)는, 서열 번호 1에서의 2635번째가 A인 영역에 상보적인 서열로 이루어지고, 대문자의 염기가 서열 번호 1에서의 2635번째 염기에 상보적인 염기를 나타낸다. 상기 프로브 (2-2)에 있어서, 상기 대문자의 염기는 k로 치환할 수 있고, 상기 k는 T 및 G 어느 것이라도 된다. 하기 표에서의 프로브 (3)은, 서열 번호 1에서의 1895번째부터의 TATAbox가 7회의 TA 리피트인 영역과 동일한 서열로 이루어지고, 대문자의 염기가 7회의 TA 리피트를 나타낸다. 상기 프로브 (3)에 있어서, TA 리피트는 7회 및 6회 어느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서의 프로브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표에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상보쇄이어도 된다.
상기 프로브는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UGT1A1*6용 프로브로는, 상기 프로브 (1) 중에서도, 예를 들어 서열 번호 55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서열 번호 56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바람직하고, UGT1A1*27용 프로브로는, 프로브 (2) 중에서도, 서열 번호 62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서열 번호 102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바람직하고, UGT1A1*28용 프로브로는, 프로브 (3) 중에서도, 서열 번호 69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 프로브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상이한 형광 색소(상이한 파장으로 검출되는 형광 색소)로 표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표에 나타내는 프로브를 구아닌 소광 프로브로 하는 경우, UGT1A1*6용 프로브 및 UGT1A1*27용 프로브는, 3' 말단의 시토신을 상술한 바와 같은 형광 색소(예를 들어 Pacific Blue, TAMRA 등)로 표지화하고, UGT1A1*28용 프로브는, 5' 말단의 시토신을 상술한 바와 같은 형광 색소(예를 들어 BODIPY FL)로 표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5' 말단에 형광 색소를 표지화한 프로브는, 예를 들어 프로브 자체가 신장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그 3' 말단에 인산기가 더 부가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검출 방법에 관해, 일례로서 하기 프로브를 사용하여, UGT1A1 유전자에서의 3개의 다형 UGT1A1*28, UGT1A1*6 및 UGT1A1*27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로브)
UGT1A1*6용 프로브
5'-agagacaGagcattttacac-(Pacific Blue)-3' (서열 번호 55) 또는
5'-gagacaGagcattttacac-(Pacific Blue)-3' (서열 번호 56)
UGT1A1*27용 프로브
5'-ttattcccAgtatgcaacc-(TAMRA)-3' (서열 번호 62) 또는
5'-gttgcatacTgggaataaac-(TAMRA)-3' (서열 번호 102)
UGT1A1*28용 프로브
5'-(BODIPY FL)-ccaTATATATATATATAtaagtaggagag-3' (서열 번호 69)
우선, 상기 3종류의 표지화 프로브를 첨가한 반응액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PCR을 행하고, 동일 반응액 중에서, UGT1A1 유전자의 3개의 영역을 동시에 증폭시킨다. 상기 반응액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DNA 폴리머라제, dNTP, 주형이 되는 핵산을 포함하는 시료 및 상기 3종류의 프로브를 포함한다. 그 밖에, 핵산 증폭에 사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다음으로, 얻어진 증폭 산물의 해리 및 해리에 의해 얻어진 단일쇄 DNA와 상기 표지화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화를 행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상기 반응액의 온도 변화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해리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는, 상기 증폭 산물이 해리될 수 있는 온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85∼95℃이다. 가열 시간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1초∼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1초∼5분이다.
해리된 단일쇄 DNA와 상기 표지화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화는, 예를 들어, 상기 해리 공정후, 상기 해리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를 강하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온도 조건은, 예를 들어 40∼50℃이다.
그리고,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증폭 산물과 상기 표지화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값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반응액(상기 단일쇄 DNA와 상기 표지화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을 가열하여, 온도 상승에 따르는 시그널값의 변동을 측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말단의 C 염기가 표지화된 프로브(구아닌 소광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단일쇄 DNA와 하이브리드화한 상태에서는 형광이 감소(또는 소광)하고, 해리된 상태에서는 형광을 발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형광이 감소(또는 소광)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형성체를 서서히 가열하여, 온도 상승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증가를 측정하면 된다.
형광 강도의 변동을 측정할 때의 온도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개시 온도가 실온∼85℃이고, 바람직하게는 25∼70℃이고, 종료 온도는, 예를 들어 40∼105℃이다. 또, 온도의 상승 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1∼20℃/초이고, 바람직하게는 0.3∼5℃/초이다.
다음으로, 상기 시그널의 변동을 해석하여 Tm값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형광 강도로부터 각 온도에서의 단위시간당 형광 강도 변화량(-d 형광 강도 증가량/dt)을 산출하고,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Tm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 단위시간당 형광 강도 증가량(형광 강도 증가량/t)이 가장 높은 점을 Tm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표지화 프로브로서, 소광 프로브가 아니라,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는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에는, 반대로 형광 강도의 감소량을 측정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3개의 다형 UGT1A1*6, UGT1A1*27 및 UGT1A1*28을 검출하므로, 3종류의 프로브의 각 표지에 따른 조건으로 각각의 Tm값을 결정한다. UGT1A1*6용 프로브의 Pacific Blue는, 예를 들어 검출 파장 450∼480㎚, UGT1A1*27용 프로브의 TAMRA는, 예를 들어 검출 파장 585∼700㎚, UGT1A1*28용 프로브의 BODIPY FL은, 예를 들어 검출 파장 515∼555㎚에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Tm값으로부터, 각 검출 대상 부위에서의 유전자형을 결정한다. Tm 해석에 있어서, 완전히 상보적인 하이브리드(매치)는, 일염기가 상이한 하이브리드(미스매치)보다 해리를 나타내는 Tm값이 높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상기 프로브에 대해 완전히 상보적인 하이브리드의 Tm값과, 일염기가 상이한 하이브리드의 Tm값을 결정해 둠으로써, 각 검출 대상 부위에서의 유전자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대상 부위의 염기를 변이형(예를 들어, 서열 번호 1에서의 2160번째 염기가 A)으로 가정하고, 그것을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형성한 하이브리드의 Tm값이 완전히 상보적인 하이브리드의 Tm값과 동일하다면, 상기 증폭 산물의 다형은 변이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형성한 하이브리드의 Tm값이 일염기 상이한 하이브리드의 Tm값과 동일하다면(완전히 상보적인 하이브리드의 Tm값보다 낮은 값), 상기 증폭 산물의 다형은 야생형(예를 들어, 서열 번호 1에서의 2160번째 염기가 G)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양쪽의 Tm값이 검출된 경우에는, 헤테로 접합체로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각 표지화 프로브에 대한 3개의 Tm값으로부터, 다형 UGT1A1*6, UGT1A1*27 및 UGT1A1*28의 유전자형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의 온도를 상승시켜(하이브리드 형성체를 가열하여), 온도 상승에 따르는 시그널 변동을 측정하는 방법 대신,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형성시에서의 시그널 변동의 측정을 행해도 된다. 즉, 상기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의 온도를 강하시켜 하이브리드 형성체를 형성할 때, 상기 온도 강하에 따르는 시그널 변동을 측정해도 된다.
구체예로서,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는 표지화 프로브(예를 들어, 구아닌 소광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단일쇄 DNA와 프로브가 해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형광을 발하고 있지만, 온도의 강하에 의해 하이브리드를 형성하면, 상기 형광이 감소(또는 소광)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서서히 강하하여 온도 하강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감소를 측정하면 된다. 한편,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는 표지화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단일쇄 DNA와 프로브가 해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형광을 발하지 않지만, 온도의 강하에 의해 하이브리드를 형성하면 형광을 발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서서히 강하하여, 온도 하강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증가를 측정하면 된다.
UGT1A1 유전자의 3종류의 다형(UGT1A1*28, UGT1A1*6 및 UGT1A1*27) 중 어느 1개 또는 어느 2개의 다형을 해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 셋트 (1)∼(3) 중 목적 영역에 대응하는 어느 1종류 또는 어느 2종류의 프라이머 셋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고, 또한 목적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드화하는 어느 1종류의 프로브 또는 어느 2종류의 프로브를 사용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피검자 9명으로부터 헤파린 리튬 채혈관을 사용하여 채혈했다(샘플 1∼9). 얻어진 혈액 10 ㎕와 증류수 90 ㎕을 혼합하고, 이 혼합액 10 ㎕와 증류수 90 ㎕을 더 혼합했다. 이들 혼합액 10 ㎕를, 하기 조성의 PCR 반응액 40 ㎕에 첨가하여, 서 멀 사이클러를 사용하여 PCR을 행했다. PCR의 조건은, 95℃에서 60초 처리한 후, 95℃ 1초 및 54℃ 10초를 1사이클로 하여 50사이클 반복하고, 95℃에서 1초, 40℃에서 60초 더 처리했다. 그리고, 이어서 온도의 상승 속도를 1℃/3초로 하여, 상기 PCR 반응액을 40℃∼95℃로 가열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형광 강도의 변화를 측정했다. 측정 파장은, 450∼480 ㎚(형광 색소 Pacific Blue의 검출), 515∼555 ㎚(형광 색소 BODIPY FL의 검출) 및 585∼700 ㎚(형광 색소 TAMRA의 검출)로 했다. 50사이클의 PCR에 필요한 시간은 약 1시간이었다.
[표 6]
(PCR 반응액 : 단위 ㎕)
증류수 19.875
5% NaN3 0.5
20% BSA 1
40% 글리세롤 3.125
10×Gene Taq buffer ※ 5
2.5 mM dNTPs 4
100 mM MgCl2 1
5 uM UGT1A1*6용 프로브 1
5 uM UGT1A1*27용 프로브 1 0.5
5 uM UGT1A1*27용 프로브 2 1
5 uM UGT1A1*28용 프로브 0.5
100 uM UGT1A1*6 F1 프라이머 0.25
100 uM UGT1A1*6 R1 프라이머 0.5
100 uM UGT1A1*27 F2 프라이머 0.25
100 uM UGT1A1*27 R2 프라이머 0.5
100 uM UGT1A1*28 F3 프라이머 0.25
100 uM UGT1A1*28 R3 프라이머 0.5
5 U/㎕ Gene Taq Fp * 0.25
총량 40 ㎕
* 상품명 Gene Taq FP : NIPPON GENE CO., LTD. 제조
(프로브)
UGT1A1*6용 프로브
5'-agagacagagcattttacac-(Pacific Blue)-3' (서열 번호 55)
UGT1A1*27용 프로브 1
5'-ttattcccagtatgcaacc-(TAMRA)-3' (서열 번호 62)
UGT1A1*27용 프로브 2
5'-ttattcccagtatgcaacc-P-3' (서열 번호 62)
UGT1A1*28용 프로브
5'-(BODIPY FL)-ccatatatatatatatataagtaggagag-P-3' (서열 번호 69)
(프라이머 셋트)
UGT1A1*6 F1 프라이머
5'-agcagaggggacatgaaata-3' (서열 번호 4)
UGT1A1*6 R1 프라이머
5'-aacattatgcccgagactaac-3' (서열 번호 13)
UGT1A1*27 F2 프라이머
5'-agaactttctgtgcgacg-3' (서열 번호 21)
UGT1A1*27 R2 프라이머
5'-cagatgcagagctcaatagg-3' (서열 번호 29)
UGT1A1*28 F3 프라이머
5'-gtcacgtgacacagtcaaac-3' (서열 번호 42)
UGT1A1*28 R3 프라이머
5'-cctttgctcctgccagag-3' (서열 번호 48)
UGT1A1*6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63℃, 미스매치의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6.0℃, UGT1A1*27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61℃, 미스매치의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6℃, UGT1A1*28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8℃, 미스매치의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4℃이다.
샘플 1∼9의 결과를 도 1∼3에 나타낸다. 이 도면들은, 온도 상승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Tm 해석의 그래프이고, 종축의 미분값은 「-d 형광 강도 증가량/dt」를 나타내고, 횡축은 온도를 나타낸다(이하, 동일).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그널의 피크로부터, 각 샘플에서의 UGT1A1*6, UGT1A1*27 및 UGT1A1*28의 유전자형을 결정했다. 이들 실시예의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피검자 9명에 대해, RFLP법 및 시퀀스법에 의해, UGT1A1*6, UGT1A1*27 및 UGT1A1*28의 다형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와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함으로써, 전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전혈 시료를 사용하여, UGT1A1 유전자의 3개 영역을 동일 반응액 중에서 동시에 증폭시키고, 또한, 상기 동일 반응액을 사용하여 3종류의 다형을 해석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피검자 2명으로부터 EDTA 채혈관을 사용하여 채혈했다(샘플 1∼2). 얻어진 혈액 10 ㎕와 하기 희석액 A 70 ㎕를 혼합하고, 이 혼합액 10 ㎕와 하기 희석액 B 70 ㎕를 더 혼합했다. 얻어진 혼합액 10 ㎕를 95℃에서 5분간 가열 처리한 후, 하기 조성의 PCR 반응액 46 ㎕에 첨가하여, 서멀 사이클러를 사용하여 PCR을 행했다. PCR의 조건은 95℃에서 60초 처리한 후, 95℃ 1초 및 65℃ 15초를 1사이클로 하여 50사이클 반복하고, 95℃에서 1초, 40℃에서 60초 더 처리했다. 그리고, 이어서 온도의 상승 속도를 1℃/3초로 하여, 상기 PCR 반응액을 40℃에서 75℃로 가열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형광 강도의 변화를 측정했다. 측정 파장은 450∼480 ㎚(형광 색소 Pacific Blue의 검출), 515∼555 ㎚(형광 색소 BODIPY FL의 검출) 및 585∼700 ㎚(형광 색소 TAMRA의 검출)로 했다.
(희석액 A)
10 mM Tris-HCl (pH8), 0.1 mM EDTA, 0.05% NaN3, 0.3% SDS
(희석액 B)
10 mM Tris-HCl (pH8), 0.1 mM EDTA, 0.05% NaN3
[표 7]
(PCR 반응액 : 단위 ㎕)
증류수 15
5% NaN3 0.5
20% BSA 0.5
40% 글리세롤 12.5
10×Gene Taq buffer ※ 5
2.5 mM dNTPs 4
5 uM UGT1A1*6용 프로브 2
5 uM UGT1A1*27용 프로브 2
5 uM UGT1A1*28용 프로브 2
100 uM UGT1A1*6 F1 프라이머 0.25
100 uM UGT1A1*6 R1 프라이머 0.5
100 uM UGT1A1*27 F2 프라이머 0.5
100 uM UGT1A1*27 R2 프라이머 0.25
100 uM UGT1A1*28 F3 프라이머 0.25
100 uM UGT1A1*28 R3 프라이머 0.5
5 U/㎕ Gene Taq Fp * 0.25
총량 46㎕
* 상품명 Gene Taq FP : NIPPON GENE CO., LTD. 제조
(프로브)
UGT1A1*6용 프로브
5'-gagacagagcattttacac-(Pacific Blue)-3' (서열 번호 56)
UGT1A1*27용 프로브
5'-gttgcatacTgggaataaac-(TAMRA)-3' (서열 번호 102)
UGT1A1*28용 프로브
5'-(BODIPY FL)-ccatatatatatatatataagtaggagag-P-3' (서열 번호 69)
(프라이머 셋트)
UGT1A1*6 F1 프라이머
5'-tgaaatagttgtcctagcacctgacgc-3' (서열 번호 81)
UGT1A1*6 R1 프라이머
5'-caaaagactctttcacatcctccctttgg-3' (서열 번호 91)
UGT1A1*27 F2 프라이머
5'-ccttttcacagaactttctgtgcgacg-3' (서열 번호 92)
UGT1A1*27 R2 프라이머
5'-gccagacagatgcagagctcaatagg-3' (서열 번호 98)
UGT1A1*28 F3 프라이머
5'-agctttttatagtcacgtgacacagtcaaac-3' (서열 번호 123)
UGT1A1*28 R3 프라이머
5'-cgcctttgctcctgccagag-3' (서열 번호 46)
UGT1A1*6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7℃, 미스매치의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0℃, UGT1A1*27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7℃, 미스매치의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0℃, UGT1A1*28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3℃, 미스매치의 하이브리드의 Tm값은 49℃이다.
샘플 1∼2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이 도면들은, 온도 상승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Tm 해석의 그래프이고, 종축의 미분값은 「-d 형광 강도 증가량/dt」을 나타내고, 횡축은 온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그널의 피크로부터, 각 샘플에서의 UGT1A1*6, UGT1A1*27 및 UGT1A1*28의 유전자형을 결정했다. 이들 실시예의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피검자 2명에 대해, RFLP법 및 시퀀스법에 의해, UGT1A1*6, UGT1A1*27 및 UGT1A1*28의 유전자형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와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함으로써, 전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전혈 시료를 사용하여, UGT1A1 유전자의 3개의 영역을 동일 반응액 중에서 동시에 증폭시키고, 또한 상기 동일 반응액을 사용하여 3종류의 다형을 해석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에 의하면, UGT1A1 유전자에서의 특정 다형(UGT1A1*28, UGT1A1*6 또는 UGT1A1*27)이 발생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이적으로 고효율로 증폭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법과는 달리 수고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다형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이 특이적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기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반응액을 사용하여 그대로 Tm 해석을 행하여 상기 다형을 타이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하나의 반응액으로 증폭이나 타이핑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의 자동화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불순물이 포함되는 시료(예를 들어, 전혈이나 구강 점막 등)라 하더라도 전처리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증폭 반응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면, 종래보다 우수한 증폭 효율로 증폭 반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증폭 반응도 단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셋트나 이것을 포함하는 시약 및 이들을 사용한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UGT1A1 유전자의 다형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분야에서 매우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SEQUENCE LISTING <110> ARKRAY, Inc. <120> Primer set and agent for amplification of UGT1A1 gene and use thereof <130> TF07037-01 <150> JP2006-322955 <151> 2006-11-30 <150> JP2007-232611 <151> 2007-09-07 <160> 124 <170> PatentIn version 3.1 <210> 1 <211> 16944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tgcatgatgc aggaaagtca taaaatcatt acagtggtga cttatgtgtt tatagcccct 60 ttactgtcta taatctgcaa atgaactcac acagcattgg gactttggaa gaattatcac 120 ccttaaggtt taaattaaac tgtgaatttc agaatttcta ataaggacac aacaaagagt 180 gaaagcattg ctatgtctat tctgcttgcc cagaatcttg gtcctaaaaa atgaagagtg 240 tttgggtgtg gggaggagct tcagtgtgca tgtgcatgca aagtacctac tctaaggaga 300 agaatgagag ggtaccctaa ttacctgtta atatgtccca taggacacca aaactctagt 360 tagctgtttc tctatgatcc tctaagcaca tccccaagta tggctggcca gtgatgtgta 420 tggttcaaat gttgggatct gtgcagttat cttggaattg tatagtacag cagtatatcc 480 cccccaaaaa gagtgtaata cttccaattc tggctgcaca atacttgccc catagtccat 540 ggtcaataaa tacaaatttg agttgttttt gctcatcttt cccttttgac ttcaactcag 600 tcatcagaat ttccccaaat gcctttcccc tggatcttgg gccagtggaa tgagtacaat 660 ttaacttaat tgaatttgct tatctatttg gtttcctgtt gtgaacaaaa gttctctgaa 720 aaggaatttg gaagaaagag actttgttct agtgaacagt ttgcaaacca gggagttaca 780 gcctctggta cgcaatgaag gtgagttcca cagaacacaa ggcaggcagg tttcacggca 840 aaaagttcct tcccaggttc ccaatcaggt ccatttatgc aaatgaagga tggaaacttg 900 cttagttctt attggtcact gcagctgcat tctgattggt tgatgaagct gagccctgag 960 tggctgaggt gggtgagctt taattggttg gttcaggtga gcgctgaaaa tctcaactat 1020 aaaaaggtac aggttttcag gatactcaga gtaaccgtgt gacctgtagt aagcaaaggg 1080 ccagttggct ctattttaaa tccaggccca gttagccact caagatctat cttacaggac 1140 tggctctttc aggttcacac taataaaggc ctgtccttgg ggaagacttc tgttcacatg 1200 cgctccagtg aatttccctt tctggtcatt ctctacccca gcacgccccc cacccccgcc 1260 ccgccccacc cacccacctg ttcatttcct tcttagcatg cttcacgatt tctaagttcc 1320 tgctcatgtg tttaaattgt gagtctggct cacctcatgg cgcgtgctcg tgtggtgggc 1380 tctgctgcag cctcaagacc ccacactgtg ctggactcaa taaatattgt tggacgaagg 1440 aatgaaacac atgatacaag tgagcaggca gtaccggggg agctgtggag tgggcactct 1500 tacaggtttc catggcgaaa gcgggggtac agttgtgttc ttttctttct aaaaggcttt 1560 ctaaaaagcc ttctgtttaa tttctggaaa agaagcctaa cttgttcact acatagtcgt 1620 ccttcttcct ctctggtaac acttgttggt ctgtggaaat actaatttaa tggatcctga 1680 ggttctggaa gtactttgct gtgttcactc aagaatgtga tttgagtatg aaattccagc 1740 cagttcaact gttgttgcct attaagaaac ctaataaagc tccaccttct ttatctctga 1800 aagtgaactc cctgctacct ttgtggactg acagcttttt atagtcacgt gacacagtca 1860 aacattaact tggtgtatcg attggttttt gccatatata tatatatata agtaggagag 1920 ggcgaacctc tggcaggagc aaaggcgcca tggctgtgga gtcccagggc ggacgcccac 1980 ttgtcctggg cctgctgctg tgtgtgctgg gcccagtggt gtcccatgct gggaagatac 2040 tgttgatccc agtggatggc agccactggc tgagcatgct tggggccatc cagcagctgc 2100 agcagagggg acatgaaata gttgtcctag cacctgacgc ctcgttgtac atcagagacg 2160 gagcatttta caccttgaag acgtaccctg tgccattcca aagggaggat gtgaaagagt 2220 cttttgttag tctcgggcat aatgtttttg agaatgattc tttcctgcag cgtgtgatca 2280 aaacatacaa gaaaataaaa aaggactctg ctatgctttt gtctggctgt tcccacttac 2340 tgcacaacaa ggagctcatg gcctccctgg cagaaagcag ctttgatgtc atgctgacgg 2400 accctttcct tccttgcagc cccatcgtgg cccagtacct gtctctgccc actgtattct 2460 tcttgcatgc actgccatgc agcctggaat ttgaggctac ccagtgcccc aacccattct 2520 cctacgtgcc caggcctctc tcctctcatt cagatcacat gaccttcctg cagcgggtga 2580 agaacatgct cattgccttt tcacagaact ttctgtgcga cgtggtttat tccccgtatg 2640 caacccttgc ctcagaattc cttcagagag aggtgactgt ccaggaccta ttgagctctg 2700 catctgtctg gctgtttaga agtgactttg tgaaggatta ccctaggccc atcatgccca 2760 atatggtttt tgttggtgga atcaactgcc ttcaccaaaa tccactatcc caggtgtgta 2820 ttggagtggg acttttacat gcgtatattc tttcagatgt attactttgg atcgattaac 2880 tagccccaga tatatgctga gcaagcattc tgagataatt taaaatgccc tcttttgtta 2940 atttttgact cctaggtttg agtctgtctt tggcatcatc ttctggatga tttcttggta 3000 tctgagattt cgggaaagca ttccttggac attttactct gtgtgctcca gtggatagta 3060 atcaattaga aacaacaagc tgttaaatgc cataggcaca gaatgctggg tttggggcac 3120 cctgcagaaa actcagttga agcctgcacc ttgccctgga ttcagtcagg caggcaatgt 3180 tcaggactga tgaaatcatt ctttgatgat gatagatcct ggaaatgaaa gttgcctttg 3240 tgaccctggt taaagctcca gtttctaaat attctgataa gaagctaaat cctgcagtcc 3300 gttctcttct aatgagtgaa tcaccagaca gtcaggttct gacatgatac agaaaggttg 3360 taggtttcat tctcaagcta ttaggtttat ttttccccta cagagtttga agtatgcaaa 3420 aagtagcatt cacatcctca tcgaaatctc agcagaggat agaaaagaac aggagaggct 3480 ccttcagatg gagcgttagg gaattactct ttgaggaggt gacatttcag agagcgttca 3540 ttcacttatc ctgcaaagat tggctgagga tctactggca gcccaggcac ttcccaggtg 3600 ctgcgtctgg ctcccattaa ggggactgat atcaccttcg gaggtgacct tatttccact 3660 atacctccaa tgtgatttgt attttatttt ttttaatttt ctgtgcattt tccttcatag 3720 cacatcaaat atggcagcca tttcacttag atagttgttg attgtccgct tcacatcatg 3780 agccatgtgg ggacctgtgt gactttgcat taatcacatc cactgtatgc ggcgtcctca 3840 acacctgcca atgggtctgc atgtatttgg cgccccataa atctcagcac ctaaggcaca 3900 gaataggcac ccaccgaata tgtgttacat taatgaatga gaagaaaggt gccaaccgag 3960 gtctagttaa tgggtcgaga gtaatccaca atagctcttt ttagttcttt gtactccagc 4020 tattacatac caatatgtat atagaaacat atgtaaaatt ttttggttgc tttttctaca 4080 aaatagagta acagtgtatt cccactgccc acttaccgat aatgtcatgg atatcactcc 4140 agttttaaat gctattactt tttaaactat gaaatagtat ttcatggtac ttgtgtacca 4200 cagtgtattc tgctggagat ctagtctagt tccccacaga ggaacattac aatttgtatt 4260 ccaggagttt tgttgttgtg acctcaaaca cttcctttaa aaagataagc tattttgtag 4320 tttaaaaaac atttgttctg tttctttctc attcatcttt tcttaagtat tttacacggt 4380 tttttttttt tggtcactac tgtgaatgtg ttattttttt gcatttctat ctctagctga 4440 ttatctactc attactcagc tatctcatca aaatattgat tttcataata aaaaataata 4500 ggcagtcatt tgctgataaa gaaattttgg tttcttctct tataaattcc atgccaaata 4560 tcagggctat tgaatttatt agaatctcta aaaacagttg aataattctg gcaataggaa 4620 agatgcccgt cttgctgcta ttttagtgga aattgattat catttcatta ttttgcatta 4680 tgttagccat tgttttctga acaggcttta ttgatttaga taatttcctt ctttgcgtga 4740 ggatgtttgt aggagaggca ccgaacttta tcagctgcct ttctggcatt tattgatata 4800 accataaaag tctaagtggt gaactgtgtt gactacatat ttgttgttgc cttgtttggt 4860 gcagtcaggc ttaggtgtga aaatatgttt ttaaattgta ccttttagta acctgttttg 4920 tcttgttgca tgttttaatc tgaaattcca ctttttggat attaatatta ccacttctgt 4980 attatttttg tttacatttc cctagcacat ctttagtact cctttgtctt caagctttct 5040 tcctttttaa acaacatggc actggtattt ttaatccagt caggcagttg ctttaataag 5100 tgcattttgc ctatttgaat ctaacaatta atagatttga ttgtaactct ctcagtttac 5160 tttatgttta gttgactttg ccattctcct ttttccggat ttctactggt tggtcaagtt 5220 actgttctta ttttctcttt cttcctttgt taactaaaaa tgccactctg cactaccatt 5280 cctcttgtgt tgatggtcct attctcaata ctcttgataa aactcctgaa ctttaagaat 5340 aaagataaaa cttttattgc acaaagaagt ccatagagaa agcacaacct ggcattggcg 5400 tgtctttggt gtgtctgaag gaaaagagat agtggaacaa cattgggaga aaaggaatga 5460 aactcaagaa ttccaagatg ttcctcccct gccagggtaa gatagcagtg gttcacagac 5520 aatcgcaatg ctgggtctga gaaaaataac taaacagaag attagtgagg accaaggctt 5580 cgagatggcc aggagaggaa agcttgggag cagggaaggt tgagatatat gtgggttact 5640 gggaatgcgt gatggtgaag tcacagatga cccacatggt gtctaagtgc taaagaagaa 5700 ttctgggaaa atgaaatgca tttgggaagg gaaaatctaa ttaaaagcct aaactaaaaa 5760 tacaaaattc ttggtaaagt ttaggagtta tgttaaatgt ctcattttgg ctggtgaagt 5820 ctcatcagaa cagggaaatt ctctcattca ggggcatctc atcttttctt tgaagggaat 5880 caatggtggg ggattggagt gttattttca gttaatatgt tgcttcactc tttggtcatt 5940 ccggtaactg tgaagtcagg gtgaagttta agggaagctt tgccaagtag gggatggact 6000 tcacctttat tgagcctcat agtagctggc tcaggtagga gttggccgtg atgacaactt 6060 ctctgcagtt tgccctgcgt gaatctccag atgaactttt gtgccattta aactttcgtg 6120 atctcctgct atttaacttc gaatgtttat ggacctgtgg gttcaatttt gtgtgaatca 6180 catcctgctg attgctgagt gggcgtgtgg gagggtgtgc ctggaggaga acttagactc 6240 ggccttttcc agatgagctt cagtgtaaga gtgggtttca tgaagagcaa aggtcctagg 6300 aaatttaagt aagccattta ccaacgctca gaagaaagaa cttgaagagc acttggaaat 6360 gagctgtgtc tccccaagaa agagggagag aaagagggga gagatgtggt gcagacccta 6420 gggaggaagg agttcagaaa aaccatcctc agggtgttct tgctacaaac caaaaaatgc 6480 agcatggtgg tggggaggat gactctgtcc tccctgactt ttagatgagc ccaagggaaa 6540 aggcaaagac aaagccctta agagccagag gactcacgag ggcctggggc tggtgagagt 6600 ggcggggaga gagggctcac cttgggagaa ggatggtcag tgtctggggc tttcctggtc 6660 atgttccaaa tcaggcttgg caggagtcct gctgtgcaaa ttgcgtttgc tgagccctgt 6720 cagaggtctc ctgtgtctca catctagggt gaccagcatc ctggcttcct caggactgtt 6780 caggttttag cactgaacat cacatgtcct agggaacccc tcagtttggg caagccctgc 6840 cacatcacac aatcatatta gtgccctcag tattctttgc aaacataaaa ccatagactc 6900 agtaatccca ttactgggta tatacccaaa gaaatataaa ttattctact ataaagacac 6960 atgcacatat ttgtttattg cagcactatt cacaataaca aagtcatgga accaacccag 7020 atgcccatca atggtagatt ggataaagaa aatgtggtac atatacacca tggaatacta 7080 tgcagccata acaaggaatg agatcatatt ctttgcaagg acatggatga agctggaagc 7140 catcatcctc cacaaactaa cacaggaaca gaaaatcaaa caccgcatgt tctcactcat 7200 aagtgggagt tgaacagtga gaatgcgtag acgcagggag gggaacaaca cacaccaggg 7260 cttgtggcgg ggtgaggggt gaggggagga acttagagga taggtcaata ggtgcagcaa 7320 accaccatgg catatgtatc ccagaacttc aagtaaataa taataataat aattaataat 7380 aataataata ataaataaac ccataaagcc atttgagaga ttcttggggg attcattgga 7440 ccactgaaaa tctacagtga gaaaagaatt gccatgttga tgaaacagga aaactttcct 7500 tgtccccctc acagagcatg tgacagcggg aggggctcac tttctcagtg cgccactgct 7560 caaacctcta ggggagcata cagacgggca ggttgtgggg ctctgacctc accggcagtg 7620 tctagaggtg gatgtttaca gctcctgaag ctccagtggg cgtgggttat ggccttcttt 7680 tagttttgcc ctctatagtc agcttgtgtt aaccagctca attacaccct ctaccttgtc 7740 gcaaggacag agggctttct gtatcctggg ggcttgcctt ggtgtaccag aagaatcgaa 7800 tcccacctgg gcttggagaa tgagtgcaag gatttattga gtggatgtag ctctcagcag 7860 atgggggaag ccagaagggg atggaatggg aagggtttcc cctggagtca gaccgctcag 7920 tggcccgggc tcggtggccc gggctcggtg gcctgggctc tcctccgact gcctcagcca 7980 aactccgcgt tgttctgctg gtcagtggcc tgccggtgcc tgttggtgag ttcttctcaa 8040 tgtccagctg tccttgcgtc cctccgctga tgtgctcctc ccgatgtcca gctacctgtg 8100 tgtctgcctg ctagggtctt ggggttttta taggcacatg atgggggcgt ggcaggccag 8160 ggtggttttg ggaaatgaaa catttaggca ggaaaacaaa aatgcctgtc ctcacctagg 8220 tccatgggca caggtctggg ggtggagccc tcgccaggga ccacaccctc ttctacccag 8280 cacttccctt ccctacttcc atatcattta aagggaccac gcccttccca gctcttccct 8340 tctgtatcac tgatgccttg ctctgtgttc tctaagtgga attatcactg tgtgtatgta 8400 caggtgtgtg catgtgtgtg catgtacctg tgcttttctt ttggaaaact agcacattac 8460 ctggattttg catctcaagg ataattctgt aagcaggaac ccttcctcct ttagaaggaa 8520 gtaaaggaga ggaaaatgct gtaaaactta catattaata attttttact ctatctcaaa 8580 cacgcatgcc tttaatcata gtcttaagag gaagatatct aattcataac ttactgtatg 8640 tagtcatcaa agaatatgag aaaaaattaa ctgaaaattt ttcttctggc tctaggaatt 8700 tgaagcctac attaatgctt ctggagaaca tggaattgtg gttttctctt tgggatcaat 8760 ggtctcagaa attccagaga agaaagctat ggcaattgct gatgctttgg gcaaaatccc 8820 tcagacagta agaagattct ataccatggc ctcatatcta ttttcacagg agcgctaatc 8880 ccagacttcc agcttccaga ttaattctct taattggaac cttagatttg gcttttccct 8940 gccacttccc aactattaat ccaaaggttt tttttgttgt tgtggttgtt gtcattgttt 9000 tcaatttgac tctcaaatac tctattaaac tatgatccac cacactcaga agtatcattt 9060 tctctaagag actcaaaagt gtattaggga gaatttattt aaaaataaaa taaatgggat 9120 attgtttctt catattaaat agaagtattt ctccaaaaag ctgttggtta gaacactgaa 9180 tttatgtctt acatttctgc tcttatagtt ctgcatccac ttgtttcatt aagcaaactt 9240 tcccttaaag tgcaggaaag tgaaaaaatc ctaagtgcac agcttgataa attatcacaa 9300 attcacgtag tgcatacacc cttgtaacta aacctccaaa acaagatgcc ggaagttgcc 9360 agtcctcaga agccttcaca gttactgatc ctcccactct gttaaagact gtgttccttc 9420 agaggacccc tgttttctag ttagtatagc agatttgttt tctaatcata ttatgttctt 9480 tctttacgtt ctgctctttt tgcccctccc aggtcctgtg gcggtacact ggaacccgac 9540 catcgaatct tgcgaacaac acgatacttg ttaagtggct accccaaaac gatctgcttg 9600 gtatgttggg cggattggat gtataggtca aaccagggtc aaattaagaa aatggcttaa 9660 gcacagctat tctaaaggat tgttgagctt gaaaatatta tggccaacat atcctacatt 9720 gctttttatc tagtggggta tctcaaccca cattttcttc tgcaaatttc tgcaagggca 9780 tgtgagtaac actgagtctt tggagtgttt tcagaaccta gatgtgtcca gctgtgaaac 9840 tcagagatgt aactgctgac atcctcccta ttttgcatct caggtcaccc gatgacccgt 9900 gcctttatca cccatgctgg ttcccatggt gtttatgaaa gcatatgcaa tggcgttccc 9960 atggtgatga tgcccttgtt tggtgatcag atggacaatg caaagcgcat ggagactaag 10020 ggagctggag tgaccctgaa tgttctggaa atgacttctg aagatttaga aaatgctcta 10080 aaagcagtca tcaatgacaa aaggtaagaa agaagataca gaagaatact ttggtcatgg 10140 cattcatgat aaaattgttt caaatatgaa aacatttacg tagcatttaa tagcgttgtt 10200 tcaaatataa aaacaaatac ataaaaatct ggatttttat ttcttctttt tttttttttt 10260 ttttttttga gatggagtct tgctctgtca cctaggctgg agtgcagtgg tgcaatcttg 10320 gcttactgca acctccacct cccacgttca agcagttctg cctcagcctc cgtgtagctg 10380 ggattacagg tgtccaccac cacgcccggt taatttttgt attttttagt agagaaaggg 10440 tttcaccatg tttgtcaggc tggtcttgaa ctcctgactt caggtgatcc acctgcctcg 10500 gcctgccaaa gtgctgagat tacaggcatg agccagcgcg tctgacctgg atttataaat 10560 aagataattt agaggttatt attcacttta taaaaggatt ctttagtttc tatataattt 10620 atcatataat ttatttagaa ttttatttcc cccattagat ttaaaactcc aatttacata 10680 aaaagttgcc ataatagaca tctgatccat aagtttcctg cacagaaaga aatactccat 10740 tataagaagc atagtatctt taagagaaaa acaactcaaa tgcttagaag tacagctttt 10800 tgcagcactg gaacctgtga gaaattttgt ccatggagtt tatgaatgaa ggagctataa 10860 gatatcacag acaaagtctt agaataagag caaaggaaaa tttgctcaaa tgtggccctg 10920 aaaacgattc aaagggcaaa tgatttctgg attaaagtta gtatattact gtcaagctca 10980 ctggtaatag gcttattaga accttatggg aagaagtggt ggccagtggt agatttcatc 11040 cgacaataga tactgtgtgc atatgtgcgt gtgcgtttgt gcatgtggct gtgctcatgt 11100 gtgggtgcac acgtgtgcat tcatatgcgt gtgtgtgtgt gtgcgtgtgt ttatgagagt 11160 gtccattgct ttctcccatg gttacctcct ttagaaagaa gcagcagtca ggaagacaga 11220 tgtgaagagc tggagcatgt tcagatgaga ggagacggaa cacggggaca caccagcttg 11280 agcaagggac aacaggggag gactgatgac tgacttccca cctttgaggt gctaatgtgt 11340 gtgtggtggc actggataaa agatcaatgt tggctaggca ccatggcaca cgcctgtagt 11400 cccagccact ctggaggcta aggcgggagg attgcttgag cccagaagtt ggaggctgct 11460 atgagccgtg atcatgccac tgcactccag caacctgggc aacagagtga gaccctgtct 11520 caaaaaaaaa aaaaaaaatg aaaagtccac ataacctgag catcatgtgc ccagagcgtt 11580 gggtggtgtg gtcccattcc ttccttccag cggcttcttc tggccacctc aatgtcagga 11640 tgtcctgctc acatatcaat accattaaaa cctgacttct ttccctgcac tgttgaagct 11700 ccttcttgag gctcacatta tggatataat tttgattctt tcttcagtgg tatagataac 11760 tacttgtaac ctaagaacaa cttggtgaaa gtcctctaat acattatttt ttaaaaaaac 11820 acaaatcaat gagctcaact tattaactaa ctttcatcta ttcatttttg agccatccct 11880 gtctgattgt gaatctccat gattccaaca ctctgagctg gggatagtgc ctacacaaaa 11940 taaaaagaag tggaaaattt tcaaacatca gtttatgctg acaaccaggc cataataggt 12000 gctcaattac tattgaatga atgaatgaaa gttctggcca ggtacggtgg ctcatgcctg 12060 tagtcccaac actttgggag gccgaggcag gtggatcact tgaggttagg agttcgaaac 12120 caacctgacc aacatgaaga aaccttatct ctaccaaaaa aatataaaaa aattacccag 12180 gcatggtggt gtatgcctgt aatcccagct atttgggagg ctgaggcagg aaaatcactt 12240 gaacctgaga ggcggaggtt gcagtgagct gagattgtgc cactccactc cagcctgggc 12300 gacagagtga gactccgtct tacttaaaaa aaaaaaaaag aaggttccaa gaaaattcat 12360 cttaaggttt atgtaaaagg aagatgatat ttaacatgat tcatggccaa gtactaatat 12420 tacattataa taatgtttcc aaataacatt atagatatgt ttaaagacag tgtattaggc 12480 tgttcttgca ttgctgtaaa gaaataccca agactgggta atttataaag aaaagaggtt 12540 tcattggctc gtgtttctgc aggctgtaca ggaagcttag tgctgacatc acttggctgc 12600 cgggggaacc tcagggagct tttactcatg gcagaaggca atgcgggagc ttgcatgtca 12660 catggcaaaa gcaggagcga gagagagttg ggggggaagg tgccacacac tttttaatga 12720 ccggctctca caataactca tgaaaactca ctatcaggaa gacagcacta aagcacaagg 12780 gatccgaccc catgatccaa acacctccca ccaggcccca tctccagcac tggggattac 12840 aattcaacat gagatctgag tgtggacaaa tatccaaact gtatcagtca acagcgatca 12900 taattagtcc tgaataggag tgcctttttt tttctttctt ctcccttttc ttttctactt 12960 cctcctcctt ttccctctcc tcttcaatct cctcttcatt cctgtagcac caagggttga 13020 agcacctaac ccgttttgga ttgagatgtt ctgattgggc aatgaacact gtccagaata 13080 aacagaaatc cattttgcac taagtggctg cacagaccct gcctcatgct aaatctagca 13140 cccagatagt ttaatgtttc aatgactgaa ttacaaatat atcatcacct tggatttggc 13200 acttacaaat ggctgttaat ttggccagag gtggttgttt acaacttcaa ataggagact 13260 attcataatt tctgacgtga cattttcctt tctttatttt actgtatgaa aatataatga 13320 aatttctcac aaaatatcac taaaaagaaa agaagaagag taggaagcaa ggttaaaata 13380 tttctaaaat ataattttgg tctttctttt tctcccttcc ttcctccgtc cctctctcct 13440 ttcctctctc cctccctccc tccctccctt cctcctttcc ttgcttcctt ccctccttct 13500 cttccttctt tttcaagaga tcaataacat ttattaagaa taagtttctt aattataacc 13560 tttcaggtga taatagtaac acagcctggg caacacaata agaccttgtt tctacaaaaa 13620 atttaaaaat tggccagaca tagtggtgca tgactaattc cagctactct ggaggctgag 13680 gcaggaggat ggcttgagcc caggagttgg aggctgcagt tagccatgct tgtgccacta 13740 cactccagcc cgggcaacag ggcaagactc tgtatctaaa aacaacaaca acaacaataa 13800 tagaaacagg tttcctttcc caagtttgga aaatctggta gtcttcttaa gcagccatga 13860 gcataaagag aggattgttc ataccacagg tgttccaggc ataacgaaac tgtctttgtg 13920 tttagttaca aggagaacat catgcgcctc tccagccttc acaaggaccg cccggtggag 13980 ccgctggacc tggccgtgtt ctgggtggag tttgtgatga ggcacaaggg cgcgccacac 14040 ctgcgccccg cagcccacga cctcacctgg taccagtacc attccttgga cgtgattggt 14100 ttcctcttgg ccgtcgtgct gacagtggcc ttcatcacct ttaaatgttg tgcttatggc 14160 taccggaaat gcttggggaa aaaagggcga gttaagaaag cccacaaatc caagacccat 14220 tgagaagtgg gtgggaaata aggtaaaatt ttgaaccatt ccctagtcat ttccaaactt 14280 gaaaacagaa tcagtgttaa attcatttta ttcttattaa ggaaatactt tgcataaatt 14340 aatcagcccc agagtgcttt aaaaaattct cttaaataaa aataatagac tcgctagtca 14400 gtaaagatat ttgaatatgt atcgtgcccc ctccggtgtc tttgatcagg atgacatgtg 14460 ccatttttca gaggacgtgc agacaggctg gcattctaga ttacttttct tactctgaaa 14520 catggcctgt ttgggagtgc gggattcaaa ggtggtccca ccgctgcccc tactgcaaat 14580 ggcagtttta atcttatctt ttggcttctg cagatggttg caattgatcc ttaaccaata 14640 atggtcagtc ctcatctctg tcctgcttca taggtgccac cttgtgtgtt taaagaaggg 14700 aagctttgta cctttagagt gtaggtgaaa tgaatgaatg gcttggagtg cactgagaac 14760 agcatatgat ttcttgcttt ggggaaaaag aatgatgcta tgaaattggt gggtggtgta 14820 tttgagaaga taatcattgc ttatgtcaaa tggagctgaa tttgataaaa acccaaaata 14880 cagctatgaa gtgctgggca agtttacttt ttttctgatg tttcctacaa ctaaaaataa 14940 attaataaat ttatataaat tctatttaag tgttttcact ggtgtcgcat ttatttcttg 15000 ttaagttgca ttttctaatt acaaaagtaa tgcatgatta tgacagaaag tttggaaaat 15060 atagaggttc acacacacac gccttcattg cgtgtgcatg cataaatgca tgagaaaaga 15120 aaaataacca gtaatcgcat cgcccagaaa taaccccagt tacaattgtg gcaaatacac 15180 atacttataa atattgcaga tatattaagt atacctagta tttgctaaca ctctttcttc 15240 tactctgtca tgaagattct cccaaggtgt ttttgtataa tatttaattc attttcagtg 15300 gccaagcagt attctacttc atggatatac caggatttat ttaaccataa cttctggttg 15360 gattcactct tattattttg tttaattaaa aaaaaaagac ctcggctggg cacagtggct 15420 catgcctgta atcccagcac tttgggaggc cgaggtgggt ggatcaccta agatcgggag 15480 tttgagacca gcctggccaa catggcaaaa ccccgtctct actaaaaata cagaaaatta 15540 gccgggtgtg gttgccagca cctgtaattc cagctaattg ggaggctgag gcaggagaat 15600 tgcttgaacc ggggtcaggg ggttcggagg tcggaggttg cagtgagtcc ggatcatgcc 15660 actgcattcc agcctgggtg acacagccag actctgtctc aaaaacaaca acaacaacaa 15720 aacaacaaca acaacaacaa caaaaatctc actggacatc ctagtagcta aggctttcca 15780 catattcatg attacttctg ttggaaagtg ctttacaaca aattgctagt tgtctcagtc 15840 tgggttcccc tgagatgagg attcaagggc caggagttta tttaggaagt aaaggaaaca 15900 ctgatagagg agtggcagag tgagaagggg tgatggtcat ccacagctgg ctctcttgtg 15960 gtcaatcgga gcttaatcct gctgggtgac tctgggagcc agtggagaaa agacacccca 16020 gacttatccc aatgaggaac acggctgttg ggtgcttgag tacttgcctc gtcagggatt 16080 gaaacgtact cccaggtagt agtaatttct ctgcccttcc attaggccac aaagggggct 16140 ctgacagaga gagctgacga gaaaaaacac acgcccttgt cactgaagag gtacacaggg 16200 gatctgtgtg gggcaccacc tgcactgcta ccctggacaa atagcttaag aaatccccac 16260 actgcatccc caaacttact atcagcgtgt gagggagaca ggttcccaca ccctcattag 16320 cacaaagtac tatcttgaaa aagaaagcct gtcagtttga taggagaaaa gcaggatctt 16380 gtttacaatg tgcttttatt attgttatta ttagagattg tatttctttt caagctgatg 16440 agccgtctgt gtttattttt tggaggatac cctttgccca ctttcctatt ggagtgtatt 16500 accctgagga tttggtaaga gtgcttattg cattcaccag aatgtccttt ttgtcattta 16560 ctgtattttc tctacttttt tttttttgcc ttgttttact ttttttgttt tgtattacaa 16620 gcagaagttt taaatttgta agcttcaaat tggagctggg gtggtgcaga gcgaagattt 16680 cagctggttc cctgacccca gctccatctc cttccctagg cagtggctgg aacacattct 16740 gtccactatt tccctctcta catccttgag gctgtgcagt cacccctcaa ctacgttcac 16800 cctccttcaa agcccttcct ggtccacccg gggaccatct cccggcctca ctgcccctag 16860 ctccttgacg ccccaacctc tctcagggac cccaagttgc catgacctcc agccagctca 16920 tgttcatttg caccttcgtg tctg 16944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 gcagcagagg ggacatgaaa ta 22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 cagcagaggg gacatgaaat a 21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 agcagagggg acatgaaata 20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5 gcagagggga catgaaata 19 <210> 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6 cagaggggac atgaaata 18 <210> 7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7 ctcaaaaaca ttatgcccga gactaac 27 <210> 8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8 tcaaaaacat tatgcccgag actaac 26 <210> 9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9 caaaaacatt atgcccgaga ctaac 25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0 aaaaacatta tgcccgagac taac 24 <210> 1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1 aaaacattat gcccgagact aac 23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2 aaacattatg cccgagacta ac 22 <210> 1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3 aacattatgc ccgagactaa c 21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4 acattatgcc cgagactaac 20 <210> 1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5 cattatgccc gagactaac 19 <210> 1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6 attatgcccg agactaac 18 <210> 17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7 ttatgcccga gactaac 17 <210> 1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8 cacagaactt tctgtgcgac g 21 <210> 1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9 acagaacttt ctgtgcgacg 20 <210> 2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0 cagaactttc tgtgcgacg 19 <210> 2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1 agaactttct gtgcgacg 18 <210> 22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2 gaactttctg tgcgacg 17 <210> 23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3 aactttctgt gcgacg 16 <210> 24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4 actttctgtg cgacg 15 <210> 2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25 cagacagatg cagagctcaa tagg 24 <210> 2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26 agacagatgc agagctcaat agg 23 <210> 2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27 gacagatgca gagctcaata gg 22 <210> 2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28 acagatgcag agctcaatag g 21 <210> 2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29 cagatgcaga gctcaatagg 20 <210> 3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30 agatgcagag ctcaatagg 19 <210> 3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31 gatgcagagc tcaatagg 18 <210> 32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32 atgcagagct caatagg 17 <210> 33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3 ctttttatag tcacgtgaca cagtcaaac 29 <210> 34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4 tttttatagt cacgtgacac agtcaaac 28 <210> 35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5 ttttatagtc acgtgacaca gtcaaac 27 <210> 36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6 tttatagtca cgtgacacag tcaaac 26 <210> 3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7 ttatagtcac gtgacacagt caaac 25 <210> 3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8 tatagtcacg tgacacagtc aaac 24 <210> 39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9 atagtcacgt gacacagtca aac 23 <210> 4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0 tagtcacgtg acacagtcaa ac 22 <210> 4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1 agtcacgtga cacagtcaaa c 21 <210> 4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2 gtcacgtgac acagtcaaac 20 <210> 4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3 tcacgtgaca cagtcaaac 19 <210> 4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4 cacgtgacac agtcaaac 18 <210> 45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5 acgtgacaca gtcaaac 17 <210> 4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46 cgcctttgct cctgccagag 20 <210> 4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47 gcctttgctc ctgccagag 19 <210> 4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48 cctttgctcc tgccagag 18 <210> 49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49 ctttgctcct gccagag 17 <210> 50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50 tttgctcctg ccagag 16 <210> 5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51 catcagagac agagcatttt acac 24 <210> 5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52 atcagagaca gagcatttta cac 23 <210> 5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53 tcagagacag agcattttac ac 22 <210> 5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54 cagagacaga gcattttaca c 21 <210> 5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55 agagacagag cattttacac 20 <210> 5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56 gagacagagc attttacac 19 <210> 5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57 agacagagca ttttacac 18 <210> 58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58 gacagagcat tttacac 17 <210> 59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59 tggtttattc ccagtatgca acc 23 <210> 6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0 ggtttattcc cagtatgcaa cc 22 <210> 6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1 tttattccca gtatgcaacc 20 <210> 6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2 ttattcccag tatgcaacc 19 <210> 6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3 tattcccagt atgcaacc 18 <210> 64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4 attcccagta tgcaacc 17 <210> 65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5 ttcccagtat gcaacc 16 <210> 66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6 tcccagtatg caacc 15 <210> 67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7 ccatatatat atatatataa gtaggagagg g 31 <210> 68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8 ccatatatat atatatataa gtaggagagg 30 <210> 6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9 ccatatatat atatatataa gtaggagag 29 <210> 70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0 ccatatatat atatatataa gtaggaga 28 <210> 71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1 ccatatatat atatatataa gtaggag 27 <210> 7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2 ccatatatat atatatataa gtagga 26 <210> 7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3 ccatatatat atatatataa gtagg 25 <210> 74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74 ggggacatga aatagttgtc ctagcacctg acgc 34 <210> 75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75 gggacatgaa atagttgtcc tagcacctga cgc 33 <210> 76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76 ggacatgaaa tagttgtcct agcacctgac gc 32 <210> 77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77 gacatgaaat agttgtccta gcacctgacg c 31 <210> 78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78 acatgaaata gttgtcctag cacctgacgc 30 <210> 7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79 catgaaatag ttgtcctagc acctgacgc 29 <210> 80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0 atgaaatagt tgtcctagca cctgacgc 28 <210> 81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1 tgaaatagtt gtcctagcac ctgacgc 27 <210> 8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2 gaaatagttg tcctagcacc tgacgc 26 <210> 8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3 aaatagttgt cctagcacct gacgc 25 <210> 8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4 aatagttgtc ctagcacctg acgc 24 <210> 8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5 atagttgtcc tagcacctga cgc 23 <210> 8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6 tagttgtcct agcacctgac gc 22 <210> 8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7 agttgtccta gcacctgacg c 21 <210> 8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8 gttgtcctag cacctgacgc 20 <210> 8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9 ttgtcctagc acctgacgc 19 <210> 90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90 tgtcctagca cctgacgc 18 <210> 91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91 caaaagactc tttcacatcc tccctttgg 29 <210> 92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92 ccttttcaca gaactttctg tgcgacg 27 <210> 93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93 cttttcacag aactttctgt gcgacg 26 <210> 9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94 ttttcacaga actttctgtg cgacg 25 <210> 9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95 tttcacagaa ctttctgtgc gacg 24 <210> 9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96 ttcacagaac tttctgtgcg acg 23 <210> 9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97 tcacagaact ttctgtgcga cg 22 <210> 98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98 gccagacaga tgcagagctc aatagg 26 <210> 99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99 ccagacagat gcagagctca atagg 25 <210> 10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00 gggttgcata ctgggaataa ac 22 <210> 10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01 ggttgcatac tgggaataaa 20 <210> 10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02 gttgcatact gggaataaac 20 <210> 10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03 ttgcatactg ggaataaac 19 <210> 10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04 tgcatactgg gaataaac 18 <210> 105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05 gcatactggg aataaac 17 <210> 106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06 ccgagactaa caaaagactc tttcacatcc tccctttgg 39 <210> 107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07 cgagactaac aaaagactct ttcacatcct ccctttgg 38 <210> 108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08 gagactaaca aaagactctt tcacatcctc cctttgg 37 <210> 109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09 agactaacaa aagactcttt cacatcctcc ctttgg 36 <210> 110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0 gactaacaaa agactctttc acatcctccc tttgg 35 <210> 111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1 actaacaaaa gactctttca catcctccct ttgg 34 <210> 112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2 ctaacaaaag actctttcac atcctccctt tgg 33 <210> 113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3 taacaaaaga ctctttcaca tcctcccttt gg 32 <210> 114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4 aacaaaagac tctttcacat cctccctttg g 31 <210> 11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5 acaaaagact ctttcacatc ctccctttgg 30 <210> 116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6 aaaagactct ttcacatcct ccctttgg 28 <210> 117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7 aaagactctt tcacatcctc cctttgg 27 <210> 118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8 aagactcttt cacatcctcc ctttgg 26 <210> 119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9 agactctttc acatcctccc tttgg 25 <210> 12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20 gactctttca catcctccct ttgg 24 <210> 12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21 actctttcac atcctccctt tgg 23 <210> 12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22 ctctttcaca tcctcccttt gg 22 <210> 123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23 agctttttat agtcacgtga cacagtcaaa c 31 <210> 124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24 gctttttata gtcacgtgac acagtcaaac 30

Claims (22)

  1. UGT1A1 유전자의 다형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로서, 하기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1) 서열번호 1에서의 2173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하여 17∼25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1)가 서열번호 51∼58 중 어느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프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1)가 서열번호 5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5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인 프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형광 표지화 프로브인 프로브.
  5. UGT1A1 유전자의 다형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 시약으로서, 제1항에 기재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시약.
  6. 제5항에 있어서, 하기 (2-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프로브, 하기 (2-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프로브, 및 하기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프로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를 더 포함하는 프로브 시약:
    (2-1) 서열번호 1에서의 2645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하여 15∼22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2-2) 서열번호 1에서의 2625번째의 구아닌 염기(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하여 17∼22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구아닌 염기에 상보적인 시토신 염기(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3) 서열번호 1에서의 1892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하여 25∼31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59∼66 중 어느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며, 상기 (2-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100∼105 중 어느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고, 상기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67∼73 중 어느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프로브 시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62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며, 상기 (2-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10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고, 상기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69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프로브 시약.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형광 표지화 프로브인 프로브 시약.
  10. UGT1A1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해석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i)∼(iv)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 해석 방법:
    (i) 시료 중의 핵산을 주형으로 하여, UGT1A1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반응액 중에서 증폭시키는 공정,
    (ii) 상기 (i) 공정에서의 증폭 산물과, 제5항에 기재된 프로브 시약을 포함하는 반응액을 준비하는 공정,
    (iii)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증폭 산물과 상기 프로브 시약 중의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값을 측정하는 공정, 및
    (iv)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시그널값의 변동으로부터, 상기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결정하는 공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 공정에서 증폭 반응에 앞서 상기 반응액에 제5항에 기재된 프로브 시약을 첨가하는 다형 해석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가 생체 시료인 다형 해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시료가 전혈인 다형 해석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시약이 하기 (2-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프로브, 하기 (2-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프로브, 및 하기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프로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를 더 포함하는 다형 해석 방법:
    (2-1) 서열번호 1에서의 2645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하여 15∼22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2-2) 서열번호 1에서의 2625번째의 구아닌 염기(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하여 17∼22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구아닌 염기에 상보적인 시토신 염기(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3) 서열번호 1에서의 1892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하여 25∼31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 공정에서 하기 프라이머 셋트(1)를 이용하여 반응액 중에서 상기 UGT1A1의 증폭을 행하는 다형 해석 방법:
    프라이머 셋트 (1)
    하기 (F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
    (F1)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UGT1A1 유전자에서의 2120번째의 아데닌 염기(A)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하여 18∼22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아데닌 염기(A)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UGT1A1 유전자에서의 214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하여 18∼34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1)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UGT1A1 유전자에서의 2226번째의 구아닌 염기(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하여 17∼27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2226번째의 구아닌 염기(G)에 상보적인 시토신 염기(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UGT1A1 유전자에서의 2198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하여 22∼39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2198번째의 시토신 염기(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셋트(1)가 하기 프라이머 셋트(1')인 다형 해석 방법:
    프라이머 셋트(1')
    하기 (F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
    (F1') 서열번호 4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8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1') 서열번호 13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9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i) 공정에서 상기 프라이머 셋트(1), 하기 프라이머 셋트(2), 및 하기 프라이머 셋트(3) 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반응액 중에서 상기 UGT1A1의 증폭을 행하는 다형 해석 방법:
    프라이머 셋트(2)
    하기 (F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
    (F2)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UGT1A1 유전자에서의 2622번째의 구아닌 염기(G)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하여 15∼27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구아닌 염기(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2)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UGT1A1 유전자에서의 2687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하여 17∼26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2687번째의 시토신 염기(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셋트(3)
    하기 (F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
    (F3)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UGT1A1 유전자에서의 1863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5' 방향을 향하여 17∼31번째 염기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C)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3)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UGT1A1 유전자에서의 1928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번째 염기로 하여 3' 방향을 향하여 16∼20번째 염기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1928번째의 시토신 염기(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G)를 3' 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셋트(2) 및 상기 프라이머 셋트(3)가 각각 하기 프라이머 셋트(2') 및 하기 프라이머 셋트(3')인 다형 해석 방법:
    프라이머 셋트(2')
    하기 (F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
    (F2') 서열번호 21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92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2') 서열번호 29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98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셋트(3')
    하기 (F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라이머 셋트:
    (F3') 서열번호 42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23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3') 서열번호 46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48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87020256A 2006-11-30 2007-11-29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101107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22955 2006-11-30
JP2006322955 2006-11-30
JP2007232611 2007-09-07
JPJP-P-2007-00232611 2007-09-07
PCT/JP2007/073107 WO2008066136A1 (en) 2006-11-30 2007-11-29 Primer set for amplification of ugt1a1 gene, reagent for amplification of ugt1a1 gene compris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014A Division KR101153058B1 (ko) 2006-11-30 2007-11-29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922A KR20080101922A (ko) 2008-11-21
KR101107911B1 true KR101107911B1 (ko) 2012-01-25

Family

ID=394679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014A KR101153058B1 (ko) 2006-11-30 2007-11-29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1020087020256A KR101107911B1 (ko) 2006-11-30 2007-11-29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014A KR101153058B1 (ko) 2006-11-30 2007-11-29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 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357516B2 (ko)
EP (2) EP2071025A4 (ko)
JP (1) JP5307538B2 (ko)
KR (2) KR101153058B1 (ko)
CN (3) CN102168141B (ko)
WO (1) WO2008066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1969A1 (ja) * 2008-07-02 2010-01-07 アークレイ株式会社 標的核酸配列の増幅方法、それを用いた変異の検出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試薬
JP5661251B2 (ja) * 2009-03-31 2015-01-28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Ugt1a1遺伝子多型検出法
EP2450443B1 (en) 2010-01-21 2016-05-11 ARKRAY, Inc. Target sequence amplification method, polymorphism detection method, and reagents for use in the methods
JP2011250726A (ja) * 2010-06-01 2011-12-15 Toyo Kohan Co Ltd イリノテカンの副作用の発生危険度を判定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キット
US20120107815A1 (en) * 2010-10-28 2012-05-03 Arkray, Inc. Polymorphism Detection Probe, Polymorphism Detection Method, Evaluation of Drug Efficacy, and Polymorphism Detection Kit
JP5757908B2 (ja) * 2011-05-02 2015-08-05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多型検出用プローブ、多型検出方法、薬効評価方法、疾患予測方法及び多型検出用試薬キット
JP5757909B2 (ja) * 2011-05-02 2015-08-05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多型検出用プローブ、多型検出方法、薬効判定方法及び多型検出用試薬キット
CN102816858B (zh) * 2012-09-06 2014-02-19 上海源奇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ugt1a1基因型的引物和探针、及其试剂盒
CN102899406B (zh) * 2012-09-19 2014-06-04 长沙三济生物科技有限公司 定性检测尿苷二磷酸葡萄糖醛酸基转移酶1a1基因分型的测序引物对及其试剂盒
CN105177115B (zh) * 2014-11-17 2018-06-15 步迅 一种用于指导伊立替康类化疗药物个体化治疗的ugt1a1联合基因位点荧光检测试剂盒
CN104388572A (zh) * 2014-12-09 2015-03-04 苏州旷远生物分子技术有限公司 用于检测人ugt1a1基因多态性的引物、探针、荧光pcr试剂盒和方法
CN104946784A (zh) * 2015-07-20 2015-09-30 武汉友芝友医疗科技有限公司 人类ugt1a1基因多态性检测特异性引物和试剂盒
CN108570499B (zh) * 2018-01-15 2020-08-28 新开源禄西(南京)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ugt1a1基因的快速扩增试剂盒及扩增方法
CN109371127A (zh) * 2018-10-22 2019-02-22 江苏美因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同时快速检测ugt1a1*6型与ugt1a1*28型基因多态性的试剂盒及方法
CN109913480B (zh) * 2019-03-21 2022-05-31 临沂大学 一种蝗虫尿苷二磷酸葡萄糖醛酸转移酶基因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52970A1 (en) * 2000-12-12 2003-10-15 Nagoya Industr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estimating the risk of expression of adverse drug reaction caused by the administration of a compound, which is either metabloized per se by ugt1a1 or whose intermediate is metabolized by the enzyme
JP2005261354A (ja) * 2004-03-19 2005-09-29 Arkray Inc 核酸の蛍光検出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9818A (en) 1986-08-22 1989-12-26 Cetus Corporation Purified thermostable enzyme
US5079352A (en) 1986-08-22 1992-01-07 Cetus Corporation Purified thermostable enzyme
ES2121777T3 (es) 1989-12-22 1998-12-16 Hoffmann La Roche Vectores de expresion recombinantes y metodos de purificacion de la dna polimerasa de thermus thermophilus.
US5322785A (en) 1990-04-26 1994-06-21 New England Biolabs, Inc. Purified thermostable DNA polymerase obtainable from thermococcus litoralis
WO1992009688A1 (en) 1990-11-21 1992-06-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CE HAVING β2 MICROGLOBULIN GENE DISRUPTION
WO1992009689A1 (en) 1990-12-03 1992-06-11 Stratagene PURIFIED THERMOSTABLE $i(PYROCOCCUS FURIOSUS)
WO1999057322A2 (en) 1998-05-07 1999-11-11 Axys Pharmaceuticals, Inc. Genotyping the human udp-glucuronosyltransferase 1 (ugt1) gene
US6395481B1 (en) * 1999-02-16 2002-05-28 Arch Development Corp. Methods for detection of promoter polymorphism in a UGT gene promoter
WO2001079230A2 (en) * 2000-04-18 2001-10-25 Genaissance Pharmaceuticals, Inc. Haplotypes of the ugt1a1 gene
AU2002328945A1 (en) 2001-07-23 2003-02-24 Epidauros Biotechnologie Ag Methods for improved treatment of cancer with irinotecan based on mrp1
US20060160074A1 (en) * 2001-12-27 2006-07-20 Third Wave Technologies, Inc. Pharmacogenetic DME detection assay methods and kits
JP4096037B2 (ja) * 2002-08-12 2008-06-04 国立大学法人滋賀医科大学 グルクロン酸転移酵素遺伝子の変異解析による薬剤代謝活性の予測方法
US7625699B2 (en) * 2003-03-10 2009-12-01 Celera Corporation Genetic polymorphisms associated with coronary stenosis, methods of detection and uses thereof
EP1629111B1 (en) * 2003-05-30 2008-05-28 University Of Chicago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dicting irinotecan toxicity
JP4454265B2 (ja) * 2003-08-13 2010-04-21 アークレイ株式会社 融解曲線解析法
WO2005087952A1 (en) * 2004-03-05 2005-09-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o the pharmacogenetics of abcc2, ugt1a1, and/or slc01b1 gene variants
EP1789588A1 (en) * 2004-09-06 2007-05-30 Medizinische Hochschule Hannover Methods and its kits based on ugt1a7 promoter polymorphism
US7368242B2 (en) 2005-06-14 2008-05-06 Affymetrix, Inc. Method and kits for multiplex hybridization assays
GB2432365A (en) * 2005-11-18 2007-05-23 Dxs Ltd A nucleic acid molecule for detecting polymorphisms in the UGT1A1 promoter
JP4884899B2 (ja) * 2006-09-19 2012-02-29 東洋鋼鈑株式会社 イリノテカンの副作用の発生危険度を判定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キ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52970A1 (en) * 2000-12-12 2003-10-15 Nagoya Industr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estimating the risk of expression of adverse drug reaction caused by the administration of a compound, which is either metabloized per se by ugt1a1 or whose intermediate is metabolized by the enzyme
JP2005261354A (ja) * 2004-03-19 2005-09-29 Arkray Inc 核酸の蛍光検出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025A (ko) 2011-03-14
US20110281265A1 (en) 2011-11-17
KR101153058B1 (ko) 2012-06-04
KR20080101922A (ko) 2008-11-21
CN101506362A (zh) 2009-08-12
EP2463365A1 (en) 2012-06-13
US20090208954A1 (en) 2009-08-20
WO2008066136A1 (en) 2008-06-05
JPWO2008066136A1 (ja) 2010-03-11
JP5307538B2 (ja) 2013-10-02
CN102168140B (zh) 2013-10-23
EP2463365B1 (en) 2013-09-18
EP2071025A4 (en) 2009-12-09
CN102168141A (zh) 2011-08-31
CN102168140A (zh) 2011-08-31
EP2071025A1 (en) 2009-06-17
US9175272B2 (en) 2015-11-03
CN101506362B (zh) 2012-09-05
CN102168141B (zh) 2013-10-23
US8357516B2 (en)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911B1 (ko)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JP5637850B2 (ja) 標的核酸配列の増幅方法、それを用いた変異の検出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試薬
KR101135829B1 (ko)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101446556B1 (ko) Mthfr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mthfr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20080100429A (ko) Cyp2c19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포함하는 cyp2c19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101147277B1 (ko) Jak2 유전자의 변이 검출용 프로브 및 그 용도
EP2025764B1 (en) Probe for detection of mutation in abl gene and use thereof
EP3064596B1 (en) Method for analysing cyp2c19 gene polymorphism, kit and use thereof for analysing the cyp2c19 gene polymorphisms and to evaluate drug efficacy.
KR101051385B1 (ko)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101649179B1 (ko) 표적 서열의 증폭 방법, 다형 검출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시약
WO2008066163A1 (fr) Ensemble d&#39;amorces utilisé dans l&#39;amplification du gène cyp2c9, réactif utilisé dans l&#39;amplification du gène cyp2c9, et son utilisation
KR101107831B1 (ko) Sul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sul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101068605B1 (ko) Nat2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 nat2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101472940B1 (ko) Egfr 유전자 다형 검출용 프로브 및 그 용도
EP2407560B1 (en) Probe for detection of polymorphism in abl gene,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