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997B1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997B1
KR101106997B1 KR1020090115320A KR20090115320A KR101106997B1 KR 101106997 B1 KR101106997 B1 KR 101106997B1 KR 1020090115320 A KR1020090115320 A KR 1020090115320A KR 20090115320 A KR20090115320 A KR 20090115320A KR 101106997 B1 KR101106997 B1 KR 101106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otrusion
battery module
hole
ca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340A (ko
Inventor
김용삼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0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61Hollow metallic terminals, e.g. terminal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베이스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 전지들, 및 단위 전지들 중 이웃한 단위 전지들의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베이스 부재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 집전판, 지지 돌기, 용접 돌기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이룬다.
또한, 전지 모듈은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 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지며, 이차 전지는 원통형과 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단위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및 상기 전극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캡 조립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 전지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된다. 그리고 일측 단위 전지의 양극 단자와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음극 단자에 연결 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연결 부재 위로 배치되는 너트가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서 단위 전지들이 직렬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연결 부재에는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외주면은 너트 체결을 위해 나사가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너트와 연결 부재가 접하는 면에서 큰 접촉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현상은 너트와 연결 부재의 접촉 면적이 작은 것에서 기인한다. 즉, 연결 부재와 너트가 외관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도록 가공된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가공 상의 한계로 인해 상기 표면은 울퉁불퉁한 부분이 생기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너트가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체결된 상태에서 너트와 연결 부재의 접촉 부분을 미시적으로 보게 되면 이들은 작은 면적에서 서로 점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기존의 전지 모듈은,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단위 전지의 체결 부위에 대한 접촉 저항의 증가로 출력 저하는 물론, 더 나아가 상기 체결 부위에서 저항열이 발생할 수 있다. 외부의 진동으로 인하여 너트의 조임 상태가 느슨해지게 되는데, 이 경우 접촉 부분은 좀더 큰 접촉 저항을 가지게 되고 이에 의해 더 많은 저항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를 단자에 용접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 단위 전지를 분리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베이스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 전지들, 및 단위 전지들 중 이웃한 단위 전지들의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베이스 부재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돌기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는 단위 전지들 중 하나의 베이스 부재에 접촉할 수 있고, 제2 돌기는 상술한 단위 전지들 중 하나와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베이스 부재에 접촉할 수 있다.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을 파고들 수 있다.
베이스 부재는, 단자에 체결된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는, 단자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위 전지는,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군을 수납하는 케이스, 및 이 케이스 내에 위치한 전극군을 지지하며 단자의 일부가 돌출되는 구멍을 가지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 모듈은 캡 플레이트 하부에서 단자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 위에서 상기 구멍에 설치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스켓은 캡 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 및 캡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여 캡 플레이트에 체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는, 단위 전지의 단자의 일부가 돌출되는 홀을 포함하고, 돌기는 홀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돌기는 홀 주위에서 형성되는 링 형상의 돌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돌기의 단면적이, 삼각형, 호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다.
돌기는, 단자가 통과하는 연결 부재의 홀 주위를 따라 형성되는 링 형상이고, 그 단면적이 파형일 수 있다.
돌기는, 홀 주위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돌기는, 홀 주위에 위치한 복수의 원뿔 형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 모듈은 단위 전지들 사이에 위치하여 열전달 매체의 유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지 모듈은 연결 부재를 단위 전지의 단자에 체결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에 형성된 돌기가 베이스 부재에 밀착되어 연결 부재와 단자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켜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다른 전지 모듈(100)은 양극 단자(21)와 음극 단자(22)를 갖는 복수 개의 단위 전지들(10)과 단위 전지들 사이(즉, 이웃한 단위 전지들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달 매체의 유통로를 형성하는 격벽(11)과 이웃하는 단위 전지(10)의 단자들(21, 22)(본 기재에서 단자라 함은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30) 및 상기 연결 부재(30)를 단자(21, 22)에 고정시키는 너트(25, 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지(10)는 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전극군(도시하지 않음)을 수납하는 케이스(15)와 상기 케이스(15)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1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형 전지를 예로 하여 단위 전지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단위 전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자들(21, 22)은 상기 캡 플레이트(17)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 캡 플레이트(17)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캡 플레이트(17)는 단자들(21, 22)이 각기 돌출되는 부분에 구멍(17a)를 구비한다. 너트(25, 26)에 의해 캡 플레이트(17)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너트(25, 26)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단자들(21, 22)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 때, 단자들(21, 22)은 원형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17)와 단자(21, 22) 사이에는 캡 플레이트(17)와 단자들(21, 22)을 절연시키는 개스킷(23)이 설치된다. 일례로, 가스켓(23)은, 캡 플레이트(17)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캡 플레이트(17)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여, 캡 플레이트(17)에 체결된다.
단자들(21, 22)과 개스킷(23)의 설치를 위해 캡 플레이트(17)에는 일정 크기를 갖는 구멍(17a)이 형성된다. 일례로, 단자들(21, 22)이 각기 돌출되는 부분에 이에 대응하는 구멍(17a)이 형성된다. 개스킷(23)은 이 구멍(17a)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면서 그 상부 부위를 캡 플레이트(17)의 외면 쪽으로 배치시키고 하부 부위는 캡 플레이트(17)의 내면 쪽으로 배치시킨다. 단자(21, 22)의 아래에서는 캡 플 레이트(17)의 내면에서 단자(21, 22)를 지지하는 플랜지부(28)가 형성된다.
너트(25, 26) 중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너트(25)가 단자(21, 22) 상에 설치될 때, 개스킷(23)과 이 제1 너트(25) 사이에는 와셔(24)가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너트(25)가 베이스 부재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지 모듈(100)을 이루는 각각의 단위 전지(10)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단위 전지(10)의 양극 단자(21)와 음극 단자(22)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일측 단위 전지(10)의 양극 단자(21)와 이에 이웃하는 단위 전지(10)의 음극 단자(22)에 연결 부재(30)가 설치된다.
연결 부재(30)는 길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결 부재(30)에는 단자(21, 22)가 삽입되는 홀(36)이 길이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연결 부재(30)는 제1 너트(25)가 단자(21, 22) 상에 설치된 후, 홀(36)에 단자를 끼움하여 설치되는데, 이 때, 연결 부재(30)의 고정을 위하여 연결 부재(30)의 상부에는 제2 너트(26)가 단자(21, 22)에 체결된다. 제2 너트(26)는 연결 부재를 제1 너트(25) 쪽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전극군에서 발생한 전류는 양극 단자(21), 제1 너트(25)를 거쳐서 연결 부재(30)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1 너트(25)를 향하는 연결 부재(30)의 면에는 돌기(32)가 형성되는 바, 돌기(32)는 연결 부재(30)가 굴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30)에서 돌출된 부분에 대응되는 제2 너트(26)를 향하는 연결 부재(30)의 면은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돌기(32)는 단자(21, 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된다. 일례로 돌기(32)는 단자(21, 22)가 삽입되는 홀(36)을 둘러 싸는 원형의 고리 형상 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돌기(32)는 호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데,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32)는 삼각형(도 4A), 사각형(도 4B)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 부재(30)에 돌기(32)를 형성하면 돌기(32)가 베이스 부재인 제1 너트(25)에 밀착되어 전류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연결 부재(30)와 제1 너트(25)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일례로 연결 부재(30)가 굴곡되어 돌기(32)가 형성되면,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 역할을 하는 제2 너트(26)에 의하여 돌기(32)가 제1 너트(25)로 가압될 때, 돌기(32)가 펴지면서 돌기(32)의 곡률이 완만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기(32)는 더욱 넓은 면적으로 제1 너트(25)와 접촉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단자 및 연결 부재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극 단자(21)에는 캡 플레이트(17)의 하면에 위치하는 플랜지부(28)와 캡 플레이트(17)의 상면에 위치하는 단자 기부(29)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양극 단자를 예로서 설명하나 음극 단자도 양극 단자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플랜지부(28)와 단자 기부(29)는 양극 단자(21)와 일체로 형성되 며, 캡 플레이트(17)에 대하여 양극 단자(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플랜지부(28) 및 단자 기부(29)는 양극 단자(21)를 캡 플레이트(17)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하여 단면적을 확장시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 기부(29)와 양극 단자(21)를 일체로 형성하면 종래에 양극 단자(21)와 제1 너트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연결 부재(70)에서 단자 기부(29)를 향하는 면에는 돌기(72)가 형성되며, 돌기(72)는 일례로 연결 부재가 굴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돌기(72)는 단자 기부(29)를 향하여 뾰족하게 돌출된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이와 같이 돌기(72)를 형성하면 돌기(72)가 단자 기부(29)의 표면을 파고들어 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처럼 돌기(72)가 단자 기부(29)의 표면을 파고 들면 돌기(72)와 단자 기부(29)가 면접촉하는 결과를 가지게 되어 연결 부재(70)와 단자 기부(29)의 접촉면적이 확대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에 도시한 실시예는 돌기의 단면이 사각형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4a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양쪽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단자(21, 22)가 삽입되는 홀(46)이 형성된다.
또한 홀(46)의 주위에는 돌기(42)가 형성되는 바, 돌기(42)는 복수개의 요철 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돌기(42)는 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또한, 돌기(42)는 홀(46)의 둘레를 따라 이어져 연결 부재(40)에는 복수개의 링 형상 돌기들(42)이 중첩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돌기(42)를 중첩 형성하면 보다 맞은 돌기들(42)이 너트 또는 단자 기부로 이루어진 베이스 부재와 접촉하여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5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5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양쪽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단자(21, 22)가 삽입되는 홀(56)이 형성된다.
홀(56)의 둘레에는 복수 개의 돌기(52)가 형성되는데, 돌기(52)는 연결 부재(30)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홀(56)에서 외측으로 이어진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기(52)는 복수 개가 홀(56)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열된다. 이와 같이 돌기(52)가 배열되면 돌기(52)가 너트 또는 다자 기부로 이루어진 베이스 부재와 원주 방향뿐만 아니라 반지름 방향으로 균일하게 접촉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류는 최단 경로를 통해서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바, 만일 돌기가 둘레 방향으로만 이어져 형성되고 최단 경로가 둘레 중의 어느 한 부분일 경우에는 전류가 집중되어 저항이 커지고 열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돌기(52)를 방사상으로 이어지게 형성하고, 복수 개를 둘레를 따라 이격 배열하면 둘레 방향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도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져서 전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6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단자(21, 22)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연결 부재(60)에는 돌기(62)가 형성되는 바, 돌기(62)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가 홀(65)의 주변에서 이격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돌기가 홀(65)의 주변에서 외측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즉, 돌기가 홀(65)의 주변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바(bar)를 복수로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들(62)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돌기들(62)을 원뿔 형상으로 형성하면 원뿔의 모서리 부분이 너트 또는 단자 기부로 이루어진 베이스 부재에 파고들어 각 돌기들(62)이 베이스 부재와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즉, 돌기(62)의 높이는 공차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지만, 너트 등의 가압 부재에 의하여 연결 부재(60)가 베이스 부재로 가압될 때, 돌기(62)의 상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므로 높이가 높은 돌기(62)는 베이스 부재에 더 많이 파고들고, 높이가 낮은 돌기(62)는 조금 파고들어 각 돌기들(62)이 모두 베이스 부재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60)와 단자(21, 22)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압된 너트에 의해 변형된 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지 모듈 10: 단위 전지
15: 케이스 17: 캡 플레이트
21, 22: 단자 25, 26: 너트
29: 단자 기부 30: 연결 부재
32: 돌기 36: 홀

Claims (16)

  1. 베이스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 전지들;
    상기 단위 전지들 중 이웃한 단위 전지들의 상기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단위 전지의 상기 단자에 체결하는 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연결 부재가 굴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너트의 가압으로 탄성 변형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단위 전지들 중 하나의 베이스 부재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제1 돌기; 및
    상기 단위 전지들 중 하나와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베이스 부재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
    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단자에 체결된 너트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단자와 일체로 형성된 전지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는,
    상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군을 수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한 상기 전극군을 지지하며 상기 단자의 일부가 돌출되는 구멍을 가지는 캡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 하부에서 상기 단자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 위에서 상기 구멍에 설치되며, 상기 캡 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캡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단위 전지의 상기 단자의 일부가 돌출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홀 주위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홀 주위에서 형성되는 링 형상의 돌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전지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단면적이, 삼각형, 호형, 또는 사각형인 전지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홀 주위를 따라 형성되는 링 형상이고, 그 단면적이 파형인 전지 모듈.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들 사이에 위치하여 열전달 매체의 유통로를 형성하는복수의 격벽들을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16. 삭제
KR1020090115320A 2009-03-16 2009-11-26 전지 모듈 KR101106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60409P 2009-03-16 2009-03-16
US61/160,604 2009-03-16
US12/625,519 US7972185B2 (en) 2009-03-16 2009-11-24 Battery module having connector for connecting terminals
US12/625,519 2009-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340A KR20100105340A (ko) 2010-09-29
KR101106997B1 true KR101106997B1 (ko) 2012-01-25

Family

ID=4206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320A KR101106997B1 (ko) 2009-03-16 2009-11-26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72185B2 (ko)
EP (1) EP2230705B1 (ko)
JP (1) JP5345565B2 (ko)
KR (1) KR101106997B1 (ko)
CN (1) CN1018410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1894A1 (de) * 2009-09-18 2011-03-31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Elektrisches Kontaktieren eines elektrischen Bauteils
KR101137365B1 (ko) * 2010-05-20 2012-04-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DE102010033437A1 (de) * 2010-08-04 2012-02-09 Johnson Controls Hybrid And Recycling Gmbh Elektrische Verbindungsanordnung und elektrisches Verbindungselement sowie Akkumulatoranordnung dafür
KR101222406B1 (ko) * 2010-11-03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의 단자, 이차 전지의 단자 조립 방법,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KR101222371B1 (ko) 2010-11-12 2013-01-1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의 단자, 이차 전지의 단자 조립 방법,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JP5516354B2 (ja) * 2010-11-16 2014-06-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スバーおよび電池セルの接続構造
JP2012150985A (ja) * 2011-01-19 2012-08-09 Toyoda Gosei Co Ltd 電池蓋部材
JP6072674B2 (ja) * 2011-03-10 2017-02-01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電池接続方法
DE102011007312A1 (de) * 2011-04-13 2012-10-18 Robert Bosch Gmbh Speichereinheit mit einem federnd kontaktierten Energiespeicher
KR101244739B1 (ko) 2011-05-09 2013-03-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전지 모듈
JP5733061B2 (ja) * 2011-07-05 2015-06-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配線モジュール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JP6065605B2 (ja) * 2013-01-22 2017-01-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6032027B2 (ja) * 2013-01-25 2016-11-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
JP6089784B2 (ja) * 2013-02-28 2017-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
JP2015099759A (ja) * 2013-11-20 2015-05-28 株式会社東芝 組電池用バスバーおよび組電池
DE102014002820B3 (de) * 2014-02-26 2015-08-27 Audi Ag Batterie mit mehreren Batteriezellen und wenigstens einem Verbindungselement, sowie entsprechendes Verbindungselement
KR102308631B1 (ko) * 2014-08-13 2021-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83792B1 (ko) * 2014-08-25 2021-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DE102014017622A1 (de) 2014-11-27 2016-06-02 Audi Ag Verbindungselement, Stromsammeleinrichtung und zugehöriges Herstellungsverfahren
US9879781B2 (en) * 2015-03-06 2018-01-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lated sealing system for vehicle assembly
US9917291B2 (en) 2015-05-05 2018-03-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Welding process for a battery module
CA3023941C (en) * 2016-06-01 2019-10-22 Termaco Ltee Battery connector
JP6653295B2 (ja) * 2017-08-03 2020-0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の電極接触構造
JP7004200B2 (ja) * 2017-11-08 2022-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組電池
DE102017221071B4 (de) 2017-11-24 2024-05-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Kontaktierungsschnittstelle mit einem geringen und stabilen elektrischen Übergangswiderstand
JP7354556B2 (ja) * 2019-03-05 2023-10-03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KR20210069384A (ko) 2019-12-03 2021-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KR20220014041A (ko) * 2020-07-28 2022-02-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4289A1 (en) * 2004-10-28 2006-05-04 Jae-Kyung Kim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20070025737A (ko) * 2005-09-05 2007-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3927A (en) * 1970-02-19 1972-05-16 Amp Inc Battery terminal
JPS59126457U (ja) * 1983-02-15 1984-08-25 日本電池株式会社 蓄電池
JPS59156359U (ja) * 1983-04-05 1984-10-20 日本電池株式会社 蓄電池装置
JPH09106800A (ja) * 1995-10-09 1997-04-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組電池用集電端子及びその接続方法
JPH09223493A (ja) * 1996-02-15 1997-08-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池間接続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JP2002246006A (ja) * 2001-02-21 2002-08-30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用接続部材
JP4171873B2 (ja) 2002-02-25 2008-10-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4305111B2 (ja) * 2003-09-29 2009-07-29 新神戸電機株式会社 組電池及び電気自動車
KR100590045B1 (ko) * 2004-11-30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조립 방법
EP1691431A1 (de) * 2005-02-14 2006-08-16 SAT Akkumulatoren Technik AG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von Zellen zu Akkumulatoren
KR100627374B1 (ko) * 2005-07-29 2006-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84846B1 (ko) * 2005-07-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CN100468827C (zh) * 2005-12-20 2009-03-11 深圳华粤宝电池有限公司 电池圆柱外壳及圆柱防爆电池及其加工方法和设备
JP2010003466A (ja) * 2008-06-18 2010-01-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4289A1 (en) * 2004-10-28 2006-05-04 Jae-Kyung Kim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20070025737A (ko) * 2005-09-05 2007-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72185B2 (en) 2011-07-05
KR20100105340A (ko) 2010-09-29
CN101841055A (zh) 2010-09-22
EP2230705B1 (en) 2013-10-30
US20100233915A1 (en) 2010-09-16
EP2230705A1 (en) 2010-09-22
JP5345565B2 (ja) 2013-11-20
CN101841055B (zh) 2013-11-06
JP2010219027A (ja)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997B1 (ko) 전지 모듈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KR101201745B1 (ko) 이차 전지
EP3168898B1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KR101125640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1166025B1 (ko) 배터리 모듈
KR101106998B1 (ko) 이차 전지
KR101023103B1 (ko) 이차 전지
KR20130138678A (ko) 이차 전지
KR100669468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격벽
JP2007042628A (ja) 二次電池
JP2006019284A (ja) 二次電池
KR20100102542A (ko) 이차 전지
KR101683208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20120125874A (ko) 전지 모듈
KR100684802B1 (ko) 이차 전지
US9412992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244735B1 (ko) 이차 전지
KR20130049025A (ko) 이차 전지
KR101181803B1 (ko) 이차 전지
US20050158620A1 (en) Secondary battery
KR10069667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5868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256064B1 (ko) 돌기가 형성된 너트를 갖는 전지 모듈
KR101065422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