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041A -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 - Google Patents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4041A KR20220014041A KR1020200093609A KR20200093609A KR20220014041A KR 20220014041 A KR20220014041 A KR 20220014041A KR 1020200093609 A KR1020200093609 A KR 1020200093609A KR 20200093609 A KR20200093609 A KR 20200093609A KR 20220014041 A KR20220014041 A KR 202200140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material
- members
- riveting
- assembly
- emboss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10953 base meta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7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6 spiri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6—Riveted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모재,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 모재와 마주보도록 하여 상호 이격배치되며, 리벳팅에 의해 제1 모재와 결합되어 있는 제2 모재, 제2 모재의 내측면의 평면과 점접촉되도록 제1 모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모재와 제2 모재는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통하여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와, 이의 리벳팅 방법으로서, 복수개의 모재 간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 시에 품질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모재 간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 시에 품질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이는 이차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가 대용량을 필요로 하는 중대형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경우, 중대형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과 용량에 부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전지셀들이 배열된 구조의 전지팩의 형태로 이용된다.
한편, 중대형 디바이스와 이에 탑재된 전지팩과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연결과, 중대형 디바이스에 탑재된 전지팩 간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연결, 전지팩 내의 전지셀 간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연결 등에 사용되는 연결 방식들 중 하나로, 리벳팅 방식이 있다.
이때, 리벳팅 방식으로 연결된 부분은 리벳팅 건 위치 및 리벳 방향과 작업자의 숙련도 등의 작업 환경에 따라 접촉면적이 달라지기 쉽다. 여기서, 연결된 부분의 접촉면적은 저항과 관련이 되고, 따라서, 연결된 부분의 접촉면적이 달라지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결된 부분의 저항의 편차는 약 10%에 달한다.
따라서, 리벳팅 방식으로 기계적 및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 후에 연결된 부분의 품질 편차를 줄이기 위해 접촉면적을 검사해야 하나, 리벳팅 방식으로 연결된 부분은 서로 면접촉하는 상태이므로 육안으로 검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호 간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 시 접촉면적의 품질 편차와 이에 따른 저항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모재;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모재와 마주보도록 하여 상호 이격배치되며, 리벳팅에 의해 상기 제1 모재와 결합되어 있는 제2 모재; 상기 제2 모재의 내측면의 평면과 점접촉되도록 상기 제1 모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는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통하여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는, 상기 제1 모재의 내측면을 따라서 나열되고 행 방향 및 종 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는, 상기 제1 모재 및 상기 제2 모재를 결합시키도록 장착된 리벳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되도록 이격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는 돌출 높이가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하도록 돌출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 각각은 상기 제2 모재와 밀착되는 면이 반구 형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는 상기 제1 모재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는 상기 제1 모재와 다른 재질이면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의 리벳팅 방법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제2 모재에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형성하는 과정; 상기 제1 모재의 일면과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가 형성된 제2 모재의 타면을 마주보도록 하여 상호 이격배치하는 과정;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와 상기 제1 모재의 일면의 평면이 서로 점접촉하도록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를 접근시키는 과정; 리벳팅에 의해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시키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모재에 리벳 부재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며 상기 제2 모재에 리벳 부재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은, 행 방향 및 종 방향으로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재로부터 서로 동일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모재의 타면에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와 상기 제2 모재 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모재와 제2 모재의 리벳팅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한 쌍의 모재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엠보스(emboss) 부재를 형성하고, 나머지의 내측면을 평면으로 하여, 이들을 리벳팅 방식으로 접합시킴으로써, 종래와 다르게 엠보스 부재와 평면을 점대면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평면과 평면을 면대면으로 접촉시키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작업 환경의 차이에 따른 한 쌍의 모재 간의 접촉면적의 품질 편차와 이에 따른 저항 편차를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엠보스 부재를 이용하여 접합 이후에 한 쌍의 모재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모재 사이의 접촉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재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재 및 엠보스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리벳팅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리벳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리벳팅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재 및 엠보스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리벳팅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리벳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리벳팅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재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재 조립체는, 제1 대상물(1)과 제2 대상물(미도시) 간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로서 하기의 구성을 포함한다.
가. 제1 모재(100)
제1 모재(10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모재(100)는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모재(100)는 제1 대상물(1)에 구비되거나 제1 대상물(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대상물(1)은 배터리 셀 혹은 배터리 팩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재(100)는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혹은 배터리 팩의 버스 바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혹은 배터리 팩의 버스 바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1 대상물(1)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모재(100)는 종 방향(v)의 길이보다 행 방향(h)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재(200)와 마주보는 면인 제1 모재(100)의 일면(101)은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제1 모재(100)의 일면(101)을 내측면 혹은 상면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모재(100)의 타면(102)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재(100)의 타면(102)의 형상은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제1 모재(100)의 타면(102)을 외측면 혹은 하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나. 제1 관통홀(H1)
제1 관통홀(H1)은 제1 모재(1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종 방향(v) 및 횡 방향(h)과 각각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관통홀(H1)에는 리벳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 제2 모재(200)
제2 모재(20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모재(100)는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모재(200)는 제1 모재(10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2 모재(200)는 제1 모재(100)와 다르면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모재(200)는 제2 대상물(미도시)에 구비되거나, 제2 대상물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대상물은 제1 대상물(1)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배터리 셀 혹은 주변 배터리 팩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대상물은 제1 대상물(1)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소형 혹은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부의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제2 모재(200)는 주변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혹은 주변 배터리 팩의 버스 바 혹은 전원부의 회로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주변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혹은 주변 배터리 팩의 버스 바 혹은 전원부의 회로 기판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2 대상물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재 및 엠보스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모재(200)는 행 방향(h)의 길이가 종 방향(v)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재(100)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 모재(200)의 타면(202)은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제2 모재(200)의 타면(202)을 내측면 혹은 하면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모재(200)의 일면(201)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모재(200)의 일면(201)의 형상은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제2 모재(200)의 일면(201)을 외측면 혹은 상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2 모재(200)는 제1 모재(100)와 마주보도록 하여 상호 이격배치되며, 리벳팅에 의하여 제1 모재(100)와 결합되어 있다. 즉, 제2 모재(200)의 타면(202)과 제1 모재(100)의 일면(101)은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에 의하 상하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라. 제2 관통홀(H2)
제2 관통홀(H2)은 제2 모재(2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H2)에는 리벳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관통홀(H2)은 제1 관통홀(H1)과 대응할 수 있다. 대응한다는 것은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며 상호 정렬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관통홀(H2)은 행 방향(h) 및 종(v) 방향으로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관통홀(H2)과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배치 관계에 따르면,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가 리벳 부재(300)에 의해 리벳팅 될 때, 리벳 부재(300)가 상하 방향으로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를 가압하는 힘이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에 고루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가 서로 기울어짐이 없이, 수평하게 이격될 수 있고, 또한,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가 제1 모재(100)의 일면(101)에 안정적으로 고르게 접촉될 수 있다.
마. 리벳 부재(300)
리벳 부재(300)는 제1 관통홀(H1)과 제2 관통홀(H2)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모재(100)의 타면(102)과 제2 모재(200)의 일면(201)에 접촉될 수 있다. 리벳 부재(300)는 하단이 제1 관통홀(H1)의 부근에서 제1 모재(100)의 타면(102)을 상방으로 가압하고, 상단이 제2 관통홀(H2)의 부근에서 제2 모재(200)의 일면(201)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바.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는 제1 모재(100)의 내측면(101)의 평면과 점접촉되도록 제2 모재(200)의 내측면(202)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를 통하여,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는 제2 모재(200)의 내측면을 따라서 나열되고, 행 방향(h) 및 종 방향(v)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는, 제1 모재(100) 및 제2 모재(200)를 결합시키도록 장착된 리벳 부재(300)를 중심으로 하여 행 방향(h) 및 종 방향(v)으로 대칭되도록 이격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는 각각 제2 모재(200)의 내측면(202)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하 방향으로의 돌출 높이가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하도록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오차 범위는 행 방향(h) 및 종 방향(v)으로의 돌출 높이의 변화 정도가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와 제1 모재(100) 간의 접촉면적 혹은 접촉개수의 변화에 영향이 없다고 판단될 때의 돌출 높이의 변화 정도이며, 이는 반복적인 리벳팅 작업 시에 획득 가능하므로, 이의 수치적인 예시를 생략한다.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 각각은 제1 모재(100)와 밀착되는 면이 제1 모재를 향하는 방향 예컨대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 각각은 제1 모재(100)와 밀착되는 하면이 예컨대 반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형상에 따르면,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가 리벳팅 될 때,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가 제1 모재(100)에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고,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가 평행하게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가 제1 모재(100)의 일면(101)에 모두 고르게 접촉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는 제2 모재(200)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는 제2 모재(200)와 다른 재질이면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재질이 제2 모재(200)의 재질과 같은 재질로 하면, 제2 모재(200) 및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와 제2 모재(200)를 이종 재질로 하여, 예컨대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재질이 제2 모재(200)의 재질보다 저항이 작거나 큰 금속 재질로 함으로써, 모재 조립체의 전체 저항을 원하는 저항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재질은 제1 모재(100)의 재질과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재질을 제1 모재(100)의 재질보다 무르거나 강한 재질로 하여,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가 리벳팅 될 때, 리벳팅 강도를 조절하여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각각의 하면을 행 방향(h) 및 종 방향(v)으로 넓게 변형시키거나,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각각의 하면을 제1 모재(100)의 내측면(101) 내로 소정의 깊이로 삽입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와 제1 모재(100)의 접촉면의 크기를 조절해줄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의 리벳팅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리벳팅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리벳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리벳팅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재 조립체의 리벳팅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모재 조립체의 리벳팅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모재 조립체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재 조립체의 리벳팅 방법은 하기의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
도 2를 참조하면,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모재(100)를 준비하는 과정은,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와 접촉시킬 일면(101)이 평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1 모재(100)를 마련하고, 제1 모재(100)에 리벳 부재(300)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 관통홀(H1)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때, 제1 대상물(1)과 연결된 제1 모재(100)에 제1 관통홀(H1)을 형성하거나, 제1 모재(100)에 제1 관통홀(H1)을 형성한 후 제1 모재(100)를 제2 대상물(1)과 연결시킬 수 있다.
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
도 3을 참조하면,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모재(200)를 준비하는 과정은,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를 형성시킬 타면(202)이 평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2 모재(200)를 마련하고, 제1 관통홀(H1)과 대응하면서 리벳 부재(300)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관통홀(H2)을 제2 모재(200)에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때, 제2 대상물(미도시)과 연결된 제2 모재(200)에 제2 관통홀(H2)을 형성하거나, 제2 모재(200)에 제2 관통홀(H2)을 형성한 후에 제2 모재(200)를 제2 대상물과 연결시킬 수 있다.
다. 제2 모재에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형성하는 과정
도 3을 참조하면, 제2 모재(200)에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를 형성하는 과정은, 제2 모재(200)의 타면(202)에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때,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가 행 방향(h) 및 종 방향(v)으로 제2 관통홀(H2)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제2 모재(200)로부터 서로 동일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여, 제2 모재(200)의 타면(202)에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를 형성하는 방식은 절삭 방식, 접착 방식, 주조 방식 및 용접 방식 등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두께의 플레이트 부재를 준비하고, 플레이트 부재의 타면을 절삭하여, 제1두께보다 작은 두께의 제2 모재(200)와 제2 모재(200)와 일체형으로 마련된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를 마련할 수 있다.
라. 제1 모재의 일면과 제2 모재의 타면을 마주보도록 하여 상호 이격배치하는 과정
제1 모재(100)의 일면(101)과 제2 모재(200)의 타면(202)을 마주보도록 하여 상호 이격배치하는 과정은, 제1 모재(100)의 일면(101)의 상측에 제2 모재(200)를 위치시키는 과정이다.
여기서, 제1 관통홀(H1)과 제2 관통홀(H2)이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마.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와 제1 모재의 일면의 평면이 서로 점접촉하도록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접근시키는 과정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와 제1 모재의 일면의 평면이 서로 점접촉하도록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접근시키는 과정은 제1 모재(100)의 일면(101)에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를 안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제2 관통홀(H2)의 상측에 리벳 부재(3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예컨대 리벳 부재(300)는 리벳팅 되기 이전의 리벳 부재(300)로서, 중공형의 리벳 바디(310) 및 맨드렐(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맨드렐(320)은 리벳 바디(3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리벳 바디(3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맨드렐 상부(321), 리벳 바디(3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맨드렐 하부(322), 리벳 바디(3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맨드렐 헤드(3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리벳 부재(300)의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를 접근시키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가 제1 모재(100)의 일면(101)과 접촉됨에 따라서, 복수개의 앰보스 부재(400)에 의하여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 사이의 공간은 리벳팅 과정에서도 유지될 수 있고, 이후에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와 제1 모재(100) 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 리벳팅에 의해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결합시키는 과정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벳팅에 의해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를 결합시키는 과정은, 리벳 부재(300)를 제1 및 제2 관통홀(H1, H2)의 내부에 배치시키는 과정, 리벳 부재(300)의 맨드렐을 상방으로 당겨서 리벳 부재(300)의 리벳 바디를 변형시키고, 이에 의해, 제1 모재(100)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제2 모재(2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를 결합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를 통하여 제1 모재(100)와 제2 모재(200)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사. 제1 모재와 제2 모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와 제1 모재 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및 확인 결과에 따라 제1 모재와 제2 모재의 리벳팅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와 제1 모재(100) 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리벳팅에 의해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결합시키는 과정 이후에 수행할 수 있다.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작업자가 제1 모재와 제2 모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목측하여 직접 수행하거나, 혹은, 광학기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모재와 제2 모재 사이의 이격 공간 사이의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와 제1 모재(100)의 일면(101)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로 분석하여 수행할 수 있다.
리벳팅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은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와 제1 모재(100)의 일면(101) 간의 접촉 면적을 확인하거나, 제1 모재(100)의 일면(101)에 접촉된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400)의 개수를 확인하고, 접촉 면적이 기준 면적 내에 포함되거나, 접촉 개수가 기준 개수에 포함되는 경우, 리벳팅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면적이 기준 면적에 미치지 못하거나, 접촉 개수가 기준 개수에 미달하는 경우, 리벳팅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에서는, 엠보스 부재와 모재를 점대면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접촉 시의 품질 편차를 줄여줄 수 있고, 엠보스 부재에 의해 두 모재 사이가 이격됨으로써, 엠보스 부재와 모재 사이의 접촉 상태를 쉽게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및 변형될 것이고, 이에 의한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1 모재
200: 제2 모재
300: 리벳 부재
400: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
200: 제2 모재
300: 리벳 부재
400: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
Claims (10)
-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모재;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모재와 마주보도록 하여 상호 이격배치되며, 리벳팅에 의해 상기 제1 모재와 결합되어 있는 제2 모재;
상기 제1 모재의 내측면의 평면과 점접촉되도록 상기 제2 모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는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통하여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는,
상기 제2 모재의 내측면을 따라서 나열되고 행 방향 및 종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는,
상기 제1 모재 및 상기 제2 모재를 결합시키도록 장착된 리벳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되도록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는 돌출 높이가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하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모재와 밀착되는 면이 반구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는 상기 제2 모재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는 상기 제2 모재와 다른 재질이면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 -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제2 모재에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형성하는 과정;
상기 제1 모재의 일면과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가 형성된 제2 모재의 타면을 마주보도록 하여 상호 이격배치하는 과정;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와 상기 제1 모재의 일면의 평면이 서로 점접촉하도록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를 접근시키는 과정;
리벳팅에 의해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시키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의 리벳팅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모재에 리벳 부재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며 상기 제2 모재에 리벳 부재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은,
행 방향 및 종 방향으로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재로부터 서로 동일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모재의 타면에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의 리벳팅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엠보스 부재와 상기 제1 모재 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모재와 제2 모재의 리벳팅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조립체의 리벳팅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3609A KR20220014041A (ko) | 2020-07-28 | 2020-07-28 |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 |
PCT/KR2021/009837 WO2022025645A1 (ko) | 2020-07-28 | 2021-07-28 |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 |
US17/925,524 US20230198060A1 (en) | 2020-07-28 | 2021-07-28 | Base material assembly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and riveting method therefor |
CN202180034016.2A CN115552711A (zh) | 2020-07-28 | 2021-07-28 | 用于机械和电连接的基材组件及其铆接方法 |
EP21849982.0A EP4131629A4 (en) | 2020-07-28 | 2021-07-28 | BASE MATERIAL ARRANGEMENT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AND RIVETING METHOD THEREOF |
JP2022568927A JP2023525823A (ja) | 2020-07-28 | 2021-07-28 | 機械的及び電気的な接続のための母材組み立て体及びこのリベット締結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3609A KR20220014041A (ko) | 2020-07-28 | 2020-07-28 |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4041A true KR20220014041A (ko) | 2022-02-04 |
Family
ID=8003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3609A KR20220014041A (ko) | 2020-07-28 | 2020-07-28 |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98060A1 (ko) |
EP (1) | EP4131629A4 (ko) |
JP (1) | JP2023525823A (ko) |
KR (1) | KR20220014041A (ko) |
CN (1) | CN115552711A (ko) |
WO (1) | WO2022025645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0023A (ko) | 2012-01-03 | 2013-07-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팅 바 |
KR101329250B1 (ko) | 2012-07-06 | 2013-11-1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의 셀버스바 고정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83001U (ko) * | 1984-11-05 | 1986-06-02 | ||
DE19600417A1 (de) * | 1996-01-08 | 1997-07-17 | Sefag Ag | Kontaktelement sowie Anschlußvorrichtung mit diesem Kontaktelement |
JP3681327B2 (ja) * | 2000-09-19 | 2005-08-10 | 福井鋲螺株式会社 | 極薄積層体の導通方法及びシート状電極 |
JP2004297021A (ja) * | 2002-04-05 | 2004-10-21 | Nok Corp | 封口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7972185B2 (en) * | 2009-03-16 | 2011-07-05 | Sb Limotive Co., Ltd. | Battery module having connector for connecting terminals |
JP2014132547A (ja) * | 2012-12-07 | 2014-07-17 | Yazaki Corp | 導電体の接続構造 |
KR20150091754A (ko) * | 2014-02-04 | 2015-08-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 |
KR20160016363A (ko) * | 2014-08-05 | 2016-02-15 | 주식회사 메가테크 | 배터리 모듈의 연결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
JP6452344B2 (ja) * | 2014-08-19 | 2019-01-16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圧着端子、接続構造体、コネクタ、ワイヤーハーネス、並びに圧着端子の製造方法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
KR102473767B1 (ko) * | 2015-10-08 | 2022-12-0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고전압 배터리 서브모듈 |
JP2017130287A (ja) * | 2016-01-18 | 2017-07-27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組電池 |
KR102383415B1 (ko) * | 2018-03-20 | 2022-04-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
2020
- 2020-07-28 KR KR1020200093609A patent/KR2022001404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
- 2021-07-28 EP EP21849982.0A patent/EP4131629A4/en active Pending
- 2021-07-28 CN CN202180034016.2A patent/CN115552711A/zh active Pending
- 2021-07-28 JP JP2022568927A patent/JP2023525823A/ja active Pending
- 2021-07-28 US US17/925,524 patent/US20230198060A1/en active Pending
- 2021-07-28 WO PCT/KR2021/009837 patent/WO2022025645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0023A (ko) | 2012-01-03 | 2013-07-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팅 바 |
KR101329250B1 (ko) | 2012-07-06 | 2013-11-1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의 셀버스바 고정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131629A4 (en) | 2024-02-28 |
US20230198060A1 (en) | 2023-06-22 |
EP4131629A1 (en) | 2023-02-08 |
WO2022025645A1 (ko) | 2022-02-03 |
JP2023525823A (ja) | 2023-06-19 |
CN115552711A (zh) | 2022-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2611B1 (ko) | 전지셀 상호 연결체 및 전압 센싱 어셈블리와 이들에전지셀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방법 | |
US7807288B2 (en) | Battery cartridge-connecting system for battery module | |
JP6110336B2 (ja) | 蓄電モジュール | |
CN105914315A (zh) | 电池组 | |
JPWO2015064097A1 (ja) | 電池モジュール | |
EP3723162B1 (en) | Auto-pressing jig apparatus for pressing electrode lead to busbar | |
KR20220009251A (ko) | 전극리드의 절곡 및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리드의 용접 방법 | |
US9153811B2 (en) | Method for joining multiple parallel tabs | |
KR20220014041A (ko) |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재 조립체 및 이의 리벳팅 방법 | |
KR20140102837A (ko) | 전극탭을 벤딩하여 배터리를 적층하는 방법 | |
KR101547400B1 (ko) | 에너지 저장장치용 직렬센싱보드 | |
KR101678810B1 (ko) | 용접봉 정렬용 홀을 포함하고 있는 지그를 구비한 용접 장치 | |
JP7570754B2 (ja) | 電極リード折曲及び溶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極リードの溶接方法 | |
KR20220031342A (ko) | 틸팅부를 포함하는 용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전지셀의 용접 방법 | |
KR101340062B1 (ko) | 전지셀 및 전지셀의 전극리드 용접 방법 | |
KR20210070127A (ko) | 보호회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95117B1 (ko) | 벤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 방법 | |
JP7413084B2 (ja) |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 |
KR20240149505A (ko) | 배터리 셀 | |
KR20240149504A (ko) | 배터리 셀 | |
KR20220075018A (ko) | 배터리 셀의 연결 방법 | |
KR20240144308A (ko) |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의 제조방법 | |
KR20230058836A (ko) | 용접부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부 검사방법 | |
KR20230030255A (ko) | 결합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전지모듈 검사장치 | |
WO2022253875A1 (en) | A cylindrical secondary cell with a terminal surface with different roughn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