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542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542A
KR20100102542A KR1020100020373A KR20100020373A KR20100102542A KR 20100102542 A KR20100102542 A KR 20100102542A KR 1020100020373 A KR1020100020373 A KR 1020100020373A KR 20100020373 A KR20100020373 A KR 20100020373A KR 20100102542 A KR20100102542 A KR 20100102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current collector
colle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805B1 (ko
Inventor
변상원
김용삼
한대원
김성배
안병규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0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기재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와,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에 삽입되는 지지 돌기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측단에 접하는 용접 돌기가 형성된 집전판을 포함하다.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기재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전판의 구조를 개선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로 이루어지며, 이차 전지는 원통형과 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형 이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separator)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케이스를 밀폐하며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홀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 홀에 삽입되어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자를 포함한다.
종래의 각형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 탭을 무지부의 측면에 초음파 용접으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무지부의 측면에 리드 탭을 용접하면 무지부가 일정한 길이를 가져야 하므로 전극 조립체의 불필요한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리드 탭을 통해서 초음파를 무지부에 전달해야 하므로 리드 탭의 두께가 얇아야 한다. 그러나 리드 탭의 두께가 얇으면 리드 탭의 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저항이 커지면 열이 많이 발생하고 출력이 저하된다.
또한, 이차 전지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면 리드 탭과 전극 조립체 사이의 접촉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접촉이 불량해지면 내부에서 열이 많이 발생하고, 출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극 조립체와 단자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무지면(uncoated side)과 무지단(uncoated end)을 갖는 무지부를 단부에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면과 접촉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단과 접촉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무지단에 부착되는 용접부를 구비한 집전판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1 부재는 지지 돌기이며,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의 높이는 상기 내부공간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접부는 용접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용접 돌기는 삼각형, 사각형, 호형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단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집전판은 제1 에지(edge)와 제2 에지(edge)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에지와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1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제2 에지와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 돌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집전판은 상기 전극 조립체에서 형성되는 가스를 배기하는 배기 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돌기의 높이는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홈의 높이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집전판은 상기 지지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 돌기와 반대방향을 향하는 배기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단자,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전판은 제1 집전판이며, 상기 전극 조립체는 무지면과 무지단을 갖는 무지부를 단부에 포함하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면과 접촉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단과 접촉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무지단에 부착되는 용접부를 구비한 제2 집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각형일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는 벤트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집전판은 배기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집전판의 제1 부재는 지지 돌기이며, 상기 제2 집전판은 상기 지지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 돌기와 반대방향을 향하는 배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벤트부재, 상기 배기 홀,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전극 조립체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상기 배기 홀과 배기 통로를 통과해 상기 벤트부재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단부에 제1 무지면, 제2 무지면, 및 무지단을 갖는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1 무지면 또는 제2 무지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제1 부재와, 상기 무지단과 접촉하며 상기 무지단에 부착되는 용접부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집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전극의 제1 무지면과 접촉하는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전극의 제2 무지면과 접촉하는 상기 집전판의 측면으로부터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측면 지지부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내부공간을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단에 고정되는 용접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단과 접촉하는 집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무지면(uncoated side)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편평한 면과 대략 평행한 무지부의 부분이고, 무지단(uncoated end)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편평한 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심축 방향을 향하는 무지부의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돌기가 형성되어 리드 부재가 전극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집전판의 전극 조립체의 측단면에 용접되어 코팅부의 부피를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와 집전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전판과 전극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양극(11)과 음극(12)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를 개재하여 귄취된 전극 조립체(10)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케이스(34)에 내장되고, 양극 단자(21), 음극 단자(22)는 전극 조립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캡 플레이트(30)는 케이스(34)의 개구부에 결합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리튬-이온 이차 전지로서 각형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양극(11) 및 음극(12)은 박판의 금속 호일로 형성된 집전체에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인 코팅부와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는 영역인 무지부(11a, 12a)를 포함한다.
양극 무지부(11a)는 양극(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극(11)의 한 쪽 측단에 형성되고, 음극 무지부(12a)는 음극(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음극(12)의 다른 쪽 측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양극(11) 및 음극(12)은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개재한 후 권취된다. 전극 조립체는 권취된 상태에서 판상으로 납작하게 눌려져 외주면에 평탄부(18)와 평탄부(18)의 양단에 배치된 굴곡부(19)가 형성된다.
캡 플레이트(30)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고, 캡 플레이트(30)에는 전해액이 주입되는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되며 전해액 주입구에는 밀봉마개(38)가 설치된다. 또한, 캡 플레이트(30)에는 설정된 상기 케이스 내부 압력의 증가에 따른 파단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벤트부재(39)가 설치된다.
캡 플레이트(30)와 단자(21, 22) 사이에는 상부 개스킷(25)과 하부 개스킷(27)이 개재되어 캡 플레이트(30)와 단자(21, 22)를 절연시킨다. 본 기재에서 단자라 함은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하부 개스킷(27)은 단자 홀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부 개스킷(25)은 캡 플레이트(30) 위에 설치된다. 상부 개스킷(25)의 위에는 체결력을 완충시키는 와셔(24)가 설치된다.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에는 단자들(21, 22)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너트(29)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10)의 양극 무지부(11a)에는 집전판(50)이 용접으로 부착되며 집전판(50)은 리드부재(28)를 매개로 양극 단자(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음극 무지부(12a)에는 집전판(50)이 용접으로 부착되며 집전판(50)은 리드부재(28)를 매개로 음극 단자(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리드부재(28)와 캡 플레이트(30)에 사이에는 이들 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26)가 설치된다. 리드부재(28)는 집전판(50)에 부착되는 집전 리드부(28b)와 단자들(21, 22)에 부착된 단자 리드부(28a)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와 집전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는 권취된 상태에서 판 형상으로 납작하게 가압되며, 중앙에는 내면이 이격된 내부 공간(14)이 형성된다.
각 집전판(50)은 각 전극의 무지부 측면에 접촉하는 제1 부재를 갖는다.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지지 돌기(52)일 수 있다. 각 집전판(50)은 또한 각 전극의 무지부 단부에 접촉하는 제2 부재를 가진다. 상기 제2 부재는 전극 조립체(10)의 측단에 밀착되어 무지부(11a, 12a)를 가압하는 용접 돌기(54)일 수 있다.
지지 돌기(52)는 집전판(50)의 폭방향 중앙에서 집전판(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된다. 지지 돌기(52)는 집전판(50)이 굴곡되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의 뒷면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지지 돌기(52)의 높이는 전극 조립체(10)의 내부 공간(14)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지지 돌기(52)는 전극 조립체(10)의 내부 공간(14)에 삽입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으로 전극 조립체(10)와 집전판(50) 사이의 접촉이 불량해지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돌기(52)는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 전극 조립체(10)를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전극 조립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돌기(52)의 양쪽 측단에는 부착판(51)이 연결 형성되며, 용접 돌기(54)는 부착판(51)의 폭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용접 돌기(54)는 무지부(11a, 12a)가 적층된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되는 바, 이에 따라 적층된 무지부의 전체 층과 접할 수 있다. 용접 돌기(54)는 부착판(51)이 호형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의 뒷면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접 돌기(54)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호형 및 기타 적합한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판(51)은 전극 조립체(10)의 측단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용접 돌기(54)는 전극 조립체(10)의 측단면에 배치된 무지부(11a, 12a)를 가압하여 굴곡시킨다. 본 기재에서 측단면이라 함은 권취할 때, 중심이 되는 축에 수직한 면을 말한다.
이에 따라 용접 돌기(54)와 무지부(11a, 12a)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용접 돌기(54)는 집전판(5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전극 조립체(10)의 측단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용접 돌기가 레이저 용접으로 부착되면 초음파 용접에 비하여 집전판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전판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집전판(50)이 무지부(11a, 12a)의 측단에 고정되므로 무지부(11a, 12a)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활물질이 도포된 코팅부의 면적을 더 크게 형성하여 전극 조립체(10)의 전체적인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전판(60)은 중앙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지지 돌기(62)와 지지 돌기(62)의 양측에서 이어진 부착판(61), 및 부착판(61)의 측단에서 이어져 전극 조립체(10)의 무지부(11a, 12a)와 접하는 측면 지지부(63)를 포함한다.
지지 돌기(62)는 집전판(60)의 폭방향 중앙에서, 집전판(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되는 바, 전극 조립체(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돌기(62)의 양쪽 측단에 연결 형성된 부착판(61)에는 무지부(11a, 12a)를 가압하여 굴곡시키는 용접 돌기(64)가 폭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용접 돌기(64)는 무지부(11a, 12a)가 적층된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되는 바, 이에 따라 적층된 무지부(11a, 12a)의 전체 층과 접할 수 있다. 용접 돌기(64)는 부착판(61)이 사각형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의 뒷면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 돌기(64)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접 돌기는 삼각형, 호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판(61)의 측단에는 측면 지지부(63)가 형성되는데, 측면 지지부(63)는 부착판(61)에서 경사를 갖고 절곡되며, 무지부(11a, 12a)의 제일 외측면과 접하여 무지부(11a, 12a)를 밀집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한편의 측면 지지부(63)와 지지 돌기(62) 사이에 한쪽 무지부가 밀집되며, 다른 편의 측면 지지부(63)와 지지 돌기(62) 사이에 다른 쪽 무지부가 밀집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리튬-이온 전지로 이루어지는 바, 리튬-이온 전지의 무지부(11a, 12a)는 리튬-폴리머 전지 등 다른 종류의 전지에 비하여 더 얇은 박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무지부(11a, 12a)의 두께는 활물질이 코팅된 코팅부의 두께보다 작은 바, 코팅부로 인하여 밀집되지 못하고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지나치게 얇은 무지부(11a, 12a)의 단부에 집전판(60)을 부착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측면 지지부(63)와 지지 돌기(62) 사이에 무지부(11a, 12a)를 모아서 밀집시키면 밀집된 무지부(11a, 12a)의 끝단에 집전판(60)을 용이하게 용접으로 부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전판과 전극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전판(70)은 중앙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지지 돌기(72)와 지지 돌기(72)의 양측에서 이어진 부착판(71), 및 부착판(71)의 측단에서 이어져 전극 조립체(10)의 무지부(11a, 12a)와 접하는 측면 지지부(73)를 포함한다.
지지 돌기(72)는 집전판(70)의 폭방향 중앙에 형성에서 집전판(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돌기(72)의 양쪽 측단에는 부착판(71)이 연결 형성되며, 부착판(71)에는 무지부(11a, 12a)를 가압하여 굴곡시키는 용접 돌기(74)가 폭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용접 돌기(74)는 부착판(71)이 삼각형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바, 이에 따라 용접 돌기(74)는 삼각형의 모서리 부분에서 무지부(11a, 12a)를 가압하여 굴곡시킨다.
이와 같이 용접 돌기(74)를 삼각형으로 형성하면 삼각형의 모서리 부분에 용접 열을 집중시켜서 집전판과 무지부를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으며, 뾰족한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무지부를 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부착판(71)의 측단에는 측면 지지부(73)가 형성되는데, 측면 지지부(73)는 부착판(71)에서 경사를 갖고 절곡되며, 무지부(11a, 12a)의 제일 외측면과 접하여 무지부(11a, 12a)를 밀집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극 조립체(10)의 상단에는 절개되어 지지 돌기(72)가 삽입되는 홈(15)이 형성된다. 홈(15)은 전극 조립체(10)의 내부 공간과 외면을 잇도록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의 양쪽 측단에 배치된다. 또한, 지지 돌기(72)는 내부 공간의 하단과 맞닿으며, 상단은 홈(15)에 삽입된다.
한편, 집전판(70)에는 배기 홀(75)이 형성되는데, 배기 홀(75)은 집전판(7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며, 부착판(71)과 지지 돌기(72)에 걸쳐서 이어져 형성된다. 또한, 지지 돌기(72)의 뒷면에는 오목한 배기 통로(76)가 형성되는 바, 배기 통로(76)는 홈(15)을 관통하여 전극 조립체(10)의 상단까지 이어져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극 조립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는 배기 홀(75)과 배기 통로(76)를 통해서 케이스(34)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면, 전극 조립체(10)이 부풀어 올라서 충전과 방전 효율이 저하되는 바, 본 실시예와 같이 배기 홀(75)을 형성하면 용이하게 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10)에서 배출된 가스는 상부로 이동하여야 상부로 압력을 전달하여 벤트부재(39)가 설정된 시기에 작동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와 같이 배기 통로(76)가 전극 조립체(10)의 상단까지 이어져 형성되면 발생된 가스를 케이스(34)의 위쪽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이차 전지 10: 전극 조립체
11: 양극 12: 음극
13: 세퍼레이터 14: 내부 공간
15: 홈 21: 양극 단자
22: 음극 단자 30: 캡 플레이트
34: 케이스 50: 집전판
51: 부착판 52: 지지 돌기
54: 용접 돌기 63: 측면 지지부
75: 배기 홀 76: 배기 통로

Claims (19)

  1. 무지면(uncoated side)과 무지단(uncoated end)을 갖는 무지부를 단부에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면과 접촉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단과 접촉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무지단에 부착되는 용접부를 구비한 집전판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1 부재는 지지 돌기이며,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의 높이는 상기 내부공간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차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용접 돌기인 이차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돌기는 삼각형, 사각형, 호형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상을 갖는 이차 전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단에 용접되는 이차 전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판은 제1 에지(edge)와 제2 에지(edge)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에지와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1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제2 에지와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판은 상기 전극 조립체에서 형성되는 가스를 배기하는 배기 홀을 갖는 이차 전지.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돌기의 높이는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홈의 높이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차 전지.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판은 상기 지지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 돌기와 반대방향을 향하는 배기통로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단자;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집전판은 제1 집전판이며,
    상기 전극 조립체는 무지면과 무지단을 갖는 무지부를 단부에 포함하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면과 접촉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단과 접촉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무지단에 부착되는 용접부를 구비한 제2 집전판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각형인 이차 전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는 벤트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전판은 배기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집전판의 제1 부재는 지지 돌기이며,
    상기 제2 집전판은 상기 지지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 돌기와 반대방향을 향하는 배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부재, 상기 배기 홀,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전극 조립체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상기 배기 홀과 배기 통로를 통과해 상기 벤트부재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이차 전지.
  16. 단부에 제1 무지면, 제2 무지면, 및 무지단을 갖는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1 무지면 또는 제2 무지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제1 부재와, 상기 무지단과 접촉하며 상기 무지단에 부착되는 용접부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집전판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전극의 제1 무지면과 접촉하는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전극의 제2 무지면과 접촉하는 상기 집전판의 측면으로부터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측면 지지부 사이에서 고정되는 이차 전지.
  19.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내부공간을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단에 고정되는 용접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단과 접촉하는 집전체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0100020373A 2009-03-11 2010-03-08 이차 전지 KR101181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25709P 2009-03-11 2009-03-11
US61/159,257 2009-03-11
US12/695,151 US8822065B2 (en) 2009-03-11 2010-01-27 Rechargeable battery with current collector plate
US12/695,151 201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542A true KR20100102542A (ko) 2010-09-24
KR101181805B1 KR101181805B1 (ko) 2012-09-11

Family

ID=4210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373A KR101181805B1 (ko) 2009-03-11 2010-03-08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22065B2 (ko)
EP (1) EP2228852B1 (ko)
JP (1) JP2010212241A (ko)
KR (1) KR101181805B1 (ko)
CN (1) CN101834305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00A3 (ko) * 2011-04-26 2012-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85940B1 (ko) * 2011-01-26 2013-07-1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전지
KR101328991B1 (ko) * 2012-03-20 2013-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647761B2 (en) 2011-03-16 2014-02-11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9287550B2 (en) 2012-06-11 2016-03-1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O2018221800A1 (ko) * 2017-05-30 2018-12-06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2022B2 (en) * 2009-10-07 2013-07-2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buffer sheet between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ase
KR101222368B1 (ko) * 2010-05-20 2013-01-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CN103155222B (zh) * 2010-10-29 2015-07-15 三洋电机株式会社 方形二次电池
CN102544566A (zh) * 2010-12-21 2012-07-04 陈捷圻 电芯结构
KR101243398B1 (ko) * 2011-02-10 2013-03-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JP5692359B2 (ja) * 2011-03-28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およ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JP5680480B2 (ja) * 2011-05-20 2015-03-04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2014149916A (ja) * 2011-05-30 2014-08-21 Panasonic Corp 角型二次電池
JP5825894B2 (ja) * 2011-07-15 2015-12-02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Ltd. 二次電池用電極、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並びに二次電池
KR101595672B1 (ko) * 2011-08-09 2016-02-18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275786B1 (ko) 2011-08-23 2013-06-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JP5817357B2 (ja) * 2011-09-07 2015-11-1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WO2013066683A2 (en) 2011-11-03 2013-05-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Llc Prismatic lithium ion cell with positive polarity rigid container
KR20130053026A (ko) * 2011-11-14 2013-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202495505U (zh) * 2011-11-25 2012-10-17 深圳市比亚迪锂电池有限公司 一种电连接件以及一种电池
JP5699945B2 (ja) * 2012-01-17 2015-04-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及び車両
WO2013163176A1 (en) 2012-04-23 2013-10-31 Allertein Therapeutics, Llc Nanoparticles for treatment of allergy
JP5805010B2 (ja) * 2012-05-24 2015-11-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
KR101666873B1 (ko) 2012-11-23 201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이차전지
JP2016516754A (ja) 2013-04-03 2016-06-09 アラーテイン・セラピューティク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Allertein Therapeutics, LLC 新規のナノ粒子組成物
DE102013208140A1 (de) * 2013-05-03 2014-11-06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einem mindestens einen Einschnitt aufweisenden Elektrodenwickel
US10333113B2 (en) 2013-06-19 2019-06-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retainer
KR101744087B1 (ko) * 2013-06-25 2017-06-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608240B2 (en) * 2013-07-26 2017-03-28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JP6201795B2 (ja) * 2014-02-10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製造方法
JP2015195218A (ja) * 2015-06-19 2015-11-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
DE102015223174A1 (de) * 2015-11-24 2017-05-24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KR102629053B1 (ko) * 2016-08-08 2024-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집전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CN106299449B (zh) * 2016-10-17 2019-03-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CN107634255B (zh) * 2017-09-14 2023-08-29 深圳市金石智控股份有限公司 圆柱电池入底壳机构
KR102198047B1 (ko) * 2017-11-01 2021-0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11900318B (zh) * 2018-03-01 2023-02-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及汽车
CN209104251U (zh) * 2018-11-22 2019-07-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KR20200094453A (ko) * 2019-01-30 2020-08-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11403822A (zh) * 2020-04-22 2020-07-10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及其制作方法
CN113871790A (zh) * 2020-06-30 2021-12-3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极片及锂离子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707A (ko) * 1995-12-22 1997-07-31 배순훈 리튬전지의 상부캡 구조
JP3709134B2 (ja) * 2000-11-22 2005-10-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角形電池
CN100508248C (zh) * 2002-05-27 2009-07-01 株式会社杰士汤浅 电池
JP4292365B2 (ja) 2002-05-27 2009-07-08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
JP4514434B2 (ja) 2003-11-06 2010-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
JP4401203B2 (ja) 2004-03-17 2010-01-20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電池
US20050214642A1 (en) * 2004-03-29 2005-09-29 Kim Ki-Ho Electrode packag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599752B1 (ko) 2004-06-23 2006-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100627360B1 (ko) 2004-09-24 2006-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집전판용 플레이트와 이의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JP4661257B2 (ja) 2005-02-17 2011-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集電端子及び該端子を備えた蓄電装置
JP4863636B2 (ja) 2005-03-29 2012-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渦巻式電極の角型電池
JP4966677B2 (ja) * 2007-01-31 2012-07-04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940B1 (ko) * 2011-01-26 2013-07-1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전지
US8741475B2 (en) 2011-01-26 2014-06-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647761B2 (en) 2011-03-16 2014-02-11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WO2012148100A3 (ko) * 2011-04-26 2012-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9136521B2 (en) 2011-04-26 2015-09-15 Lg Chem, Ltd. Bus bar having novel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328991B1 (ko) * 2012-03-20 2013-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219267B2 (en) 2012-03-20 2015-12-2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287550B2 (en) 2012-06-11 2016-03-1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O2018221800A1 (ko) * 2017-05-30 2018-12-06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KR20180130800A (ko) * 2017-05-30 2018-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1688877B2 (en) 2017-05-30 2023-06-27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805B1 (ko) 2012-09-11
CN101834305A (zh) 2010-09-15
US8822065B2 (en) 2014-09-02
EP2228852B1 (en) 2012-05-23
US20100233521A1 (en) 2010-09-16
EP2228852A1 (en) 2010-09-15
JP2010212241A (ja) 2010-09-24
CN101834305B (zh)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805B1 (ko) 이차 전지
EP2244328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current collecting plate
KR101182283B1 (ko) 이차전지
US8734974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627313B1 (ko) 이차 전지
KR101125640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1201741B1 (ko) 이차 전지
KR100922352B1 (ko) 이차 전지
KR102629053B1 (ko) 집전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100627374B1 (ko) 이차 전지
KR101191663B1 (ko) 이차 전지
KR20130138678A (ko) 이차 전지
KR100786871B1 (ko) 이차 전지
KR20100068080A (ko) 이차 전지
KR101244735B1 (ko) 이차 전지
KR20060028059A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집전판
KR100627359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캡 조립체 및 밴트 플레이트
KR100612236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101297171B1 (ko) 이차 전지
KR20080028091A (ko) 이차 전지
KR100599694B1 (ko) 이차 전지
KR100649568B1 (ko) 이차 전지
KR101287088B1 (ko) 이차 전지
KR100805111B1 (ko) 이차 전지
KR100590100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