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501B1 -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501B1
KR101099501B1 KR1020080058372A KR20080058372A KR101099501B1 KR 101099501 B1 KR101099501 B1 KR 101099501B1 KR 1020080058372 A KR1020080058372 A KR 1020080058372A KR 20080058372 A KR20080058372 A KR 20080058372A KR 101099501 B1 KR101099501 B1 KR 101099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n
bonding material
spring
test sock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215A (ko
Inventor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8005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501B1/ko
Priority to US13/000,166 priority patent/US20110102009A1/en
Priority to PCT/KR2009/003292 priority patent/WO2009154421A2/ko
Publication of KR2009013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91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on wafers, e.g. wafer-level test cartrid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5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 H05K7/1061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 H05K7/1069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with spring contac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bo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테스트장치의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핀; 및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내부에서 상기 접촉핀에 연결되어 수축과 팽창 운동을 하는 탄성부재;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촉핀에 접합물질에 의하여 접합되어 연결된다.
미소피치, 스프링, 테스트 소켓, 접합물질

Description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Test socke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성이 우수하며, 전기적인 특성이 우수하고 미소 피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기적 특성 검사를 위해서는 반도체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통상 반도체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장치로서 테스트 소켓이 사용된다.
이러한 테스트 소켓의 역할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테스트장치의 패드를 서로 연결시켜 전기적인 신호가 양방향으로 교환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테스트 소켓의 내부에 사용되는 접촉수단으로 포고핀이 사용된다. 이러한 포고핀은 내부에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어서 반도체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치와의 연결을 원할하게 하고, 연결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인 충격을 완충할 수 있어 대부분의 테스트 소켓에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테스트소켓(100)은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130)의 단자(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111)이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관통공(111) 내에 장착되어 반도체 디바이스(130)의 단자(131) 및 테스트 장치(140)의 패드(14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포고핀(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고핀(120)의 구성은, 포고핀 본체로 사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형태를 가지는 배럴(124)과, 상기 배럴(124)의 하측에 형성되는 접촉팁(123)과, 상기 배럴(124) 내부에서 상기 접촉팁(123)과 연결되어 수축과 팽창 운동을 하는 스프링(122) 및 상기 접촉팁(123)과 연결된 스프링(122) 반대편에 연결되어 반도체 디바이스(130)와의 접촉에 따라 상하운동을 수행하는 접촉핀(12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22)은 수축 및 팽창을 하면서 접촉핀(121)과 접촉팁(123)에 전달되는 기계적인 충격을 흡수하면서 반도체 디바이스(130)의 단자(131)와 테스트 장치(140)의 패드(141)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전기적인 불량여부를 검사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테스트 소켓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테스트 장치의 패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접촉팁, 스프링, 접촉핀을 거쳐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로 전달되어 그 접속경로가 복잡하고, 특히 구성요소들간의 점점이 많아 전기적인 연결특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반도체 디바이스가 설치되는 제품의 소형화경향에 맞추어 반도체 디바이스도 동시에 소형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그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들도 미소피 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미소피치를 가진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들과 원활하게 접속되기 위해서는 포고핀의 폭을 줄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포고핀에서, 스프링은 기계적인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폭이 제한되어 있으며, 그 스프링을 감싸는 배럴도 기계적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두께를 유지해야 하는 등, 종래 기술에 따른 포고핀의 폭을 전체적으로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포고핀은 최신의 미소피치의 단자를 가진 반도체 디바이스에는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셋째, 종래 기술에서는 접촉팁, 스프링, 접촉핀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접촉핀 및 접촉핀의 길이가 길어져 전기적인 특성 개선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인 접속경로가 단순하여 전기적인 연결특성이 우수하며, 스프링 주변의 배렬을 제거하여 전체적인 포고핀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하여 전기적인 특성 개선에 효율적인 테스트 소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테스트장치의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핀; 및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내부에서 상기 접촉핀에 연결되어 수축과 팽창 운동을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촉핀에 접합물질에 의하여 접합되어 연결된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접합물질은 은-주석(Ag-Sn) 합금, 금-주석(Au-Sn) 합금, 은-구리-주석(Ag-Cu-Sn) 합금, 은-주석-비스무트(Ag-Sn-Bi) 합금 및 전도성 수지로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접합물질에 의하여 솔더링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접합물질은 합성수지와 그 합성수지 내에 포함된 다수의 전도성 입자로 구성된 전도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페닐렌 에테르와 스틸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프링의 내경과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지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연장부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도전부재가 포함되되, 상기 도전부재는 그 연장부가 스프링 내에 삽입되고 그 돌출부는 스프링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내주면에는 금속층이 도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금속층은 금 또는 은 등의 귀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는 백금(Pt), 팔라듐(Pd), 로듐(rh)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도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연결장치는, 전기적 접속이 요구되는 제1단자와 제2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과 접촉가능한 접촉핀; 일단이 상기 접촉핀과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제2단자와 접속되도록 수축과 팽창 운동을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핀은 스프링과 접합물질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장치에서, 상기 접합물질은 은-주석(Ag-Sn) 합금, 금-주 석(Au-Sn) 합금, 은-구리-주석(Ag-Cu-Sn) 합금 및 은-주석-비스무트(Ag-Sn-Bi) 합금 및 전도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적 연결장치에서, 상기 전도성 수지는 합성수지와 그 합성수지 내에 포함된 다수의 전도성 입자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은, 일단이 뾰족한 접촉핀을 제작하는 접촉핀 제작단계; 상기 접촉핀의 타단에 접합물질을 도금하는 접합물질 도금단계;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에 의하여 정렬된 스프링을 상기 접합물질에 접합시킴으로서,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접촉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접촉핀을 제작하는 단계는, 에칭에 의하여 웨지형상의 홈을 기판에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판에 산화막을 증착하고,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 PR)를 패터닝(patterning)하는 단계; 및 상기 식각된 홈에 Ni-Co 또는 Ni-W 등의 전도성 물질을 도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접합물질은 은주석(Au-Sn) 합금, 금주석(Au-Sn)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접합단계에는, 상기 접합물질을 가열하여 녹이는 단계; 상기 용융상태의 접합물질에 스프링의 일단을 침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합물질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배럴을 제거하면서 하부에 배치된 접촉핀을 제고함에 따라 점점 및 전체적인 전기적인 접속경로가 단순화되어 전기적인 연결특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배럴이 제거됨에 따라 전체적인 포고핀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접촉핀이 제거됨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의 일부 구성의 절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성을 가지는 테스트 소켓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테스트 소켓을 제작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1)은, 하우징(10), 접촉핀(21), 접합물질(22) 및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접촉핀(21)과 스프링(23)을 위치고정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하우징(10)에는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130)의 단자(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핀(21)은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130)의 단자(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130)의 단자(131)와 접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 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접촉핀의 상단은 4개의 사각뿔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러한, 접촉핀의 상단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뿔 또는 원뿔 등의 다양한 형상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접합물질(22)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접촉핀(21)에 접합시키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촉핀(21)에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130)의 단자(131)와 접촉되는 부분의 반대편 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접합물질(22)은, 은주석(Au-Sn) 합금, 금주석(Au-Sn) 합금 등의 솔더링 재료 또는 전도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솔더링 재료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납 이외의 친환경적인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전도성 수지는 합성수지와 그 합성수재 내에 포함된 다수의 전도성 입자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페닐렌 에테르와 스틸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형태가 되는 것이 접착력 및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다양한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입자는 전도성이 우수한 니켈, 은, CNT 등의 분말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분말입자들에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하우징(10)의 관통공(11) 내부에서 상기 접촉핀(21)과 연결되어 수축 또는 팽창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촉핀(21)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23)이 사용된다. 이러한 스프링(23)은 그 하단이 테스트 장치(140)의 패드(141) 와 접속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23)의 상단은 상기 접합물질(22)에 의하여 상기 접촉핀(21)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1)의 제조방법을 도 6을 참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MEMS 공정에 의하여 접촉핀(21)을 제작한다. 이러한 접촉핀(21)은 반도체 디바이스(130)의 단자(131)와 접촉되는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접촉핀(21)을 제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Wet 에칭에 의하여 웨지형상의 홈을 기판에 생성시킨 후에, 상기 기판에 산화막을 증착하고,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 PR)를 패터닝(patterning)한다. 또한, 이후에 식각된 홈에 Ni-Co 또는 Ni-W 등의 전도성 물질을 도금시켜 접촉핀(21)을 완성한다.
이후에는, 상기 접촉핀(21)의 타단에 접합물질(22)을 도금한다. 상기 접합물질(22)은 은주석 합금 또는 금주석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합물질(22)은 도금의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접촉핀(21)의 타단에 도금하나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가능하다.
이후에는, 반도체 디바이스(130)의 단자(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1)이 형성된 하우징(10)에 의하여 정렬된 탄성부재인 스프링(23)을 상기 접합물질(22)과 접합시킴으로서, 상기 탄성부재인 스프링(23)이 상기 접촉핀(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합물질(22)을 소정의 히터에 의하여 가열하여 녹여 용융상태로 만든 후에, 하우징(10)에 의하여 정렬된 스프링(23)의 일단을 상기 용융된 접합물질(22)에 침투시키고, 상기 접합물질(22)을 냉각시켜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반도체 디바이스의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테스트 장치에 테스트 소켓을 탑재한다. 구체적으로는 테스트 장치의 단자에 테스트 소켓의 스프링의 하단이 접촉되도록 한다. 이후에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하강시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가 상기 접촉핀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단자가 더욱 하측으로 하강하면, 상기 스프링은 압축되면서 기계적인 충격을 흡수한다. 한편, 이후에 테스트 장치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그 신호는 테스트 장치의 패드를 거쳐 스프링, 접촉핀을 거쳐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에 도달하거나, 또는 스프링, 금속층, 접촉핀을 거쳐 반도체 디바이스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은 전체적인 전기적 접속경로가 짧아지게 되어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이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접촉핀, 스프링, 접촉팁, 배럴 등을 모두 구비해야 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핀, 스프링만으로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게 하므로, 부품 감소에 따른 제조성이 좋아지고, 제조비용도 감소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배럴과, 스프링이 함께 사용되어 공간적으로 전체적인 폭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배럴이 제거됨에 따라 전체적인 폭이 스프링에만 의존하게 되어 좁은 폭을 가지는 미소피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핀은 MEMS 공정에 의하여 제작되므로 다양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쉽게 그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핀은 실리콘 웨트 에칭(Silicone Wet Etching) 를 이용하여 제작함에 따란 결정방향에 따른 일정한 경사면 (54.7도)를 만들 수 있어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의 접촉시 마모와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물질은 별도의 공정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접촉핀의 제작시 함께 도금하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테스트 장치의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반도체 디바이스와 테스트장치를 연결하는 테스트 소켓에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첫째, 상술한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관통공(11)에 별도의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이에 반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관통공(11)의 내주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금속층(12)이 도금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관통공(11)의 내주면에 부착된 금속층(12)은 금 또는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도금층이다. 상기 금 또는 은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금속층(12)의 표면에는 금 또는 은의 경도를 높이기 위하여 백금, 로듐 및 팔라듐과 같은 소재의 금속층(12)이 도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층(12)이 관통공(11)의 내주면에 형성됨에 따라 전도성이 높이지고, 경도도 우수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금속층(12)은 전체적인 전기적 접속경로를 빠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에 따른 종래의 기술에서 스프링(122)은 기계적인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접촉핀(121)과 접촉팁(123)의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테스트 장치(140)의 패드(141)로부터 전달된 신호는 스프 링(122)을 따라 나선형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전기적인 접속경로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호가 고주파인 경우에는 스프링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의 화살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스트 장치(140)의 패드(14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스프링(23)을 거쳐 금속층(12)을 통하여 상단의 접촉핀(21)으로 전달되어 전체적인 전기적인 접속경로가 짧아져서 전체적인 전기적인 연결특성이 우수하다.
둘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로서 스프링만을 언급하였으나, 이외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부재(24)가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전부재(24)는 돌출부(24a)와 연장부(24b)로 구성된다. 연장부(24b)는 그 스프링(23) 내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돌출부(24a)는 스프링의 상단에 걸려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장부(24b)는 그 단면이 대략 스프링(23)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프링(23)의 내경과 거의 일치하는 원형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24a)는 스프링(23)의 상단에 걸려 안착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스프링(23)의 내경보다는 큰 단면적을 가진다. 한편, 이때 접합물질(22)은 접촉핀(21)과 돌출부(24a)의 상단 사이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도전부재(24)를 더 포함시키게 되면, 전기적인 접속경로가 단순화되고 짧아지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는 스프링을 따라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도전부재를 따라 진행하게 된다. 다만, 스프링의 하단과 같이 도전부재가 테스트장치의 패드와 접촉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스프링을 통하여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셋째, 상술한 테스트 소켓은 반도체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외에도 전기적 접속이 요구되는 제1단자와 제2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장치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전기적 연결장치의 구성은, 상기 제1단자과 접촉가능한 접촉핀; 및 일단이 상기 접촉핀과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제2단자와 접속되도록 수축과 팽창 운동을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핀은 스프링과 접합물질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접합물질은 은-주석(Ag-Sn) 합금, 금-주석(Au-Sn) 합금, 은-구리-주석(Ag-Cu-Sn) 합금 및 은-주석-비스무트(Ag-Sn-Bi) 합금 및 전도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도성 수지는 합성수지와 그 합성수지 내에 포함된 다수의 전도성 입자로 구성된다.
또한, 관통공의 내주면에 돌출된 소정의 돌기가 더 구비된 형태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 및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테스트 소켓.
도 2은 도 1의 동작도면.
도 3은 도 1의 테스트 소켓에 사용되는 포고핀의 절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의 주요구성의 도면.
도 5는 도 4의 테스트 장치의 전체단면도.
도 6은 도 4의 테스트 장치의 제작공정.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의 도면.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 테스트 소켓 10...하우징
21...접촉핀 22...접합물질
23...스프링

Claims (16)

  1.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테스트장치의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핀; 및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내부에서 상기 접촉핀에 연결되어 수축과 팽창 운동을 하는 탄성부재;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서, 상기 접촉핀에 접합물질에 의하여 솔더링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물질은 은-주석(Ag-Sn) 합금, 금-주석(Au-Sn) 합금, 은-구리-주석(Ag-Cu-Sn) 합금, 은-주석-비스무트(Ag-Sn-Bi) 합금 및 전도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물질은 합성수지와 그 합성수지 내에 포함된 다수의 전도성 입자로 구성된 전도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페닐렌 에테르와 스틸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프링의 내경과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지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연장부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도전부재가 더 포함되되, 상기 도전부재는 그 연장부가 스프링 내에 삽입되고 그 돌출부는 스프링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내주면에는 금속층이 도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는 백금(Pt), 팔라듐(Pd), 로듐(rh)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도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10. 전기적 접속이 요구되는 제1단자와 제2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와 접촉가능한 접촉핀;
    일단이 상기 접촉핀과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제2단자와 접속되도록 수축과 팽창 운동을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핀은 스프링과 접합물질에 의하여 솔더링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물질은 은-주석(Ag-Sn) 합금, 금-주석(Au-Sn) 합금, 은-구리-주석(Ag-Cu-Sn) 합금 및 은-주석-비스무트(Ag-Sn-Bi) 합금 및 전도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수지는 합성수지와 그 합성수지 내에 포함된 다수의 전도성 입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장치.
  13. 제1항에 따른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단이 뾰족한 접촉핀을 제작하는 접촉핀 제작단계;
    상기 접촉핀의 타단에 접합물질을 도금하는 접합물질 도금단계;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에 의하여 정렬된 스프링을 상기 접합물질에 접합시킴으로서,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접촉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핀을 제작하는 단계는,
    에칭에 의하여 웨지형상의 홈을 기판에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판에 산화막을 증착하고,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 PR)를 패터닝(patterning)하는 단계; 및 상기 식각된 홈에 Ni-Co 또는 Ni-W 등의 전도성 물질을 도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물질은 은주석(Au-Sn) 합금, 금주석(Au-Sn)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계에는, 상기 접합물질을 가열하여 녹이는 단계; 상기 용융상태의 접합물질에 스프링의 일단을 침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합물질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
KR1020080058372A 2008-06-20 2008-06-20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제조방법 KR101099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372A KR101099501B1 (ko) 2008-06-20 2008-06-20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제조방법
US13/000,166 US20110102009A1 (en) 2008-06-20 2009-06-19 Test socket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est socket
PCT/KR2009/003292 WO2009154421A2 (ko) 2008-06-20 2009-06-19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372A KR101099501B1 (ko) 2008-06-20 2008-06-20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215A KR20090132215A (ko) 2009-12-30
KR101099501B1 true KR101099501B1 (ko) 2011-12-27

Family

ID=4143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372A KR101099501B1 (ko) 2008-06-20 2008-06-20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02009A1 (ko)
KR (1) KR101099501B1 (ko)
WO (1) WO200915442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124B1 (ko) * 2012-04-03 2013-05-2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76174A1 (en) * 2012-12-26 2014-06-26 Advanced Inquiry Systems, Inc. Designed asperity contactors, including nanospikes for semiconductor test,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490498B1 (ko) * 2013-06-18 2015-02-05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인서트
KR101524471B1 (ko) * 2013-12-12 2015-06-10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플런저 고정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포고핀 구조체
KR101793717B1 (ko) * 2015-08-07 2017-11-03 조인셋 주식회사 전기접속단자
CN113287024A (zh) * 2019-01-29 2021-08-20 株式会社友华 柱塞及接触探针
CN109926676B (zh) * 2019-04-28 2022-06-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Smp连接器的焊接装置及焊接方法
KR102202295B1 (ko) * 2019-08-29 2021-01-13 주식회사 피에스개발 테스트 소켓용 이형 스프링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테스트 소켓
WO2023106732A1 (ko) * 2021-12-10 2023-06-15 백정균 검사용 프로브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64397A (ko) 2022-11-04 2024-05-13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소켓용 세퍼레이터 유닛 제조 방법 및 소켓용 세퍼레이터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461B1 (ko) * 2004-12-01 2006-09-18 (주)티에스이 스프링 핀을 갖는 연결 기판
KR100743190B1 (ko) * 2005-12-26 2007-07-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저융점 무연 솔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10044B1 (ko) * 2006-08-10 2008-03-05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용 탐침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9511A (en) * 1981-12-04 1983-06-21 General Electric Company Blends of polyphenylene ether resins and styrene-tert-butylstyrene copolymers
US6046597A (en) * 1995-10-04 2000-04-04 Oz Technologies, Inc. Test socket for an IC device
JP3669463B2 (ja) * 1997-08-05 2005-07-06 Tdk株式会社 樹脂封止表面実装型電子部品
US6191595B1 (en) * 1999-07-30 2001-02-20 Credence Systems Corporation Adhesive attaching, thermal releasing flat pack probe assembly
JP2001116791A (ja) * 1999-10-20 2001-04-27 Fujitsu Ltd 電子部品試験装置及び電気接続体
KR100576900B1 (ko) * 2001-01-29 2006-05-03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콘택트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및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US6506082B1 (en) * 2001-12-21 2003-01-14 Interconnect Devices, Inc. Electrical contact interface
JP4741949B2 (ja) * 2003-04-15 2011-08-10 日本電気株式会社 検査プローブ
JP2005172581A (ja) * 2003-12-10 2005-06-30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試験装置
JP4405358B2 (ja) * 2004-09-30 2010-01-27 株式会社ヨコオ 検査ユニット
KR100584225B1 (ko) * 2004-10-06 2006-05-29 황동원 전자장치용 콘택트
KR20070067562A (ko) * 2005-12-24 2007-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스트 보드 및 포고 핀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검사장치
US7545159B2 (en) * 2006-06-01 2009-06-09 Rika Denshi America, Inc. Electrical test probes with a contact element,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4857046B2 (ja) * 2006-08-02 2012-01-1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接触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4680161B2 (ja) * 2006-09-28 2011-05-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評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479794B2 (en) * 2007-02-28 2009-01-20 Sv Probe Pte Ltd Spring loaded probe pin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461B1 (ko) * 2004-12-01 2006-09-18 (주)티에스이 스프링 핀을 갖는 연결 기판
KR100743190B1 (ko) * 2005-12-26 2007-07-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저융점 무연 솔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10044B1 (ko) * 2006-08-10 2008-03-05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용 탐침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4421A2 (ko) 2009-12-23
WO2009154421A3 (ko) 2010-04-01
KR20090132215A (ko) 2009-12-30
US20110102009A1 (en)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501B1 (ko) 테스트 소켓,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테스트 소켓의제조방법
KR101138963B1 (ko) 테스트 소켓 및 그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
KR101266123B1 (ko)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테스트용 러버소켓
KR100854267B1 (ko) 포고핀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테스트 소켓
KR101930866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콘택트 및 소켓장치
KR101737047B1 (ko) 메탈 코어 솔더 볼을 이용하는 도전 와이어 본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JP5064205B2 (ja) コンタクトおよびインタポーザ
KR101801524B1 (ko) 반도체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패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테스트 소켓
JPH11162270A (ja) 電気的接続装置、接触子製造方法、及び半導体試験方法
KR101266122B1 (ko) 검사용 탐침장치 및 그 검사용 탐침장치의 제조방법
JPWO2008041484A1 (ja) 弾性接触子を用いた金属端子間の接合方法
CN112041689B (zh) 用于测试半导体器件的接触件及测试插座
KR101151880B1 (ko) 시트형 접속체, 그 시트형 접속체의 제조방법 및 테스트 소켓
KR101138964B1 (ko) 테스트 소켓
KR102147699B1 (ko) 프로브 핀 및 이의 제조 방법
JP4545760B2 (ja) 接触子部材、コンタクタ及び接触方法
KR101970695B1 (ko) 탄소 섬유를 이용한 양방향 도전성 핀 및 양방향 도전성 패턴 모듈
KR101678366B1 (ko) 컨택터 제조방법
TWI274165B (en) Probe card interposer
KR20190035891A (ko) 개선된 자동 초점 전기적 상호 연결을 가지는 카메라 렌즈 서스펜션
CN111293448B (zh) 压接结构的一体型弹簧针
TW201837472A (zh) 雙向導電針及使用其之半導體測試座
KR20030033206A (ko) 초소형 프로브 구조체
KR100953444B1 (ko) 스프링 접착형 테스트소켓 및 그 소켓의 제작방법
TWI812020B (zh) 導電接觸針以及包括接觸針之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