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966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966B1
KR101096966B1 KR1020067000715A KR20067000715A KR101096966B1 KR 101096966 B1 KR101096966 B1 KR 101096966B1 KR 1020067000715 A KR1020067000715 A KR 1020067000715A KR 20067000715 A KR20067000715 A KR 20067000715A KR 101096966 B1 KR101096966 B1 KR 101096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plasma display
adhesive layer
transparen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803A (ko
Inventor
노브오 나이토
후미히로 아라카와
다다히로 마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4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 H05K9/0096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for television displays, e.g. plasma display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8Meshes, lattice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2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4Plasma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8Near infrared shield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은, 투명기판(11)과, 이 투명기판(11)의 한쪽 면에 제1투명접착층(21)을 매개로 설치된 전자파차폐층(30)을 구비하고 있다. 전자파차폐층(30)은, 투명기재필름(31)과, 메쉬형상 영역(203)을 에워싸는 프레임부(201)를 가진 금속층(35) 및, 평탄화수지층(39)으로 되어 있다. 금속층(35)에 흑화처리층(37)이 설치되어 있다. 제3투명접착층(41)과 투명보호층(50)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다. 평탄화수지층(39) 및/또는 제3투명접착층(41)의 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 및 색조보정용 착색제가 함유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FRONT PLATE FOR PLASMA DISPLAY AND PLASMA DISPLAY}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PDP라고도 함)의 전면에 배치되어,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및 근적외선(近赤外線)을 차폐하고, 또 디스플레이(화상표시장치라고도 함)에 표시된 화상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PDP는, 데이터전극과 형광층을 가진 유리기판과 투명전극을 가진 유리기판을 조합하고서 내부에 크세논이나 네온 같은 가스를 봉입(封入)한 것으로, 종래의 CRT-TV와 비교해서 대화면으로 할 수 있어서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PDP가 작동하면, 불필요한 복사(輻射)로서 전자파와 근적외선 및 특정 파장의 불필요광(不要光)이 대량으로 발생한다. 이들 전자파나 근적외선, 특정 파장의 불필요광을 차폐 또는 줄이기 위해, PDP의 전면(前面)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복합필터)을 설치하고 있다. 이들 PDP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가 구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에는 전자파의 차폐, 근적외선의 차폐 및 봉입가스의 발광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 파장의 불필요광의 차폐성이 요구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의 차폐성은, 30MHz ~ 1GHz에서 30dB 이상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 PDP에서 발생하는 파장 800 ~ 1,100nm의 근적외선도 다른 VTR 등의 기기를 오동작시키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에 의해 차폐할 필요가 있다. 또, PDP에 특유의 봉입가스 고유의 발색스펙트럼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으로 보정(補正)하거나, 좋아하는 색조로 조정(調整)하거나 하여, 색질(色質)을 적정화해서 표시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필요도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용 전면판에는, 적당한 투명성(가시광투과율)이나 휘도에 더해, 외부광의 반사방지성과 방현성(防眩性)을 부여해서 표시화상의 시인성을 좋게 하여야 하고, 기타 기계적 강도를 높여야 하는 등 많은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기능(각종 필터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에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15533호 공보(특히, 도 2, 도 3, 실시예 2, 실시예 9)에 개시된 것과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의 투명기판 표리 양면에, 전자파(EMI) 차폐기능층 및 근적외선(NIR) 차폐기능층, 반사방지기능층 등의 각 층이 배분되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차폐기능층은 면적이 넓어 무게가 무겁고 갈라지기가 쉬운 유리판 등의 투명기판을 뒤집어가면서 형성하게 되므로, 가공하기가 어렵고 또 공정수가 많아지게 된다. 이에 더해, 적층해야 할 기능층의 종류가 많아, 이들을 접착제를 이용해서 순차로 적층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았다. 따라서, 플라즈 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에는 짧은 공정으로, 정밀도 높은 것을 안정되게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의 조립이 쉬울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요구에 응하는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66854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324431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이, 투명기판의 한쪽 면에만 순차로 전자파 차폐기능층, 근적외선 차폐기능층 및 반사방지기능층 등이 적층된 구조로 된 것도 제안되어 있다. 이에 따라 투명기판 반전(反轉)의 문제는 해소되지만, 여전히 다른 종류의 기능층을 적층하는 데에 기인하는 공정수의 많음(5종의 기능층을 적층하는 경우는, 적층공정이 5공정 필요)이 해소되지 않아, 제조가 번잡하고 제조비가 비쌌다.
(선행기술)
또, 종래의 전자파차폐구성체(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전면판)는, 접지를 위한 외부전극과 양호한 접속을 취함으로써, 높은 전자파차폐성, 적외선차폐성, 투명성·비시인성을 가진 전자파차폐성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15533호 공보에서는 레이저 등으로 상층을 제거해서 접지를 이루는 단자부를 형성하고 있고,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66854호 공보에서는 상부 1층만 제거해서 가장자리(단자부)를 형성하고 있고,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324431호 공보에서는 은(銀)페이스트 또는 도전(導電)테이프로 전극(단자부)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증가하고, 이들 공정을 위한 설비나 재료를 필요로 하게 되어, 결국 제조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필터(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전면판)로는, 전자파나 근적외선의 누설이 적고, 색채, 밝기, 반사방지성도 뛰어나고, 또 제조비용도 저렴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23511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기판의 한쪽 면에 도전성 무기막(전자파차폐)/수지필름/하드코팅층/반사방지 기능층이 설치되고, 수지필름 및/또는 하드코팅층에 근적외선흡수제 및/또는 보색용(補色用) 색소가 함유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지필름 중에 특별히 근적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품종별로 소 로트(小 lot)로 생산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은 어느 쪽도 전자파차폐성, 표시화상의 품질, 표시화상의 시인성, 기계적 강도, 제조용이성, 저비용성을 실용수준으로 동시에 만족시킬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전자파의 차폐, 근적외선의 차폐, 봉입가스의 발광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 파장의 불필요광의 차폐 및, 좋아하는 색조를 생기게 하기 위해 색질을 적정화하고, 또 적당한 투명성(가시광선 투과율)이나 휘도에 더해,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고 방현성을 부여함으로써 표시화상을 시인하기 쉽도록 하고, 나아가 자재를 줄이고, 짧은 공정으로 고정밀도의 것을 안정되게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PDP와 쉽게 조립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명기판과, 투명기판 상에 설치된 제1투명접착층, 제1투명접착층 상에 설치된 전자파차폐층, 전자파차폐층 상에 설치된 제3투명접착층 및, 제3투명접착층 상에 설치된 투명보호층을 갖추되, 전자파차폐층이, 투명기재필름과, 투명기재필름 상에 설치되고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한 메쉬부를 가진 금속층 및, 투명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금속층의 개구부 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충전하는 평탄화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평탄화수지층 및/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 또는 색조보정용 착색제가 함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평탄화수지층 및/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 및 색조보정용 착색제의 양쪽 모두가 함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다.
본 발명은, 평탄화수지층 및/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디스플레이 화상을 원하는 색조로 조정하기 위한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더 함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다.
본 발명은, 평탄화수지층이 근적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제3투명접착층이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함유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다.
본 발명은, 제3투명접착층이,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더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다.
본 발명은, 금속층이, 메쉬부의 외주부에 프레임부를 더 갖고, 이 프레임부의 일부가 평탄화수지층, 제3투명접착층 또는 투명보호층의 어느 것에도 덮이지 않고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다.
본 발명은, 전자파차폐층의 투명기재필름과 금속층 사이에, 제2투명접착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다.
본 발명은, 투명보호층이, 투명보호 기재필름과, 이 투명보호 기재필름 상에 설치된 반사방지층 및/또는 방현층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다.
본 발명은, 금속층의 투명보호층 측의 면에 흑화처리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과, 이 전면판에 상대해서 설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를 갖춰 이루어지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 투명기판과, 투명기판 상에 설치된 제1투명접착층, 제1투명접착층 상에 설치된 전자파차폐층, 전자파차폐층 상에 설치된 제3투명접착층 및, 제3투명접착층 상에 설치된 투명보호층을 갖추되, 전자파차폐층이, 투명기재필름과, 투명기재필름 상에 설치되고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한 메쉬부를 갖는 금속층 및, 투명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금속층의 개구부 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충전하는 평탄화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평탄화수지층 및/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 또는 색조보정용 착색제가 함유되도록 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은 투명기재 측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 측을 향해 투명보호층 측에서 관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은, 평탄화수지층 및/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 및 색조보정용 착색제가 함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은, 평탄화수지층 및/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디스플레이 화상을 원하는 색조로 조정하기 위한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더 함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은, 평탄화수지층이 근적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제3투명접착층이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함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은, 제3투명접착층이,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더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은, 금속층이, 메쉬부의 외주부에 프레임부를 더 갖추고서, 이 프레임부의 일부가 평탄화수지층, 제3투명접착층 또는 투명보호층의 어느 것에도 덮이지 않고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은, 전자파차폐층의 투명기재필름과 금속층 사이에 제2투명접착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은, 투명보호층이, 투명보호 기재필름과, 이 투명보호 기재필름 상에 설치된 반사방지층 및/또는 방현층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은, 금속층의 투명보호층 측의 면에 흑화처리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다.
(발명의 포인트)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기판의 한쪽 면에, 전자파(EMI)차폐기능, 근적외선(NIR)차폐기능, 색조보정 및/또는 색조조정용 기능 및 보호기능(반사방지(AR) 및/또는 방현(AG)도 포함하는) 등의 기능층이 적층된다. 종래와 같이, 투명기판의 양면에 기능성 층을 적층해서 제조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큰 면적으로 갈라지기 쉬워 취급하기 어려운 투명기판을 반전시키지 않아, 간이한 제조설비로 흠집이 적고, 수율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예컨대 종래에는, 미리 별도로 제조해 놓은 적어도 EMI차폐, NIR차폐, 색조보정, 색조조정 및 AR기능을 가진 5매의 기능성 필름을 투명기판의 양면에 5공정으로 적층시켜 제조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NIR차폐 및 색조보정기능을 갖춘 EMI차폐필름 및 AR필름이 조합되도록, 2매를 색조조정기능을 갖춘 접착제층을 이용해서 2공정의 적층공정으로 끝나, 공정수가 감소되고, 수율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층의 메쉬형상영역은, 평탄화수지층에서 덮여 메쉬부의 오목부의 특히 코너가 평탄화수지층으로 메워져 있기 때문에, 메쉬부와 투명보호층을 제3투명접착층으로 첩착하여도 기포가 끌어 들여지지 않게 된다. 종래에는 평탄화수지층이 없이 직접 투명접착층으로 첩착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메쉬의 오목부의 코너에 끌어 들여진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가압공정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유시키는 근적외선흡수제와 색조보정용 착색제에 더해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함유시킴으로써, 고객의 취향에 맞춘 표시화상의 색조조정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유시키는 근적외선 흡수제와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각각 평탄화수지층과 제3투명접착층의 별개의 층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투과율조정이 필요한 색조보정용 착색제만을 쉽게 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투명접착층 중에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함유시키면, 이 함유공정이 종료에 가까운 공정으로 되는바, 지금까지의 공정은 공통규격으로 모아 제조해놓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고객의 취향에 맞춰 표시화상의 색조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부에서 단자가공을 하지 않고도 접지용 어스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평탄화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패턴상으로 도포하기 때문에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기재필름과 금속층이 보다 강고하게 접착된다. 또 평탄화 수지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를 함유시키고, 제3투명접착층 중에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함유시킨 경우에는, 투과율조정이 필요한 색조보정용 착색제만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방지 및/또는 방현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의 투명보호층 측의 면에 흑화처리층을 설치함으로써, 외부광의 존재 하에서도 표시화상을 높은 콘트라스트로 시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파의 차폐, 근적외선의 차폐, 봉입가스의 발광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광의 차폐 및, 좋아하는 색조로 조정된 표시화상이 얻어지고, 또 외부광의 반사방지, 방현성이 부여되어, 표시화상을 시인하기 쉬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단면도로서, 도1b의 A부 확대도,
도 1b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개략도,
도 1c는, 투명보호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전자파차폐층의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전자파차폐층의 메쉬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0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PDP; 101)와,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PDP; 101)의 관찰측(觀察側)에 설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前面板; 103)을 구비하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103)은 투명기판(11)을 포함하고 있다. 또 투명기판(11)의 한쪽 면에 제1투명접착층(21)/전자파차폐층(30)/제3투명접착층(41)/ 투명보호층(50)이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10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에 요구되고 있는 모든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중 전자파차폐층(30)은, 투명기재필름(31)과,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제2투명접착층(33), 금속층(35) 및, 평탄화수지층(39)을 갖고 있다. 또, 도 2와 같이 금속층(35)은 적어도 메쉬형상영역(203)을 갖고 있다.
이 메쉬형상영역(203)은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개구(203a)를 갖고 있다. 그리고, 메쉬형상영역(203)의 바깥 주위에는 접지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프레임부(201)를 설치하여도 좋다.
금속층(35)의 투명보호층(50) 측의 면에는, 필요에 따라 흑화처리층(37)이 설치되어 있다. 투명보호층(50)은, 투명기재필름(51)과, 이 투명기재필름(51) 상에 설치된 반사방지층(53) 및/또는 방현층(55)을 갖고 있다(도 1c).
아래에서 정의하는 기능 및 물성이 다른 복수의 착색제인 「근적외선흡수제」, 「색조보정용 착색제」 및, 「색조조정용 착색제」의 각 착색제를 혼입하는 층을 한정함으로써 특이한 효과가 발현되고, 더구나 구성되는 층수를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착색제의 정의)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착색제를 복수로 이용하기 때문에, 혼동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착색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PDP에서 발생하는 파장 800 ~1,100nm의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착색제를 「근적외선흡수제(NIR흡수제라고도 함) 」라 하고, PDP에 특유한 봉입가스(네온 등) 고유의 발색스펙트럼, 즉 특정 파장의 불필요광을 보정하는 착색제를 「색조보정용 착색제(네온원자 스펙트럼 흡수용인 경우는 Ne광흡수제라고도 함)」라 하며, 좋아하는 색조로 조정하기 위한 착색제를 「색조조정용 착색제」라 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의 제조 및 재료)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의 대표적인 층 구성 및 제조방법으로서는, 먼저
(1) 투명기판(11)과 제1투명접착층(21) 및 제3투명접착층(41)을 준비한다.
(2) 별도로 사전에 가공을 해서 만든 전자파차폐층(30)을 준비한다.
(3) 별도로 사전에 가공을 해서 만든 투명보호층(50)을 준비한다.
(4) 투명기판(11)에 제1투명접착층(21)을 이용해서 전자파차폐층(30)을 적층한다.
(5) 계속해서 전자파차폐층(30) 면에 제3투명접착층(41)을 이용해서 투명보호층(50)을 적층한다.
제조방법과 사용하는 재료에 대해 이하 순차로 설명한다.
(투명기판)
투명기판(11)으로는 기계적 강도가 있으면 좋은바, 예컨대 유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 셀룰로오스 같은 셀룰로오스 수지, 스틸렌 수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같은 아크릴계 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는 유리, 폴리메 틸메타크릴계 중합체로 된 아크릴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투명기판(11)은 가시광선에 대해 투명성이 있고, 파장 450nm ~ 650nm의 평균광선투과율이 50% 이상인 것이 디스플레이의 표시화상의 시인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투명기판에는, 필요에 따라 기능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착색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난연화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투명기판(11)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1mm ~ 10mm 정도, 바람직하기는 2mm ~ 6mm로 되어 있다. 이 범위 미만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고, 이 범위를 넘어면 기계적 강도는 과잉으로 되며, 중량이 무거워져 실용적이지 못하다.
(제1 및 제3투명접착층)
제1투명접착층(21) 및 제3투명접착층(41)은 같은 것이 적용될 수 있고, 공지의 접착제 또는 이른바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
접착제로는, 자외선(UV)이나 전자선(EB) 등의 전리방사선,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열경화형 접착제로는, 구체적으로 2액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텔 우레탄계 접착제 등), 아크릴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초산비닐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2액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가 적합하다.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머, 트리메티롤 프로판드,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다에리스리틀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에폭시계 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다(한편 (메타)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점착제)
점착제(粘着劑)로는, 공지의 감압(減壓)으로 접착하는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점착제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천연고무계, 부틸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클로로프렌,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수지 등의 합성고무계 수지, 폴리초산비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초산비닐계 수지, 알킬페놀수지, 로진, 로진트리글리세리드, 수소화로진 등의 로진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전자파차폐층의 사전가공)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자파차폐층의 평면도, 도 3은 그 단면도이다. 전자파 차폐층(30)은, 투명기재필름(31)/필요에 따라 설치된 제2투명접착층(33)/금속층(35)/평탄화수지층(39)으로 되어 있다. 투명기재필름(31)에 금속층(35)을 설치하는바, 이 금속층(35)은 메쉬형상영역의 메쉬부(203)와, 전자파차폐층(30)을 접지하기 위해 편의상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메쉬부(203)의 외주에 위치하는 프레임부(201)를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메쉬부(203)는 개구부(203a)와 금속층(35)을 구성하는 라인부(203b)를 갖고, 상기 개구부(203a)가 라인부(203b)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다. 메쉬부(203)는 공지의 (1) 포토리소그래피법 또는 (2) 도금법으로 형성된다.
(포토리소그래피법)
먼저, (1) 포토리소그래피법에 대해 설명한다. 투명기재필름(31)의 한쪽 면에다 제2투명접착층(33)을 매개로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으로 메쉬가 없고 전체면이 금속제인 금속층(35)을 적층한다. 다음, 금속층(35)에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메쉬형상영역(203)을 형성한다. 한편, 금속층(35)의 적어도 투명보호층(50) 측의 면을 흑화처리해서 흑화처리층(3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흑화처리층(37)은 투명기재필름(31)과 적층하기 전에 설치하여도 좋고, 후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 금속층(35)의 투명보호층(50)과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메쉬형상영역을 형성한 후에 흑화처리층(37)을 설치하여도 좋은바, 이 경우에는 라인부(203b)의 측면에도 흑화처리층(37)을 설치할 수가 있어서, 외부광 존재 하에서도 표시화상이 보다 높은 콘트라스트로 된다.
(금속층을 도금)
다음, (2) 도금법으로 메쉬형상의 금속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투명기재필름(31)의 한쪽 면에 직접 금속층(35)을 도금법으로 형성한다. 도금법은, 투명기재필름(31)의 한쪽 면에, 중심부분의 메쉬와 그 외주부의 프레임부로 이루어진 형상을 한 패턴에 도전처리를 실행한 후, 금속을 도금하게 된다. 이에 의해, 메쉬형상영역(203)과, 이 메쉬형상영역(203)을 에워싸는 프레임부(201)가 동시에 형성되어 금속층(35)이 얻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2투명접착층(33)은 불필요해진다. 그 후, 금속층(35)의 적어도 투명보호층(50) 측의 면에 흑화처리층(37)을 설치한 다. 흑화처리층(37)은, 포토리소그라피법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설치될 수가 있고, 필요에 따라 다시 녹방지층(37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금법에서의 투명기재필름(31), 금속층(35) 및 흑화처리층(37)에 이용하는 재료로는, (1)의 포토리소그래피법과 마찬가지이지만, 도금법으로는 금속층의 성막방법이 다르다. 원하는 메쉬형상영역(203)과, 이 메쉬형상영역(203)을 에워싸는 프레임부(201)를 형성하기 때문에, 메쉬형상의 도전처리를 실행할 때 원하는 메쉬패턴을 이용하게 된다.
(기재필름)
투명기재필름(31)의 재료로는, 사용조건이나 제조에 견딜 수 있는 투명성, 절연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이 있다면, 여러 가지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10 같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벤텐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같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슬폰, 폴리페닐렌에텔, 폴리아라미드 같은 엔지니어링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틸렌 같은 스틸렌계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이 있다.
투명기재필름(31)은, 이들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수지나 혼합체(알로이를 포함한), 또는 복수층으로 된 적층체이어도 좋다. 투명기재필름은, 연신필름이어도 미연신필름이어도 좋지만,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에서 1축방향 또는 3축방향으로 연신(延伸)된 필름이 바람직하다. 투명기재필름(31)의 두께는 통상 12 ~ 1000㎛ 정도, 바람직하기는 50 ~ 700㎛, 100 ~ 500㎛가 가장 적합하다. 이 이하의 두께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부족해서 뒤로 휘어지거나 느슨해지는 현상 등이 일어나고, 이 이상에서는 과잉의 성능이 되어 비용적으로도 쓸데 없어지게 된다. 투명기재필름(31)은, 이들 수지의 적어도 1층으로 된 필름, 시트, 보드형상으로 해서 사용하지만, 이들 형상을 본 명세서에서는 필름이라 총칭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투명성과 내열성이 좋고 비용도 싸기 때문에 적절히 사용되는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가장 적합하다. 또, 투명성은 높을수록 좋으나, 바람직하기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다.
투명기재필름(31)은, 접착제의 도포에 앞서 도포면에 코로나방전처리, 플라즈마처리, 오존처리, 프레임처리, 플라이마(앵커코팅, 접착촉진제, 접착용이제라고도 불림) 도포처리, 예열처리, 제진애처리, 증착처리, 알카리처리 등 이접착처리(易接着處理)를 실행하여도 좋다. 이 투명기재필름(31)에는 필요에 따라 자외선흡수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같은 첨가제를 가하여도 좋다.
(금속층)
금속층(35)의 재료로는, 예컨대 금, 은, 강, 철, 니켈, 크롬, 알미늄 등 충분히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을 정도의 도전성을 가진 금속이 적용될 수 있다. 금속층은 단체(單體)가 아니어도, 합금 또는 다층이어도 좋고, 철의 경우에는 저탄소 림드강이나 저탄소 알루미킬드강 같은 저탄소강, Ni-Fe 합금, 인바합금이 바람직하고, 또 흑화처리로서 캐소딕전착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전착의 용이성 면에서 동 또 는 동합금박이 바람직하다. 동박으로는, 압연동박, 전해동박(電解銅箔)이 사용될 수 있으나, 두께의 균일성, 흑화처리 및/또는 크로메이트처리와의 밀착성 및, 10㎛ 이하의 박막화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해동박이 바람직하다. 금속층(35)의 두께는 1 ~ 100㎛ 정도, 바람직하기는 5 ~ 20㎛이다. 이 이하의 두께에서는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한 메쉬가공은 용이해지지만, 금속의 전기저항값이 증가해서 전자파차폐효과가 훼손되고, 이 이상에서는 원하는 세밀도 높은 메쉬의 형상이 얻어지지 않으며, 그 결과 실질적인 개구율(開口率)이 낮아져 광선투과율이 저하되고, 더구나 시각(視角)도 저하되어,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금속층(35)의 표면거칠기로는 Rz값으로 O.5 ~ 10㎛가 바람직하다. 이 이하의 표면거칠기에서는, 흑화처리를 하여도 외부광이 경면반사(鏡面反射)를 해서, 외부광 존재 하에서의 화상의 시인성(콘트라스트)이 나빠진다. 이 이상의 표면거칠기에서는, 접착제나 레지스터 등을 도포할 때에, 표면 전체에 번진다거나 기포가 발생하거나 한다. 한편, 표면거칠기(Rz)는, JIS-B0601(1994년판)에 준거해서 측정한 10점 평균 거칠기값이다.
(제2투명접착층)
투명기재필름(31)에 제2투명접착층(33)을 매개로 금속층(35)을 적층한다. 제2투명접착층(33)용 접착제로는, 열경화형 접착제 또는 자외선ㆍ전자선과 같이 전리방사선으로 경화되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열경화접착제로는, 구체적으로 2액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텔 우레탄계 접착제 등), 아크릴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 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초산비닐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2액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가 가장 적합하다.
(점착제)
제2투명접착층(33)용 점착제로는, 공지의 감압으로 접착되는 점착제도 적용될 수 있다. 점착제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천연고무계, 부틸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크로로프렌 또는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수지 등의 합성고무계 수지, 폴리초산비닐 또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초산비닐계 수지, 로진, 로진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수소화로진 같은 로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적층법)
투명기재필름(31)과 금속층(35)의 적층(라미네이트라고도 함)법으로는, 투명기재필름(31) 또는 금속층(35)의 한쪽 면에 접착제(또는 점착제)의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라텍스, 물분산액 또는 유기용매액으로 스크린인쇄, 그라비아 인쇄, 콤마코팅, 롤코팅 같은 공지의 인쇄 또는 코팅법으로 인쇄 또는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 후에 다른 쪽 재료와 겹쳐치게 해서 가압하면 된다. 접착층의 두께로는, 0.1 ~ 20㎛(건조상태) 정도, 바람직하기는 1 ~ 10㎛이다. 구체적인 적층법으로는, 통상 연속한 띠형상(帶狀; 권취로 함)으로 실행하고, 권취롤에서 풀려 신장된 상태에서 금속층 또는 기재필름의 한편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다른 쪽 재료를 겹쳐지게 해서 가압하면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30 ~ 80℃의 분위기에서 수시간 ~ 수일의 에이징(양생, 경화)을 실시해서 권취롤형상의 적층체로 한 다. 이 방법은, 당업자가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이라 부르는 방법이다. 그리고,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이라 함은,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한 접착제를 건조시킨 후의 막두께가 0.1 ~ 20㎛(건조상태) 정도, 바람직하기는 1.0 ~ 5.0㎛로 되도록, 예컨대 롤코팅, 리버스 롤코팅, 그라비아코팅 등의 코팅법으로 도포하고, 용제 등을 건조시켜 접착층을 형성하고 나서 즉시 첩합기재(貼合基材)를 적층한 후, 30 ~ 120℃에서 수시간 ~ 수일간 에이징(aging)함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 2종의 재료를 적층시키는 방법이다.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에서 이용되는 접착층은 제2투명접착층(33)으로 이루어지는바, 이 제2투명접착층(33)으로는 열경화형 접착제 또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열경화접착제로는, 구체적으로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텔계 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2액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등이 적용될 수 있는바, 2액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가 가장 적합하다.
(포토리소그래피법)
투명기재필름(31)/제2투명접착층(33)/금속층(35)의 적층체 금속면을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메쉬형상으로 만든다. 이 금속층(35)에 레지스트층을 메쉬패턴형상으로 설치하고서, 레지스트층으로 덮이지 않은 부분의 금속층을 에칭으로 제거한 후, 레지스트층을 제거해서 메쉬형상의 금속층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파차폐층(30)의 금속층(35)은 메쉬부(203)와 프레임부(201)로 이루어지고, 메쉬부(203)에는 금속층이 남은 라인부(203b)에 의해 복수의 개구부(203a)가 형성되고, 프레임부(201)는 개구부가 없고 전체면에 금속층이 남게 된다. 프레임부(201)는 메쉬부(203)를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포토리소그래피법은, 대상으로 연속해서 감긴 롤형상의 적층체를 가공하는 것이다. 적층체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반송하면서 느슨하지 않게 신장시킨 상태에서, 마스킹, 에칭, 레지스트박리를 한다. 먼저, 마스킹은 예컨대, 감광성 레지스터를 금속층 상에 도포하고서 건조시킨 후, 소정 패턴(메쉬부(203)의 라인부(203b)와 프레임부(201))을 가진 원판(포토마스크)으로 밀착노광하고, 수현상(水現像)을 해서, 경막처리 등을 실시하고, 베이킹을 한다. 권취롤형상의 대상적층체(帶狀積層體)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반송하면서, 그 금속층 면에 카제인, PVA, 젤라틴 등의 레지스트를 디핑(浸漬), 커튼코팅, 흘려보내기 등의 방법으로 레지스트가 도포되도록 한다. 또, 레지스트를 도포하지 않고 드라이필름 레지스트를 이용하여도 좋은바, 드라이필름 레지스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작업성이 향상된다. 레지스트의 베이킹은 적층체의 뒤로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될 수 있으면 낮은 온도가 바람직하다.
(에칭)
레지스트를 이용해서 마스킹 후에 에칭을 실행한다. 에칭에 이용하는 에칭액으로는, 에칭을 연속해서 실행하는 경우, 순환사용을 쉽게 할 수가 있는 염화제2 철, 염화제2동의 용액이 바람직하다. 또, 에칭공정은, 대상으로 연속하는 강재, 특히 두께 20 ~ 80㎛의 박판을 에칭하는 컬러TV의 브라운관용 쉐도우 마스크를 제조하는 공정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 공정이다. 즉, 쉐도우 마스크의 기존의 제조설비를 유용할 수 있고, 마스킹으로부터 에칭까지를 일관해서 연속생산할 수 있어 지극히 효율이 좋다. 에칭 후에는, 수세, 알카리액에 의한 레지스트박리, 세정을 실시해서 건조시키면 된다.
(메쉬)
메쉬부(203)는 상호 인접해서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203a)와, 인접하는 개구부(203a)의 경계를 이루는 라인부(203b)를 갖고 있다. 개구부(203a)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정3각형 등의 3각형, 정방형, 장방형, 마름모꼴, 받침대형 등의 4각형, 6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들 개구부(203a)의 1종류만, 또는 복수의 종류를 조합해서 메쉬로 한다. 개구율 및 메쉬의 비시인성 때문에, 라인부(203b)의 폭은 25㎛ 이하, 바람직하기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라인부(203b)의 간격(라인피치)은 광선투과율 때문에, 100㎛ 이상, 바람직하기는 200㎛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라인부(203b)와 전자파차폐층 단부(端部)의 변과 이루는 바이어스 각도는, 모아레(moire) 줄무늬의 해소 등을 위해 디스플레이의 화소나 발광특성을 가미해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흑화처리)
금속층(35)의 적어도 투명보호층(50) 측의 면에 흑화처리에 의해 흑화처리층(3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층(35)의 양면에 흑화처리층(37)을 설 치하여도 좋다. 흑화처리가 금속층(35)에 대해 단층(單層) 상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금속층(35)을 흑화처리층(37) 측을 투명기재필름(31) 측을 향해 적층하고 난 후, 투명기재필름(31)의 반대 면에 노출되어 있는 금속층(35)을 흑화처리하여, 금속층(35)의 양면에 흑화처리층(37)이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포토리소그래피법에서, 메쉬부(203)를 설치한 후에 흑화처리를 하게 되면, 메쉬형상의 금속층(35)의 표면(라인부(203b)의 표면) 및 측면(라인부(203b)의 측면)부분까지 흑화처리를 실행할 수가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햇빛이나 전등 빛 같은 외부광이 입사했을 때, 전자파차폐용 라인부(203b)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가 억제되어, 디스플레이의 표시화상을 높은 콘트라스트로 양호한 상태에서 시인할 수 있게 된다.
흑화처리로는, 금속층의 표면을 조화(粗化; 입사광의 확산) 및/또는 흑화(黑化; 입사광의 흡수)시키면 좋은바, 금속, 합금, 금속산화물, 금속황화물의 형성이나 기타 여러 가지 수법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흑화처리로는 도금법으로서, 이 도금법에 의하면 금속층에의 밀착력이 뛰어나고, 금속층(35)의 표면 및 메쉬부(203)의 측면(단면)에 동시에, 균일하게, 또한 쉽게 흑화될 수가 있다. 도금의 재료로는, 동, 코발트, 니켈, 아연, 주석, 또는 크롬 중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화합물이 쓰이게 된다. 다른 금속 또는 화합물로는 흑화처리가 불충분하고, 또 금속층과의 밀착이 부족하다.
금속층(35)으로 동박을 이용한 경우의 바람직한 도금법으로는, 동박을 황산, 황산동 및 황산코발트 등으로 된 전기분해액 중에서 음극전해처리를 실시해서, 양 이온성입자를 부착시키는 캐소딕(cathodic)전착 도금이 쓰이게 된다. 양이온성 입자를 마련함으로써 금속층(35)이 보다 더 조화(粗化)되고, 동시에 흑색이 얻어지게 된다. 양이온성 입자로는, 동(銅)입자, 동과 다른 금속과의 합금입자가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하기는 동-코발트합금 입자로서, 동-코발트 합금입자의 평균입자직경은 0.1 ~1㎛가 바람직하다. 캐소딕전착에 의하면, 입자를 평균입자직경이 0.1 ~ 1㎛로 가지런히 적절히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또, 동박의 표면을 높은 전류밀도로 처리함으로써, 동박 표면이 캐소딕으로 되어, 환원성 수소를 발생하게 되어 활성화가 되어, 동박과 입자와의 밀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동-코발트 합금입자의 평균입자직경이 이 범위 이상에서는, 동-코발트 합금입자의 입자직경을 크게 하면 금속층의 두께가 얇아져, 기재필름과 적층시키는 공정에서 금속박이 절단되거나 해서 가공성이 악화된다. 또, 밀집입자의 외관의 치밀성이 나빠져 외관 및 광흡수의 얼룩이 눈에 띄게 된다. 이 이하에서는, 조화가 부족하기 때문에 화상의 시인성이 나빠진다. 또, 흑색 크롬, 흑색 니켈에 의한 흑화처리도, 도전성과 흑색정도가 양호하고 입자의 탈락도 없어 바람직하다.
전자파차폐층(30)의 시인성을 평가하는 광학특성으로서, 색조를 JIS-Z8729에 준거한 표색계(表色系) 「L*, a*, b*, △E*」로 나타내었다. 「a*」 및 「b*」의 절대치가 작은 쪽이 도전재(導電材)가 비시인성으로 되어 콘트라스트감이 높고, 결과적으로 화상의 시인성이 우수해지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조화 및 흑색화를 합쳐 흑화처리라 한다. 흑화처리의 바람직한 반사(Y)치는 5 이하이다. 한편, 반사(Y)치의 측정방법은, 분광광도계 UV- 3100PC(일본국 시마즈제작소제)로 입사각 5°(파장은 380nm ~ 780nm)로 측정하였다. 또, 화상의 시인성 면에서, 흑화처리의 광선반사율로는 5% 이하가 바람직하다.
(녹방지층)
금속층(35)면 및/또는 흑화처리면(37)에 녹방지층(37a)을 설치하여도 좋은바 이 녹방지층(37a)은 적어도 흑화처리면(37)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녹방지층(37a)은, 금속층(35) 및 흑화처리층(37)의 녹방지기능을 갖으면서 흑화처리층(37)이 입자를 가진 경우 그 탈락이나 변형을 방지한다. 녹방지층(37a)으로는 공지의 녹방지층이 적용될 수 있지만, 니켈, 아연 및/또는 동의 산화물, 또는 크로메이트처리층이 적합하다. 니켈, 아연 및/또는 동의 산화물의 형성은 공지의 도금법이어도 되고, 두께로는 0.001 ~ 1㎛ 정도, 바람직하기는 0.001 ~ 0.1㎛이다.
(크로메이트처리)
크로메이트처리는, 피처리재에 크로메이트처리액을 도포해서 처리한다. 도포방법으로는 롤코팅, 커튼코팅, 스퀴즈코팅, 정전무화법, 침지연법(浸漬演法)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도포한 후에는 수세(水洗)하지 않고 건조시키면 좋다. 크로메이트처리액으로는, 통상 Cr02를 3g/l를 함유한 수용액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알서브 1000(니폰페인트사제, 크로메이트처리제 상품명), PM-284(니폰파카라이징사제, 크로메이트처리액 상품명)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 크로메이트처리는 흑화처리의 효과를 한층 더 높여준다.
(평탄화수지층)
도 3은, 전자파차폐층의 메쉬부의 단면도이다. 포토리소그래피법 또는 도금법으로 적층되어, 투명기재필름(31)/금속층(35)/흑화처리층(37)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흑화처리층(37) 면에 평탄화수지층(39)을 설치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쉬부(203)가 형성되면, 프레임부(201) 및 메쉬부의 라인부(203b)는 금속박의 두께가 있게 되지만, 개구부(203a)는 금속층(35)이 제거되어 공동(空洞; 오목부)으로 되어 요철상태로 된다. 요철은 다음 공정에서 접착제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경우에는 접착제 등으로 메워지지만, 구석구석까지 메워지지 않아 기포가 발생해서 투명성이나 표시화상의 시인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가압(加壓)이나 감압 등에 의한 탈기공정(脫氣工程)을 마련해야만 한다.
또, 메쉬형성 후에 디스플레이에다 붙이는 경우에는, 요철이 노출된 채이어서 상처가 나기 쉬워 작업성이 나쁘기 때문에, 평탄화수지층(39)으로 오목부를 메우고서, 이를 메쉬부(203)의 오목부 구석구석까지 널리 퍼지게 해서 금속층(35)도 보호되도록 한다. 평탄화수지층(39)의 수지를 금속층(35)에 도포해서 피복하는바, 도 3a와 같이 평탄화수지층(39)을 개구부 내의 공간의 오목부에다 메워주면서 동시에 금속층(35) 상에도 형성되도록 하여 표면을 평탄화시켜도 좋고, 도 3b와 같이 평탄화수지층(39)의 오목부의 표면이 오목형상으로 남아 있도록 하여도 좋다. 요컨대, 평탄화수지층(39)이 개구부(203a) 및 금속층(35)을 피복하고, 메쉬부(203)의 오목부 구석구석까지 퍼지게 해서 금속층의 요철의 단차(段差)가 경감되도록 하면 된다.
평탄화수지층(39)은, 투명성이 높고, 메쉬의 금속과의 접착성이 좋으며, 다 음 공정에서 투명접착제과의 접착성이 좋은 것이면 된다. 평탄화수지층(39)의 재료로는, 투명이 있다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바, 종래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반응형 수지,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나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평탄화수지층(39)이 열경화성 수지인 경우에는, 뒤에 설명되는 착색제, 특히 디이모늄계 화합물을 함유시킨 경우, 착색제가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관능기를 가진 경화제와의 경화반응과정에서 변화되어, 기능이 저하되기 쉽다. 또, 전자선(EB) 또는 자외선(UV)경화형 수지인 경우에는, EB 또는 UV의 조사(照射)에 의해 착색제가 변퇴색하거나 기능이 저하되거나 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염화비닐 초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 초산비닐알콜 공중합체 또는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의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에스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스틸렌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니트로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에틸 셀룰로오스, 칼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 등)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변성된 셀룰로오스계 수지도 합성수지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로는,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 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착색제인 색소의 용해성이나 안정유지성 및 착색제의 안정내구성의 점에서 양호하다.
(착색제의 함유)
평탄화수지층(39) 내에는 아래의 착색제가 함유되게 된다.
(1)근적외선흡수제(NIR흡수제) 및 색조보정용 착색제(Ne원자의 발광스펙트럼흡수제), (2)근적외선흡수제(NIR흡수제), 색조보정용 착색제(Ne원자의 발광스펙트럼흡수제) 및 색조조정용 착색제, (3)근적외선흡수제(NIR흡수제), (4)색조보정용 착색제. 한편, (3)의 경우, 색조보정용 착색제(Ne원자의 발광스펙트럼 흡수제)를 별층의 제3투명접착층(41)에 넣어도 좋다. 또 (4)의 경우, 적외선 흡수제를 별층의 제3투명접착층(41)에 넣어도 좋다.
(근적외선흡수제)
근적외선흡수제는, PDP가 발하는 파장 800 ~ 11OOnm 대역의 근적외선투과율이 20% 이하, 바람직하기는 10% 이하로서, 실용에 제공될 수 있을 정도로 흡수하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근적외선 영역과 가시광선 영역과의 경계에 상승이 급격한 흡수단(吸收端)이 존재하는바, 가시광선 영역의 광투과성이 높은 예컨대, 폴리메틴계, 시아닌계 화합물, 부타로시아닌계 화합물, 나프타로시아닌계 화합물, 나프토키논계 화합물, 안토라퀴논계 화합물, 디치올계 화합물, 이모늄계 화합물, 디이모늄계 화합물 등의 근적외선흡수색소를 들 수 있다.
(색조보정용 착색제)
PDP에서는, 특유의 봉입가스(예컨대 네온 등) 고유의 발색스펙트럼 광(불요 발광)이 발생해서 표시화상의 색순도(色純度)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흡수해서 보정하는 착색제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함유한 층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색조보정용 착색재로는, 파장 570nm ~ 605nm에서 흡수 극대(吸收極大)를 가진 착색제를 층 중에 함유시켜줌으로써 실행한다. 색조보정용 착색재로는, 가시영역에다 원하는 흡수파장을 가진 일반적인 염료 또는 안료가 쓰이게 된다. 그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안토라퀴논계, 프타로시아닌계, 메틴계, 아조메틴계, 옥사딘계, 아조계, 스티릴계, 구마린계, 폴피린계, 디벤조프라논계, 디게토피로로피롤계, 로다민계, 키산텐계, 피로메텐계 등의 공지의 유기색소를 들 수 있다.
(색조조정용 착색제)
색조조정용 착색제는, 투과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향상이나 색조조정을 위해 이용되어, 화상의 색조를 바꿔 화상을 좋아하는 색조로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가시영역에서 흡수되는 성질을 가진 착색제이다. 예컨대, 모노아조 안료, 퀴나크리돈, 치오인디고볼드, 페리리렌마룬, 아니린블랙, 벵갈라(Bengala), 산화크롬, 코발트블루, 군청, 카본블랙 등의 유기 및 무기안료, 또는 인디고이드 염료, 카르보늄 염료, 키놀린 염료, 니트로소 염료, 나프토퀴논 염료, 페리논 염료 등의 염료를 들 수가 있다. 바람직한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로는, 560 ~ 620nm 파장범위에서 흡수 극대를 가진 로다민계, 포르피린계, 시아닌계, 스크아리리움계, 아조메틴계, 키산텐계, 옥소놀계 또는 아조계의 화합물, 380 ~ 440nm의 파장범위에서 흡수를 가진 시아닌계, 메로시아닌계, 옥소놀계, 아리리덴계 또는 스티릴계 등의 메틴계, 안토라퀴논계, 퀴논계, 디페닐메탄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키산텐 염료, 아 조계, 아조메틴계의 화합물, 640 ~ 780nm의 파장 범위에서 흡수를 가진 시아닌계, 스크아리리움계, 아조메틴계, 키산텐계, 옥소놀계, 아조계, 안토라퀴논계, 트리페니닐메탄계, 키산텐계, 동후타로시아닌계, 페노티아딘계 또는 페노키사딘계 등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쓰이게 된다.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착색제의 종류나 첨가량은, 착색제의 흡수파장 및 흡수계수나, 색조 및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에 요구되는 투과율 등에 따라 적의 선택하면 좋다. 예컨대, 근적외선흡수제의 첨가량은, 층 중에 0.1 ~ 15 질량% 정도를 첨가하고, 색조보정용 착색제나 색조조정용 착색제 등 각각의 착색제의 첨가량은, 층 중에 0.00001 ~ 2 질량% 정도를 첨가하여도 된다. 이들 착색제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층 중에 벤조페논계나 벤조트리아졸계 등의 자외선흡수제를 포함시켜도 좋은바, 자외선흡수제의 첨가량은, 층 중에 대해 0.1 ~ 10 질량%이다.
(평탄화수지층의 형성)
평탄화수지층(39)으로는, 수지를 메쉬부(203)의 개구부(203a)의 오목부에 도포해서 메워주는바, 오목부의 구석구석까지 침입하지 않으면 기포가 남아 투명성이 나빠진다. 이 때문에, 용제 등으로 희석해서 저점도(低粘度)의 조성물(잉크)로 만들어, 도포하고 건조시켜 층을 형성한다. 조성물(잉크)로는, 상기의 수지를 메틸에틸케톤, 초산에틸 및/또는 톨루엔 등을 용매로 해서 분산 또는 용해하고, 별도로 착색제도 마찬가지 용매에다 분산 또는 용해해서 혼합하는 것이, 균일하게 분산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포방법으로는, 스크린인쇄, 그라비아인쇄, 그라비아 옵셋인쇄, 롤코팅, 리버스 롤코팅, 스프레이코팅, 다이코팅, 그라비아코팅, 그라비아 리버스코팅 또는 콤마코팅 같은 공지의 인쇄 또는 도포법으로 형성하면 좋다. 오목부의 구석구석까지 침입하지 않으면 기포가 남아 투명성이 열화된다. 이 때문에, 용제 등으로 희석해서 저점도로 도포하고 건조하거나 공기를 탈기하면서 도포한다.
(평탄화수지층의 패턴형상 형성)
전자파차폐층(30)이 메쉬부(203)와 이 메쉬부(203)를 에워싸는 프레임부(201)를 가진 경우, 평탄화수지층(39)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패턴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패턴도포방법으로는 간헐식 다이코팅법이 바람직하다. 패턴은, 메쉬부(203)을 피복하고 있으면 좋은바, 적어도 프레임부(201)의 일부를 가리지 않고, 프레임부(201)의 일부인 금속층(35)를 접지용 어스로 할 수 있도록 노출시키면 된다. 노출부분은, 프레임부(201)의 전부이어도 좋고, 외주의 상하좌우의 1 또는 복수 변, 또는 1변의 일부이어도 좋다.
프레임부(201)는 투명기판(11)의 반대측에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박스체 등에 쉽게 접지되어 어스를 얻을 수가 있다. 또, 평탄화수지층(39)은 필요한 부분만 패턴상으로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재료비가 줄여질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접지용으로 단자부가 노출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러 가공을 해서 노출시키는 단자가공작업을 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패턴상으로 도포되고서 프레임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가공이 필요치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함유시키는 근적외선흡수제(NIR흡수제)를 평탄화수지층(39) 중에, 또 색조보정용 착색제(Ne흡수제)를 제3투명접착층(41)에 각기 별도로 혼입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투과율조정이 필요한 색조보정용 착색제만을 쉽 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제3투명접착층(41) 중에 색조보정용 착색제(Ne흡수제)에 더해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함유시킬 경우, 색조조정을 실행하는 공정을 전체 공정 중 종료에 가까운 공정으로 가져올 수가 있다. 이 경우, 그 이전의 공정은 공통규격으로 마찬가지로 제조해 놓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공정 도중에 고객의 취향에 맞춰 표시화상의 색조를 쉽게 조정을 할 수가 있게 된다.
(투명보호층의 사전가공)
다음, 투명보호층(50)을 준비한다. 투명보호층(50)은, 투명보호 기재필름(51)만으로도 좋으나, 통상 이에 더해서 표면에 반사방지층(53) 및/또는 방현층(55)을 설치하고 있다. 투명보호 기재필름(51)으로는, 투명기재필름(31)과 같은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
반사방지층(53)으로는 일반적인 반사방지막을 이용할 수가 있다. 반사방지층은 투명기재필름(51)에다 직접 또는 하드코팅층을 매개로 아래와 같은 막을 형성시킨 공지의 것이어도 좋다.
(1) MgF2 등으로 이루어져, 투명보호 기재필름 또는 하드코팅층에 비해 굴절율이 작은 저굴절률층으로 된 두께 0.1㎛ 정도의 극박막(極薄膜)을 반사방지층으로 하는 방법.
(2) 산화티탄이나 산화지르코늄 등으로 이루어져 투명보호필름 또는 하드 코 팅층에 비해 굴절률이 높은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저굴절률층을 설치해서 반사방지층으로 하는 방법. 예컨대, 반사방지층에서의 하드코팅층에 접하는 부위에 고굴절률층을 가진 금속산화물의 초미립자층을 편재(偏在)시켜도 좋다.
(3) 상기의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의 층 구성을 반복적으로 적층해서 반사방지층으로 하는 방법.
(4) 중굴절률층,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설치해서 반사방지층으로 하는 방법.
한편, 보다 효과적으로 반사방지를 실행할 수 있는 반사방지층으로는, 투명기재필름 상의 하드코팅층을 매개로 중굴절률층,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 순으로 층을 형성시킨 것이다.
하드코팅층은, JIS-K5400의 연필경도시험에서 H 이상의 경도를 가진 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열 또는 전리방사선으로 경화시킨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SiOX층으로 된 저굴절률층, 중굴절률층, 고굴절률층으로 된 반사방지층이 다음 식을 만족하고, 2.20 > 고굴절률층의 굴절률 > 중굴절률층의 굴절률 > 저굴절률층의 굴절률 > 1.40이고, 또 저굴절률층이 80 ~ 110nm, 고굴절률층이 30 ~ 110nm, 그리고 중굴절률층이 50 ~ 100nm인 각 굴절률의 두께를 갖고서, 가시광선의 파장 이하인 광학적 막두께 D(D = n·d, 단, n: 중굴절률층의 굴절률, d = 중굴절률층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방현층)
방현층(55)은, 디스플레이 화상(畵像)의 눈부심이나 어른거림을 방지하는 층이다. 방현층(55)으로는 공지된 것이어도 좋은바, 바람직하기는 실리카와 같은 무기필러(filler)가 함유된 층 또는 외부광을 난반사하는 미세한 요철표면을 가진 층이다. 무기필러를 함유한 층으로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으로 된 폴리아크릴산 에스텔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수지, 디엔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 등의 경화형 수지 중에, 통상 평균입자직경이 30㎛ 이하, 바람직하기는 2 ~ 15㎛ 정도의 실리카입자를, 수지 100 질량%에 대해 실리카 입자가 0.1 ~ 10 질량% 정도를 분산시켜, 그라비아코팅, 리버스 롤코팅, 다이코팅 등으로 건조시킨 후의 두께가 5 ~ 30㎛ 정도가 되도록 도포해서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 열이나 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킨다. 미세한 요철표면을 가진 층으로는, 무기필러층의 수지 및 도포방법으로 도포하여 요철을 엠보싱하거나, 요철을 가진 판동(版胴)에다 도포하여 UV로 경화시킨 후 박리해서 표면에 요철을 전사하거나, 요철을 가진 부형(賦型)필름에 도포해서 UV로 경화시킨 후 박리하여 표면에 요철을 전사하거나 하는 공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방오층)
반사방지층(53) 및/또는 방현층(55)면 상에 방오층(55a; 防汚層)을 설치하여도 좋다. 방오층(55a)에는 일반적으로, 발수성, 발수유성의 코팅으로 된 실록산계, 불소화 알킬시릴화합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발수성 도료로 쓰이는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수지를 적절히 사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반사방지층의 저굴절률층을 Si02로 형성한 경우에는, 플루오르 실리케이트계 발수성 도료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의 제조)
이와 같이 해서, 전자파차폐층(30), 투명보호층(50), 투명기판(11), 제1투명접착층(21) 및 제3투명접착층(41)을 준비한 다음, 투명기판(11) 상에 제1투명접착층(21)을 이용해서 전자파차폐층(30)을 적층하고, 이어 전자파차폐층(30) 면에 제3투명접착층(41)을 이용해서 투명보호층(50)을 적층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103)을 얻게 된다.
이 경우, 투명기판(11)의 한쪽 면에다 전자파차폐층(30)의 투명기재필름(31) 면을 제1투명접착층(21)을 이용해서 적층한다. (1)박리지에 도포된 제1투명접착층(21)의 점착층을 투명기판(11) 또는 전자파차폐층(30) 중 어느 한쪽에다 첩착하여 박리지를 제거하고, 다른 쪽을 첩착하여 압착하는 방법, (2)투명기판(11) 또는 전자파차폐층(30) 중 어느 한쪽 면에 제1투명접착층(21)용 접착제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조성물 잉크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다른 쪽을 겹치게 해서 롤 또는 평판 등으로 압착하고, 필요에 따라 다시 열이나 전리방사선으로 경화시키는 방법 등의 공지의 적층방법을 이용해서 적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적층한 전자파차폐층(30)의 금속층(35) 면과 투명보호층(50)의 투명기재필름(51) 면을 제3투명접착층(41)으로 적층한다. 적층법은, 상기 제1투명접착층(21)으로 투명기판(11)과 전자파차폐층(30)을 적층하는 방법과 같은 적층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착색제의 함유)
제3투명접착층(41)의 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NIR흡수제), 색조보정용 착색제(Ne흡수제 등), 색조조정용 착색제의 적어도 1가지 착색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제3투명접착층(41)용 접착제와 착색제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조성물 잉크를 전자파차폐층(30) 또는 투명보호층(50) 중 한쪽에다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다른 쪽을 겹치게 해서 롤 또는 평판 등으로 압착하면 된다. 상기 착색제는 사전에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용액상(溶液狀)으로 하고, 마찬가지로 접착제도 사전에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용액상으로 한 후에 혼합 또는 재분산시켜 조성물 잉크로 하게 되면, 착색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혼합 또는 분산의 방법으로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고, 통상적인 혼련·분산기(混練·分散機)인 예컨대, 디스퍼, 믹서, 텀블러, 블렌더, 호모디나이저, 볼밀(ball mill)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투명접착층(41) 중에 근적외선흡수제(NIR흡수제), 색조보정용 착색제(Ne흡수제) 및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함유시킨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3투명접착층(41) 중에 색조보정용 착색제(Ne흡수제) 및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이와 같은 함유공정(含有工程)은 전체 공정 중의 종료에 가까운 공정으로 되는바, 지금까지의 공정은 공통규격으로 마찬가지로 제조해놓고서, 이 함유공정에서 고객의 취향에 맞춰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선택해서 함유시키기 때문에, 표시화상의 색조조정을 할 수가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조립)
계속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103)을 PDP(101)의 전면에 조립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00)를 얻는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103)의 투명기판(11) 측을,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 101)와 상대하도록 설치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00)를 얻는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103)과 PDP(101) 사이에는 공기층이 있어도 좋고, 또는 접착제 등으로 직접 접착시켜도 좋다.
이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103)의 관찰측 면에는 금속층(35)의 프레임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00)의 박스체에 공지의 도전성 테이프 등으로 쉽게 접지를 얻을 수가 있다. 종래에는 금속층이 노출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금속층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00)를, 투명보호층(50) 측에서 관상(觀賞)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에서 설명한 많은 기능과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실시예 l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파차폐층의 준비)
먼저, 두께가 100㎛인 2축연신 PET필름 A4300(일본국 토요방적사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상품명)으로 된 투명기재필름과 두께 10㎛인 전해동박으로 된 금속층을, 2액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제2투명접착층으로 라미네이트 한 후에, 50℃에서 3일간 에이징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접착제로는 주제(主劑)로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폴리올을, 또 경화제로서 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고, 도장량은 건조 후의 두께로 4㎛로 하였다. 이 적층체의 동박을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동메쉬부를 형성하였다. 컬러TV 쉐도우마스크용 제조라인을 유용(流用)해서, 연속한 대상(권취)으로 마스킹에서부터 에칭까지를 실행하였다. 먼저, 적층체의 동층 면(銅層面) 전체에 카제인 레지스트를 흘려보내기 법으로 도포하였다. 다음 스테이션으로 간헐적으로 반송하여, 개구부가 정방형으로 라인폭 22㎛m, 라인간격(피치) 300㎛, 바이어스각도 49°의 메쉬부와, 이 메쉬부의 외주를 에워싸는 폭이 15mm인 프레임부를 가진 네가티브 원판을 이용해서 밀착노광(密着露光)시켰다. 이와 같이 해서 스테이션을 반송하면서 수현상을 하고, 경막처리를 하고, 다시 가열해서 베이킹하였다. 다시 다음 스테이션으로 반송해서, 에칭액으로 염화제2철 수용액을 이용해서 스프레이 법으로 분사하고, 에칭을 해서 개구부를 형성시켰다. 이어 차례로 스테이션을 반송하면서 수세하고, 레지스트를 박리하고, 세정하고, 다시 60℃에서 건조시켜 동메쉬를 형성하였다, 다음, 동 메쉬부를 흑화처리하였다. 흑화처리 도금욕으로 흑색 니켈도금욕을 이용해서 전해도금을 실행하여 메쉬의 라인부 표면 및 측면부에다 흑화처리층을 형성시켰다.
계속해서, 평탄화수지층(39)을 형성시켰다. 평탄화수지층의 조성액으로는, 아크릴계 수지에다 아래의 착색제를 미리 메틸에틸케톤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키고 나서 혼합하고, 다시 잔컵 No3(일본국 (주)이합사제)로 40초의 점도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착색제는, 근적외선흡수제(NIR흡수제)로는, 디이모늄계 색소 CIR1 085(일본카릿트사제, 상품명)와 프타로시아닌계 색소 IR12(니폰촉매사제, 상품명) 및 부타로시아닌계 색소 IR14(니폰촉매사제, 상품명)를 이용하고, 색조보정용 착색제(Ne흡수제)로는, TAP-2(일본국 야마다화학사제, 상품명)를 이용하였다. 상기의 평탄화수지층의 조성액을 간헐다이코팅법으로 메쉬부분에만 패턴상으로 도포하고 건조시켜 전자파차폐층을 얻었다.
(투명보호층의 준비)
투명보호층으로서, 두께가 80㎛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에 하드코팅층, 저굴절률층, 방오층을 적층한 반사방지필름 TAC-AR1(다이니폰인쇄사제, 상품명)을 이용하였다. 투명기판으로 두께 5mm의 아크릴수지제로 된 것을 이용하고, 제1투면접착층으로 점착제 HJ-9150W(일본국 닛도전공사제, 상품명)를 이용하였다. 투명기판상에 제1투명접착층을 매개로 전자파차폐층을 투명기재필름 측이 투명기판 측을 향하도록 해서 적층시켰다. 그리고, 제3투명접착층으로 점착제 HJ-9150W(일본국 닛도전공사제, 상품명)를 이용하고, 이 제2투명접착층 상에 반사방지필름 TAC-ARl(다이니폰인사츠사제, 상품명)을 TAC필름 측이 전자파차폐층 측을 향하도록 해서 적층시켜, 실시예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얻었다.
실시예 2
평탄화수지층의 조성액에, 다시 색조조정용 착색재로서 PS바이올렛RC(일본국 미츠이토아츠염료사제, 상품명)를 도포량(건조 후) 0.l09g/m2를 가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이용한 4종의 착색제를 제2투명접착층 쪽에 함유시키고, 평탄화수지층에는 착색제를 함유시키지 않았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얻었다.
실시예 4
제2투명접착층에, 다시 색조조정용 착색재로서 PS바이올렛RC(일본국 미츠이토아츠염료사제, 상품명)를 도포량(건조 후) 0.l09g/m2 만큼 가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얻었다.
실시예 5
평탄화수지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NIR흡수제)를 함유시키고, 제2투명접착층에는 색조보정용 착색제(Ne흡수제)를 함유시켰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얻었다.
실시예 6
투명기판으로 두께가 3 mm의 유리판을 이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얻었다.
실시예 7
제2투명접착층에 다시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가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용 전면판을 얻었다.
실시예 8
투명기판으로서 두께가 3mm인 강화유리판를 이용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PDP로 이용하는 WOOO(일본국 히타치제작소제, 상품명)의 전면에 5mm의 공기층을 설치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7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점착제 HJ-9150W(일본국 닛토전공사제, 상품명)로, PDP로 쓰이는 WOOO(일본국 히타치제작소제, 상품명)의 전면에 접착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얻었다.
(평가)
평가는, 화상의 색조·착색제의 퇴색성, 화상의 시인성으로 펑가하였다. 화상의 색조는, TV테스트 패턴을 표시해서 눈으로 색조를 관찰해서, 이상 없음을 ○으로 나타내었다. 착색제의 퇴색성은, 내습열시험(60℃ 95%RH 환경하에서, 1000 시간 유지) 후의 색의 변화를 시험 전과 비교해서 눈으로 평가해서, 현저한 변화가 없는 것을 ○으로, 거의 변화가 보이지 않는 것을 ◎으로 나타내었다. 화상의 시인성은, 전체 면이 흰색 및 흑색화상을 표시하도록 해서 눈으로 색조를 관찰하여 눈부심이 없거나, 외부광이 현저히 비쳐들지 않는 것을 ○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가 표 1 ~ 2에 나타나 있다.
부호 내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11 기판 아크릴 아크릴 아크릴 아크릴
21 접착제 점착제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31 기재필름 PET 100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33 접착제 C-2의 유무 있음 있음 있음 있음
35 메쉬법 포토리소
그래피
포토리소
그래피
포토리소
그래피
포토리소
그래피


39
수지 아크릴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NIR 흡수제 있음 있음 - -
Ne 광흡수제 있음 있음 - -
색조조정용 착색제 - 있음 - -


41
접착제 점착제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NIR 흡수제 - - 있음 있음
Ne 광흡수제 - - 있음 있음
색조조정용 착색제 - - - 있음
50 보호층 있음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평가 착색제의
퇴색성
부호 내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11 기판 아크릴 유리 아크릴 유리
21 접착제 점착제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31 기재필름 PET 100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33 접착제 C-2의 유무 있음 있음 있음 있음
35 메쉬법 포토리소
그래피
도금 포토리소
그래피
도금


39
수지 아크릴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NIR 흡수제 있음 있음 있음 있음
Ne 광흡수제 - - - -
색조조정용 착색제 - - - -


41
접착제 점착제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NIR 흡수제 - - - -
Ne 광흡수제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색조조정용 착색제 - - 있음 있음
50 보호층 있음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왼쪽과 동일
평가 착색제의
퇴색성
실시예 3 및 4에서는 착색제의 퇴색성은 모두 ○이었다. 실시예 1, 2, 5, 6, 7 및 8에서는, 착색제의 퇴색성은 ◎이었다. 실시예 9, 10에서는 화상의 색조 및 화상의 시인성은 표에 나타나 있지 않으나 모두 ○이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PDP)의 전면에 배치되어,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및 근적외선을 차폐하고, 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상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전자파의 차폐, 근적외선의 차폐, 봉입가스의 발광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 파장의 불필요광의 차폐 및 좋아하는 색조를 생기게 하기 위해 색질을 적정화하고, 또 적당한 투명성(가시광선 투과율)이나 휘도에 더해,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고 방굉성을 부여함으로써 표시화상을 시인하기 쉽도록 하고, 나아가 자재를 줄이고, 짧은 공정으로 고정밀도의 것을 안정되게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PDP와 쉽게 조립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프레이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8)

  1. 투명기판과,
    상기 투명기판 상에 설치된 제1투명접착층,
    상기 제1투명접착층 상에 설치된 전자파차폐층,
    상기 전자파차폐층 상에 설치된 제3투명접착층 및,
    상기 제3투명접착층 상에 설치된 투명보호층을 갖추되,
    상기 전자파차폐층이, 투명기재필름과, 이 투명기재필름상에 설치되고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한 메쉬부를 가진 금속층 및, 투명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층의 개구부 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충전하는 평탄화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화수지층 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 또는 색조보정용 착색제가 함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수지층 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 및 색조보정용 착색제 양쪽 모두가 함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수지층 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디스플레이 화상을 원하는 색조로 조정하기 위한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더 함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수지층이 근적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제3투명접착층이 색조보정용 착색제가 함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투명접착층이,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더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상기 메쉬부의 외주부에 프레임부를 더 갖고, 이 프레임부의 일부가 평탄화수지층, 제3투명접착층 또는 투명보호층의 어느 것에도 덮이지 않고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폐층의 투명기재필름과 금속층 사이에 제2투명접착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보호층이, 투명보호 기재필름과, 이 투명보호 기재필름 상에 설치된 반사방지층 또는 방현층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마에다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투명보호층 측의 면에 흑화처리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에 상대해서 설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를 갖추어 이루어지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이,
    투명기판과,
    상기 투명기판 상에 설치된 제1투명접착층,
    상기 제1투명접착층 상에 설치된 전자파차폐층,
    상기 전자파차폐층 상에 설치된 제3투명접착층 및,
    상기 제3투명접착층 상에 설치된 투명보호층을 갖추되,
    상기 전자파차폐층이, 투명기재필름과, 이 투명기재필름 상에 설치되고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한 메쉬부를 가진 금속층 및, 투명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층의 개구부 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충전하는 평탄화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화수지층 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 또는 색조보정용 착색제가 함유되도록 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은 투명기재 측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 측을 향해 투명보호층 측에서 관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11. 제10항에 있어서, 평탄화수지층 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근적외선흡수제 및 색조보정용 착색제가 함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수지층 또는 제3투명접착층 중에, 디스플레이 화상을 원하는 색조로 조정하기 위한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더 함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수지층이 근적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3투명접착층이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투명접착층이,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더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메쉬부의 외주부에 프레임부를 더 갖추고, 이 프레임부의 일부가 평탄화 수지층, 제3투명접착층 또는 투명보호층의 어느 것에도 덮이지 않고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폐층의 투명기재필름과 금속층 사이에 제2투명접착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보호층이 투명보호 기재필름과, 이 투명보호 기재필름 상에 설치된 반사방지층 또는 방현층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투명보호층 측의 면에 흑화처리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KR1020067000715A 2003-07-30 2004-07-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KR101096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2736 2003-07-30
JPJP-P-2003-00282736 2003-07-30
PCT/JP2004/010663 WO2005013664A1 (ja) 2003-07-30 2004-07-27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803A KR20060052803A (ko) 2006-05-19
KR101096966B1 true KR101096966B1 (ko) 2011-12-20

Family

ID=3411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715A KR101096966B1 (ko) 2003-07-30 2004-07-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54092A1 (ko)
JP (1) JPWO2005013664A1 (ko)
KR (1) KR101096966B1 (ko)
DE (1) DE112004001388T5 (ko)
TW (1) TWI240233B (ko)
WO (1) WO20050136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340A1 (ko) * 2014-01-08 2015-07-16 주식회사 두산 연성 인쇄회로기판용 전자파 차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897A (ja) * 2004-02-06 2005-08-18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US20060121392A1 (en) * 2004-11-24 2006-06-08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filter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2006313303A (ja) * 2004-11-24 2006-11-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KR100774958B1 (ko) * 2004-12-29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8169B1 (ko) 2005-04-28 2013-04-2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착색 경화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그 제조방법
EP1884909A4 (en) * 2005-05-16 2011-01-12 Bridgestone Corp SCREEN AND FILM Y AFFERANT
JP4697950B2 (ja) * 2005-05-25 2011-06-08 日本化薬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タ
JP2007096217A (ja) * 2005-09-30 2007-04-12 Toppan Printing Co Ltd 電磁波遮蔽板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EP1960194B1 (en) 2005-12-16 2013-08-07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conductive pattern and conductive pattern prepared by the method
JP5221027B2 (ja) 2006-02-17 2013-06-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電磁波遮蔽フィルムと光学機能性フィルムとの貼合用粘着剤、及び前記粘着剤を含むディスプレイパネルフィルター要素
US7737370B2 (en) * 2006-07-31 2010-06-15 Hitachi Cable, Ltd.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ter
US8441467B2 (en) * 2006-08-03 2013-05-14 Perceptive Pixel Inc. Multi-touch sensing display through 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KR100820969B1 (ko) 2006-08-07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7160B1 (ko) * 2006-10-25 200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7946B1 (ko) * 2006-10-25 2011-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화 기능 및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폐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JP2008139839A (ja) * 2006-11-02 2008-06-19 Bridgestone Corp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CN101669175A (zh) * 2007-05-10 2010-03-10 Lg化学株式会社 具有黑化导电图形的emi屏蔽玻璃及其制备方法
EP2167599B1 (en) * 2007-06-18 2015-07-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lored acrylic adhesive and marking film
US20090273581A1 (en) * 2008-04-30 2009-11-05 Samsung Corning Precision Glass Co., Ltd. Display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O2010007900A1 (ja) * 2008-07-17 2010-01-21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KR20110000179A (ko) * 2009-06-26 2011-01-03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필터
DE102009050568A1 (de) * 2009-10-23 2011-04-28 Schott Ag Einrichtung mit verminderten Reibeigenschaften
TWI464843B (zh) * 2011-03-02 2014-12-11 Unimicron Technology Corp 封裝基板
US9302452B2 (en) 2012-03-02 2016-04-05 Ppg Industries Ohio, Inc. Transparent laminates comprising inkjet printed conductive lin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9164630B2 (en) * 2012-09-26 2015-10-20 Eastman Kodak Company Display apparatus with pixel-aligned ground mesh
CN103857177A (zh) * 2012-11-30 2014-06-11 富葵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透明电路板、透明电路板模组及其制作方法
KR102196218B1 (ko) * 2013-12-18 2020-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3469B1 (ko) * 2014-02-12 2014-10-22 나우주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US9986669B2 (en) * 2015-11-25 2018-05-29 Ppg Industries Ohio, Inc. Transparency including conductive mesh including a closed shape having at least one curved side
US11745702B2 (en) 2018-12-11 2023-09-05 Ppg Industries Ohio, Inc. Coating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ve lines directly on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
KR20220027605A (ko) * 2020-08-2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341A1 (en) 2001-05-24 2003-01-09 Masayoshi Shimamura Shielding bas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215A (ja) * 1997-12-29 1999-07-21 Kyodo Printing Co Ltd 電磁波シールド付き光学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59074A (ja) * 1998-08-10 2000-02-25 Sumitomo Bakelite Co Ltd 電磁波遮蔽透明体
JP2000265087A (ja) * 1999-03-11 2000-09-26 Mikuni Color Ltd 金属パターン形成方法
EP1157990A3 (en) * 2000-05-22 2003-12-10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Squarylium dye and filter for display device
JP3710721B2 (ja) * 2001-04-25 2005-10-26 三井化学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2353684A (ja) * 2001-05-24 2002-12-06 Kyodo Printing Co Ltd シールド材
JP2003005663A (ja) * 2001-06-26 2003-01-08 Asahi Glass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機能性フィルムおよび表示パネル
KR100521911B1 (ko) * 2001-07-09 2005-10-1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전자파 차폐용 부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341A1 (en) 2001-05-24 2003-01-09 Masayoshi Shimamura Shielding bas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340A1 (ko) * 2014-01-08 2015-07-16 주식회사 두산 연성 인쇄회로기판용 전자파 차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13664A1 (ja) 2005-02-10
US20060154092A1 (en) 2006-07-13
JPWO2005013664A1 (ja) 2007-09-27
TWI240233B (en) 2005-09-21
KR20060052803A (ko) 2006-05-19
DE112004001388T5 (de) 2006-06-29
TW200516524A (en) 200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9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KR100649660B1 (ko) 전자파 차폐용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JPWO2005022971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
KR101121880B1 (ko) 전자파차폐용 시트,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전자파차폐용시트의 제조방법
KR1011291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US7037594B2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7371450B2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sheet
KR100934292B1 (ko) 전자파차폐용 시트
JPWO2005072039A1 (ja) 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783721B2 (ja) 金属黒化処理方法、電磁波遮蔽フィルタ及び複合フィルタ、並びにディスプレイ
KR101021735B1 (ko) 전자파 차폐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WO2006006527A1 (ja)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タ
JP2007048789A (ja) ディスプレイ用複合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4241761A (ja) 電磁波遮蔽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17044A (ko) 디스플레이용 복합 필터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