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113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113B1
KR101129113B1 KR1020067004000A KR20067004000A KR101129113B1 KR 101129113 B1 KR101129113 B1 KR 101129113B1 KR 1020067004000 A KR1020067004000 A KR 1020067004000A KR 20067004000 A KR20067004000 A KR 20067004000A KR 101129113 B1 KR101129113 B1 KR 101129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plasma display
colorant
anti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555A (ko
Inventor
노부오 나이토
후미히로 아라카와
다다히로 마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투명기재필름(31)의 한쪽 면에 반사방지층(51)이 설치되고, 투명기재필름(31)의 다른쪽 면에 PDP의 봉입가스의 발광 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광을 흡수하는 색조보정용 착색제 및/또는 근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특정파장광 차단층(39)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필요에 따라 특정파장광 차단층(39)에 점착층(41)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ANTIREFLECTION FILM FOR PLASMA DISPLAY}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약칭하여 PDP라고도 함)의 전면에 배치해서,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근적외선을 차폐함과 더불어 화면에서의 외광(外光)의 반사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화상표시장치라고도 함)에 표시된 화상을 양호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배합을 나타내는 「비(比)」, 「부(部)」, 「%」 등은 특별히 미리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기준이고, 「/」 표시는 일체적으로 적층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PDP」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소자」, 「NIR」은「근적외선」,「EMI」는 「전자파」, 「PET」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말한다. 더욱이, 「반사방지」는 「다층막 간섭에 의해 반사광을 감쇠시키는 방식의 반사방지 및/또는 확산반사에 의해 정반사광 성분을 저감시키는 방식의 방현(防眩)」기능을 총칭해서 사용한다.
(기술의 배경)
PDP는 데이터 전극과 형광층을 가진 유리기판과 투명전극을 가진 유리기판을 조합시키고, 내부에 크세논, 네온 등의 가스를 봉입한 것으로, 종래의 음극선관(CRT)과 비교하여 대화면(大畵面)으로 할 수가 있어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PDP의 화면에는 일광(日光: 햇빛) 등의 외광의 반사를 줄이기 위한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 PDP가 작동하면 전자파, 근적외선 및 봉입가스의 발광 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의 불요광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들 전자파, 근적외선, 특정파장의 불요광을 차폐 또는 줄이기 위해, PDP의 전면과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근적외선 흡수필름과 불요광 흡수필름 및 반사방지필름을 적층하여 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복합 필터)을 설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의 일부를 구성하고, 적당한 투명성(가시광선 투과율)이나 휘도에 더하여, 외광의 반사방지성과 방현성을 부여해서 표시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 PDP로부터 발생하는 파장 900~1,100nm의 근적외선도 다른 VTR 등의 원격 조사기기를 오동작시키기 때문에 차폐할 필요가 있다. 또, PDP에 특유한 봉입가스 고유의 발색 스펙트럼을 보정하거나 좋아하는 색조로 조정하거나 하여 색질을 적정화해서 표시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필요도 있다. 더욱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은, 필요에 따라 다른 층, 예컨대 전자파(EMI) 차폐필름이나, 외력에서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진 기판 등의 층과 조합시켜 쉽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前面板)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
종래, 디스플레이용 광학필터로서는, 근적외선 차폐성(遮蔽性) 색소를 이용한 부재로 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2 참조). 그렇지만, 이들 특허문헌에서는 색소를 기재(基材)에다 함유시키고 있기 때문에, 색소의 함유를 위한 공정이 증가하고, 이 공정을 위한 설비나 재료를 필요로 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디스플레이용 광학필터로서는, 전자파 차폐층이나 반사방지층을 접착(점착)층 등으로 적층하여, 구성하는 층 중에 근적외선 흡수제나 특정파장광을 흡수하는 색소를 함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3~5 참조). 그렇지만, 이들 특허문헌에서는 단지 색소를 함유시킨다는 기재만 되어 있을 뿐이지, 색소에 따라 함유시키는 층을 한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재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또, 반사방지필름, 근적외선 흡수필름 및 전자파 차폐필름을 이들 사이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적층하여 복합필터를 구성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6).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0-13744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평 10-186127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개 2003-15533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국 특개 2003-15536호 공보
특허문헌 5 : 일본국 특개 2002-311843호 공보
특허문헌 6 : 일본국 특개평 11-126024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1매의 필름을 첩착함으로써 PDP로부터 복사(emit)되는 불요광의 차단과 반사방지성의 부여를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즉, 근적외선 및/또는 봉입가스의 발광 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의 불요광을 차폐하고, 외광의 반사방지를 부여함으로써, 양호한 천연색을 재현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표시화상의 시인성이 향상되고, 근적외선에 의한 원격 조사기기의 오동작이 없으며, 또한 그 시인성이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고 내구성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최소한의 적층공정에 의해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에 있어서, 투명기재필름과, 투명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설치된 반사방지층과, 투명기재필름의 다른쪽 면에 설치된 불요광 차단층을 갖추어 구성되되, 상기 불요광 차단층이 투명수지와 이 투명수지 중에 함유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봉입가스의 발광 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광을 흡수하는 색조보정용 착색제 및/또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수제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투명수지 중에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불요광 차단층 상에 점착제층을 더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에 있어서, 투명기재필름과, 투명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설치된 반사방지층과, 투명기재필름의 다른쪽 면에 설치된 불요광 차단층을 갖추어 구성되되, 상기 불요광 차단층이 투명수지와 이 투명수지 중에 함유되어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수제를 가진 근적외선 흡수층과, 근적외선 흡수층의 투명기재필름과 반대측의 면에 적층되어 점착제와 이 점착제 중에 함유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봉입가스의 발광 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광을 흡수하는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가진 특정파장 흡수층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점착제 중에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에 있어서, 투명기재필름과, 투명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설치된 반사방지층과, 투명기재필름의 다른쪽 면에 설치된 불요광 차단층을 갖추어 구성되되, 상기 불요광 차단층이 근적외선을 반사하는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반사층과, 근적외선 반사층의 투명기재필름과 반대측 면에 적층되어 점착제와 이 점착제 중에 함유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봉입가스의 발광 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광을 흡수하는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가진 특정파장광 흡수층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점착제 중에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에 있어서, 투명기재필름과, 투명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설치된 반사방지층과, 투명기재필름의 다른쪽 면에 설치된 불요광 차단층을 갖추어 구성되되, 상기 불요광 차단층이 점착제와 이 점착제 중에 함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의 봉입가스의 발광 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광을 흡수하는 색조보정용 착색제 및/또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수제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점착제 중에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에 있어서, 투명기재필름과, 투명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설치된 반사방지층과, 투명기재필름의 다른쪽 면에 설치된 불요광 차단층을 갖추어 구성되되, 상기 불요광 차단층이 투명수지와 이 투명수지 중에 함유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봉입가스의 발광 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광을 흡수하는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가진 특정파장광 흡수층과, 특정파장 흡수층의 투명기재필름과 반대측에 적층되어 점착제와 이 점착제 중에 함유되어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수제를 가진 근적외선 흡수층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투명수지 중에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은, 불요광 차단층보다도 투명기재필름 측에 있는 층의 어느 1층 이상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당한 투명성, 휘도 및 반사방지성이 부여되고, 또한 파장 800~l,l00nm의 근적외선을 차폐할 수 있으며, 더욱이 PDP에 특유한 봉입가스 고유의 발색 스펙트럼을 보정해서 표시화상을 좋아하는 색조로 조정함으로써 색질(色質)이 적정화되어, 표시화상의 품질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파 차폐필름이나 기판 등의 층과 조합시켜 쉽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으로 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적외선의 흡수 착색제와, 봉입가스의 발광 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광의 흡수 착색제가 별도의 층에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투과율 조정이 필요한 색조보정용 착색제만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시인성이 장기간에 걸쳐 안정한 표시화상이 얻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적외선 및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방지층, 근적외선 흡수층 및 특정파장광 흡수층을 미리 일체화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층 구성이 적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제조할 때의 공정수도 삭감할 수 있어, 저비용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불요광 차단층보다도 투명기재필름 측(바깥쪽)에 위치하는 어느 1층 이상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기 때문에, 일광 등 외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에 의해 불요광 차단층 중의 착색제를 열화시켜, 근적외선 흡수능력이 저하되거나 또는 황변(黃變) 등의 변색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광성(耐光性)이 양호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의 1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의 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기본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30)은, 반사방지층(51)/투명기재필름(31)/불요광 차단층(39)으로 이루어진다. 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30)은 투명기재필름(31)과, 투명기재필름(31)의 한쪽 면에 설치된 반사방지층(61) 및, 투명기재필름(31)의 다른쪽 면에 설치된 불요광 차단층(39)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 불요광 차단층(39)에 점착제층(41)을 적층시켜 설치해도 좋다. 불요광 차단층(39)의 구체적 형태로서는, 도 1에서는 불요광 차단층(39) 중에 근적외선 흡수제 및/또는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함유시킨다.
또,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30)은 반사방지층(61)/투명기재필름(31)/근적외선 흡수층(39A)/특정파장광 흡수층(39B)을 갖추되,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39A)에 근적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고, 특정파장광 흡수층(39B)에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혹은, 근적외선 흡수층(39A) 대신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근적외선 반사층(39D)을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근적외선 흡수층(39A)과 특정파장광 흡수층(39B), 또는 근적외선 반사층(39D)과 특정파장광흡수층(39B)에 의해 불요광 차단층(39)이 구성된다.
더욱이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30)은 반사방지층(51)/투명기재필름(31)/불요광 차단층(39C)을 갖추되, 상기 불요광 차단층(39C)에 근적외선 흡수제 및/또는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상기의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함유하는 불요광 차단층(39), 특정파장광 흡수층(39B) 및 불요광 차단층(39C) 중에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더 함유시켜도 좋다.
더욱이 또, 도 1~도 3에 있어서, 투명기재필름(31)과 반사방지층(51) 사이에는 하드코트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하드코트층을 반사방지층(51)의 1층으로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3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자파 차폐필름 및/또는 보호판 등의 다른 부재와 병용해서 PDP의 관찰측에 설치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으로 되어 요구되는 기능을 발현한다.
(착색제의 정의)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착색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혼동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 중에서는 PDP에서 발생하는 파장 800~1,100nm의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착색제를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라고도 함)」로 하고, PDP에 특유한 봉입가스(네온 가스 등) 고유의 발색 스펙트럼, 즉 특정파장의 불요광을 보정하는 착색제를 「색조보정용 착색제(Ne광 흡수제라고도 함)」로 하며, 표시화상을 좋아하는 색조로 조정하는 착색제를 「색조조정용 착색제」라고 정의한다. 또, 이들을 총칭해서 단지 「착색제」라고도 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의 제조 및 재료)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은, 먼저 (1) 투명기재필름(31)을 준비하고, 그 한쪽 면(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가장 바깥층)에 반사방지기능을 부여하든지, 또는 반사방지기능이 부가된 투명기재필름을 준비한다. (2) 상기 투명기재필름(31)의 반사방지층과 반대쪽 면에 불요광 차단층(39)을 형성한다. (3) (2)의 상기 불요광 차단층(39) 면으로 점착층(41)을 형성하여,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 얻어진다.
상기 불요광 차단층(39), 근적외선 흡수층(39A), 상기 특정파장광 흡수층(39B) 또는 불요광 차단층(39D)에, 근적외선 흡수제, 색조보정용 착색제 및/또는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함유된다.
(1) 도 1에 있어서, 불요광 차단층(39)은 투명 합성수지(도료의 결합제(바인더)에 상당)를 갖고, 이 투명 합성수지 중에는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 및/또는 색조보정용 착색제(대표적으로는 Ne원자의 발광 스펙트럼 흡수제), 더욱이 필요에 따라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함유되어 있다.
(2) 도 2에 있어서, 근적외선 흡수층(39A)은 투명 합성수지를 갖고, 이 투명 합성수지 중에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가 함유되어 있다. 다른 층의 특정파장광 흡수층(39B)은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이 점착제는 색조보정용 착색제(대표적으로는 Ne원자의 발광 스펙트럼 흡수제), 더욱이 필요에 따라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함유한다.
(3) 도 3에 있어서, 불요광 차단층(39C)은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이 점착제는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 및/또는 색조보정용 착색제(대표적으로는 Ne원자의 발광 스펙트럼 흡수제), 더욱이 필요에 따라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함유한다.
(4) 도 2에 있어서, 근적외선 흡수층(39A) 대신 근적외선을 반사하는 금속박막층으로 이루어진 근적외선 반사층(39D)을 형성해도 좋다.
또, 도 2에 있어서, 투명 합성수지 중에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함유시켜 특정파장광 흡수층(39B)을 설치하고, 점착제 중에 근적외선 흡수제를 함유시켜 근적외선 흡수층(39A)을 설치함과 더불어, 양 층(39A 및 39B)의 적층순서를 도 2와는 역으로 해서, 투명기재필름(31) 측에 특정파장광 흡수층(39B)을 설치하고, 근적외선 흡수층(39A)을 바깥쪽에 갖도록 해도 좋다
(투명기재필름)
다음에는 제조방법 및 사용재료에 대해 순차로 설명한다. 투명기재필름(31)의 재료로서는, 사용조건이나 제조에 견딜 수 있는 투명성, 절연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이 있으면, 여러 가지의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10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아라미드 등의 엔지니어링 수지(engineering resin: 합성수지), 폴리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이 투명기재필름(31)은, 이들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 수지, 또는 혼합체(합금을 포함함), 또는 복수 층으로 된 적층체이어도 좋다. 이 투명기재는, 연신(延伸)필름이어도, 미연신필름이어도 좋지만,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1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한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 투명기재(31)의 두께는 통 상 12~1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50~700㎛m, 100~500㎛이 가장 적합하다. 이 이하의 두께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부족해서 휘어짐이나 느슨함 등이 발생하고, 이 이상에서는 과잉의 성능으로 되어 비용적으로도 낭비이다. 또, 투명성은 높을수록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 투과율로 80% 이상의 투명성을 갖는 것이 좋다. 투명기재필름(31)은, 이들 수지의 적어도 1층으로 된 필름, 시트, 보드형상으로서 사용하지만, 이들의 형상을 본 명세서에서는 필름이라 총칭한다. 통상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의 필름은 투명성, 내열성이 좋고, 저비용이어서 알맞게 사용되고 있는 바, 이 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적합하다.
투명기재필름(31)은, 도포에 앞서 도포면에 코로나 방전처리, 플라즈마처리, 오존처리, 프레임처리, 프라이머(앵커 코트, 접착촉진제, 이접착제(易接着劑)라고도 불린다) 도포처리, 예열처리, 제진애(除塵埃: 진애제거)처리, 증착처리, 알카리처리 등의 이접착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 수지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좋다.
대전방지제는, 투명기재필름(31) 표면에 공지의 스프레이나 롤코팅법으로 도포해도 좋고, 다른 바인더에 혼입시키고 그 도포액을 공지의 스프레이나 롤코팅법으로 도포해도 좋다. 또, 대전방지제는, 반사방지층(51), 불요광 차단층(39) 등의 다른 층의 조성물에 혼입시켜 이 다른 층의 형성과 동시에 설치해도 좋다.
(반사방지기능)
상기 투명기재필름(31) 표면에 반사방지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적어도 반사방지층(51)이 설치되어 있다. 또, 반사방지필름 TAC-AR1(다이니폰 인사츠사 제조, 상품명) 등의 시판품의 반사방지기능이 부가된 투명필름을 이용해도 좋다. 반사방지기능은 태양, 형광등 등으로부터의 외광이 PDP의 화면에 입사해서 반사됨으로써 생기는 화면의 눈부심, 주위 경치의 비침을 줄이는 기능을 말한다. 또, 표면의 반사율을 억제함으로써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좋아지고, 그 결과 화상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반사방지층」이란, 다층막 간섭방식의 반사방지층(이른바 협의의 반사방지층) 및 확산반사방식의 이른바 방현층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다층막 간섭방식의 반사방지층)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층막 간섭방식의 반사방지층」이란, 투명기재필름(31) 표면에 투명한 유전체층을 1층 이상 적층한 구성의 것을 의미한다. 이 유전체층 중 가장 바깥층의 굴절률을 그 바로 아래의 층(투명기재필름, 바로 아래의 유전체층, 또는 뒤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드코트층 상에 반사방지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하드코트층)보다도 저굴절률로 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이 유전체층의 광학적 두께(굴절률×기하학적 두께)를 반사방지해야 할 광의 파장의 1/4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층 계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간섭에 의해 감쇠시킬 수가 있다. 반사방지층의 대표적인 층구성으로는, (1) 투명기재필름/[저굴절률층], (2) 투명기재필름/[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 (3) 투명기재필름/[저굴절률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 (4) 투명기재필름/[고굴절률층/중굴절률층/저굴절률층〕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 ] 내가 다층막 간섭방식의 반사방지층의 구성이다. 다층막 간섭방식의 반사방지층을 구성하는 각 층의 재료로서는, 저굴절률층에 대해서는 불화마그네슘(MgF)이나 빙정석(氷晶石) 등의 무기물 또는 뒤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저굴절률 수지조성물을 들 수 있다. 고굴절률층에 대해서는, 3산화티탄, 황화아연 등의 무기물을 들 수 있다. 다층막 간섭방식의 반사방지층의 제법으로는, 공지의 증착, 스퍼터링 등의 건식 코팅법, 또는 롤코팅, 립 다이 코팅(lip die coating) 등의 습식 코팅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면, (1) 굴절률이 2.3인 황화아연으로 된 고굴절률층과, 굴절률이 1.38인 불화마그네슘으로 된 저굴절률층을, (투명기재필름/[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의 순으로 진공증착법으로 적층한 반사방지층을 이용할 수가 있다. 한편, 각 층의 광학적 두께는 가시광선 대역의 중간 부근의 파장을 갖는 나트륨원자 스펙트럼의 D선(≒ 590nm)의 1/4로 한다.
(2) 투명기재필름 표면에, 저굴절률 수지조성물로 된 저굴절률층을 립 다이 코팅법으로 도공(塗工)해서 적층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저굴절률층의 광학적 두께는, 가시광선 대역의 중간 부근의 파장을 갖는 나트륨원자 스펙트럼의 D선(≒ 590nm)의 1/4로 한다. 저굴절률 수지조성물로서는, 분자 중에 불소원자를 함유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중에, 평균입자직경 5~300nm의 투명미립자를 분산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저굴절률 수지조성물을 투명기재필름 표면에 도공하고, 전리방사선을 조사해서 가교(架橋), 경화시킴으로써, 경화 도막의 내부 및/또는 표면에 평균구멍직경이 O.01~100nm의 공기를 함유하는 구멍을 다수 만들어 다공질 도막(塗 膜)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분자 중에 불소원자를 함유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그 자체가 통상적인 수지에 비해 저굴절률이고, 또한 도막이 다공질로 되어 공기를 함유함으로써, 도막의 평균굴절율이 공기의 굴절률(1.0)로 향해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도막의 굴절률이 낮아진다.
분자 중에 불소원자를 함유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수 평균분자량(number-average molecular weight)이 약 20,000~500,000 정도인 폴리머로서, 분자 중에 불소원자를 함유함과 더불어 전리방사선 경화성 관능기로서 (메타)아크릴로일기 등의 래디컬 중합성 불포화기, 에폭시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 등을 갖는다. (한편 여기서, 「(메타)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의미한다). 분자 중에 불소원자를 함유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컨대 플루오르에틸렌 등의 불소원자 함유 단량체끼리의 단독 중합체, 또는 불소원자 함유 단량체와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원자 비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폴리머에, 필요에 따라서는,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를 첨가해도 좋다. 이 단량체 중에는 불소원자를 함유해도 좋고, 함유하지 않아도 좋다. 한편, 전리방사선으로서는, 대표적으로 전자선, 자외선 등이 이용된다.
상술한 미립자로서는, 입자 내부에 공기를 내포한 중공 입자, 다공질 입자 등 입자 그 자체에 공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혹은, 입자 그 자체에는 공기를 함유하지 않더라도,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중에 분산했을 때에 그 주 위에 공기를 부수하여 미세입자직경의 기포를 만드는 것, (1차) 입자가 복수 집합, 응집해서 공기를 포함하는 것 등을 이용해도 좋다. 미립자로서는, 예컨대 중공 실리카입자, 다공질 실리카입자, 콜로이달 실리카, 아크릴 응집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의 첨가량은, 그 분자 중에 불소원자를 함유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400질량부 정도이다.
(하드코트층)
필요에 따라, 투명기재필름(31)과 반사방지층(51) 사이에 설치하는 하드코트층(hard coat layer)은, JIS-K5400의 연필경도시험으로 H 이상의 경도를 갖는 층으로 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머,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도공하고, 이를 열 또는 전리방사선으로 경화시킨다.
(방현층)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방현층(防眩層)」은 층 표면의 미세한 요철(凹凸), 또는 층 내부에 분산된 이굴절률(異屈折率) 미립자에 의해 광을 확산(산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화상의 눈부심이나 어른거림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방현층(anti-glaring layer)의 광학적 성질은, 헤이즈값(haze value)이 3% 이상, 바람직하게는 3~40%,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로 되어 있다. 헤이즈값이 3% 미만에서는 방현성이 부족하고, 헤이즈값이 40% 초과하면 광선 투과성이 나빠진다. 60°광 택도(gloss)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85이다. 60°광택도가 100을 넘으면 반사에 의한 표면광택에 의해 방현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투과 선명도는,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0~300이다. 투과 선명도가 100 미만에서는 시인성(image visibility)이 부족하다. 전 광선 투과율은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95%이다. 전 광선 투과율이 70% 미만에서는 투명성이 부족하다. 이 범위가 방현성, 시인성, 광선 투과성, 투명성 등에 있어서 종합적으로 좋다.
방현층으로서는 공지의 것으로 좋은 바,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등의 무기필러가 함유된 층, 또는 외광을 난반사하는 미세한 요철표면을 가진 층이다. 무기필러가 함유된 층은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으로 된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수지, 디엔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 등의 경화형 수지 중에, 통상 평균분자직경이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15㎛ 정도의 실리카입자를,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실리카입자가 0.1~10질량부 정도를 분산하고, 그라비어 코팅(gravure coating), 리버스 롤코팅(reverse roll coating), 다이코팅(die coating) 등으로 건조한 후의 두께가 5~30㎛ 정도로 되도록 도포 건조하고, 필요에 따라 열, 자외선 또는 전자선의 조사로 경화시켜 형성된다.
미세한 요철(凹凸) 표면을 가진 층으로서는, 무기필러층의 수지 및 도포방법으로 도포하고 요철을 엠보싱하거나, 요철을 가진 판동(版胴)으로 도포하고 UV로 경화하며 후에 박리해서 표면에 요철을 전사하거나, 요철을 가진 부형 필름으로 도 포하고 UV로 경화하며 후에 박리해서 표면에 요철을 전사하거나 하는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방오층)
반사방지층(51) 면으로 방오층(防汚層)을 설치해도 좋다. 방오층에는 일반적으로 발수성, 발유성(撥油性)의 코트로, 실록산계, 불소화 알킬시릴화합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발수성 도료로서 사용되는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수지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반사방지층의 저굴절률층을 SiO2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플루오르 실리케이트계 발수성 도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불요광 차단층)
투명기재필름(31)의 반사방지층(51) 측과는 반대측 면상으로, 불요광(不要光) 차단층(39)을 설치한다. 불요광 차단층(39)은 투명 합성수지와, 이 투명 합성수지 중에 함유된 근적외선 흡수제 및/또는 색보정용 착색제를 가지고 있다. 투명합성수지의 재료로서는, 투명한 것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종래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반응형 수지, 전자선(EB) 경화형 수지, 자외선(UV) 경화형 수지나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투명 합성수지가 열경화성 수지인 경우에는, 뒤에 설명하는 착색제, 특히 디임모늄(diimmonium)계 화합물을 함유시킨 경우, 그 착색제가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관능기를 가진 경화제와의 경화반응 과정에서 착색제가 변화하고, 기능이 저하되기 쉽다. 또, 전자선(EB) 또는 자외선(UV) 경화형 수지인 경우에는, EB 또는 UV의 조사에 의해 착색제가 변퇴색으로 되거나 기능이 저하되거나 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색보정용 색소나 근적외선 흡수제를 담지(擔持)하는 결합제(바인더)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예컨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초산비닐-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염화비닐-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의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다이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니트로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 등),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변성된 셀룰로오스계 수지도 합성수지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이 열가소성 수지는 착색제인 색소의 용해성이나 안정유지성 및 착색제의 기능내구성의 점에서 양호하다.
투명 합성수지 중에, 근적외선 흡수제, 색조보정용 착색제 등과 같은 소망하는 첨가물을 부가한 것을 용제 등으로 희석해서 저점도의 조성물(잉크)로 하고, 도포하고 건조시켜 불요광 차단층(39)을 형성한다. 상기 조성물(잉크)로서는, 상기의 수지를 메틸에틸 케톤, 초산에틸 및/또는 톨루엔 등을 용매로 해서 분산 또는 용해한다. 그때 투명 합성수지와는 별도로, 착색제를 마찬가지의 용매로 분산 또는 용해해서 혼합하는 것이 균일하게 분산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포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 롤코팅, 리버스 롤코팅, 슬릿 리버스 코팅(slit reverse coating), 스프레이 코팅, 다이 코팅, 립 다이 코팅, 그라비어 코팅(그라비어 인쇄), 그라비어 리버스 코팅 또는 콤마 코팅(comma coating) 등의 공지의 인쇄 또는 도포법으로 형성하면 좋다.
(점착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4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30)을 단지 피착체(被着體)에 붙이기 위해 이용한다(도 1). 기타, 상기 투명수지 대신 점착제(39B 및 39C)를 근적외선의 흡수제나 색보정용 착색제의 결합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도 2 및 도 3). 이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요광 차단층(39B, 39C) 자체가 점착제층과 겸용으로 되어, 별도로 점착제층을 이용하는 일없이 피착체에 접착할 수 있다. 이들 점착제로서는, 공지의 감압(減壓)으로 접착하는 점착제를 적용할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천연고무계나 부틸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클로로프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수지 등의 합성고무계 수지, 디메틸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초산비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초산비닐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탄화수소 수지, 알킬페놀 수지, 로진(rosin), 로진트리글리세리드, 수소화 로진 등의 로진계 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점착제는, 상기 수지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근적외선 흡수제나 색보정용 착색제를 용제 등으로 희석해서 저점도의 조성물(잉크)로 하고,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제층 또는 불요광 차단층을 형성한다. 상기 조성물(잉크)로서는, 상기의 수지를 메틸에틸 케톤, 초산에틸 및/또는 톨루엔 등을 용매로 해서 분산 또는 용해하고, 별도로 착색제 등도 마찬가지의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해서 혼합하는 것이 균일하게 분산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포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 그라비어 인쇄, 롤코팅, 다이코팅, 그라비어 코팅, 또는 콤마 코팅 등의 공지의 인쇄 또는 도포법으로 형성하면 좋다.
(NIR 흡수제)
근적외선 흡수제는, PDP가 발하는 파장 800~100nm 대역의 근적외선의 투과율이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로, 실용에 제공될 정도로 흡수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근적외선 영역과 가시광선 영역의 경계에 급격한 흡수의 상승이 있고, 가시광선 영역의 광투과성이 높은 물질, 예컨대 폴리메틴계, 시아닌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디티올계 금속착제 화합물, 임모늄계 화합물, 디임모늄계 화합물, 6염화 텅스텐 등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들 수 있다.
(색조보정용 착색제)
PDP에서는, 특유한 봉입가스(특히 네온 등) 고유의 발색 스펙트럼광(불요 발광)이 발생해서 표시화상의 색순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흡수해서 보정하는 착색제 「색조보정용 착색제(특히 네온(Ne)원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흡수하는 경우에 Ne광 흡수제라고도 함)」를 포함한 층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색조보정용 착색제 로서는, 특히 네온(Ne)원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흡수하는 경우는, 파장 570nm~605nm에 흡수극대(吸收極大)를 갖는 착색제를 층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실행한다. 색조보정용 착색제로서는, 가시영역에 소망하는 흡수파장을 갖는 일반의 염료 또는 안료이면 좋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안트라퀴논계, 프탈로시아닌계, 메틴계, 아조메틴계, 옥사진계, 아조계, 스티릴계, 쿠머린계, 포르피린계, 디벤조프라논계, 디케토피롤로피롤계, 로다민계, 크산텐계, 피로메텐계 등의 공지의 유기색소를 들 수 있다.
(색조조정용 착색제)
색조조정용 착색제(着色劑)는, 투과화상의 콘트라스트의 향상이나 색채조정을 위해 사용되어 화상의 색조를 바꾸어서 화상을 좋아하는 색조로 조정하기 위한 가시영역에 흡수를 가진 착색제로서, 예컨대 모노아조 안료, 퀴나크리돈, 티오인디고 보르도(thioindigo bordeaux), 페릴렌마룬, 아닐린 블랙, 삼산화이철(三酸化二鐵: red oxide), 산화크롬, 코발트 블루, 군청, 카본 블랙 등의 유기 및 무기안료, 및 인디고이드 염료, 카보늄 염료, 키놀린 염료, 니트로소 염료, 나프토퀴논 염료, 페리논 염료 등의 염료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로서는, 560~620nm의 파장범위에 흡수극대(maximum absorption)를 갖는 로다민계, 포르피린계, 시아닌계, 스쿠아릴리움계, 아조메틴계, 크산텐계, 옥소놀계 또는 아조계의 화합물, 380~440nm의 파장범위에 흡수를 갖는 시아닌계, 메로시아닌계, 옥소놀계, 아릴리덴계 또는 스티릴계 등의 메틴계, 안트라퀴논계, 퀴논계, 디페닐메탄 염료, 트리페닐 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아조계, 아조메틴계의 화합물, 640~780nm의 파 장범위에 흡수를 갖는 시아닌계, 스쿠아릴리움계, 아조메틴계, 크산텐계, 옥소놀계, 아조계, 안트라퀴논계, 트리페닐메탄계, 크산텐계, 동 프탈로시아닌계, 페노티아진계 또는 페노크사진계 등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착색제의 함유)
불요광 차단층(39)의 층 중으로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 색조보정용 착색제(대표적으로는 Ne광 흡수제), 색조보정용 착색제 중 적어도 1가지 착색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불요광 차단층(39)의 조성물과 착색제를 용매로 용해 또는 분산시킨 조성물 잉크로 해서 이 조성물 잉크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면 좋다. 점착제층(41)을 형성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박리지(剝離紙)를 겹쳐 롤 또는 평판 등으로 압착하면 좋다. 상기의 착색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착색제 자신을 사전에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용액 모양으로 하고, 마찬가지로 불요광 차단층의 재료도 사전에 용매로 용해 또는 분산시킨 용액 모양으로 해 두고서, 각각을 혼합 또는 재분산시켜 조성물 잉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또는 분산의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통상적인 혼련?분산기, 예컨대 디스퍼(disper), 믹서, 텀블러(tumbler), 블렌더(blender),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 볼밀(ball mill)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좋다.
착색제의 종류나 첨가량은, 착색제의 흡수파장 및 흡수계수나, 색조 및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에 요구되는 투과율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예컨대 근적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층 중에 0.1~15질량% 정도를 첨가하고, 색조보정용 착 색제나 색조조정용 착색제 등 각 착색제의 첨가량은 층 중에 0.00001~2질량% 정도를 첨가하고, 그들의 착색제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층 중에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시켜도 좋은 바,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층 중에 0.1~10질량% 정도이다.
(다른 재료의 영향)
착색제, 특히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로서 디임모늄계 화합물을 이용한 경우, 이 디임모늄계 화합물은, 이유는 확실치 않지만, 접착제의 경화반응 과정이나 강한 극성기의 영향을 받아 기능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기능을 저하시키기 어려운 투명기재필름(31)이나 불요광 차단층(39)으로 직접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착색제를 함유시키는 불요광 차단층(39)에 이용하는 재료도, 반응성이나 극성이 가능한 한 낮은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에 가까운 공정)
본 발명에서는,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 및/또는 색조보정용 착색제(대표적으로는 Ne광 흡수제)에 부가해서, 필요에 따라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더 함유시킨다. 이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함유시킨 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제조공정의 종료에 가까운 공정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종료에 가까운 공정에서, 고객의 취향에 따라 표시화상의 색조(色調)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전에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함유하기까지는, 공통규격으로 한데 모아서 1품종 대(大)로트로 제조할 수가 있다. 색조조정용 착색제의 함유공정에서, 고객의 취향에 따라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선택해서 함유시킬 수가 있고, 표시화상의 색조조정을 할 수가 있 다. 이에 따라, 색조조정 공정이 다품종 소(小)로트화해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의 제조공정 전체로서는, 생산성 저하나 공정관리의 복잡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근적외선 반사층)
또, 본 발명에서는 근적외선을 차폐하기 위해,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를 함유하는 근적외선 흡수층 대신, 동이나 금, 은 또는 은-팔라듐 합금 등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근적외선 반사층을 이용해도 좋다. 더욱이, 이 금속박막과 산화인듐 주석(ITO), 산화주석계 등의 반도체 박막을 교대로 복수 적층해서 병용해도 좋은 바, 이 경우에는 근적외선을 차폐할 뿐만 아니라 전자파(EMI)를 차폐할 수도 있다. 특히, ITO/은 또는 은-팔라듐 합금으로 이루어진 대략 3~11층으로 된 적층체는, 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하는 열도 동시에 차폐할 수 있다. 금속박막층은 두꺼우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고, 얇으면 근적외선의 반사가 낮아지기 때문에, 금속막에서는 1층당 l0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또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로 금속박막의 전체 두께를 늘리기 위해 금속박막과 반도체 박막의 교대 적층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도체 박막은, 도전성 및 투명성을 위해, 1층당 700n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금속박막 및 반도체 박막의 형성방법으로는, 공지의 스퍼터링법, 진공증착법, 이온플레이팅법(ion plating method)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층수 및/또는 복수 층의 두께는, 근적외선의 차폐성, 투명성, 투과 및/또는 반사색에 대응해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자외선 흡수제)
상기와 같은 층 구성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이, 일광 등의 외광 중의 자외선에 의해 근적외선 흡수제의 열화(劣化)를 방지하기 때문에, 근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불요광 차단층(39)보다도 기재필름(31) 측에 위치하는 층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외광 중의 자외선이 근적외선 흡수제(를 포함한 불요광 차단층)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흡수되어 감쇠된다.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층은, 투명기재필름(31), 반사방지층(51) 또는 기타의 층의 어느 1층 또는 2층 이상이다. 혹은, 이들 층과는 별도로 투명수지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층을 불요광 차단층(39)보다도 투명기재필름(31) 측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투명한 것을 선택하는 바, 예컨대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입자직경 O.2㎛ 정도 이하의 미립자로 된 산화아연, 산화세륨 등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사용된다.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각 층 중에 있어서 0.1~5질량% 정도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의 다른 층)
이상에서 얻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30)을, 예컨대 전자파 차폐필름이나 투명기판 등의 층(61)과 조합해서 쉽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60)으로 할 수가 있다(도 1).
(전자파 차폐필름)
상기 전자파 차폐필름으로서는, 전자파 차폐기능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파 차폐필름으로서는, 예컨대 메쉬형상 금속, 금속이 피복된 섬유형 상의 물건, 은(銀) 등의 금속박막, 투명 반도체 박막/금속박막을 반복단위로 해서 1~7회 반복해서 적층된 다층박막의 투명도전층을 형성한 것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으로서는, 기계적 강도가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투명기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유리 또는 아크릴수지이다. 이 투명기판은 가시광선에 투명하고, 파장 450nm~650nm의 평균 광선투과율이 50% 이상이 디스플레이의 표시화상의 시인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 투명기판은 필요에 따라 기능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난연화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이 투명기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mm~10mm 정도, 바람직하게는 2mm~6mm이다. 이 범위 미만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고, 이 범위를 넘으면 기계적 강도가 과잉으로 되고 중량도 무거워 실용적이지 못하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의 제조)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전자파 차폐필름,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전자파 차폐필름/기판 등의 적층 구성으로 함으로써, 쉽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으로 할 수가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과 전자파 차폐필름, 전자파 차폐필름과 기판의 조합은, 공간을 두고 포개어 설치해도 좋고, 점착제 등으로 첩착해도 좋다. 박리지가 부착된 점착층 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박리지를 제거하고 다른쪽을 첩착해서 압착하거나, 한쪽 측으로 점착제를 용매로 용해 또는 분산시킨 조성물 잉크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에 다른쪽을 포개어 롤 또는 평판 등으로 압착하는 등의 공지의 적층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조립)
상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을 PDP의 전면으로 세트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 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의 투명기판 측을 PDP와 상대(相對)하도록 설치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 하면 좋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과 PDP 사이에는 공기층이 있어도 좋고, 또는 접착제 등으로 직접 접착되어도 좋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재필름(31)으로서 두께 80㎛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한쪽 면 상에 순차로 하드코트층, 저굴절률층, 방오층을 적층한 반사방지필름 TAC-AR1(다이니폰 인사츠사 제조, 상품명)를 준비해서, 하드코트층과 반대측 TAC 필름 면으로 하기의 불요광 차단층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불요광 차단층을 형성했다.
불요광 차단층의 조성액으로서는, 아크릴계 수지의 투명수지로, 다음의 착색제를 미리 메틸에틸케톤 용매로 분산 또는 용해시키고 나서 혼합하고, 더욱이 제인컵(zane cup) No. 3(리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로 20초의 점도로 되도록 조정했다. 착색제는,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로서, 디임모늄계 색소 CIR1085(일본 카릿트사 제조, 상품명),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IR12(니폰 쇼쿠바이사 제조, 상품명),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IR14(니폰 쇼쿠바이사 제조, 상품명), 색조보정용 착색제(Ne광 흡수제)로서 TAP-2(야마다 가가쿠사 제조, 상품명), 색조조정용 착색제로서 PS 바이올렛 RC(미츠이 토아츠 다이스사 제조, 상품명)를 각각 이용했다.
이 불요광 차단층 면 상에 아크릴계 수지의 점착제층을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그 위에 PET 100㎛로 실리콘 코팅된 박리지를 첩착했다.
[실시예 2]
불요광 차단층의 조성액 중에 혼합하는 착색제를,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와 색조보정용 착색제(Ne광 흡수제)만으로 한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불요광 차단층의 조성액 중에 혼합하는 착색제를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만으로 하고, 다른 착색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점착제층을 설치하지 않고, 박리지를 첩착하지 않은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점착제층을 설치하지 않고, 박리지를 첩착하지 않은 것 말고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기재필름(31)으로서 두께 75㎛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이용하고, 불요광 차단층의 조성액에는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만을 부가해 근적외선 흡수층으로 하며, 또한 점착제층의 조성물에 색조보정용 착색제(Ne광 흡수제)를 부가해 점착제층을 겸용하는 불요광 차단층으로 해서, 이상의 2층을 가지고 불요광 차단층으로 한 것 말고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기재필름(31)으로서 두께 75㎛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이용하고, 불요광 차단층의 조성액에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만을 부가해 근적외선 흡수층으로 하며, 또한 점착제층의 조성물에 색조보정용 착색제(Ne광 흡수제)와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부가해 점착제층을 겸용하는 불요광 차단층으로 해서, 이상의 2층으로 불요광 차단층으로 한 것 말고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기재필름(31)으로서 두께 75㎛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이용하고, 불요광 차단층의 조성액에 색조보정용 착색제(Ne광 흡수제)만을 부가하며, 또한 점착제층의 조성물에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를 부가해 근적외선 흡수층으로 한 것 말고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9]
기재필름(31)으로서 두께 75㎛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이용하고, 불요광 차단층으로서 점착제층의 조성물에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와 색조보정용 착색제(Ne광 흡수제)와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부가한 것으로 한 것 말고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0]
기재필름(31)으로서 두께 75㎛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이용하고, 불요광 차단층으로서 점착제층의 조성물에 근적외선 흡수제(NIR 흡수제)와 색조보정용 착색제(Ne광 흡수제)를 부가한 것으로 한 것 말고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1]
투명기재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에 자외선 흡수제로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을 1중량% 함유한 두께 80㎛의 층과,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두께 20㎛의 층의 2층 적층체로 이루어진 총 두께 100㎛의 2축 연신 필름을 이용하고, 이 투명기재필름의 자외선 흡수제 비함유의 층 측에 불요광 차단층을 설치한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서의 반사방지필름인 TAC 필름 대신 38㎛ 두께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한 것 말고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3]
두께 80㎛ TAC 필름의 한쪽 면에, 15nm 두께의 은박막, 50nm 두께의 ITO 박막, 15nm 두께의 은박막, 50nm 두께의 ITO 박막, 15nm 두께의 은박막, 50nm 두께의 ITO 박막 순으로 진공증착법을 이용해서 적층하여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근적외선 반사층으로 하고, 다른쪽 면에는 하드코트층, 저굴절률층으로 이루어진 반사방지층, 방오층(앞에서 설명한 반사방지필름 TAC-ARI(다이니폰 인사츠사 제조, 상품명)와 같은 사양)을 적층했다.
상기 ITO 박막의 면 상에 하기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겸용하는 불요광 차단층을 형성하고, PET 100㎛에 실리콘 코팅된 박리지를 첩착했다.
불요광 차단층의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의 점착제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색조보정용 착색제(Ne광 흡수제)와 색조조정용 착색제를 부가한 것으로 했다.
실시예 1~10의 착색제의 함유상황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표 1
항 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반사방지층
기재필름 TAC 좌동 좌동 좌동 좌동

불요광
차단층
층의 유무 1층 1층 1층 1층 1층
NIR 흡수용
Ne광 흡수용
색조조정용
점착층 층의 유무
표 2
항 목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반사방지층
기재필름 PET 좌동 좌동 좌동 좌동

불요광
차단층
층의 유무 2층 2층 2층 1층 1층
NIR 흡수용
Ne광 흡수용
색조조정용
점착층 층의 유무 불요광 차단층과 겸용 불요광 차단층과 겸용 불요광 차단층과 겸용 불요광 차단층과 겸용 불요광 차단층과 겸용
(평가방법)
각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을 다음과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으로 하고, 더욱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서 TV 테스트 패턴, 전면이 흰색 화상 및 흑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해서, 색조 및 화상의 시인성을 눈으로 봄으로써 평가했다. 실시예 1~3, 6~10, 11 및 12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의 박리지를 제거하고, DNP-EMI(다이니폰 인사츠사에 의해 제조된 전자파 차폐필름, 상품명)를 첩착(貼着)하고, 더욱이 두께 3mm의 유리판(기판)에 첩착제로 첩착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으로 했다. 이 전면판을 PDP로서 WOOO(히타치 세이사쿠쇼사 제조, 상품명)의 전면에 5mm의 공기층을 열어 설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 했다. 실시예 4~5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으로, 점착제로 DNP-EMI(다이니폰 인사츠사에 의해 제조된 전자파 차폐필름, 상품명)를 첩착하고, 더욱이 두께 3mm의 아크릴판(기판)에 점착제로 첩착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으로 했다. 이 전면판을, 점착제로, PDP로서 WOOO(히타치 세이사쿠쇼사 제조, 상품명)의 전면에 직접 첩착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 했다. 실시예 13의 전자파 차폐기능이 부가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으로, 점착제로 두께 3mm의 아크릴판(기판)에 점착제로 첩착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으로 했다. 이 전면판을, 점착제로, PDP로서 WOOO(히타치 세이서쿠쇼사 제조, 상품명)의 전면에 직접 첩착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 했다.
(평가)
실시예 1~13 전부가, TV 테스트 패턴과의 색조, 흰색 및 흑색의 전면(全面) 화상에서도 색조 재현은 정상이고, 눈부심이나 외광의 현저한 비침이 없어 양호한 표시화상을 얻었다. 또 30MHz~lOOOMHz의 범위에서 전자장의 감쇠율은 30~60dB이고, 또한 파장 800~1100nm의 범위에서 근적외선의 투과율은 4~lO%이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에 있어서,
    투명기재필름과,
    상기 투명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설치된 반사방지층과,
    상기 투명기재필름의 다른쪽 면에 설치된 불요광 차단층을 갖추어 구성되되,
    상기 불요광 차단층이, 근적외선을 반사하는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근적외선 반사층과,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의 투명기재필름과 반대측 면에 적층되어, 점착제와, 이 점착제 중에 함유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봉입가스의 발광 스펙트럼에 기인하는 특정파장광을 흡수하는 색조보정용 착색제를 가진 특정파장광 흡수층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중에 색조조정용 착색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7004000A 2003-09-01 2004-08-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KR101129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08739 2003-09-01
JPJP-P-2003-00308739 2003-09-01
PCT/JP2004/012490 WO2005022212A1 (ja) 2003-09-01 2004-08-30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反射防止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555A KR20060132555A (ko) 2006-12-21
KR101129113B1 true KR101129113B1 (ko) 2012-03-23

Family

ID=3426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000A KR101129113B1 (ko) 2003-09-01 2004-08-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86381A1 (ko)
JP (1) JPWO2005022212A1 (ko)
KR (1) KR101129113B1 (ko)
DE (1) DE112004001571T5 (ko)
TW (1) TW200510763A (ko)
WO (1) WO20050222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1673B2 (en) 2017-11-01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ter, an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9708B (en) 2002-12-25 2007-11-1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interference type color display
US7342705B2 (en) 2004-02-03 2008-03-11 Idc, Llc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integrated optical compensation structure
US7855824B2 (en) 2004-03-06 2010-12-2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lor optimization in a display
US7710632B2 (en) 2004-09-27 2010-05-0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splay device having an array of spatial light modulators with integrated color filters
US8362987B2 (en) 2004-09-27 2013-01-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ipulating color in a display
US7928928B2 (en) 2004-09-27 2011-04-1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erceived color shift
US7807488B2 (en) 2004-09-27 2010-10-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splay element having filter material diffused in a substrate of the display element
US7898521B2 (en) 2004-09-27 2011-03-0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wavelength filtering
US7911428B2 (en) 2004-09-27 2011-03-2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ipulating color in a display
KR100592313B1 (ko) * 2004-11-22 2006-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121392A1 (en) * 2004-11-24 2006-06-08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filter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2006313303A (ja) * 2004-11-24 2006-11-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JP4618550B2 (ja) * 2005-03-29 2011-01-26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ー
JP2006301489A (ja) * 2005-04-25 2006-11-02 Nidec Copal Corp 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
EP1818694A1 (en) * 2006-02-14 2007-08-15 DSMIP Assets B.V. Picture frame with an anti reflective glass plate
US8004743B2 (en) 2006-04-21 2011-08-2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ightness control in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IMOD) display
JP4666226B2 (ja) * 2006-05-18 2011-04-0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2366944A1 (en) 2006-10-06 2011-09-2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loss layer integrated in an illumination apparatus of a display
EP1943551A2 (en) 2006-10-06 2008-07-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guide
JP5042750B2 (ja) * 2006-11-07 2012-10-03 株式会社コロナ宣広社 表示パネルの前面カバー体
JP4913665B2 (ja) * 2007-05-16 2012-04-11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フィルム
JP4857187B2 (ja) * 2007-05-16 2012-01-18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0287310A (ja) * 2007-10-12 2010-12-24 Asahi Glass Co Ltd 光学フィルタ
US8068710B2 (en) 2007-12-07 2011-11-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coupled holographic film and diffuser
JP2009249602A (ja) * 2008-04-10 2009-10-29 Gunze Ltd 赤外線吸収性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ム及び多層光学フィルム
JP5426852B2 (ja) * 2008-08-26 2014-0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
US8848294B2 (en) 2010-05-20 2014-09-3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color saturation
JP2012003118A (ja) * 2010-06-18 2012-01-05 Nof Corp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近赤外線遮蔽体
JP2012003119A (ja) * 2010-06-18 2012-01-05 Nof Corp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近赤外線遮蔽体
JP6117478B2 (ja) * 2011-04-22 2017-04-1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機能性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US20140092468A1 (en) * 2011-05-17 2014-04-03 Konica Minolta, Inc. Infrared shield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infrared shielding film, and infrared shielding body
US9452590B2 (en) * 2011-06-27 2016-09-27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 film and automotive window glass using same
JP2014059474A (ja) * 2012-09-18 2014-04-03 Dic Corp 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9498382B2 (en) * 2013-10-29 2016-11-22 Oberon Company Div Paramount Corp. Grey compounded infrared absorbing faceshield
KR101453469B1 (ko) * 2014-02-12 2014-10-22 나우주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CN105261714B (zh) * 2015-11-18 2017-04-1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101988549B1 (ko) * 2016-12-12 2019-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535564B1 (ko) * 2018-06-08 202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14096404A (zh) * 2019-09-11 2022-02-25 株式会社Lg化学 光学层合体
WO2022158006A1 (ja) * 2021-01-19 2022-07-28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KR20230129056A (ko) * 2021-01-19 2023-09-05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표시 장치, 및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CN117922135B (zh) * 2024-02-01 2024-07-12 佛山市科顺建筑材料有限公司 聚烯烃防水卷材及其制备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6708A (ja) * 1999-12-07 2001-06-22 Fujitsu Ltd ガス放電表示装置
JP2001228323A (ja) * 2000-02-14 2001-08-24 Bridgestone Corp 光学フィル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2123182A (ja) * 2000-08-10 2002-04-26 Nisshinbo Ind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95774A (ja) * 2001-12-27 2003-07-09 Sumitomo Chem Co Ltd 表示装置用光学フィル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0473A (en) * 1997-06-24 2000-07-18 Bridgestone Corporation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and light transmitting plate
JP2003139946A (ja) * 2001-11-01 2003-05-14 Mitsubishi Chemicals Corp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6708A (ja) * 1999-12-07 2001-06-22 Fujitsu Ltd ガス放電表示装置
JP2001228323A (ja) * 2000-02-14 2001-08-24 Bridgestone Corp 光学フィル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2123182A (ja) * 2000-08-10 2002-04-26 Nisshinbo Ind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95774A (ja) * 2001-12-27 2003-07-09 Sumitomo Chem Co Ltd 表示装置用光学フィルタ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1673B2 (en) 2017-11-01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ter, an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719867B2 (en) 2017-11-01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ter, an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4001571T5 (de) 2006-08-24
TWI359280B (ko) 2012-03-01
WO2005022212A1 (ja) 2005-03-10
JPWO2005022212A1 (ja) 2007-11-01
TW200510763A (en) 2005-03-16
US20060286381A1 (en) 2006-12-21
KR20060132555A (ko)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1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KR1010969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KR2006012643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자파 차폐 필름
KR100768200B1 (ko) 광학 필터 및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12234028A (ja) 光学フィル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60158114A1 (en)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filter having a black peripheral portion formed using a black treatment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555955B1 (en) Front panel for display
JP2005148376A (ja) 膜及び反射防止膜
JP2000105541A (ja) ディスプレイ前面板
JP3311697B2 (ja) 光学フィルター
JP2004333746A (ja) 光学フィルタ
JP200507072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
KR20100072643A (ko) 광학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
KR100707501B1 (ko) 반사방지성 복합기능필름,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광학 필터 및 상기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103309A1 (en) Filter for a display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KR2009005721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필터
KR100642438B1 (ko) 색보정층 및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용 필름
JP5601002B2 (ja) 光学シート、及び映像表示装置
JP2004333745A (ja) 光学フィルタ
JP2002196128A (ja)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1281442A (ja) 光学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前面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6138963A (ja) 光学フィルタおよびその用途
JP2007094301A (ja) Pdp用前面フィルタ
JPH1028393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前面パネル
JP2002311205A (ja)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