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969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969B1
KR100820969B1 KR1020060074438A KR20060074438A KR100820969B1 KR 100820969 B1 KR100820969 B1 KR 100820969B1 KR 1020060074438 A KR1020060074438 A KR 1020060074438A KR 20060074438 A KR20060074438 A KR 20060074438A KR 100820969 B1 KR100820969 B1 KR 10082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electrode
display panel
light block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환
박기락
배종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969B1/ko
Priority to US11/649,779 priority patent/US7719188B2/en
Priority to EP07250095A priority patent/EP1887608A1/en
Priority to CNA2007100023164A priority patent/CN10112315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영상 필터에 차광 패턴이 형성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 셀 내에서는 크세논(Xe)이 10%이상, 바람직하게는 13%이상 30%이하로 포함됨으로써 구현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 특성을 개선하고, 이와 함께 휘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영상 필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나란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과,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교차하는 제 3 전극이 형성되고, 전면 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 및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의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여기서 방전 셀 내에 채워지는 방전 가스에는 크세논(Xe)이 전체 방전 가스 대비 13%이상 30%이하 포함되고, 영상 필터는 제 1 굴절율을 갖는 차광 패턴(Pattern)과
상기 제 1 굴절율보다 큰 제 2 굴절율을 갖는 기재 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 패턴의 진행 방향과 상기 기재층의 장변은 서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영상 필터의 사이에 완충부가 더 구비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영상 필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차광 패턴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차광 패턴의 또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b는 차광 패턴의 진행 방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차광 패턴의 다양한 타입(Typ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차광 패턴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차광 패턴의 또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차광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필터의 적용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Fram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a 내지 도 15b는 상승 램프 신호 또는 제 2 하강 램프 신호의 또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서스테인 신호의 또 다른 타입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0 : 영상 필터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영상 필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격벽으로 구획된 방전 셀(Cell) 내에 형광체 층이 형성되고, 아울러 복수의 전극(Electrode)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극을 통해 방전 셀로 구동 신호가 공급된다.
그러면, 방전 셀 내에서는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 셀 내에서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방전 셀 내에 충진 되어 있는 방전 가스가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 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 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가시 광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된다.
한편,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 특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영상 필터를 개선하여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영상 필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나란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과,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교차하는 제 3 전극이 형성되고, 전면 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 및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의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방전 셀 내에 채워지는 방전 가스에는 크세논(Xe)이 전체 방전 가스 대비 13%이상 30%이하 포함되고, 영상 필터는 제 1 굴절율을 갖는 차광 패턴(Pattern)과상기 제 1 굴절율보다 큰 제 2 굴절율을 갖는 기재 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 패턴의 진행 방향과 상기 기재층의 장변은 서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영상 필터(Filter, 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필터(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질적으로 소정 주기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 1 굴절율을 갖는 차광 패턴(Pattern) 및 이러한 차광 패턴을 덮도록 형성되며 제 1 반사율보다 더 큰 제 2 굴절율을 갖는 기재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영상 필터(110)에 대해서는 이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례에 대해 첨부된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나란한 제 1 전극(202, Y)과 제 2 전극(203, Z)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201)과, 전술한 제 1 전극(202, Y) 및 제 2 전극(203, Z)과 교차하는 제 3 전극(2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211)이 합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면 기판(201) 상에 형성되는 전극, 바람직하게는 제 1 전극(202, Y)과 제 2 전극(203, Z)은 방전 공간, 즉 방전 셀(Cell)에서 방전을 발생시키고 아울러 방전 셀의 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극(202, Y)과 제 2 전극(2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의 상부에는 제 1 전극(202, Y)과 제 2 전극(203, Z)을 덮도록 유전체 층, 바람직하게는 상부 유전체 층(2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204)은 제 1 전극(202, Y) 및 제 2 전극(2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제 1 전극(202, Y)과 제 2 전극(203, Z) 간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2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2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층(205)은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재료를 상부 유전체 층(204) 상부에 증착하는 방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면 기판(211) 상에는 전극, 바람직하게는 제 3 전극(213, X)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 3 전극(2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211)의 상부에는 제 3 전극(213, X)을 덮도록 유전체 층, 바람직하게는 하부 유전체 층(2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215)은 제 3 전극(213, X)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2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웰 타입(Well Type), 델타 타입(Delta Type), 벌집 타입 등의 격벽(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등의 방전 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 이외에 백색(White : W) 또는 황색(Yellow : Y) 방전 셀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피치(Pitch)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에서의 색 온도를 맞추기 위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피치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별로 피치를 모두 다르게 할 수도 있지만,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중 하나 이상의 방전 셀의 피치를 다른 방전 셀의 피치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적색(R) 방전 셀의 피치가 가장 작고,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피치를 적색(R) 방전 셀의 피치보다 크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녹색(G) 방전 셀의 피치는 청색(B) 방전 셀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2a에 도시된 격벽(212)의 구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격벽의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격벽(212)은 제 1 격벽(212b)과 제 2 격벽(212a)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격벽(212b)의 높이와 제 2 격벽(212a)의 높이가 서로 다른 차등형 격벽 구조, 제 1 격벽(212b) 또는 제 2 격벽(212a) 중 하나 이상에 배기 통로로 사용 가능한 채널(Channel)이 형성된 채널형 격벽 구조, 제 1 격벽(212b) 또는 제 2 격벽(212a) 중 하나 이상에 홈(Hollow)이 형성된 홈형 격벽 구조 등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차등형 격벽 구조인 경우에는 제 1 격벽(212b) 또는 제 2 격벽(212a) 중 제 1 격벽(212b)의 높이가 제 2 격벽(212a)의 높이보다 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채널형 격벽 구조나 홈형 격벽 구조인 경우에는 제 1 격벽(212b)에 채널이 형성되거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각각이 동일한 선상에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다른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이 삼각형 형상 으로 배열되는 델타(Delta) 타입의 배열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방전 셀의 형상도 사각형상뿐만 아니라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진다. 이러한, 방전 셀 내에 채워지는 방전 가스에는 크세논(Xe)이 전체 방전 가스 대비 10%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전 가스에는 크세논(Xe)이 전체 방전 가스 대비 13%이상 30%이하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서의 가스 압력은 500torr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torr이하이다.
이러한, 방전 셀 내에 채워지는 방전 가스 및 가스 압력에 대해서는 이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형광체 이외에 백색(White : W) 및/또는 황색(Yellow : Y) 형광체 층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의 형광체 층(214)은 두께(Width)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하나 이상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가 다른 방전 셀과 상이한 경우에는 녹색(G) 또는 청색(B)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가 적색(R)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녹색(G)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는 청색(B)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도 2a의 설명에서는 제 1 전극(202, Y) 및 제 2 전극(203, Z)이 각각 하나의 층(Layer)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제 1 전극(202, Y) 또는 제 2 전극(203, Z) 중 하나 이상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b를 살펴보면, 제 1 전극(202, Y)과 제 2 전극(203, Z)은 각각 복수의 측, 예컨대 두 개의 층(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광 투과율 및 전기 전도도를 고려하면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며 아울러 구동 효율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제 1 전극(202, Y)과 제 2 전극(203, Z)은 불투명한 은(Ag) 재질의 버스 전극(202b, 203b)과 투명한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 ITO) 재질의 투명 전극(202a, 20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전극(202, Y)과 제 2 전극(203, Z)이 투명 전극(202a, 203a)을 포함하도록 하는 이유는,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가시 광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방출될 때 효과적으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제 1 전극(202, Y)과 제 2 전극(203, Z)이 버스 전극(202b, 203b)을 포함하도록 하는 이유는, 제 1 전극(202, Y)과 제 2 전극(203, Z)이 투명 전극(202a, 203a)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투명 전극(202a, 203a)의 전기 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구동 효율이 감소할 수 있어서, 이러한 구동 효율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는 투명 전극(202a, 203a)의 낮은 전기 전도도를 보상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만을 도시하고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면, 여기 이상의 설명에서는 번호 204의 상부 유전체 층 및 번호 215의 하부 유전체 층이 각각 하나의 층(Layer)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 및 하부 유전체 층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지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번호 212의 격벽으로 인한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격벽(212)의 상부에 외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블랙 층(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격벽(212)과 대응되는 전면 기판(201) 상의 특정 위치에 블랙 층(미도시)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후면 기판(211) 상에 형성되는 제 3 전극(213)은 폭이나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도 있지만,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폭이나 두께와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그것보다 더 넓거나 두꺼울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기판(201)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영상 필터의 사이에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3을 결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영상 필터의 사이에 완충부가 더 구비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영상 필터(110)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완충부(120, 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120, 130)는 수지 재질 또는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120, 130)는 외부로부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손상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완충부(120, 130)의 두께(t1 또는 t2 중 하나 이상)는 대략 200㎛(마이크로미터) 이상 40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부(120, 130)는 충격 흡수 필름(Impact Resistanc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호 120의 완충부는 충격 흡수 필름을 포함하고, 부호 130의 완충부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여기 도 3에서는 완충부(120, 130)의 개수를 2개로 설정하였지만, 1 개, 3개 또는 4개의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즉, 완충부의 개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음, 도 4는 영상 필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필터는 차광 패턴(Pattern, 410) 및 기재층(4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광 패턴(410)은 소정 주기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아울러 제 1 굴절율을 갖는다.
기재층(420)은 차광 패턴(410)을 덮도록 형성되며 아울러 제 1 굴절율보다 더 큰 제 2 굴절율을 갖는다. 이러한 기재층(420)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광 패턴(410)은 기재층(420)보다 더 어두운 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차광 패턴(410)은 실질적으로 검은 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차광 패턴(410)은 기재 층(420)의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광 패턴(410)의 밑면과 나란한 기재 층(420)의 일면과 차광 패턴(410)은 소정의 각도(θ1)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차광 패턴(410)의 기능에 대해 첨부된 도 5를 결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차광 패턴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이 내부에 위치하는 a 지점에서 발생한 광은 직접 외부로 방출되고, 아울러 b, c 지점에서 발생한 광은 차광 패턴(410)에 의해 전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반면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에 위치하는 d, e 지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차광 패턴(410)에 흡수될 수 있다. 이는 차광 패턴(410)의 굴절율이 기재층(420)의 굴절율보다 더 크고, 아울러 차광 패턴(410)의 밑면과 나란한 기재 층(420)의 일면과 차광 패턴(410)이 소정의 각도(θ1)를 이루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발생한 광은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되고, 반면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흡수됨으로써 콘트라스트(Contrast)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은 차광 패턴(410)에 의해 대부분 흡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 방향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에는 정상적인 영상이 보이고, 반면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방향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는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의 영상이 보이게 된다. 이로 인해 영상 보안기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아울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발생한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해 차광 패턴(410)의 밑면과 나란한 기재 층(420)의 일면과 차광 패턴(410)이 이루는 각도(θ1) 대략 70°이상 85°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 직하고 아울러, 차광 패턴(410)의 제 1 굴절율은 기재층(420)의 제 2 굴절율의 0.8배 이상 0.98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6a 내지 도 6e는 차광 패턴의 또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살펴보면 차광 패턴(610)은 기재층(620)의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감소하는 정도가 다른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지점까지는 제 1 비율로 그 폭이 감소하고, 반면에 b 지점부터는 제 1 비율보다 더 큰 제 2 비율로 그 폭이 감소할 수 있다.
다음, 도 6b를 살펴보면 앞선 도 6a와는 다르게 차광 패턴(630)은 a 지점까지는 제 1 비율로 그 폭이 감소하고, 반면에 b 지점부터는 제 1 비율보다 더 작은 제 2 비율로 그 폭이 감소할 수 있다.
다음, 도 6c를 살펴보면 차광 패턴(650)은 그 끝단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음, 도 6d를 살펴보면 차광 패턴(640)은 그 측면이 완만한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다음, 도 6e를 살펴보면 차광 패턴(660)의 측면은 a 지점까지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이고, b 지점부터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 패턴(660)은 끝단의 형태가 곡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차광 패턴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7a 내지 도 7b는 차광 패턴의 진행 방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 면이다.
먼저, 도 7a를 살펴보면 차광 패턴(700)의 진행 방향과 기재층(710)의 장변은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다음, 도 7b를 살펴보면 차광 패턴(720)의 진행 방향은 기재층(710)의 장변과 소정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차광 패턴(720)의 진행 방향과 기재층(710)의 장변이 소정 각도(θ2)를 이루게 되면 두 개 이상의 주기적인 패턴(Periodic Pattern)이 겹쳐질 때 만들어지는 간섭무늬(Interference Fringe), 즉 모아레 무늬(Moire Fringe)를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모아레 무늬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차광 패턴(720)의 진행 방향과 기재층(710)의 장변이 이루는 소정 각도(θ2)는 대략 1°이상 5°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선 도 7a 내지 도 7b의 이전에는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의 차광 패턴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차광 패턴의 타입의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 도 8a 내지 도 8c는 차광 패턴의 다양한 타입(Typ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살펴보면 차광 패턴(800)은 매트릭스 타입(Matrix Ty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8b를 살펴보면 차광 패턴(820)은 물결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8c를 살펴보면 차광 패턴(830)은 돌기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구 형태로 돌기된 타입의 복수의 차광 패턴(83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차광 패턴의 타입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 도 9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차광 패턴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살펴보면, 기재층(902)과 이러한 기재층(902)의 장변과 나란한 제 1 차광 패턴(901)을 포함하는 제 1 차광부(900)와 기재층(912)과 이러한 기재층(912)의 장변과 나란한 제 2 차광 패턴(911)을 포함하는 제 2 차광부(910)가 하나의 영상 필터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차광 패턴을 함께 사용하게 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야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도 10은 차광 패턴의 또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살펴보면, 차광 패턴(1010)은 복수의 층(Layer)을 갖는다. 예를 들면, 차광 패턴(1010)은 제 1 차광 패턴층(1011)과 제 2 차광 패턴층(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차광 패턴층(1011)은 제 2 차광 패턴층(101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차광 패턴층(1011)의 굴절율은 기재층(1020)의 굴율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차광 패턴층(1012)의 굴절율은 제 1 차광 패턴층(1011)의 굴절율 과 다르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차광 패턴층(1012)의 굴절율은 제 1 차광 패턴층(1011)의 굴절율보다 더 작다.
다음, 도 11은 차광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필터의 적용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70)의 전면에 제 1 접착층(1180)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 1 접착층(1180)에 영상 필터(1190)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영상 필터(119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70)의 전면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라미네이팅(Lamunating)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필터(1190)에서는 차광 패턴(1110)과 기재층(1120)이 형성되고, 이러한 기재층(1120)의 상부에 제 2 접착층(1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접착층(1150)의 상부에 근적외선 차폐층(1130)이 형성되고, 이러한 근적외선 차폐층(1130)의 상부에 제 3 접착층(1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접착층(1160)의 상부에는 전자파 차폐층(11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파 차폐 층(114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여 전자파 장애(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 EMI)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근적외선 차폐층(1130)은 근적외선(Near Infrared Ray : NIR)을 차단함으로써, 이러한 근적외선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 동작을 방지할 수 있 다.
여기서, 영상 필터(1190)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70)을 접착, 즉 제 1 기재층(1100)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70)을 접착시키는 제 1 접착층(1180)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운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70)에서 발생한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고, 반면에 과도하게 얇은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70)과 영상 필터(1190)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1 접착층(1180)은 두께는 대략 10㎛(마이크로미터)이상 50㎛(마이크로미터)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마이크로미터)이상 40㎛(마이크로미터)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차광 패턴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흡수하고, 반면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광은 방출함으로써 콘트라스트 특성을 개선할 수 있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전체 휘도는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휘도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채워지는 방전 가스에서 크세논(Xe)의 함량을 10%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크세논(Xe)은 방전 시 진공 자외선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방전 셀 내에 채워진 방전 가스의 크세논(Xe) 함량이 증가하게 되 면 방전 셀에서 발생하는 광의 양이 증가됨으로써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필터에 차광 패턴이 적용됨으로써 콘트라스트 특성은 개선되지만, 휘도는 저감되는 경우에 방전 가스에서 크세논(Xe)의 함량을 전체 방전 가스 대비 10%이상으로 하여 휘도를 보상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전 가스에서 크세논(Xe)의 함량은 전체 방전 가스 대비 13%이상 30%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 즉 방전 셀 내에 채워지는 방전 가스에서 크세논(Xe)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면 구동 전압이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세논(Xe)의 함량이 2%인 경우에 방전 개시 전압이 150V이고, 하나의 구동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광의 양이 정량적으로 100이라고 가정하자.
여기서, 크세논(Xe)의 함량이 10%로 상승하게 되면 하나의 구동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광의 양은 예를 들어 100보다 많은 150이 되지만, 방전 개시 전압은 예를 들어 150V보다 높은 250V가 될 수 있다.
즉, 방전 가스에서 크세논(Xe)의 함량이 증가하면 발생하는 광의 양이 증가하여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향상되지만, 방전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게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전 전압의 상승을 보상하기 위해 방전 셀 내에서의 가스 압력은 500torr이하로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전 셀 내 의 압력을 500torr이하로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는 이유는 되면 방전 셀 내에서 방전 전압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전 셀 내에서의 가스 압력은 450torr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0)과 구동부(12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0)에 대해서는 앞선 도 2a 내지 도 2b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12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0)에 형성되는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1210)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의 리셋 기간 이전의 프리 리셋 기간에서 제 1 전극에는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하강 램프 신호를 공급하고, 제 2 전극에는 하강 램프 신호와 반대 극성의 프리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한다.
여기, 도 12에서는 구동부(1210)가 하나의 보드(Board)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만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구동부(12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0)에 형성된 전극에 따라 복수개의 보드 형태로 나누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0)에 서로 나란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및 이러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에 교차하는 제 3 전극이 형성되는 경우에, 구동부(1210)는 제 1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구동부(미도시)와, 제 2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제 2 구동부(미도시)와, 제 3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제 3 구동부(미도시)로 나누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부에 대해서는 이후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Fram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은 발광횟수가 다른 여러 서브필드로 나누어진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서브필드는 다시 모든 방전 셀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셋 기간(Reset Period), 방전될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Sustain Period)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56 계조로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하나의 프레임은 예컨대, 도 13과 같이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지고, 8개의 서브 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으로 다시 나누어지게 된다.
한편, 서스테인 기간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하여 해당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서스테인 기간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필드에 소정의 계조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20 으로 설정하고, 제 2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21 으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각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가 2n(단, n = 0, 1, 2, 3, 4, 5, 6, 7)의 비율로 증가되도록 각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에서 계조 가중치에 따라 각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예컨대 1초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프레임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1초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60개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프레임의 길이는 1/60 초, 즉 16.67ms일 수 있다.
여기 도 13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진 경우만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서브필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부터 제 12 서브필드까지의 12 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10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 도 13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계조 가중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서브필드들이 배열되었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프레임에서 서브필드들이 계조 가중치가 감소하는 순서에 따라 배열될 수도 있고, 또는 계조 가중치에 관계없이 서브필드들이 배열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 도 14를 살펴보면 앞선 도 13과 같은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필드 어느 하나의 서브필드(Subfield)에서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먼저, 리셋 기간 이전의 프리(Pre) 리셋 기간에서 도 12의 구동부(1210)는 제 1 전극(Y)에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하강 램프 신호, 즉 제 1 하강 램프(Ramp-Down)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전극(Y)에 제 1 하강 램프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구동부(1210)는 제 1 하강 램프 신호와 반대 극성 방향의 프리(Pre) 서스테인 신호를 제 2 전극(Z)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Y)에 공급되는 제 1 하강 램프 신호는 제 10 전압(V10)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 하강 램프 신호는 그라운드 레벨(GND)의 전압으로부터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프리 서스테인 신호는 프리 서스테인 전압(Vpz)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리 서스테인 전압(Vpz)은 이후의 서스 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SUS)의 전압, 즉 서스테인 전압(Vs)과 대략 동일한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프리 리셋 기간에서 제 1 전극(Y)에 제 1 하강 램프 신호가 공급되고, 이와 함께 제 2 전극(Z)에 프리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면 제 1 전극(Y) 상에 소정 극성의 벽 전하(Wall Charge)가 쌓이고, 제 2 전극(Z) 상에는 제 1 전극(Y)과 반대 극성의 벽 전하들이 쌓인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Y) 상에는 양(+)의 벽 전하(Wall Charge)가 쌓이고, 제 2 전극(Z) 상에는 음(-)의 벽 전하가 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이후의 리셋 기간에서 충분한 세기의 셋업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초기화를 충분히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심지어는, 방전 셀 내에 벽 전하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서도 충분한 세기의 셋업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리셋 기간에서 제 1 전극(Y)으로 공급되는 상승 램프 신호(Ramp-Up)의 전압이 더 작아지더라도 충분한 세기의 셋업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프리 리셋 기간은 구동 시간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프레임의 서브필드 중에서 계조 가중치가 가장 작은 하나의 서브필드에서 리셋 기간이전에 프리 리셋 기간이 포함되거나 또는 프레임의 서브필드 중 2개 또는 3개의 서브필드에서 리셋 기간이전에 프리 리셋 기간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는, 이러한 프리 리셋 기간은 모든 서브필드에서 생략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프리 리셋 기간 이후,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의 셋업(Set-Up) 기간에서는 구동부(1210)는 제 1 전극(Y)으로 제 1 하강 램프 신호와 반대 극성 방향의 상승 램프(Ramp-Up)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승 램프 신호는 제 20 전압(V20)부터 제 30 전압(V30)까지 제 1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제 1 상승 램프 신호와 제 30 전압(V30)부터 제 40 전압(V40)까지 제 2 기울기로 상승하는 제 2 상승 램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셋업 기간에서는 상승 램프 신호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 즉 셋업 방전이 일어난다. 이 셋업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느 정도의 벽 전하(Wall Charge)가 쌓이게 된다.
여기서, 제 2 상승 램프 신호의 제 2 기울기는 제 1 기울기보다 더 완만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 기울기를 제 1 기울기보다 더 완만하게 하게 되면, 셋업 방전이 발생하기 이전까지는 전압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시키고, 셋업 방전이 발생하는 동안에는 전압을 상대적으로 느리게 상승시키는 효과를 획득함으로써, 셋업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광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트라스트(Contrast)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셋업 기간 이후의 셋다운(Set-Down) 기간에서는 상승 램프 신호 이후에 이러한 상승 램프 신호와 반대 극성 방향의 제 2 하강 램프(Ramp-Down) 신호가 제 1 전극(Y)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하강 램프 신호는 제 20 전압(V20)부터 제 50 전압(V50)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방전 셀 내에서 미약한 소거 방전(Erase Discharge), 즉 셋다운 방전이 발생한다. 이 셋다운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전하가 균일하게 잔류된다.
한편, 여기 도 14와는 다르게 상승 램프 신호 또는 제 2 하강 램프 신호를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5a 내지 도 15b를 결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상승 램프 신호 또는 제 2 하강 램프 신호의 또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5a를 살펴보면, 상승 램프 신호는 제 30 전압(V30)까지는 급격히 상승한 이후에 제 30 전압(V30)부터 제 40 전압(V40)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상승 램프 신호는 도 14에서와 같이 두 단계에 걸쳐 서로 다른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도 가능하고, 여기 도 15a에서와 같이 하나의 단계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도 가능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 도 15b를 살펴보면 제 2 하강 램프 신호는 제 30 전압(V30)에서부터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제 2 하강 램프 신호는 전압이 하강하는 시점을 다르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도 15a 내지 도 15b에 대한 설명을 마무리하기로 한다.
한편,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제 2 하강 램프 신호의 제 50 전압(V50)보다는 높은 전압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스캔 바이어스 신호가 제 1 전극(Y)에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스캔 바이어스 신호로부터 스캔 전압(ΔVy)만큼 하강하는 스캔 신호(Scan)가 모든 제 1 전극(Y1~Yn)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전극(Y) 중 첫 번째 제 1 전극(Y1)에 첫 번째 스캔 신호(Scan 1)가 공급되고, 이후에 두 번째 제 1 전극(Y2)에 두 번째 스캔 신호(Scan 2)가 공급되고, n 번째 제 1 전극(Yn)에는 n 번째 스캔 신호(Scan n)가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서브필드 단위로 스캔 신호(Scan)의 폭은 가변적일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에서 스캔 신호(Scan)의 폭은 다른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Scan)의 폭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시간상 뒤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Scan)의 폭이 앞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Scan)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서브필드의 배열 순서에 따른 스캔 신호(Scan) 폭의 감소는 2.6㎲(마이크로초), 2.3㎲(마이크로초), 2.1㎲(마이크로초), 1.9㎲(마이크로초) 등과 같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2.6㎲(마이크로초), 2.3㎲(마이크로초), 2.3㎲(마이크로초), 2.1㎲(마이크로초)......1.9㎲(마이크로초), 1.9㎲(마이크로초) 등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스캔 신호(Scan)가 제 1 전극(Y)으로 공급될 때, 스캔 신호에 대응되게 제 3 전극(X)에 데이터 전압의 크기(ΔVd)만큼 상승하는 데이터 신호가 공 급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신호(Scan)와 데이터 신호(Data)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스캔 신호(Scan)의 전압과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전압(Vd) 간의 전압 차와 리셋 기간에 생성된 벽 전하들에 의한 벽 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 신호의 전압(Vd)이 공급되는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된다.
이러한,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 내에는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될 때 서스테인 방전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정도의 벽 전하가 형성된다.
여기서, 어드레스 기간에서 제 2 전극(Z)의 간섭에 의해 어드레스 방전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전극(Z)에 서스테인 바이어스 신호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스테인 바이어스 신호는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보다는 작고 그라운드 레벨(GND)의 전압보다는 큰 서스테인 바이어스 전압(Vz)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영상 표시를 위한 서스테인 기간에서는 제 1 전극(Y) 및/또는 제 2 전극(Z)에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Y) 및 제 2 전극(Z)에 번갈아가며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된다. 이러한 서스테인 신호(SUS)는 ΔVs 만큼의 전압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되면,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은 방전 셀 내의 벽 전압과 서스테인 신호(SUS)의 서스테인 전압(Vs)이 더해지면 서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될 때 제 1 전극(Y)과 제 2 전극(Z) 사이에 서스테인 방전 즉, 표시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소정의 영상이 구현되는 것이다.
다음, 도 16은 서스테인 신호의 또 다른 타입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살펴보면, 제 1 전극(Y) 또는 제 2 전극(Z)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예를 들면 제 1 전극에 양(+)의 서스테인 신호와 음(-)의 서스테인 신호가 번갈아가면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전극에 양의 서스테인 신호와 음의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나머지 전극, 예컨대 제 2 전극(Z)에는 바이어스 신호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바이어스 신호는 그라운드 레벨(GND)의 전압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서스테인 신호(SUS)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스테인 기간에서 제 1 전극(Y) 또는 제 2 전극(Z) 중 어느 하나에만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고, 나머지 하나의 전극에는 바이어스 신호를 공급하게 되면, 구동부의 형태를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다.
여기 도 16에서와 같이 제 1 전극(Y) 또는 제 2 전극(Z)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만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 1 전극(Y) 또는 제 2 전극(Z)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들이 배치되는 하나의 구동 보드만이 구비되면 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필터에 차광 패턴이 형성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 셀 내에서는 크세논(Xe)이 10%이상, 바람직하게는 13%이상 30%이하로 포함됨으로써 구현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 특성을 개선하고, 이와 함께 휘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영상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나란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교차하는 제 3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 및
    상기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의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방전 셀 내에 채워지는 방전 가스에는 크세논(Xe)이 전체 방전 가스 대비 13%이상 30%이하 포함되고,
    상기 영상 필터는
    제 1 굴절율을 갖는 차광 패턴(Pattern)과,
    상기 제 1 굴절율보다 큰 제 2 굴절율을 갖는 기재 층
    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 패턴의 진행 방향과 상기 기재층의 장변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필터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상에 부착되거나 라미네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의 진행 방향과 상기 기재층의 장변은 실질적으로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의 진행 방향과 상기 기재층의 장변이 이루는 각도는 1°이상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절율은 상기 제 2 굴절율의 0.8배 이상 0.98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기재 층보다 더 어두운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기재 층의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의 밑면과 나란한 상기 기재 층의 일면과 상기 차광 패턴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70°이상 8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매트릭스 타입(Matrix Type), 물결 타입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영상 필터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수지 재질 또는 유리 재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두께는 200㎛(마이크로미터) 이상 40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5. 삭제
KR1020060074438A 2006-08-07 2006-08-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438A KR100820969B1 (ko) 2006-08-07 2006-08-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11/649,779 US7719188B2 (en) 2006-08-07 2007-01-05 Plasma display apparatus
EP07250095A EP1887608A1 (en) 2006-08-07 2007-01-10 Plasma display apparatus
CNA2007100023164A CN101123159A (zh) 2006-08-07 2007-01-11 等离子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438A KR100820969B1 (ko) 2006-08-07 2006-08-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969B1 true KR100820969B1 (ko) 2008-04-10

Family

ID=3866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438A KR100820969B1 (ko) 2006-08-07 2006-08-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9188B2 (ko)
EP (1) EP1887608A1 (ko)
KR (1) KR100820969B1 (ko)
CN (1) CN1011231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625A1 (en) * 2006-07-19 2008-01-24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US8106587B2 (en) * 2006-08-18 2012-01-31 Samsung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External light-shielding lay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improving contrast ratio of the display apparatus
US8013807B2 (en) * 2006-09-14 2011-09-06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device
KR100883584B1 (ko) * 2007-02-28 200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7611B1 (ko) * 2007-03-30 200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필터와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9502B1 (ko) * 2007-07-24 200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91320B1 (ko) * 2007-10-18 2010-11-01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6128A (ja) 1998-08-07 2000-02-25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フィルタ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KR20030066179A (ko) * 2002-02-05 2003-08-0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광학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52803A (ko) * 2003-07-30 2006-05-1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KR20060080116A (ko) * 2005-01-04 2006-07-07 삼성코닝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82527A (ko) * 2005-01-12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02291A (ko) * 2005-03-22 2006-09-27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6471B2 (en) * 1996-06-12 2007-03-27 Fujitsu Limited Flat display device
JP4010846B2 (ja) * 2002-03-29 2007-11-21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303923B2 (ja) * 2002-07-31 2009-07-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視認性向上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US7315122B2 (en) 2003-01-02 2008-01-01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KR100683671B1 (ko) * 2004-03-25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기파 차폐층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098749A (ja) * 2004-09-29 2006-04-13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
US7755263B2 (en) 2005-05-04 2010-07-13 Samsung Corning Precision Glass Co., Ltd. External light-shielding layer, filter f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external light-shielding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ilter
KR100579713B1 (ko) 2005-05-04 2006-05-15 삼성코닝 주식회사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56359A (ko) 2005-11-29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6128A (ja) 1998-08-07 2000-02-25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フィルタ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KR20030066179A (ko) * 2002-02-05 2003-08-0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광학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52803A (ko) * 2003-07-30 2006-05-1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KR20060080116A (ko) * 2005-01-04 2006-07-07 삼성코닝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82527A (ko) * 2005-01-12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02291A (ko) * 2005-03-22 2006-09-27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3159A (zh) 2008-02-13
US20080030134A1 (en) 2008-02-07
US7719188B2 (en) 2010-05-18
EP1887608A1 (en)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96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710035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omitting an exhaust unit
EP1798749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8448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22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3732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160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6256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116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716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09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206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80007174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8625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115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2063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723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4911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675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967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2486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277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285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438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1435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