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683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0683B1 KR100820683B1 KR1020060100543A KR20060100543A KR100820683B1 KR 100820683 B1 KR100820683 B1 KR 100820683B1 KR 1020060100543 A KR1020060100543 A KR 1020060100543A KR 20060100543 A KR20060100543 A KR 20060100543A KR 100820683 B1 KR100820683 B1 KR 1008206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partition
- height
- partition wall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54—Means for exhausting the g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01J2211/363—Cross section of the spac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25—Spacing members
- H01J2329/863—Spac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에 관한 것으로, 격벽의 상부가 곡률을 갖도록 함으로써 배기 및 방전 가스 주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형광체 번짐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과, 전면 기판과 대항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 및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격벽은 서로 교차하는 제 1 격벽과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는 곡률을 갖는다.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층인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단일 층인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격벽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제 1 격벽의 상부가 곡률을 갖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격벽의 또 다른 구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Fram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b는 상승 램프 신호 또는 제 2 하강 램프 신호의 또 다른 형 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서스테인 신호의 또 다른 타입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전면 기판 102 : 제 1 전극
103 : 제 2 전극 104 : 상부 유전체 층
105 : 보호 층 111 : 후면 기판
112, 112a, 112b : 격벽 113 : 제 3 전극
114 : 형광체 층 115 : 하부 유전체 층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격벽으로 구획된 방전 셀(Cell) 내에 형광체 층이 형성되고, 아울러 복수의 전극(Electrode)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극을 통해 방전 셀로 구동 신호가 공급된다.
그러면, 방전 셀 내에서는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 셀 내에서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방전 셀 내에 충진 되어 있는 방전 가스가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 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 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가시 광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격벽을 구조를 개선하여 형광체 재료의 번짐을 방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과, 전면 기판과 대항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 및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격벽은 서로 교차하는 제 1 격벽과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는 곡률을 갖는다.
또한, 제 1 격벽과 제 2 격벽 중 제 1 격벽의 높이가 제 2 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제 1 격벽의 상부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격벽은 방전 셀에서 중앙부분의 높이가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제 1 격벽은 방전 셀에서 중앙부분의 높이가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제 1 격벽의 최소 높이는 최대 높이의 80%이상 99.9%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 1 격벽의 최소 높이는 최대 높이의 95%이상 99%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 1 격벽의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의 차이는 대략 0.1㎛(마이크로미터)이상 20㎛(마이크로미터)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 1 격벽의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의 차이는 대략 1㎛(마이크로미터) 이상 5㎛(마이크로미터)이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나란한 제 1 전극(102, Y)과 제 2 전극(103, Z)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101)과, 전술한 제 1 전극(102, Y) 및 제 2 전극(103, Z)과 교차하는 제 3 전극(1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111)이 합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 기판(101) 상에 형성되는 전극, 예컨대 제 1 전극(102, Y)과 제 2 전극(103, Z)은 방전 공간, 즉 방전 셀(Cell)에서 방전을 발생시키고 아울러 방전 셀의 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극(102, Y)과 제 2 전극(1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101)의 상부에는 제 1 전극(102, Y)과 제 2 전극(103, Z)을 덮도록 유전체 층, 예컨대 상부 유전체 층(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104)은 제 1 전극(102, Y) 및 제 2 전극(1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제 1 전극(102, Y)과 제 2 전극(103, Z) 간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1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층(105)은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재 료를 상부 유전체 층(104) 상부에 증착하는 방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면 기판(111) 상에는 전극, 예컨대 제 3 전극(113, X)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 3 전극(1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111)의 상부에는 제 3 전극(113, X)을 덮도록 유전체 층, 예컨대 하부 유전체 층(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115)은 제 3 전극(113, X)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1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웰 타입(Well Type), 델타 타입(Delta Type), 벌집 타입 등의 격벽(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101)과 후면 기판(1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등의 방전 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 이외에 백색(White : W) 또는 황색(Yellow : Y) 방전 셀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에서의 색 온도를 맞추기 위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폭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별로 폭을 모두 다르게 할 수도 있지만,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중 하나 이상의 방전 셀의 폭을 다른 방전 셀의 폭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b와 같이 적색(R) 방전 셀의 폭(a)이 가장 작고,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폭(b, c)을 적색(R) 방 전 셀의 폭(a)보다 크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녹색(G) 방전 셀의 폭(b)은 청색(B) 방전 셀의 폭(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a에 도시된 격벽(112)의 구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격벽의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격벽(112)은 제 1 격벽(112b)과 제 2 격벽(112a)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격벽(112b) 및 제 2 격벽(112a) 중 적어도 하나에 배기 통로로 사용 가능한 채널(Channel)이 형성된 채널형 격벽 구조 등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채널형 격벽 구조인 경우에는 제 2 격벽(112a)에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에 대해서는 도 4a 이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각각이 동일한 선상에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다른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이 삼각형 형상으로 배열되는 델타(Delta) 타입의 배열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방전 셀의 형상도 사각형상뿐만 아니라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여기 도 1a에서는 후면 기판(111)에 격벽(112)이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격벽(112)은 전면 기판(101) 또는 후면 기판(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1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 질 수 있다.
아울러, 격벽(1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1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형광체 이외에 백색(White : W) 및/또는 황색(Yellow : Y) 형광체 층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의 형광체 층(114)은 두께(Width)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하나 이상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114)의 두께가 다른 방전 셀과 상이한 경우에는 도 1c에서와 같이 녹색(G) 또는 청색(B)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114)의 두께(t2, t3)가 적색(R)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114)의 두께(t1)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녹색(G)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114)의 두께(t2)는 청색(B)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114)의 두께(t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만을 도시하고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면, 여기 이상의 설명에서는 번호 104의 상부 유전체 층 및 번호 115의 하부 유전체 층이 각각 하나의 층(Layer)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 및 하부 유전체 층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지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격벽(112)과 대응되는 전면 기판(101) 상의 특정 위치에 또 다른 블랙 층(미도시)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후면 기판(111) 상에 형성되는 제 3 전극(113)은 폭이나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도 있지만,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폭이나 두께와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그것보다 더 넓거나 두꺼울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2는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층인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제 1 전극(102) 또는 제 2 전극(103)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층, 예컨대 두 개의 층(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투과율 및 전기 전도도를 고려하면 유효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며 아울러 구동 효율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제 1 전극(102) 또는 제 2 전극(103) 중 적어도 하나는 은(Ag)과 같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버스 전극(102b, 103b)과 투명한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 ITO)와 같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102a, 10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전극(102)과 제 2 전극(103)이 투명 전극(102a, 103a)을 포함하면, 유효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가시 광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방출될 때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전극(102)과 제 2 전극(103)이 버스 전극(102b, 103b)을 포함하면, 제 1 전극(102)과 제 2 전극(103)이 투명 전극(102a, 103a)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투명 전극(102a, 103a)의 전기 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구동 효율이 감소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동 효율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는 투명 전극(102a, 103a)의 낮은 전기 전도도를 보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전극(102)과 제 2 전극(103)이 버스 전극(102b, 103b)을 포함하는 경우에, 버스 전극(102b, 103b)에 의한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투명 전극(102a, 103a)과 버스 전극(102b, 103b)의 사이에 블랙 층(Black Layer : 220, 2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3은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단일 층인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제 1 전극(102, Y) 및 제 2 전극(103, Z)은 단일 층(One Layer)이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102, Y) 및 제 2 전극(103, Z)은 앞선 도 2에서 번호 102a 또는 103a의 투명 전극이 생략된(ITO-Less) 전극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극(102, Y) 또는 제 2 전극(103, Z) 중 적어도 하나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전기 전도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고, 아울러 투명 재질, 예컨대 인듐-틴-옥사이드(ITO)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전극(102, Y) 또는 제 2 전극(103, Z)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의 번호 104의 상부 유전체 층보다 색이 어두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전극(102, Y) 또는 제 2 전극(103, Z) 중 적어도 하나가 단일 층인 경우는 앞선 도 2의 경우에 비해 제조 공정이 더 단순하다. 예를 들면, 앞선 도 2의 경우에서는 제 1 전극(102, Y)과 제 2 전극(103, Z)의 형성 공정 시 투명 전극(102a, 103a)을 형성한 이후에 버스 전극(102b, 103b)을 또 다시 형성하여야 하지만, 여기 도 3의 경우는 단일 층 구조이기 때문에 한 번의 공정으로 제 1 전극(102, Y)과 제 2 전극(103, Z)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제 1 전극(102, Y)과 제 2 전극(103, Z)을 단일 층으로 형성하게 되면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는 것과 함께 상대적으로 고가인 인듐-틴-옥사이드(ITO) 등의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제 1 전극(102, Y) 및 제 2 전극(103, Z)과 전면 기판(101) 사이에는 전면 기판(101)의 변색을 방지하며 제 1 전극(102, Y) 또는 제 2 전극(103, Z)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더 어두운 색을 갖는 블랙 층(Black Layer : 300a, 300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면 기판(101)과 제 1 전극(102, Y) 또는 제 2 전극(103, Z)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는 제 1 전극(102, Y) 또는 제 2 전극(103, Z)과 직접 접촉하는 전면 기판(101)의 일정 영역이 황색 계열로 변색되는 마이그레이션(Migra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블랙 층(300a, 300b)은 이러한 마이그레이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전면 기판(101)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블랙 층(300a, 300b)은 실질적으로 어두운 계열의 색을 갖는 블랙 재질, 예컨대 루테늄(Ru)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기판(101)과 제 1 전극(102, Y) 및 제 2 전극(103, Z)의 사이에 블랙 층(300a, 300b)을 구비하게 되면, 제 1 전극(102, Y)과 제 2 전극(103, Z)이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반사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4a 내지 도 4c는 격벽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격벽(112)은 서로 교차하고 높이가 서로 다른 제 1 격벽(112b)과 제 2 격벽(112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격벽(112b)의 높이(h1)가 제 2 격벽(112a)의 높이(h2)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격벽(112b)의 높이(h1)를 제 2 격벽(112a)의 높이(h2)보다 낮게 형성하게 배기 및 방전 가스 주입 공정에서 불순가스가 보다 원활히 배기될 수 있고 아울러 주입된 방전 가스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서 고르게 확산할 수 있다.
다음, 도 4b를 살펴보면 제 1 격벽(112b) 및 제 2 격벽(112a)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는 곡률을 갖는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 1 격벽(112b)과 제 2 격벽(112a)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제 1 격벽(112b)의 상부가 곡률을 갖는다.
예를 들면, 여기 도 4b와 같이 제 1 격벽(11b)은 방전 셀에서 중앙부분의 높이(ha)가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hb)보다 높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도 4c와 같이 제 1 격벽(112b)은 방전 셀에서 중앙부분의 높이(hc)가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hd)보다 낮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 1 격벽(112b)과 제 2 격벽(112a)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격벽(112b)의 상부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는 이유에 대해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를 결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 1 격벽의 상부가 곡률을 갖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살펴보면 형광체 층의 형성 방법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형광체 층은 디스펜싱(Dispensing) 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펜싱 장치(500)가 노즐(Nozzle, 510)을 통해 페이스트(Paste) 또는 슬러리(Slurry) 상태의 형광체 재료를 기판(520)에서 격벽(530)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 디스펜싱하고, 이후에 건조 또는 소성 공정을 거쳐 형광체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다음 도 5b와 같이 제 1 격벽(530b)의 상부가 곡률을 갖지 않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경우에는 도 5a와 같은 디스펜싱 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디스펜싱된 형광체 재료(540)가 제 1 격벽(530b)을 타고 제 2 격벽(530a)의 상부까지 번질 수 있다. 심지어는 디스펜싱된 형광체 재료(540)가 인접하는 다른 방전 셀로 넘어갈 수도 있다. 이를 형광체 번짐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형광체 번짐 현상은 디스펜싱되는 형광체 재료(540)가 페이스트 상태 또는 슬러리 상태로서 소정의 점도 및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형광체 재료(540)가 인접하는 다른 방전 셀로 넘어가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형광체 층이 섞이는 혼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R) 형 광체 재료와 녹색(G) 형광체 재료가 섞임으로써 구동 시 적색(R)도 아니고 녹색(G)도 아닌 광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의 화질이 악화될 수 있다.
또는, 형광체 재료(540)가 제 2 격벽(530a)의 상부에 올라가는 경우에는 전면 기판(미도시)과 후면 기판(미도시)의 합착 시 합착 불균형이 발생하여 구동 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c와 같이 제 1 격벽(112b)의 상부가 곡률을 갖게 되면, 예를 들어 제 1 격벽(112b)이 중앙부분의 높이가 가장자리보다 높은 볼록한 형상인 경우에는 앞선 도 5a와 같은 형광체 디스펜싱 공정 시 디스펜싱된 형광체 재료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 1 격벽(112b)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격벽(112b) 또는 제 2 격벽(112a)의 하측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선 도 5b와 같은 형광체 번짐 현상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선 도 4c에서와 같이 제 1 격벽(112b)의 중앙부분의 높이가 가장자리보다 더 낮은 오목한 형상인 경우에도 앞선 도 5a와 같은 형광체 디스펜싱 공정 시 디스펜싱된 형광체 재료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 1 격벽(112b)의 중앙부분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선 도 5b와 같은 형광체 번짐 현상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 격벽(112b)의 최소 높이는 최대 높이의 80%이상 99.9%이하일 수 있고, 또는 95%이상 99%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선 도 4b에서 제 1 격 벽(112b)의 중앙부분(ha)의 높이가 10㎛(마이크로미터)라고 가정하면 제 1 격벽(112b)의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hb)는 8㎛(마이크로미터)이상 9.99㎛(마이크로미터)이하이거나 또는 9.5㎛(마이크로미터)이상 9.9㎛(마이크로미터)이하일 수 있다. 또는 앞선 도 4c에서 제 1 격벽(112b)의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hd)가 10㎛(마이크로미터)라고 가정하면 제 1 격벽(112b)의 중앙부분의 높이(hc)는 8㎛(마이크로미터)이상 9.99㎛(마이크로미터)이하이거나 또는 9.5㎛(마이크로미터)이상 9.9㎛(마이크로미터)이하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형광체 번짐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배기 및 가스 주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구동 시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격벽(112b)의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의 차이는 대략 0.1㎛(마이크로미터)이상 20㎛(마이크로미터)이하일 수 있고, 또는 대략 1㎛(마이크로미터)이상 5㎛(마이크로미터)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경우에도 형광체 번짐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배기 및 가스 주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구동 시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 도 6a 내지 도 6b는 격벽의 또 다른 구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살펴보면 제 1 격벽(610) 및 제 2 격벽(6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 도 6a와 같이 제 1 격벽(610) 및 제 2 격벽(600)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격벽(610)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격벽(610)에 홈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배기 및 방전 가스 주입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b를 살펴보면, 제 1 격벽(630) 및 제 2 격벽(62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는 블랙층(64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 도 6b에서와 같이 제 1 격벽(630) 및 제 2 격벽(620)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격벽(620)의 상부에 블랙층(6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층(640)은 제 2 격벽(620)에 의한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고 아울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경을 상대적으로 어둡게 함으로써 콘트라스트(Contrast)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Fram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은 발광횟수가 다른 복수의 서브필드로 나누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서브필드 중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는 다시 방전 셀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셋 기간(Reset Period), 방전될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Sustain Period)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56 계조로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예컨대 하나의 영상 프레임은, 도 7과 같이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지고, 8개의 서브 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으로 다시 나누어질 수 있다.
한편, 서스테인 기간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하여 해당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서스테인 기간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필드에 소정의 계조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20 으로 설정하고, 제 2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21 으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각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가 2n(단, n = 0, 1, 2, 3, 4, 5, 6, 7)의 비율로 증가되도록 각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에서 계조 가중치에 따라 각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예컨대 1초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1초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60개의 영상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영상 프레임의 길이(T)는 1/60 초, 즉 16.67ms일 수 있다.
여기 도 7에서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진 경우만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이루는 서브필드 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부터 제 12 서브필드까지의 12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10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 도 7에서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계조 가중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서브필드들이 배열되었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서브필드들이 계조 가중치가 감소하는 순서에 따라 배열될 수도 있고, 또는 계조 가중치에 관계없이 서브필드들이 배열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 도 8을 살펴보면 앞선 도 7과 같은 영상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필드 어느 하나의 서브필드(Subfield)에서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먼저, 리셋 기간 이전의 프리(Pre) 리셋 기간에서 제 1 전극(Y)에 제 1 하강 램프(Ramp-Down)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전극(Y)에 제 1 하강 램프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제 1 하강 램프 신호와 반대 극성 방향의 프리(Pre) 서스테인 신호가 제 2 전극(Z)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Y)에 공급되는 제 1 하강 램프 신호는 제 1 전압(V1)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아울러, 프리 서스테인 신호는 프리 서스테인 전압(Vpz)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 서스테인 전압(Vpz)은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SUS)의 전압, 즉 서스테인 전압(Vs)과 대략 동일한 전 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 리셋 기간에서 제 1 전극(Y)에 제 1 하강 램프 신호가 공급되고, 이와 함께 제 2 전극(Z)에 프리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면 제 1 전극(Y) 상에 소정 극성의 벽 전하(Wall Charge)가 쌓이고, 제 2 전극(Z) 상에는 제 1 전극(Y)과 반대 극성의 벽 전하들이 쌓인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Y) 상에는 양(+)의 벽 전하(Wall Charge)가 쌓이고, 제 2 전극(Z) 상에는 음(-)의 벽 전하가 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의 리셋 기간에서 충분한 세기의 셋업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초기화를 충분히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리셋 기간에서 제 1 전극(Y)으로 공급되는 상승 램프 신호(Ramp-Up)의 전압이 더 작아지더라도 충분한 세기의 셋업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구동 시간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영상 프레임의 서브필드 중에서 시간상 가장 먼저 배열되는 서브필드에서의 리셋 기간이전에 프리 리셋 기간이 포함되거나 영상 프레임의 서브필드 중 2개 또는 3개의 서브필드에서 리셋 기간이전에 프리 리셋 기간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이러한 프리 리셋 기간은 모든 서브필드에서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 리셋 기간 이후,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의 셋업(Set-Up) 기간에서는 제 1 전극(Y)으로 제 1 하강 램프 신호와 반대 극성 방향의 상승 램프(Ramp-Up)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승 램프 신호는 제 2 전압(V2)부터 제 3 전압(V3)까지 제 1 기울 기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제 1 상승 램프 신호와 제 3 전압(V3)부터 제 4 전압(V4)까지 제 2 기울기로 상승하는 제 2 상승 램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셋업 기간에서는 상승 램프 신호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 즉 셋업 방전이 일어난다. 이 셋업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느 정도의 벽 전하(Wall Charge)가 쌓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상승 램프 신호의 제 2 기울기는 제 1 기울기보다 더 완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기울기를 제 1 기울기보다 더 완만하게 하게 되면, 셋업 방전이 발생하기 이전까지는 전압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시키고, 셋업 방전이 발생하는 동안에는 전압을 상대적으로 느리게 상승시키는 효과를 획득함으로써, 셋업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광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트라스트(Contrast)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셋업 기간 이후의 셋다운(Set-Down) 기간에서는 상승 램프 신호 이후에 이러한 상승 램프 신호와 반대 극성 방향의 제 2 하강 램프(Ramp-Down) 신호가 제 1 전극(Y)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하강 램프 신호는 제 5 전압(V5)부터 제 6 전압(V6)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전 셀 내에서 미약한 소거 방전(Erase Discharge), 즉 셋다운 방전이 발생한다. 이 셋다운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전하가 균일하게 잔류된다.
다음, 도 9a 내지 도 9b는 상승 램프 신호 또는 제 2 하강 램프 신호의 또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a를 살펴보면, 상승 램프 신호는 제 2 전압(V2)부터 제 3 전압(V3)까지는 급격히 상승한 이후에 제 3 전압(V3)부터 제 4 전압(V4)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상승 램프 신호는 도 8에서와 같이 두 단계에 걸쳐 서로 다른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도 가능하고, 여기 도 9a에서와 같이 하나의 단계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도 가능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 도 9b를 살펴보면 제 2 하강 램프 신호는 제 8 전압(V8)에서부터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형태이다. 여기서, 제 8 전압(V8)은 제 3 전압(V3)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 하강 램프 신호는 전압이 하강하는 시점을 다르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제 2 하강 램프 신호의 최저 전압, 즉 제 6 전압(V6)보다는 높은 전압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스캔 바이어스 신호가 제 1 전극(Y)에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스캔 바이어스 신호로부터 스캔 전압(ΔVy)만큼 하강하는 스캔 신호(Scan)가 제 1 전극(Y1~Yn)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전극(Y) 중 첫 번째 제 1 전극(Y1)에 첫 번째 스캔 신호(Scan 1)가 공급되고, 이후에 두 번째 제 1 전극(Y2)에 두 번째 스캔 신 호(Scan 2)가 공급되고, n 번째 제 1 전극(Yn)에는 n 번째 스캔 신호(Scan n)가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서브필드 단위로 스캔 신호(Scan)의 폭은 가변적일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에서 스캔 신호(Scan)의 폭은 다른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Scan)의 폭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시간상 뒤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Scan)의 폭이 앞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Scan)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서브필드의 배열 순서에 따른 스캔 신호(Scan) 폭의 감소는 2.6㎲(마이크로초), 2.3㎲(마이크로초), 2.1㎲(마이크로초), 1.9㎲(마이크로초) 등과 같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2.6㎲(마이크로초), 2.3㎲(마이크로초), 2.3㎲(마이크로초), 2.1㎲(마이크로초)......1.9㎲(마이크로초), 1.9㎲(마이크로초) 등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스캔 신호(Scan)가 제 1 전극(Y)으로 공급될 때, 스캔 신호에 대응되게 제 3 전극(X)에 데이터 전압의 크기(ΔVd)만큼 상승하는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신호(Scan)와 데이터 신호(Data)가 공급됨에 따라, 스캔 신호(Scan)의 전압과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전압(Vd) 간의 전압 차와 리셋 기간에 생성된 벽 전하들에 의한 벽 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 신호의 전압(Vd)이 공급되는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어드레스 기간에서 제 2 전극(Z)의 간섭에 의해 어드레스 방전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전극(Z)에 서스테인 바이어스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서스테인 바이어스 신호는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보다는 작고 그라운드 레벨(GND)의 전압보다는 큰 서스테인 바이어스 전압(Vz)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영상 표시를 위한 서스테인 기간에서는 제 1 전극(Y) 및 제 2 전극(Z)에 중 적어도 하나에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Y)과 제 2 전극(Z)에 교호적으로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되면,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은 방전 셀 내의 벽 전압과 서스테인 신호(SUS)의 서스테인 전압(Vs)이 더해지면서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될 때 제 1 전극(Y)과 제 2 전극(Z) 사이에 서스테인 방전 즉, 표시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다음, 도 10은 서스테인 신호의 또 다른 타입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살펴보면, 제 1 전극(Y) 또는 제 2 전극(Z)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예를 들면 제 1 전극에 양(+)의 서스테인 신호와 음(-)의 서스테인 신호가 번갈아가면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전극에 양의 서스테인 신호와 음의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나머지 전극, 예컨대 제 2 전극(Z)에는 바이어스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어스 신호는 그라운드 레벨(GND)의 전압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 도 10에서와 같이 제 1 전극(Y) 또는 제 2 전극(Z)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만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 1 전극(Y) 또는 제 2 전극(Z)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들이 배치되는 하나의 구동 보드만이 구비되면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격벽의 상부가 곡률을 갖도록 함으로써 배기 및 방전 가스 주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형광체 번짐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 전면 기판;상기 전면 기판과 대항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 및상기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상기 격벽은 서로 교차하는 제 1 격벽과 제 2 격벽을 포함하고,상기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는 곡률을 갖고,상기 제 1 격벽과 제 2 격벽 중 상기 제 1 격벽의 높이가 상기 제 2 격벽의 높이보다 낮고,상기 제 1 격벽의 상부는 곡률을 갖고,상기 제 1 격벽은 방전 셀에서 중앙부분의 높이가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보다 높고,상기 제 1 격벽의 최소 높이는 최대 높이의 80%이상 99.9%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격벽의 최소 높이는 최대 높이의 95%이상 99%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격벽의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의 차이는 0.1㎛(마이크로미터)이상 20㎛(마이크로미터)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격벽의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의 차이는 1㎛(마이크로미터)이상 5㎛(마이크로미터)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0543A KR100820683B1 (ko) | 2006-10-16 | 2006-10-16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CNA2007101467143A CN101136302A (zh) | 2006-10-16 | 2007-08-17 | 等离子显示板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0543A KR100820683B1 (ko) | 2006-10-16 | 2006-10-16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0683B1 true KR100820683B1 (ko) | 2008-04-11 |
Family
ID=3916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0543A KR100820683B1 (ko) | 2006-10-16 | 2006-10-16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0683B1 (ko) |
CN (1) | CN101136302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26624A (ja) * | 1999-10-22 | 2001-05-11 | Kyocera Corp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とその製造方法 |
KR20060090054A (ko) * | 2005-02-07 | 2006-08-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그의 제조방법 |
-
2006
- 2006-10-16 KR KR1020060100543A patent/KR1008206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08-17 CN CNA2007101467143A patent/CN101136302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26624A (ja) * | 1999-10-22 | 2001-05-11 | Kyocera Corp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とその製造方法 |
KR20060090054A (ko) * | 2005-02-07 | 2006-08-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그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136302A (zh) | 2008-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4819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836563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20964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20683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11605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11472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844827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20963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72363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62568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62566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67585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11485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77828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11591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20977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11529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35763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36561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11589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20080034381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20080017204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20080023609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20080026443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20080032773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