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613B1 -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613B1
KR101095613B1 KR1020097014786A KR20097014786A KR101095613B1 KR 101095613 B1 KR101095613 B1 KR 101095613B1 KR 1020097014786 A KR1020097014786 A KR 1020097014786A KR 20097014786 A KR20097014786 A KR 20097014786A KR 101095613 B1 KR101095613 B1 KR 101095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in
cam member
axial
projections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331A (ko
Inventor
토시히로 시미쯔
토시히코 오카와라
테츠 히라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9009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5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inclined surfaces, e.g. spiral or helicoid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8Details of fastening means or of fixed retaining means for the ends of bars
    • E05C9/1825Fastening means
    • E05C9/1833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 E05C9/185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parallel with actuating b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34Sli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34Sliding
    • Y10T292/0836Operating means
    • Y10T292/0837Cam and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34Sliding
    • Y10T292/0836Operating means
    • Y10T292/0839Link and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1014Operating means
    • Y10T292/1017Flex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1Retractable or flush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연결 상태에서의 덜컹거림이 경감되도록 한 록킹 장치를 제공한다. 록킹 장치의 슬라이드 핀(3)의 캠 부재(4)로의 연결 단부(3c)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한 기둥 형상부(32)와, 상기 기둥 형상부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한 양측 돌출부(33, 33)가 설치되고, 캠 부재(4)의 슬라이드 핀으로의 연결 단부(4a)에는, 상기 기둥 형상부를 수용하는 축 방향 오목부(41) 및 상기 축 방향 오목부의 도중으로부터 확경하여 상기 양측 돌출부를 수용하는 폭 방향 오목부(42)로 이루어지는 수용 오목부(40)와, 상기 수용 오목부의 축 방향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 돌출 방향의 단부를 축 방향으로 누르면서, 상기 단부에 결합하는 탄성 결합편(4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폭 방향 오목부의 양측 내면에, 상기 양측 돌출부에 결합하는 걸림 단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Description

록킹 장치{LOCK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글로브 박스 등에 사용되는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록킹 장치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특허공개 2005-12702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일본특허공개 2005-127020호 공보에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체, 이 지지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수납 공간을 폐색하는 뚜껑체, 이 뚜껑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지지체에 걸림·이탈하는 슬라이드 핀, 이 슬라이드 핀에 힘을 가하여 지지체에 걸리게 하는 스프링 부재, 뚜껑체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슬라이드 핀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 핸들, 이 조작 핸들의 요동을 슬라이드 핀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기구를 가지는 록킹 장치에 있어서, 조작 핸들 또는 슬라이드 핀의 어느 일방에 연결 설치되는 외측 원통 부재, 타방에 연결 설치되어 이 외측 원통 부재에 동일한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내측 원통 부재, 외측 원통 부재와 내측 원통 부재에 동시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O 링을 가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특허공개 2005-127020호 공보에는, 외측 원통 부재를 조작 핸들에 설치하고, 내측 원통 부재를 캠 부재로 하고, 이 캠 부재의 외측 단부를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핀의 연결측의 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삽입부를 설치하고, 이 삽입부에 상기 각기둥 형상 단부의 측벽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삽입부를 상기 각통 형상 단부에 삽입하고, 상기 돌기를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시켜 빠짐방지하도록 한 실시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특허공개 2005-127020호 공보에 기재된 록킹 장치에서는, 캠 부재의 각기둥 형상 단부에 슬라이드 핀의 연결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를 축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연결하는 구성을 이루므로, 삽입 조작을 하기 어렵고, 조립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삽입부의 돌기를 각기둥 형상 단부의 결합구멍에 결합시켜도, 삽입부와 각기둥 형상 단부의 틈새나, 돌기와 결합구멍의 틈새에 의해 덜컹거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엇다. 또한 캠 부재의 각기둥 형상 단부의 형상이 복잡하여. 금형 구조가 복잡화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핸들에 연동하는 캠 기구에 의해 슬라이드 핀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록킹 해제를 행하도록 한 록킹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연결 상태에서의 덜컹거림이 경감되도록 한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체; 이 지지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수납 공간을 폐색하는 뚜껑체; 이 뚜껑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지지체에 걸림·이탈하는 슬라이드 핀; 이 슬라이드 핀에 힘을 가하여 지지체에 걸리게 하는 스프링 부재; 상기 뚜껑체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된 조작 핸들; 이 조작 핸들에 연결된 통 형상 부재; 이 통 형상 부재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핀과 연결되는 캠 부재; 상기 조작 핸들의 요동 동작을 상기 슬라이드 핀의 축 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상기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캠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캠 기구를 구비한 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캠 부재로의 연결 단부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한 기둥 형상부와 이 기둥 형상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한 양측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핀으로의 연결 단부에는, 상기 기둥 형상부를 수용하는 축방향 오목부 및 이 축방향 오목부의 도중으로부터 폭이 확대되어 상기 양측 돌출부를 수용하는 폭 방향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수용 오목부와; 이 수용 오목부의 축 방향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 돌출 방향의 단부를 폭 방향으로 누르면서 이 단부에 결합하는 탄성 결합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핀의 연결 단부에 형성된 기둥 형상부 및 양측 돌출부를 캠 부재의 연결 단부에 형성된 축방향 오목부 및 폭방향 오목부에 삽입하면, 슬라이드 핀의 축방향 단부가 탄성 결합편에 결합하여,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가 캠 부재의 폭방향 오목부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핀이 축방향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핀을 캠 부재에 대하여 축방향과는 직각 방향으로부터 끼워 연결할 수 있이므로, 슬라이드 핀의 캠 부재로의 끼움 작업이 쉬워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결합편이 슬라이드 핀의 단부를 축방향으로 누르므로,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가 캠 부재의 폭방향 오목부 내주에 압접(壓接)되어,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캠 부재의 연결 단부는,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수용 오목부를 가지고 전체적으로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성형을 위한 금형 구조도 비교적 간단해진다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체; 이 지지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수납 공간을 폐색하는 뚜껑체; 이 뚜껑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지지체에 걸림·이탈하는 슬라이드 핀; 이 슬라이드 핀에 힘을 가하여 지지체에 걸리게 하는 스프링 부재; 상기 뚜껑체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된 조작 핸들; 이 조작 핸들에 연결된 통 형상 부재; 이 통 형상 부재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핀과 연결되는 캠 부재; 상기 조작 핸들의 요동 동작을 상기 슬라이드 핀의 축 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상기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캠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캠 기구를 구비한 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캠 부재로의 연결 단부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한 기둥 형상부와 이 기둥 형상부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한 양측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핀으로의 연결 단부에는, 상기 기둥 형상부를 수용하는 축방향 오목부 및 이 축방향 오목부의 도중으로부터 폭이 확대되어 상기 양측 돌출부를 수용하는 폭 방향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수용 오목부와; 상기 폭 방향 오목부의 양측 안쪽에 형성된, 상기 양측 돌출부에 결합하는 걸림 단부(段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핀의 연결 단부에 형성된 기둥 형상부 및 양측 돌출부를 캠 부재의 연결 단부에 형성된 축방향 오목부 및 폭방향 오목부에 삽입하면,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가 캠 부재의 폭 방향 오목부의 안쪽에 형성된 걸림 단부(段部)에 결합하여,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가 캠 부재의 폭방향 오목부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핀이 축방향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핀을 캠 부재에 대하여 축방향과는 직각 방향으로부터 끼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가 캠 부재의 걸림 단부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핀의 단부가 좌우 양측에서 눌려지므로, 덜컹거림없이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체; 이 지지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수납 공간을 폐색하는 뚜껑체; 이 뚜껑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지지체에 걸림·이탈하는 슬라이드 핀; 이 슬라이드 핀에 힘을 가하여 지지체에 걸리게 하는 스프링 부재; 상기 뚜껑체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된 조작 핸들; 이 조작 핸들에 연결된 통 형상 부재; 이 통 형상 부재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핀과 연결되는 캠 부재; 상기 조작 핸들의 요동 동작을 상기 슬라이드 핀의 축 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상기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캠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캠 기구를 구비한 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캠 부재로의 연결 단부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한 기둥 형상부와 이 기둥 형상부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한 양측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핀으로의 연결 단부에는, 상기 기둥 형상부를 수용하는 축방향 오목부 및 이 축방향 오목부의 도중으로부터 폭이 확대되어 상기 양측 돌출부를 수용하는 폭 방향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수용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의 기부(基部)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과 상기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단면의 맞댐면이, 상기 양측 돌출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에서의 후방측에서 서로 근접 대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핀의 연결 단부에 형성된 기둥 형상부 및 양측 돌출부를 캠 부재의 연결 단부에 형성된 축방향 오목부 및 폭방향 오목부에 삽입함에 따라,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가 캠 부재의 폭 방향 오목부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핀이 그 축방향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핀이 양측 돌출부를 중심으로 하여 굴곡되거나, 또는 요동하려고 해도,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기부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과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맞댐면이,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에서의 후방측에서 서로 근접 대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근접 대치한 부분에서 맞닿아, 굴곡 또는 요동을 방지할 수 있어, 슬라이드 핀을 덜컹거림없이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는, 상기 제1 내지 제3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의 기부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에는, 상기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폭 방향 양측에 맞닿는 한 쌍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핀의 연결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부가,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폭 방향 양측에 맞닿으므로,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양측벽이 폭 방향 외측으로 열리는 것을 억제하여,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가 캠 부재의 폭 방향 오목부에 삽입되었을 때, 이 양측 돌출부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캠 부재의 폭 방향 오목부에 걸림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걸림 단부에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는, 상기 제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의 기부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부가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연결 단부에는 그 양측 각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의 도중까지 안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내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핀의 끼움 방향을 잘못하여 그 반대면 측으로부터 캠 부재의 수용 오목부에 삽입하려고 했을 때, 한 쌍의 돌출부가 먼저 안내 오목부에 삽입되고, 안내 오목부가 삽입 방향의 도중까지밖에 없음으로 인해, 완전히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잘못 끼움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은, 상기 제1 내지 제5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의 각 단면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 부재의 폭 방향 오목부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하는 걸림 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의 각 단면에 설치한 결합 돌기가 캠 부재의 폭 방향 오목부의 걸림 단부에 결합하므로, 빠짐방지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은, 상기 제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의 기부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에는 상기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양측에 맞닿는 한 쌍의 돌출부가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고, 이 돌출부가 상기 양측 돌출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보다도 상기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돌출부가 양측 돌출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보다도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바꿔 말하면, 수용 오목부의 개구부 가까이)에 배치되어, 캠 부재의 양측벽이 열리지 않도록 누르므로, 양측 돌출부의 결합 돌기가 폭방향 오목부의 결합 단부에 결합했을 때의 빠짐 방지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은, 상기 제1 내지 제7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축방향 단면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으로 치우쳐 선단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의 수용 오목부의 축방향 내부에는 상기 선단 돌기가 결합하는 걸림 갈고리부를 가지는 탄성 결합편이 설치되어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축방향 단면에 설치된 선단 돌기가, 수용 오목부의 축방향 내부에 설치된 탄성 결합편의 걸림 갈고리부를 휘게 하면서 삽입되므로, 슬라이드 핀의 연결 단부의, 캠 부재의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결합했을 때에는 강한 빠짐 방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는, 상기 제8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편이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부에 있어서, 개구측으로부터 바닥부측을 향해 굴곡하여 연장하고, 그 하단부에 상기 걸림 갈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탄성 결합편을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핀의 연결 단부를 삽입할 때, 탄성 결합편을 휘게 하여 삽입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0은, 상기 제8 또는 제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단 돌기가 상기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축방향 단면의 중심보다도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축방향 단면의 선단 돌기가 삽입 방향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상기 수용 오목부의 바닥부측에서 상기 탄성 결합편에 결합하므로, 보다 빠지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제11은, 상기 제1 내지 제10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가 그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한, 상기 캠 부재의 폭 방향 오목부가 상기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의 적어도 일면이 들어맞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루는 양측 돌출부의 적어도 일면이 폭방향 오목부의 내면에 딱 들어맞게 맞닿도록 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핀의 덜컹거림을 억제하여 캠 부재에 대하여 높은 강성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슬라이드 핀이 수용 오목부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덜컹거림에 기인하는 채터 진동(chatter vibration)을 방지하여 이음(異音)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어, 조작 핸들을 움직였을 때의 지지체에 대한 슬라이드 핀의 걸림·이탈 동작이 부드럽게 행해진다.
또한,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의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루고 있음에 따라, 수용 오목부의 내면과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의 맞닿음 면적이 증대하여, 그 결과, 양측 돌출부의 수용 오목부에 대한 접촉면압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뚜껑체의 개폐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와 캠 부재의 수용 오목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운동이 반복하여 행해져도,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와 캠 부재의 수용 오목부의 마모를 적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슬라이드 핀의 수용 오복부로부터의 빠져나옴 방지나 채터 진동의 방지, 이음의 억제,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일체성 향상 등의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는, 상기 제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양측 돌출부의 각 단면의,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핀의 결합 돌기는, 양측 돌출부의 각 단면의, 슬라이드 핀의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핀의 결합 돌기에 결합하는 걸림 단부를 슬라이드 핀의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 오목부의 폭 방향 오목부의 내면에 설치한 걸림 단부가 외측으로 휘기 쉬워지고, 슬라이드 핀의 연결 단부를 수용 오목부로 삽입할 때의 누르는 힘을 저감할 수 있어, 슬라이드 핀의 캠 부재에 대한 끼움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은, 상기 제1 내지 제12의 발명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가 그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한 상기 캠 부재의 축 방향 오목부가 상기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적어도 일면이 들어맞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캠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핀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에,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룬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적어도 일면이, 캠 부재의 축방향 오목부의 내주면에 딱 들어맞게 맞닿으므로, 슬라이드 핀이 도는 것이 방지된다. 그에 따라, 슬라이드 핀의 회전 방향에 대한 덜컹거림을 억제하고, 높은 강성으로 캠 부재에 유지시킬 수 있어,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동(同) 록킹 장치의 캠 부재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 (c)는 배면도, (d)는 (a)의 B-B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록킹 장치의 조작 핸들의 원통부에 캠 부재를 수납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연결 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동 조작 핸들에 있어서 캠 부재를 압축 코일 스프링에 대항하여 끌어넣은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동 록킹 장치의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고, (a)는 슬라이드 핀의 연결 단부의 사시도, (b)는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슬라이드 핀을 나타내고, (a)는 중간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b)는 중간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동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연결 구조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동 록킹 장치를 글로브 박스에 장착하고, 록킹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동 록킹 장치를 글로브 박스에 장착하고, 록킹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동 록킹 장치를 적용한 글로브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슬라이드 핀의 연결 단부의 사시도, (b)는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 록킹 장치의 슬라이드 핀을 나타내고, (a)는 중간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b)는 중간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동 록킹 장치의 캠 부재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 (c)는 배면도, (d)는 (a)의 C-C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 록킹 장치의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고, (a)는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절단 방향을 바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동 록킹 장치의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9는 동 록킹 장치의 슬라이드 핀을 나타내고, (a)는 중간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b)는 중간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c)는 (a)의 E-E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도, (d)는 (a)의 F-F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동 록킹 장치의 캠 부재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 (c)는 배면도, (d)는 (a)의 C-C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동 록킹 장치의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고, (a)는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절단 방향을 바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작 핸들
2 지지틀
3 슬라이드 핀
3c 연결 단부
4 캠 부재
4a 연결 단부
4b 캠측 단부
5 압축 코일 스프링(스프링 부재)
6 원통부
7 제1 볼록부
8 제2 볼록부
9 슬릿
10 나사구멍
11 굴곡벽
12 개구
16 플랜지부
20 캠 홈
20a 유도홈
21 록킹 홈
21a 모서리부
22 단차부
23 오목홈
24 O링
25 수납홈
28 스트라이커
31 록킹 구멍
32 기둥 형상부
33 양측 돌출부
34 각부
35 돌출부
36 선단 돌기
37, 37a 결합 돌기
38 리브
40 수용 오목부
41 축방향 오목부
42 폭방향 오목부
43, 43a 걸림 갈고리부
44, 44a 탄성 결합편
45 안내 오목부
46 걸림 단(段)부
B 글로브 박스(뚜껑체)
P 인스트루먼트 패널(지지체)
이하, 도 1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록킹 장치는, 도 12에 도시한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글로브 박스(B)의 사이드 록킹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아래쪽’,‘위쪽’이라는 말은, 도면상의 상하를 의미하고, 실제로 장착되는 상태에서의 상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는 글로브 박스(B)를 수용하는 수납 공간(S)이 설치되고, 글로브 박스(B)는 이 수납 공간(S)의 내부에 설치된 미도시의 지축을 통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납 공간(S)의 내측의 양측벽에는 록킹 구멍(31, 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납 공간(S)의 개구부 윗변에는, 스트라이커(28)가 설치되어 있다. 글로브 박스(B)는 상부가 개구한 용기 형상을 이루고, 그 전면(前面) 상부에 조작 핸들(1)이 설치되며, 이 조작 핸들(1)로부터 양측으로 한쌍의 슬라이드 핀(3,3)이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드 핀(3, 3)은 글로브 박스(B)의 양측벽으로부터 돌출하고, 글로브 박스(B)를 닫았을 때에 상기 록킹 구멍(31, 31)에 삽입되어, 글로브 박스(B)를 닫은 상태로 록킹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조작 핸들(1)을 몸쪽으로 당기면, 슬라이드 핀(3, 3)이 글로브 박스(B)로 끌어넣어지고, 록킹 구멍(31, 31)으로부터 빠져 록킹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록킹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글로브 박스(B)의 전면(前面)에 형성되는 오목부 내에 있고, 글로브 박스(B)의 개폐를 담당하는 조작 핸들(1); 이 조작 핸들(1)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오목부 내에서 연장 돌출하는 설치벽에 나사 고정되는 지지틀(2);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핀(3); 이 좌우의 각 슬라이드 핀(3)의 진퇴 운동을 촉진하는 좌우 한 쌍의 캠 부재(4); 좌우의 각 슬라이드 핀(3)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측에 형성된 록킹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2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5); 및 상기 캠 부재(4) 측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제동력을 발휘하는 O링(24)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조작 핸들(1)은, 도 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배면측에 캠 부재(4)와 압축 코일 스프링(5)을 좌우에서 개개로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외측 원통 부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원통부(6)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각 원통부(6)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캠 부재(4)의 캠 홈(20) 내를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볼록부(7)와 각 원통부(6)의 제1 볼록부(7)보다도 안쪽에 위치되고 동(同) 록킹 홈(21)에 수용되는 한 개의 제2 볼록부(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기둥 형상의 각 볼록부(7·8)의 형성시에는, 개개의 원통부(6)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9)을 설치하고, 이 슬릿(9)과 대향하는 원통부(6)의 내면에 제1 볼록부(7)와 비교하여 짧고 가는 제2 볼록부(8)를 형성하고, 슬릿(9)의 내주 개구 가장자리측에 일방의 제1 볼록부(7)를 형성함과 함께, 이 일방의 제1 볼록부(7)와 대향하는 원통부(6)의 내면에 타방의 제1 볼록부(7)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볼록부(7)는, 상기한 제2 볼록부(8)와 비교하면, 길고 굵은 형상이 부여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제1 볼록부(7)와 캠홈(20)은 협동하여, 조작 핸들(1)의 요동 운동을 슬라이드 핀(3)의 직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기구를 구성한다.
지지틀(2)은, 그 배면측에 복수의 나사구멍(10)을 형성함과 함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원통부(6) 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벽(11)을 연장 설치하고, 이 각 굴곡벽(11)의 중앙부에 각 캠 부재(4)의, 슬라이드 핀(3)으로의 연결측의 단부(4a; 이하, '연결 단부’라고 함)의 출몰을 허용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12)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핀(3)은, 각각의 선단부(3a)가 글로브 박스(B)의 표면측을 향해 점차 얇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그에 따라 글로브 박스(B)의 이면측(닫을 때의 밀어넣는 방향)에 테이퍼면(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글로브 박스(B)를 닫을 때에, 상기 테이퍼면(3b)이 수납 공간(S)의 양측 가장자리에 닿아 슬라이드 핀(3)이 글로브 박스(B) 내로 끌어넣어져, 글로브 박스(B)를 수납 공간(S) 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슬라이드 핀(3)의 캠 부재(4)로의 연결측의 단부(3c;이하, ‘연결 단부’라고 함)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캠 부재(4)의 연결 단부(4a)에 결합하는 연결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구조가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을 이루는 것인데, 그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 쌍의 캠 부재(4)는 좌우 대칭으로 성형되는 것인데, 기본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플랜지부(16)를 경계로 하여, 일단이 상자 형상으로 성형된 연결 단부(4a)를 이루고, 타단이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캠측 단부(4b)를 이루고 있다.
캠측 단부(4b)에 대해서는, 그 외주에 거의 직각 삼각 형상을 이루는 캠 홈(20)과 캠 부재(4)의 축선에 평행한 유도홈(20a)을 형성하고, 이 캠 홈(20)과 유도홈(20a)은 벽을 사이에 두고 같은 깊이로 형성되는데, 플랜지부(16)의 근방에 캠 홈(20)과 유도홈(20a)을 잇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도홈(20a)은 캠측 단부(4b)의 단면까지 달하고 있고, 캠 부재(4)를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한 제1 볼록부(7)가 해당 단면측으로부터 유도홈(20a)으로 들어가고, 상기 통로를 통해 거의 직각 삼각 형상의 캠 홈(20) 내로 도입된다. 그리고 록킹 장치가 다 짜여진 후, 조작 핸들(1)을 쥐고 끌어올리면, 제1 볼록부(7)가 캠 홈(20)을 형성하는 거의 직각 삼각 형상의 사변 홈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캠측 단부(4b)에는, 축선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킨 위치에도, 상기와 동일한 캠 홈(20)과 유도홈(20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제1 볼록부(7)가 대응하는 캠 홈(20)에 이끌려 들어가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일방의 캠 홈(20)의 사변 근방에는, 외주면보다도 낮고, 캠 홈(20)의 바닥면보다도 높은 단차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부(22) 상에 제2 볼록부(8)를 수용하는 록킹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 홈(21)은, 거의 직각 삼각 형상의 캠 홈(20)의 사변의 외측에서, 외주면과 같은 높이의 벽을 캠측 단부(4b)의 단면 외주를 따라 L자 형상으로 연장 돌출함과 함께, 그 선단(21a)을 축 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벽의 내측의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볼록부(7)는, 그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캠 홈(2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운동할 때에, 단차부(22)로 올라갈 수 없어, 록킹 홈(21)으로는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 다. 한편, 제2 볼록부(8)는, 그 길이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단차부(22) 상을 슬라이드 운동하여 록킹 홈(21)에 결합할 수 있는데, 캠 홈(20)으로 들어가도, 캠 홈(20)의 바닥부와 단차부(22) 사이의 단부(段部)에는 결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조립 방법에 의해, 제2 볼록부를 록킹 홈(21)으로부터 빼고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제1 볼록부(7)가 캠 홈(20)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할 때에 제2 볼록부(8)에 의해 슬라이드 운동이 저해되지 않아, 조작자에게 불쾌한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캠측 단부(4b)에는, 각 캠 홈(20)의 사변 홈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벽의 일부를 절단하고, 플랜지부(16)의 부착 베이스측에 상기한 O링(24)을 장착하는 수납 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 홈(25)에 O링(24)이 장착된다.
따라서, 이 록킹 장치를 끼우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한 캠 부재(4)의 각 수납홈(25) 내에 O링(24)을 장착한 상태를 얻고, 조작 핸들(1)의 각 원통부(6) 내에 좌우의 압축 코일 스프링(5)과 캠 부재(4)를 개개로 삽입한다. 이 경우, 캠 부재(4)의 캠측 단부(4b)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캠 홈(20)의 유도홈(20a) 내에, 대응하는 제1 볼록부(7)를 바라보게 하면서, 캠 부재(4)의 캠측 단부(4b)를 원통부(6) 내에 밀어넣어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해당 제1 볼록부(7)를 캠 홈(20) 내로 들어가게 하면, 좌우의 각 캠 부재(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압축 코일 스프링(5)의 스프링압으로 그 연결 단부(4a)를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로 힘을 받게 된다.
이어서 이번에는, 이 상태에 있는 조작 핸들(1)에 지지틀(2)을 부착하게 되 는데, 이 경우에는, 각 캠 부재(4)를 원통부(6) 내에 직선적으로 밀어 넣고나서 조작 핸들(1)을 조작 방향으로 요동시켜, 제1 볼록부(7)를 캠 홈(20)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행시킴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 홈(21)에 제2 볼록부(8)가 이끌려 들어가, 캠 부재(4) 전체가 원통부(6) 내로 끌어넣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지지틀(2)을 조작 핸들(1)의 배면측에 삽입되게 하면, 지지틀(2)을 조작 핸들(1)측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1 볼록부(7)가 캠 홈(20)의 깊은 바닥에 존재하고, 제2 볼록부(8)가 록킹 홈(21)의 얕은 바닥에 존재하게 되므로, 양 볼록부(7·8)끼리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상태인 채로 글로브 박스(B)의 오목부 내에서 연장 돌출하는 설치벽에 지지틀(2)을 나사 고정하면, 해당 오목부측에 조작 핸들(1)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경우, 좌우의 캠 부재(4)의 연결 단부(4a)가 외부로 돌출하고 있지 않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해짐과 함께, 납품하는 경우에도, 캠 부재(4)를 끌어넣은 상태로 납품할 수 있으므로, 납품 형태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와 캠 부재(4)의 연결 단부(4a)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에는, 그 중앙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기둥 형상부(32)와 이 기둥 형상부(32)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한 양측 돌출부(33, 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양측 돌출부(33, 33)는 기둥 형상부(32)에 대하여 거의 T자형으로 교차하는 축부로 구성되어 있다. 양측 돌출부(33, 33)는, 그 단면으로부터 봤을 때, 아래쪽 부분이 원호 형상을 이루고, 위쪽 단부가 각부(34)를 이루고 있다. 또한 기둥 형상부(32)의 기부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39)의 상변 양측 각부에는, 한 쌍의 돌출부(35, 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부(35, 35)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리브(38, 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부재(4)의 연결 단부(4a)는 전체적으로 정면이 개구된 상자형을 이루고, 상기 기둥 형상부(32)가 딱 들어맞는 축방향 오목부(41)와, 상기 양측 돌출부(33, 33)가 딱 들어맞는 폭 방향 오목부(42)로 이루어지는 수용 오목부(4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경우, 축방향 오목부(41)는 폭방향 오목부(42)의 사이를 통해 플랜지부(16)의 근방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6)의 근방에 이르는, 수용 오목부(40)의 안쪽의 단부에는, 이 수용 오목부(40)의 바닥벽으로부터 솟아오르고, 선단부에 걸림 갈고리부(43)를 가지는 탄성 결합편(44)이 배치되어 있다. 걸림 갈고리부(43)는 플랜지부(16)에 대하여 반대측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캠 부재(4)의 연결 단부(4a)의 상변 양측 각부에는, 슬라이드 핀(3)의 삽입 방향에서의 도중까지(높이 방향의 도중까지)의 길이이고, 노치 형상으로 형성된 안내 오목부(45, 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오목부(45, 45)에 슬라이드 핀(3)의 상기 돌출부(35, 35)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핀(3)을 캠 부재(4)에 연결시키는 작업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끼워진 조작 핸들(1) 및 지지틀(2)을 글로브 박스(B)의 전면의 오목부 내에 끼우고, 조작 핸들(1)을 움직여 캠 부재(4)의 연결 단부(4a)를 도 4에 도시한 상태가 되도록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핀(3)의 기둥 형상부(32), 양측 돌출부(33, 33)를 각각 수용 오목부(40)의 축 방향 오목부(41)와 폭 방향 오목부(42)에 삽입한다. 그러면,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결합편(44)이 휘어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를 수용하고, 연결 단부(3c)가 완전히 밀어 넣어지면, 탄성 결합편(44)의 걸림 갈고리부(43)가 각부(34)에 결합하고,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가 삽입 방향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핀(3)의 양측 돌출부(33, 33)가 수용 오목부(40)의 폭 방향 오목부(42)의 내주에 맞닿아, 축 방향으로의 빠짐이 방지도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핀(3)을 캠 부재(4)에 대하여 축 방향과는 직각 방향으로부터 끼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핀(3)의 연결을 위한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탄성 결합편(44)이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를 축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슬라이드 핀(3)의 양측 돌출부(33, 33)가 수용 오목부(40)의 폭 방향 오목부(42)의 내주에 압접되어,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핀(3)의 돌출부(35, 35)가 캠 부재(4)의 안내 오목부(45, 45)에 삽입되고, 슬라이드 핀(3)의 양측 돌출부(33, 33)보다도 삽입 방향의 앞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이 돌출부(35, 35)가 캠 부재(4)의 단면에 근접 대치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드 핀(3)을 캠 부재(4)에 대하여 상방(도 9의 (a)의 화살표 A 방향)으로 구부리려고 해도, 슬라이드 핀(3)의 돌출부(35, 35)가 캠 부재(4)의 단면에 맞닿아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핀(3)을 캠 부재(4)에 대하여 하방(도 9의 (a)의 화살표 B 방향)으로 구부리려고 한 경우에는, 리브(38, 38)가 캠 부재(4)의 단면에 맞닿아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돌출부(35, 35) 및 리브(38, 38)가 캠 부재의 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연결부의 덜컹거림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핀(3)의 돌출부(35, 35)는, 수용 오목부(40)의 양측벽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슬라이드 핀(3)의 양측 돌출부(33, 33)의 폭 방향 길이를 폭 방향 오목부(42)의 폭보다도 조금 크게 하여 양측 돌출부(33, 33)를 압입하도록 했다고 해도, 상기 돌출부(35, 35)에 의해 양측벽이 열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슬라이드 핀(3)을 덜컹거림 없이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3)은, 그 선단의 테이퍼면(3b)이 조작 핸들(1)의 전면측을 향하도록 끼워질 필요가 있는데, 가령 끼움 방향을 잘못하여 돌출부(35, 35)를 아래를 향하게 하여 삽입했다고 해도, 안내 오목부(45)가 삽입 방향의 도중까지밖에 없으므로, 슬라이드 핀(3)을 끼울 수 없어, 잘못 끼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핀(3)을 캠 부재(4)에 연결하고, 글로브 박스(B)에 장착한 상태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조작 핸들(1)을 요동 조작 시키지 않은 상태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 핀(3)이 압축 코일 스프링(5)의 부가 스프링압으로 신 장하여, 글로브 박스(B)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51)으로부터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록킹 구멍(31)에 걸려 들어가므로, 이에 따라 글로브 박스(B)가 폐색 상태로 록킹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조작 핸들(1)을 쥐고 끌어올리면, 조작 핸들(1)의 요동과 연동하는 원통부(6) 내의 제1 볼록부(7)가 대응하는 캠 홈(20)의 사변 홈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여, 캠 부재(4)를 원통부(6) 내로 끌어넣으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슬라이드 핀(3)의 선단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록킹 구멍(31)으로부터 후퇴하여, 글로브 박스(B)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이 허용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조작자가 작업 핸들(1)로부터 손을 떼면, 이것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원통부(6)의 제1 볼록부(7)와 캠 홈(20)의 구속이 풀려, 조작 핸들(1)은 압축 코일 스프링(5)의 스프링압으로 원통부(6)와 함께 역방향으로 급격한 기세로 요동하려고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핀(3)도 압축 코일 스프링(5)의 부가 스프링압을 받아 급격한 기세로 록킹 구멍(31) 방향으로 돌출하려고 하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외측 원통 부재인 조작 핸들(1)의 원통부(6)의 내면과 내측 원통 부재인 캠 부재(4)의 캠측 단부(4b)의 외면 사이에 O링(24)이 동시에 슬라이드 접촉하고 있으므로, 이 O링(24)의 슬라이드 운동 저항(제동력)으로 조작 핸들(1)은 천천히 비조작 위치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 핀(3)의 돌출량을 규제하는 스토퍼 끼리, 즉, 여기서는 조작 핸들(1)과 지지틀(2) 끼리가 강하게 충돌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큰 충돌음을 발생시킬 우려가 충분히 억제되게 되므로, 충돌 음이 장치의 파손을 상기시켜 조작자에게 불안감이나 불신감 혹은 불쾌감을 부여할 염려가 없어진다.
역으로, 개방된 글로브 박스(B)를 닫는 경우에는, 글로브 박스(B)가 폐색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록킹 구멍(31) 방향으로 돌출하는 각 슬라이드 핀(3)의 선단부의 테이퍼면(3b)이 대향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벽면에 맞닿아, 각 슬라이드 핀(3)의 선단부가 일단 직선적으로 후퇴하면서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압축 코일 스프링(5)의 부가 스프링압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록킹 구멍(31)에 걸려 들어가므로, 이에 따라 상기한 폐색 상태로 록킹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원통부(6)의 제1 볼록부(7)가 대응하는 캠 홈(20) 내에서 직선적으로 이동하여 캠 부재(4)를 원통부(6) 내로 끌어넣게 되므로, 슬라이드 핀(3)이 록킹 구멍(31)에 걸려 들어갈 때에는, 이번에는, 슬라이드 핀(3)이 압축 코일 스프링(5)의 부가 스프링압을 받아 급격한 기세로 록킹 구멍(31) 방향으로 돌출하려고 하는데, 상기와 마찬가지로 조작 핸들(1)의 원통부(6)의 내면과 캠 부재(4)의 캠측 단부(4b)의 외면 사이에 O링(24)이 동시에 슬라이드 접촉하고 있으므로, 이 O링(24)의 슬라이드 운동 저항으로 캠 부재(4)는 원통부(6) 내를 천천히 록킹 구멍(31) 방향으로 돌출하므로, 그 돌출량을 규제하는 스토퍼끼리, 즉, 여기서는 캠 홈(20)과 제1 볼록부(7)끼리가 강하게 충돌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큰 충돌음을 방생시킬 우려가 충분히 억제되게 되므로, 충돌음이 장치의 파손을 상기시켜, 조작자에게 불안감이나 불신감 혹은 불쾌감을 부여할 염려가 없어진다.
다음으로, 도 13 ~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슬라이드 핀(3)과 캠 부재(4)의 연결 구조가 상이하고, 그 외의 부분은 상기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연결 구조의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의 (a)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에는, 기둥 형상부(32)와 양측 돌출부(33, 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 형상부(32)의 축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에는, 캠 부재(4)의 수용 오목부(40)로의 삽입 방향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바꿔 말하면, 측방으로부터 봤을 때 양측 돌출부(33, 33)의 중심보다도 아래쪽 위치에, 더욱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선단 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3)의 양측 돌출부(33, 33)의 돌출 단면에는 삽입 방향측(도면에서 아래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각각 결합 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3)의 기둥 형상부(32)의 기부(基部) 주변의 단면(39)의 양측 상부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35, 35)가 형성됨과 함께, 그 아래쪽 부분에 돌출부(35, 35)보다도 높이가 낮은 리브(38, 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3의 (b),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부재(4)의 연결 단부(4a)에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축방향 오목부(41)와 폭방향 오목부(42, 42)로 이루어지는 수용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폭 방향 오목부(42, 42)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핀(3)의 결합 돌기(37)가 결합하는 걸림 단 부(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걸림 단부(46)의 위쪽은 위쪽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을 이루고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40)의 축방향의 안쪽에는 탄성 결합편(44a)이 그 기단부가 수용 오목부(40)의 안쪽 단면에 연결되고, 아래쪽으로 만곡하여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결합편(44a)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핀(3)의 선단 돌기(36)가 결합하는 걸림 갈고리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핀(3)을 캠 부재(4)에 연결할 때에는, 슬라이드 핀(3)의 기둥 형상부(32) 및 양측 돌출부(33, 33)를 캠 부재(4)의 수용 오목부(40)의 축방향 오목부(41) 및 폭방향 오목부(42, 42)로 삽입한다. 그러면, 슬라이드 핀(3)의 양측 돌출부(33)의 단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37)가 캠 부재(4)의 폭 방향 오목부(42)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 단부(46)에 결합한다. 이 경우, 수용 오목부(40)의 양측벽은 그 위쪽 부분이 슬라이드 핀(3)의 돌출부(35, 35)에서 눌려 확경이 억제되고, 결합 돌기(37)와 걸림 단부(46)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35, 35)에 의해 눌리는 부분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결합 돌기(37)와 걸림 단부(46)의 결합력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또한 슬라이드 핀(3)의 선단 돌기(36)가 캠 부재(4)의 탄성 결합편(44a)의 걸림 갈고리부(43a)에 결합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핀(3)은 삽입 방향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됨과 함께, 양측 돌출부(33, 33)가 폭 방향 오목부(42, 42)에 끼워지므로, 축방향으로도 빠짐이 방지되어 확실히 유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탄성 결합편(44a)이 슬라이드 핀(3)을 축 방향으로 누르므로, 양측 돌출부(33, 33)가 폭 방향 오목부(42, 42)에 압접되어 덜컹거림도 방지 된다.
또한 슬라이드 핀(3)의 돌출부(35, 35)는 캠 부재(4)의 안내 오목부(45, 45)에 삽입되어 그 내면에 맞닿으며, 또한 돌출부(35, 35)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리브(38, 38)도 캠 부재(4)의 단면에 맞닿으므로, 슬라이드 핀(3)과 캠 부재(4)의 부딪히는 면이 상하 위치에서 서로 맞닿게 된다. 이 때문에, 양자가 보다 덜컹거림없이 연결됨과 함께, 도 17에 도시한 화살표 A, B 방향으로 슬라이드 핀(3)을 구부리는 힘이 작용해도, 강한 저항력이 부여된다.
또한, 도 17의 화살표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핀(3)을 캠 부재(4)의 수용 오목부(40)로부터 빼내려고 하는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슬라이드 핀(3)의 선단 돌기(36)에 걸림 갈고리부(43a)로 결합하는 탄성 결합편(44a)이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굴곡된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강한 저항력을 보인다.
다음으로,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제3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슬라이드 핀(3)과 캠 부재(4)의 연결 구조가 다르고, 그 밖의 부분은 다른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이하, 제3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슬라이드 핀은 그 연결 단부(3c)의 중앙으로부터 기둥 형상부(32)가 돌출함과 함께, 그 선단부 양측으로부터 양측 돌출부(33, 33)가 각각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제3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상이점 중 하나는,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의 중앙으로부터 돌출한 기둥 형상부(32)의 형상이다. 즉, 다른 실시예의 기둥 형상부(32)의 단면이 원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에 대하여(도 6의 (a), 도 13의 (a) 참조), 제3 실시예의 기둥 형상부(32)는 도 18 및 도 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기둥 형상부(32)는 단면이 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루는 기둥 형상부(32)에 대응하고, 이 기둥 형상부(32)가 삽입되며, 이것을 지지하는 부분인 캠 부재(4)의 축 방향 오목부(41)는, 상기 기둥 형상부(32)의 적어도 일면이 딱 들어맞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축 방향 오목부(41)의 내주면은,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의 수용 오목부(40)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측면(41a, 41a)과 이 한 쌍의 측면(41a, 41a)에 직교하여 설치된 바닥면(41b)으로 이루어지는 각 홈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제3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상이점 중 또 하나는, 기둥 형상부(32)의 선단부 양측으로부터 돌출한 양측 돌출부(33, 33)의 형상이다. 즉, 제1 실시예의 양측 돌출부(33, 33)는, 도 6의 (a) 및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경(異徑) 단면(원호 형상의 외주 한 곳에 각부를 형성한 형상)을 이루고, 제2 실시예의 양측 돌출부(33, 33)는 도 13의 (a) 및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원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에 대하여, 이 제3실시예에서의 양측 돌출부(33, 33)는 그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양측 돌출부(33, 33)는 그 단 면이 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루는 양측 돌출부(33, 33)에 대응하고, 양측 돌출부(33, 33)가 수용되는 부분인 캠 부재(4)의 폭 방향 오목부(42)는, 상기 양측 돌출부(33, 33)의 적어도 일면이 딱 들어맞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폭 방향 오목부(42)의 양측부의 내주면은,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의 수용 오목부(40)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한 한쌍의 측면(42a, 42a)에 의해 일정폭으로 형성된 홈이 수용 오목부(40)의 개구부로부터 바닥면에 이르기까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폭 방향 오목부(42)의 개구부 측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개구부 측을 향해 점차 넓어지도록 잘라진 테이퍼면(42b)이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의 수용 오목부(40)로의 삽입성이 높아져 있다.
또한, 이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상이점 중, 또 다른 하나는, 양측 돌출부(33, 33)의 돌출 단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설치된 결합 돌기(37a, 37a)의 형상 및 위치이다. 즉, 제2실시예의 각 결합 돌기(37, 37)는 수용 오목부(40)로의 삽입 방향측에 치우친 위치(삽입 방향의 전방 가까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도 14의 (b) 참조), 이 제3 실시예의 각 결합 돌기(37a, 37a)는, 도 18 및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돌출부(33, 33)의 각 단면의, 수용 오목부(40)로의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결합 돌기(37a)는 그 중앙부(37b)가 가장 높게 돌출되어 있으면서, 이 중앙부(37b)의 주변 가장자리부(37c;양측 돌출부(33)의 축 방향으로 넓어지는 주변 가장자리부, 및 수용 오목 부(40)로의 삽입 방향 전방으로 넓어지는 주변 가장자리부)는, 중앙부(37b)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약간 커브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주변 가장자리부(37c)를 설치함에 따라,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를 캠 부재(4)의 수용 오목부(40)로 삽입하기 쉬워져 있다.
도 18 및 도 2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상을 이루는 결합 돌기(37a)에 대응하여, 수용 오목부(40)의 폭 방향 오목부(42)의 양측부에는, 소정 깊이의 패임부(42c, 42c)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패임부(42c)의 삽입 방향 후방 가까이의 내벽면이, 상기 결합 돌기(37a)가 결합하는 걸림 단부(46, 46)를 이루고 있다. 또한 각 걸림 단부(46, 46)는, 이것에 결합하는 걸림 돌기(37a)가 슬라이드 핀(3)의 수용 오목부(40)로의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실시예의 걸림 단부(46; 도 15의 (c) 참조)와 비교하여 슬라이드 핀(3)의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다(도 20의 (d), 도 21의 (b) 참조).
또한,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캠 부재(4)의 수용 오목부(40)에 설치한 탄성 결합편(44a)의 형상이 제2 실시예의 탄성 결합편(44a)과는 약간 다르다. 즉, 제2 실시예의 탄성 결합편(44a)이, 수용 오목부(40)의 안쪽 방향 단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만곡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도 13의 (b) 참조), 이 제3 실시예의 탄성 결합편(44a)은, 수용 오목부(40)의 안쪽 방향 단면(즉, 플랜지부(16)의 수용 오목부(40) 측의 단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하고 있고, 그곳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만곡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탄성 결합편(44a)이 수용 오목부(40)의 안쪽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채용 함으로써, 연결 단부(3c)를 수용 오목부(40)로 삽입할 때, 선단 돌기(36)가 탄성 결합편(44a)에 맞닿기 쉬워져 강하게 눌려지게 되므로, 탄성 결합편(44a)을 보다 휘기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형상을 이룬 제3 실시예의 록킹 장치에 있어서, 캠 부재(4)에 슬라이드핀(3)을 연결시키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핀(3)의 기둥 형상부(32) 및 양측 돌출부(33, 33)를 캠 부재(4)의 수용 오목부(40)의 축 방향 오목부(41) 및 폭 방향 오목부(42, 42)에 각각 정합시켜 삽입한다. 그러면, 슬라이드 핀(3)의 결합 돌기(37, 37)가 캠 부재(4)의 폭 방향 오목부(42) 양측의 패임부(42c, 42c)에 각각 들어가, 걸림 단부(46, 46)에 각각 결합함과 함께, 슬라이드 핀(3)의 선단 돌기(36)가 캠 부재(4)의 탄성 결합편(44a)의 걸림 갈고리부(43a)에 결합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핀(3)은 삽입 방향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됨과 함께, 양측 돌출부(33, 33)가 폭 방향 오목부(42, 42)에 결합하고, 축 방향으로도 빠짐이 방지되어 확실히 유지된다.
그런데, 록킹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외부로부터 충격력이 가해지는 등 하여, 도 10의 화살표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수납 공간(S)을 폐색하는 글로브 박스(B)의 뚜껑체에 힘이 작용했을 때, 슬라이드 핀(3)에 수용 오목부(40)로의 삽입 방향과는 반대측의 힘이 가해져(도 21의 화살표 H 참조), 빠져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3)과 캠 부재(4) 사이에 덜컹거림이 있거나, 접속부에서 의 강성이 부족하거나 하여, 슬라이드 핀(3)과 캠 부재(4)의 일체화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채터 진동에 따른 이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3)과 캠 부재(4)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슬라이드 핀(3)의 선단부(3a)가 록킹 구멍(31)으로부터 어긋나서 확실히 들어가지 않게 되거나, 선단부(3a)의 록킹 구멍(31)에 대한 들어감 깊이에 편차가 있거나, 글로브 박스(B)의 좌우의 통공(51, 51;도 10 참조)으로부터 돌출하는, 양 슬라이드 핀(3)의 선단부(3a, 3a)의 돌출량이 다르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조작 핸들(1)을 조작해도 슬라이드 핀(3)의 선단부(3a)가 록킹 구멍(31)에 남아 록킹을 해제할 수 없게 되거나, 그 반대로 글로브 박스(B)를 닫아도, 슬라이드 핀(3)의 선단부(3a)가 록킹 구멍(31)에 결합하지 않아 록킹할 수 없게 되거나, 또한 좌우의 슬라이드 핀(3, 3)의 일방의 선단부(3a)만이 록킹 구멍(3a)에 결합한 상태, 또는 결합하지 않은 상태가 되거나 하여, 록킹 장치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제3 실시예에서는, 화살표 H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핀(3)이 수용 오목부(40)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사각 단면 형상의 양측 돌출부(33, 33)의 삽입 방향을 따른 양측면이 폭 방향 오목부(42)의 측면(42a, 42a)에 맞닿게 되어 있다. 즉, 이 제3 실시예에서는, 각 단면 형상을 이루는 각 양측 돌출부(33, 33)의 적어도 일면이 폭 방향 오목부(42)의 내면에 딱 들어맞게 맞닿도록 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핀(3)의 덜컹거림을 억제하고 캠 부재(4)에 대하여 높은 강성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슬라이드 핀(3)이 수용 오목부(40)로부터 빠 지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덜컹거림에 기인하는 채터 진동을 방지하고 이음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슬라이드 핀(3)과 캠 부재(4)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어, 조작 핸들(1)을 움직였을 때의 지지체(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대한 슬라이드 핀(3)의 걸림·이탈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슬라이드 핀(3)의 양측 돌출부(33, 33)의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루고 있음에 따라, 수용 오목부(40)의 양측부 내면과, 슬라이드 핀(3)의 양측 돌출부(33, 33)의 맞닿음 면적이 증대하고, 그 결과, 양측 돌출부(33, 33)의 수용 오목부(40)에 대한 접촉 면압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글로브 박스(B)의 개폐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슬라이드 핀(3)의 양측 돌출부(33, 33)와 캠 부재(4)의 수용 오목부(40) 사이에서 슬라이드 운동이 반복되어 행해져도, 슬라이드 핀(3)의 양측 돌출부(33, 33)와 캠 부재(4)의 수용 오목부(40)의 마모를 적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슬라이드 핀(3)의 수용 오목부(40)로부터의 빠짐의 방지나 채터 진동의 방지, 이음의 억제,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일체성 향상 등의 상기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핀(3)의 결합 돌기(37a)는, 양측 돌출부(33, 33)의 각 단면의, 슬라이드 핀(3)의 수용 오목부(40)로의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핀(3)의 결합 돌기(37a)에 결합하는 걸림 단부(46)를 슬라이드 핀(3)의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 오목부(40)의 폭 방향 오목부(42)의 내면에 설치한 걸림 단부(46)가 외측으로 휘기 쉬워져, 슬라이드 핀(3)의 연결 단부(3c)를 수용 오목부(40)로 삽입할 때의 누르는 힘을 저감할 수 있어, 슬라이드 핀(3)의 캠 부재(4)에 대한 끼움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캠 부재(4)에 연결된 슬라이드 핀(3)에는, 도 21의 화살표 I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핀(3)이 캠 부재(4)에 대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단면이 사각 형상을 이룬 기둥 형상부(32)의 각 측변이, 각 홈 형상을 이룬 축방향 오목부(41)의 측면(41a, 41a)이나 바닥면(41b)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캠 부재(4)에 대하여 슬라이드 핀(3)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에, 단면이 각 형상을 이룬 슬라이드 핀(3)의 기둥 형상부(32)의 적어도 일면이 캠 부재(4)의 축 방향 오목부(41)의 내주면에 딱 들어맞게 맞닿으므로, 슬라이드 핀(3)이 도는 것이 방지된다. 그에 따라, 슬라이드 핀(3)의 회전 방향에 대한 덜컹거림이 억제되어, 높은 강성으로 캠 부재(4)에 유지시킬 수 있어, 슬라이드 핀(3)과 캠 부재(4)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3의 각 실시예에서는 캠 홈(20)이 직각 삼각형을 이룬 구성을 설명했으나,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의 조작 핸들(1)의 요동 운동으로부터 슬라이드 핀(3)의 직선 운동으로의 변환은, 직각 삼각형의 사변을 구성하는 단차부(22)와 제1 볼록부(7)의 슬라이드 운동에 의한 것이므로, 캠 부재(4)는, 요동 축선에 대하여 평행이나 직교 이외의 각도를 가지고 있는 단차면을 가지고 있으면, 제1~3의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 단차면의 길이 방향의 형상은 직선이라도 곡선이라도 자유 곡선이라도 무방하고, 제1 볼록부(7)의 슬라이드 운동 범위가 되는 양쪽의 단점(端点) 위치를 최단 거리로 이은 직선이 요동 축선에 대하 여 평행이나 직교 이외라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3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 핸들(1)의 원통부(6) 내에 캠 부재(4)를 삽입하고, O링(24)의 외면 모두가 원통부(6)의 내면과 슬라이드 접촉하는 구성을 설명했으나, 원통부(6)를 완전한 원통형이 아니라, 일부에 원통 형상의 내면을 구비하는 반원통형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고, 그것이 O링(24)의 외면의 일부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구성으로 해도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3 각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 핸들(1)의 요동축과 슬라이드 핀(3)의 직동축을 동일축으로 하는 구성을 설명했으나, 설계의 자유도를 넓히기 위하여, 조작 핸들(1)의 요동축과 슬라이드 핀(3)의 직동축을 평행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연접봉 등을 통해 캠 부재(4)와 슬라이드 핀(3)을 연결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도, 조작 핸들(1)의 요동 운동을 슬라이드 핀(3)의 직동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제1~3의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조작 핸들(1)의 요동축과 슬라이드 핀(3)의 직동축이 직교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경우에는, 캠 홈(20)과 제1 볼록부(7)로 이루어지는 운동 변환 기구 대신에, 랙피니언 기구나 피스톤 크랭크 기구 등을 운동 변환 기구로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 형상부(32) 및 양측 돌출부(33, 33)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을 이루고 있으나, 예를 들면 오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른 각형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양측면이 평행한 평면이고, 바닥면이 이 양측면과 수직인 평면이며, 상면이 곡면을 이룬 형상과 같이, 일부가 각형을 이룬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의 '단면이 각형 형상을 이룬'이라는 것은,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각부가 설치되고, 이 각부를 통해 교차하는 적어도 2개의 평면을 가지는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캠 부재의 폭방향 오목부 및 축방향 오목부는, 상기 기둥 형상부(32) 및 양측 돌출부(33, 33)의 각 형상을 이루는 단면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딱 들어맞는 평면을 내주에 가지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록킹 장치에 따르면, 조작 핸들에 연동하는 캠 기구에 의해 슬라이드 핀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록킹 해제를 행하도록 한 록킹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핀을 캠 부재에 대하여 축 방향과는 직각 방향으로부터 끼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핀의 캠 부재로의 끼움 작업이 쉬워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과 캠 부재의 연결 상태에서의 덜컹거림을 경감할 수 있다.

Claims (13)

  1.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수납 공간을 폐색하는 뚜껑체; 상기 뚜껑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지지체에 걸림·이탈하는 슬라이드 핀; 상기 슬라이드 핀에 힘을 가하여 지지체에 걸리게 하는 스프링 부재; 상기 뚜껑체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된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에 연결된 통 형상 부재; 상기 통 형상 부재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핀과 연결되는 캠 부재; 상기 조작 핸들의 요동 동작을 상기 슬라이드 핀의 축 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상기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캠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캠 기구를 구비한 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캠 부재로의 연결 단부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한 기둥 형상부와 상기 기둥 형상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한 양측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핀으로의 연결 단부에는 상기 기둥 형상부를 수용하는 축방향 오목부 및 상기 축방향 오목부의 도중으로부터 폭이 확대되어 상기 양측 돌출부를 수용하는 폭 방향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수용 오목부와; 상기 수용 오목부의 축 방향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 돌출 방향의 단부를 폭 방향으로 누르면서 상기 단부에 결합하는 탄성 결합편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축방향 단면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으로 치우쳐 선단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의 수용 오목부의 축방향 내부에 설치된 상기 탄성 결합편은 상기 선단 돌기와 결합하는 걸림 갈고리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 결합편은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부에 있어서 개구측으로부터 바닥부측을 향해 굴곡하여 연장하고, 상기 탄성 결합편의 하단부에 상기 걸림 갈고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결합편과 상기 걸림 갈고리부는 상기 선단 돌기와 축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2.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수납 공간을 폐색하는 뚜껑체; 상기 뚜껑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지지체에 걸림·이탈하는 슬라이드 핀; 상기 슬라이드 핀에 힘을 가하여 지지체에 걸리게 하는 스프링 부재; 상기 뚜껑체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된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에 연결된 통 형상 부재; 상기 통 형상 부재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핀과 연결되는 캠 부재; 상기 조작 핸들의 요동 동작을 상기 슬라이드 핀의 축 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상기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캠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캠 기구를 구비한 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캠 부재로의 연결 단부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한 기둥 형상부와 상기 기둥 형상부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한 양측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핀으로의 연결 단부에는 상기 기둥 형상부를 수용하는 축방향 오목부 및 상기 축방향 오목부의 도중으로부터 폭이 확대되어 상기 양측 돌출부를 수용하는 폭 방향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수용 오목부와; 상기 폭 방향 오목부의 양측 안쪽에 형성된, 상기 양측 돌출부에 결합하는 걸림 단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의 각 단면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 부재의 폭 방향 오목부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하는 상기 걸림 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3.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수납 공간을 폐색하는 뚜껑체; 상기 뚜껑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지지체에 걸림·이탈하는 슬라이드 핀; 상기 슬라이드 핀에 힘을 가하여 지지체에 걸리게 하는 스프링 부재; 상기 뚜껑체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된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에 연결된 통 형상 부재; 상기 통 형상 부재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핀과 연결되는 캠 부재; 상기 조작 핸들의 요동 동작을 상기 슬라이드 핀의 축 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상기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캠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캠 기구를 구비한 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캠 부재로의 연결 단부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한 기둥 형상부와 상기 기둥 형상부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한 양측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핀으로의 연결 단부에는 상기 기둥 형상부를 수용하는 축방향 오목부 및 상기 축방향 오목부의 도중으로부터 폭이 확대되어 상기 양측 돌출부를 수용하는 폭 방향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수용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의 기부(基部)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과 상기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단면의 맞댐면이 상기 양측 돌출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에서의 후방측에서 서로 근접 대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의 기부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에는 상기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폭 방향 양측에 맞닿는 한 쌍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의 기부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연결 단부에는 그 양측 각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의 도중까지 안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의 기부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에는 상기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폭 방향 양측에 맞닿는 한 쌍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의 기부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연결 단부에는 그 양측 각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의 도중까지 안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의 각 단면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 부재의 폭 방향 오목부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하는 걸림 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상기 기둥 형상부의 기부 주변에 위치하는 단면에는 상기 캠 부재의 연결 단부의 양측에 맞닿는 한 쌍의 돌출부가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양측 돌출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보다도 상기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축방향 단면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으로 치우쳐 선단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의 수용 오목부의 축방향 내부에는 상기 선단 돌기가 결합하는 걸림 갈고리부를 가지는 탄성 결합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편은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부에 있어서 개구측으로부터 바닥부측을 향해 굴곡하여 연장하고, 상기 탄성 결합편의 하단부에 상기 걸림 갈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선단 돌기는 상기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축방향 단면의 중심보다도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는 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캠 부재의 폭 방향 오목부는 상기 슬라이드 핀의 양측 돌출부의 적어도 일면이 들어맞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결합 돌기는 상기 양측 돌출부의 각 단면의, 상기 수용 오목부로의 삽입 방향의 후방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는 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캠 부재의 축 방향 오목부는 상기 슬라이드 핀의 기둥 형상부의 적어도 일면이 들어맞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KR1020097014786A 2007-01-19 2007-11-12 록킹 장치 KR101095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0883 2007-01-19
JPJP-P-2007-010883 2007-01-19
PCT/JP2007/071903 WO2008087786A1 (ja) 2007-01-19 2007-11-12 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331A KR20090091331A (ko) 2009-08-27
KR101095613B1 true KR101095613B1 (ko) 2011-12-19

Family

ID=3963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786A KR101095613B1 (ko) 2007-01-19 2007-11-12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03374B2 (ko)
JP (1) JP5020264B2 (ko)
KR (1) KR101095613B1 (ko)
CN (1) CN101600843B (ko)
WO (1) WO2008087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8988B4 (de) * 2006-08-21 2014-05-28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Klappe mit einer Ver- und Entriegelungsvorrichtung
US9469181B2 (en) * 2008-06-06 2016-10-18 Austin Hardware And Supply, Inc. Tonneau cover latching mechanism
US9309701B2 (en) 2008-06-06 2016-04-12 Austin Hardware And Supply, Inc. Slam latch for toolbox
US20110025074A1 (en) * 2009-07-28 2011-02-03 Jason Reznar Dual pawl glove box latch assembly
JP5823792B2 (ja) * 2011-09-22 2015-11-25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JP6038136B2 (ja) * 2012-06-15 2016-12-0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CN104554038A (zh) * 2013-10-11 2015-04-2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锁紧机构、车辆仪表台和车辆
WO2015122447A1 (ja) * 2014-02-13 2015-08-2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およびロック装置の取付方法
US10208512B1 (en) * 2014-04-25 2019-02-19 The Eastern Company Latch and release mechanisms for waste containers
US10081970B2 (en) * 2014-07-28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glove box door with interlock between latch rods and strikers
US9828793B2 (en) * 2014-11-06 2017-11-28 Architectural Builders Hardware Mfg., Inc. Door latch with low operating noise
CN204663228U (zh) * 2014-12-12 2015-09-23 道尔青少年集团公司 坐便器盖锁
WO2017127774A2 (en) * 2016-01-22 2017-07-27 Centrix Aero, LLC Bin latch system
US10907377B2 (en) 2016-11-07 2021-02-02 Architectural Builders Hardware Mfg., Inc. Quiet panic device having sound dampening materials
DE102016124135A1 (de) * 2016-12-13 2018-06-14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von Windenergieanlagen
US10993544B1 (en) * 2017-02-06 2021-05-04 Regalo International, Llc One hand two point release bed rail apparatus
US10851567B2 (en) 2017-05-08 2020-12-01 Snap-On Incorporated Front pull latch
US20180328397A1 (en) * 2017-05-10 2018-11-15 Centrix Aero, LLC Latch system with quick connector assembly
FR3078546B1 (fr) 2018-03-02 2020-09-11 Reydel Automotive Bv Systeme de verrouillage pour ouvrant, notamment d'un ouvrant de fermeture d'un logement dans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CN114856330A (zh) 2018-04-03 2022-08-05 索斯科公司 车辆手套箱及车辆手套箱闩锁
US11478085B2 (en) * 2018-10-19 2022-10-25 Flokk Ab Locking device for a chair
US11401741B2 (en) 2019-05-22 2022-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rlocking latch striker design
TWI822366B (zh) * 2022-09-28 2023-11-11 家登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鎖附導正結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116A (ja) * 2000-06-12 2001-12-21 Yuhshin Co Ltd ドアロック装置の操作ワイヤ保持装置
JP2004156331A (ja) * 2002-11-07 2004-06-03 Piolax Inc サイド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6952A (en) * 1970-05-15 1971-08-03 Shur Lok Corp Latch assembly
US4118055A (en) * 1975-11-03 1978-10-03 Bischoff Jr Robert F Turning mechanism
DE3616020A1 (de) * 1986-05-13 1987-11-19 Opel Adam Ag Verriegelungsmechanismus fuer den handschuhkastendeckel eines fahrzeuges
US5149152A (en) * 1992-02-06 1992-09-22 Flambeau Products Corporation Lockable latch assembly with flexible band locking member surrounding a cam surface
US5342101A (en) * 1993-06-11 1994-08-30 Shih Nan C Lock latch
US5516163A (en) * 1994-09-30 1996-05-14 Baker; John R. Single motion, quick relese latch mechanism
US5893300A (en) * 1996-02-15 1999-04-13 Liao; Wan-Ming Pedal plate assembly of a bicycle
US6350418B1 (en) * 1998-02-26 2002-02-26 Paragon Group Of Plastics Companies, Inc. Lid latching mechanism for sterilization container
US6120069A (en) * 1998-07-09 2000-09-19 Prestolock International, Ltd. Door safety disconnect
US6152512A (en) * 1999-12-28 2000-11-28 Delphi Technologies, Inc. Glove box door latch assembly
TW433258U (en) * 2000-06-23 2001-05-01 Ind Tech Res Inst Improved door body structure for a pod
US6460902B1 (en) * 2000-10-27 2002-10-08 Pompanette, Inc. Slam latch and hatch assembly including a slam latch
US6669243B2 (en) * 2001-07-03 2003-12-30 Piolax Inc. Side lock assembly for storage bin
US6733049B2 (en) * 2002-07-03 2004-05-11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latching an aircraft door
JP4077391B2 (ja) 2003-10-24 2008-04-1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US7695028B2 (en) * 2002-11-07 2010-04-13 Piolax, Inc. Lock apparatus
JP4148883B2 (ja) * 2002-12-18 2008-09-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リッドロック装置
TW566803U (en) * 2003-04-04 2003-12-11 Tatung Co Door lid locking mechanism
US7182373B2 (en) * 2003-04-17 2007-02-27 Piolax, Inc. Side lock apparatus for storages
AU2005325387A1 (en) * 2005-01-18 2006-07-27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Opening/closing lock device for glove box
JP4699160B2 (ja) * 2005-10-03 2011-06-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JP4716864B2 (ja) * 2005-12-21 2011-07-0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116A (ja) * 2000-06-12 2001-12-21 Yuhshin Co Ltd ドアロック装置の操作ワイヤ保持装置
JP2004156331A (ja) * 2002-11-07 2004-06-03 Piolax Inc サイド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087786A1 (ja) 2010-05-06
US8403374B2 (en) 2013-03-26
CN101600843B (zh) 2012-07-04
KR20090091331A (ko) 2009-08-27
JP5020264B2 (ja) 2012-09-05
WO2008087786A1 (ja) 2008-07-24
CN101600843A (zh) 2009-12-09
US20100013244A1 (en)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613B1 (ko) 록킹 장치
JP3940318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4699160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US7819445B2 (en) Handle unit
JP4478103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788253B2 (ja) ロック装置
WO2009142063A1 (ja) 自動車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装置
JP6654759B2 (ja)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JP4310227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5630382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4751728B2 (ja) ロック装置
JP2017218127A (ja) 車両用内装装置
CN112012596B (zh) 把手总成
JP4689465B2 (ja) ロック装置
JP4196899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4579274B2 (ja) 施錠確認表示機能付き鍵
JP7000736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JP4433780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抜け止め解除用操作レバー構造
JP4390658B2 (ja) 車両用グローブボックス
JP4194416B2 (ja) 家具
JP2019006207A (ja) ヘッドレスト
JP6734545B2 (ja) ヘッドレストおよび乗物用シート
JP6192053B2 (ja) ラッチ装置
CN220451629U (zh) 锁定装置
WO2018235616A1 (ja) ヘッド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