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427B1 - 포장용 필름 - Google Patents

포장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427B1
KR101095427B1 KR1020040089097A KR20040089097A KR101095427B1 KR 101095427 B1 KR101095427 B1 KR 101095427B1 KR 1020040089097 A KR1020040089097 A KR 1020040089097A KR 20040089097 A KR20040089097 A KR 20040089097A KR 101095427 B1 KR101095427 B1 KR 101095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ackaging film
weight
carbon atoms
polyolef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361A (ko
Inventor
가메이도시야
이타야유키야스
Original Assignee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2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단층 또는 적층의 포장용 필름으로써,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이 그 본래의 투명성은 잃지 않으면서 우수한 방담성, 평활성 및 안티블록킹성을 동시에 갖는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특정의 세 가지 성분을 소정비율로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한 것에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필름{Packaging film}
본 발명은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품류나 약품류 등과 같은 피포장물의 포장에, 합성수지 또는 그의 조성물로 형성한 층을 가진 단층 또는 적층의 포장용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중에서도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포장용 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용 필름에는 외부로부터 피포장물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에, 본래의 투명성 이외에 방담성(防曇性)이 요구되고, 또한 포장이 자동화함에 따라 포장장치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활성 및 안티블록킹성도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동시에 부응할 수 있는 개량된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와 같은 포장용 필름으로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에 방담성, 평활성, 안티블록킹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러한 층을, 폴리올리핀계 수지에 무기입자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마이드, 지방족 다가 알콜의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등과 같은 화합물을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 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알려져 있고(예를 들어 특허문헌 1∼3 참조), 또한 이러한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유기입자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마이드, 지방족 다가 알콜의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등과 같은 화합물을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및 5 참조).
그런데, 이들 종래의 포장용 필름의 경우에는,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이 본래의 투명성을 잃지 않으면서 방담성, 평활성 및 안티블록킹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4-323228호 공보
[특허문헌 2] 미국특허 제 534694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0-34365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평4-220436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평8-59852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단층 또는 적층의 포장용 필름에 있어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이 그 본래의 투명성을 잃지 않으면서 우수한 방담성, 평활성 및 안티블록킹성을 동시에 갖는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리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폴리올 레핀계 수지에 특정의 세 가지 성분을 소정비율로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즉, 본 발명은,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단층 또는 적층의 포장용 필름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하기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시키고, 또한 이들을 합계로 0.15∼12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A 성분 : 3∼6가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 탄소수 8∼22의 1가 지방족 알콜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3∼6가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에스테르 화합물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B 성분 : 알킬기의 탄소수가 6∼22인 알킬설폰산 알칼리 금속염, 알킬기의 탄소수가 2∼22인 알킬아릴설폰산 알칼리 금속염 및 알킬기의 탄수소가 2∼22인 1,2-비스(알킬옥시카보닐)-1-에탄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C 성분 : 산화물계 무기입자, 규산염계 무기입자 및 유기가교입자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필름은,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 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단층 또는 적층의 포장용 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필름에 있어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올레핀계 수지에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함유시킨 것이다.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1)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펜텐-1,1-옥텐 등과 같은 탄소수 2∼8의 α-올레핀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로부터 얻을 수 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α-올레핀 단독 중합체, 2) 상기와 같은 탄소수 2∼8의 α-올레핀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등과 같은 α-올레핀 공중합체, 3)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로부터 얻을 수 있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상기 1)의 α-올레핀 단독 중합체, 상기 2)의 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의 α-올레핀 공중합체로는, 에틸렌과 탄소수 4∼8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서,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 구성되는 단위를 3.5∼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α-올레핀 공중합체는, 모두 공지된 고활성 지글러 촉매(Ziegler catalyst), 메탈로센 촉매 등과 같은 균일계 촉매를 이용하여, 기상법, 용액중합법 등에 의해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도가 0.86∼0.94 g/㎤, MFR이 0.01∼20 g/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 예시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사용 하는 A 성분에는, 1) 3∼6가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에스테르 화합물, 2) 탄소수 8∼22의 지방족 1가 알콜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3)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4) 3∼6가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에스테르 화합물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5) 상기 1)∼4)중에서 어느 둘 이상의 임의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A 성분으로서의 3∼6가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에 있어서, 원료가 되는 3∼6가 지방족 알콜로는, 1)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과 같은 3가의 지방족 알콜, 2) 펜타에리트리톨, 글루코스, 솔비탄, 디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릴 에테르 등과 같은 4가의 지방족 알콜, 3) 트리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글리세릴 에테르 등과 같은 5가의 지방족 알콜, 4) 솔비톨, 테트라글리세린, 디펜타에리트리톨 등과 같은 6가의 지방족 알콜을 들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3가 또는 4가의 지방족 알콜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원료가 되는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으로는, 옥탄산, 노난산, 데칸산, 운데칸산, 도데칸산, 트리데칸산, 테트라데칸산, 펜타데칸산, 헥사데칸산, 헵타데칸산, 옥타데칸산, 옥타데센산, 노나데칸산, 에이코산산, 에이코센산, 도코산산, 2-에틸헥산산, 3,5,5-트리메틸헥산산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탄소수 12∼18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이 바람직하고, 도데칸산, 테트라데칸산, 옥타데센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A 성분으로서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은, 이상 설명한 3∼6가의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적절한 조합 으로부터 수득되는 것으로, 이들의 경우에도 모두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유리 수산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가 또는 4가의 지방족 다가 알콜과 탄소수 12∼18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으로부터 얻어지는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로는,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A 성분으로서의 탄소수 8∼22의 1가 지방족 알콜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에는, 1) 탄소수 8∼22의 1가 지방족 알콜에 1종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한 것, 2) 탄소수 8∼22의 1가 지방족 알콜에 2종 이상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한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에 있어서, 원료가 되는 탄소수 8∼22의 1가 지방족 알콜로는, 옥틸알콜, 노닐알콜, 데실알콜, 운데실알콜, 도데실알콜, 트리데실알콜, 테트라데실알콜, 펜타데실알콜, 헥사데실알콜, 헥사데세닐알콜, 헵타데실알콜, 옥타데실알콜, 옥타데세닐알콜, 노나데실알콜, 에이코실알콜, 에이코세닐알콜, 도코실알콜, 2-에틸헥실알콜, 3,5,5-트리메틸헥실알콜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탄소수 12∼18의 1가 지방족 알콜이 바람직하고, 도데실알콜, 테트라데실알콜, 옥타데세닐알콜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원료가 되는 알킬렌 옥사이드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1,2-부틸렌 옥사이드, 1,4-부틸렌 옥사이드 등과 같은 탄소수 2∼4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이들 알킬렌 옥사이드중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탄소수 8∼22의 지방족 1가 알콜에 대한 알킬렌 옥사이드의 부가형태로는, 랜덤부가, 블록부가, 랜덤·블록부가를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A 성분으로서의 탄소수 8∼22의 1가 지방족 알콜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모두 평균 분자량이 200∼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1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 성분으로서의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에는, 1)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에 1종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한 것, 2)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에 2종 이상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한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에 있어서, 원료가 되는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 및 알킬렌 옥사이드에 대해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A 성분으로서의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모두 평균 분자량이 200∼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1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 성분으로서의 3∼6가의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에는, 1) 3∼6가의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에 1종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한 것, 2) 3∼6가의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에 2종 이상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한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에 있어서, 원료가 되는 3∼6가의 지방족 알콜,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 및 알킬렌 옥사이드, 더 나아가서는 3∼6가의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에 대해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A 성분으로서의 3∼6가의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 물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모두 평균 분자량이 200∼17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12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A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A 성분으로는 3가 또는 4가의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12∼18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3∼6가의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에스테르 화합물이며, 전체로서의 융점이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융점이 40℃ 이하인 단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일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이더라도 이 혼합물의 융점이 결과로서 40℃ 이하가 된 것일 수도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이러한 혼합물로는 융점이 40℃ 이하인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을 30 중량% 이상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융점이 40℃ 이하인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로는, 디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등을 들 수 있고, 혼합물로는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와 디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와의 혼합물,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와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와의 혼합물,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와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와의 혼합물,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와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는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B 성분에는, 1) 알킬기의 탄소수가 6∼22인 알킬설폰산 알칼리 금속염, 2) 알킬기의 탄소수가 2∼22인 알킬아릴설폰산 알칼리 금속염, 3) 알킬기의 탄수소가 2∼22인 1,2-비스(알킬옥시카보닐)-1-에탄설폰산 알칼리 금속염, 4) 상기 1)∼3) 중에서 어느 둘 이상의 임의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B 성분으로서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6∼22인 알킬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헥실설폰산 나트륨, 옥틸설폰산 나트륨, 데실설폰산 나트륨, 도데실설폰산 나트륨, 테트라데실설폰산 리튬, 헥사데실설폰산 리튬, 옥타데실설폰산 리튬, 에이코실설폰산 칼륨, 도코실설폰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12∼18인 알킬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B 성분으로서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2∼22인 알킬아릴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에틸벤젠설폰산 나트륨, 프로필벤젠설폰산 나트륨, 부틸벤젠설폰산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 옥타데실벤젠설폰산 칼륨, 에이코실벤젠설폰산 칼륨, 디부틸나프탈렌설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8∼18인 알킬아릴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B 성분으로서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2∼22인 1,2-비스(알킬옥시카보닐)-1-에탄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1,2-비스(에틸옥시카보닐)-1-에탄설폰산 에스테르 나트륨, 1,2-비스(프로필옥시카보닐)-1-에탄설폰산 에스테르 나트륨, 1,2-비스(옥틸옥시카보닐)-1-에탄설폰산 에스테르 나트륨, 1,2-비스(도데실옥시카보닐)-1-에탄설폰산 에스테르 리튬, 1,2-비스(에이코실옥시카보닐)-1-에탄설폰산 에스테르 리튬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4∼18인 1,2-비스(알킬옥시카보닐)-1-에탄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이상 B 성분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B 성분으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2∼18인 알킬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C 성분에는, 1) 산화물계 무기입자, 2) 규산염계 무기입자, 3) 유기가교입자 및 4) 상기 1)∼3) 중에서 어느 둘 이상의 임의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C 성분으로서의 산화물계 무기입자로는, 실리카, 규조토, 알루미나, 산화철, 펠라이트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실리카, 규조토가 바람직하고, 실리카가 더욱 바람직하다.
C 성분으로서의 규산염계 무기입자로는, 제올라이트, 탈크, 규회석(wollastonite), 마이카, 클레이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제올라이트, 탈크, 규회석이 바람직하고, 제올라이트, 탈크가 더욱 바람직하다.
C 성분으로서의 유기가교입자로는, 가교 실리콘 입자, 가교 폴리아미드 입자, 가교 폴리트리아진 입자, 가교 폴리아크릴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등을 들 수 있는데, 가교 실리콘 입자, 가교 폴리아크릴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가교 폴리아크릴 입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C 성분에 있어서, 그 중에서도 산화물계 무기입자, 규산염계 무기입자가 바람직하고, 실리카, 제올라이트, 탈크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C 성분으로서의 산화물계 무기입자, 규산염계 무기입자, 유기가교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지만, 평균 입자경이 0.5∼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 성분으로서의 산화물계 무기입자, 규산염계 무기입자는 천연적으로 산출되는 광물을 이용할 수 있고, 인공합성물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은 특별히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고, 볼밀, 산, 실란 커 플링제 처리 등과 같은 처리를 행한 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필름은,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이상 설명한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시키고, 이들을 합계로 0.15∼12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인데,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A 성분 0.05∼5 중량%, B 성분 0.05∼5 중량% 및 C 성분 0.05∼2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킨 것이 바람직하고, A 성분을 0.3∼4 중량%, B 성분을 0.2∼2.6 중량% 및 C 성분을 0.1∼1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키고, A 성분/B 성분=60/40∼80/20(중량비), C 성분/(A 성분+B 성분)=10/100∼100/100(중량비)의 비율이 되도록 함유시킨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는 이상 설명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는, 합목적적으로 다른 제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제제로는,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중화제, 윤활제, 내후제, 자외선흡수제, 안티블록킹제를 들 수 있는데, 이 다른 제제들의 함유량은 가급적으 소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그 자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1) 미리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텀블러 블렌더, 헨셀 믹서 등의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단축압출기나 다축압출기 등과 같은 압출기에 의해 용융혼련하면서 조립(造粒)하고,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고농도 로 함유하는 마스터펠렛을 제작하여 두고, 이 마스터 펠렛을 추가로 올레핀계 수지와 혼합하여 소정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만드는 방법, 2)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텀블러 블렌더, 헨셀 믹서 등의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니더나 단축압출기나 다축압출기 등으로 용융혼련하면서 조립하여 소정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만드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필름은, 그 자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성 방법으로는, 공냉 인플레이션 성형, 공냉 2단 인플레이션 성형, 수냉 인플레이션 성형 등과 같은 인플레이션 성형, T 다이로서 스트레이트·매니폴드형, 코트·행거형, 이들을 조합시킨 것 등을 사용한 T 다이 성형을 들 수 있고, 또한 성형 필름의 적층 방법으로는, 드라이 라이네이트법, 샌드 라미네이트법, 압출 라미네이트법, 공압출법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필름의 경우는 공압출법에 의한 적층 포장용 필름이 바람직하다. 적층 포장용 필름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유기 티탄계 앵커코팅제(anchor coating agent), 이소시아네이트계 앵커코팅제, 접착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층 포장용 필름으로 만드는 경우에도, 적층 포장용 필름으로 만드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성형한 것을 추가로 연신할 수 있다. 이러한 연신방법으로는 축차이축연신법, 동시이축연신법, 튜블라 이축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필름의 실시형태로는, 다음의 1)∼5)를 들 수 있다.
1)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단층 또는 적층 포장용 필름으로서,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5%, 밀도 0.920 g/㎤, MFR 2.1 g/10분)에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를 0.39 중량%, 도데실설폰산 나트륨을 0.24 중량% 및 실리카(평균입경 4.0 ㎛)를 0.57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용 필름.
2)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단층 또는 적층 포장용 필름으로서,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6%, 밀도 0.930 g/㎤, MFR 1.0 g/10분)에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디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65/35(중량비)의 혼합물을 3.50 중량%, 테트라데실설폰산 나트륨을 1.20 중량% 및 실리카(평균입경 3.0 ㎛)를 0.70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용 필름.
3)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단층 또는 적층 포장용 필름으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8%, MFR 1.5 g/10분)에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50/50(중량비)의 혼합물을 1.40 중량%, 펜타데실설폰산 나트륨을 0.60 중량% 및 제올라이트(평균입경 4.0 ㎛)를 0.80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용 필름.
4)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단층 또는 적층 포장용 필름으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6%, 밀도 0.90 g/㎤, MFR 8.0 g/10분)에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70/30(중량비)의 혼합물을 3.80 중량%, 헥사데실설폰산 나트륨을 2.10 중량% 및 탈크(평균입경 2.0 ㎛)를 0.90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용 필름.
5)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단층 또는 적층 포장용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밀도 0.90 g/㎤, MFR 2.4 g/10분)에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70/30(중량비)의 혼합물을 0.78 중량%, 테트라데실설폰산 나트륨/펜타데실설폰산 나트륨=50/50(중량비)의 혼합물을 0.32 중량% 및 탈크(평균입경 4.5 ㎛)를 0.20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용 필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등을 예로 들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된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를, %는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시험구분 1 (포장용 필름의 제작)
· 실시예 1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5%, 밀도 0.920 g/㎤, MFR 2.1 g/10분) 88 부,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3.9 부, 도데실설폰산 나트륨 2.4 부 및 실리카(평균입경 4.0 ㎛) 5.7 부를 텀블러 블렌더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추 가로 이축압출기로 용융혼련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마스터 펠렛을 얻었다. 이 마스터 펠렛 10 부와 상기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5%, 밀도 0.920 g/㎤, MFR 2.1 g/10분) 90 부를 텀블러 블렌더로 혼합하여, 75 ㎜φ이고 리프 간격 0.5 ㎜인 다이를 취부한 인플레이션 성형기(츄부 가가쿠 기카이세이사쿠쇼(Chubu Kagaku Kikaiseisakusyo, Co., Ltd.)제 TKN-40)에 넣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압출온도 200℃ 및 BUR=1.8의 조건에서 인플레이션 성형을 수행하여, 두께가 40 ㎛인 단층 포장용 필름을 얻었다.
· 실시예 2∼27 및 비교예 1∼6
실시예 1의 포장용 필름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27 및 비교예 1∼6의 포장용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도 포함하고, 이상에서 제작한 각 예의 포장용 필름의 내용을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50966284-pat00001
표 1에서,
*1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중 A 성분의 함유비율(중량%)
*2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중 B 성분의 함유비율(중량%)
*3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중 C 성분의 함유비율(중량%)
*4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중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의 합계 함유비율(중량%)
*5 : A 성분/B 성분의 비율(중량%)
*6 : A 성분과 B 성분의 합계 100 부에 대한 C 성분의 비율(부)
A-1: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융점 20℃)
A-2: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융점 55℃)/디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융점 2℃)=65/35(중량비)의 혼합물
A-3: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융점 55℃)/디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융점 12℃)=50/50(중량비)의 혼합물
A-4: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융점 20℃)/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융점 12℃)=70/30(중량비)의 혼합물
A-5: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융점 8℃)/디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융점 12℃)=70/30(중량비)의 혼합물
A-6: 글리세린=모노옥타노에이트(융점 35℃)/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융점 20℃)=15/85(중량비)의 혼합물
A-7: 글리세린=모노에루케이트(융점 50℃)/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융점 20℃)=10/90(중량비)의 혼합물
A-8: 테트라글리세린=모노옥타노에이트(융점 25℃)/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융점 20℃)=15/85(중량비)의 혼합물
A-9: 테트라글리세린=모노에루케이트(융점 50℃)/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융점 20℃)=10/90(중량비)의 혼합물
A-10: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융점 55℃)/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융점 20℃)=10/90(중량비)의 혼합물
A-11: 테트라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융점 25℃)/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융점 20℃)=10/90(중량비)의 혼합물
A-12: 옥틸알콜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450, 융점 5℃)
A-13: 도코세닐알콜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1200, 융점 50℃)
A-14: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융점 55℃)
A-15: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융점 60℃)
A-16: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융점 55℃)/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융점 70℃)=50/50(중량비)의 혼합물
A-17: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융점 60℃)/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융점 70℃)=50/50(중량비)의 혼합물
A-18: 옥탄산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450, 융점 5℃)
A-19: 도코센산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1200, 융점 50℃)
A-20: 글리세린=모노옥타노에이트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900, 융점 30℃)
A-21: 디글리세린=모노옥타노에이트(융점 -8℃)
A-22: 옥타데세닐알콜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900, 융점 2℃)
A-23: 도데칸산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350, 융점 7℃)
A-24: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950, 융점 -10℃)
A-25: 글리세린=모노에루케이트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1000, 융점 30℃)
A-26: 테트라글리세린=모노옥타노에이트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1200, 융점 25℃)
A-27: 테트라글리세린=모노에루케이트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1400, 융점 25℃)
a-1: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 도데실아민
B-1: 도데실설폰산 나트륨
B-2: 테트라데실설폰산 나트륨
B-3: 펜타데실설폰산 나트륨
B-4: 헥사데실설폰산 나트륨
B-5: 테트라데실설폰산 나트륨/펜타데실설폰산 나트륨=50/50(중량비)의 혼합물
B-6: 도데실설폰산 리튬
B-7: 옥타데실설폰산 리튬
B-8: 도데실설폰산 칼륨
B-9: 옥타데실설폰산 칼륨
B-10: 헥실설폰산 나트륨
B-11: 도코실설폰산 나트륨
B-12: 도코실벤젠설폰산 나트륨
B-13: 디에틸나프탈렌설폰산 칼륨/도코실벤젠설폰산 칼륨=50/50(중량비)의 혼합물
B-14: 테트라데실설폰산 칼륨
B-15: 도데실벤젠설폰산 리튬
B-16: 디옥틸설포숙신산 칼륨
B-17: 도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디옥틸설포숙신산 나트륨=50/50(중량비)의 혼합물
B-18: 디에틸설포숙신산 칼륨
B-19: 디도데실설포숙신산 나트륨
B-20: 디에틸설포숙신산 리튬/디도데실설포숙신산 리튬=50/50(중량비)의 혼합물
B-21: 옥틸설폰산 리튬
B-22: 헥실벤젠설폰산 칼륨
B-23: 디부틸나프탈렌설폰산 리튬
B-24: 옥틸설폰산 리튬/디부틸나프탈렌설폰산 리튬=50/50(중량비)의 혼합물
B-25: 옥틸설폰산 나트륨
B-26: 디도코실설포숙신산 칼륨
B-27: 옥틸설폰산 리튬/디도코실설포숙신산 리튬=50/50(중량비)의 혼합물
C-1: 실리카(평균입경 4.0 ㎛)
C-2: 실리카(평균입경 3.0 ㎛)
C-3: 제올라이트(평균입경 4.0 ㎛)
C-4: 탈크(평균입경 2.0 ㎛)
C-5: 탈크(평균입경 4.5 ㎛)
C-6: 실리카(평균입경 4.0 ㎛)/제올라이트(평균입경 4.0 ㎛)=20/80(중량비)의 혼합물
C-7: 실리카(평균입경 3.0 ㎛)/제올라이트(평균입경 4.0 ㎛)=70/30(중량비)의 혼합물
C-8: 실리카(평균입경 4.0 ㎛)/탈크(평균입경 2.0 ㎛)=50/50(중량비)의 혼합물
C-9: 탈크(평균입경 4.5 ㎛)/제올라이트(평균입경 4.0 ㎛)=50/50(중량비)의 혼합물
C-10: 규조토(평균입경 6.0 ㎛)
C-11: 규회석(평균입경 4.0 ㎛)
C-12: 실리카(평균입경 4.0 ㎛)/규조토(평균입경 6.0 ㎛)=50/50(중량비)의 혼합물
C-13: 제올라이트(평균입경 4.0 ㎛)/규조토(평균입경 6.0 ㎛)=50/50(중량비)의 혼합물
C-14: 탈크(평균입경 4.5 ㎛)/규회석(평균입경 4.0 ㎛)=50/50(중량비)의 혼합물
C-15: 알루미나(평균입경 2.0 ㎛)
C-16: 마이카(평균입경 7.0 ㎛)
C-17: 가교 실리콘 입자(평균입경 2.0 ㎛)
C-18: 가교 폴리아크릴 입자(평균입경 4.0 ㎛)
C-19: 실리카(평균입경 4.0 ㎛)/마이카(평균입경 7.0 ㎛)=50/50(중량비)의 혼합물
C-20: 제올라이트(평균입경 4.0 ㎛)/가교 실리콘 입자(평균입경 2.0 ㎛)=50/50(중량비)의 혼합물
C-21: 탈크(평균입경 4.5 ㎛)/가교 폴리아크릴 입자(평균입경 4.0 ㎛)=50/50(중량비)의 혼합물
E-1: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5%, 밀도 0.920 g/㎤, MFR 2.1 g/10분)
E-2: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6%, 밀도 0.930 g/㎤, MFR 1.0 g/10분)
E-3: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8%, MFR 1.5 g/10분)
E-4: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6%, 밀도 0.90 g/㎤, MFR 8.0 g/10분)
E-5: 폴리프로필렌(밀도 0.90 g/㎤, MFR 2.4 g/10분)
E-6: 폴리에틸렌(밀도 0.927 g/㎤, MFR 4.0 g/10분)
시험구분 2 (포장용 필름의 평가)
시험구분 1에서 제작한 포장용 필름에 대하여, 투명성, 방담성, 평활성 및 안티블록킹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 투명성
시험구분 1에서 제작한 포장용 필름을 20℃에서 상대습도 65%인 조건하에 24 시간 조습한 후, 헤이즈를 측정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40℃에서 상대습도 50%인 조건하에서 4 주간 보관한 것에 대해서도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기준
◎: 5% 미만 (투명성이 우수함)
○: 5 이상 10% 미만 (투명성이 양호함)
△: 10 이상 15% 미만 (투명성이 떨어짐)
×: 15% 이상 (투명성이 현저히 떨어짐)
· 방담성
시험구분 1에서 제작한 포장용 필름을 20℃에서 상대습도 65%인 조건하에 24 시간 조습한 후, 20℃의 물을 넣은 비이커에 측정면이 내측에 되도록 덮고 5℃의 분위기에서 1 시간 방치하여 내측 측정면에 대한 물방울의 부착정도를 관찰하고, 측정치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40℃에서 상대습도 50%인 조건하에서 4 주간 보관한 것에 대해서도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기준
◎: 물방울이 없고 투명하며 방담성이 우수함
○: 큰 물방울이 있지만 투명하며 방담성이 양호함
△: 물방울이 있고 약간 불투명하며 방담성이 떨어짐
×: 작은 물방울이 있고 불투명하며 방담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실용적이지 않음
· 평활성
시험구분 1에서 제작한 포장용 필름을 20℃에서 상대습도 65%인 조건하에 24 시간 조습한 후, 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Toyo Seiki Seisaku-Sho, Ltd.)제 마찰측정기 TR형을 사용하여 ASTM-D-1894에 준하여 동마찰계수를 측정하고, 측정치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0.05 이상 0.25 미만 (평활성이 우수함)
○: 0.25 이상 0.35 미만 (평활성이 양호함)
△: 0.35 이상 0.45 미만 (평활성이 떨어짐)
×: 0.45 이상 (평활성이 현저히 떨어져 실용적이지 않음)
· 안티블록킹성
시험구분 1에서 제작한 포장용 필름으로부터, 세로 80㎜×가로 50㎜ 크기의 필름편을 두 장 잘라내고, 두 장의 필름편을 세로 50㎜×가로 50㎜ 부분에서 측정 면끼리 겹쳐지도록 포개고, 포갠 부분에 10 ㎏/㎠의 하중을 40℃에서 48시간 걸어준 후, 하중을 제거하고, 두 장의 필름편 양단을 각각 반대방향(두 장의 필름편의 전단방향)으로 잡아당겨 박리할 때 필요한 힘을 인장시험측정장치(시마즈세이사쿠쇼(Shimadzu Corporation)제 상품명 오토그라프 AG-G)로 측정하고, 측정값을 하기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시험구분 1에서 제작한 포장용 필름을 40℃에서 상대습도 50%인 조건하에 4 시간 보관한 것에 대해서도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기준
◎: 0.2 N/㎠ 미만(안티블록킹성이 우수함)
○: 0.2 N/㎠ 이상 0.4 N/㎠ 미만(안티블록킹성이 양호함)
△: 0.4 N/㎠ 이상 0.6 N/㎠ 미만(안티블록킹성이 떨어짐)
×: 0.6 N/㎠ 이상(안티블록킹성이 현저히 떨어짐)
Figure 112004050966284-pat00002
시험구분 3 (포장용 필름의 제작)
· 실시예 28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5%, 밀도 0.920 g/㎤, MFR 2.1 g/10분) 88 부,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3.9 부, 도데실설폰산 나트륨 2.4 부 및 실리카(평균입경 4.0 ㎛) 5.7 부를 텀블러 블렌더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추가로 이축압출기로 용융혼련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마스터 펠렛을 얻었다. 이 마스터 펠렛 10 부와 상기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5%, 밀도 0.920 g/㎤, MFR 2.1 g/10분) 90 부를 텀블러 블렌더로 혼합하여,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도록, 또한 상기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5%, 밀도 0.920 g/㎤, MFR 2.1 g/10분)가 중간층 및 타방의 외층을 형성하도록, T 다이법에 의해 30℃로 냉각하면서 성형하여, 두께가 60 ㎛인 3층으로 공압출하여 필름(각 층 두께의 비는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중간층/타방의 외층=1/4/1)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9∼54 및 비교예 7∼12
실시예 28의 포장용 필름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9∼54 및 비교예 7∼12의 포장용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8도 포함하고, 이상에서 제작한 각 예의 포장용 필름의 내용을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표 3중의 각 기호는 표 1중의 각 기호와 동일하다.
Figure 112004050966284-pat00003

· 시험구분 4 (포장용 필름의 평가)
시험구분 3에서 제작한 포장용 필름에 대하여, 시험구분 2와 동일하게 투명성, 방담성, 평활성 및 안티블록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50966284-pat00004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필름은,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이, 그 본래의 투명성을 잃지 않으면서 우수한 방담성, 평활성 및 안티블록킹성을 동시에 가진다.

Claims (14)

  1.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단층 또는 적층의 포장용 필름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A 성분을 0.05∼5 중량%, B 성분을 0.05∼5 중량% 및 C 성분을 0.05∼2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키고,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합계로 0.15∼12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
    A 성분 : 3∼6가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 탄소수 8∼22의 1가 지방족 알콜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3∼6가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에스테르 화합물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B 성분 : 알킬기의 탄소수가 6∼22인 알킬설폰산 알칼리 금속염, 알킬기의 탄소수가 2∼22인 알킬아릴설폰산 알칼리 금속염 및 알킬기의 탄수소가 2∼22인 1,2-비스(알킬옥시카보닐)-1-에탄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C 성분 : 산화물계 무기입자, 규산염계 무기입자 및 유기가교입자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A 성분 0.3∼4 중량%, B 성분 0.2∼2.6 중량% 및 C 성분 0.1∼1 중량%가 되도록 함유시키고, A 성분/B 성분=60/40∼80/20(중량비), C 성분/(A 성분+B 성분)=10/100∼100/100(중량비)의 비율이 되도록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피포장물이 접촉하게 되는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용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A 성분이 3가 또는 4가의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12∼18인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인 포장용 필름.
  5. 제 3 항에 있어서, A 성분이 3∼6가의 지방족 알콜과 탄소수 8∼22인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이며, 전체로서의 융점이 40℃ 이하인 것인 포장용 필름.
  6. 제 3 항에 있어서, B 성분이 알킬기의 탄소수가 12∼18인 알킬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인 포장용 필름.
  7. 제 4 항에 있어서, B 성분이 알킬기의 탄소수가 12∼18인 알킬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인 포장용 필름.
  8. 제 5 항에 있어서, B 성분이 알킬기의 탄소수가 12∼18인 알킬설폰산 알칼리 금속염인 포장용 필름.
  9. 제 3 항에 있어서, C 성분이 산화물계 무기입자 및 규산염계 무기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포장용 필름.
  10. 제 7 항에 있어서, C 성분이 산화물계 무기입자 및 규산염계 무기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포장용 필름.
  11. 제 8 항에 있어서, C 성분이 산화물계 무기입자 및 규산염계 무기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포장용 필름.
  12. 제 3 항에 있어서, C 성분이 실리카, 제올라이트 및 탈크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포장용 필름.
  13. 제 7 항에 있어서, C 성분이 실리카, 제올라이트 및 탈크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포장용 필름.
  14. 제 8 항에 있어서, C 성분이 실리카, 제올라이트 및 탈크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포장용 필름.
KR1020040089097A 2003-12-19 2004-11-04 포장용 필름 KR101095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21793 2003-12-19
JPJP-P-2003-00421793 2003-12-19
JPJP-P-2004-00217519 2004-07-26
JP2004217519A JP4429835B2 (ja) 2003-12-19 2004-07-26 包装用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361A KR20050062361A (ko) 2005-06-23
KR101095427B1 true KR101095427B1 (ko) 2011-12-19

Family

ID=3452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097A KR101095427B1 (ko) 2003-12-19 2004-11-04 포장용 필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50136275A1 (ko)
EP (1) EP1544233B1 (ko)
JP (1) JP4429835B2 (ko)
KR (1) KR101095427B1 (ko)
CN (1) CN1628967B (ko)
AT (1) ATE335039T1 (ko)
CA (1) CA2490167A1 (ko)
DE (1) DE602004001745T2 (ko)
ES (1) ES2270297T3 (ko)
TW (1) TWI3479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1577B2 (ja) * 2006-03-27 2012-10-03 竹本油脂株式会社 包装用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7020404A1 (de) * 2006-09-18 2008-10-30 Nano-X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schichtungsmaterials
DE102007043753A1 (de) 2007-09-13 2009-03-19 Cognis Oleochemicals Gmbh Eine thermoplastische Zusammensetzung beinhaltend ein Formtrennmittel basierend auf einem Ester aus Di- oder Polyglycerinen und mindestens einer Carbonsäure
EP2530115B1 (en) 2011-05-28 2014-01-22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Antista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thermoplastic polyester and a mixture of antistatic additives
JP6364749B2 (ja) * 2013-11-15 2018-08-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包材、及び包装袋
JP6650729B2 (ja) * 2014-10-28 2020-02-19 吉野化成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組成物
US10682834B2 (en) * 2017-03-31 2020-06-16 Toray Plastics (America), Inc. Antifog polyester lidding film for CPET trays
JP6342548B1 (ja) * 2017-05-22 2018-06-13 竹本油脂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用改質剤、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積層フィルム
US20210355291A1 (en) * 2018-10-04 2021-11-18 Takemoto Yushi Kabushiki Kaisha Modifier for polyolefin resin
TWI704054B (zh) 2018-12-25 2020-09-1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一種蔬果防霧包裝袋
JP6820041B1 (ja) * 2020-08-19 2021-01-27 竹本油脂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フィルム用改質剤
CN115651301B (zh) * 2022-11-15 2024-03-26 暨南大学 一种双向拉伸聚烯烃农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0444A (ja) * 1990-12-21 1992-08-11 Sumitomo Chem Co Ltd 帯電防止フィルム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4220446A (ja) * 1990-12-21 1992-08-11 Sumitomo Chem Co Ltd 安定化されたフィルム成形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2000343655A (ja) * 1999-06-08 2000-12-12 Sekisui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
JP2003236910A (ja) * 2002-02-19 2003-08-26 Takemoto Oil & Fat Co Ltd 共押し出し法による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040A (en) * 1968-06-28 1970-11-17 Grace W R & Co Antifog polyolefin film
DE3310417A1 (de) * 1983-03-19 1984-09-20 Peter Heinrich 2000 Hamburg Urdahl Mittel zur antistatischen ausruestung von polyolefinen
KR900001379B1 (ko) * 1985-09-13 1990-03-09 이데미쯔세끼유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EP0492463B1 (en) * 1990-12-21 1995-09-2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JPH04220445A (ja) * 1990-12-21 1992-08-11 Sumitomo Chem Co Ltd 防曇性フィルム用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
DE4306155A1 (de) * 1993-02-27 1994-09-01 Hoechst Ag Transparente, nicht siegelfähige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0745637A1 (de) * 1995-05-31 1996-12-04 Hoechst Aktiengesellschaft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mit hohem Flächenmodul
JP3683035B2 (ja) * 1996-05-16 2005-08-17 三井化学株式会社 押出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押出フィルム
JP3818616B2 (ja) * 1998-06-17 2006-09-06 竹本油脂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ション成形法に用いるポリ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EP1477305B1 (en) * 2003-05-14 2005-10-12 Takemoto Yushi Kabushiki Kaisha Laminated polyolefin film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by coextru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0444A (ja) * 1990-12-21 1992-08-11 Sumitomo Chem Co Ltd 帯電防止フィルム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4220446A (ja) * 1990-12-21 1992-08-11 Sumitomo Chem Co Ltd 安定化されたフィルム成形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2000343655A (ja) * 1999-06-08 2000-12-12 Sekisui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
JP2003236910A (ja) * 2002-02-19 2003-08-26 Takemoto Oil & Fat Co Ltd 共押し出し法による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8967A (zh) 2005-06-22
TWI347961B (en) 2011-09-01
JP2005200628A (ja) 2005-07-28
ATE335039T1 (de) 2006-08-15
CN1628967B (zh) 2011-01-26
TW200530299A (en) 2005-09-16
ES2270297T3 (es) 2007-04-01
KR20050062361A (ko) 2005-06-23
DE602004001745D1 (de) 2006-09-14
JP4429835B2 (ja) 2010-03-10
EP1544233B1 (en) 2006-08-02
DE602004001745T2 (de) 2007-08-09
US20050136275A1 (en) 2005-06-23
CA2490167A1 (en) 2005-06-19
EP1544233A1 (en)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427B1 (ko) 포장용 필름
CN110621734B (zh) 聚烯烃系树脂用改性剂、聚烯烃系树脂组合物、改性聚烯烃系树脂膜和层积膜
KR101912766B1 (ko) 흡착제 조성물, 흡착제 함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28987A (ko) 선도 유지 필름
DE602004009498T2 (de) Biaxial orientierter mehrschichtiger Polypropylenfilm und dessen Verwendung
EP0189242A2 (en) Heat-sealable multi-layer film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JP3942155B2 (ja) 共押し出し法による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フィルム
EP1145843B1 (de) Siegelbare Kaschierfolie mit Antibeschlageigenschaften und Sauerstoffbarriere sowie ein diese Folie enthaltendes Verpackungsmaterial
JP4342866B2 (ja) 積層フィルム
CA2431436C (en) Laminated polyolefin film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by coextrusion
JP4678835B2 (ja) 積層フィルム
EP1839848B1 (en) Laminated packaging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TW202006037A (zh) 聚烯烴系樹脂膜用改質劑、聚烯烴系樹脂膜用組成物、改質聚烯烴系樹脂膜、及積層膜
JP2001260284A (ja) 包装用シ−ラントフィルム
JP688769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用改質剤
JP2001071431A (ja) 多層延伸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
JP4207415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フィルム
JP2000127315A (ja) ラッピングフィルム
JPH07251445A (ja) 帯電防止性に優れた易引裂性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層フィルム
JPH10315406A (ja) 縦裂き性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フィルム
JP2000238201A (ja) 農業用多層フィルム
JP4207414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フィルム
KR20220078214A (ko) 첨가제 함유 마스터배치, 이의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
JP2001071432A (ja) 多層延伸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
JPH05105787A (ja) 防曇性フイルム用線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