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709B1 -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709B1
KR101092709B1 KR1020107021693A KR20107021693A KR101092709B1 KR 101092709 B1 KR101092709 B1 KR 101092709B1 KR 1020107021693 A KR1020107021693 A KR 1020107021693A KR 20107021693 A KR20107021693 A KR 20107021693A KR 101092709 B1 KR101092709 B1 KR 10109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cid
external preparation
weight
re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548A (ko
Inventor
마사야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네오케미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케미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오케미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2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containing insect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는, 주제(主劑)와 반응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제는 적어도 산과 물을 포함하는 점성물을,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에 함침시킨 것이며, 사용시에 피부에 접촉시킨다. 상기 반응제는 사용시에 상기 점성물과 접촉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점성물에 실질적으로 비기포 상태로 용해하는, 적어도 탄산염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Carbon dioxide external preparation and material for formation of carbon dioxide external preparation}
본 발명은 미용 및 의료 효과가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조제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기포형상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점성 조성물인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이, 무좀, 벌레 물림, 아토피성 피부염, 화폐상습진, 건피증, 지루성 습진, 두드러기, 양진, 주부 습진, 심상성 좌창, 농가진, 모포염, 옹(癰), 절양(癤瘍), 봉와직염, 농피증, 건선, 어린선, 수장족저 각화증, 태선, 비강진, 창상, 열상, 균열, 진무름, 동창(凍瘡) 등의 피부 점막 질환 또는 피부 점막 장해에 따른 가려움, 욕창, 창상, 열상, 구각염, 구내염, 피부 궤양, 균열, 진무름, 동창, 괴저(壞疽) 등의 피부 점막 손상; 이식 피부편, 피부판(flap) 등의 생착 부전; 치은염, 치조농루, 의치성 궤양, 흑색화 치은, 구내염 등의 치과 질환; 폐색성 혈전 혈관염, 폐색성 동맥 경화증, 당뇨병성 말초 순환 장해, 하지정맥류 등의 말초 순환 장해에 기초하는 피부 궤양이나 냉감(冷感), 저림감; 만성 관절 류머티즘, 경견완증후군, 근육통, 관절통, 요통증 등의 근골격계 질환; 신경통, 다발성 신경염, 스몬병 등의 신경계 질환; 건선, 티눈, 굳은살, 어린선, 수장족저 각화증, 태선, 비강진 등의 각화이상증; 심상성 좌창, 농가진, 모포염, 옹, 절양, 봉와직염, 농피증, 화농성 습진 등의 화농성 피부 질환; 제모 후의 재발모 억제(불필요한 털 처리); 주근깨, 피부 거칠어짐, 거무칙칙한 피부, 피부 땡김이나 피부 윤기의 쇠퇴, 머리카락 윤기의 쇠퇴 등의 피부나 모발 등의 미용상의 문제 및 부분 비만에 유효한 것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31918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은 이산화탄소를 기포형상으로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미용 혹은 의료 효과를 얻는 데 필요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이상의 두께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해서 미용 혹은 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장기간 대량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효과도 약하다.
한편, 탄산가스(기체형상 이산화탄소를 의미함)에 의한 혈행 촉진 효과를 얻기 위한 습포제가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2-286922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 습포제는 탄산염과 유기산을 포함한 천에, 물을 포함한 천을 포개서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고, 천에 포함된 물에 녹여서 용존 탄산가스로서 이용하는 것이지만, 탄산염과 유기산의 반응은 통상 매우 급격하고, 물에의 용해량보다도 대기중으로의 발산량이 많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경피 경점막 흡수에 의한 미용 혹은 의료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강한 미용 및 의료 효과가 간편하게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조제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에 적어도 산과 물을 포함하는 점성물이 함침(含浸)되며, 사용시에 피부에 접촉시키는 주제(主劑)와, 사용시에 상기 주제에 접촉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함과 아울러, 당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점성물에 실질적으로 비기포 상태로 용해하는, 적어도 탄산염을 포함하는 반응제로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는 사용이 간편하고,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의해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이산화탄소가 기포화해서 대기중으로 발산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경피 경점막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강한 미용 및 의료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주제(主劑)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반응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는,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에 적어도 산과 물을 포함하는 점성물이 함침(含浸)되며, 사용시에 피부에 접촉시키는 주제(主劑)와, 사용시에 상기 주제에 접촉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함과 아울러, 당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점성물에 실질적으로 비기포 상태로 용해하는, 적어도 탄산염을 포함하는 반응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란,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가 삼차원 그물코 구조를 형성하여, 유동물을 함침하면 당해 고분자가 신장하고, 또한 많은 유동물을 함침해서 새게 하지 않으나, 함침된 유동물중에서 기화성 물질이 발생하려고 하면, 당해 물질의 기포화하려고 하는 힘에 대해서 상기 고분자의 저항력이 작용하여, 유동물을 함침한 상기 고분자의 신장이 억제되므로 상기 물질의 기포화가 억제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에 적어도 산과 물을 포함하는 점성물을 함침시켜서 이루어지는 주제에, 적어도 탄산염을 포함하는 반응제를 접촉시키면, 상기 주제의 산과 상기 반응제의 탄산염이 반응해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통상, 산과 탄산염의 반응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 반응은, 물의 존재하에 급격하게 진행되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대부분이 기포화되어, 대기중으로 발산해서 경피 경점막 흡수에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그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는, 산과 탄산염의 반응이 주제의 점성물의 점성에 의해 억제되어, 이산화탄소는 서서히 발생할 뿐만 아니라, 당해 점성물의 점성과 표면장력, 롱플로우성(부었을 때에 연결되어 유동하는 성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당해 점성물중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 당해 점성물의 팽창을 억제하려고 하는 저항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기포화와 대기중으로의 발산이 억제된다(이하 "점성물 복합 작용"이라고 말함).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상기 주제의 점성물은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에 함침되어 있으며, 상기 반응제와의 접촉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발생하면, 이산화탄소가 기포화하려고 하는 힘에 대해서, 상기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의 고분자의 저항력이 작용하여, 당해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의 팽창이 억제되기 때문에, 상기 이산화탄소의 기포화가 억제된다(이하 "고분자 기포화 억제 작용"이라고 말함).
즉,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는, 점성물의 점성으로 인하여 이산화탄소가 서서히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점성물 복합 작용과 고분자 기포화 억제 작용이 협동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기포화가 강하게 억제된다. 물에 용해하기 쉬운 이산화탄소는, 발생 후 기포화하지 않으면 즉시 비기포 상태로 점성물에 용해하지만,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는, 두께를 비교적 얇게 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비교하여 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적용된 상태에서, 점성물에 용해하지 못한 이산화탄소는 수분을 포함해서 이산화탄소가 용해하기 쉬운 피부나 혈관 등의 조직으로 용이하게 이행하여, 헛됨없이 경피 경점막 흡수되기 때문에, 단시간에 강한 미용 및 의료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실질적으로 비기포 상태"란, 기포형상의 이산화탄소가 육안적으로 확인 곤란한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주제와 반응제의 "접촉"이란, 산과 탄산염이 반응하도록, 주제와 반응제를 밀착시키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면 점성물이 함침된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 위에 반응제를 얹고,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지 않고, 중력과 침투력만으로 산과 탄산염이 혼합해서 반응하는 것이나, 예를 들면 점성물이 함침된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에 반응제를 눌러서, 산과 탄산염이 혼합하여 반응하도록,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는 것 등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피부"에는,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점막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산과 탄산염을 바꿔 넣어, 점성물에 탄산염을 포함하는 주제와, 산을 포함하는 반응제로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도 가능하지만,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주제가 강한 알칼리성이면, 피부에 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건강한 피부는 본래 약산성이며, 산에 대한 내성도 높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는 피부에 친근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는, 시트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가 섬유질 또는 다공질의 흡수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질 또는 다공질의 흡수체는, 점성물이면 액, 반고형물의 어떠한 것도 용이하게 함침할 수 있으며, 또한, 수용성 물질뿐만 아니라, 크림 등의 물-유지 분산물, 고분자의 수팽윤물(水膨潤物) 등도 함침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원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를 미용 혹은 의료 용도에 한층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성물의 함침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흡수체는 피부에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상기 점성물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carageenan),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증점제는 피부와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을 사용해서 점성물을 조제함으로써, 미용 및 의료 목적으로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얻어진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상기 점성물이 적어도 산, 물, 유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액(乳液) 또는 크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주제와 반응제를 접촉시켜서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보습성과 미백 효과가 한층 강해져서, 미용 목적으로 한층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상기 점성물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를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점성물의 산이 사과산, 호박산, 인산이수소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구연산, L-아스코르빈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또한, 상기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가 부직포 또는 스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합이면, 상기 점성물 복합 작용과 고분자 기포화 억제 작용이 보다 한층 협동하여, 특히 강한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확실하게 얻어진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반응제가 또한 증점제와 물을 포함하는 점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제가 또한 증점제와 물을 포함하는 점성물이면, 대응하는 주제와 접촉시켰을 때에, 탄산염이 서서히 주제로 이행하여 산과의 반응이 한층 서서히 일어나며, 이산화탄소는 한층 서서히 발생하여, 비기포 상태로 한층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용해한다. 또한,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대기에 면하는 측이, 반응제의 점성물로 덮여지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대기중으로의 발산이 보다 한층 강하게 억제된다. 그 결과,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피부에 적용된 상태에서는, 이산화탄소는 한층 헛됨없이 경피 경점막 흡수되어, 한층 단시간에 보다 강한 미용 및 의료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상기 반응제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와, 물을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탄산염이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합이면, 비기포 상태의 이산화탄소가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용해하여, 특히 강한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확실하게 얻어진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상기 주제의 점성물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를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점성물의 산이 사과산, 호박산, 인산이수소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구연산, L-아스코르빈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상기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가 부직포 또는 스펀지이고, 또한, 상기 반응제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와, 물을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탄산염이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합이면, 주제의 점성물 복합 작용과 고분자 기포화 억제 작용과 반응제의 점성물에 의한 점성물 복합 작용이 서로 어울려서, 보다 한층 강한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확실하게 얻어진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반응제가 시트형상 또는 주머니형상의 담지체(擔持體)에 담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제가 시트형상 또는 주머니형상의 담지체에 담지된 것(이하 "반응제 담지체"라고도 말함)을 사용하면,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조제가 간편하고, 효과가 한층 확실하게 얻어진다. 예를 들면, 반응제가 점성물이고, 또한 담지체가 부직포 등의 시트형상의 흡수체이며, 이 흡수체에 상기 반응제가 함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성물 복합 작용과 고분자 기포화 억제 작용이 더해져서, 보다 강한 미용 및 의료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담지체란, 고형물, 반고형물, 액체 등을 담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응제가, 예를 들면 반고형물이나 액체인 경우는, 이들을 함침할 수 있는 섬유질의 시트형상 흡수체나 다공성 스펀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과립이나 세립(細粒) 등의 고형물인 경우는, 이들을 포함할 수 있는 눈이 촘촘한 직물의 주머니형상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페이스트나 하이드로겔 등의 점착성이 있는 반고형물인 경우는, 후술하는 폐쇄 피복재를 사용할 수 있고, 이것을 지지체로 해서 상기 피복재상에 전연(展延)해도 좋으나, 이들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있어서, 상기 반응제가 담지된 담지체의, 사용시에 대기측이 되는 면이, 이산화탄소 불투과성 또는 저투과성의 피복재(이하 "폐쇄 피복재"라고 말함)로 덮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의해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그대로여도 이산화탄소의 기포화와 대기중으로의 발산이 강하게 억제되며, 당해 이산화탄소가 실질적으로 비기포 상태로 점성물에 용해해서, 효율적으로 경피 경점막 흡수되어 강한 미용 및 의료 효과가 얻어지지만, 상기 주제를 피부에 접촉시키고, 그 위에 반응제 담지체를 포갰을 때에, 당해 반응제 담지체의 대기측이 되는 면이 상기 폐쇄 피복재로 피복되어 있으면, 폐쇄 효과에 의해 이산화탄소의 기포화와 대기중으로의 발산이 더욱 강하게 억제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경피 경점막 흡수율이 한층 높아져서, 보다 강한 미용 및 의료 효과가 더욱 단시간에 얻어진다. 한편, 상기 폐쇄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주제에 반응제 담지체를 포갠 후에, 당해 반응제 담지체의 대기측이 되는 면을 폐쇄 피복재로 피복해도 좋으나, 미리 당해 반응제 담지체의 대기측이 되는 면을 폐쇄 피복재로 덮고 있으면, 한층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폐쇄 효과도 보다 확실하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상기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를 사용해서 이루어지며, 이산화탄소가 실질적으로 비기포 상태로 점성물에 용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를 사용하면, 실질적으로 비기포 상태로 점성물에 용해한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얻어지며,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의하면, 이산화탄소의 경피 경점막 흡수에 의한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한층 강하게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를 구성하는 주제(A)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형태에 따른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는, 적어도 산과 물을 포함하는 점성물(1)을,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에 함침시킨 주제(A)와, 적어도 탄산염을 포함하는 반응제(B)로 이루어지며, 사용시에 상기 주제(A)를 피부(H)에 부착한 상태에서, 이것에 상기 반응제(B)를 접촉시키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당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점성물(1)에 비기포 상태로 용해하는 것이다. 한편, 피부(H)를 대신하여 점막에 부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주제(A)의 점성물(1)은 점도가 20℃에서 20 cps 이상이면, 액체여도 반고체여도 좋다. 점성물(1)의 점도가 20℃에서 20 cps 미만이면, 당해 점성물을 포함하는 주제(A)와 반응제(B)를 접촉시킬 때, 점성물 복합 작용과 고분자 기포화 억제 작용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기포화하고, 대기중으로 발산하여 경피 경점막 흡수에 충분히 이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점성물(1)의 제형(劑形)으로서는, 점성액, 연고, 크림, 페이스트,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 등의 제제를 들 수 있으며,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단, 어느 것에 대해서도 반응제(B)의 탄산염이 이행하기 어려운 정도의 고점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점성물(1)의 점도가 반응제(B)의 탄산염이 이행하기 어려운 정도의 고점도이면, 주제(A)와 반응제(B)가 접촉했을 때,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의 표면상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해 버리고, 대기중으로 발산하여 경피 경점막 흡수에 충분히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미용 및 의료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점성물(1)로서 점성액상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적어도 산과 물과 증점제를 사용해서, 수용액이나 현탁액, 혹은 팽윤액(膨潤液) 등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성액의 제조방법으로서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점성물(1)을 연고로 하는 경우는, 공지의 연고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의 하나로 산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산과 탄산염(3)과의 반응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산을 물에 용해할 수 있는 친수(親水) 연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성물(1)을 크림으로 하는 경우는, 공지의 크림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의 하나로 산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페이스트형상의 점성물(1)은, 상기 산 및 물에 또한 페이스트가 형성되는 농도의 증점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형상의 점성물(1)은, 상기 산 및 물에 또한 하이드로겔 형성 원료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 형성 원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알긴산, 아밀로오스(amylose), 카세인, 카라기난, 잔탄검, 카라야검(karaya gum), 덱스트란, 키틴, 전분, 피브린(fibrin), 풀루란, 젤라틴, 만난 등의 천연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전분-아크릴산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 고분자;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아미드, 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알긴산나트륨의 경우는, 산이 강산(强酸)이면 그것만으로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고, 약산을 사용하는 경우는 수용성 칼슘염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알긴산칼슘의 하이드로겔을 형성한다. 알긴산칼슘의 하이드로겔은 경화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그대로는 고분자 그물코 구조체(2)에 함침시키는 것은 곤란하므로, 최초에 알긴산나트륨의 졸을 함침시키고, 그 후에 수용성 칼슘염의 수용액을 도포하거나, 알긴산나트륨의 졸을 함침한 고분자 그물코 구조체(2)를 수용성 칼슘염의 수용액에 담그는 등 하면 된다.
상기 하이드로겔형상의 점성물(1)은, 그 자체 완만한 삼차원 그물코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하이드로겔의 겔 경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경우라도, 이것을 또한 상기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에 함침시키면, 하이드로겔의 점성물 복합 작용과 고분자 기포화 억제 작용에, 또한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의 고분자 기포화 억제 작용이 상가적(相加的) 혹은 상승적(相乘的)으로 작용해서, 당해 하이드로겔 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 속도를 적당히 억제하여, 상기 이산화탄소의 기포화와 대기중으로의 발산을 한층 강하게 억제한다.
점성물(1)에 사용하는 증점제로서는, 천연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천연 고분자로서는 아라비아 고무, 카라기난, 갈락탄(galactan), 한천, 잔탄검(xanthan gum), 퀸스시드검, 구아검, 트래거캔스 고무, 펙틴, 만난(mannan), 로커스트빈검, 소맥전분, 쌀전분,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등의 식물계 고분자, 커드란(curdlan), 잔탄검, 숙시노글루칸, 덱스트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풀루란(pullulan)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알부민, 카세인, 콜라겐, 젤라틴, 피브로인 등의 단백계 고분자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피부와의 친화성 등의 점에서 아라비아 고무, 카라기난, 잔탄검, 트래거캔스 고무, 히알루론산, 풀루란, 펙틴, 만난, 로커스트빈검이 바람직하며, 사용감 등의 점에서 카라기난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반합성 고분자로서는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크로스카르멜로스(croscarmellose), 결정 셀룰로오스, 초산셀룰로오스,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메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파화 전분, 부분 알파화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덱스트린, 메틸 전분, 전분-아크릴산 공중합체, 셀룰로오스-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전분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그 외의 다당류계 고분자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피부와의 친화성 등의 점에서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덱스트린, 히알루론산나트륨이 바람직하며, 사용감 등의 점에서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민,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피부와의 친화성 등의 점에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바람직하며, 사용감 등의 점에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무기물로서는 함수이산화규소, 경질무수규산, 콜로이달알루미나, 벤토나이트(bentonite), 라포나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 점성물(1)중의 산의 배합량은, 당해 점성물(1) 전량에 대하여 0.05∼30중량%가 바람직하고, 0.5∼1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0.05 중량% 미만이면, 이것과 반응하는 탄산염(3)의 양이 어느 정도 많더라도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적기 때문에, 미용 혹은 의료 효과는 얻어지기 어렵다. 30 중량%를 넘으면, 이것과 반응하는 탄산염(3)의 양이 많아,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발생하더라도 그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점성물(1)에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무기산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 무기산으로서는, 염산, 질산, 황산, 인산,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피로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칼륨, 산성 헥사메타인산나트륨, 산성 헥사메타인산칼륨,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산성 피로인산칼륨 및 술파민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유기산으로서는 포름산(formic acid), 초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길초산 등의 직쇄 지방산, 수산(oxalic acid), 말론산, 호박산(succin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아디핀산, 피멜산(pimelic acid), 푸말산, 말레인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글리콜산,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유산(乳酸), 히드록시아크릴산, α-옥시부티르산, 글리세린산, 타르트론산(tartron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몰식자산(沒食子酸), 트로파산(tropic acid), 아스코르빈산 및 글루콘산 등의 옥시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 점성물(1) 중의 물의 배합량은, 점성물(1)의 점도가 20℃에서 20 cps 이상이면 가능한 한 많은 편이 바람직하다. 물의 배합량이 적으면, 점성물(1)에의 탄산염의 이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점성물(1)을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에 함침시키는 방법은 공지의 수단에 의할 수 있다.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에 대한 점성물(1)의 함침량은,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의 두께에도 의하지만, 대략 1평방센티미터당 0.01g이상이 바람직하다. 단, 함침량이 너무 많아서,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가 완전히 매몰하는 정도라면, 고분자 기포화 억제 작용이 얻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함침량이 1평방센티미터당 0.01g 미만밖에 없으면, 반응제(B)와 접촉시켜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적기 때문에,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상기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로서는, 점성물 등의 유동성이 있는 물질을 함침할 수 있거나, 혹은 수용액을 함침해서 그 자체가 점성물이 되어,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로서 시트형상이며 섬유질 또는 다공질의 흡수체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흡수체로서는, 직포, 부직포, 혹은 스펀지 등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보다 구체적인 목적이나 사용 부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부직포는 가볍고, 방축성(防縮性)이나 방추성(防皺性)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섬유질의 흡수체의 재료로서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반합성 섬유의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면, 마 등의 식물성 섬유, 양모, 견(絹), 해면(海綿) 등의 동물성 섬유가, 합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 비닐론, 테트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가, 반합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코스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나, 아세테이트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이상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흡수성 고분자로서 알려진, 분자 내에 친수기를 다수 가지며, 신축성이 있는 삼차원 그물코 구조를 갖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의 두께는, 0.1∼10 m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 mm이다. 두께가 0.1 mm 보다 작으면, 단위 면적당에 포함되는 점성물(1)의 양이 적어, 포함되는 산이 모두 탄산염(3)과 반응하더라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적기 때문에, 충분한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두께가 너무 크면, 포함되는 산이 모두 탄산염(3)과 반응하여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더라도, 그 이상의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외용제로서의 편의성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반응제(B)는 주제(A)와 접촉시켰을 때, 당해 주제(A)에 포함되는 점성물(1)에 탄산염(3)이 이행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고형물, 반고형물, 혹은 액체 등의 형상으로 사용된다. 제형으로서는, 고형물의 경우, 과립, 세립, 분말 등이, 반고형물의 경우, 연고, 크림, 페이스트, 하이드로겔 등이, 액체의 경우, 통상의 수용액, 혹은 점성액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단, 하이드로겔의 경우는, 경도가 너무 높으면, 주제(A)와 접촉했을 때에, 당해 반응제(B) 중에 포함되는 탄산염이 주제(A)의 점성물에 이행하는 데 시간이 너무 걸려서,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너무 늦어 충분한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반응제(B)가 시트형상의 담지체(4)에 담지되어 있다. 이 담지체(4)로서는, 반응제(B)가 액체 혹은 반고형물인 경우는 상기한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가, 반응제(B)가 점착성이 있는 반고형물인 경우는 폐쇄 피복재가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된다. 또한, 반응제(B)가 고형물인 경우는 당해 고형물보다 그물코가 작은 직물로 이루어지는 주머니형상의 담지체(4)가 사용된다.
상기 담지체(4)에 사용되는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는, 주제(A)에 사용되는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와 동일한 형태, 및 재질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쇄 피복재로서는, 완전히 이산화탄소의 투과를 억제하거나, 혹은 이산화탄소가 투과하기 어려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나일론, 비닐론, 나일론과 에틸렌비닐알코올의 복합물,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리덴, 메타크실리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직물의 주머니형상물로서는, 포함하는 반응제(B)보다도 그물코가 작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재질로서는 상기 흡수체의 재료에 사용되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반합성 섬유의 어떠한 것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반응제(B)에 사용하는 탄산염(3)으로서는, 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세스퀴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리튬, 탄산수소리튬, 세스퀴탄산리튬, 탄산세슘, 탄산수소세슘, 세스퀴탄산세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마그네슘, 탄산수소칼슘, 탄산칼슘, 탄산수산화마그네슘, 탄산바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이상이 사용된다. 탄산염(3)의 배합량은 반응제(B) 전량에 대하여 0.05∼30 중량%가 바람직하고, 0.5∼1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탄산염(3)의 배합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이것과 반응하는 산의 양이 어느 정도 많더라도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적기 때문에, 미용 혹은 의료 효과는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30 중량%를 넘으면, 이것과 반응하는 산의 양이 많아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발생하더라도 그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반응제(B)는 그 담지체(4)의 사용시에 있어서 대기측이 되는 면(도 1에 있어서 상면)이 이산화탄소 불투과성 혹은 저투과성의 피복재인 폐쇄 피복재(5)로 피복되어 있다. 이 폐쇄 피복재(5)로서는, 시트형상 혹은 필름형상인 것이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반응제(B)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발산하는 것이 억제되어서 이산화탄소의 경피 경점막 흡수 이용율이 증대되어, 미용 및 의료 효과가 한층 강해진다.
상기 폐쇄 피복재(5)를 담지체(4)에 피복하기 위해서는, 당해 폐쇄 피복재(5)나 담지체(4)의 재질 등에 따라서, 열이나 고주파, 초음파 등에 의한 융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피복방법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제(A)와 반응제(B)의 양은, 주제(A)에 포함되는 산의 1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제(B)에 포함되는 탄산염(3)이 0.5∼10 중량부가 되는 양이 바람직하고, 1∼5 중량부가 되는 양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사용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주제(A)와 반응제(B)를 미리 접촉시켜서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조제해 두고 나서 피부에 적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한 사용방법으로서는, 주제(A)를 피부(H)에 부착한 후, 그 위에 반응제(B)를 포개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이산화탄소가 발생 직후로부터 헛됨없이 경피 경점막 흡수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사용시간은, 목적과 개인의 이산화탄소에 대한 반응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1분이상이 바람직하고, 5분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1분미만에서는 충분한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장시간의 사용에 전혀 지장은 없으나, 통상은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종료되면, 그 이상 장시간의 사용에 의한 효과는 특별히 얻어지지 않는다.
반응제(B)는 담지체(4)에 담지시키지 않고 단독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그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과립, 세립, 분말, 정제를 들 수 있으며,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고,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반응제(B)를 고형물로 하는 경우는, 탄산염(3)의 점성물(1)에 대한 이행 속도를 억제하여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늦추기 위해서, 적어도 탄산염(3)과 분산제를 포함하는 반응제(이하 "탄산염 분산제 함유 반응제"라고도 말함)(B)로 하며, 탄산염(3)과 분산제가 가능한 한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로서는, 통상의 의약품 등의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백당, 유당, 포도당, 만니톨, 인산칼슘, 덱스트린, 요소 등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백당, 유당, 포도당, 만니톨, 요소 등의 수용성 분산제가 바람직하다. 분산제의 배합량으로서는, 탄산염 분산제 함유 반응제(B) 전량에 대하여, 5∼90 중량%가 바람직하고, 10∼7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분산제의 배합량이 5 중량% 미만에서는, 점성물(1)에의 탄산염(3)의 이행 속도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분산제의 배합량이 90 중량%를 넘으면, 필요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탄산염 분산제 함유 반응제(B)를 대량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분산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반응제(B)의 양이 너무 많아서 점성물(1)에 필요량의 탄산염이 이행하지 않아, 충분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다른 첨가물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탄산염(3)만으로 이루어지는 반응제(B)를 주제(A)에 접촉시키려고 하면, 상기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2) 표면상에서 급격하게 이산화탄소가 발포해서 대기중으로 발산해 버려, 미용 혹은 의료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탄산염 분산제 함유 반응제(B)에 사용하는 분산제로서는, 증점제를 사용해도 좋다. 이 증점제를 분산제로서 사용한 탄산염 분산제 함유 반응제(B)는, 주제(A)의 점성물(1)과 접촉시켰을 때, 분산제가 점성물(1)에 대한 탄산염(3)의 이행 속도를 늦추는 상기 효과에 더하여, 증점제가 기체 불투과성 혹은 저투과성의 피막을 형성하여, 이산화탄소의 대기중으로의 발산을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는 헛됨없이 경피 경점막 흡수되어, 보다 강한 미용 및 의료 효과가 얻어진다. 증점제로서는, 상기 점성물(1)에 사용되는 증점제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백당, 유당, 포도당, 만니톨, 인산칼슘, 덱스트린 등의, 통상의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분산제의 일부를 상기의 증점제로 치환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반응제(B)를 반고형물로 하는 경우는, 통상의 연고나 크림 등의 반고형물의 원료의 하나로 탄산염(3)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제(B)를 액체로 하는 경우는, 단지 수용액으로 하는 것만으로도 좋으나, 점성액으로 함으로써, 주제(A)와 접촉시켰을 때, 산과 탄산염(3)의 반응이 더욱 억제되어, 이산화탄소가 한층 서서히 발생함과 아울러, 표면장력도 높기 때문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기포화와 발산을 더욱 억제하여, 비기포 상태로 용해하는 것을 한층 촉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성액으로서는, 적어도 탄산염(3)과 증점제와 물을 사용해서, 수용액이나 현탁액, 혹은 팽윤액 등으로 한 점성액(이하 "탄산염 증점제 함유 점성 반응제(B)"라고도 말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탄산염 증점제 함유 점성 반응제(B)는, 증점제의 배합량을 올림으로써, 페이스트 혹은 하이드로겔로 해도 좋다. 하이드로겔의 경우, 증점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당해 반응제(B)를 가열, 냉각하는 방법, 동결, 융해를 반복하는 방법, 당해 반응제(B)의 증점제를 적당한 화학 가교제에 의해 가교하는 방법, 당해 반응제(B)에 전리방사선을 조사해서 증점제를 가교하는 방법 등에 의해, 경화 겔로 해도 좋다. 경화 겔은, 담지체(4)에 담지시키지 않고 그대로 시트 등의 형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증점제의 배합량으로서는, 사용하는 증점제의 물성 등에 따라서, 점성액, 혹은 페이스트, 혹은 하이드로겔, 혹은 경화 겔을 형성하는 배합량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주제의 점성물에 사용되는 증점제 중 반응제의 탄산염과 반응해서 이산화탄소를 발생하지 않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있어서, 점성물 및 반응제에는, 상기 필수 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통상의 외용제나 화장료 등에 사용되는 원료, 예를 들면 향료, 색소, 방부제, 계면활성제, 유분, 보습제, 알코올류,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착색방지제, 자외선 흡수·산란제,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멜라닌 색소 합성 억제제, 영양제, 항염증제, 혈관확장제, 호르몬제, 수렴제(收斂劑), 항히스타민제, 피지 억제제, 각질 박리ㆍ용해제, 항지루제, 진양제(鎭痒劑) 등을 배합할 수 있으며, 화장료 혹은 의약 외용제로서 한층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산과 탄산염(3)의 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므로, 상기 실시형태와 반대로, 주제를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에 적어도 탄산염과 물을 포함하는 점성물을 함침한 것으로 구성하고, 반응제를 적어도 산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피부는 일반적으로 알칼리에 의해 장해를 받기 쉬우므로, 사용에는 충분한 주의를 요한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사과산 1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3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6 중량부를 사용해서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형상의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主劑)를 조제하였다.
(반응제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 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9 중량부를 사용해서 액상(液狀)의 반응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2>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호박산 1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3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 중량부를 사용하여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형상의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세스퀴탄산나트륨 1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3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 중량부를 사용해서 점성액상의 반응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3>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구연산 0.5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3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6.4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 담지체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나트륨 0.5 중량부, 증점제로서 카라기난 2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7.4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물을 조제하고, 담지체로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담지시켜서, 반응제를 담지하는 반응제 담지체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 담지체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4>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사과산 1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3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 중량부를 사용하여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형상의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 담지체의 조제)
실시예 2의 반응제, 및 폐쇄 피복재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고,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반응제를 담지시켜서, 반응제를 담지하는 반응제 담지체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 담지체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5>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L-아스코르빈산 1중량부, 증점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 3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1 mm의 폴리우레탄제 스펀지를 사용하며, 당해 스펀지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 담지체의 조제)
실시예 2의 반응제, 및 폐쇄 피복재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한 두께 0.4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고,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g의 상기 반응제를 담지시켜서, 반응제를 담지하는 반응제 담지체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 담지체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6>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주석산 1 중량부, 증점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3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 2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6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60℃의 정제수 91.9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물을 조제하고, 2℃로 냉각해서 하이드로겔형상의 반응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7>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사과산 1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5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60℃의 정제수 93.9 중량부를 사용하여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수용액을 2℃로 냉각해서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형상의 점성물을 조제하고, 흡수체로서 두께 0.4 mm의 폴리우레탄제 스펀지를 사용하며, 당해 스펀지 1평방센티미터당 0.06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 담지체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산 1 중량부, 증점제로서 카라기난 3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물을 조제하고, 폐쇄 피복재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며, 당해 폐쇄 피복재에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도포해서 담지시켜, 반응제 담지체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 담지체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8>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사과산 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53.9 중량부, 유분으로서 스테아릴알코올 6 중량부, 스테아린산 2 중량부, 수첨(水添) 라놀린 3 중량부, 스쿠알란 9 중량부, 옥틸도데카놀 10 중량부, 보습제로서 1,3-부틸렌글리콜 6중량부, PEG 1500을 4 중량부, 계면활성제로서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중량부, POE(25)세틸알코올에테르 3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를 사용해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크림형상의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에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 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53.9 중량부, 유분으로서 스테아릴알코올 6 중량부, 스테아린산 2 중량부, 수첨 라놀린 3 중량부, 스쿠알란 9 중량부, 옥틸도데카놀 10 중량부, 보습제로서 1,3-부틸렌글리콜 6 중량부, PEG 1500을 4 중량부, 계면활성제로서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중량부, POE(25)세틸알코올에테르 3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를 사용해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크림형상의 반응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9>
(주제의 조제)
실시예 1의 점성물을,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면제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하고,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 담지체의 조제)
실시예 1의 반응제를, 담지체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을 지지체로 하는 두께 0.4 mm의 면제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하고,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반응제를 담지시켜서, 반응제를 담지하는 반응제 담지체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 담지체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10>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사과산 1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3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6 중량부를 사용하여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형상의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1 mm의 폴리에스테르·면 혼합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 1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8 중량부를 사용해서 점성액상의 반응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11>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호박산 1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3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수소칼륨 1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3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 중량부를 사용해서 점성액상의 반응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12>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인산이수소나트륨 1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3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 담지체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나트륨 0.5 중량부, 증점제로서 카라기난 2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7.4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물을 조제하고, 담지체로서 두께 0.4 mm의 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담지시켜서, 반응제 담지체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 담지체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13>
(주제의 조제)
산 및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2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6.9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 담지체의 조제)
실시예 10의 반응제, 및 폐쇄 피복재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한 두께 0.4 mm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하고,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반응제를 담지시켜서, 반응제 담지체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 담지체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14>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구연산 1 중량부, 증점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 5 중량부, 폴리비닐피롤리돈 10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84.9 중량부를 사용하여 점성액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 5중량부, 분산제로서 만니톨 90 중량부, 결합제로서 감자전분 5 중량부를 사용해서, 물을 용매로 하여 습식조립법(濕式造粒法)에 의해 세립형상의 반응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15>
(주제의 조제)
실시예 10의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형상의 점성물을 사용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1 mm의 폴리우레탄제 스펀지를 사용하며, 당해 스펀지 1평방센티미터당 0.06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 1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53.9 중량부, 계면활성제로서 스테아린산 4 중량부, 세틸알코올 12 중량부,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 2 중량부, POE(20) 경화 피마자유 3 중량부, 유분으로서 스쿠알란 10 중량부, 호호바 오일 4 중량부, 그 외의 원료로서 1,3-부틸렌글리콜 6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4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를 사용해서 크림형상의 반응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16>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구연산 1 중량부, 유분으로서 세틸알코올 1 중량부, 백색 바셀린 2.5 중량부, 스쿠알란 6 중량부, 계면활성제로서 스테아린산 2 중량부, POE(20) 경화 피마자유 1 중량부,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 1 중량부, 물로서 증류수 35.9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그 외의 원료로서 글리세린 4 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5 중량부, 에탄올 5 중량부를 사용해서 유액상(乳液狀)의 점성물을 조제하고,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 담지체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 2 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4 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3.9 중량부를 사용해서 점성물을 조제하고, 담지체로서 두께 0.4 mm의 면제 부직포를 사용하며,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담지시켜서, 반응제 담지체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 담지체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17>
(주제의 조제)
실시예 10의 점성물을,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로서 두께 0.4 mm의 면제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하고,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 담지체의 조제)
실시예 10의 반응제를, 담지체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을 지지체로 하는 두께 0.4 mm의 면제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하고, 당해 부직포 1평방센티미터당 0.03 g의 상기 반응제를 담지시켜서, 반응제를 담지하는 반응제 담지체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 담지체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실시예 18>
(주제의 조제)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해서, 주제를 조제하였다.
(반응제의 조제)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해서, 반응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 하였다.
<비교예>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0-319187호의 실시예 109에 따라 이하와 같이 제조하였다.
(산성 조성물의 제조)
구연산 25 중량%, 에틸셀룰로오스 25 중량%,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croscarmellose sodium) 50 중량%를 사용하여, 습식 압출 조립법(造粒法)에 의해 길이 약 4 mm, 직경 약 1 mm의 다공성 기둥형상 과립을 제조하였다.
(염기성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89.6 중량%에 탄산수소나트륨 2.4 중량%를 녹이고, 60℃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알긴산나트륨 4.0 중량%, 에틸셀룰로오스 2.0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2.0 중량%를 서서히 첨가해서 교반하면서 녹이며, 용해 후 하룻밤 방치하고, 실온까지 식혀서 점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산성 조성물과 염기성 조성물에 의해 기포형상 이산화탄소 함유 조성물인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로 하였다.
<평가시험>
이렇게 해서 제조한 실시예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의해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평가 1 : 손의 미백,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
18명의 여성 모니터에 의해, 각 모니터의 좌측 손등에 실시예 1∼8 중 어느 하나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의해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우측 손등에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을 각각 5분간 적용하고, 손등의 미백과 결의 고움, 피부 촉감에 의한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사용방법은, 좌측 손등에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1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1.2 g의 실시예 1의 반응제를 구석구석까지 분무하였다.
실시예 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사용방법은, 좌측 손등에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2의 주제를 좌측 손등에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1.2 g의 실시예 2의 반응제를 구석구석까지 도포하였다.
실시예 3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사용방법은, 좌측 손등에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3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3의 반응제 담지체를 포개었다.
실시예 4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사용방법은, 좌측 손등에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4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4의 반응제 담지체를 폴리에틸렌 필름이 대기측에 오도록 포개었다.
실시예 5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사용방법은, 좌측 손등에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5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5의 반응제 담지체를, 폴리에틸렌 필름이 대기측에 오도록 포개었다.
실시예 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사용방법은, 좌측 손등에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6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1.2 g의 실시예 6의 반응제를 구석구석까지 도포하였다.
실시예 7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사용방법은, 좌측 손등에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7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7의 반응제 담지체를, 폴리에틸렌 필름이 대기측에 오도록 포개었다.
실시예 8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사용방법은, 좌측 손등에 한 변 4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8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1.2 g의 실시예 8의 반응제를 구석구석까지 도포하였다.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은, 염기성 조성물 20 g에 산성 조성물 1 g을 첨가해서 완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하고, 여성 모니터 18명 전원의 우측 손등에 그 1.2 g을 한 변 4 ㎝의 정사각형으로 도포하였다.
5분 후에 실시예 1∼8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을 손등에서 완전히 제거하고, 각 제제의 적용 부위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8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적용한 좌측 손등은, 제거한 직후는, 모든 실시예에서, 적용한 모양 그대로의 한 변 4 ㎝의 정사각형으로 피부가 발적해서 피부 온도가 올라가고, 매우 강한 혈류 증가가 관찰되었다. 특히 실시예 4의 혈류 증가가 강하였다.
발적은 수분 후에는 전 실시예에서 소실되고, 그 후, 전 실시예에서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적용한 모양 그대로의 한 변 4 ㎝의 정사각형으로 피부가 하얗게 되며, 촉촉한감이 얻어졌다. 페이셜 애널라이저(코아 프론트사제;피부 수분량과 피지량을 0∼99의 범위에서 측정함)로 피부 수분량과 피지량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적용한 부위는, 전 실시예에서 피부 수분량 62∼81, 피지량 27∼48로, 주위의 피부의 피부 수분량 17∼24, 피지량 0∼11과 비교해서 명백히 증가하여, 촉촉한감과 상관(相關)하였다. CCD 카메라에 의해 피부 표면을 40배로 확대해서 관찰한 바, 전 실시예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적용 부위는 주위의 피부와 비교하여 피구(皮溝;피부 소구), 피구(皮丘;피부 소릉)가 명료하고, 피부의 결이 곱게 되어 있었다.
한편,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을 도포한 우측 손등은 제거한 후에 발적이 보여진 모니터는 없으며, 혈류 증가 작용은 보여지지 않았다. 또한, 적용 부위에 미백이나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가 보여진 모니터는 없으며, 피부 수분량이 약간 증가하였으나, 피지량에는 거의 변화는 없었다.
평가 2 : 손의 미백,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
총 11인의 여성 모니터에 의해, 각 모니터의 좌측 손등에 실시예 10∼16 중 어느 하나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를, 우측 손등에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을 각각 5분간 적용하고, 손등의 미백과 결의 고움, 피부 촉감에 의한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0, 11, 14, 15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사용방법은, 좌측 손등에 한 변 5 ㎝의 정사각형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각각 대응하는 0.8 g의 반응제를 구석구석까지 도포하였다.
실시예 12, 13, 1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의 사용방법은, 좌측 손등에 한 변 5 ㎝의 정사각형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각각 대응하는 한 변 5 ㎝의 정사각형의 반응제 담지체를 포개었다.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은, 염기성 조성물 20 g에 산성 조성물 1 g을 첨가해서 완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하고, 여성 모니터 전원의 우측 손등에 그 1.5 g을 한 변 5 ㎝의 정사각형으로 도포하였다.
5분 후에 실시예 10∼1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을 손등에서 완전히 제거하고, 각 제제의 적용 부위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0∼1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적용한 좌측 손등은, 제거한 직후는, 모든 실시예에서, 적용한 모양 그대로의 한 변 5 ㎝의 정사각형으로 피부가 발적해서 피부 온도가 올라가고, 매우 강한 혈류 증가가 관찰되었다. 특히 실시예 10, 11의 혈류 증가가 강하였다.
발적은 수분 후에는 전 실시예에서 소실되고, 그 후, 전 실시예에서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적용한 모양 그대로의 한 변 5 ㎝의 정사각형으로 피부가 하얗게 되며, 촉촉한감이 얻어졌다. 특히 실시예 1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가장 미백 효과가 현저하였다. 페이셜 애널라이저(코아 프론트사제;피부 수분량과 피지량을 0∼99의 범위에서 측정함)로 피부 수분량과 피지량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0∼1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적용한 부위는, 전 실시예에서 피부 수분량 62∼87, 피지량 27∼62로, 주위의 피부의 피부 수분량 17∼24, 피지량 0∼11과 비교해서 명백히 증가하여, 촉촉한감과 상관하였다. CCD 카메라에 의해 피부 표면을 40배로 확대해서 관찰한 바, 전 실시예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적용 부위는 주위의 피부와 비교하여 피구(皮溝;피부 소구), 피구(皮丘;피부 소릉)가 명료하고, 피부의 결이 곱게 되어 있었다.
한편,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을 도포한 우측 손등은 제거한 후에 발적이 보여진 모니터는 없으며, 혈류 증가 작용은 보여지지 않았다. 또한, 적용 부위에 미백이나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가 보여진 모니터는 없으며, 피부 수분량이 약간 증가하였으나, 피지량에는 거의 변화는 없었다.
평가 3 : 얼굴의 부분 마름, 미백,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1)
26세의 여성 모니터의 얼굴에 실시예 9의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한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실시예 9의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한 반응제 담지체를, 폴리에틸렌 필름이 대기측에 오도록 포개서 10분간 부착하였다. 부착 후 약 1분으로 얼굴의 피부 전체의 뜨거움을 호소하고, 상기 외용제 밑의 피부는 빨갛게 되어 혈류 촉진이 관찰되었다. 상기 외용제를 제거한 후의 피부는 전체가 빨갛고, 피부 온도가 높아져 있었으나, 1∼2분으로 붉은 기는 없어지고, 피부 온도가 되돌아감과 아울러, 피부가 매우 하얗게 되고, 투명감이 보여졌다. 또한, 볼이 작아져서, 얼굴이 작아지는 효과가 보여졌다.
평가 4 : 얼굴의 부분 마름, 미백,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2)
26세의 여성의 우측 반쪽 얼굴에, 세로 반으로 커트한 실시예 9의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한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세로 반으로 커트한 실시예 9의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한 반응제 담지체를, 폴리에틸렌 필름이 대기측에 오도록 포개서 5분간 부착하였다. 좌측 반쪽 얼굴에는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15g을 균일한 두께로 마찬가지로 5분간 도포하였다. 실시예 9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부착한 우측 반쪽 얼굴은, 부착 후 약 1분으로 상기 여성이 피부의 뜨거움을 호소하여 혈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도포한 좌측 반쪽 얼굴에는 차가움을 느꼈다. 5분 후에 이들을 제거하면, 우측 반쪽 얼굴은 전체가 빨갛고, 피부 온도가 높았으나, 약 2분 후에는 붉은 기가 없어지고, 피부 온도도 되돌아갔다. 한편, 좌측 반쪽 얼굴은 차가운 상태이며, 붉은 기 등도 보여지지 않고, 혈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얼굴의 좌우를 비교하면, 우측 반쪽 얼굴 쪽이 피부는 하얗고, 투명감이 생겨 미백,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가 보여졌다. 또한, 우측 볼이 좌측 볼과 비교해서 작아지고, 구각(口角)이 올라가서 얼굴의 부분 마름 효과가 보여졌다.
평가 5 : 얼굴의 부분 마름, 미백,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3)
37세와 40세의 여성 모니터의 얼굴에 실시예 17의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한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실시예 17의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한 반응제 담지체를, 폴리에틸렌 필름이 대기측에 오도록 포개서 10분간 부착하였다. 부착 후 약 1분으로 양 모니터 모두 얼굴의 피부 전체의 뜨거움을 호소하고, 상기 외용제 밑의 피부는 빨갛게 되어 혈류 촉진이 관찰되었다. 상기 외용제를 제거한 후의 피부는 양 모니터 모두 전체가 빨갛고, 피부 온도가 높아져 있었으나, 1∼2분으로 붉은 기는 없어지고, 피부 온도가 되돌아감과 아울러, 피부가 매우 하얗게 되고, 투명감이 보여졌다. 또한, 볼이 작아져서, 얼굴이 작아지는 효과가 보여졌다.
평가 6 : 얼굴의 부분 마름, 미백,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4)
37세와 40세의 여성 모니터의 우측 반쪽 얼굴에, 세로 반으로 커트한 실시예 17의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한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세로 반으로 커트한 실시예 17의 페이스 마스크형 부직포를 사용한 반응제 담지체를, 폴리에틸렌 필름이 대기측에 오도록 포개서 5분간 부착하였다. 좌측 반쪽 얼굴에는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15 g을 균일한 두께로 마찬가지로 5분간 도포하였다. 양 모니터 모두 실시예 17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부착한 우측 반쪽 얼굴은, 부착 후 약 1분으로 피부의 뜨거움을 호소하여 혈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도포한 좌측 반쪽 얼굴에는 양 모니터 모두 차가움을 느꼈다. 5분 후에 이들을 제거하면, 양 모니터 모두 우측 반쪽 얼굴은 전체가 빨갛고, 피부 온도가 높았으나, 약 2분 후에는 붉은 기가 없어지고, 피부 온도도 되돌아갔다. 한편, 양 모니터 모두 좌측 반쪽 얼굴은 차가운 상태이며, 붉은 기 등도 보여지지 않고, 혈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얼굴의 좌우를 비교하면, 양 모니터 모두 우측 반쪽 얼굴 쪽이 피부는 하얗고, 투명감이 생겨 미백, 살결을 곱게 하는 효과가 보여졌다. 또한, 우측 볼이 좌측 볼과 비교해서 작아지고, 구각(口角)이 올라가서 얼굴의 부분 마름 효과가 보여졌다.
평가 7 : 베인 상처에 대한 효과
28세의 여성의 좌측손 약지의 길이 7 mm의 베인 상처에 대하여, 한 변 1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12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로부터 한 변 1 ㎝의 정사각형의 실시예 12의 반응제 담지체를 포개었다. 상처의 통증은 즉시 없어지고, 15분 후에 벗겨 낸 바, 상처가 아물어 있었다.
평가 8 : 찰과상에 대한 효과
46세 남성의 우측 팔꿈치에 생긴 2 ㎝×3 ㎝ 크기의 찰과상에 대하여, 실시예 6의 주제를 한 변 4 ㎝의 정사각형으로 해서 부착하고, 그 위에 실시예 6의 하이드로겔형상의 반응제 1.2 g을 균일하게 도포하며, 또한 그 위로부터 한 변 4.4 ㎝의 정사각형의 합성 폴리머제 창상 피복재(상품명 테가덤, 쓰리엠 헬스케어사 제품)로 피복하였다. 이렇게 해서 실시예 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1일 1회 적용하고, 매일 교환한 바, 4회의 부착으로 상처가 완전히 아물어서 치유되었다.
평가 9 :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효과(1)
23세 남성의 양 손등의 출혈과 부스럼딱지를 동반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하여, 한 변 8 ㎝의 정사각형으로 한 실시예 3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에 한 변 8 ㎝의 정사각형으로 한 실시예 3의 반응제 담지체를 10분간 포개었다. 이것을 1일 1회, 매일 행한 바, 2일째에는 출혈이 모두 멈췄고, 7일째에는 부스럼딱지가 없어져서 치유되었다.
평가 10 :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효과(2)
32세 남성의 양 손등의 출혈과 부스럼딱지를 동반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하여, 한 변 8 ㎝의 정사각형으로 한 실시예 13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에 한 변 8 ㎝의 정사각형으로 한 실시예 13의 반응제 담지체를 10분간 포개었다. 실시예 13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거한 바, 부스럼딱지가 일부 벗겨지고, 출혈은 거의 멈춰 있었다. 이것을 1일 1회, 매일 행한 바, 8일째에는 부스럼딱지가 없어져서 치유되었다.
평가 11 : 여드름에 대한 효과
29세의 여성의 이마에 생긴 붉은 기를 동반하는 다수의 여드름에 대하여, 4 ㎝×14 ㎝의 크기로 한 실시예 18의 주제를 부착하고, 그 위에 동일한 크기의 실시예 18의 반응제 담지체를 10분간 포개었다. 이것을 1일 1회 행한 바, 여드름의 붉은 기가 연해졌고, 피부 전체의 까슬까슬함도 개선되었다. 이것을 1일 1회 행한 바, 11일로 여드름이 완전히 소실되어, 피부가 하얗고 매끄러워졌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는, 사용이 간편함과 아울러,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에 의해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이산화탄소가 기포화해서 대기중으로 발산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경피 경점막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강한 미용 및 의료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화장료나 의약 외용제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전체로서 산성인 주제(主劑)와, 전체로서 알칼리성인 반응제로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서,
    상기 주제는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로서 사용 시에 최초로 피부에 접촉시키고,
    상기 주제는 나일론, 비닐론, 테트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및 아세테이트레이온 및 면에서 선택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인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에, 증점제와 산과 물을 포함하는 점성물이 함침(含浸)되며,
    상기 반응제는 증점제와 상기 주제를 피부에 접촉시킨 후에 이것을 상기 주제에 접촉시킴으로써 주제 중의 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탄산염을 포함하는 점성물이고,
    상기 주제에 사용하는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의 두께가 0.1∼10mm이며,
    상기 주제 중의 점성물 중의 산의 배합량비가 점성물 전량에 대하여 0.05~30중량%이고,
    상기 주제에 사용하는 고분자 입체 그물코 구조체 1평방센티미터당 주제의 점성물이 0.01∼0.03g 함침되며,
    상기 주제와 반응제의 양비가 주제에 포함되는 산 1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제에 포함되는 탄산염이 0.5~10중량부이고,
    상기 주제의 증점제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고,
    상기 산이 사과산, 호박산, 인산이수소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구연산, L-아스코르빈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며,
    상기 반응제에 포함되는 증점제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고,
    상기 주제 중의 점성물이 점성액, 연고, 크림, 페이스트 및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로부터 선택되는, 이산화탄소의 경피 경점막 흡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제의 점성물이 담지체에 함침되어 있고,
    상기 담지체가 나일론, 비닐론, 테트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및 아세테이트레이온 및 면에서 선택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며,
    상기 반응제의 점성물의 양이 담지체 1평방센티미터당0.01~0.03g인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제가 담지된 담지체에 있어서, 사용 시에 대기측이 되는 면이 이산화탄소 불투과성 또는 저투과성 피복재로 덮여 있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6. 제 1항,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를 이용해서 조제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7. 제 1항,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를 이용하는, 이산화탄소의 경피 경점막 흡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산화탄소 경피 경점막 흡수방법.
KR1020107021693A 2002-07-05 2003-07-04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KR101092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197622 2002-07-05
JP2002197622 2002-07-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819A Division KR20090099016A (ko) 2002-07-05 2003-07-04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548A KR20100114548A (ko) 2010-10-25
KR101092709B1 true KR101092709B1 (ko) 2011-12-09

Family

ID=301124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819A KR20090099016A (ko) 2002-07-05 2003-07-04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KR1020107021693A KR101092709B1 (ko) 2002-07-05 2003-07-04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KR1020097008279A KR20090049097A (ko) 2002-07-05 2003-07-04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819A KR20090099016A (ko) 2002-07-05 2003-07-04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279A KR20090049097A (ko) 2002-07-05 2003-07-04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60165607A1 (ko)
EP (1) EP1541155B1 (ko)
JP (1) JP3633930B2 (ko)
KR (3) KR20090099016A (ko)
CN (1) CN100508988C (ko)
AT (1) ATE468857T1 (ko)
AU (1) AU2003281264A1 (ko)
DE (1) DE60332741D1 (ko)
ES (1) ES2344638T3 (ko)
TW (1) TWI345473B (ko)
WO (1) WO2004004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2041B2 (en) 2012-10-29 2019-04-09 C&Tech Corporation Pack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to sk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30531B (en) * 2003-08-19 2010-09-21 Neochemir Inc A composition for preparing carbon dioxide external gel and the carbon dioxide external gel
JP2006089459A (ja) * 2004-08-24 2006-04-06 Kao Corp シート状組成物
US20070123624A1 (en) * 2005-11-30 2007-05-31 Otten Jay G Method of drying an absorbent polymer with a surfactant
WO2009009064A1 (en) * 2007-07-09 2009-01-15 Orison Corporation Ultrasound coupling material
TWI345451B (en) 2007-10-25 2011-07-21 Neochemir Inc Use of means to supply carbon dioxide for increasing muscle force and a method to increase meat production of livestock thereby
KR20110004850A (ko) * 2008-04-28 2011-01-14 가부시키가이샤 산테크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
JP2009292740A (ja) * 2008-06-03 2009-12-17 Pola Chem Ind Inc 血行促進用の化粧料
KR101037595B1 (ko) 2008-07-09 2011-05-27 이형국 이산화탄소의 경피 점막 흡수방법
JP5647764B2 (ja) * 2009-02-05 2015-01-07 花王株式会社 容器入り身体貼付用酸素供給シート
JP2011026249A (ja) * 2009-07-27 2011-02-10 Kanae Technos:Kk 機能性シート
WO2012039525A1 (ko) 2010-09-20 2012-03-29 Lee Kyeung Ju 얼굴의 과다한 지방 및 단백질을 분해하여 브이라인 턱선과 얼굴 축소를 위한 이산화탄소의 피부 점막 흡수 재료 및 그 흡수 방법
JP5696299B2 (ja) 2011-03-29 2015-04-08 ネオケミア株式会社 二酸化炭素を有効成分とする抗腫瘍剤
FR2974499B1 (fr) * 2011-04-27 2013-09-13 Oreal Masque cosmetique occlusif a degagement gazeux
TW201311257A (zh) 2011-07-15 2013-03-16 Neochemir Inc 以二氧化碳為有效成分之骨折治療劑、骨成長促進劑或骨疾治療及預防劑
WO2013031030A1 (en) * 2011-09-01 2013-03-07 L'oreal Cosmetic sheet
WO2013031031A1 (en) * 2011-09-01 2013-03-07 L'oreal Cosmetic composition and sheet
JP5689513B2 (ja) * 2012-09-07 2015-03-25 丸三産業株式会社 パック材
TW201420130A (zh) 2012-09-26 2014-06-01 Neochemir Inc 溶解有二氧化碳之液狀藥劑及其投藥方法
PL401690A1 (pl) * 2012-11-20 2014-05-26 Zachodniopomorski Uniwersytet Technologiczny W Szczecinie Sposób wytwarzania środka do oczyszczania wody z rozpuszczonych związków fosforu oraz środek do oczyszczania wody z rozpuszczonych związków fosforu
WO2014089026A1 (en) 2012-12-06 2014-06-12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restraining device using multi-region enchanced discrimination
JP2015007017A (ja) * 2013-06-26 2015-01-15 株式会社東洋新薬 発泡性皮膚外用剤
EP3017803A4 (en) 2013-07-04 2017-05-10 Neochemir Inc. Device for manufacturing gas for percutaneous absorp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percutaneous absorption gas, and percutaneous absorption gas
CN105407975A (zh) * 2013-07-22 2016-03-16 欧莱雅 用于美白使用者身体表面的成套产品、相关方法和过程
JP6190696B2 (ja) * 2013-11-01 2017-08-30 株式会社東洋新薬 発泡性皮膚外用剤
JP2015107928A (ja) * 2013-12-04 2015-06-11 株式会社タイキ 炭酸発生シート
JP2015010089A (ja) * 2014-02-06 2015-01-19 株式会社東洋新薬 発泡性皮膚外用剤
JP2016098197A (ja) * 2014-11-20 2016-05-30 株式会社タイキ 皮膚貼付用炭酸ガス発生キット
WO2016157916A1 (ja) * 2015-04-02 2016-10-06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炭酸ガス発生シート
EP3381449A4 (en) * 2015-11-24 2019-07-1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EPARATION FOR ATTACHING TO TEETH OR A SURROUNDING PART OF TEETH
CN107812187A (zh) * 2016-09-13 2018-03-20 叶秩光 二氧化碳气泡搭配超声波的辅助皮肤吸收方法及应用于其中的二氧化碳外用剂
ES2677072B1 (es) * 2017-01-27 2019-05-09 Univ Huelva Membranas poliméricas generadoras de dióxido de carbono y procedimiento de obtención
CN111212651A (zh) * 2017-08-17 2020-05-29 田中雅也 二氧化碳外用剂
KR101961313B1 (ko) * 2018-08-13 2019-03-22 스킨트리(주) 이산화탄소 발생가능한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KR102181770B1 (ko) * 2018-12-06 2020-11-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128119A1 (en) * 2019-12-26 2021-07-01 L'oreal Kit for caring for keratin materials
CN115697353A (zh) * 2020-06-02 2023-02-03 花王株式会社 紫外线敏感性降低剂
CN113876682B (zh) * 2021-10-11 2023-11-03 欧诗漫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珍珠粉自发泡洁面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187A (ja) * 1999-05-06 2000-11-21 Medion Research Laboratories Inc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575A (en) * 1989-01-24 1990-08-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lginate hydrogel foam wound dressing
US5196190A (en) * 1990-10-03 1993-03-23 Zenith Technology Corporation, Limited Synthetic skin substitutes
EP1043023B1 (en) * 1997-11-07 2008-07-09 Medion Research Laboratories Inc. Viscous compositions containing carbon dioxide
US5928174A (en) * 1997-11-14 1999-07-27 Acrymed Wound dressing device
TWI327474B (en) * 2001-04-06 2010-07-21 Neochemir Inc Kit for preparation of carbon dioxide agent for external use.
WO2003057228A1 (fr) * 2001-12-28 2003-07-17 Neochemir Inc. Compositions a base de dioxyde de carbone pour usage externe et procede de fabr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187A (ja) * 1999-05-06 2000-11-21 Medion Research Laboratories Inc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2041B2 (en) 2012-10-29 2019-04-09 C&Tech Corporation Pack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to sk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32741D1 (de) 2010-07-08
US20110165211A1 (en) 2011-07-07
EP1541155B1 (en) 2010-05-26
KR20090049097A (ko) 2009-05-15
TWI345473B (en) 2011-07-21
KR20090099016A (ko) 2009-09-18
WO2004004745A1 (ja) 2004-01-15
JPWO2004004745A1 (ja) 2005-11-04
CN100508988C (zh) 2009-07-08
US20060165607A1 (en) 2006-07-27
AU2003281264A1 (en) 2004-01-23
TW200404570A (en) 2004-04-01
KR20100114548A (ko) 2010-10-25
ES2344638T3 (es) 2010-09-02
EP1541155A4 (en) 2007-11-21
ATE468857T1 (de) 2010-06-15
CN1665519A (zh) 2005-09-07
EP1541155A1 (en) 2005-06-15
JP3633930B2 (ja)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709B1 (ko)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KR100802888B1 (ko)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KR101059327B1 (ko) 이산화탄소 외용 투여장치
US6455065B1 (en) Therapeutic method for treating acne or isolated pimples and adhesive patch therefor
WO2006080398A1 (ja)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
EP1539003A1 (en) Microdermabrasion composition and kit
CA2931564C (en) Com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TWI316858B (en) Carbon dioxide extern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50085218A (ko) 피부 외용재 및 그것을 사용한 외용 지양제, 주름 제거도구
KR20050024510A (ko)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JP2006169173A (ja) シート状パック材の使用方法
KR20070095163A (ko)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JPWO2004078185A1 (ja) 二酸化炭素の経皮経粘膜吸収方法および美容方法、並びに治療方法
JPH11199435A (ja) パック化粧料
TWI345469B (en) Method for absorbing carbon dioxide through skin and mucosa
KR20050106494A (ko) 이산화탄소의 경피 경점막 흡수방법 및 미용방법 및치료방법
NZ721272B2 (en) Com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