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850A -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 - Google Patents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850A
KR20110004850A KR1020107022482A KR20107022482A KR20110004850A KR 20110004850 A KR20110004850 A KR 20110004850A KR 1020107022482 A KR1020107022482 A KR 1020107022482A KR 20107022482 A KR20107022482 A KR 20107022482A KR 20110004850 A KR20110004850 A KR 2011000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heet
porous material
external sheet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코 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테크
도시히코 야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테크, 도시히코 야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테크
Publication of KR2011000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를 보다 저비용으로 효율적이면서,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를 제공한다.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3)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외용 시트제(6, 7) 및 외용 시트제 세트이다.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이, 수소 흡장 소성 산호 칼슘, 수소 흡장 제올라이트, 수소 흡장 목탄, 수소 흡장 활성탄, 수소 흡장 맥반석, 수소 흡장 토르말린 및 수소 흡장 희토류 광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은, 유기산(5)을 받아들이는 오목부(2)가 형성된 정제(1)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이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SHEET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AND SHEET PREPARATION SET FOR EXTERNAL USE}
본 발명은,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소를 보다 저렴하게 효율적으로,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 및 생활 환경의 다양화를 포함하여, 특히 고령화, 또는 직장의 자동화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에 의해, 류마티스 관절통, 요통, 꽃가루 알레르기, 전신 피로감, 감기 등으로 고민하는 사람이 연령을 불문하고 증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의료 기관을 비롯하여, 다양한 대책이 취해지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로서 음이온을 활용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필름형 내지 시트형의 지지체의 일측면에 수분을 함유하는 친수성의 점착제층을 적층시킨 외피 접착형의 첩부제(貼付劑)에 있어서, 이 점착제층에 음이온 발생체가 함유되어 있는 외용 첩부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음이온 발생체 및 흡습체(吸濕體)를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제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수소 흡장(吸藏) 다공질 물질에 흡장시킨 수소는, 먹는 수소로서 체내에 바로 받아들일 때,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 내로 신속하게 받아들여져서 미토콘드리아 내에서의 시트르산 회로를 통하여 ATP 생산을 촉진하고, 또한 수소를 방출하고, 하이드록시 라디칼이나 슈퍼옥시드 라디칼 등의 활성 산소를 물로 만들어 소거하는 것이다. 이로써, 세포를 활성화하는 생리학적인 대응을 일으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고, 특허 문헌 3에는, 산호 칼슘의 분말을 질량비로 55%와, 소맥분을 질량비로 45%에 물을 부가하여 혼련하고 판형으로 성형하여 건조시키고, 이 건조 성형체를 700℃에서 4시간 산화 소성(燒成)한 후, N2 가스·H2 가스 분위기의 환원로에서 650℃에서 4시간 환원 소성하고, 얻어진 소성체를 미세 분말로 만드는 먹는 수소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현미 가루와 수소를 흡착시킨 소성 산호 칼슘의 분말을 혼합하여 얻어진 항산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171265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169852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245265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7-21735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은, 공기 중의 수분의 양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적게 할 수는 있지만, 수분을 함유하는 점착층 중에 음이온 발생체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보존중에 이미 음이온이 발생하여, 사용 시에 충분한 음이온을 발생하지 못하여, 음이온 등을 효율적이면서,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방법은, 공기 중의 수분의 양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적게 할 수 있지만, 흡습체를 필수 요건으로 하고 있으므로, 비용이나 시간이 들어, 음이온 등을 보다 저렴하고도 효율적으로,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외용 시트제가 요구된다.
또한, 특허 문헌 3 및 4에 기재된 방법은, 주로 식품에 관한 것이므로, 외용제로서 피부에 수소를 효율적이면서, 또한 지속적으로 부여하는 것에 관해서는,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고, 수소를 보다 저렴하고도 효율적으로,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보존 시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와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공존시키지 않음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일측면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시트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이, 수소 흡장 소성 산호 칼슘, 수소 흡장 제올라이트, 수소 흡장 목탄, 수소 흡장 활성탄, 수소 흡장 맥반석, 수소 흡장 토르말린 및 수소 흡장 희토류 광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기산이, 시트르산, 주석산, 락트산, 글리콜산, 말산, 희염산, 아세트산, 옥살산 및 D-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이, 상기 유기산을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된 정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이, 페이스트상, 분말상(粉末狀) 또는 과립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상에 알루미늄층을 가지고, 상기 알루미늄층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의 하측에, 알루미늄층을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 세트는,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 세트는,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이, 상기 유기산을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된 정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외용 시트제 세트는,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와,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를 보다 저비용이면서 효율적으로,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시트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정제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정제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정제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정제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알루미늄층을 가지는 시트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알루미늄층을 가지는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외용 시트제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외용 시트제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피부에 부착하기 직전에 배치한다면 배치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정제 등을 배치하거나, 혹은 페이스트상(狀)의 물질을 도포해도 된다. 피부에 부착하기 전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배치하므로 보다 저비용으로, 배치 후에 즉시 신속하게 대량의 수소를 발생시키고, 또한 유기산을 배치할 때까지는 수소의 발생이 극히 적기 때문에 장시간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를, 동통, 염증 부위 등에 부착함으로써, 활성 산소에 의해 산화된 세포 내에, 수소를 경시적(經時的)으로 침투시켜, 그 환원력에 의해 염증을 억제할 수 있어, 종래에 없었던 즉효성의 소염·진통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사람뿐만 아니라, 개, 고양이, 말, 소 등의 동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의 동통, 염증 부위 등에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를 부착함으로써, 활성 산소에 의해 산화된 세포 내에, 수소를 경시적으로 침투시켜, 그 환원력에 의해 염증을 억제할 수 있어, 종래에 없었던 즉효성의 소염·진통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경주마 등의 다리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로서는, 다공질에서 수소를 흡장할 수 있고, 소기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수소 흡장 소성 산호 칼슘, 수소 흡장 제올라이트, 수소 흡장 목탄, 수소 흡장 활성탄, 수소 흡장 맥반석, 수소 흡장 토르말린 및 수소 흡장 희토류 광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흡장 소성 산호 칼슘 또는 수소 흡장 제올라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245265호 공보에 기재된 제조 방법 등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공질 물질을 700℃의 산화 소성로에서 4시간 산화 소성하고, 상온으로 되돌린 후에, N2 가스 : H2 가스(90vol. % : 10vol. %)의 분위기에서 650℃의 온도로 4시간 환원 소성하는 등, 산화 소성과 환원 소성의 2단계 소성을 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 물질로서 사용되는 산호 칼슘은, 해저에 퇴적된 모래 상태의 화석 산호가 함유된 칼슘이며, 화석 산호에는 칼슘 외에, 마그네슘, 칼륨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고, 또한 수용성이 풍부하여 이온화되기 쉬운 성질이므로, 인체에 대한 흡수 효율성이 높은 자연 소재이다. 상기 산호 칼슘은,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공질 물질로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는, 결정중에 미세공을 가지는 알루미노 규산염이며, 온천 지대의 화산암이나 용암 중에 형성된 결정동(結晶洞)으로부터 산출되는 천연물이나, 합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규소와 알루미늄이 산소를 매개함으로써 결합 구조를 만들고, 구멍 중에 분자 흡착 작용에 의해, 수소를 흡장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 물질로서 사용되는 목탄, 활성탄, 맥반석, 토르말린 및 희토류 광석은, 시장에서 입수 가능한 목탄, 활성탄, 맥반석, 토르말린 및 희토류 광석을 사용할 수 있고, 수소를 흡장함으로써,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의 제형(劑形)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체, 콜로이드 용액 또는 겔상의 유동체(예를 들면, 페이스트), 분말, 과립, 정제 등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시키지 않는 한, 다른 성분을 부가하여 상기 제형으로 만들 수도 있고, 예를 들면, 현미가루, 두유, 비지를 넣은 콩즙(豆汁) 등을 첨가하여 정제 등으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첨가란, 적하 등의 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피부에 부착하기 직전에, 유기산이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용해하기 위하여, 즉시 신속하게 대량의 수소를 발생시키고, 또한 유기산을 첨가할 때까지는 수소의 발생이 극히 적기 때문에 장시간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기산으로서는,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 주석산, 락트산, 글리콜산, 말산, 희염산(예를 들면, 염산 리모나데), 아세트산(예를 들면, 곡물식초), 옥살산 및 D-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수하기 쉬운 시트르산이다. 또한, 이러한 유기산은, 용액일 필요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10∼30 질량%의 시트르산 수용액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의 시트르산 수용액이다. 또한, 수용액중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시키지 않는 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및 유기산의 배합 비율은, 5:1∼5:3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및 유기산의 배합 비율이, 5:1∼5:3이면, 보다 적량의 수소를 장기간 발생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이, 상기 유기산을 받아들이는 오목부(2)가 형성된 정제(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유기산을 정제(1)의 오목부(2)에서 받아들이기 때문에, 피부에 부착하기 직전에, 유기산이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용해할 수 있어서, 즉시 신속하게 대량의 수소를 발생시키고, 또한 유기산을 첨가할 때까지는 수소의 발생이 극히 적기 때문에 장시간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제(1)에서의 오목부(2)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지만, 정제(1)의 일면측에 유기산을 받아들이는 오목부(2)를 1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정제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정제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정제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정제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정제(1)의 형상은, 통상, 의약품이나 건강 식품으로 사용되는 타정형(打錠型)이며, 원반형, 렌즈형, 버튼형, 사다리꼴형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렌즈형(도 2 및 도 3) 또는 버튼형(도 4 및 도 5)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제(1)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직경(1a)이 4∼3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8∼15 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정제(1)의 두께(1b)는, 정제(1)의 직경(1a)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택되고, 2∼1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정제(1)의 질량은, 100∼1000 mg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500 m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정제(1)에 있어서의 오목부(2)의 크기(2a, 2b)로서는, 첨가된 유기산을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정제(1)의 직경(1a) 및 두께(1b)에 대한 비율이, 20∼80 %인 것이 바람직하며, 40∼6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제(1)는, 예를 들면, 칼슘 가공 식품(상품명: 마이니치 수소, (주)산테·코퍼레이션사 제품)에 오목부(2)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인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4)을,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3) 상에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페이스트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피부에 부착하기 직전에, 시트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4)을 도포하므로,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4)은,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함유하는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시키지 않는 한, 다른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4)로서는, 예를 들면, 산테케어[후코이단(fucoidan) 페이스트, (주)산테글로벌사 제품]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4)로서 수소 흡장 산호 칼슘(수소 유효 성분)을 0.5g∼5.0g 포함하고, 또한 비단풀(Ceramium kondoi) 분말을 0.05∼1.0 g 및 시트르산 분말을 0.1∼2.0 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시판중인 S사이즈의 반창고 테이프에는, 수소 흡장 산호 칼슘(수소 유효 성분)을 0.7g, 비단풀 분말을 0.1g 및 시트르산 분말을 0.2g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중인 M사이즈의 반창고 테이프에는, 수소 흡장 산호 칼슘(수소 유효 성분)을 2.1g, 비단풀 분말을 0.3g 및 시트르산 분말을 0.6g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시판중인 L사이즈의 반창고 테이프에서는, 수소 흡장 산호 칼슘(수소 유효 성분)을 4.2g, 비단풀 분말을 0.6g 및 시트르산 분말을 1.2g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카올린(진흙) 및 시트르산을 부가하여, 기재(基材)의 pH를 4∼5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카올린(진흙) 1∼10 g 및 시트르산 0.1∼10 g을 작은 접시에 덜어 충분히 혼합하여, 기재의 pH를 4∼5로 할 수 있다.
또한, 도포 등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인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4)과 반응하지 않는 물질에 분산 등으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4)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알루미늄층을 가지는 시트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3) 상에 알루미늄층(8)을 가지고, 알루미늄층(8)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4)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층(8)이 점착제를 가지는 면에 있으므로, 외용 시트제의 피부에 대한 점착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알루미늄층(8)의 크기는,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3)보다 작은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알루미늄층을 가지는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는,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3)의 하측에, 알루미늄층(9)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발생하는 수소가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피부에 침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를, 동통(疼痛), 염증 부위 등에 부착함으로써, 활성 산소에 의해 산화된 세포 내에, 수소를 경시적으로 침투시켜, 그 환원력에 의해 염증을 더욱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즉효성의 소염·진통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알루미늄층(8, 9)의 제조 방법은, 알루미늄에 의한 층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 증착에 의해 알루미늄층(8, 9)을 제조하거나, 시판중인 알루미늄박을 접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시트로서는,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유연하며 외용 시트제로서의 사용감을 해치지 않으며, 공지의 천연 섬유 및/ 또는 인조 섬유로 형성된 시트, 또는 고분자 재료로 형성된 시트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이들 재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 이상을 적층한 시트형의 적층체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천연 섬유 및/또는 인조 섬유로 이루어지는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 천, 타올, 모포, 편물, 퀼트, 부직포 또는 직포 등이 있다.
상기 천연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면화, 케이폭(kapok), 아마(亞麻), 모시풀, 대마, 황마, 종려나무, 마닐라삼, 사이잘삼, 코이어(coir) 섬유 등의 식물 섬유, 가잠견(家蠶絹), 작잠견, 양모(면양), 캐시미어모, 낙타털, 알파카털, 모헤어(mohair), 토끼털 등의 동물 섬유가 있다.
상기 인조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인조 견사, 인조 섬유, 비스코스(viscose), 벰베르크(Benberg) 등의 재생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크릴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폴리알킬렌파라옥시벤조에이트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 염화 비닐리덴계 섬유, 폴리 염화 비닐계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폴리크랄(polychlal) 등의 합성 섬유, 또는 아세트산 인조 섬유 등의 반합성 섬유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재료로 형성된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부타디엔, 셀로판, 폴리클로로프렌, 폴리아미노산,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 수지나 합성 고무 등을 얇게 형성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원할 경우에는, 이들을 발포 처리한 통기성(투습성) 또는 비통기성(비투습성)의 발포체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비통기성(비투습성)의 시트 또는 발포체에 있어서는, 발생한 수소를 외부에 발산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천공(穿孔) 처리 또는 연신(延伸) 처리를 행함으로써 통기성(투습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트의 크기 및 형상은,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가 얻어지면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는 부위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6.5cm×4.2cm, 9.0cm×6.0cm, 13.0cm×7.2cm, 18cm×24cm의 직사각형, 또는 직경 22mm의 원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트의 두께는, 15∼2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는,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및 상기 유기산과 반응하지 않고,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체의 적절한 부위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점착제는, 시트의 일면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시트의 일부 또는 전체면에 걸쳐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점착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점착제로서는, 사용 중에 저절로 박리하지 않을 정도의 점착력을 가지고, 거기에 더하여 발한(發汗) 등에 의한 수분에 접촉해도 점착성을 쉽게 상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는, 공지의 친유성(親油性) 점착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점착제, 폴리비닐아세탈계 점착제, 염화 비닐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폴리에틸렌계 점착제 또는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의 열가소성 점착제, 또는 니트릴 고무계 점착제, 부틸 고무계 점착제 또는 클로로프렌계 점착제 등의 고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며, 상기 점착제의 적층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7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적으로 점착제에 첨가되고 있는, 점착 부여제, 무기 충전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 세트는,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및 상기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은, 유기산을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된 정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외용 시트제 세트는,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와,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외용 시트제 세트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간단하게 본 발명의 외용 시트제를 얻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외용 시트제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용 시트제의 사용 방법은,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3)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1)을 구비하고[도 9의 (a)],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1)에 유기산(5)을 첨가한[도 9의 (b)] 후에, 외용 시트제(6)를 피부에 점착한다[도 9의 (c)].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외용 시트제의 사용 방법은,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3) 상에,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인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4)을 도포한 후에[도 10의 (a)], 외용 시트제(7)를 피부에 점착한다[도 10의 (b)]. 이와 같은 외용 시트제(6, 7)의 사용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및 유기산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를 실감할 수 있으며, 동통, 염증 부위 등에 부착함으로써, 활성 산소에 의해 산화된 세포 내에, 수소를 경시적으로 침투시켜, 그 환원력에 의해 염증을 억제할 수 있어, 종래에 없었던 즉효성의 소염·진통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의 제조)
정제로서 칼슘 가공 식품(상품명: 마이니치 수소, (주)산테·코퍼레이션사 제품)을 사용하여, 상기 정제의 중앙에, 직경 4.5mm, 깊이 3mm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정제 A를 제조하였다.
(유기산의 조제(調製))
시트르산 1g을 5mL의 정제수에 혼합하여, 유기산 수용액 A를 조정하고, 5mL의 스포이트 병에 보존하였다.
(외용 시트제 A의 제조)
직경 22mm의 시판중인 창고(瘡膏) 테이프의 점착면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정제 A를 점착하고, 유기산 수용액 A를 스포이트로 한방울(0.4mL) 적하하여, 외용 시트제 A를 제작하였다.
외용 시트제 A를 사용하여, 하기 평가를 행하였다.
(류마티스 관절통 시험)
류마티스 관절통이 있는 자원봉사자 9명(관절 19개소)에 대하여, 유기산 수용액 A를 스포이트로 한방울 적하한 후의 외용 시트제 A를, 류마티스 관절통의 부위에 점착했다. 통증을, 0∼10점의 단계에서, 10점이 가장 아픈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평가했다. 외용 시트제 A의 점착 전에는 10점이었지만, 외용 시트제 A의 점착 후에는, 자원봉사자 9명 전원에 대하여, 0∼1점으로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모두 진통 효과는 5분 이내에 개선되어 즉효성을 나타낸다.
(요통 시험)
요통이 있는 자원봉사자 5명에 대하여, 유기산 수용액 A를 스포이트로 한방울 적하한 후의 외용 시트제 A를, 오목부에 점착했다. 통증을, 0∼10점의 단계에서, 10점이 가장 아픈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평가했다. 외용 시트제 A의 점착 전에는 10점이었지만, 외용 시트제 A의 점착 후에는, 자원봉사자 5명 전원에 대하여, 0∼1점으로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꽃가루 알레르기 시험)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자원봉사자 12명에 대하여, 유기산 수용액 A를 스포이트로 한방울 적하한 후의 외용 시트제 A를, 성상신경절(stellate ganglion)(경락)의 양측에 점착했다. 외용 시트제 A를 점착함으로써, 자원봉사자 12명 전원에 대하여, 코막힘, 콧물이 개선되었다.
(감기 시험)
감기를 앓고 있는 자원봉사자 3명에 대하여, 유기산 수용액 A를 스포이트로 한방울 적하한 후의 외용 시트제 A를, 폐경(肺經)의 경락에 점착했다. 외용 시트제 A를 점착함으로써, 자원봉사자 3명 전원에 대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전신 피로감 시험)
전신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자원봉사자 1명에 대하여, 유기산 수용액 A를 스포이트로 한방울 적하한 후의 외용 시트제 A를, 부신과 흉선의 부위에 점착했다. 외용 시트제 A를 점착함으로써, 자원봉사자 1명에 대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파동 측정 시험)
파동 측정기(제로 서치)를 제작하고, 상기 파동 측정기로, 외용 시트제 A의 피부로의 점착에 의한 영향을 관찰했다. 그 결과, 아드레날린 및 노르아드레날린의 공명(共鳴) 반응의 소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엔돌핀 및 세로토닌의 공명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ATP(아데노신 3인산)의 공명의 현저한 증가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수소를 효율적이면서,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외용 시트제 A를 사용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통, 요통, 꽃가루 알레르기, 전신 피로감, 감기 등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외용 시트제 B의 제작)
직경 22mm의 시판중인 반창고 테이프의 점착면에, 산테케어(후코이단 페이스트, (주)산테글로벌사 제품)를 도포하여, 외용 시트제 B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외용 시트제 C의 제조)
수소 흡장 산호 칼슘(수소 유효 성분) 700mg, 비단풀 분말 200mg, 시트르산 분말 100mg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1포로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 6포, 카올린(진흙) 5g 및 시트르산 2g을 작은 접시에 덜어 충분히 혼합하여, 기재(pH 4∼5)로 만들었다. 얻어진 기재를 시판중인 L사이즈의 반창고 테이프(18cm × 24cm)의 점착면에 도포하여, 외용 시트제 C를 제조하였다.
(말 평가 시험 1)
우측 앞다리 타박상의 서러브레드(thoroughbred)종 중에서, 트레이닝하러 이동하기를 싫어할 만큼 통증을 느끼고 있던 서러브레드를 사용하였다. 이 서러브레드의 우측 정강이에 외용 시트제 C를 접착하였다. 외용 시트제 C의 부착 후 첫째날에, 서러브레드가 코스에서 전속력으로 800∼1000 m를 경쾌하게 달릴 수 있고, 통증이 가벼워지고 진통 효과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종래의 치료인 아이싱(icing)으로는 다리의 혈행 부전은 나아지지 않고, 외용 시트제 C에 의해 종래에는 없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말 평가 시험 2)
우측 앞다리 골절의 서러브레드에서, 골절로 인한 격렬한 통증때문에, 그 즉시 깁스로 고정하고 있는 서러브레드를 사용하였다. 깁스를 제거하여, 이 서러브레드의 골절 부위에 직접 외용 시트제 C를 부착하고, 깁스로 다시 고정했다. 외용 시트제 C의 부착 후 몇 시간 만에, 골절의 통증이 가벼워지고 진통 효과가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 1일 1회의 외용 시트제 C의 부착을 3일간 반복함으로써, 통증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외용 시트제 D의 제작)
수소 흡장 산호 칼슘(수소 유효 성분) 700mg, 비단풀 분말 200mg, 시트르산 분말 100mg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1포로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 6포, 카올린(진흙) 5g 및 시트르산 2g을 작은 접시에 덜어, 충분히 혼합하여, 기재(pH 4∼5)로 만들었다. 시판중인 L사이즈의 반창고 테이프(18cm × 24cm)의 점착면에 알루미늄박을 접착하고, 이 반창고 테이프(18cm × 24cm)의 점착면에 얻어진 기재를 도포하여, 외용 시트제 D를 제조하였다.
1: 정제 1a: 정제의 직경
1b: 정제의 두께 2: 정제의 오목부
2a: 오목부의 직경 2b: 오목부의 깊이
3: 점착제를 함유하는 시트
4: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인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5: 유기산 6, 7: 외용 시트제
8, 9: 알루미늄층

Claims (21)

  1.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상에, 수소 흡장(吸藏) 다공질 물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외용 시트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은, 수소 흡장 소성(燒成) 산호 칼슘, 수소 흡장 제올라이트, 수소 흡장 목탄, 수소 흡장 활성탄, 수소 흡장 맥반석, 수소 흡장 토르말린 및 수소 흡장 희토류 광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외용 시트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외용 시트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 주석산, 락트산, 글리콜산, 말산, 희염산, 아세트산, 옥살산 및 D-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외용 시트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은, 상기 유기산을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된 정제(錠劑)인, 외용 시트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은, 상기 유기산을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된 정제인, 외용 시트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은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인, 외용 시트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은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인, 외용 시트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은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인, 외용 시트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은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인, 외용 시트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상에 알루미늄층을 가지고, 상기 알루미늄층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외용 시트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상에 알루미늄층을 가지고, 상기 알루미늄층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외용 시트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상에 알루미늄층을 가지고, 상기 알루미늄층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외용 시트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상에 알루미늄층을 가지고, 상기 알루미늄층 상에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외용 시트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의 하측에 알루미늄층을 가지는, 외용 시트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의 하측에 알루미늄층을 가지는, 외용 시트제.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의 하측에 알루미늄층을 가지는, 외용 시트제.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의 하측에 알루미늄층을 가지는, 외용 시트제.
  19.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외용 시트제 세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은, 상기 유기산을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된 정제인, 외용 시트제 세트.
  21. 일면측에 점착제를 가지는 시트와,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의 수소 흡장 다공질 물질로 이루어지는 외용 시트제 세트.
KR1020107022482A 2008-04-28 2008-10-03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 KR201100048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6666 2008-04-28
JP2008116666 2008-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50A true KR20110004850A (ko) 2011-01-14

Family

ID=4125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482A KR20110004850A (ko) 2008-04-28 2008-10-03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01442B2 (ko)
KR (1) KR20110004850A (ko)
WO (1) WO2009133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3193B2 (ja) * 2012-03-12 2016-08-23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水素発生材
CN109925319A (zh) * 2019-04-09 2019-06-25 苏州雨泉富氢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氢气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251Y2 (ko) * 1987-05-12 1991-12-26
JPH0421521U (ko) * 1990-06-14 1992-02-24
DE69841393D1 (de) * 1997-11-07 2010-01-28 Medion Res Lab Inc Therapeutische und kosmetische Verwendung von viskosen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Kohlendioxid
JP2000239092A (ja) * 1999-02-22 2000-09-05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剤成形体
JP2000319187A (ja) * 1999-05-06 2000-11-21 Medion Research Laboratories Inc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JP3472514B2 (ja) * 1999-10-22 2003-12-02 株式会社コーヨーサムシング マイナスイオン発生の繊維製品とその製造法
TWI327474B (en) * 2001-04-06 2010-07-21 Neochemir Inc Kit for preparation of carbon dioxide agent for external use.
JP2003144520A (ja) * 2001-11-14 2003-05-20 Takeo Suda 花粉症ツボ刺激貼付剤
JP2003169852A (ja) * 2001-12-05 2003-06-17 Ooshin Seiyaku Kk マイナスイオン発生剤、これを用いたマイナスイオン発生シート及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貼付剤
JP2003171265A (ja) * 2001-12-05 2003-06-17 Ooshin Seiyaku Kk 外用貼付剤
TWI345473B (en) * 2002-07-05 2011-07-21 Neochemir Inc Carbon dioxide agent for external use and the stuff for preparation of the same
JP3906425B2 (ja) * 2002-10-25 2007-04-18 明子 菅原 溶解タンク、溶解液製造方法、繊維製品、羽毛製品、壁紙、溶解液成分の付着方法、洗濯用柔軟剤、不織紙
JP4404657B2 (ja) * 2004-03-03 2010-01-27 株式会社創造的生物工学研究所 食べるマイナス水素イオンの製造方法
JP2006036743A (ja) * 2004-07-22 2006-02-09 Santamonica:Kk 外用貼付剤
JP2007217351A (ja) * 2006-02-17 2007-08-30 Amimoto Giken Kk 抗酸化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食品・医薬品・化粧品
JP3129640U (ja) * 2006-12-11 2007-03-01 第一商事株式会社 複合多層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01442B2 (ja) 2013-09-25
WO2009133637A1 (ja) 2009-11-05
JPWO2009133637A1 (ja)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7724B2 (ja) 発熱体及び型成形発熱体用包材
JP6487039B2 (ja) スキンケア組成物の送達のためのデバイス
JP4490971B2 (ja) 発熱体
JPWO2006006655A1 (ja) 発熱パッド及びその使用方法
WO2006006653A1 (ja) マイクロヒー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6006652A1 (ja) 発熱体
WO2006006654A1 (ja) ヒートクロ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6006662A1 (ja) 発熱体
WO2006006664A1 (ja) 可撓性発熱体
WO2006006648A1 (ja) 発熱組成物、発熱体及び発熱体の製造方法
JPWO2006006651A1 (ja) 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06657A1 (ja) 関節周囲部用温熱包装体
CN102335069A (zh) 一种药贴
US20080283036A1 (en) Process for Producing Heat Generating Mixture, Heat Generating Mixture, Heat Generating Composition, and Heat Generating Body
KR20110004850A (ko) 외용 시트제 및 외용 시트제 세트
TWI623332B (zh) Tong nose improvement appliance
JP2001238906A (ja) 発熱体組成物、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06660A1 (ja) 発熱ラップ
JPWO2006006649A1 (ja) 湿潤性発熱組成物圧縮体、発熱体及び湿潤性発熱組成物圧縮体の製造方法
CN202122720U (zh) 一种药贴
JP2008114374A (ja) 機能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85398A (ja) 発熱体
JP2007275082A (ja) 発熱パック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0132618A (ja) 外用剤、外用シート剤および外用シート剤セット
CN202311205U (zh) 含丁香药粉的肚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