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257B1 -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257B1
KR101082257B1 KR1020097020664A KR20097020664A KR101082257B1 KR 101082257 B1 KR101082257 B1 KR 101082257B1 KR 1020097020664 A KR1020097020664 A KR 1020097020664A KR 20097020664 A KR20097020664 A KR 20097020664A KR 101082257 B1 KR101082257 B1 KR 101082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resin
connection
elevato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065A (ko
Inventor
아츠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07B7/169Auxiliary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two cable or rope ends, e.g. by splicing or sew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에서는, 우선, 로프삽입구멍을 가지는 수지제의 접속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로프삽입구멍 내에 제1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접속파이프의 타단부로부터 로프삽입구멍 내에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삽입한다. 이 후, 접속파이프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접속파이프에 용착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METHOD OF CONNECTING ELEVATOR ROPES}
본 발명은 외주부(外周部)에 수지제의 외주피복층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끼리를 접속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로프를 교환할 때에는 이미 가설(架設)되어 있는 구(舊)로프에 새로운 로프를 접속한 후, 로프의 가설경로를 따라서 구로프 및 신(新)로프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구로프를 회수하면서 신로프를 가설한다.
또, 신구(新舊)로프를 접속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부의 스트랜드(strand)를 남겨 신구로프의 단부(端部)의 스트랜드를 소정길이로 절단한 후, 남은 스트랜드의 단부끼리를 겹치게 하고, 금속 슬리브를 씌워 압착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1-80827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최근, 외주부에 수지제의 외주피복층이 마련되어 있는 수지피복로프가 이용되는 일이 있어, 이와 같은 수지피복로프끼리를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접속하려고 하면, 우선 각 수지피복로프의 단부로부터 외주피복층을 제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매우 수고가 들어, 실용적이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외주부에 수지제의 외주피복층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끼리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은 로프삽입구멍을 가지는 수지제의 접속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로프삽입구멍 내에 제1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접속파이프의 타단부로부터 로프삽입구멍 내에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삽입하는 공정 및 접속파이프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접속파이프에 용착(溶着)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은 로프삽입구멍을 가지는 수지제의 접속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로프삽입구멍 내에 제1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접속파이프의 타단부로부터 로프삽입구멍 내에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삽입하는 공정 및 접착제를 통하여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접속파이프에 접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은 제1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와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금형 내에 수용하는 공정, 용융된 접속용 수지를 금형 내에 주입하는 공정 및 금형 내의 접속용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덮는 수지제의 접속파이프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방법에 의해 접속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속파이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방법에 의해 접속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해 접속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방법에 의해 접속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접속파이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수지제의 접속파이프(1)에는 로프삽입구멍(1a)이 형성되어 있다. 로프삽입구멍(1a)은 그 중간부에 형성된 구획벽(1b)에 의해 같은 길이의 제1 및 제2 로프삽입구멍(1c, 1d)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로프(2)의 단부는 접속파이프(1)의 일단부로부터 제1 로프삽입구멍(1c) 내에 삽입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로프(3)의 단부는 접속파이프(1)의 타단부로부터 제2 로프삽입구멍(1d) 내에 삽입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단면은 구획벽(1b)에 맞닿아 있고, 구획벽(1b)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는 동일한 단면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1 엘리베이터 로프(2)는 제1 코어(core)로프(4), 제1 코어로프(4)의 외주에 마련된 수지제의 제1 코어로프 피복층(5), 제1 코어로프 피복층(5)의 외주에 마련된 제1 외주 스트랜드층(6) 및 제1 외주 스트랜드층(6)의 외주에 마련된 수지제의 제1 외주피복층(7)을 가지고 있다. 즉, 제1 엘리베이터 로프(2)의 외주부에는 제1 외주피복층(7)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외주피복층(7)의 단부는 접속파이프(1)에 용착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로프(3)는 제2 코어로프(8), 제2 코어로프(8)의 외주에 마련된 수지제의 제2 코어로프 피복층(9), 제2 코어로프 피복층(9)의 외주에 마련된 제2 외주 스트랜드층(10) 및 제2 외주 스트랜드층(10)의 외주에 마련된 수지제의 제2 외주피복층(11)을 가지고 있다. 즉, 제2 엘리베이터 로프(3)의 외주부에는 제2 외주피복층(11)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외주피복층(11)의 단부는 접속파이프(1)에 용착되어 있다.
코어로프(4, 8)는 복수 개의 코어스트랜드를 가지고 있다. 각 코어스트랜드 는 복수 개의 강제(鋼製)의 소선(素線)을 서로 꼬아 구성되어 있다. 외주 스트랜드층(6, 10)은 코어로프 피복층(5, 9)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 개(여기에서 8개)의 외주 스트랜드를 가지고 있다. 각 외주 스트랜드는 복수 개의 강제의 소선을 서로 꼬아 구성되어 있다. 외주 스트랜드와 외주피복층(7, 11)은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접속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접속파이프(1)의 일단부로부터 제1 로프삽입구멍(1c) 내에 제1 엘리베이터 로프(2)의 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접속파이프(1)의 타단부로부터 제2 로프삽입구멍(1d) 내에 제2 엘리베이터 로프(3)의 단부를 삽입한다. 이 후, 접속파이프(1)를 외부로부터 가열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단부를 접속파이프(1)에 용착시킨다.
즉, 접속파이프(1)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접속파이프(1)의 적어도 일부 및 제1 및 제2 외주피복층(7, 11)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고, 이 후, 용융된 부분을 재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외주피복층(7, 11)의 단부가 접속파이프(1)에 용착되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가 접속파이프(1)를 통하여 접속된다.
또, 구로프인 제1 엘리베이터 로프(2)를 신로프인 제2 엘리베이터 로프(3)로 교환하는 경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를 접속한 후, 제1 엘리베이터 로프(2)의 가설경로를 따라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 엘리베이터 로프(2)를 회수하면서 제2 엘리베이터 로프(3)를 가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접속방법에서는 외주피복층(7, 11)을 제거하거나, 외층 스트랜드의 일부를 절단하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주부에 외주피복층(7, 11)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2, 3)끼리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구획벽(1b)에 의해 로프삽입구멍(1a)이 제1 및 제2 로프삽입구멍(1c, 1d)으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접속파이프(1)에의 삽입량을 용이하게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 구획벽(1b)에 의해 접속파이프(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단면을 구획벽(1b)에 용착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를 보다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접속파이프(1)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를 용착시킬 때, 접속파이프(1)를 금형에 넣어 가열하는 것에 의해, 접속부의 형상을 안정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로프(2, 3)가 감아 걸려진 쉬브에는, 통상, 로프래치(latch)가 설치되어 있다. 또, 쉬브에 엘리베이터 로프(2, 3)가 감아 걸려진 상태로,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꼭대기부와 로프래치와의 사이의 틈새는 3㎜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속파이프(1)의 외경과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외경과의 차이는 3㎜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에 의해 접속파이프(1)와 로프래치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로프래치를 부착한 채로 접속파이프(1)에 쉬브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방법에 의해 접속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접속파이프(1)의 일단부에는 단면으로 향하여 외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제1 테이퍼부(1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접속파이프(1)의 타단부에는 단면으로 향하여 외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제2 테이퍼부(1f)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테이퍼부(1e, 1f)는 접속파이프(1)에 미리 형성해 두어도 되고,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를 용착할 때에 금형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다른 구성 및 접속방법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접속방법에서는 접속파이프(1)에 테이퍼부(1e, 1f)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접속부를 가설경로에 따라서 이동시킬 때, 접속파이프(1)의 단부가 로프래치 등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접속파이프(1)의 양단부에 테이퍼부(1e, 1f)를 형성했지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를 이동시킬 때의 선두 측, 즉 접속파이프(1)의 일단부에만 형성해도 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해 접속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부의 단면도로서,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에 상당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단부를 접속파이프(1)에 용착시켰지만, 실시형태 3에서는 접착제(12)를 통하여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단부를 접속파이프(1)에 접착하고 있다. 다른 구성 및 접속방법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접속방법에 의해서도, 외주피복층(7, 11)을 제거하거나, 외층 스트랜드의 일부를 절단하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주부에 외주피복층(7, 11)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2, 3)끼리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단면을 구획벽(1b)에 접착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를 보다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4의 방법에 의해 접속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접속부의 구조는 도 1 또는 도 5와 동일하다. 단, 실시형태 1, 2에서는 미리 성형된 접속파이프(1)를 이용했지만, 실시형태 4에서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단부를 금형 내에 수용하고, 용융된 접속용 수지를 금형 내에 주입한 후, 금형 내의 접속용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단부를 덮어 이 단부에 용착된 접속파이프(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에 의해서도, 외주피복층(7, 11)을 제거하거나 외층 스트랜드의 일부를 절단하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주부에 외주피복층(7, 11)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2, 3)끼리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단면구조가 같은 경우를 나타냈지만, 외주부에 제1 및 제2 외주피복층(7, 11)이 마련되어 있으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2, 3)의 단면구조는 차이가 나도 된다.
또, 상기의 접속방법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로프의 교환 작업시에 적용되지만,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와 균형추의 하부와의 사이에 매달린 균형로프 또는 조속기로프 등의 다른 엘리베이터 로프를 접속할 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삽입구멍(1a) 내에 구획벽(1b)이 형성되어 있지만, 구획벽(1b)은 생략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주부에 수지제의 외주피복층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끼리를 접속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외주부(外周部)에 수지제의 제1 외주피복층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엘리베이터 로프와, 외주부에 수지제의 제2 외주피복층이 마련되어 있는 제2 엘리베이터 로프를 접속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으로서,
    로프삽입구멍을 가지는 수지제의 접속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로프삽입구멍 내에 상기 제1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파이프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로프삽입구멍 내에 상기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삽입하는 공정 및
    상기 접속파이프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상기 접속파이프에 용착(溶着)시키는 공정을 포함한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2. 외주부에 수지제의 제1 외주피복층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엘리베이터 로프와, 외주부에 수지제의 제2 외주피복층이 마련되어 있는 제2 엘리베이터 로프를 접속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으로서,
    로프삽입구멍을 가지는 수지제의 접속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로프삽입구멍 내에 상기 제1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파이프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로프삽입구멍 내에 상기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삽입하는 공정 및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상기 접속파이프에 접착하는 공정을 포함한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3. 외주부에 수지제의 제1 외주피복층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엘리베이터 로프와, 외주부에 수지제의 제2 외주피복층이 마련되어 있는 제2 엘리베이터 로프를 접속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으로서,
    상기 제1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금형 내에 수용하는 공정,
    용융된 접속용 수지를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하는 공정 및
    상기 금형 내의 접속용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덮는 수지제의 접속파이프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로프삽입구멍의 중간부에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상기 로프삽입구멍이 제1 및 제2 로프삽입구멍으로 분할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파이프의 일단부에는 단면으로 향하여 외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파이프의 외경과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로프의 외경과의 차이는 3㎜이하인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KR1020097020664A 2007-05-29 2007-05-29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KR101082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0883 WO2008149409A1 (ja) 2007-05-29 2007-05-29 エレベータロープの接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65A KR20100005065A (ko) 2010-01-13
KR101082257B1 true KR101082257B1 (ko) 2011-11-09

Family

ID=4009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664A KR101082257B1 (ko) 2007-05-29 2007-05-29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49535B1 (ko)
JP (1) JP5089689B2 (ko)
KR (1) KR101082257B1 (ko)
CN (1) CN101641276B (ko)
WO (1) WO20081494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0460A1 (en) * 2017-09-20 2019-03-28 Safeworks, Llc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CONNECTING ROP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7001A (zh) * 2013-11-09 2014-02-19 陈保鹏 全自动绳子头熔接装置
EP3543194A1 (en) 2018-03-23 2019-09-25 Otis Elevator Company Drive belt for a people conveyor
CN109292601B (zh) * 2018-12-07 2021-05-18 王玉可 一种更换电梯钢丝绳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7904A (ja) 1985-12-20 1987-07-01 名東電気工事株式会社 線条体の接続部の構造
JPS6392856A (ja) 1986-10-06 1988-04-23 Meito Denki Koji Kk ロ−プの連結部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6513A (en) * 1948-08-19 1952-05-13 Tocci-Guilbert Berno Method of forming flexible joints in belting
JPS54116635U (ko) * 1978-01-26 1979-08-15
JPS6094937A (ja) * 1983-10-28 1985-05-2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シクロヘキサン環をもつジヒドロキシジカルボン酸及びそのエステル
JPS6094937U (ja) * 1983-11-30 1985-06-28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プラスチツクワイヤ−接続部
JP2767842B2 (ja) * 1988-12-13 1998-06-18 日本鋼管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管の接合方法
JPH0736198Y2 (ja) * 1989-11-24 1995-08-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トリーマ用整流索ロープ端末引留構造
JPH048994A (ja) * 1990-04-26 1992-01-13 Mitsui Petrochem Ind Ltd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GB2265162B (en) * 1992-03-20 1995-06-14 Bridon Plc Rope splice
JPH08218285A (ja) * 1995-02-10 1996-08-27 Chugoku Marine Paints Ltd 複合型のケーブル被覆管及びその接着方法
JP3764900B2 (ja) 1999-09-09 2006-04-1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接続方法および接続部
CN100393937C (zh) * 2001-09-12 2008-06-1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绳索
CN1906109A (zh) * 2004-12-08 2007-01-3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绳索及电梯装置
JP3851922B1 (ja) * 2005-06-28 2006-11-29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ビードコードにおける側線ワイヤの接続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7904A (ja) 1985-12-20 1987-07-01 名東電気工事株式会社 線条体の接続部の構造
JPS6392856A (ja) 1986-10-06 1988-04-23 Meito Denki Koji Kk ロ−プの連結部の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0460A1 (en) * 2017-09-20 2019-03-28 Safeworks, Llc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CONNECTING ROPES
US10781885B2 (en) 2017-09-20 2020-09-22 Safeworks, Llc Rope connection system, devic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65A (ko) 2010-01-13
CN101641276B (zh) 2011-05-11
CN101641276A (zh) 2010-02-03
EP2149535A4 (en) 2013-12-04
EP2149535A1 (en) 2010-02-03
EP2149535B1 (en) 2018-03-21
WO2008149409A1 (ja) 2008-12-11
JP5089689B2 (ja) 2012-12-05
JPWO2008149409A1 (ja)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257B1 (ko)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TWI237080B (en) Coated steel cable rope
JP2009036371A5 (ko)
RU249767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структивной детали из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огранической матрицей и деталь, изготавливаемая указанным способом
US10760212B2 (en) Rope and method for producing a rope
JP6438002B2 (ja) 軽量混合構造のシリンダハウジング及びそれを形成する方法
KR20140010138A (ko) 케이블 쏘잉 머신용 쏘잉 케이블
CN107866986B (zh) 制造支柱的方法以及由此形成的支柱
KR101180252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JP2011102915A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
US20110315744A1 (en) Method for making a metal connecting rod reinforced with long fibers
JP708819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
US10919728B2 (en) Spool made of a thermoplastic material for the winding of winding material, as well a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6918134U (zh) 一种防开裂的制动鼓
US5105612A (en) Weld reinforcing member for strands in a cable
KR20120061699A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US5813201A (en) Equestrian bit
JP4957502B2 (ja) 光ケーブル
EP0694726A1 (en) High strength pipe joint with pressed key groove
CN221001396U (zh) 一种预制构件的对接装置
JP2012159761A (ja) 補強スリーブ、光ファイバ心線の接続部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CN215629434U (zh) 一种悬浇箱梁纵向预应力筋总体穿索套筒组件
JP5460347B2 (ja) 光ファイバ用補強スリーブ
CN107541973A (zh) 合成纤维绳索以及含有其的混凝土构造物和长形物体
JP3017377B2 (ja) 中通し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