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361B1 -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361B1
KR101077361B1 KR1020040095123A KR20040095123A KR101077361B1 KR 101077361 B1 KR101077361 B1 KR 101077361B1 KR 1020040095123 A KR1020040095123 A KR 1020040095123A KR 20040095123 A KR20040095123 A KR 20040095123A KR 101077361 B1 KR101077361 B1 KR 101077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rt
piercing
coaxial cable
terminal
insul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400A (ko
Inventor
모리시타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세경 동축 케이블의 단말 가공수의 저감 또는 가공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를 제공한다. 중심 도체 코어선, 이 중심 도체 코어선을 덮는 내부 절연층, 이 내부 절연층을 덮는 외부 도체 실드층, 이 외부 도체 실드층을 덮는 외부 절연층을 갖는 구조이며, 그 선단측이 상기 외부 도체 실드층 및 외부 절연층을 제거하여 상기 내부 절연층이 드러난 상태로 처리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과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에 상하로 소정의 압력으로 끼워 넣어지고, 상기 피어싱 단자가 상기 외부 절연층을 돌파하여 상기 외부 도체 실드층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편, 상기 압접 컨택트의 U자형 선단부가 상기 내부 절연층을 돌파하여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PRESSURE CONNECTION STRUCTURE WITH COAXIAL CABLE}
도 1은 후프 상태로 복수의 피어싱 단자가 연결된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하우징 부품(10)과 제2 하우징 부품(20)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피어싱 단자(1), 압접 컨택트(30), 그라운드 단자(40) 및 동축 케이블(50)을 조립해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A-A 단면으로 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부분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 하우징 부품의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D-D 단면도이다.
도 12a는 그라운드 단자(40)의 정면도이고, 도 12b는 그라운드 단자(40)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2 하우징 부품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E-E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F-F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복수의 압접 컨택트(30, …, 30)를 연속부(B)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을 라미네이트 가공에 의해 소정 간격(H)으로 묶어 하네스(harness)형으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 부품(10')과 제2 하우징 부품(20')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피어싱 단자(1), 압접 컨택트(30), 그라운드 단자(40) 및 동축 케이블(50)을 조립해 넣고, 외형 유지용 셸(60)로 봉하여 막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19a에 도시된 것은 도 18의 평면도이고, 도 19b에 도시된 것은 도 18의 측면도이다.
도 20a는 암형 커넥터(70)의 평면도이고, 도 20b는 암형 커넥터(70)의 정면도이고, 도 20c는 암형 커넥터(70)의 측면도이다.
도 21a는 동축 케이블을 생략한 도면으로서 도 18의 평면도이고, 도 21b는 도 18의 측면도이며, 도 21c는 도 18의 배면도이다.
도 22a에서부터 도 22h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3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23039호 공보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23039호 공보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23039호 공보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피어싱 단자
2: 연속부
3, 4: 끼워넣기 부재
3A, 4A: 피어스날
3B, 4B: 만곡부
3C, 4C: 보강 리브
3D, 4D: 단자 삽입 홈
10: 제1 하우징 부품
11: 저면
12: 상면
13: コ자형 삽입 구멍
14: 압접 컨택트의 삽입 구멍
15: 그라운드 단자 삽입 구멍
16: 동축 케이블의 받침 홈
17: 삽입 홈
20: 제2 하우징 부품
30: 압접 컨택트
40: 그라운드 단자
41: 외형 유지용 빗살날
42: 유지용 돌기부
50: 동축 케이블
51: 중심 도체 코어선
52: 내부 절연층
53: 외부 도체 실드층
54: 외부 절연층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어싱 단자를 이용한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히는, 외부 동축 케이블과의 접속을 할 때에 적합한 피어싱 단자를 여러 개 이용한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나 그 구조를 이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컴퓨터, 휴대 전화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가동할 수 있게 장착된 것이 널리 보급되게 되고 있다. 예컨대, 액정의 표시 장치가 본체에 대해 접혀 들어가거나 회전할 수 있거나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 대하 여, 신호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종래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주로 이용되고 있었지만, 극세경 동축 케이블로서, 외경이 0.5 ㎜인 것과 같은 가는 것이 등장한 데다, 최근에는, 전술한 플렉시블 케이블 대신에 동축 케이블을 가동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 부위에 이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종래부터, 이러한 동축 케이블과의 압접 구조로서는, 피어싱 단자를 이용한 압접 구조(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23039호 공보)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23039호 공보에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에 대한 피어싱 단자(100)가, 중심 도체 코어선(151)과, 이 중심 도체 코어선(151)을 피복하는 내부 절연층(152)과, 이 내부 절연층(152)을 덮도록 형성된 메쉬형의 외부 도체망 실드층(153) 및 외부 절연층(154)으로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150)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기 외부 절연층(154) 및 내부 절연층(152)은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151)에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압정형의 피어싱 단자(100)의 찌르기용 뾰족부(101)에 의해, 돌파되어 삽입된다. 이 때문에, 이 피어싱 단자(100)와 상기 외부 도체망 실드층(153)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을 전술한 바와 같은 소형 전자기기의 가동 부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달하는 신호를 병렬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을 이용하여 마더보드 등의 메인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신호의 종류는 예컨대 액정을 컬러 표시하는 것과 같이, 전달하는 부품의 고성능화에 따라서 더욱 증가하는 경향이 있 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동축 케이블(150)을 이용하여 병렬로 신호를 전달하는 하네스를 구성하는 경우, 도 25와 같이, 1라인마다의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을 땜납 등의 접속 수단에 의해서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수 커넥터의 한쪽의 커넥터(156)에 미리 복수의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 …, 150)을 소정 간격으로 고밀도로 고정해 두고, 상기 메인 회로 기판측의 다른 쪽의 커넥터(157)에 대하여, 복수의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을 일거에 커넥터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의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 …, 150)을 커넥터의 한쪽에 고정하는 경우, 전술한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이 직경 1 ㎜ 이하의 극세의 경우, 커넥터에 장착하기가 어렵게 된다.
예컨대,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23039호 공보에서는, 중심 도체 코어선(151)에의 접속은 피어싱 단자(100)에 의해서 압접할 수 있지만, 외부 도체망 실드층(153)과의 접속을 위해, 미리 외부 도체망 실드층(153)을 드러낸 상태로 해 두고서 컨택트의 그라운드 단자와 접속해야 한다. 따라서,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의 단말 가공 공정수가 많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의 단말 가공수의 저감 또는 가공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은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을 압접하는 경우에는, 그 극세를 이용한 고밀도화를 달성하고자 하면, 극세경 동축 케이블(150) 사이의 피치 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세선으로 한 의미가 작아져 버리기 때문이다. 피어싱 단자(100) 자체를 박판으로 형성하여 그 폭을 가능한 한 작은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피치를 크게 하는 것을 피하면서 압접에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을 높게 할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고밀도화에 알맞은 피어싱 단자의 압접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23039호 공보의 피어싱 단자에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151)과 상기 외부 도체망 실드층(153) 사이의 거리(L)와, 외부 도체망 실드층(15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피어싱 단자(100)와의 거리(L1)와의 거리를 비교한 경우, 거리 L과 L1의 관계가 L>L1이 된다. 따라서, 상기 동축 케이블(150)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151)과 상기 외부 도체망 실드층(153) 사이의 임피던스가 상기 피어싱 단자에 접속한 곳에서 다르게 된다. 즉, 축 방향으로 변동이 생겨 버리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미소한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 영향이 커지는 임피던스의 변동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구성의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를 제공한다.
도전성 금속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에 피어스날을 갖고 있는 1쌍의 끼워넣기 부재를 구비한 피어싱 단자가 복수 개 삽입되는 제1 하우징 부품과, U자형 선단부를 갖는 복수 개의 압접 컨택트를 돌출시켜 유지하는 제2 하우징 부품을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품은 소정 간격을 두고서 일렬형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1 삽입 구멍을 가지고, 각각의 제1 삽입 구멍에서 피어스날이 구멍의 외측을 향하도록 각각의 상기 피어싱 단자가 삽입되며, 제2 하우징 부품은, 제1 하우징 부품의 피어스날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압접 컨택트의 선단부를 돌출시키도록 유지되며, 제1 하우징 부품은, 제2 하우징 부품과의 결합 시에 각각의 압접 컨택트의 선단부를 삽입시키기 위해 소정 간격을 두고서 일렬형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2 삽입 구멍을 가지고, 제1 하우징 부품 및 제2 하우징 부품은, 피어스날의 방향 및 압접 컨택트의 선단부의 돌출 방향으로 근접하여 결합되고, 중심 도체 코어선, 이 중심 도체 코어선을 덮는 내부 절연층, 이 내부 절연층을 덮는 외부 도체 실드층, 및 이 외부 도체 실드층을 덮는 외부 절연층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고 그 선단측이 외부 도체 실드층 및 외부 절연층을 제거하여 내부 절연층이 드러난 상태로 처리된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을, 제1 하우징 부품과 제2 하우징 부품 사이에서 소정의 압력에 의해 끼워 넣고, 상기 피어싱 단자가 상기 외부 절연층을 돌파하여 외부 도체 실드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압접 컨택트의 U자형 선단부가 내부 절연층을 돌파하여 중심 도체 코어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에 꽂아 설치된 상기 피어싱 단자의 피어스날의 돌출 방향과, 제2 하우징 부품의 압접 컨택트의 선단 U자형 부분의 돌출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고 있기 때문에, 특히, 동축 케이블이 0.5 ㎜ 이하의 극세선인 경우에는 보다 확실하게 압접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1 하우징 부품의 피어싱 단자는 상하 방향의 한 쪽에서부터 상기 외부 절연층을 돌파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의 상기 압접 컨택트는 상기 피어싱 단자와는 다른 방향에서 상기 내부 절연층을 돌파하게 되므로, 상기 동축 케이블을 상기 피어싱 단자의 1쌍의 상기 끼워넣기 부재와, 상기 압접 컨택트의 선단 U자형 부분에 다른 방향에서 끼워 넣으면서, 상기 내외부 절연층을 돌파하도록 할 수 있으 므로, 상기 동축 케이블이 안으로 떠올라 버려, 그 동축 케이블이 위치가 어긋나 상기 피어싱 단자가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과 단락되어 버리는 등의 우려를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피어싱 단자는, 중심 도체 코어선의 외경보다는 크고 내부 절연층의 외경보다는 작은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는 1쌍의 끼워넣기 부재와, 끼워넣기 부재의 각각의 선단측에 테이퍼형으로 모따기한 피어스날부를 형성하는 한편, 끼워넣기 부재의 후단측에서부터 연속적으로, 1쌍의 끼워넣기 부재에서 보아 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만곡부와, 만곡부에서부터 끼워넣기 부재의 선단측 및 후단측 중 하나 이상의 쪽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부품에는, 제1 하우징 부품과 결합한 경우에, 제1 하우징 부품에 설치된 피어싱 단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빗살날형의 평판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그라운드 단자가 설치되고, 그 그라운드 단자의 복수 개의 빗살날 중 어느 것이 1쌍의 끼워넣기 부재의 사이 및 양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과 제2 하우징 부품을 위아래에서 조합하는 경우에, 상기 끼워넣기 부재 사이 및 상기 양 끼워넣기 부재의 양 외측에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빗살날이 배치되므로,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피어스날로 상기 외부 절연층을 돌파할 때에, 그 외부 절연층의 돌파 응력에 의해서 상기 끼워넣기 부재 사이가 변형되어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해 버릴 우려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끼워넣기 부재로서 도전성 극박(極薄)의 금속 평판을 채용한 경우라도, 상기 만곡부에서부터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선단 또는 후단, 혹은 상기 만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선단에서부터 후단에 걸쳐 형성된 보강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강성을 높이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간격을 좁게 한 고밀도 압접이 가능해진다. 즉, 피어싱 단자를 보다 두께가 얇은 금속판을 이용하여 형성한 경우에, 전술한 것과 같은 부분적으로 만곡부를 형성함에 의한 강성의 저하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금속성 박판으로 상기 끼워넣기 부재를 구성한 경우, 그 끼워넣기 부재를 상기 외부 절연층에 대하여 찔러 삽입하는 응력에 의해서, 그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위치에 형성한 상기 만곡부가 스프링성을 지니어 삽입하기가 어렵게 되거나, 구부러져 삽입되어 단락되는 것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피어싱 단자의 양 끼워넣기 부재의 간격을,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의 외경보다도 크고, 상기 내부 절연층의 외경보다도 작은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대향 배치하여 이루어지므로, 상기 피어싱 단자가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과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외부에 만곡형으로 형성된 상기 만곡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외부 도체 실드층과의 전기적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가, 끼워넣기 부재의 폭 방향에 평행하고 제1 하우징 부품 및 제2 하우징 부품의 결합 방향에 평행하게 2열로 배치되며, 이 양 보강 리브 사이에 그라운드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그라운드 단자 삽입 홈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상기 양 보강 리브 사이에 상기 그라운드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그라운드 단자 삽입 홈에 상기 그라운드 단자를 삽입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간격을 유지하고, 안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끼워넣기 부재와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위치 관계를 일정한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부품과 제2 하우징 부품을 위아래에서 조립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제1 및 제2 하우징 간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외부 절연층 및 외부 도체 실드층을 제거하여 내부 절연층이 드러난 상태로 처리된 선단측을, 동축 케이블을 압접하는 피어싱 단자와 압접 컨택트와의 거리보다 크게 한 거리를 떨어지게 하여 각각 별개인 수지 시트로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절연층이 드러내어진 형상으로 된 선단측을 수지 시트로 라미네이트 가공하는 한편, 그 수지 시트로부터 상기 동축 케이블을 압접하는 상기 피어싱 단자와 상기 압접 컨택트와의 거리보다 크게 한 거리를 두고서 별개 부재의 수지 시트를 외부 절연층에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및 제2 하우징 부품 사이에 상기 동축 케이블 그룹을 일거에 끼워 넣고, 복수의 상기 피어싱 단자와 복수의 상기 압접 컨택트와의 압접을 일거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압접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양 수지 시트의 간격이 상기 동축 케이블을 압접하는 상기 피어싱 단자와 상기 압접 컨택트와의 거리보다 큰 거리를 떨어져 있기 때문에, 수지 시트가 압접시에 방해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한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에 꽂아 설치된 상기 피어싱 단자의 피어스날의 돌출 방향과, 제2 하우징 부품의 압접 컨택트의 선단 U자형의 부분의 돌출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동축 케이블에 대하여 피어싱 단자와 압접 컨택트를 압접하는 경우, 작업이 용이하고 보다 확실하게 압접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직경이 0.5 ㎜ 이하인 극세선의 동축 케이블의 복수를 하네스형으로 묶어 일거에 압접을 하는 경우에 보다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제1 실시형태〕
(피어싱 단자)
도 1∼도 3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단자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후프 상태로 (연속적으로) 복수의 피어싱 단자가 연결된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다.
피어싱 단자(1)는 띠 형상의 도전성의 금속성 박판을 절단 및 프레스 굽힘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부(2)에 의해서, 복수의 피어싱 단자(1, …, 1)가 소정 간격으로 연결된 후프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도 3에 도시하는 피어싱 단자(1)는 동축 케이블(50)(예컨대, 도 4)을 제1 하우징 부품(10)과 제2 하우징 부품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에 유지되도록, 제1 하우징 부품(10)에 바깥쪽에서부터 압접 삽입된다. 이 삽입에 의해서, 상기 피어싱 단자(1)는 동축 케이블(5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피어싱 단자(1)의 선단에서 보면, 대향하는 1쌍의 끼워넣기 부재(3, 4)와, 양 끼워넣기 부재(3, 4)를 그 베이스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부(5)가 コ자형 형상(상면에서 바라봄)을 띠고 있다. 연결부(5)와 양 끼워넣기 부재(3, 4)로 동축 케이블(50)을 삽입하는 개구(6)를 형성한다. 그 개구(6)는 끼워넣기 부재(3, 4)에 의해 형성되어, 외부로 연통되는 수납 공간으로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각 끼워넣기 부재(3, 4)는 각각 그 선단측에 테이퍼형으로 모따기하여 형성된 피어스날(3A, 4A)을 갖고 있다. 각 끼워넣기 부재(3, 4)는 또한, 그 후방측(도면에서 아래측)에 있는 베이스부와 피어스날(3A, 4A)의 사이에서의 베이스부 근방에 만곡부(3B, 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부(3B, 4B)는 1쌍의 끼워넣기 부재(3, 4)에 대하여 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이 양 만곡부(3B, 4B)로, 동축 케이블(50)의 후술하는 외부 도체 실드층(53)의 외형 부분을 끼워 넣어, 면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양호한 접촉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만곡부(3B, 4B)는 동축 케이블에 대하여 상기 피어싱 단자(1)를 찌르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혹, 찌르는 방향으로부터 틀어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어싱 단자(1)를 동축 케이블(50)에 찔러 삽입할 때에 걸리는 찌르 기 삽입력에 대한 상기 각 끼워넣기 부재(3, 4)의 그 방향의 강성이, 만곡부(3B, 4B)의 형성에 의해 저하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피어싱 단자(1)의 동축 케이블(50)에의 찌르기 방향에 대하여 저하된 강성을, 띠 형상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끼워넣기 부재(3, 4)에 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뻗는 볼록형으로 형성된 보강 리브(3C, 4C)를 설치함으로써 증강시키고 있다. 즉, 상기 보강 리브(3C, 4C)는 상기 만곡부(3B, 4B)에서부터 상기 끼워넣기 부재(3, 4)의 선단 또는 후단(도면에서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만곡부(3B, 4B)에 각각 연속되는 끼워넣기 부재(3, 4)의 폭(띠 형상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늘어서 2열로 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뻗어 나가도록 설치된다. 이 상하 방향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품(10, 20)의 상하 조합 방향과 실질적으로 같은 방향이다. 이 보강 리브(3C, 4C)는 만곡부(3B, 4B)를 가운데 두고 상기 선단측 및 후단측으로 각각 향해 뻗어 나가는 볼록부로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보강 리브는 각 끼워넣기 부재(3, 4)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은 오목부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보강 리브(3C, 4C)가 양 끼워넣기 부재(3, 4)의 각각에 1쌍씩 병행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양 보강 리브 3C, 3C 사이 또는 4C, 4C 사이에 그라운드 단자 삽입 홈(3D, 4D)이 형성되어, 이 그라운드 단자 삽입 홈(3D, 4D)에 대하여, 후술하는, 빗살날의 한변의 길이가 긴 평판 형상의 그라운드 단자(40)를 삽입할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 삽입 홈(3D, 4D)은 폭(M)으로 하고, 그 폭(M)은 그라운드 단자(40)의 폭과 동일한 폭 또는 그라운드 단자(4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그라운드 단자(40)는 외부 도체 실드층(53)과 압접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피어싱 단자(1)와 접촉 배치되어 외부 도체 실드층(53)과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수지제로 구성되는 상기 외부 절연층(54)을 외형 유지용 빗살날(41)이 돌파하여 직접적으로 외부 도체 실드층(53)과 압접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뤄지고 있다. 그리고, 이 그라운드 단자는 외부의 전기 회로 등과 커넥터 접속 또는 땜납 접속되어 그라운드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외형 유지용 빗살날(41, 41) 사이의 폭을 동축 케이블(50)의 외부 도체 실드층(53)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은 폭으로 설정함으로써, 그라운드 단자(40)와 외부 도체 실드층(53)과의 직접적인 전기적 접속인 압접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동축 케이블 및 피어싱 단자의 하우징에의 조립 구조)
도 4∼도 7에 기초하여, 피어싱 단자(1) 및 동축 케이블의 하우징에의 조립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1 하우징 부품(10)과 제2 하우징 부품(20)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피어싱 단자(1), 압접 컨택트(30), 그라운드 단자(40) 및 동축 케이블(50)을 조립해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방향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부분 A-A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정면도이다.
제1 하우징 부품(10)은 전기적 절연성을 지닌 수지 소재로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띤다. 그 저면(11)측에서 상면(12)측에 걸쳐 피어싱 단자(1)의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이 뚫려 이루어진다. 즉, 제1 하우징 부품(10)에는 도전성 금속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1쌍의 끼워넣기 부재(3, 4)를 구비한 피어싱 단자(1)를 삽입하는 제1 삽입 구멍(13, …, 13)이 소정 간격(H)씩 떨어져 일렬형으로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 구멍(13, …, 13)의 각각에, 선단에 있는 피어스날(3A, 4A)이 외부로 돌출하게 꽂아 설치되는 피어싱 단자(1)가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은 소정 간격(H)을 두고서 제1 하우징 부품(10)의 긴 변 방향을 따라서 복수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피어싱 단자(1)의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에 대하여 제1 하우징 부품(10)의 짧은 변 방향에서 대향하는 각각의 위치에는 저면(11)측에서 상면(12)측에 걸쳐 관통된 압접 컨택트(30)의 제2 삽입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 여러 개가 병렬로 배치되는 방향의 연장선 상에는 빗살날형의 한변의 길이가 긴 평판 형상의 그라운드 단자(4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15)을 상면(12)측에서부터 저면(11)측에 걸쳐 관통하여 형성하고 있다.
한편, 제2 하우징 부품(20)에는 제1 하우징 부품(10)과 위아래에서 조립한 상태에서, 전술한 삽입 구멍(15)과 일치하는 위치에, 그 상면(21)측에서부터 저면(22)측에 걸쳐 관통된 삽입 구멍(15)과 동일 형상의 삽입 구멍(23)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 부품(10) 상에 동축 케이블(50)을 배치한 상태에서, 압접 컨택트(30)를 내포한 제2 하우징 부품(20)을 상측에서 압접하며, 삽입 구멍(23 및 15)에 그라운드 단자(40)를 삽입하고,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에 피어싱 단자(1)를 삽입하여 피어싱 단자(1)를 하우징에 조립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하우징 부품(10) 및 제2 하우징 부품(20)은 절연성 소재로 되어 있으므로, 피어싱 단자(1)를 동축 케이블(50)에 찌르는 것만으로, 동축 케이블(50)의 외부 도체 실드층과 그라운드 단자(40)가 피어싱 단자(1)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 접속 방법에 대해서는 도 22a에서부터 도 22h에 기초하여 후술한다.
(제1 하우징 부품)
도 8∼도 11에 기초하여 제1 하우징 부품(1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1 하우징 부품(10)의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C-C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D-D 단면도이다.
제1 하우징 부품(10)은 수지 등을 성형한 절연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부품(10)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띠며, 그 저면(11)측에서부터 상면(12)측에 걸쳐 피어싱 단자(1)의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을 뚫어 형성하고, 이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은 소정 간격(H)을 두고서 제1 하우징 부품(10)의 긴 변 방향을 따라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어싱 단자(1)의 제1 コ자형 삽입 구멍(13)에 대하여 짧은 변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저면(11)측에서부터 상면(12)측에 걸쳐 관통된 압접 컨택트(30)의 제2 삽입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부품(10)의 상면(12)에는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 및 이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과 대향하는 제2 삽입 구멍(14)에 걸쳐 동축 케이블(50)의 받침 홈(16)을 뚫어 형성하고 있다. 이 받침 홈(16)에 적재되는 동축 케이블(50)은 주지된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도체 코어선(51), 이 중심 도체 코어선(51)을 덮는 내부 절연층(52), 이 내부 절연층(52)을 덮는 외부 도체 실드층(53), 이 외부 도체 실드층(53)을 덮는 외부 절연층(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동축 케이블(50)을 받침 홈(16)에 얹어 놓는 것인데, 동축 케이블(50)에는 그 선단에서부터 소정 길이(L)만큼 외부 도체 실드층(53) 및 외부 절연층(54)을 벗겨내어, 내부 절연층(52)을 드러낸 상태로 미리 처리해 놓는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50)은 선단에서부터 소정 길이(L)까지가 직경(R1)이고, 도중에서 R1보다 큰 직경(R2)으로 되는 단차식 케이블을 보이게 된다. 이 관계로부터, 받침 홈(16)의 형상은 제2 삽입 구멍(14)을 포함하는 받침 홈(16)의 선단에서부터 L보다 짧은 길이까지를 직경(R1)의 단면 원호형의 홈(16A)으로 하고, 동일 선단에서부터 L보다 긴 길이부터를 직경(R2)의 단면 원호형의 홈(16B)으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 여러 개가 병렬 배치되는 방향의 연장선 상에는 빗살날형의 한변의 길이가 긴 평판 형상의 그라운드 단자(40)의 삽입 구멍(15)을 상면(12)측에서부터 저면(11)측에 걸쳐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제1 コ자형 삽입 구멍(13, 13) 사이의 상면(12)에는 그라운드 단자(40)의 동축 케이블(50)의 외형 유지용 빗살날(41)을 삽입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삽입 홈(17)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 외형 유지용 빗살날(41, 41) 사이에 동축 케이블(50)의 대직경 부분의 외부 절연층(54)을 끼워 유지할 수 있도록, 양 외형 유지용 빗살날(41, 41)의 간격은 R2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라운드 단자)
도 12a 및 도 12b에 기초하여, 그라운드 단자(4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2a는 그라운드 단자(40)의 정면도, 도 12b는 그라운드 단자(40)의 측면도이다.
그라운드 단자(4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제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단측에 삽입 구멍(15)에 대하여 압입되어 유지하기 위한 유지용 돌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용 돌기부(42)에 의해 그라운드 단자(40)의 두께가, 삽입 구멍(23)의 구멍 폭보다 두껍게 되는 결과, 그 삽입 구멍(23)에 그라운드 단자(40)를 삽입하면 상기 그라운드 단자(40)가 압입되어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입 유지되기 때문에, 제2 하우징 부품(20)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빠져나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더욱이, 양 유지용 돌기부(42, 42) 사이에는 전술한 동축 케이블(50)의 외형 유지용 빗살날(41)과, 끼워넣기 부재(3, 4) 사이의 간격 유지용 빗살날(43)이 교대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도 7에는 이 외형 유지용 빗살날(41, 41) 사이에 동축 케이블(50)의 대직경 부분[외부 절연층(54)]을 유지하고, 끼워넣기 부재(3, 4)의 간격을 소정 이하의 간격으로 좁아지는 일이 없도록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외형 유지용 빗살날(41)과, 끼워넣기 부재(3, 4) 사이의 간격 유지용 빗살날(43)에 의해 동축 케이블(50)[외부 절연층(54)]을 3점 유지하여, 동축 케이블(50)의 위치 어긋남의 발생에 의해 피어싱 단자(1)가 중심 도체 코어선(51)에 접촉하는 등의 우려를 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구나, 전술한 외형 유지용 빗살날(41, 41) 사이에는 외형 유지용 빗살날(41)보다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동축 케이블(50)의 대직경 부분을 상측에서 밀어 넣는 간격 유지용 빗살날(4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 부품)
도 13∼도 15에 기초하여, 제2 하우징 부품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제2 하우징 부품의 저면도, 도 14는 도 13의 E-E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F-F 단면도이다.
제2 하우징 부품(20)은 수지 등을 성형한 절연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일단(31)측이 저면(22)측에서부터 외부로 도출되고, 타단(32)측이 한쪽 측(24)에서부터 외부로 도출되도록 장척(長尺) 형상의 압접 컨택트(3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압접 컨택트(30)의 일단(31)측이 동축 케이블(50)의 중심 도체 코어선(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32)측이 외부의 회로 기판의 배선 회로에 납땜이나 압접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압접 컨택트(30)는 제2 하우징 부품(20)에 대하여, 제1 하우징 부품(10)과의 상하 조합 방향에 있어서, 피어싱 단자(1)의 꽂아 설치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압접 컨택트(30)의 선단 U자형 부분, 특히, 압접날(32)이 내부 절연층(52)을 돌파하여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제2 하우징 부품(20)에는 상기 압접 컨택트(30)가 외부로 도출하는 한쪽 측(24)과 대향하는 다른 쪽 측(25)에서부터 안쪽을 향하여, 동축 케이블(50)을 얹어 놓는 안내 적재 홈(26)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부품(20)과 전술한 제1 하우징 부품(10)을 위아래에서 조립한 상태에서,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과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제2 하우징 부품(20)의 저면에는 피어싱 단자(1)의 양 끼워넣기 부재(3, 4)가 삽입되는 삽입 홈(26A, 26B)을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제2 하우징 부품(20)에는 안내 적재 홈(26)이 연장해 나가는 연장선 상의 다른 쪽 측(25)에 있어서의 제2 삽입 구멍(14)과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 압접 컨택트(30)의 일단(31)이 돌출하는 개구(27)를 형성하고 있다.
(압접 컨택트)
도 16a 및 도 16b에 기초하여, 압접 컨택트(30)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6a는 복수의 압접 컨택트(30, …, 30)를 연속부(B)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6b는 도 16a의 측면도이다.
압접 컨택트(30)의 일단(31)에는 동축 케이블(50)의 내부 절연층(52)을 압입함으로써 내부 절연층(52)을 돌파하여 중심 도체 코어선(51)과 압접 컨택트(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정면에서 보아 U자형의 압접날(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접날(32)의 중앙에는 일단(31)에서부터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오므라들어 중심 도체 코어선(51)을 유도하여 고정하는 압접 홈(3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압접 홈(32A)의 폭은 중심 도체 코어선(51)과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중심 도체 코어선(51)의 외경(r1)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압접 컨택트(30)는 후프형으로 연결 유지되는 각각 연속부(B)와 분리되어, 제2 하우징 부품(20)을 성형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하우징 부품(20) 내에 일부분이 봉해진다.
(피어싱 단자와 동축 케이블과의 접속과 그 작용 효과)
이상, 도 1∼도 16에 기초하여, 피어싱 단자(1), 제1 및 제2 하우징 부품(10, 20), 그라운드 단자(40) 및 압접 컨택트(30)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하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50)을 일거에 상기 하우징(제1 하우징 부품(10) 및 제2 하우징 부품(20)을 상하로 조립한 상태)에 설치하는 피어싱 단자(1)와 동축 케이블과의 접속에 관해서 더 설명한다. 도 17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50)을 수지성 시트에 의해서 라미네이트 가공한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동축 케이블(50, …, 50) 그룹은 소정 간격(H)마다 묶인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복수의 동축 케이블(50)을 소정 간격(H)씩 떨어져 배치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50, …, 50) 그룹의 중앙부(55)의 외부 절연층(54)을 수지 시트(59)에 의해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묶는 한편, 상기 중앙부(55)의 양단부(56, 56)에는 동축 케이블(50)에 있어서의 세선 부분의 내부 절연층(52)을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드러낸 상태로, 수지시트(59)에서부터 소정 거리(G) 떨어져 다른 수지 시트(58)에 의해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복수의 동축 케이블(50)은 각각의 외부 절연층(54) 및 외부 도체 실드층(53)을 제거하여 상기 내부 절연층(52)이 드러난 상태로 처리된 선단측(57)을, 상기 동축 케이블(50)을 압접하는 상기 피어싱 단자(1)와 압접 컨택트(30)와의 거리(F)보다 크게 한 거리(G)를 두고서 각각 별개 부재의 수지 시트(58, 59)로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이 거리(F)를 확보하는 의미는 이 실시형태의 경우, 피어싱 단자(1)와 압접커넥터(30)를 가급적 박판의 금속제로 하여 와이어 하네스 상태로 묶었을 때의 동축 케이블 사이의 피치(H)를 좁게 하고 있기 때문에, 피어싱 단자(1)와 압접 커넥터(30)를 찌르는 힘에 의한 피어싱 단자(1)와 압접 커넥터(30)의 변형 우려를 저감시키는 것과, 제1 하우징 부품(10)의 받침 홈(16) 및 제2 하우징 부품(20)의 안내 적재 홈(26)에의 위치 결정을 눈으로 확인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제1 하우징 부품(10)의 받침 홈(16)에 대하여 도 17의 동축 케이블(50, …, 50) 그룹을 얹어 놓고, 제2 하우징 부품(20)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압접 컨택트(30)의 대응하는 압접 홈(32A)에 대하여 각각 드러내는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 절연층(52)을 압입하여, 압접 컨택트(30)와 동축 케이블(50)의 중심 도체 코어선(51)과의 전기적 접속을 취하기 위해서, 제1 하우징 부품(10)에 대하여 제2 하우징 부품(20)을 상측에서 누른다.
다음에, 제1 하우징 부품(10)의 하측에서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 …, 13)에 대하여 각각 피어싱 단자(1, …, 1)를 압입하고, 상측에서 그라운드 단자(40)를 압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어싱 단자(1)는 중심 도체 코어선(51)의 외경(r1)보다도 크고, 내부 절연층(52)의 외경(R2)보다도 작은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대향 배치한 1쌍의 끼워넣기 부재(3, 4)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워넣기 부재(3, 4)의 각각의 선단측에는 테이퍼형으로 모따기한 피어스날(3A, 4A)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피어스날(3A, 4A)의 각각의 후단측에는 상기 끼워넣기 부재(3, 4)의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외부에 만곡형으로 형성된 1쌍의 만곡부(3B, 3B 및 4B, 4B)로 이루어진다. 이 만곡부 3B, 3B 사이, 4B, 4B 사이가 그라운드 단자 삽입 홈(3D, 4D)으로서 기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어싱 단자(1) 및 그라운드 단자(40)를 압입한 상태를 도 4에 나타내고 있다. 제1 하우징 부품(10)과 제2 하우징 부품(20) 사이에, 동축 케이블(50)을 끼워 넣은 상태로, 피어싱 단자(1)를 하측에서 압입하면, 그 압입력에 의해서, 1쌍의 끼워넣기 부재(3, 4)의 피어스날(3A, 4A)이 동축 케이블(50)의 외부 절연층(54)과 외부 도체 실드층(53)을 돌파하여, 내부 절연층(52)의 외형을 미끄럼 이동하고, 재차, 외부 도체 실드층(53) 및 외부 절연층(54)의 순으로 돌파하여 외부로 피어스날(3A, 4A)이 돌출된다. 이 때, 끼워넣기 부재(3, 4)의 간격은 보강 리브(3C, 4C)의 보강 기능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안쪽으로 넓어지는 것은 상측에서부터 압입되는 그라운드 단자(40)의 간격 유지용 빗살날인 압박 돌기부(43)를 끼워넣기 부재(3, 4)에 끼워 넣음으로써 방지된다. 이 때문에, 간격 유지용 빗살날인 압박 돌기부(43)의 폭은 끼워넣기 부재(3, 4)의 간격과 대략 동일 폭의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끼워넣기 부재(3, 4)의 간격(h)은 중심 도체 코어선(51)의 외경(r1)보다도 크고, 내부 절연층(52)의 외경(R2)보다도 작은 간격으로 하고 있다. 보다 자세히는, 내부 절연층(52)의 외경(R2)보다도 약간 작은 간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끼워넣기 부재(3, 4)는 내부 절연층(52)의 외형을 미끄럼 이동하면서, 내부 절연층(52)의 외형과 외부 도체 실드층(53) 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가, 외부로 뚫고 나오게 할 수 있으므로, 끼워넣기 부재(3, 4)가 중심 도체 코어선(51)과 단락되거나 할 우려를 피할 수 있다.
더욱이, 동축 케이블(50)과 피어싱 단자(1)의 압접 상태에 있어서, 만곡부(3B, 4B)가, 끼워넣기 부재(3, 4) 사이에서 끼워진 동축 케이블(50)의 직경 부위에 위치하고, 그 만곡부(3B, 4B)의 내경이 동축 케이블(50)과 대략 동일 중심으로 한 호(弧)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동축 케이블(50)의 외부 도체 실드층(53)과 중심 도체 코어선(51) 사이의 거리를 다른 부분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결과, 외부 도체 실드층(53)과 중심 도체 코어선(51) 사이의 임피던스 변화를 적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대향 배치한 1쌍의 끼워넣기 부재(3, 4)의 만곡부(3B, 4B)는 동일 가상 원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상 원 상에 위치하는 만곡부(3B, 4B)의 외경 치수가 단면 관 형상 층을 띠는 외부 도체 실드층(53)의 내경 치수와 대략 일치하는 치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만곡부(3B, 4B)의 외형 부분과 외부 도체 실드층(53)의 내경 부분과의 전기적 접속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하우징 부품(10)과 제2 하우징 부품(20)을 위아래에서 조합하는 경우에, 상기 끼워넣기 부재(3, 4) 사이에는 간격 유지용 빗살날(43)이, 양 끼워넣기 부재(3, 4)의 각각의 외측에는 동축 케이블(50)의 외형 유지용 빗살날(41)이 배치되므로, 상기 끼워넣기 부재(3, 4)의 피어스날(3A, 4A)로 외부 절연층(54)을 돌파할 때에, 외부 절연층(54)의 돌파 응력에 의해서 끼워넣기 부재(3, 4) 사이가 변형되어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해 버릴 우려를 피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8∼도 22에 기초하여,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 부품(10)과 제2 하우징 부품(20)을 일체로 한 구조를 수형 커넥터로 하여, 메인 회로 기판측에 미리 납땜에 의해 실장된 암형 커넥터를 결합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가 자유롭게 전기적 접속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8∼도 22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인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하여 반복 설명을 생략하며,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에 대쉬를 붙이고 있다. 도 18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 부품(10')과 제2 하우징 부품(20')은 약간의 형상이 다르지만 각각의 기능은 동일한 것이다. 도 18은 제1 하우징 부품(10')과 제2 하우징 부품(20')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피어싱 단자(1), 압접 컨택트(30), 그라운드 단자(40) 및 동축 케이블(50)을 조립해 넣고, 외형 유지용 셸(60)로 봉하여 막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19a에 도시된 것은 도 18의 평면도, 도 19b에 도시된 것은 도 18의 측면도이다. 도 20a는 암형 커넥터(70)의 평면도, 도 20b는 암형 커넥터(70)의 정면도, 도 20c는 암형 커넥터(70)의 측면도이다.
동축 케이블(50)의 외부 도체 실드층(53)의 그라운드 경로는 우선, 동축 케이블(50)의 외부 도체 실드층(53)과 피어싱 단자(1)가 접속되고, 상기 피어싱 단자(1)의 보강 리브 3C, 3C 사이 및 4C, 4C 사이에서 형성되는 그라운드 단자 삽입 홈(3D, 4D)을 따라 상기 그라운드 단자 삽입 홈(3D, 4D)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동축 케이블(50)의 외부 절연층(54)을 안쪽으로 돌파하면서 그라운드 단자(40)의 외형 유지용 빗살날(41, 41)이 외부 도체 실드층(53)에 압접된다. 그리고, 그라운드 단자(40)와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외형 유지용 셸(60)이 접속되어, 메인 회로 기판 측에 미리 납땜에 의해 실장된 암 커넥터(70)와 접속된다.
이어서, 도 22a에서부터 도 22h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접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2a에 있어서, 미리 동축 케이블(50)에는 그 선단에서부터 소정 길이(L)만큼 외부 도체 실드층(53) 및 외부 절연층(54)을 벗겨내어, 내부 절연층(52)을 드러낸 상태로 하는 처리를 미리 해 놓는다.
도 22b에 있어서, 지그(80) 표면에 제1 하우징 부품(10')을 피어싱 단자(1)의 コ자형 제1 삽입 구멍(13)을 아래쪽으로 하여 얹어 놓는다.
도 22c에 있어서, 지그(80)에 제1 하우징 부품(10')에 얹어 놓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측에서부터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한 동축 케이블(50)의 R1 및 R2를 각각 홈(16A 및 16B)에 얹어 놓는다.
도 22d에 있어서, 지그(80)에 동축 케이블(50)을 얹어 놓은 후, 제1 하우징 부품(10')의 상측에서 제2 하우징 부품(20')을 얹어 놓는다. 양 제1 하우징 부품(10')의 상측에서부터 제2 하우징 부품(20')을 조립함으로써, 압접 컨택트(30)의 U자형의 압접날(32)이 내부 절연층(52)을 돌파하여 중심 도체 코어선(51)과 압접된다.
도 22e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품(10')의 상측에서 제2 하우징 부품(20')을 얹어 놓은 상태로 한 후, 피어싱 단자(1)를, 제1 하우징 부품(10) 내의 동축 케이블(50)의 외부 절연층(54)을 돌파하여 외부 도체 실드층(53)에 압접한다. 피어싱 단자(1)의 동축 케이블(50)에의 압접이 완료된 후, 제2 하우징 부품(20')의 삽입 구멍(23)에, 상측에서부터 압입 지그(81)에 의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아래쪽을 향해서 그라운드 단자(40)를 압입한다. 이로써, 그라운드 단자(40)와 외부 도체 실드층(53)이 직접적으로 압접되고, 외부 도체 실드층(53)의 압접 부분이 그라운드 단자(40)와 피어싱 단자(1)에 의해 사이에 끼이게 되기 때문에, 외부 도체 실드층(53)을 그라운드 단자(40)와 피어싱 단자(1)에 끼워 넣지 않는 것에 비하여, 강고히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동축 케이블(50)의 경우에는 중심 도체 코어선(51)을 덮는 내부 절연층(52)을 갖기 때문에, 외부에서 끼워 넣더라도 내부 절연층(52)의 탄성으로 강고하게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지만, 외부 도체 실드층(53)이 그라운드 단자(40)와 피어싱 단자(1) 사이에 끼워 지게함으로써 이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도 22f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품(10)과 제2 하우징 부품(20) 사이에 동축 케이블(50)이 끼워지고, 피어싱 단자(1) 및 압접 컨택트(30)가 동축 케이블(50)에 압접된 상태에서, 한 쪽 측(24)에서부터 외형 유지용 셸(60)을 제2 하우징 부품과 제1 하우징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외부에서 바깥끼우기한다.
도 22g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반대 방향으로 반전시켜, 상측에서부터 셸 압입 지그(82)에 의해서, 외형 유지용 셸(60)을 상하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압입한다. 이로써, 도 22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형 커넥터가 완성된다.
이 수형 커넥터는 도 20에 도시하는 암형 커넥터에 접속하여 사용한다. 상기 암형 커넥터에는 그라운드 단자(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강 금구(金具)(71)와, 압접 컨택트(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메인 회로 기판에 땜납에 의해 실장되는 걸-윙(gull-wing) 타입으로 성형된 복수의 단자(72, …, 72)를 갖고 있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것은 도 22a에서부터 도 22h에서 완성된 암형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0은 동축 케이블을 생략한 상태의 수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는 동축 케이블을 케이블 하네스형으로 묶은 상태에서 고밀도로, 또 간편하게 압접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직경 0.5 ㎜ 이하의 동축 케이블에 적용한 경우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종래의 플렉시블 케이블 대신에 고밀도로 액정 화면 등의 가동 부분의 전기 전달 케이블로서 동축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용 피어싱 단자를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실드층에 접속한 경우에, 중심 도체 코어선과 외부 도체 실드층 사이의 임피던스를 동축 케이블과 상기 동축 케이블용 피어싱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 부위와 그 밖의 부위에서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동축 케이블용 피어싱 단자의 전기적 접속 부분에서,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임피던스 변화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최근, 피치가 좁아지고 있는 전기적 접속 커넥터에 적용함으로써, 전기 회로에 대한 커넥터 부분에서의 임피던스 변화를 피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도전성 금속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에 피어스날을 갖고 있는 1쌍의 끼워넣기 부재를 구비한 피어싱 단자가 복수 개 삽입되는 제1 하우징 부품과,
    U자형 선단부를 갖는 복수 개의 압접 컨택트를 돌출시켜 유지하는 제2 하우징 부품
    을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소정 간격을 두고서 일렬형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1 삽입 구멍을 가지고, 각각의 상기 제1 삽입 구멍에서 상기 피어스날이 상기 구멍의 외측을 향하도록 각각의 상기 피어싱 단자가 삽입되며,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은,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의 상기 피어스날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압접 컨택트의 선단부를 돌출시키도록 유지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상기 제2 하우징 부품과의 결합 시에 각각의 상기 압접 컨택트의 선단부를 삽입시키기 위해 소정 간격을 두고서 일렬형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2 삽입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은, 상기 피어스날의 방향 및 상기 압접 컨택트의 선단부의 돌출 방향으로 근접하여 결합되고,
    중심 도체 코어선, 이 중심 도체 코어선을 덮는 내부 절연층, 이 내부 절연층을 덮는 외부 도체 실드층, 및 이 외부 도체 실드층을 덮는 외부 절연층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고 그 선단측이 상기 외부 도체 실드층 및 외부 절연층을 제거하여 상기 내부 절연층이 드러난 상태로 처리된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을, 상기 제1 하우징 부품과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사이에서 소정의 압력에 의해 끼워 넣고, 상기 피어싱 단자가 상기 외부 절연층을 돌파하여 상기 외부 도체 실드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상기 압접 컨택트의 U자형 선단부가 상기 내부 절연층을 돌파하여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피어싱 단자는,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내부 절연층의 외경보다는 작은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는 1쌍의 끼워넣기 부재와,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각각의 선단측에 테이퍼형으로 모따기한 피어스날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후단측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1쌍의 끼워넣기 부재에서 보아 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에서부터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선단측 및 후단측 중 하나 이상의 쪽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부품과 결합한 경우에,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에 설치된 상기 피어싱 단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빗살날형의 평판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그라운드 단자가 설치되고, 그 그라운드 단자의 복수 개의 빗살날 중 어느 것이 상기 1쌍의 끼워넣기 부재의 사이 및 양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폭 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및 제2 하우징 부품의 결합 방향에 평행하게 2열로 배치되며, 이 양 보강 리브 사이에 상기 그라운드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그라운드 단자 삽입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외부 절연층 및 상기 외부 도체 실드층을 제거하여 상기 내부 절연층이 드러난 상태로 처리된 상기 선단측을, 상기 동축 케이블을 압접하는 상기 피어싱 단자와 압접 컨택트와의 거리보다 크게 한 거리를 떨어지게 하여 각각 별개인 수지 시트로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
  5. 도전성 금속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에 피어스날을 갖고 있는 1쌍의 끼워넣기 부재를 구비한 피어싱 단자가 복수 개 삽입되는 제1 하우징 부품과,
    U자형 선단부를 갖는 복수 개의 압접 컨택트를 돌출시켜 유지하는 제2 하우징 부품
    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을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소정 간격을 두고서 일렬형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1 삽입 구멍을 가지고, 각각의 상기 제1 삽입 구멍에서 상기 피어스날이 상기 구멍의 외측을 향하도록 각각의 상기 피어싱 단자가 삽입되며,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은,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의 상기 피어스날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압접 컨택트의 선단부를 돌출시키도록 유지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상기 제2 하우징 부품과의 결합 시에 각각의 상기 압접 컨택트의 선단부를 삽입시키기 위해 소정 간격을 두고서 일렬형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2 삽입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은, 상기 피어스날의 방향 및 U자형 선단부의 돌출 방향으로 근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피어싱 단자 및 상기 압접 컨택트가 서로 대응하는 수만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에 각각 구비되고,
    중심 도체 코어선, 이 중심 도체 코어선을 덮는 내부 절연층, 이 내부 절연층을 덮는 외부 도체 실드층, 및 이 외부 도체 실드층을 덮는 외부 절연층을 갖는 구조를 가지며 그 선단측이 상기 외부 도체 실드층 및 외부 절연층을 제거하여 상기 내부 절연층이 드러난 상태로 처리된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을, 상기 제1 하우징 부품과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사이에서 소정의 압력에 의해 끼워 넣고, 상기 피어싱 단자가 상기 드러난 상태로 처리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외부 절연층을 돌파하여 상기 외부 도체 실드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상기 압접 컨택트의 U자형 선단부가 상기 드러난 상태로 처리된 위치에서 상기 내부 절연층을 돌파하여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피어싱 단자는,
    상기 중심 도체 코어선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내부 절연층의 외경보다는 작은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는 1쌍의 끼워넣기 부재와,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각각의 선단측에 테이퍼형으로 모따기한 피어스날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후단측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1쌍의 끼워넣기 부재에서 보아 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에서부터 상기 끼워넣기 부재의 선단측 및 후단측 중 하나 이상의 쪽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부품과 결합한 경우에,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에 설치된 상기 피어싱 단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빗살날형의 평판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그라운드 단자가 설치되고, 그 그라운드 단자의 복수 개의 빗살날 중 어느 것이 상기 1쌍의 끼워넣기 부재의 사이 및 양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삭제
KR1020040095123A 2003-11-21 2004-11-19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 KR101077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3021 2003-11-21
JPJP-P-2003-00393021 2003-11-21
JPJP-P-2003-00404849 2003-12-03
JP2003404849A JP4084292B2 (ja) 2003-11-21 2003-12-03 同軸ケーブルの圧接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400A KR20050049400A (ko) 2005-05-25
KR101077361B1 true KR101077361B1 (ko) 2011-10-26

Family

ID=3443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123A KR101077361B1 (ko) 2003-11-21 2004-11-19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60097B2 (ko)
EP (1) EP1533868B1 (ko)
JP (1) JP4084292B2 (ko)
KR (1) KR101077361B1 (ko)
CN (1) CN10048798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4293U (ko) * 1990-11-30 1992-07-22
JP4640986B2 (ja) * 2005-12-27 2011-03-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JP4493101B2 (ja) * 2006-03-29 2010-06-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070021B2 (ja) * 2007-12-05 2012-1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23154B2 (ja) * 2010-03-18 2014-06-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
JP5679551B2 (ja) * 2010-10-07 2015-03-04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5717394B2 (ja) * 2010-10-14 2015-05-13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型圧着端子とその形成方法
US8766619B2 (en) * 2011-08-22 2014-07-01 Technical Services For Electronics, Inc. Coax ribbonizing header
US20130065428A1 (en) * 2011-09-13 2013-03-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a proper cable connection
CN102842838B (zh) * 2012-08-01 2015-01-0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线缆连接器的制造方法及其线缆连接器
US9142924B2 (en) 2012-08-23 2015-09-22 Zierick Manufacturing Corp. Surface mount coaxial cable connector
JP6308439B2 (ja) * 2015-02-10 2018-04-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源分配装置
CN105720385B (zh) * 2016-05-06 2018-07-10 国网重庆市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高压绝缘导线智能穿刺取电方法、机构以及计量装置
WO2019032366A1 (en) * 2017-08-07 2019-02-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CONNECTOR BLOCK ASSEMBLIES FOR BASE STATION ANTENNA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208A (en) * 1985-09-19 1988-05-10 Amp Incorporated Pin grid array electrical connector
NL8600041A (nl) * 1985-12-23 1987-07-16 Du Pont Nederland Contactinrichting voor een afgeschermde kabel.
US4767352A (en) * 1986-08-28 1988-08-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tegrally molded cable termination assembly, contact and method
US4708414A (en) * 1987-01-30 1987-11-24 Albert Lam Electric wir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JPH0758634B2 (ja) 1990-07-04 1995-06-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リボンケーブル用コネクタ
SE468918B (sv) * 1991-08-16 1993-04-05 Molex Inc Skarvdon foer skarvning av tvaa koaxialkablar
US5419718A (en) 1992-09-02 1995-05-30 The Whitaker Corporation Mixed coaxial connector
US5376021A (en) * 1993-02-05 1994-12-27 Thomas & Betts Corporation Enhanced performance data connector
JPH0845577A (ja) 1994-08-02 1996-02-16 Fujitsu Ltd コネクタ
JP3539130B2 (ja) 1997-05-27 2004-07-07 松下電工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H1186926A (ja) 1997-09-12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同軸ケーブル接続器
US6077122A (en) * 1997-10-30 2000-06-20 Thomas & Bett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connector shield and a multi-purpose strain relief
JP4308395B2 (ja) 2000-02-07 2009-08-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6746277B2 (en) * 2001-12-05 2004-06-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3868A2 (en) 2005-05-25
EP1533868A3 (en) 2010-01-06
JP2005174553A (ja) 2005-06-30
EP1533868B1 (en) 2011-07-20
CN1619885A (zh) 2005-05-25
CN100487982C (zh) 2009-05-13
US20050130485A1 (en) 2005-06-16
US6960097B2 (en) 2005-11-01
KR20050049400A (ko) 2005-05-25
JP4084292B2 (ja)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361B1 (ko) 동축 케이블의 압접 구조
JP4440160B2 (ja) コネクタ
JP4274381B2 (ja) 極細同軸ケーブルの端末接続方法
KR101170590B1 (ko)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및 접속 방법
KR20040007513A (ko)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6275326A (ja) ケーブル接続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04054216A (zh) 扁平电路体与端子的连接结构和连接方法
JP2007179811A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US6350146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JP3709992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9037748A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JP4102295B2 (ja) 同軸ケーブル用ピアシング端子
US11177591B2 (en) Connecting method,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on terminal
US6634893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tention contact tails and non-retention contact tails for retaining to a PCB prior to soldering as well as reducing force of inserting the contact tails to the PCB
JP4142654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フラット回路体と電気コネクタの接続方法
JP4118219B2 (ja) コネクタ
EP4346012A1 (en) Flat band cable s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at band cable set
JP4807796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JP4844496B2 (ja) 導電材の製造方法および導電材を収容した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2003331997A (ja) ミニ同軸コネクタ
JP2008135386A (ja) 平面状配線体と端子との接続方法
JP2002298959A (ja) 接続端子及びコネクタ
JP2022127252A (ja) コネクタ付き電線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付き電線
KR101801439B1 (ko)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JP4141414B2 (ja) 同軸ケーブル用ピアシング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