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439B1 -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 Google Patents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439B1
KR101801439B1 KR1020140095824A KR20140095824A KR101801439B1 KR 101801439 B1 KR101801439 B1 KR 101801439B1 KR 1020140095824 A KR1020140095824 A KR 1020140095824A KR 20140095824 A KR20140095824 A KR 20140095824A KR 101801439 B1 KR101801439 B1 KR 101801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ntact
electric wire
wire
cau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388A (ko
Inventor
사토시 스나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in parallel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01R13/4226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comprising two or more integral flexible retaining fingers acting on a sing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31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multiphase cables, e.g. with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of a plurality of conductor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과제]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압접 커넥터(1)는, 심선부(4)를 피복부(3)에 의해 피복한 구성을 가지는 피복 전선(2)에 접속된다. 압접 커넥터(1)는, 콘택트(6)와, 콘택트(6)를 유지하는 하우징(5)을 가진다. 콘택트(6)는, 피복부(3)를 절단하기 위한 압접 칼날(41, 42)과, 피복부(3)에 코킹되는 코킹부(39)를 포함한다. 코킹부(39)는, 폭 방향(Y1)으로 마주 보는 한 쌍의 편부로서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를 가진다. 제1 편부(43)는, 휨 변형됨으로써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에 결합하고 있다. 제2 편부(44)는, 휨 변형됨으로써 제1 편부(43)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WIRE}
본 발명은,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압접 커넥터는, 피복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3355172호 명세서 참조). 구체적으로는, 압접 커넥터는, 콘택트(contact)를 가지고 있다. 콘택트는, 피복 전선의 피복부를 절단하기 위한 압접 칼날과, 피복부에 코킹(caulking)되는 코킹부를 가지고 있다. 코킹부는, 가늘고 긴 띠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편부(片部)를 가지고 있으며, 소성(塑性) 변형 가능하다. 코킹부의 한 쌍의 편부는, 피복 전선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 똑바로 연장하고 있다.
일본특허 제3355172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압접 커넥터와 피복 전선이 접속될 때, 피복 전선은, 콘택트를 향하여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피복 전선의 피복부는, 콘택트의 압접 칼날에 접촉하여 해당 압접 칼날에 의해서 절단된다. 그리고, 절단된 피복부로부터 노출하는 심선부(芯線部)와 콘택트가 접촉한다.
그리고, 피복 전선이 콘택트에 삽입된 후, 코킹부의 한 쌍의 편부가 코킹용 펀치의 코킹 가공부에 의해서 구부려진다. 이것에 의해, 코킹부는, 피복부에 파고든다.
그 결과, 콘택트는, 코킹부와, 해당 콘택트의 저부와의 협동에 의해서, 피복 전선에 결합된다.
일본특허 제3355172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이들 한 쌍의 편부는, 코킹 가공부에 의해서 절곡됨으로써, 피복 전선에 코킹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편부는, 피복 전선을 꽉 누른다. 한 쌍의 편부는, 피복 전선에 코킹된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서로 보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각 편부는, 피복 전선으로부터의 힘에 대한 강도가 약하다. 그 결과, 각 편부는, 각 편부의 선단을 밀어 올리려고 하는 강한 힘을 피복 전선으로부터 받은 경우, 이 힘에 저항할 수 없다. 따라서, 각 편부의 선단은, 들어 올려져 버린다. 각 편부의 선단이 들어 올려져 버리면, 각 편부는, 피복 전선에 코킹된 상태가 해제되어 버려, 피복 전선을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과제는, 압접 커넥터에 특유의 과제라고 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접 커넥터는, 하우징에 미리 콘택트가 조립된 상태에서, 피복 전선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콘택트의 한 쌍의 편부를 피복 전선에 코킹하기 위한 코킹용 펀치는, 하우징을 피하도록 하여 콘택트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코킹용 펀치의 코킹 가공부는, 코킹부와 피복 전선을 끼워 넣을 수 없어, 코킹부에 충분한 힘을 걸 수 없다. 따라서, 코킹용 펀치는, 한 쌍의 편부를 피복 전선으로 꽉 누르는 힘을 크게 하기 어려워, 한 쌍의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압착 단자가 이용되는 경우, 압착 단자는, 피복 전선에 코킹된 후에, 하우징에 수용된다. 이 때문에, 압착 단자를 피복 전선에 코킹하기 위한 코킹용 펀치는, 하우징을 피하도록 하여 압착 단자의 코킹부에 접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코킹용 펀치는, 예를 들면, 한 쌍의 편부와 피복 전선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코킹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코킹용 펀치는, 압착 단자와 피복 전선과의 사이에 매우 큰 힘을 작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압착 단자의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높게 하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는, 압접 커넥터에 특유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한 것에 의해,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관한 압접 커넥터는, 심선부(芯線部)를 피복부에 의해 피복한 구성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접속되는 압접 커넥터로서, 소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콘택트(contact)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피복부를 절단하기 위한 압접 칼날과, 상기 피복부에 코킹(caulking)되는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병렬 방향으로 마주 보는 한 쌍의 편부(片部)로서의 제1 편부 및 제2 편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편부는, 휨 변형됨으로써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편부는, 휨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콘택트에 피복 전선이 접속된 경우에서, 제2 편부는, 제1 편부와 겹쳐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편부의 선단부를 들뜨게 하려고 하는 힘이 피복 전선으로부터 제1 편부에 작용한 경우에, 제2 편부는, 이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힘이 큰 경우에도, 콘택트는,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제1 편부를 피복 전선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콘택트가 하우징에 조립된 후에 해당 콘택트에 피복 전선이 코킹되는 압접 커넥터에서는, 코킹부의 근처에 하우징이 존재하고 있는 결과, 코킹부와 피복 전선을 끼우도록 코킹용 펀치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편부를 피복 전선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편부와 제2 편부와의 서로 겹침에 의해,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접 커넥터에 있어서,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2)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편부를 지지하는 제1 측부와, 상기 제2 편부를 지지하는 제2 측부와,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피복 전선의 일부를 배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킹부의 제1 편부 및 제2 편부와, 연결부에 의해서, 피복 전선을 콘택트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3)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를 받아 들이는 벽부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압접 칼날,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코킹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는, 수용부의 벽부에 받아 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 및, 해당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킹부를, 하우징에 의해서 보호할 수 있다. 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피복 전선을 콘택트에 삽입할 수 있다.
(4)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편부의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와, 상기 제2 편부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편부와 제2 편부가 서로 겹쳐졌을 때에, 제1 편부의 선단부가 제2 편부에 걸려 버리는 현상과, 제2 편부의 선단부가 제1 편부에 걸려 버리는 현상이 동시에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의 걸림 현상에 기인하여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편부의 상기 길이는, 상기 제2 편부의 상기 길이 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편부의 선단부는, 보다 확실히 피복 전선에 파고 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6)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관한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는, 상기 압접 커넥터와, 상기 콘택트에 접속된 피복 전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편부는,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편부는,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1 편부의 선단부를 들뜨게 하려고 하는 힘이 피복 전선으로부터 제1 편부에 작용한 경우에, 제2 편부는, 이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힘이 큰 경우에도, 콘택트는,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제1 편부를 피복 전선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콘택트가 하우징에 조립된 후에 해당 콘택트에 피복 전선이 코킹되는 압접 커넥터에서는, 코킹부의 근처에 하우징이 존재하고 있는 결과, 코킹부와 피복 전선을 끼우도록 코킹용 펀치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편부를 피복 전선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편부와 제2 편부와의 서로 겹침에 의해,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에 있어서,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7)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로 파고 들어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압접 커넥터가, 피복 전선 및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압접 커넥터 및 피복 전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피복 전선이 코킹되기 전의 상태의 압접 커넥터의 저면측을 본 사시도이며, 압접 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압접 커넥터의 상면측을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압접 커넥터의 배면도이며, 피복 전선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압접 커넥터의 배면도이며, 피복 전선이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2개의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코킹용 펀치 및 압접 커넥터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의 주요부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커넥터로서, 여러 가지의 용도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압접 커넥터(1)가, 피복 전선(2) 및 상대측 커넥터(10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압접 커넥터(1)는, 전자 기기 등에 구비된다. 압접 커넥터(1)에는, 복수의 피복 전선(2)(도 1에서는, 피복 전선(2)은 1개를 도시)이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접 커넥터(1)는, 소켓 커넥터이며,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로서의 상대측 커넥터(100)에 떼어냄 가능하게 접속된다.
상대측 커넥터(100)는, 회로 기판(110) 등에 실장되는 커넥터이다. 압접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100)와의 접속에 의해, 복수의 피복 전선(2)과 회로 기판(110)과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상대측 커넥터(100)는, 하우징(101)과, 복수의 콘택트(102)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01)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일체 성형품이다.
하우징(101)은, 둘레벽(103)과, 후벽(後壁, 104)과, 락 폴(lock pawl, 105)을 가지고 있다.
둘레벽(103)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이며, 도 1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고 있다. 둘레벽(103)은, 압접 커넥터(1)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둘레벽(103)의 상부에, 락 폴(105)이 형성되어 있다.
락 폴(105)은, 둘레벽(103)의 표면에 형성된 부분이다. 락 폴(105)은, 압접 커넥터(1)의 후술하는 락 폴(11)에 걸림으로써, 상대측 커넥터(100)로부터의 압접 커넥터(1)의 빠짐을 규제한다.
둘레벽(103)의 후부(後部)에, 후벽(104)이 형성되어 있다. 후벽(104)은, 둘레벽(103)의 후단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둘레벽(103)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에서는, 복수의 관통 구멍부(106) 중 1개를 도시하고 있다.
관통 구멍부(106)는, 하우징(10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부(106)는, 1개의 콘택트(102)를 유지하고 있다.
각 콘택트(102)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콘택트(102)는, 예를 들면, 구리 합금을 소재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콘택트(102)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주석 도금 또는 금 도금 등의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각 콘택트(102)는, 대응하는 관통 구멍부(106)에 유지되어 있다. 각 콘택트(102)의 일부는, 둘레벽(103)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콘택트(102)의 다른 일부는, 하우징(101)의 외부에서, 납땜 등을 이용하여 회로 기판(110)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압접 커넥터(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압접 커넥터(1) 및 피복 전선(2)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압접 커넥터(1)는, 압접형의 전기 커넥터이며, 피복 전선(2)의 피복부(3)를 절단함으로써, 피복부(3)의 내부의 심선부(芯線部, 4)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접 커넥터(1)와 피복 전선(2)이 서로 접속됨으로써,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피복 전선(2)은, 피복부(3)와, 심선부(4)를 가지고 있다.
피복부(3)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통 모양의 부재이며, 탄력성을 가지고 있다. 피복부(3)는, 심선부(4)를, 심선부(4)의 둘레 방향의 전체 영역을 따라 덮고 있다.
심선부(4)는, 금속 등의 도전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심선부(4)의 일단부는, 압접 커넥터(1)의 후술하는 콘택트(6)에 접촉하고 있다. 심선부(4)의 타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기기 등에 접속되어 있다.
압접 커넥터(1)는, 전체로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이하에서는, 압접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을, 길이 방향(X1)이라고 한다. 길이 방향(X1)은, 본 발명의「길이 방향」의 일례이다. 또, 압접 커넥터(1)의 평면에서 볼 때, 길이 방향(X1)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Y1)이라고 한다. 폭 방향(Y1)은, 본 발명의「병렬 방향」의 일례이다. 또, 길이 방향(X1) 및 폭 방향(Y1)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Z1)이라고 한다.
압접 커넥터(1)에 피복 전선(2) 및 상대측 커넥터(100)의 콘택트(102)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피복 전선(2)의 일단부는, 길이 방향(X1)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대측 커넥터(100)의 콘택트(102)의 일단부도, 길이 방향(X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압접 커넥터(1)는, 하우징(5)과, 하우징(5)에 유지되는 복수의 콘택트(6)를 가지고 있다.
도 3은, 피복 전선(2)이 코킹되기 전의 상태의 압접 커넥터(1)의 저면측을 본 사시도이며, 압접 커넥터(1)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압접 커넥터(1)의 상면측을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압접 커넥터(1)의 배면도이며, 피복 전선(2)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압접 커넥터(1)이며, 피복 전선(2)이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하우징(5)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은,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형성된, 단일 부재이다. 하우징(5)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콘택트(6)를 유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5)은, 복수의 콘택트(6)를 길이 방향(X1)과 직교하는 폭 방향(Y1)으로 늘어놓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5)은, 폭 방향(Y1)에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은, 락부(lock部, 7)와, 하우징 본체(8)를 가지고 있다.
락부(7)는, 지주(支柱, 9)와, 락편(lock片, 10)과, 락 폴(11)을 가지고 있다.
지주(9)는, 하우징 본체(8)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지주(9)는, 락편(10)에 연속하고 있다. 락편(10)은, 판 모양의 부재이다. 락편(10)은, 지주(9)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다. 오퍼레이터가 이 락편(10)을 요동시킴으로써, 락편(10)의 전단부(前端部)를 들어 올릴 수 있다.
락편(10)의 전단부의 하면으로부터, 락 폴(11)이 돌출하고 있다. 락 폴(11)은, 상대측 커넥터(100)의 락 폴(105)에 받아 들여지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락 폴(11)은, 폭 방향(Y1)으로 연장하는 돌기 모양의 부분이다.
압접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10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락 폴(11)은, 락 폴(105)과 길이 방향(X1)으로 마주 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압접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100)로부터 뽑아 내어지는 힘을 받으면, 락 폴(11)은, 락 폴(105)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압접 커넥터(1)는, 그 이상 상대측 커넥터(100)로부터 뽑아 내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락부(7)는, 하우징 본체(8)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도 1 ~ 도 4를 참조하여, 하우징 본체(8)는, 외주벽(12)과, 전벽(前壁, 13)과, 격벽(14)과, 관통 구멍부(15)를 가지고 있다.
외주벽(12)은, 두께 방향(Z1)으로 편평하고, 또한, 폭 방향(Y1)으로 길게 연장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12)은, 천벽(天壁, 17)과, 저벽(18)과, 한 쌍의 측벽(19, 20)을 가지고 있다. 천벽(17)은, 락부(7)의 지주(9)를 받아 들이고 있다. 천벽(17)은, 저벽(18)과, 두께 방향(Z1)으로 이간(離間)하여 배치되어 있다.
천벽(17)은, 본 발명의「벽부」의 일례이며, 콘택트(6)의 후술하는 저부(31)를 받아 들이고 있다.
저벽(18)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벽(18)으로부터, 복수의 콘택트(6)의 일부가 노출하고 있다. 한 쌍의 측벽(19, 20)은, 폭 방향(Y1)에서의 외주벽(12)의 한 쌍의 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외주벽(12)의 전단부에, 전벽(1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부(15)는, 콘택트(6)가 수용되는 구멍부로서 마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수용부」의 일례이다. 관통 구멍부(15)는, 복수 개소(본 실시 형태에서, 8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통 구멍부(15)가, 폭 방향(Y1)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폭 방향(Y1)으로 서로 이웃하는 관통 구멍부(15)의 사이에는, 격벽(1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격벽(14)은, 천벽(17)으로부터 저벽(18)측을 향하여 두께 방향(Z1)을 따라서 연장하는 판 모양의 부분이다. 각 관통 구멍부(15)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관통 구멍부(15)는, 하우징 본체(8)를, 길이 방향(X1)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벽(13)으로부터 해당 하우징 본체(8)의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 길이 방향(X1)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관통 구멍부(15)의 단면적이, 단계적으로 커지고 있다. 관통 구멍부(15)에는, 제1 개구부(21), 제2 개구부(22), 제3 개구부(23), 및, 제4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21)는, 전벽(13)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대측 커넥터(100)의 대응하는 콘택트(102)를 삽입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1)와 길이 방향(X1)으로 늘어서도록 하여, 제2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22)는, 피복 전선(2)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개구부(22)는, 하우징 본체(8)의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개구부이다. 배면에서 볼 때, 제2 개구부(22)는, U자 모양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22)와 연속하도록 하여, 제3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제3 개구부(23)는, 관통 구멍부(15)에 피복 전선(2)이 삽입될 때에, 해당 피복 전선(2)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3 개구부(23)는, 길이 방향(X1)에서의 하우징 본체(8)의 후단으로부터 해당 하우징 본체(8)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으며, 길이 방향(X1)에서, 하우징 본체(8)의 길이의 절반 정도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개구부(23)는, 저벽(18)의 저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2 개구부(22) 및 제3 개구부(23)는, 콘택트(6)의 후술하는 압접부(37, 37)의 각 압접 칼날(41, 42)과, 저부(31)의 일부와, 코킹부(39)를, 하우징(5)의 외부로 노출시키고 있다. 제3 개구부(23)와 제1 개구부(21)와의 사이에, 제4 개구부(24)가 배치되어 있다.
제4 개구부(24)는, 저벽(18)의 저면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콘택트(6)의 후술하는 빠짐 방지부(35)가 삽입되어 있다.
이상이, 하우징(5)의 개략 구성이다. 다음으로, 콘택트(6)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2개의 콘택트(6)의 사시도이다. 도 1 ~ 도 3, 및, 도 5 ~ 도 7을 참조하여, 콘택트(6)는,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와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대측 커넥터(100)의 콘택트(102)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콘택트(6)는,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택트(6)의 수는, 피복 전선(2)의 수와 동일하고, 또한, 관통 구멍부(15)의 수와 동일하다. 콘택트(6)는, 복수의 피복 전선(2)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콘택트(6)는, 대응하는 관통 구멍부(15)에 삽입되어 있으며, 해당 관통 구멍부(15)에 유지되어 있다. 길이 방향(X1)에서의 각 콘택트(6)의 위치는, 일치되어 있다.
콘택트(6)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6)는, 예를 들면, 구리 합금을 소재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6)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주석 도금과 또는 금 도금 등의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콘택트(6)는, 도금 처리가 실시된 1매의 금속판에 절단 가공 및 휨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6)는, 길이 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6)는, 저부(31)와,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와, 접촉부(34)와, 빠짐 방지부(35)와, 가압부(36)와, 압접부(37, 38)와, 코킹부(39)를 가지고 있다.
저부(31)는, 두께 방향(Z1)와 직교하도록 연장하는 평판 모양의 부분이다. 저부(31)는, 하우징 본체(8)의 천벽(17)의 내측면에 받아 들여져 있다. 저부(31)의 전단부는, 하우징 본체(8)의 제1 개구부(21)에 인접하고 있다. 저부(31)의 후단부는, 제2 개구부(22)에 인접하고 있다. 저부(31)는, 본 발명의「연결부」의 일례이며, 제1 측부(31) 및 제2 측부(32)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방향(Y1)에서의 저부(31)의 한 쌍의 단부로부터,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가 연장하고 있다.
압접 커넥터(1)가 피복 전선(2)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로서의 결합 전 상태(이하, 간단하게 '결합 전 상태'라고 함)에서,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는, 저부(31)로부터, 두께 방향(Z1)의 일방측(하우징 본체(8)의 저벽(18)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는, 대응하는 격벽(14)에 인접하고 있다. 즉, 콘택트(6)는, 폭 방향(Y1)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격벽(14, 14)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부(32)와 제2 측부(33)와 저부(3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대응하는 피복 전선(2)의 일단부가 수용된다. 제1 측부(32)의 전단부 및 제2 측부(33)의 전단부는, 접촉부(34)를 지지하고 있다.
접촉부(34)는, 상대측 커넥터(100)의 콘택트(102)에 접촉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34)는, 두께 방향(Z1)에서의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의 양단부의 각각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들 측부(32, 3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34)의 일부는, 설편(舌片)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1 개구부(21)를 통과하여 관통 구멍부(15) 내에 진입한 콘택트(102)는, 접촉부(34)의 상기 설편 모양의 부분 사이에 끼워져, 해당 접촉부(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촉부(34)의 후방에, 빠짐 방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35)는, 콘택트(6)가 하우징 본체(8)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으며, 측부(32, 33)로부터 연장한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35)는, 저벽(18)에 형성된 제4 개구부(24)에 삽입되어 있다. 콘택트(6)에, 하우징 본체(8)로부터 뽑아 내어지는 방향(후방)의 힘이 작용했을 때, 빠짐 방지부(35)는 제4 개구부(24)의 가장자리부에 받아 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6)는, 그 이상 하우징 본체(8)로부터 뽑아 내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빠짐 방지부(35)의 후방에, 가압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36)는, 콘택트(6)를 하우징 본체(8)에 압입 고정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가압부(36)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 본체(8)의 저벽(18)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압부(36)와 저벽(18)과의 마찰 접촉력이 높아지며, 또한, 저부(31)와 천벽(17)과의 마찰 접촉력이 높아져 있다. 가압부(36)의 후방에, 압접부(37, 38)가 형성되어 있다.
압접부(37, 38)는, 피복 전선(2)의 피복부(3)를 절단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각 압접부(37, 38)는, 콘택트(6)의 저부(31)로부터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접부(37, 38)는, 길이 방향(X1)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각 압접부(37, 38)는,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압접부(37, 38)는, 폭 방향(Y1)으로 서로 마주 보는 압접 칼날(41, 42)을 가지고 있다.
압접 칼날(41, 42)에서, 서로 마주 보는 부분의 간격은, 심선부(4) 전체로서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압접부(37, 38) 사이에, 심선부(4)를 배치할 수 있다. 압접부(37, 38)는, 제3 개구부(23)를 통과하여 하우징 본체(8)의 외부로 노출하고 있으며, 제3 개구부(23)를 통과한 피복 전선(2)의 피복부(3)를, 각 압접부(37, 38)의 압접 칼날(41, 42)에 의해서 절단한다. 압접 칼날(41, 42)에 의해서 피복부(3)가 절단되면, 압접 칼날(41, 42)은, 심선부(4)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피복 전선(2)과 압접부(37, 38)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이 때, 피복 전선(2)의 일단부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접 칼날(41, 42)의 후방에, 코킹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코킹부(39)는, 피복 전선(2)의 일단부에 코킹됨으로써 해당 피복 전선(2)을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각 코킹부(39)는, 한 쌍의 편부로서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를 가지고 있다.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는, 피복 전선(2)을, 저부(31)와 협동하여 사이에 끼우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결합 전 상태에서,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는, 폭 방향(Y1)으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있다. 제1 편부(43)는, 제1 측부(32)에 지지되어 있으며, 제2 편부(44)는, 제2 측부(33)에 지지되어 있다. 결합 전 상태에서,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로부터 두께 방향(Z1)의 일방(저벽(17)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6에 잘 나타내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의 편부(43)의 길이와, 타방의 편부(44)의 길이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의 편부(43)의 내측면을 따른 해당 편부(43)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1)와, 타방의 편부(44)의 내측면을 따른 해당 편부(44)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2)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 콘택트(6)의 저부(31)로부터 일방의 편부(43)의 선단부까지의 길이(L4)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간격(L3)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의 측부(32) 및 편부(43)의 내측면을 따른, 측부(32)의 기단부로부터 편부(43)의 선단부까지의 길이(L4)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간격(L3)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콘택트(6)의 저부(31)로부터 타방의 편부(44)의 선단부까지의 길이(L5)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간격(L3)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방의 측부(33) 및 편부(44)의 내측면을 따른, 측부(33)의 기단부로부터 편부(44)의 선단부까지의 길이(L5)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간격(L3)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편부(43)는, 휨 변형됨으로써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편부(44)는, 휨 변형됨으로써 제1 편부(43)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결합 전 상태에서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는, 제1 부분(45, 45)과, 제2 부분(46, 46)을 가지고 있다.
제1 부분(45, 45)은, 두께 방향(Z1)에서의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연속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으며, 결합 전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제1 부분(45, 45) 사이의 거리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간격(L3)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1 부분(45, 45)은, 격벽(14, 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부분(45, 45)이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편부(32, 33)의 후단부의 높이(두께 방향(Z1)의 길이)는, 결합 전 상태에서의 피복 전선(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1 부분(45, 45)으로부터, 제2 부분(46, 46)이 연장하고 있다.
제2 부분(46, 46)은, 피복 전선(2)이 콘택트(6)의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에 삽입될 때의 수입구(受入口, 받아 들이는 입구)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부분(46, 46)은, 각각, 대응하는 제1 편부(43)의 선단부 및 제2 편부(44)의 선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결합 전 상태에서, 압접 커넥터(1)를 배면에서 보았을 때, 제2 부분(46, 46)은,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의 선단으로 진행함에 따라 해당 제2 부분(46, 46)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결합 전 상태에서, 제2 부분(46, 46)은, 제3 개구부(23)를 통과하여, 관통 구멍부(15)의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제2 부분(46, 46)의 전부가, 하우징 본체(8)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부분(46, 46)의 선단부의 외측면에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코킹부(39)가 피복 전선(2)에 코킹된 상태에서는, 코킹부(39)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는, 만곡(灣曲)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편부(43)는,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에 꽉 눌러져 있다. 그리고, 제1 편부(43)의 선단부 근처의 일부는, 피복 전선(2)의 피복부(3)로 파고 들어가 있다. 또, 제2 편부(44)는, 제1 편부(43)에 서로 겹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6)와 피복 전선(2)과의 강고한 결합이 달성되어 있다. 또, 제1 편부(43)의 전부가 피복부(3)로 파고 들어가 있어도 괜찮다.
이상이, 압접 커넥터(1)의 개략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압접 커넥터(1)에 피복 전선(2)을 접속할 때에는, 피복 전선(2)은, 콘택트(6)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 사이에 삽입됨과 아울러, 압접부(37, 38)에 의해 꽉 눌려진다. 이것에 의해,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은, 압접부(37, 38)의 압접 칼날(41, 42)에 의해서 절단되어, 피복 전선(2)의 심선부(4)과 압접 칼날(41, 42)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피복 전선(2)과 압접 커넥터(1)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다음으로, 코킹부(39)의 제1 편부(43)는, 도 8에 나타내는 코킹용 펀치(50)에 의해 휨 변형됨으로써,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에 가압된다. 또, 코킹부(39)의 제2 편부(44)는, 코킹용 펀치(50)에 의해 휨 변형됨으로써, 제1 편부(43)의 일부와 서로 겹쳐져, 제1 편부(43)의 선단부가 들뜨도록 변위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6)의 코킹부(39)와 피복 전선(2)의 일단부와의 결합이 완료한다.
또, 코킹용 펀치(50)는, 콘택트(6)의 코킹부(39)에 코킹 가공을 실시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코킹용 펀치(50)는, 각 콘택트(6)에 대응하여 복수 마련되어 있다(도 8에서는, 3개의 코킹용 펀치(50)를 도시). 코킹용 펀치(50)는, 대응하는 콘택트(6)의 코킹부(39)와 두께 방향(Z1)으로 늘어서 배치된다. 각 코킹용 펀치(50)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오목부(50a, 50b)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오목부(50a, 50b)는, 코킹부(39)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를 소성 변형시키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오목부(50a, 50b)는, 각각, 대응하는 콘택트(6)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와 두께 방향(Z1)으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있으며, 움푹 패인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방향(X1)을 따라서 보아, 한 쌍의 오목부(50a, 50b)는, 각각,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편부(43)에 대응하는 일방의 오목부(50a)의 위치는, 제2 편부(44)에 대응하는 타방의 오목부(50b)의 위치와 비교하여, 콘택트(6)에 가까운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코킹용 펀치(50)가 코킹부(39)에 코킹 가공을 실시할 때, 일방의 오목부(50a)가 제1 편부(43)에 접촉한 후, 타방의 오목부(50b)가 제2 편부(44)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 중, 제1 편부(43)가 먼저 휨 변형되어, 피복 전선(2)에 코킹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압접 커넥터(1)에 따르면, 콘택트(6)에 피복 전선(2)이 접속된 경우에, 콘택트(6)의 코킹부(39)의 제2 편부(44)는, 해당 코킹부(39)의 제1 편부(43)와 겹쳐진다. 따라서, 제1 편부(43)의 선단부를 들뜨게 하도록 하는 힘(F1)이 피복 전선(2)으로부터 제1 편부(43)에 작용한 경우에, 제2 편부(44)는, 이 힘(F1)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힘(F1)이 큰 경우에도, 콘택트(6)는, 제1 편부(43)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제1 편부(43)를 피복 전선(2)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43)와 피복 전선(2)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코킹부(39)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콘택트(6)가 하우징(5)에 조립된 후에 해당 콘택트(6)에 피복 전선(2)이 코킹되는 압접 커넥터(1)에서는, 코킹부(39)의 근처에 하우징(5)(특히 천벽(17))이 존재하고 있는 결과, 코킹부(39)와 피복 전선(2)을 상하에 끼우도록 코킹용 펀치(50)를 배치할 수 없다. 이 경우, 제1 편부(43)를 피복 전선(2)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43)와 피복 전선(2)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편부(43)와 제2 편부(44)와의 서로 겹침에 의해, 코킹부(39)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접 커넥터(1)에 있어서, 피복 전선(2)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 압접 커넥터(1)에 의하면, 콘택트(6)의 제1 측부(32)와 제2 측부(33)와 저부(3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피복 전선(2)의 일단부가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킹부(39)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와, 저부(31)에 의해서, 피복 전선(2)을 콘택트(6)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압접 커넥터(1)에 의하면, 콘택트(6)의 저부(31)는, 하우징(5)의 천벽(17)에 받아 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저부(31), 및, 해당 저부(3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킹부(39)를, 하우징(5)에 의해서 보호할 수 있다. 또, 제2 개구부(22) 및 제3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들 개구부(22, 23)를 통과하여, 피복 전선(2)을 콘택트(6)에 삽입할 수 있다.
또, 압접 커넥터(1)에 의하면, 제1 편부(43)의 선단부측의 일부는, 피복 전선(2)의 피복부(3)로 파고 들어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편부(43)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해도 괜찮다.
(1)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편부(43)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와, 제2 편부(44)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동일한 형태를 예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것이 아니라도 괜찮다. 또,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과 다른 구성을 주로 설명하고,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편부(43A)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1A)와, 제2 편부(44)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2)가 다르게 되어도 괜찮다. 이 경우의 길이(L1A)는, 제1 편부(43A)의 내측면을 따른 해당 제1 편부(43)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제1 편부(43A)의 길이(L1A)는, 제2 편부(44)가 길이(L2) 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제1 편부(43A)의 길이(L1A)는, 해당 제1 편부(43A)가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에 코킹되는 것이 가능한 길이이면 괜찮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제1 편부(43A)와 제2 편부(44)가 서로 겹쳐졌을 때에, 제1 편부(43A)의 선단부가 제2 편부(44)에 걸려 버리는 현상과, 제2 편부(44)의 선단부가 제1 편부(43)에 걸려 버리는 현상이 동시에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의 걸림 현상에 기인하여 제1 편부(43A)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1 편부(43A)의 길이(L1A)가 제2 편부(44)가 길이(L2) 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편부(43A)의 선단부는, 보다 확실히 피복 전선(2)으로 파고 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편부(43A)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력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2) 또, 상술의 변형예에서는, 제1 편부(43A)가 길이(L1A)<제2 편부(44)의 길이(L2)인 형태를 예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제1 편부의 길이>제2 편부의 길이라도 괜찮다.
(3)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측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접속된 형태, 즉, 보드ㆍ투ㆍ와이어(board to wire) 타입의 접속 형태를 예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것이 아니라도 괜찮다. 예를 들면, 상대측 커넥터가 피복 전선에 접속된 형태, 즉, 와이어ㆍ투ㆍ와이어 타입의 접속 형태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도 괜찮다.
본 발명은,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 압접 커넥터 2 : 피복 전선
3 : 피복부 4 : 심선부
5 : 하우징 6 : 콘택트
15 : 관통 구멍부(수용부) 17 : 천벽(벽부)
22, 23 : 개구부 31 : 저부(연결부)
32 : 제1 측부 33 : 제2 측부
39 : 코킹부 41, 42 : 압접 칼날
43 : 제1 편부 44 : 제2 편부
X1 : 길이 방향 Y1 : 폭 방향(병렬 방향)

Claims (7)

  1. 심선부(芯線部)를 피복부에 의해 피복한 구성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접속되며, 상대측 커넥터에 떼어냄 가능하게 접속되는 압접 커넥터로서,
    소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콘택트(contact)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를 접촉 지지하는 접촉부와, 상기 하우징의 저벽에 삽입되는 빠짐 방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저벽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피복부를 절단하기 위한 압접 칼날과, 상기 피복부에 코킹(caulking)되는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병렬 방향으로 마주 보는 한 쌍의 편부(片部)로서의 제1 편부 및 제2 편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편부는, 휨 변형됨으로써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편부는, 휨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편부를 지지하는 제1 측부와, 상기 제2 편부를 지지하는 제2 측부와,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피복 전선의 일부를 배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를 받아 들이는 벽부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압접 칼날,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코킹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편부의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와, 상기 제2 편부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편부의 상기 길이는, 상기 제2 편부의 상기 길이 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압접 커넥터와,
    상기 콘택트에 접속된 피복 전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편부는,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편부는,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로 파고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KR1020140095824A 2013-08-09 2014-07-28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KR101801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6420A JP6282818B2 (ja) 2013-08-09 2013-08-09 圧接コネクタ、および、電線付き圧接コネクタ
JPJP-P-2013-166420 2013-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88A KR20150018388A (ko) 2015-02-23
KR101801439B1 true KR101801439B1 (ko) 2017-11-24

Family

ID=5254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824A KR101801439B1 (ko) 2013-08-09 2014-07-28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82818B2 (ko)
KR (1) KR1018014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554A (ja) * 1999-06-08 2000-12-19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2170604A (ja) * 2000-11-29 2002-06-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端子
JP2006147223A (ja) 2004-11-17 2006-06-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電線の端末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構造を有する端子付きシールド電線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0044996A (ja) * 2008-08-18 2010-02-2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及び電線への端子金具の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9529B1 (de) * 1998-05-22 2005-07-0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baueinheit
JP2000150103A (ja) * 1998-11-12 2000-05-30 Harness Syst Tech Res Ltd 圧接金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554A (ja) * 1999-06-08 2000-12-19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2170604A (ja) * 2000-11-29 2002-06-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端子
JP2006147223A (ja) 2004-11-17 2006-06-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電線の端末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構造を有する端子付きシールド電線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0044996A (ja) * 2008-08-18 2010-02-2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及び電線への端子金具の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88A (ko) 2015-02-23
JP6282818B2 (ja) 2018-02-21
JP2015035368A (ja)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608B1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JP4440160B2 (ja) コネクタ
KR101110148B1 (ko) 압접형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 커넥터
US20150280341A1 (en) Female terminal
JP2008192369A (ja) コネクタ
JP2010277861A (ja) モジュラープラグ
KR20020046189A (ko) 전기 커넥터
KR101588098B1 (ko) 회로체 및 커넥터 구조
JP4883726B2 (ja) モジュラープラグ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US20060116020A1 (en) Electric connector
KR101712242B1 (ko) 압접 커넥터,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및, 압접 커넥터와 피복 전선과의 접속 방법
KR101801439B1 (ko)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US9590328B2 (en) Peg press-fitting structure for connector
JP4102295B2 (ja) 同軸ケーブル用ピアシング端子
JP5223817B2 (ja) 圧接コネクタ
JP6013105B2 (ja) コネクタ
JP6651393B2 (ja) 圧接コンタクト及び圧接コネクタ
JP2006172738A (ja) プラグコネクタ、プラグコンタクト、及びプラグ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H11121108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591655B1 (ko)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JPH115421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6283784B1 (en) Press-contact terminal fitting
JP2006210158A (ja) 電気接続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2001167834A (ja) 端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