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303B1 - 안정한 비타민 b6 유도체 - Google Patents

안정한 비타민 b6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303B1
KR101073303B1 KR1020067006209A KR20067006209A KR101073303B1 KR 101073303 B1 KR101073303 B1 KR 101073303B1 KR 1020067006209 A KR1020067006209 A KR 1020067006209A KR 20067006209 A KR20067006209 A KR 20067006209A KR 101073303 B1 KR101073303 B1 KR 10107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pyridoxine
glucoside
vita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230A (ko
Inventor
게이지 사카모토
고이치 와다
하지메 이토
노부히로 다케
히로시 모리모토
후미오 마니와
유키코 심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파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파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파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2Muscle relaxants, e.g. for tetanus or c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61P5/16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for decreasing, blocking or antagonising the activity of the thyroid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553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F9/576Six-membered rings
    • C07F9/58Pyridin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2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s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Diabet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ddic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Ⅰ:
[화학식 Ⅰ]
Figure 112006022368810-pct00034
(화학식 중, R1은 글리코실기, 인산기, 또는 R2와 결합한 환상 인산기를 나타내고; R2는 -CH2OH, -CHO, -CH2NH2, -CH2-아미노산 잔기, 또는 -CH2-OPO2H를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PO3H2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및 상기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의약, 식품 및/또는 사료를 위한 조성물.
비타민 B6 유도체, 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Description

안정한 비타민 B6 유도체{Stable vitamin B6 derivative}
본 발명은, 안정한 비타민 B6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피리독신, 피리독살 및 피리독사민은 모두 비타민 B6 작용을 갖는 물질로서, 각각의 5'번 위치의 인산에스테르인 피리독신 5'-인산, 피리독살 5'-인산 및 피리독사민 5'-인산과 모두 비타민 B6군으로 불리우고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체내에서 피리독살 5'-인산으로 대사(代謝)되어,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보효소(coenzyme)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피리독신 및 그의 염산염은, 빛에 대하여 매우 불안정한 것이 알려져 있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및 피리독살 5'-인산도 마찬가지로 빛에 대하여 불안정하다. 이 때문에, 광안정성(光安定性)을 향상시킨 비타민 B6군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비타민 B6를 배당화(glycosylation)한 비타민 B6 배당체(glycoside)가 몇개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피리독신 5'-β-D-글루코시드는 식물체 내에 존재하지만, 그 광안정성에 대한 보고는 없다. 4' 또는 5'번 위치가 배당화된 비타민 B6 배당체(피리독신 4'-α-D-글루코시드, 피리독신 5'-α-D-글루코시드)가 효소적으로 합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J. Vitaminol., 15, pp.160-166, 1969 및 Methods in Enzymology, 280, pp.66-71, 1997). 피리독신 4'-α-D-글루코시드, 피리독신 5'-α-D-글루코시드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염산피리독신에 비해, 이들의 물질이 제제 중에서 50℃에서의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65316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65368호 공보). 광안정성에 대해서는, 자외선 램프 조사시험에 있어서, 피리독신 4'-α-D-글루코시드와 피리독신 5'-α-D-글루코시드의 혼합물의 광안정성이 염산피리독신보다 향상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예를 들면, J. Vitaminol., 17, pp.121-124, 1971), 그 안정성은 실용에 충분하지 않다. 또한, 종래, 비타민 B6의 3번 위치를 배당화 및 인산에스테르화한 화합물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비타민 B6는, 붕산의 첨가(비타민, 22, 138-141(1961)) 또는 당알코올류의 첨가(일본국 특허공개 제(평)07-20664 공보)에 의해 광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효과는 충분하지 않고, 또한 붕산이나 당알코올류의 첨가에 의해 용도가 한정된다고 하는 난점이 있었다.
비타민 B6를 다른 비타민과 혼합한 경우에는, 다른 비타민의 분해가 촉진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판토텐산칼슘과 비타민 B6를 혼합하여, 40℃, 75% RH로 보존하면, 판토텐산칼슘의 분해가 촉진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가정약연구, 54(5), 54-58(1986))붕산이 첨가된 수용액 중에서는, 비타민 B6와 판토텐산류가 모두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일본국 특허공개 제(평)05-17355 공보), 그 효과는 충분하지 않고, 또한, 붕산의 첨가에 의해 용도가 한정된다고 하는 난점이 있었다.
비타민 B6는 생체 중의 단백의 대사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비타민으로서, 지방의 대사에도 보효소로서 작용하여, 부족하면 피부의 염증, 종창(swelling), 탈모 등을 일으킨다(프래그란스 저널, 17(3), 96-100(1986),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65368 공보), 피부외용제로서는, 종래부터 염산피리독신 등의 비타민 B6 유도체를 배합한 외용제가 피부 거칠어짐, 여드름, 햇볕에 그을림, 눈에 그을림에 의한 달아오름의 경감, 염증에 의한 가려움, 건성 지루에 의한 비듬의 치료나 예방 등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어 왔던 비타민 B6 유도체는 빛에 의한 안정성이 좋지 않고, 그 분해물에 피부 자극이 인정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피부외용제에 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도 비타민 B6로서의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비타민 B6 및 그 유도체의 불안정, 특히 빛에 대한 불안정은 실용상의 장애가 되고 있다. 빛에 대하여 안정한 비타민 B6 유도체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용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안정한 비타민 B6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빛에 대한 안정성을 개선한 비타민 B6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비타민 B6의 3번 위치를 배당화 및 인산 또는 황산에스테르화한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타민 B6 유도체(이하, 「비타민 B6 유도체」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가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고, 특히 빛에 대한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더욱 연구를 행하여, 상기 비타민 B6 유도체의 제조용 중간체로서 유용한 신규 화합물 및 상기 제조용 중간체를 사용한 상기 비타민 B6 유도체의 효율적인 제조방법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비타민 B6 유도체가 의약, 식품, 사료 및 화장료 등의 조성물 중에 있어서도 안정하게 존재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 및 상기 조성물 중의 다른 비타민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비타민 B6 유도체가, 특히 미백효과, 노화방지효과 및 주름 억제효과 등에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토대로 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해, 하기의 화학식 Ⅰ:
Figure 112006022368810-pct00001
(화학식 중, R1 글리코실기, 인산기, 또는 R2와 결합한 환상(環狀) 인산기를 나타내고; R2는 -CH2OH, -CHO, -CH2NH2, -CH2-아미노산 잔기(殘基), 또는 -CH2-OPO2H를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PO3H2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제공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해, 상기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용 중간체로서 유용한 하기의 화학식 Ⅳ:
Figure 112006022368810-pct00002
(화학식 중, R4는 -CH2OH, -CHO, 또는 -CH2NH2를 나타내거나, 또는 보호기로 보호된 상태의 -CH2OH, -CHO, 또는 -CH2NH2를 나타내고; R5는 수소원자, 수소기의 보호기, 또는 인산기 또는 보호된 인산기를 나타내며; R6는 보호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글리코실기 또는 보호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인산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해, 상기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으로서, 화학식 Ⅱ:
Figure 112006022368810-pct00003
(화학식 중, R4는 -CH2OH, -CHO, 또는 -CH2NH2를 나타내거나, 또는 보호기로 보호된 상태의 -CH2OH, -CHO, 또는 -CH2NH2를 나타내고; R5는 수소원자, 수소기의 보호기, 또는 인산기 또는 보호된 인산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과 하기 화학식 Ⅲ:
Figure 112006022368810-pct00004
(화학식 중, R6는 보호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글리코실기를 나타내고, X는 이탈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공정 및 필요에 따라 상기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탈보호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하기 화학식 Ⅴ:
Figure 112006022368810-pct00005
(화학식 중, R7은 글리코실기, 인산기, 황산기, 또는 R8과 결합한 환상 인산기를 나타내고; R8은 -CH2OH, -CHO, -CH2NH2, -CH2-아미노산 잔기, 또는 -CH2-OPO2H를 나타내 며; R9은 수소원자 또는 -PO3H2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의약, 식품 및/또는 사료를 위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추가로,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화장료, 의약, 식품 및/또는 사료를 위한 조성물 중에 첨가하여, 상기 조성물 중의 비타민을 안정화하는 방법 및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과 적어도 1종류의 비타민을 포함하고, 상기 비타민의 안정성이 높여진 화장료, 의약, 식품 및/또는 사료를 위한 조성물도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이들에 더하여, 미백제, 노화방지제 및/또는 자외선 폭로(暴露)에 의한 주름형성의 억제제인 상기 화장료를 위한 조성물; (A)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B) 미백제, 산화방지제, 소염제, 혈행촉진제, 세포부활제 및 자외선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위한 조성물로서, 미백제, 노화방지제 및/또는 자외선 폭로에 의한 주름 형성의 억제제로서 사용하는 조성물; 및 (A)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B) 알부틴(arbutin)을 함유하는 미백제도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를, PN·HCl은 염산피리독신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열안정성을 나타낸다.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를, PN·HCl은 염산피리독신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3-β-G·HCl은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을, PL-3-β-G는 피리독살 3-β-D-글루코시드, PM-3-β-G는 피리독사민 3-β-D-글루코시드, PN-3-β-Gal은 피리독신 3-β-D-갈락토시드, PN·HCl은 염산피리독신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열안정성을 나타낸다. PN-3-β-G·HCl은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을, PL-3-β-G는 피리독살 3-β-D-글루코시드, PM-3-β-G는 피리독사민 3-β-D-글루코시드, PN-3-β-Gal은 피리독신 3-β-D-갈락토시드, PN·HCl은 염산피리독신, PL·HCl은 피리독살 염산염, PM·2HCl·H2O는 피리독사민 염산염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Ser-PN-3-β-G는 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β-D-글루코시드를, PN·HCl은 염산피리독신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을, PN-3-P는 피리독신 3-인산이나트륨을, PN·HCl은 염산피리독신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3,4'-cP-Mg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마그네슘을, PN·HCl은 염산피리독신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3-α-G는 피리독신 3-α-글루코시드를, PN·HCl은 염산피리독신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3-S는 피리독신 3-황산 나트륨을, PN·HCl은 염산피리독신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열안정성을 나타낸다.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를,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을, PN·HCl은 염산피리독신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로션 중에서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HCl은 염산피리독신,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PN-3-β-G·HCl은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 PN-3-S는 피리독신 3-황산나트륨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로션 중에서의 열안정성을 나타낸다. PN·HCl은 염산피리독신,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PN-3-β-G·HCl은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샴푸 중에서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HCl은 염산피리독신,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PN-3-β-G·HCl은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샴푸 중에서의 열안정성을 나타낸다. PN·HCl은 염산피리독신,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PN-3-β-G·HCl은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안약 중에서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HCl은 염산피리독신,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PN-3-β-G·HCl은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음료수 중에서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HCl은 염산피리독신,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PN-3-β-G·HCl은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도그 푸드 중에서의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PN·HCl은 염산피리독신,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PN-3-β-G·HCl은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판토텐산칼슘과 혼합한 경우의 판토텐산칼슘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도면 중, PN·HCl은 염산피리독신과 혼합한 판토텐산칼슘 잔존량,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와 혼합한 판토텐산칼슘 잔존량,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과 혼합한 판토텐산칼슘 잔존량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판토텐산칼슘과 혼합한 수용액에서의 판토텐산칼슘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도면 중, PN·HCl은 염산피리독신과 혼합한 판토텐산칼슘 잔존량,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와 혼합한 판토텐산칼슘 잔존 량, PN-3,4'-cP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과 혼합한 판토텐산칼슘 잔존량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알부틴으로 되는 조성물의 상승(相乘) 미백효과를 나타낸다. PN-3-β-G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피부 노화 그레이드 외관평가(10주 후)를 나타낸다. PN-3-β-G·HCl은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을, DETAPAC 디에틸렌트리아민 5초산5나트륨액을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R1은 글리코실기, 인산기, 또는 R2와 결합한 환상 인산기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글리코실기」란 당화합물의 1번 위치(프룩토오스(fructose)의 경우에는 2번 위치)의 수산기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잔기를 의미한다. R1이 나타내는 글리코실기와 피리딘 고리와의 에테르 결합의 아노머(anomer)형은 α 또는 β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는 양자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글리코실기를 구성하는 당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당, 이당, 삼당 또는 사당 이상의 올리고당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당화합물의 입체에 관해서는, D- 또는 L-, 또는 혼합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글리코실기를 구성하는 당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D-글루코오스, L-글루코오스, D-갈락토오스, L-갈락토오스, D-만노오스, L-만노오스, D-프룩토오스, L-프룩토오스, D-리보오스, L-리보오스, D-크실로오스, L-크실로오스, D-아라비노오스, L-아바리노오스, D-탈로스(D-talose), L-탈로스, D-릭소오스(D-lyxose), L-릭소오스, D-알로오스(D-allose), L-알로오스, D-알트로오스(D-altrose), L-알트로오스, D-굴로오스(D-gulose), L-굴로오스, D-이도오스(D-idose), L-이도오스, D-퀴노보오스(D-quinovose), L-퀴노보오스, D-람노오스, L-람노오스, D-푸코오스, L-푸코오스, 말토오스, 셀로비오스(celloviose), 락토오스 또는 말토트리오스(maltotrios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D-글루코오스, D-갈락토오스가 바람직하다.
R1이 나타내는 인산기는, 모노인산, 피로인산(pyrophosphoric acid), 트리폴리인산 등의 쇄상(鎖狀) 에스테르체, 모노인산, 피로인산, 트리폴리인산 등의 R2와의 환상 에스테르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는 양자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R2는 -CH2OH, -CHO, -CH2NH2, -CH2-아미노산 잔기, 또는 -CH2-OPO2H를 나타낸다. R2가 나타내는 -CH2-아미노산 잔기는, 아미노산의 아미노 말단이 -CH2-에 결합된 기를 의미한다. 아미노산의 부제(不齊) 탄소원자가 존재하는 경우는, 광학활성체, 또는 라세미체(racemic body)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아미노산기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산, 호모시스테인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leucine),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tryptophan), 트레오닌(threonine), 세린, 호모세린, 티로신(tyrosine), 시스테인, 메티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등의 중성 아미노산, 리신, 오르니틴(ornitin), 아르기닌, 히스티딘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L-세린이 바람직하다.
R4, R5 및 R6에 있어서의 보호기는 당업자에게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산기, 아미노기, 알데히드기 등에 적합한 보호기 및 그의 도입방법 및 이탈방법은, 예를 들면, 세오도라 ·W.·그린(Theodora W. Green)등편 「프로텍티브·그룹스·인·오가닉·신테시즈」(John Wiley & Sons, Inc., 1999), 「핸드북·오브·리에이젠츠·포·오가닉·신테시스」(전 4권, John Wiley & Sons, Inc., 1999) 등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는 목적으로 하는 보호기를 선택하여, 용이하게 보호기의 도입 및 이탈을 행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Ⅰ 또는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염, 또는 메탄설폰산염, 벤젠설폰산염, 파라톨루엔설폰산염, 초산염, 프로피온산염, 주석산염(酒石酸鹽), 푸마르산염, 말레산염, 말산염, 옥살산염 , 숙신산염, 구연산염, 안식향산염, 만델산염, 계피산염, 유산염 등의 유기산염을 들 수 있다. 산성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 메틸암모늄염, 디메틸암모늄염, 트리메틸암모늄염, 디시클로헥실암모늄염 등의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글리신 등의 아미노산과 염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화학식 Ⅰ 또는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로서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화학식 Ⅰ 또는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 이상 의 부제탄소를 갖기 때문에, 광학활성체나 부분입체 이성질체(diastereomer) 등의 입체이성체(stereoisomer)로서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순수한 형태의 입체이성체, 광학대장체(optical antipode)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임의의 혼합물, 라세미체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피리독신 3-β-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α-글루코시드
피리독사민 3-β-글루코시드
피리독사민 3-α-글루코시드
피리독살 3-β-글루코시드
피리독살 3-α-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β-갈락토시드
피리독신 3-α-갈락토시드
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β-글루코시드
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α-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인산
피리독신 3,4'-환상 인산
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의 D-이성체를 더욱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 다. 단,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들의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배당체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의 반응식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스킴(scheme) 중의 R1, R2, R3, R4, R5, R6 및 X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지만, 하기 반응식은 1 또는 2 이상의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여(공정 A), 상기 보호기를 공정 B에 의해 이탈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따라서, R4, R5 및 R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 중 적어도 하나는 보호기를 갖는다). 공정 B에 있어서의 탈보호는, 보호기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보호기를 이탈하는 공정, 또는 모든 보호기를 동시에 이탈하는 공정 등에 의해 행해진다. 단,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범위는,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06
먼저,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글리실화 반응처리하여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때, 활성화제를 사용해도, 또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α45-디-O-아세틸피리독신이나 α45-디-O-벤조일피리독신은, W. Korytnyk 등이 기술하고 있는 방법(J. Org. Chem., 32, 3791-3796, 1967)으로, 예를 들면, α45-O-이소프로필리덴피리독신은 미즈노 등이 기술하고 있는 방법(비타민, 49, 395-401, 1975)으로, 예를 들면, 피리독살 모노에틸아세탈은 D. Heyl 등이 기술하고 있는 방법(J. Am. Chem. Soc., 73, 3430-3439, 1951)으로 얻을 수 있다.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R4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보호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기, 벤조일기, 벤질기, tert-부틸디메틸실릴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이소프로필리덴기, 또는 이소부틸리덴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R4에 있어서의 포르밀기(formyl group)의 보호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기 또는 환상 아세탈기 등을 들 수 있고, R4에 있어서의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기, 벤조일기, 벤질기, 또는 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R5로서는, 수소원자, 수산기의 보호기(예를 들면, 아세틸기, 벤조일기, 벤질기, tert-부틸디메틸실릴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이소프로필리덴기, 또는 이소부틸리덴기 등), 또는 인산 또는 보호된 인산(예를 들면, 인산디에틸, 인산디-tert-부틸, 또는 인산디벤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4 및 R5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한 보호기를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면, R4 및 R5가 서로 결합한 보호기로서 이소프로필리덴기, 이소부틸리덴기, 모노메틸아세탈기, 또는 모노에틸아세탈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당화합물의 1번 위치(프룩토오스의 경우에는 2번 위치)의 수산기가 X로 치환된 화합물로서, 다른 수산기는 일부 또는 전부가 보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부가 보호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화합물은, 예를 들면, 실험화학강좌 26, 제4판, 유기합성 Ⅷ(일본화학회편, 마루젠, 1992), 세오도라 ·W.·그린(Theodora W. Green)등편 「프로텍티브·그룹스·인·오가닉·신테시즈」(John Wiley & Sons, Inc., 1999) 등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수산기의 보호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로서 통상 이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모든 보호기가 동일해도 되지만,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종류의 보호기여도 된다. 또한, 수산기의 보호기는 다른 보호기와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수산기의 보호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기, 벤조일기, 또는 벤질기 등이 바람직하다.
X가 나타내는 이탈기는 글리코실 결합 생성반응(즉,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페놀성 수산기와의 치환반응)에 있어서 이탈되는 것이라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수산기, 아세틸옥시기 등의 알카노일옥시기, 요오드, 염소, 브롬, 불소 등의 할로겐원자,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기, N-메틸아세트이미데이트기, 티오메틸기, 티오페닐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당화합물로서는 R1에 대해서 설명한 당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한쪽이 과잉일 지라도 지장은 없지만, 예를 들면,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몰비가 0.01~100의 범위에서 반응을 행할 수 있고, 0.5~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의 활성화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촉매량에서 대과잉량까지, 활성화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사용량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적은 쪽의 당량에 대하여, 0.01~100 당량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활성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브롬화수은(HgBr2), 시안화수은(Hg(CN)2),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은(AgOSO2CF3), 과염소산은(AgClO4), 탄산은(Ag2CO3), 산화은(Ag2O), 규산은, 은제올라이트, 4플루오르화붕산은(AgBF4), p-톨루엔설폰산은(P-MeC6H5SO3Ag), 테트라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Et4NBr),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n-Bu4NBr), p-톨루엔설폰산(p-TsOH), 염화주석(Ⅱ)(SnCl2), 염화주석(Ⅳ)(SnCl4), 트리메틸실릴트리플레이트(Me3SiOSO2CF3), 3플루오르화붕소에테르 착체(錯體)(BFOEt2), 4플루오르화규소(SiF4), 메틸트리플레이트(CH3OSO2CF3), 브롬화구리(Ⅱ)(CuBr2), N-브롬숙신산이미드(NBS), N-요오드숙신산이미드(NIS),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CF3SO3H), 이오도늄디콜리딘 과염소산염(IDCP), 무수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CF3SO2)2O), 디메틸메틸티오설포늄트리플레이트(CH3SS+(CH3)2·CF3SO3 -), 염화벤젠셀레네닐(C6H5SeCl), 메틸티오 브로마이드 (CH3SBr), 또는 과염소산트리틸(TrClO4)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산은, 산화은, 과염소산은,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은 등이 사용된다. 2종류 이상의 활성화제를 조합시켜 사용해도 된다.
반응용매의 종류는, 반응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고, 원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료와 같은 양에서 100배 정도의 반응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5배에서 20배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염화메틸렌(CH2Cl2), 클로로포름(CHCl3), 디클로로에탄(ClCH2CH2Cl), 벤젠,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또는 니트로메탄(CH3NO2)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화메틸렌 또는 톨루엔 등이 사용된다. 2종류 이상의 유기용매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반응온도는, 통상은 -100~15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100℃의 범위이다. 반응시간은 사용하는 원료,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1~72시간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2~24시간이다.
이어서,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존재하는 1 또는 2 이상의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기가 아세틸기인 경우는,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해 탈아세틸화할 수 있다. 가수분해에 사용하는 염기로서는, 통상의 반응에 있어서 염기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소화나트륨, 수소화리튬, 또는 암모니아수 등을 들 수 있고, 바 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용매로서는, 반응의 진행은 방해하지 않고, 원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등), DMF, DMAc,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물,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코올류,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반응온도는, 통상은 -20~1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반응시간은 사용하는 원료,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5분~36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0분~16시간이다.
예를 들면, 보호기가 벤질기인 경우는, 수소첨가에 의해 탈벤질화할 수 있다. 수소화 촉매로서 팔라듐 탄소 또는 백금 등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팔라듐 탄소이다. 반응용매로서는, 촉매독(觸媒毒)이 되지 않는 불활성의 유기용매라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등), DMF, DMAc, 초산,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초산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통상은 0~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반응시간은 사용하는 원료,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24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16시간이다.
예를 들면, 보호기가 이소부틸리덴기 또는 모노에틸아세탈기의 경우는, 산가수분해에 의해 탈아세탈화 또는 탈이소부틸리덴화할 수 있다. 가수분해에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통상의 반응에 있어서 산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염산, 브롬화수소수, 황산, 초산, 또는 p-톨루엔설폰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산 또는 초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용매로서는, 반응의 진행은 방해하지 않고, 원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등), DMF, DMAc,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물,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코올류,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반응온도는, 통상은 -20~1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반응시간은 사용하는 원료,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5분~36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0분~16시간이다.
추가로 목적에 따라, R4가 -CH2-아미노산 또는 -CH2NH2인 화학식 Ⅳ의 화합물은, R4가 -CHO인 화학식 Ⅳ의 화합물과 아미노산 또는 히드록실아민을 결합하여, 수소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아미노산은 N 말단 아미노기가 무치환(無置換)인 것이 바람직하고, C 말단의 카르복실기 및 측쇄(側鎖)의 관능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이 화합물은, 예를 들면, 이즈미야 노부오편 「펩티드 합성의 기초와 실험」(마루젠 가부시키가이샤, 1985)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축합은 염기 존재 하에서 행해도 된다. 사용하는 염기로서는, 통상의 반응에 있어서 염기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무기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탄산바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칼슘, 탄산바륨, 또는 초산나트륨 등이, 유기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디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아닐린, 피리딘, N-메틸몰포린, N-에틸피 페리딘, 루티딘, 콜리딘 또는 퀴놀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륨, 초산나트륨, 또는 트리에틸아민 등이 사용된다. 반응용매로서는, 반응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고, 원료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등), DMF, DMAc,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물,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코올류,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반응온도는, 통상은 -20~150℃이고, 바람직하게는 20~100℃이다. 반응시간은 사용하는 원료,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5분~72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0분~16시간이다.
수소첨가에 사용하는 수소화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팔라듐 탄소, 백금 등의 촉매, 또는 수소화제로서 NaBH4, NaBH3CN, NaBH(OMe)3 등의 수소화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팔라듐 탄소 또는 NaBH4이다. 반응용매로서는, 촉매독이 되지 않는 불활성의 유기 용매라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등), DMF, DMAc, 초산,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통상 0~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반응시간은 사용하는 원료,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24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16시간이다.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인산에스테르체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의 반응식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스킴 중의 R1, R2, R3, R4, R5 또는 R6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지만, 하기 반응식에는, 1 또는 2 이상의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여(공정 C), 상기 보호기를 공정 B에 의해 이탈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따라서, R4, R5 및 R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 중 적어도 하나는 보호기를 갖는다). 공정 B에 있어서 탈보호는, 보호기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보호기를 이탈하는 공정, 또는 모든 보호기를 동시에 이탈하는 공정 등에 의해 행해진다. 단,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범위는,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07
먼저,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인산화제를 인산화반응처리하여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한다.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α45-디-O-아세틸피리독신이나 α45-디-O-벤조일피리독신은, W. Korytnyk 등이 기술하고 있는 방법(J. Org. Chem., 32, 3791-3796, 1967)으로, 예를 들면, α45-O-이소프로필리덴피리독신은 미즈노 등이 서술하고 있는 방법(비타민, 49, 395-401, 1975)으로, 예를 들면, 피리독살 모노에틸아세탈은 D. Heyl 등이 기술하고 있는 방법(J. Am. Chem. Soc., 73, 3430-3439, 1951)으로 얻을 수 있다.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R4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보호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기, 벤조일기, 벤질기, tert-부틸디메틸실릴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이소프로필리덴기, 또는 이소부틸리덴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R4에 있어서의 포르밀기의 보호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기 또는 환상 아세탈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R4에 있어서의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기, 벤조일기, 벤질기 또는 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R5로서는, 수소원자, 수산기의 보호기(예를 들면, 아세틸기, 벤조일기, 벤질기, tert-부틸디메틸실릴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이소프로필리덴기, 또는 이소부틸리덴기 등), 또는 인산 또는 보호된 인산(예를 들면, 인산디에틸, 인산디-tert-부틸, 또는 인산디벤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4 및 R5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한 보호기를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면, R4 및 R5가 서로 결합한 보호기로서 이소프로필리덴기, 이소부틸리덴기, 모노메틸아세탈기 또는 모노에틸아세탈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인산화제의 비율은, 예를 들면,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하여 인산화제의 몰비가 1~20배 몰의 범위에서 반응을 행할 수 있고, 2~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옥시염화인, 옥시브롬화인, 옥시플루오르화인, 이염화인산, 염화인산, 브롬화인산, 인산, 폴리인산, 또는 테트라클로로피로인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옥시염화인 등이 사용된다.
염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무기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탄산바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산화칼슘, 산화바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인산이칼륨, 또는 인산삼칼륨 등이 사용된다. 유기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디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아닐린, 피리딘, N-메틸몰포린, N-에틸피페리딘, 루티딘, 콜리딘 또는 퀴놀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리딘 등이 사용된다.
반응용매의 종류는, 반응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고, 원료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피리딘, DMF, 물, 아세톤, 트리메틸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피리딘이다. 예를 들면, 반응온도는, 통상은 -20~10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50℃의 범위이다. 반응시간은, 사용하는 원료,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5분간~36시간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0분간~16시간이다.
이어서,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존재하는 1 또는 2 이상의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기가 아세틸기인 경우는,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해 탈아세틸화할 수 있다. 가수분해에 사용하는 염기로서는, 통상의 반응에 있어서 염기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소화나트륨, 수소화리튬, 또는 암모니아수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용매로서는, 반응의 진행은 방해하지 않고, 원료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등), DMF, DMAc,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물,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코올류,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반응온도는 통상은 -20~1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반응시간은 사용하는 원료,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5분~36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0분~16시간이다.
예를 들면, 보호기가 벤질기인 경우는, 수소첨가에 의해 탈벤질화할 수 있다. 수소화 촉매로서 팔라듐 탄소 또는 백금 등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팔라듐 탄소이다. 반응용매로서는, 촉매독이 되지 않는 불활성의 유기용매라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등), DMF, DMAc, 초산,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초산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통상 0~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반응시간은 사용하는 원료,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24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16시간이다.
또한, 예를 들면, 보호기가 모노에틸아세탈 또는 이소부틸리덴기의 경우는 산가수분해에 의해 탈아세탈화 또는 탈이소부틸리덴화할 수 있다. 가수분해에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통상의 반응에 있어서 산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염산, 브롬화수소수, 황산, 초산, 또는 p-톨루엔설폰산 등을 들 수 있 고, 바람직하게는 염산 또는 초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용매로서는, 반응의 진행은 방해하지 않고, 원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등), DMF, DMAc,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물,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코올류,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반응온도는 통상 -20~1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반응시간은 사용하는 원료,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5분~36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0분~16시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비타민 B6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비타민 B6 유도체의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 중의 다른 성분, 특히 다른 비타민류의 안정성이 개선되어 있어, 장기보존 후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B6 유도체 및 다른 성분의 함유량 저하가 경감되어 있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의약 조성물, 가공식품 등의 식품 조성물, 동물사료 등의 사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용도가 바람직하다. 의약 조성물에는 인간의 병의 예방,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외에, 이른바 의약부외품, 종합비타민제, 인간 이외의 포유류동물의 병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등이 포함된다. 의약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산제(散劑), 과립제, 세립제(細粒劑), 정제(錠劑)(예를 들면, 소정(素錠), 필름 코팅정, 박층 당의정(sugar-coated tablet), 당의정, 츄어블정, 이층정(二層錠) 등), 캡슐제, 분말 흡입제, 액제, 또는 건조 분말형태로 제공되는 용시(用時) 용해형의 주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가공식품에는 고형(固形)식품, 영양 드링크 등의 음료수, 식품첨가제 외에, 보조 영양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등의 건강식품 등이 포함된다. 화장료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파우더, 파운데이션, 로션, 샴푸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B6 유도체의 함유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조립(造粒)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예를 들면, 조립물 등의 형태의 성형물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고, 추가로 다른 조성물을 조제해도 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 가능하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의약 조성물이라면, 통상 사용되는 제제용(製劑用) 첨가물(예를 들면, 의약품 첨가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가공식품 등의 식품 조성물로는 식품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로는 화장료용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비타민 B6 유도체를 제외한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 지질, 당, 호르몬, 효소, 핵산 등의 생리활성물질, 닭가슴살, 소맥분, 미강(米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결합제로서, 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덱스트린, 플루란, α화전분, 호화전분 (pregelatinized starch), 아라비아고무, 젤라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에틸셀룰로오스, L-아라비노오스(arabinose), D-크실로오스, D-2-데옥시리보오스, D-리보오스, D-및 L-갈락토오스, D-글루코오스, D-만노오스, D-프룩토오스, L-소르보오스(L-sorbose), L-푸코오스, L-람노오스, D-글루코사민, D-소르비톨, D-만니톨, 갈락티톨, 에리스리톨, 셀로비오스, 겐티오비스(gentiobise), 이소말토오스, 코지비오스(kojibiose), 락토오스, 락티톨, 라미나리비오스(laminaribiose), 말토오스, 멜리비오스(melibiose), 니게로오스(nigerose), 소포로오스(sophorose), 수크로오스, 파라티노오스(parathinose), 트레할로오스(trehalose), 파라티니트, 덱스트린, 스테아르산 및 그의 유도체, 수크로오스지방산에스테르, 옥수수전분, 아스파르템(asparteme), 스테비아(stevia), 아세설팜(acesulfame), 사카린,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민아세테이트, 유당, 크실리톨, 말티톨, 분말 환원당 물엿, 아라비톨(arabitol), 리비톨(ribitol), 글루시톨, 콘플라워(cornflower), 소맥분, 미강, 면실박(cottonseed meal),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카세인, 글루텐, 카드란, 구아검(guar gum)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비타민 B6 유도체를 제외한 다른 성분은 무기염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식염, 탄산망간, 황산아연, 황산철, 헴철(Heme iron), 페리틴(ferritin), 인산 제2철, 숙신산 제1철, 푸마르산 제1철, 유산철, 피로인산 제2철, 피로인산 제1철, 삼이산화철, 구연산 제2철, 구연산 제1철 나트륨, 구연산 제2철 암모눔, 글루콘산 제1철, 염화 제2철, 초산아연, 글루콘산아연, 산화아연, 염화아연, 황화셀렌, 글루콘산동, 황산동, 염화동, 황산망간, 글리세로인산망간, 염화망간, 차아 인산망간, 글루콘산망간, 규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글루콘산마그네슘, 살리실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초산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Ⅱ), 인산마그네슘(Ⅲ), 탄산칼슘마그네슘, 소뼈가루, 생선뼈가루, 가리비껍질 분말, 굴껍질 분말, 조개껍질 분말, 달걀껍질 분말, 유청(乳淸) 칼슘, 글루콘산칼슘, 탄산칼슘, 제2 인산칼슘, 황산칼륨, 요오드화칼륨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추가로, 향료로서, 예를 들면, 박하오일, 유칼리오일, 계피오일, 회향오일, 클로브오일, 오렌지오일, 레몬오일, 로즈오일, 후루츠 플레이버(fruit flavor), 바나나 플레이버, 스트로베리 플레이버, 민트 플레이버, 페퍼민트 플레이버, dl-멘톨, 1-멘톨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교미제(矯味劑)로서, 구연산, 말산, 주석산, 아스코르빈산, 아스파르템, 스테비아, 사카린,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칼륨, 소마틴(thaumatin), 아세설팜을 들 수 있다. 단, 이들은 단순한 예시로서 든 것으로, 상기 성분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안정성이 우수한 비타민 B6 유도체로서, 특히 빛에 대하여 안정한 비타민 B6 유도체로서, 의약, 식품, 사료, 또는 화장료 등의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예를 들면, 의약으로서는, 비타민 B6 결핍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 또는 설염(glossitis), 위염, 눈·코·입 주위의 지루성 피부병변(皮膚病變), 또는 유아경련 등의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B6의 요구가 증대하여, 식사로부터의 섭취가 불충분한 경우, 예를 들면, 소모성 질환, 임산부, 수유부 등, 경구피임약 사용시, 갑상선기능항진, 방사선 조사, 만성 알코올중독, 항생물질의 투여 등의 시에 보급용 의약으로서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비타민 B6 의존성(의존성 빈혈 또는 의존성 경련 등)의 치료, 비타민 B6의 결핍 또는 대사 장애가 관여하고 있다고 생각되어지는 질환(예를 들면, 구각염(commissural cheilitis), 구순염, 설염, 급·만성 습진, 접촉피부염 등)의 치료에 유용하다.
또한, 식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청량음료수, 건강지향식품의 영양강화, 영양보조제(서플리먼트) 등의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각종 사료에 있어서 비타민 B6의 강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화장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두발화장품, 피부용 화장품 또는 면도용 화장품 등에 첨가할 수 있다. 단,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도는 이들의 구체적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예를 들면, (A) 상기의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B) 미백제, 산화방지제, 소염제, 혈행촉진제, 세포부활제 및 자외선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위한 조성물은, 미백제, 노화방지제, 및 자외선 폭로에 의한 주름 형성 억제제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비타민 B6 유도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01~2.0 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1.0 중량%이다. 이 범위의 함유량을 선택하면, 비타민 B6 유도체를 안정하게 배합할 수 있고, 또한 높은 미백효과, 노화방지제 및 자외선 폭 로에 의한 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제, 노화방지제 및 자외선 폭로에 의한 주름 형성 억제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료나 의약부외품, 외용의약품 등의 제제에 통상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물(정제수, 온천수, 심층수 등), 유제(油劑), 계면활성제, 금속비누, 겔화제, 분체(粉體), 알코올류, 수용성 고분자, 피막형성제, 수지, 포접(包接) 화합물, 항균제, 향료, 소취제, 염류, pH 조정제, 청량제, 식물·동물·미생물 유래의 추출물, 활성산소 제거제, 혈행촉진제, 수렴제(收斂劑), 항지루제, 보습제, 킬레이트제, 각질용해제, 효소, 호르몬류, 다른 비타민류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 1: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의 제조
a)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α45-디-O-아세틸피리독신
α45-디-O-아세틸피리독신 염산염(4.90 g 17.2 m㏖)에 CHCl3(150 ㎖)와 포화 NaHCO3 수용액(10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유기층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백색 고체(4.0 g), 2,3,4,6-테트라-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 브로마이 드(9.74 g 23.7 m㏖)를 CH2Cl2(70 ㎖)에 용해하고, 탄산은(4.36 g, 15.8 m㏖)을 첨가하여, 차광(遮光), 질소분위기 및 환류 하,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실리카겔; 600 g, n-헥산:초산에틸=1:2의 혼합용매로 용출)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표기 화합물(7.17 g, 수율 78%)을 얻었다.
융점: 89-93℃
비선광도(比旋光度) [α]D=-20°(c=0.2, CHCl3)
Figure 112006022368810-pct00008
b)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예 1-a의 화합물(7.10 g, 12.2 m㏖)을 메탄올(40 ㎖)과 물(20 ㎖)에 용해하여, 빙냉(氷冷) 교반 하, 수산화칼륨(3.38 g, 51.8 m㏖)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1 N 염산으로 중화하여, 감압 농축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SP850; 100 ㎖, 물로부터 20%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물(200 ㎖)에 용해하여, 활성탄(50% 습체(濕體), 150 ㎎)을 투입하여, 6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활성탄을 여과 분별 후, 물을 감압 증류 제거하여, 에탄올-물(10:1, 88 ㎖)로부터 재결정함으로써, 백색 결정의 표기 화합물(3.14 g, 수율 78%)을 얻었다. 이 화합물의 아노머형은, α-글루코시다아제(로슈사제, Saccharomyces cerevisiae 유래)에 의해 가수분해되지 않고, β-글루코 시다아제(오리엔탈 이스트사제, 아몬드 유래)에 의해 완전히 가수분해되어 피리독신이 유리(遊離)된 것으로부터, β형인 것이 확인되었다.
융점: 211-212℃
비선광도 [α]D=-6.0°(c=1.0, H2O),
Figure 112006022368810-pct00009
예 2: 피리독살 3-β-D-글루코시드의 제조
a)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피리독살 모노에틸아세탈
질소분위기 하에서 피리독살 모노에틸아세탈 염산염(11.0 g 47.5 m㏖)을 CH2Cl2(100 ㎖)에 현탁하고, 빙냉 하, 트리에틸아민(6.63 ㎖, 47.5 m㏖)을 첨가하여, 실온으로 승온 후, 2,3,4,6-테트라-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 브로마이드(23.4 g, 57.0 m㏖)를 첨가하였다. 반응용기를 차광 후, 탄산은(13.1 g, 47.5 m㏖)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한 후, 35℃에서 24시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액을 여과, 감압 농축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실리카겔; 600 g, n-Hexane:초산에틸=1:2의 혼합용매로 용출)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20.8 g, 84%)을 얻었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10
b)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피리독살
예 2-a)의 화합물(20.0 g, 38.1 m㏖)에 물(200 ㎖) 및 1 N 염산(38 ㎖)을 첨가하여, 환류 하,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 후, 포화중조수(200 ㎖)를 첨가하여, 초산에틸(300 ㎖)로 추출하였다. 무수 MgSO4 건조, 감압농축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실리카겔; 600 g, CHCl3:MeOH(메탄올)=50:1의 혼합용매로 용출)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10.8 g, 57.0%)을 얻었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11
c) 피리독살 3-β-D-글루코시드
예 2-b)의 화합물(2.0 g, 4.02 m㏖)을 MeOH(25 ㎖)와 물(3 ㎖)에 용해하여, 빙냉 교반 하, 수산화칼륨(262 ㎎, 4.02 m㏖)을 물(2 ㎖)에 용해한 것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TLC로 원료의 소실을 확인 후, 반응액을 1 N 염산으로 중화하여, 감압 농축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SP850; 100 ㎖, 물로부터 30% MeOH 수용액으로 용출)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물(200 ㎖)에 용해하여, 활성탄(50% 습체, 150 ㎎)을 투입하고, 6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활성탄을 여과 분별 후, 여액(濾液)을 동결 건조하여, 백색 무정형 분말의 표기 화합물(1.16 g, 88%)을 얻었다.
융점: 130~140℃
비선광도 [α]D=-38.4°(c=1.0, H2O)
Figure 112006022368810-pct00012
예 3: 피리독사민 3-β-D-글루코시드의 제조
a)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피리독살 옥심
예 2-b)의 화합물(6.0 g, 12.1 m㏖)을 물(200 ㎖)에 현탁하고, 초산나트륨(1.29 g, 15.7 m㏖)과 염화히드록실암모니아(1.26 g, 18.2 m㏖)을 첨가하여, 환류 하, 30분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 후, 초산에틸(300 ㎖)로 추출하여, 무수 MgSO4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고, 잔사에 디에틸에티르를 첨가하여, 석출(析出)된 고체를 여과하여 모아, 디에틸에테르로 세정 후, 감압 건조하여, 표기 화합물(5.49 g, 89%)을 얻었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13
b)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피리독사민
예 3-a)의 화합물(2.28 g, 4.41 m㏖)을 초산(60 ㎖)에 용해하여, 5% Pd-C(AD, 50% wet, 1.2 g)의 존재 하, 실온에서 1시간 접촉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여과 분별 후, 초산을 감압 증류 제거하여,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실리카겔; 50 g, CHCl3:MeOH:AcOH(초산)=10:1:0.01로 용출)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1.97 g, 90%)을 얻었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14
c) 피리독사민 3-β-D-글루코시드
예 3-b)의 화합물(1.90 g, 3.81 m㏖)을 메탄올(25 ㎖)과 물(3 ㎖)에 용해하고, 빙냉 교반 하, 수산화칼륨(498 ㎎, 7.62 m㏖)을 물(4 ㎖)에 용해한 것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원료의 소실을 확인 후, 6 N 염산으로 중화하여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물(50 ㎖)에 용해하여, 1 N 수산화나트륨으로 pH 10으로 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램(SP850; 100 ㎖, 물로부터 30% MeOH 수용액으로 용출)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물(200 ㎖)에 용해하여, 활성탄(50% 습체, 250 ㎎)을 첨가하여, 6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활성탄을 여과 분별 후, 여액을 동결 건조하여, 백색 무정형 분말의 표기 화합물(189 ㎎, 18%)을 얻었다.
융점: 205~212℃
비선광도 [α]D=-6.1°(c=1.0, H2O),
Figure 112006022368810-pct00015
예 4: 피리독신 3-β-D-갈락토시드의 제조
a) 3-(2,3,4,6-테트라-O-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실)-α45-디-O-아세틸-피리독 신
α45-디-O-아세틸피리독신 염산염(7.82 g, 27.0 m㏖)에 CHCl3(300 ㎖)와 포화 NaHCO3 수용액(20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유기층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백색 고체(11.4 g, 27.0 m㏖)와 2,3,4,6-테트라-O-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실 브로마이드를 CH2Cl2(60 ㎖)에 용해하고, 탄산은(6.70 g, 24.3 m㏖)을 첨가하여, 차광, 질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15시간, 환류 하, 7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분별 후,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실리카겔; 700 g, Hexane:초산에틸=1:3의 혼합용매로 용출)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표기 화합물(8.23 g, 58%)을 얻었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16
b) 피리독신 3-β-D-갈락토시드
예 4-a)의 화합물(8.20 g, 14.1 m㏖)을 메탄올(80 ㎖)에 용해 후, 빙냉 하, 수산화칼륨(5.99 g, 91.8 m㏖)을 물(20 ㎖)에 용해한 것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원료의 소실을 확인 후, 6 N 염산으로 중화하여, 감압 농축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SP850; 100 ㎖, 물로부터 15% MeOH 수용액으로 용출)으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물(400 ㎖)에 용해하고, 활성탄(50% 습체, 500 ㎎)을 첨가하여, 6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활성탄을 여과 분별 후, 물을 감압 증류 제거하여, 잔사를 에탄올-물(2:1)(150 ㎖)로부터 재결정함으로써 무색 침상(針狀) 결정의 표기 화합물(3.67 g, 79%)을 얻었다.
융점: 215℃ 이상
비선광도 [α]D=+4.5°(c=1.0, H2O)
Figure 112006022368810-pct00017
예 5: 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β-D-글루코시드의 제조
L-세린(1.06 g, 10.1 m㏖)을 MeOH(50 ㎖)에 현탁 교반하여, 50% 수산화칼륨(1.12 ㎖, 10 m㏖)을 첨가하여 용해하였다. 거기에 예 2-b)의 화합물(5.0 g, 10.1 m㏖)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5% Pd-C(AD, 50% wet, 5.0 g)의 존재 하, 실온에서 16시간 접촉 수소화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AcOH(1.2 ㎖)와 물(10 ㎖)을 첨가하여 용해하고, 촉매를 여과 분별 후,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잔사를 역상(逆相) 칼럼 크로마토그램(Chromatorex ODS-1020T;250 g, 물로 용출)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물(100 ㎖)에 용해하고, 활성탄(50% 습체, 500 ㎎)을 첨가하여, 6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활성탄을 여과 분별 후, 여액을 농축 건고(乾固)하였다. 얻어진 백색 고체를 90% 에탄올(100 ㎖)로 재결정하여, 백색 결정의 표기 화합물(2.38 g, 56.9%)을 얻었다.
융점: 165~175℃
비선광도 [α]D=+8.8°(c=1.0, H2O)
Figure 112006022368810-pct00018
예 6: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의 제조
a) 3-포스포릴-α45-디-O-아세틸피리독신
α45-디-O-아세틸피리독신 염산염(33.3 g, 131 m㏖)을 피리딘(350 ㎖)에 용해하여, 수냉 하에서 옥시염화인(61.3 ㎖, 657 m㏖)의 피리딘(150 ㎖) 용액을 1.5시간에 걸쳐서 적하하였다. 1시간 교반을 계속한 후, 40℃로 승온하여,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에 빙냉 하, 아세토니트릴(100 ㎖) 및 물(400 ㎖)을 첨가하여 1.5시간 교반하였다. 28%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7.0으로 한 후, 감암 농축하고,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실리카겔 250 g, CHCl3:MeOH=10:1→5:1의 혼합용매로 용출)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25.6 g, 59%)을 얻었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19
b) 피리독신 3,4'-환상 인산
예 6-a)의 화합물(25.6 g, 76.8 m㏖)을 메탄올(150 ㎖)과 물(100 ㎖)에 용해 후, 빙수냉 하, 수산화나트륨(6.34 g, 154 m㏖)을 물(100 ㎖)에 용해한 것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원료의 소실을 확인 후, 2 N-염산으로 중화하 여, 감압 농축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실리카겔 250 g, CHCl3:MeOH=5:1→4:1→2:1의 혼합용매로 용출)으로 정제하였다. 이것을 물(254 ㎖)에 용해, 이온교환수지(DOWEX50WX8, 15 g)를 투입하여 pH 3.2로 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램(SP207; 800 ㎖, 물로 용출)으로 탈염하였다. 목적 프랙션(fraction)을 감압 농축 후, 물(300 ㎖)에 용해하고, 활성탄(50% 습체, 1.5 g)을 투입하여, 5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박막여과(membrane filtration) 후, 동결 건조하여, 백색 무정형 분말의 표기 화합물(10.4 g, 58%)을 얻었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20
c)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
예 6-b)의 화합물(10.4 g, 45 m㏖)을 물(80 ㎖)에 용해하고 1 N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 10으로 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램(SP207; 800 ㎖, 물로 용출)으로 탈염하였다. 목적 프랙션을 모아, 활성탄(50% 습체, 1 g)을 투입하여, 5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박막여과 후 감압 건고하여, 에탄올(40 ㎖)과 디에틸에테르(300 ㎖)를 첨가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아, 감압 하 건조하여, 백색 결정의 표기 화합물(9.63 g, 85%)을 얻었다.
융점: 190~200℃
Figure 112006022368810-pct00021
예 7: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마그네슘
예 6-b)의 화합물(20.0g, 86.5 m㏖)을 물(500 ㎖)에 용해하고 산화마그네슘(1.6 g)을 첨가하여 pH 7.5로 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램(SP207; 1,000 ㎖, 물로 용출)으로 탈염하였다. 목적 프랙션을 모아, 활성탄(50% 습체, 1 g)을 투입하여, 5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박막여과 후 감압 건고하여, 아세톤(40 ㎖)를 첨가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아, 감압 하 건조하여, 백색 결정의 표기 화합물(12.2 g, 58%)을 얻었다.
융점: 230℃ 이상
Figure 112006022368810-pct00022
예 8: 피리독신 3-인산이나트륨의 제조
예 6-a)의 화합물(1.0 g, 3.0 m㏖)을 메탄올(10 ㎖)에 용해 후, 빙수냉 하, 탄산수소나트륨(0.50 g, 6.0 m㏖)을 물(10 ㎖)로 용해한 것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2 N 염산으로 중화하여, 감압 농축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실리카겔 30 g, CHCl3:MeOH=4:1→2:1의 혼합용매로 용출)으로 정제하였다. 목적 프랙션을 감압 농축 후, 잔사를 물(10 ㎖)에 용해하여, 역상 칼럼 크로마토그램(Chromatorex ODS-1020T;30 g, 물로 용출)으로 정제하였다. 목적 프랙션을 30 ㎖까지 감압 농축 후, 활성탄(50% 습체, 1 g)을 투입하여, 5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박막여과 후, 동결 건조하여, 백색 무정형 분말의 표기 화합물(0.299 g, 34%)을 얻었다.
융점: 137~140℃
Figure 112006022368810-pct00023
예 9: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의 제조
예 1-b)의 화합물(2.0 g, 6.0 m㏖)을 물(150 ㎖)에 용해하고 1 N 염산(6.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물을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잔사를 에탄올(130 ㎖)과 물(10 ㎖)에 환류 하 용해하여, 냉장고(5℃)에서 5일간 냉각하였다. 정출(晶出)된 결정을 여과하고, 감압 건조하여, 백색 결정의 표기 화합물(1.84 g, 수율 83%)을 얻었다.
비선광도 [α]D=+1.7°(c=1.0, H2O), 융점: 166~170℃
Figure 112006022368810-pct00024
예 10: 피리독신 3-α-D-글루코시드의 제조
a) 3-(3,4,6-트리-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α45-디-O-아세틸피리독신
α45-디-O-아세틸피리독신 염산염(0.67 g, 2.34 m㏖)에 CHCl3(10 ㎖)와 포화 NaHCO3 수용액(1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유기층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백색 고체(0.59 g)와 3,4,6-트리-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 클로라이드 (0.50 g, 1.54 m㏖)를 톨루엔(10 ㎖)에 용해하여, 분자체(molecular sieve) 4A(0.50 g)를 첨가하여, 질소분위기 하, 10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램(실리카겔; 50 g, n-헥산:초산에틸=1:2의 혼합용매로 용출)으로 정제하여, 엷은 황색 오일의 표기 화합물과 3-(3,4,6-트리-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α45-디-O-아세틸피리독신의 혼합물(0.38 g, 수율 46%, α:β=0.3:0.7)을 얻었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25
b) 피리독신 3-α-D-글루코시드
예 10-a)의 화합물(0.37 g, 0.69 m㏖)을 메탄올(4 ㎖)과 물(2 ㎖)에 용해하고, 빙냉 교반 하, 수산화칼륨(0.34 g, 5.15 m㏖)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1 N 염산으로 중화하여, 감압 농축 후, 잔사를 물(14 ㎖)에 용해하고, 1 M 초산나트륨 완충액(1.6 ㎖)과 β-글루코시다아제(오리엔탈 이스트사제, 아몬드 유래, 4 ㎎, 147 U)를 첨가하여, 37℃에서 14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 후, 칼럼 크로마토그램(Chromatorex ODS-1020T;10 g, 물로 용출)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물(10 ㎖)에 용해하고, 활성탄(50% 습체, 10 ㎎)을 투입하여, 6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활성탄을 여과 분별 후, 물을 감압 증류 제거하여, 백색 결정분말의 표기 화합물(54 ㎎, 수율 24%)을 얻었다. 이 화합물은 β-글루코시다아제(오리엔탈 이스트사제, 아몬드 유래)에 의해 가 수분해되지 않고, α-글루코시다아제(로슈사제, Saccharomyces cerevisiae 유래)에 의해 완전히 가수분해되어 피리독신이 유리된 것으로부터, 이 화합물의 아노머형은 α형인 것이 확인되었다.
비선광도 [α]D=+141.8°(c=1.0, H2O), 융점: 201~202℃
Figure 112006022368810-pct00026
시험예 1(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의 광안정성)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의 0.5%(w/v) 수용액(pH 6.7) 0.3 ㎖를 1 ㎖용량의 유리 앰플에 봉입(封入)하여, D65 형광램프(도시바)를 14일간 조사하였다. 조사는 실온에서 행하고, 조도는 13,000 Lx로 하였다. 조사 전, 조사 1일 후, 조사 7일 후, 조사 14일 후의 샘플을 HPLC로 분석하여,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같은 농도의 염산피리독신(pH 6.7로 조정)에 대해서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HPLC 측정조건은 이하와 같다.
칼럼 Inertsil ODS-3(5 μm, ø 4.6×150 ㎜, GL Science Inc.)
용리액(溶離液) 아세토니트릴: 0.1%(v/v)트리플루오로초산, 5 mM sodium 1-hexanesulfonate=1:9
유속 0.5 ㎖/min
검출 UV 280 ㎚
칼럼온도 40℃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염산피리독신이 1일에서 거의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는 14일간 램프 조사해도 분해가 보이지 않아, 광안정성이 현격하게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염산피리독신 수용액이 광조사에 의해 담황색으로 착색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수용액에서는 착색이 인정되지 않았다.
시험예 2(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의 열안정성)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의 0.5%(w/v) 수용액(pH 6.7) 0.3 ㎖를 1 ㎖용량의 유리 앰플에 봉입하여, 차광 상태에서 50℃로 유지하였다. 90일간 가온하고, 그 사이 샘플을 HPLC로 분석(분석 조건은 시험예 1과 동일)하여,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같은 농도의 염산피리독신(pH 6.7로 조정)에 대해서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50℃, 90일간의 가온으로 염산피리독신이 약 20%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는 거의 분해되지 않았다. 또한, 50℃, 90일간의 가온으로 염산피리독신 수용액이 황색으로 착색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수용액은 착색되지 않았다.
시험예 3(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및 각종 3번 위치 배당체의 광안정성)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피리독살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사민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β-D-갈락토시드 및 염산피리독신 각각의 0.5%(w/v) 수용액(pH 6.3-7.2로 HCl 또는 NaOH로 조정) 0.3 ㎖를 1 ㎖용량의 유리 앰플에 봉입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한 광조사 및 HPLC 정량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염산파리독신이 1일에서 거의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피리독사민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β-D-갈락토시드는 14일간 램프 조사해도 분해가 보이지 않아, 광안정성이 현격하게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리독살 3-β-D-글루코시드에 대해서도 안정성은 명백하게 향상되어 있었다. 또한, 염산피리독신 수용액이 광조사에 의해, 담황색으로 착색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피리독살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사민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β-D-갈락토시드의 각 수용액은 착색되지 않았다.
시험예 4(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및 각종 3번 위치 배당체의 열안정성)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피리독살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사민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β-D-갈락토시드, 염산피리독신, 피리독살 염산염 및 피리독사민 염산염 각각의 0.5%(w/v) 수용액(pH 6.3-7.2로 HCl 또는 NaOH로 조정) 0.3 ㎖를 1 ㎖용량의 유리 앰플에 봉입하여, 시험예 2과 동일하게, 50℃ 가온 및 HPLC 분석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4 나타낸다. 50℃, 90일간의 가온으로 염산피리독신이 약 15%, 피리독살 염산염이 55%, 피리독사민 염산염이 85%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피리독살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사민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β-D-갈락토시드는 거의 분해되지 않았다. 또한, 50℃, 90일간의 가온으로 염산피리독신, 피리독살 염산염, 피리독사민 염산염 수용액이 황색으로 착색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피리독살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사민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β-D-갈락토시드의 각 수용액은 착색되지 않았다.
시험예 5(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β-D-글루코시드의 광안정성)
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β-D-글루코시드 및 염산피리독신 각각의 0.5%(w/v) 수용액(pH로 HCl 또는 NaOH로 조정) 0.3 ㎖를 1 ㎖용량의 유리 앰플에 봉입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한 광조사 및 HPLC 정량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염산피리독신이 1일에서 거의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β-D-글루코시드는 14일간 램프 조사해도 분해가 보이지 않아, 광안정성이 현격하게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 및 피리독신 3-인산이나트륨의 광안정성)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 및 피리독신 3-인산이나트륨 0.5%(w/v) 수용액(pH 6.5-6.8로 조정) 0.3 ㎖를 1 ㎖용량의 유리 앰플에 봉입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한 광조사 및 HPLC 정량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염산피리독신이 1일에서 거의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은 14일간 램프 조사해도 분해가 보이지 않아, 광안정성이 현격하게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리독신 3-인산이나트륨도 명백하게 광안정성이 향상되어 있었다. 또한, 염산피리독신 수용액이 광조사에 의해 담황색으로 착색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 수용액 및 피리독신 3-인산이나트륨 수용액은 착색되지 않았다.
시험예 7(피리독신 3,4'-환상 인산마그네슘의 광안정성)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마그네슘 0.5%(w/v) 수용액(pH 6.5-6.8로 조정) 0.3 ㎖를 1 ㎖용량의 유리 앰플에 봉입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하게 7일간의 광조사 및 HPLC 정량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시험예 8(피리독신 3-α-D-글루코시드 수용액의 광안정성)
피리독신 3-α-D-글루코시드 0.5%(w/v) 수용액(pH 6.5-6.8로 조정) 0.3 ㎖를 1 ㎖용량의 유리 앰플에 봉입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하게 1일간의 광조사 및 HPLC 정량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시험예 9(피리독신 3-황산나트륨 배합제의 광안정성)
피리독신 3-황산나트륨을 문헌(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2, pp. 2642-2644, 1987)에 따라서 합성하였다. 피리독신 3-황산나트륨 0.5%(w/v) 수용액(pH 6.5-6.8로 조정) 0.3 ㎖를 1 ㎖용량의 유리 앰플에 봉입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하게 14일간의 광조사 및 HPLC 정량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시험예 10(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의 열안정성)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 및 염산피리독신 0.5%(w/v) 수용액(pH 6.5-6.8로 조정) 0.3 ㎖를 1 ㎖용량의 유리 앰플에 봉입하여, 시험예 2과 동일하게, 50℃ 가온 및 HPLC 분석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50℃, 90일간의 가온으로 염산피리독신이 약 15%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은 거의 분해되지 않았다. 또한, 50℃, 90일간의 가온으로 염산피리독신 수용액이 황색으로 착색되는 것에 대하여,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 수용액은 착색 되지 않았다.
시험예 11(로션)
세라마이드 배합물 0.1 g, 1,3-부틸렌글리콜 2.5 g, 디프로필렌글리콜 2.5 g, 메틸파라벤 0.01 g을 80℃에서 가온하여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35℃까지 냉각 후, 교반하면서 비타민 B6 유도체(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또는 피리독신 3,4'-환상 인산나트륨; 이하, 시험예 11~16에 있어서 「비타민 B6 유도체」라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 3개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의미한다) 0.1 g 또는 피리독신 3-황산나트륨 0.1 g 중 어느 하나와, 소르비톨 발효다당(發酵多糖) 1.0 g 및 정제수 90 ㎖를 첨가하여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10% 구연산 수용액으로 pH 6.4로 한 후, 정제수로 100 ㎖로 조제하여 로션으로 하였다. 이 조제액에는 침전 등이 인정되지 않았다. 조제한 로션을 유리병에 6 ㎖ 넣고, D65 형광램프로 총조도로서 0, 6만, 18만 및 30만 lux·hr의 빛에 노출하여 비타민 B6 유도체의 정량을 행하고, 별도 50℃에 보존하여, 0, 14일, 1개월, 2개월 후에 시험예 1에 기재된 HPLC법에 의해 비타민 B6 유도체의 정량을 행하였다.
램프 조사의 결과를 도 11에 나타낸다. 염산피리독신이 조사 3일의 18만 lux·hr에서 42% 잔존이 되고, 5일의 30만 lux·hr에서는 추가로 30% 잔존이 되어 거의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비타민 B6 유도체는 5일간 램프 조사해도 분해는 거의 보이지 않아, 광안정성이 현격하게 양호하였다.
50℃에 보존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비타민 B6 유도체는 전혀 분해되지 않거나 거의 분해가 인정되지 않아, 염산피리독신보다 열안정성이 양호하였다.
시험예 12(샴푸)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10.0 g,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20.0 g,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10.0 g,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4.0 g, 프로플렌글리콜 2.0 g, 비타민 B6 유도체 0.1 g, 파라옥시 안식향산메틸 0.01 g을 정제수 40 ㎖에 첨가하고 70℃로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35℃ 이하까지 냉각 후, 10% 구연산 수용액으로 pH 6.8로 한 후, 정제수로 100 ㎖로 조제하여 샴푸로 하였다. 이 조제액에는 침전 등이 인정되지 않았다. 조제한 샴푸는 유리병에 6 ㎖ 넣고, D65 형광램프로 총조도로서 0, 6만, 18만 및 30만 lux·hr의 빛에 노출하여 비타민 B6 유도체의 정량을 행하고, 별도로 50℃에 보존하여, 0, 14일, 1개월, 2개월 후에 비타민 B6 유도체의 정량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HPLC법에 의해 행하였다.
램프 조사의 결과를 도 13에 나타낸다. 염산피리독신이 조사 3일의 18만 lux·hr에서 60% 잔존이 되고, 5일의 30만 lux·hr에서는 58% 잔존으로까지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비타민 B6 유도체는 5일간 램프 조사해도 분해는 거의 보이지 않아, 광안정성이 현격하게 양호하였다.
50℃에 보존한 결과를 도 14에 나타낸다. 비타민 B6 유도체는 전혀 분해되지 않거나 거의 분해가 인정되지 않아, 염산피리독신보다 열안정성이 양호하였다.
예 13(안약)
메틸황산네오스티그민 5 ㎎, L-아스파라긴산칼륨 0.4 g, 붕산 5 ㎎, 붕사(borax) 5 ㎎, 붕사 5 ㎎, 파라옥시 안식향산메틸 10 ㎎, 클로로부탄올 0.1 g, 비 타민 B6 유도체 0.1 g을 멸균한 정제수 70 ㎖로 용해하였다. 용해 후, 멸균한 정제수로 100 ㎖로 조제하여 안약으로 하였다. 이 조제액에는 침전 등이 인정되지 않았다. 조제한 안약은 유리병에 6 ㎖ 넣고, D65 형광램프로 총조도로서 0, 6만, 18만 및 30만 lux·hr의 빛에 노출하여 비타민 B6 유도체의 정량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HPLC법에 의해 행하였다.
램프조사의 결과를 도 15에 나타낸다. 염산피리독신이 조사 3일의 18만 lux·hr에서 68% 잔존이 되고, 5일의 30만 lux·hr에서는 49% 잔존으로까지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비타민 B6 유도체는 5일간 램프 조사해도 분해는 거의 보이지 않아, 광안정성이 현격하게 양호하였다.
예 14(음료수)
포도당 4.6 g, 아스파르템 0.01 g, 구연산 0.1 g, 염화나트륨 0.02 g, 염화칼륨 0.02 g, 염화마그네슘 0.01 g, 유산칼슘 0.04 g, 비타민 B6 유도체 0.01 g,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0.07 g, L-글루타민산나트륨 0.02 g, L-아르기닌 0.02 g, 향료 0.1 g을 정제수 70 ㎖로 용해한 후, 그 다음, 정제수로 100 ㎖로 조정하여 음료수로 하였다. 이 조제액에는 침전 등이 인정되지 않았다. 조제한 음료수를 유리병에 6 ㎖ 넣고, D65 형광램프로 총조도로서 0, 6만, 18만 및 30만 lux·hr의 빛에 노출하여 비타민 B6 유도체의 정량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HPLC법에 의해 행하였다.
램프조사의 결과를 도 16에 나타낸다. 염산피리독신이 조사 3일의 18만 lux·hr에서 68% 잔존이 되고, 5일의 30만 lux·hr에서는 56% 잔존으로까지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비타민 B6 유도체는 5일간 램프 조사해도 분해는 거의 보이지 않아, 광안정성이 현격하게 양호하였다.
예 15(도그 푸드)
소맥분 10 g에 비타민 B6 유도체 0.1 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추가로, 닭가슴살 40.0 g, 대두단백 30.0 g, 포도당 5.0 g, 구연산 0.001 g, 염화나트륨 1.0 g, 황산동 0.01 g, 황산철 0.01 g, 소르빈산 0.3 g, 프로필렌글리콜 5.0 g을 순서대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것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g으로 조제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도그 푸드로 하였다.
조제한 도그 푸드를 샬레에 5 g 넣고, D65 형광램프로 총조도로서 0, 6만, 18만 및 30만 lux·hr의 빛에 노출하여 비타민 B6 유도체의 정량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HPLC법에 의해 행하였다.
램프 조사의 결과를 도 17에 나타낸다. 염산피리독신이 조사 3일의 18만 lux·hr에서 90% 잔존이 되고, 5일의 30만 lux·hr에서는 85% 잔존으로까지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비타민 B6 유도체는 5일간 램프 조사해도 분해는 거의 보이지 않아, 광안정성이 현격하게 양호하였다.
예 16(배합 변화 시험)
판토텐산칼슘 1 g과 비타민 B6 유도체 1 g을 유발(乳鉢)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체의 안정성 시료로 하였다. 유리병에 넣은 시료를 개봉 상태에서 40℃, 75% 습도하의 오븐에 보존하였다. 0일, 14일 및 1개월 후에 육안으로 성상(性狀)을 관찰하여 비타민 B6 유도체 및 판토텐산칼슘 정량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HPLC 법에 의해 행하였다. 단, 판토텐산칼슘만 검출 파장은 210 ㎚를 사용하였다.
배합 변화를 도 18에 나타낸다. 염산피리독신과 배합한 판토텐산칼슘은 40℃, 75% 습도하, 1개월의 보존에 있어서 81% 잔존이 되고, 성상은 백색에서 담갈색(淡褐色)이 되어, 블록킹이나 조해(潮解)가 보였지만, 비타민 B6 유도체와의 배합에서는, 배합물은 거의 분해되지 않아, 배합에 있어서의 안정성의 향상이 인정되었다.
판토텐산칼슘 0.1 g, 비타민 B6 유도체 0.1 g을 정제수로 용해하여 100 ㎖로 조정하고, 수용액 중에서의 안정성 시료로 하였다. 유리병에 넣은 시료를 마개를 밀봉한 상태에서 40℃에 보존하였다. 0일, 14일 및 1개월 후에 육안으로 성상을 관찰하여 비타민 B6 유도체 및 판토텐산칼슘 정량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HPLC법에 의해 행하였다. 단, 판토텐산칼슘만 검출 파장은 210 ㎚를 사용하였다.
배합 변화를 도 19에 나타낸다. 염산피리독신과 배합한 판토텐산칼슘은 40℃, 1개월의 보존에 있어서 83% 잔존이 되었지만, 비타민 B6 유도체와의 배합에서는 배합물은 거의 분해되지 않아, 배합에 있어서의 안정성의 향상이 인정되었다.
시험예 17(배양세포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및 세포 생존율 시험)
마우스 유래의 B16 흑색종(melanoma) 배양세포를 사용하였다. 2매의 6웰 플레이트에 10% FBS 함유 MEM 배지를 적량 취하여, B16 흑색종 세포를 파종(播種)하고, 37℃, 이산화탄소 농도 5 vol% 중에서 정치(靜置)하였다. 다음날, 비타민 B6 유도체(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또는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를 최종 고형물 농도가 도 20에 나타내는 농도가 되도록 검체 조제액을 첨가하여 혼화 (混和)하였다. 배양 5일째에 배지를 교환하고, 다시 검체 조제액을 첨가하였다. 다음날 배지를 제거하고, 1매의 플레이트에 대해서, 세포를 인산 완충액(pH 7.0)으로 세정한 후 회수하여, B16 흑색종 배양세포의 백색화도를 코직산(kojic acid) 100 ㎍/㎖를 대조(對照)로 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에 나타낸다. 표 중, +는 「대조와 동등한 백색 효과가 있음」을, ±는 「대조보다 약하지만 백색 효과가 있음」을, ×는 「효과 없음」을, -는 미시험을 나타낸다. 세포 생육률(生育率)은 대조를 100%로 한 비율이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27
표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비타민 B6 유도체(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및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는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명백하다.
시험예 18(미백제와의 조합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평가시험)
마우스 유래의 B16 흑색종 배양세포를 사용하였다. 정제수에 소정 농도 용해한 비타민 B6 유도체(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및 알부틴(와코쥰야쿠사제) 100 μM를 배지 중에 첨가하였다. 도중 배지교환을 행하여, 5일간 배양 후, 세포를 회 수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후, 세포 내의 멜라닌을 정량하였다. 용매 대조로서 정제수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용매 대조의 멜라닌량을 1로 하여, 각 시료 농도에 있어서의 세포 내 멜라닌량을 멜라닌 생성율로 하였다. 결과를 도 20에 나타낸다.
비타민 B6 유도체(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는, 다른 미백성분과 조합함으로써, 우수한 멜라닌 생산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비타민 B6 유도체는 다른 미백성분과 조합시킴으로써, 보다 우수한 미백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결론지어졌다.
시험예 19(헤어레스 마우스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장애 시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주름 형성을 하기 조제방법에 의해 조제한 시료가 억제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시료(항피부장애 제제)의 조제]
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 및 디에틸렌트리아민 5초산5나트륨액(DETAPAC)을 기제(基劑)(폴리에틸렌글리콜 1000:에틸알코올=1:1)에 용해하여, 2% 농도로 시료를 조제하고, 헤어레스 마우스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평가시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DETAPAC는 양성(陽性) 대조로서 사용하였다.
[시료 도포법과 자외선 조사법]
1군 8마리로 하여, 자외선 조사 90분 전에 전술한 시료를 헤어레스 마우스(10주령) 등 중에 0.1 g 도포하고, 일정량의 자외선(도시바 FL20S·BLB 램프)을 1일 2시간(5회/주) 10주간 조사하여, 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들 시료의 자외선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평가시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가법]
(주름 형성 억제효과)
자외선 조사 10주 후의 주름 형성에 대해서, 하기에 나타내는 「광피부 노화 그레이드」를 토대로 주름 그레이드를 판정하였다. 또한, 결과는 8마리의 평점의 평균값으로 표시하여 평가하였다. 시험 및 평가법은 Bissett 등의 문헌(Photochem Photobiol, Volume:46, Issue:3, Page:367-78, Year:1987)을 참고로 개변(改變)하여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22368810-pct00028
도 21로부터 명백하듯이, 비타민 B6 유도체(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염산염)는 양성 대조로서 사용한 DETAPAC와 같은 정도 이상의 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또한, DETAPAC는 Graf 등의 보고(J Biol Chem. 259(6), pp. 3620-4, 1984)에 있듯이 철킬레이트(iron chelate)능이 있고, 철킬레이터(iron chelator)는 Jurkiewicz 등의 보고(Photochem Photobiol, 59, pp. 1-4, 1994)에서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주름을 억제하고,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피부장애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
시험예 20(화장수)
하기 성분(3)~(5) 및 (9)~(11)을 혼합 용해한 용액과, 성분(1), (2), (6)~(8) 및 (12)를 혼합 용해한 용액을 혼합하고 균일하게 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처방) (%)
(1) 글리세린 5.0
(2) 1,3-부틸렌글리콜 6.5
(3) 폴리옥시에틸렌(20 E. O.) 소르비탄 1.2
모노라우린산에스테르
(4) 에틸알코올 8.0
(5) 비타민 B6 유도체(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0.001
(6) L-아스코르빈산글루코시드 0.5
(7) 유산 0.05
(8) 유산나트륨 0.1
(9)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3.0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잔량
예 20에서 조제한 화장수는,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를 하얗고 매끈하게 하는 우수한 화장료였다. 또한, 이 화장수에는 침전 등이 인정되지 않고, 안정성도 양호하였다.
시험예 21(유액)
하기 성분(13), (16) 및 (18)을 가열 혼합하여 70℃에 보존한 혼합물을, 성분(1)~(9), (12) 및 (15)를 가열 혼합하여 70℃에 보존한 혼합물에 참가하여 혼합하고, 균일하게 유화(乳化)하였다. 추가로 이 유화물을 냉각 후 (10) 및 (11)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4)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추가로 (17)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액을 얻었다.
(처방) (%)
(1) 폴리옥시에틸렌(10 E. O.)소르비탄 1.0
모노스테아레이트
(2) 폴리옥시에틸렌(60 E. O.)소르비톨 0.5
테트라올리에이트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4) 스테아르산 0.5
(5) 베헤닐알코올 0.5
(6) 스쿠알렌 8.0
(7) 팔미틴산레티놀 *1 0.002
(8) 글리시리진산디칼륨 *2 0.3
(9) 비타민 B6 유도체(피리독신 3-β-D-글루코시드) 0.01
(10) 감초 추출물 *3 0.1
(11)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0.1
(12) 방부제 0.1
(1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14) 수산화나트륨 0.05
(15) 에틸알코올 5.0
(16) 정제수 잔량
(17) 향료 적량
(18) 산화아연 *4 5.0
*1 일본 로슈사제
*2 마루젠 세이야쿠사제
*3 마루젠 세이야쿠사제
*4 시그마사제
시험예 21에서 조제한 유액은,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를 하얗고 매끈하게 하는 우수한 화장료였다. 또한, 이 유액에는 침전 등이 인정되지 않고, 안정성도 양호하였다.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안정성이 우수하고, 특히 광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있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화학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용 중간체로서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비타민 B6 유도체 및 다른 비타민류의 열안정성 및 광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있어, 장기 보존이나 유통 과정을 거친 후에도 상기의 각 유효성분의 함유량의 저하가 경감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미백효과, 노화방지효과 및 자외선 폭로에 의한 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의 화학식 I:
    [화학식 I]
    Figure 112006022368810-pct00029
    (화학식 중, R1은 글리코실기, 인산기, 또는 R2와 결합한 환상 인산기를 나타내고; R2는 -CH2OH, -CHO, -CH2NH2, -CH2-아미노산 잔기, 또는 -CH2-OPO2H를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PO3H2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 제1항에 있어서, 피리독신 3-β-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α-글루코시드, 피리독사민 3-β-글루코시드, 피리독사민 3-α-글루코시드, 피리독살 3-β-글루코시드, 피리독살 3-α-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β-갈락토시드, 피리독신 3-α-갈락토시드, 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β-글루코시드, 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α-글루코시드, 피리독신 3-인산, 피리독신 3,4'-환상 인산 및 N-(4-피리독실메틸렌)-L-세린 3-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3. 하기의 화학식 Ⅳ:
    [화학식 Ⅳ]
    Figure 112006022368810-pct00030
    (화학식 중, R4는 -CH2OH, -CHO, 또는 -CH2NH2를 나타내거나, 또는 보호기로 보호된 상태의 -CH2OH, -CHO, 또는 -CH2NH2를 나타내고; R5는 수소원자, 수산기의 보호기, 또는 인산기 또는 보호된 인산기를 나타내며; R6는 보호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글리코실기 또는 보호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인산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4. 제1항의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으로서, 하기의 화학식 Ⅱ:
    [화학식 Ⅱ]
    Figure 112011015097244-pct00031
    (화학식 중, R4는 -CH2OH, -CHO, 또는 -CH2NH2를 나타내거나, 또는 보호기로 보호된 상태의 -CH2OH, -CHO, 또는 -CH2NH2를 나타내고; R5는 수소원자, 수산기의 보호기, 또는 인산기 또는 보호된 인산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과 하기의 화학식 Ⅲ:
    [화학식 Ⅲ]
    Figure 112011015097244-pct00032
    (화학식 중, R6는 보호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글리코실기를 나타내고, X는 이탈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3항의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공정 및 상기 화학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탈보호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5. 하기의 화학식 Ⅴ:
    [화학식 Ⅴ]
    Figure 112008087703265-pct00033
    (화학식 중, R7은 글리코실기, 인산기, 황산기, 또는 R8과 결합한 환상 인산기를 나타내고; R8는 -CH2OH, -CHO, -CH2NH2, -CH2-아미노산 잔기, 또는 -CH2-OPO2H를 나타내며; R9은 수소원자 또는 -PO3H2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의약, 식품 또는 사료를 위한 조성물.
  6. 제5항의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화장료, 의약, 식품 또는 사료를 위한 조성물 중에 첨가하여, 상기 조성물 중의 비타민을 안정화하는 방법.
  7. 제5항의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과 적어도 1종류의 비타민을 포함하고, 상기 비타민의 안정성이 높여진 화장료, 의약, 식품 또는 사료를 위한 조성물.
  8. 미백제, 노화방지제 또는 자외선 폭로에 의한 주름 형성의 억제제인 제5항의 화장료를 위한 조성물.
  9. (A) 제5항의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B) 미백제, 산화방지제, 소염제, 혈행촉진제, 세포부활제 및 자외선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위한 조성물로서, 미백제, 노화방지제 또는 자외선 폭로에 의한 주름 형성의 억제제로서 사용하는 조성물.
  10. (A) 제5항의 화학식 Ⅴ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B)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제.
KR1020067006209A 2003-10-01 2006-03-30 안정한 비타민 b6 유도체 KR101073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2918 2003-10-01
JP2003342918 2003-10-01
JP2004155624 2004-05-26
JPJP-P-2004-00155624 2004-05-26
PCT/JP2004/014768 WO2005033123A1 (ja) 2003-10-01 2004-09-30 安定なビタミンb6誘導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230A KR20060092230A (ko) 2006-08-22
KR101073303B1 true KR101073303B1 (ko) 2011-10-12

Family

ID=3442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209A KR101073303B1 (ko) 2003-10-01 2006-03-30 안정한 비타민 b6 유도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003615B2 (ko)
EP (2) EP1679316A4 (ko)
JP (2) JP4680775B2 (ko)
KR (1) KR101073303B1 (ko)
CN (1) CN100460414C (ko)
CA (1) CA2544574C (ko)
ES (1) ES2412274T3 (ko)
WO (1) WO2005033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0775B2 (ja) * 2003-10-01 2011-05-11 第一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安定なビタミンb6誘導体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JP2007277134A (ja) * 2006-04-05 2007-10-25 Kose Corp インターロイキン−6産生抑制剤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WO2008139965A1 (ja) * 2007-05-07 2008-11-20 Daiichi Fine Chemical Co., Ltd. 新規なビタミンb6誘導体
RU2521391C2 (ru) * 2008-09-18 2014-06-27 Ману ЧАУДХАРИ Новые однократные единичные составы карбапенема и аминогликозида
KR20120065371A (ko) 2009-09-11 2012-06-20 다이이치 파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판테틴인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외용제
US9198840B1 (en) 2010-05-18 2015-12-01 Skindinavia, Inc. Use of cooling agent to improve cosmetics
EP2574338A4 (en) * 2010-05-20 2014-02-12 Chung Hyun Jung SKIN PREPARA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WITH OUTSTANDING ANTIBACTERIAL AND ANTIMYCOTIC EFFECT
JP6403946B2 (ja) * 2012-10-31 2018-10-10 株式会社ミルボン シャンプー組成物
US9724285B1 (en) 2013-07-17 2017-08-08 Skindinavia, Inc. Use of stabilized vitamin B-6 (pyridoxine cyclic phosphate) in conjunction with skin cosmetics
CN104418892A (zh) * 2013-08-28 2015-03-18 江西天新药业有限公司 一种吡哆醇环磷酸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414871A (zh) * 2013-08-28 2015-03-18 江西天新药业有限公司 一种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JP2016008204A (ja) * 2014-06-25 2016-01-18 協和ファーマケミカル株式会社 皮膚外用剤
CN105148987A (zh) * 2015-07-15 2015-12-16 上海师范大学 一种吡哆醛类催化剂及其合成方法与应用
CN110403945B (zh) * 2018-04-28 2022-11-18 上海泽生科技开发股份有限公司 促进胃肠系统动力的复合维生素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20100594A (ja) * 2018-12-21 2020-07-02 小林製薬株式会社 口唇用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2039A2 (en) * 2001-03-09 2002-09-19 Pentapharm Ltd Topical preparations and food preparations comprising a pyridoxine-alpha-d-glucos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96793A2 (en) * 1972-08-24 1974-03-22 Shionogi & Co Corticotrophin peptide compsns - contg complex former and amines
FR2349330A1 (fr) * 1976-04-29 1977-11-25 Savini Emile Composition destinee au traitement des hyperlipidemies
JPS59199674A (ja) 1983-04-26 1984-11-12 Terumo Corp ピリドキシ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血小板凝集阻止剤
JPS60188306A (ja) 1984-03-07 1985-09-25 Shiseido Co Ltd 化粧料
JP3146218B2 (ja) 1991-07-09 2001-03-12 ライオン株式会社 点眼剤
JPH07206664A (ja) 1994-01-13 1995-08-08 Lion Corp 入浴剤組成物
US6685970B1 (en) 1999-09-21 2004-02-03 Kyowa Hakko Kogyo Co., Ltd. Compositions containing proanthocyanidin and a vitamin B6 derivative or a salt thereof
JP2001158739A (ja) 1999-09-21 2001-06-12 Kyowa Hakko Kogyo Co Ltd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とビタミンb6誘導体またはその塩と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1342110A (ja) 2000-06-02 2001-12-11 Ezaki Glico Co Ltd 皮膚外用剤
AU2001267533A1 (en) 2000-06-20 2002-01-02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Structure-improving hair care agents
JP2002265368A (ja) * 2001-03-09 2002-09-18 Pentapharm Japan Kk ピリドキシン配糖体含有製剤または食品
JP2002265316A (ja) * 2001-03-09 2002-09-18 Pentapharm Japan Kk 皮膚外用剤
JP4227332B2 (ja) 2002-01-08 2009-02-18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ピリドキシン誘導体、及び該ピリドキシン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及び頭髪化粧料
JP3563730B2 (ja) 2002-06-07 2004-09-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
JP2004357591A (ja) 2003-06-05 2004-12-24 Daiichi Fine Chemical Co Ltd 糖転移酵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80775B2 (ja) * 2003-10-01 2011-05-11 第一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安定なビタミンb6誘導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2039A2 (en) * 2001-03-09 2002-09-19 Pentapharm Ltd Topical preparations and food preparations comprising a pyridoxine-alpha-d-glucos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journal of vitaminology, Vol.15, pages 160-166*
The journal of vitaminology, Vol.17, pages 121-1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1847B1 (en) 2013-03-27
JP4680775B2 (ja) 2011-05-11
CA2544574C (en) 2013-07-23
CN1863811A (zh) 2006-11-15
JPWO2005033123A1 (ja) 2006-12-14
EP2311847A1 (en) 2011-04-20
EP2311847B9 (en) 2013-07-24
US20070148108A1 (en) 2007-06-28
US8003615B2 (en) 2011-08-23
EP1679316A1 (en) 2006-07-12
CN100460414C (zh) 2009-02-11
EP1679316A4 (en) 2010-05-26
KR20060092230A (ko) 2006-08-22
JP2008013578A (ja) 2008-01-24
US20090117064A1 (en) 2009-05-07
JP4533415B2 (ja) 2010-09-01
CA2544574A1 (en) 2005-04-14
WO2005033123A1 (ja) 2005-04-14
ES2412274T3 (es)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303B1 (ko) 안정한 비타민 b6 유도체
KR0162495B1 (ko) 알파-글리코실-l-아스코르브산 및 그 제조방법
KR0181013B1 (ko) 결정질 2-오-알파-디-글루코피라노실-엘-아스코르브산을 함유시킨 화장품 조성물
US20100280231A1 (en) Whitening agent comprising equol or its saccharide derivative as an effective ingredient
KR20090069732A (ko) 알부틴 베타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US6248905B1 (en) Acyl derivatives of glycosyl-L-ascorbic acid
KR100739250B1 (ko) 신규 갈락토실세라미드 유사체, 이를 사용한β-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 활성화제, 피부 외용제 및β-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 활성화 방법
JPWO2007077770A1 (ja) アルキルレゾルシノール配糖体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4450456B2 (ja) 皮脂産生抑制剤
KR20180040756A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11030727A1 (ja) パンテチンリン酸エステルを含む外用剤
JP2004331579A (ja) 真皮マトリックス産生促進剤
EP1369423B1 (en) Crystalline alpha-d-glucosyl alpha-d-galactoside, saccharid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JP2007031297A (ja) 美白用組成物
JP2004331580A (ja) 中性脂肪蓄積抑制剤
US7045546B2 (en) Stabilized derivatives of ascorbic acid-3-phosphate
KR20160020223A (ko) 샨즈히시드 메틸에스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2004284990A (ja) 皮膚化粧料及び経口美白剤
KR101118572B1 (ko) 하이드로퀴논 베타-디-프락토사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2990408B1 (en) Novel whitening agent
KR20160019815A (ko) 에스쿨렌토시드 a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41A (ko) Prim-O-글루코실시미푸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2005306848A (ja) 新規デセン酸誘導体
KR20160020215A (ko) 스크라레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