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416B1 -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416B1
KR101072416B1 KR1020080045332A KR20080045332A KR101072416B1 KR 101072416 B1 KR101072416 B1 KR 101072416B1 KR 1020080045332 A KR1020080045332 A KR 1020080045332A KR 20080045332 A KR20080045332 A KR 20080045332A KR 101072416 B1 KR101072416 B1 KR 10107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racking
path
developer conveying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9521A (ko
Inventor
시게루 다나카
도모카즈 구리타
사토시 호노베
유키히로 이치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27Au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가 낙하하는 낙하로와, 내부를 현상제가 반송되는 동시에, 상기 낙하로에 접속된 현상제 반송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하여 현상제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상기 낙하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의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부수기 부재를 구비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현상제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가 서로 접근,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Figure R1020080045332
낙하로, 반송로, 나선부, 접속부, 부수기 부재

Description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ER TRANS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공개특허2005-37481호 공보)에는, 회전하는 반송 스크루(82A)에 의해 폐(廢) 토너가 반송되는 토너 반송 경로(82)에, 상방의 반송 경로(90B)부터 폐 토너가 낙하하여 유입되는 현상제 반송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폐 토너가 낙하하는 벽면(90A)에, 탄성을 갖는 구성 수지판으로 구성된 토너 교반(攪拌) 부재(91)가 지지되어 있고, 토너 교반 부재(91)의 선단부(先端部)가 반송 스크루(82A)의 나선(螺旋) 형상의 스크루 날개(82B)에 결합되고, 스크루 날개(82B)의 회전에 따라 토너 교반 부재(91)가 탄성 변형, 탄성 복원을 반복하여 진동된다. 따라서, 상기 토너 교반 부재(91)의 스크루 날개(82B)로의 접촉에 의해, 스크루 날개(82B)에 부착된 폐 토너의 스크레이핑이 행해지는 동시에, 진동에 의해 반송 스크루(82A) 형상으로 낙하하여 퇴적되는 폐 토너의 교반이 행해진 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5-37481호 공보(「0028」∼「0032」, 도 3∼도 5)
본 발명은 현상제를 부수는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1]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현상제 반송 장치는, 현상제가 낙하하는 낙하로와, 내부를 현상제가 반송되는 동시에, 상기 낙하로에 접속된 현상제 반송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하여 현상제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상기 낙하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의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부수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가 서로 접근,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낙하로에 현상제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중력 방향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로를 낙하하는 현상제 및 상기 현상제 반송로를 반송된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 를 부수는 제 1 내벽 부수기부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내벽 부수기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3] [2]의 현상제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는 서로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에서 접촉할 수도 있다.
[4]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현상제 반송 장치는,
현상제가 낙하하는 낙하로와,
내부를 현상제가 반송되는 동시에, 상기 낙하로에 접속된 현상제 반송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하여 현상제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 소정 방향의 나선(螺旋)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1 나선부와는 역(逆)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2 나선부를 갖는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와,
상기 낙하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의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나선부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 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나선부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부수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4]의 현상제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낙하로에 현상제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중력 방향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로를 낙하하는 현상제 및 상기 현상제 반송로를 반송된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내벽 부수기부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내벽 부수기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6] [5]의 현상제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는 서로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에서 접촉할 수도 있다.
[7] [5] 또는 [6]의 현상제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는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의 사이, 또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바로 위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설치될 수도 있다.
[8] [7]의 현상제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제 1 반송 부재 접촉부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제 2 반송 부재 접촉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제 1 반송 부재 접촉부 및 상기 제 2 반송 부재 접촉부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 및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왕복 운동하여, 현상제 반송 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술 수도 있다.
[9] [4] 내지 [6]의 현상제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가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도 있다.
[10] [9]의 현상제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나선부의 나선을 따라 1회전한 경우의 축 방향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 2 나선부의 나선을 따라 1회전한 경우의 축 방향의 이동 거리와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상유지체와,
상기 상유지체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상유지체 표면의 가시상을 중간 전사체에 1차 전사하는 1차 전사기와,
1차 전사 후의 상기 상유지체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회수하여 청소하는 상유지체 청소기와,
상기 중간 전사체 표면의 가시상을 매체에 최종 전사하는 최종 전사기와,
상기 중간 전사체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회수하여 청소하는 중간 전사체 청소기와,
상기 중간 전사체 청소기에 의해 회수된 현상제가 낙하하여 반송되는 낙하로와,
상기 상유지체 청소기에 의해 회수된 현상제가 내부를 반송되는 동시에, 상기 낙하로에 접속된 현상제 반송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하여 현상제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 소정 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1 나선부와는 역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2 나선부를 갖는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와,
상기 낙하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의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나선부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나선부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부수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1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기 낙하로에 현상제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중력 방향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로를 낙하하는 현상제 및 상기 현상제 반송로를 반송된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내벽 부수기부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내벽 부수기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13] [12]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는 서로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에서 접촉할 수도 있다.
[14] [12] 또는 [13]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는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의 사이, 또 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바로 위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설치될 수도 있다.
[15] [14]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제 1 반송 부재 접촉부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제 2 반송 부재 접촉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제 1 반송 부재 접촉부 및 상기 제 2 반송 부재 접촉부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 및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왕복 운동하여, 현상제 반송 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술 수도 있다.
[16] [1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17] [16]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선부의 나선을 따라 1회전한 경우의 축 방향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 2 나선부의 나선을 따라 1회전한 경우의 축 방향의 이동 거리와는 상이할 수도 있다.
[1] 또는 [4]의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낙하로를 낙하하는 현상제를 사이에 끼워넣어 부숨으로써 현상제를 부수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5] 또는 [12]의 방안에 의하면, 낙하로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순 때에 각 부수기 부재의 이동에 따라 부순 현상제를 배출구까지 반송할 수 있다.
[3], [6], [13]의 방안에 의하면, 배출구의 상방에서, 접촉하는 제 1 부수기 부재와 제 2 부수기 부재에 의해 현상제를 사이에 끼워 부술 수 있고, 부서진 현상제를 배출구로 낙하시킬 수 있다.
[7], [14]의 방안에 의하면, 부술 수 없을 정도의 크기의 현상제를, 나선부가 방해가 되지 않게,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간을 통하여, 배출구로 반송할 수 있다.
[8], [15]의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상제 반송 부재 중 나선부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현상제가 부착되기 쉬운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으로의 현상제의 부착을 저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9], [16]의 방안에 의하면, 제 1 부수기 부재 및 제 2 부수기 부재의 한쪽의 진동을 다른 쪽으로 전달할 수 있고, 현상제를 부수는 성능을 소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7]의 방안에 의하면, 이동 거리가 큰 부수기 부재의 진동을, 이동 거리가 작은 부수기 부재로 전달하여, 이동 거리가 작은 부수기 부재를 진동시킬 수 있다.
[11]의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청소기에 의해 회수되어 유동성이 저하되고, 굳어지기 쉬운 현상제를 부수는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어, 현상제의 축적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체예인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낸 방향 또는 나타낸 쪽을 각각, 전방, 후방, 우측 방향, 좌측 방향, 상방, 하방, 또는 앞쪽, 뒤쪽, 오른쪽, 왼쪽, 위쪽, 아래쪽이라고 한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紙面)의 이면(裏面)으로부터 표면(表面)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절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U)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와, 이것을 지지하고, 또한 상단(上端)에 투명한 원고 판독면(PG)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는 복사하려고 하는 복수의 원고(Gi)가 겹쳐 수용되는 원고 급지부(TG1)와, 원고 급지부(TG1)로부터 급지되어 상기 원고 판독 면(PG) 상의 원고 판독 위치를 통과하여 반송되는 원고(Gi)가 배출되는 원고 배지부(TG2)를 갖고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는 이용자가 화상 형성 동작 개시 등의 작동 지령 신호를 입력 조작하는 조작부(UI)와, 노광 광학계(A) 등을 갖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에서 원고 판독면(PG) 상을 반송되는 원고 또는 수동으로 원고 판독면(PG) 상에 놓인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은 상기 노광 광학계(A)를 통하여, 고체 촬상 소자(CCD)에서 적색(R), 녹색(G), 청색(B)의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화상 정보 변환부(IPS)는 고체 촬상 소자(CCD)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RGB의 전기 신호를 흑색(K), 옐로(Y), 마젠타(M), 시안(C)의 화상 정보로 변환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상기 화상 정보를 소정의 시기에 잠상 형성용의 화상 정보로서 잠상 형성 장치 구동 회로(DL)로 출력한다.
또한, 원고 화상이 단색 화상, 소위, 모노크롬(monochrome)의 경우에는, 흑색(K)만의 화상 정보가 잠상 형성 장치 구동 회로(DL)에 입력된다.
상기 잠상 형성 장치 구동 회로(DL)는 도시하지 않은 각 색(Y, M, C, K)의 각 구동 회로를 갖고,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른 신호를 소정의 시기에, 각 색마다 배치된 잠상 형성 장치(LHy, LHm, LHc, LHk)로 출력한다.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U)의 중력 방향 중앙부에 배치된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 Uk)는 각각, Y, M, C, 및 K의 각 색의 가시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잠상 형성 장치(LHy∼LHk)의 각 잠상 기입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Y, M, C, K의 잠상 기입 광(Ly, Lm, Lc, Lk)은 각각, 회전하는 상유지체(PRy, PRm, PRc, PRk)에 입사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잠상 형성 장치(LHy∼LHk)는, 소위, LED 어레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Y의 가시상 형성 장치(Uy)는 회전하는 상유지체(PRy), 대전기(CRy), 잠상 형성 장치(LHy), 현상 장치(Gy), 전사기(T1y), 상유지체 청소기(CLy)를 갖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상유지체(PRy), 대전기(CRy), 상유지체 청소기(CLy)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대하여 일체로 탈착 가능한 상유지체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Um, Uc, Uk)는 모두 상기 Y의 가시상 형성 장치(Uy)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상기 각 상유지체(PRy, PRm, PRc, PRk)는 각각의 대전기(CRy, CRm, CRc, CRk)에 의해 대전된 후, 화상 기입 위치(Q1y, Q1m, Q1c, Q1k)에서, 상기 잠상 기입 광(Ly, Lm, Lc, Lk)에 의해,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상유지체(PRy, PRm, PRc, PRk) 표면의 정전 잠상은 현상 영역(Q2y, Q2m, Q2c, Q2k)에서, 현상기(Gy, Gm, Gc, Gk)의 현상제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GRy, GRm, GRc, GRk)에 유지된 현상제에 의해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상에 현상된다.
그 현상된 토너상은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B)에 접촉하는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으로 반송된다. 상기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중간 전사 벨트(B)의 이면 측에 배치된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에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소정 시기에 토너의 대전 극성과 역극성의 1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각 상유지체(PRy∼PRk) 상의 토너상은 상기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에 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후의 상유지체(PRy, PRm, PRc, PRk) 표면의 잔류물, 부착물은 상유지체 청소기(CLy, CLm, CLc, CLk)에 의해 청소된다. 청소된 상기 상유지체(PRy, PRm, PRc, PRk) 표면은 대전기(CRy, CRn, CRc, CRk)에 의해 재(再)대전된다.
상기 상유지체(PRy∼PRk)의 상방에는, 상하 이동 가능하고, 또한 전방(前方)으로 인출 가능한 중간 전사 장치의 일례로서의 벨트 모듈(BM)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와, 중간 전사체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구동 롤(Rd), 중간 전사체 장가(張架) 부재의 일례로서의 텐션 롤(Rt), 사행(蛇行)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워킹 롤(Rw), 종동(從動) 부재의 일례로서의 아이들러 롤(Rf) 및 2차 전사 영역 대향 부재의 일례로서의 백업 롤(T2a)과, 상기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상기 각 롤(Rd, Rt, Rw, Rf, T2a)에 의해 구성되는 중간 전사체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지지 롤(Rd, Rt, Rw, Rf, T2a)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백업 롤(T2a)에 접하는 중간 전사 벨트(B)의 표면에 대향하여 2차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 롤(T2b)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롤(T2a, T2b)에 의해, 최종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기(T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2차 전 사 롤(T2b)과 중간 전사 벨트(B)가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2차 전사 영역(Q4)이 형성된다.
상기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차례로 겹쳐 전사된 단색 또는 다색의 토너상은 상기 2차 전사 영역(Q4)으로 반송된다.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Uy∼Uk)의 하방에는, 가이드 부재의 일례로서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GR)이 3단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GR)에는, 급지 용기의 일례로서의 급지 트레이(TR1∼TR3)가 전후 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TR1∼TR3)에 수용된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시트(S)는 매체 취출(取出) 부재의 일례로서의 픽업 롤(Rp)에 의해 취출되고, 매체 핸들링(handling) 부재의 일례로서의 핸들링 롤(Rs)에 의해 1매씩 분리된다. 그리고, 기록 시트(S)는 매체 반송로의 일례인 시트 반송로(SH)를 따라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복수의 반송 롤(Ra)에 의해 반송되고, 2차 전사 영역(Q4)의 시트 반송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된 전사 영역 반송 시기 조절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로 보내진다. 상기 시트 반송로(SH), 시트 반송 롤(Ra), 레지스터 롤(Rr) 등에 의해 시트 반송 장치(SH+Ra+Rr)가 구성되어 있다.
레지스터 롤(Rr)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에 형성된 토너상이 2차 전사 영역(Q4)으로 반송되는 것에 시기를 맞춰, 상기 기록 시트(S)를 2차 전사 영역(Q4)으로 반송한다. 기록 시트(S)가 상기 2차 전사 영역(Q4)을 통과할 때, 상기 백업롤(T2a)은 접지(接地)되고, 2차 전사기(T2b)에는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토너의 대전 극성과 역극성의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상기 중간 전사 벨트(B) 상의 토너상은 상기 2차 전사기(T2)에 의해 기록 시트(S)에 전사된다.
2차 전사 후의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중간 전사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청소된다.
상기 토너상이 2차 전사된 기록 시트(S)는 정착 장치(F)의 가열용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 및 가압용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의 압접 영역인 정착 영역(Q5)으로 반송되고, 상기 정착 영역을 통과할 때에 가열 정착된다. 가열 정착된 기록 시트(S)는 매체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러(Rh)로부터 매체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지(排紙) 트레이(TRh)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가열 롤(Fh) 표면에는, 기록 시트(S)의 상기 가열 롤로부터의 이형성(離型性)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이형제가 이형제 도포 장치(Fa)에 의해 도포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의 상방에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가 배치되어 있다. 각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에 수용된 현상제는 상기 현상기(Gy, Gm, Gc, Gk)의 현상제의 소비에 따라, 후술하는 현상제 보급로로부터 상기 각 현상기(Gy, Gm, Gc, Gk)에 보급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현상제로서, 자성의 캐리어와, 외부 첨가제가 부여된 토너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U)는 상측 프레임(UF)과 하측 프레임(LF)을 갖고 있고, 상측 프레임(UF)에는,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Uy∼Uk) 및 가시상 형성 장치(Uy∼Uk)보다도 상방에 배치된 부재, 즉, 벨트 모듈(BM) 등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측 프레임(LF)에는, 상기 급지 트레이(TR1∼TR3)를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GR) 및 상기 각 트레이(TR1∼TR3)로부터 급지를 행하는 상기 급지 부재, 즉, 픽업 롤(Rp), 핸들링 롤(Rs), 시트 반송 롤(Ra) 등이 지지되어 있다.
(현상제 보급 장치의 설명)
도 3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장치 및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예를 들어 대전기(CRy∼CRk)나, 마운터 등의 부재의 도시는 적절하게 생략하고 있다.
도 1∼도 3에 있어서, 보급용의 현상제가 수용되는 각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는 현상제 보급 장치(31y, 31m, 31c, 31k)에 탈착, 교환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보급 장치(31y∼31k)는 현상제 카트리지(Ky∼Kk)로부터 현상기(Gy∼Gk)까지 연장되고, 내부를 현상제가 반송되는 현상제 보급로(32y∼32k)를 갖는다. 상기 현상제 보급로(32y∼32k)는 화상 형성 장치(U) 앞쪽에서 상기 현상기(Gy∼Gk)에 현상제를 보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현상제 보급로(32y∼32k) 내부에는, 회전하여 현상제 보급로(32y∼32k)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보급 부재(33y∼33k)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보급로(32y∼32k)의 현상기(Gy∼ Gk) 측의 단부에는, 보수, 점검, 교환 등에 의해 현상기(Gy∼Gk)가 이동할 때에 현상제 보급로(32y∼32k)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주름상자 형상의 접속 부재(34y∼34k)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상기 각 현상기(Gy∼Gk)에는, 내부의 열화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열화 현상제 배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현상기(Gy∼Gk)는 현상제 보급 장치(31y∼31k)에서 고농도의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보급하면서, 열화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열화 현상제 배출구(36)로부터 배출함으로써, 내부의 캐리어를 조금씩 교환하고 있다.
(상유지체 청소기 및 중간 전사체 청소기의 설명)
도 2에 있어서, 상기 각 상유지체 청소기(CLy∼CLk)는 청소 용기(41)를 갖는다. 상기 청소 용기(41) 내에는, 상유지체(PRy∼PRk)에 접촉하여 표면에 부착된 잔류 현상제나 종이 분말 등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제거 부재(42, 43)가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잔류물 제거 부재(42, 43)의 일례로서, 회전하면서 접촉하는 원통 브러시 형상의 청소 브러시(42)와, 상유지체(PRy∼PRk)에 압접되어 잔류물을 닦아내는 판 형상의 청소 블레이드(43)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청소 브러시(42) 및 청소 블레이드(43)의 양쪽을 설치했지만, 어느 한쪽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 외에도 천으로 작성된 잔류물 제거 부재 등의 종래 공지의 임의의 잔류물 제거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청소 용기(41)의 전단부(前端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청소 용기(41) 내부에 접속되어 잔류물 반송 부재(44)에 의해 반송된 잔 류물을 현상제 수용실 외부로 배출하는 잔류물 배출로(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잔류물 배출로(46)의 하단부에는, 잔류물 반송 부재(44)에 의해 반송된 잔류물이 배출되는 잔류물 배출구(46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리너(CLb)도, 상유지체 청소기(CLy∼CLk) 와 마찬가지로, 청소 용기(51), 제거 부재(52, 53), 잔류물 반송 부재(54), 잔류물 배출로(56), 잔류물 배출구(56a)를 갖는다.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요부 확대도이고, 제 1 부수기 부재의 일례인 제 1 현상제 부수기 부재와 제 2 부수기 부재의 일례인 제 2 현상제 부수기 부재가 서로 이간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요부 확대도이고, 제 1 부수기 부재와 제 2 부수기 부재가 서로 접근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낙하로 내부의 요부 단면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로의 배출구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앞쪽의 각 가시상 형성 장치(Uy∼Uk)의 하방에는, 현상제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6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61)는 현상제 반송로의 일례로서, 좌측 하방으로부터 우측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회수 현상제 반송로(62)를 갖는다. 상기 회수 현상제 반송로(62)에는, 각 현상기(Gy∼Gk)의 열화 현상제 배출구(36) 각각에 접속되는 현상기 배출 접속로(63)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마 찬가지로, 회수 현상제 반송로(62)에는, 각 상유지체 청소기(CLy∼CLk)의 잔류물 배출구(46a) 각각에 접속되는 상유지체 청소기 배출 접속로(64)도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수 현상제 반송로(62)의 우측 상단부에는, 낙하로의 일례로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도 6에 있어서, 상기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의 상단에는, 상기 벨트 클리너(CLb)의 잔류물 배출구(56a)에 접속되어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일례로서의 회수 현상제 유입구(67)가 형성되어 있고,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의 하단과 회수 현상제 반송로(62)의 우측 상단부가 접속부(6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는 잔류물 배출구(56a)로부터 배출된 현상제가 내부를 낙하하여 반송된다.
도 6, 도 7에 있어서, 상기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의 하방에는, 배출구의 일례로서, 회수 현상제 반송로(62)나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를 반송된 현상제가 배출되는 회수 현상제 배출구(69)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회수 현상제 배출구(69)는 회수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7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각 현상기 배출 접속로(63) 및 상유지체 청소기 배출 접속로(64)도, 내부를 현상제가 낙하하여 반송되는 낙하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회수 현상제 반송로(62)의 내부에는, 현상제 반송 부재 의 일례로서, 회수 현상제 반송로(62) 내의 현상제를 좌측 하방으로부터 우측 상방을 향하여 반송하는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가 배치되어 있다. 도 3∼도 7에 있어서, 상기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는 회전축(71a)과, 상기 회전축(71a)의 좌측 하방으로부터 우측 상방에 걸쳐 형성되고, 또한 소정 방향의 나선(螺旋)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1 나선부의 일례로서 제 1 나선 날개(71b)와, 상기 회전축(71a)의 우측 상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제 1 나선 날개(71b)와는 역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2 나선부의 일례로서 제 2 나선 날개(71c)를 갖는다. 실시예 1의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에는, 상기 제 1 나선 날개(71b)와 제 2 나선 날개(71c) 사이에는, 회전축(71a)으로만 구성되고, 나선 날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나선 비형성부(71d)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상기 나선 비형성부(71d)는 상기 회수 현상제 배출구(69)의 내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나선 날개(71b) 및 제 2 나선 날개(71c)가 회수 현상제 배출구(69)의 중력 방향 상방, 또한 회수 현상제 배출구(69)의 내측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제 1 나선 날개(71b)의 나선에 따른 1회전 만큼의 축 방향의 이동 거리, 소위 피치는 제 2 나선 날개(71c)의 피치에 비하여, 큰 피치로 설정되어 있다.
도 8은 실시예 1의 부수기 부재 및 부수기 부재 부착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부수기 부재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3∼도 6에 있어서, 상기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의 내부에는, 부수기 부재의 일례로서 현상제 부수기 부재(72)가 배치되어 있다. 도 8, 도 9에 있어서, 현상제 부수기 부재(72)는 1개의 와이어 형상의 부재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고, 좌측에 배치된 제 1 부수기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우측에 배치된 제 2 부수기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의 마모나 소리를 저감하기 위해, 직경 0.4㎜의 스테인리스 선재(線材)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임의의 굵기로 임의의 재료의 선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의 내벽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내벽 부수기부의 일례로서 제 1 연장부(73a)와, 제 1 연장부(73a)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원환(圓環) 형상으로 구부러진 원환부(73b)와, 상기 원환부(73b)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의 회전축(71a)을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의 회전에 따라 제 1 나선 날개(71b)에 접촉하는 제 1 나선 접촉부(73c)와, 상기 제 1 나선 접촉부(73c)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상방으로 구부러져 접속부(68)의 전(前)벽면에서의 현상제의 부착을 방지하는 접속부 벽면 부착 방지부(73d)를 갖는다. 상기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도, 상기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마찬가지로, 제 2 내벽 부수기부의 일례로서의 제 2 연장부(74a), 원환부(74b), 제 2 나선 날개(71c)에 접촉하는 제 2 나선 접촉부(74c), 접속부 벽면 부착 방지부(74d)를 구성으로서 갖는다.
도 9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의 제 1 연장부(73a) 및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의 제 2 연장부(74a)의 상단에는, 각각, 내측을 향하여 ㄷ자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제 1 피지지부(76) 및 제 2 피지지부(7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피지지부(76) 및 제 2 피지지부(77)의 내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ㄷ자형의 벽면 부착 방지부(78)가 형성되어 있다. 벽면 부착 방지부(78)와 제 1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현상제 부수기 부재(7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현상제 부수기 부재(74)의 왕복 이동에 따라 진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 현상제 유입구(67)의 중력 방향 바로 아래에서, 또한 제 1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현상제 부수기 부재(74)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현상제 부수기 부재(74)의 쌍방으로부터 진동하는 힘을 수취하는 동시에,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 중 현상제가 부착되기 쉬운 회수 현상제 유입구(67)의 중력 방향 바로 아래의 벽면으로의 현상제의 부착을 저감하고 있다.
도 4, 도 5, 도 8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부수기 부재(72)는 상기 회수 현상제 유입구(67)가 형성된 접속구 형성 부재(81)에 일체로 형성된 부수기 부재 지지부(81a)에 상기 피지지부(76, 77)가 지지되고, 상기 부수기 부재 지지부(81a)의 상방에 삽입되는 부수기 부재 고정 부재(82)에 의해 빠짐 방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부수기 부재 고정 부재(82)에 의해 현상제 부수기 부재(72)가 지지된 접속구 형성 부재(73)가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의 상단부에 장착됨으로써, 현상제 부수기 부재(72)가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 1의 상기 부수기 부재 지지부(81a)에는 피지지부(76)를 수용하는 홈부(81b)를 구비하고, 부수기 부재 고정 부재(82)와 홈부(81b)의 하단과의 거리, 즉 홈부(81b)의 깊이가 피지지부(76)의 굵기보다도 큰 0.7㎜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지지부(76, 77)가 여유를 가진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고, 제 1 현상제 부수기 부재(73) 및 제 2 현상제 부수기 부재(74)의 진동 시에, 피지지부(76, 77)의 부분에서 완전히 진동이 감쇠(減衰)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현상기(Gy∼Gk)로부터 배출된 열화 현상제나 상유지체 청소기(CLy∼CLk)에 의해 회수된 현상제는 회전하는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에 의해 회수 현상제 반송로(62)를 반송되고, 현상제 수용 용기(70)에 회수된다.
이 때, 현상제는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의 제 1 나선 날개(71b)에 의해 우측 상방으로 반송되는 동시에, 우측 상단에서는, 제 2 나선 날개(71c)에 의해 역방향으로 반송되고, 회수 현상제 배출구(69)를 향하여 반송된다.
한편, 상기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로부터 회수된 현상제는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를 통하여 낙하되고, 현상제 수용 용기(70)에 회수된다.
이 때,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 내에 배치된 현상제 부수기 부재(72)는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 및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의 하단이 제 1 나선 날개(71b) 및 제 2 나선 날개(71c)에 접촉하고 있고,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의 회전에 따라, 각 부수기 부재(73, 74)가 탄성 변형하여, 접촉 위치가 변화된다. 따라서, 접촉 위치의 변화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이간 위치로부터 도 5에 나타낸 접근 위치로 이동하고, 나선 접촉부(73c, 74c)와 각 나선 날개(71b, 71c)의 접촉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이간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결과, 상기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 및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는 이간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에서의 왕복 운동을 반복한다.
도 10은 실시예 1의 각 부수기 부재의 왕복 운동 시에 현상제를 부수는 설명도이고, 도 10의 (a)는 부수기 부재끼리가 이간된 상태의 설명도, 도 10의 (b)는 부수기 부재끼리가 접근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 도 5, 도 10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현상제 부수기 부재(72)에서는,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의 회전에 따라,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가 서로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도 4, 도 10의 (a)에 나타낸 이간된 상태로부터, 도 5, 도 10의 (b)에 나타낸 접근된 상태로 이동할 때, 덩어리 형상의 현상제가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 사이에 끼워져, 힘을 받아, 부서진다. 또한, 도 5, 도 10의 (b)에 나타낸 접근한 상태로부터, 각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 74)와, 각 나선 날개(71b, 71c)의 접촉이 해제되어, 탄성 복원에 의해 도 4, 도 10의 (a)에 나타낸 상태로 되돌아갈 때, 진동하여 현상제가 부서진다.
따라서,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와 회수 현상제 반송로(62)의 접속부(68)에서,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 및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가 진동함으로써 현상제가 부서지는 동시에, 현상제가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형태로 되어, 부서진다. 따라서, 접속부(68)에서, 단순하게 진동하는 부수기 부재를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현상제가 덩어리 형상으로 굳어지거나 하여 현상제가 쌓이게 되는 경우가 저감되고, 특히,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를 낙하하는 현상제가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실시예 1의 현상제 부수기 부재(72)에서는,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가 이간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이동할 때, 회수 현상제 배출구(69)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 및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는 원환부(73b, 74b) 및 접속부 벽면 부착 방지부(73d, 74d)에 의해, 현상제가 회수 현상제 배출구(69)를 향하여 스크레이핑되도록 이동한다. 따라서,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에 의한 반송에 더해, 현상제 부수기 부재(72)에 의해 현상제가 반송되고, 단순하게 진동하는 부수기 부재의 경우에 비하여, 반송력이 높아져 있다. 특히, 원환부(73b, 74b) 및 접속부 벽면 부착 방지부(73d, 74d)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유효 면적이 넓어져 있어, 반송력이 높아져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제 1 나선 날개(71b) 및 제 2 나선 날개(71c)가 회수 현상제 배출구(69)의 내측까지 형성되어 있고, 각 나선 날개(71b, 71c)에 접촉하는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 및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가 회수 현상제 배출구(69)의 내측까지 이동하고, 현상제가 스크레이핑되어 회수 현상제 배출구(69)로 반송된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11의 (a)는 종래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초기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내벽면에 현상제가 부착되기 시작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c)는 도 11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부착된 현상제의 덩어리가 성장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d)는 도 11의 (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현상제의 덩어리가 더 성장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e)는 도 11의 (d)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현상제의 덩어리가 더 성장하여 낙하로가 막힌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f)는 실시예 1의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현상제 부수기 부재(7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서는,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의 나선 날개(71b, 71c)의 회전 반경 내측의 영역은 현상제가 반송되지만, 나선 날개(71b, 71c)의 외측의 영역에서는 현상제의 반송력이 약하고,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수 현상제 반송로(62)의 내벽면의 상부에 부착된다. 부착된 현상제가 덩어리로 되어 성장하면, 도 11의 (c), 도 1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 형상으로 튀어나오고, 차양의 위에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를 낙하한 현상제가 다시 퇴적되면, 도 11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가 막힌다. 실시예 1의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61)에서는, 상기 현상제 부수기 부재(72)에서는,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의 왕복 운동 시에, 연장부(73a, 74a)나 접속 벽면 부착 방지부(73d, 74d)에 의해, 도 11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68)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가 스크레이핑되고, 부착된 현상제의 덩어리가 성장하는 것이 방지되어, 접속부(68)가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실시예 1의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61)에서는,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나선 날개(71b)의 나선의 1회전만큼의 축 방향의 이동 거리, 소위 피치와, 제 2 나선 날개(71c)의 피치의 차이에 따라,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의 왕복 운동의 폭의 쪽이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의 왕복 운동의 폭에 비하여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하방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를 따라, 많은 현상제가 낙하되기 쉬운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 측에서, 진폭이 크고, 진동에 의해 현상제를 부수기 쉽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61)에서는,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 및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는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긴 연장부(73a, 74a)를 갖고 있고, 연장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진동에 의한 소리가 작아져, 소음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61)에서는,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별체인 경우에 비해, 부착이 용이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나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가 진동할 때, 일체로 형성된 벽면 부착 방지부(78)에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하여,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의 상부로부터 중앙부에서 벽면에 현상제가 부착되는 것이 저감된다. 또한, 피치가 작은 제 2 나선 날개(71c)에 의해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의 진동이 작아도, 피치가 큰 제 1 나선 날개(71b)에 의해 왕복 운동이나 진동되는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로부터의 진동이 끝까지 감쇠하지 않고 전달되어 진동하고, 현상제를 부수는 능력이 유지된다.
또한, 실시예 1의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61)에서는, 회수 현상제 배출구(69)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선 비형성부(71d)가 설치되어 있고, 나선 비형성부(71d)에도 나선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로부터 본 회수 현상제 배출구(69)의 면적이 넓어진다. 이에 따라, 나선부가 방해로 되어 낙하하는 현상제가 회수 현상제 배출구(69)로 반송되지 않는 경우가 저감된다. 따라서, 회수 현상제 낙하 통로(66)를 낙하한 현상제에, 완전히 부서지지 않은 중간 정도 크기의 덩어리가 있어도, 회수 현상제 배출구(69)로부터 조속히 배출된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설명을 행하지만, 이 실시예 2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5에 대응하는 이간 위치에서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6에 대응하는 접근 위치에서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부수기 부재의 요부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8에 대응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도 14에 있어서, 실시예 2의 현상제 부수기 부재(72')에서는,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제 1 연장부(73a), 원환부(73b), 제 1 나선 접촉부(73c), 접속부 벽면 부착 방지부(73d)를 갖고, 또한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의 접속부 벽면 부착 방지부(73d)의 상단으로부터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7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 연결부(73e)와, 상기 나선 연결부(73e)의 단부로부터 회전축(71a)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73f)와, 상기 경사 연장부(73f)의 단부로부터 회전축(71a)을 횡단하도록 연장되고, 또한 상기 나선 비형성부(71d)의 회전축(71a) 표면에 접촉하는 제 1 반송 부재 접촉부의 일례로서의 제 1 축 접촉부(73g)를 갖는다.
상기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도, 상기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좌우 대칭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2 연장부(74a), 원환부(74b), 제 2 나선 접촉부(74c), 접속부 벽면 부착 방지부(74d)에 더해, 나선 연결부(74e)와, 경사 연장부(74f)와, 제 2 반송 부재 접촉부의 일례로서의 제 2 축 접촉부(74g)를 갖는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61)에서는, 회수 현 상제 반송 부재(71)의 회전에 따라,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와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가 서로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 때, 상기 축 접촉부(73g, 74g)가 나선 비형성부(71d)의 회전축(71a)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이간하거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나선 비형성부(71d)의 회전축(71a) 표면에 현상제가 부착되어 성장하여, 회수 현상제 배출구(69)를 막히게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축 접촉부(73g, 74g)끼리의 접촉이나 이간에 의해, 나선 연결부(73e, 74e)나 경사 연장부(73f, 74f)에 진동이 발생하고, 접속부(68)의 주위의 현상제가 스크레이핑되어, 축적이 방지된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H07)을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복사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AX나 프린터 또는 이들 모두 또는 복수의 기능을 갖춘 복합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4색분의 상유지체(PRy∼PRk) 및 현상기(Gy∼Gk), 잠상 형성 장치(LHy∼LHk)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색의 화상 형성 장치나, 상유지체 및 잠상 형성 장치가 1개이고 4개의 현상기가 회전하여 차례로 상유지체에 대향하는 회전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3, 73')와 제 2 회수 현상제 부수기 부재(74, 74')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현상제 반송 장치로서, 열화 현상제나 잔류 현상제와 같은 폐기되는 현상제를 반송하는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신규의 현상제를 보급하기 위해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보급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벽면 부착 방지부(78)의 형상은 실시예에 예시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벽면 부착 방지부(78)를 생략할 수도 있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연장부(73a, 74a)의 길이나, 원환부(73b)나 접속부 벽면 부착 방지부(73d)의 형상은 실시예에 예시한 형상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73a, 74a)나, 원환부(73b), 접속부 벽면 부착 방지부(73d)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할 수도 있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나선 비형성부(71d)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할 수도 있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 회전축(71a)과, 회전축(71a)의 외주(外周)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나선 날개(71b) 및 제 2 나선 날개(71c)를 갖는 반송 부재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이 설치 되어 있지 않고, 선재가 소정 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1 나선 날개와, 제 1 나선 날개와는 역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2 나선 날개를 갖는, 소위 코일 스프링 형상의 반송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 확대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장치 및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요부 확대도이고, 제 1 부수기 부재의 일례인 제 1 현상제 부수기 부재와 제 2 부수기 부재의 일례인 제 2 현상제 부수기 부재가 서로 이간된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요부 확대도이고, 제 1 부수기 부재와 제 2 부수기 부재가 서로 접근된 상태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의 낙하로 내부의 요부 단면 사시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로의 배출구 부분의 요부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의 부수기 부재 및 부수기 부재 부착 부재의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의 부수기 부재의 사시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1의 각 부수기 부재의 왕복 운동 시에 현상제를 부수는 설명도이고, 도 10의 (a)는 부수기 부재끼리가 이간된 상태의 설명도, 도 10의 (b)는 부수기 부재끼리가 접근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11의 (a)는 종래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초기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내벽면에 현상제가 부착되기 시작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c)는 도 11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부착된 현상제의 덩어리가 성장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d) 는 도 11의 (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현상제의 덩어리가 더 성장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e)는 도 11의 (d)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현상제의 덩어리가 더 성장하여 낙하로가 막힌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f)는 실시예 1의 회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도.
도 12는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5에 대응하는 이간 위치에서의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6에 대응하는 접근 위치에서의 설명도.
도 14는 실시예 2의 부수기 부재의 요부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8에 대응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 현상제 반송 장치 62: 현상제 반송로
66: 낙하로 68: 접속부
69: 배출구 71: 현상제 반송 부재
71b: 제 1 나선부 71c: 제 2 나선부
72, 72': 부수기 부재 73g: 제 1 반송 부재 접촉부
73, 73': 제 1 부수기 부재 74, 74': 제 2 부수기 부재
74g: 제 2 반송 부재 접촉부 B: 중간 전사체
CLb: 중간 전사체 청소기
CLy, CLm, CLc, CLk: 상유지체 청소기
Gy, Gm, Gc, Gk: 현상 장치 PRy, PRm, PRc, PRk: 상유지체
T1y, T1m, T1c, T1k: 1차 전사기 T2: 최종 전사기
U: 화상 형성 장치

Claims (17)

  1. 현상제가 낙하하는 낙하로와,
    상기 낙하로에 접속되며, 현상제가 내부로 반송되는 현상제 반송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 내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 당해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제 반송로 내의 현상제가 반송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상기 낙하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의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부수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가 서로 접근,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로에 현상제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중력 방향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로를 낙하하는 현상제 및 상기 현상제 반송로를 반송된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내벽 부수기부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내벽 부수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는 서로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4. 현상제가 낙하하는 낙하로와,
    상기 낙하로에 접속되며, 현상제가 내부로 반송되는 현상제 반송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 내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 당해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제 반송로 내의 현상제가 반송되고, 소정 방향의 나선(螺旋)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1 나선부와는 역(逆)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2 나선부를 갖는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와,
    상기 낙하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의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나선부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나선부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부수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로에 현상제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중력 방향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로를 낙하하는 현상제 및 상기 현상제 반송로를 반송된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내벽 부수기부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내벽 부수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는 서로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는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의 사이, 또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의 바로 위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제 1 반송 부재 접촉부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제 2 반송 부재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반송 부재 접촉부 및 상기 제 2 반송 부재 접촉부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 및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왕복 운동하여, 현상제 반송 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9.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가 일체(一體)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선부의 나선을 따라 1회전한 경우의 축 방향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 2 나선부의 나선을 따라 1회전한 경우의 축 방향의 이동 거리와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11. 상유지체와,
    상기 상유지체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상유지체 표면의 가시상을 중간 전사체에 1차 전사하는 1차 전사기와,
    1차 전사 후의 상기 상유지체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회수하여 청소하는 상유지체 청소기와,
    상기 중간 전사체 표면의 가시상을 매체에 최종 전사하는 최종 전사기와,
    상기 중간 전사체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회수하여 청소하는 중간 전사체 청소기와,
    상기 중간 전사체 청소기에 의해 회수된 현상제가 낙하하여 반송되는 낙하로와,
    상기 낙하로에 접속되며, 상기 상유지체 청소기에 의해 회수된 현상제가 내부로 반송되는 현상제 반송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 내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 당해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제 반송로 내의 현상제가 반송되고, 소정 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1 나선부와는 역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2 나선부를 갖는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와,
    상기 낙하로와 상기 현상제 반송로의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나선부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나선부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부수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로에 현상제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중력 방향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로를 낙하하는 현상제 및 상기 현상제 반송로를 반송된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1 내벽 부수기부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낙하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제 2 내벽 부수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는 서로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 상방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는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의 사이, 또한 상기 배출구의 중력 방향의 바로 위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제 1 반송 부재 접촉부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제 2 반송 부재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반송 부재 접촉부 및 상기 제 2 반송 부재 접촉부는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 및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왕복 운동하여, 현상제 반송 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수기 부재와 상기 제 2 부수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선부의 나선을 따라 1회전한 경우의 축 방향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 2 나선부의 나선을 따라 1회전한 경우의 축 방향의 이동 거리와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045332A 2007-11-13 2008-05-16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72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4071A JP4525737B2 (ja) 2007-11-13 2007-11-13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7-00294071 2007-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521A KR20090049521A (ko) 2009-05-18
KR101072416B1 true KR101072416B1 (ko) 2011-10-11

Family

ID=4071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332A KR101072416B1 (ko) 2007-11-13 2008-05-16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25737B2 (ko)
KR (1) KR101072416B1 (ko)
CN (2) CN1014360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0680B2 (ja) * 2009-12-04 2014-07-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76263B2 (ja) * 2011-03-28 2015-09-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32182B2 (ja) * 2012-12-18 2017-05-24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6413679B2 (ja) * 2014-11-14 2018-10-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3264196B1 (en) * 2015-02-27 2020-10-28 C/o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US10866537B2 (en) * 2018-03-13 2020-12-15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having contact portion to contact a restriction member
CN116027647A (zh) * 2023-03-06 2023-04-28 江西凯利德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剂供应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2916A (en) * 1996-07-04 1998-09-22 Mita Industrial Co., Ltd. Conveyer device and toner cartridge equipped with conveyer device
JP3966639B2 (ja) * 1999-03-31 2007-08-2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記録装置
JP3706328B2 (ja) * 2001-10-24 2005-10-12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機の残留トナー回収装置
JP4259074B2 (ja) * 2002-09-17 2009-04-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037481A (ja) * 2003-07-16 2005-02-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4199613B2 (ja) * 2003-07-31 2008-12-17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4465226B2 (ja) * 2004-06-03 2010-05-1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217671B2 (ja) * 2004-08-06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7171469A (ja) * 2005-12-21 2007-07-0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22225A (ja) 2009-06-04
CN101436018A (zh) 2009-05-20
CN102169306A (zh) 2011-08-31
CN102169306B (zh) 2014-07-09
CN101436018B (zh) 2011-11-09
JP4525737B2 (ja) 2010-08-18
KR20090049521A (ko) 200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6824B2 (ja) 回収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883879B1 (ko) 현상제 반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KR101072416B1 (ko)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61104B1 (ko)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035723B2 (ja) トナー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000644B2 (en) Powder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90078B2 (en) Toner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5392024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398675A1 (en)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JP2010008606A (ja)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04800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50187A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654741B (zh) 显影剂供给装置
KR101058442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760939B2 (ja)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242418A (ja) 画像形成装置
JP359180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30491A (ja) 画像形成装置
JP3874921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142562A (ja) 画像形成装置
JP354729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212056A (ja) 電子写真装置
JP2016184046A (ja) 像保持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148765A (ja) 画像形成装置
JPH1022817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