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104B1 -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104B1
KR101061104B1 KR1020080056820A KR20080056820A KR101061104B1 KR 101061104 B1 KR101061104 B1 KR 101061104B1 KR 1020080056820 A KR1020080056820 A KR 1020080056820A KR 20080056820 A KR20080056820 A KR 20080056820A KR 101061104 B1 KR101061104 B1 KR 10106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developer
conveying member
conveyanc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9980A (ko
Inventor
히로시 하시노
아키히토 니시무라
다케오 후카이
유조 이치카와
마사루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9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27Au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반송 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현상제의 반송 방향이 변화되는 반송로의 접속부에서, 현상제의 막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회전하여 제 1 반송로(2)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제 1 반송 부재(4)와, 제 1 반송로(2)로부터 유입된 현상제가 반송되는 제 2 현상제 반송로(33)와, 회전하여 상기 제 2 반송로(33) 내의 현상제를 상기 제 1 반송 부재(4)의 반송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 2 반송 부재(36)와, 상기 제 1 반송로(2)와 상기 제 2 반송로(33)의 접속부(34)에 배치되어 현상제를 부수는 부수기부(41a)를 갖는 제 3 반송 부재(41)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반송 부재(41)는 상기 제 2 반송 부재(36)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 2 반송 부재(3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속부(34)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반송 부재(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1)이다.
Figure R1020080056820
반송로, 반송 부재, 접속부, 부수기부

Description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ER TRANS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방식을 적용한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보급용의 현상제나 회수된 폐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현상제 반송 장치에 관하여, 하기의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로서의 일본국 공개특허 평7-319245호 공보에는, 클리닝기(14)에 의해 회수된 현상제를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회수 스크루(22)와, 회수 스크루(22)에 의해 반송된 현상제가 낙하하는 낙하로(27)가 내부에 형성된 수직한 관부(菅部)(26a)와, 수직한 관부(26a)의 하단에 접속된 수평한 관부(26b)와, 수평한 관부(26b)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스크루(32)를 갖는 현상제 회수 장치(25)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낙하로(27)의 벽면에 부착되어 덩어리로 되고, 덩어리가 성장하여 낙하로(27)를 막히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 해, 낙하로(27)의 하부에, 상기 각 스크루(22, 32)와는 간극(間隙)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회전 구동하는 아지테이터(agitator)(29)를 배치함으로써, 현상제의 덩어리를 제거하고 있다.
특허문헌 2로서의 일본국 공개특허2003-131534호 공보에는, 중간 전사체(6)의 클리닝 기구(8)에 의해 제거된 잔류 토너를 잔류 토너 회수 용기(21)로 반송하는 잔류 토너 반송 기구(30)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현상제가 낙하하는 잔류 토너 낙하로(322, 332)와 반송로(310)의 합류 부분에서, 반송로(310) 내의 잔류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스크루(34)에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하거나 반송 스크루(34)가 마모되는 구체(球體)(37, 38)를 배치하고, 반송 스크루(34)의 회전에 의해, 반송 스크루(34)의 나선 날개(343)에 접촉하는 구체(37, 38)가 잔류 토너 낙하로(322, 332)에서 상하 운동함으로써, 나선 날개(343)에 부착된 현상제를 스크레이핑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평7-319245호 공보(「0002」∼「0003」, 「0018」∼「0025」, 도 1, 도 4)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2003-131534호 공보(「0014」∼「0021」, 도 2)
본 발명은 내부에 반송 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현상제의 반송 방향이 변화되는 반송로의 접속부에서, 반송 부재와 반송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현상제의 막힘을 저감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방안에 의하면,
현상제가 반송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1 반송로 내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상기 제 1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제 1 반송 부재와,
상기 제 1 반송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반송로로부터 유입된 현상제가 반송되는 제 2 현상제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 내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상기 제 2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 2 반송 부재와,
상기 제 1 반송 부재로부터의 구동을 수취(受取)하는 구동 수취부와,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의 접속부, 또한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 현상제를 부수는 부수기부를 갖는 제 3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반송 부재는,
상기 제 2 반송 부재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 2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속부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본 발명의 제 3 방안에 의하면,
선재(線材)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부수기부와, 상기 부수기부로부터 상기 제 1 반송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상기 구동 수취부를 갖는 상기 제 3 반송 부재와,
상기 구동 수취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 3 반송 부재에 회전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를 갖고,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나선의 내부에 상기 구동 수취부가 진입한 상태로 배치된 상기 제 1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방안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방안에 의하면,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나선부와, 상기 나선부로부터 상기 제 3 반송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상기 구동 전달부를 갖는 상기 제 1 반송 부재와,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부수기부와, 상기 구동 전달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구동을 수취하는 구동 수취부를 갖는 상기 제 3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방안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5 방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수취부에 의해, 상기 제 1 반송 부재에 의해 현상제가 반송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상기 제 3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방안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3 반송 부재의 상기 제 2 반송 부재 측의 단부(端部)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 2 반송 부재와 동일한 종류의 재료에 의해 구성된 접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방안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7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 주(周)속도와는 상이한 회전 주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제 2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방안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8 방안에 의하면,
잠상 유지체와, 상기 잠상 유지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장치와, 상기 잠상 유지체를 노광하여, 상기 잠상 유지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와, 현상제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와, 매체 표면에 상기 가시상을 전사하는 전사 장치, 및 전사 후의 상기 잠상 유지체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를 포함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와,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된 배출 현상제가 반송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1 반송로 내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상기 제 1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제 1 반송 부재와,
상기 제 1 반송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반송로로부터 유입된 현상제가 반송되는 제 2 현상제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 내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상기 제 2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 2 반송 부재와,
상기 제 1 반송 부재로부터의 구동을 수취하는 구동 수취부와,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의 접속부, 또한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 현상제를 부수는 부수기부를 갖는 제 3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반송 부재는,
상기 제 2 반송 부재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 2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속부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 9 방안에 의하면,
상기 배출 현상제가 상기 클리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 10 방안에 의하면,
상기 배출 현상제가 상기 현상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 11 방안에 의하면,
상기 배출 현상제가 상기 클리닝 장치 및 상기 현상 장치의 양쪽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 12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 13 방안에 의하면,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부수기부와, 상기 부수기부로부터 상기 제 1 반송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상기 구동 수취부를 갖는 상기 제 3 반송 부재와,
상기 구동 수취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 3 반송 부재에 회전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를 갖고,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나선의 내부에 상기 구동 수취부가 진입한 상태로 배치된 상기 제 1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 14 방안에 의하면,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나선부와, 상기 나선부로부터 상기 제 3 반송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상기 구동 전달부를 갖는 상기 제 1 반송 부재와,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부수기부와, 상기 구동 전달부에 지지되 어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구동을 수취하는 구동 수취부를 갖는 상기 제 3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 15 방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수취부에 의해, 상기 제 1 반송 부재에 의해 현상제가 반송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제 3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 16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3 반송 부재의 상기 제 2 반송 부재 측의 단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 2 반송 부재와 동일한 종류의 재료에 의해 구성된 접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 17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 주속도와는 상이한 회전 주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제 2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 1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부에 반송 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현상제의 반송 방향이 변화되는 반송로의 접속부에서, 반송 부재와 반송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현상제의 막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부에 반송 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현상제의 반송 방향이 변화되는 반송로의 접속 부에서, 반송 부재와 반송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현상제의 막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방안에 의하면, 제 1 반송 부재의 내부에 진입한 구동 수취부에서 제 3 반송 부재의 왕복 운동의 안내를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접속부 내에서 제 3 반송 부재를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방안에 의하면, 제 3 반송 부재의 내부에 진입한 구동 전달부에서 제 3 반송 부재의 왕복 운동의 안내를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접속부 내에서 제 3 반송 부재를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제 3 반송 부재를 제 1 반송 부재에 의해 현상제가 반송되는 방향을 따라 확실하게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접촉 부재와 제 2 반송 부재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제 3 반송 부재와 제 2 반송 부재의 동일한 위치가 반복 접촉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특정한 위치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방안에 의하면, 내부에 반송 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가시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된 현상제의 반송 방향이 변화되는 반송로의 접속부에서, 현 상제의 막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막힘에 의한 배출 불량이나, 배출 불량에 따른 화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방안에 의하면, 내부에 반송 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클리닝 장치로부터 배출된 현상제의 반송 방향이 변화되는 반송로의 접속부에서, 현상제의 막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막힘에 의한 배출 불량이나, 배출 불량에 따른 화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방안에 의하면, 내부에 반송 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현상 장치로부터 배출된 현상제의 반송 방향이 변화되는 반송로의 접속부에서, 현상제의 막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막힘에 의한 배출 불량이나, 배출 불량에 따른 화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방안에 의하면, 내부에 반송 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클리닝 장치 및 현상 장치로부터 배출된 현상제의 반송 방향이 변화되는 반송로의 접속부에서, 현상제의 막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막힘에 의한 배출 불량이나, 배출 불량에 따른 화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부에 반송 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현상제의 반송 방향이 변화되는 반송로의 접속부에서, 반송 부재와 반송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현상제의 막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방안에 의하면, 제 1 반송 부재의 내부에 진입한 구동 수취부에서 제 3 반송 부재의 왕복 운동의 안내를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접속부 내에서 제 3 반송 부재를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방안에 의하면, 제 3 반송 부재의 내부에 진입한 구동 전달부에서 제 3 반송 부재의 왕복 운동의 안내를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접속부 내에서 제 3 반송 부재를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제 3 반송 부재를 제 1 반송 부재에 의해 현상제가 반송되는 방향을 따라 확실하게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접촉 부재와 제 2 반송 부재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7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제 3 반송 부재와 제 2 반송 부재의 동일한 위치가 반복 접촉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특정한 위치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체예인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쪽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右方), 좌방(左方), 상방, 하방, 또는 앞쪽, 뒤쪽, 오른쪽, 왼쪽, 위쪽, 아래쪽이라고 한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紙面)의 이면(裏面)으로부터 표면(表面)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절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U)는 상면(上面)에 투명한 원고대(PG)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의 복사기(U1)와, 상기 원고대(PG)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는 복사하려고 하는 복수의 원고(Gi)에 겹쳐 수용되고, 복사 위치로 급지하는 원고 급지부(TG1)를 갖고 있다. 상기 원고 급지부(TG1)에 수용된 복수의 각 원고(Gi)는 차례로 원고대(PG) 상의 복사 위치를 통과하여 원고 배지부(TG2)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사기(U1)는 조작자가 지시를 입력하는 동작 지시 입력부(U0)와, 상기 원고대(PG)의 하방에 차례로 배치된 화상 판독부(U1a) 및 화상 기록부(U1b)와, 상기 화상 판독부(U1a) 또는 화상 기록부(U1b)에 설치된 화상 처리부(GS)를 갖고 있 다.
복사기(U1) 상면의 투명한 원고대(PG)의 하방으로 배치된 원고 판독 장치로서의 화상 판독부(U1a)는 화상 판독 위치에 배치된 판독 위치 검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플래튼 레지스터 센서(Sp), 및 노광 광학계(A)를 갖고 있다.
상기 노광 광학계(A)는 그 이동 및 정지가 판독 위치 검출 부재(Sp)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시(常時)는 기준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를 사용하여 복사를 행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작업 시에는, 상기 노광 광학계(A)는 기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원고대(PG) 상의 복사 위치(F1)를 차례로 통과하는 각 원고(Gi)를 노광한다.
원고(Gi)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원고대(PG) 상에 놓아 복사를 행하는 원고대 판독 작업 시에는, 노광 광학계(A)는 이동하면서 원고대(PG) 상의 원고를 노광 주사한다.
노광된 상기 원고(Gi)로부터의 반사광은 상기 노광 광학계(A)를 통과하여 고체 촬상 소자인 CCD 상에 수속된다. 상기 CCD는 그 촬상면 상에 수속된 원고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GS)는 상기 화상 판독부(U1a)의 CCD로부터 입력된 판독 화상 신호를 디지털의 화상 기입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기록부(U1b)의 레이저 구동 신호 출력 장치(DL)로 출력한다.
상기 레이저 구동 신호 출력 장치(DL)는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 구동 신호를, 화상 기입 장치의 일례로서의 노광 장치(ROS)로 출력한다.
상기 노광 장치의 하방에 배치된 잠상 유지체인 감광체(PR)는 화살표 Ya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감광체 드럼(PR)의 표면은 대전 영역(Q0)에서 대전기(CR)에 의해 대전된 후, 잠상 기입 위치(Q1)에서 상기 노광 장치(ROS)의 잠상 기입 광의 일례로서의 레이저빔(L)에 의해 노광 주사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PR) 표면은 회전 이동하여 현상 영역(Q2), 전사 영역(Q3)을 차례로 통과한다.
상기 현상 영역(Q2)에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G)는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현상 부재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RO)에 의해 현상 영역(Q2)으로 반송하고, 상기 현상 영역(Q2)을 통과하는 정전잠상을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상으로 현상한다. 상기 감광체(PR) 표면의 토너상은 상기 전사 영역(Q3)으로 반송된다. 상기 감광체(PR), 대전기(CR), 노광 장치(ROS), 현상기(G) 등에 의해, 가시상을 형성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U3)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현상기(G)에서 소비되는 현상제를 보급하기 위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카트리지(K)는 카트리지 장착 부재(KS)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K)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수용 용기(RT)에서 교반되면서 반송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RT)에 배치된 현상제 반송 장치(GH)에 의해 현상기(G)로 반송된다. 또한, 실시예 1의 현상기(G)에서는,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고 있고, 현상기(G)에는, 현상제 카트리지(K)로부터는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가 보급되는 동시에, 열화된 현상제가 조금씩 배출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새로운 현상제를 보급하면서, 열화된 현상제를 조금 씩 배출하는 현상기는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2005-208340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공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사 영역(Q3)에서 상기 감광체(PR)에 대향하여 배치된 전사 유닛(TU)은 구동 롤(Rd) 및 종동 롤(Rf)을 갖는 벨트 지지 부재(Rd, Rf)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사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사 벨트(TB),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TR) 및 박리 클로(claw)(SC), 현상제 회수기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 등을 갖고 있다. 전사 롤(TR)은 감광체(PR) 표면의 토너상을 매체의 일례로서의 시트(S)에 전사하는 부재이고, 현상기(G)에서 사용되는 현상용 토너의 대전 극성과 역(逆)극성의 전사 전압이 전원 회로(E)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전원 회로(E)는 제어 수단의 일례로서의 컨트롤러(C)에 의해 제어된다.
급지 용기(TR1∼TR4)에 수용된 시트(S)는 시트 공급로(SH1)에 의해 상기 전사 영역(Q3)으로 반송된다. 즉, 상기 각 급지 용기(TR1∼TR4)에 수용된 시트(S)는 매체 취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픽업 롤(Rp)에 의해 취출되고, 핸들링 부재의 일례로서의 핸들링 롤(Rs)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복수의 반송 부재(Ra)에 의해 전사 영역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로 반송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장착 부재(KS) 및 현상제 수용 용기(RT)의 좌방(左方)에는, 수동 급지 부재의 일례인 수동 급지부(TRt)가 설치되어 있고, 수동 급지부(TRt)로부터 급지된 시트(S)도 소정의 전사 영역(Q3)으로 반송된다.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수동 급지부(TRt)는 회전 중심(TRt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 급지 부(TRt)가 화상 형성 장치(U)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수동 급지부(TRt)의 회전 중심(TRt0) 측의 일부(TRt1)가 카트리지 장착 부재(KS)의 하방, 또한 현상제 수용 용기(RT)의 좌방의 공간에 진입한 상태로 수용되고, 화상 형성 장치(U) 전체가 공간 절약으로 컴팩트화된 상태에서 수동 급지부(TRt)가 수용된다.
상기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 시트(S)는 상기 감광체(PR) 상의 토너상이 전사 영역(Q3)으로 이동하는 데 타이밍을 맞춰,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사 전(前) 시트 가이드(SG1)로부터 전사 유닛(TU)의 전사 벨트(TB)로 반송된다. 전사 벨트(TB)는 반송된 시트(S)를 시트 전사 영역(Q3)으로 반송한다.
상기 감광체(PR) 표면에 현상된 토너상(Tn)은 상기 전사 영역(Q3)에서, 전사 롤(TR)에 의해 시트(S)에 전사된다. 전사 후, 감광체(PR) 표면은 현상제 회수기의 일례로서의 클리닝 장치인 감광체 클리너(CLp)의 현상제 제거 부재의 일례로서의 클리닝 브러시(CLp1)에 의해 클리닝되어 잔류 토너가 제거된다. 상기 클리닝 브러시(CLp1)에 의해 제거된 잔류 토너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감광체용 토너 반송 부재(CLp2)에 의해 반송된다. 표면이 클리닝된 감광체(PR) 표면은 상기 대전기(CR)에 의해 재대전된다.
전사 영역(Q3)에서 전사 롤(TR)에 의해 토너상이 전사된 상기 시트(S)는 전사 영역(Q3)의 하류 측의 박리 클로(SC)에 의해 전사 벨트(TB) 표면으로부터 박리된다. 시트(S)가 박리된 전사 벨트(TB)의 표면은 벨트 클리너(CLb)의 현상제 제거 부재의 일례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CLb1)에 의해 클리닝된다. 클리닝 블레이드(CLb1)에 의해 제거된 토너나 종이 부스러기, 방전 생성물 등은 현상제 반송 부 재의 일례로서의 벨트용 토너 반송 부재(CLb2)에 의해 반송된다.
박리된 시트(S)는 가열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 및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을 갖는 정착기(F)에 의해 토너상이 가열 정착된 후 탄성 시트제(製)의 반송로 전환 부재(MG)를 통과하여 배출로(SH2)의 정역(正逆) 회전할 수 있는 반송 부재(Rb)로 반송된다. 반송로 전환 부재(MG)은 탄성 변형되어, 정착기(F)를 통과한 시트(S)를 배출로(SH2)를 향하게 한다.
배지부(TRh)에 배출되어야 할 시트(S)는 정역 회전할 수 있는 반송 부재(Rb) 및 복수의 반송 부재(Ra)가 배치된 배출로(SH2)를 반송된다. 배출로(SH2)의 하류 단부(端部)에는 후처리 전환 부재(GT1)가 배치되어 있다. 후처리 전환 부재(GT1)는 화상 형성 장치(U)에 후처리 장치(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반송된 시트(S)를 배지부(TRh) 또는 후처리 장치(도시 생략) 중 어느 하나로 배출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처리 전환 부재(GT1)는 배출로(SH2)의 하류 단부로 반송된 시트(S)를, 배지부(TRh)로 배출한다.
상기 정역 회전할 수 있는 반송 부재(Rb)는 양면 인쇄를 행하기 위한 편면(片面) 기록 완료 시트가 반송된 경우에는, 편면 기록 완료 시트(S)의 후단(後端)이 반송 부재(Rb)를 통과하기 직전에 역회전하고, 상기 편면 기록 완료 시트(S)를 이제까지와는 역방향으로 반송, 소위 스위치백시킨다. 상기 반송로 전환 부재(MG)는 상기 반송 부재(Rb)에 의해 스위치백한 시트(S)를 순환 반송로(SH3)를 향하게 한다. 순환 반송로(SH3)로 반송된 편면 기록 완료 시트(S)는 표리 반전된 상태에 서 상기 전사 영역(Q3)으로 재송(再送)된다. 상기 전사 영역(Q3)으로 재송된 편면 기록 완료 시트(S)는 2면째에 토너상이 전사된다.
또한, 상기 부호 SH1∼SH3, Rp, Rs, Rr, Ra, Rb, MG 등으로 나타낸 구성요소로 용지 반송 장치(SH)가 구성된다.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실시예 1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도 6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1)는 좌측 상방으로부터 우측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중공(中空) 통 형상의 제 1 반송로 형성 부재(2)를 갖는다. 상기 제 1 반송로 형성 부재(2)는 복사기(U1) 본체(도시 생략)의 뒤쪽에 설치된 고정부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피(被)고정부(2a)를 복수 갖는다. 상기 제 1 반송로 형성 부재(2)의 좌측 상부에는, 제 1 낙하로 접속부(2b)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반송로 형성 부재(2)의 중앙부에는, 제 2 낙하로 접속부(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반송로 형성 부재(2)의 내부에는, 제 1 반송로의 일례로서, 제 1 폐(廢) 토너 반송로(2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폐 토너 반송로(2d)에는, 제 1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 선 재(線材)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형성된 코일 오거(coil auger)(4)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코일 오거(4)는 금속제의 선재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고, 코일 오거(4)의 하단부는 제 1 폐 토너 반송로(2d)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코일 오거(4)의 좌측 상단은 베어링을 통하여 제 1 반송로 형성 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반송 부재 단부 지지 부재(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반송 부재 단부 지지 부재(6)에는 피구동 기어(7)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 1 반송로 형성 부재(2)의 좌측 상단부에는, 구동 장치의 일례로서의 구동 모터(8)가 고정 지지되어 있고, 구동 모터(8)의 구동축(8a)에 지지된 구동 기어(9)가 상기 피구동 기어(7)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8)의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9), 피구동 기어(7)를 통하여 코일 오거(4)가 회전하고, 제 1 폐 토너 반송로(2d) 내의 현상제가 좌측 상방으로부터 우측 하방을 향하여 반송된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낙하로 접속부(2b)에는, 제 1 낙하로 형성 부재(11)가 나사(12)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 1 낙하로 형성 부재(11)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폐 토너 반송로(2d)에 접속하는 낙하로의 일례로서의 제 1 낙하로(11a)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낙하로(11a)의 상단부에는, 현상제 낙하구의 일례로서의 제 1 현상제 낙하구(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현상제 낙하구(11b)에는, 현상기(G)로부터 조금씩 배출되는 배출 현상제를 반송하는 배출 현상제 반송 부재(도시 생략)가 관통한다. 따라서, 현상기(G)로부터 배출된 배출 현상제는 현상제 낙하구(11b)로부터 제 1 낙하로(11a)로 반송되고, 제 1 낙하로(11a)를 낙하한 현상제는 제 1 폐 토너 반송로(2d)로 유입된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제 2 낙하로 접속부(2c)에는, 응집 방지 부재(16)가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응집 방지 부재(16)는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한 판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 2 낙하로 접속부(2c)의 좌측 상면에 지지되는 피고정부(17)에 의해 캔틸레버(cantilever)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응집 방지 부재(16)의 중앙부는 코일 오거(4)의 양측에서 제 2 낙하로 접속부(2c)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어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레이핑부(20)를 갖고, 우측 단부에는 선단(先端) 접촉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 형상의 코일 오거(4)의 나선의 내측에 잠입하도록 배치되며, 코일 오거(4)의 회전에 따라, 선단 접촉부(21)가 코일 오거(4)에 간헐적으로 접촉하여 튕겨지고, 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하여 내벽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스크레이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도 6에 있어서, 상기 제 2 낙하로 접속부(2c)에는, 제 2 낙하로 형성 부재(26)가 나사(27)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제 2 낙하로 형성 부재(26)의 상단부에는, 현상제 낙하구의 일례로서의 제 2 현상제 낙하구(2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현상제 낙하구(26a)에는 상기 감광체용 토너 반송 부재(CLp2)의 후단부가 관통한다. 상기 제 1 현상제 낙하구(26a)의 하방에는,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낙하로 연직 내벽(26b)과 좌측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어 낙하로 경사 내벽(26c)을 갖고, 상기 낙하로 연직 내벽(26b)과 낙하로 경사 내벽(26c) 등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낙하로의 일례로서의 제 2 낙하로(26d)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제 2 낙하로 형성 부재(26)는 하방으로 갈 수록 낙하로 연직 내벽(26b)과 낙하로 경사 내벽(26c)의 간격이 넓어지고 있고, 제 2 낙하로(26d)가 소위, 말단이 넒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응집 방지 부재(16)는 말단이 넓은 제 2 낙하로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현상제 낙하구(26a)의 연직 하방에는 상기 띠 형상 스크레이핑부(20b)나 응집 방지 부재 선단부(2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용 토너 반송 부재(CLp2)에 의해 제 2 현상제 낙하구(26a)로 반송된 현상제는 상기 제 2 낙하로(26d)를 낙하하여, 제 1 폐 토너 반송로(2d)로 반송된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제 2 낙하로 형성 부재(26)의 우측 부위에는, 제 3 현상제 낙하구(26e)가 형성되어 있고, 제 3 현상제 낙하구(26e)에는 벨트용 토너 반송 부재(CLb2)의 후단부가 관통하고 있다. 상기 제 3 현상제 낙하구(26e)의 하방에는, 낙하로의 일례로서의 제 3 낙하로(26f)가 형성되어 있고, 벨트용 토너 반송 부재(CLb2)에 의해 제 3 현상제 낙하구(26e)로 반송된 현상제는 제 3 낙하로(26f)를 낙하하여 제 1 폐 토너 반송로(2d)로 반송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전체 사시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의 접속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반송 부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1)는 제 1 반송로 형성 부재(2)의 하단부에는, 제 2 반송로 형성 부재(31)가 접속되어 있고, 제 2 반송로 형성 부재(31)의 전단(前端)은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가 연결되어 있다. 도 7, 도 8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로 형성 부재(31)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까지 연장되는 제 2 반송로의 일례로서의 제 2 폐 토너 반송로(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폐 토너 반송로(33)의 상류 단부에는, 접속부의 일례로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폐 토너 반송로(2d)에 접속되는 접속로(34)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로(34)는 제 1 폐 토너 반송로(2d) 및 제 2 폐 토너 반송로(33)와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접속로(34)와 제 1 폐 토너 반송로(2d)를 일체(一體)의 부재로 구성거나, 또는 접속로(34)와 제 2 폐 토너 반송로(33)를 일체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폐 토너 반송로(33)의 내부에는, 제 2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반송 오거(36)가 배치되어 있다. 도 8, 도 9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반송 오거(36)는 회전축(36a)과, 상기 회전축(36a)의 외주(外周)에 지지된 나선 형상의 반송 날개(36b)를 갖고, 소위 오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반송 오거(36)는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6a)의 후단부는 베어링(37)에 의해 제 2 반송로 형성 부재(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후단에는 최종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풀리(pulley)(38)가 지지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상기 풀리(38)에는, 중간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구동 벨트(39)가 장착되어 있고, 정착 장치(F)의 구동원(도시 생략)으로부터의 구동이 구동 벨트(39)를 통하여 풀리(38)로 전달되어, 반송 오거(36)가 회전한다.
도 10은 실시예 1의 제 3 반송 부재의 사시 설명도이고, 도 10의 (a)는 제 3 반송 부재의 전체 사시도, 도 10의 (b)는 접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구동 전달부 및 구동 수취부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8, 도 9에 있어서, 상기 접속로(34) 내부에는, 제 3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가 배치되어 있다. 도 9, 도 10에 있어서, 상기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는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현상제를 부수는 부수기부의 일례로서의 나선부(41a)와, 구동 수취부의 일례로서 상기 나선부(41a)로부터 코일 오거(4) 측으로 돌출하여 꺾쇠 형상으로 형성된 훅부(41b)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나선부(41a) 및 훅부(41b)는 금속제의 선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훅부(41b)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방 연장부(41b1)를 갖는다. 상기 상방 연방부(41b1)의 상단에는, 훅부(41b)를 코일 오거(4)의 나선의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역 V자형으로 꺾여 형성된 꺽임부(41b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꺽임부(41b2)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 이음새의 일례로서의 하방 연장부(41b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방 연장부(41b3)의 하단에는, 나선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구부러진 형상으로,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코일 오거(4)의 감기 간극에 삽입되어 얽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절곡부(折曲部)(41b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방 연장부(41b1)와 하방 연장부(41b3) 사이의 간격은 코일 오거(4)의 내부 직경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꺽임부(41b2)를 하방으로부터 코일 오거(4)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각 연장부(41b1, 41b3)를 나선 형상의 코일 오거(4)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11에 있어서, 상기 코일 오거(4)의 하단에는, 구동 전달부의 일례로서, 코일 오거(4)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4a)가 형성되어 있고, 절곡부(4a)에 훅부(41b)의 하방 연장부(41b3)가 걸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에서는, 절곡부(4a)와 하방 연장부(41b3)의 연결에 의해, 코일 오거(4)의 회전이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로 전달되어 회전 가능하고, 또한 하방 연장부(41b3)와 절곡부(4a)의 접촉 위치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도 12는 반송로와 제 3 반송 부재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8∼도 12에서 상기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의 나선부(41a)의 하단에는, 접촉 부재의 일례로서의 컬러(curler)(42)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컬러(42)는 원환(圓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선부(41a)의 외부 직경과 거의 동형(同形)으로 형성된 하단의 대경부(大徑部)(42a)와, 대경부(42a)의 상방에 형성되고, 또한 대경부(42a)보다 작은 직경의 소경부(小徑部)(42b)와, 소경부(42b)의 상방에 형성되고, 또한 소경부(42b)보다 큰 직경이면 나선부(41a)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중경부(中徑部)(42c)를 갖는다. 상기 소경부(42b)에는, 나선부 고정부의 일례로서의 나선부 고정 구멍(42b1)이 형성되어 있고, 나선부(41a)의 하단이 관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컬러(42)는 반송 오거(36)와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저감하기 위해, 반송 오거(36)와 마찬가지로,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42)의 하면은 반송 오거(36)의 반송 날개(36b)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고, 반송 오거(36)의 회전에 따라, 반송 날개(36b)와 컬러(42)의 접촉 위치가 변동함으로써, 컬러(42)가 상하 방향으로 주기적인 왕복 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가 상하 방향, 즉 코일 오거(4)에 의한 현상제의 반송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
또한, 도 8, 도 9, 도 12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는 상하의 왕복 운동이나 회전 시에 경사지는 경우가 있고, 예를 들어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의 꺽임부(41b2)가 코일 오거(4)의 나선의 선재 사이에 진입하여,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게 되는, 소위 록(rock)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41b1, 41b3)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코일 오거의 나선에 대하여 나선의 2바퀴, 즉 2피치 이상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 방향의 길이는 2바퀴 이상에 대응하는 길이이면 임의의 길이로 설정할 수 있지만,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의 상하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의 범위나 제조, 장착을 고려하여 6바퀴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41a)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a로 하고, 상기 접속로(34)의 내면과 나선부(41a)의 외면의 최대 간극을 b로 한 경우에, b/a=tanθ=0.0345 이하로 하면,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가 접속로(34) 내에서 쓰러지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고,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가 접속 로(34)에 극단적으로 특정한 위치에서 접촉하는 것, 소위 편접촉이 방지되는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기 때문에, tanθ=0.0345 이하로 설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1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1)에서는, 상기 코일 오거(4)의 회전 주(周)속도는 상기 반송 오거(42)의 회전 주속도와는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고, 코일 오거(4)와 반송 오거(42)의 회전 주속도가 동기(同期)하여 컬러(42)와 반송 날개(36b)가 동일한 위치에서만 접촉하는 것이 저감되고 있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U)의 작동에 의해,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1)가 작동하면, 코일 오거(4)나 반송 오거(36)가 회전하여, 현상기(G)나 감광체 클리너(CLp),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회수된 현상제나 종이 부스러기 등이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로 반송된다. 상기 코일 오거(4)의 회전에 따라, 절곡부(4a)와 하방 연장부(41b3)의 연결에 의해, 코일 오거(4)의 회전이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로 전달되어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가 회전한다. 또한, 상기 반송 오거(36)의 회전에 따라, 나선 형상의 반송 날개(36b)와 컬러(42)의 접촉 위치가 변동함에 따라, 컬러(4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동시에, 나선 형상으로 감겨서 형성되어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신축된다.
도 13은 실시예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구성의 설명도이고, 도 13의 (a)는 현상제가 반송되기 전의 상태의 설명도, 도 13의 (b)는 현상제가 반송로 의 내벽면 상부에 차양(庇) 형상으로 부착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의 (c)는 차양 형상으로 부착된 상부에 현상제가 퇴적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의 (d)는 도 13의 (c)의 상태로부터 현상제가 더 퇴적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O1)에서는, 코일 오거(O2)와 반송 오거(O3) 사이에는 간극이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3의 (a), 도 13의 (b)에 있어서, 현상제가 반송되면, 접속부(O1)에서, 반송 오거(O3)에서는, 회전축(O3a)의 외주(外周)에 지지된 나선 형상의 반송 날개(O3b)의 회전 반경의 내측 부분의 현상제가 반송되고, 반송 날개(O3b)의 회전 반경의 외측 상부의 반송되지 않은 현상제(O6)는 접속부(O1)의 내벽면에 부착되고, 차양 형상으로 돌출된다. 통상으로는, 현상제(O6)가 차양 형상으로 돌출되도, 화상 형성 장치 작동 시의 진동이나 중력에 의해 차양의 내측 선단 부분이 아래로 드리워지고, 회전 반경 내로 이동하여, 반송 오거(O3)에 의해 반송된다. 그러나, 차양 형상의 현상제(O6)가 형성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부재의 교환이나 매체의 보충을 위해 급지 용기가 인출되거나 밀어넣어져, 화상 형성 장치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접속부(O1)의 상방의 벽면에 부착된 현상제가 낙하하여 차양 형상의 현상제(O6)의 상방에 퇴적하여,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오거(O2)와 반송 오거(O3) 사이의 간극에 현상제층(O7)을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잠시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룻밤 방치되면, 현상제층(O7)의 현상제가 차가워져 굳어지고, 부수기 어려워진다. 이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가 작 동하면, 현상제층(O7)이 부서지지 않고, 현상제층(O7)의 상방에 코일 오거(O2)에 의해 반송된 현상제가 퇴적되고, 접속부(O1)에서 현상제의 막힘이 발생하여, 청소 불량에 의해 화상 불량이 야기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코일 오거(O2)와, 반송 오거(O3) 사이의 간극에,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가 배치되어 있고, 차양 형상으로 부착되려고 하는 현상제가 부서져 하방으로 반송되어, 반송 오거(36)로 반송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정지 중의 급지 용기(TR1∼TR4)의 삽발(揷拔)에 의해, 현상제가 낙하해도, 다음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1)의 구동 시에,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에 의해 퇴적된 현상제가 부서져 하방으로 반송되고, 반송 오거(36)에 의해 반송된다. 즉, 접속로(34)에서, 현상제의 막힘의 발생이 방지된다.
[실시예 2]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제 3 반송 부재의 사시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제 3 반송 부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명을 행하지만, 이 실시예 2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있어서, 현상제 반송 장치의 실시예 2로서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1)에서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 3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왕복 회 전 반송 부재(41')에는 훅부가 설치되지 않고, 제 1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코일 오거(4')에, 나선부(4b)와, 구동 전달부의 일례로서 나선부(4b)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4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훅부(4c)는 실시예 1의 훅부(41b)의 상방 연장부(41b1), 꺽임부(41b2), 연결 이음새의 일례로서의 하방 연장부(41b3) 및 절곡부(41b4)가 상하 대칭으로 배치된 하방 연장부(4c1), 꺽임부(4c2), 연결 이음새의 일례로서의 상방 연장부(4c3) 및 절곡부(4c4)를 갖는다.
또한, 이에 따라, 실시예 1의 코일 오거(4)에 설치되어 있던 절곡부(4a)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절곡부가 실시예 2에서는,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의 상단에 구동 수취부의 일례로서의 절곡부(41c)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41c)와 상방 연장부(4c3)의 연결에 의해,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는 코일 오거(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코일 오거(4')의 회전이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1)에서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장치(U)의 작동 시에, 코일 오거(4') 및 반송 오거(36)가 회전하여, 왕복 회전 반송 부재(41')가 접속부(34) 내에서, 회전 및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을 하여, 현상제를 부수면서 하방으로 반송된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 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H09)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복사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AX나 프린터 또는 이들 전부 또는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모노크롬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컬러(color)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현상제 반송 장치로서, 폐기되는 현상제를 반송하는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현상제가 낙하하여 반송되는 낙하로를 갖는 임의의 현상제 반송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신규 현상제를 현상기(G)에 보급하는 보급용의 현상제 반송 장치나, 클리너 등에 의해 회수된 현상제를 현상기(G)에서 재사용할 경우의 회수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반송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 형상의 현상제 반송 부재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과 회전축에 반송 날개가 고정된 반송 부재를 갖는 현상제 반송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반송 부재로서 회전축(36a)과 반송 날개(36b)를 갖는 반송 오거(36)를 예시했지만, 코일 스프링 형상의 반송 부재로 할 수도 있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응집 방지 부재(16)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할 수 있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코일 오거를 반송 오거(36)에 접촉할 때까지 연장하는, 즉 제 3 반송 부재와 제 1 반송 부재를 일체화 하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지만, 코일 오거를 연장하면, 제조 상의 공차(公差)가 문제가 되고, 코일 오거의 길이가 짧으면, 코일 오거와 반송 오거(36)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도 13에 나타낸 현상제의 퇴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코일 오거가 길면, 코일 오거가 반송 오거(36)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발생하여, 코일 오거(36)가 마모되기 때문에, 제 1 반송 부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3 반송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실시예 중에서 예시한 각 수치나 재료는 실시예에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설계나 사양(仕樣)의 변경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수치나 재료로 변경할 수 있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코일 오거와 왕복 회전 반송 부재의 연결은 연장부(41b3, 4c3)와, 절곡부(4a, 41c)의 연결에 의해 행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와이어끼리를 걸거나, 얽는 등, 접속부에서 왕복 운동을 하여 현상제를 부수면서 반송할 수 있는 연결 구조이면, 임의의 연결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오거 및 왕복 회전 반송 부재와는 별체의 구동 전달용의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고, 연결 부재의 형상도 와이어를 가공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H08)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반송로(2)의 하류단 및 접속부(34)가 중력 방향을 따라 설정되고, 제 2 반송로(33)가 수평 방향으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반송로, 제 2 반송로, 접속부는 비스듬히 경사지는 등의 임의의 방향으로 할 수 있다.
(H09) 상기 실시예에서, 꺽임부(41b2, 4c2)의 형상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실시예 1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전체 사시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의 폐기 현상제 반송 장치의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의 접속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 설명도.
도 9는 반송 부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1의 제 3 반송 부재의 사시 설명도이고, 도 10의 (a)는 제 3 반송 부재의 전체 사시도, 도 10의 (b)는 접촉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실시예 1의 구동 전달부 및 구동 수취부의 확대 설명도.
도 12는 반송로와 제 3 반송 부재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구성의 설명도이고, 도 13의 (a)는 현상제가 반송되기 전의 상태의 설명도, 도 13의 (b)는 현상제가 반송로 의 내벽면 상부에 차양 형상으로 부착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의 (c)는 차양 형상으로 부착된 상부에 현상제가 퇴적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의 (d)는 도 13의 (c)의 상태로부터 현상제가 더 퇴적된 상태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제 3 반송 부재의 사시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9에 대응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현상제 반송 장치 2: 제 1 반송로
4, 4': 제 1 반송 부재 4a, 41c: 구동 수취부
4b: 나선부 33: 제 2 현상제 반송로
34: 접속부 36: 제 2 반송 부재
41, 41': 제 3 반송 부재 41a: 나선부
41b, 4c: 구동 전달부 42: 접촉 부재
S: 매체 U: 화상 형성 장치
U3: 가시상 형성 장치

Claims (17)

  1. 현상제가 반송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1 반송로 내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상기 제 1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제 1 반송 부재와,
    상기 제 1 반송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반송로로부터 유입된 현상제가 반송되는 제 2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 내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상기 제 2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 2 반송 부재와,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 간의 접속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반송 부재로부터의 구동을 수취(受取)하는 구동 수취부와,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 현상제를 부수는 부수기부를 갖는 제 3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반송 부재는 상기 구동 수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을 상기 구동 수취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반송 부재는,
    상기 제 2 반송 부재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 2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속부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 수취부가 수취한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 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기부는 선재(線材)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 수취부는 상기 부수기부로부터 상기 제 1 반송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반송 부재는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나선의 내부에 상기 구동 수취부가 진입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구동 수취부를 지지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취부에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 부재는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나선부를 갖고,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나선부로부터 상기 제 3 반송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부수기부는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 수취부는 상기 구동 전달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구동을 수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반송 부재의 상기 구동 수취부는 상기 제 1 반송 부재에 의해 현상제가 반송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반송 부재의 상기 제 2 반송 부재 측의 단부(端部)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 2 반송 부재와 동일한 종류의 재료에 의해 구성된 접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 부재는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 주(周)속도와는 상이한 회전 주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장치.
  8. 잠상 유지체와, 상기 잠상 유지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장치와, 상기 잠상 유지체를 노광하여, 상기 잠상 유지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와, 현상제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와, 매체 표면에 상기 가시상을 전사하는 전사 장치, 및 전사 후의 상기 잠상 유지체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를 포함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와,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된 배출 현상제가 반송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1 반송로 내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상기 제 1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제 1 반송 부재와,
    상기 제 1 반송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반송로로부터 유입된 현상제가 반송되는 제 2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 내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상기 제 2 반송로 내의 현상제를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 2 반송 부재와,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 간의 접속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반송 부재로부터의 구동을 수취하는 구동 수취부와,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 현상제를 부수는 부수기부를 갖는 제 3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반송 부재는 상기 구동 수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을 상기 구동 수취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반송 부재는,
    상기 제 2 반송 부재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 2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속부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 수취부가 수취한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현상제가 상기 클리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현상제가 상기 현상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 상 형성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현상제가 상기 클리닝 장치 및 상기 현상 장치의 양쪽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기부는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 수취부는 상기 부수기부로부터 상기 제 1 반송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반송 부재는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나선의 내부에 상기 구동 수취부가 진입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구동 수취부를 지지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취부에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 부재는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나선부를 갖고,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나선부로부터 상기 제 3 반송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부수기부는 선재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 수취부는 상기 구동 전달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구동을 수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반송 부재의 상기 구동 수취부는 상기 제 1 반송 부재에 의해 현상제가 반송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반송 부재의 상기 제 2 반송 부재 측의 단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 2 반송 부재와 동일한 종류의 재료에 의해 구성된 접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 부재는 상기 제 1 반송 부재의 회전 주속도와는 상이한 회전 주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056820A 2007-11-14 2008-06-17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61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5714A JP4525739B2 (ja) 2007-11-14 2007-11-14 現像剤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7-00295714 2007-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980A KR20090049980A (ko) 2009-05-19
KR101061104B1 true KR101061104B1 (ko) 2011-08-31

Family

ID=4071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820A KR101061104B1 (ko) 2007-11-14 2008-06-17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25739B2 (ko)
KR (1) KR101061104B1 (ko)
CN (1) CN1014360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8656B2 (ja) * 2011-07-14 2014-07-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3128844A1 (ja) * 2012-02-29 2013-09-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95855A (ja) * 2012-03-21 2013-09-30 Casio Electronics Co Ltd 廃トナー搬送ユニット
JP5983288B2 (ja) * 2012-10-17 2016-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搬送構造、画像形成装置
JP6439381B2 (ja) * 2014-10-28 2018-12-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33291B2 (ja) 2014-12-22 2017-1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S2834908T3 (es) * 2015-02-27 2021-06-21 C/O Canon Kk Cartucho
JP2015180976A (ja) * 2015-07-17 2015-10-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トナー搬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566787B2 (ja) 2015-08-27 2019-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584276B2 (ja) * 2015-10-14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6428703B2 (ja) * 2016-04-12 2018-11-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859615B2 (ja) * 2016-06-28 2021-04-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38371B2 (ja) * 2016-11-30 2021-03-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廃トナー収容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7127493B2 (ja) * 2018-11-05 2022-08-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7465443B2 (ja) 2019-06-06 2024-04-1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200429A (ja) * 2019-07-30 2019-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6884A (en) 1979-11-05 1981-06-05 Ricoh Co Ltd Toner collector
JP2000284594A (ja) 1999-03-31 2000-10-13 Ricoh Co Ltd トナー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5124A (ja) * 2002-05-22 2003-12-03 Canon Inc 現像装置
CN100428074C (zh) * 2005-03-30 2008-10-22 京瓷美达株式会社 显影装置和图像形成装置
JP4732127B2 (ja) * 2005-10-31 2011-07-27 株式会社リコー 粉体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6884A (en) 1979-11-05 1981-06-05 Ricoh Co Ltd Toner collector
JP2000284594A (ja) 1999-03-31 2000-10-13 Ricoh Co Ltd トナー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25739B2 (ja) 2010-08-18
CN101436023A (zh) 2009-05-20
KR20090049980A (ko) 2009-05-19
CN101436023B (zh) 2012-09-26
JP2009122362A (ja)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104B1 (ko)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066898B2 (ja) 現像剤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10760B2 (ja)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615013B2 (en) Powder classif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powder classifying device
US8000644B2 (en) Powder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239345A1 (en) Recovery toner classifier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substance and crushing aggregation of toner
JP3959254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装置
KR101119944B1 (ko) 분체 반송용의 반송 부재,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4525737B2 (ja)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00183341A1 (en) Developing device, develop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10867A (ja) トナー搬送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JP5615034B2 (ja) 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40021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7163764A (ja) 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9206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0718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68434A (ja) 現像剤搬送装置
CN115039038A (zh) 调色剂输送装置、清洁装置、处理盒和成像设备
JP4376273B2 (ja) 画像形成装置
JP4997887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5049490A (ja)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7227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52036A (ja) 画像形成装置
JP3981486B2 (ja) 回収トナー分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16288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