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551B1 -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551B1
KR101062551B1 KR1020040069501A KR20040069501A KR101062551B1 KR 101062551 B1 KR101062551 B1 KR 101062551B1 KR 1020040069501 A KR1020040069501 A KR 1020040069501A KR 20040069501 A KR20040069501 A KR 20040069501A KR 101062551 B1 KR101062551 B1 KR 101062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cam
chucking
disc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223A (ko
Inventor
아라끼다까마사
Original Assignee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2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11B17/0286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mounted on a pivotal le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for moving the turntable or the clamper towards the disk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원반형 기억 매체인 디스크에 대해 상기 디스크를 그 직경 방향으로 이송하는 로딩 동작과, 상기 디스크를 그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하는 처킹 동작을 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로딩 동작과 처킹 동작을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소형화나 박형화 등에의 대응을 실현 용이하게 한다.
디스크의 직경 방향과 평행하게 요동하는 롤러 아암부(10, 20)와, 상기 디스크의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요동하는 처킹 아암부(30)와, 캠(40)을 구비하여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캠(40)에는 직경 방향으로 이송되는 디스크를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해 상기 롤러 아암부(10, 20)의 요동 동작을 규제하는 캠 홈과, 상기 소정 위치에 있는 디스크를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처킹 아암부(30)의 요동 동작을 규제하는 캠 홈을 마련한다.
Figure R1020040069501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롤러 아암부, 처킹 아암부, 캠, 가이드 보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 {DISC DRIVING DEVICE AND CAM FOR DISC DRIV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로, (a)는 그 평면도, (b)는 그 측단면도.
도2는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롤러 아암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제2 롤러 아암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4는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처킹 아암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5는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캠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a)는 표면측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이면측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c)는 (a)에 있어서의 A-A 화살표도.
도6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삽입 분리구로 삽입된 12 ㎝ 디스크에 대해 로딩 동작을 행한 후에 계속해서 처킹 동작을 행할 때의 처리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7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12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 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1번째).
도8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12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2번째).
도9는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12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3번째).
도10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12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4번째).
도11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12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5번째).
도12는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12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6번째).
도13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삽입 분리구로 삽입된 8 ㎝ 디스크에 대해 로딩 동작을 행한 후에 계속해서 처킹 동작을 행할 때의 처리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14는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1번째).
도15는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2 번째).
도16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3번째).
도17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4번째).
도18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5번째).
도19는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6번째).
도20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7번째).
도21은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8번째).
도22는 도1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9번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삽입 분리구
10 : 제1 롤러 아암부
11a, 11b, 21a, 21b : 롤러 아암
12a, 12b, 12c, 12d, 22a, 22b : 롤러 부재
17, 25 : 가이드 보스
19a, 27a : 테이퍼 형상부
20 : 제2 롤러 아암부
30 : 처킹 아암부
31 : 처킹 아암
32 : 처킹 부재
35 : 가이드 부재
40 : 캠
41 : 이
42 : 결손 부분
43, 45 : 캠 홈
43a : 12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
43b : 12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
43c : 8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
44 : 처킹용 캠 홈
45a : 캠 동작 트리거용 캠 홈부
45b : 12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
45c : 12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
45d : 8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
본 발명은, 광디스크나 광자기 디스크 등의 원반형 기억 매체인 디스크를 취 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나 가정용 게임기 등의 정보 기기는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디스크나 MO(Magneto Optical) 등의 광자기 디스크 등이 기억 매체로서 이용되므로, 이들 원반형의 기억 매체인 디스크로부터의 정보의 판독 또는 상기 디스크에 대한 정보의 기입을 행하기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탑재하고 있는 것이 많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기구와,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픽업 기구를 갖고 있고, 이들에 의해 디스크로부터의 정보의 판독 또는 상기 디스크에 대한 정보의 기입을 실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이들 스핀들 기구 및 픽업 기구 외에 디스크를 그 직경 방향으로 이송하는 로딩 동작을 행하기 위한 로딩 기구와, 디스크를 그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하는 처킹 동작을 행하기 위한 처킹 기구를 갖고 있다. 그리고, 로딩 기구가 디스크 삽입 분리구와 스핀들 기구 사이에서 디스크의 로딩 동작을 행하는 동시에, 처킹 기구가 스핀들 기구의 위치까지 로딩된 디스크에 대해 처킹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로딩 동작 및 처킹 동작은 각각 다른 방향으로 디스크를 이송시키는 동작이므로, 통상 별도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즉,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로딩 동작용 구동원과, 처킹 동작용 구동원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2-304799호 공보
그런데, 최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탑재한 정보 기기에 대해서는 그 소형화나 박형화 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는 필연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대해서도 소형화나 박형화 등에 대응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는 로딩 동작용과 처킹 동작용으로 각각 별도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소형화나 박형화 등에 대응한다는 관점으로부터는 반드시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과 처킹 동작을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나 박형화 등에의 대응을 실현 용이하게 하고, 또한 구동원의 공통화를 통해 부품 개수의 간소화도 실현 가능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이다. 즉, 원반형 기억 매체인 디스크에 대해 상기 디스크를 그 직경 방향으로 이송하는 로딩 동작과, 상기 디스크를 그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하는 처킹 동작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이며, 상기 디스크의 외주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부재와, 상기 디스크의 직경 방향과 평행하게 요동하는 동시에 그 요동단부에 상기 롤러 부재가 배치된 롤러 아암과, 상기 디스크가 갖는 센터 구멍에 결합하는 처킹 부재와, 상기 디스크의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요 동하는 동시에 그 요동단부에 상기 처킹 부재가 배치된 처킹 아암과, 상기 복수의 롤러 부재 중 적어도 1개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1개의 구동원과, 상기 1개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동시에 상기 롤러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하는 센터링용 캠 홈 또는 캠산과, 상기 처킹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하는 처킹용 캠 홈 또는 캠산이 마련된 캠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링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상기 롤러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롤러 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이송되는 디스크가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상기 처킹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상기 처킹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소정 위치에 있는 디스크가 상기 처킹 부재에 의해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이다. 즉, 원반형 기억 매체인 디스크의 외주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부재와, 상기 디스크의 직경 방향과 평행하게 요동하는 동시에 그 요동단부에 상기 롤러 부재가 배치된 롤러 아암과, 상기 디스크가 갖는 센터 구멍에 결합하는 처킹 부재와, 상기 디스크의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그 요동단부에 상기 처킹 부재가 배치된 처킹 아암과, 상기 복수의 롤러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1개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에 대해 상기 디스크를 그 직경 방향으로 이송하는 로딩 동작과, 상기 디스크를 그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하는 처킹 동작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이용되어 상기 1개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이며, 상기 롤러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하는 센터링용 캠 홈 또는 캠산과, 상기 처 킹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하는 처킹용 캠 홈 또는 캠산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링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상기 롤러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롤러 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이송되는 디스크가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상기 처킹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상기 처킹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소정 위치에 있는 디스크가 상기 처킹 부재에 의해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상기 구성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을 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구동원으로부터 적어도 1개의 롤러 부재에 부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롤러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디스크가 그 직경 방향(예를 들어, 디스크의 삽입 분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때, 롤러 부재가 배치된 롤러 아암은 디스크의 이송에 수반하여 그 디스크에 대한 롤러 부재의 지지 위치가 변하므로, 디스크의 직경 방향과 평행하게 요동하게 된다. 이는 그 요동 동작이 규제되면 디스크의 이송도 규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직경 방향으로 이송되는 디스크는 롤러 아암의 요동 동작이 캠에 설치된 센터링용 캠 홈 또는 캠산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게 된다. 즉, 상기 홈 구성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롤러 부재의 회전 구동 및 캠에 의한 롤러 아암의 요동 규제를 통해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을 행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캠에 처킹용 캠 홈 또는 캠산이 마련되어 있고, 그 처킹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처킹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처킹 아암은 소정 위치에 있는 디스크를 처킹 부재에 의해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한다. 즉, 상기 구성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캠에 의한 처킹 아암의 요동 규제를 통해 디스크에 대한 처킹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롤러 부재와 캠은 모두 1개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따르면, 1개의 구동원(동일한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 및 처킹 동작이 일련의 동작으로서 행해지게 된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을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특징점인 로딩 동작을 행하는 기능 및 처킹 동작을 행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즉, 디스크에 대한 정보 판독과 정보 기입의 양방 또는 어느 한 쪽을 행하기 위해 갖는 스핀들 기구 및 픽업 기구에 대해서는 종래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처음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취급하는 디스크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디스크는 CD나 DVD 등의 판독 전용의 기억 매체 또는 CD-R이나 DVD-R 등의 기록 재생 가능한 기억 매체이고,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대략 중앙부에 마련된 센터 구멍을 가진 것이다. 단, 원반형의 외경에는 복수의 사이즈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직경이 12 ㎝인 것(이하「12 ㎝ 디스크」라 함)과, 직경이 8 ㎝인 것(이하「8 ㎝ 디스크」라 함)이 존재한다.
계속해서, 이와 같은 디스크를 취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개략 구성 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면과 같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크게 구별하면 디스크를 삽입 분리하기 위한 디스크 삽입 분리구(1)와, 그 디스크 삽입 분리구(1)에의 디스크의 삽입을 검출하는 광전 센서(2)와, 제1 롤러 아암부(10)와, 제2 롤러 아암부(20)와, 처킹 아암부(30)와, 캠(40)과, 예를 들어 펄스 모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구동원(단 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들 제1 롤러 아암부(10), 제2 롤러 아암부(20), 처킹 아암부(30) 및 캠(40)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도2는 제1 롤러 아암부(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제1 롤러 아암부(10)는 한 쌍의 롤러 아암(11a, 11b)과, 복수의 롤러 부재(12a 내지 12d)와, 롤러 부재(12c, 12d)에 구동원에 의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13) 및 풀리(14)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롤러 아암(11a, 11b)은, 예를 들어 금속 판금 가공품 또는 수지 몰드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각 지지점(15a, 15b)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단, 그 요동 방향은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 삽입되는 디스크의 직경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디스크의 삽입 분리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인 것으로 한다. 또한, 한 쪽 롤러 아암(11a)에는 결합 핀(16a)이 돌출 설치되고, 다른 쪽 롤러 아암(11b)에는 결합 핀(16a)과 결합하는 원호형의 타원(16)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결합 핀(16a) 및 타원(16b)과 각각의 지지점(15a, 15b)이 링크 기구를 구성하므로, 이들 한 쌍의 롤러 아암(11a, 11b)은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 삽입되는 디스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대칭으로 동기하면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쪽 롤러 아암(11a)에는 후술하는 캠(40)에 마련된 캠 홈과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 보스(17)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롤러 부재(12a 내지 12d)는, 예를 들어 자기 윤활성이 높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 롤러 아암(11a, 11b)의 요동단부에 배치된 것이다. 또한, 각 롤러 아암(11a, 11b)의 요동단부에 각각 2개의 롤러 부재(12a 내지 12d)가 병설되어 있는 것은, 상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12 ㎝ 디스크와 8 ㎝ 디스크)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이로부터 롤러 부재(12a, 12c)의 배치 피치와 롤러 부재(12b, 12d)의 배치 피치는 서로 다르다.
또한, 롤러 부재(12a 내지 12d)에는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 삽입되는 디스크의 외주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원주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원주부(18)에는 디스크의 외주단부면과의 마찰계수를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고무 재료를 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주부(18)의 축방향 상하에는 원주부(16)로부터 떨어지는 데 수반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부(19a, 19b)가 설치되어 있고, 이 테이퍼 형상부(19a, 19b)가 가이드가 되어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을 원주부(18)에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 형상부(19a, 19b) 중 비롤러 아암측에 설치된 테이퍼 형상부(19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의 처킹 동작을 행할 때의 가이드가 되는 스커트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롤러 부재(12a 내지 12d) 중 롤러 아암(11b)에 배치된 롤러 부재 (12c, 12d)는 모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벨트(13) 및 풀리(14)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벨트(13) 및 풀리(14)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예를 들어 복수의 기어의 조합으로 치환해도 좋다.
이에 대해, 롤러 아암(11a)에 배치된 롤러 부재(12a, 12b)는 롤러 부재(12c, 12d)와는 달리 회전하지 않고 고정 설치된 것이다. 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회전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2개가 병설되는 것이 아닌 그 2개분을 일체화한 것에 상당하는 평면 타원형 중 1개의 롤러 부재를 설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도3은 제2 롤러 아암부(2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제2 롤러 아암부(20)는 한 쌍의 롤러 아암(21a, 21b)과, 롤러 부재(22a, 22b)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롤러 아암(21a, 21b)은 제1 롤러 아암부(10)에 있어서의 롤러 아암(11a, 11b)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금속 판금 가공품 또는 수지 몰드품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지지점(23a, 23b)을 지지점으로 하여 디스크의 직경 방향과 평행하게 요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 쪽 롤러 아암(21a)에 돌출 설치된 결합 핀(24a)과, 다른 쪽 롤러 아암(21b)에 설치된 타원(24b)이 결합하고, 이들과 각 롤러 아암(21a, 21b)의 지지점(23a, 23b)이 링크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 삽입되는 디스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대략 대칭으로 동기하면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쪽 롤러 아암(21a)에는 후술하는 캠(40)에 마련된 캠 홈과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 보스(2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롤러 부재(22a, 22b)는 제1 롤러 아암부(10)에 있어서의 롤러 부재(12a, 12b)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자기 윤활성이 높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각 롤러 아암(21a, 21b)의 요동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고정 설치된 것이고,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 삽입되는 디스크의 외주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원주부(26)를 가진 것이다. 이 원주부(26)에도 디스크의 외주단부면과의 마찰계수를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고무 재료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주부(26)의 축방향 상하에는 원주부(26)로부터 떨어지는 데 수반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부(27a, 27b)가 설치되어 있고, 이 테이퍼 형상부(27a, 27b)가 가이드가 되어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을 원주부(26)에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 형상부(27a, 27b) 중 비롤러 아암측에 설치된 테이퍼 형상부(26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의 처킹 동작을 행할 때의 가이드가 되는 스커트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4는 처킹 아암부(3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처킹 아암부(30)는 처킹 아암(31)과, 척 플레이트(32a), 요오크(32b) 및 요오크 압박부(32c)로 이루어지는 처킹 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처킹 아암(31)은, 예를 들어 금속 판금 가공품 또는 수지 몰드품으로 이루어지고, 지지점(33)을 지지점으로 하여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 삽입되는 디스크의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다. 또한, 처킹 아암(31)은, 예를 들어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344)에 의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스핀들 기구측 을 향해 압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처킹 아암(31)에는 후술하는 캠(40)에 마련된 캠 홈과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처킹 부재(32)는 디스크가 갖는 센터 구멍에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척 플레이트(32a)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원반형의 요오크(32b)와, 이들 척 플레이트(32a) 및 요오크(32b)를 처킹 아암(31)의 요동단부에 설치된 개구(31a)를 거쳐서 계지하는 요오크 압박부(32c)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처킹 부재(32)는 처킹 아암(31)의 요동단부에 배치되어 디스크가 갖는 센터 구멍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5는 캠(4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캠(40)은, 예를 들어 자기 윤활성이 높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면과 같이, 그 외주에 이(41)가 새겨진 평기어형의 것이다. 단, 그 이(41)는 외주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그 일부에 결손 부분(4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41)에는 벨트(13) 및 풀리(14)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기어(단 도시되지 않음)가 맞물리게 되어 있다.
또한,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40)의 한 쪽면(이하「표면」이라 함)에는 제1 롤러 아암부(10)를 구성하는 롤러 아암(11a)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보스(17)와 결합하는 캠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홈(43)에 가이드 보스(17)가 결합함으로써 제1 롤러 아암부(10)에 있어서의 각 롤러 아암(11a, 11b)은 그 요 동 동작이 규제되게 된다. 또한, 이 캠 홈(43)에는 후술하는 규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12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43a)와, 12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43b)와, 8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43c)가 포함되어 있다. 즉, 캠(40)의 표면에 마련된 캠 홈(43)에는 디스크 직경의 사이즈 차이에 따른 복수의 캠 홈 부분(43a 내지 43c)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캠(40)의 표면에는 처킹 아암부(30)를 구성하는 처킹 아암(31)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35)와 결합하는 처킹용 캠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처킹용 캠 홈(44)에 가이드 부재(35)가 결합함으로써 처킹 아암부(30)에 있어서의 처킹 아암(31)은 그 요동 동작이 규제되게 된다. 또한,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40)의 다른 쪽면(이하「이면」이라 함)에는 제2 롤러 아암부(20)를 구성하는 롤러 아암(21a)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보스(25)와 결합하는 캠 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홈(45)에 가이드 보스(25)가 결합함으로써 제2 롤러 아암부(20)에 있어서의 각 롤러 아암(21a, 21b)은 그 요동 동작이 규제되게 된다. 또한, 이 캠 홈(45)에는 후술하는 규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캠 동작 트리거용 캠 홈부(45a)와, 12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45b)와, 12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45c)와, 8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45d)가 포함되어 있다. 즉, 캠(40)의 이면에 설치된 캠 홈(45)에도 디스크 직경의 사이즈 차이에 따른 복수의 캠 홈 부분(45a 내지 45d)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캠(40)에 캠 홈(43, 44, 45)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동등한 캠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면 캠 홈이 아닌 캠산을 마련하도록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 및 처킹 동작을 행할 때의 처리 동작예에 대해 12 ㎝ 디스크의 경우와 8 ㎝ 디스크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우선, 12 ㎝ 디스크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 삽입된 12 ㎝ 디스크에 대해 로딩 동작을 행한 후에, 계속해서 처킹 동작을 행할 때의 처리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7 내지 도12는 12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7 내지 도12 중에 있어서, 롤러 아암(11a, 21a)과 대칭으로 동기하면서 요동하는 롤러 아암(11b, 21b)에 대해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사람의 손에 의해 디스크 삽입 분리구(1)에 12 ㎝ 디스크가 삽입되면, 광전 센서(2)가 그 디스크 삽입을 검출하고(스텝 101, 이하 스텝을「S」라 생략함), 이에 따라서 구동원이 회전 구동을 개시한다(S102). 이에 의해, 구동원에 의한 회전 구동력이 벨트(13) 및 풀리(14)를 거쳐서 전달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롤러 부재(12c, 12d)가 회전을 개시한다(S103).
또한, 이 구동원의 회전 구동 개시에 수반하여 캠(40)의 이(41)와 맞물릴 수 있는 기어도 회전을 개시하게 되지만, 이 때 상기 기어의 부위에는 결손 부분(42)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기어와 이(41)가 맞물린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기어만이 공회전하게 된다. 즉, 캠(40)은 구동원이 회전 구동을 개시해도 이에 수반하여 회 전을 개시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디스크 삽입 분리구(1)에 삽입된 12 ㎝ 디스크는 그 외주단부면이 제1 롤러 아암부(10)에 있어서의 롤러 부재(12a 내지 12d) 중 12 ㎝ 디스크의 직경에 대응하여 배치된 롤러 부재(12a, 12c)의 원주부(18)에 접촉하여 그 원주부(18)에 지지된다. 이 때, 12 ㎝ 디스크는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롤러 부재(12c)가 회전하고 있으면 고정 설치된 롤러 부재(12a)에 의한 지지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또한, 12 ㎝ 디스크가 회전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롤러 부재(12a, 12c)에 의한 지지 위치가 변하므로, 한 쌍의 롤러 아암(11a, 11b)은 12 ㎝ 디스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대칭으로 동기하면서 요동하게 된다(S104). 이들 작용에 의해 12 ㎝ 디스크는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부터 스핀들 기구측을 향해 그 중심을 기준으로 하면서 직경 방향에 따라서 이송되는 것이다. 즉, 12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로딩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원의 회전 구동 개시는 광전 센서(2)에 의한 디스크 삽입의 검출이 트리거로 되어 있다. 따라서, 12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이 롤러 부재(12a, 12c)에 접촉할 때에는 이미 롤러 부재(12c)를 회전시키고 있는 것이 가능해져 디스크 삽입 분리시에 있어서의 롤러 부재(12a, 12c)와의 접촉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크 삽입 분리구(1)에 삽입하면 디스크가 자연스럽게 인입되는 등의 디스크 삽입자에게 있어서의 양호한 조작성이 실현 가능해진다.
그 후, 구동원이 회전 구동을 계속해서 행하여 12 ㎝ 디스크가 직경 방향에 따라서 계속해서 이송되면, 그 12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은 제1 롤러 아암부(10)에 있어서의 롤러 부재(12b, 12d)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제2 롤러 아암부(20)에 있어서의 롤러 부재(22a, 22b)의 원주부(26)에 접촉한다. 그리고, 접촉 후에도 구동원의 회전 구동에 의해 12 ㎝ 디스크가 직경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송되면, 롤러 부재(22a, 22b)는 12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에 의해 그 이송 방향을 향해 압박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롤러 아암(21a, 21b)은 12 ㎝ 디스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대략 대칭으로 동기하면서 요동하게 된다(S105).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12 ㎝ 디스크는 그 외주단부면이 롤러 부재(12b, 12d, 22a, 22b)에 의해 4점 지지되어 있다(도7 참조).
한 쌍의 롤러 아암(21a, 21b)이 요동을 개시하면, 그 요동에 수반하여 롤러 아암(21a)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보스(25)가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가이드 보스(25)는 캠(40)의 캠 홈(45)에 있어서의 캠 동작 트리거용 캠 홈부(45a)에 접촉하고, 또한 그 캠 동작 트리거용 캠 홈부(45a)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정지 상태에 있던 캠(40)은 가이드 보스(25)에 압박되어 회전하고, 그 외주에 새겨진 이(41)가 공회전하고 있던 기어와 맞물리게 된다(도8 참조). 즉, 가이드 보스(25)에 압박되어 회전함으로써 이(41)와 기어가 맞물린 상태가 되므로, 캠(40)은 구동원에 의한 회전 구동이 전달되어 회전을 개시하게 된다(S106).
캠(40)이 회전을 개시한 후에도 12 ㎝ 디스크는 직경 방향으로 이송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각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은 계속해서 요동한다. 그리고, 롤러 아암(21a)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보스(25)가 캠(40)의 캠 홈(45)에 있어서의 12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45b)에 접촉하면, 그 위치에서 롤러 아암(21a, 21b)은 요동을 정지한다(도9 참조). 즉, 가이드 보스(25)가 12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45b)에 접촉함으로써 롤러 아암(21a, 21b)은 그 이상 요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롤러 아암(21a, 21b)의 요동 정지에 수반하여 롤러 아암(11a, 11b)도 요동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12 ㎝ 디스크는 직경 방향에의 이송이 종료되어 롤러 부재(12d)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위치에서 회전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의 12 ㎝ 디스크의 정지 위치는 그 12 ㎝ 디스크의 센터 구멍이 처킹 아암부(30)의 처킹 부재(32)와 결합할 수 있는 위치(이하, 이 위치를「센터링 위치」라 함)이다. 즉, 12 ㎝ 디스크는 가이드 보스(25)가 12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45b)에 접촉하여 롤러 아암(21a, 21b)의 요동 동작이 규제됨으로써 센터링 위치에 위치 결정되게 된다(S107).
이와 같은 순서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 삽입된 12 ㎝ 디스크에 대해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부터 센터링 위치까지의 로딩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로딩 동작을 행한 후에는 계속해서 처킹 동작을 행한다.
처킹 동작에서는 12 ㎝ 디스크가 센터링 위치에 위치 결정된 후에도 캠(40)이 회전을 계속하고 있으므로(도10 참조), 그 회전에 맞추어 지금까지 처킹용 캠 돌기부(46) 상에 접촉하면서 캠 홈부(44)의 쪽으로 이동하고 있던 처킹 아암부(30)에 있어서의 처킹 아암(31)의 가이드 부재(35)가 캠(40)의 처킹용 캠 홈부(44)에 결합하게 되고, 이에 의해 처킹 아암(31)이 스핀들 기구측을 향한 요동을 개시한다(S108). 상세하게는, 12 ㎝ 디스크의 센터링 위치에의 위치 결정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즉 캠(40)이 일정 각도 회전하면 처킹용 캠 홈부(44)의 경사에 맞추어 가이드 부재(35)의 위치가 스핀들 기구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스핀들 기구측을 향해 압박되고, 또한 로딩 동작으로 이송되는 12 ㎝ 디스크와 처킹 부재(32)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퇴피하고 있던 처킹 아암(31)은 가이드 부재(35)의 이동에 맞추어 스핀들 기구측을 향해 요동하기 시작하는 것이다(도11 참조).
그리고, 캠(40)의 회전에 수반하여 처킹 부재(32)의 척 플레이트(32a)가 12 ㎝ 디스크의 센터 구멍과 완전히 결합하는 위치(양자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까지 처킹 아암(31)이 요동하면, 캠(40)의 표면에서는 제1 롤러 아암부(10)에 있어서의 롤러 아암(11a)의 가이드 보스(17)가 캠 홈(43) 중 12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43b)에 결합하고, 또한 캠(40)의 이면에서는 제2 롤러 아암부(20)에 있어서의 롤러 아암(21a)의 가이드 보스(25)가 캠 홈(45) 중 12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45c)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은 각각 다시 요동을 개시한다(S109). 단, 이 때의 요동은 각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에 있어서의 롤러 부재(12b, 12d, 22a, 22b), 즉 12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을 4점 지지하고 있는 롤러 부재(12b, 12d, 22a, 22b)가 그 외주단부면으로부터 떨어져 가는 방향에의 것으로 한다.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이 요동을 재개한 후에도 처킹 아암(31)은 캠(40)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핀들 기구측을 향한 요동을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의 요동 재개에 의해 12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을 4점 지지하고 있던 롤러 부재(12b, 12d, 22a, 22b)는 그 외주단부면 으로부터 떨어져 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로딩 동작으로 센터링 위치에 위치 결정된 12 ㎝ 디스크는 그 센터 구멍이 처킹 부재(32)의 척 플레이트(32a)와 결합한 상태에서 처킹 아암(31)의 요동에 맞추어 디스크의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 때, 12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으로부터 떨어져 가는 롤러 부재(12b, 12d, 22a, 22b)에는 테이퍼 형상부(19a, 27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테이퍼 형상부(19a, 27a)가 12 ㎝ 디스크의 이송을 보조하게 된다. 즉, 12 ㎝ 디스크의 외주 4점이 테이퍼 형상부(19a, 27a)에 가이드되면서 그 12 ㎝ 디스크가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되게 되므로, 그 이송시에 있어서의 디스크 자세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또한, 그 자세 안정화를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 처킹 아암(31)의 요동 속도[즉, 캠(40)에 있어서의 처킹용 캠 홈부(44)의 형상], 재개 후에 있어서의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의 요동 속도[즉, 캠(40)에 있어서의 12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43b, 45c)의 형상] 및 테이퍼 형상부(19a, 27a)에 있어서의 테이퍼의 경사각은 각각 동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캠(40)에 있어서의 처킹용 캠 홈부(44)의 형상에 따르면서 처킹 아암(31)은 스핀들 기구에 있어서의 스핀들 허브(단 도시되지 않음)와 처킹 아암부(30)의 처킹 부재(32)로 12 ㎝ 디스크를 협지할 수 있는 상태까지 요동한다(S110). 또한,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은 캠(400)에 있어서의 12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43b, 45c)의 형상에 따르면서 롤러 부재(12b, 12d, 22a, 22b)가 12 ㎝ 디 스크의 외주단부면에 접촉하지 않은 위치까지 요동한다(도12 참조). 이에 의해, 12 ㎝ 디스크를 스핀들 기구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으므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구동원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여 롤러 부재(12c, 12d) 및 캠(40)의 회전 동작을 정지시킨다(S111). 구동원 정지를 위한 트리거는 디스크 처킹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거나, 캠(40)의 포지션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거나, 혹은 구동원의 회전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여 그 계측 결과가 소정 시간을 경과한 것을 기초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센터링 위치에 위치 결정된 12 ㎝ 디스크에 대해 그 12 ㎝ 디스크를 스핀들 기구로 회전시키기 위한 처킹 동작을 행한다.
또한, 처킹 후의 12 ㎝ 디스크를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부터 배출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일련의 동작을 모두 반대로 행하면 된다. 즉, 로딩 동작 → 처킹 동작의 경우에는 구동원을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처킹 상태에 있는 12 ㎝ 디스크를 센터링 위치까지 이송한다. 이 때, 롤러 부재(12b, 12d, 22a, 22b)에는 테이퍼 형상부(19a, 27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롤러 부재(12b, 12d, 22a, 22b)가 12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이 요동하면, 테이퍼 형상부(19a, 27a)가 12 ㎝ 디스크의 대략 판두께 방향에의 이송을 보조하게 되고, 이에 의해 12 ㎝ 디스크를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롤러 부재(12c, 12d)의 역전에 의해 센터링 위치에 있는 12 ㎝ 디스크를 디스크 삽입 분리구(1)까지 이송하면 된다.
계속해서, 8 ㎝ 디스크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 삽입된 8 ㎝ 디스크에 대해 로딩 동작을 한 후에 계속해서 처킹 동작을 행할 때의 처리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14 내지 도22는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시의 롤러 아암부 및 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14 내지 도22 중에 있어서도 롤러 아암(11a, 21a)과 대칭으로 동기하면서 요동하는 롤러 아암(11b, 21b)에 대해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8 ㎝ 디스크의 경우에도 광전 센서(2)에 의한 디스크 삽입의 검출(S201), 이에 따른 구동원의 회전 구동 개시(S202), 벨트(13) 및 풀리(14)를 거친 롤러 부재(12c, 12d)의 회전 개시(S203) 및 기어의 공회전에 의한 캠(40)의 정지 상태 계속은 상술한 12 ㎝ 디스크인 경우와 마찬가지다.
그리고, 디스크 삽입 분리구(1)에 삽입된 8 ㎝ 디스크는 그 외주단부면이 제1 롤러 아암부(10)에 있어서의 롤러 부재(12a 내지 12d) 중 8 ㎝ 디스크의 직경에 대응하여 배치된 롤러 부재(12b, 12d)의 원주부(18)에 접촉하여 그 원주부(18f)에 지지된다. 이 때, 8 ㎝ 디스크는 고정 설치된 롤러 부재(12b)에 의한 지지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롤러 부재(12d)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롤러 아암(11a, 11b)은 8 ㎝ 디스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대칭으로 동기하면서 요동을 개시한다(S204). 또한, 이들 작용에 의해 8 ㎝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이 개시되고, 그 8 ㎝ 디스크는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부터 스핀들 기구측을 향해 그 중심을 기준으로 하면서 직경 방향에 따라서 이송되게 된다.
이 때에도 구동원의 회전 구동 개시는 광전 센서(2)에 의한 디스크 삽입의 검출이 트리거로 되어 있으므로, 12 ㎝ 디스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디스크 삽입자에게 있어서 양호한 조작성이 실현 가능해진다.
그 후, 구동원이 회전 구동을 계속해서 행하고, 8 ㎝ 디스크가 직경 방향에 따라서 계속해서 이송되면, 그 8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은 제2 롤러 아암부(20)에 있어서의 롤러 아암 부재(22a, 22b)의 원주부(26)에 접촉한다. 그리고, 접촉 후에도 구동원의 회전 구동의 의해 8 ㎝ 디스크가 직경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송되면, 롤러 부재(22a, 22b)는 8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에 의해 그 이송 방향을 향해 가압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롤러 아암(21a, 21b)은 8 ㎝ 디스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대칭으로 동기하면서 요동하게 된다(S205).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8 ㎝ 디스크는 그 외주단부면이 롤러 부재(12b, 12d, 22a, 22b)에 의해 4점 지지되어 있다(도14 참조).
한 쌍의 롤러 아암(21a, 21b)이 요동을 개시하면, 그 요동에 수반하여 롤러 아암(21a)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보스(25)가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가이드 보스(255)는 캠(40)의 캠 홈(45)에 있어서의 캠 동작 트리거용 캠 홈부(45a)에 접촉하고, 또한 그 캠 동작 트리거용 캠 홈부(45a)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정지 상태에 있던 캠(40)은 가이드 보스(25)에 압박되어 회전하고, 그 외주에 새겨진 이(41)가 공회전하고 있던 기어와 맞물리게 되므로(도15 참조), 구동원에 의한 회전 구동이 전달되어 회전을 개시하게 된다(S206).
캠(40)이 회전을 개시한 후에도 8 ㎝ 디스크는 직경 방향으로 이송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은 요동을 계속한다. 그리고, 롤러 아암(11a)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보스(17)가 캠(40)의 캠 홈(43)에 있어서의 8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43a)에 접촉하면, 그 위치에서 롤러 아암(11a, 11b)은 요동을 정지한다(도16 참조). 즉, 가이드 보스(17)가 8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43a)에 접촉함으로써 롤러 아암(11a, 11b)은 그 이상 요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롤러 아암(11a, 11b)의 요동 정지에 수반하여 롤러 아암(21a, 21b)도 요동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8 ㎝ 디스크는 가이드 보스(17)가 8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43a)에 접촉하고, 롤러 아암(11a, 11b)의 요동 동작이 규제됨으로써 센터링 위치에 위치 결정되게 된다(S207).
또한, 8 ㎝ 디스크의 경우에는 롤러 아암(11a, 11b)의 요동 규제, 즉 그 이상 롤러 아암(11a, 11b)이 안으로 요동하지 않는 상태를 캠 홈(43)에서 실현함으로써 센터링 위치에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점에서 롤러 아암(21a, 21b)의 요동 규제, 즉 그 이상 롤러 아암(21a, 21b)이 안으로 요동하지 않는 상태를 캠 홈(45)에서 실현함으로써 센터링을 행하는 12 ㎝ 디스크의 경우와는 다르다. 단, 디스크 직경의 크기와 요동 규제되는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의 대응 관계는 반드시 전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캠(40)에 의한 요동 규제를 통해 디스크의 센터링 위치에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으면, 예를 들어 상기 대응 관계가 전술한 형태와는 반대라도, 혹은 8 ㎝ 디스크인 경우와 12 ㎝ 디스크인 경우에서 요동 규제되는 롤러 아암이 동일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순서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 삽입된 8 ㎝ 디스크에 대해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부터 센터링 위치까지의 로딩 동 작을 행한다.
단, 8 ㎝ 디스크의 경우에는 12 ㎝ 디스크보다도 직경이 작기 때문에,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부터 센터링 위치까지의 이송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12 ㎝ 디스크의 경우보다도 적다. 즉, 12 ㎝ 디스크의 경우보다도 빠르게 디스크가 센터링 위치에 위치 결정되게 된다. 이에 대해, 처킹 동작을 개시하는 타이밍은 12 ㎝ 디스크인 경우에도 8 ㎝ 디스크인 경우에도 동일하다. 따라서, 8 ㎝ 디스크의 경우에는 로딩 동작이 종료되면 캠(40)의 공회전 기간(S208)을 경유한 후에 처킹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캠(40)의 공회전 기간은 디스크 센터링에 필요로 하는 시간차를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간 중에는 캠(40)이 회전해도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이나 처킹 아암(31)의 요동이 생기지 않는다(도17 내지 도20 참조).
캠(40)의 공회전 기간을 경유한 후의 처킹 동작에서는 처킹 아암부(30)에 있어서의 처킹 아암(31)의 가이드 부재(35)가 캠(40)의 처킹용 캠 홈부(44)에 결합하고, 그 처킹용 캠 홈부(44)의 경사에 맞추어 가이드 부재(35)의 위치가 스핀들 기구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처킹 아암(31)은 가이드 부재(35)의 이동에 맞추어 스핀들 기구측을 향한 요동을 개시한다(S209)(도21 참조).
그리고, 캠(40)의 회전에 수반하여 처킹 부재(32)의 척 플레이트(32a)가 8 ㎝ 디스크의 센터 구멍과 완전히 결합하는 위치(양자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까지 처킹 아암(31)이 요동하면, 캠(40)의 표면에서는 제1 롤러 아암부(10)에 있어서의 롤러 아암(11a)의 가이드 보스(17)가 캠 홈(43) 중 8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 (43c)에 결합하고, 또한 캠(40)의 이면에서는 제2 롤러 아암부(20)에 있어서의 롤러 아암(21a)의 가이드 보스(25)가 캠 홈(45) 중 8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45d)에 결합한다. 즉, 12 ㎝ 디스크와 8 ㎝ 디스크와의 직경의 차이로부터 로딩 동작 종료 후의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의 위치가 각각의 경우에서 다르기 때문에, 8 ㎝ 디스크인 경우에는 가이드 보스(17, 25)가 12 ㎝ 디스크인 경우와는 다른 캠 홈부(43c, 45d)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은 각각 다시 요동을 개시한다(S210). 이 때의 요동도 12 ㎝ 디스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에 있어서의 롤러 부재(12b, 12d, 22a, 22b), 즉 8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을 4점 지지하고 있는 롤러 부재(12b, 12d, 22a, 22b)가 그 외주단부면으로부터 떨어져 가는 방향에의 것으로 한다.
이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의 요동 재개 및 처킹 아암(31)의 스핀들 기구측을 향한 요동에 의해 로딩 동작으로 센터링 위치에 위치 결정된 8 ㎝ 디스크는 그 센터 구멍이 처킹 부재(32)의 척 플레이트(32a)와 결합한 상태에서 처킹 아암(31)의 요동에 맞추어 각 롤러 부재(12b, 12d, 22a, 22b)의 테이퍼 형상부(19a, 27a)에 보조되면서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처킹 아암(31)은 스핀들 기구에 있어서의 스핀들 허브와 처킹 아암부(30)의 처킹 부재(32)로 8 ㎝ 디스크를 협지할 수 있는 상태까지 요동한다(S211). 또한,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은 캠(40)에 있어서의 8 ㎝ 디스크 처킹용 캠 홈부(43c, 45d)의 형상에 따르면서 롤러 부재(12b, 12d, 22a, 22b)가 8 ㎝ 디스크의 외주단부면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까지 요동한다(도22 참조). 이에 의해, 8 ㎝ 디스크를 스핀들 기구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으므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구동원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고, 롤러 부재(12c, 12d) 및 캠(40)의 회전 이동을 정지시킨다(S212). 구동원 정지를 위한 트리거는 12 ㎝ 디스크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순서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센터링 위치에 위치 결정된 8 ㎝ 디스크에 대해 그 8 ㎝ 디스크를 스핀들 기구로 회전시키기 위한 처킹 동작을 행한다.
또한, 처킹 후의 8 ㎝ 디스크를 디스크 삽입 분리구(1)로부터 배출하는 경우에는 12 ㎝ 디스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일련의 동작을 모두 반대로 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롤러 부재(12c, 12d)와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캠(40)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캠(40)에는 12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43a)를 포함하는 캠 홈(43)과, 12 ㎝ 디스크 센터링용 캠 홈부(45b)를 포함하는 캠 홈(45)과, 처킹용 캠 홈부(44)가 마련되어 있고, 캠 홈부(43a, 45b)가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의 요동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 이송되는 디스크가 센터링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처킹용 캠 홈(44)이 처킹 아암(31)의 요동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센터링 위치에 있는 디스크가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따르면,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 및 처킹 동작을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일련의 동작으로서 행할 수 있으므로, 로딩 동작용과 처킹 동작용으 로 각각 별도의 구동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소형화나 박형화 등에의 대응이 매우 실현 용이해진다. 게다가, 로딩 동작용과 처킹 동작용 구동원의 공통화가 도모되므로, 부품 개수의 간소화도 실현 가능해져 장치의 소형화나 박형화 등에다가 저비용화도 실현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캠(40)에 마련된 캠 홈(43, 45)에 디스크 직경의 사이즈 차이에 따른 복수의 캠 홈부(43b, 43c, 45c, 45d)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캠(40)을 구비하여 로딩 동작용과 처킹 동작용의 구동원의 공통화가 도모되는 경우라도 12 ㎝ 디스크와 8 ㎝ 디스크의 양방에 대해 마찬가지로 로딩 동작 및 처킹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각 캠 홈부(43b, 43c, 45c, 45d)가 12 ㎝ 디스크와 8 ㎝ 디스크의 직경의 상위에 따른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의 포지션의 차이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으므로, 12 ㎝ 디스크와 8 ㎝ 디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센서 등의 생략이 가능해진다. 이는 센서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롤러 아암(11a, 11b, 21a, 21b)의 포지션만으로 디스크 사이즈의 차이, 즉 12 ㎝ 디스크와 8 ㎝ 디스크를 식별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전용의 센서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12 ㎝ 디스크와 8 ㎝ 디스크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2 ㎝ 디스크와 8 ㎝ 디스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즉, 직경이 12 ㎝ 또는 8 ㎝ 이외의 디스크라도 대응 가능하고, 또한 캠(40)에 마련하는 캠 홈 부분의 수에 의해서는 3종류 이상의 사이즈의 디스크에 대응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롤러 부재(12a 내지 12d, 22a, 22b)에 있어서의 테이퍼 형상부(19a, 27a)가 디스크의 대략 판두께 방향의 이송을 보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디스크를 스핀들 기구측을 향해 이송할 때에는 그 디스크의 외주가 테이퍼 형상부(19a, 27a)에 가이드되고, 이에 의해 그 이송시에 있어서의 디스크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 테이퍼 형상부(19a, 27a)의 존재에 의해 디스크를 스핀들 기구측으로부터 반대를 향해 이송하는 경우라도 그 이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을 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디스크에 대한 로딩 동작 및 처킹 동작을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일련의 동작으로서 행할 수 있으므로, 로딩 동작용과 처킹 동작용으로 각각 별도의 구동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소형화나 박형화 등에의 대응이 매우 실현 용이해진다. 게다가, 로딩 동작용과 처킹 동작용 구동원의 공통화가 도모되므로, 부품 개수의 간소화도 실현 가능해져 장치의 소형화나 박형화 등에다가 저비용화도 실현 용이해진다.

Claims (4)

  1. 원반형 기억 매체인 디스크에 대해 상기 디스크를 그 직경 방향으로 이송하는 로딩 동작과, 상기 디스크를 그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하는 처킹 동작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이며,
    상기 디스크의 외주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부재와,
    상기 디스크의 직경 방향과 평행하게 요동하는 동시에 그 요동단부에 상기 롤러 부재가 배치된 롤러 아암과,
    상기 디스크가 갖는 센터 구멍에 결합하는 처킹 부재와,
    상기 디스크의 판두께 방향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그 요동단부에 상기 처킹 부재가 배치된 처킹 아암과,
    상기 복수의 롤러 부재 중 적어도 1개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1개의 구동원과,
    상기 1개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동시에, 상기 롤러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하는 센터링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상기 처킹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하는 처킹용 캠 홈 또는 캠산이 마련된 캠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링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상기 롤러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롤러 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이송되는 디스크가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상기 처킹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상기 처킹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소정 위치에 있는 디스크가 상기 처킹 부재에 의해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 마련된 캠 홈 또는 캠산은 상기 디스크 직경의 사이즈 차이에 따른 복수의 캠 홈 부분 또는 캠 산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판두께 방향을 향해 테이퍼형으로 넓어지는 스커트부를 갖고 있고,
    상기 캠에는 상기 디스크의 판두께 방향의 이송에 맞추어 상기 롤러 아암을 요동시키는 처킹 보조용 캠 홈 또는 캠산이 마련되고,
    상기 처킹 보조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상기 롤러 아암을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스커트부가 상기 디스크의 판두께 방향의 이송을 보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4. 원반형 기억 매체인 디스크의 외주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부재와, 상기 디스크의 직경 방향과 평행하게 요동하는 동시에 그 요동단부에 상기 롤러 부재가 배치된 롤러 아암과, 상기 디스크가 갖는 센터 구멍에 결합하는 처킹 부재와,
    상기 디스크의 판두께 방향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그 요동단부에 상기 처킹 부재가 배치된 처킹 아암과, 상기 복수의 롤러 부재 중 적어도 1개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1개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에 대해 상기 디스크를 그 직경 방향으로 이송하는 로딩 동작과, 상기 디스크를 그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하는 처킹 동작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이용되고, 상기 1개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이며,
    상기 롤러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하는 센터링용 캠 홈 또는 캠산과,
    상기 처킹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하는 처킹용 캠 홈 또는 캠산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링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상기 롤러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롤러 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이송되는 디스크가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상기 처킹용 캠 홈 또는 캠산이 상기 처킹 아암의 요동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소정 위치에 있는 디스크가 상기 처킹 부재에 의해 판두께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
KR1020040069501A 2003-09-02 2004-09-01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 KR101062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09534A JP3875671B2 (ja) 2003-09-02 2003-09-02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用カム
JPJP-P-2003-00309534 2003-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223A KR20050024223A (ko) 2005-03-10
KR101062551B1 true KR101062551B1 (ko) 2011-09-06

Family

ID=3413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501A KR101062551B1 (ko) 2003-09-02 2004-09-01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191454B2 (ko)
EP (1) EP1513146B1 (ko)
JP (1) JP3875671B2 (ko)
KR (1) KR101062551B1 (ko)
CN (1) CN100489980C (ko)
DE (1) DE60200403181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0562A1 (en) * 2003-04-02 2005-03-03 Staar S.A. Information carrier loading device
JP3969349B2 (ja) * 2003-04-18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センターリング装置
JP4103742B2 (ja) * 2003-09-11 2008-06-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20050198656A1 (en) * 2003-12-05 2005-09-08 Sony Corporation Disc drive device
KR20060014610A (ko) * 2004-08-11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이격장치 및 이를 포함한 디스크 플레이어
WO2006046710A1 (ja) * 2004-10-29 2006-05-04 Pioneer Corporation 記録媒体駆動装置
US7673309B2 (en) 2005-01-20 2010-03-02 Hie Electronics, Inc. Scalable integrated high density optical data/media storage delivery system
US7853963B2 (en) * 2005-02-23 2010-12-14 Tohei Industrial Co., Ltd. Disk storage medium processing apparatus
CN100395836C (zh) * 2005-03-17 2008-06-18 谷林电器(深圳)有限公司 光盘卡夹装置
WO2006137310A1 (ja) * 2005-06-20 2006-12-28 Pioneer Corporation 情報処理装置
JP2007052825A (ja) * 2005-08-16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挿排装置およびディスク装置
TWI294620B (en) * 2006-01-24 2008-03-11 Asustek Comp Inc Optical disc drive
JP2007213673A (ja) * 2006-02-08 2007-08-23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JP4964665B2 (ja) * 2006-05-16 2012-07-0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ディスク装置
US7979871B2 (en) 2006-05-16 2011-07-1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isk apparatus and driving control section
US7898769B2 (en) * 2007-02-15 2011-03-01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Three-etch ABS design with a closed front chan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095A (ja) 1996-11-13 1998-07-31 Clarion Co Ltd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2002304798A (ja) 2001-04-05 2002-10-18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901937A (fr) * 1985-03-14 1985-07-01 Staar Sa Dispositif d'insertion et d'ejection automatique de supports d'informations.
BE902262A (fr) * 1985-04-23 1985-08-16 Staar Sa Dispositif de chargement automatique de disques dans un tourne-disques.
DE3732918A1 (de) * 1987-09-30 1989-04-20 Thomson Brandt Gmbh Lade- und entladevorrichtung eines cd-geraetes
KR920002327Y1 (ko) * 1989-07-15 1992-04-09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디스크형 기록매체 장전장치
NL8903114A (nl) * 1989-12-20 1991-07-16 Philips Nv Platenspeler, alsmede detectie-eenheid ten gebruike in de platenspeler.
US5166917A (en) * 1989-12-20 1992-11-24 U.S. Philips Corporation Centering device for disks of different sizes for use in a disc-record player
JP2784971B2 (ja) * 1992-02-25 1998-08-13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2899497B2 (ja) * 1993-03-31 1999-06-0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US5561658A (en) * 1994-02-06 1996-10-01 Nakamichi Corporation Friction drive for a disc player
DE69523714T2 (de) * 1994-08-26 2002-07-25 Nakamichi Corp Plattenwiedergabevorrichtung
JP3054054B2 (ja) * 1995-04-10 2000-06-19 今在家精工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カセットチェンジャー
DE19602743A1 (de) * 1996-01-26 1997-07-31 Philips Patentverwaltung Reversebandlaufwerk mit einer Umschaltvorrichtung
PL184507B1 (pl) * 1996-05-02 2002-11-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chanizm ładujący do ładowania i wyładowywania dysku danych do i z urządzenia technologii informacyjnej
DE19724542A1 (de) * 1997-06-11 1998-12-17 Philips Patentverwaltung Wechsler-Gerät für Informationsplatten
JPH1186401A (ja) * 1997-09-04 1999-03-30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機の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3114863B2 (ja) * 1997-11-29 2000-12-04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機の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11259945A (ja) * 1998-03-16 1999-09-24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H11265542A (ja) * 1998-03-16 1999-09-28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排出装置
US6512730B1 (en) * 1999-07-14 2003-01-28 Lg Electronics Inc. Disk receiving and transferring device for a disk drive
WO2001091118A1 (fr) * 2000-05-22 2001-11-29 Clarion Co., Ltd. Lecteur de disque
EP1320094A1 (en) * 2000-09-20 2003-06-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k device
JP3640174B2 (ja) * 2001-04-09 2005-04-2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816010B2 (ja) * 2002-01-30 2006-08-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095A (ja) 1996-11-13 1998-07-31 Clarion Co Ltd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2002304798A (ja) 2001-04-05 2002-10-18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91638A (zh) 2005-03-09
US7340752B2 (en) 2008-03-04
EP1513146B1 (en) 2011-03-16
CN100489980C (zh) 2009-05-20
JP2005078739A (ja) 2005-03-24
US7191454B2 (en) 2007-03-13
EP1513146A2 (en) 2005-03-09
DE602004031810D1 (de) 2011-04-28
KR20050024223A (ko) 2005-03-10
US20070180458A1 (en) 2007-08-02
EP1513146A3 (en) 2007-12-05
US20050050564A1 (en) 2005-03-03
JP3875671B2 (ja)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551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캠
US7103894B2 (en) Disk loading mechanism, and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JPH07169167A (ja)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ー
US7757246B2 (en) Disc apparatus with clamp holder having top surface of first flange higher than top surface of second flange
US7475409B2 (en) Disc changer device
EP1341171B1 (en) Disk insertion position setting device
JP2004022146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1101745A (ja) ディスク搬送装置
KR100366415B1 (ko) 디스크 드라이버
CN100501854C (zh) 光盘装置
JP4207936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744217B1 (ko) 광 디스크용 어댑터
JP4170856B2 (ja) 記録媒体搬送装置、記録媒体駆動装置および記録媒体搬送装置の記録媒体搬送方法
JP2001110115A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2633809B2 (ja)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
JP4945369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5243112A (ja) ディスク搬送機構
JP2009163813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8159172A (ja) ディスク装置
JPH07254206A (ja) カートリッジアクセスステーション
JP2004280959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5346857A (ja) スロットイン方式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6228263A (ja) ディスク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3346406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WO2006006483A1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