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415B1 - 디스크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415B1
KR100366415B1 KR1020000007787A KR20000007787A KR100366415B1 KR 100366415 B1 KR100366415 B1 KR 100366415B1 KR 1020000007787 A KR1020000007787 A KR 1020000007787A KR 20000007787 A KR20000007787 A KR 20000007787A KR 100366415 B1 KR100366415 B1 KR 100366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holding
roller
case
trans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713A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415B1/ko
Publication of KR2001008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닿는 부품이 없이 디스크의 측단을 잡은 상태로 디스크(D)를 이송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로딩모터(110)의 회전력에 의해 원판상의 로딩플레이트(120)가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상기 로딩플레이트(120)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D)를 잡고 있는 홀딩레버(130)가 이동하면서 디스크(D)를 이송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홀딩레버(130)에는 디스크(D)를 턴테이블(180)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퍼(190)가 일체로 구비되어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딩레버(130)는 디스크(D)의 로딩시에 초기상태에서 45도 회전하여 케이스(100)의 대각방향으로 놓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D)가 고정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그 이동궤적이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신호기록면에 다른 부품이 접촉하지 않아 디스크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크기를 경박단소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버{Disk driver}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이 다른 부품과 닿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디스크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롤러방식 디스크 드라이버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프레임(1)이 디스크 드라이버의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디스크(D)의 구성을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의 전면에는 프론트 플레이트(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에는 디스크(D)가 들고 나는 슬롯(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의 내부 일측에는 디스크(D)의 로딩/언로딩을 위한 로딩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딩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4)가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횡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4)는 탄성을 가지면서도 어느 정도의 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고무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롤러(4)는 롤러브라켓(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데, 상기 롤러브라켓(5)은 일단부에 스프링(6)이 지지되어 있어 힌지점(5h)을 중심으로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롤러(4)는 디스크(D)의 하면에 밀착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롤러(4)에 의해 디스크(D)가 일정 이상 인입되면, 디스크(D)에 의해 동작되는 타이밍플레이트(8)가 취부판(7)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의 하부 일측에는 슬라이딩랙(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랙(10)의 일측에는 구동기어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랙(10)의 선단부(상기 롤러브라켓(5) 측)에는 가이드경사부(12)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랙(10)의 후단부에는 상기 타이밍플레이트(8)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돌부(13,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랙(10)의 후단부 일측은 수직상방으로 절곡되어 승강가이드슬롯(15)이 형성된 가이드편(1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의 내부 중앙에는 디스크(D)의 회전을 위한 스핀들모터(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핀들모터(20)의 회전축에는 디스크(D)가 안착되는 턴테이블(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의 내부에는 클램프플레이트(30)가 힌지핀(31,31')을 중심으로 그 자유단부가 소정 각도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승강가이드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2)는 상기 가이드편(14)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가이드슬롯(15)에 가이드되어 상기 클램프플레이트(30)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플레이트(30)의 자유단부 측에는 턴테이블(22) 상에 안착된 디스크(D)를 파지하는 클램프(35)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p는 롤러브라켓의 구동핀이고, 25는 상기 구동기어부(11)와 맞물려 슬라이딩랙(10)을 구동하는 로딩기어이고, 40 및 41은 디스크의 삽입과 인출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디스크 구동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디스크(D)의 로딩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의 슬롯(2')을 통해 디스크(D)를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감지센서(40)가 디스크(D)의 삽입을 감지하여 로딩모터를 구동시킨다. 상기 로딩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롤러(40가 회전되면서 디스크(D)를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4)는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D)의 하면에 밀착되어 디스크(D)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디스크(D)가 상기 턴테이블(22)의 상방에 위치될 정도로 삽입되면, 상기 디스크(D)의 삽입력에 의해 상기 타이밍플레이트(8)가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타이밍플레이트(8)가 소정 구간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랙(10)의 연동돌부(13,13')와 연동되면서 슬라이딩랙(10)을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랙(10)의 구동기어부(11)와 로딩기어(25)가 맞물려 로딩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랙(10)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랙(10)의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롤러브라켓(5)의 연동핀(5p)이 가이드경사부(12)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롤러브라켓(5)은 힌지핀(5h)을 중심으로 하강하여 디스크(D)의 하면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않게 되어 디스크(D)가 턴테이블(22)에 안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랙(10)의 가이드편(14)의 승강가이드슬롯(15)에 승강가이드돌기(32)가 가이드되면서, 상기 클램프플레이트(30)가 힌지핀(31,31')을 중심으로 하강하여, 상기 클램프(35)가 상기 턴테이블(22)에 안착된 디스크(D)를 클램핑하도록 한다. 그리고 언로딩동작은 상기 로딩동작과 반대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디스크(D)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롤러(4)가 디스크(D)의 하면에밀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D)나 롤러(4)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되어 신호의 독취나 기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스크(D)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4)가 디스크(D)의 하면, 즉 신호기록면에 밀착되므로, 오랜 기간 사용한 경우 고무재질인 상기 롤러(4)가 마모되고, 그 마모가루가 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묻어 기록된 신호를 읽거나 신호를 기록할 때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4)가 마모되면 디스크(D)의 이송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D)의 이송과정이 디스크(D)가 완벽하게 파지된 상태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디스크(D)의 이송경로가 정확하지 않아 로딩 및 언로딩동작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고, 디스크(D)가 정확하게 수평상태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이송 중에 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해 디스크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롤러(4)가 신호기록면에 밀착되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크(D)의 양측 단부를 롤러를 사용하여 파지한 상태로 디스크(D)를 이송시켜 주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디스크(D)의 양단에 위치하는 롤러로 인해 디스크 드라이버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다른 부품, 특히 턴테이블이나 클램퍼와의 간섭문제가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것으로, 디스크의 이송중에 신호기록면이 타부품과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 드라이버를 경박단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크의 이송궤적이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디스크가 이송중에 견고하게 파지된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정면에서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측면에서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디스크가 회전될 때의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도 7의 상태를 측면에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부케이스 101: 상부케이스
105: 상부샤시 107: 가이드홈
109: 롤러가이드채널 110: 로딩모터
112: 워엄기어 114: 연결기어
116: 구동기어 120: 이송플레이트
122: 기어부 124: 안내채널
126: 캠홈 128: 릴리즈캠
130: 홀딩레버 132: 캠연동핀
134: 가이드핀 140: 제1홀딩롤러
141: 롤러플레이트 142: 스프링
143,143': 가이드공 144: 릴리즈기어
145: 제2홀딩롤러 146: 롤러플레이트
147: 스프링 148,148': 가이드공
150: 이젝트레버 152: 가이드롤러
154: 스프링 156: 연동핀
160: 콘트롤레버 165: 연동슬롯
170: 링크레버 173: 링크기어
174: 소기어부 175: 대기어부
180: 턴테이블 182: 턴테이블베이스
185: 픽업유니트 190: 클램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디스크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그 외주부의 일정 구간에 상기 구동원과의 연동을 위한 기어부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캠홈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이송플레이트와, 디스크의 양단부를 눌러서 잡아주는 홀딩롤러가 양단부에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 내에서 이동되면서 디스크를 이송시키는 홀딩수단과, 상기 홀딩수단에 의해 이송된 디스크를 안착시킨 상태로 회전되는 디스크회전수단과, 상기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픽업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홀딩수단에는 디스크의 양단부를 눌러서 잡아주는 홀딩롤러가 그 양단부에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된다.
상기 홀딩수단에는 상기 디스크회전수단에 안착된 상태의 디스크를 클램핑하는 클램퍼가 더 구비된다.
상기 디스크의 후단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가 이젝트레버상에 더 구비되고, 상기 이젝트레버는 디스크가 이젝트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홀딩롤러와 가이드롤러를 디스크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수단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이송플레이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디스크 회전수단과 픽업유니트의 승강을 위한 승강기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홀딩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플레이트로부터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에 의하면, 디스크의 이송궤적이 보다 정확하게 되고,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다른 부품이 접촉되거나 간섭되지 않게 되며, 전체적으로 구성이 경박단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정면에서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측면에서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크 드라이버의 외관을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101)가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101)가 형성하는 내부의 공간에 디스크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먼저 상기 상부케이스(101)의 하면에는 상부샤시(105)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부샤시(10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각종 부품이 동작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홈(107)이 그 전방에서 중앙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샤시(10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릴리즈기어(144)를 가이드하는 릴리즈캠(10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릴리즈캠(108)은 상기 상부샤시(105)를 절결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샤시(105)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홀딩롤러(145)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가이드채널(10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롤러가이드채널(109)은 대략 '7'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에는 디스크(D)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로딩모터(110)가 설치된다. 상기 로딩모터(110)의 회전축에는 워엄기어(112)가 설치되어 로딩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워엄기어(112)와 맞물려 연결기어(114)가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기어(114)와 맞물려서 구동기어(116)가 상기 상부케이스(101)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샤시(105)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116)는 상기 상부샤시(105)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플레이트(120)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이송플레이트(120)는 상기 상부샤시(105)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116)에 의해 회전되면서 디스크(D)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이송플레이트(120)의 외주를 둘러 일정 구간에는 상기 구동기어(116)와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플레이트(12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정 구간에는 안내채널(1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채널(12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콘트롤레버(160)의안내핀(163)이 위치되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에는 캠홈(126)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홀딩레버(130)의 동작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캠홈(126)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일측이 길게 연장된 'z'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이송플레이트(120)의 회전에 의해 홀딩레버(130)가 정해진 궤적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릴리즈캠(12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릴리즈캠(1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홀딩롤러(145)가 디스크(D)의 로딩완료동작 후에 디스크(D)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딩레버(130)의 가이드핀(134)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회피홈(129)이 구비된다.
상기 홀딩레버(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드라이버의 입구측에 길게 설치되어 디스크(D)를 고정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된 것으로, 그 선단부 측에는 캠연동핀(132)이 설치되어,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회전시에 캠홈(126)을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홀딩레버(130)의 중앙에는 가이드핀(134)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샤시(105)에 형성된 가이드홈(107)을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홀딩레버(13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연동핀(132)과 가이드핀(134)이 각각 이송플레이트(120)와 상부샤시(105)에 연동되면서 이동되어 디스크(D)를 이송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홀딩레버(130)에는 디스크(D)를 잡아주기 위한 제1및 제2홀딩롤러(140,145)가 그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먼저, 상기 캠연동핀(132)이 구비되어있는 단부 측에 롤러플레이트(141)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는 제1홀딩롤러(140)가 2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플레이트(141)는 스프링(142)에 의해 탄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러플레이트(141)에는 가이드공(143,143')이 각각 천공되어 있어 상기 롤러플레이트(141)가 상기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플레이트(141)에는 디스크(D)의 로딩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1홀딩롤러(140)를 디스크(D)의 측면에서 분리시켜 주도록 상기 릴리즈캠(108)과 연동되는 릴리즈기어(14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디스크홀딩레버(130)의 타단부에는 디스크(D)의 측면을 잡아주는 제2홀딩롤러(145)가 설치되는데, 이는 롤러플레이트(146)에 설치된다. 상기 롤러플레이트(146)는 상기 디스크홀딩레버(130)에 스프링(147)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되고, 가이드공(148,148')이 디스크홀딩레버(130)의 가이드핀(130p)에 가이드되어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홀딩롤러(145)의 회전중심축(145s)은 상기 상부샤시(105)의 롤러가이드채널(109)에 위치되어 안내된다.
다음으로 디스크(D)의 후단을 가이드롤러(152)가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롤러(152)는 이젝트레버(150)의 일측 선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이젝트레버(150)는 회전중심핀(1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154)에 의해 상기 가이드롤러(152)가 항상 상기 디스크(D)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이젝트레버(15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콘트롤레버(160)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핀(156)이 그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이젝트레버(150)는 평상시에는 그 선단에 있는 가이드롤러(152)가 디스크(D)의 후단 측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디스크(D)의 언로딩시에는 디스크(D)를 외부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젝트레버(150)와 연동되는 콘트롤레버(160)가 상부샤시(105)의 하면에 회전핀(16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레버(160)의 선단부에는 안내핀(163)이 설치되어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안내채널(124)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레버(160)에는 상기 이젝트레버(150)의 연동핀(156)과 연동되는 연동슬롯(16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동슬롯(165)은 상기 디스크(D)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이젝트레버(150)의 가이드롤러(152)가 디스크(D)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홀딩레버(130)의 일측과 디스크(D)의 이송이 완료된 시점에서 연동되어 디스크(D)를 턴테이블(180) 상에 안착시켜 주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링크레버(170)가 상부샤시(105)의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 링크레버(170)는 회전핀(17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홀딩레버(130)와 연동되는 반대쪽 단부에는 링크기어(17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링크기어(173)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기어부(122)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소기어부(174)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어(179)로 동력을 전달하는 아이들기어(177)와 맞물려 있다.
상기 승강기어(179)는 그 일측에 캠(179c)을 구비하여 턴테이블(180)을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턴테이블(180)은 이송되어온 디스크(D)가 안착되어 회전되는 부분으로 턴테이블베이스(18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베이스(182)는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에서 지지스프링(183,183')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캠(179c)과의 연동에 의해 상기 지지스프링(183,18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강 또는 탄성력에 의해 상승된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180) 상에 안착된 디스크(D)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퍼(190)가 상기 홀딩레버(130)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퍼(190)는 상기 홀딩레버(130) 상에 설치된 상태로 홀딩레버(130)와 함께 이동되고,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턴테이블(180)이 상승함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180) 상에 디스크(D)를 클램핑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4는 감지센서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D)를 케이스(100)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그 후단이 상기 이젝트레버(150)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롤러(152)에 닿게 된다.(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됨) 이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5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디스크(D)를 더 밀어 넣게 되면, 디스크(D)의 양단은 각각 도 3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홀딩롤러(140)와 제2홀딩롤러(145)에 의해 잡아져서 상기 홀딩레버(13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104)에 의해 디스크(D)의 인입이 감지되면 상기 로딩모터(110)가 구동된다. 상기 로딩모터(110)가 구동되면, 그 구동력은 상기 워엄기어(112), 연결기어(114) 및 구동기어(116)를 거쳐 이송플레이트(12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플레이트(120)가 회전되기 시작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홀딩레버(130)가 디스크(D)를 잡은 상태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홀딩레버(130)의 캠연동핀(132)이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캠홈(126)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핀(134)이 상기 상부샤시(105)의 가이드홈(107)을 따라 안내되며, 제2홀딩롤러(145)의 회전중심축(145p)이 상기 롤러가이드채널(109)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 상기 홀딩레버(130)는 도 3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데, 대략 상기 회전중심축(145p)을 중심으로 45도 정도 회전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홀딩레버(1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디스크(D)는 도 6의 상태와 같이 완전히 케이스(100)의 내부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D)의 위치는 턴테이블(180)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콘트롤레버(160)의 안내핀(163)이 안내채널(124)을 따라 이동하여 콘트롤레버(160)가 회전핀(16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홀딩레버(130)의 일측에 링크레버(170)의 일단부가 가이드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이송플레이트(120)가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링크레버(170)가 회전핀(17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링크레버(170)의 링크기어(173)가 상기 이송플레이트(170)의 기어부(122)에 맞물려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기어(173)의 회전은 아이들기어(177)를 통해 승강기어(179)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기어(179)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승강기어(179)의 회전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베이스(182)의 일측이 상기 승강기어(179)의 캠(179c)과 연동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턴테이블베이스(182)가 상승하게 되면 턴테이블(180)이 함께 상승되어 상기 홀딩레버(130)에 잡혀 있는 디스크(D)를 안착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클램퍼(190)가 상기 턴테이블(180)에 장착되어 디스크(D)가 완전히 턴테이블(180) 상에 안착된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홀딩롤러(140,145)와 가이드롤러(152)가 상기 디스크(D)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회전이 계속됨에 따른 상기 홀딩레버(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릴리즈기어(144)가 상기 상부샤시(105)의 릴리즈캠(108)을 따라 안내되면, 상기 릴리즈기어(144)가 릴리즈캠(108)에 의해 상기 홀딩레버(130)의 선단부 외측으로 밀리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롤러플레이트(141)가 상기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외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롤러플레이트(141)에 고정 설치된 제1홀딩롤러(140)가 디스크(D)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플레이트(120)의 릴리즈캠(128)과 제2홀딩롤러(145)가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2홀딩롤러(145)는 상기 릴리즈캠(128)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지면서 디스크(D)의 외측으로부터 이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롤러(152)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콘트롤레버(160)의 안내핀(163)이 안내채널(124)을 따라 안내되면서 회전핀(16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젝트레버(150)의 연동핀(156)이 상기 콘트롤레버(160)의 연동슬롯(165) 내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이젝트레버(150)가 상기 회전중심핀(15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152)가 상기 디스크(D)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디스크(D)가 턴테이블(180)에 안착된 상태로 아무런 간섭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크(D)를 언로딩시키는 것은 상기 로딩과정과 역순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디스크를 홀딩레버에 고정시킨 상태로 이송시키므로 이송시에 디스크가 기울어지지 않고 디스크의 이송궤적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동작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어떠한 부품도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디스크의 손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홀딩레버가 디스크를 잡아 고정한 상태로 초기상태에서 약 45도 회전하여 디스크를 로딩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사각형인 케이스에서 대각선 방향으로홀딩레버가 놓이게 되어 디스크 드라이버의 폭의 치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롤러로 디스크의 측면을 잡아 이송하는 방식에서 약 8mm정도의 폭을 좁힐 수 있다.

Claims (8)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디스크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그 외주부의 일정 구간에 상기 구동원과의 연동을 위한 기어부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캠홈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이송플레이트와,
    디스크의 양단부를 눌러서 잡아주는 홀딩롤러가 양단부에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 내에서 이동되면서 디스크를 이송시키는 홀딩수단과,
    상기 홀딩수단에 의해 이송된 디스크를 안착시킨 상태로 회전되는 디스크회전수단과,
    상기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픽업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에는 상기 디스크회전수단에 안착된 상태의 디스크를 클램핑하는 클램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후단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가 이젝트레버상에 더 구비되고, 상기 이젝트레버는 디스크가 이젝트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6. 제 5 항에 있어서,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홀딩롤러와 가이드롤러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이송플레이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회전수단과 픽업유니트의 승강을 위한 승강기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홀딩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플레이트로부터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KR1020000007787A 2000-02-18 2000-02-18 디스크 드라이버 KR100366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787A KR100366415B1 (ko) 2000-02-18 2000-02-18 디스크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787A KR100366415B1 (ko) 2000-02-18 2000-02-18 디스크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713A KR20010081713A (ko) 2001-08-29
KR100366415B1 true KR100366415B1 (ko) 2002-12-31

Family

ID=1964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787A KR100366415B1 (ko) 2000-02-18 2000-02-18 디스크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0924B (en) * 2005-02-02 2010-02-21 Teac Corp Disc device
JP4325568B2 (ja) * 2005-02-18 2009-09-0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103A (ja) * 1996-10-04 1998-04-28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装置
KR19980030566A (ko)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103A (ja) * 1996-10-04 1998-04-28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装置
KR19980030566A (ko)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713A (ko)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2730B1 (en) Disk receiving and transferring device for a disk drive
US7340752B2 (en) Disc driving device and cam for disc driving device
US6222811B1 (en) Disc unit with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simultaneous inserting and ejecting operations for disc
EP1677298A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disk apparatus
US6880160B1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disk in a disk drive
US6714507B2 (en) Disc device
KR100366415B1 (ko) 디스크 드라이버
US6469971B1 (en) Device for reproducing optical discs
JP2926639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を備えるディスクプレーヤー
KR0163320B1 (ko) 카용 씨디플레이어의 디스크 안내장치
KR0166235B1 (ko) 카용 씨디플레이어의 디스크 안내장치
JP4207936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314432B1 (ko) 디스크구동장치
KR10024938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KR200339946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판별 장치
KR100557535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척킹장치
JP2006302377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644170B2 (ja) ディスクロ−ディング制御装置
KR100333605B1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디스크 이송장치
KR100209149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US6560185B2 (en) Disk device
KR970017399A (ko)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작동 방법
EP1315164A1 (en) Adaptor for optical disk
JP2650620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2260315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