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627B1 -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및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및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627B1
KR101060627B1 KR1020067012606A KR20067012606A KR101060627B1 KR 101060627 B1 KR101060627 B1 KR 101060627B1 KR 1020067012606 A KR1020067012606 A KR 1020067012606A KR 20067012606 A KR20067012606 A KR 20067012606A KR 101060627 B1 KR101060627 B1 KR 10106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electrode
hardening
curing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628A (ko
Inventor
타카시 쿠마베
미노루 혼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06013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1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actuated electrically by the coin, e.g. by a single coin
    • G07F5/12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actuated electrically by the coin, e.g. by a single coin wherein two or more coins of the same denomination are required for each transa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7Coin chutes with means for temporarily stor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의 완료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는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을 제공한다. 경화 정류부(105)를, 열을 이루어서 경화 정류부(105)에 정류된 경화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상태로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열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경화와 접촉하는 제1전극(121)을 경화 정류부(105)에 설치하고, 열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경화와 접촉하는 제2전극(123)을 경화 정류부에 설치한다. 제1전극(121)와 제2전극(123)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에 의해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이 완료된 것을 판정한다.

Description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및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METHOD OF DETERMINING COMPLETION OF COIN INSERTION AND COIN RECOVER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이용되는 경화 회수장치에 있어서,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간단히 판정할 수 있는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및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의 경화를 회수하는 경화 회수장치에 관해서는, 종래 여러가지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특히,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57393호 공보, 일본 특허 제3254143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9271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133493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02-279476호 공보 등에는,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경화의 개수의 변경을 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경화 회수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57393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제32541439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공개2002-92713호 공보
특허문헌4: 일본 특허공개2002-133493호 공보
특허문헌5: 일본 특허공개2002-279476호 공보
종래 제안되어 있는 경화 회수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는, 각각 일장일단이 있다. 예컨대, 구조는 간단하지만, 경화를 확실히 전부 회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나, 경화를 확실히 전부 회수할 수 있지만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되는 것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경화 회수장치에는, 상품의 판매 동작과 경화의 회수 동작을 연동시키는 경우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되는 것도 있다. 또한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경화의 개수의 설정이 복잡한 것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의 완료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는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및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조 경화의 판정이 가능한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및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에 추가로, 필요한 경화의 투입 개수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는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및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화의 회수 및 리셋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열을 이루어서 정류되는 경화 정류부를 도중에 구비한 경화 통과 통로를 갖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에 있어서, 경화 정류부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화 정류부를, 열을 이루어서 경화 정류부에 정류된 경화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상태로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열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경화와 접촉하는 제1전극을 경화 정류부에 설치하고, 열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경화와 접촉하는 제2전극을 경화 정류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에 의해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이 완료된 것을 판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경화 정류부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배열되지 않는 한, 경화를 통해서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의 완료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특히, 투입된 경화 중에 금속 이외의 위조 경화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위조 경화가 투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도 동시에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의 위조 경화가 투입되어 있는 경우이며, 그 위조 경화의 저항치가 진짜 경화의 저항치와 다를 경우에는,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값(또는 전체의 저항치)이 다르다. 그래서 전류값(저항치)을 측정하면, 투입된 경화 중에 위조 금속제 경화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필요한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구체적인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는, 회수장치 본체와, 경화투입완료 검출수단과, 경화 회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회수장치 본체는,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열을 이루어서 정류되는 경화 정류부를 도중에 구비한 경화 통과 통로를 갖는다. 또한 경화투입완료 검출수단은, 경화 정류부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경화 회수기구는, 상품의 취출동작과 연동하여 경화를 경화 정류부로부터 경화 저금통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경화 회수장치에서는, 열을 이루어서 경화 정류부에 정류된 경화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상태로 되도록 경화 정류부를 구성한다. 또한 경화투입완료 검출수단은, 열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경화와 접촉하는 제1전극과, 열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와 접촉하는 제2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경화투입완료 검출수단을,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를 전류가 흐름으로써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이 완료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하면, 필요한 개수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일실시형태의 자동판매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론트 패널을 케이스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레임 패널을 케이스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한 상태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프론트 패널의 패널 부분을 제거한 자동판매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내부기구를 경사진 아래에서 바라본 일러스트 도면이다.
도 7은 도 2를 바로 위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상품 수납부의 구조와 상품의 수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상품 수납부와 상품 이동기구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품 인출 스위치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C)는,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어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제어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경화 회수장치 수납부를 확대해서 일러스트로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경화 회수장치 수납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경화 회수장치를 정면 우상에서 바라본 사시도의 일러스트이다.
도 17은 경화 회수장치를 정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일러스트이다.
도 18은 경화 회수장치를 배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일러스트이다.
도 19는 경화를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일러스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자동판매기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형태의 자동판매기의 사시도이다. 이 자동판매기(1)는, 수납 케이스(3)를, 프론트 패널(5)과 케이스 본체(7)로 구성한다. 프론트 패널(5)은 케이스 본체(7)와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프론트 패널(5)을, 케이스 본체(7)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는, 프론트 패널(5)의 배후에 부착된 프레임의 일부(21)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프론트 패널(5)의 정면부는, 하측 절반부 영역(5A)과 상측 절반부 영역(5B)을 구비하고 있고, 하측 절반부 영역(5A)에는 4개의 상품 수납부에 대하여 공통으로 설치된 1개의 수동 조작부(9) 및 1개의 상품 토출구(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절반부 영역(5B)에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4개의 상품 수납부(27~33)에 대응하여 설치된 4대분의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가 수납되는 4개의 경화 회수장치 수납부(13 내지 19)가 배치되어 있다. 경화 회수장치 수납부(13 내지 19)에는, 투명한 커버(13a 내지 19a)가 장착되어 있고, 이 투명한 커버(13a 내지 19a)를 통해서 내부의 표시부가 보이도록 되어 있다. 커버(13a 내지 19a)에는, 4대의 경화 회수장치 수납부(13 내지 19)에 대응한 4개의 경화 투입구(14a,16a,18a 및 20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13a 내지 19a)에는, 취소 또는 리셋에 의해 반금(返金)되는 경화를 취출하는 반금 취출구(14b,16b,18b 및 20b)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5)의 배후에는, 후술하는 상품 수납부(27~33), 상품 안내 통로, 구동력 발생 전달기구 및 상품 이동기구가 실장되는 일부의 프레임(23)이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의 전체는, 상품 수납부, 상품 안내 통로, 구동력 발생 전달기구 및 상품 이동기구를 실장하는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구조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는 프론트 패널(5)을 전방으로 인출할 때에 사용되는 슬라이드용 프레임(23)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프레임(23)의 후방에 배치된 다른 프레임(25)은, 케이스 본체(7)에 장착되는 프레임 유지 구조를 구성하는 레일용 프레임이다. 도 3에는, 도 2에 나타낸 하측의 프레임(21)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3)과 프레임(25)의 기계적 강도가 충분히 있으면, 도 2에 나타낸 하측의 프레임(21)은 불필요하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프론트 패널(5)을 인출함으로써, 내부의 구동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모두 외부로 나오기 때문에, 보수 점검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데다가, 상품 수납부(27~33)로의 상품의 보충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3)는, 후술하는 상품 수납부(27~33)의 주요부분이 수납 케이스(3)의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그 상측 절반부 영역의 측벽(8)을 투명 또는 반투명한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품 수납부(27~33)의 주요부분도 투명 또는 반투명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외부로부터 상품 수납부(27~33)가 보이기 때문에, 남아있는 상품의 상황을 알고, 상품을 다시 채울 시기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을 보이게 함으로써 구매자의 구매 의욕을 높일 수 있다.
수동 조작부(9)는, 수동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이 예에서는, 회전식의 조작부가 이용되고 있다. 도 4에는, 프론트 패널(5)의 패널 부 분을 제거한 자동판매기의 정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3의 A-A선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6은, 내부기구를 경사진 하방으로부터 바라본 일러스트 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동 조작부(9)는, 회전축(34)(도 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원판형상의 회전부재(35)와 회전부재(3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 형상의 핸들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원판형상의 회전부재(35)의 후방에는, 원형상의 기어(3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35)의 하방위치에는, 기어(39)와 맞물려 회전하는 작은 기어(41)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41)가 축지지된 축(43)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식의 발전기(45)의 회전축이 직결되어 있다.
발전기(45)는, 정면측 프레임 부재(47)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도 3,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기(45)에 의해 발전된 전력은, 4대의 전동기(49,51,53 및 55)의 동력원으로서 이들 전동기에 공급된다. 발전기(45)가 발전을 개시하면, 발전기(45)가 발전한 전력은, 제어회로를 통해서 전동기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전동기(49~55)의 출력축에는, 감속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작은 지름의 기어(57a~57d)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기어(57a~57d)에는, 감속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큰 지름의 기어(59a~59d)가 맞물려 있다. 기어(59a~59d)는, 각각 회전축(61a~61d)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61a~61d)은, 상품 수납부(27~33)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동작하는 상품 이동기구(63,65(도 3), 67 및 69(도 6))의 구동축을 각각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형상의 기어(39)와 작은 기어(41)가, 회전부재(35)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45)의 회전축을 회전부재(35)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증속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증속기구와 발전기(45)와, 전동기(49~55)와, 기어(57a~57d)와, 기어(59a~59d)에 의해, 수동 조작부(9)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하고, 구동력을 상품 이동기구(63,65,67 및 69)에 그 동작원으로서 전달하는 구동력 발생 전달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주로 도 7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상품 수납부(27~33)와, 상품 수납부(27~33)에 수납된 복수의 상품으로부터 1개의 상품을 1개의 상품 안내 통로(71)로 이동시키는 상품 이동기구(63~69)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품 수납부(27~33)는, 대표적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품이 상하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수납되는 4개의 상품 수납로(73a~73d)를 구비한 것을 이용한다. 4개의 상품 수납로(73a~73d)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77)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상품 수납로(73a~73d)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77)을 둘러싸고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상품 수납로를 분할하는 분할벽부(79a~79d)가 중심선(77)을 중심으로 하여 360°/4=90°의 각도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품 수납로의 수를 m개로 할 경우에는, 360°/m(m은 2이상의 양의 정수)의 각도 간격으로 분할벽부를 설치하면 좋다. 상품 수납로(73a~73d)는, 상하방향의 단부가 각각 개구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 수납로(73a~73d)의 하측 단부와, 후술하는 상측 격벽(81)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g) 내에는, 분할벽부(79a~79d)의 하측 단부가 각각 노출되어 있다. 또한 중심선(77)과 전술의 회전축(61d)의 축선은 일치하고 있다.
상품 수납부(27~33), 상측 격벽(81) 및 상측 벽부(81)에 형성하는 상측 관통구멍(85)의 관계는, 상품이 상측 관통구멍(85)을 통해서 후술하는 하측 격벽(83) 상에 낙하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상품 수납로(73a~73d) 내에 수납된 상품의 하중을 상측 격벽(81)에서 전부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면, 상측 격벽(81)에서 상품 수납로 내의 상품의 하중을 전부 지지하므로, 회전축(61a~61d)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측 격벽(81)에서 상방에 위치하는 상품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하측 격벽(83)에 낙하된 상품에, 필요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일이 없고, 하측 격벽(83) 상의 상품을 원활하게 무리없이 상품 안내 통로에 투입할 수 있다.
상품 이동기구(63~69)(도 3,도 6)는, 각각 대응하는 전동기(49~55)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61a~61d)의 회전에 따라 4개의 상품 수납로(73a~73d)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순차적으로 상품을 이동시키는 제1이동기구와, 회전축(61a~61d)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상품을 상품 안내 통로(71) 내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기구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상품 이동기구(63~69)의 제1이동기구로서, 자연낙하형 이동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이동기구는, 상품 수납부(27~33)의 하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회전축(61a~61d)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격벽(81)과 하측 격벽(83)과, 전술의 분할벽부(79a~79d)의 간극(g) 내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측 격벽(81)에는, 상품 수납부(27~33)가 회전축(61a~61d)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1개의 상품 수납로로부터 하 측 격벽(83) 상에 1개의 상품을 자연스럽게 낙하시키는 전술의 상측 관통구멍(85)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관통구멍(85)의 형상 및 형성 위치는, 회전축(61a~61d)이 정지해 있는 회전개시 원점위치에 있어서 상품 수납로로부터 상측 관통구멍(85) 내에 상품이 낙하하지 않도록 정해져 있다. 그 때문에 외부로부터 진동이 가해져도, 대기중에, 상품이 상측 관통구멍(85)으로부터 하측 격벽(83) 상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이동기구는, 회전이동기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회전이동기구는, 상측 격벽(81) 및 하측 격벽(83) 사이에 설치되어서, 회전축(61a~61d)과 함께 회전하고, 하측 격벽(83) 상에 낙하된 상품을 상품 안내 통로(71) 내에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9에 가장 잘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90°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4장의 압출 플레이트(87)가, 회전축(61a~61d)에 대하여 고정되어서, 회전이동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4장의 압출 플레이트(87)는, 상품 수납부에 설치되는 분할벽부(79a~79d)와 정합하도록(위에서 봐서, 4장의 압출 플레이트(87)와 분할벽부(79a~79d)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측 격벽(83)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을 상품 안내 통로(71)로 도입하는 하측 관통구멍(8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격벽(81)과 하측 격벽(83) 사이에는, 하측 격벽(83) 상에 낙하된 상품이 상품 안내 통로(71)에 들어가도록 상품을 하측 관통구멍(89)에 안내하는 가이드 벽부(91)(도 9)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이드 벽부(91)는, 압출 플레이트(87)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상품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벽부(91)를 설치 하면, 하측 벽부(83)에 낙하된 상품을 확실하게 상품 안내 통로(7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상측 격벽(81)에 설치한 상측 관통구멍(85)으로부터 상품이 하측 격벽(83) 상에 낙하된 후에는, 낙하된 상품은 상품 수납부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을 일이 없다. 또한 회전이동기구도, 상측 격벽(81) 상에 있는 상품 수납부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하측 격벽(83) 상의 상품을 상품 안내 통로 내로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을 상품 안내 통로(71)에 투입할 때에, 다른 상품의 존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복수의 상품이 겹쳐서 상품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또한 상측 격벽(81)과 하측 격벽(83) 사이의 간격은, 하측 격벽(83) 상에 낙하된 상품의 존재에 의해 상기 상품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다른 상품이 상측 관통구멍(85) 내에 들어가지 않는 치수로 정해 둔다. 바꿔 말하면, 하나의 상품이 상측 격벽(81)과 하측 격벽(83) 사이에 들어가고, 그 위의 상품은 아래로 떨어진 상품 위에서 상측 격벽(81) 상으로 슬라이딩되는 치수로, 상측 격벽(81)과 하측 격벽(83) 사이의 간격이 정해져 있다. 또한 상측 관통구멍(85)의 가장자리부는, 하측 격벽(83) 상에 떨어진 상품 상에 위치하는 별도의 상품이 상측 격벽(81) 상에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테이퍼가 부착되어 있다.
상품 이동기구(63~69)는, 4개의 상품 안내부에 대하여 각각 설치하고 있지만, 각 상품 이동기구에서 이용하는 상측 격벽(81)과 하측 격벽(83)은, 공통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구조가 매우 심플하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상품 수납부(27~33)에 설치한 상품 수납로(73a~73d)의 횡단면의 윤곽형상은, 도 8에 나타내는 상품(75)의 외측 상자의 일변의 길이보다 길고 중심선측에 교점을 형성하도록 직교하는 2개의 장변(74a 및 74b)과, 이 2개의 장변(74a 및 74b)의 선단부측으로부터 그 장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단변(74c 및 74d)과, 상기 2개의 단변의 연장선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2개의 단변(74c 및 74d)을 연결하는 만곡변(74e)을 구비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상품 수납로의 횡단면형상을 정하면, 상품의 외측 상자가 상품 수납로의 내부에서 경사졌더라도, 상품이 상품 수납로의 내벽에 걸리는 사태가 발생할 일은 없고, 상품이 상품 수납로 내에서 막히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구체, 타원체 등의 여러가지의 형상의 외측 상자에 들어간 상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품 수납부(27~31)는, 각각 떼어내기가 가능한 1개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품 수납부(27~31)와 상품 이동기구의 회전축(61a~61d)은, 상품 수납부(27~31)를 상품 이동기구의 회전축(61a~61d)에 근접하게 하는 동작을 함으로써 양자가 연계 상태로 되고, 상품 수납부(27~31)를 상품 이동기구의 회전축(61a~61d)으로부터 떼어 놓는 동작을 함으로써 연계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9에는, 상품 수납부(27 및 29)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격벽(81)에는, 상품이 상품 안내 통로(71) 내에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상품 인출 확인 스위치(SW2)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는, 상측 격벽(81)에 고정된 지지부재(93)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95)를 구비하고 있다. 상품이 상품 안내 통로(71)에 낙하될 때에 플레이트(95)를 흔들면, 플레이트(95)의 움직임에 따라 온/오프 상태로 되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가 온/오프 상태로 되어 상품의 인출이 검출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각 상품 수납부(27~31)에 대해서는, 각 상품 수납부가 원점위치(상품 수납부(27~31)가 90°의 각도 범위를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 개시위치 또는 회전 종료 위치)에 있거나 인가를 검출하는 원점 복귀 검출스위치(SW4)(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원점 복귀 검출스위치(SW4)는, 분할벽부(79a~79d) 또는 압출 플레이트(87)에 의해 구동되는 리밋트스윗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1대의 전동기(M)(49~55의 총칭)를 발전기(45)의 출력에 의해 구동하기 위한 제어회로(CL)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면서, 도 12의 회로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4대의 전동기에 대해서는, 발전기(45) 1대에 대하여 도 12에 나타낸 4개의 제어회로(CL)를 설치하게 된다. 발전기(45)의 출력은, 경화 투입 확인 스위치(SW1)와 제너 다이오드(ZD)를 통해서 전동기(M)에 공급된다. 여기서 경화 투입 확인 스위치(SW1)는, 뒤에 설명하는 경화 회수장치가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투입된 것을 검출하면 온 상태로 되는 상시 스위치이다. 경화가 투입된 후에, 발전기(45)가 발전을 개시하면, 스위치(SW1)를 통해서 제너 다이오드(ZD)에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다이오드(D)를 통해서 콘덴서(C)가 충전된다. 제너 다이오드(ZD)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너 전압을 초과하면 전동기(M)가 회전을 개시한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전동기(M)가 회전하면, 상측 격벽(81) 상으로부터 상측 관통구멍(85)을 통해 상품이 하측 격벽(83)에 낙하된다[도 11(A) 참조]. 더욱 전동기(M)가 회전을 계속하면, 압출 플레이트(87)에 의해 압출된 상품(75)이, 가이드 벽부(91)에 닿고, 가이드 벽부(91)를 따라 상품은 압출되고, 최종적으로 상품(75)은 상품 안내 통로(71)에 투입된다[도 11(B) 및 (C) 참조]. 상품이 압출되면, 상품 안내 통로(71)에 설치된 상품 인출 확인 스위치(SW2)가 온 상태로 되고, 콘덴서(C)에 충전된 전하가 회수용 솔레노이드(SC) 및 스위치(SW2)를 통해서 방전된다. 상품이 인출되면, 수동 조작부(9)의 조작이 정지되어서, 발전기(45)에 의한 발전이 정지되게 되지만, 이 경우에도 콘덴서(C)의 방전에 의해 회수용 솔레노이드(SC)가 통전 상태로 된다. 그리고 회수용 솔레노이드(SC)의 동작에 의해 경화 회수장치가 경화 회수 동작을 행하여 경화가 회수된다. 콘덴서(C)에 전하가 있는 동안에는, 사이리스터(SCR)와 저항(R)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유지 회로가 동작하고, 콘덴서(C)의 방전은 유지된다. 콘덴서(C)가 방전을 완료하면, 회수용 솔레노이드(SC)가 비도통상태로 되고, 경화 회수 동작이 종료된다. 이 제어회로(CL)에 의하면, 특히 배터리 등의 축전수단을 제어회로의 제어용 전원으로 하는 일 없이, 발전기(45)의 출력만으로 전력의 공급과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제어회로(CL1)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제어회로에서는, 발전기(45)의 출력으로 이차전지로서의 배터리(B)를 충전하여, 이 배터리(B)를 제어회로의 제어 전원으로 한다. 또한 도 13에는, 배터리(B)의 충전 회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도 12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회로에서는, 경화가 투입된 것이 확인되어 경화 투입 확인 스위치(SW1)가 온 상태로 된 후에, 발전기(45)가 발전을 개시하면, 스위치(SW1)와 2접점의 릴레이(RC)의 도시하지 않은 1개의 접점이 온 상태로 되고, 그 접점을 통해서 전동기(M)와 발전기(4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발전기의 출력전압이 제너 다이오드(ZD)에 인가된다. 발전기(45)의 출력이 제너 다이오드(ZD)의 제너 전압을 초과하면, 발전기(45)의 출력이 전동기(M)에 공급되어 전동기(M)는 회전을 개시한다. 카운터(CC)는, 전동기(M)에 통전이 행해질 때마다, 카운트 값을 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CC)의 표시를 봄으로써, 상품의 인수 회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카운터(CC)에는 리셋 기능이 있고, 필요에 따른 리셋이 가능하다. 전동기(M)의 회전에 의해, 후술하는 상품 이동기구가 동작을 하여, 상품이 인출되면, 상품 안내 통로에 설치된 상품 인출 확인 스위치(SW2)가 온 상태로 되고, 더욱 전동기(M)가 회전을 계속하여 상품 수납부가 회전개시 원점위치(스토커 원점)에 도달한 것을 원점 복귀 검출스위치(SW4)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검출하면, 회수용 솔레노이드(SC)가 여자된다. 그 결과, 회수용 솔레노이드(SC)의 동작에 의해 경화 회수장치가 경화 회수 동작을 행하여 경화가 회수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SW2)와 스위치(SW4)의 앤드 동작에 의해, 경화를 회수하도록 하면, 동시에 복수의 경화 회수장치에 경화가 투입되고 있는 경우에도, 실제로 상품의 배출을 행한 상품 수납부로부터 상품이 배출된 경우에만, 대응하는 경화 회수장치가 동작하여 경화를 회수하게 된다. 그 결과, 복수의 경화 회수장치에 경화가 투입된 경우이며, 잘못하여 경화가 회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치(SW3)는, 상품의 구입자에 의해 리셋 조작되면 온 상태로 되는 리셋 스위치이다. 이 리셋 스위치(SW3)도 전술의 원점 복귀 검출스위치(SW4)와의 앤드 동작에 의해, 리셋용 솔레노이드를 여자한다. 따라서 전동기(M)가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 외에는, 리셋을 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한번 전동기(M)가 돌기 시작하면, 그 전동기에 대응한 상품 수납부가 회전개시 원점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상품이 인출될 때까지)는 리셋 동작은 행할 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 수납부가 회전개시 원점위치에 도달하면, 경화는 회수되어 버리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한번 대응하는 전동기가 돌기 시작하면 도중에 리셋은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이 완료되어, 스위치(SW1)가 온 상태로 되면, 발광다이오드나 음성 표시수단 등의 표시수단(DP)이 표시 동작을 행한다. 스위치(SW1)가 오프 상태로 되면, 표시수단(DP)은 표시 동작을 중지한다. 또한 이 제어회로(CL)도, 도 12의 제어회로(CL1)와 마찬가지로, 각 상품 수납부마다 설치된다.
도 14는, 경화 회수장치 수납부(13)를 확대해서 일러스트 도면으로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경화 회수장치 수납부(13)의 내부에는, 도 15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경화 회수장치(101)가 수납되어 있다. 이 경화 회수장치(101)는, 전기적으로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경화 회수장치(101)는, 경화 투입구(14a)로부터 투입한 경화를 가이드하는 경화 가이드부(103)와, 가이드부(103)를 통과한 경화를 일시적으로 정류(停留)시키는 경화 정류부(105)와, 필요한 개수 이상의 경화가 투입되었을 때에, 그 경화를 반금 취출구(14b)에 배출하는 경화 배출로(107)(도 16)와,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경화 정류부(105)에 정류된 후 에, 경화 정류부(105)에 정류된 경화를 회수하는 경화 회수로(109)를 구비하고 있다. 경화 투입구로부터 경화 배출로(107)까지의 통로가 경화 통과 통로로 되어 있다. 경화 통과 통로의 도중에 설치된 경화 정류부(105)에는,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열을 이루어서 정류된다.
경화 정류부(105)는 열의 일단측이 열의 타단측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열을 구성하는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세워진 상태(경화의 직경이 수직방향을 따르도록 되는 상태)에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항상, 경화에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향해 이동하고자 하는 중력의 분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인접하는 2장의 경화의 접촉상태를, 경화에 가해지는 중력을 이용하여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화 정류부(105)는,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장의 판재(111 및 113)와, 2장의 판재(111 및 113)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는 대향면(115)을 구비하고 있다. 대향면(115)은, 기체(117)에 형성되어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큰 관통구멍(119)의 내주면(121)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경화는, 2장의 판재(111 및 113)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대향면(115)에 그 외주부분이 접촉한 상태에서 경화를 정류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장의 판재(111 및 113)의 상측 양단부는, 힌지 기구(119)를 통해서 상측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스윙(요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화 회수장치(101)에 있어서는, 열을 이루어서 경화 정류부(105)에 정류된 경화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상태로 되도록 경화 정류부(105)를 구성하고 있 다. 그리고 열의 일단측(경화 정류부(105) 하측 단부측)에 위치하는 경화와 접촉하는 제1전극(121)을 경화 정류부에 대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한 열의 타단측(경화 정류부(105) 상측 단부측)에 위치하는 경화와 접촉하는 제2전극(123)을 경화 정류부(105)에 대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전극(121)와 제2전극(123)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에 의해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이 완료된 것을 판정한다. 구체적인 판정방법으로서, 제1전극(121)와 제2전극(123)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 온 상태로 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해도 좋다. 또한 제1전극(121)와 제2전극(123)과 필요한 개수의 경화에 의해, 그들 자체로 스위치를 구성하도록(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3)을 고정 접점으로 하고 필요한 개수의 경화를 가동 접점으로 하는 스위치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전극(121)은, 경화 정류부(105)에 정류하고 있는 일단측(하측)에 위치하는 경화의 상측 외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2전극(123)은 경화 정류부(105)에 정류하고 있는 타단측(상측)에 위치하는 경화의 하측 외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전극(123)의 전극면은 대향면(115)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전극(121)은, 2장의 판재(111 및 113)를 관통하는 핀형상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전극(121)을 핀형상 전극으로 하면, 전류검출용 전극으로서뿐만 아니라, 경화 정류부(105)에 들어오는 경화의 스토퍼로서도 제1전극(121)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전극(121)을 필요한 경화의 개수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전극(121)을, 2장의 판재(111 및 113)에 각각 형성한 관통구멍(131a~131d) 및 관통구멍(133a~133d)(이들은 관통구멍(131a~131d)과 판재(111 및 113)의 두께방향에 대향하고 있다)을 선택하여, 선택한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제1전극(121)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필요한 경화의 개수를 결정하는 수단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핀형상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전극(121)을 유지하는 전극 유지부(137)를 구비한 전극 유지 구조(139)는, 2장의 판재(111 및 113)가 경화를 회수하는 측으로 스윙했을 때에, 2장의 판재(111 및 113)와 함께 전극유지부(137)가 스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핀형상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전극(121)이, 2장의 판재 사이에 들어가는 경화의 개수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이 상태로 하면, 제1 및 제2전극(121 및 123)이, 경화 정류부(105)에 들어오는 경화의 통과의 장해로 되지 않고, 또한 경화를 경화 정류부로부터 배출할 경우에도 전극이 장해물로 되기 어려우므로, 구조 설계가 용이해진다.
상품을 배출 또는 인수한 후의 경화의 회수를 실행하는 경화 회수 기구는, 2장의 판재(111 및 113)를 한쪽측으로(이 예에서는 전방측으로) 스윙시켜 열을 이루는 경화를 대향면(115)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2장의 판재(111 및 113)의 사이로부터 경화를 낙하시킴으로써 경화를 경화 정류부(105)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경화 저금통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이 구조로 하면 2장의 판재의 스윙 동작만으로, 확실하게 경화를 하방으로 낙하시켜 회수할 수 있다.
2장의 판재(111 및 113)의 스윙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서, 2개의 솔레노이드(전자적으로 여자되어 동작하는 동작 기구)(125 및 127)가 2장의 판재(111 및 113) 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측(판재(111)측)에 배치된 솔레노이드(125)가 회수용 솔레노이드이며, 후방측(판재(113)측)에 배치된 솔레노이드(127)가 리셋용 솔레노이드이다. 솔레노이드(125)가 여자되어 솔레노이드(125)의 피스톤 부재(126)가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면, 판재(111 및 113)는 전방측으로 스윙한다. 다른쪽의 솔레노이드(127)의 피스톤 부재(128)와 판재(113)의 연결구조는, 피스톤 부재(128)가 상방으로 끌어 올려졌을 때에는, 판재(113)를 후방으로 스윙시키지만, 판재(113)가 전방측으로 스윙할 때에는 그 스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금을 구하기 위해서 솔레노이드(127)가 여자되면, 솔레노이드(127)의 피스톤 부재(128)가,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판재(111 및 113)는 후방측으로 스윙한다. 솔레노이드(125)의 피스톤 부재(126)와 판재(111)의 연결구조는, 피스톤 부재(126)가 상방으로 끌어 올려졌을 때에는, 판재(111)를 전방으로 스윙시키지만, 판재(113)가 후방측으로 스윙할 때에는 그 스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전극(121)을 필요한 경화의 개수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대향면(115)이 설치된 기체(117)에는, 대향면(115)의 하방측에 위치하여 대향면(115)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14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홈(141) 내에 전극 유지 구조(139)의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춘다. 또한, 슬라이드 홈(141)과 대향면(115) 사이에는, 슬라이드 홈(141)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위치 결정 홈 또는 오목부(143a~143d)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 유지 구조(139)에는, 위치 결정 홈 또는 오목부(143a~143d)에 끼워맞춰져 전극 유지 구조(139)의 위치 결정부(도시 하지 않는)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드 홈(141)을 따라 전극 유지 구조(139)를 슬라이딩시켜서, 소정의 위치 결정 홈 또는 오목부(143a~143d)에 전극 유지 구조(139)의 위치 결정부를 끼워맞추는 것만으로, 전극의 위치 결정과 고정을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경화 회수장치(101)에서는, 경화 정류부(105)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존재하지 않는 한, 경화를 통해서 제1전극(121)와 제2전극(123)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의 완료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특히, 투입된 경화 중에 금속 이외의 위조 경화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위조 경화가 투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도 동시에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의 위조 경화가 투입되어 있을 경우이며, 그 위조 경화의 저항치가 진짜 경화의 저항치와 다를 경우에는,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값(또는 전체의 저항치)이 다르다. 그래서 이 전류값(저항치)을 측정하면, 투입된 경화 중에 위조 금속제 경화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경화 투입 완료 검출수단은, 회로적으로는, 도 12 및 도 13의 스위치(SW1)가 이것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 정류부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배열되지 않는 한, 경화를 통해서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의 완료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특히, 투입된 경화 중에 금속 이외의 위조 경화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위조 경화가 투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도 동시에 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금속제의 위조 경화가 투입되어 있는 경우이며, 그 위조 경화의 저항치가 진짜 경화의 저항치와 다를 경우에는,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값(또는 전체의 저항치)이 다르다. 그래서 전류값(저항치)을 측정하면, 투입된 경화 중에 위조 금속제 경화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열을 이루어서 정류되는 경화 정류부를 도중에 구비한 경화 통과 통로를 갖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화 정류부에 상기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경화 정류부를, 상기 열을 이루어서 상기 경화 정류부에 정류된 경화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상태로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열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와 접촉하는 제1전극을 상기 경화 정류부에 설치하고,
    상기 열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와 접촉하는 제2전극을 상기 경화 정류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에 의해 상기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이 완료된 것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필요한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의 값에 기초하여, 위조 경화가 투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4.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열을 이루어서 정류되는 경화 정류부를 도중에 구비한 경화 통과 통로를 갖는 회수장치 본체;
    상기 경화 정류부에 상기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화투입완료 검출수단; 및
    상품의 취출동작과 연동해서 상기 경화를 상기 경화 정류부로부터 경화 저금통으로 이동시키는 경화 회수기구를 구비한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로서:
    상기 경화 정류부는, 상기 열을 이루어서 상기 경화 정류부에 정류된 경화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화투입완료 검출수단은, 상기 열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와 접촉하는 제1전극과, 상기 열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와 접촉하는 제2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를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이 완료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설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정류부는 상기 열의 상기 일단측이 상기 열의 상기 타단측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열을 구성하는 상기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해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7. 상품의 구입에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열을 이루어서 정류되는 경화 정류부를 도중에 구비한 경화 통과 통로를 갖는 회수장치 본체;
    상기 경화 정류부에 상기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화투입완료 검출수단; 및
    상품의 취출동작과 연동해서 상기 경화를 상기 경화 정류부로부터 경화 저금통으로 이동시키는 경화 회수기구를 구비한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로서:
    상기 경화 정류부는, 상기 열을 이루어서 상기 경화 정류부에 정류된 경화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화투입완료 검출수단은, 상기 열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와 접촉하는 제1전극과, 상기 열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와 접촉하는 제2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를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필요한 개수의 경화의 투입이 완료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설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경화 정류부는 상기 열의 상기 일단측이 상기 열의 상기 타단측보다 하 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열을 구성하는 상기 필요한 개수의 경화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해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경화 정류부에 정류되고 있는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의 상측 외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경화 정류부에 정류되고 있는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의 하측 외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정류부는,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장의 판재와, 상기 2장의 판재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화는 상기 2장의 판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대향면에 그 외주부분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경화를 정류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2장의 판재의 상측 양단부는 힌지 기구를 통해서 스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경화 회수기구는, 상기 2장의 판재를 한쪽의 측으로 스윙시켜 상기 열을 이루는 경화를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상기 2장의 판재의 사이로부터 상기 경화를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경화를 상기 경화 정류부로부터 경화 저금통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 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대향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은 상기 2장의 판재를 관통하는 핀형상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의 설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핀형상 전극을 유지하는 전극 유지부를 구비한 전극 유지 구조는, 상기 2장의 판재가 상기 경화를 회수하는 측으로 스윙했을 때에, 상기 2장의 판재와 함께 상기 전극 유지부가 스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핀형상 전극이 상기 2장의 판재의 사이에 들어가는 상기 경화의 개수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이 설치된 기체에는, 상기 대향면의 하방측에 위치하여 상기 대향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전극 유지 구조의 일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상기 슬라이드 홈과 상기 대향면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위치 결정 홈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 유지 구조에는 상기 위치 결정 홈 또는 오목부에 끼워맞춰져 상기전극 유지 구조의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KR1020067012606A 2003-12-26 2004-12-27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및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KR101060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5985 2003-12-26
JP2003435985A JP3927172B2 (ja) 2003-12-26 2003-12-26 硬貨投入完了判定方法
PCT/JP2004/019562 WO2005064554A1 (ja) 2003-12-26 2004-12-27 硬貨投入完了判定方法及び自動販売機用硬貨回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628A KR20060132628A (ko) 2006-12-21
KR101060627B1 true KR101060627B1 (ko) 2011-08-31

Family

ID=3473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606A KR101060627B1 (ko) 2003-12-26 2004-12-27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및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61520B2 (ko)
EP (1) EP1701311A4 (ko)
JP (1) JP3927172B2 (ko)
KR (1) KR101060627B1 (ko)
CN (1) CN100489902C (ko)
WO (1) WO20050645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8548A (en) * 1917-10-23 1924-06-24 James W Hughes Coin-controlled lock for vending devices
US1852733A (en) * 1929-04-17 1932-04-05 Brown Franklin Apparatus for dispensing packages of hosiery or the like
FR707808A (fr) * 1929-12-13 1931-07-15 Distributeur électrique automatique
GB550228A (en) 1941-06-26 1942-12-30 Percy Stephen Harper Improvements in coin-controlled vending machines
US2311560A (en) * 1941-11-18 1943-02-16 Jack S Millard Coin changing device
GB884720A (en) * 1960-03-04 1961-12-13 Leonard Joseph Fisher Coin-controlled apparatus
GB996120A (en) * 1963-02-22 1965-06-23 Tateisi Denki Kabushikikaisha Coin counting apparatus
FR1460027A (fr) * 1965-10-14 1966-06-17 S E F M A Dispositif de commande pour distributeur automatique
JPS59105198A (ja) * 1982-12-08 1984-06-18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NL8801951A (nl) * 1988-08-04 1990-03-01 Fri Jado Bv Verkoopautomaat.
JPH086227Y2 (ja) 1989-10-03 1996-02-2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乾燥装置
JP3057393B2 (ja) 1992-01-20 2000-06-26 株式会社クボタ 副燃焼室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焼室
US5433310A (en) * 1994-01-04 1995-07-18 Coin Mechanisms, Inc. Coin discriminator with offset null coils
JP3254149B2 (ja) 1996-11-08 2002-02-04 株式会社バンダイ コイン検出装置
JP3947945B2 (ja) * 1997-12-01 2007-07-25 株式会社セガ 遊戯機
US5947257A (en) * 1998-01-26 1999-09-07 Schwartz; Melvin Electronic coin counter for cashier station
JP3925673B2 (ja) * 1998-06-01 2007-06-06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機能付き自動販売機
JP2000123229A (ja) * 1998-10-16 2000-04-28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DE19909866A1 (de) * 1999-03-08 2000-09-14 Geiger Hans Automatenbau Gmbh Münzbetätigtes, zeitgesteuertes Tischspielgerät mit Stromerzeugung
US6536577B2 (en) * 2000-03-22 2003-03-25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handling method and device
JP3749989B2 (ja) 2000-09-12 2006-03-01 有限会社ピン・プロダクト 自動販売機と硬貨回収機構
JP3547389B2 (ja) 2000-10-20 2004-07-28 コナ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2002279476A (ja) 2001-03-19 2002-09-27 Bandai Co Ltd 販売装置
US6573670B2 (en) * 2001-07-10 2003-06-03 Merkle-Korff Industries, Inc. Gearmotor with feedba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96318A (ja) 2005-07-21
US7661520B2 (en) 2010-02-16
EP1701311A4 (en) 2010-01-20
EP1701311A1 (en) 2006-09-13
KR20060132628A (ko) 2006-12-21
CN1902664A (zh) 2007-01-24
JP3927172B2 (ja) 2007-06-06
WO2005064554A1 (ja) 2005-07-14
US20070102259A1 (en) 2007-05-10
CN100489902C (zh)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2627A (ko) 자동판매기
KR101060627B1 (ko) 경화투입완료 판정방법 및 자동판매기용 경화 회수장치
JP5381214B2 (ja) 遊技機
JP2015047191A (ja) 遊技台
JP2006346103A (ja) 遊技機
JP3032066B2 (ja) 弾球遊技機
JP4024750B2 (ja) 自動販売機
JP4069148B2 (ja) 自動販売機用硬貨回収装置
JP2011098036A (ja) 遊技盤ユニット
JPH11300000A (ja) パチンコ機の球払出装置
JP6167162B2 (ja) 遊技台
CN105303691B (zh) 硬币处理装置
JP7010331B2 (ja) 遊技機
JP2001070572A (ja) 遊技機
JP4680535B2 (ja) 弾球遊技機
JP3706373B2 (ja) 弾球遊技機
JP4373424B2 (ja) 弾球遊技機
JP5793880B2 (ja) 遊技機
JP2007236816A (ja) 遊技機
JP4373425B2 (ja) 弾球遊技機
JP2016135398A (ja) 遊技機
JP2011177259A (ja) 遊技機
JP2008237277A (ja) 遊技表示装置
JP2001096032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