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740B1 -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740B1
KR101044740B1 KR1020087007532A KR20087007532A KR101044740B1 KR 101044740 B1 KR101044740 B1 KR 101044740B1 KR 1020087007532 A KR1020087007532 A KR 1020087007532A KR 20087007532 A KR20087007532 A KR 20087007532A KR 101044740 B1 KR101044740 B1 KR 101044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input
data
displa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753A (ko
Inventor
요시노리 후루노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 G07C5/00
    • G07C2205/0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 G07C5/00 using a vehicle scan too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검이력 데이터의 시간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건설기계의 점검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압셔블(1) 등의 건설기계에 설치되고,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처리하는 데이터 기록장치(30)와, 건설기계의 점검항목을 모니터(38)에 표시시키는 CPU(36), 모니터(38)에 표시한 점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작업자가 입력 가능한 타블릿(41), 입력한 데이터를 점검이력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보존장치(35)를 구비한 휴대단말(34)을 가지고, 휴대단말(34)은, 제 1 통신수단[통신 케이블(33A)과 통신 커넥터(32A), 또는 통신 케이블(33B)과 복수의 통신 커넥터(32B, 32C)중 어느 하나]를 거쳐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입력받고, 이 입력받은 가동시각 또는 날짜시각과 상기 점검이력 데이터를 관련지어 보존장치(35)에 기억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CONSTRUCTION MACHINE INSPEC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데 적합한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의 점검작업에서는 예를 들면 건설기계의 제조회사나 서비스회사 등에 소속된 작업자가 소정의 점검용지(체크리스트)를 가지고 현장으로 달려와, 각 항목에 대한 점검결과를 기입하고, 점검용지를 가지고 돌아와서 점검결과를 단말로 쳐 넣어 관리서버에 입력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점검용지에 대한 기입작업 및 단말에서의 입력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수고가 들어, 효율적이지 않았다. 그래서 이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유압셔블의 점검결과를 입력 가능하고 또한 그 입력정보를 송신 가능한 휴대 전화기와, 제조회사나 서비스회사 등에 설치되어, 휴대 전화기와 송수신 가능한 관리서버를 구비한 건설기계의 점검정보 송수신 시스템이 제창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325060호 공보
예를 들면, 광대한 작업현장에서의 토석 굴삭작업에 제공되는 대형 유압셔블은,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연속 가동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유압셔블에 이상이 발생하면, 그 이상의 정도에 따라서는 장기간 운전을 휴지하고 생산계획의 운용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유압셔블에 복수의 센서류 및 이들 센서류로부터의 검출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억하는 데이터 제어장치 등을 설치하고, 이 데이터 제어장치에 기억한 검출 데이터를 참조하여 고장진단을 행하고, 이것에 의하여 유압셔블의 휴지시간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검출할 수 없는 유압셔블의 불량 등도 있어, 이와 같은 불량을 유압셔블의 고장전에 발견하고 싶은 등의 이유로부터, 유압셔블의 점검작업도 중요시되고, 그 점검항목 및 점검빈도가 비교적 많아지고 있다. 또한 유압셔블의 이상 발생시의 검출 데이터를 점검이력 데이터와의 시간관계로부터 판단하여, 고장진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 들면 오버히트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 직전에 라디에이터의 점검결과가 양호한 점검이력 데이터가 있으면, 라디에이터 이외의 기기에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라디에이터 이외의 기기에 관련되는 검출 데이터를 참조하여 고장진단하면 되기 때문에, 고장진단을 더욱 신속하고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점검이력 데이터의 시간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이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즉,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의 날짜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점검이력 데이터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 유압셔블측의 날짜시각과 휴대 전화기측의 날짜시각이 무엇인가의 이유로 어긋나면 유압셔블의 이상 발생시와 점검이력 데이터와의 시간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었다. 또, 예를 들면 유압셔블의 표시계 등에 표시된 가동시간을 입력하여 점검이력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 작업자에 의하여 입력 실수나 불일치가 생길 가능성이 있고, 마찬가지로 유압셔블의 이상 발생시와 점검이력 데이터와의 시간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점검이력 데이터의 시간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건설기계의 이상 발생시와의 시간관계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점검이력 데이터를 작성하는 건설기계의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 설치되어,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처리하는 데이터 제어장치와, 건설기계의 점검항목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어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한 점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작업자가 입력 가능한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점검이력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 휴대단말을 가지고, 상기 휴대단말은, 제 1 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로부터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입력받고, 이 입력받은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과 상기 점검이력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다.
본 발명에서는 건설기계는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처리하는 데이터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면 건설기계의 점검작업을 행할 때, 휴대단말을 제 1 통신수단을 거쳐 데이터 제어장치에 통신 접속시키고, 데이터 제어장치로부터 휴대단말에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작업자가 휴대단말의 표시수단에 표시한 점검항목에 대한 데이터[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점검작업의 실시, 점검결과의 양부(良否), 대책내용, 및 유지류(油脂類)의 보충·교환량 등 중 어느 하나]를 입력수단으로 입력하면, 그 입력 데이터가 점검이력 데이터로서 건설기계의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과 관련지어져 기억수단에 기억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휴대단말의 기억수단에 기억한 점검이력 데이터를 예를 들면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거나, 제 2 통신수단을 거쳐 관리서버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단말은, 건설기계의 데이터 제어장치로부터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 등의 시간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건설기계의 시간정보와 점검이력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휴대단말에 시간정보를 손으로 입력하는 경우에 비하여, 점검이력 데이터의 시간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건설기계의 시간정보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건설기계의 이상 발생시와 점검이력 데이터와의 시간관계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건설기계의 고장진단을 더욱 신속하고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2)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는, 건설기계의 기종 및 호기(號機)번호를 포함하는 기체(機體)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 1 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로부터 기체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기체정보와 상기 점검이력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다.
(3)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작업자의 지령입력에 따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 점검이력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킨다.
(4)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설기계에 대하여 원격지에 설치되고, 제 2 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휴대단말에서 점검이력 데이터를 입력하여 기록하는 관리서버를 더 가진다.
(5)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통신수단은, 상기 건설기계의 점검부위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에 통신 접속한 복수의 통신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통신 케이블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건설기계의 점검부위에 따라 휴대단말을 휴대하여 통신 케이블을 거쳐 통신 커넥터에 접속하고, 데이터 제어장치로부터의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 등을 휴대단말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점검작업을 행하는 점검부위의 근방에서 휴대단말의 데이터 입력작업을 행할 수 있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상기 점검항목을 작업시기에 따라 분류하고,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시기에 대응하는 점검항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킨다.
(7)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상기 점검항목을 작업내용에 따라 분류하여, 작업자가 선택 입력한 작업내용에 대응하는 점검항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킨다.
(8)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상기 점검항목을 점검부위에 따라 분류하여, 작업자가 선택 입력한 점검부위에 대응하는 점검항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킨다.
(9)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점검이력 데이터로서, 점검항목에 대하여 점검작업의 실시, 점검결과의 양부(良否), 대책내용 및 유지류 등의 보충·교환량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한다.
(10) 상기 (9)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점검결과가 불량이고 미대책인 점검항목 또는 점검시기에 있는 것의 미점검인 점검항목을 추출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11) 상기 (10)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점검항목의 점검시기를 설정 변경하는 점검시기 변경수단을 가진다.
(12) 상기 (1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검시기 변경수단은, 점검간격의 기본단위를 입력하고, 이 입력한 기본단위의 배수가 미리 설정된 점검항목마다의 권장 점검시기에 가까운 것을 점검시기로서 설정 변경한다.
(13)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 전회(前回)의 점검이력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점검항목의 데이터 입력란과 대응하는 전회의 점검이력 데이터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시킨다.
(14)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점검항목 이외의 발견사항을 입력 가능한 화면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화면에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발견사항 데이터로서, 상기 제 1 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과 관련지어 기억한다.
(15)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본 발명은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복수의 구획된 점검영역을 가지는 건설기계에서의 육안점검의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건설기계에 설치되어,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처리하는 데이터 제어장치와, 건설기계의 점검항목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어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한 점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작업자가 입력 가능한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점검이력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 휴대단말을 가지고, 상기 휴대단말은, 작업자의 통신지령에 따라 제 1 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로부터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입력받고, 이 입력받은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과 그 후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한 상기 점검이력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검이력 데이터의 시간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건설기계의 이상 발생시와 점검이력 데이터와의 시간관계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적용대상인 초대형 유압셔블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된 유압셔블의 선회체에서의 기기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유압셔블의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과 동시에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휴대단말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a는 휴대단말에서 점검 입력 프로그램을 기동하였을 때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도,
도 5b는 휴대단말에서 점검 입력 프로그램을 기동하였을 때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입력용 키보드 다이얼로그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7a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일상점검의 입력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도,
도 7b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주간 점검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7c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보충·교환량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8은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대책내용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9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입력용 숫자패드 다이얼로그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10a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월간 점검의 입력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도,
도 10b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월간 점검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11은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미대책·미점검의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12는 미대책·미점검 입력화면에 표시하는 점검항목의 추출처리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보충량의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14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기체정보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15는 휴대단말에서 점검이력 표시 프로그램을 기동하였을 때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16a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일상점검의 이력 표시 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도,
도 16b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주간 점검 이력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16c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보충·교환량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17은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월간 점검의 점검 이력 표시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도,
도 18은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보충량의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19는 휴대단말에서 점검 인터벌설정 프로그램을 기동하였을 때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도,
도 20은 휴대단말에서 옵션설정 프로그램을 기동하였을 때의 모니터에 표시 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21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정보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을 일례로 하여 나타내는 개략도,
도 22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발견사항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23은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위치 입력 리스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
도 24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부위 입력 리스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
도 25는 휴대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의뢰작업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셔블
30 : 데이터 기록장치(데이터 제어장치)
32A, 32B, 32C : 통신 커넥터(제 1 통신수단)
33A, 33B : 통신 케이블(제 1 통신수단)
34 : 휴대단말 35 : 보존장치(기억수단)
36 : CPU(제어수단) 38 : 모니터(표시수단)
41 : 타블릿(입력수단) 43 : 관리서버
99 : 통신 케이블(제 2 통신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적용대상인 초대형 유압셔블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유압셔블의 선회체에서의 기기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에서 뒤에서 설명하는 컨트롤 네트워크의 기기는, 해칭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 1 및 도 2에서 유압셔블(1)은, 예를 들면 해외의 광산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2 엔진형의 기체 중량 수백톤급의 초대형 셔블로서, 좌·우의 무한궤도 캐터필러(크롤러)(2)를 구비한 주행체(3)와, 이 주행체(3)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선회체(4)와, 이 선회체(4)의 앞 부분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한 프론트 작업기(굴삭작업장치)(5)와, 선회체(4)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각종 기기(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를 수납하는 하우징(6A, 6B)과, 좌측 하우징(6A)의 상부 앞쪽측에 설치한 운전실(7)과, 선회체(4)의 뒷부분에 설치한 평형추(counterweight)(8)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체(3)는, 대략 H자 형상의 트랙 프레임(9)과, 이 트랙 프레임(9)의 좌우양쪽의 후단 근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의 구동륜(10)과, 이들 구동륜(10)을 각각 구동하는 좌·우의 주행용 유압모터(도시 생략)와, 트랙 프레임(9)의 좌우 양측의 전단 근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캐터필러(2)를 거쳐 구동륜(10)의 구동력으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의 종동륜(아이들러)(11)을 구비하고 있다.
주행체(3)와 선회체(4)의 사이에는 선회륜(선회대 베어링)(12)이 설치되고, 이 선회륜(12)의 안 둘레측에는 선회용 유압모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선회용 유압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선회체(4)는 주행체(3)에 대하여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 작업기(5)는, 예를 들면 로더 타입이고, 선회체(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부움(boom)(13)과, 이 부움(13)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아암(arm)(14)과, 이 아암(14)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버킷(1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움(13), 아암(14) 및 버킷(15)은, 각각 부움용 유압 실린더(16), 아암용 유압 실린더(17) 및 버킷용 유압 실린더(18)의 신축에 의하여 동작한다.
하우징(6A, 6B)에는 엔진(19)과, 엔진(19)의 뒤쪽측에 배치된 라디에이터(20)와, 엔진(19)의 앞쪽측에 배치된 유압펌프(21)가 수납되어 있다. 유압펌프(21)는 엔진(19)에 의하여 구동되고, 복수의 유압 엑츄에이터[상세하게는 상기 주행용 유압모터, 선회용 유압모터, 부움용 유압 실린더(16), 아암용 유압 실린더(17) 및 버킷용 유압 실린더(18) 등]에 압유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6A, 6B)의 사이에는, 엔진(19)의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탱크(22)와, 유압펌프(21)의 작동오일을 저류하는 작동오일탱크(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작동오일탱크(23)의 앞쪽측에는, 운전실(7) 내의 조작레버(도시 생략)의 조작에 따라 유압펌프(21)로부터 상기 유압 엑츄에이터에의 압유의 흐름을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컨트롤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우측 하우징(6B)의 앞쪽측 영역에는 상기 유압 엑츄에이터로부터의 리턴 오일을 냉각하는 오일쿨러(25)와, 프론트 작업 기(5)의 가동영역이나 선회륜(12) 등에 윤활유를 급유하는 급유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압셔블(1)에는 각 부위의 가동에 관한 데이터(이하, 간단히 가동 데이터라 함)를 수집하기 위한 컨트롤러 네트워크(26)가 탑재되어 있다. 도 3은 컨트롤러 네트워크(26)의 개략 구성을,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와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3 및 상기한 도 2에서, 컨트롤러 네트워크(26)는 엔진 모니터장치(27A, 27B) 등을 접속한 제 1 네트워크(28A)와, 차체 제어장치(29) 등을 접속한 제 2 네트워크(28B)와, 이들 네트워크(28A, 28B)에 접속된 데이터기록장치(데이터 제어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모니터장치(27A, 27B)는, 2개의 엔진(19)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장치(31A, 31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엔진 제어장치(31A, 31B)는, 상세한 것은 도시생략하나, 예를 들면 회전수 센서로 검출한 엔진회전수 및 위치 센서로 검출한 거버너의 랙 위치 등이 입력되고, 연료분사장치를 제어하여 엔진(19)의 연료분사량을 각각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엔진 모니터장치(27A, 27B)는 상세한 것은 도시 생략하나, 예를 들면 압력센서로 검출한 엔진(19)의 블로바이압이나 온도센서로 검출한 라디에이터(20)의 냉각수 온도 등이 각각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 제어장치(31A, 31B) 및 엔진 모니터장치(27A, 27B)에 입력된 엔진(19)의 가동상태에 관한 가동 데이터(이하, 엔진관련 데이터라 한다)는, 제 1 네트워크(28A)를 거쳐 데이터 기록장치(30)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차체 제어장치(29)는, 유압셔블(1)의 차체에 관한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그 차체에 관한 가동 데이터를 검출한다. 상세한 것은 도시 생략하나, 예를 들면 회전수 센서로 검출한 엔진회전수를 입력하고, 이 엔진회전수에 의거하여 유압펌프(21)의 입력 토오크의 합계가 엔진(19)의 출력 토오크 이하가 되도록 유압펌프(21)의 토출유량을 제어하는 이른바 전마력 제어를 행한다. 또, 유온센서로 검출한 작동오일의 온도를 입력하고, 이 작동오일 온도가 일정해지도록 오일쿨러(25)용의 냉각팬 모터의 제어 등을 행한다. 또, 엔진(19)의 구동을 조작하는 키스위치(도시 생략)의 ON·OFF 신호 등도 입력된다. 그리고 차체 제어장치(29) 등에 입력된 유압셔블(1)의 차체에 관한 가동 데이터(이하, 차체 관련 데이터라 한다)는, 제 2 네트워크(28B)를 거쳐 데이터 기록장치(30)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 기록장치(30)는, 상기한 엔진관련 데이터 및 차체관련 데이터를 입력하여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엔진(19)이 가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예를 들면 엔진회전수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것이 소정의 회전수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로 판단하여도 되고, 키스위치의 ON·OFF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것이 ON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로 판단하여도 된다), 타이머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엔진(19)의 가동시간(시간계)을 연산하고, GPS 장치(도시 생략)의 시각에 의하여 항상 보정되어 있는 날짜시각(세계 표준시간)에 관련지어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장치(30)에는 유압셔블(1)의 납품시의 가동시간 초기값이 기록된다.
또, 컨트롤러 네트워크(26)에는 복수의 통신 커넥터(32A, 32B, 32C)가 설치 되어 있다. 통신 커넥터(32A)는, 데이터 기록장치(30)에 접속되고, 데이터 제어장치(30)와 함께 운전실(7)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복수(도 2에서는 8개)의 통신 커넥터(32B)는, 제 1 네트워크(28A)에 접속되고, 엔진 모니터장치(27A, 27B)와 함께 하우징(6A, 6B)의 엔진실 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복수(도 2에서는 4개)의 통신 커넥터(32C)는, 제 2 네트워크(28B)에 접속되고, 차체 제어장치(29)와 함께 하우징(6A, 6B)의 펌프실 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큰 특징으로서, 통신 커넥터(32A)에 착탈 가능한 통신 케이블(33A) 또는 복수의 통신 커넥터(32B, 32C)에 착탈 가능한 통신 케이블(33B)을 거쳐 통신 접속 가능한 휴대단말(34)이 구비되어 있다. 이 휴대단말(34)은, 주로 유압셔블(1)의 점검작업에서의 복수의 점검항목에 대하여 데이터(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점검작업의 실시, 점검결과의 양부, 대책내용, 및 유지류의 보충·교환량 등)를 입력하여, 점검이력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주요부인 휴대단말(34)의 상세기능을 설명한다. 도 4는 휴대단말(34)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 4에서 휴대단말(34)은 예를 들면 타블릿형의 퍼스널 컴퓨터이고, 제어 프로그램이나 점검이력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보존장치(35)(기억수단)와, 이 보존장치(35)에 기억한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연산처리하는 CPU(36)(제어수단)와, 이 CPU(36)에서 연산처리한 데이터를 1차 기억하는 RAM(37)과, 모니터(38)(표시수단)와, 모니터(38)에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인터페이스(39)와, 이 모니터(38)의 앞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조작하는 펜(40)의 접촉을 감지하는 타블릿(41)(입력수단)과, 상기 통신 케이블(33)을 거쳐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 인터페이스(42)와, 뒤에서 설명하는 관리서버(43) 등(도 21참조)과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통신 인터페이스(44)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단말(34)의 보존장치(35)는, 제어 프로그램(상세하게는 점검 입력 프로그램, 점검 이력 표시 프로그램, 점검 인터벌설정 프로그램 및 옵션설정 프로그램등)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보존영역(35a)과, 점검 입력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성한 점검이력 데이터(상세하게는, 일상 점검 이력, 주간 점검 이력, 월간 점검 이력, 의뢰작업 이력, 대책 이력, 유지류의 보충·교환 이력 및 발견사항 등)나 점검 인터벌설정 프로그램 및 옵션설정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한 설정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데이터 보존영역(35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검 입력 프로그램은 점검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만이 기동 가능, 점검 인터벌설정 프로그램 및 옵션설정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설정변경 등의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만이 기동 가능, 점검 이력 표시 프로그램은 작업자 및 관리자가 기동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각 제어프로그램에 의한 제어처리내용의 상세를 이하에 설명한다.
(1) 점검입력
도 5a 및 도 5b는 점검 입력 프로그램을 기동하였을 때의 모니터(38)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 5a 및 도 5b에서 점검 입력 프로그램이 기동하면, 모니터(38)에 통신조건 입력화면(45)이 표시된다. 통신조건 입력화면(45)은, 통신 포트의 입력란(45a), 통신속도의 입력란(45b), 진행 버튼(45c), 통신 버튼(45d) 및 종료 버 튼(45e)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 포트 입력란(45a) 및 통신속도 입력란(45b)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버튼(45f, 45g)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45f, 45g)을 조작하면[상세하게는, 펜(40)을 화면표시영역에 접촉 조작하면, 이후 동일], 복수의 입력용어를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45f)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 「COM1」, 「COM2」, …을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예를 들면 「C0M1」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통신 포트 입력란(45a)에 「COM1」이 입력된다. 또,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 표시 버튼(45g)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 「14,400 bps」,「28,800 bps」, …를 한칸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예를 들면「14,400 bps」를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통신 속도 입력란(45b)에「14,400 bps」가 입력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통신 조건 입력화면(45)의 통신 버튼(45d)을 조작하면 통신 포트 입력란(45a) 및 통신속도 입력란(45b)에 입력한 통신조건으로 데이터 기록장치(30)와 휴대단말(34)과의 사이의 통신이 개시됨과 동시에, 기체(機體)정보 입력화면(46)으로 변환된다. 이때, 유압셔블(1)의 기종, 호기번호, 납품시의 가동시간 초기값, 통신 개시시에 취득한 가동시간 및 날짜시각(세계 표준시간) 등의 데이터가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 휴대단말(34)에 입력된다.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 기록장치(30)와 휴대단말(34)과의 사이에서 무엇인가의 이유로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 작업자가 통신조건 입력화면(45)의 진행 버튼(45c)을 조작하면, 미통신 상태로 표시화면이 변환된다. 또, 예를 들면 통신조건 입력화면(45)의 종료 버튼(45e)을 입력하면 점검 입력 프로그램이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기체 정보 입력화면(46)은, 고객 코드의 입력란(46a), 유압셔블(1)의 기종 표시란(46b), 유압셔블(1)의 호기번호의 표시란(46c), 유압셔블(1)의 가동시간의 표시란(46d), 프론트 작업기(5) 종류의 입력란(46e), 엔진(19)의 식별번호 입력란(46f, 46g), 유압셔블(1)의 납입일의 입력란(46h) 및 실행 버튼(46i)을 구비하고 있다. 기종 표시란(46b), 호기번호 표시란(46c) 및 가동시간 표시란(46d)에는,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 취득한 데이터[유압셔블(1)의 기종, 호기번호, 통신개시시의 가동시간]가 표시된다.
또, 프론트 작업기 종류 입력란(46e)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 버튼(46j)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46j)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1oader」,「backhoe」,·‥를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예를 들면「loader」를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프론트 작업 종류 입력란(46e)에 「loader」가 입력된다.
또, 고객 코드 입력란(46a) 및 엔진 식별번호 입력란(46f, 46g)의 우측에는, 키보드 표시버튼(46k)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키보드 표시버튼(46k)을 조작하면 도 6에 나타내는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은, 「0」∼「9」및「A」∼「Z」 등의 복수의 입력 버튼(47a)과, 입력 버튼(47a)의 조작에 의한 입력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란(47b)과, 이 표시란(47b)에 표시한 모든 문자를 삭제하기 위한 모두 삭제 버튼(47c)과, 최종문 자를 삭제하기 위한 한 글자(一字) 삭제 버튼(47d)과, 실행 버튼(47e)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의 입력 버튼(47a)의 조작에 의하여 표시란(47b)에 입력문자를 표시시킨 후, 실행 버튼(47e)을 조작하면,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이 닫히고, 고객 코드 입력란(46a), 엔진 식별번호 입력란(46f, 46g)에 문자 데이터가 입력된다.
또, 납입일 입력란(46h)의 우측에는, 캘린더 표시 버튼(461)이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캘린더 표시 버튼(461)을 조작하면, 캘린더 다이얼로그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캘린더 다이얼로그 화면은, 예를 들면 년월 마다의 날짜를 일람 표시함과 동시에, 그 년월을 전후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캘린더 다이얼로그 화면상의 년월일을 선택 입력하면, 캘린더 다이얼로그 화면이 닫히고 납입일 입력란(46h)에 날짜 데이터가(예를 들면 년/월/일의 표시형태로)입력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기체 정보 입력화면(46)의 실행 버튼(46i)을 조작하면, 기체 데이터[상세하게는 상기한 고객 코드, 유압셔블(1)의 기종, 호기번호, 납품시의 가동시간 초기값, 프론트 작업기(5)의 종류, 엔진(19)의 식별번호, 납입일]이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점검정보 입력화면(48)으로 변환된다. 또한, 기체 데이터가 보존장치(35)에 기억된 이후는, 기체 정보 입력화면(46)은 스킵되도록 되어 있다. 즉, 작업자가 통신조건 입력화면(45)의 통신 버튼(45d)를 조작하였을 때에,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 취득한 호기번호가 보존장치(35)에 기억된 기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회하여, 해당하는 기체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 그 기체 데이터를 판독함과 동시에, 점검정보 입력화면(48)으로 변환된다.
점검정보 입력화면(48)은, 고객코드의 표시란(48a), 기종 표시란(48b), 호기번호 표시란(48c), 가동시간 표시란(48d), 점검 작업일시의 표시란(48e), 점검작업자의 이름 입력란(48f) 및 실행 버튼(48g)을 구비하고 있다. 고객코드 표시란(48a), 기종 표시란(48b), 호기번호 표시란(48c) 및 가동시간 표시란(48d)은, 보존장치(35)에 기억한 기체 데이터의 일부[고객코드, 유압셔블(1)의 기종, 호기번호] 및 통신 개시시의 가동시간이 표시된다. 또, 점검 작업일시 표시란(48e)은,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 취득한 통신 개시시의 날짜시각(세계 표준시간)이 지역시간(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하는 옵션설정 프로그램으로 설명)으로 환산되어 표시된다.
또, 이름 입력란(48f)의 우측에는, 키보드 표시버튼(48h)과 리스트 표시 버튼(48i)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키보드 표시버튼(48h)을 조작하면, 상기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이 표시되고, 상기한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상의 조작에 의하여 이름 입력란(48f)에 이름이 입력된다. 또는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48i)을 조작하면, 복수의 이름(예를 들면 미리 설정되어 또는 이전 입력되어 기억된 이름)을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이름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이름 입력란(48f)에 이름이 입력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점검정보 입력화면(48)의 실행 버튼(48g)을 조작하면, 점검작업 데이터[상세하게는 상기한 통신 개시시의 가동시간 및 날짜시각(세계 표준시 간), 점검 작업자의 이름]가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으로 변환된다.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과, 메뉴 표시영역(51)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정보 표시영역(50)은, 고객코드 표시란(50a), 기종정보 표시란(50b), 호기번호 표시란(50c), 가동시간 표시란(50d), 점검 작업일시 표시란(50e) 및 이름 표시란(50f)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한 기체 데이터의 일부 및 점검작업 데이터가 표시된다. 메뉴 표시영역(51)은, 기체 정보 버튼(51a), 일상·주간 점검 버튼(51b), 월간 점검 버튼(51c), 미대책·미점검 버튼(51d), 보충 버튼(51e), 의뢰작업 버튼(51g) 및 종료 버튼(51f)을 구비하고 있다.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의 일상·주간 점검 버튼(51a)을 조작하면, 도 7a에 나타내는 일상·주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52)으로 변환된다. 일상·주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52)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과, 메뉴 표시영역(53)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뉴 표시영역(53)은, 일상 점검 버튼(53a), 주간 점검 버튼(53b), 보충·교환량 버튼(53c), 발견사항 버튼(53e) 및 메인 메뉴 버튼(53d)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자가 일상·주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52)의 일상점검 버튼(53a)을 조작하면, 일상 점검 입력화면(54)으로 변환된다. 일상 점검 입력화면(54)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 점검 입력영역(55), 실행 버튼(54a) 및 발견사항 버튼(54b)을 구비하고 있다. 점검 입력영역(55)에는 날마다[예를 들면 유압셔블(1)의 가동시간으로 10시간마다, 실제로는 유압셔블(1)의 오퍼레이터의 교대시] 행하는 점검항목이 표시된다.
또, 작업자가 일상·주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52)의 주간 점검 버튼(53b)을 조작하면, 주간 점검 입력화면(56)으로 변환된다(도 7b 참조). 주간 점검 입력화면(56)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 점검 입력영역(57), 실행 버튼(56a) 및 발견사항 버튼(56b)을 구비하고 있다. 점검 입력영역(57)에는 주마다(예를 들면 유압셔블의 가동시간으로 50시간마다) 행하는 점검항목이 표시된다.
일상 점검 입력화면(54)의 점검 입력영역(55) 및 주간 점검 입력화면(56)의 점검 입력영역(57)은, 작업내용(예를 들면 청소작업, 폐유작업, 급유작업, 레벨검사, 육안검사 등)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각각 일람 표시하는 복수의 시트(58)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작업내용이 기재된 각 시트(58)의 탭(58a)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시트(58)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시트(58)에는 점검항목마다, 항목번호 버튼(58b), 항목내용 표시란(58c), 데이터 입력란(58d) 및 전회 데이터의 표시란(58e)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가 항목번호 버튼(58b)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점검부위의 표시화면[예를 들면 점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유압셔블(1)의 전체도 또는 부분확대도, 도시 생략]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작업자는 점검부위를 확인하면서 점검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전회 데이터 표시란(58e)을 참조하면서, 데이터 입력란(58d)의 데이터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작업 실시만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점검항목(예를 들면 청소작업 등에 관한 점검항목)에는, 「YES」버튼(58f)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YES」버튼(58f)을 조작하면, 작업실시를 의미하는 「YES」가 데이터 입력란(58d)에 입력된다. 또, 점검결과의 양부(良否)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점검항목(예를 들면 레벨검사 등에 관한 점검항목)에는, 「OK」버튼(58g), 「NG」버튼(58h) 및「ACT」버튼(58i)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OK」버튼(58g)을 조작하면, 점검결과의 양호를 의미하는 「OK」가 데이터 입력란(58d)에 입력되고,「NG」버튼(58h)을 조작하면, 점검결과가 불량이고 미대책인 것을 의미하는 「NG」가 데이터 입력란(58d)에 입력된다. 또, 예를 들면 점검결과가 불량이고 무엇인가의 대책을 실시한 경우에 작업자가「ACT」버튼(58i)을 조작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은, 대책내용의 입력란(59a) 및 실행 버튼(59b)을 구비하고 있다. 대책내용 입력란(59a)의 우측에는, 키보드 표시버튼(59c)과 리스트 표시 버튼(59d)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키보드 표시 버튼(59c)을 조작하면, 상기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이 표시되고, 상기한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상의 조작에 의하여 대책내용 입력란(59a)에 대책내용이 입력된다. 또는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59d)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ADJUSTED(조정)」,「REPAIRED(수리)」,「REPLACED(교환)」,및「REFIELED(보충)」등의 대책내용을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대책내용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대책내용 입력란(59a)에 대책내용이 입력된다. 그 후, 작업자가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의 실행 버튼(59b)를 조작하면, 점검항목과 대책내용 입력란(59a)에 입력한 대책내용과의 조합이 대책이력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이 닫히고, 대책이 끝난 것을 의미하는 「ACT」가 상기 데이터 입력란(58d)에 입력된다. 또한, 데이터 입력란(58d)의 블랭크는, 점검작업이 실시되고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일상 점검 입력화면(54)의 실행 버튼(54a)을 조작하면, 일상 점검 입력화면(54)의 점검항목과 데이터 입력란(58d)에 입력한 데이터와의 조합이 일상 점검 이력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일상·주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52)으로 되돌아간다. 또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주간 점검 입력화면(56)의 실행 버튼(56a)을 조작하면 주간 점검 입력화면(56)의 점검항목과 데이터 입력란(58d)에 입력한 데이터와의 조합이 주간 점검 이력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일상·주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52)으로 되돌아간다.
또, 작업자가 일상·주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52)의 보충·교환량 버튼(53c)을 조작하면, 보충·교환량 입력화면(60)으로 변환된다(도 7c 참조). 보충·교환량 입력화면(60)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 보충·교환량 입력영역(61), 양(量) 단위의 표시란(60a) 및 실행 버튼(60b)을 구비하고 있다. 양 단위 표시란(60a)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옵션설정 프로그램으로 설정한 단위가 표시된다. 보충·교환량 입력영역(61)에는 보충·교환작업을 행하는 복수의 유지항목(예를 들면 엔진오일, 기어오일, 작동오일, 물, 그리스, 연료 등)이 표시되어 있고, 유지항목마다 이름 표시란(61a), 데이터 입력란(61b) 및 전회 데이터의 표시란(61c)이 설치되어 있 다.
그리고 작업자는 전회 데이터 표시란(61c)을 참조하면서, 데이터 입력란(61b)의 데이터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 입력란(61b)의 우측에는 숫자패드 표시버튼(61d)이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숫자패드 표시버튼(61d)을 조작하면, 도 9에 나타내는 숫자패드 다이얼로그 화면(62)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숫자패드 다이얼로그 화면(62)은, 「0」∼「9」 등의 복수의 입력 버튼(62a)과, 입력 버튼(62a)의 조작에 의한 입력숫자를 표시하는 표시란(62b)과, 이 표시란(62b)에 표시한 모든 숫자를 삭제하기 위한 모두 삭제 버튼(62c)과, 최종 숫자를 삭제하기 위한 일자 삭제 버튼(62d)과, 실행 버튼(62e)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숫자패드 다이얼로그 화면(62)의 입력 버튼(62a)의 조작에 의하여 표시란(62b)에 입력 숫자를 표시시킨 후, 실행 버튼(62e)을 조작하면, 숫자패드 다이얼로그 화면(62)이 닫히고 데이터 입력란(61b)에 수량이 입력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보충·교환량 입력화면(60)의 실행 버튼(60b)을 조작하면, 유지항목과 데이터 입력란(61b)에 입력한 수량[및 양 단위 표시란(60a)에 표시된 단위]과의 조합이 보충·교환이력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일상·주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52)으로 되돌아간다. 또, 일상·주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52)의 메인 메뉴 버튼(53d)을 조작하면,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으로 되돌아간다.
또, 작업자가 일상·주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52)의 발견사항 버튼(53e)을 조작하거나, 일상 점검 입력화면(54)의 발견사항 버튼(54b)을 조작하거나, 또는 주 간 점검 입력화면(56)의 발견사항 버튼(56b)을 조작하면, 도 22에 나타내는 발견사항 입력화면(103)으로 변환된다. 또, 뒤에서 설명하는 월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63)의 발견사항 버튼(64c)(도 10a 참조)을 조작하거나, 또는 뒤에서 설명하는 월간 점검 입력화면(65A, 65B) 등의 발견사항 버튼(65b)(도 10a 및 도 10b 참조)을 조작하거나, 뒤에서 설명하는 미대책·미점검 입력화면(68)의 발견사항 버튼(68b)(도 11 참조)을 조작하여도 발견사항 입력화면(103)으로 변환된다. 발견사항 입력화면(103)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 발견사항 입력영역(104), 리턴 버튼(103a) 및 메인 메뉴 버튼(103b)을 구비하고 있다. 발견사항 입력영역(104)은, 위치 입력란(104a), 부품 입력란(104b), 징후 입력란(104c), 손상 레벨 입력란(104d), 화상 입력란(104e), 대책 입력란(104f), 교환부품 입력란(104g), 비고 입력란(104h), 일시 보존 버튼(104i), 호출 버튼(104j), 클리어 버튼(104k) 및 등록 버튼(104l)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 입력란(104a)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 버튼(104m) 및 화상표시 버튼(104n)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104m)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는 제 1 항목의 위치를 일람 표시한 제 1 입력 리스트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제 1 입력 리스트상의 위치를 선택 조작하면, 그 선택한 제 1 항목의 위치에서의 상세한 위치(제 2 항목의 위치)를 일람 표시한 제 2 입력 리스트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제 2 입력 리스트상의 위치를 선택 조작하면, 제 2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제 1 항목 및 제 2 항목에서 선택한 위치가 장소 입력란(104a)에 입력된다. 또는 작업자가 화상표시 버튼(104n)을 조작하면, 유압셔블의 전체도(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유압셔블 전체도에서의 상기한 제 1 항목의 위치를 선택 조작하면, 그 선택한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부분확대도에서의 상세한 위치(상기한 제 2 항목의 위치)를 선택 조작하면, 부분확대도가 닫히고 선택한 위치가 위치 입력란(104a)에 입력된다.
부품 입력란(104b)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 버튼(104o)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104o)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제 1 항목의 부류를 일람 표시한 제 1 입력 리스트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제 1 입력 리스트상의 부류(상세하게는, 전기부품, 컴포넌트, 또는 그외)를 선택 조작하면, 그 선택한 제 1 항목의 부류에 속하는 부품을 일람 표시한 제 2 입력 리스트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제 2 입력 리스트상의 부품을 선택 조작하면, 제 2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제 2 항목에서 선택한 부품이 부품 입력란(104b)에 입력된다. 단, 작업자가 제 1 입력 리스트상에서 제 2 항목에 해당하는 것이 없는 제 1 항목의 부류(상세하게는, 호스, 프레임, 용접부, 또는 와이어)를 선택 조작한 경우는, 제 2 입력 리스트로 천이하지 않고 제 1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제 1 항목에서 선택한 부류가 부품 입력란(104b)에 입력된다.
징후 입력란(104c)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버튼(104p)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104p)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 스크래치, 크랙, 누설, 막힘, 파열, 헐거움, 작동불량, 쇼트 및 단선 등이라는 내용을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리스트상의 내용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선택한 내용이 징후 입력란(104b)에 입력된다.
손상 레벨 입력란(104d)은, 선택 가능한 항목으로서 예를 들면「Heavy(중상)」,「Light(경상)」,「Fair(보통)」및「Information Only(정보만)」이 표시되어 있고, 그것들 체크박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입력 가능하게 하고 있다.
화상 입력란(104e)의 상측에는, 화상입력 버튼(104q)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화상입력 버튼(104q)을 조작 입력하면, 보존장치(35)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선택 입력 가능한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되고, 이 화면에서 선택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입력란(104e)에 화상 표시된다.
대책 입력란(104f)의 우측에는, 대책 입력 버튼(104r)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대책 입력 버튼(104r)을 조작하면, 상기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이 표시되고, 작업자가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의 대책내용 입력란(59a)에 대책내용을 입력한 후, 실행 버튼(59b)을 조작하면,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이 닫히고 대책 입력란(104f)에 대책내용이 입력된다. 이때, 대책 입력란(104f)에「REPLACED(교환)」이 입력된 경우, 상기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이 표시되고, 상기한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상의 조작에 의하여 교환부품 입력란(104g)에 번호가 입력된다.
비고 입력란(104h)의 우측에는, 키보드 표시 버튼(104s)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가 키보드 표시 버튼(104s)을 조작하면, 상기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이 표시되고, 상기한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상의 조작에 의하여 비고 입력란(104h)에 문자 데이터가 입력된다.
작업자가 일시 보존 버튼(104i)을 조작하면, 상기한 입력란(104a∼104h)에 입력한 데이터가 발견사항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 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또한, 이 일시 기억된 발견사항 데이터는, 관리서버(43) 등에 출력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 후, 작업자가 호출 버튼(104j)을 조작하면, 일시적으로 기억된 발견사항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 데이터를 입력란(104a∼104h)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작업자가 클리어 버튼(104k)을 조작하면, 입력란(104a∼104h)이 블랭크되도록 되어 있다. 또, 작업자가 등록 버튼(104l)을 조작하면, 입력란(104a∼104h)에 입력한 데이터가 발견사항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된다[또한, 이 기억된 발견사항 데이터는 관리서버(43) 등에 출력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발견사항 입력화면(103)의 리턴 버튼(103a)을 조작하면, 전회의 화면으로 되돌아가고, 메인 메뉴 버튼(103b)을 조작하면,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으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도 5b로 되돌아가, 작업자가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의 월간 점검 버튼(51c)을 조작하면, 도 10a에 나타내는 월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63)으로 변환된다. 월간 점검 입력 메뉴화면(63)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과, 메뉴 표시영역(64)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뉴 표시영역(64)은, 예를 들면 5개의 작업내용 버튼(64a)(도 10a에서는 부품교환 버튼, 폐유 버튼, 청소 버튼, 외관검사 버튼, 급유 버튼), 상기 발견사항 버튼(64c) 및 메인 메뉴 버튼(64b)을 구비하고 있다. 작업자가 작업내용 버튼(64a)을 조작하면, 그 작업내용에 대응하여 분류된 점검항목을 표시하는 월간 점검 입력화면(도 10a 및 도 10b에서는 대표하여 65A, 65B를 도시) 으로 변환된다.
월간 점검 입력화면(65A, 65B) 등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 점검 입력영역(66), 실행 버튼(65a) 및 상기 발견사항 버튼(65b)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점검 입력영역(66)에는 매월(예를 들면 가동시간으로 250시간마다 또는 250의 배수의 시간마다) 행하는 점검항목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점검 입력영역(66)은, 점검부위(예를 들면 엔진계, 엔진오일, 기어오일, 구동계, 유압계 등)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각각 일람 표시하는 복수의 시트(67)를 구비하고 있고, 점검부위가 기재된 시트(67)의 탭(67a)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시트(67)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시트(67)에는 점검항목마다, 항목번호 버튼(67b), 항목내용 표시란(67c), 데이터 입력란(67d) 및 전회 데이터의 표시란(67e)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가 항목번호 버튼(67b)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점검부위의 표시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자는 점검부위를 확인하면서 점검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전회 데이터 표시란(67e)을 참조하면서 데이터 입력란(67d)의 데이터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부품교환 버튼(64a)을 조작하였을 때에 표시되는 월간 점검 입력화면(65A)의 점검항목(환언하면, 작업실시만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점검항목)에는, 「YES」버튼(67f)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YES」버튼(67f)을 조작하면, 데이터 입력란(67d)에 「YES」가 입력된다. 또, 예를 들면 외관검사 버튼(64a)을 조작하였을 때에 표시되는 월간 점검 입력화면(65B)의 점검항목(환언하면, 점검결과의 양부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점검항목)에는, 「OK」버튼(67g), 「NG」버튼(67h) 및「ACT」버튼(67i)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OK」버튼(67g)을 조작하면, 데이터 입력란(67d)에 「OK」가 입력되고, 「NG」버튼(67h)을 조작하면, 데이터 입력란(67d)에 「NG」가 입력된다. 또, 예를 들면 점검결과가 불량이고, 무엇인가의 대책을 실시한 경우에 작업자가「ACT」버튼(67i)을 조작하면, 상기한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의 대책내용 입력란(59a)에 대책내용 데이터를 입력한 후, 실행 버튼(59b)을 조작하면, 점검항목과 대책내용 입력란(59a)에 입력한 데이터와의 조합이 대책이력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이 닫히고, 데이터 입력란(67d)에 「ACT」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월간 점검 입력화면(65A, 65B) 등의 실행 버튼(65a)를 조작하면, 점검항목과 데이터 입력란(67c)에 입력한 데이터와의 조합이 월간 점검 이력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월간 점검 입력화면(63)으로 되돌아간다. 또, 월간 점검 입력화면(63)의 메인 메뉴 버튼(64b)을 조작하면,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으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도 5b로 되돌아가 작업자가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의 미대책·미점검버튼(51d)을 조작하면, 상기 일상 점검 입력화면(54), 주간 점검 입력화면(56), 월간 점검 입력화면(67A, 67B) 등에서의 점검항목으로부터 미대책 및 미점 검의 점검항목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미대책·미점검 입력화면(68)으로 변환된다(도 11 참조). 도 12는, 미대책 및 미점검의 점검항목의 추출처리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12에서 먼저 단계 100에서 각 점검항목의 데이터 입력란(58d)(또는 67 d)이 블랭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YES」,「OK」,「NG」및「ACT」 중 어느 하나가 데이터 입력란(58d)(또는 67d)에 입력되어 있는 경우는, 단계 100의 판정이 만족되지 않고, 단계 110으로 이행한다. 단계 110에서는 그 점검항목을 미표시 상태로 설정한다.
한편, 단계 100에서 데이터 입력란(58d)(또는 67d)이 블랭크인 경우는, 그 판정이 만족되어 단계 120으로 이행한다. 단계 120에서는 각 점검항목의 전회 데이터 표시란(58e)(또는 67e)이「NG」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회 데이터 표시란(58e)(또는 67e)이「NG」인 경우는, 단계 120의 판정이 만족되고, 단계 130으로 이행한다. 단계 130에서는 그 점검항목을 표시상태에서 설정한다. 즉, 미대책의 점검항목이 추출된다.
한편, 단계 120에서 전회 데이터 표시란(58e)(또는 67e)이 「YES」,「OK」,「ACT」 및 블랭크 중 어느 하나인 경우는, 그 판정이 만족되지 않고, 단계 140으로 이행한다. 단계 140에서는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 취득한 통신 개시시의 가동시간과 납품시의 가동시간 초기값과의 차로부터 실질 가동시간을 연산한다. 그리고 단계 150으로 진행하여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 취득한 유압셔블(1)의 기종에 따라 점검시기 데이터(가동시간 기준, 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하는 점검 인터벌설정 프로그램으로 설명)를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하여, 실질 가동시간이 점검시기 이상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실질 가동시간이 점검시기 미만인 경우는, 단계 150의 판정이 만족되지 않고, 상기한 단계 110으로 이행하여 그 점검항목을 미표시 상태에서 설정한다.
한편, 단계 150에서 실질 가동시간이 점검시기 이상인 경우는, 그 판정이 만족되지 않고, 단계 160으로 이행한다. 단계 160에서는, 점검시기(실제로는 점검시기 전후의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점검작업이 실시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보존장치(38)에 기억된 과거의 점검이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판정한다. 점검시기에 점검작업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는, 단계 160의 판정이 만족되고, 상기한 단계 110으로 이행하여 그 점검항목을 미표시 상태에서 설정한다. 한편 점검시기에 점검작업이 실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 160의 판정이 만족되지 않고, 상기한 단계 130으로 이행하여 그 점검항목을 표시상태로 설정한다. 즉, 미점검의 점검항목이 추출된다.
또한, 상기한 미대책 및 미점검의 점검항목의 추출처리는, 작업자가 점검정보 입력화면(48)의 실행 버튼(48g)을 조작하였을 때에 행하여도 된다. 그리고 미대책 또는 미점검의 점검항목이 있는 경우는, 미대책·미점검 입력화면(68)으로 변환되고, 미대책 및 미점검의 점검항목이 없는 경우는,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으로 변환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미점검의 점검항목은 점검시기의 조금 전에 추출되는 쪽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한 단계 150에서 실질 가동시간이(점검시기 - 소정의 설정시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변경하여도 된다.
상기한 도 11로 되돌아가, 미대책·미점검 입력화면(68)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 점검 입력영역(69), 실행 버튼(68a) 및 상기 발견사항 버튼(68b)을 구비하고 있다. 점검 입력영역(69)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추출된 미대책 및 미점검의 점검항목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점검 입력영역(69)은, 작업내용(예를 들면 부품 교환작업, 폐유작업, 청소작업, 외관검사, 급유작업, 레벨검사, 육안검사 등)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각각 일람 표시하는 복수의 시트(70)를 구비하고 있고, 작업내용이 기재된 각 시트(70)의 탭(70)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시트(70)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트(70)에서의 각 점검항목의 표시구성은, 상기 시트(58, 67)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미대책·미점검 입력화면(68)의 실행 버튼(68a)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점검이력 데이터(일상 점검 이력 데이터, 주간 점검 이력 데이터, 월간 점검 이력 데이터)가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으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도 5b로 되돌아가, 작업자가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의 보충 버튼(51e)을 조작하면, 도 13에 나타내는 보충량 입력화면(71)으로 변환된다. 이 보충량 입력화면(71)은 점검작업(보충·교환작업을 포함한다)을 행하는 작업자와는 별도로 정기적으로 보충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있는 경우, 보충작업에서의 보충량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보충량 입력화면(71)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A)[상기 기본정보 표시영역(50)으로부터 점검작업 일시 표시란(50e)을 제외한 구성], 보충작업의 날짜의 입 력란(71a), 보충작업의 시각의 입력란(71b), 보충물의 입력란(71c), 보충량의 입력란(71d), 양 단위의 표시란(71e) 및 실행 버튼(71f)을 구비하고 있다. 양 단위 표시란(71e)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옵션설정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단위가 표시된다.
날짜 입력란(71a), 시각 입력란(71b) 및 보충량 입력란(71d)의 우측에는, 상기 숫자패드 다이얼로그 화면(62)을 표시하기 위한 숫자패드표시 버튼(71g)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숫자패드 다이얼로그 화면(62)상의 조작에 의하여 날짜 입력란(71a), 시각 입력란(71b), 보충량 입력란(71d)에 보충작업의 날짜, 시각, 수량이 각각 입력된다. 또, 보충물 입력란(71c)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 버튼(71h)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71h)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ENGINE OIL」,「GEAR OIL」, …을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예를들면 「ENGINE OIL」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보충물 입력란(46e)에 「ENGINE OIL」이 입력된다.
그리고 보충량 입력화면(71)의 실행 버튼(71f)을 조작하면, 날짜 입력란(71a) 및 시각 입력란(71b)에 입력한 보충작업의 날짜시각(지역시간)이 세계 표준시간으로 환산되어, 이 날짜시각(세계 표준시간)에 기본정보 표시영역(50A)의 가동시간 표시란(50d)에 표시된 가동시간과 이름 표시란(50f)에 표시된 점검작업자의 이름이 보충작업 데이터로서 보존장치(35)에 기억된다. 또, 보충물 입력란(71c)에 입력한 보충물과 보충량 입력란(71d)에 입력한 수량[또한 양 단위 표시란(71e)에 표시된 단위]과의 조합이 보충이력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보충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 으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도 5b로 되돌아가, 작업자가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의 의뢰작업 버튼(51g)을 조작하면, 추가 설정된 작업항목을 표시하는 의뢰작업 입력화면(105)으로 변환된다(도 25 참조). 의뢰작업 입력화면(105)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 작업 입력영역(106) 및 실행 버튼(105a)을 구비하고 있다. 작업 입력영역(106)에는 작업항목마다 항목번호 버튼(106a), 항목내용 표시란(106b), 교환부품 표시란(106c) 및 데이터 입력란(106d)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가 항목번호 버튼(106a)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점검부위의 표시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작업자는 점검부위를 확인하면서 점검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항목내용 표시란(106b)에 기재된 내용이 부품 교환작업인 경우, 교환부품 표시란(106c)에는 교환부품의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작업결과의 양부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작업항목에는, 「OK」버튼(106e), 「NG」버튼(106f) 및「ACT」버튼(106g)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OK」버튼(106e)을 조작하면, 작업결과의 양호를 의미하는 「OK」가 데이터 입력란(106d)에 입력되고, 「NG」버튼(106f)을 조작하면, 작업결과가 불량이고 미대책인 것을 의미하는 「NG」가 데이터 입력란(106d)에 입력된다. 또, 예를 들면 작업결과가 불량이고 무엇인가의 대책을 실시한 경우에 작업자가 「ACT」버튼(106g)을 조작하면, 상기한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의 대책내용 입력란(59a)에 대책내용 데이터를 입력한 후, 실행 버튼(59b)를 조작하면 작업항목과 대책내용 입력란(59a) 에 입력한 데이터와의 조합이 대책이력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대책내용 입력화면(59)이 닫히고, 데이터 입력란(106d)에 「ACT」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의뢰작업 입력화면(105)의 실행 버튼(105a)을 조작하면, 작업항목과 데이터 입력란(106d)에 입력한 데이터와의 조합이 의뢰작업 이력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으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도 5b로 되돌아가, 작업자가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의 기체정보 버튼(51a)을 조작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기체정보 표시화면(72)으로 변환된다. 기체정보 표시화면(72)은, 기본정보 표시영역(50), 프론트 작업기종류 표시란(72a), 엔진식별 번호 표시란(72b, 72c), 납입일 표시란(72d) 및 실행 버튼(72e)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작업기종류 표시란(72a), 엔진식별 번호 표시란(72b, 72c), 납입일 표시란(72d)에는 보존장치(35)에 기억한 기체 데이터의 일부[프론트 작업기(5)의 종류, 엔진(19)의 식별번호, 납입일]가 표시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기체정보 표시화면(72)의 실행 버튼(72e)을 조작하면,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으로 변환된다. 또, 점검입력 메인 메뉴 화면(49)의 종료 버튼(51f)을 조작하면, 점검작업 프로그램이 종료한다.
(2) 점검 이력 표시
도 15는, 점검이력 표시 프로그램을 기동하였을 때의 모니터(38)에 표시되는 메인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5에서 점검이력 표시 프로그램이 기동하면, 점검이력 표시 메인 메뉴화면(73)이 표시된다. 점검이력 표시 메인 메뉴화면(73)은, 고객코드의 입력란(73a), 일상·주간 점검 버튼(73b), 월간 점검 버튼(73c), 보충 버튼(73d) 및 종료 버튼(73e)을 구비하고 있다.
고객코드 입력란(73a)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 버튼(73f)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또는 관리자, 이후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가 리스트 표시 버튼(73f)를 조작하면, 보존장치(35)에 기억된 기체 데이터에 포함되는 고객코드를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고객코드를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고객코드 입력란(73a)에 고객코드가 입력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점검이력 표시 메인 메뉴화면(73)의 일상·주간 점검 버튼(73b)을 조작하면, 도 16a에 나타내는 일상·주간 점검이력 표시 메뉴화면(74)으로 변환된다.
일상·주간 점검 이력 표시 메뉴화면(74)은, 고객코드의 표시란(74a), 유압셔블(1)의 기종 입력란(74b), 유압셔블(1)의 호기번호 입력란(74c), 점검결과를 표시하는 점검 작업일시 범위의 표시란(74d) 및 메뉴 표시영역(75)을 구비하고 있다. 고객코드 표시란(74a)에는, 상기 점검 이력 표시 메인 메뉴화면(73)의 고객코드 입력란(73a)에 입력한 고객코드가 표시된다.
기종 입력란(74b) 및 호기번호 입력란(74c)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 버튼(74e, 74f)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74e)을 조작하면, 보존장치(35)에 기억되어 고객코드 표시란(74a)에 표시한 고객코드와 관련지어 진 기종의 일람을 표시한 입력 리스트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기종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기종 입력란(74b)에 기종이 입력된다. 그 후,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74f)을 조작하면, 보존장치(35)에 기억되어 고객코드 표시란(74a)에 표시한 고객코드 및 기종 입력란(74b)에 입력한 기종과 관련지어진 호기번호의 일람을 표시한 입력 리스트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호기번호를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호기번호 입력란(74b)에 호기번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고객코드 표시란(74a)에 표시한 고객코드, 기종 입력란(74b) 및 호기번호 입력란(74c)에 입력한 기종 및 호기번호를 포함하는 기체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점검작업 데이터가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되고, 그 점검작업 데이터에서의 날짜시각(단 지역시간으로 환산한 것)의 범위가 점검작업 일시 범위 표시란(74d)에 표시된다.
메뉴 표시영역(75)은, 일상 점검 버튼(75a), 주간 점검 버튼(75b), 보충·교환량 버튼(75c) 및 메인 메뉴 버튼(75d)을 구비하고 있다. 작업자가 일상·주간 점검이력 표시 메뉴화면(74)의 일상점검 버튼(75a)을 조작하면,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일상점검 이력 데이터가 보존장치(35)로부터 추출되어 판독됨과 동시에, 일상점검 이력 표시화면(76)으로 변환된다.
일상점검 이력 표시화면(76)은, 기본정보 표시영역(77), 점검이력 표시영역(78) 및 서브 메뉴 버튼(76a)을 구비하고 있다. 기본 표시영역(77)은, 고객코드 표시란(77a), 기종 표시란(77b), 호기번호 표시란(77c), 점검작업 일시 범위 표시란(77d)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체 데이터의 일부[고객코드, 유압셔블(1)의 기 종, 호기번호] 및 상기 점검작업 데이터에서의 날짜시각의 범위가 표시된다.
점검이력 표시영역(78)은, 작업내용(예를 들면 청소작업, 폐유작업, 급유작업, 레벨검사, 육안검사 등)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각각 일람 표시하는 복수의 시트(79)를 구비하고 있고, 작업내용이 기재된 각 시트(79)의 탭(79a)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시트(79)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시트(79)는, 점검작업의 날짜 표시란(79b), 점검작업의 시각 표시란(79c), 가동시간의 표시란(79d), 점검항목마다의 항목내용 표시란(79e) 및 데이터 표시란(79f)을 구비하고 있다. 날짜 표시란(79b) 및 시각 표시란(79c)에는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한 점검작업 데이터의 일부인 점검작업의 날짜시각(세계 표준시간)이 지역시간으로 환산되어 표시된다. 또 가동시간 표시란(79d)에는,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한 점검작업 데이터의 일부인 가동시간이 표시되고, 점검항목마다의 데이터 표시란(79f)에는,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한 일상점검 이력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관련된 날짜 표시란(79b), 시각 표시란(79c) 및 가동시간 표시란(79d), 데이터 표시란(79f)은 동렬 배치되고, 복수의 관련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 복수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일상점검 이력 표시화면(76)의 서브 메뉴 버튼(76a)을 조작하면, 일상·주간 점검 이력 표시 메뉴화면(74)으로 되돌아간다.
또, 작업자가 일상·주간 점검 이력 표시 메뉴화면(74)의 주간 점검 버튼(75b)을 조작하면,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주간 점검이력 데이터가 보존장치(35)로부터 추출되어 판독됨과 동시에, 주간 점검 이력 표시화면(80)으로 변환된다(도 16b 참조).
주간 점검 이력 표시화면(80)은, 기본정보 표시영역(77), 점검이력 표시영역(81) 및 서브 메뉴 버튼(80a)을 구비하고 있다. 점검이력 표시영역(81)은, 작업내용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각각 일람 표시하는 복수의 시트(79)를 구비하고 있고, 작업내용이 기재된 각 시트(79)의 탭(79a)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시트(79)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시트(79)의 점검항목마다의 데이터 표시란(79f)에는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한 주간 점검이력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주간 점검 이력 표시화면(80)의 서브 메뉴 버튼(80a)을 조작하면, 일상·주간 점검 이력 표시 메뉴화면(74)으로 되돌아간다.
또, 작업자가 일상·주간 점검 이력 표시 메뉴화면(74)의 보충·교환량 버튼(75c)을 조작하면, 상기 기체 데이터 및 점검작업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보충·교환이력 데이터가 보존장치(35)로부터 추출되어 판독됨과 동시에, 보충·교환량 표시화면(82)으로 변환된다(도 16c 참조).
보충·교환량 표시화면(82)은, 기본정보 표시영역(77), 보충·교환량 표시영역(83), 양 단위의 표시란(82a) 및 서브 메뉴 버튼(82b)을 구비하고 있다. 보충·교환량 표시영역(83)은, 점검작업의 날짜 표시란(83a), 점검작업의 시각 표시란(83b), 가동시간의 표시란(83c), 유지(油脂)항목(예를 들면 엔진오일, 기어오일, 작동오일, 물, 그리스, 연료 등)마다의 이름 표시란(83d) 및 데이터 표시란(83e)을 구비하고 있다. 날짜 표시란(83a) 및 시각 표시란(83b)에는,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한 점검작업 데이터의 일부인 점검작업의 날짜시각(세계 표준시간)이 지역시간으로 환산되어 표시된다. 또, 가동시간 표시란(83c)에는, 보존장치(35)로부터 판 독한 점검작업 데이터의 일부인 가동시간이 표시되고, 점검항목마다의 데이터 표시란(83e)[및 양 단위 표시란(82a)]에는,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한 보충 교환이력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관련되는 날짜 표시란(83a), 시각 표시란(83b) 및 가동시간 표시란(83c), 데이터 표시란(83e)은 동렬 배치되고, 복수의 관련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 복수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보충·교환량 표시화면(82)의 서브 메뉴 버튼(82b)을 조작하면, 일상·주간 점검 이력 표시 메뉴화면(74)으로 되돌아간다. 또, 일상·주간 점검이력 표시화면(74)의 메인 메뉴 버튼(75d)를 조작하면, 점검이력 표시 메인 메뉴화면(73)으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도 15로 되돌아가, 작업자가 점검이력 표시 메인 메뉴화면(73)의 월간 점검 버튼(73c)을 조작하면, 도 17에 나타내는 월간 점검이력 표시 메뉴화면(84)으로 변환된다. 월간 점검 이력 표시 메뉴화면(84)은, 기본정보 표시영역(77)과, 메뉴 표시영역(85)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뉴 표시영역(85)은, 복수의 작업내용 버튼(85a)[도 17에서는 부품교환 버튼, 폐유 버튼, 청소 버튼, 외관검사 버튼, 급유 버튼] 및 메인 메뉴 버튼(85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복수의 작업내용 버튼(85a)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그 작업내용에 대응하여 분류된 점검항목을 표시하는 월간 점검 입력화면[도 17에서는 대표하여 86A를 나타냄]으로 변환된다.
월간 점검 표시화면(86A) 등은, 기본정보 표시영역(77), 점검이력 표시영역(87) 및 서브 메뉴 버튼(86a)을 구비하고 있다. 점검이력 표시영역(87)은, 점검 부위(예를 들면 엔진계, 엔진오일, 기어오일, 구동계, 유압계 등)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각각 일람 표시하는 복수의 시트(88)를 구비하고 있고, 점검부위가 기재된 시트(88)의 탭(88a)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시트(88)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시트(88)는, 점검작업의 날짜 표시란(88b), 점검작업의 시각 표시란(88c), 가동시간의 표시란(88d), 점검항목마다의 항목내용 표시란(88e) 및 데이터 표시란(88f)을 구비하고 있다. 날짜 표시란(88b) 및 시각 표시란(88c)에는,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한 점검작업 데이터의 일부인 점검작업의 날짜시각(세계 표준시간)이 지역시간으로 환산되어 표시된다. 또, 가동시간 표시란(88d)에는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한 점검작업 데이터의 일부인 가동시간이 표시되고, 점검항목마다의 데이터 표시란(88f)에는 보존장치(35)로부터 판독한 월간 점검이력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관련되는 날짜 표시란(88b), 시각 표시란(88c) 및 가동시간 표시란(88d), 데이터 표시란(88f)은 동렬 배치되고, 복수의 관련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 복수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월간 점검 이력 표시화면(86A) 등의 서브 메뉴 버튼(86a)을 조작하면, 월간 점검 이력 표시 메뉴화면(84)으로 되돌아간다. 또, 월간 점검 이력 표시 메뉴화면(84)의 메인 메뉴 버튼(85b)을 조작하면, 점검 이력 표시 메인 메뉴화면(73)으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도 15로 되돌아가, 작업자가 점검 이력 표시 메인 메뉴화면(73)의 보충 버튼(73d)를 조작하면, 도 18에 나타내는 보충량 입력화면(89)으로 변환된다. 이 보충량 입력화면(89)은, 점검작업(보충·교환작업을 포함한다)을 행하는 작업자 와는 별도로 정기적으로 보충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있는 경우, 보충작업에서의 보충량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보충량 입력화면(89)은, 기본정보 표시영역(77A)[상기 기본정보 표시영역(77)에서 점검 작업일시 범위 표시란(77d)을 제외한 구성], 보충작업의 날짜 입력란(89a), 보충작업의 시각 입력란(89b), 유압셔블(1)의 가동시간의 입력란(89c), 보충 작업자의 이름 입력란(89d), 보충물의 입력란(89e), 보충량의 입력란(89f), 양 단위 표시란(89g) 및 서브 메뉴 버튼(89h)을 구비하고 있다. 양 단위 표시란(89g)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옵션설정 프로그램으로 설정한 단위가 표시된다.
날짜 입력란(89a), 시각 입력란(89b), 가동시간 입력란(89c) 및 보충량 입력란(89f)의 우측에는, 상기 숫자패드 다이얼로그 화면(62)을 표시하기 위한 숫자패드 표시 버튼(89i)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숫자패드 다이얼로그 화면(62)상의 조작에 의하여 날짜 입력란(89a), 시각 입력란(89b), 가동시간 입력란(89c), 보충량 입력란(89f)에 보충작업의 날짜, 시각, 가동시간, 수량이 각각 입력된다.
또, 이름 입력란(89d)의 우측에는, 키보드 표시 버튼(89j)과 리스트 표시 버튼(89k)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키보드 표시 버튼(89j)을 조작하면, 상기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이 표시되고, 상기한 키보드 다이얼로그 화면(47)상의 조작에 의해 이름 입력란(89d)에 이름이 입력된다. 또는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89k)을 조작하면, 복수의 이름(예를 들면 미리 설정되어 또는 이전 입력되어 기억된 이름)을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이름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이름 입력란(89d)에 이름이 입력된다.
또, 보충물 입력란(89e)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 버튼(891)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891)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ENGINE OIL」,「GEAR OIL」, …을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작업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예를 들면 「ENGINE OIL」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보충물 입력란(89e)에 「ENGINE OIL」이 입력된다.
그리고, 보충량 입력화면(89)의 서브 메뉴 버튼(89h)을 조작하면, 날짜 입력란(89a) 및 시각 입력란(89b)에 입력한 보충작업의 날짜시각(지역시간)이 세계 표준시간으로 환산되고, 이 날짜시각(세계 표준시간)과 가동시간 입력란(89c)에 입력한 가동시간과 이름 입력란(89d)에 입력한 보충 작업자의 이름이 보충작업 데이터로서 보존장치(35)에 기억된다. 또, 보충물 입력란(89e)에 입력한 보충물과 보충량 입력란(89f)에 입력한 수량[또한 양 단위 표시란(89g)에 표시된 단위]과의 조합이 보충이력 데이터로서 상기 기체 데이터 및 보충작업 데이터와 관련지어져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점검이력 표시 메인 메뉴화면(73)으로 되돌아간다. 또, 점검이력 표시 메인 메뉴화면(73)의 종료버튼(73e)을 조작하면, 점검이력 표시 프로그램이 종료한다.
(3) 점검 인터벌 설정
도 19는, 점검 인터벌설정 프로그램을 기동하였을 때의 모니터(38)에 표시되는 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월간 점검에서의 점검항목마다의 점검시기를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도 19에서 점검 인터벌설정 프로그램이 기동하면, 인터벌설정 메뉴화면(90)이 표시된다. 인터벌설정 메뉴화면(90)은, 유압셔블(1)의 기종 입력란(90a)과, 복수의 작업내용 버튼(90b)(도 19에서는 부품교환 버튼, 폐유 버튼, 청소 버튼, 외관 검사 버튼, 급유버튼)과, 종료 버튼(90c)을 구비하고 있다. 기종 입력란(90a)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 버튼(90d)이 설치되어 있다. 관리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90d)을 조작하면, 유압셔블의 기종[예를 들면 미리 기억된 기종 또는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 입력되어 기억된 기종]을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관리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기종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기종 입력란(90a)에 기종이 입력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복수의 작업내용 버튼(90b)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그 작업내용에 대응하여 분류된 점검항목을 표시하는 인터벌설정 입력화면(도 19에서는 대표하여 91A를 도시)으로 변환된다.
인터벌설정 입력화면(91A) 등은, 기종 표시란(91a), 인터벌설정 입력영역(92), 초기화 버튼(91b) 및 실행 버튼(91c)을 구비하고 있다. 기종 표시란(91a)은, 상기 인터벌설정 메뉴화면(90)의 기종 입력란(90a)에 입력한 기종이 표시된다. 인터벌설정 입력영역(92)은, 점검부위(예를 들면 엔진계, 엔진오일, 기어오일, 구동계, 유압계 등)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각각 일람 표시하는 복수의 시트(93)를 구비하고 있고, 점검부위가 기재된 시트(93)의 탭(93a)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시트(93)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시트(93)에는 점검항목마다 항목내용 표시란(93b) 및 인터벌 입력란(93c)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인터벌 입력란(93c)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 버튼(93d)이 설치되어 있다. 관리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93d)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 복수의 인터벌 최소단위(기본단위)를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관리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인터벌 최소단위를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인터벌 입력란(93c)에 인터벌 최소단위가 입력된다. 또한, 관리자가 초기화 버튼(91c)을 조작하면, 화면표시 중의 시트(93)에서의 모든 인터벌 입력란(93d)은 초기값(예를 들면「250」)으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관리자가 인터벌 설정 화면(91A) 등의 실행 버튼(91c)을 조작하면, 기종 표시란(91a)에 표시된 기종에 대하여, 점검항목과 인터벌 입력란(93b)에 입력한 인터벌 최소단위와의 조합이 인터벌 기본 데이터로서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인터벌설정 메뉴화면(90)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휴대단말(34)의 CPU(36)는, 보존장치(35)에 설정 기억된 인터벌 기본 데이터에 의거하여 점검항목마다의 점검시기를 연산하여, 이것을 점검시기 설정 데이터로서 보존장치(35)에 기억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존장치(35)에는 유압셔블의 기종에 대응하는 권장 점검시기 데이터(예를 들면 제조회사가 권장하는 점검항목마다의 권장 인터벌)가 미리 설정 기억되어 있고, 점검항목마다의 인터벌 최소단위의 배수 중에서 권장 인터벌에 가까운 것을 설정 인터벌로서 설정한다. 예를 들면 권장 인터벌이 4000시간이고, 인터벌 최소단위가 300시간인 경우, 300시간의 배수인 3900시간과 4200 시간 중 3900시간의 쪽이 4000시간에 가깝기 때문에 설정 인터벌은 3900시간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점검시기 설정 데 이터에 의거하여, 상기한 미점검의 점검항목의 추출처리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면 등은 도시 생략하나, 상기한 점검항목마다의 설정 인터벌을 표시함과 함께, 이 설정 인터벌을 권장 인터벌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관리자가 설정 변경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4) 옵션설정
도 20은, 옵션설정 프로그램을 기동하였을 때의 모니터(38)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20에서 옵션설정 프로그램이 기동하면, 옵션 설정 화면(94)이 표시된다. 옵션 설정 화면(94)은 국가지역의 입력란(94a), 양 단위의 입력란(94b), 업데이트 버튼(94c) 및 종료 버튼(94d)를 구비하고 있다. 국가지역 입력란(94a) 및 양 단위 입력란(94b)의 우측에는 리스트 표시 버튼(94e, 94f)이 설치되어 있다. 관리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94e)을 조작하면, 복수의 국가지역(및 세계 표준시간과의 시차)을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관리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국가지역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국가지역 입력란(94a)에 국가지역이 입력된다. 또, 관리자가 리스트 표시 버튼(94f)을 조작하면, 예를 들면「gallon」,「Liter」…를 일람 표시한 입력 리스트(도시 생략)가 표시되고, 관리자가 입력 리스트상의 예를 들면「gallon」을 선택 조작하면, 입력 리스트가 닫히고 양 단위 입력란(94b)에「gallon」이 입력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옵션 설정 화면(94)의 업데이트 버튼(94c)을 조작하면, 국 가지역 입력란(94a) 및 양 단위 입력란(94b)에 입력한 데이터가 옵션설정 데이터로서 보존장치(35)에 기억됨과 동시에, 옵션 설정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또한, 관리자가 옵션 설정화면(94)의 종료 버튼(94d)을 조작한 경우는, 그대로 옵션설정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그리고, 옵션설정 데이터에서의 세계 표준시간과의 시차에 의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 취득한[또는 보존장치(35)에 기억한] 날짜시각(세계 표준시간)과 화면 표시하는 날짜시각(지역시간)이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옵션설정 데이터의 단위가 상기한 양 단위 표시란(60a, 71e, 89g)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월간 점검에서의 엔진(19)계의 점검작업을 행할 때, 작업자는 유압셔블(1)의 하우징(6A)(또는 6B)의 엔진실 내로 이동하여, 휴대단말(34)을 통신 케이블(33B)을 거쳐 통신 커넥터(32B)에 접속하여 조작하고, 데이터 제어장치(30)로부터 휴대단말(34)에 가동시간 및 날짜시각을 입력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휴대단말(34)을 조작하여 모니터(38)에 엔진계의 점검항목을 표시시키고, 그 점검항목을 실시함과 동시에, 휴대단말(34)을 조작하여 점검결과의 양부 등을 데이터 입력한다. 휴대단말(34)은, 점검항목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점검이력 데이터로서 유압셔블(1)의 가동시간 및 날짜시각과 관련지어 기억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휴대단말(34)에 기억한 점검이력 데이터를 모니터(38)에 표시시킨다.
또, 작업자는 휴대단말(34)에 기억한 점검이력 데이터를 관리서버(43) 등에 출력하여도 된다. 도 21은, 관리서버(43)를 구비한 정보 네트워크의 구성을 일례로 하여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도 21에서 정보 네트워크(95)는, 예를 들면 상기 유압셔블(1)의 가동현장근처의 사무소 등 내에 배치된 고객측 네트워크(96)와, 이 고객측 네트워크(96)에 통신회선(97)(예를 들면 공중회선을 사용한 인터넷 등)을 거쳐 접속된 제조회사측 네트워크(98)로 구성되어 있다. 고객측 네트워크(96)는, 통신 케이블(99) 등을 거쳐(또는 무선통신에 의하여) 통신 접속된 휴대단말(34)로부터 점검이력 데이터를 입력하고 기억하는 상기 관리서버(43)와, 이 관리서버(43)에 접속된 정보단말(100)을 구비하고 있다. 제조회사측 네트워크(98)는, 고객측 네트워크(96)의 관리서버(43)의 점검이력 데이터가 갱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색하여, 점검이력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는 고객의 양해를 얻거나, 또는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관리서버(101)와, 이 관리서버(101)에 접속된 정보단말(102)을 구비하고 있다. 정보단말(100, 102)은, 상기한 점검이력 표시 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정보단말(100, 102)의 조작에 의하여 관리서버(43, 101)의 점검이력 데이터를 모니터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34)은 유압셔블(1)의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 가동시간 및 날짜시각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유압셔블(1)의 시간정보와 점검이력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휴대단말(34)에 시간정보를 손으로 입력하는 경우에 비하여, 점검이력 데이터의 시간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유압셔블(1)의 시간정보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유압셔블(1)의 이상 발생시와 점검이력 데이터와의 시간관계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하여 유압셔블(1)의 고장진단을 더욱 신속하고,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압셔블의 점검부위에 따라 휴대단말(34)을 휴대하여, 통신 케이블(33B)을 거쳐 통신 커넥터(32B 또는 32C)에 접속하여[또는 통신 케이블(33A)을 거쳐 통신 커넥터(32A)에 접속하고], 데이터 기록장치(30)로부터의 가동시간 및 날짜시각 등을 휴대단말(34)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점검작업을 행하는 점검부위의 근방에서 휴대단말(34)의 데이터 입력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커넥터(33A, 33B, 33C) 및 통신 케이블(32A, 32B) 대신에, 무선통신 등에 의하여 데이터 기록장치(30)와 휴대단말(34)을 통신 접속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서도 상기 일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34)은 작업시기(일상점검, 주간 점검, 월간 점검)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각각 표시하는 일상 점검 입력화면(54), 주간 점검 입력화면(56) 및 월간 점검 입력화면(65A, 65B) 등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일상 점검 입력화면(54) 및 주간 점검 입력화면(56)은, 작업내용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표시하는 복수의 시트(58)를 구비하고, 이 시트(58)를 변환하여 표시시킨다. 또, 월간 점검 입력화면(65A, 65B) 등은 각각 작업내용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표시함과 동시에 작업부위에 따라 분류한 점검항목을 표시하는 복수의 시트(67)를 구비하고, 이 시트(67)를 변환하여 표시시킨다. 이와 같은 화면구성에 의하여 점검작업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점검항목의 화면 표시방법은 상기 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시기, 작업내용 및 점검부위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사용하여 분류 표시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서도 상기 일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휴대단말(34)은 자동 또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미대책 및 미점검의 점검항목을 추출 표시하는 미대책·미점검 입력화면(68)을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자는 미대책인 점검항목 또는 점검시기에 있으나, 미점검인 점검항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대책·미점검 입력화면(68)을 표시시키는 대신에, 예를 들면 일상 점검 입력화면(54), 주간 점검 입력화면(56) 및 월간 점검 입력화면(65A, 65B) 등에서 미대책 및 미점검의 점검항목의 표시형태(예를 들면 배경색이나 프레임 등)를 다르게 하여 표시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서도 상기 일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타블릿형의 휴대단말(34)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것 대신에 예를 들면 키보드 등을 구비한 휴대단말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적용대상으로서 초대형 유압셔블(1)을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각종 건설공사현장 등에서 활약하는 기체중량 수십톤급의 대형 셔블, 중형 셔블이나, 소규모 공사현장에서 활약하는 소형 셔블 등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 유압셔블 이외의 크레인 등에도 적용하여도 된다. 이들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Claims (15)

  1. 건설기계에 설치되어, 기종 및 호기번호를 포함하는 기체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처리하는 데이터 제어장치와,
    건설기계의 점검항목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어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한 점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작업자가 입력 가능한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점검이력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상기 건설기계의 점검부위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에 통신 접속한 복수의 통신 커넥터와,
    상기 통신 커넥터와 상기 휴대단말을 접속 가능한 통신 케이블을 가지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통신 케이블 및 상기 통신 커넥터를 거쳐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로부터 기체정보 및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기체정보 및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과 관련지어 상기 점검이력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작업자의 지령입력에 따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 점검이력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에 대하여 원격지에 설치되고, 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점검이력 데이터를 입력하여 기록하는 관리서버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상기 점검항목을 작업시기에 따라 분류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시기에 대응하는 점검항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상기 점검항목을 작업내용에 따라 분류하고, 작업자가 선택 입력한 작업내용에 대응하는 점검항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상기 점검항목을 점검부위에 따라 분류하고, 작업자가 선택 입력한 점검부위에 대응하는 점검항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점검이력 데이터로서 점검항목에 대하여 점검작업의 실시, 점검결과의 양부, 대책내용 및 유지류 등의 보충·교환량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점검결과가 불량이고 미대책인 점검항목 또는 점검시기에 있으나 미점검인 점검항목을 추출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점검항목의 점검시기를 설정 변경하는 점검시기 변경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시기 변경수단은, 입력된 점검간격의 기본단위의 배수가 미리 설정된 점검항목마다의 권장 점검시기에 가까운 것을 점검시기로서 설정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 전회의 점검이력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점검항목의 데이터 입력란과 대응하는 전회의 점검이력 데이터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점검항목 이외의 발견사항을 입력 가능한 화면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화면에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발견사항 데이터로 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 및 상기 통신 커넥터를 거쳐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기체정보 및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과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15.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복수의 구획된 점검영역을 가지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육안점검의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건설기계에 설치되어, 기종 및 호기번호를 포함하는 기체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처리하는 데이터 제어장치와,
    건설기계의 점검항목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어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한 점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작업자가 입력 가능한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점검이력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상기 건설기계의 점검부위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에 통신 접속한 복수의 통신 커넥터와,
    상기 통신 커넥터와 상기 휴대단말을 접속 가능한 통신 케이블을 가지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통신 케이블 및 상기 통신 커넥터를 거쳐 상기 데이터 제어장치로부터 기체정보 및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기체정보 및 가동시간 또는 날짜시각과 관련지어 상기 점검이력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KR1020087007532A 2006-01-12 2007-01-05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KR101044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4873 2006-01-12
JPJP-P-2006-00004873 2006-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753A KR20080091753A (ko) 2008-10-14
KR101044740B1 true KR101044740B1 (ko) 2011-06-28

Family

ID=3825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532A KR101044740B1 (ko) 2006-01-12 2007-01-05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24094B2 (ko)
EP (1) EP1978162B1 (ko)
JP (1) JP4884398B2 (ko)
KR (1) KR101044740B1 (ko)
CN (1) CN101351599B (ko)
AU (1) AU2007205618B2 (ko)
WO (1) WO20070808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996A (ko) * 2018-12-21 2021-07-28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작업 기계의 보수 부품의 선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2165B2 (en) * 2006-06-14 2014-06-24 Bosch Automotive Service Solutions Llc Optimizing test procedures for a subject under test
JP5020801B2 (ja) * 2007-12-25 2012-09-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制御システム
US9057174B2 (en) * 2009-10-19 2015-06-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iagnosis system and diagnosis method for construction machine
JP2012232682A (ja) * 2011-05-02 2012-11-29 Komatsu Ltd 建設機械および建設機械管理システム
CN102493520B (zh) * 2011-11-22 2014-05-07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挖掘机工作时间自动累加的方法
RU2615535C2 (ru) 2012-01-31 2017-04-05 Харнишфигер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Промышлен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оределения регулируемого прокладками зазора опорного блока промышленной машины (варианты)
JP6122255B2 (ja) * 2012-06-01 2017-04-26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
EP3825471A1 (en) * 2012-07-19 2021-05-26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with multifunctional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N103592426A (zh) * 2012-08-14 2014-02-19 同济大学 一种工程机械润滑油品状态监测系统
RU2015115489A (ru) * 2012-09-24 2016-11-20 Кейтерпиллар Инк. Управление и контроль операций горных работ
US9251627B2 (en) * 2013-03-05 2016-02-02 Sears Brands, L.L.C. Removable dashboard instrument system
KR101714948B1 (ko) * 2013-03-06 2017-03-09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EP3012156B1 (en) * 2013-06-21 2021-12-2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Abnormality information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6148168B2 (ja) * 2013-12-17 2017-06-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管理システム
JP2015164847A (ja) * 2015-05-07 2015-09-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管理システム
JP6298797B2 (ja) * 2015-06-18 2018-03-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交換品管理システム
JP6614907B2 (ja) * 2015-10-09 2019-12-04 福井コンピュー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予定管理サーバ、及び予定管理プログラム
CN105620434B (zh) * 2015-12-18 2018-06-26 李建勋 汽车修理厂智能修车系统
JP6447534B2 (ja) * 2016-02-19 2019-01-0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保守作業管理システム
WO2017149587A1 (ja) * 2016-02-29 2017-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サーバ装置、作業記録システム、作業記録方法及び作業支援プログラム
JP6776807B2 (ja) * 2016-10-25 2020-10-28 スズキ株式会社 鞍乗型車両情報処理システム
DE102016015480A1 (de) * 2016-12-23 2018-06-28 Bomag Gmbh Selbstfahrende Baumaschine mit Kommunikationszentrale, Fahrzeugverbund mit derartigen Baumaschinen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artiger Baumaschinen
US10096174B2 (en) 2017-02-17 2018-10-09 Deere &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machine function based on performance of a work machine maintenance schedule and system thereof
JP6622840B2 (ja) * 2018-03-29 2019-12-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管理システム
US20210382109A1 (en) * 2018-12-12 2021-12-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agnostic apparatus
WO2020202575A1 (ja) * 2019-04-05 2020-10-0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保守点検支援システム
CN111637924B (zh) * 2020-05-27 2021-11-09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挖掘机异常的检测方法、检测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3804993A (zh) * 2021-07-30 2021-12-17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用于故障定位的方法、处理器以及工程机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9030A1 (fr) 2001-04-25 2002-11-07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ispositif et systeme de gestion pour engins de construction
JP2003119830A (ja) 2001-10-11 2003-04-23 Nishimatsu Constr Co Ltd 建設機械情報システム
JP2004322862A (ja) 2003-04-24 2004-11-18 Sekiya Motors:Kk 車両検査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1840A (en) * 1993-06-25 1996-07-30 Chrysler Corporation Hand held automotive diagnostic service tool
US5737215A (en) * 1995-12-13 1998-04-07 Caterpil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ring machines in fleet
US5931878A (en) * 1996-08-09 1999-08-03 Mindersoft, Inc. Computerized prompting systems
US5864783A (en) * 1997-04-04 1999-01-26 Sno-Way International Apparatus for testing snow removal equipment
US6907384B2 (en) * 2000-03-31 2005-06-1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machine, and arithmetic processing apparatus
CN1221913C (zh) * 2000-03-31 2005-10-05 日立建机株式会社 建筑机械的管理方法,系统以及运算处理装置
JP2002038528A (ja) * 2000-07-21 2002-02-06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モニタ・リモコン端末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JP2002325060A (ja) 2001-04-25 2002-11-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点検情報送受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714382B2 (ja) * 2001-08-06 2011-06-29 日立建機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モニタ装置
US6587768B2 (en) * 2001-08-08 2003-07-01 Meritor Heavy Vehicle Technology, Llc Vehicle inspection and maintenance system
JP2003119831A (ja) * 2001-10-18 2003-04-23 Komatsu Ltd メンテナンス計画作成システム、メンテナンス計画作成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6968259B2 (en) * 2002-06-28 2005-11-22 Oem Controls Monitoring and annunciation device for equipment mainten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9030A1 (fr) 2001-04-25 2002-11-07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ispositif et systeme de gestion pour engins de construction
JP2003119830A (ja) 2001-10-11 2003-04-23 Nishimatsu Constr Co Ltd 建設機械情報システム
JP2004322862A (ja) 2003-04-24 2004-11-18 Sekiya Motors:Kk 車両検査診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996A (ko) * 2018-12-21 2021-07-28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작업 기계의 보수 부품의 선정 시스템
KR102591509B1 (ko) * 2018-12-21 2023-10-20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작업 기계의 보수 부품의 선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753A (ko) 2008-10-14
CN101351599A (zh) 2009-01-21
AU2007205618B2 (en) 2010-01-28
US20090265064A1 (en) 2009-10-22
AU2007205618A1 (en) 2007-07-19
CN101351599B (zh) 2012-06-06
WO2007080835A1 (ja) 2007-07-19
EP1978162A4 (en) 2011-08-31
JPWO2007080835A1 (ja) 2009-06-11
JP4884398B2 (ja) 2012-02-29
US8024094B2 (en) 2011-09-20
EP1978162B1 (en) 2015-12-30
EP1978162A1 (en)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740B1 (ko) 건설기계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시스템
CN102216534B (zh) 工程机械的诊断信息提供装置
JP4246039B2 (ja) 建設機械の稼働情報管理装置
KR100785749B1 (ko) 휴대전화 대응형 건설기계
KR100696730B1 (ko) 건설기계의 정보제공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정보제공방법
US7171295B2 (en) Construc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nstruc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9181923A1 (ja) 建設機械の支援装置
JP2024028566A (ja) ショベルの管理システム
US200600418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display data between machines
JP2010287070A (ja) 作業機械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作業機械管理方法
JP2010287069A (ja) 作業機械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作業機械管理方法
JP2005058175A (ja) 作業車両における制御装置
WO2020013252A1 (ja) 建設機械の表示方法及び建設機械の支援装置
JP2011007063A (ja) エンジンオイル消費率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