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307B1 -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307B1
KR101044307B1 KR1020040066724A KR20040066724A KR101044307B1 KR 101044307 B1 KR101044307 B1 KR 101044307B1 KR 1020040066724 A KR1020040066724 A KR 1020040066724A KR 20040066724 A KR20040066724 A KR 20040066724A KR 101044307 B1 KR101044307 B1 KR 10104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pixel
correction
pixels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275A (ko
Inventor
카와니시이사오
오카다미유키
사토노부유키
나카지마켄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2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6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촬상소자(2)로부터 판독되는 각 화소마다, 그 화소에 대응하는 수평 카운터 값 및 수직 카운터 값이, 신호발생기(11)로부터, 광축 중심 좌표 설정부(21), 및 상하 좌우의 거리 가중부(22)를 거쳐 거리 산출부(23)에 공급되고, 거기에서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가 산출되어, 그 거리에 따른, 줌 WIDE단과 줌 TELE단의 보정계수가 LUT(24, 25)에 의해 취득된다. 취득된 2개의 보정계수는, 이득 블렌드 처리부(27)에 의해, 블렌드비 설정부(26)에서 결정된 혼합비로 블렌드된다. 블렌드된 쉐이딩 보정계수는, 이득 조정부(28)에 의해 이득 조정된 후, 보정부(29)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촬상부(3)에서 공급되는 각 화소의 신호에 대해,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보정이 행해진다.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R1020040066724
화상처리, 디지털 카메라. 쉐이딩, 거리 이득, 보정계수, 거리 가중값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쉐이딩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카메라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상계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색 쉐이딩에 의해 좌우의 밸런스가 색에서 흐트러지는 화상을, 쉐이딩 보정한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색 쉐이딩에 의해 좌우의 밸런스가 색에서 흐트러지는 화상을, 색 쉐이딩 밸런스를 행하여 보정한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광축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산출에 있어서의 디폴트인 좌우 밸런스의 H 거리 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좌측 어깨부 상승의 언밸런스한 H 거리 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우측 어깨부 상승의 언밸런스한 H 거리 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나타낸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실행하는 쉐이딩 보정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상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실행하는 쉐이딩 보정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상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실행하는 쉐이딩 보정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상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상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상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전화기,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이 피사체를 촬상하는 경우에 있어서, 촬상된 화상의 쉐이딩(shading)(감도 불균일성)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한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즈계와 촬상부를 갖는 촬상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렌즈계에 의한 주변광량의 부족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에 쉐이딩(감도 불균일성)이 생 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 있어서는, 촬상소자의 셀 사이즈가 극소화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촬상소자의 배선 등의 높이 방향의 구조가 극소화되기 때문에, 또한 렌즈 소형화에 따른 동공 거리를 단축화하기 위해, 촬영화상에 쉐이딩이 생기기 쉬워지고 있다.
이 쉐이딩의 원리에 관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촬상소자에는, 화소마다의 광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마이크로렌즈가 촬상소자의 감광 화소 부분마다 설치되어 있다. 촬영 렌즈를 통과시킨 광선이 거의 수직으로 촬상소자의 감광부에 입사하는 경우, 입사광선은, 거의 문제가 없이 촬상소자의 감광부에 집광된다. 한편, 촬영 렌즈를 통과시킨 광선이 비스듬하게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경우, 촬영 렌즈와 마이크로렌즈의 광학적인 관계에서, 촬영 렌즈의 광축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즉, 촬상소자의 주변 부분)의 각 감광부에는, 본래의 입사광선의 일부밖에 입사하지 않게 되어 버려, 쉐이딩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촬상소자 상의 화소 위치가 촬영 렌즈의 광축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심해진다. 또한, 큰 사이즈의 촬상소자의 경우, 촬영 렌즈에 따라서는, 촬상소자 주변부로의 광선의 입사각이 커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렌즈의 위치, 온 칩 색 필터의 제작 어긋남, 또는, 촬상소자의 디바이스 구조 등에 기인하여, 입사각이 커지는 촬상소자 주변부에서, 감도가 저하하는 쉐이딩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쉐이딩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다수의 장으로 렌즈계를 설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다수매로 설계되는 렌즈계는, 고가격으로, 소위 민생기기에는, 채용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예를 들면, 반도체 촬상소자를 사용하는 기기와 같이, 신호의 추출이 XY 좌표를 따라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추출된 신호에 대한 디지털 처리에 의해 화상을 보정할 수 있다. 그래서, 종래부터 스캐너 등의 분야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저가의 렌즈계로 촬영하였기 때문에 생기는 왜곡이나, 주변 광량의 부족, 또는, 색 번짐 등의 렌즈 쉐이딩을 디지털 보정하는 기술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참조).
그렇지만, 이들 선행 기술은, 모두 스캐너 등의 분야에 한정하여 실시된 것으로(예를 들면, 보정처리를 위해 상당한 시간을 들일 수 있는 것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과 같이, 실시간으로의 보정처리가 요구되는 것과 같은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 촬상소자 평면상의 감도 불균일성을 해소하도록 한 촬상장치 및 쉐이딩 보정방법, 촬상소자의 특정한 색 채널에서 발생하는 색 쉐이딩을 보정하는 촬상장치 및 쉐이딩 보정방법에 관한 기술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 참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촬상소자의 평면 상에 2차원 배열된 각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쉐이딩 보정계수를 기억수단에 갖고, 촬상렌즈의 줌 위치, 포커스 위치, 상 높이, 조리개 양, 출사동 위치, 또는 스트로보 발광량의 적어도 1개에 따라 보정계수를 수정하도록 행해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 따르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쉐이딩 보정 데이터를 계산하여, 고쳐쓰기 가능한 기록수단(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에 기록하고, CCD(Charge Coupled Device)에서 판독되는 촬상신호에 따라 쉐이딩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촬상신호를 A/D(Analog to Digital) 변환한 후의 디지털 신호에 승산하여 쉐이딩 보정을 행함으로써, 고속이면서 정확한 쉐이딩 보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CPU에서 연산하는 프로그램을 외부에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사체의 장면(scene)에 따른(예를 들면, 역광보정이나 조도에 따른) 촬영 등의 쉐이딩 보정을 가능하게 한 화상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2-21829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 11-35551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0-41183호 공보 등 참조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2002-218298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2000-41179 등 참조
특허문헌 5의 기술에 따르면, 촬상소자의 평면 상에 2차원 배열된 각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쉐이딩 보정계수를 기억하는 스텝은 1 종류로서, 예를 들면, 렌즈의 줌 위치를 WIDE단으로부터 TELE단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연속되는 줌 위치마다에 따라 보정계수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도 1a는, 광량(종축)과 줌 WIDE단의 위치(횡축)의 관계에 있어서의 쉐이딩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광량(종축)과 줌 TELE단의 위치(횡축)의 관계에 있어서의 쉐이딩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줌 WIDE단의 쉐이딩 특성 L1은, 완만한 광량 부족인 것에 대해, 도 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줌 TELE단의 쉐이딩 특성 L2는, 화면 주변부에서 급격하게 광량이 떨어지는 특성을 갖는 경우가 많아, 줌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보정계수를 수정하거나, 그것의 보정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한 동시에, 회로 규모나 수정 프로그램도 커져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더구나, 렌즈의 포커스 위치, 상 높이, 조리개 양, 출사동 위치, 또는 스트로보 발광량에 관해서도,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촬상렌즈의 줌 위치, 포커스 위치, 상 높이, 조리개 양, 출사동 위치, 또는 스트로보 발광량 중 어느 하나가, 양 단의 사이의 각 위치에 있어도, 회로 규모나 프로그램 규모를 크게 하는 일이 없이, 쉐이딩을 보정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는, 촬영한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1 거리 산출부와, 거리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에 근거하여, 각 화소의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득부는, 복수의 보정값을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보정값의 혼합비를 설정하는 혼합비 설정부와, 혼합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혼합비에 근거하여, 복수의 보정값을 혼합하는 혼합부를 더 설치하고, 보정부는, 혼합부에 의해 혼합된 보정값에 근거하여, 각 화소의 신호를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혼합비 설정부는, 렌즈 줌 위치, 조리개 양, 포커스 위치, 상 높이, 출사동 위치, 또는 스트로보 발광량에 근거하여 혼합비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을 이득조정하는 이득 조정부를 더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상이, G 화소, R 화소, 및 B 화소의 3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G 화소에 맞추어,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2 거리 산출부와,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R 화소의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1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부와,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B 화소의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2 거리 밸런스 이득 조정부를 더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상이, Gr 화소, R 화소, B 화소, 및 Gb 화소의 4색, 또는, E 화소, R 화소, B 화소, 및 G 화소의 4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Gb 화소 또는 G 화소에 맞추어,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2 거리 산출부와, Gb 화소 또는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R 화소의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1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부와, Gb 화소 또는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B 화소의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2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부와, Gb 화소 또는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Gr 화소 또는 E 화소의 주사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3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부를 더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처리방법은, 촬영된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는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1 거리 산출스텝과, 거리 산출스텝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거리 에 근거하여,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취득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에 근거하여, 각 화소의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촬영한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는 화상처리를, 컴퓨터에서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1 거리 산출스텝과, 거리 산출스텝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취득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에 근거하여, 각 화소의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서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촬영된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는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처리방법으로서,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1 거리 산출스텝과, 거리 산출스텝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취득스텝의 처 리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에 근거하여, 각 화소의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서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가, 화면의 상하 좌우로 나누어 거리 이득이 곱해져 산출되고, 또한 색마다 거리 밸런스 이득이 곱해져 산출되며,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이 취득되고, 취득된 보정값에 근거하여 각 화소의 신호가 보정된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설명하지만, 명세서 중에 기재된 발명과, 실시예의 대응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아진다. 명세서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발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지 않고 있는 실시예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실시예가, 그 발명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실시예가 발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실시예가, 그 발명 이외의 발명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이 기재는,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응하는 모든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이 기재는,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 이외의 발명의 존재, 즉, 장래, 분할 출원되거나, 보정에 의해 나타나고, 추가되는 발명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3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촬영한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1 거리 산출부(예를 들면, 도 9의 스텝 S3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상하 좌우의 가중부(22), S7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거리 산출부(23)의 유사 거리 산출부(42))와, 거리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취득하는 취득부(예를 들면, 도 9의 스텝 S8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룩업 테이블(24, 25))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에 근거하여, 각 화소의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수단(예를 들면, 도 9의 스텝 S12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보정부(2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 취득수단은, 복수의 보정값(예를 들면, 줌 WIDE단의 보정계수와 줌 TELE단의 보정계수)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는,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보정값의 혼합비를 설정하는 혼합비 설정수단(예를 들면, 도 9의 스텝 S9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블렌드비 설정부(27))과, 혼합비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혼합비에 근거하여, 복수의 보정값을 혼합하는 혼합수단(예를 들면, 도 9의 스텝 S10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이득 블렌드 처리부(27))을 더 구비하고, 보정수단은, 혼합수단에 의해 혼합된 보정값에 근거하여, 각 화소의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의 혼합비 설정수단은, 렌즈 줌 위치, 조리개 양, 포커스 위치, 상 높이, 출사동 위치, 또는 스트로보 발광량에 근거하여(예를 들면, 최소측과 최대측 사이의 소정 위치에 따라), 혼합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는,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을 이득 조정하는 이득 조정수단(예를 들면, 도 9의 스텝 S11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이득 조정부(2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화상이, G 화소, R 화소, 및 B 화소의 3색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G 화소에 맞추어, 화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나누어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2 거리 산출수단(도 9의 스텝 S5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상하 좌우 가중부(22))과,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R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1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수단(도 9의 스텝 S6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과,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B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2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수단(도 9의 스텝 S6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화상이, Gr 화소, R 화소, B 화소, 및 Gb 화소의 4색, 또는, E 화소, R 화소, B 화소, 및 G 화소의 4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Gb 화소 또는 G 화소에 맞추어, 화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나누어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2 거리 산출수단(도 9의 스텝 S5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상하 좌우 가중부(22))과, Gb 화소 또는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R 화소의 상하 좌우 거 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1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수단(도 9의 스텝 S6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과, Gb 화소 또는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B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2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수단(도 9의 스텝 S6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과, Gb 화소 또는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Gr 화소 또는 E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3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수단(도 9의 스텝 S6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화상처리방법은, 촬영된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는 화상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3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화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나누어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1 거리 산출스텝(예를 들면, 도 9의 스텝 S3, S7)과, 거리 산출스텝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화상의 쉐이딩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취득하는 취득스텝(예를 들면, 도 9의 스텝 S8)과, 취득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에 근거하여, 각 화소의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스텝(예를 들면, 도 9의 스텝 S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화상처리방법은, 상기 화상이, G 화소, R 화소, 및 B 화소의 3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G 화소에 맞추어, 화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나누어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2 거리 산출스텝(도 9의 스텝 S5)과,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R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1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스텝(도 9의 스텝 S6)과,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B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2 상하 좌우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스텝(도 9의 스텝 S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화상처리방법은, 상기 화상이, Gr 화소, R 화소, B 화소, 및 Gb 화소의 4색, 또는, E 화소, R 화소, B 화소, 및 G 화소의 4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Gb 화소 또는 G 화소에 맞추어, 화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나누어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제 2 거리 산출스텝(도 9의 스텝 S5)과, Gb 화소 또는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R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1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스텝(도 9의 스텝 S6)과, Gb 화소 또는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B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2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스텝(도 9의 스텝 S6)과, Gb 화소 또는 G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Gr 화소 또는 E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제 3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 보정스텝(도 9의 스텝 S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청구항 11 내지 13에 기재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각 스텝이 대응하는 실시예(단 한가지 예)는, 청구항 8 내지 10에 기재된 화상처리방법과 동일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카메라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구성예에 있어서는, 렌즈(1), 촬상소자(2),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회로, AGC(Automatic Gain Control)회로, 및 A/D(Analog to Digital) 변환기를 포함하는 촬상부(3), 쉐이딩 보정부(4), 및 카메라 신호처리부(5)로 이루어진 촬상계, 표시부(6)로 이루어진 표시계, 기록부(7)로 이루어진 기록계의 3개의 블록으로 대별된다.
렌즈(1)는, 빛(즉,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소자(2)에 입사시킨다. 촬상소자(2)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s) 이미저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저를 포함하는 광전변환을 행하는 광전변환소자가 2차원으로 배치된 것으로, 그것의 전방면에는, R, G 및 B가 모자이크 모양으로 배열된 원색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즉, 촬상소자(2)는, 렌즈(1) 및 원색 필터를 거쳐 입사된 피사체의 광 상을 광전변환하여 촬상신호(전하)를 생성하고, 생성된 촬상신호를 래스터 스캔방식으로 촬상부(3)에 출력한다. 이때, 원색 필터는, Ye, Cy, Mg 및 G가 모자이크 모양으로 배열된 보색계 필터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촬상부(3)는, 촬상소자(2)에서 입력된 촬상신호에 대해, CDS 회로에서 노이즈 제거, AGC 회로에서 이득 조정을 시행하고, A/D 변환기에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쉐이딩 보정부(4)에 공급한다.
쉐이딩 보정부(4)는, 촬상부(3)로부터 공급된 촬상 데이터에 대해, 렌즈·쉐이딩에 의한, 촬상면의 주변 광량 부족을 보정한 후, 카메라 신호처리부(5)에 공급 한다.
카메라 신호처리부(5)는, 쉐이딩 보정부(4)로부터 공급된 촬상 데이터에 대해, 감마 처리, 색분리 처리, 및 4:2:2의 비율에 의한 YUV 변환 등의 신호처리를 시행하고, 휘도신호 데이터 및 크로마 신호 데이터로 이루어진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 카메라 신호처리부(5)는, 작성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6)에 공급하여,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시키거나, 또는 작성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부(7)에 공급하여, 그곳에 기록시킨다.
표시부(6)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고, 카메라 신호처리부(5)로부터 공급된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한다. 기록부(7)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를 제어하는 것으로, 카메라 신호처리부(5)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리무버블 미디어에 기록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카메라 시스템의 쉐이딩 보정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사체의 광 상은, 렌즈(1)를 거쳐 촬상소자(2)에 입사되고, 거기에서 광전변환됨으로써 촬상신호가 생성된다. 그 촬상신호는, 촬상부(3)에서 노이즈 제거, 이득 조정, 및 A/D 변환이 시행되어, 촬상 데이터(디지털 영상신호)로서 쉐이딩 보정부(4)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쉐이딩은, 광축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생긴다고 생각되고 있기 때문에, 쉐이딩 보정부(4)에 의해, 광축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산출되고, 그 거리에 따른 쉐이딩 보정계수가 보정계수 테이블로부터 판독 되고, 촬상 데이터에 보정계수를 곱함으로써 쉐이딩이 보정된다. 그리고, 쉐이딩이 보정된 촬상 데이터는, 카메라 신호처리부(5)에 의해, 감마 처리, 색분리 처리, 및 YUV 변환 등의 신호처리가 시행되어, 휘도신호 데이터 및 크로마 신호 데이터로 이루어진 화상 데이터가 작성되어, 표시부(6) 또는 기록부(7)로 출력된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카메라 시스템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근거하는 보정 테이블을 판독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주변 광량 부족 등을 보정하는 기능이 설치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상계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2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신호발생기(SG)(11)는, 수평 리셋트 신호 및 수직 리셋트 신호를 발생하고, 타이밍 발생기(TG)(12)에 공급하는 동시에, 수평 카운터 값 및 수직 카운터 값을 생성하여, 쉐이딩 보정부(4)의 광축 중심 좌표 설정부(21)에 공급한다.
타이밍 발생기(12)는, 신호발생기(11)로부터 공급된 수평 리셋트 신호 및 수직 리셋트 신호에 근거하여, 수평 구동신호 및 수직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촬상소자(2)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촬상된 각 화소의 신호가, 타이밍 발생기(12)에서 발생된 수평 구동신호 및 수직 구동신호에 따라, 촬상소자(2)로부터 판독된다.
광축 중심 좌표 설정부(21)는, 신호발생기(11)로부터 공급된 수평 카운터 값 및 수직 카운터 값에 근거하여, 광축 중심 위치 정보 데이터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500만 화소의 수평 방향의 픽셀 길이가 2560 픽셀인 경우, 광축 중심의 값이 제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픽셀 길이의 1/2의 값, 즉 1280의 값을 수평 카운터값에서 감산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500만 화소의 수직 방향의 라인 길이가 1920 라인일 경우, 광축 중심의 값이 제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라인 길이의 1/2의 값, 즉, 960의 값을 수직 카운터 값에서 감산하도록 하면 된다.
상하 좌우의 가중부(22)는, 광축 중심 좌표 설정부(21)에서 산출된 광축 중심 위치 정보 데이터에 근거한 광축 중심 위치에서 볼 때, 우측의 수평 거리 이득, 또는 좌측의 수평 거리 이득을 가중값으로 하여, 수평 카운터 값에 대해 곱한다. 예를 들면, 500만 화소의 수평 방향의 픽셀 길이가 2560 픽셀인 경우, 그 픽셀 길이의 1/2의 값, 즉 1280의 값을 수평 카운터 값에서 감산하도록 하면, 광축 중심에서는 제로의 값, 광축 중심보다 좌측에서는 음의 값, 광축 중심보다 우측에서는 양의 값이 산출된다. 이렇게 하여, 상하 좌우의 가중부(22)에서는, 광축 중심 위치에서 볼 때, 좌측과 우측을 판별하는 동시에, 우측의 수평 거리 이득 또는 좌측의 수평 거리 이득을 가중값으로 하여, 수평 카운터 값에 대해 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하 좌우의 가중부(22)는, 광축 중심 좌표 설정부(21)에서 산출된 광축 중심 위치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는 광축 중심 위치에서 볼 때, 상측의 수직 거리 이득 또는 하측의 수직 거리 이득을 가중값으로 하여, 수직 카운터 값에 대해 곱한다. 예를 들면, 500만 화소의 수직 방향의 라인 길이가 1920 라인인 경우, 그 라인 길이의 1/2의 값, 즉 960의 값을 수직 카운터 값에서 감산하도록 하면, 광축 중심에서는 제로의 값, 광축 중심보다 상측에서는 음의 값, 광축 중심보다 하측에서는 양의 값이 산출된다. 이렇게 하여, 상하 좌우의 가중부(22)에서는, 광축 중심 위치에서 볼 때, 상측과 하측을 판별하는 동시에, 상측의 수직 거리 이득 또는 하측의 수직 거리 이득을 가중값으로 하여, 수직 카운터 값에 대해 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하 좌우의 가중부(22)는, 수평 카운터 값 및 수직 카운터 값에 대해 가중을 행하기 때문에, 그 대로의 상태인 경우, G 화소, R 화소, 및 B 화소에 각각 공통으로, 상하 좌우의 가중을 행한다. 또한, G 화소, R 화소, 및 B 화소의 상하 좌우 언밸런스의 정도가 각각 같은 경우에는, 상하 좌우의 가중부(22)에 의해, 가중되어 상하 좌우의 밸런스가 잡히게 된다.
그렇지만, G 화소, R 화소, 및 B 화소의 상하 좌우 언밸런스의 정도가 각각 다른 경우에는, 공통의 상하 좌우 가중 처리가 행해졌다고 하더라도, 색마다의 언밸런스를 해결할 수 없다.
여기에서, G 화소, R 화소, 및 B 화소의 상하 좌우 언밸런스의 정도가 각각 다른 경우의 예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색 쉐이딩에 의해 좌우의 밸런스가 색마다 다른 정도로 흐트러지는 화상을, 쉐이딩 보정한 경우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종축은, 쉐이딩 특성을 나타내고, 횡축은, 줌 WIDE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RGB마다, 서로 다른 단편 쉐이딩이 발생하고 있는 파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좌우의 밸런스가 색마다 다른 정도로 흐트러져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G 화소에 주목하여, 상하 좌우의 가중부(22)가, G 화소에 맞춘 좌우 가중을 행하여, 이득 조정부(28)의 보정 이득을 곱한 형태를 도 4b에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아직 R 화소와 B 화소에 대해, 가중과 보정 이득이 곱해지지 않고 있다.
도 4c는, R 화소와 B 화소가, 각각 단편 쉐이딩으로 되고 있기 때문에, 상하 좌우의 가중부(22)가, G 화소에 맞춘 좌우 가중을 행하거나, 또는, 이득 조정부(28)가, 색별 이득으로 보정하였다고 하더라도, 단편 쉐이딩이 없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상하 좌우의 가중부(22)에 의해 G 화소에 맞춘 좌우 가중이 행해진 후, 이득 조정부(28)에 의해 화면의 상하 좌우에서 한결같이 색별 이득이 곱해지기 때문이다. 즉, 단편 쉐이딩인 상태에서 이득을 곱하면, 우측 어깨부 상승의 단편 쉐이딩에서는 좌측의 쉐이딩을 완전히 보정할 수 없는 채, 단편 쉐이딩이 남고, 좌측 어깨부 상승의 단편 쉐이딩에서는 우측의 쉐이딩을 왼전히 보정할 수 없는 채, 단편 쉐이딩이 남는다.
이때, 상하의 밸런스가 색마다 서로 다른 정도로 흐트러지는 화상의 경우도, 전술한 것과 같이, 좌우의 밸런스가 색에서 흐트러지는 화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완전히 보정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색 쉐이딩에서 좌우 또는 상하의 밸런스가 색마다 다른 정도로 흐트러지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도 3의 거리 산출부(23) 내부에는,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색 쉐이딩으로 좌우 또는 상하의 밸런스가 색마다 다른 정도로 흐트러지는 것을 보정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색 쉐이딩에 의해 좌우 또는 상하의 밸런스가 색마다 다른 정도로 흐트러지는 화상을, 색 쉐이딩 밸런스를 행하여 보정한 경우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종축은, 쉐이딩 특성을 나타내고, 횡축은, 줌 WIDE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RGb 마다, 서로 다른 단편 쉐이딩이 발생하고 있는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좌우의 밸런스가 색마다 다른 정도로 흐트러져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G 화소에 주목하여, 상하 좌우의 가중부(22)가, G 화소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좌우의 거리의 가중을 행한다. 즉, 상하 좌우 가중부(22)는, G 화소의 쉐이딩에 맞추어, 광축 중심으로부터의 상하 좌우 각각의 거리에 따른 이득을, 가중값으로 하여, 수평 또는 수직 카운터 값에 대해 곱한다. 그후,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가, R 화소와 B 화소의 각각에 대해, G 화소에 대한 거리 길이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를 행한다. 즉,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는, R 화소 및 B 화소를 각각, 좌측의 광축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길이, 및, 우측의 광축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길이의 장단의 밸런스를 취하도록 한다(상측, 하측도 동일하다).
이 결과를 도 5b에 나타낸다.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에 의해, R 화소와 B 화소 각각의 단편 쉐이딩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보정 이득의 강약이 수속되어, 보정결과가 G 화소와 동일한 평탄한 레벨이 얻어지게 된다.
도 6은, 광축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산출에 있어서의 디폴트의, 좌우 밸런스의 H 거리 길이(좌우의 거리 이득이 1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종축 은, 좌우 밸런스의 H 거리 길이를 나타내고, 횡축은, H 카운터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H 카운터 값은, 신호발생기(SG)(11)로부터 공급되는 수평 카운터 값을 취득하여, 광축 중심이 제로의 값을 취하도록 하고, 좌측이 음의 값, 및 우측이 양의 값을 취하도록 계산된다. 디폴트에서는, H 카운터 값의 절대값이, 그대로 H 거리 길이(디폴트 거리 길이 L11)가 된다(좌우의 거리 이득이 1배인 경우). 이와 같이 하여,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는, H 거리 길이에 따라, 주변 광량 부족을 보정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좌우의 거리 길이 밸런스 조정의 기본적인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변수명으로서, Default_dist를 디폴트의 거리 길이로 설정하는 동시에, BAL_dist를 밸런스의 거리 길이(언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거리 길이)로 설정한 경우의 밸런스 거리 길이의 일례를, 다음 식 (1) 및 다음 식 (2)에 표시한다. 단, 식 (1)은, H 거리가 음의 경우이며, 식 (2)은, H 거리가 양의 경우인 것으로 하고, 계수는 0.0 내지 1.998046875(u,1,9)인 것으로 한다.
BAL_dist = Default_dist × 계수 …(1)
BAL_dist = 2.0 × Default_dist - (Default_dist × 계수) …(2)
이때, 밸런스 거리 길이의 계산식은, 거리 길이 밸런스를 치하는 것을 충족시키는 것이면, 상기 식 이외의 다른 계산식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어깨부 상승의 언밸런스한 H 거리 길이(도 7의 예의 경우, 밸런스 거리 길이 L12)의 경우에는, 좌측의 거리 길이가 짧고, 그 만큼만 우측의 거리 길이가 길어지도록 거리 길이 밸런스를 취하도록 한다. 더구나,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측 어깨부 상승의 언밸런스한 H 거리 길이(도 8의 예의 경우, 밸런스 거리 길이 L21)의 경우에는, 좌측의 거리 길이가 길고, 그 만큼만 우측의 거리 길이가 짧아지도록 거리 길이 밸런스를 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쉐이딩 보정동작을 행하기 전에, 색마다의 언밸런스를 조정해 놓음으로써, 이득이 똑같은 색별 이득을 조정하면, 평탄한 파형에 근접시킬 수 있다. 도 5c는,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색별로 언밸런스가 조정된 후, 상하 좌우의 가중부(22)가, G 화소에 맞춘 좌우 가중을 행하고, 이득 조정부(28)가 보정 이득을 곱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d는, 상하 좌우의 가중부(22)가, R 화소와 B 화소에 대해, G 화소에 맞춘 좌우 가중을 행한 후, 이득 조정부(28)가, 색별 이득으로 G 화소에 맞추어 넣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좌우의 밸런스가 색마다 다른 정도로 흐트러지는 색 쉐이딩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Green, Red, Blue의 3색 데이터에 관해 설명했지만, Gr/R/B/Gb나 E/R/B/G 등의 4색 데이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Gb 화소 또는 G 화소에 주목하여, 상하 좌우의 가중부(22)가, Gb 화소 또는 G 화소의 쉐이딩에 맞추어, 광축 중심으로부터의 상하 좌우 각각의 거리에 따른 이득을 가중값으로 하여 수평 또는 수직 카운터 값에 대해 곱한다. 그후,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가, Gr 화소, R 화소 및 B 화소, 또는, E 화소, R 화소, 및 B 화소의 각각에 대해, Gb 화소 또는 G 화소에 대한 거리 길이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를 행한다. 즉, 각 화소 각각에, 좌측의 광축 중심에서의 거리 길 이, 및, 우측의 광축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길이의 장단의 밸런스를 취하도록 한다(상측, 하측도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Gr/R/B/Gb나 E/R/B/G 등의 4색 데이터에 관해서도, 좌우의 밸런스가 색마다 다른 정도로 흐트러지는 색 쉐이딩을 해결할 수 있다.
거리 산출부(23)의 유사 거리 산출부(42)는, 회로 규모의 삭감을 위해, 거리 d의 산출을 다각형으로 근사하여 산출하는 16각 의사 거리 계산회로로 구성되고 있어, 상하 좌우의 가중부(22)에서 상하 좌우의 거리의 가중값이 곱해지고,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에서 거리 길이 밸런스가 잡힌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음 식 (3)에 따라, 광축 중심 위치와의 거리 d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광축 중심으로부터의 좌표를 (x, y)로 하고, 그것들의 절대값을 X, Y로 한다.
d = (X+Y) + 3/16|X-Y| + 2/16{|X-2Y|+|2X+Y|} …(3)
이때, 16각 의사 거리 계산에 관한 상세내용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2002-216136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개 2002-23799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16각 의사거리를 계산하면, 거의 정 16각형이 되지만, 여기에서는, 상하 좌우의 거리의 가중값이 곱해지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 16각형에 가깝게 된다고는 할 수 없다.
룩업 테이블(LUT)(24, 25)에는, 예를 들면, 줌 WIDE단의 주변 광량 부족 등을 보정하는 보정계수 테이블, 및 줌 TELE단의 주변 광량 부족 등을 보정하는 보정계수 테이블이 미리 생성되어, 각각 기억되어 있다. 룩업 테이블 24 및 25는, 거리 산출부(23)에 의해 산출된 광축 중심 위치와의 거리 데이터에 따른, 줌 WIDE단의 보정계수와 줌 TELE단의 보정계수를 각각 취득하여, 이득 블렌드 처리부(27)에 공급한다.
이때, 룩업 테이블(24, 25)에는, 줌 WIDE단과 줌 TELE단의 2개의 보정계수가 기억되는 것 이외에, 예를 들면, 조리개 양이 OPEN측과 CLOSE측의 2개의 보정계수가 기억되도록 하여도 되고, 더구나 포커스 위치, 상 높이, 출사동 위치, 또는 스트로보 발광량의 최소측과 최대측의 2개의 보정계수가 기억되도록 하여도 된다.
블렌드비 설정부(26)는, 줌 WIDE단과 줌 TELE단 사이의 각 줌 위치에 따라, 2개의 보정계수(줌 WIDE단의 보정계수와 줌 TELE단의 보정계수)의 혼합(블렌드)비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혼합비가 0으로 설정된 경우, 룩업 테이블(24, 25)의 어느 한쪽(예를 들면, 룩업 테이블 24)에서 취득된 보정계수만으로 된다. 그리고, 혼합비의 값이 크게 설정됨에 따라, 다른 쪽(예를 들면, 룩업 테이블 25)에서 취득된 보정계수의 비율이 커진다.
또한, 블렌드비 설정부(26)는, 조리개 양, 포커스 위치, 상 높이, 출사동 위치, 또는 스트로보 발광량의 최소측과 최대측 사이의 소정 위치에 따라, 2개의 보정계수의 혼합비를 설정한다.
이득 블렌드 처리부(27)는, 룩업 테이블(24, 25)에서 각각 판독된 2개의 보정계수를, 예를 들면, 줌 위치에서 쉐이딩 보정하는 경우, 줌 위치에 따라 블렌드비 설정부(26)에서 결정된 혼합비로 블렌드(혼합)하여, 쉐이딩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또한, 이득 블렌드 처리부(27)는, 룩업 테이블(24, 25)에서 각각 판독된 2개의 보정계수를, 예를 들면, 촬상렌즈의 조리개 양, 포커스 위치, 상 높이, 출사동 위 치, 또는 스트로보 발광량의 어느 하나로 쉐이딩을 보정하는 경우, 최소측과 최대측 사이의 소정 위치에 따라 결정된 혼합비로 블렌드하여, 쉐이딩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룩업 테이블 24에서 판독된 보정계수 A, 룩업 테이블 25에서 판독된 보정계수 B, 및 블렌드비 설정부(26)에 의해 설정된 혼합비 R로 하면, 블렌드된 쉐이딩 보정계수 C는, 다음 식(4)에 따라 산출된다.
C = (1-R)·A+R·B
= A-R·A+R·B
= A-R·(A-B) …(4)
이득 조정부(28)는, Gr/R/B/Gb이나 G/R/B/E 등의 색 정보신호를 식별하여, 이득 블렌드 처리부(27)에서 블렌드된 쉐이딩 보정계수에 대해, 4색마다 색별 이득을 곱한다. 이 색별 이득은, 쉐이딩 보정의 영향도를 겸하고 있는데, 보정의 영향도란, 촬영 장면마다 보정의 강약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정부(29)는, 이득 조정부(28)에서 이득 조정된 쉐이딩 보정계수에 근거하여, 촬상부(3)로부터 공급되는 각 화소의 신호에 대해, 광축 중심 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주변 광량 부족 등의 보정을 행한다. 이때, 이 보정부(29)는, 일반적으로는, 보정계수를 승산하는 승산기로 구성되지만, 오프셋을 더해서 보정을 행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가산기이어도 된다.
카메라 신호처리부(5)는, 보정부(29)에서 쉐이딩 보정된 화상신호의 보간처리나 동시화 처리 등을 시행하여, 단자(31, 32)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화상신호 (Y/C 신호)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3에 나타낸 촬상계를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실행하는, 쉐이딩 보정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이 처리에서는, Green, Red, Blue의 3색 데이터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Gr/R/B/Gb나 E/R/B/G 등의 4색 데이터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스텝 S1에서, 촬상소자(2)는, 타이밍 발생기(12)에서 발생된 수평 구동신호 및 수직 구동신호에 따라, 촬상된 각 화소의 신호를 판독한다. 스텝 S2에서, 광축 중심 좌표 설정부(21)는, 신호발생기(11)에서 발생된 수평 카운터 값 및 수직 카운터 값에 근거하여, 촬상소자(2)의 픽셀 길이의 1/2의 값을 수평 카운터 값에서 감산하는 동시에, 라인 길이의 1/2의 값을 수직 카운터 값에서 감산함으로써, 광축 중심 위치 정보 데이터를 산출한다.
스텝 S3에서, 상하 좌우의 가중부(22)는, 스텝 S2의 처리에서 산출된 광축 중심 위치 정보 데이터에 근거한 광축 중심 위치에서 볼 때, 우측의 수평거리 이득, 또는 좌측의 수평거리 이득을 가중값으로 하여, 수평 카운터 값에 대해 곱하는 동시에, 상측의 수직거리 이득 또는 하측의 수직거리 이득을 가중값으로 하여, 수직 카운터 값에 대해 곱한다.
스텝 S4에서, 상하 좌우의 가중부(22)는, 색 쉐이딩이 생겨, 화면의 좌우 또는 상하의 밸런스가 색마다 다른 정도로 흐트러지는, 즉 색 쉐이딩이 생기고 있는 화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색 쉐이딩이 생기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 상하 좌우의 가중부(22)는,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 지의 거리를, 화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나누어 거리 이득을 곱해 산출하는 거리 산출처리를, Green 화소에 맞추어 행한다. 스텝 S6에서, 거리 산출부(23)의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는, Green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Red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Red 거리 밸런스 산출, 및, Green 화소를 기준으로 한 거리 이득에 대해, Blue 화소의 상하 좌우 거리 밸런스 이득을 곱하는 Blue 거리 밸런스 산출을 각각 행한다.
스텝 S6의 처리후, 또는, 스텝 S4에서, 색 쉐이딩이 생기지 않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7으로 진행하여, 거리 산출부(23)의 유사 거리 산출부(42)는, 스텝 S3의 처리에서 상하 좌우의 거리의 가중값이 곱해진 데이터, 및, 스텝 S5, S6의 처리를 거친 경우에는, 거리 길이 밸런스가 취해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식 (3)에 따라,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 d를 산출한다.
여기까지의 처리에 의해, 촬상소자(2)로부터 판독되는 각 화소마다, 그 화소에 대응하는 수평 카운터 값 및 수직 카운터 값이, 신호발생기(11)로부터, 광축 중심 좌표 설정부(21), 및 상하 좌우의 거리 가중부(22)를 거쳐 거리 산출부(23)에 공급되고, 거기에서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가 산출된다.
스텝 S8에서, 룩업 테이블(24, 25)은, 스텝 S7의 처리에서 산출된 각 화소마다의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줌 WIDE단의 보정계수와 줌 TELE단의 보정계수를 각각 취득한다. 스텝 S9에서, 블렌드비 설정부(27)는, 줌 WIDE단과 줌 TELE단 사이의 각 줌 위치에 따라, 스텝 S8의 처리에서 취득된 2개의 보정계수의 혼합비를 설정한다. 스텝 S10에서, 이득 블렌드 처리부(27)는, 상기 식 (4)에 따라, 스텝 S8 의 처리에서 취득된 2개의 줌 WIDE단의 보정계수와 줌 TELE단의 보정계수를, 스텝 S9의 처리에서 설정된 소정의 혼합비로 블렌드하여, 쉐이딩 보정계수 C를 산출한다.
여기까지의 처리에 의해, 촬상렌즈의 줌 위치의 WIDE단과 TELE단의 양단에서, 쉐이딩 특성이 크게 달랐다고 하더라도, 그 양단의 2종류의 보정계수를, WIDE단과 TELE단 사이의 소정의 줌 위치에 따라 결정된 혼합비로 블렌드함으로써, 보정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쉐이딩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리개 양, 포커스 위치, 상 높이, 출사동 위치, 또는 스트로보 발광량 중 어느 하나가, 최소측과 최대측의 양단에서, 쉐이딩 특성이 크게 달랐다고 하더라도, 그 양단의 보정계수를, 최소측과 최대측 사이의 소정 위치에 따라 결정된 혼합비로 블렌드함으로써, 역시, 보정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쉐이딩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스텝 S11에서, 이득 조정부(28)는, 스텝 S10의 처리에서 산출된 쉐이딩 보정계수에 대해, 3색마다 색별 이득을 곱한다. 스텝 S12에서, 보정부(29)는, 스텝 S11의 처리에서 이득 조정된 쉐이딩 보정계수에 근거하여, 스텝 S1의 처리에서 촬상소자(2)로부터 판독된 각 화소의 신호에 대해,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주변 광량 부족 등의 보정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쉐이딩 특성이 화면의 상하 좌우 중 어느 한 쪽으로 경사져 있었다고 하더라도, 광축 중심위치로부터의 거리의 상하 좌우의 가중값을 곱함으로써, 화상신호의 상하 좌우의 밸런스가 취해지고, 다각형으로 근사한 식 (3)을 이용 하여, 그 거리가 산출되고, 산출된 거리의 값에 따른 보정계수가, 2개의 룩업 테이블(24, 25)에서 각각 취득된다. 그리고, 취득된 2개의 보정계수가, 촬상렌즈의 줌 위치의 WIDE단과 TELE단의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따라 결정된 혼합비로 블렌드되어, 원하는 쉐이딩 보정계수가 산출된다. 이에 따라, 촬상렌즈의 줌 위치가 WIDE단과 TELE단의 양 단 사이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보정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쉐이딩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쉐이딩 구성으로, 양호한 렌즈 쉐이딩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이때, 룩업 테이블(24, 25)은, 모두 1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3원색의 신호(R, G, B), 휘도신호(Y 신호), 또는 색차신호(Cb, Cr 신호)의 각각에 대응하는 값을 기억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에 있어서는,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근거한 2개의 보정계수를 판독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쉐이딩 보정을 행하도록 했지만, 화상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데시메이션이 더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쉐이딩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0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화상의 데시메이션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근거한 보정 테이블을 판독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주변 광량 부족 등을 보정하는 기능이 설치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상계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3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낸 구성예의 경우, 거리 산출부(23) 내부에 변환부(52)가 새롭게 설치되어 있는 점 이외 는, 도 3과 동일하다.
거리 산출부(23)는, 상하 좌우의 가중부(22)에서 상하 좌우의 거리의 가중값이 곱해지고, 거리 길이 밸런스 처리부(41)에서 거리 길이 밸런스가 취해진 데이터로부터, 상기 식 (3)에 따라,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 d를 산출한 후, 단자 51로부터 공급되는 데시메이션 정보(데시메이션율의 역수)에 근거하여 변환부(52)에서, 거리 d의 값을 변환시킨다.
다음에,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0에 나타낸 촬상계를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실행하는, 쉐이딩 보정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21 내지 스텝 S26의 처리는, 전술한 도 9의 스텝 S1 내지 S6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므로, 그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촬상된 각 화소의 신호가 판독되고, 각 화소에 대응하는 수평 카운터 값 및 수직 카운터 값에 근거하여 광축 중심 위치 정보 데이터가 산출되며, 광축 중심위치에서 볼 때, 상하 좌우의 거리의 가중값이 곱해져, 색 쉐이딩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거리 길이 밸런스가 취해진다.
스텝 S27에서, 거리 산출부(23)는, 스텝 S23의 처리에서 상하 좌우의 거리의 가중값이 곱해진 데이터, 및, 스텝 S25, S26의 처리를 거친 경우에는, 거리 길이 밸런스가 취해진 데이터로부터, 상기 식 (3)에 따라,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 d를 산출한다. 변환부(52)는, 단자 51에서 공급되는 데시메이션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된 거리 d의 값을 변환한다.
스텝 S28 내지 S32의 처리는, 전술한 도 9의 스텝 S8 내지 S12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므로, 그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스텝 S27의 처리에서 변환된 각 화 소마다의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줌 WIDE단의 보정계수와 줌 TELE단의 보정계수가 취득되고, 그것들이 소정의 혼합비로 블렌드됨으로써, 쉐이딩 보정계수가 산출된다. 그리고, 쉐이딩 보정계수가 이득 조정되고, 그 쉐이딩 보정계수에 근거하여, 판독된 각 화소의 신호에 대해,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주변 광량 부족 등의 보정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화상의 데시메이션이 행해지고 있었다 하더라도, 변환부(52)에 의해, 카운트 값이 데시메이션이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카운트 값으로 변환되어, 광축 중심위치로부터의 거리가 정확하게 구해진다. 이에 따라, 양호한 렌즈 쉐이딩 등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10에 나타낸 룩업 테이블(24, 25)에는, 줌 WIDE단의 주변 광량 부족 등을 보정하는 보정계수 테이블, 및 줌 TELE단의 주변 광량 부족 등을 보정하는 보정계수 테이블이 미리 기억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의 값에 따라, 주변 광량 부족 등을 보정하는 보정계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는,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의 값에 따라, 보정계수를 산출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주변 광량 부족 등을 보정하는 기능이 설치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상계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3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낸 구성예의 경우, 룩업 테이블(24, 25) 대신에 보정함수 연산부(61, 62)가 설치되어 있는 점 이외는, 도 3과 동일하다.
보정함수 연산부(61, 62)는, 거리 산출부(23)에 의해 산출된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줌 WIDE단의 주변 광량 부족 등을 보정하는 보정계수와 줌 TELE단의 주변 광량 부족 등을 보정하는 보정계수를 각각 산출한다.
다음에,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2에 나타낸 촬상계를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실행하는, 쉐이딩 보정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41 내지 스텝 S47의 처리는, 전술한 도 9의 스텝 S1 내지 S7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므로, 그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촬상된 각 화소의 신호가 판독되고, 각 화소에 대응하는 수평 카운터 값 및 수직 카운터 값에 근거하여, 광축 중심위치 정보 데이터가 산출되고, 광축 중심위치에서 볼 때, 상하 좌우의 거리의 가중값이 곱해져, 색 쉐이딩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거리 길이 밸런스가 채용되어, 각 화소마다의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가 산출된다.
스텝 S48에서, 보정함수 연산부(61, 62)는, 스텝 S47의 처리에서 산출된 각 화소마다의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줌 WIDE단의 보정계수와 줌 TELE단의 보정계수를 각각 산출한다.
스텝 S49 내지 S52의 처리는, 전술한 도 9의 스텝 S9 내지 S12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므로, 그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스텝 S48의 처리에서 산출된 줌 WIDE단의 보정계수와 줌 TELE단의 보정계수가 소정의 혼합으로 블렌드됨으로써, 쉐이딩 보정계수가 산출된다. 그리고, 쉐이딩 보정계수가 이득 조정되고, 그 쉐이딩 보정계수에 근거하여, 판독된 각 화소의 신호에 대해, 광축 중심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주변 광량 부족 등의 보정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보정계수 테이블이 기억되지 않고 있더라도, 보정함수 연산부(61, 62)에 의해, 줌 WIDE단의 보정계수와 줌 TELE단의 보정계수가 각각 산출된다. 이에 따라, 산출된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양호한 렌즈 쉐이딩 등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쉐이딩 보정부(4)는, 카메라 신호처리부(5)의 전단에 설치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카메라 신호처리부(5)의 후단에 쉐이딩 보정부(4)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신호처리부(5)에서, 화상신호가 휘도신호(Y 신호)와 색차신호(Cb, Cr 신호)로 분리된 후에 쉐이딩 보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휘도신호에 대해서는 주변 광량 부족의 보정을 행하고, 색차신호에 대해서는 색 번짐 보정을 행하는 등, 휘도신호와 색차신호에 대해 독립된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쉐이딩 보정부(4)는,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카메라 신호처리부(5)의 내부의 색 보간처리부(71)의 후단에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3원색의 신호(R, G, B)가 색 보간처리부(71)의 보간처리에 의해 전체 화소가 갖추어진 시점에서, 쉐이딩 보정처리가 시행된다. 그리고, 쉐이딩 보정처리된 3원색의 신호(R', G', B')이 동시화 처리부(72)에 의해 동시화 처리되어, 출력 화상신호(Y/C 신호)가 형성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촬상소자 2-1 내지 2-3이 설치된 장치에 있어서는, 촬상소자 2-1 내지 2-3으로부터 각각 판독된 각 화소의 신호마다 쉐이딩 보정처리가 시행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에 있어서는, 쉐이딩 특성이 화면의 상하 좌우의 어느 한쪽으로 경사져 있다고 하더라도,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으로, 쉐이딩 특성의 상하 좌우의 언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촬상렌즈의 줌 위치, 조리개 양, 포커스 위치, 상 높이, 출사동 위치, 또는 스트로보 발광량 중 어느 하나가, 최소측과 최대측의 양단에서, 쉐이딩 특성 커브가 크게 다르더라도, 최소측의 보정계수와 최대측의 보정계수의 2종류의 보정계수를 테이블에서 취득하거나, 또는 산출하여, 그들 보정계수를, 최소측과 최대측 사이의 소정 위치에 따라 결정된 혼합비로 블렌드하여 원하는 쉐이딩 보정계수를 산출함으로써,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으로, 보정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일이 없이, 보정계수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실시간으로의 거리의 산출이 가능해지는 특징을 살려, 동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에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이들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3, 도 10, 도 12, 도 14 내지 도 16의 촬상계를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100)에 의해 실현된다.
도 17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은, ROM(Read Only Memory)(1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08)에서 RAM(Random Access Memory)(10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103)에는 또한 CPU(10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01), ROM(102), 및 RAM(103)은, 버스(104)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0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진 입력부(106),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진 출력부(107), 기억부(108), 통신부(109)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109)는,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 처리를 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110)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111)가 적절히 장착되어, 그것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기억부(108)에 인스톨된다.
컴퓨터에 인스톨되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는,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된다,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MD(Mini-Disc)(등록상표)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 리무버블 미디어(111)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삽입된 상태로 유저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103) 또는 기억부(108)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포함되는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쉐이딩을 보정할 수 있다. 특히, 회로 규모나 프로그램 규모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또한 보정 정밀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쉐이딩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 색을 갖는 제1 화소들, 제2 색을 갖는 제2 화소들 및 제3 색을 갖는 제3 화소들로 구성된 촬영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처리장치로서,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상기 제1 화소들에 대해서만 거리 이득을 측정된 거리에 곱해서 산출하는 가중부와,
    상기 제2 화소들 및 제3 화소들에 대해서 상기 제1 화소들의 거리의 밸런스를 달성하기 위한 거리 밸런스 처리를 행하는 거리 밸런스 처리부와,
    각 화소의 쉐이딩을 보정하기 위한 각 화소의 보정값, 상기 가중부의 출력에 근거한 상기 제1 화소들의 보정값, 및 상기 거리 밸런스 처리부의 출력에 근거한 상기 제2 화소들 및 제3 화소들의 보정값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각각의 상기 보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화소들, 제2 화소들 및 제3 화소들의 각각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은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색은 B 또는 R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색은 B 또는 R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보정값의 이득을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2. 제1 색을 갖는 제1 화소들, 제2 색을 갖는 제2 화소들 및 제3 색을 갖는 제3 화소들로 구성된 촬영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처리방법으로서,
    화면 중심으로부터 각 화소까지의 거리를, 상기 제1 화소들에 대해서만 거리 이득을 측정된 거리에 곱해서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화소들 및 제3 화소들에 대해서 상기 제1 화소들의 거리의 밸런스를 달성하기 위한 거리 밸런스 처리를 행하는 단계와,
    각 화소의 쉐이딩을 보정하기 위한 각 화소의 보정값, 제1 가중부의 출력에 근거한 상기 제1 화소들의 보정값, 및 거리 밸런스 처리부의 출력에 근거한 상기 제2 화소들 및 제3 화소들의 보정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보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화소들, 제2 화소들 및 제3 화소들 각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3. 삭제
  24. 삭제
KR1020040066724A 2003-09-05 2004-08-24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44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13521 2003-09-05
JP2003313521 2003-09-05
JPJP-P-2004-00128251 2004-04-23
JP2004128251A JP3824237B2 (ja) 2003-09-05 2004-04-23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275A KR20050025275A (ko) 2005-03-14
KR101044307B1 true KR101044307B1 (ko) 2011-06-29

Family

ID=3413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724A KR101044307B1 (ko) 2003-09-05 2004-08-24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460728B2 (ko)
EP (1) EP1515545A1 (ko)
JP (1) JP3824237B2 (ko)
KR (1) KR101044307B1 (ko)
TW (1) TWI2770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934A (ko) * 2004-09-17 2007-06-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색차를 해결한 이미지 입력장치
JP4018705B2 (ja) * 2005-04-18 2007-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ェーディング補正装置及び補正方法並びに撮像装置
KR100664035B1 (ko) * 2005-04-19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대칭형 렌즈의 왜곡 보상 장치 및 방법
JP4571038B2 (ja) * 2005-07-27 2010-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
JP2007148500A (ja) * 2005-11-24 2007-06-14 Olympus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0808493B1 (ko) * 2005-12-28 2008-03-03 엠텍비젼 주식회사 렌즈 셰이딩 보상 장치,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프로세서
WO2007088965A1 (ja) * 2006-02-03 2007-08-09 Nikon Corporation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7881563B2 (en) * 2006-02-15 2011-02-01 Nokia Corporation Distortion correction of images using hybrid interpolation technique
US7715653B2 (en) * 2006-04-03 2010-05-11 Humberto Garduno Non-platform specific method and/or system for navigating through the content of large images, allowing zoom into or out, pan and/or rotation
JP4973031B2 (ja) * 2006-07-03 2012-07-11 ソニー株式会社 ノイズ抑圧方法、ノイズ抑圧方法のプログラム、ノイズ抑圧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ノイズ抑圧装置
KR20080061629A (ko) * 2006-12-28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센서의 중심점 최적화를 위한 촬영장치 및 그촬영제어방법
EP1962517A1 (en) * 2007-02-21 2008-08-27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Error reduction in image sensors
JP4998092B2 (ja) * 2007-05-31 2012-08-15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固体撮像回路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8306512A (ja) * 2007-06-08 2008-12-18 Nec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956228B1 (ko) 2007-11-15 2010-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왜곡 영상 보정 기능을 갖는 영상처리 장치
JP5349790B2 (ja) * 2007-11-16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82181B2 (ja) * 2007-11-19 2011-05-11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電子情報機器
JP5225151B2 (ja) * 2008-03-11 201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197083B2 (ja) 2008-03-21 201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194159B2 (en) * 2008-04-28 2012-06-05 Omnivis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ens shading correction of an image sensor using splines
JP4875032B2 (ja) * 2008-08-11 2012-02-15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JP5254762B2 (ja) 2008-11-28 201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における信号の補正方法
US9473681B2 (en) 2011-06-10 2016-10-18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system housing with metalized surface
US9998697B2 (en) 2009-03-02 2018-06-12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US9756264B2 (en) 2009-03-02 2017-09-05 Flir Systems, Inc. Anomalous pixel detection
US9948872B2 (en) 2009-03-02 2018-04-17 Flir Systems, Inc. Monitor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ccupant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of structures
US9235876B2 (en) 2009-03-02 2016-01-12 Flir Systems, Inc. Row and column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US9986175B2 (en) 2009-03-02 2018-05-29 Flir Systems, Inc. Device attachment with infrared imaging sensor
US9843742B2 (en) 2009-03-02 2017-12-12 Flir Systems, Inc. Thermal image frame capture using de-aligned sensor array
US9674458B2 (en) 2009-06-03 2017-06-06 Flir Systems, Inc. Smart surveillance camera systems and methods
US9208542B2 (en) 2009-03-02 2015-12-08 Flir Systems, Inc. Pixel-wise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US9517679B2 (en) 2009-03-02 2016-12-13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US10757308B2 (en) 2009-03-02 2020-08-25 Flir Systems, Inc. Techniques for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JP5409050B2 (ja) * 2009-03-02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撮影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9635285B2 (en) 2009-03-02 2017-04-25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enhancement with fusion
US10244190B2 (en) 2009-03-02 2019-03-26 Flir Systems, Inc. Compact multi-spectrum imaging with fusion
US9451183B2 (en) 2009-03-02 2016-09-20 Flir Systems, Inc. Time spaced infrared image enhancement
USD765081S1 (en) 2012-05-25 2016-08-30 Flir Systems, Inc.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ttachment with camera
US9716843B2 (en) 2009-06-03 2017-07-25 Flir Systems, Inc. Measurement device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and related methods
US9819880B2 (en) 2009-06-03 2017-11-14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of suppressing sky regions in images
US9292909B2 (en) 2009-06-03 2016-03-22 Flir Systems, Inc. Selective image correction for infrared imaging devices
US9756262B2 (en) 2009-06-03 2017-09-05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ower systems
US10091439B2 (en) 2009-06-03 2018-10-02 Flir Systems, Inc. Imager with array of multiple infrared imaging modules
US9843743B2 (en) 2009-06-03 2017-12-12 Flir Systems, Inc. Infa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rmal imaging
DE102009028743B4 (de) * 2009-08-20 2011-06-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r Entzerrung eines Kamerabildes
KR101613528B1 (ko) 2009-08-25 2016-04-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영상 이미지 보정방법
JP5385740B2 (ja) 2009-09-25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画像データの補正方法
KR101672944B1 (ko) * 2009-12-14 2016-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오토 포커스 카메라 모듈에서의 렌즈 셰이딩 보상방법
US8218041B2 (en) * 2010-02-01 2012-07-10 Digital Imaging Systems Gmbh Aperture shading correction
JP5451497B2 (ja) * 2010-04-08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運転支援表示装置
US9848134B2 (en) 2010-04-23 2017-12-19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er with integrated metal layers
US9706138B2 (en) 2010-04-23 2017-07-11 Flir Systems, Inc. Hybrid infrared sensor array having heterogeneous infrared sensors
US9207708B2 (en) 2010-04-23 2015-12-08 Flir Systems, Inc. Abnormal clock rate detection in imaging sensor arrays
KR20110135720A (ko) * 2010-06-11 2011-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환경에 따른 렌즈 쉐이딩 보상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57393B2 (en) * 2010-07-14 2013-06-04 Omnivision Technologies, Inc. Cross-color image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sharpness enhancement
JP5517803B2 (ja) * 2010-07-14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448985B (zh) * 2010-09-30 2014-08-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影像調整裝置及方法
US8610813B2 (en) 2011-05-31 2013-12-17 Omnivis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depth of field in a lens system by use of color-dependent wavefront coding
US10169666B2 (en) 2011-06-10 2019-01-01 Flir Systems, Inc. Image-assisted remote control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0389953B2 (en) 2011-06-10 2019-08-20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device having a shutter
US9961277B2 (en) 2011-06-10 2018-05-01 Flir Systems, Inc. Infrared focal plane array heat spreaders
CN103748867B (zh) 2011-06-10 2019-01-18 菲力尔系统公司 低功耗和小形状因子红外成像
US9706137B2 (en) 2011-06-10 2017-07-11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CN103828343B (zh) 2011-06-10 2017-07-11 菲力尔系统公司 基于行的图像处理和柔性存储系统
US10841508B2 (en) 2011-06-10 2020-11-17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systems and methods
US10079982B2 (en) 2011-06-10 2018-09-18 Flir Systems, Inc. Determination of an absolute radiometric value using blocked infrared sensors
US9235023B2 (en) 2011-06-10 2016-01-12 Flir Systems, Inc. Variable lens sleeve spacer
US9900526B2 (en) 2011-06-10 2018-02-20 Flir Systems, Inc. Techniques to compensate for calibration drifts in infrared imaging devices
US9509924B2 (en) 2011-06-10 2016-11-29 Flir Systems, Inc. Wearable apparatus with integrated infrared imaging module
KR101778353B1 (ko) 2011-06-10 2017-09-13 플리어 시스템즈, 인크. 적외선 이미징 장치용 불균일성 교정 기술
US10051210B2 (en) 2011-06-10 2018-08-14 Flir Systems, Inc. Infrared detector array with selectable pixel binning systems and methods
US9058653B1 (en) 2011-06-10 2015-06-16 Flir Systems, Inc. Alignment of visible light sources based on thermal images
US9143703B2 (en) 2011-06-10 2015-09-22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calibration techniques
KR101826721B1 (ko) * 2011-06-29 2018-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쉐이딩 보정 팩터 산출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쉐이딩 보정 방법 및 렌즈 쉐이딩 보정 장치
US9432642B2 (en) 2011-12-12 2016-08-30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ing system and method having extended depth of field
KR101706218B1 (ko) * 2011-12-12 2017-02-1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블러 및 고스트 제거 장치 및 방법
US9811884B2 (en) 2012-07-16 2017-11-07 Flir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ppressing atmospheric turbulence in images
JP5620522B2 (ja) * 2013-01-07 2014-11-0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849206B2 (ja) 2013-03-27 2016-01-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834253B2 (ja) 2013-03-27 2015-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899475B2 (ja) 2013-04-05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9143674B2 (en) * 2013-06-13 2015-09-22 Mitutoyo Corporation Machine vis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igh-speed focus height measurement operations
US9973692B2 (en) 2013-10-03 2018-05-15 Flir Systems, Inc. Situational awareness by compressed display of panoramic views
JP5755311B2 (ja) * 2013-11-07 2015-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撮影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1297264B2 (en) 2014-01-05 2022-04-05 Teledyne Fur, Llc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US10462381B2 (en) 2014-04-30 2019-10-29 Freedom Scientific,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with reduced latency
US9891438B2 (en) * 2014-04-30 2018-02-13 Freedom Scientific,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with reduced latency
JP2018056723A (ja) * 2016-09-27 2018-04-0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EP3410688B1 (en) * 2017-06-01 2019-03-06 Axis AB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in images acquired by a near-infrared sensitive video camera and such a camera
US10972672B2 (en) 2017-06-05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having cameras with different focal lengths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cameras with different focal lengths
CN108053444B (zh) * 2018-01-02 2021-03-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瞳孔定位方法及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7363555B2 (ja) * 2020-02-14 2023-10-1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789A (ja) * 1996-05-17 1997-11-28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02218298A (ja) 2001-01-17 2002-08-02 Canon Inc 撮像装置、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2237998A (ja) 2001-02-07 2002-08-23 Sony Corp 画面補正方法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2723B2 (ja) * 1997-08-29 2006-09-2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3854754B2 (ja) * 1999-06-30 2006-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メモリ媒体
JP2002125156A (ja) * 2000-08-11 2002-04-26 Nikon Corp 固体撮像素子及び電子カメラ
JP3539394B2 (ja) * 2001-03-26 2004-07-07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829730B2 (ja) * 2002-02-18 2006-10-04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撮影レン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789A (ja) * 1996-05-17 1997-11-28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02218298A (ja) 2001-01-17 2002-08-02 Canon Inc 撮像装置、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2237998A (ja) 2001-02-07 2002-08-23 Sony Corp 画面補正方法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1888A (en) 2005-07-01
EP1515545A1 (en) 2005-03-16
US7460728B2 (en) 2008-12-02
JP3824237B2 (ja) 2006-09-20
KR20050025275A (ko) 2005-03-14
US20090067744A1 (en) 2009-03-12
JP2005102134A (ja) 2005-04-14
TWI277016B (en) 2007-03-21
US7751619B2 (en) 2010-07-06
US20050089241A1 (en) 200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307B1 (ko)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US7719597B2 (e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and image sensing device provided therewith
US722757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US7750948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digital camera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image signal
US7893974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8199229B2 (en) Color filter,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capture apparatus, image-capture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8040413B2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US7812801B2 (en) Imaging apparatus
KR100938167B1 (ko) 주변 광량 보정 장치, 주변 광량 보정 방법, 전자 정보기기, 제어 프로그램, 및 가독 기록 매체
US850862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8013914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noise suppression circuit
US20020008760A1 (en) Digital camera,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EP1694077A1 (en) Imag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9160937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signal processing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6001782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camera, and scanner
US20030193590A1 (en) Image pickup apparatus provided with image pickup element including photoelectric conversion portions in depth direction of semiconductor
JP2005278004A (ja) 色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および固体撮像装置
JP4752381B2 (ja) 撮像装置
JP2000165896A (ja)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EP4216534A1 (en) Image obtain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02185977A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映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747729B1 (ko) 이미지 프로세서, 렌즈 셰이딩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02185971A (ja) 色むら補正装置及び電子カメラ
CN100474895C (zh) 图像处理装置和方法
JP200220922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