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794B1 - 제어기기, 재생시스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제어기기, 재생시스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794B1
KR101028794B1 KR1020080107811A KR20080107811A KR101028794B1 KR 101028794 B1 KR101028794 B1 KR 101028794B1 KR 1020080107811 A KR1020080107811 A KR 1020080107811A KR 20080107811 A KR20080107811 A KR 20080107811A KR 101028794 B1 KR101028794 B1 KR 10102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back
content
information
playback device
predetermined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688A (ko
Inventor
가츠야 미야타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카시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카시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카시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3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어기기는, 먼저,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해 근린 기기정보를 취득할 수 있었던 재생표시기기를, 제어기기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여, 근린 판별정보에 등록한다. 다음에, 네트워크 통신부를 사용하여, 콘텐츠 서버가 접속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재생표시기기를 검출하여, 재생기기 등록정보에 등록한다. 재생기기 등록정보 및 근린 판별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표시기기가 있으면, 그 재생표시기기가 우선적으로 지정되어, 콘텐츠를 재생표시한다.

Description

제어기기, 재생시스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NTROL DEVICE, REPRODUC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GRAM}
본 발명은, 제어기기, 재생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 내의 텔레비전, 레코더, 퍼스널컴퓨터 등을 네트워크를 거쳐 상호 접속시킴으로써 콘텐츠를 공유하는 홈네트워크화의 흐름이 있다. 홈네트워크를 실현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가이드라인과 같은 각종 규격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호 접속된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DLNA 가이드라인으로 상정되는 유스케이스인 3 박스와 같이, 콘텐츠 서버가 공급하는 콘텐츠를 재생표시할 때에, 유저가, 제어기기를 조작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재생기기로부터 원하는 재생기기를 지정한다.
일본국 특개2007-4773호 공보는, 재생기기를 선택할 때의 유저조작을 간이화하기 위하여, 재생기기가 선택된 이력을 나타내는 선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전회선택된 재생기기나, 과거에 선택된 회수가 최다인 재생기기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콘텐츠 표시재생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어기기는,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하는 제어기기로서, 상기 제어기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과,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으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수단과,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특징적인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기기를 포함하는 재생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컴퓨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주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기기가, 복수의 재생기기 중에서 제어기기를 기준으로 하여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를 지정하고, 그 재생기기에 콘텐츠 서버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취득시켜, 재생표시시킨다.
이에 의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제어기기로부터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선택할 수 있어,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은, 제어기기(10)와, 복수의 재생표시기기(20)[재생표시기기(20-1∼20-N)]와, 복수의 콘텐츠 서버(30)[콘텐츠 서버(30-1∼30-M)]로 구성된다. 재생표시기기(20)와 콘텐츠 서버(30)는,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된다. 재생표시기기(20)의 수(N) 및 콘텐츠 서버(30)의 수(M)는, 임의이어도 된다.
네트워크(40)는, 인터넷, 공중망, 가정 내 네트워크 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다. 또, 각 기기(10, 20) 및 콘텐츠 서버(30)와, 네트워크(40)와의 접속은, 무선접속, 유선접속 중 어느 것이어도 되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기기(10)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401)를 거쳐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각 콘텐츠 서버(30-m)(m:1∼M)는, 각각 HDD 레코더나 뮤직서버 등으로 구성되고, 동화상, 정지화상,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유지한다. 콘텐츠 서버(30)는, 예를 들면, 상기한 3 박스에서의 DMS(Digital Media Server)이다.
각 재생표시기기(20-n)(n:1∼N)는, 각각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으로 구성되고, 콘텐츠 서버(30)가 유지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여, 재생표시한다. 재생표시기기(20)는, 예를 들면 3 박스에서의 DMR(Digital Media Renderer)이다.
제어기기(10)는, 유저조작에 따라, 콘텐츠 서버(30)가 유지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여, 유저가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에 그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표시시킨다. 제어기기(10)는, 예를 들면, 3 박스에서의 DMC(Digital Media Controller)이다. 또, 제어기기(10)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재생표시기기(20)의 검색, 네트워크(40)를 통한 재생표시기기(20) 및 콘텐츠 서버(30)의 검색, 콘텐츠 서버(30)가 유지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검색, 등을 행한다.
이하, 이와 같은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어기기(10)의 회로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기기(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부(10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기억부(103), 표시부(104), 입력부(105), 제어부(106), 버스(107)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통신부(101)는, 네트워크(40)를 거쳐, 재생표시기기(20)나 콘텐츠 서버(30)와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재생표시기기(20)나 콘텐츠 서버(30)에 기설정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송신 요구신호의 송신, 재생표시기기(20)나 콘텐츠 서버(30)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각종 지시신호(코맨드 정보)의 송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방식은, 예를 들면 유선 LAN이나 무선 LAN 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는, 재생표시기기(20)와, 네트워크 통신부(101)에서 행하는 통신보다 통신 가능한 범위가 좁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한다.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예를 들면 적외선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Bluetooth(등록상표), UWB(Ultra Wide Band)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는, 본 발명에 특징적인, 제어기기(10)를 기준으로 하여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는,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하기 위한 기설정된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각 재생표시기기(20-n)로부터 수신한다.
기억부(103)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6)의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기억부(103)는, 제어기기(10)에 내장되는 메모리, 분리 가능한 외부 메모리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기억부(103)에는, 본 실시형태에 특징적인 콘텐츠 재생동작에 필요한, 네트워크 재생 어플리케이션(1031), 근린 판별정보(1032),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 서버등록정보(1034), 콘텐츠 등록정보(1035)가 저장된다. 네트워크 재생 어플리케이션(1031)은, 재생표시기기(20) 및 콘텐츠 서버(30)의 검색처리를 포함하는 일련의 콘텐츠 재생처리를 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근린 판별정보(1032)는, 제어기기(10)에 의하여 제어기기(10)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표시기기(20-n)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근린 판별정보(1032)에는, 복수의 재생표시기기(20)의 정보가 등록 가능하다. 실시형태 1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에서 실행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하여 기설정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었던 재생표시기기(20)가 등록된다.
근린 판별정보(1032)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표시기기(20)를 특정하기 위한 재생표시기기명(NNk)[k:1∼K, K:제어 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표시기기(20)의 수], 재생표시기기(20)에 부여된 어드레스(ANk) 등을 대응시킨다. 또한, 제어기기(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에 의하여 근린 판별정보(1032)를 구성하기 위한 「근린 기기정보」를 각 재생표시기기(20)로부터 취득한다.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는, 제어기기(10)가 네트워크(40)를 통하여 검색한, 네트워크 통신부(101)에 의해 통신 가능한 재생표시기기(20)에 관한 정보이다.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된 각 재생표시기기(20-n)를 특정하기 위한 재생표시기기명(NDn)(n:1∼N), 각 재생표시기기(20)에 각각 부여된 어드레스(ADn) 등을 대응시킨다. 또한, 제어기기(10)는, 네트워크 통신부(101)에 의하여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를 구성하기 위한「재생기기정보」를 각 재생표시기기(20)로부터 취득한다.
서버등록정보(1034)는, 제어기기(10)가 네트워크(40)를 통하여 검색한, 네트워크 통신부(101)에 의해 통신 가능한 콘텐츠 서버(30)에 관한 정보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등록정보(1034)는, 검출된 각 콘텐츠 서버(30-m)를 특정하기 위한 서버명(NSm)(m:1∼M), 각 콘텐츠 서버(30-m)에 각각 부여된 서버 어드레스(ASm) 등을 대응시킨다. 또한, 제어기기(10)는, 네트워크 통신부(101)에 의하여 서버등록정보(1034)를 구성하기 위한「콘텐츠 서버정보」를 각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취득한다.
콘텐츠 등록정보(1035)는, 각 콘텐츠 서버(30)가 유지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정보이다. 콘텐츠 등록정보(1035)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 서버(30)가 유지하는 각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명(NCl)[l:1∼L, L:콘텐츠 서버(30-m)가 유지하는 콘텐츠의 수], 서버명(NSm), 보존 폴더(FL1) 등을 대응시킨다. 또한, 제어기기(10)는, 네트워크 통신부(101)에 의하여 콘텐츠 등록정보(1035)를 구성하기 위한 「콘텐츠 정보」를 각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취득한다.
도 2에 나타내는 표시부(104)는, 액정디스플레이 등의 패널과 드라이버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기본 조작화면, 상기한 각 정보(1033, 1034, 1035)의 등록내용을 나타내는 화면 등의 임의의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부(104)는, 복수의 표시 패널로구성되어도 된다.
입력부(105)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여, 조작신호를 제어부(106)에 입력한다. 예를 들면, 입력부(105)는, 유저가 재생표시를 원하는 콘텐츠의 선택,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유저가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의 선택 등에 사용된다.
제어부(106)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 등으로 구성되어, 제어기기(1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106)는, 네트워크 통신부(101)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를 거쳐, 재생표시기기(20)나 콘텐츠 서버(30)의 동작을 지시하는 각종신호를 송신한다. 버스(107)는, 제어기기(10)의 각부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에, 재생표시기기(20)를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표시기기(20)는, 네트워크 통신부(201),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 기억부(203), 표시부(204), 입력부(205), 콘텐츠 재생처리부(206), 음성출력부(207), 제어부(208), 버스(209)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통신부(201)는, 네트워크(40)를 거쳐, 제어기기(10)나 콘텐츠 서버(30)와 통신을 행한다. 네트워크 통신부(201)는, 예를 들면, 제어기기(10)로부터의 송신 요구신호나 재생 지시신호의 수신, 제어기기(10)에의 재생기기정보의 송신, 콘텐츠 서버(30)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방식은, 예를 들면 유선 LAN이나 무선 LAN 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제어기기(10)와, 네트워크 통신부(201)에서 행하는 통신보다도 통신 가능한 범위가 좁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기(10)로부터의 송신 요구신호의 수신, 도 3a의 근린 판별정보(1032)를 구성하기 위한 근린 기기정보의 송신을 행한다. 통신방식은, 예를 들면 적외선통신, RFID, Bluetooth(등록상표), UWB 이다.
기억부(203)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8)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203)는, 재생표시기기(20)에 내장되는 메모리,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면, iVDR(Information Versatile Disk for Removable usage)]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표시부(204)는, 도트 매트릭스타입의 LCD(액정표시)패널과 드라이버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제어부(208)의 제어하에서 임의의 데이터(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화상)를 표시한다. 표시부(204)는, 복수의 표시 패널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입력부(205)는, 키보드, 터치패널, 음성입력장치 등으로 구성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여, 조작신호를 제어부(208)에 입력한다. 입력부(205)는, 예를 들면, 리모트 코맨더와 같이, 재생표시기기(20)의 부품을 수용하는 박스체로부터 분리된 구성이어도 된다.
콘텐츠 재생처리부(206)는, 네트워크 통신부(201)에 의하여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재생한다. 재생된 콘텐츠의 화상은, 표시부(204)에서 표시된다. 음성 출력부(207)는, 스피커, DAC(Digital Analog Converter) 등을 구비하고,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처리부(206)가 재생한 콘텐츠의 음성신호로 DA 변환을 실시하고, 스피커에 의하여 방음(放音)한다.
제어부(208)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 등으로 구성되고, 재생표시기기(20)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기(10)로부터의 재생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통신부(201)를 제어하고,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취득시킨다. 버스(209)는, 재생표시기기(20)의 각 부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에, 콘텐츠 서버(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 서버(30)는, 네트워크 통신부(301), 기억부(302), 제어부(303), 버스(304)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통신부(301)는, 네트워크(40)를 거쳐, 제어기기(10)나 재생표시기기(20)와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기(10)로부터의 송신 요구신호의 수신, 콘텐츠 서버(30)나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기설정된 정보의 송신, 재생표시기기(20)에의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기억부(302)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03)의 제어 프로그램, 도 6에 나타내는 콘텐츠 데이터(50-1∼50-L)를 기억한다. 제어부(303)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 등으로 구성되고, 콘텐츠 서버(3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버스(304)는, 콘텐츠 서버(30)의 각 부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가지는 실시형태 1의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이 콘텐츠를 재생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기기(10)의 제어부(106)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입력부(105)가 출력한 조작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재생 어플리케이션(1031)을 기동한다(단계 S11).
기동 후, 제어기기(10)는, 자기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표시기기(20)를 나타내는 근린 판별정보(1032)를 생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때문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를 거쳐, 근린 기기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송신 요구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로 송신한다(단계 S12). 이 송신 요구신호는, 이 신호를 수신한 재생표시기기(20-n)에, 그 재생표시기기(20-n)에 관한 정보인 근린 기기정보를 제어기기(10)에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신호이다. 또한, 송신 이전에는, 각 재생표시기기(20-n)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을 확립하여 둔다.
근린 기기정보의 송신 요구신호를 수신한 재생표시기기(20)는, 송신원의 제어기기(10)의 요구에 따라, 근린 기기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13). 이 근린 기기정보는, 도 3a에서 나타낸 근린 판별정보(1032)를 구성하기 위한 내용[재생표시기기명(NNk)이나 어드레스(ANk) 등]을 포함한다. 재생표시기기명(NNk)은, 유저가 재생표시기기(20)에 임의로 설정 가능한 명칭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Friendly Name, SSID(Service Set Identifier) 등이다. 어드레스(ANk)는, 재생표시기기(20)를 특 정하기 위하여 부여된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IP(Internet Protocol)어드레스, Bluetooth(등록상표) 어드레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등이다. 또한, 재생표시기기(20)의 위치정보, 제어기기(10)와의 사이의 거리정보 등을 포함하여도 된다.
제어기기(10)는, 취득한 근린 기기정보의 내용을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하고, 기억부(103)에 기억한다(단계 S14).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재생표시기기(20)로부터 근린 기기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어기기(10)는, 각 정보를 모두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한다.
계속해서, 제어기기(10)는, 네트워크(40)상에 있는 콘텐츠 서버(30)를 검색하고, 검출한 콘텐츠 서버(30)를 서버등록정보(1034)에 등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때문에, 네트워크 통신부(101)를 거쳐, 콘텐츠 서버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송신 요구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로 송신한다(단계 S15).
이 송신 요구신호를 수신한 콘텐츠 서버(30)는, 그 요구에 따라, 콘텐츠 서버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16). 콘텐츠 서버정보는, 도 4a에서 나타낸 서버등록정보(1034)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로, 예를 들면, 콘텐츠 서버(30)의 서버명(NSm), 서버 어드레스(ASm)를 포함한다. 서버명(NSm)은, 각 콘텐츠 서버(30-m)에 임의로 설정된 명칭이며, 서버 어드레스(ASm)는, 각 콘텐츠 서버(30-m)에 부여된 어드레스이다. 콘텐츠 서버정보는, 서포트하는 기능이나 버전, 기기종별, 제조 메이커명,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기기(10)는, 수신한 콘텐츠 서버정보의 내용을 서버등록정보(1034)에 등 록하고, 기억부(103)에 기억한다. 또, 서버등록정보(1034)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서버(30)의 리스트(이하, 「콘텐츠 서버 리스트」라 함)와, 그 리스트로부터 콘텐츠 서버(30)를 선택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부(104)에 표시한다(단계 S17).
제어기기(10)의 제어부(106)는, 입력부(105)를 거쳐, 유저에 의하여 선택된 원하는 콘텐츠 서버(30-m)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18). 네트워크 통신부(101)는, 그 데이터가 나타내는 콘텐츠 서버(30-m)에, 콘텐츠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송신 요구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19).
수신측은, 그 요구에 따라 콘텐츠 정보를 제어기기(10)에 송신한다(단계 S20).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서버(30)가 유지하는 콘텐츠 데이터(50-1)에 관한 정보로, 도 4b에서 나타낸 콘텐츠 등록정보(1035)를 구성하기 위한 내용[각 콘텐츠 데이터(50-1)의 콘텐츠명(NC1), 서버명(NSm), 보존 폴더(FLl)]을 포함한다. 또한, 파일명, 확장자, 콘텐츠수, 콘텐츠 종별,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기기(10)는, 수신한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콘텐츠 등록정보(1035)에 등록하고, 기억부(103)에 기억한다. 또, 콘텐츠 등록정보(1035)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50-1)의 리스트(이하, 「콘텐츠 리스트」라 함)와,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콘텐츠 데이터(50-1)를 선택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부(104)에 표시한다(단계 S21).
유저가 재생을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면(단계 S22), 제어기기(10)는, 재생표시기기(20)를 검색하여,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를 구성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 다. 이 때문에, 제어기기(10)의 네트워크 통신부(101)는, 재생기기정보의 송신을 재생표시기기(20)에 요구하기 위한 송신 요구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로 송신한다(단계 S23).
이 송신 요구신호의 수신측은, 송신원의 제어기기(10)에 재생기기정보를 각각 송신한다(단계 S24). 이 재생기기정보는, 도 3b에서 나타낸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를 구성하기 위한 내용[재생표시기기(20)의 재생표시기기명(NDn)이나 어드레스(ADn)]을 포함한다. 또한, 서포트하는 기능이나 비전, 기기종별, 제조메이커명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기기(10)는, 재생기기정보를 수신하고, 일단, 그 정보가 나타내는 내용을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에 등록한다. 그리고,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에 등록된 재생표시기기(20) 중에서, 단계 S14에서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된 재생표시기기(20)가 있으면,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의 상위에 배치되도록 소트(sort)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 3b에서 나타낸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를 생성하여 유지한다.
또한, 제어기기(10)는,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표시기기(20)의 리스트(이하,「재생기기 리스트」라 함)와, 재생기기 리스트로부터 재생표시기기(20-n)를 선택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부(104)에 표시한다(단계 S25). 또한, 재생기기 리스트에서는, 상기한 소트에 의하여 상위에 배치된 재생표시기기(20)로부터 차례로 표시된다. 계속해서, 제어기기(10)는 유저가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입력부(105)를 거쳐 취득하고, 그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한다(단계 S26).
단계 S25, S26의 처리[재생기기 리스트 표시나 재생표시기기(20)의 유저 선택조작] 대신에, 제어기기(10)가, 자기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한 재생표시기기(20)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도 된다.
제어기기(10)는, 선택된 재생표시기기(20)에, 콘텐츠의 재생표시를 지시하는 재생지시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27). 이 재생지시신호는, 예를 들면 재생대상의 콘텐츠 데이터(50-1)의 콘텐츠명(NC1), 그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서버(30-m)의 서버명(NSm), 보존 폴더(FLl), 재생 개시위치, 재생속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측의 재생표시기기(20)는, 재생지시신호로 지정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 요구신호를, 콘텐츠 서버(30)에 송신한다(단계 S28). 데이터 요구신호의 수신측은, 요구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S29). 재생표시기기(20)는, 그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재생 표시한다(단계 S3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제어기기(10)는, 먼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근린 기기정보를 취득할 수 있었던 재생표시기기(20)를,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고,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한다. 다음에, 네트워크 통신부(101)를 사용하여, 콘텐츠 서버(30)가 접속된 네트워크(40)에 접속되어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검출하고,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에 등록한다.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 중에서,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표시기기(20)가 있으면, 그 재생표시기기(20)가 우선적으로 지정되어, 콘텐츠를 재생표시 한다. 또한, 재생표시기기(20)에 콘텐츠를 공급시키는 콘텐츠 서버(30) 및 재생표시기기(20)에 재생표시시키는 콘텐츠 데이터는, 유저에 의해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콘텐츠를 재생표시할 때에,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할 수 있어,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유저는 원하는 콘텐츠 서버나 원하는 콘텐츠를, 스스로가 사용하는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에 재생표시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유저가 재생기기 리스트로부터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표시기기가 재생기기 리스트 중의 상위에 표시되도록 소트한다. 이에 의하여, 유저가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할 때에,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이해하기 쉽게 된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나 변형예를 자유롭게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기기(10)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하는 기준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에 의한 근린 기기정보의 취득의 여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기기(10)와 재생표시기기(20)가 서로 근거리 무선통신할 때의 수신 레벨(예를 들면, 수신 전파강도)을, 판별기준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어기기(10)에서, 재생표시기기(20)로부터 근린 기기정보를 수신 하였을 때의 수신 전파강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그 강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별한 경우에, 그 송신원을 근린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한다. 또, 판별대상의 수신 전파강도는, 제어기기(10)로부터 송신 요구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의 재생표시기기(20)에서 측정한 값이어도 된다. 이 경우, 그 측정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기기(10)에 송신한다. 이 정보는, 근린 기기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하여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01)의 통신방식과,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의 근거리 무선통신의 방식이 동일한 경우(예를 들면, 무선 LAN), 하나의 통신부로 정리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근린 기기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타이밍은, 네트워크 재생 어플리케이션(1031)의 기동 직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 서버 또는 콘텐츠 의 선택 후, 콘텐츠 서버 리스트 또는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 후이어도 된다. 또, 네트워크 재생 어플리케이션(1031)의 실행 중, 정기적으로 근린 기기정보의 송신을 요구하여도 된다.
복수의 재생표시기기(20)로부터 근린 기기정보를 각각 수신한 경우, 제어기기(10)는, 그 일부를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하여도 된다. 또, 근린 판별정보(1032)의 등록내용은, 근린 기기정보의 송신 요구신호를 정기 송신함으로써, 갱신하여도 된다.
제어기기(10)가, 재생표시기기(20)로부터 근린 기기정보나 재생기기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제어기기(10)가 각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여 취득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재생표시기기(20)가, 근린 기기정보나 재생기기정보를, 제어기기(10)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송신하여도 된다. 이 방법은, 제어기기(10)가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콘텐츠 서버정보나 콘텐츠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제어기기(10)가, 기설정된 정보의 송신 요구신호를 재생표시기기(20)에 보내는 경우, 각 재생표시기기(20-n)와의 유니캐스트 통신을 반복하여 실행하여도 된다. 이 때도, 상기한 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에 의한 송신과 마찬가지로, 송신전에 각 재생표시기기(20-n)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을 확립하여 둔다. 이 방법은, 제어기기(10)가 콘텐츠 서버(30)에 기설정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유저가, 재생기기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는 재생표시기기(20)만을 리스트 표시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표시기기(20)의 리스트를 표시하면 된다.
제어기기(10)가, 자기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한 재생표시기기(20)를 자동선택하는 방법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근린 판별정보(1032)로부터 랜덤하게 선택하여도 된다. 또, 근거리 무선통신시의 수신 전파레벨에 따라, 근린 판별정보(1032) 중의 재생표시기기(20)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그 중에서 우선도가 가장 높은 것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도 된다.
서버등록정보(1034)에 다수의 콘텐츠 서버(30)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유저가 콘텐츠 서버 리스트로부터 콘텐츠 서버(30)를 선택할 때의 화면의 시인성이나 조작성이 나빠질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제어기기(10)에서는, 서버 등록정보(1034)의 정보량에 따라 콘텐츠 서버 리스트를 복수 페이지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기능, 콘텐츠 서버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콘텐츠 서버(30-m)를 검색하는 기능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콘텐츠 리스트나 재생기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재생표시기기(20)가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제어기기(10)가, 재생표시기기(20) 대신에 콘텐츠 서버(30)에 재생 지시신호를 송신하고, 그 신호 중에 재생표시기기(20)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재생표시기기명(NDn)이나 어드레스(ADn)]를 포함하여 둔다. 그리고, 콘텐츠 서버(30)는, 재생표시기기(20)로부터 데이터 요구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재생표시기기(20)에 콘텐츠 데이터(50-1)를 전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콘텐츠 서버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유저가 1대의 서버를 선택하여(단계 S17, S18), 선택한 서버에만 콘텐츠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단계 S19), 요구지로부터 송신되어 온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여(단계 S21), 콘텐츠를 선택(단계 S22)한다는 순서를 취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일련의 순서 중에서, 단계 S17, S18의 서버 선택 단계를 생략하고, 복수의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콘텐츠 서버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수신한 콘텐츠 서버정보로 특정되는 전체 서버에 대하여 콘텐츠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단계 S19), 전체 서버가 송신하여 온 콘 텐츠 리스트를 표시하여(단계 S21), 유저가,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콘텐츠를 하나 선택하도록(단계 S22)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한 플로우는, 단계 S15∼S22의 일련의 콘텐츠 선택조작과, 단계 S23∼S26의 일련의 재생표시기기 선택조작과의 순서를 교체한 것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2)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재생기기 리스트에 나타낸 재생표시기기명에 의거하여, 유저가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유저는 자기가 시인하고 있는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와, 재생기기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려고 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이해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와 다른 재생표시기기(20)를 틀리게 선택할 염려가 있다.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텔레비전용 적외선 리모트 코맨더 조작과 같이, 유저가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할 때에, 그 재생표시기기(20)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지시하여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 이하, 이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2의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은, 도 1에서 나타낸 실시형태 1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하다. 또, 제어기기(10), 재생표시기기(20), 콘텐츠 서버(30)의 회로 구성도, 도 2,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예와 동일하다.
이하, 실시형태 2의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이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기기(10)는, 네트워크 재생 어플리케이 션(1031)의 기동 후(단계 S41), 단계 S42∼S49의 처리를 행하고, 일련의 콘텐츠 선택조작을 처리한다. 단계 S42∼S49의 처리는, 도 7에서 나타낸 단계 S15∼S22의 처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검색된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 서버(30)를 선택하고, 또한 그 콘텐츠 서버(30)에서 검색된 콘텐츠로부터 유저가 재생을 원하는 콘텐츠가 선택된다.
계속해서, 유저는 입력부(105)를 조작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한다(단계 S50). 여기서의 선택조작은, 유저가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가 위치하는 방향을 지시하여, 그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그 때문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의 통신방식은, 적외선 통신과 같이 지향성이 있는 전파를 사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유저가 각 재생표시기기(20-n)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면서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하기 때문에, 재생기기 리스트 중의 재생표시기기명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방법에 비하여, 원하지 않는 재생표시기기(20)를 틀리게 선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0에서의 선택조작은, 근린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하기 위하여, 도 7의 단계 S12∼S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 S51∼S53의 실행을 개시하는 트리거를 겸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단계 S50의 유저조작과 함께,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포함한 재생표시기기(20)에, 근린 기기정보의 송신 요구신호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하여 송신된다. 그리고, 근린 기기정보를 송신한 재생표시기기(20)를 근린에 위치한다고 판별하고,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한 다(단계 S53).
또,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의 선택 후, 제어기기(10)는, 네트워크(40)에 접속되어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검색하기 위하여, 도 7에서 나타낸 단계 S23, S24와 동일한 단계 S54, S55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어기기(10)는, 재생기기정보의 송신을 요구하여, 재생표시기기(20)로부터 재생기기정보를 취득한다. 재생기기정보의 송신요구는, 근린 기기정보의 송신요구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실행하여도 된다.
계속해서, 제어기기(10)는, 단계 S53에서 기억한 근린 판별정보(1032)를 대조하여, 재생기기정보 중에서 사용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결정한다(단계 S56). 그리고, 결정한 재생표시기기(20)에 콘텐츠의 재생을 지시한다. 도 7의 단계 S27∼S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 S57∼S60에 의하여 재생표시기기(20)는,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취득한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지향성이 있는 전파를 사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거하여, 유저가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한다.
이에 의하여 유저는 재생표시기기(20)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면서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 가능하고, 원하는 재생표시기기(20)와 다른 재생표시기기(20)를 틀리게 선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상기한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하여 취득한 근린기기정보에 의거하여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하고, 그 재생표시기기(20)를 나타내는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하였다. 실시형태 3은, 제어기기(10)의 현재위치를 특정하고, 그 현재위치에 의거하여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하여,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하는 예이다.
이하, 이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을 설명한다. 먼저, 실시형태 3의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3의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의 전체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낸 예와 동일하다. 또, 실시형태 3의 콘텐츠 서버(30)의 구성은, 도 6에서 나타낸 예와 동일하다.
실시형태 3에서는, 제어기기(10)는, 근린에 위치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할 때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도 9 및 도 11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의 제어기기(10) 및 재생표시기기(20)는 모두 도 2에서 나타낸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 도 5에서 나타낸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실시형태 3의 재생표시기기(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가지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도 5에서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다.
또, 도 9의 회로구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의 제어기기(10)는, 현재 위치정보 취득부(108)를 구비한다. 또한, 기억부(103)에는,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가 저장되어 있다.
현재 위치정보 취득부(108)는, 제어기기(1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한다.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방법 자체는 임의이며, 이미 알 고 있는 임의의 방법을 이용 가능하다.
네트워크 통신부(101)의 통신방식이 무선 LAN 통신이면, 현재 위치정보는, 현재 귀속 중의 무선 LAN 기지국(AP; 액세스 포인트)을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이것은, 무선 LAN 이외의 무선통신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현재 위치정보 취득부(108)에 의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에서 송신된 측위신호를 수신하고, 측위신호의 위상차 등에 의거하여 현재 위치정보(경위도 정보, 높이)를 구하여도 된다.
또한, 기억부(103)에 지도정보(도시 생략)를 미리 기억시켜 두고, GPS에서 취득한 위도, 경도, 높이정보와, 지도정보(도시 생략)로부터 「거실」,「침실」, 「욕실」과 같은 기설정된 구획인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로 변환한 것을, 현재 위치정보로 하여도 된다.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는, 네트워크(40)에 접속되어 있는 재생표시기기(20)와, 재생표시기기(20)가 배치되어 있는 기설정된 영역에 관한 정보이다. 도 10a에 나타내는 재생기기배치정보(1036A)의 예에서는, 재생표시기기명(NDn), 어드레스(ADn), 근린 기지국(Bn)을 대응시킨다. 도 10b에 나타내는 재생기기배치정보(1036B)의 예에서는, 재생표시기기명(NDn), 어드레스(ADn), 댁내(宅內) 위치(Pn)를 대응시킨다.
도 10a 및 도 10b의 재생표시기기명(NDn)이나 어드레스(ADn)는, 도 3b의 재생기기 등록정보(1033)로 예시한 재생표시기기명(NDn)이나 어드레스(ADn)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0a의 근린 기지국(Bn)은, 재생표시기기(20)가 무선통신할 때 에 귀속하는 무선통신기지국을 나타내는 정보로, 예를 들면, SSID나 유저가 설정한 무선기지국 명칭이다. 도 10b의 댁내 위치(Pn)는, 재생표시기기(20)가 배치되어 있는 기설정된 영역이나 기설정된 위치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거실이나 침실과 같은 영역, 경위도와 고도 등이다.
다음에, 제어기기(10)가, 실시형태 3에 특징적인 동작을 행하기 위하여, 도 10a에서 나타낸 재생기기배치정보(1036A)를 등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가옥(H)의 거실에서, 등록동작을 행하는 예로 설명한다. 이 가옥(H)의 옥내에는, 3개의 재생표시기기(20-1∼20-3)와,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401-1, 401-2, 40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저설정에 의하여 각 재생표시기기(20-1, 20-2, 20-3)에는, 각각 텔레비전 1, 텔레비전 2, 모니터 1이라는 재생표시기기명이 부여되어 있고, 각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401-1∼401-3)에는, 각각 AP1∼AP3이라는 무선기지국 명칭이 부여되어 있다.
제어기기(10)가, 자기의 현재 위치에서 귀속 가능한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의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화면(DS11)을 표시한다. 제어기기(10)가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란, 예를 들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401-1)가 배치되어 있는 거실에서 제어기기(10)를 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부(105)를 거쳐 취득하면, 제어기기(10)는, 네트워크 통신부(101)에 의해 무선 LAN 통신을 행하여,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401-1)를 검출한다. 검출 시, 제어기기(10)는,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4O1-1)에 부여된 무선기지국 명칭(AP1)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된 무선기지국 명칭(이 예에서는, AP1)의 리스트와, 그 중에서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A)에 등록하는 무선기지국의 선택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나타내는 화면(DS12)을 표시한다.
유저에 의하여 선택된 무선기지국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부(105)를 거쳐 취득하면, 제어기기(10)는, 그 무선기지국 명칭(도 13b의 예에서는, AP1)을, 도 10a에서 나타낸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A)의 근린 기지국(Bn)에 등록한다. 이때, 등록된 무선기지국을 거친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설정된 통신설정(예를 들면, 암호키의 설정)을 실행하여도 된다.
제어기기(10)는, 무선기지국의 등록이 완료되면,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의 완료를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와, 재생표시기기(20)를 검색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나타내는 화면(DS13)을 표시한다. 이 재생표시기기(20)의 검색은, 직전에 등록된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이 예에서는, AP1)에 귀속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검출하기 위하여 행하여진다.
재생표시기기(20)의 검색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부(105)에 의하여 취득하면, 제어기기(10)는, 재생기기 배치정보의 송신 요구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로 송신한다. 그리고, 네트워크(40)에 접속된 각 재생표시기기(20-1∼20-3)로부터, 재생기기 배치정보[재생표시기기명(NDn)이나 어드레스(ADn) 등]를 각각 취득한다.
취득 후, 검출한 각 재생표시기기(20-n)(도 13d의 예에서는, 텔레비전 1, 텔레비전 2, 모니터 1)의 리스트와, 그 중에서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A)에 등록하는 재생표시기기(20)의 선택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나타내는 화면(DS14)을 표시한다. 선택된 재생표시기기(20)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입력부(105)에서 취득하면, 제어기기(10)는, 그 재생표시기기(20)(도 13d의 예에서는, 텔레비전 1)를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A)에 등록한다. 그리고, 도 1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의 완료를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나타내는 화면(DS15)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등록동작을, 도 12 중의 침실이나 욕실에서 실행함으로써, 침실에 배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2)와 텔레비전 2를 대응시키고, 욕실에 배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3)와 모니터 1를 대응시키는 도 10a의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A)가 등록된다.
다음에, 제어기기(10)가 도 10b에서 나타낸 재생기기배치정보(1036B)를 등록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12의 배치를 예로 설명한다. 이하는, 거실에서 등록을 행하는 예이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현재 위치정보 취득부(108)는 GPS에서 측위된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제어기기(10)는, 그 현재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등록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의 재생표시기기(20)를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B)에 등록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화면(DS21)을 표시한다. 등록할 것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부(105)에서 취득하면, 제어기기(10)는, 현재 위치정보 취득부(108)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의 취득을 개시한다. 이때,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개시를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나타내는 화면 (DS22)을 표시한다.
제어기기(10)는, GPS에 의하여 측위된 자기의 현재 위치(경위도 및 고도)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하면, 지도정보(도시 생략)에 등록되어 있는 각 영역(거실, 침실 등) 중에서, 자기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영역을 특정한다. 그리고,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한 영역(도 14c의 예에서는, 거실)의 내용과, 재생표시기기(20)의 검색을 행할 것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화면(DS23)을 표시한다.
제어기기(10)는, 네트워크 통신부(101)에 의해 네트워크(40)에 접속된 재생표시기기(20)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출한 각 재생표시기기(20-n)(도 14d의 예에서는 텔레비전 1, 텔레비전 2, 모니터 1)의 리스트와, 그 리스트 중에서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B)에 등록하는 재생표시기기(20)의 선택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나타내는 화면(DS24)을 표시한다. 그리고, 선택된 재생표시기기(20-n)(도 14d의 예에서는, 텔레비전 1)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입력부(105)에서 취득하여,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B)에 등록한다. 그리고, 도 1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의 완료를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나타내는 화면(DS25)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등록 동작을 도 12의 침실이나 욕실에서 실행함으로써, 도 10b에서 나타낸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B)를 등록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실시형태 3의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이,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형 태 3의 콘텐츠 재생동작은, 기본적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다. 단, 실시형태 3에서는, 상기한 도 7의 단계 S12∼S13의 처리 대신에, 도 15에 나타내는 단계 V11∼V12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7의 단계 S11에 의한 네트워크 재생 어플리케이션(1031)의 기동 후, 처리는 도 15의 단계 V11로 진행한다. 제어기기(10)는, 현재 위치정보 취득부(108)를 거쳐,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한다(단계 V11). 이 현재 위치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부(101)가 귀속하고 있는 무선통신기지국, GPS로 취득한 경위도 및 고도, 또한, 경위도 및 고도에 의거하여 지도정보(도시 생략)로부터 특정한 영역(예를 들면, 거실, 침실)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다음에, 제어기기(10)는, 기억부(103)에 미리 기억된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표시기기(20)가 배치된 기설정된 영역(기설정된 위치) 중에서, 현재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제어기기(10)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영역(또는, 기설정된 위치)을 특정한다. 이 기설정된 영역(기설정된 위치)은, 도 10a의 예에서는 근린 기지국(Bn)(AP1 등)이고, 도 10b의 예에서는 댁내 위치(Pn)(거실 등)이다.
그리고,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에 등록된 재생표시기기(20)로부터, 특정된 기설정된 영역(또는, 기설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하고, 그 재생표시기기(20)에 관한 정보[재생표시기기명(NDn)이나 어드레스(ADn)]를 취득한다(단계 V12). 도 12의 예에서는, 제어기기(10)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1)에 귀속 중인 경우, 또는, 제어기기(10)의 현재 위치가「거실」인 경우, 재생기기 배치 정보(1036)에 의하여 대응시키져 있는 재생표시기기(20)(텔레비전 1)의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처리는 도 7로 리턴하고, 제어기기(10)는, 취득한 정보를,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표시기기(20)를 나타내는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한다(단계 S14). 또한, 단계 S15∼S30의 처리에 의하여 콘텐츠를 재생표시할 때에,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된 재생표시기기(20)가 우선적으로 지정되어 콘텐츠를 재생표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에 의하면, 재생표시기기(20)와, 그 재생표시기기(20)가 배치된 기설정된 영역(또는, 기설정된 위치)을 대응시키는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를 미리 등록하여 둔다. 이 기설정된 영역은, 예를 들면「거실」,「침실」 등의 영역, 재생표시기기(20)가 귀속하는 무선기지국이다. 그리고,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에 등록된 각 기설정된 영역으로부터, 현재 위치정보 취득부(108)에서 취득한 현재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제어기기(10)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영역을 특정한다. 또한, 특정된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 중에서 판별하여,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한다. 그리고,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된 재생표시기기(20)가 우선적으로 지정되어, 콘텐츠를 재생표시한다.
이에 의하여, 콘텐츠를 재생표시시키는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할 때에, 제어기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근린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선택할 수 있어,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의 데이터구조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예에 한정하지 않고,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면 임의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a의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A)와 도 10b의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B)를 정리하여, 하나의 재생기기 배치정보(1036)로서 등록하여도 된다.
(실시형태 4)
상기한 실시형태 1 내지 3에서는,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지정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켰다. 실시형태 4에서는, 재생표시하는 각 콘텐츠의 각각의 속성에 따라, 각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재생표시시키는 재생표시기기(20)를 지정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이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실시형태 4의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을 설명한다.
먼저, 실시형태 4의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의 구성을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시스템(PS)의 시스템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다. 또, 실시형태 4의 재생표시기기(20)의 구성은, 도 11에서 나타낸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실시형태 4의 콘텐츠 서버(30)의 구성은, 도 6에서 나타낸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단, 콘텐츠 서버(30)가 유지하는 각 콘텐츠 데이터(50-1)는, 자기가 가지는 속성을 나타내는 「콘텐츠 속성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실시형태 4의 제어기기(10)의 기본 구성은, 도 2에서 나타낸 예와 대략 동일하다. 단,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4의 제어기기(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 대신, 속성정보 취득부(109)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6에 나타내는 기억부(103)에는, 우선기기 판별정보(1032A),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가 저장되어 있다.
속성정보 취득부(109)는,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콘텐츠 서버(30)가 유지하는 콘텐츠 데이터(50-1)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이란, 각 콘텐츠 데이터(50-1)를 분별하기 위한 카테고리이고, 예를 들면「드라마」「스포츠」「뉴스」「영화」 등의 콘텐츠의 장르, 콘텐츠의 작성자, 녹화 조작자 등의 콘텐츠의 이용자, 등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우선기기 판별정보(1032A)의 데이터구조는, 도 3a에서 나타낸 근린 판별정보(10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우선기기 판별정보(1032A)는, 콘텐츠를 재생표시할 때에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재생표시기기(20)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는, 콘텐츠를 분별하기 위한 콘텐츠 속성과, 그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의 재생표시에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대응시킨다. 실시형태 4에서는, 콘텐츠 속성만이 재생표시기기(20)에 대응시켜져 있는 경우, 그 콘텐츠 분류에 속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빈번하게 재생되는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도 17a의 예에서는,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A)는, 콘텐츠의 장르(Ji)(i:1∼I, I:장르의 수)와, 재생표시기기(20)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재생표시기기명(NDn), 어드레스(ADn)]를 대응시킨다. 장르(Ji)는, 예를 들면 드라마, 뉴스, 영화, 스포츠 등이다. 재생표시기기명(NDn)이나 어드레스(ADn)는, 도 3b에서 나타낸 예와 동일하다.
도 17a에 나타내는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A)에서는, 「드라마」에 속하는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재생표시시키는 재생표시기기(20)로서, 도 12에 나타내는 가옥(H)의 침실에 배치된 「텔레비전 2」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침실의 이용자가 유저 α이고, 유저 α가 드라마에 관심이 높은 경우,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스포츠」,「뉴스」및「영화」에 속하는 콘텐츠는, 가옥(H)에 거주하는 가족 전원에서 시청하는 기회가 많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재생표시기기(20)로서, 가족전원에 의한 이용회수가 많은 거실에 배치된 「텔레비전 1」을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A)에 등록한다.
도 17b의 예에서는,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B)는, 콘텐츠의 관리자인 콘텐츠 관리자(MGh)(h:1∼H, H:관리자의 수), 재생표시기기명(NDn), 어드레스(ADn)를 대응시킨다. 콘텐츠 관리자(MGh)는, 예를 들면, 콘텐츠의 작성자, 콘텐츠를 녹화 조작한 사람, 콘텐츠의 주된 시청자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17b에 나타내는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B)에서는, 유저 A를 관리자로 하는 콘텐츠는, 도 12의 침실에 설치된 「텔레비전 2」에 의해 우선적으로 재생표시된다. 또, 유저 B를 관리자로 하는 콘텐츠는, 욕실에 설치된 「모니터 1」에 의해 우선적으로 재생표시된다.
또한,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는, 제어기기(10)의 기억부(103)에 미리 기억시켜 둔다. 그리고,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의 등록은, 유저가 입력부(105)를 조작함으로써 설정한다. 도 17a의 예에서는, 「 드라마」「뉴스」「영화」「스포츠」라는 장르(Ji)마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대응시켜 등록한다. 또, 도 17b의 예에서는, 콘텐츠 관리자(MGh)마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대응시켜 등록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형태 4의 영상 재생시스템(PS)이,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4의 콘텐츠 재생동작은, 기본적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 2의 처리와 동일하다. 단, 실시형태 4에서는, 상기한 도 8의 단계 S50∼S52 대신, 도 18에 나타내는 단계 V21∼V22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단계 S41∼S49의 처리에 의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원하는 콘텐츠 서버(30)가 유지하는 콘텐츠 데이터(50) 중에서, 유저가 재생을 원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기기(10)는,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 속성정보를 취득한다(단계 V21). 즉, 제어기기(10)는, 속성정보 취득부(109)에 의하여 콘텐츠 속성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송신 요구신호를 콘텐츠 서버(30)에 송신한다. 그리고 그 요구에 따라 콘텐츠 서버(30)로부터 송신된 콘텐츠 속성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50-1)의 장르나 콘텐츠 관리자를 나타내는 콘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한다.
다음에, 제어기기(10)는, 도 17a 또는 도 17b에 나타낸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에 등록된 속성[장르(Ji)나 콘텐츠 관리자(MGh)]으로부터 콘텐츠 속성정보가 나타내는 속성(장르나 콘텐츠 관리자)에 일치하는 속성을 특정한다. 그리고,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에 등록된 재생표시기기(20) 중에서 특정한 속성에 대응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한다. 또한, 그 재생표시 기기(20)를 나타내는 정보[재생표시기기명(NDn), 어드레스(ADn)]를,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로부터 취득한다(단계 V22).
그리고, 처리는 도 8로 리턴하고, 제어기기(10)는, 단계 V22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정보를, 도 3a의 근린 판별정보(10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우선기기 판별정보(1032A)에 등록한다(단계 S53). 또한, 단계 S54∼S60의 처리를 실행하고,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실시형태 4에서 나타낸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 재생표시기기(20)를 지정하는 방법과, 실시형태 1 내지 3에서의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지정하는 방법을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6의 제어기기(10)에 도 2에서 나타낸 근거리 무선 통신부(102)를 설치하여 두고, 도 11의 재생표시기기(20)에 도 5에서 나타낸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설치하여 둔다.
제어기기(10)는, 실시형태 1 내지 3의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현재 위치의 취득에 의하여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한 재생표시기기(20)를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하여 둔다.
또,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로부터 콘텐츠 속성정보가 나타내는 속성에 대응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하여, 도 16에서 나타낸 우선기기 판별정보(1032A)에 등록한다.
그리고,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표시기기(20)를 지정할 때, 제어기기(10)는, 근린 판별정보(1032)에 등록된 재생표시기기(20)가 우선기기 판별 정보(1032A)에도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재생표시기기(20)를 지정하고, 콘텐츠의 재생표시를 지시한다.
이에 의하여, 제어기기(10)의 근린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판별한 다음에, 그 중에서 특정한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를 재생표시시키는 재생표시기기(20)를 우선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4에 의하면, 콘텐츠를 분별하기 위한 속성에 따라, 그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재생표시시키는 재생표시기기(20)를,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에 미리 등록하여 둔다. 콘텐츠를 분별하기 위한 속성은, 예를 들면, 콘텐츠의 장르, 콘텐츠의 관리자 등이다. 그리고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에 등록된 속성으로부터, 속성정보 취득부(109)에서 취득한 콘텐츠 속성정보가 나타내는 속성에 일치하는 속성을 특정한다. 또한, 특정된 속성에 대응하는 재생표시기기(20)를 나타내는 정보[재생표시기기명(NDn), 어드레스(ADn)]를, 우선기기 판별정보(1032A)에 등록한다. 콘텐츠의 재생표시를 할 때는, 우선기기 판별정보(1032A)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표시기기(20)를 우선적으로 지정하여, 재생표시를 지시한다.
이에 의하여, 콘텐츠를 재생표시할 때에,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설정된 재생표시기기(20)를 지정할 수 있어,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의 데이터구조는,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낸 예에 한정하지 않고,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면 임의이어도 된 다. 예를 들면, 도 17a 및 도 17b의 각 대응 정보를 정리하여, 하나의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1037)로서 등록하여도 된다.
그외, 본 발명의 개념은, 전용 컴퓨터시스템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조작제어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 PDA, 등의 임의의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즉, 컴퓨터를 제어기기(10)로서 기능, 동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배포하고, 대여하여, 이것을 컴퓨터에 인스톨하여, 제어기기(10)로서, 이것을 사용, 양도, 대여 등을 하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콘텐츠 재생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제어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a는 근린 판정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b는 재생기기 등록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a는 서버등록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b는 콘텐츠 등록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실시형태 1의 재생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실시형태 1의 콘텐츠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실시형태 1에서의 콘텐츠 재생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실시형태 2에서의 콘텐츠 재생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실시형태 3의 제어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a는 재생기기 배치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0b는 재생기기 배치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실시형태 3의 재생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집 내에, 복수의 재생표시기기와 복수의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a는 제 1 재생기기배치정보의 등록시에 표시되는 제 1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b는 제 1 재생기기배치정보의 등록시에 표시되는 제 2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c는 제 1 재생기기배치정보의 등록시에 표시되는 제 3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d는 제 1 재생기기배치정보의 등록시에 표시되는 제 4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e는 제 1 재생기기배치정보의 등록시에 표시되는 제 5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4a는 제 2 재생기기 배치정보의 등록시에 표시되는 제 1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4b는 제 2 재생기기 배치정보의 등록시에 표시되는 제 2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4c는 제 2 재생기기 배치정보의 등록시에 표시되는 제 3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4d는 제 2 재생기기 배치정보의 등록시에 표시되는 제 4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4e는 제 2 재생기기 배치정보의 등록시에 표시되는 제 5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실시형태 3에서의 콘텐츠 재생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실시형태 4의 제어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7a는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7b는 콘텐츠 속성 - 재생기기 대응 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8은 실시형태 4에서의 콘텐츠 재생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13)

  1.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하는 제어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과,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으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수단과,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기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이 가능한 각 재생기기로부터, 그 재생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재생기기정보를 각각 취득하는 재생기기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재생기기와, 상기 통신수단으로 행하는 통신보다 통신 가능한 범위가 좁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각 재생기기로부터, 그 재생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근린 기기정보를 각각 취득하는 근린 기기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기기 정보 취득수단으로 취득한 각 재생기기 정보가 나타내는 등록내용과, 상기 근린 기기정보 취득수단으로 취득한 각 근린 기기정보가 나타내는 등록내용이 일치할 때에, 그 재생기기 정보와 그 근린기기 정보의 송신원인 재생기기를,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재생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하였을 때의 무선신호레벨을 측정하는 신호레벨 측정수단과,
    상기 신호레벨 측정수단으로 측정한 무선신호레벨이 기설정된 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신호레벨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신호레벨 판별수단으로 무선신호레벨이 기설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별하였을 때에, 그 무선신호레벨로 근거리 무선통신하고 있던 재생기기를,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3.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하는 제어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과,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으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수단과,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제어기기의 현재 위치를 특정하는 현재 위치 특정수단과,
    상기 복수의 재생기기와, 상기 각 재생기기가 배치되어 있는 기설정된 영역인 각 배치영역을 각각 대응시키는 배치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배치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배치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배치영역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특정수단으로 특정된 제어기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배치영역을 특정하는 배치영역 특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배치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기기 중에서 상기 배치영역 특정수단으로 특정된 배치영역에 대응하는 재생기기를,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4.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하는 제어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과,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으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수단과,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기기와, 기지국을 거쳐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무선통신하는 사이에, 상기 제어기기가 현재 귀속 중의 기지국을 특정하는 귀속지 특정수단과,
    상기 복수의 재생기기와, 상기 각 재생기기가 무선통신할 때에 귀속하는 각 기지국을 각각 대응시키는 기지국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기지국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기지국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각 재생기기가 귀속하는 각 기지국 중에서, 상기 귀속지 특정수단으로 특정된 상기 제어기기가 현재 귀속 중의 기지국에 일치하는 기지국을 특정하는 등록기지국 특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기지국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기기 중에서 상기 등록기지국 특정수단으로 특정된 기지국에 대응하는 재생기기를,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5.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하는 제어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소정 범위 판별수단과,
    상기 소정 범위 판별수단으로 소정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수단과,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고,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 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각 콘텐츠는, 그 콘텐츠의 장르 또는 그 콘텐츠의 관리자를 나타내는 콘텐츠 속성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은,
    상기 콘텐츠를 분별하기 위한 복수의 장르 또는 관리자와, 당해 장르 또는 관리자에 대응한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재생 및 표시시키는 재생기기를 각각 대응시키는 대응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대응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콘텐츠 속성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는 속성 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대응 정보에서, 상기 속성 정보 취득수단으로 취득한 콘텐츠 속성 정보가 나타내는 장르 또는 관리자에 대응하는 재생기기를 특정하는 재생기기 특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은,
    상기 재생기기 특정수단으로 특정된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6.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복수의 재생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기가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된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는,
    상기 제어기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과,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으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수단과,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기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이 가능한 각 재생기기로부터, 그 재생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재생기기정보를 각각 취득하는 재생기기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재생기기와, 상기 통신수단으로 행하는 통신보다 통신 가능한 범위가 좁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각 재생기기로부터, 그 재생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근린 기기정보를 각각 취득하는 근린 기기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기기 정보 취득수단으로 취득한 각 재생기기 정보가 나타내는 등록내용과, 상기 근린 기기정보 취득수단으로 취득한 각 근린 기기정보가 나타내는 등록내용이 일치할 때에, 그 재생기기 정보와 그 근린기기 정보의 송신원인 재생기기를,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스템.
  7.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복수의 재생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기가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된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는,
    상기 제어기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과,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으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수단과,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제어기기의 현재 위치를 특정하는 현재 위치 특정수단과,
    상기 복수의 재생기기와, 상기 각 재생기기가 배치되어 있는 기설정된 영역인 각 배치영역을 각각 대응시키는 배치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배치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배치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배치영역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특정수단으로 특정된 제어기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배치영역을 특정하는 배치영역 특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배치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기기 중에서 상기 배치영역 특정수단으로 특정된 배치영역에 대응하는 재생기기를,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스템.
  8.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복수의 재생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기가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된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는,
    상기 제어기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과,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으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수단과,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기기와, 기지국을 거쳐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무선통신하는 사이에, 상기 제어기기가 현재 귀속 중의 기지국을 특정하는 귀속지 특정수단과,
    상기 복수의 재생기기와, 상기 각 재생기기가 무선통신할 때에 귀속하는 각 기지국을 각각 대응시키는 기지국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기지국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기지국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각 재생기기가 귀속하는 각 기지국 중에서, 상기 귀속지 특정수단으로 특정된 상기 제어기기가 현재 귀속 중의 기지국에 일치하는 기지국을 특정하는 등록기지국 특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수단은,
    상기 기지국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기기 중에서 상기 등록기지국 특정수단으로 특정된 기지국에 대응하는 재생기기를,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스템.
  9.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와,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와 상기 복수의 재생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기가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된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는,
    상기 제어기기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소정 범위 판별수단과,
    상기 소정 범위 판별수단으로 소정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수단과,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고,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 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각 콘텐츠는, 그 콘텐츠의 장르 또는 그 콘텐츠의 관리자를 나타내는 콘텐츠 속성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은,
    상기 콘텐츠를 분별하기 위한 복수의 장르 또는 관리자와, 당해 장르 또는 관리자에 대응한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재생 및 표시시키는 재생기기를 각각 대응시키는 대응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대응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콘텐츠 속성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는 속성 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대응 정보에서, 상기 속성 정보 취득수단으로 취득한 콘텐츠 속성 정보가 나타내는 장르 또는 관리자에 대응하는 재생기기를 특정하는 재생기기 특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기 지정수단은,
    상기 재생기기 특정수단으로 특정된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스템.
  10. 컴퓨터에서,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 중에서, 상기 컴퓨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와,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에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처리와,
    상기 재생기기 지정처리에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는,
    상기 재생기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통신처리와,
    상기 통신처리에 의해 통신이 가능한 각 재생기기로부터, 그 재생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재생기기정보를 각각 취득하는 재생기기정보 취득처리와,
    상기 재생기기와, 상기 통신처리에서 행하는 통신보다 통신 가능한 범위가 좁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처리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처리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각 재생기기로부터, 그 재생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근린 기기정보를 각각 취득하는 근린 기기정보 취득처리를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에서는,
    상기 재생기기 정보 취득처리에서 취득한 각 재생기기 정보가 나타내는 등록내용과, 상기 근린 기기정보 취득처리에서 취득한 각 근린 기기정보가 나타내는 등록내용이 일치할 때에, 그 재생기기 정보와 그 근린기기 정보의 송신원인 재생기기를,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컴퓨터에서,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 중에서, 상기 컴퓨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와,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에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처리와,
    상기 재생기기 지정처리에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는,
    상기 컴퓨터의 현재 위치를 특정하는 현재 위치 특정처리와,
    상기 복수의 재생기기와, 상기 각 재생기기가 배치되어 있는 기설정된 영역인 각 배치영역을 각각 대응시키는 배치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배치정보 기억처리와,
    상기 배치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배치영역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특정처리에서 특정된 컴퓨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배치영역을 특정하는 배치영역 특정처리를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에서는,
    상기 배치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기기 중에서 상기 배치영역 특정처리에서 특정된 배치영역에 대응하는 재생기기를,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컴퓨터에서,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 중에서, 상기 컴퓨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와,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에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처리와,
    상기 재생기기 지정처리에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는,
    상기 재생기기와, 기지국을 거쳐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처리와,
    상기 무선통신처리에 의해 무선통신하는 사이에, 상기 컴퓨터가 현재 귀속 중의 기지국을 특정하는 귀속지 특정처리와,
    상기 복수의 재생기기와, 상기 각 재생기기가 무선통신할 때에 귀속하는 각 기지국을 각각 대응시키는 기지국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기지국 정보 기억처리와,
    상기 기지국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각 재생기기가 귀속하는 각 기지국 중에서, 상기 귀속지 특정처리에서 특정된 상기 컴퓨터가 현재 귀속 중의 기지국에 일치하는 기지국을 특정하는 등록기지국 특정처리를 구비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에서는,
    상기 기지국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재생기기 중에서 상기 등록기지국 특정처리에서 특정된 기지국에 대응하는 재생기기를,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컴퓨터에서,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유지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복수의 재생기기 중에서, 상기 컴퓨터를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기기를 판별하는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와,
    상기 기설정된 범위 판별처리에서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된 재생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재생기기 지정처리와,
    상기 재생기기 지정처리에서 지정된 재생기기에,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여, 재생 및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재생지시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콘텐츠 유지기기가 유지하는 각 콘텐츠는, 그 콘텐츠의 장르 또는 그 콘텐츠의 관리자를 나타내는 콘텐츠 속성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재생기기 지정처리는,
    상기 콘텐츠를 분별하기 위한 복수의 장르 또는 관리자와, 당해 장르 또는 관리자에 대응한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재생 및 표시시키는 재생기기를 각각 대응시키는 대응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대응 정보 기억처리와,
    상기 콘텐츠 속성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는 속성 정보 취득처리와,
    상기 대응 정보에서, 상기 속성 정보 취득처리에서 취득한 콘텐츠 속성 정보가 나타내는 장르 또는 관리자에 대응하는 재생기기를 특정하는 재생기기 특정처리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기 지정처리에서는,
    상기 재생기기 특정처리에서 특정된 재생기기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107811A 2007-11-22 2008-10-31 제어기기, 재생시스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028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3591A JP4442681B2 (ja) 2007-11-22 2007-11-22 制御機器、再生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JP-P-2007-00303591 2007-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688A KR20090053688A (ko) 2009-05-27
KR101028794B1 true KR101028794B1 (ko) 2011-04-12

Family

ID=4067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811A KR101028794B1 (ko) 2007-11-22 2008-10-31 제어기기, 재생시스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32217B2 (ko)
JP (1) JP4442681B2 (ko)
KR (1) KR101028794B1 (ko)
CN (1) CN1014424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460B1 (ko) * 2007-06-08 201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100153996A1 (en) * 2008-12-17 2010-06-17 Migos Charles J Gesture based electronic program management system
JP5187908B2 (ja) * 2009-06-18 2013-04-24 Kddi株式会社 配信ポリシに基づくコンテンツ協調再生方法、プロキシ制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WO2010150505A1 (ja) * 2009-06-26 2012-1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
US20100333136A1 (en) * 2009-06-30 2010-12-30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MX2012000188A (es) * 2009-06-30 2012-06-2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istemas y metodos para proporcionar una guia de medios interactivos en un dispositivo de comunicaciones inalambricas.
US9405710B2 (en) 2009-06-30 2016-08-0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2011045021A (ja) * 2009-08-24 2011-03-03 Sony Corp 伝送システム、再生装置、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49530B1 (ja) 2009-10-16 2011-03-09 株式会社東芝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4786739B2 (ja) * 2009-10-21 2011-10-0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映像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方法
US8713616B2 (en) * 2009-10-26 2014-04-2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600472B1 (ko) * 2009-10-30 2016-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장치 및 방법
KR101624904B1 (ko) 2009-11-09 2016-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엔엘에이를 이용하여 멀티 사운드 채널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53203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1130417A (ja) * 2009-11-18 2011-06-30 Panasonic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トローラ、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再生装置決定方法
US8422858B2 (en) * 2010-01-21 2013-04-16 Robert Paul Morris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ordinating playing of media streams
JP5446924B2 (ja) * 2010-01-26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10397639B1 (en) 2010-01-29 2019-08-27 Sitting Man, Llc Hot key systems and methods
US8789131B2 (en) * 2010-05-14 2014-07-2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thereof with other devices
CN102918512A (zh) * 2010-05-31 2013-02-06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设备数据连接系统、验证设备、客户端设备、信息设备数据连接方法和记录介质
US9786159B2 (en) 2010-07-23 2017-10-10 Tivo Solutions Inc.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device
US10303357B2 (en) 2010-11-19 2019-05-28 TIVO SOLUTIONS lNC. Flick to send or display content
US9426510B2 (en) 2011-02-11 2016-08-2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over a network
US9258613B2 (en) * 2011-02-16 2016-02-0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video content
KR101853812B1 (ko) * 2011-03-15 201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식별자를 생성하는 방법과 전자 기기의 식별자를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AT512381B1 (de) * 2011-03-18 2018-12-15 Dipl Ing Cebrat Gerfried Fensterbalken (Fensterläden) mit beidseitig ausstellbaren Solarpanelen
JP5617781B2 (ja) 2011-07-13 2014-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1874099B1 (ko) * 2011-07-29 2018-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13110654A (ja) * 2011-11-22 2013-06-06 Ntt Docomo Inc 通信端末及びコンテンツ転送方法
KR20130071879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에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379469B (zh) * 2012-04-13 2016-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近距离信息的注册方法、查询方法和用户设备
JP5668015B2 (ja) 2012-04-25 2015-02-12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装置、情報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5863563B2 (ja) * 2012-05-17 2016-02-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無線操作制御用プログラム、無線端末、及び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TW201349085A (zh) * 2012-05-22 2013-12-01 Pegatron Corp 多媒體檔案管理方法、數位媒體控制器以及多媒體檔案管理系統
CN102802048B (zh) * 2012-08-24 2015-08-05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多屏互动系统和方法
FI124940B (fi) * 2012-08-31 2015-03-31 Gurulogic Microsystems Oy Laitteen ja näytön yhteistoiminta
US8910265B2 (en) 2012-09-28 2014-12-09 Sonos, Inc. Assisted registration of audio sources
KR20140067784A (ko) * 2012-11-27 2014-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 방송 수신 장치, 이를 이용한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증강 방송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1934099B1 (ko) * 2012-12-14 2019-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75977A (ja) * 2013-03-12 2014-09-22 Sharp Corp 端末装置
US9781487B2 (en) * 2013-05-28 2017-10-03 Cellco Partnership Streaming multicast content to a television via a mobile device
JP6271203B2 (ja) * 2013-09-30 2018-01-3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情報制御方法
JP6514847B2 (ja) * 2013-11-25 2019-05-15 富士ソフト株式会社 機器及び端末紐付け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146239A1 (en) * 2013-11-25 2015-05-28 Lexmark International, Inc. Comparing Planned and Actual Asset Locations
KR20150110877A (ko) * 2014-03-20 2015-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기반 홈 오토메이션 수행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9800906B2 (en) 2014-05-08 2017-10-24 Mersiv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device discovery
US10965883B2 (en) 2014-05-21 2021-03-30 Mersive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shared display infrastructure and associated methods
CN104065953B (zh) * 2014-06-27 2017-01-04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显示设备多视图可视化显示控制的方法及装置
JP2016025599A (ja) * 2014-07-23 2016-02-08 船井電機株式会社 映像データ制御装置、映像データ送信装置、及び映像データ送信方法
JP6425590B2 (ja) * 2015-03-13 2018-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番組配信システム
US20160373376A1 (en) * 2015-04-01 2016-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playing contents seamlessly
KR101917655B1 (ko) * 2015-04-13 201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방법
US10650162B2 (en) 2015-07-29 2020-05-12 Simplifeye,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database
JP6747104B2 (ja) * 2016-06-30 2020-08-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ーフティ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WO2018146982A1 (ja) 2017-02-13 2018-08-1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3099936A1 (en) * 2018-06-13 2019-12-19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ly outputting embedded media from a digital page on nearby devices most suitable for access
CN112654028B (zh) * 2020-12-15 2022-04-26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Easymesh协议的组网管理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057A (ja) * 2005-03-03 2006-09-14 Sanyo Electric Co Ltd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このネットワーク機器に適用される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441A (ja) 2002-08-26 2004-03-18 Ntt Data Corp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
JP2004362437A (ja) 2003-06-06 200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端末及び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5100200A (ja) 2003-09-26 2005-04-14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CA2581982C (en) * 2004-09-27 2013-06-18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location information to manage spillover in an audience monitoring system
JP4687956B2 (ja) 2005-03-29 2011-05-25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拡大表示システム、その動作方法、情報配信サーバ、携帯端末、表示装置、及びこれらの動作プログラム
US20060253874A1 (en) * 2005-04-01 2006-11-09 Vulcan Inc. Mobile interface for manipulating multimedia content
JP5055769B2 (ja) 2005-05-23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表示再生方法、記録媒体、及び操作制御装置
JP4624294B2 (ja) * 2006-03-31 2011-02-0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及びコンテンツ情報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リスト提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057A (ja) * 2005-03-03 2006-09-14 Sanyo Electric Co Ltd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このネットワーク機器に適用される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38921A1 (en) 2009-05-28
JP2009129194A (ja) 2009-06-11
KR20090053688A (ko) 2009-05-27
US8132217B2 (en) 2012-03-06
CN101442462A (zh) 2009-05-27
JP4442681B2 (ja) 2010-03-31
CN101442462B (zh)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794B1 (ko) 제어기기, 재생시스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8346057B2 (en) Recording/reading apparatus, method of generating tag list for recording/reading apparatus, and control unit for recording/reading apparatus
US8611718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20070124772A1 (en) Universal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KR100664935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그방법
JP2010016623A (ja)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US7516251B2 (en) Content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utput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CN10226378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系统
US100340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levision receiv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113940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制御対象機器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7306088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70080693A (ko)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저장매체와 이를 이용한 적응적컨텐츠 재생 방법
JP5831176B2 (ja) サーバ装置、カラオケ曲情報提示方法、及びサーバ処理プログラム
US20130290487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multimedia data over a network
JP2012033981A (ja) 制御装置、録画機器
TWI458286B (zh) 行動媒體播放裝置及其方法
US11050579B2 (en) Distribution destination specifying device and distribution destination specifying method
JP5738664B2 (ja) コンテンツ再生制御装置、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03033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録画予約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情報再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1130417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トローラ、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再生装置決定方法
JP5077951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694396B1 (ko) 프로그램 예약 녹화 설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7060061A (ja) プログラム、携帯通信機及びテレビ操作方法
JP2007324749A (ja) 録画機器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