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330B1 - 곡물 순환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순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330B1
KR101017330B1 KR1020057016289A KR20057016289A KR101017330B1 KR 101017330 B1 KR101017330 B1 KR 101017330B1 KR 1020057016289 A KR1020057016289 A KR 1020057016289A KR 20057016289 A KR20057016289 A KR 20057016289A KR 101017330 B1 KR101017330 B1 KR 10101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upport
conveyor worm
conveyor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779A (ko
Inventor
로타 벨렌브록
노버트 브라우트푀르거
Original Assignee
노버트 브라우트푀르거
로타 벨렌브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3109317 external-priority patent/DE10309317B4/de
Priority claimed from DE20317311U external-priority patent/DE20317311U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320104U external-priority patent/DE20320104U1/de
Application filed by 노버트 브라우트푀르거, 로타 벨렌브록 filed Critical 노버트 브라우트푀르거
Publication of KR2005010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04Stacks, ricks or the like
    • A01F25/08Venti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65G29/02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for inclined or vertical trans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non-enclosed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26B9/08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mechanically agitating or recirculating the material being dried
    • F26B9/085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mechanically agitating or recirculating the material being dried moving the material in a substantially vertical sense using conveyors or agitators, e.g. screws or augers with vertical axis, which are positioned inside the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Sowing (AREA)
  • Screw Conveyor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곡물의 순환을 위한 컨베이어 웜(1,1')과 상기 콘베이어 웜(1,1')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2)으로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시간적으로 무제한 사용가능하고 곡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수작업이 필요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구동 유닛(2)은 회전 고정되도록 지지체(9)에 연결되고, 지지체의 하부 지지면은 컨베이어 웜(1,1')의 축에 대하여 각을 이루도록 놓인다. 지지체(9)는 컨베이어 웜(1,1')의 운반성능을 견딜 수 있는 표면 크기를 가지며, 곡물에 잠겨 회전하는 컨베이어 웜(1,1')의 원주방향 힘을 견딜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판(12, 22, 22')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곡물 순환 장치{DEVICE FOR CIRCULATING GRAIN PRODUCTS}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들은 곡물산업, 특히 곡물의 건조 및/또는 재고 관리에 사용된다.
수확한 지 얼마 안 되는 곡물은 습도를 가지고 있어 손실 없이 재고를 관리 하는 것이 어렵다. 축축한 곡물은 점점 커지는 국부 가열부들을 형성하며, 이러한 국부 가열부들은 곡물을 파괴한다. 또한, 해충이 많이 생기며, 이 해충들은 곡물의 파괴에 기여한다.
따라서, 수확한 지 얼마 안 되는 곡물은 실제 저장 전에 충분히 건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건조는 보통 건조 사일로(silo)에서 행해진다. 이때, 수확한 지 얼마 안 되는 곡물은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위에서부터 건조 사일로에 제공된다. 반면 건조하고 따뜻한 공기는 아래에서부터 건조 사일로에 유입된다. 건조한 공기는 곡물에서 일정 양의 습기를 흡수하며, 건조 사일로의 상부 영역에서 배기된다. 건조과정을 가속화하기 위해 곡물은 계속해서 순환되고 섞인다. 이때, 건조 사일로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순환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순환장치에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구동되는 여러 개의 컨베이어 웜이 제공되며, 이 컨베이어 웜들은 각각 곡물과 맞물려 곡물을 아래에서 위로 순환시킨다. 순환장치의 회전운동과 개별적인 컨베이어 웜들의 방사상 위치변경에 의해 컨베이어 웜들은 곡물의 모든 영역에 도달한다.
충분한 건조과정 후, 곡물을 둥근 저장 사일로(storage silo)나 평평한 창고에 저장하기 위해 옮긴다. 이때, 곡물은 계속해서 통풍이 되고 및/또는 순환되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국부적 가열부들의 생성을 막아야 한다.
둥근 저장 사일로를 위한 곡류 순환 저장장치는 예를 들면 DE-OS 27 21 782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곡류 순환 저장장치는 저장 사일로의 중간에 배치되고, 저장 사일로와 단단히 연결되며, 기본적으로 컨베이어 실린더와 구동되는 컨베이어 웜으로 구성된다. 저장된 곡물은 원뿔꼴의 바닥을 통해 컨베이어 웜의 영역으로 미끄러지고, 컨베이어 실린더를 통해 컨베이어 웜에서 저장 사일로의 상부 영역으로 운반되며, 저장된 곡물 위에 다시 축적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전 운반 작동이 형성된다.
상기 곡류 순환 저장장치는 저장 사일로의 고정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을 위해서만 마련된다. 평평한 창고에서의 사용은 제한된 작용범위로 인해 완전히 배제된다. 따라서, 곡류 순환 저장장치의 사용범위는 매우 제한된다. 상기 곡류 순환 저장장치는 요구되는 컨베이어 실린더로 인해 설치와 생산에 있어 아주 고가이다.
보통 곡물은 건조 후에 면적이 큰 창고로 옮겨져 평평하게 축적된다. 이때, 순환은 보통의 경우 수동으로 저어 이루어진다. 이은 육체적으로 어렵고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곡물의 순환을 위해 어려운 교반 기술을 사용하는 것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드물며 매우 고가이다. DE 35 00 881 A1에는, 저장소에 있는 곡물의 교반과 부드럽게 하기를 위한 드릴 오거(drill auger)가 알려져 있다. 이 드릴 오거는 기본적으로 핸드 드릴과 이 핸드 드릴에 끼워지는 컨베이어 웜으로 구성된다. 이때, 컨베이어 웜은 축적된 곡물의 높이에 일치하는 높이를 갖는다. 사일로 바닥에 드릴 오거를 지지하기 위해, 컨베이어 웜의 단부에는 공(ball)이 제공된다. 이 드릴 오거는 둥근 저장 사일로에서 뿐만 아니라 평평한 창고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 효과는 특히 창고에서 비교적 적다. 따라서, 작동 중 드릴 오거를 작동위치에 유지시키고 장소를 이동하기 위하여, 곡물에서 회전하는 컨베이어 웜의 저항력을 극복하는 것은 상당한 체력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드릴 오거는 매우 짧은 기간에 걸쳐서만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창고에서의 사용을 실제적으로 배제시킨다.
US 4 491 422에는 곡물을 아랫쪽 창고영역에서 윗쪽 창고영역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유사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는 똑같은 구조에서 추가 브레이크 플레이트가 제공되며,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는 관성력과 운반력을 저지하고 장치가 곡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한다.
US-A 5 980 100에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예를 들면 폐수를 혼합하고 환기시키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웜 톱니바퀴와 상기 웜 톱니바퀴의 구동 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유닛과 웜 톱니바퀴는 커플링 유닛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 장치는 웜 톱니바퀴에 있는 폐수를 선회시키고, 특별한 적용의 경우 관을 통해 대기의 공기를 물로 운반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적으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순환을 위해 수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곡물 순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은 종속항 2 내지 12에 기재되어 있다.
양 실시 형태와 함께 새로운 장치는 선행기술의 상기한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장치의 특별한 장점은 장치가 곡물에 의해 받쳐진다는데 있다. 이로써, 고정 장치에 있어 건조 사일로나 저장 사일로와의 모든 연결이나 지지(support)가 생략된다. 이러한 점은 고정 장치가 사일로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적용영역이 확대된다. 따라서, 곡물에 의해 받쳐진 고정 장치는 장치를 잡고 가이드해야 하는 조작자가 계속 함께 있을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점은 취급을 매우 손쉽게 한다.
또한, 장치를 이송(mobile) 장치로 형성함으로써 적용영역이 확대된다. 즉, 장치는 큰 면적에서 축적된 곡물 더미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곡물을 위한 평면 창고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이송 장치는, 공급(filling) 공간에 생긴 운반된 곡물의 역류 힘에 의해 구동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장치를 움직이기 위한 기계적인 구동 유닛들이 불필요하다. 이송 장치의 공급 공간이 쉽게 폐쇄될 수 있는 것이 특별한 장점이다. 따라서, 이송 장치는 고정적인 작동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장치의 적용범위를 넓게 한다.
본 발명을 두 개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위로 오픈된 지지체를 가진 고정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아래로 오픈된 지지체를 가진 고정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폐쇄된 중공체 형태의 지지체를 가진 고정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의 지지체를 가진 고정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이송 장치의 측면도,
도 7은 이송 장치의 또 다른 측면도,
도 8은 이송 장치의 평면도,
도 9는 특수한 컨베이어 웜을 가진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컨베이어 웜 2: 구동 유닛
3, 26 : 커플링 유닛 4: 가이드 채널
5: 방사상 출구 6: 공급 호스
7: 공기 또는 액체 공급 유닛 8: 고정 요소
9: 지지체 10: 기저판
11: 내벽 12, 22: 차단판
13: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 14: 공급 공간
15: 정면벽 16: 측벽
17: 덮개측 지지 플레이트 18: 공급 공간의 방출영역
19: 측벽의 선회가능 영역 20: 측벽의 선회가능 영역의 추가 지지부
21: 가이드 플레이트 23: 뒷쪽 조절장치
24: 앞쪽 조절장치 25: 구동 유닛의 수용부
27: 온도 센서 28: 중심 불균형(unbalance)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곡물 순환을 위한 고정 장치는 기본적으로 컨베이어 웜(1)과 상기 컨베이어 웜(1)의 구동 유닛(2)으로 구성된다. 컨베이어 웜(1)과 구동 유닛(2)은 커플링 유닛(3)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다른 길이의 컨베이어 웜(1)이 사용될 수 있다. 컨베이어 웜(1)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출구들(5)을 가진 내부 가이드 채널(4)을 가지며, 상기 구멍들은 공급 호스(6)를 통해 공기 또는 액체 공급 유닛(7)과 연결된다. 구동 유닛(2)은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며, 고정 요소(8)를 통해 지지체(9)에 단단히 연결된다.
도 1과 도 2에 따르면, 지지체(9)는 컵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저판(10)와 둘러싸는 내벽(11)을 갖는다. 이때, 기저판(10)는 원형, 4각형,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컵형 지지체의 오픈된 면은 상부에 위치한다. 기저판(10)는 컨베이어 웜(1)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놓이며, 컨베이어 웜(1)의 운반성능에 적절한 크기를 가진다. 이때, 기저판(10)의 크기는 지지체(9)의 받침 힘이 곡물 표면부에 장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컵형 지지체(9)의 오픈된 면이 상부로 향해 있기 때문에 구동 유닛(2)은 지지체(9)에 삽입되어 기저판(10)에 부착된다.
기저판(10)은 차단판(12)을 가지며, 이 차단판는 컨베이어 웜(1)의 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컨베이어 웜(1)의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놓인다. 이때, 차단판(12)은 컨베이어 웜(1)의 회전 모멘트의 크기에 맞는 표면 크기를 갖는다. 차단판(12)은 바람직하게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기저판(10)에서 여러 가지 위치에서 제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컨베이어 웜(1)의 적용에 따른 회전 모멘트의 크기에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컵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체(9)를 가진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체의 오픈된 면은 아래로 향해있다. 여기에서도 차단판(12)은 이동이 가능하며 제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4에는 곡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컨베이어 웜(1), 구동 유닛(2), 지지체(9)로 구성된다. 지지체(9)는 폐쇄된 중공체(hollow body) 형태로 형성된다. 중공체의 내부에 포함된 공기에 의해 추가적으로 작용하는 부력으로 인해, 지지체(9)는 방사상 너비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12)는 중공체 형태의 지지체(9) 하단 면에 단단히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단판(12)는 지지체(9)에 용접된다.
도 5에 따르면, 곡물 순환 장치의 지지체(9)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치의 하단 면에는 차단판(12)이 용접된다.
곡물 순환 장치의 고정 실시 형태의 작용방식은 비교적 간단하며, 도 1 내지 도 5의 도면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본 장치는 컨베이어 웜(1)과 함께 수평으로 곡물 위에 올려지며, 컨베이어 웜(1)의 자유단은 곡물과 접촉한다. 그 후, 구동 유닛(2)이 가동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웜(1)은 곡물로 파고 들어간다. 이때, 컨베이어 웜(1)은 수직으로 배열된다. 컨베이어 웜(1)은 지지체(9)가 곡물 위에 전면적으로 올려질 때까지 파고 들어간다. 이제 컨베이어 웜(1)의 나선 피치들에 위치하는 곡물이 나선 피치들을 따라 위로 밀려 올라가고 곡물의 표면부에 내려짐으로써 곡물의 운반이 시작된다. 이때, 항상 가장 아랫쪽 나선 피치들에서만 새로운 곡물이 수용된다. 왜냐하면 보다 높은 나선 피치들에서는 다른 곡물의 수용을 위한 빈 공간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항상 가장 아랫쪽 곡물이 표면부까지 운반된다. 반면, 중간층들은 아랫쪽의 빈 공간으로만 미끄러져 떨어진다. 곡물의 아랫부분을 밀어올려 윗부분에 저장하고 운반되지 않은 곡물은 계속적인 미끄러짐으로써, 곡물 내부에 회전이 생기고, 상기 회전에 의하여 보다 따뜻한 곡물층은 위로 옮겨지고 보다 차가운 곡물층은 아래로 옮겨진다. 장치에 대해 방사상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는 작동 중에 항상 같은 장소에 머물고 정지 위치에 남아 있다. 왜냐하면 컨베이어 웜(1)의 회전하는 움직임에서 나오는 원주방향 힘(peripheral forces)은 곡물에 잠긴 차단판(12)에 의해 수용되기 때문이다. 즉, 컨베이어 웜(1)만이 회전하고, 장치는 사용 장소에 정지해 있다.
특별한 방식에 의하면, 이러한 순환 과정에서 공기 또는 액체 공급 유닛(7)에서 따뜻하거나 찬 공기 또는 액체들이 공급호스(6)를 통해 가이드 채널(4)과 방사상 출구들(5)에 첨가될 수 있다. 곡물은 공기 공급에 의해 추가적으로 건조되거나 냉각되며, 액체로 곡물에 있는 해충을 퇴치하거나, 예컨대 사료용 곡물의 지속성이 향상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따른 곡물의 순환을 위한 이송 장치는 특히 평면 창고에 적합하며,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와 이미 첫번째 실시예에서 알려진 컨베이어 웜(1')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웜(1')은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를 통과하여 중간에서 연장되고, 수직으로 놓이거나 또는 지지 플레이트(13)에 대해 수직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13)는 수직으로 향한 컨베이어 웜(1')을 통하여 전방 영역에 세워져 있다. 기울기는 조절이 가능하다.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는 오픈된 사다리꼴 표면 세그먼트를 가진 원형 표면을 갖는다.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의 오픈된 표면 세그먼트 위에는 공급 공간(14)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의 오픈된 사다리꼴 표면 세그먼트에 일치하는 각기둥 모양을 갖는다. 공급 공간(14)은 정면벽(15), 두 개의 측벽(16,16'), 덮개측 지지 플레이트(17)에 의해 한정된다. 이때, 정면벽(15) 뿐만 아니라 측벽들(16,16')은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에 수직으로 놓이며, 덮개측 지지 플레이트(17)는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에 대해 평행하게 놓인다. 공급 공간(14)은 정면벽(15)에 마주하며, 덮개측 지지 플레이트(17)에 의해 덮히고 측벽들(16, 16')에 의해 둘러싸여 수평 방향으로 열리는 방출 영역(18)을 갖는다. 이때, 측벽들(16,16')은, 정면벽(15)을 등지고 방출 영역(18)을 향해 있는 면에서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측벽(16,16')은 고정된 부분과 선회가능한 부분(19,19')으로 나눠진다.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측벽(16,16')의 선회가능한 부분들(19,19')은 최소의 방출 영역(18)을 형성하고, 서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측벽(16,16')의 선회가능한 부분들(19,19')은 최대의 방출 영역(18)을 형성한다. 이때, 하나 또는 양 선회가능한 부분들(19,19')은 공급 공간(14)이 닫히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곡물의 방출은 저지되며, 순환 중 장치의 구동은 방지된다. 측벽(16,16')의 선회가능한 부분들(19,19')에는, 수평으로 바닥측 지지플레이트(13)에 배치된 각 하나의 추가 지지부(20,20')가 부착된다. 측 벽(16,16')의 선회가능한 부분들(19,19')이 서로 마주하도록 선회하여 공급 공간(14)과 방출 영역(18)을 작게 하거나 닫으면, 상기 추가 지지부는 공급 공간(14)을 아래로 닫을 수 있도록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에서 열려있는 표면 세그먼트와 덮개측 지지 플레이트(17)는 최대 공급 공간에 맞도록 크기를 갖는다.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와 덮개측 지지 플레이트(17)를 고정 장치의 지지체(9)의 형태를 따라 형성하고, 그 안에 구동에 필요한 공급 공간을 통합시키는 것은 전문가의 결정에 달려 있다. 또한,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는 일면에 꺾여올려진 가이드 플레이트(21)를 갖는다. 이 가이드 플레이트(21)는 장치의 작업방향에 평행하게 놓인다. 이 가이드 플레이트(21)의 크기와 방향은 이미 상승된 곡물 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가이드 플레이트(21)의 크기, 형태, 기울기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추가적인 가이드 플레이트(21)를 제공하는 것은 전문가의 결정에 달려 있다.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두 개의 차단판(22, 22')를 관통한다. 이 차단판은 각기 공급 공간(14)의 외부에서 측면으로 설치되며, 장치의 회전 제동에 적절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차단판(22,22')의 높이 조절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모터로 움직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급 공간(14)의 내부에서는 방출 영역(18)을 중간에서 나누면서, 덮개측 지지 플레이트(17)에는 곡물에 잠기는 뒷쪽 조절장치(23)가 부착되며, 이 조절장치는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뒷쪽 조절장치(23)의 효과적인 표면 크기는 장치의 조절에 따라 결정된다. 뒷쪽 조절장치(23)와 동일선상에서 이 조절장치의 맞은편, 바닥측 지지 플레이트(13)의 하부에는, 곡물에 잠기는 앞쪽 조절장치(24)가 설치되며, 이 조절장치도 마찬가지로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앞쪽 조절장치(24)의 효과적인 표면 크기는 뒷쪽 조절장치(23)의 크기와 거의 일치한다. 앞쪽 조절장치(24)와 뒷쪽 조절장치(23)는 모두 방향조절을 위해 사용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손으로 조절되거나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모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차단판(22,22')의 사용과 뒷쪽 조절장치(23)의 사용 및 앞쪽 조절장치(24)의 사용은 선택적이다.
컨베이어 웜(1')은 구동 유닛(2')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연결되며, 구동 유닛(2')은 수용부(25)를 통해 덮개측 지지 플레이트(17)에 부착된다. 구동 유닛(2')은 전기에너지로 구동가능할 뿐 아니라 내연 기관으로 설비될 수 있다. 말단 동력측에서는 회전수가 약 250 내지 750 min-1에 달한다.
컨베이어 웜(1')은 시중에 흔히 구할 수 있으며 약 50 내지 100mm의 웜 지름을 갖는다. 컨베이어 웜(1')의 지름과 기울기 및 회전수는 운반되는 곡물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컨베이어 웜(1')의 길이 역시 가변적이며, 대략 1000mm 내지 4000mm 에 달하며, 하단은 곡물 더미로 돌출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고정 장치에 따르면, 컨베이어 웜(1')은 중공축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축은 공기 또는 액체 공급 유닛(7)과 연결된다.
도 6에 따르면, 컨베이어 웜(1')은 공급 공간(14)의 영역에 중심에서 벗어나 부착된 추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컨베이어 웜(1')의 회전수와 함께 추가적으로 병진 추진력(translatoric impulse)을 생성한다. 이러한 불균형 추(28)는 병진 추진력이 수직으로 정면벽(15)과 방출 영역(18)에 작용하도록 컨베이어 웜(1')에 부착된다.
도 9에는 구동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기울기를 갖는 컨베이어 웜(1')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톱니 플랭크들(tooth flank) 사이에는 다양한 운반공간들이 형성되며, 상기 톱니 플랭크들은 구동 유닛(2') 방향으로 커진다. 이에 의하여, 곡물은 하부 구역에서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웜(1') 둘레의 모든 영역으로부터 수용된다. 컨베이어 웜(1')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곡물을 취함으로써, 컨베이어 웜(1')에 작용하는 곡물의 측면 저항이 감소된다. 이러한 점은 곡물을 컨베이어 웜(1')에 더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에는 덮개측 지지 플레이트(17)의 영역에 측면, 앞쪽, 뒷쪽 커플링 유닛들(26)이 제공되며, 이 커플링 유닛들은 해당 스페이서(spacer)를 통해 여러 개의 이송 장치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곡물의 보다 큰 표면을 포착하는 여러 개의 장치들의 구성(formation)이 편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장치의 두 개 이상의 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장치들은 또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때, 구성의 방향 변경은 컨베이어 웜(1')의 운반성능과 외부에 놓인 하나 또는 다수의 장치들의 구동 속도가 차단되거나 감소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되거나 제동이 걸린 장치들은 장치의 전체 구성을 위해 회전축이 된다.
이송 장치에는 또한 뒷쪽 영역에 온도 센서(27)가 제공되며, 이 온도 센서는 이송된 곡물의 온도를 재고, 해당 조절요소들을 통해 장치의 구동 속도를 정한다. 운반된 곡물이 보다 높은 온도를 나타내면 구동속도는 감소된다. 운반된 곡물의 온도가 보다 낮으면 구동속도는 증가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국부 가열부는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하, 곡물로 채워진 평면 창고에서 불연속적인 작동으로 국부 가열부를 제거할 때 이송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곡물 표면부의 장치는 먼저 1 내지 2 미터 깊이의 표면부 아래에 국부 가열부가 탐지된 장소로 옮겨진다. 이때, 장치 자체와 컨베이어 웜(1')은 그 길이 때문에 분리되어 운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컨베이어 웜(1')의 상단은 회전이 되지 않도록 구동 유닛(2)의 말단 동력측과 연결되며, 곡물 위에 평평하게 놓인다. 그 후, 구동 유닛(2)을 켜면, 컨베이어 웜(1')은 독립적으로 곡물로 파고 들어가며, 수평 위치에서 수직 위치로 가라 앉는다. 회전수, 지름, 기울기에 따라 컨베이어 웜(1')은 곡물을 공급 공간(14)으로 운반한다. 공급 공간(14)에서 최대의 공급 체적에 도달하면 공급 압력이 생기며, 이 공급 압력은 정면벽(15)과 측벽들(16, 16')에 지지되어 방출 영역(18) 방향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계속되는 운반에 의해 곡물은 방출 영역(18)에서 밀려 나온다. 공급 공간(14)에서 방출 공간(18) 방향으로 곡물이 유출되면 반대 방향 힘을 발생시키며, 이 힘은 공급 공간(14)의 정면벽에 작용하여 전체 장치를 작업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장치는 곡물 위에 놓여서 작업방향으로 움직이며, 동시에 국부 가열부로부터 운반된 곡물은 공급 공간(14)에서 방출되어 형성되는 곡물 벽에 놓인다. 컨베이어 웜(1')의 길이로 인해, 상기 컨베이어 웜과 구동 유닛(2) 자체는 장치에 추진 진동을 도입하며, 작업방향의 움직임을 촉진된다. 장치는 조절장치들(23,24)에 더하여 조작자가 동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밀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방향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송 장치는 또한 건조과정 중 곡물의 혼합을 위해 곡물로 채워진 평면 창고에서 연속적인 작동에도 사용가능하다. 장치는 조작자에 의해 첫 번째 작동 사이클에서 방출된 곡물이 창고 표면의 중간에 정렬되고 곧은 벽을 만들도록 정렬된다. 이에 이어서, 장치는 가이드 플레이트(21)와 함께 방출된 벽과 함께 설치되도록 정렬된다. 이어지는 회전들에서, 장치는 가이드 플레이트(12)를 통하여 회전 모멘트를 사용하여 가이드 플레이트(21) 방향으로 마지막으로 발생된 곡물 벽에 지지되며, 방출된 벽을 따라 가이드 된다. 각 구간의 끝에서, 장치는 조작자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옮겨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창고의 전체 면이 연속적으로 처리된다.
이송 장치의 연속적인 가동은 자동으로도 실현가능하다. 이를 위해, 장치에는 발신기들, 센서들, 조절 구동장치가 제공되며, 적절한 자료처리 기계와 연결된다. 장치는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실질적인 공간적 x, y, 경우에 따라서는 z 좌표를 자료처리 기계에 보내며, 이 기계는 좌표들을 해당 프로그램에서 처리한다. 그 후, 자료처리 기계는 장치로 파라미터를 보내며, 상기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예를 들면 차단판(22,22'), 뒷쪽 조절장치(23) 및/또는 앞쪽 조절장치(24)가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자동적 가동은, 적절히 설비된 센서들이 곡물 더미 내에서 국부 가열부를 탐지할 수 있도록 최적화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들은 국부 가열부의 x, y, z 좌표들을 자료처리 기계로 보낸다. 이에 따라 이 기계는 장치를 목표에 따라 평면 창고를 통해 국부 가열부로 이끈다. 국부 가열부들을 탐지하기 위한 센서들은 온도측정센서, 밀도측정센서, 수소함량측량센서 또는 이산화탄소함량측량센서일 수 있다.

Claims (12)

  1. 곡물을 위한 컨베이어 웜(1,1')과 상기 컨베이어 웜(1,1')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2)으로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워 웜과 구동 유닛은 커플링 유닛(3)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 유닛(2)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체(9)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의 하부 지지면은 컨베이어 웜(1,1')의 축에 대해 각을 이루도록 놓이며, 상기 지지체(9)는 컨베이어 웜(1,1')의 운반성능을 견딜 수 있는 표면 크기를 가지고, 상기 지지체에는 곡물에 잠기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판(12,22,22')이 제공되며, 상기 차단판(12, 22, 22')은 회전 컨베이어 웜(1,1')의 원주방향 힘(peripheral forces)을 견딜 수 있는 표면 크기를 갖는 아래쪽 창고영역에서 윗쪽 창고영역으로 곡물을 순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웜(1,1')은 차단판(12,22,22')이 잠긴 깊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 웜은 그 형태와 치수에 있어서 곡물을 가장 아래쪽 창고영역에서 가장 윗쪽 창고영역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설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는 임의의 형상의 지지면을 가지고 컵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오픈된 면은 컨베이어 웜(1)을 등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는 임의의 형상의 지지면을 가지고 컵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오픈된 면은 컨베이어 웜(1)을 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에는 운반된 곡물을 위한 공급 공간(14)이 제공되며, 상기 공급 공간(14)은 운반된 곡물을 곡물 더미 위에 축적하기 위한 측면 방출 영역(18)을 가지며, 상기 공급 공간(14)의 크기와 방출 영역(18)의 크기는 공급 공간(14)의 내부에서 운반된 곡물에서 나오는 운반 구동에 충분한 압력이 장치에 영향을 미치도록 서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공간(14)에는 장치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방출 영역(18)에서 '완전 열림'에서 '닫힘'까지 방출 영역(18)의 구멍 횡단면을 조절하는 설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웜(1')은, 지지체(9)의 정면이 컨베이어 웜(1')의 수직 배렬시 곡물 더미에서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9)에 대해 조절가능한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웜(1')은 상기 지지체(9)에 대하여 구동 유닛(2') 방향으로 증가하는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는 커플링 유닛들(26)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 유닛들에 의하 여 복수의 장치들이 작업영역을 증가시키도록 배열되는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는 운반된 곡물의 온도를 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27)를 가지며, 상기 온도센서(27)는 장치의 운반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장치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웜(1,1')은 축방향의 가이드 채널(4)과 방사상 출구들(5)을 가지며, 상기 방사상 출구들(5)은 공기 또는 액체 공급시설(7)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57016289A 2003-03-04 2004-03-03 곡물 순환 장치 KR101017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3109317 DE10309317B4 (de) 2003-03-04 2003-03-04 Vorrichtung zur Umwälzung von gelagertem Getreide, insbesondere in einem Flachlager
DE10309317.6 2003-03-04
DE20317311.2 2003-11-07
DE20317311U DE20317311U1 (de) 2003-11-07 2003-11-07 Vorrichtung zur Umwälzung von gelagertem Getreide, insbesondere in einem Flachlager
DE20320104U DE20320104U1 (de) 2003-12-23 2003-12-23 Vorrichtung zum Umwälzen von Korngut
DE20320104.3 2003-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79A KR20050107779A (ko) 2005-11-15
KR101017330B1 true KR101017330B1 (ko) 2011-02-28

Family

ID=3296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289A KR101017330B1 (ko) 2003-03-04 2004-03-03 곡물 순환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350964B2 (ko)
EP (1) EP1601451B1 (ko)
JP (1) JP4504352B2 (ko)
KR (1) KR101017330B1 (ko)
AT (1) ATE347930T1 (ko)
AU (1) AU2004216936B2 (ko)
BR (1) BRPI0408091B8 (ko)
CY (1) CY1106360T1 (ko)
DE (2) DE112004000809D2 (ko)
DK (1) DK1601451T3 (ko)
ES (1) ES2279354T3 (ko)
LV (1) LV13424B (ko)
PL (1) PL1601451T3 (ko)
PT (1) PT1601451E (ko)
SI (1) SI1601451T1 (ko)
WO (1) WO20040783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01451B1 (de) * 2003-03-04 2006-12-13 Lothar Wellenbrock Vorrichtung zum umwälzen von korngut
TWI318151B (en) * 2007-02-09 2009-12-11 Ind Tech Res Inst Apparatus for detecting manufacturing parameters of a machine tool
DE202008003557U1 (de) * 2008-03-13 2008-06-05 Riela - Getreidetechnik Karl-Heinz Knoop E.K. Schubwendetrockner mit Feuchte-Messeinrichtung
DE202008004788U1 (de) 2008-04-04 2008-07-24 Wellenbrock, Lothar Vorrichtung zum Umwälzen von Korngut
DE202008014351U1 (de) 2008-10-29 2009-03-26 Brautferger, Norbert Vorrichtung zum Umwälzen von Korngut
JP5222183B2 (ja) * 2009-03-03 2013-06-26 正夫 金井 連続式乾燥装置
JP5569671B2 (ja) * 2009-05-20 2014-08-13 極東産機株式会社 糊溶解装置
JP2014206348A (ja) * 2013-04-15 2014-10-30 有限会社レベルアップ 穀物類撹拌装置
CN108609771A (zh) * 2018-05-08 2018-10-02 福建省蓝深环保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河道治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1422A (en) * 1983-07-29 1985-01-01 Salter Franklin J Portable spot mixing apparatus
KR960008706A (ko) * 1994-08-31 1996-03-22 김은영 고밀도 자기 기록용 자성 박막 재료
KR960008706B1 (ko) * 1987-05-16 1996-06-29 게오르그 허버 한스 채널내에 흐르는 액체에서 스크리닝(screening) 또는 필터링(filtering)하는 물질의 제거장치
US5980100A (en) * 1995-09-27 1999-11-09 Aquasystems International N.V.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s
JPH11513958A (ja) * 1995-06-16 1999-11-30 ダイナパ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クチエボラーグ バラ物資材を均質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8493A (en) * 1963-06-12 1965-08-03 Eugene G Sukup Portable grain aeration device
US3272480A (en) * 1964-10-26 1966-09-13 Sukup Mfg Method and apparatus for aerating stored grain
US3563399A (en) * 1967-05-15 1971-02-16 Charles C Shivers Method for circulating grain stored in a circular bin
FR2352732A1 (fr) 1976-05-28 1977-12-23 Izumi Masahiko Stockage de graines avec circulation
DE3500881A1 (de) 1985-01-12 1986-07-17 Walter 7793 Sauldorf Muffler Bohrschnecke zum wenden und auflockern von getreide in vorratsspeichern
JP3350126B2 (ja) * 1993-03-03 2002-11-25 豊国工業株式会社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JP3199315B2 (ja) * 1998-03-17 2001-08-20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穀槽における穀粒撹拌装置
JP3637294B2 (ja) * 2000-09-18 2005-04-13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曝気機
EP1601451B1 (de) * 2003-03-04 2006-12-13 Lothar Wellenbrock Vorrichtung zum umwälzen von korngut
GB201110567D0 (en) * 2011-06-22 2011-08-03 Jenton Internat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valve ba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1422A (en) * 1983-07-29 1985-01-01 Salter Franklin J Portable spot mixing apparatus
KR960008706B1 (ko) * 1987-05-16 1996-06-29 게오르그 허버 한스 채널내에 흐르는 액체에서 스크리닝(screening) 또는 필터링(filtering)하는 물질의 제거장치
KR960008706A (ko) * 1994-08-31 1996-03-22 김은영 고밀도 자기 기록용 자성 박막 재료
JPH11513958A (ja) * 1995-06-16 1999-11-30 ダイナパ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クチエボラーグ バラ物資材を均質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5980100A (en) * 1995-09-27 1999-11-09 Aquasystems International N.V.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47930T1 (de) 2007-01-15
AU2004216936B2 (en) 2010-05-27
ES2279354T3 (es) 2007-08-16
US20060227655A1 (en) 2006-10-12
EP1601451B1 (de) 2006-12-13
LV13424B (en) 2006-09-20
SI1601451T1 (sl) 2007-06-30
PT1601451E (pt) 2007-03-30
DK1601451T3 (da) 2007-02-12
PL1601451T3 (pl) 2007-06-29
DE502004002298D1 (de) 2007-01-25
KR20050107779A (ko) 2005-11-15
JP4504352B2 (ja) 2010-07-14
BRPI0408091A (pt) 2006-02-14
JP2006521097A (ja) 2006-09-21
BRPI0408091B8 (pt) 2013-02-19
DE112004000809D2 (de) 2006-02-02
AU2004216936A1 (en) 2004-09-16
CY1106360T1 (el) 2011-10-12
EP1601451A1 (de) 2005-12-07
US7350964B2 (en) 2008-04-01
BRPI0408091B1 (pt) 2013-01-08
WO2004078331A1 (de)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330B1 (ko) 곡물 순환 장치
US3456818A (en) Grain auger apparatus
US3532232A (en) Apparatus for evenly evacuating grain from a grain drying bin
AU661019B2 (en) Device and method for outloading bulk materials
US5180272A (en) Device and method for outloading bulk materials
US3824705A (en) Apparatus for drying grain
KR20060103154A (ko) 라이너 소재 공급 장치
ZA200506278B (en) Device for circulating grain products
JP5675715B2 (ja) 間接加熱式乾燥装置
US3592447A (en) Apparatus for handling and conditioning grain
US5798038A (en) Device for removing deposited material from a liquid in a flume
US4828399A (en) Compost handling machine
KR20010044806A (ko) 곡물 운송용 적재함
RU23369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орачивания зерновой массы
US9809402B2 (en) Segmented bin sweep system
KR200303116Y1 (ko)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FI106626B (fi) Laite kiinteän materiaalin varastossa
KR200237383Y1 (ko) 곡물 운송용 적재함
CN220648807U (zh) 新型真空干燥机
KR20000040206A (ko) 곡물 및 고추 건조장치
LT5349B (lt) Įrenginys grūdų pervertimui
KR100684468B1 (ko) 재료 자동 공급 장치
KR200365109Y1 (ko) 멸치자숙기
SU11446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рмохимической и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рмов
DE20317311U1 (de) Vorrichtung zur Umwälzung von gelagertem Getreide, insbesondere in einem Flachl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