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109Y1 - 멸치자숙기 - Google Patents

멸치자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109Y1
KR200365109Y1 KR20-2004-0022290U KR20040022290U KR200365109Y1 KR 200365109 Y1 KR200365109 Y1 KR 200365109Y1 KR 20040022290 U KR20040022290 U KR 20040022290U KR 200365109 Y1 KR200365109 Y1 KR 200365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vy
foot
transfer device
chain
anchovy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김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렬 filed Critical 김정렬
Priority to KR20-2004-0022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1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4/0053Preserving by heating with gas or liquid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멸치자숙기에 관한 것으로, 다단으로 적재된 멸치발(1)을 연소실(20)이 구비된 자숙탱크(10) 내외측으로 연속하여 하강 및 상승시키는 수직이송장치(30, 50)와, 상기 자숙탱크(10)로 하강된 상기 멸치발(10)을 상승 위치까지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장치(40)가 구비된 멸치자숙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40)는, 상기 멸치발(1)의 좌우측에서 상기 멸치발(1)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각각의 내측부가 상기 멸치발(1)의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회전구동되는 체인구동축(41)과; 상기 체인구동축(41)의 상,하부에 개별로 구속되어 상기 멸치발(1)의 좌우측 및 상하측에서 상기 체인구동축(41)의 회동에 따라 일정속도로 순환이동되는 연속체인(42)과; 상하로 이격된 상기 연속체인(42)에 상하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멸치발(1)의 높이에 해당되는 길이로 상기 연속체인(42)으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상기 멸치발(10)의 좌우부를 이송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바(4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수평이송장치의 규모를 공간효율적인 구조로 최소화시킴으로써 선상으로의 설치 및 운용과, 자숙탱크 내외로의 멸치발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치자체의 작동구조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자숙탱크 내의 공간소모가 최소화됨에 따라, 멸치발의 단위처리량이 현격이 증가되고, 가온시간이 단축되어 자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멸치자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멸치자숙기{an apparatus to boil an anchovy}
본 고안은 멸치자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숙탱크 내측에서 멸치발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송장치를, 상기 멸치발의 수평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설치된 체인구동축과, 상기 체인구동축의 상하부에 별도로 구속되어 멸치발에 인접하게되는 일부가 수평이송방향을 향하도록 연동순환되는 연속체인과, 상하로 이격된 상기 연속체인에 상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연속체인 외측으로 돌출설치된 가압바로 구성함으로써, 공간효율적인 구조에 의해 장치자체의 규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축소된 자숙탱크 수용공간에 의해 멸치의 자숙처리시간을 단축시키고, 동일너비의 공간부내 단위처리량 또한 확장시킴으로써 자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멸치자숙기에 관한 것이다.
멸치는 바닷물에서 올려오는 순간 바로 죽게되므로, 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그물에 포획된 멸치는 멸치를 삶는 배로 바로 이송되어 사각형 발에 고르게 펴서 담겨진 채 멸치자숙기에 넣어져 자숙처리된 후, 건조, 선별, 단위 포장 등과 같은 처리과정을 거치게된다.
기존의 재래식에서는 10개가량 포개진 발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자숙기에 투입시키고 발이 뜨지 못하게 일정시간 고정시켜 놓았다가 넣은 순서대로 들어내고, 빈 칸에 다시 발을 채워넣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자숙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멸치와 물이 담겨진 다수의 발을 승하강시키는데 인력소모가 크고, 일정한 자숙시간을 유지하기 어려워 멸치의 품질도 고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멸치발을 자숙기에 자동으로 투입시키고, 일정시간동안 노출시킨 후 다시 상승시키는 작동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자동식 멸치자숙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 중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22446호의 멸치자숙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상기 멸치자숙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평이송장치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상기 멸치자숙기는 종래에 판상형 클램프(9)를 구비한 멸치자숙기의 구조상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수평이송컨베이어(8)에 클램프(9')를 진행길이방향에 직각방향으로 고정하고, 단부에 발(19)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로울러(9a')를 자유회전하게 설치하며, 발(19)의 좌우폭과 동일한 폭으로 연속설치하고, 상기 수평이송컨베이어(8)는 내외측으로는 발(19)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0)을 구비한 구조를 가지며, 자숙탱크(3')의 해수수용량을 줄이도록 상기 연소실(2')과 상기 클램프(9')의 배치구조가 조정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클램프(9')는 상기 수평이송컨베이어(8)의 상측에 위치할 시에는 상기 발(19)을 그 길이에 해당되는 갯수만큼 한꺼번에 밀어 이송시키지만, 하측에 위치할 시에는 그 길이에 해당되는 만큼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재래식에서 한꺼번에 10정도의 발을 하나의 단위로 처리할 수 있었던 것을 동일한 공간내에서 5개이하의 발을 하나의 단위로 밖에 처리할 수 없으며, 기존과 동일한 처리량을 가지도록 높이를 2배이상으로 구성하면 장치의 수직부피가 상승하여 발의 투입 및 배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온시켜야하는 해수량이 늘어난만큼 가온시간도 늘어나게되어 처리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소실(2')의 규모를 축소시켜 상기 클램프(9')의 이동경로 내측에 위치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연소실(2')은 충분한 발열면적을 가지는 기본적인 요건을 갖추어야하므로, 상기 클램프와의 겹침공간부가 소정으로 한정될 수 밖에 없어 자숙효율을 근본적으로는 향상시키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수평이송장치의 규모를 공간효율적인 구조로 최소화시킴으로써 선상으로의 설치 및 운용과, 자숙탱크 내외로의 멸치발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멸치자숙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장치자체의 작동구조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자숙탱크 내의 공간소모가 최소화됨에 따라, 멸치발의 단위처리량이 현격이 증가되고, 가온시간이 단축되어 자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의 멸치자숙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멸치자숙기의 측면도
도 2 - 도 1의 수평이송장치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멸치자숙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 도 3의 평면도
도 5 - 도 3의 요부사시도
도 6 - 연소실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멸치발 10 : 자숙탱크
20 : 연소실 21 : 발열관
22 : 연통 30 : 수직하강장치
40 : 수평이송장치 41 : 체인구동축
42 : 연속체인 43 : 가압바
45 : 모터 46 : 구동중심축
47 : 베벨기어 50 : 수직상승장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다단으로 적재된 멸치발(1)을 연소실(20)이 구비된 자숙탱크(10) 내외측으로 연속하여 하강 및 상승시키는 수직이송장치(30, 50)와, 상기 자숙탱크(10)로 하강된 상기 멸치발(10)을 상승 위치까지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장치(40)가 구비된 멸치자숙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40)는, 상기 멸치발(1)의 좌우측에서 상기 멸치발(1)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각각의 내측부가 상기 멸치발(1)의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회전구동되는 체인구동축(41)과; 상기 체인구동축(41)의 상,하부에 개별로 구속되어 상기 멸치발(1)의 좌우측 및 상하측에서 상기 체인구동축(41)의 회동에 따라 일정속도로 순환이동되는 연속체인(42)과; 상하로 이격된 상기 연속체인(42)에 상하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멸치발(1)의 높이에 해당되는 길이로 상기 연속체인(42)으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상기 멸치발(10)의 좌우부를 이송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바(43);를 포함하여 구성된 멸치자숙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2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연통(22)측으로 연속형성된 다수의 발열관(21)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송장치(30, 50)는, 상기 수평이송장치(40)와 같은 구성이 90°또는 -90°회전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체인구동축(41)은, 모터(45)에 의해 일방으로 회동되는 구동중심축(46)의 좌우부에 대칭구조로 설치된 베벨기어(47)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격설치된 각각이 반대 방향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송장치(40)는, 상기 멸치발(1)을 상승시키는 수직이송장치(50) 상측에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자숙탱크(10) 외측으로 상승된 상기 멸치발(10)을 지정위치까지 수평이동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바(43)는, 회동가능한 롤러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평이송장치의 규모를 공간효율적인 구조로 최소화시킴으로써 선상으로의 설치 및 운용과, 자숙탱크 내외로의 멸치발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치자체의 작동구조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자숙탱크 내의 공간소모가 최소화됨에 따라, 멸치발의 단위처리량이 현격이 증가되고, 가온시간이 단축되어 자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발열효율이 높은 연소실 구조에 의해 가온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멸치자숙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6은 연소실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멸치자숙기는, 하측에 연소실(20)이 구비된 자숙탱크(10)와, 상기 자숙탱크(10) 내측으로 다단으로 적재된 멸치발(1)을 하강시키는 수직하강장치(30), 상기 자숙탱크(10)로 하강된 상기 멸치발(10)을 일정시간동안 상승 위치까지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장치(40), 수평이동된 상기 멸치발(10)을 상승시키는 수직상승장치(50)가 구비되어, 상기 멸치발(1)의 상기 자숙탱크(10)로의 투입 및 배출, 가온된 물에 일정시간동안의 자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되는 멸치자숙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송장치(40)는 체인구동축(41)과, 연속체인(42)과, 가압바(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인구동축(41)은 상기 멸치발(1)의 수평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멸치발(1)에 인접하게되는 내측부가 수평이송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되며, 상기 연속체인(42)은 단부가 없도록 연속형성되고 상기 체인구동축(41)의 상하부에 별도로 구속되어 상기 체인구동축(41)에 연동되며, 상기 가압바(43)는 상하로 이격된 상기 연속체인(42)에 상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연속체인(42) 외측으로 돌출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체인구동축(41)은 모터(4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속체인(42)을 순환회동시키는 구성요소로, 상기 멸치발(1)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멸치발(1)의 좌측과 우측에서 상기 멸치발(1)의 수평이동경로의 전방과 후방에 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연속체인(42)은 다수의 체인요소가 다수의 회동축에 의해 연속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멸치발(1)의 좌우 일측에 쌍을 이루어 설치된 상기 체인구동축(41)에 전방부와 후방부가 걸려진 채 상기 체인구동축(41)의 회동방향 및 속도에 따라 연동 및 순환이동된다.
상기 연속체인(42)은 상기 체인구동축(41)의 상,하부에 개별로 구속됨에 따라 상기 멸치발(1)의 좌우측 및 상하측에서 수평이송방향을 따라 일정속도로 이동하게되며, 상기 가압바(43)는 상기 멸치발(1)의 높이에 해당되는 수직길이를 가지는 바형상으로 상기 멸치발(1)의 좌우 일측에 상하로 이격설치된 상기 연속체인(42)에 상하단부가 결합 구속되어 상기 연속체인(42)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압바(43)는 상기 연속체인(4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연속체인(42)이 상기 멸치발(1)에 인접한 좌측과 우측에서 상기 체인구동축(41)의 회동방향을 따라 순환이동되면 상기 가압바(43)는 다단 적재된 상기 멸치발(1) 후면의 좌우부에 밀착되어 상기 연속체인(42)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멸치발(1)을 밀게 된다.
상기 가압바(43)는 상기 멸치발(1)에 인접한 내측에서 수평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멸치발(1)을 가압이송시키고, 전방에 위치한 상기 체인구동축(41)의 둘레를 지나서 외측에 위치할 시에는 상기 멸치발(1)의 수평이송방향과 반대로 이동되다가 후방의 상기 체인구동축(41) 둘레를 지나면 다시 상기 멸치발(1)이 하강투입된 초기위치로 돌아가 상기 멸치발(1)을 이송방향으로 가압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체인구동축(41)은 도 3, 4, 5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모터(45)에 의해 일방으로 회동되는 구동중심축(46)의 좌우측부에 베벨기어(47)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베벨기어(47)는 수직으로 회전방향을 바꾸어 전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기계요소로, 상기 구동중심축(46)의 좌우부에 대칭구조로 설치된 상기 베벨기어(47)에 상기 구동중심축(46)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체인구동축(41) 결합되어 좌우로 이격설치된 상기 체인구동축(41) 각각이 상기 멸치발(1)에 인접한 내측부가 상기 멸치발(1)의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가압바(43)는 상기 멸치발(1)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속체인(42)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며, 상기 일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바(43)는 상기 연속체인(42)의 전방에서 상기 체인구동축(41) 둘레를 따라 원형경로로 이동되면서 상기 멸치발(1)을 최전방에 두게 될 시 상기 멸치발(1) 후면의 좌우측모서리부에 가압력이 집중되더라도 상기 멸치발(1)의 이송이 유연하게 이루어지고 모서리부의 파손 또한 발생되지 않도록 원주형 바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바(43)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체인구동축(41)에 상하단부가 구속된 채 임의로 회동가능한 롤러구조로 구성시키면, 상기 연속체인(42)의 전방에서 상기 멸치발(1)과의 접촉부가 모서리측으로 점차 이동되는 동안에도 상기 멸치발(1)과의 접촉부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아 이송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평이송장치(40)의 전,후측에 설치된 상기 수직하강장치(30)와 수직상승장치(50)는 상기 체인구동축(41), 연속체인(42), 가압부(43)를 구비한 상기 수평이송장치(40)와 동일한 작동원리로 구동되며, 상기 수직하강장치(30)는 상기 가압바(43)가 상기 멸치발(1)을 하측에서 받친 상태로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이송장치(40)가 90°회전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수직상승장치(50)는 상기 가압바(43)가 상기 멸치발(1)을 받친 해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이송장치(40)가 -90°회전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멸치발(1)을 상승시키는 수직상승장치(50) 상측에 상기 수평이송장치(40)와 같은 구조를 추가로 구비한 구성을 가지며, 상측에 위치한 상기 수평이송장치(40)는 상기 자숙탱크(10) 내측에 위치한 상기 수평이송장치(40)와 동일한 체인구동축(41)상에 상기 연속체인(42)을 결합시킴으로써, 하측의 상기 수평이송장치(40)와 동일한 이송속도 및 방향을 가지고 상기 자숙탱크(10) 외측으로 상승된 상기 멸치발(10)을 지정위치까지 수평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평이송장치(40)의 높이는 상기 멸치발(1)의 적재높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가진 상기 가압바(43)의 길이에의해 결정되고, 가로너비는 상기 연속체인(42)의 좌우 이격거리에 상기 체인구동축(41)의 직경 및 상기 가압바(43)의 돌출거리에 해당되는 정도가 추가된 크기를 가지므로, 상기 수평이송장치(40)의 연속구동을 구현시키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소모공간부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멸치자숙기는 기존의 자동화된 멸치자숙기와 동일한 규모로 구축될 시 멸치발의 적재량을 2배이상 늘릴 수 있음에 따라 자숙처리속도가 2배이상 증가하게 되며, 동일한 단위처리량을 처리함에 있어서는 상기 자숙탱크(10)의 공간부를 1/2로 줄임에 따라 상기 연소실(20)의 가온시간이 단축되고, 장치자체의 규모 또한 현격히 줄어들어 선상으로의 설치 및 운용, 상기 자숙탱크(10) 내외로의 상기 멸치발(1)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상기 연소실(20)은, 버너에 의해 가열된 내부공기가 연통(22)측으로 이동되는 경로 상에 소정의 직경을 가진 다수의 발열관(21)을 구비하고 있으며, 고온의 기류가 직경이 작은 다수의 발열관(21)을 분산통과하면서 상기 연소실(20) 본체부의 너비보다 확장된 발열면적에 의해 발열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온시간을 보다 단축시키고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수평이송장치의 규모를 공간효율적인 구조로 최소화시킴으로써 선상으로의 설치 및 운용과, 자숙탱크 내외로의 멸치발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자체의 작동구조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자숙탱크 내의 공간소모가 최소화됨에 따라, 멸치발의 단위처리량이 현격이 증가되고, 가온시간이 단축되어 자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열효율이 높은 연소실 구조에 의해 가온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단으로 적재된 멸치발(1)을 연소실(20)이 구비된 자숙탱크(10) 내외측으로 연속하여 하강 및 상승시키는 수직이송장치(30, 50)와, 상기 자숙탱크(10)로 하강된 상기 멸치발(10)을 상승 위치까지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장치(40)가 구비된 멸치자숙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40)는,
    상기 멸치발(1)의 좌우측에서 상기 멸치발(1)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각각의 내측부가 상기 멸치발(1)의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회전구동되는 체인구동축(41)과;
    상기 체인구동축(41)의 상,하부에 개별로 구속되어 상기 멸치발(1)의 좌우측 및 상하측에서 상기 체인구동축(41)의 회동에 따라 일정속도로 순환이동되는 연속체인(42)과;
    상하로 이격된 상기 연속체인(42)에 상하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멸치발(1)의 높이에 해당되는 길이로 상기 연속체인(42)으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상기 멸치발(10)의 좌우부를 이송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바(4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자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장치(30, 50)는,
    상기 수평이송장치(40)와 같은 구성이 90°또는 -90°회전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멸치자숙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체인구동축(41)은,
    모터(45)에 의해 일방으로 회동되는 구동중심축(46)의 좌우부에 대칭구조로 설치된 베벨기어(47)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격설치된 각각이 반대 방향으로 회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자숙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2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연통(22)측으로 연속형성된 다수의 발열관(21)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자숙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40)는,
    상기 멸치발(1)을 상승시키는 수직이송장치(50) 상측에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자숙탱크(10) 외측으로 상승된 상기 멸치발(10)을 지정위치까지 수평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자숙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43)는,
    회동가능한 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자숙기.
KR20-2004-0022290U 2004-08-04 2004-08-04 멸치자숙기 KR200365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290U KR200365109Y1 (ko) 2004-08-04 2004-08-04 멸치자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290U KR200365109Y1 (ko) 2004-08-04 2004-08-04 멸치자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109Y1 true KR200365109Y1 (ko) 2004-10-15

Family

ID=4943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290U KR200365109Y1 (ko) 2004-08-04 2004-08-04 멸치자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1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44B1 (ko) 2011-11-30 2012-05-15 최광삼 멸치 자숙기
KR101401297B1 (ko) 2012-10-25 2014-05-29 편호범 멸치 삶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44B1 (ko) 2011-11-30 2012-05-15 최광삼 멸치 자숙기
KR101401297B1 (ko) 2012-10-25 2014-05-29 편호범 멸치 삶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4506A (zh) 薄片材料送料及输送装置
KR101192091B1 (ko) 핀튜브 이송 및 적재장치
KR200365109Y1 (ko) 멸치자숙기
CN104501551B (zh) 一种自动循环立体送风烘干箱及其托盘控制方法
CN109132438B (zh) 一种香肠挂杆机的棒杆输送装置
KR101762814B1 (ko) 조미김 가공장치
CN210017729U (zh) 一种鱼丸生产一体机用蒸煮锅
CN107931728B (zh) 一种定长管的输送处理流水线
CN103754683A (zh) 一种集冷却及堆垛于一身的人造板处理装置
CN211903644U (zh) 一种立体烘干装置
KR20130137257A (ko) 반자동 멸치발 수직 이송장치
CN201813796U (zh) 蛋品大小头同向调整装置
KR200322446Y1 (ko) 멸치자숙기
CN106616224B (zh) 自动卤制设备
CN209758523U (zh) 堆管机
CN108670018A (zh) 一种连续式米饭炊焖机
US1938947A (en) Egg handling machine
KR970000681Y1 (ko) 열교환기용 튜브의 자동 배관시스템에서의 튜브 전송장치
JP2005168604A (ja) 食品加熱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加熱方法
CN112607352A (zh) 一种板材平移机构及平移方法
JP3173499U (ja) コンベアフライヤ
CN215156083U (zh) 一种晶片成膜用加热盘的封装装置
CN218578964U (zh) 一种弯管机用管件上料装置
CN206273109U (zh) 一种层叠式蛋鸡养殖场自动喂料装置
CN217321875U (zh) 一种保温板连续性提升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