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706B1 - 채널내에 흐르는 액체에서 스크리닝(screening) 또는 필터링(filtering)하는 물질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채널내에 흐르는 액체에서 스크리닝(screening) 또는 필터링(filtering)하는 물질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706B1
KR960008706B1 KR1019880001563A KR880001563A KR960008706B1 KR 960008706 B1 KR960008706 B1 KR 960008706B1 KR 1019880001563 A KR1019880001563 A KR 1019880001563A KR 880001563 A KR880001563 A KR 880001563A KR 960008706 B1 KR960008706 B1 KR 96000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conveyor
section
bar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205A (ko
Inventor
게오르그 허버 한스
Original Assignee
게오르그 허버 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오르그 허버 한스 filed Critical 게오르그 허버 한스
Publication of KR88001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B01D29/03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with curv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44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 B01D29/445Ba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9/5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8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9/8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29/82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8Vertical or inclined screw pr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Belt Conveyor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yclones (AREA)
  • Paper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채널내에 흐르는 액체에서 스크리닝(screening) 또는 필터링(filtering)하는 물질의 제저장치.
제1도는 작동중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Z원(圓)에 의해 나타낸 영역의 확대한 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 있어서 격자(grating)의 확대도.
제5도는 콘베이어 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된 격자단면도.
제6도는 탄력웜(worm)을 가진 격자단면도.
제7도는 탄력웜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넬(channel) 2 : 축(axis)
3 : 벽(wall) 4 : 상위 레벨(higher level)
5 : 하위 레벨 6 : 화살표
7 : 격자(grating) 8 : 격자바(grating bar)
9 : 부레이싱바(bracing bar) 10 : 슬롯(또는 횡방향 간격)
12 : 하우징 13 : 나사상 콘베이어(helical conveyor)
14 : 원추단면(conical section) 15 : 샤프트
16 : 콘베이어웜(conveyor worm) 17 : 베아링
18 : 모터 19 : 전동장치(transmission)
20 : 압축부분(compacting section)
21 : 파이프 22 : 압축재(compacted materials)
23 : 슈우트(chute) 24 : 받이(receptacle)
25 : 3각형의 일측(one side) 26 : 가장 좁은 지점(narrowest points)
27 : 화살표 28 : 확대단면
29 : 하우징 형상 흡기벽(intake wall)
30 : 마찰베아링링(fricction bearing rings)
35 : 스트립(strips) 36 : 립(lip)
본 발명은 격자의 길이전체에 걸쳐 격자(grating)사이에 횡방향 간격을 두고 일부는 액체속에 잠기어 채널저면으로 경사지고 또 하우징, 샤프트 및 웜으로 구성되어 스크리닝을 한 물질을 침전지점으로 이동하면 이에 의하여 웜이 격자를 긁어서 스크리닝을 한 물질을 위로 이동시킬 때 그 물질을 집어올림에 따라 그 격자를 항상 정결하게 유지하는 나사형 콘베이어 형태로 하여 상방향의 경사부분으로 합치는 비작동 원통형 격자로 구성되어 채널내에 흐르는 액체에서 스크리닝(screening) 또는 필터링(filtering) 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특히 물처리플랜드에 대하여 적용되나 다른 기술분야, 예를들면 방직 또는 플라스틱공업등에서도 실제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100 내지 500mm의 좁은 치널과 함께 사용하거나, 미세한 물질을 모아(pick up)제거하기 위하여 바(bar)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여야 할 경우 특히 실용적이다.
이같은 장치는 독일공개특허공보 OS2,142,540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주로 스크루콘베이어, 하우징, 샤프트 및 웜(wor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을 샤프트와 웜에 전달하는 그 장치의 상부에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액체에 잠김 콘베이어 하우징의 하부 섹션은 그 격자에 의해 완전히 위치로 차지하고 있는데 이 격자는 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 원통형상의 표면을 따라 같은 방향의 격자 사이에 횡방향의 간격을 두고 그 격자길이의 전체에 걸쳐 격자바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격자바는 그 격자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되어있지 않으며, 주로 단면이 장방향이며 그 장방형의 긴 축면은 샤프트에서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bars)와, 스크리닝으로 제거한 물질에 침전하는 바 사이의 간격에는 몇가지 결점이 있다.
첫째 그 바는 비교적 불안정하여 웜이 격작에 대하여 회전할때에 격자의 내면에서 가급적 많은 지점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바(bar)의 위치를 정하기가 어렵다.
사실, 그와같은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침전될 물질이 동반된다.
접촉이 없는 경우에는 그 물질이 축적되어 격자를 차단시켜 그 수압저항을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시킨다.
또, 그 물질이 일단 일정한 두께로 축적되면 회전중인 웜은 축적물질을 결국 그 간격을 통하여 여과수로 다시 돌아와 격자이 작용을 파괴할 수 있다.
이와같은 가능성은 그 바의 물리적 및 구체적 분안정성 때문에 그 바가 웜의 힘에 의해 탄력있게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져 그 간격의 폭이 넓어지는 정도로 증가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그 바의 장방형 횡단면의 긴 측면이 외측방향으로 형성될때에는 그 간격의 폭을 넓히게 되는 외방향 굽힘(bending)에 대한 저항모멘트가 특히 유해하다.
또, 개방된 횡단면이 반경에 비례하여 형성되지만 침투방향을 따라서 조금, 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그 바가 이와같이 설계되고 배열될 때에는 격자의 가장 좁은 지점을 통과하는 물질이 간격에서 침전하고 쐐기와 같이 밀어넣어지기 때문에 격자의 자유면을 감소시키고 또한 수압저항을 증가시킨다.
그 물질이 암석, 가지(branch)등과 같이 단단한 물질을 포함할때에는 이들 물질이 격자의 비교적 탄력적인 구조 때문에 격자의 가장 좁은 섹션외측에서 격자 사이에 걸려서 틀림없이 침전하는데 물체근처에서 격자의 표면을 영구히 확장하고 보다 큰 물체까지 이들 지점에서 통과하도록 한다.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의 바(bar)의 내단은 긴 섬유를 가진 물질을 잘게 절단한 나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것은 나이프이 예민한 날이 웜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멸때문에 손상을 받는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결점이 된다.
그 블레이드(blade) 특히 단단한 물체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웜옆에 의한 마모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긴 섬유를 절단할 때 해로운데 그 이유는 그로인한 보다 짧은 섹션이 그 간격을 통하여 매우 용이하게 깨끗한 액체속으로 다시 침투하여 전혀 침전되지 않기 때문이다.
경사진 샤프트와 콘베이어 웜을 가진 동일한 장치가 미국특허제 2,929,504호에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웜의 하우징이 채널의 밀바닥까지 아래로 뻗어 있고 격자가 하우징의 벽 일부만을 대치하고 있다.
그 격자가 실제로 다수의 횡방향 슬롯(slot)이 있는 금속판의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간격은 축의 방향으로 멀리 형성되지 않으며, 그 폭은 매우 안전한다.
따라서 탄력있는 바를 대치함으로써 폭을 변화시키는 간격에 대한 위험을 제거시킨다.
그러나, 다른 결정은 이같은 타입의 구멍뚫린 시이트와 관련되어 있다.
특히 침전할때 상당량의 가선(架線)(stringing)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섬유제가 침전되어 구멍가장자리에서 스트링(strings)을 형성함으로써 액체 침투를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이 장치는 따라서 연속적인 횡방향 간격을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슬롯트의 끝부분은 회전하는 웜과 협력하여 웜이 침전하는 물질의 전부를 위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전단 또는 절단메카니즘을 형성하나 대부분의 물질은 절단되어 액체의 깨끗한 부분으로 침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격이 폭에 있어 일정하게 유지되고 절단작동의 결점을 폭넓게 제거하여 격자가 항상 깨끗한 상태에서 신회성있게 침전을 시킴과 동시에 그 격자의 수압저항이 장기간 작동중에도 낮게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의 개량에 있다.
상기 목적은 격자바가 끝이 둥글고 횡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며 또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의 한 측면이 가장 작은 반경에서 횡방향 간격을 역시 가장 좁게 하면서 콘베이어웜의 주위와 접촉되게 배향하여 그 가까이에 개방된 횡단면이 액체가 이동한 방향으로 균형이 초과되게 넓게 퍼지고 또한 횡방향 간격을 분리하는 격자바가 바깥의 버티는 바에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지지바로 격자바를 보강하면 역시 격자(格子)로 되는데 이것은 매우 튼튼하다.
횡방향 슬롯트등으로 구멍이 뚫린 금속판으로 만든 격자의 결점은 간격이 언제나 웜을 향하여 트리멍(triming) 작용을 제거하기 때문에 피할 수 있다.
격자는 전신대(全身大)의 빈틈에도 불구하고 매우 튼튼하고 비틀림에 저항할 수 있다.
따라서 웜과의 마멸접촉에 의하여 생긴 힘은 변형되는 불이익을 초래하지 않는다.
체로 친 물질에 의하여 끌린 단단한 물체들은 빈틈에 어박히지 않을 것이며, 그런데도 창살들은 튼튼하게 자리를 정하기 때문에 물체들은 역시 침전된 물질과 함께 운송되어 없어질 것이며 이에 따라 빈틈의 폭과 또 침전하고 체로치는 행동을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다.
이같은 설계의 한 실용적인 측면은 빈틈의 가장 좁은 곳이 가장 작은 반경에 있으며 따라서 웜의 외면과 접촉하여 그의 문지르는 행동이 그 지점에서 완전히 효과적으로 되게 하는 곳에서 가급적 가깝다는 것이다.
따라서 클리닝 효과가 특히 철저하고 창살문의 수압저항이 끊임없이 되풀이되고 매우 효율적인 클리닝 행동때문에 작동하는 동안 내내 낮게 유지된다.
둥근 가장자리까지도 그것이 회전하는 웜과 협력하여 절단과 트리멍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섬유질 또는 실처럼 늘어나는 물질은 반대로 가장자리 주위에 끌리어 절단됨이 없이 침전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만족스러움 침전에도 불구하고 체로 처리는 물질의 일부가 빈틈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이 물질은 빈틈속에 쌓일수가 없으며 이유는 그 지점의 횡단면이 균형이 초과되고 따라서 샤프트의 축으로부터의 반견에 해당하는 것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넓게 퍼지는 횡단면의 가장 좁은 지점밖에서는 침전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창살들의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형 횡단면의 또 하나의 잇점은 그 횡단면이 보다 긴 변이 방사형으로 향(向)을 방위에 맞춘 장방형 횡단면과 다소 대조하여 응력에 관해서는 최적하게 향을 방위에 맞추게 된다는 것이다.
이같은 형의 횡단면은 또한 창살문 창살과 버티는 창살같이 접촉점이 정확한 용접을 가능하케하는데 필요할정도로 비교적 작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창살문의 정확한 제조를 용이케한다. 흐름의 방향을 따라서, 나선형 콘베이어의 샤프트축에 대해서는 방사형으로 횡단면이 균형을 초과하여 확장하는 것은 개방된 횡단면에 있어서의 강력한 확장은 유출율을 강력하게 감소시키게되고 이에 따라 섬유질물질이 횡단면의 가장 좁은 지점에서 방출되어 액체의 깨끗한 부분으로 빠져들어가는 위험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침전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역시 하나의 잇점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폭이 500mm 이하로 좁아서 콘베이어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가진 회전창살문을 사용하기에 충분한 여유가 없는 채널을 가지고 매우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의 빈틈의 폭도 동장치가 작동하는 원칙을 위반하지 않고 약 0.25mm에서 5mm 또는 그 이상으로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
창살문 창살의 횡단면은 액체가 흘러 들어가는 방향과 대칭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창살들이 역시 같은 방법으로 향(向)을 방위에 맞추게 될 것이다.
예를들면 횡단면은 장점에서 밖으로 향하는 횡단면의 보다 좁은 각을 가진 이등변 삼각형이 될 수 있다.
버티는 창살들도 역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또 횡단면의 가장 큰 폭이 액체가 흘러들어가는 방향을 따라서 밖으로 가리키도록 향을 방위에 맞출 수 있다.
한편으로는 창살문 창살의 횡단면과 또 한편으로는 버티는 창살의 횡단면을 따라서 서로 마주보게 향(向)을 맞춤으로써 동시에 창살문의 내면과 외면상의 납짝한 콤포넌트(component)로 결국 끝나게 되는데 이것은 웜과 함께 작동하는데 있어서 실용적이며 또 예를들면 용접에 의하여 창살문 창살들을 버티는 창살들에 용착하는 것을 용히하게 된다.
창살문의 창살과 버티는 창살은 거의 같은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창살문이 동일 재고품에서 완전히 제조될 수 있음을 뜻한다.
상기한 두가지 창살이 필요하다면 특별한 방법으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방법으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횡단면에서 달라지는 것은 전혀 결점이 아니다.
액체가 흘러들어가는 방향을 향하는 버티는 창살들의 측면이 실들이 쌓일 수 있는 초점이나 가장자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되도록 좁은 것은 물론 중요하다.
버티는 창살들은 창살문 창살의 최대 폭 10배의 간격으로 원통형 창살문의 주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은 찰살문을 격자같이 보이게 할 것이며 그렇지만 길이를 따라서 어떤 지점에서도 가로 막히지 않는 빈틈을 갖게 된다.
창살문 창살과 버티는 창살 사이의 많은 접촉점들은 특히 웜의 내면과 마찰접촉하는 내면근처에서 창살문의 매우 정확하고 윤곽이 뚜렷한 모습을 갖게 할 것이다.
이것은 효율적인 침전을 위하여 바람직하며 또 불가결하기까지 하다.
나선형 콘베이어는 맨위에서 창살문을 접합하는 유일한 장소인 샤프트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창살문 근처에서 샤프트가 없고 염력(捻力)이 그 지점에서 웜자체에 의해서만 전달됨을 의미한다. 이같은 설계는 샤프트가 침전하는 곳을 교류(攪流)에 의하여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게 할 것이기 때문에 높은 유출율에서 매우 실용적이다.
이 설계는 또한 그렇지 않으면 샤프트에 의하여 점유하게 될 공간을 이용가능케 한다.
창살문은 창살문 창살과 버티는 창살로 만들 수 있으며 밑바닥에서 개방할 수 있다.
그 지점에 있는 재래식 터미널·플레이트(teminal plate)은 역시 없이도 할 수 있으며 또 장치와 채널밑바닥 사이의 그렇지 않으면 불가피한 갭(gap)을 피할 수 있다.
터미널·플레이트가 없을 때에는 여과되는 액체속에 터미널·플레이트로 인한 교류도 없을 것이며 또 액체는 창살문을 통하여 한결같이 또 지나친 교류없이 흐르게 된다는 것이 잇점이다.
이러한 상태는 역시 침전을 촉진시키게 된다.
콘베이어·윔의 저면은 방해를 받지 않고 나선형 콘베이어에서 돌출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찰을 더는 링(ring)에 의하여 창살문 위에서 받혀질 수 있다.
이것은 콘베이어를 액체표면 아래에 확인하는 필요성을 피한다.
마찰을 더는 링들은 액체 표면 위, 바람직하게는 콘베이어의 직경이 보다 짧은 것에 설치할 수 있다.
창살문 창살들과 접촉하는 콘베이어·윔의 접촉부 외주는 단력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방법은 제조상의 공차가 완전히 불가피한 것은 아니지만 창살문 창살과 버티는 창살의 특이한 구조때문에 이미 낮아지게 된다 하더라도 그와같은 공차를 보상하게 될 것이다.
탄련성은 창살문 근처에서의 누적(쌓임)을 방지할 것이며 창살문은 수압저항을 낮게 유지하면서 웜과 창살문간의 확실한 접촉에 의하여 끊임없이 깨끗하게 될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콘베이어·윔의 외주는 거센 털 한오라기 탈력있는 입술(lip) 또는 이와 비슷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들은 필요한 탄력을 확보할 것이다.
회복력과 그 같은 탄력구조의 비율은 회전하는 웜과 창살문 또는 창살간의 끊임없는 접촉을 확보하는데 절대로 적당하리라는 것은 분명해질 것이다.
옆으로 된 하우징 같은 흡입벽들은 창살문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벽들은 연속되어 따라서 박혀있는데 창살문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또 추가적인 안정성을 부여할 것이다.
특히 이 벽들은 창살문쪽에서 염력을 저지하고 도 봉하는 조각(sealing strip)으로 하여금 채널의 벽에 기대어 재래식으로 세워지고 자리를 잡게 할 것이다.
창살문과 인접한 콘베이어의 한 부분을 통하여 뻗은 콘베이어·윔은 인접한 콘베이어부분의 근처에서보다도 창살문 근처에서 더 긴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창살문은 나선형 콘베이어의 하우징보다 상응하여 더 긴 직경에 자리를 잡을 수 있다.
이 방법은 창살문의 직경은 콘베이어부분의 직경과 광범위에 걸쳐 관계없게 하여 직경의 차이는 물질을 콘베이어부분의 근처에 꽉 채울 것이다.
채널속의 액체가 상이한 수준의 물질로 실린때에는 창살문의 구역을 비교적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도의 장치는 축(2)의 수평으로도 아니고 수직으로도 아닌 즉 일부분이 본 장치의 보다 놓은 상위 레벨(4)의 물의 상류와 본 장치의 보다 낮은 수준의 물의 하류를 수용하기 때문에 물이 화살표(6)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흐르는 채널의 벽(3)과 접촉하는 방법으로 도시된 채널(1)속으로 경사진채 자리를 잡고있다.
본 장치는 저면에는 축(2)과 적어도 충분히 떨어져 평행하는 격자(7)이 있는데 상기 레벨(4) 이하의 부분이 설사 수위가 달라지더라도 물속에 남게 된다.
격자(7)은 실제로 실린더의 표면을 따라서 축(2)과 평행하여 배치된 격자바(8)과 격자바(8)의 주위와 접촉하고 있는 실린더의 한 부분을 형성되기 때문에 축(2)과 수직으로 도니 브레이싱바(9)들로 구성되어 있다.
설사 도면에서 완전히 도시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브레이싱바(9)가 격자의 주위에 모두 배치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브레이싱바(9)는 축(2)에서 본 바와같이 격자바(8)의 중간에 있는 축(2)과 평행하는 연속된 횡방향 슬롯(10)을 남겨두고 격자바(8)보다 더 긴 직경으로 위치하고 있다.
격자(7)은 브레이싱바(9)가 격자바(8)를 안정시키고 제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저면에 터미널·플레이트(11)을 가진다.
나사상 콘베이어(13)의 원통형의 하우징(12)이 격자(7)에서 비스듬히 올라와 있다.
원추단면(14)을 가질 수 있는 하우징(12)에는 콘베이어·윔(16)에 연결되거나 이를 받혀주는 샤프트(15)가 수용되어 있다.
웜(16)은 장치의 길이 전체에 걸쳐 또 격자(7)을 수용하는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샤프트(15)가 없으며 또 콘베이어·윔(16)이 격자바(8)이 내경보다 긴 직경을 가지고 있다.
콘베이어·윔(16)의 저면은 나사상 콘베이어(13)의 근처에 있는 베어링(17)에 장치할 수 있다.
하우징(12)의 맨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또 하나의 베아링이 있다.
또한 하우징의 맨우에는 샤프트(15)와 콘베이어·윔(16)을 구동하는 모터(18)와 전동장치(19)가 있다.
콘 베이어·윔(16)의 피치는 그 전체의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할 필요는 없으며 색션에 따라 다를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같이 맨위에 보다 좁은 피치를 가진 압축부분(20)을 가질 수도 있다.
그 부분에서 하우징(12)은 이중벽을 가지고 있는데 내벽은 물질이 파이프(21)를 통하여 채널(1)속으로 다시 들어가도록 콤팩트(compt)하게 되어있을때 액체가 짜내어지도록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콤팩트한 압축물질(22)은 슈우트(23)를 통하여 용기(24)내로 배출된다. 제2도의 확대부분(Z)에서 특히 명백한 바와같이 격자바(8)는 본예에서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단면에서 삼각형인데 삼각형의 일측변(25)은 정점이 축(2)에서 밖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격자(7)내주와 접면에 있다.
이같은 측정은 결국 가장 좁은 지점(26)이 삼각단면의 격자바(8)의 둥근 가장자리 때문에 내주의 근처에 있고 따라서 삼각형의 측변(25)에 인접한채 격자바(8) 사이의 연속된 횡방향 슬롯(10)을 갖게 된다.
이 지점에서 압축재(22)는 격자(7)의 내면에 기대어 균등하게 침전할 것이며 화살표(27)로 표시된 방향으로 격자를 관통하는 물은 가장 좁은 지점(26)의 바로 하류에 지나치게 형성되는 확대 단면(28)과 대향되어 있다.
축(2)에서 발생하는 반경증가에 해당하게 되는 것보다 더 큰 확대를 의미하는 이같은 확대는 액체가 침전된 물질(22)을 횡방향 슬롯(10)을 통하여 흡입할 수 없을 정도로 흐름을 화살(27)로 표시한 방향으로 감속한다.
물질(22)은 사실상 침전된 위치에 남아 회전하는 콘베이어·윔(16)의 바깥끝에 의하여 잡혀져 최종적으로 꽉 채워져 받이(24)에 배출되기 때문에 하우징(12)의 근처에 그러니까 나사상 콘베이어(13)의 콘베이어부분의 근처에 도달한다.
격자바를 보강하고 고정시키는 브레이싱바(9)는 간소화하기 위하여 제2도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물론, 브레이싱바(9)는 격자(7)을 안정시키고, 스크리닝을 한 물질내의 단단한 물체와 충돌할때 격자바가 물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 횡방향 슬롯(10)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필수적이기 때문에 존재하여야 한다.
결과는 격자바 사이에 달라붙는 돌과 같이 단단한 물체없이 전체 작동중에 확실한 침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격자(7)의 관통영역은 이와같은 자유롭게 유지될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샤프트(15)가 격자(7) 근처에도 연속하여 형성하며 여기에서 콘베이어·윔(16)을 지지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브레이싱바(9)가 격자바보다 더 긴 직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싱바(9)의 위치가 격자바 사이에 있는 횡방향 슬롯(10)을 방해하거나 폐쇄하지 않는다는 것은 제4도에서 분명해질 것이다.
격자(7)가 하우징 형상 흡입벽(29)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데 이 벽은 격자를 안정시키는데 역시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이 제4도 및 제3도에서 분명하다.
이 실시예에서도 하부의 베아링(17) 없이 작동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마찰베어링(30)의 위치를 레벨(4 또는 5)위에 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따라 샤프트(15)와 콘베이어·윔(16)을 위한 모든 베아링을 물밖에 놓이게 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또한 격자바(8)의 설계와 위치에 관하여 브레이싱바(9) 사이의 상호 간격을 나나탠다.
제4도는 또한 어떻게 브레이싱바(9)가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질수 있느냐, 또 어떻게 격자바와 대항하느냐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같은 상태는 제5도에서 역시 분명해지는데 제5도는 축(2)에 대하여 다소 수직으로 된 한 색션으로서 격자바(8)와 브레이싱바(9)의 단면과 격자의 위치를 대향하여 정하는 것을 특히 분명하게 한다.
브레이싱바(9)의 한 단면(31)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삼각단면의 두 정상은 서로 마주 대하여 결국 비교적 작은 접촉표면을 갖기 때문에 격자바(8)과 브레이싱바(9)는 실제적으로 많은 지점에서 함께 용착될 수 있으며 직경과 직경상의 삼각형일측면(25)의 위치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도시는 또한 가장 좁은 지점(26)과 언제나 액체가 흘러들어가는 방향축(2)에 관해서는 반경방향으로, 또는 화살(27)에 의하여 매우 명료하게 표시된 방향으로 인접 확대단면(28)을 나타낸다.
제6도 및 제7도는 장치의 축(2)에 대하여 다소 수직으로된 부분들로서 콘베이어·웜(16)과 격자(7)간의 접촉을 어떻게 더욱 개량할 수 있느냐를 도시한다.
콘베이어·윔(16)은 격자(7), 격자바(8)의 삼각횡단면의 일측면(25)과 마주 대하는 바깥끝(33)을 가지고 있다.
이 영역에는 실제적으로 거센털의 스트립(35)(제6도)이나 스트립(lip)(37)(제7도)을 수용하는 더브테일홈(devetail groove)(34)이 있다.
스트립(36)은 실제적으로 약하지만 플라스틱구조부분의 마모안된느 스트립이다.
스트립(35)의 회복력이나 스트립(36)의 탄력은 회전하는 콘베이어·윔(16)이 격자바(8)의 삼각형 단면의 일측면(25)들과 일정하게 접촉하고 거기에 침전하는 어떠한 물질도 격자(7)은 항상 깨끗이 긁어내고 위로 운반되도록 할 것이다.

Claims (12)

  1. 격자의 길이전체에 걸쳐 격자(grating)사이에 횡방향 간격을 두고 일부는 액체속에 잠기어 채널저면으로 경사지고 또 하우징, 샤프트 및 웜으로 구성되어 스크리닝을 한 물질을 침전지점으로 이동하면 이에 의하여 웜이 격자를 긁어서 스크리닝을 한 물질을 위로 이동시킬 때 그 물질을 집어올림에 따라 그 격자를 항상 정결하게 유지하는 나사형 콘베이어 형태로 하여 상방향의 경사부분으로 합치는 비작동 원통형 격자로 구성되어 채널내에 흐르는 액체에서 스크리닝(screening) 또는 필터링(filtering) 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자바(8)은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으로 끝이 둥글고,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의 일측면(25)이 가장 작은 반경에서 횡방향 간격(10)을 역시 가장 좁게 하고 콘베이어웜(16)의 원둘레주면과 접촉하면서 위치되어 있고 개방된 확대단면(28)이 액체가 이동한 방향(32)으로 비례하여 형성되고, 횡방향 간격을 분리하는 격자바가 외측의 브레이싱바(bracing bears)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바(8)의 단면은 그 액체가 유입되는 방향(32)과 대칭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브레이싱바(9)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단면의 가장 큰 폭이 액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서 밖으로 지향하도록배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격자바(8)와 상기 브레이싱바(9)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싱바(9)가 격자바(8)의 최대 폭의 10배 간격으로 그 원통형 격자(7)표면 주위에 분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상 콘베이어(13)는 그 상부에서 상기 격자(7)와 합친 샤프트(15)만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한 상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격자(7)는 격자바(8)와 브레이싱바(9)로 구성되고 그 저면이 개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한 상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웜(16)의 상기 저면이 나사상 콘베이어(13)에서 방해를 받음이 없이 돌출되고, 하나 이상의 마찰베아링(30)에 의해 상기 격자(7)상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격자바(8)와 접촉하는 콘베이어웜(16)부분의 외주면은 탄력성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웜(16)의 외부면은 강모(bristles)로된 스트립(strip)(35)와, 탄력립(lip)(36)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형상 흡기벽(29)은 상기 격자(7)의 부근에 위치시킴을 특징으로한 상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7)와 인접한 콘베이어부분을 통하여 구성하는 콘베이어웜(16)은 인접한 콘베이어부분의 근처에서보다도 상기 격자의 근처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격자는 나사상 콘베이어(13)의 하우징보다 더 큰 직경으로 위치를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19880001563A 1987-05-16 1988-02-15 채널내에 흐르는 액체에서 스크리닝(screening) 또는 필터링(filtering)하는 물질의 제거장치 KR960008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716434.1-25 1987-05-16
DE3716434A DE3716434C1 (de) 1987-05-16 1987-05-16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Rechen- und/oder Siebgut aus in einem Gerinne stroemender Fluessigkeit
DEP3716434.1-25 1987-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205A KR880014205A (ko) 1988-12-23
KR960008706B1 true KR960008706B1 (ko) 1996-06-29

Family

ID=632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563A KR960008706B1 (ko) 1987-05-16 1988-02-15 채널내에 흐르는 액체에서 스크리닝(screening) 또는 필터링(filtering)하는 물질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859322A (ko)
EP (1) EP0293515B1 (ko)
JP (1) JPS63293213A (ko)
KR (1) KR960008706B1 (ko)
AT (1) ATE79144T1 (ko)
BR (1) BR8800872A (ko)
CA (1) CA1330957C (ko)
DE (1) DE3716434C1 (ko)
DK (1) DK44488A (ko)
ES (1) ES2033780T3 (ko)
GR (1) GR3005501T3 (ko)
PT (1) PT8665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923B1 (ko) * 2008-02-13 2010-02-11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스컴 스크린용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의 브러쉬 설치구조
KR101017330B1 (ko) * 2003-03-04 2011-02-28 노버트 브라우트푀르거 곡물 순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0389C1 (ko) * 1989-03-31 1990-08-30 Hans-Georg Dipl.-Ing. 8434 Berching De Huber
DE3915528C1 (en) * 1989-05-12 1990-12-13 Noggerath & Co, 3061 Ahnsen, De Screw conveyor with material moisture reduction - has spiral brush in grate region, matching pitch of conveyor screw
DE3920196A1 (de) * 1989-06-21 1991-01-10 Huber Hans Georg Dipl Ing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rechen- und/oder siebgut aus in einem gerinne stroemender fluessigkeit
US5006236A (en) * 1989-09-25 1991-04-09 Hallco Fabricators, Inc. Contaminant entrained flow separating apparatus
CA2077687A1 (en) * 1990-03-06 1991-09-07 Gunther Abel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and solids
US5110461A (en) * 1990-09-05 1992-05-05 Abel Guenther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and solids
FI87186C (fi) * 1990-11-19 1992-12-10 Ekotuotanto Ab Oy Skruvgaller
DE4120846A1 (de) * 1991-06-25 1993-01-14 Ibo W Grimmel Abwassertechnik Vorrichtung zur vorbehandlung von stark verschmutztem abwasser
DE4143376C2 (de) * 1991-06-28 1994-12-15 Hans Georg Huber Kompaktanlage zum Abscheiden und Entfernen von Rechengut und Sand aus Zulaufgerinnen
DE4138825C2 (de) * 1991-11-26 1994-02-10 Huber Hans Gmbh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Rechen- und/oder Siebgut aus in einem Gerinne strömender Flüssigkeit
DE59206317D1 (de) * 1992-02-04 1996-06-20 Fuchs Maschinenbau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Feststoffen aus einer strömenden Flüssigkeit, Verfahren zu deren Betrieb sowie Verwendung der Vorrichtung
JPH0710440B2 (ja) * 1992-02-21 1995-02-08 アムコン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
DE4211606C1 (ko) * 1992-04-07 1993-04-22 Hans Georg 8434 Berching De Huber
DE4211659C2 (de) * 1992-04-07 1996-03-28 Hans Georg Huber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Abscheidegut aus einerFlüssigkeit mit einer zylindermantelförmigen, flüssigkeitsdurchlässigen Abscheidefläche
DE4235903C2 (de) * 1992-10-23 1995-05-24 Hans Georg Huber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Abscheidegut aus einer in einem Gerinne strömender Flüssigkeit
DE4237123C2 (de) * 1992-11-03 1995-02-16 Hans Georg Huber Vorrichtung zum Reinigen großer Wassermengen von Rechengut
DE4320678C2 (de) * 1993-06-22 1996-04-11 Branko Dipl Ing Klasnic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Rechengut aus einer mit einer verunreinigten Flüssigkeit durchströmten Zulaufrinne, insbesondere von Kläranlagen
DE4328476C2 (de) * 1993-08-24 1997-10-30 Rudolf Bischof Gmbh Tech Hande Vorrichtung zum Austragen von festen Bestandteilen aus einem Fluid
DE4407525C1 (de) * 1994-03-07 1995-11-02 Spirac Engineering Ab Vorrichtung zum Trennen von Feststoffen aus einer Flüssigkeit
DE4419612A1 (de) * 1994-06-03 1995-12-07 Noggerath Holding Gmbh Co Kg Spiralförderer
DE9410097U1 (de) * 1994-06-22 1994-08-11 Basika Entwaesserungen Gmbh Fettabscheidevorrichtung
DE19508894A1 (de) * 1995-03-11 1996-10-10 Egner Andrea Vorrichtung zur Entnahme von Feststoffen aus einer Flüssigkeit-Feststoffmasse
DE19520992C2 (de) * 1995-06-08 1999-08-12 Premark Feg L L C N D Ges D S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Abfällen aus Wasser
DE29511462U1 (de) * 1995-07-15 1995-09-28 Huber Hans Gmbh Maschinen Und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Abscheidegut aus einer in einem Gerinne strömenden Flüssigkeit
US5540844A (en) * 1995-07-21 1996-07-30 Meylor; Donald M. Dewatering system
AUPN817896A0 (en) * 1996-02-21 1996-03-14 Nicholas, Douglas Ian Stormwater sediment and litter trap
US5770094A (en) * 1996-10-01 1998-06-23 Johnson Machine Works, Inc. Screw conveyor screening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wastewater
FR2754812B1 (fr) * 1996-10-17 1998-12-04 Poitevine De Filtration Soc Appareil d'epaississement de boues de station d'epuration et de separation liquide/solide
DE19744524C2 (de) * 1997-10-09 2003-11-20 Hans Huber Ag Masch & Anlagenb Siebvorrichtung für in einem Zulaufrohr ankommendes Abwasser
US5980740A (en) * 1998-01-06 1999-11-09 Civitas Erosion Services, Inc. Storm drain collection box filtration system
NO310454B1 (no) * 1999-04-21 2001-07-09 Harry Simonsen Anordning for utskilling av forurensing fra vaskevann fra en vaskeanordning for notposer til merder
DE29920552U1 (de) 1999-11-23 2000-02-17 Klasnic Branko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Rechengut aus einem durchströmten Gerinne
DE10030784B4 (de) * 2000-06-29 2006-04-20 Kilia-Fleischerei- Und Spezial-Maschinen Fabrik Gmbh Einrichtung zum Entwässern von Feststoffen,die von Fluiden separiert sind
AU5649701A (en) * 2000-08-29 2002-03-13 Kier Construction Ltd Screen assembly for combined sewer overflow weir
DE10100534B4 (de) * 2001-01-05 2004-05-19 Stefan Barth Bahnkreisende, oszillierende, steigende Schiefe-Ebene
NZ513379A (en) * 2001-08-07 2004-03-26 Power Glides Screens Ltd Suspension screen raking system (NO.2)
DE10316173B4 (de) * 2003-04-04 2006-03-16 Hans Huber Ag Maschinen- Und Anlagenbau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feinem Siebgut aus einer Flüssigkeit
ITMO20060207A1 (it) * 2006-06-27 2007-12-28 Wam Spa Coclea da utilizzarsi per trasportatori, compattatori e simili.
JP4753911B2 (ja) * 2007-04-27 2011-08-24 中国電力株式会社 除塵機
JP4427583B2 (ja) 2008-02-01 2010-03-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イオマスの水熱分解装置及び方法、バイオマス原料を用いた有機原料の製造システム
JP4524351B2 (ja) 2008-02-01 2010-08-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イオマス原料を用いた有機原料の製造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08046928A1 (de) * 2008-09-12 2010-03-18 Georg Klaß sen. Schneckenfilterpresse
GB2474688B (en) * 2009-10-23 2014-05-07 M & N Electrical And Mechanical Services Ltd Separating apparatus
BRPI1006899B1 (pt) 2010-03-10 2021-11-09 Mitsubishi Power Environmental Solutions, Ltd Aparelho de decomposição hidrotérmica de biomassa e sistema de produção de matériaprima orgânica que usa material de biomassa
WO2011111190A1 (ja) 2010-03-10 2011-09-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イオマスの水熱分解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バイオマス原料を用いた有機原料の製造システム
CN101979784A (zh) * 2010-04-27 2011-02-23 孙光斌 螺旋离心式挖孔清淤机
JP5854586B2 (ja) 2010-07-06 2016-02-09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糖液を用いた発酵システム及び方法
CA2750753C (en) 2010-07-09 2018-06-1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Biomass processing system and saccharide-solution production method using biomass material
WO2012004894A1 (ja) 2010-07-09 2012-01-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イオマスの水熱分解システム及びバイオマス原料を用いた糖液生産方法
DE102010038417A1 (de) 2010-07-26 2012-01-26 Huber S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Siebgut aus einer Flüssigkeit
JP4691214B1 (ja) * 2010-09-03 2011-06-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イオマスの分解装置及び方法、バイオマス原料を用いた糖液製造システム
ITBO20100093U1 (it) * 2010-09-15 2012-03-16 Cms Spa Compattatore di rifiuti, di costruzione semplificata e di piccole dimensioni, particolarmente per bar, tavole calde od altri piccoli esercizi di ristorazione.
JP4875785B1 (ja) 2011-01-13 2012-0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糖液製造装置、発酵システム、糖液製造方法及び発酵方法
KR101133112B1 (ko) * 2011-07-29 2012-04-06 제천시 슬러지, 유분, 협잡물 종합 탈수 처리 장치
US9315840B2 (en) 2012-03-29 2016-04-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echatronics Systems, Ltd. Biomass processing system, saccharide solution production method using biomass feedstock, alcohol production method
CN103568353B (zh) * 2012-07-20 2015-09-30 北京天高智机技术开发公司 一种餐厨垃圾浆渣分离机
AT515053B1 (de) * 2013-10-28 2017-01-15 Ing Kurri Ernst Anordnung zur Befüllung eines Silos
JP6138029B2 (ja) * 2013-11-18 2017-05-31 日立造船株式会社 ダム貯水池の堆砂排出設備
WO2019150168A1 (es) * 2018-02-01 2019-08-08 Universidad Tecnológica De Panamá (Utp) Aparato para la recolección de residuos sólidos desde un cauce de agua
US10968617B2 (en) * 2019-06-04 2021-04-06 Terry Duperon Lift station maintenance device
DE102019007315B3 (de) * 2019-10-21 2020-11-05 Stefan Barth Kombirotationshebel mit Förderschnecke für kleine Wasserkraftwerke
CN112516710A (zh) * 2020-12-02 2021-03-19 李扬 一种环保型工业废气净化装置
CN113207834B (zh) * 2021-06-15 2022-08-19 长江师范学院 一种昆虫自动诱捕装置及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24160A (ko) *
US689440A (en) * 1901-02-18 1901-12-24 Gustave R Tuska Pressing apparatus.
FR352616A (fr) * 1905-03-22 1905-08-16 Charles Constant Leclaire Filtre à formation et évacuation automatiques et continues de dépots solides
US1096199A (en) * 1913-02-27 1914-05-12 Logan Iron Works Screw-press.
US2491912A (en) * 1947-01-30 1949-12-20 Marcus A Walker Apparatus for separating materials
US2929504A (en) * 1958-05-19 1960-03-22 Chain Belt Co Waste-flow screening apparatus
FR1471470A (ko) * 1965-03-16 1967-05-24
CH532409A (fr) * 1970-09-04 1973-01-15 Doucet Charles Procédé de filtrage d'un fluide et filtr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US3688687A (en) * 1970-11-16 1972-09-05 Wascon Systems Inc Press
DE2142540A1 (de) * 1971-08-25 1973-03-01 Benno Reiche Rechenreiniger
US3695173A (en) * 1972-01-28 1972-10-03 Clyde Harold Cox Sludge dewatering
CH598861A5 (ko) * 1973-07-25 1978-05-12 Muanyagipari Kutato Intezet
DD105189A1 (ko) * 1973-07-27 1974-04-12
DE3019127C2 (de) * 1980-05-20 1983-02-03 Günther 7913 Senden Abel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Rechengut aus Zulaufgerinnen, insbesondere von Kläranlagen
DE3174390D1 (en) * 1981-06-19 1986-05-22 Black Clawson Co Paper making stock screen and a system for treating paper making stock
SU1134375A1 (ru) * 1981-07-27 1985-01-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956 Шнек пресса дл отделени твердого вещества от жидкости
JPS58187644A (ja) * 1982-04-27 1983-11-01 Anritsu Corp ボ−ルネジ支承装置
US4424129A (en) * 1982-06-28 1984-01-03 Bunger Richard E Dewatering apparatus for waste recovery systems
DD213353A1 (de) * 1983-02-02 1984-09-12 Rationalisierungsmittelbau D P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trennung eines feststoff-fluessigkeits-gemisches
DE3420157C1 (de) * 1984-05-30 1986-01-23 Hans Huber GmbH, 8434 Berching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Rechen- und/oder Siebgut aus in einem Gerinne stroemender Fluessigkeit
DE3434301C2 (de) * 1984-09-19 1993-11-11 Willi Cordes Anlage zum Behandeln von Fäkalien
FR2572950B1 (fr) * 1984-11-12 1987-01-23 Lamort E & M Perfectionnements aux tamis pour epurateurs et a leur mode de fabrication
JPS61169521U (ko) * 1985-04-10 1986-10-2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330B1 (ko) * 2003-03-04 2011-02-28 노버트 브라우트푀르거 곡물 순환 장치
KR100941923B1 (ko) * 2008-02-13 2010-02-11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스컴 스크린용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의 브러쉬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93213A (ja) 1988-11-30
DE3716434C1 (de) 1988-12-08
US4859322A (en) 1989-08-22
EP0293515A2 (de) 1988-12-07
DK44488D0 (da) 1988-01-29
ATE79144T1 (de) 1992-08-15
KR880014205A (ko) 1988-12-23
BR8800872A (pt) 1988-11-29
EP0293515B1 (de) 1992-08-05
PT86658B (pt) 1993-09-30
GR3005501T3 (ko) 1993-06-07
EP0293515A3 (en) 1989-04-26
CA1330957C (en) 1994-07-26
PT86658A (pt) 1989-05-31
ES2033780T3 (es) 1993-04-01
DK44488A (da) 1988-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706B1 (ko) 채널내에 흐르는 액체에서 스크리닝(screening) 또는 필터링(filtering)하는 물질의 제거장치
US3876548A (en) Screening method and apparatus
KR970009367B1 (ko) 수로에 흐르는 유체로부터 걸림물과/또는 여과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CN106365214B (zh) 破碎装置
CZ64497A3 (en) Apparatus for removing extracted material from a liquid flowing in a trough
AU652758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creening panels
JP2008303542A (ja) ディスクスクリーン装置
DE3432811C2 (de) Drehsieb
US6613238B2 (en) Fixed media filter screen, screen protector, and CSO screen
JPS61263613A (ja) 自動清掃式濾過装置
KR960005032Y1 (ko) 폐수여과용 스크린 장치
US5715668A (en) Self-adjustable rake for overflow grates
JPH0771019A (ja) 処理水中のし渣及び/又は油分の除去方法、これを使用した前処理施設及び汚水処理施設
CA2254325C (en) Self-adjustable rake for overflow grates
JPS59137593A (ja) 紙製造紙料用のスクリ−ニング装置
KR0129369Y1 (ko) 폐수여과기의 레이크보호장치
DE3915529A1 (de)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rechen- und/oder siebgut aus einem gerinne stroemender fluessigkeiten
KR100834924B1 (ko) 복합 하수 범람 댐용 스크린조립체
FI57215B (fi) Silanordning
JPS61207690A (ja) ふるい分け装置
KR100575564B1 (ko) 로터리식 제진기
CA2403151A1 (en) Up-flow rake bar screen assembly
WO2001014040A1 (de) Reinigungseinrichtung für ein fliessendes medium, insbesondere abwasser
CS266549B1 (cs) Česle na zachycování hrubých látek v kapalině
JP2018066239A (ja) ドラム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