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116Y1 -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116Y1
KR200303116Y1 KR20-2002-0032767U KR20020032767U KR200303116Y1 KR 200303116 Y1 KR200303116 Y1 KR 200303116Y1 KR 20020032767 U KR20020032767 U KR 20020032767U KR 200303116 Y1 KR200303116 Y1 KR 200303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er
grains
g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기화
Original Assignee
맹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기화 filed Critical 맹기화
Priority to KR20-2002-0032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Landscapes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종류의 곡물을 동시에 다량으로 찔 수 있는 자동설비로 작업자가 쉽게 작업할 수 있는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은 다수 종류의 곡물을 각각 물과 함께 저장하며 각각의 전면에 형성된 곡물배출구를 하나의 이송관에 연결시킨 다수개의 침지통과, 침지통으로부터 곡물을 물과 함께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하여 보일러의 화력으로 찔 수 있도록 작업대에 설치된 다수개의 찜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pounding system of grain}
본 고안은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특히 올벼쌀을 자동 설비로 용이하게 찔 수 있고 동시에 여러 종류의 곡물을 찔 수 있어서 작업상 효율성이 높은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곡류 중 쌀은 주요 식량자원의 하나로, 양질의 쌀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들이 다각도로 모색되어 왔으며, 이를 위해서는 벼의 품질관리가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이와 같은 벼의 품질은 생육시의 벼 관리, 기후조건, 수확 후 탈곡 및 건조방법 등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는데, 이러한 조건들이 적합하지 못하면 미숙미(未熟米)나 설현미 및 싸라기 등이 다량 발생되어 완전미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한편, 올벼쌀은 수확기 전 이른 벼를 베어다 탈곡하여 1일 정도 말려 가마솥에 넣어 찌고 이것을 삽 등으로 꺼내 다시 한번 멍석에 말린 다음 방아를 찧는다.
그러나, 가마솥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올벼쌀을 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올벼쌀을 큰 가마솥에서 찐 후 작업자는 가마솥에 들어가서 삽 등으로 퍼내야 하기 때문에 덥소 시간이 오래 거리며 작업상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한정된 가마솥으로 다수 종류의 곡물을 찌기는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수의 곡물을 동시에 찔 수 있도록 다수개의 침지통과 찜통을 구비하고 곡물을 배관을 통해 이송되도록 설비를 갖춤으로써 곡물을 찌는 작업도 용이하며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 종류의 곡물을 각각 물과 함께 저장하며 각각의 전면에 형성된 곡물배출구를 하나의 이송관에 연결시킨 다수개의 침지통과, 침지통으로부터 곡물을 물과 함께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하여 보일러의 화력으로 찔 수 있도록 작업대에 설치된 다수개의 찜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찜통 설비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지통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찜통의 설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5b는 도 5a에서 찜통이 회전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침지통 22: 곡물배출구
24: 제 1곡물량조절밸브 26a,26b: 제 1, 2물공급관
27a,27b: 제 1,2지관 28a,28b: 제1,2펌프
30: 물탱크 32: 송풍기
34: 분기관 36: 유량조절밸브
40: 이송관 42: 제 3펌프
44: 제 2곡물량조절밸브 50: 찜통
51: 구동축 52: 회전축
53a: 구동휠 53b: 종동휠
53c: 동력전달부 54: 회전모터
55: 감속기 56: 베어링부
57: 지지바 59: 지지편
60: 내피 62: 열전달공
64: 외피 66: 물배출구
66a: 배출밸브 67: 공간부
70: 보일러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은 다수 종류의 곡물(1)을 각각 물과 함께 저장하며 각각의 전면에 형성된 곡물배출구(22)를 하나의 이송관(40)에 연결시킨 다수개의 침지통(20)과, 침지통(20)으로부터 곡물(1)을 물과 함께 이송관(40)을 통해 이송하여 보일러(70)의 화력으로 찔 수 있도록 작업대(10)에 설치된 다수개의 찜통(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침지통(20)은 전면이 후면보다 낮게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물공급관(26a,26b)을 통해 물탱크(30)에 저장된 물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받도록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지통(2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 구비하여 여러 종류의 곡물(1)을 각기 다른 침지통(2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침지통(20)은 네 개의 지지대(21)에 의해 지지되는데 침지통(20) 내에서 곡물(1)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침지통(20)의 전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대(21)의 길이를 후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대(21)의 길이보다 짧게 하여 전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30)와 침지통(20)의 전면을 연결하는 제 1물공급관(26a) 상에는 물탱크(30)의 물을 침지통(20)으로 펌핑(pumping)할 수 있는 제 1펌프(28a)가 설치되고 물탱크(30)와 침지통(20)의 후면을 연결하는 제 2물공급관(26b) 상에는 제 2펌프(28b)가 설치된다.
제 1펌프(28a)와 제 2펌프(28b)는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 1물공급관(26a)은 다수개가 평행하게 나열된 마지막 침지통(20)까지 연장 형성되고 제 2물공급관(26b)도 다수개의 침지통(20)의 마지막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물공급관(26a)에는 각각의 침지통(20)의 전면으로 필요에 따라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제 1지관(27a)이 구비되어 각각의 침지통(2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물공급관(26b)에는 각각의 침지통(20)의 후면으로 필요에 따라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제 2지관(27b)이 구비되어 각각의 침지통(20)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지관(27a)과 제 2지관(27b)에는 침지통(20)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조절밸브(36)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물공급관(26a) 상에는 제 1펌프(28a)에서 펌핑된 물의 유속을 세게 하거나 침지통(20)의 곡물(1)에 산소를 공급하여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송풍기(3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송풍기(32)는 제 1물공급관(26a)에서 분기된 분기관(34)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물공급관(26a)에서 분기관(34)과 분기되는 지점에서는 제 1물공급관(26a)과 분기관(34)에 각각 유량조절밸브(36)를 구비하여 수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침지통(20)의 전면에서 마지막 침지통(20)까지 이송관(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관(40)은 침지통(20)의 곡물(1)을 후술할 찜통(50)으로 이송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이송관(40)은 각각의 침지통(20)의 곡물배출구(22)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곡물배출구(22)에는 이송관(40)으로 유입되는 곡물(1)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곡물량조절밸브(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40) 상에는 침지통(20)의 곡물(1)을 찜통(50)까지 가능한 빨리 유입될 수 있도록 제 3펌프(42)를 설치하여 작동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찜통(50)은 지면에 대해 소정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된 작업대(10)의 일정 위치에 통공 형성된 설치공(12)에서 일방향으로 180°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작업대(10)는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리(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다리(14)와 다리(14) 사이에 이송차가 들어가 찜통(50)의 곡물(1)을 받아 이송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찜통(50)은 작업대(10) 상에 하나 이상 통공 형성된 설치공(12)에 각각 구비되는데 설치공(12)의 직경은 찜통(50)이 1회전되는데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찜통(5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 구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찜통(50)은 이송관(40)에서 이송된 곡물(1)을 받아 찌기 위한 장치로 이송관(40)에서 찜통(50) 각각의 상방에는 곡물배출관(43)이 분기된다.
그리고, 상기 곡물배출관(43)에는 찜통(50)으로 배출되는 곡물(1)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2곡물량조절밸브(44)가 구비된다.
상기 제 1곡물량조절밸브(24)와 제 2곡물량조절밸브(44)는 전자적 제어에 의한 자동으로 조작하도록 하거나, 손으로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찜통(5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작업대(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설되며 찜통(50)의 외주면에서 일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회전축(52)과, 회전축(52) 상에 억지 끼움 되며 그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작업대(10)의 측면에 고정되는 베어링부(56)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52)은 찜통(50)이 삽입되는 설치공(12)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일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2)은 둘 이상의 지지편(59)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편(59)은 회전축(52)의 주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네 개 고정 부착되는데 찜통(50)의 외주면과 회전축(52)의 주면에 함께 고정되도록 용접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52)을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부(56)의 외주면에는 지지바(57)가 상·하의 한 쌍 이상이 결합되고 그 끝단은 설치공(12)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설치한다.
한편, 상기 베어링부(56)는 구름베어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대(10)의 내부에는 일정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회전모터(54)가 구비되고, 회전모터(54)의 일측면으로 구동축(51)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51)에는 구동휠(53a)이 구비되어 있고, 찜통(50)의 양 옆면에 고정되는 회전축(52)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52)의 끝단에는 종동휠(53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모터(5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휠(53a)의 회전력이 종동휠(53b)을 통해 회전축(52)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휠(53a)과 종동휠(53b)은 동력전달부(53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3c)는 벨트일 수도 있고 체인일 수도 있다.
상기 회전모터(54)에 의해 찜통(50)은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동일 궤적으로 재회전된다.
상기 구동휠(53a)과 회전모터(54) 사이의 구동축(51) 상에는 회전되는 찜통(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180°회전 후 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감속기(5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일러(70)와 연결된 증기관(72)은 종동휠(53b)이 연결되지 않은 회전축(52)의 내부로 삽입되어 찜통(50)의 하부에 안착된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찜통(50)의 구조는 하면에 소정 직경으로 다수개의 열전달공(62)이 통공 형성된 내피(60)와, 작업대(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물의 배출을 위한 물배출구(66)를 형성한 외피(64)와,내피(60)와 외피(64)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상단을 실링하여 측부 및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67)와, 회전축(52)의 내부를 통해 공간부(67)에 삽입되며 보일러(70)와 연결되어 열전달공(62)을 통해 증기를 발산 할 수 있도록 증기공(74)이 다수개 형성되고 공간부(67)의 하부에서 평평하게 원 형상으로 설치된 증기관(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찜통(50)은 이중벽 구조로 그 내부를 이루고 있는 내피(6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열전달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전달공(62)의 직경은 찔 곡물(1)이 박히거나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찜통(50)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외피(64)의 하부면 중앙부에는 물배출구(6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배출구(66)는 곡물(1)을 찌면서 발생되거나 침지통(20)에서 함께 이송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고 그 끝단부에는 배출밸브(66a)가 구비되어 곡물(1)을 찔 때 잠그고 곡물(1)의 물기를 빼기 위해서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67)는 외피(64)와 내피(6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으로 곡물(1)을 찌기 위해 발생되는 스팀(steam)이 잔존하는 곳이다.
한편, 상기 보일러(70)와 연결된 증기관(72)은 중공인 회전축(52)의 내부로 삽입되어 공간부(67)의 하부 바닥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67)에 위치한 증기관(72)은 원 형상으로 둥글게 말려 있고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미세한 증기공(74)이 형성되어 스팀을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증기관(72) 상에는 로터리 조인트(rotary joint)(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증기관(72)이 찜통(50)과 함께 회전되어도 꼬이지 않도록 함이 당연하다.
도 5a의 원 안에 있는 도면은 증기관(72)이 공간부(67)에 내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상기 증기공(74)으로부터 발생된 스팀은 내피(60)의 열전달공(62)을 통해 찜통(50) 내부의 곡물(1)에 전달되어 곡물(1)을 찌게 된다.
한편, 상기 찜통(50)의 상부에는 뚜껑(68)이 구비되어 있고, 뚜껑(68)의 중앙부에는 이송관(40)의 곡물배출관(43)으로부터 유입되는 곡물(1)을 받기 위해 유입구(6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68)은 찜통(50)의 상부에 일부 삽입되는 원형판으로 찜통(50)에서 대응되는 외주면에서 체결구(68a)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힌지된다.
즉, 뚜껑(68)은 찜통(50)의 기울어짐에 따라 한 쪽이 올라가며 찜통(50)의 상부를 개방하게 되면 다른 쪽은 찜통(50)의 내부로 내려가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뚜껑(68)은 찜통(50)이 수직하게 위치하면 찜통(50)의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지시선(…>)은 물의 흐름을 보인 것이고, 실선으로 표시된 지시선(→)은 곡물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곡물(특히, 올벼쌀)(1)을 양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침지통(20)에 넣는다.
그리고, 제 2펌프(28b)를 가동하여 물탱크(30)의 물이 제 2물공급관(26b)을 통해 침지통(20)에 공급되도록 한다.
제 2물공급관(26b)과 침지통(20)을 연결하는 제 2지관(27b)에 설치된 유량조절밸브(36)를 작동하면 물의 양이 조절되거나 유입이 정지된다.
물로 세척되면서 물에 젖은 곡물(1)은 장기간 방치할 경우 썩을 수 있기 때문에 송풍기(32)를 작동하여 제 1물공급관(26a)을 통해 곡물(1)에 바람을 불어 넣어줌으로 해서 썩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침지통(20)의 곡물배출구(22)에 형성된 제 1곡물량조절밸브(24)를 열면 물과 함께 곡물(1)이 이송관(40)을 통해 곡물배출관(43)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침지통(20)의 바닥에 적층된 곡물(1)은 제 1펌프(28a)를 작동하여 물탱크(30)의 물을 제 1물공급관(26a)으로 보내어서 제 1지관(27a)으로 유입되면서 침지통(20)의 곡물(1)이 유동되도록 한다.
또한, 제 1물공급관(26a)에서 분기된 분기관(34)과 연결된 송풍기(32)를 작동해도 침지통(20)의 곡물(1)이 유동된다.
한편, 상기 이송관(40)으로 이송되는 곡물(1)은 제 3펌프(42)의 작동으로 바람직하게 곡물배출관(43)을 통해 하나 이상의 찜통(50)으로 배출된다.
이때, 침지통(20)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유량조절밸브(36)로 제어 가능하고, 침지통(20)에서 유출되는 곡물(1)의 양은 제 1곡물량조절밸브(24)로 제어할 수 있다.
제 1펌프(28a), 제 2펌프(28b) 및 제 3펌프(42)는 수작업으로 작동을 하거나 작동을 멈출 수도 있고 전자적 제어에 의해 작동을 하거나 작동을 멈출 수도 있다.
곡물(1)은 찜통(50)에 유입되면 보일러(70)를 가동하여 증기관(72)을 통해 찜통(50)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곡물(1)이 쪄지게 되면 보일러(70)의 가동을 멈추고 전자 제어에 의해 회전모터(54)를 작동하여 구동휠(53a)과 종동휠(53b)을 동력전달부(53c)의 연결로 함께 회전시키며 찜통(50)의 상부가 하향하도록 회전시킨다.
상기 찜통(50)은 회전축(52)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축(52)에 억지 끼움 되며 지지바(57)에 의해 지지되는 베어링부(56)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된다.
또한, 한 쌍의 회전축(52) 각각에는 네 개의 지지편(59)이 고정되며 찜통(50)과 용접되어서 회전축(52)이 안전하게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찜통(50)의 회전 각도는 감속기(55)에 의해 제어되거나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며 회전 속도도 감속기(55)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또한, 찜통(50)의 뚜껑(68)이 닫힌 상태로 유입구(69)를 통해 유입된 곡물(1)은 보일러(70)의 가동으로 증기관(72)의 증기공(74)을 통해 발산되는 스팀에 의해 쪄지게 된다.
이때, 찜통(50)의 외피(64)와 내피(60) 사이인 공간부(67)에는 스팀이 잔류하며 찜통(50)을 보온하며 곡물(1)을 찌는 효율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뚜껑(68)은 수직한 상태로 되며 곡물(1)이 이동될 이송차에 담겨지게 되고 회전모터(54)의 재작동으로 찜통(50)은 원위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은 다수개의 침지통과 다수개의 찜통을 구비하고 배관을 통해 곡물을 이송시키면서 찔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하고 시간이 단축되며 동시에 여러 종류의 곡물을 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 종류의 곡물을 각각 물과 함께 저장하며 각각의 전면에 형성된 곡물배출구를 하나의 이송관에 연결시킨 다수개의 침지통과;
    상기 침지통으로부터 상기 곡물을 물과 함께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하여 보일러의 화력으로 찔 수 있도록 작업대에 설치된 다수개의 찜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통은 전면이 후면보다 낮게 설치되고, 상기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물공급관을 통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받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통의 전면과 연결된 물공급관에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송풍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찜통은 지면에 대해 소정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된 상기 작업대의 일정 위치에 통공 형성된 설치공에서 일방향으로 180°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찜통에는 상기 작업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설되며 상기 찜통의 외주면에서 일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억지 끼움 되며 그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작업대의 측면에 고정되는 베어링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찜통은 하면에 소정 직경으로 다수개의 열전달공이 통공된 내피와;
    상기 작업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물의 배출을 위한 물배출구를 형성한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상단을 실링하여 측부 및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외피의 측면 중앙부로 삽입되며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어 열전달공을 통해 증기를 발산 할 수 있도록 증기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서 평평하게 원 형상으로 설치된 증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KR20-2002-0032767U 2002-11-01 2002-11-01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KR200303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767U KR200303116Y1 (ko) 2002-11-01 2002-11-01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767U KR200303116Y1 (ko) 2002-11-01 2002-11-01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116Y1 true KR200303116Y1 (ko) 2003-02-07

Family

ID=4940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767U KR200303116Y1 (ko) 2002-11-01 2002-11-01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1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071B1 (ko) 2007-08-13 2009-05-14 이재성 육류 찜질장치
KR20160058508A (ko) * 2014-11-17 2016-05-25 맹기화 올벼 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071B1 (ko) 2007-08-13 2009-05-14 이재성 육류 찜질장치
KR20160058508A (ko) * 2014-11-17 2016-05-25 맹기화 올벼 찜 장치
KR101715082B1 (ko) 2014-11-17 2017-04-04 맹기화 올벼 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603B1 (ko) 연속식 곡물 사일로형 건조장치
US20110243808A1 (en) Autoclave
US4209918A (en) Combine grain drying apparatus
US4193873A (en) Manure collection and storage system
KR200303116Y1 (ko)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CN110551626A (zh) 一种温湿度可控的卧式固态发酵罐
PL196568B1 (pl) Nieciągły albo okresowy sposób i urządzenie do co najmniej częściowej sterylizacji albo jednorodnej i pełnej pasteryzacji podłoża
AU2004216936B2 (en) Device for circulating grain products
US3181955A (en) Method of cooking grain in a closed system
ZA200506278B (en) Device for circulating grain products
US4125066A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paration of peel from produce
CN209581944U (zh) 一种用于草甘膦生产的包装机
KR200423699Y1 (ko) 차량 장착형 비료 살포장치
USRE26257E (en) Method of cooking grain in a closed system
KR20000040206A (ko) 곡물 및 고추 건조장치
US5797278A (en) Air treatment apparatus
CN212413907U (zh) 一种可调节式筒仓通风结构
KR200288529Y1 (ko)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건조저장빈
CN220590129U (zh) 一种粮食加工用脱壳装置
CN219014817U (zh) 一种粮食循环烘干系统
CN214199603U (zh) 一种种子烘干装置
JPS6310470Y2 (ko)
CN217866056U (zh) 一种饲料成品储存仓
JP2010104254A (ja) 種子の乾燥設備
KR880000938B1 (ko) 예취탈곡기의 이슬제거 및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