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071B1 - 육류 찜질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찜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071B1
KR100897071B1 KR1020070081072A KR20070081072A KR100897071B1 KR 100897071 B1 KR100897071 B1 KR 100897071B1 KR 1020070081072 A KR1020070081072 A KR 1020070081072A KR 20070081072 A KR20070081072 A KR 20070081072A KR 100897071 B1 KR100897071 B1 KR 100897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ing
steamer
giblets
mea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811A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성 filed Critical 이재성
Priority to KR102007008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0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찜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나 돼지 등의 가축내장인 곱창을 삶아서 익혀 찌는 초벌가공 과정을 작업인부가 필요없이도 설정된 시간에 따라 무인자동화로 신속하고도 간단히 이룰 수 있음과 동시에, 많은 량의 곱창을 담아 골고루 찌는 그 작업과정이 일률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육류 찜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구성기기들을 내,외부에 고정설치하기에 용이한 콘테이너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메인하우징 및 상기 메인하우징의 양측단에 일체로 더 연통결합되는 복수의 서브하우징과; 상기 서브하우징 각각의 내부 상측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물을 가열하여 곱창을 삶아서 찌기 위한 제1,2찜솥과; 내부에 다량의 곱창을 담은 후, 상기 제1,2찜솥 내에 각각 수용장착된 채로 자전하여 담겨진 곱창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하는 원주형 찜통과; 상기 제1,2찜솥을 통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열매와; 상기 찜통의 자전 및 열매의 승강작동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제1,2찜솥 내로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물공급수단과;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부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열매 및 구동수단의 작동을 컨트롤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찜질장치, 육류, 가축내장, 곱창, 찜솥, 찜통, 열매

Description

육류 찜질장치{FOMENTING APPARATUS FOR THE SMALL INTESTINES OF CATTLE}
본 발명은 육류 찜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나 돼지 등의 가축내장인 곱창을 삶아서 익혀 찌는 초벌가공 과정을 작업인부가 필요없이도 설정된 시간에 따라 무인자동화로 신속하고도 간단히 이룰 수 있음과 동시에, 많은 량의 곱창을 담아 골고루 찌는 그 작업과정이 일률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육류 찜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牛, A cow)나 돼지(豚, A pig)의 육(肉)은 국내인들뿐만 아니라 전세계 지구촌 대 다수인들이 즐겨 식용하는 축산물(畜産物, Livestock foodstuffs) 중의 하나이다. 더욱이, 소와 돼지의 경우 털이나 가죽을 제외한 각종 내장(內臟)들까지도 다양한 요리로써 이용되고 있는바, 그 중에서도 특히 위(양·벌집·천엽·막창)와 곱창을 이용한 요리는 미식가들의 애호식품(愛好食品)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한편, 상기 곱창(The small intestines of cattle)의 사전적 의미는, 소나 돼지의 작은 창자(소장)를 말하는 것으로, 가축의 도살과정 중 얻어지는 지육(枝肉, 살코기 등)을 제외한 20%∼30%의 식육 부산물 중 하나인 내장 류에 속하며, 단백질·지방·무기질과 다량의 비타민·지방산 콜레스테롤을 함유하여 그 영양적 가 치가 매우 우수하다.
최근에는, 주로 구이요리 및 전골요리로써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러한 내장요리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프랜차이즈 요식업체(料食業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전술한 곱창 등의 가축내장은 최초의 손질작업이 번잡하고 쉬이 변질되는 특성으로, 장기 보관 및 운송이 여의치 않아 소비자들이 정육점이나 축산품 직판장에서 많은 량을 구입하기가 어려운 한편, 그 특유의 역한 냄새 때문에 일반 세대가정 내에서는 취급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이 특정업체로부터 밀폐스팀솥을 통해 삶아 익히는 찜법으로 초벌가공된 것들이 요식업체에 납품되는 유통관계를 거쳐 요리로써 소비자에게 제공되어 왔다.
도 1a는 종래의 밀폐스팀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밀폐스팀솥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종래의 밀폐스팀솥(90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나 돼지의 곱창 등과 같은 가축내장과 물을 함께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911)이 마련되고 상단이 개구된 반구형의 통체(910)와, 상기 통체(910)의 개구부를 밀폐시켜 상기 가축내장을 삶아 익히는 찜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원판형의 덮개(920)와, 상기 통체(910)의 하측에 구비된 채로 그를 가열하여 상기 수용공간(911) 내에 담긴 가축내장을 물(가열수)로써 삶기 위한 가열수단(930)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체(910)의 수용공간(911) 내에서 가열수에 의해 삶아지는 가축내장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휘둘러 섞기 위한 휘젓개(940)를 더 포함한다.
종래의 밀폐스팀솥(900)에 의하면, 먼저 상기 통체(910)의 수용공간(911) 내에 적당량의 물과 가축내장을 함께 담은 후 상기 덮개(920)로 밀폐시킨 다음, 상기 가열수단(930)으로 통체(910)를 가열하여 뜨거워진 물(및 증기)로 삶아 익히는 찜 과정을 최초 진행한다.
그 후, 상기 덮개(920)를 개방한 다음, 작업인부가 직접 상기 휘젓개(940)로 얼마간 휘저어 섞는 작업과정을 통해 가축내장을 익힐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공정단계를 여러 번 반복하여 최종 초벌가공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밀폐스팀솥(900)을 통해 가축내장을 한꺼번에 삶아 익혀 찔 수는 있으나, 최초의 삶는 작업 이후 가축내장들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작업자가 덮개(920)를 개방한 다음 상기 휘젓개(920)로 얼마간 휘저어 섞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함과 같은 번잡성과 아울러, 이러한 모든 작업과정이 사람에 의존해야만 가능한 관계에 따른 인력 및 인건비 낭비의 문제점이 뒤따랐다.
또한, 상기 휘젓개(920)를 이용하여 골고루 섞는 그 작업과정에 따라 식품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과정 중에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에 영향으로 작업인부의 팔과 얼굴 등이 화상의 위험성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어 신체부상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증기와 함께 풍겨나는 가축내장(이하 "곱창"이라 함) 그 특유의 역한 냄새로 인한 작업기피 현상을 초래하는 폐단이 있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을 통해 곱창을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찜통 및 상기 찜통을 내부에 수용장착한 상태로 그가 자전될 수 있는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2찜솥과 구동수단 그리고 곱창을 가열하는 물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열매를 함께 구비하여, 찜 과정에 작업인부가 전혀 개입하지 않고도 다량의 곱창들을 설정된 시간 안에 무인자동으로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찜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찜통 내에 담긴 곱창이 일정구간 상승 후 낙하됨에 의한 그 충격법을 이용하여, 곱창의 찜 과정과 더불어 이물질 배출과 같은 세척작업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육류 찜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육류 찜질장치는, 각종 구성기기들을 내,외부에 고정설치하기에 용이한 콘테이너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메인하우징 및 상기 메인하우징의 양측단에 일체로 더 연통결합되는 복수의 서브하우징과; 상기 서브하우징 각각의 내부 상측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물을 가열하여 곱창을 삶아서 찌기 위한 제1,2찜솥과; 내부에 다량의 곱창을 담은 후, 상기 제1,2찜솥 내에 각각 수용장착된 채로 자전하여 담겨진 곱창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하는 원주형 찜통과; 상기 제1,2찜솥을 통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일 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열매와; 상기 찜통의 자전 및 열매의 승강작동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제1,2찜솥 내로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물공급수단과;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부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열매 및 구동수단의 작동을 컨트롤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육류 찜질장치는, 곱창을 담은 채로 자전하는 찜통과 상기 찜통을 찜솥 내부에 수용장착한 상태에서 자전에 필요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 및 곱창을 삶아 익혀 찌기 위한 가열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열매의 결합을 통하여, 많은 량의 곱창도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삶아서 익혀 찔 수 있으면서도 최상의 맛을 가질 수 있게 골고루 익힘이 가능함에 따른 제품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찜통을 이용한 찜 과정과 더불어 이물질 배출과 같은 세척작업도 가능함으로써, 곱창의 초벌가공 작업의 효율화와 함께 보다 위생적인 제품의 생산 및 납품에 따른 제품판매 촉진 및 제품보존 기간의 연장효과를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모든 찜 과정을 프로그램 설정을 통해 이룰 수 있는 제어수단 및 그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찜통의 자전 및 물(가열수)의 온도유지에 필요한 대부분의 과정을 무인자동화로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곱창의 최초 투입작업과 최종 배출 작업을 제외한 찜 과정에 사람이 관여하지 않고도 실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인부의 활용 및 인건비 절약과 아울러 고온의 증기에 작업인부가 화상의 위험성 과 작업회피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의 내부구성관계를 나타낸 정단면도와 배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에 있어서, 찜통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의 제1찜솥 내에 찜통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단면도와 측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에 있어서, 찜통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에 있어서, 제1찜용기 내벽면에 결합되는 연동기어와 복수의 공전롤 및 가압부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실시예시도이다.
도 2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A)는, 각종 구성기기들을 내,외부에 고정설치하기에 용이한 콘테이너형태로 이루어진 금속 메인하우징(1-1) 및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양측단에 일체로 더 연통결합되는 복수의 서브하우징(1-2)과, 상기 서브하우징(1-2) 각각의 내부 상측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물을 가열하여 곱창을 삶아서 찌기 위한 제1,2찜솥(2-1)(2-2)과, 내부에 다량 의 곱창을 담은 후 상기 제1,2찜솥(2-1)(2-2) 내에 각각 수용장착된 채로 자전하여 담겨진 곱창이 골고루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원주형 찜통(3)과, 상기 제1,2찜솥(2-1)(2-2)을 통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열매(4)와, 상기 찜통(3)의 자전 및 열매(4)의 승강을 위한 구동수단(5)과, 상기 제1,2찜솥(2-1)(2-2) 내로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물공급수단(6)과,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외부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열매(4) 및 구동수단(5)의 작동을 컨트롤하도록 하는 제어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하우징(1-1)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콘테이너형으로 이루어짐에 의해 각종 구성기기들을 설치하기에 적당한 내부공간(1-1a)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1a)를 절반으로 구획하여 상기 열매(4)가 좌,우측에 장착가능케 하면서도 그의 승강안내를 위한 다수의 가이드봉(1-11)이 중앙부 전,후방 및 양측부 가장자리에 수직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다수의 가이드봉(1-11) 각각의 상,하 끝단부에는, 상기 구동수단(5)에 의해 승강되는 열매(4)의 상승 및 하강 후 정지를 위한 제1,2스탑스위치(1-111)(1-112)가 구비결합된다.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전방측에는, 상기 내부공간(1-1a)에 배치결합되는 각종 구성기기들의 설치와 수리 보수작업의 편의를 위한 하우징도어(1-1b)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서브하우징(1-2)은, 상기 제1,2찜솥(2-1)(2-2)의 결합 및 그 내부로 공급된 물을 가열함으로써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가열수 및 고온 의 증기를 이용한 곱창의 찜 과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하우징(1-1)과 유사한 금속 함체형으로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제1찜솥(2-1)이나 제2찜솥(2-2)을 내부 상측에 고정결합함이 가능한 설치공간(2-1a)이 마련된다.
더불어, 상기 설치공간(2-1a)에 고정결합된 제1,2찜솥(2-1)(2-2) 내에 상기한 찜통(3)을 낙하시켜 수용장착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됨과 아울러, 그 개구된 상단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키기 위한 접이식 덮개(1-21)가 더 구비결합된다.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외부 상단에는, 일정길이로 된 지지대(1-12)가 수직결합되고, 그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서브하우징(1-2) 상단에 결합된 접이식 덮개(1-21)의 일 상면에 유압실린더(1-13)가 연계장착됨에 따라, 상기 접이식 덮개(1-21)의 개방과 밀폐가 가능하다.
제1,2찜솥(2-1)(2-2)은, 상기 찜통(3)에 담겨지는 다량의 곱창을 가열수 및 그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증기로 삶아서 익혀 찌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찜통(3)을 수용함에 적당한 찜공간(2a)이 마련됨과 더불어 곱창을 찌는데 사용되는 물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하단이 반구형으로 된 제1찜용기(21)와, 상기 찜공간(2a)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구비결합되어 공급된 물을 가열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U"자형 솥히터(22)와, 상기 제1찜용기(21)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열매(4)로부터 제공되는 열매체를 채우기 위한 오일충진공간(23a)을 마련한 제2찜용기(23)와, 가열수에 의한 고온열의 방출로 상기 제1,2찜용기(21)(23)의 내부온도가 빠르게 저하되거나 상기 서브하우징(1-2)의 표면에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24)가 각각 겹겹으로 적층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찜용기(21)의 내벽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찜통(3)이 수용장착된 상태에서 원활히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공전롤(211)과, 상기 찜통(3)의 자전을 위한 연동기어(212)가 상기의 공전롤(211)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돌출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전롤(211)과 연동기어(21)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상기 찜통(3)이 들뜨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압롤(213a)이 구비된 가압부재(213)가 더 결합된다.
찜통(3)은, 상기 제1찜용기(21)의 찜공간(2a) 내에서 구동수단(5)에 의해 회전구동함으로 내부에 담겨진 다량의 곱창이 골고루 익게 하면서도 곱창 내부에 들러붙은 이물질 배출과 같은 세척작업을 동시에 가능케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곱창이 수용되는 육류저장공간(3a)이 내부에 마련된 원통체이고, 다량의 곱창을 담을 수 있는 투입구(3b)가 상측에 형성되며, 찜 과정에 의한 초벌과정을 끝마친 가공곱창을 꺼내기 위한 배출구(3d)가 하측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투입구(3b)와 배출구(3d)의 개,폐를 위해 그들 각각에 일측이 힌지되게 결합되는 투입구덮개(31) 및 배출구덮개(32)가 결합되며, 상기 투입구덮개(31)와 배출구덮개(32)가 인위적으로 개방되어 곱창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2로킹부재(31a)(32a)가 더 구성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찜통(3)의 양단 중앙부에는, 상기 제1,2찜솥(2-1)(2-2)의 제1찜용기(21) 양측 내벽면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공전롤(211) 사이에 하단부가 밀 착 안치되는 회동안내링(33)과, 상기 연동기어(212)와 기어 맞물림 식으로 조립되어 함께 연계 회동하는 회전기어(34)가 상기 회동안내링(33)의 인접 동축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투입구덮개(31)와 배출구덮개(32)를 포함하는 상기 찜통(3)의 외주 둘레면에는, 상기 물공급수단(6)에 의해 상기 제1찜용기(21) 내로 공급된 물 및 그의 가열로 발생된 고온의 증기가 드나들 수 있는 다수개의 통공(3d)이 일정한 간격마다 관통형성되고, 내주 둘레면에는, 상기 찜통(3)의 회동시 상기 육류저장공간(3a) 내에 담긴 일부 곱창이 일정구간 상승한 후 낙하를 통한 그 충격에 의해 이물질 배출과 같은 세척도 가능토록 한 낙하앵글(35)이 일정간격마다 돌출결합된다.
열매(熱媒, 4)는, 상기 찜통(3)의 육류저장공간(3a) 내에 담긴 다량의 곱창을 삶아 찌도록 상기 솥히터(22)에 의해 가열된 물의 적정온도가 곱창의 투입이나 작업시간의 흐름으로 저하됨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오일(기름)과 같은 열매체(도시하지 않음)가 내부에 저장되고, 에너지 절약 또는 곱창의 분량에 따라 가열속도를 달리할 수 있는 전력량이 약 5kW용과 10kW로 구분되는 두 가지 용도이되, 그들을 하나로 통합한 원통형으로 이루진다.
또한, 상기 제2찜용기(23)와 열매(4)에는, 먼저 언급한 열매체가 상기 제2찜용기(23)의 오일충진공간(23a) 내로 충진되거나, 다시 상기 열매(4) 내부로 재유입됨과 같은 순환을 이룰 수 있도록 공급호스(411)와 배출호스(412)가 연결된 순환펌프(41)와 결합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열매(4)의 외주연부 양단에는, 상기한 열매(4)가 구동수단(5) 에 의해 승강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1-11)을 의존하여 상승과 하강이 원활하게 되는 다수의 구름바퀴(42)가 회동가능케 결합된다.
구동수단(5)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찜통(3)의 자전을 위한 구동력 전달로 다량의 곱창이 골고루 익게 하거나 상기 열매(4)의 승강을 통해 그 내부에 담긴 열매체가 상기 제2찜용기(23)의 오일충진공간(23a) 내로 원활한 공급과 배출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찜통(3)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스프로킷(511)이 동축결합된 구동모터(51)와, 상기 구동모터(51)와 상기 제1찜용기(21)의 찜공간(2a) 내벽에 결합된 연동기어(212)의 동축에 더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제1,2찜솥(2-1)(2-2)의 외벽에 돌출 구비되는 자전스프로킷(52)과, 상기 구동스프로킷(511) 및 자전스프로킷(52)에 연계결합되는 수직체인(53)과, 상기 열매(4)에 가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동스프로킷(541)이 동축결합된 승강모터(54)와, 상기 열매(4)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그의 양측에 일 선단이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와이어(55)와, 상기 와이어(55)가 수직으로 당겨지거나 풀리는 작용시에 열매(4)가 승강하도록 하면서도 상승정지시 그를 견고히 지탱시키기 위하여 상기 메인하우징(1-1)의 내측 전,후방 상측부에 회동가능케 결합된 다수의 승강풀리(56)와, 상기 와이어(55)의 권취/권출을 위한 복수의 구동풀리(571) 및 상기 승강모터(54)와 연계되는 연동스프로킷(572)이 양 선단에 일체로 동축결합된 장봉형 샤프트(57)와, 상기 승강모터(54)의 회동스프로킷(541)에 의해 연동스프로킷(572)이 동시 회동하게 그들에 감겨지는 수평체인(5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1)로 공급된 전력에 의해 상기 수직체인(53)이 작동 되는 것이며, 그와 연계된 상기 연동기어(212)를 통해 상기 회전기어(34)의 회동에 따른 찜통(3)의 자전이 가능하고, 상기 승강모터(54)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는 상기 수평체인(58)이 작동하여 연동스프로킷(572)과 동축결합된 구동풀리(571)에 의한 샤프트(57)의 회전으로 상기 와이어(55)가 권취(감김)/권출(풀림)되어 상기 열매(4)가 승강된다.
물공급수단(6)은, 도 2와 도 3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찜솥(2-1)(2-2) 각각의 제1찜용기(21) 내로 다량의 곱창을 삶아서 익히는 찜 과정을 위한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하우징(1-1)과 복수의 서브하우징(1-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공급관(61)과, 상기 공급관(61)으로부터 상기 서브하우징(1-2) 각각의 내측으로 분할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1,2찜솥(2-1)(2-2) 내로 각각 연통되는 급수관(62)과, 찜 과정의 마무리 후 상기 제1,2찜솥(2-1)(2-2)의 찜공간(2a) 내에 저장된 가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6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각각의 급수관(62)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제1,2찜솥(2-1)(2-2)의 찜공간(2a) 내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외부에서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밸브(641)들이 구비결합된 수위조절관(64)이 복수의 상기 서브하우징(1-2)의 일측 외벽에 수직으로 노출결합되어 있다.
제어수단(7)은,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육류 찜질장치(A)를 통하여 다량의 곱창을 삶아서 익혀 찌는 모든 과정의 설정 및 구동관계를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외부 상단에 결합되는 컨트롤 박스(71)와, 찜 과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주회로기판(72)과, 상기 주회로기판(72)에 찜 과정단계를 입력하거나 장치작동의 시작과 정지 그리고 종료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버튼(73)과, 찜 과정의 종료시 이를 알리기 위한 부저(74)와, 전력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전력게이지(75)와, 작업시간이나 작업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내어주는 상태표시패널(7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박스(71)의 전방측에는 박스도어(711)가 구성됨에 따라, 상기 주회로기판(72)을 그 내부에 매립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동시에 상기 조작버튼(73), 부저(74), 전력게이지(75), 상태표시패널(76) 등과 같이 사용자가 간단히 조작하고 확인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은 상기 박스도어(711) 외측 단부에 노출되게 각각 구비결합된다.
미설명부호, (1-3)은 상기 제어수단의 조작이나 메인하우징 내에 설치된 각종 구성기기들의 보수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하우징과 서브하우징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된 발판대이고, (1-131)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위한 조작스위치이며, (1-211)은 상기 접이식 덮개의 개,폐 작동을 가이드하는 개폐안내롤이고, (700)은 상기 제1,2찜솥 안으로 찜통을 낙하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호이스트이며, (800)은 찜 과정이 마무리된 상기 찜통에 담긴 다량의 곱창을 배출시켜 담아내기 위한 수납통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찜통(3)의 투입구덮개(31)를 개방한 다음 상기 육류저장공간(3a) 내로 다량의 곱창을 미리 담아 놓고 제1로킹부재(31a)로 상기 투입구덮개(31)를 단단히 잠근다.
그런 후, 상기 제어수단(7)의 조작버튼(73)들 중 전원버튼을 눌러 외부 전원이 상기 주회로기판(72)에 공급되도록 한 다음, 상기 물공급수단(6)의 공급관(61)에 수돗물을 주입하여 그를 따라 상기 급수관(62)을 거쳐 상기 제1,2찜솥(2-1)(2-2) 각각의 제1찜용기(21) 내에 물이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위조절관(64)에 결합된 다수의 밸브(641)들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별 개방시켜 불필요하게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찜 과정에 사용되는 적당량의 물만이 남을 수 있도록 조절함이 가능하다.
그런 다음, 상기 솥히터(22)에 전력을 인가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찜용기(21) 내에 담긴 물을 약 87℃정도로 최초 가열한다.
참고로, 찜 과정에 사용되는 곱창의 분량에 따라, 상기 제1,2찜솥(2-1)(2-2)을 동시 활용하거나 그들 중 하나만을 활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후로는 상기 제1찜솥(2-1)만을 활용함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계속해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조작스위치(1-131) 의 버튼을 눌러 상기 메인하우징(1-1) 외측 상단과 서브하우징(1-2) 일 상면에 연계결합된 유압실린더(1-13)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접이식 덮개(1-21)가 개방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제1찜솥(2-1)내로 상기한 찜통(3)의 수용장착이 가능토록 한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찜통(3)을 통상의 부양이송장치인 호이스트(700)에 매달아 견인한 이후, 작업자가 직접 상기 호이스트(700)를 작 동시켜 상기 제1찜용기(21)에 의해 마련된 찜공간(2a) 내로 찜통(3)을 간단히 수용장착한다. 이때, 상기 찜통(3)의 양 측단부에 결합된 회동안내링(33)의 하측 외부연부가 상기 공전롤(211) 각 사이에 안착됨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34)가 연동기어(212)에 맞물림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조작스위치(1-31)의 다른 버튼을 눌러 상기한 유압실린더(1-13)에 의해 접이식 덮개(1-21)가 상기 제1찜솥(2-1)을 밀폐함과 같이 상기 서브하우징(1-2)의 상단을 덮는다.
이와 같은 단계에 의해, 곱창을 찌도록 하는 과정의 준비를 끝마친 다음, 상기 제어수단(7)의 조작버튼(73)을 통해 다시 상기 솥히터(22)를 작동시켜 상기 찜공간(2a)에 수용장착된 찜통(3) 내에 담겨진 곱창의 투입에 의해서 온도가 저하된 물을 가열함으로써 다량의 곱창을 삶아 익히는데 적합한 100℃의 온도로 상승케 함과 더불어, 곱창을 삶아 익혀 찌기에 적당한 약 10분 정도의 시간을 설정하도록 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조작버튼(73)으로 상기한 열매(4) 및 구동수단(5)의 작동시점을 설정하게 되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되는 물의 온도가 약 97℃ 정도로 상승하면 작동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주회로기판(72)에 프로그램을 입력한다.
그와 같이, 미리 설정된 약 97℃의 온도까지 물이 가열되면,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51)가 먼저 작동하여 상기 수직체인(53)을 통해 자전스프로킷(52)이 회전되고 그와 동축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연동기어(212)에 의해 그에 맞물림된 회전기어(34)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찜통(3)이 제1찜용기(21) 내에서의 자전으로 다량의 곱창이 골고루 삶아져 익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찜통(3)의 내경면에 수평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결합된 다수의 상기 낙하앵글(35)로 인하여, 곱창이 일정구간 상승한 후 낙하하는 그 충격에 의해 이물질 배출과 같은 세척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5)의 승강모터(54)가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55)가 샤프트(57)의 구동풀리(571)에 감겨 권취되고, 그로써 상기 열매(4)가 함께 상승한 후 상기 제1스탑스위치(1-111)에 의해 적정위치에서 정지된 채로 상기한 와이어(55)에 의해 지지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열매(4)에 공급된 전력으로써 그 내부에 저장된 열매체(오일)가 가열된다.
이는, 가열수의 온도가 떨어지는 현상으로 곱창의 찜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을 방지하도록 상기한 열매체가 상기 제2찜용기(23)의 오일충진공간(23a) 내로 상기 공급호스(411)를 통해 주입된 후 상기 제1찜용기(21)를 부가적으로 더 가열하여줌으로써, 상기 가열수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호스(411)를 거쳐 제2찜용기(23) 내로 충진되는 열매체가 상기 순환펌프(41)에 의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찜 과정진행의 지속으로 열원이 상실된 가열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찜통(3) 내에 담긴 곱창의 분량에 따라 상기의 열매(4)를 통한 가열수의 상승시간이 달라질 수 있어, 곱창의 분량이 소량일 경우에는 상기 열매(4)의 두가지 용도 중 5kW 용량의 것을 작동시키고, 다량일 경우에는 10kW 용량의 것을 작동시키거나 그 둘을 함께 작동시켜 가열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 어수단(7)의 전력게이지(75)를 통해 외부전력의 사용량을 작업자가 직접 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설명을 통한 바에 의거하여, 곱창의 찜 과정이 설정된 약 10분의 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이며, 이러한 설정시간에 이르면 상기 제어수단(7)의 부저(74)로부터 신호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수단(7)에 공급되던 외부전원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설정시간의 흐름은 상기 상태표시패널(76)에 의해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그로써, 상기 열매(4)의 가열작동이 멈춰짐과 동시에 그가 원위치로 하강되고, 상기 제2스탑스위치(1-112)에 의해 하강이 정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2찜용기(23)의 오일충진공간(23a) 내에 충진된 열매체가 상기 배출호스(412)를 거쳐 상기 열매(4) 내로 재유입되고, 상기 구동수단(5) 역시 함께 작동을 멈춰 상기 찜통(3)이 더 이상 곱창을 삶아 익히는 찜 과정을 위해서 더 이상 자전하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그와 같은 곱창의 찜 과정이 끝난 후에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방식대로 상기 서브하우징(1-2)의 접이식 덮개(1-21)를 유압실린더(1-13)로 개방한 다음, 마찬가지로 상술한 호이스트(700)에 상기 찜통(3)을 매달아 상승시켜 분리한 후 별도의 수납통(800)에 상기 찜통(3)을 안착시키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덮개(32)를 개방하여 다량의 곱창을 간단하게 꺼내 상기 수납통(800)에 담는 것으로 초벌가공된 다량의 곱창을 수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는 종래의 밀폐스팀솥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밀폐스팀솥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의 내부구성관계를 나타낸 정단면도와 배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에 있어서, 찜통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의 제1찜솥 내에 찜통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단면도와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에 있어서, 찜통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에 있어서, 제1찜용기 내벽면에 결합되는 연동기어와 복수의 공전롤 및 가압부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찜질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육류 찜질장치, 1-1 : 메인하우징, 1-1a : 내부공간
1-1b : 하우징도어, 1-2 : 서브하우징, 1-3 : 발판대
1-11 : 가이드봉, 1-12 : 지지대, 1-13 : 유압실린더
1-21 : 접이식 덮개, 1-111 : 제1스탑스위치, 1-112 : 제2스탑스위치
1-131 : 조작스위치, 1-211 : 개폐안내롤, 2-1 : 제1찜솥
2-1a : 설치공간, 2-2 : 제2찜솥, 2a : 찜공간
3 : 찜통, 3a : 육류저장공간, 3b : 투입구
3c : 배출구, 3d : 통공, 4 : 열매
5 : 구동수단, 6 : 물공급수단, 7 : 제어수단
21 : 제1찜용기, 22 : 솥히터, 23 : 제2찜용기
23a : 오일충진공간, 24 : 단열재, 31 : 투입구덮개
31a : 제1로킹부재, 32 : 배출구덮개, 32a : 제2로킹부재
33 : 회동안내링, 34 : 회전기어, 35 : 낙하앵글
41 : 순환펌프, 42 : 구름바퀴, 51 : 구동모터
52 : 자전스프로킷, 53 : 수직체인, 54 : 승강모터
55 : 와이어, 56 : 승강풀리, 57 : 샤프트
58 : 수평체인, 61 : 공급관, 62 : 급수관
63 : 배수관, 64 : 수위조절관, 71 : 컨트롤박스
72 : 주회로기판, 73 : 조작버튼, 74 : 부저
75 : 전력게이지, 76 : 상태표시패널, 211 : 공전롤
212 : 연동기어, 213 : 가압부재, 213a : 가압롤
411 : 공급호스, 412 : 배출호스, 511 : 구동스프로킷
541 : 회동스프로킷, 571 : 구동풀리, 572 : 연동스프로킷

Claims (11)

  1. 각종 구성기기들을 내,외부에 고정설치하기에 용이한 콘테이너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메인하우징 및 상기 메인하우징의 양측단에 일체로 더 연통결합되는 복수의 서브하우징과;
    상기 서브하우징 각각의 내부 상측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물을 가열하여 곱창을 삶아서 찌기 위한 제1,2찜솥과;
    내부에 다량의 곱창을 담은 후, 상기 제1,2찜솥 내에 각각 수용장착된 채로 자전하여 담겨진 곱창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하는 원주형 찜통과;
    상기 제1,2찜솥을 통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열매와;
    상기 찜통의 자전 및 열매의 승강작동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제1,2찜솥 내로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물공급수단과;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부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열매 및 구동수단의 작동을 컨트롤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은, 각종 구성기기들을 설치하기에 적당한 내부공간이 형성 되고, 상기 내부공간를 절반으로 구획하여 상기 열매가 좌,우측에 장착가능케 하면서도 그의 승강안내를 위한 다수의 가이드봉이 중앙부 전,후방 및 양측부 가장자리에 수직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가이드봉 각각의 상,하 끝단부에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상기 열매의 상승 및 하강 후 정지를 위한 제1,2스탑스위치가 구비결합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전방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결합되는 각종 구성기기들의 설치와 수리 보수작업의 편의를 위한 하우징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하우징은, 상기 메인하우징과 유사한 금속 함체형이고, 상기 제1찜솥이나 제2찜솥을 내부 상측에 고정결합함이 가능한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간에 고정결합된 제1,2찜솥 내로 상기한 찜통을 낙하시켜 수용장착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됨과 아울러, 그 개구된 상단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키기 위한 접이식 덮개가 더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찜통은, 다량의 곱창이 수용되는 육류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원통체로, 상기한 곱창을 담을 수 있는 투입구가 상측에 형성되고,
    찜 과정에 의한 초벌가공을 끝마친 가공곱창을 꺼내기 위한 배출구가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의 개,폐를 위해, 그들 각각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투입구덮개 및 배출구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투입구덮개와 배출구덮개가 인위적으로 개방되어 곱창이 외부로 유출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2로킹부재가 더 구성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는, 열매체가 내부에 저장되고, 에너지 절약 및 곱창의 분량에 따라 가열속도를 달리할 수 있는 전력량이 약 5kW용과 10kW로 구분되는 두 가지 용도이되, 그들을 하나로 통합한 원통형으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찜솥은, 상기 찜통을 내부에 수용함에 적당한 찜공간이 마련됨과 더불어, 곱창을 찌는데 사용되는 물을 효율적으로 수용토록 하단이 반구형으로 된 제1찜용기와,
    상기 찜공간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구비결합되어, 공급된 물을 가열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U"자형 솥히터와,
    상기 제1찜용기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열매로부터 제공되는 열매체를 채우기 위한 오일충진공간을 마련한 제2찜용기와,
    가열수에 의한 고온열의 방출로, 상기 제1,2찜용기의 내부온도가 빠르게 저하되거나 상기 서브하우징의 표면에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가 각각 겹겹으로 적층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찜용기의 내벽면에는, 상기 찜통이 수용장착된 상태에서 원활히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공전롤과,
    상기 공전롤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돌출결합되어, 상기 찜통의 자전을 위한 회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찜통이 상방으로 들뜨거나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압롤이 장착된 가압부재가 더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찜통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스프로킷이 동축결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찜통의 자전을 위한 연동기어의 동축에 더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제1,2찜솥의 외벽에 돌출 구비되는 자전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 및 자전스프로킷에 연계결합되는 수직체인과,
    상기 열매에 가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동스프로킷이 동축결합된 승강모터와,
    상기 열매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그의 양측에 일 선단이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수직으로 당겨지거나 풀리는 작용시에 상기 열매가 승강하도록 하면서도 상승정지시 그를 견고히 지탱시키기 위하여,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측 전,후방 상측부에 회동가능케 결합된 다수의 승강풀리와,
    상기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출을 위한 복수의 구동풀리 및 상기 승강모터와 연계되는 연동스프로킷이 양 선단에 일체로 동축결합된 장봉형 샤프트와,
    상기 승강모터의 회동스프로킷에 의해 상기 연동스프로킷이 동시 회동하게 그들에 감겨지는 수평체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메인하우징과 복수의 서브하우징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서브하우징 각각의 내측으로 분할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1,2찜솥 내로 각각 연통되는 급수관과,
    찜 과정의 마무리 후, 상기 제1,2찜솥 내에 저장된 가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과,
    상기 각각의 급수관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제1,2찜솥 내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외부에서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밸브가 구비결합된 수위조절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부 상단에 결합되는 컨트롤박스와,
    찜 과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주회로기판과,
    상기 주회로기판에 찜 과정단계를 입력하거나, 장치작동의 시작과 정지 그리고 종료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조작버튼과,
    찜 과정의 종료시 이를 알리기 위한 부저와,
    전력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전력게이지와,
    작업시간이나 작업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내어주는 상태표시패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부 상단에는, 일정길이로 된 지지대가 수직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서브하우징 상단에 구비결합된 상기 접이식 덮개의 일 상면에 연계장착되어, 상기 접이식 덮개의 개,폐를 이루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찜통의 외주 둘레면 전체에는, 상기 육류저장공간 내로 물과 그 물의 가열로 발생된 고온의 증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통공이 일정한 간격마다 관통형성되고,
    내주 둘레면에는, 상기 육류저장공간 내에서 곱창이 일정구간 상승 후 낙하 하는 그 충격에 의해 이물질 세척이 가능토록 한 낙하앵글이 일정간격마다 돌출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찜질장치.
KR1020070081072A 2007-08-13 2007-08-13 육류 찜질장치 KR100897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072A KR100897071B1 (ko) 2007-08-13 2007-08-13 육류 찜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072A KR100897071B1 (ko) 2007-08-13 2007-08-13 육류 찜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811A KR20090016811A (ko) 2009-02-18
KR100897071B1 true KR100897071B1 (ko) 2009-05-14

Family

ID=4068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072A KR100897071B1 (ko) 2007-08-13 2007-08-13 육류 찜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0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966B1 (ko) * 2017-11-02 2019-07-17 주식회사 한소반 탕 음식 조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45177B1 (ko) 2020-12-02 2021-04-27 (주)국보기계 소창 및 대창 분리 가공장치
KR102414254B1 (ko) 2022-02-25 2022-06-29 채진숙 육수 및 육수재료 공급 자동화를 위한 스팀 가마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1476A (zh) * 2018-04-17 2018-08-07 温州市晟食昌明科技有限公司 一种炒菜机的炒菜锅
KR102320106B1 (ko) * 2020-08-28 2021-11-02 손정화 곱창용 삶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192Y1 (ko) 2001-07-11 2001-10-19 지용 곡물볶음장치
KR200303116Y1 (ko) 2002-11-01 2003-02-07 맹기화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KR200339695Y1 (ko) 2003-11-04 2004-01-24 이용재 자동식 곡물 구이장치
KR200408836Y1 (ko) 2005-11-18 2006-02-17 이상권 회전식 곡물 볶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192Y1 (ko) 2001-07-11 2001-10-19 지용 곡물볶음장치
KR200303116Y1 (ko) 2002-11-01 2003-02-07 맹기화 곡물을 찌기 위한 시스템
KR200339695Y1 (ko) 2003-11-04 2004-01-24 이용재 자동식 곡물 구이장치
KR200408836Y1 (ko) 2005-11-18 2006-02-17 이상권 회전식 곡물 볶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966B1 (ko) * 2017-11-02 2019-07-17 주식회사 한소반 탕 음식 조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45177B1 (ko) 2020-12-02 2021-04-27 (주)국보기계 소창 및 대창 분리 가공장치
KR102414254B1 (ko) 2022-02-25 2022-06-29 채진숙 육수 및 육수재료 공급 자동화를 위한 스팀 가마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811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05583A (ja) 無人自動炊飯装置
KR100897071B1 (ko) 육류 찜질장치
KR100777116B1 (ko) 무인 자동 취사장치
KR100994458B1 (ko) 자동 취사장치
CN106333602A (zh) 智能炒菜机器人
KR101402330B1 (ko) 계란말이장치
KR102087713B1 (ko) 전기 튀김기
CN110279328A (zh) 一种使用净菜盒的烹饪系统及烹饪方法
CN110810881A (zh) 一种百合香料加工用浸泡装置
CN108991907A (zh) 一种具有自动传输菜品盒功能的智能炒菜机器人
KR102284617B1 (ko) 자동연속 취반시스템
CN210541155U (zh) 一种使用净菜盒的烹饪系统
KR100860149B1 (ko) 자동 육류볶음장치
CN216493428U (zh) 熟食品加工用具有温控功能的锅灶
KR20120006155U (ko) 전기 튀김기
CN208850639U (zh) 一种炒货机
CN108576609B (zh) 一种绿豆粉智能加工机
KR200278016Y1 (ko) 튀김 조리장치
CN211511521U (zh) 一种鸡爪的自动油炸锅
US3156177A (en) Food preheating, cooking and warming device
CN108065798A (zh) 一种油炸锅
CN210382478U (zh) 一种排把炒茶机
CN208692229U (zh) 一种制作熟食的智能控温杀菌机
KR101088858B1 (ko) 회전식 꼬치 구이기
CN107361089B (zh) 一种糖糕油炸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