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192Y1 - 곡물볶음장치 - Google Patents

곡물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192Y1
KR200249192Y1 KR2020010020942U KR20010020942U KR200249192Y1 KR 200249192 Y1 KR200249192 Y1 KR 200249192Y1 KR 2020010020942 U KR2020010020942 U KR 2020010020942U KR 20010020942 U KR20010020942 U KR 20010020942U KR 200249192 Y1 KR200249192 Y1 KR 200249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grains
hot air
coffee
rotat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
윤상준
Original Assignee
지용
윤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 윤상준 filed Critical 지용
Priority to KR2020010020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192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 또는 깨, 쌀, 콩등 다량의 곡물을 일정시간 동안 알맞게 볶을 수 있도록 한 곡물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피나 곡물들을 회전드럼에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이 트위스팅하는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커피나 곡물을 열풍으로 볶도록 하고 상기 볶음작용이 이루어질 때 표피를 회전드럼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곡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커피나 곡물의 볶음온도를 조절하여 곡물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온도로 볶을 수 있도록 한 곡물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받침구(2)가 하단에 구비된 본체(1)의 일측에 블로어(3)를 설치하고 이 블로어(3)에는 열풍통로(4)를 설치하여 이에 히터(5)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의 타측에는 껍질 수납구(6)와 배출구(7)를 설치하고, 상기 열풍통로(4)의 상단과 배출구(7)의 상단에는 회전부(8)(9)들을 각각 설치하며, 이 회전부(8)(9)들에는 회전드럼(12)이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구(10)(11)들을 구비하고 이 회전구(10)(11)들에는 상기 회전드럼(12)이 삽입설치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회전드럼(12)은 중앙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서로 편심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양측단에 지지부(13)(14)들을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드럼(12)의 일측에는 상기 열풍통로(4)와 연결되도록 하면서 망체(16)가 구비된 열풍유입구(15)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회전구(11)의 외주에는 링기어(18)를 설치하여 본체(1)의 하방에 설치된 구동모터(19)의 웜(20)과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웜(20)의 끝단에는 클러치용 탄력수단(21)을 구비하여 상기 링기어(18)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드럼(12)이 트위스팅 상태로 회전하면서 커피나 곡물을 볶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히터와 구동모터에는 각각의 온도조절기(22)와 회전수 조절기(23)를 설치하고 이들을 콘트롤부에 내장된 콘트롤러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볶아지는 커피나 곡물의 볶음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볶음장치 {Corn roas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커피 또는 깨, 쌀, 콩등 다량의 곡물을 일정시간 동안 알맞게 볶을 수 있도록 한 곡물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피나 곡물들을 회전드럼에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이 트위스팅하는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커피나 곡물을 열풍으로 볶도록 하고 상기 볶음작용이 이루어질 때 표피를 회전드럼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곡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커피나 곡물의 볶음온도를 조절하여 곡물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온도로 볶을 수 있도록 한 곡물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또는 깨, 쌀, 콩 등과 같은 곡물을 볶도록 함에 있어서는 상기 볶아지는 커피나 곡물의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면서 일정한 온도로 볶아내고 있으며, 상기 곡물의 볶음량이 적을 경우에는 가열용기에 상기 곡물을 투입하고 이를 수작업으로 교반시키면서 볶고 있었다.
또, 상기 커피의 경우에는 볶아지는 상태에 따라 그 맛과 향이 크게 달라지게 때문에 커피의 맛과 향에 따라 적정한 상태로 볶아야만 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피나 곡물을 볶음에 있어서는 대다수가 이들을 수작업에 의존하여 볶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번에 볶는 량이 적거나 가정등에서 행하고 있는 작업으로써 상기 볶음작업을 위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교반동작을 해야하고 또 볶음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열을 조절해야 함으로써 상기 볶음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볶음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가열용기를 손으로 잡고 뒤집은 상태에서 볶은 곡물을 꺼내야 하므로써 이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면서 불편하게 되고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상기 곡물을 자동적으로 볶을 수 있도록 한 볶음장치가 일부 안출된 바 있었으나, 이는 단순히 용적이 큰 가열용기에 곡물을 담고 항시 일정한 상태의 온도에서 곡물을 볶도록 하며 상기 볶아진 곡물을 가열용기의 회전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곡물의 종류에 따라 볶음온도의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가열용기와 장치에서 한 종류의 곡물만을 볶을 수밖에 없는 불편이 있었고, 상기 볶아지는 곡물이 교반되면서 상기 가열용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곡물의 공급량에 비례하여 가열용기를 크게 형성해야 하면서 상기 커피와 같이 다양한 온도로 볶아내지 못하게 되어 커피의 볶음 정도에 따른 맛과 향을 재대로 살려내지 못하게 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커피 또는 깨, 쌀, 콩등 다량의 곡물을 일정시간 동안 알맞게 볶을 수 있도록 한 곡물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피나 곡물들을 회전드럼에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이 트위스팅하는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커피나 곡물을 열풍으로 볶도록 하고 상기 볶음작용이 이루어질 때 표피를 회전드럼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곡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커피나 곡물의 볶음온도를 조절하여 곡물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온도로 볶을 수 있도록 한 곡물볶음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인 바, 이를 이하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곡물볶음장치의 정면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평면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일측면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타측면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회전드럼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회전드럼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본체 2 : 받침구
3 : 블로어 4 : 열풍통로
5 : 히터 6 : 껍질 수납구
7 : 배출구 8,9 : 회전부
10,11 : 회전구 12 : 회전드럼
13,14 : 지지부 15 : 열풍유입구
16 : 망체 17 : 삽입부
18 : 링기어 19 : 구동모터
20 : 웜 21 : 클러치용 탄력수단
22 : 온도조절기 23 : 회전수 조절기
받침구(2)가 하단에 구비된 본체(1)의 일측에 블로어(3)를 설치하고 이 블로어(3)에는 열풍통로(4)를 설치하여 이에 히터(5)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의 타측에는 껍질 수납구(6)와 배출구(7)를 설치하고, 상기 열풍통로(4)의 상단과 배출구(7)의 상단에는 회전부(8)(9)들을 각각 설치하며, 이 회전부(8)(9)들에는 회전드럼(12)이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구(10)(11)들을 구비하고 이 회전구(10)(11)들에는 상기 회전드럼(12)이 삽입설치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회전구(10)(11)들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12)은 중앙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서로 편심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양측단에 지지부(13)(14)들을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13)의 일측에는 상기 열풍통로(4)와 연결되도록 하면서 망체(16)가 구비된 열풍유입구(15)를 돌출형성하며, 이 열풍유입구(15)는 상기 회전구(10)의 삽입부(17)에 삽입되면서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구(11)의 외주에는 링기어(18)를 설치하며 이를 본체(1)의 하방에 설치된 구동모터(19)의 웜(20)과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웜(20)의 끝단에는 클러치용 탄력수단(21)을 구비하여 상기 링기어(18)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드럼(12)이 트위스팅 상태로 회전하면서 커피나 곡물을 볶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히터와 구동모터에는 각각의 온도조절기(22)와 회전수 조절기(23)를 설치하고 이들을 콘트롤부에 내장된 콘트롤러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회전드럼(12)내에서 볶아지는 커피나 곡물의 볶음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받침구(2)가 하단에 구비된 본체(1)의 일측에 블로어(3)와 히터(5)가 구비된 열풍통로(4)를 설치하고 이의 타측에는 껍질 수납구(6)와 배출구(7)를 설치하며, 상기 열풍통로(4)의 상단과 배출구(7)의 상단에는 회전부(8)(9)들을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8)(9)들에 회전드럼(12)이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구(10)(11)들을 구비하고 이 회전구(10)(11)들에는 상기 회전드럼(12)이 삽입설치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회전구(10)(11)들이 회전드럼(12)의 중심축이 되도록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구(10)(11)들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12)은 중앙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서로 편심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양측단에 지지부(13)(14)들을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13)의 일측에는 상기 열풍통로(4)와 연결되도록 하면서 망체(16)가 구비된 열풍유입구(15)를 돌출형성하며, 이 열풍유입구(15)는 상기 회전구(10)의 삽입부(17)에 삽입되면서 지지되도록 한다.
또, 상기 회전구(11)의 외주에는 링기어(18)를 설치하며 이를 본체(1)의 하방에 설치된 구동모터(19)의 웜(20)과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웜(20)의 끝단에는 클러치용 탄력수단(21)을 구비하여 상기 링기어(18)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드럼(12)이 트위스팅 상태로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히터와 구동모터에는 각각의 온도조절기(22)와 회전수 조절기(23)를 설치하고 이들을 콘트롤부에 내장된 콘트롤러에 의하여 온도와 회전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12)내에 적정 량의 커피나 각종 곡물들을 선택하여 공급하고 상기 커피 또는 곡물이 공급된 회전드럼(12)의 지지부가 상기 회전구들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하게 되면, 상기 망체(16)가 설치된 열풍유입구(15)는 상기 열풍통로(4)와 일치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온도조절기(22)와 회전수 조절기(23)를 조작하여 커피의 향과 맛의 종류 또는 곡물의 볶음상태에 따라 온도와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하고 상기 구동모터(19)를 구동시키게 되면, 이의 구동에 따라 상기 웜(20)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구(11)의 외주에 설치된 링기어(18)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 링기어(18)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구들이 회전하면서 회전드럼(1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회전드럼(12)은 이의 양측에 편심되게 설치된 지지부들에 의하여 트위스팅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드럼(12)이 회전할 때 상기 열풍통로(4)를 통하여 히터(5)에서 발생된 열풍이 상기 블로어(3)에 의하여 상기 회전드럼(12)내로 공급되고 이 공급된 열풍에 의하여 설정된 상태로 상기 커피 또는 곡물이 볶아지게 되며, 상기 볶음작용시 발생되는 껍질은 상기 배출구(7)를 통하여 껍질 수납구(6)로 배출되고 상기 볶아진 커피 또는 곡물은 상기 회전드럼(12)을 상기 본체에서 탈리시켜 빼내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본체(1)의 하방에 설치된 구동모터(19)의 웜(20)과 치합되어 구동되는링기어는 상기 웜(20)의 끝단에 설치된 클러치용 탄력수단(21)에 의하여 그 회전이 단속되는 데, 상기 웜(20)의 끝단이 링기어(18)에 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12)의 회전이 정지되면, 상기 웜(20)이 링기어(18)에서 이탈되고 이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12)의 무게 중심에 의하여 상기 회전드럼(12)이 회전구에서 착탈 가능한 상태의 위치로 오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볶아진 내용물을 인출하거나 새로운 내용물을 공급하여 장착하도록 하고, 상기 새로운 내용물이 공급된 회전드럼(12)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를 재가동시키게 되면 상기 탄력수단(21)이 작용하여 복원되면서 상기 웜(20)과 링기어(18)의 치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한 동작을 하도록 하므로써 다음의 내용물 볶음작용이 이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 회전되는 회전드럼(12)을 트위스팅 상태로 회전하도록 하므로써 별도의 교반장치나 수단이 없더라도 상기 회전드럼(12)내에 공급된 커피 또는 곡물을 고르게 볶아낼 수 있게 되며, 상기 볶음작용과 동시에 커피나 곡물의 껍질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고, 열풍에 의하여 볶음작용을 하도록 하면서 볶음상태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므로써 커피의 경우, 향과 맛의 상태에 따라 볶음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곡물의 공급과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상기 곡물을 많은 량을 신속하고 적정한 상태로 볶을 수 있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3)

  1. 받침구(2)가 하단에 구비된 본체(1)의 일측에 블로어(3)를 설치하고 이 블로어(3)에는 열풍통로(4)를 설치하여 이에 히터(5)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의 타측에는 껍질 수납구(6)와 배출구(7)를 설치하고, 상기 열풍통로(4)의 상단과 배출구(7)의 상단에는 회전부(8)(9)들을 각각 설치하며, 이 회전부(8)(9)들에는 회전드럼(12)이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구(10)(11)들을 구비하고 이 회전구(10)(11)들에는 상기 회전드럼(12)을 삽입설치하되, 이 회전드럼(12)은 중앙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서로 편심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양측단에 지지부(13)(14)들을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13)의 일측에는 상기 열풍통로(4)와 연결되도록 하면서 망체(16)가 구비된 열풍유입구(15)를 돌출형성하며, 이 열풍유입구(15)는 상기 회전구(10)의 삽입부(17)에 삽입되면서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구(11)의 외주에는 링기어(18)를 설치하며 이를 본체(1)의 하방에 설치된 구동모터(19)의 웜(20)과 치합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드럼(12)이 트위스팅 상태로 회전하면서 커피나 곡물을 볶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볶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20)의 끝단에는 클러치용 탄력수단(21)을 구비하여 상기 링기어(18)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드럼(12)이 트위스팅 상태로 회전하면서 커피나 곡물을 볶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볶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구동모터에는 각각의 온도조절기(22)와 회전수 조절기(23)를 설치하고 이들을 콘트롤부에 내장된 콘트롤러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회전드럼(12)내에서 볶아지는 커피나 곡물의 볶음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볶음장치.
KR2020010020942U 2001-07-11 2001-07-11 곡물볶음장치 KR200249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42U KR200249192Y1 (ko) 2001-07-11 2001-07-11 곡물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42U KR200249192Y1 (ko) 2001-07-11 2001-07-11 곡물볶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546A Division KR20010088457A (ko) 2001-07-11 2001-07-11 곡물볶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192Y1 true KR200249192Y1 (ko) 2001-10-19

Family

ID=7310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42U KR200249192Y1 (ko) 2001-07-11 2001-07-11 곡물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1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071B1 (ko) 2007-08-13 2009-05-14 이재성 육류 찜질장치
KR101089223B1 (ko) 2009-11-06 2011-12-02 백남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071B1 (ko) 2007-08-13 2009-05-14 이재성 육류 찜질장치
KR101089223B1 (ko) 2009-11-06 2011-12-02 백남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072B1 (ko) 커피 로스터
KR100679674B1 (ko) 곡물볶음장치
KR20010088457A (ko) 곡물볶음장치
ES2373347T3 (es) Dispositivo para producir chocolate.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KR20160135385A (ko) 회전식 곡물 건조 및 볶음 장치
KR200249192Y1 (ko) 곡물볶음장치
US2552621A (en) Cooking equipment
CN213369770U (zh) 一种皮蛋制作用恒温加工装置
KR101823856B1 (ko) 열 스크류를 통해 교반·가열된 즉석 김 자반 구이 장치
KR101638824B1 (ko) 커피 생원두 로스팅머신 및 그 운용방법
KR101865307B1 (ko)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KR100804106B1 (ko) 분립체용 로스터
JP3327530B2 (ja) 飲料供給装置
KR101854990B1 (ko) 커피 로스팅 냉각장치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커피 로스팅 시스템
KR101776217B1 (ko) 생두 로스팅 장치
KR20050081010A (ko) 자동분유혼합기
JP2021177751A (ja) ガスコンロ用コーヒー豆電動焙煎器
KR20070122112A (ko) 곡물볶음장치
KR101583799B1 (ko) 음식물 가공기
JP2014226584A (ja) γ−アミノ酪酸富化機能付き家庭用精米器
KR102513387B1 (ko) 커피 원두 로스팅 시스템
CN208926096U (zh) 物料投放结构、灭酶装置及食物料理机
KR20220115190A (ko)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CN208339421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