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307B1 -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307B1
KR101865307B1 KR1020160162436A KR20160162436A KR101865307B1 KR 101865307 B1 KR101865307 B1 KR 101865307B1 KR 1020160162436 A KR1020160162436 A KR 1020160162436A KR 20160162436 A KR20160162436 A KR 20160162436A KR 101865307 B1 KR101865307 B1 KR 10186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tirring
blade
heating drum
coffee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중
황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니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니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니시스
Priority to KR1020160162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stirring, vibrating or gr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sickle-shaped, i.e. curved in at least on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6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 B01F29/64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with stirring devices moving in relation to the receptacle, e.g.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0275
    • B01F7/08
    • B01F9/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1805Kitchen, household equipment for mixing
    • B01F2215/002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는, 본체와, 내부로 커피생두가 투입되며, 외부의 열원을 통해 가열되도록 본체에 고정되는 가열드럼과, 커피생두를 교반하도록 가열드럼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가열드럼의 길이방향 및 내경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교반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열드럼을 회전시키기 않고 가열드럼 내부에 투입된 커피생두를 원활하게 교반시켜 로스팅을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COFFEE ROASTER}
본 발명은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드럼을 회전시키기 않고 가열드럼 내부에 투입된 커피생두를 원활하게 교반시켜 로스팅을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분, 제과 등의 식품회사에서 사용되는 곡물 볶음장치는 대량의 곡물을 볶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쌀이 나 옥수수 등의 곡물을 가열용기에 넣어 열을 통해 가열하면서 볶게 된다. 이러한, 곡물 볶음장치는 곡물은 물론 커피 원두를 볶을 때에도 사용된다.
여기서 곡물이라 함은 커피생두(Green Bean), 깨, 쌀, 콩 등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서 곡물 볶음장치 또한 적절한 용도에 따라 이들 다양한 곡물을 볶을 수 있음은 당연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곡물의 예를 커피원두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최근에는 커피와 관련된 사업이 급속하게 팽창하면서 원두커피의 소비 또한 매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커피는 커피나무에서 수확한 생두를 몇 번의 처리과정을 거쳐 가공하는 것으로, 커피 생두를 가공하는 과정 중 중요한 과정으로 생두를 가열하여 원두로 변환하는 로스팅(Roasting) 과정이 있다.
커피 로스팅 과정은, 생두를 가열되는 가열드럼에 넣은 후 일정시간 동안 볶아 주는 것으로서, 생두의 종류에 따라 가열하는 온도 및 시간을 변화시켜줘야 생두가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원두로 변환시키게 된다.
즉, 커피생두를 고온에서 가열해서 볶아주면 원두의 세포 조직이 파괴되면서 여러 가지 성분들(지방성분, 당분, 유기산, 카페인 등)이 활성 되면서 맛과 향이 발생하게 된다.
통상의 커피 로스팅 장치는, 크게 열풍을 이용한 방식, 히터를 이용하여 생두를 직접가열하는 직접가열 방식 등이 있으며, 열풍식은 로스팅을 위한 가열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불어 넣어 로스팅하는 것이고, 직접가열식은 가열드럼을 화력을 이용하여 직접 가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커피 로스팅 장치는, 커피생두를 로스팅할 때 커피생두가 투입된 드럼이 회전되고, 드럼의 회전에 의해서만 커피생두가 교반되므로, 교반이 원활하지 않아 로스팅을 균일하게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2772호(공개일:2015년12월23일)에는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가열드럼을 회전시키기 않고 가열드럼 내부에 투입된 커피 생두를 원활하게 교반시켜 로스팅을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는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는, 본체와, 내부로 커피생두가 투입되며, 외부의 열원을 통해 가열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가열드럼과, 상기 커피생두를 교반하도록 상기 가열드럼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길이방향 및 내경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교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유닛은, 상기 가열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곡선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유닛은, 상기 가열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내경방향으로 교반시키는 수평 교반부와, 상기 가열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길이방향으로 교반시키는 곡선 교반부와, 상기 수평 교반부 및 상기 곡선 교반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가열드럼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교반부 및 상기 곡선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 교반부는,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제1곡선날개와,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제2곡선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 교반부는, 상기 제1곡선날개 및 상기 제2곡선날개가 나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곡선날개가 상기 제2곡선날개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 교반부는, 상기 제1곡선날개 및 상기 제2곡선날개가 나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곡선날개 및 상기 제2곡선날개의 나선형상이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교반부는, 상기 곡선 교반부와 상기 가열드럼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곡선 교반부를 상기 구동부에 고정하는 제1수평날개와, 상기 곡선 교반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곡선 교반부를 상기 구동부에 고정하는 제2수평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평날개는, 상기 구동부에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곡선 교반부를 지지하는 제1고정핀부재와, 상기 제1고정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곡선 교반부를 고정하는 제1날고정부재와, 상기 커피생두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1날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제1수평 교반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수평날개는, 상기 구동부에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곡선 교반부를 지지하는 제2고정핀부재와, 상기 제2고정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곡선 교반부를 고정하는 제2날고정부재와, 상기 곡선 교반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날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이송하는 제2수평 교반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가열드럼을 회전시키기 않고 가열드럼 내부에 투입된 커피 생두를 원활하게 교반시켜 로스팅을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드럼과 교반유닛을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드럼과 교반유닛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드럼과 교반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드럼과 교반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드럼과 교반유닛을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드럼과 교반유닛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드럼과 교반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드럼과 교반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는, 가열부(도시생략)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구비되며, 내부로 커피생두가 투입되는 가열드럼(200)과, 가열드럼(200)에 투입된 커피생두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유닛(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는, 커피생두를 로스팅할 때 가열드럼(200)이 회전하지 않고, 교반유닛(300)이 가열드럼(200)에서 회전되면서 커피생두를 교반하게 되므로, 커피생두를 보다 원활하게 교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커피생두의 로스팅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는 커피생두를 원활하게 교반시키면서 균일하게 로스팅할 수 있으므로, 커피원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100)는 상부에 가열드럼(200)이 설치되고, 가열드럼(200)의 하측으로 가열을 위한 가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체(100)는 직접가열방식 또는 열풍가열방식으로 가열드럼(200)을 가열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직접가열방식 및 열풍가열방식이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가열드럼(200)은 본체(100)에 결합되며, 내부로 커피생두가 투입되어 로스팅된다. 이러한 가열드럼(200)은 본체(100)에 고정되는 원통부(210)와, 원통부(210)를 커버하는 측판부(220)와, 커피생두의 투입을 위한 호퍼(230)를 포함한다.
원통부(210)는 2중 구조를 가지도록 외통(211)과 내통(213)으로 이루어지며, 내통(213)의 내부에 교반유닛(300)이 회전가능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원통부(210)의 양측은 측판부(220)에 의해 커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부(210)의 외통(211)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측판부(220)는, 원통부(210)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1측판(221)과, 원통부(210)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2측판(223)을 포함한다. 또한 측판부(220)는 제1측판(221)에 호퍼(230)가 결합되고, 제2측판(223)에 교반유닛(300)이 결합된다. 제2측판(223)은 하측에 로스팅된 커피원두가 배출되는 커피배출부(223a)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교반유닛(30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교반유닛(300)은 내통(213)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제2측판(223)에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내통(213)에 투입된 커피생두를 내통(213)의 길이방향 및 내경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시킨다.
이를 위하여, 교반유닛(300)은 커피생두를 내통(213)의 내경방향으로 교반시키는 수평 교반부(310)와, 커피생두를 내통(213)의 길이방향으로 교반시키는 곡선 교반부(320)와, 수평 교반부(310) 및 곡선 교반부(320)를 회전시키도록 제2측판(223)에 결합되는 구동부(33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30)는 내통(213)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재(331)와, 회전부재(331)가 결합되도록 제2측판(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블록(333)과, 기어블록(333)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35)를 포함한다.
회전부재(331)는 기어블록(333)과 결합되어 기어블록(333)과 함께 회전하며, 수평 교반부(310) 및 곡선 교반부(320)가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부재(331)는 중공형태를 가진다.
기어블록(333)은 제2측판(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구동모터(335)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구동모터(335)는 가열드럼(200)에 결합되어 기어블록(333)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기어를 구비하며, 커피생두의 교반 및 배출을 위하여 정역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모터(335)는 교반유닛(300)의 교반속도를 조절하도록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수평 교반부(310)는 회전부재(331)에 결합되어 회전부재(331)와 함께 회전하면서 커피생두를 내통(213)의 내경방향으로 이송시킨다. 특히, 수평 교반부(310)는 커피생두가 내통(213)의 내면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통(213)의 내면과 근접된다.
이러한 수평 교반부(310)는 커피생두를 원활하게 교반할 수 있도록 내통(213)과 미세하게 이격되는 제1수평날개(311)와, 곡선 교반부(3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수평날개(313)를 포함한다.
제1수평날개(311)는 곡선 교반부(320)와 내통(213)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부재(331)에 결합되며, 곡선 교반부(320)를 회전부재(331)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1수평날개(311)는 회전부재(331)에 결합되는 제1고정핀부재(311a)와, 곡선 교반부(320)를 고정하도록 제1고정핀부재(311a)에 결합되는 제1날고정부재(311b)와, 커피생두를 교반하도록 제1날고정부재(311b)에 결합되는 제1수평 교반편(311c)을 구비한다.
제1고정핀부재(311a)는 곡선 교반부(320)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회전부재(331)에 이격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핀부재(311a)는 용접에 의해 회전부재(33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날고정부재(311b)는 제1고정핀부재(311a)에 각각 삽입되며, 스크루를 통해 제1고정핀부재(311a)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날고정부재(311b)는 제1고정핀부재(311a)가 삽입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된다.
제1수평 교반편(311c)은 양 단이 제1날고정부재(311b)와 결합되며, 커피생두를 이송 및 교반시킨다. 이러한, 제1수평 교반편(311c)은 제1날고정부재(311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곡선 교반부(320)와 내통(21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2수평날개(313)는 곡선 교반부(3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회전부재(331)에 결합되며, 곡선 교반부(320)에 의해 이송되는 커피생두를 내통(213)의 내경방향으로 교반하게 된다. 이러한 제2수평날개(313)는 커피생두의 이송 및 교반이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회전부재(331)를 중심으로 제1수평날개(311)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2수평날개(313)에 의해 곡선 교반부(320)가 회전부재(331)에 안정되고 용이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수평날개(313)는 회전부재(331)에 결합되는 제2고정핀부재(313a)와, 곡선 교반부(320)를 고정하도록 제2고정핀부재(313a)에 결합되는 제2날고정부재(313b)와, 커피생두를 교반하도록 제2날고정부재(313b)에 결합되는 제2수평 교반편(313c)을 구비한다.
제2고정핀부재(313a)는 곡선 교반부(320)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회전부재(331)에 이격되게 결합된다. 또한, 제2고정핀부재(313a)는 제2수평 교반편(313c)이 곡선 교반부(320)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1고정핀부재(311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핀부재(313a)는 용접방식을 통해 회전부재(33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2날고정부재(313b)는 제2고정핀부재(313a)에 각각 삽입되며, 스크루를 통해 제2고정핀부재(313a)에 결합된다. 또한, 제2날고정부재(313b)는 제2고정핀부재(313a)가 삽입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된다.
제2수평 교반편(313c)은 양 단이 제2날고정부재(313b)와 결합되며, 커피생두를 이송 및 교반시킨다. 이러한, 제2수평 교반편(313c)은 제2날고정부재(313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곡선 교반부(320)의 내측에 배치된다.
곡선 교반부(320)는, 커피생두를 내통(213)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도록 수평 교반부(310)와 결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곡선 교반부(320)는 커피생두를 내통(213)의 일측에서 타측, 타측에서 일측으로 순환 교반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다른 곡선 교반부(320)는 커피생두를 내통(213)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수평 교반부(310)와 결합되는 제1곡선날개(321)와, 커피생두를 내통(213)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수평 교반부(310)와 결합되는 제2곡선날개(323)를 포함한다. 또한, 곡선 교반부(320)는 제1곡선날개(321)가 제1수평날개(311)에 결합되고, 제2곡선날개(323)가 제2수평날개(313)에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곡선 교반부(320)는 커피생두가 보다 원활하게 이송되면서 교반되도록 제1곡선날개(321)와 제2곡선날개(323)가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내통(213)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특히, 곡선 교반부(320)는 제1곡선날개(321)가 제2곡선날개(32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1곡선날개(321)의 내경(Ø1)이 제2곡선날개(323)의 외경(Ø2)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제1곡선날개(321) 및 제2곡선날개(323)의 나선형상이 역방향으로 배치된다.
더하여, 곡선 교반부(320)는 제1곡선날개(321)의 양단부가 제1수평날개(311)에 결합되고, 제2곡선날개(323)의 양단부가 제2수평날개(313)에 결합되며, 제1곡선날개(321)와 제2곡선날개(323) 사이에 제2수평 교반편(313c)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300)은 제1곡선날개(321) 및 제2곡선날개(323)를 제1수평날개(311) 및 제2수평날개(313)에 각각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곡선날개(321)는 제1고정핀부재(311a)와 제1날고정부재(311b) 사이에 결합되는 제1고정돌부(321a)가 양 끝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제1날고정부재(311b)는 제1곡선날개(321)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제1곡선날개(321)의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슬롯(311d)이 형성된다.
즉, 제1곡선날개(321)는 끝단부가 제1슬롯(311d)에 삽입되어 지지됨은 물론 제1고정돌부(321a)가 제1고정핀부재(311a)와 제1날고정부재(311b)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2곡선날개(323)는 제2고정핀부재(313a)와 제2날고정부재(313b) 사이에 결합되는 제2고정돌부(323a)가 양 끝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제2날고정부재(313b)는 제2곡선날개(323)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제2곡선날개(323)의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슬롯(311d)이 형성된다.
즉, 제2곡선날개(323)는 제1고정돌부(321a)가 제1고정핀부재(311a)와 제1날고정부재(311b)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끝단부가 제2슬롯(313d)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는 로스팅을 위한 커피생두를 호퍼(230)에 투입하면 내통(213)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를 작동시키면 가열드럼(200)이 가열되면서 구동부(330)가 구동하여 수평 교반부(310)와 곡선 교반부(320)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내통(213)에 수용되는 커피생두가 수평 교반부(310)와 곡선 교반부(320)의 회전을 통해 내통(213)의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되면서 교반된다.
구체적으로, 교반유닛(300)이 회전함에 따라 수평 교반부(310) 및 곡선 교반부(320)가 회전하면서 로스팅되는 커피생두를 내통(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교반된다.
예를 들어 제1곡선날개(321)에 의해 내통(213)의 바닥부위에 있는 커피생두가 내통(213)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면서 수평 교반부(310)에 의해 교반됨과 동시에 제2수평날개(313)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된 커피생두가 일측으로 이송되면서 교반된다. 이때, 제2곡선날개(323)는 제1곡선날개(321)의 상측에 위치하는 커피생두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가열드럼(200)을 회전시키기 않고 내통(213)의 내부에 투입된 커피생두를 원활하게 이송 및 교반시킬 수 있으므로, 커피생두를 균일하게 로스팅시킬 수 있음은 물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로스팅과정에서 커피생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200 : 가열드럼
210 : 원통부 220 : 측판부
230 : 호퍼 300 : 교반유닛
310 : 수평 교반부 311 : 제1수평날개
313 : 제2수평날개 320 : 곡선 교반부
321 : 제1곡선날개 323 : 제2곡선날개
330 : 구동부 331 : 회전부재
333 : 기어블록 335 : 구동모터

Claims (9)

  1. 본체; 내부로 커피생두가 투입되며, 외부의 열원을 통해 가열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가열드럼; 및 상기 커피생두를 교반하도록 상기 가열드럼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길이방향 및 내경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교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유닛은, 상기 가열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내경방향으로 교반시키는 수평 교반부; 상기 가열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길이방향으로 교반시키는 곡선 교반부; 및 상기 수평 교반부 및 상기 곡선 교반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가열드럼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교반부 및 상기 곡선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교반부는, 상기 곡선 교반부와 상기 가열드럼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곡선 교반부를 상기 구동부에 고정하는 제1수평날개; 및 상기 곡선 교반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곡선 교반부를 상기 구동부에 고정하는 제2수평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날개는, 상기 구동부에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곡선 교반부를 지지하는 제1고정핀부재;
    상기 제1고정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곡선 교반부의 양 끝단부를 고정하는 제1날고정부재; 및
    상기 커피생두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1날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제1수평 교반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유닛은, 상기 가열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곡선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교반부는,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제1곡선날개; 및
    상기 커피생두를 상기 가열드럼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제2곡선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교반부는, 상기 제1곡선날개 및 상기 제2곡선날개가 나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곡선날개가 상기 제2곡선날개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교반부는, 상기 제1곡선날개 및 상기 제2곡선날개가 나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곡선날개 및 상기 제2곡선날개의 나선형상이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날개는,
    상기 구동부에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곡선 교반부를 지지하는 제2고정핀부재;
    상기 제2고정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곡선 교반부를 고정하는 제2날고정부재; 및
    상기 곡선 교반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날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생두를 이송하는 제2수평 교반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KR1020160162436A 2016-12-01 2016-12-01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KR10186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436A KR101865307B1 (ko) 2016-12-01 2016-12-01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436A KR101865307B1 (ko) 2016-12-01 2016-12-01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307B1 true KR101865307B1 (ko) 2018-06-08

Family

ID=6260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436A KR101865307B1 (ko) 2016-12-01 2016-12-01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937A (ko) * 2020-05-19 2021-11-26 정신덕 커피 로스팅 기계
KR20240001973A (ko) 2022-06-28 2024-01-04 김담식 커피 로스팅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193U (ko) * 1986-02-21 1987-08-27
US4860461A (en) * 1988-02-19 1989-08-29 Pokka Corporation Coffee beans roasting device
KR0122471Y1 (ko) * 1995-07-05 1998-07-15 이도재 깨볶음기
KR200249737Y1 (ko) * 2001-07-23 2001-11-17 이용기 커피생콩 볶음장치
KR200256259Y1 (ko) * 2001-09-14 2001-12-14 성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곡물볶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193U (ko) * 1986-02-21 1987-08-27
US4860461A (en) * 1988-02-19 1989-08-29 Pokka Corporation Coffee beans roasting device
KR0122471Y1 (ko) * 1995-07-05 1998-07-15 이도재 깨볶음기
KR200249737Y1 (ko) * 2001-07-23 2001-11-17 이용기 커피생콩 볶음장치
KR200256259Y1 (ko) * 2001-09-14 2001-12-14 성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곡물볶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937A (ko) * 2020-05-19 2021-11-26 정신덕 커피 로스팅 기계
KR102390903B1 (ko) * 2020-05-19 2022-04-26 정신덕 커피 로스팅 기계
KR20240001973A (ko) 2022-06-28 2024-01-04 김담식 커피 로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53205T3 (es) Máquina de palomitas de maíz de aire caliente, especialmente con un recubridor de sabor
US10412988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roasting coffee beans
KR101865307B1 (ko)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KR101477075B1 (ko) 화식 사료 배합기
KR101415781B1 (ko) 로스팅 장치
KR101574467B1 (ko) 화식 사료 제조기
KR101823856B1 (ko) 열 스크류를 통해 교반·가열된 즉석 김 자반 구이 장치
KR20010088457A (ko) 곡물볶음장치
KR101809381B1 (ko) 알밥 성형장치
KR20110124049A (ko) 곡물 볶음기
KR101826483B1 (ko) 곡물 볶음장치
CN207476926U (zh) 一种高效生产并便于清洁的饲料加工装置
US20040247756A1 (en) Modified brown r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6551942B2 (ja) 穀類焙煎用膨化装置及び該膨化装置を備えた穀類焙煎機
KR200401815Y1 (ko) 고춧가루 및 곡물가루 건조기
KR20180065006A (ko) 알밥 성형장치
KR200249192Y1 (ko) 곡물볶음장치
JPS6083556A (ja) 油用種実類の飲料製造における酵素失活装置
CN111772055A (zh) 一种草鱼繁殖期用高营养芦苇饲料及其加工装置
KR101555346B1 (ko) 현미가공식품의 제조방법
KR200453886Y1 (ko) 도정미 자동판매기
KR101776217B1 (ko) 생두 로스팅 장치
KR100620614B1 (ko) 견과류 구이방법
KR102495701B1 (ko) 곡물 가공 장치
KR102162091B1 (ko) 팝콘 자동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