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701B1 - 곡물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701B1
KR102495701B1 KR1020210089450A KR20210089450A KR102495701B1 KR 102495701 B1 KR102495701 B1 KR 102495701B1 KR 1020210089450 A KR1020210089450 A KR 1020210089450A KR 20210089450 A KR20210089450 A KR 20210089450A KR 102495701 B1 KR102495701 B1 KR 102495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housing
grain
grains
discharge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8983A (ko
Inventor
한성희
김서연
이은명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강화드림
주식회사 한울이엔지
주식회사 홀그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강화드림, 주식회사 한울이엔지, 주식회사 홀그레인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강화드림
Priority to KR102021008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7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0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포함하며, 가공장치는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증숙할 수 있도록 고온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제1장치, 증숙 과정 후 제1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냉각할 수 있도록 저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제2장치, 냉각 과정 후 제2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의 표면에 침습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바람을 송풍하는 제3장치 및 제습 과정 후 제3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40~50도의 바람을 공급하는 제4장치를 포함하는 곡물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가공 장치 {grai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곡물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포함하며, 가공장치는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증숙할 수 있도록 고온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제1장치, 증숙 과정 후 제1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냉각할 수 있도록 저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제2장치, 냉각 과정 후 제2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의 표면에 침습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바람을 송풍하는 제3장치 및 제습 과정 후 제3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30~50도의 바람을 공급하는 제4장치를 포함하는 곡물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녹색 통곡물(Green Whole Grain)는 녹색 쌀보리, 녹색 밀, 녹색 쌀, 녹색 쌀귀리를 포함한 녹색 상태의 도정하지 않은 곡물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주식으로 사용되는 곡식은 낟알이 충분히 익은 황숙기에 수확하여 탈곡, 건조, 도정 또는 제분의 과정을 거친 후에 식용으로 제공되는 반면, 녹색 통곡물은 보리, 밀, 벼, 귀리의 이삭이 충분히 성숙하여 황색기로 변하기 직전, 즉 영과가 엽록소를 함유하여 녹색을 띄고 있는 상태에서 수확한 후 가공하여 주식 내지 식재료로 사용하게 된다. 완숙기에 수확된 곡물은 도정과정을 거칠 경우 겨층과 씨눈이 모두 제거 되어 중요한 영양분이 손실되고, 현미의 경우는 씨눈이 포함되어 있으나 호분층이나 겨층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밥을 지으면 백미에 비해 부드럽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보리쌀의 경우는 밥하기 전에 반드시 삶는 과정을 거쳐야만 어느 정도 부드러운 식감을 낼 수 있으며, 밀의 경우는 가루 제품으로만 사용할 수밖에 없었고 역시 씨눈과 겨층이 완전히 제거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외국에서는 통밀가루와 제분 후 골라낸 씨눈만을 제품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역시 기존의 밀가루에 비해 식감이 떨어져 그 수요가 크게 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보리쌀의 경우는 황숙기에 탈곡하여 통곡물로는 식용할 수 없어 도정 (방아찧기)하여 삶거나 압착한 후에 쌀에 혼합하여 취반용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보리 특성상 식감이 부드럽지 못하고 약간의 떫은 맛으로 식미감 또한, 떨어져 나름대로 건강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소비량은 크게 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건강식으로 사용한다 할지라도 통보리가 가진 중요한 영양소의 겨층과 배아를 정제나 도정으로 손실 시킨 채로 식용으로 활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거칠고 딱딱한 질감을 조금이라도 덜기 위하여 찰성을 띈 찰쌀보리를 육종 개발하여 식용하고 있으나, 역시 도정을 거치지 않고는 영양가 높은 통찰보리를 먹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항간에는 자색보리를 육종 개발하여 색소를 가진 기능성 곡물로 각광 받고 있으나, 이들 색소는 통곡물의 겨층에 주로 함유돼 있어 도정하는 과정에 대부분 색소층은 손실되어 섭취가 어렵다.
이와 같이 통곡물이 영양이 풍부한 것은 사실이나 취반용으로 조리할 때 번거로움이 많고, 식용하는 데에는 거칠고 식감이 부드럽지 못하며, 소화 불량으로 인한 제한적인 섭취가 우려되어 단지 먹기 좋고, 식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영양이 많이 함유된 알곡물의 겨층을 깎아낸(도정) 상태로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곡물 가공 장치(공개번호 제 10-2012-0108173호)는 황숙기 전의 녹숙기에 녹색 상태의 통곡물을 수확하여 저장탱크에 투입하는 저장 공정, 저장탱크에 담긴 녹색 통곡물을 유출시켜 88 ~ 102도 온도범위의 물 또는 스팀으로 30 ~ 120초 동안 증숙시키는 블랜칭 공정, 블랜칭 공정을 마친 녹색 통곡물을 곧바로 1 ~ 7도 온도범위에서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 공정, 냉각 공정을 통해 저온으로 식혀진 녹색 통곡물에 바람을 송풍하여 녹색 통곡물의 표면에 침습된 과다 수분을 제거하는 냉풍제습 공정 및 냉풍제습 공정을 통해 과다 수분이 제거된 녹색 통곡물에 35 ~ 50도 온도범위의 저온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열풍건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다만, 컨베이어에 의해 곡물을 이송하는 종래 곡물 가공 장치는 컨베이어 상단에 적재된 곡물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증숙, 냉강 등의 가공효율이 좋으나, 상대적으로 하층에 적재된 곡물은 각 공정에 따른 유체 및 바람과의 접촉률이 떨어져 각 공정의 가공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곡물 가공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국내 및 해외의 관련 업체에서는 곡물 가공 장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사례가 있으나, 실제 제품화하기에는 소모되는 비용이 과도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해당 장치의 제조 단가 대비 가공률의 향상 정도가 크지 않아 종래 곡물 가공 장치와 비교할 때 시장 경쟁력이 떨어져 본격 상용화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 하우징의 내주연에 적재된 곡물이 교반됨으로써 곡물의 교반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스크류 컨베이어 및 중공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곡물 가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제1장치, 제2장치, 제3장치 및 제4장치 내에서 곡물에 대한 각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폐회로로 순환되는 공정 장치를 포함하는 곡물 가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포함하며, 가공장치는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증숙할 수 있도록 고온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제1장치, 증숙 과정 후 제1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냉각할 수 있도록 저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제2장치, 냉각 과정 후 제2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의 표면에 침습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바람을 송풍하는 제3장치 및 제습 과정 후 제3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30~50도의 바람을 공급하는 제4장치를 포함하는 곡물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가공장치는 그 표면에 곡물이 적재되고 적재된 곡물을 교반 및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및 제1장치, 제2장치, 제3장치 및 제4장치 내에서 곡물에 대한 각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 손실을 1차 감소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스크류 컨베이어와 곡물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외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하우징의 내주연에 적재된 곡물이 교반됨으로써 곡물의 교반률이 1차 향상될 수 있도록 스크류 컨베이어 및 외부 하우징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곡물의 교반률이 2차 향상될 수 있도록 스크류 컨베이어 및 외부 하우징이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가공장치는 제1장치, 제2장치, 제3장치 및 제4장치 내에서 곡물에 대한 각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 손실을 2차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1장치, 제2장치, 제3장치 및 제4장치의 각 공정이 폐회로 내에서 반복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장치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은 그 표면에 다수의 천공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하우징은 제1장치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의 직경보다 제2장치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의 직경이 더 크며, 제2장치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의 직경보다 제3장치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의 직경이 더 크고, 제3장치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의 직경보다 제4장치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외부 하우징 내부에 적재된 곡물이 각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외부 하우징의 체결 공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는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높이가 증가할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은 스페이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에 음각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2장치는 냉각 공정 후 상대적으로 온도가 상승한 냉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냉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자중에 의해 제2장치 내부에 잔존하는 유체가 하면에 형성된 유로로 모일 수 있도록 제2장치의 하면이 유로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 하우징의 내주연에 적재된 곡물이 교반됨으로써 곡물의 교반률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제1장치, 제2장치, 제3장치 및 제4장치 내에서 곡물에 대한 각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곡물 가공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스페이서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제2장치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곡물 가공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곡물 가공 장치는 곡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10) 및 공급장치(10)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장치는 제1장치(100), 제2장치(200), 제3장치(300), 제4장치(400), 스크류 컨베이어(50), 외부 하우징(51), 구동부(30) 및 지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치(100)는 공급장치(10)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증숙할 수 있도록 고온의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2장치(200)는 증숙 과정 후 제1장치(100)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냉각할 수 있도록 저온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제3장치(300)는 냉각 과정 후 제2장치(200)로부터 배출된 곡물의 표면에 침습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제4장치(400)는 제습 과정 후 제3장치(300)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40~50
Figure 112021078703260-pat00001
의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50)는 그 표면에 곡물이 적재되고 적재된 곡물을 교반 및 이송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51)은 제1장치(100), 제2장치(200), 제3장치(300) 및 제4장치(400) 내에서 곡물에 대한 각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 손실을 1차 감소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스크류 컨베이어(50)와 곡물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40)는 스크류 컨베이어(50) 및 상기 외부 하우징(5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5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스크류 컨베이어(50)와 상기 외부 하우징(5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동력을 생성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51)의 일측에 배치되어 생성된 동력을 스크류 컨베이어(50) 및 외부 하우징(51)에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곡물 가공 장치는 컨베이어에 의해 곡물을 이송하였다. 따라서 컨베이어 상단에 적재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곡물은 증숙, 냉강 등의 가공효율이 좋으나, 상대적으로 하층에 적재된 곡물은 각 공정에 따른 유체 및 바람과의 접촉률이 떨어져 각 공정의 가공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곡물 가공 장치는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표면에 곡물이 적재되고, 적재된 곡물을 교반 및 이송할 수 있는 스크류 컨베이어(50)를 채택할 수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50)는 회전함에 따라 곡물을 이송시킴으로 벨트식 컨베이어 또는 체인식 컨베이어와 다르게 적재된 곡물의 상층, 하층 분류 없이 모든 곡물을 균등하게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다만, 스크류 컨베이어(50)는 회전하고 이를 둘러 싸는 외부 하우징(51)은 회전하지 않음으로 외부 하우징(51)의 내주연에 근접한 곡물은 정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곡물 가공 장치는 외부 하우징(51)이 스크류 컨베이어(50)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부 하우징(51)의 내주연에 적재된 곡물이 교반됨으로써 곡물 가공 장치의 교반률이 1차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하우징(51)과 스크류 컨베이어(50)는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각 공정이 진행함에 따라 스크류 컨베이어(50)의 표면에 적재된 곡물과 외부 하우징(51)의 내주연에 적재된 곡물이 같은 속도로 이송됨에 따라 곡물의 교반률이 2차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가공장치는 제1장치(100), 제2장치(200), 제3장치(300) 및 제4장치(400) 내에서 곡물에 대한 각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 손실을 2차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1장치(100), 제2장치(200), 제3장치(300) 및 제4장치(400)의 각 공정이 폐회로 내에서 반복 진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부 하우징(51)의 내주연에 적재된 곡물이 구동부(30)에 의해 생성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곡물이 교반됨으로써 곡물의 교반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스페이서(52)의 상세도이다.
제1장치(100), 제2장치(200), 제3장치(300) 및 제4장치(400)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51)은 그 표면에 다수의 천공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천공홈(53)을 통해 서로 다른 온도의 유체가 외부 하우징(51) 내부로 유입되고 가공장치의 증숙, 냉각 제습 및 건조 등과 같은 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51)은 제1장치(100)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51)의 직경보다 제2장치(200)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51)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제2장치(200)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51)의 직경보다 제3장치(300)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51)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제3장치(300)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51)의 직경보다 제4장치(400)를 통과하는 외부 하우징(51)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51) 내부에 적재된 곡물이 각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외부 하우징(51)의 체결 공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외부 하우징(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높이가 증가할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51)은 스페이서(5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에 음각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52)가 삽입되어 스페이서(52)와 인접한 측면부에 소정의 슬로프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원심력에 의해 스페이서(52)가 외부 하우징(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제2장치(200)의 상세도이다.
제2장치(200)는 냉각 공정 후 상대적으로 온도가 상승한 냉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냉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열교환기(210)를 포함하며, 자중에 의해 제2장치(200) 내부에 잔존하는 유체가 하면에 형성된 유로(211)로 모일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치(200)의 하면이 유로(211)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공급장치
20 - 사이클론
30 - 구동부
40 - 지지부
50 - 스크류 컨베이어
51 - 외부 하우징
52 - 스페이서
53 - 천공홈
100 - 제1장치
200 - 제2장치
210 - 열교환기
211 - 유로
300 - 제3장치
400 - 제4장치

Claims (12)

  1. 곡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가공하는 가공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장치는,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증숙할 수 있도록 고온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제1장치;
    증숙 과정 후 상기 제1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냉각할 수 있도록 저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제2장치;
    냉각 과정 후 상기 제2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의 표면에 침습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바람을 송풍하는 제3장치; 및
    제습 과정 후 상기 제3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30~50도의 바람을 공급하는 제4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장치는
    그 표면에 곡물이 적재되고 적재된 곡물을 교반 및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제1장치, 제2장치, 제3장치 및 제4장치 내에서 곡물에 대한 각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 손실을 1차 감소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와 곡물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장치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주연에 적재된 곡물이 교반됨으로써 곡물의 교반률이 1차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외부 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동력을 생성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곡물의 교반률이 2차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이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가공장치는,
    상기 제1장치, 제2장치, 제3장치 및 제4장치 내에서 곡물에 대한 각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 손실을 2차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장치, 제2장치, 제3장치 및 제4장치의 각 공정이 폐회로 내에서 반복 진행되고,

    상기 제1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외부 하우징은 그 표면에 다수의 천공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제1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직경보다 상기 제2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직경이 더 크며,
    상기 제2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직경보다 상기 제3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직경이 더 크고,
    상기 제3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직경보다 상기 제4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직경이 더 크며,

    상기 외부 하우징 내부에 적재된 곡물이 각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체결 공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에 음각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높이가 증가할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장치는,
    냉각 공정 후 상대적으로 온도가 상승한 냉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냉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열교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가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2장치 내부에 잔존하는 유체가 하면에 형성된 유로로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제2장치의 하면이 상기 유로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가공 장치.


KR1020210089450A 2021-07-08 2021-07-08 곡물 가공 장치 KR102495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450A KR102495701B1 (ko) 2021-07-08 2021-07-08 곡물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450A KR102495701B1 (ko) 2021-07-08 2021-07-08 곡물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983A KR20230008983A (ko) 2023-01-17
KR102495701B1 true KR102495701B1 (ko) 2023-02-06

Family

ID=8511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450A KR102495701B1 (ko) 2021-07-08 2021-07-08 곡물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7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569Y1 (ko) * 2000-04-22 2000-10-02 임형모 한약추출기의 냉각장치
KR200341718Y1 (ko) * 2003-11-26 2004-02-14 설재녕 스크류를 이용한 멸치 자숙기
KR101280913B1 (ko) * 2011-06-29 2013-07-02 고동기 분체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2635A (ja) * 1995-11-24 1997-06-03 Fujiwara Techno Art:Kk 蒸煮装置におけるスクリューコンベア
JPH09309612A (ja) * 1996-05-17 1997-12-02 Nippon Conveyor Kk 攪拌混練装置
KR101231000B1 (ko) * 2011-03-23 2013-02-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녹색 통곡물의 가공 및 대량생산 방법
KR102023702B1 (ko) * 2018-02-19 2019-09-20 권호현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569Y1 (ko) * 2000-04-22 2000-10-02 임형모 한약추출기의 냉각장치
KR200341718Y1 (ko) * 2003-11-26 2004-02-14 설재녕 스크류를 이용한 멸치 자숙기
KR101280913B1 (ko) * 2011-06-29 2013-07-02 고동기 분체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983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4676B2 (ja) 緑色の全粒穀物の加工および大量生産方法
WO2017188760A1 (ko) 녹색 통곡물의 전처리 건조를 위한 회전식 건조장치
PT91173B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a cozedura parcial de arroz
CN107372744A (zh) 一种蔬菜饼及其加工工艺
KR102495701B1 (ko) 곡물 가공 장치
WO2008153348A2 (en) A method for polishing a rice and polished rice by it
CN108855856B (zh) 一种农业用大豆干燥除杂设备
KR101828024B1 (ko) 농산물 가공 장치
US20040247756A1 (en) Modified brown r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555346B1 (ko) 현미가공식품의 제조방법
CN206851986U (zh) 一种畜牧饲料用搅拌烘干装置
US20050287263A1 (en) Proteinaceous food based on hempseed and/or other plants, that keeps the seed's nutritional value and does not use dangerous ingredients, such as preservatives or coloring.
KR100546033B1 (ko) 현미 연속살균과 백미 혼합 장치 및 방법
CN203969125U (zh) 冬小麦青麦仁加工装置
CN207493992U (zh) 一种真空冻干蔬菜加工用传送分拣装置
Tadesse et al. Rehydration capacity and kinetics of solar-dried carrot (Daucus carota) slices as affected by blanching and osmotic pretreatments
CN207219446U (zh) 一种用于向日葵种子简易脱粒清选装置
CN110934311A (zh) 一种高效洁净的食品加工装置
KR101651238B1 (ko) 이동식 녹색 통곡물 증숙장치와 그 방법
CN205056082U (zh) 一种可提高苦荞麦抗氧化性能的生产加工装置
CN221036561U (zh) 一种面条加工干燥装置
CN203884590U (zh) 一种带麸皮黑苦荞茶加工设备
CN107258890A (zh) 一种速冻鲜枣的加工工艺
CN109452551A (zh) 免浸渍蒸谷米加工方法及其设备
Luthra et al. Unit operations in rice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