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702B1 -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702B1
KR102023702B1 KR1020180019540A KR20180019540A KR102023702B1 KR 102023702 B1 KR102023702 B1 KR 102023702B1 KR 1020180019540 A KR1020180019540 A KR 1020180019540A KR 20180019540 A KR20180019540 A KR 20180019540A KR 102023702 B1 KR102023702 B1 KR 10202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ing
unit
steam
space
superheated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730A (ko
Inventor
권호현
Original Assignee
권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호현 filed Critical 권호현
Priority to KR102018001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7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는 분말 상태의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 반고체 상태의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투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측에 과열증기가 수용되는 증숙공간을 형성하여 증숙공간을 통과하는 분말 상태의 원료를 증숙시켜 반고체 상태의 원료로 형성하는 증숙부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시 투입부로 투입된 분말 상태의 원료를 증숙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증숙공간에서 증숙된 반고체 상태의 원료를 배출부로 이동시켜 본체의 외측으로 압출시키는 이송부, 증숙부와 연결되고, 증숙공간으로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 및 이송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숙부의 증숙공간에 과열증기를 공급하고, 증숙공간에 과열증기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증기수용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대상물에 과열증기가 고루 전달되어 증숙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대상물에 과도한 수분이 공급되는 것을 예방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GRAIN STEAMING AND EXTRU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곡물을 반고체 상태가 되도록 증숙(蒸熟)하고, 증숙된 반고체 상태의 곡물을 압출할 수 있는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은 분쇄된 곡물가루를 찜기에 넣어 증숙한 후, 증숙된 대상물을 별도의 성형기에 넣어 압출시켜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떡을 제조할 경우, 작업자가 증숙이 완료된 대상물을 별도의 저장수단으로 옮긴 후, 이를 성형기로 이동시켜 성형기에 투입해야 하는 과정을 수행해야함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자동으로 곡물가루를 혼합 및 증숙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대상물을 압출시키는 떡 제조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떡 제조장치는 분쇄된 곡물가루에 증기를 가하여 곡물가루를 반고체 상태가 되도록 증숙시키는 증숙부와, 증숙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곡물가루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떡 제조장치는 증숙부의 내부공간이 이송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이송부를 통해 일 방향으로 이송 중인 대상물이 증숙부의 내부공간을 가득 채우게 되고, 이로 인해 대상물과 증숙부 사이의 공간이 협소해져 증숙부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증기가 대상물에 고루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상물의 증숙률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외부로 배출되는 대상물이 설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떡 제조장치는 증기에 포함된 과도한 수분으로 인하여 대상물의 증숙 시 증숙부 내부에 다량의 응축수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대상물에 과도한 수분이 공급되어 증숙 시 대상물이 질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떡 제조장치는 증숙된 고온의 대상물이 곧바로 제조장치의 외부로 압출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배출되는 대상물을 저장 또는 운반할 경우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배출되는 대상물을 용기에 담아 공기 중에 노출시키거나, 물이 담긴 용기에 침수시키는 등 별도의 냉각과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늘어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100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49274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를 더 높은 온도로 재가열한 과열증기를 대상물에 열이 고루 전달되도록 본체 증숙부 안 뿐만 아니라 샤프트 안으로 제공토록 한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중숙 시 응축수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증숙 및 냉각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는 분말 상태의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 반고체 상태의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측에 과열증기가 수용되는 증숙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증숙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분말 상태의 원료를 증숙시켜 상기 반고체 상태의 원료로 형성하는 증숙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시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상기 분말 상태의 원료를 상기 증숙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증숙공간에서 증숙된 상기 반고체 상태의 원료를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압출시키는 이송부; 상기 증숙부와 연결되고, 상기 증숙공간으로 상기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 및 상기 이송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숙공간은, 상기 이송부가 수용되는 이송영역; 및 상기 이송영역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증숙부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이송영역을 통과한 과열증기가 수용되는 증기수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의 내부공간으로 미리 설정된 온도의 냉기를 전달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내측에 과열증기가 수용되는 증기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증기 공급부로부터 과열증기를 공급받고, 둘레에 복수개의 증기 배출공을 형성하여 회전 시 상기 증숙공간으로 상기 과열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투입부 및 상기 증숙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증숙공간으로 상기 과열증기를 배출시키는 제1 스크루 샤프트; 및 상기 제1 스크루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크루 샤프트와 동시에 회전되고, 상기 배출부 및 상기 증숙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스크루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숙부의 증숙공간에 과열증기를 공급하고, 증숙공간에 과열증기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증기수용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대상물에 과열증기가 고루 전달되어 증숙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대상물에 과도한 수분이 공급되는 것을 예방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부의 둘레에 냉기를 전달하는 냉각수단을 설치하여 반고체 상태의 원료가 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전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고온으로 인해 배출되는 대상물과 작업자 간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냉각을 통해 증숙된 반고체 상태의 원료가 뜸이 들게 됨에 따라,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의 내측으로 기수분리된 과열증기를 추가 공급함으로써, 증숙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의 제1 스크루 샤프트의 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의 증기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이하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라 함)는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곡물을 반고체 상태가 되도록 증숙(蒸熟)하고, 증숙된 반고체 상태의 곡물을 압출할 수 있는 장치로서, 지지프레임(14)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 설치되는 본체(10)는 투입부(11), 배출부(12) 및 증숙부(13)로 대분된다.
투입부(11)는 증숙부(13)의 일 측에 결합되며, 투입부(11)의 상측에는 사전에 분쇄기에서 분쇄된 곡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원료투입호퍼(111)가 구비된다.
투입부(11)의 내부공간은 증숙부(13)의 이송영역(13a1)과 연통되어, 투입부(11)의 내측에는 이송부(20)의 일부가 수용된다. 또한, 투입부(11)의 일 측에는 이송부(20)의 일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같은 지지수단이 설치된다.
배출부(12)는 증숙부(13)의 타 측에 별도 결합되거나, 증숙부(13)의 타 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증숙부(13)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12)의 내부공간은 증숙부(13)의 이송영역(13a1)과 연통되고, 이를 통해 배출부(12)의 내측에는 이송부(20)의 일부가 수용된다. 또한, 배출부(12)의 단부에는 이송부(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반고체 상태의 원료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지지판(121)이 구비되며, 지지판의 내측 중심에는 이송부(20)의 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증숙부(13)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이 개구되며 상부가 덮개로 개폐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투입부(11)와 배출부(12)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증숙부(13)의 내측에는 후술할 증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과열증기가 수용되는 증숙공간(1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증숙부(13)는 증숙공간(13a)을 통과하는 분말 상태의 원료를 증숙시켜 반고체 상태의 원료로 형성한다.
한편, 증숙공간(13a)은 이송영역(13a1)과 증기수용영역(13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영역(13a1)에는 상기 투입호퍼(111)를 통해 유입된 분쇄된 곡물원료와 이를 이송시키는 스크류 형태의 이송부(20)가 수용된다. 그리고 증기수용영역(13a2)은 이송영역(13a1)의 상측에 형성되어 이송영역(13a1)과 연통되고, 증기수용영역(13a2)에는 증숙부(13)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이송영역(13a1)을 통과한 과열증기가 수용될 수 있다. 참고로, 증숙부(13)의 하측에는 증기 공급부(30)와 연결되어 증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된 과열증기를 이송영역(13a1)으로 전달하는 연결포트(131)가 구비된다.
따라서, 증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과열증기는 연결포트(131)를 통하여 증숙공간(13a)의 이송영역(13a1)으로 유입된 후, 증기수용영역(13a2)으로 이동하여 이송부(20)의 상측 공간에 머무를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송영역(13a1)에 위치하고 있는 원료에 증기수용영역(13a2)에 밀집된 과열증기에 의해 오랫동안 열에너지를 고루 전달할 수 있어서 증숙효과를 높이게 된다.
또한, 증숙부(13)의 상측에는 증기수용영역(13a2)과 외부공간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덮개(1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에 부착된 실린더의 로드에 덮개(132)의 힌지측과 연결되어 덮개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증숙부(13)에는 덮개(132)을 증숙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3)이 증숙부(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며,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이 체결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송부(20)가 구비된다.
이송부(20)는 제1 스크루 샤프트(21) 및 제2 스크루 샤프트(22)를 포함하며, 제1 스크루 샤프트(21)는 구동부(40)와 연결되어 구동부(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의 제1 스크루 샤프트의 축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부(20)는 본체(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시 투입부(11)로 투입된 분말 상태의 원료를 증숙공간(13a)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송부(20)는 증숙공간(13a)에서 증숙된 반고체 상태의 원료를 배출부(12)로 이동시켜 본체(10)의 외측으로 압출시킨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제1 스크루 샤프트(21) 내측에 과열증기가 수용되는 증기수용공간(211a)을 형성하여 증기 공급부(30)로부터 과열증기를 공급받고, 중심의 샤프트 둘레에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증기 배출공(211b)이 형성되는 축부(211)를 형성하여 회전 시 증숙공간(13a)으로 과열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크루 샤프트(21)는 축부(211)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축부(211)의 둘레에 나선 구조로 설치되는 날개부(212)를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내부로 투입된 분쇄된 곡물원료를 날개부(212)에 의해 배출부로 이송된다.
축부(211)의 일 측에는 증숙부(13)에 설치된 지지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증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과열증기를 몸체의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지지부, 및 몸체의 타 측에 결합되어 제2 스크루 샤프트(22)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크루 샤프트(22)는 제1 스크루 샤프트(21)에 연결되어 제1 스크루 샤프트(21)와 동시에 회전되고, 배출부(12) 및 증숙공간(13a)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2 스크루 샤프트(22)는 일 측에 제1 스크루 샤프트(21)의 축부(211)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 측에 증숙부(13)에 설치된 지지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축부(221)와, 축부(221)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축부(221)의 둘레에 나선 구조로 설치되는 날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는 증숙부(13)의 중간지점에서 제1 스크루 샤프트(21)와 제2 스크루 샤프트(22)를 결합부로 상호 결합하여 함께 회전토록 하되, 증기의 공급이 많이 필요로 하는 투입부측에 위치한 제1 스크루 샤프트(21)로만 증기를 공급하여 증숙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는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를 한 차례 더 승온시킨 과열증기를 투입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와 별도로 분리구성되는 증기 공급부(30)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의 증기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증기 공급부(30)는 증숙부(13)와 연결되고, 증숙공간(13a)으로 과열증기를 공급한다.
증기 공급부(30)는 보일러(31), 증기 재가열부(32), 증기 분배부(33), 제1 증기 공급관(34) 및 제2 증기 공급관(35)을 포함한다.
증기 재가열부(32)는 보일러(31)에서 공급된 증기를 팽창 및 재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증기수용본체, 가열관로 및 발열수단으로 구성된다.
증기수용본체는 내부가 폐쇄된 구조로 형성되어, 일 측에 보일러(31)와 관로를 통해 연결되는 증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에 과열증기가 배출되는 과열증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관로는 증기수용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 방향을 따라 교번 배치된 복수개의 구획수단을 통해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내측에 증기가 이동 가능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수단은 복수개의 구획수단에 개별 설치되고, 미리 설정된 온도의 열을 발생시켜 유로를 이동 중인 증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증기 분배부(33)는 유입관과, 분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관은 관로를 통해 증기 재가열부(32)의 과열증기 배출부와 연결되고, 일 측에 내부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입되는 과열증기의 유입량을 조절 가능한 조절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분배관은 과열증기 유입관으로부터 연장되고, 일 측에 제1 및 제2 증기 공급관(34, 35)과 연결되어 과열증기 유입관을 통해 전달된 과열증기를 제1 및 제2 증기 공급관(34, 35)으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과열증기 전달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과열증기 전달포트에는 각각 유로를 개폐 가능한 개폐 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1 증기 공급관(34)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과열증기 전달포트와 개별 연결되고, 증숙부(13)의 하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연결포트(131)와 연결되어 증숙공간(13a)으로 과열증기를 공급하게 된다.
제2 증기 공급관(35)은 복수개의 과열증기 전달포트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제1 스크루 샤프트(21)와 연결되어 제1 스크루 샤프트(21)의 수용공간으로 과열증기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증기 공급부(30)는 과열증기를 기수분리(汽水分離)하여 이송부(20)로 공급토록 하며, 이를 위해 기수분리부(36)를 구비한다.
기수분리부(36)는 제2 증기 공급관(35)의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고, 제2 증기 공급관(35)의 일 측에서 유입된 과열증기를 기수분리한 뒤 이를 제2 증기 공급관(35)의 타 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크루 샤프트(21)의 내측으로 기수분리된 과열증기가 공급될 수 있다.
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는 상기 이송부(20)의 회전을 위해 본체(10)에 구동부(40)를 설치하고, 이를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이송부(20)와 연결하여 구동 시 이송부(2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는 냉각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50)는 배출부(12)에 설치되어 배출부(12)의 내부공간으로 미리 설정된 온도의 냉기를 전달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냉각부(50)는 내측에 냉각수가 유입되어 수용되고, 일면이 증숙부(13)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증숙부(13)의 외면을 감싸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면에는 냉각부(50)의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 및 냉각부(50)의 수용공간을 순환한 냉각부(50)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이송영역(13a1)의 온도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배출부(12)의 내부공간으로 이송된 반고체 상태의 원료는 배출부(12)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냉기에 노출되어 냉각될 수 있다. 즉, 고온으로 증숙된 반고체 상태의 원료는 배출부(12)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전,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는 배출부(12)의 내부공간을 통과함으로써 뜸이 들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숙부(13)의 증숙공간(13a)에 과열증기를 공급하고, 증숙공간(13a)에 과열증기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증기수용영역(13a2)을 형성함으로써, 대상물에 과열증기가 고루 전달할 수 있고, 더욱이 투입부(11) 측에 위치한 제1 스크루 샤프트(21)의 축을 통해 증기를 공급할 수 있어 증기를 외부에 노출된 반죽된 원료 뿐만 아니라 반죽의 내부에서도 공급하여 되어 증숙효율을 배가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는 증숙부(13)의 중간지점에서 제1 스크루 샤프트(21)와 제2 스크루 샤프트(22)를 결합부로 상호 결합하여 함께 회전토록 하되, 증기의 공급이 많이 필요로 하는 투입부측에 위치한 제1 스크루 샤프트(21)로만 증기를 공급하여 증숙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12)의 둘레에 냉기를 전달하는 냉각부(50)를 설치하여 반고체 상태의 원료가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전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고온으로 인해 배출되는 대상물과 작업자 간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냉각을 통해 증숙된 반고체 상태의 원료가 뜸이 들게 됨에 따라,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20)의 내측으로 기수분리된 과열증기를 추가 공급함으로써, 대상물에 과도한 수분이 공급되는 것을 예방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투입부 111. 원료투입호퍼
12. 배출부 121. 지지판
13. 증숙부 13a. 증숙공간
13a1. 이송영역 13a2. 증기수용영역
131. 연결포트 132. 덮개 133. 고정수단
14. 지지프레임
20. 이송부
21. 제1 스크루 샤프트 211. 축부
211a. 증기수용공간 211b. 증기 배출공 212. 날개부
22. 제2 스크루 샤프트
221. 축부 222. 날개부
30. 증기 공급부
31. 보일러 32. 증기 재가열부 33. 증기 분배부
34. 제1 증기 공급관 35. 제2 증기 공급관 36. 기수분리부
40. 구동부 50. 냉각부

Claims (6)

  1. 분말 상태의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11), 반고체 상태의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부(12), 및 상기 투입부(11)와 상기 배출부(12) 사이에 배치되고 내측에 과열증기가 수용되는 증숙공간(13a)을 형성하여 상기 증숙공간(13a)을 통과하는 상기 분말 상태의 원료를 증숙시켜 상기 반고체 상태의 원료로 형성하는 증숙부(13)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시 상기 투입부(11)로 투입된 상기 분말 상태의 원료를 상기 증숙공간(13a)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증숙공간(13a)에서 증숙된 상기 반고체 상태의 원료를 상기 배출부(12)로 이동시켜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압출시키는 이송부(20);
    상기 증숙부(13)와 연결되고, 상기 증숙공간(13a)으로 상기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30); 및
    상기 이송부(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증숙공간(13a)은 상기 이송부(20)가 수용되는 이송영역(13a1)와, 상기 이송영역(13a1)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영역(13a1)과 연통되어 과열증기가 수용되는 증기수용영역(13a2);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부(20)는 내측에 과열증기가 수용되는 증기수용공간(211a)을 형성하여 상기 증기 공급부(30)로부터 과열증기를 공급받고, 둘레에 복수개의 증기 배출공(211b)을 형성하여 회전 시 상기 증숙공간(13a)으로 상기 과열증기를 배출시키며,
    상기 증기 공급부(30)는 보일러(31)에서 공급된 증기를 재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시키는 증기 재가열부(32)와, 증숙부(13)의 하측에 구비된 연결포트(131)와 연결되어 증숙공간(13a)으로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제1 증기 공급관(34)과, 상기 이송부(20)와 연결되어 증기수용공간(211a)으로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제2 증기 공급관(3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2)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12)의 내부공간으로 미리 설정된 온도의 냉기를 전달하는 냉각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구동부(4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투입부(11) 및 상기 증숙공간(13a)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증숙공간(13a)으로 상기 과열증기를 배출시키는 제1 스크루 샤프트(21); 및
    상기 제1 스크루 샤프트(2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크루 샤프트(21)와 동시에 회전되고, 상기 배출부(12) 및 상기 증숙공간(13a)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스크루 샤프트(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부(30)는 과열증기를 기수분리(汽水分離)하여 상기 이송부(2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KR1020180019540A 2018-02-19 2018-02-19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KR10202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540A KR102023702B1 (ko) 2018-02-19 2018-02-19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540A KR102023702B1 (ko) 2018-02-19 2018-02-19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30A KR20190099730A (ko) 2019-08-28
KR102023702B1 true KR102023702B1 (ko) 2019-09-20

Family

ID=6777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540A KR102023702B1 (ko) 2018-02-19 2018-02-19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18B1 (ko) * 2021-04-13 2021-08-19 김남호 증자 장치
KR102495701B1 (ko) * 2021-07-08 2023-02-06 농업회사법인(주)강화드림 곡물 가공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943B1 (ko) * 2006-06-16 2007-10-08 김영성 연속식 압력 증자기
KR101809701B1 (ko) 2017-04-11 2017-12-15 (주)태흥엔지니어링 연속식 자동 증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6979A (ja) * 1992-05-18 1993-12-03 Hiroyuki Yamato 麺類連続茹上方法
KR100911003B1 (ko) 2008-07-18 2009-08-05 이영우 증숙기
KR101049274B1 (ko) 2010-11-09 2011-07-13 최문영 떡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943B1 (ko) * 2006-06-16 2007-10-08 김영성 연속식 압력 증자기
KR101809701B1 (ko) 2017-04-11 2017-12-15 (주)태흥엔지니어링 연속식 자동 증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30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6705C (en) Apparatus for treating material comprising pressure vessel with drum rotatably arranged inside
KR102023702B1 (ko) 곡물 증숙 및 압출 장치
WO2009082842A1 (fr) Equipement industriel pour le craquage en continu de matière plastique
KR101607869B1 (ko) 고체와 액체폐기물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열분해시키기 위한 장치
KR100836071B1 (ko) 합성 원료의 처리 장치
JP3653239B2 (ja) 食品・薬品等の凍結乾燥装置
CN208653121U (zh) 一种滚筒式干燥装置
EP1084016A1 (en) Machine for the treatment of products made of plastic material of the recyclable type
FR2507953A1 (fr) Appareil de recuperation de polymere sec a l'etat fragmentaire et poreux
JP5591030B2 (ja) 横型連続伝導伝熱式乾燥機
CN106705624A (zh) 一种多能源综合利用的谷物干燥设备
US3181955A (en) Method of cooking grain in a closed system
EP1983850A1 (en) Rotary dryer for leaf, strip or shredded tobacco
CN209971186U (zh) 一种密胺树脂粉的制备装置
KR100764943B1 (ko) 연속식 압력 증자기
CN108018140A (zh) 一种香皂废料的处理装置
CN108189364A (zh) 塑料挤出机
CN106962964B (zh) 饲料用肉蛋白生产线
KR20170112326A (ko) 슬러지 건조장치
CN217005180U (zh) 一种颗粒肥料的干燥冷却装置
CN219597562U (zh) 一种进料速度可调的干冰清洗机用进料机构
CN216898274U (zh) 一种颗粒原料烘干箱
CN208501034U (zh) 一种旋转式热处理机构
CN220624661U (zh) 一种烘干机
CN206498839U (zh) 一种谷物干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