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106B1 - 분립체용 로스터 - Google Patents

분립체용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106B1
KR100804106B1 KR1020067004743A KR20067004743A KR100804106B1 KR 100804106 B1 KR100804106 B1 KR 100804106B1 KR 1020067004743 A KR1020067004743 A KR 1020067004743A KR 20067004743 A KR20067004743 A KR 20067004743A KR 100804106 B1 KR100804106 B1 KR 100804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oaster
granules
inlet
prehe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739A (ko
Inventor
후미오 가토
Original Assignee
츠카사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18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836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18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80602A/ja
Application filed by 츠카사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츠카사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0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분립체의 내부까지 효과적으로 볶을 수 있어 고품질의 분립체로 만들 수 있음과 동시에, 냉각된 경우에도 결로할 위험성이 없어 오염의 원인이 되는 위험성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분립체용 로스터를 제공한다. 분립체가 투입되는 투입구(2)와, 이 투입구(2)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수용되는 드럼(30)과, 이 드럼(30) 내에 수용된 분립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49)을 갖는 분립체용 로스터(1)에 있어서, 이 투입구(2)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예비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드럼(30)에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예비 가열실(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Figure 112006016420418-pct00001
원두 커피, 분립체용 로스터, 가열, 차 잎, 결로, 분립체

Description

분립체용 로스터{ROASTER FOR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본 발명은 예컨대 원두 커피, 차 잎, 곡물 등의 분립체를 볶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립체용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원두 커피나 차 잎 등의 분립체 중에는 미리 볶음으로써 향기나 풍미가 풍부해지는 이유에서, 이러한 분립체의 제조 회사에서는 분립체용 로스터를 이용하여 대량의 분립체를 볶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래의 분립체용 로스터로서, 예컨대 원두 커피(의 분립체)를 볶기 위하여 사용되는 원두 커피용 로스터(이하, 로스터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로스터는 상방에 원두 커피(의 분립체)가 투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드럼과, 이 드럼을 하방에서 가열하는 버너와,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분립체를 교반하는 교반 날개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로스터의 예로서 차 잎(의 분립체)을 볶는 차 잎용 로스터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단 측에는 상기 분립체를 내부에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단 측에는 볶아진 분립체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한 드럼과, 이 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분립체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로스터에 의하면, 드럼 내에 수용된 원두 커피나 차 잎(의 분립체)은 상기 버너나 가열 장치에 의해 볶아지고, 상기 원두 커피용 로스터에서는 다시 볶아진 원두 커피를 상기 개구로부터 배출하고, 또 상기 차 잎용 로스터에서는 배출부로부터 볶아진 분립체가 배출된다.
그러나, 각 분립체가 이상적으로 볶아지기 위해서는 소정의 함수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예컨대 쌀겨는 약 2% 미만의 함수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종래의 각 로스터에서는 상기 (원두 커피나 차 잎 등의) 분립체는 상기 개구 또는 투입구로부터 드럼 안으로 투입 및 수용되어 소정의 함수율(낮은 함수율)로 되지 않고 직접 볶아지게 되므로, 분립체의 내부까지 볶아지지 않고 외부만이 검게 볶아지는 경우가 많아, 본래 요구되고 있는 분립체의 향기나 풍미보다 뒤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차 잎용 로스터에서는 외부의 공기에 의해 차가워지면 볶을 때 분립체로부터 방출된 습기로 인해 상기 드럼이나 교반 날개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여 오염(contamination)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분립체용 로스터가 갖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분립체의 내부까지 효과적으로 볶을 수 있어 고품질의 분립체를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냉각된 경우에도 결로할 위험성이 없어 오염의 원인이 되는 위험성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분립체용 로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1 발명은 분립체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이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수용되는 드럼 및 이 드럼 내에 수용된 분립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갖는 분립체용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상기 드럼 사이에는 이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예비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드럼에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예비 가열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발명(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 가열실은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지지됨과 동시에 다수 개의 투공이 형성된 분립체 지지 부재와, 이 분립체 지지 부재의 하방으로부터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수단 및 이 예비 가열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발명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예비 가열실에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분립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발명(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복수 개의 회전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단차부가 복수 개 형성되고, 이들 단차부에 의해 상기 드럼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발명(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홈부 내에 삽입된 플랜지부가 전동하는 링형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6 발명(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4 또는 제5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드럼의 일측 하방에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연결축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회전체와, 상기 드럼의 타측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축과 평행한 다른 하나의 연결축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3 및 제4 회전체로 구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내부의 분립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의 쌍방 또는 상기 제3 및 제4 회전체의 쌍방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원두 커피용 로스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원두 커피용 로스터의 내부 구조를 일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원두 커피용 로스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원두 커피용 로스터의 좌측 단면도이다.
도 5는 원두 커피용 로스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드럼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드럼의 지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회전축과 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회전축과 비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원두 커피용 로스터 2 : 투입구
3 : 예비 가열실 9 : 칸막이판
9a : 개구 12 : 지지판
14 : 열풍 유로 29 : 본 가열실
30 : 드럼 49 : 가스 버너
58 : 제1 덕트 59 : 배기 팬
60 : 제2 덕트 62 : 제3 덕트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분립체용 로스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분립체용 로스터는 본 발명을 밀링에 의해 분말 상태로 갈린 원두 커피를 볶는 원두 커피용 로스터(이하, 로스터라고 함)에 적용한 것이다.
이러한 로스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두 커피(의 분립체 : 이하 동일)가 투입되는 투입구(2)를 구비하고, 이 투입구(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가열실(3)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2)는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파이프의 단부에 접속되는 부위로서, 압축 공기와 함께 상기 원두 커피가 유입되는 부위이다. 또한 상기 투입구(2)는 관 형태로 성형되고 상기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파이프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 부재(4)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접속 부재(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폐쇄된 원통체(5)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원통체(5)는 정면 형상이 역삼각형으로 성형되고 좌측면 측에 형성된 미끄럼판부(부호는 생략함)를 구비한 앵커(6)를 통하여 이 로스터(1)의 우측판 (1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체(5)의 내부와 상기 앵커(6)의 내부는 각각 연통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앵커(6)와 상기 예비 가열실(3) 또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로스터(1)의 우측판(1a)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앵커(6)의 배치 위치보다 하방에 개폐 덮개(7)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개폐 덮개(7)의 중앙에는 유리 등의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원형의 감시창(7a)이 고정되어, 이 감시창(7a)로부터 상기 원두 커피가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로스터(1)의 내부로서 이 로스터(1)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우측판(1a) 측에는 상기 예비 가열실(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비 가열실(3)은 후술하는 드럼이 배치된 본 가열실과 이 예비 가열실(3)을 구획하는 칸막이판(9)과, 좌단이 이 칸막이판(9)에 고정되고 우단은 상기 우측판(1a)에 고정된 정면측 칸막이판 (10)(도 2 또는 도 4 참조)과, 이 정면측 칸막이판(1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좌단은 상기 칸막이판(9)에 고정되고 우단은 상기 우측판(1a)에 고정된 후면측 칸막이판(11)과, 상기 우측판(1a)와, 상기 투입구(2)로부터 유입된 원두 커피가 지지되는 지지판(1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2)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이고 좌우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체로서, 도시하지 않은 다수 개의 투공이 뚫려 설치된 펀칭 메탈이다. 또한, 이 지지판(12)에 형성된 다수 개의 투공은 이 원두 커피가 지지판(12)의 하방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상기 원두 커피(의 분체 또는 입체)의 지름보다 가는 지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면측 칸막이판(10)의 하단은 이 지지판(12)의 정면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후면측 칸막이판 (11)의 하단은 지지판(12)의 후면측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2)의 우단측 도중부는 상기 우측판(1a)이 고정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면측 칸막이판(10)의 정면보다 더 정면(앞쪽) 측에는 이 정면측 칸막이판(10)과 함께 열풍을 상기 지지판(12)의 하측으로 이끄는 가이드판(13)이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예비 가열실(3)의 정면측에는 상기 정면측 칸막이판(10)과 가이드판(13)에 의해 형성되어 열풍을 상기 지지판(12)의 하측으로 이끄는 열풍 유로(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로스터(1)의 내부로서 상기 예비 가열실(3)의 상방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기(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집진기(20)는 대략 다수 개의 버그 필터(21)와 배기 팬(23)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로스터(1)에서는 상기 예비 가열실(3) 내의 공기가 상기 배기 팬(23)의 구동에 의해 상기 다수 개의 버그 필터(21)를 통과하여 대기로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정면측 칸막이판(10)과 가이드판(13)에 의해 형성된 열풍 유로(14)를 통하여 상기 지지판(12)의 하방으로 유입된 열풍은 상기 지지판(12)에 형성된 다수 개의 투공을 통과하여 상기 예비 가열실(3) 내에 (밀어 올려지듯이) 유입되고, 상기 다수 개의 버그 필터(21)를 통과하여 대기로 방출된다. 이 때, 상기 투입구(2)로부터 이 로스터(1) 내로 유입된 원두 커피는 상기 지지판(12)의 상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하방으로부터 밀어 올려진 열풍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상기 예비 가열실(3) 내에서 밀어 올려진 원두 커피(의 분체 또는 입체)는 이 로스터(1)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상기 버그 필터(21)의 외주면에 의해 포착된다.
또한 상기 예비 가열실(3)의 형성 위치보다 좌측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판(9)을 사이에 두고 본 가열실(29)이 형성되고, 이 본 가열실(29) 내에는 드럼(30)이 배치되어 있다. 이 드럼(3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좌우 양단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드럼(30)의 좌단측 도중부의 외주에는 어느 하나의 플랜지부(30a)가 형성되고, 타단측 도중부의 외주에는 다른 하나의 플랜지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드럼(30)의 좌단측으로서 하방보다 약간 정면측에는 이 드럼(30)을 지지하는 제1 회전체(3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30)의 우단측으로서 하방보다 약간 정면측에는 제2 회전체(32)가 배치되고, 이 제2 회전체(32)와 상기 제1 회전체(31)는 어느 하나의 수평축(33)에 의해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회전체(32)에는 제1 구동 모터(34)의 구동축(34a)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30)의 좌단측으로서 하방보다 약간 후면측에는 제3 회전체(3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30)의 우단측으로서 하방보다 약간 후면측에는 제4 회전체(36)가 배치되고, 이 제4 회전체(36)와 상기 제3 회전체(35)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평축(33)과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수평축(37)에 의해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4 회전체(36)에는 제2 구동 모터(33)의 구동축(38a)이 고정되어 있다. 아울러, 이 로스터(1)에서는 상기 제1 구동 모터(34)와 제2 구동 모터(38)가 동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회전체(31, 32, 35, 36)는 각각 외주에 링형 홈(31a, 32a, 35a, 3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30)은 이 드럼(3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플랜지부(30a)가 상기 제1 회전체(31)에 형성된 홈 (31a) 내와 상기 제3 회전체(35)에 형성된 홈(35a) 내로 삽입되고, 또한 이 드럼(30)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플랜지부(30b)가 상기 제2 회전체(32)에 형성된 홈(32a) 내와 상기 제4 회전체(36)에 형성된 홈(36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지 제4 회전체(31, 32, 35, 36)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체(31)와 제2 회전체(32)에 형성된 각 홈(31a, 32a)을 형성하는 각 링형 면(상기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플랜지부(30a, 30b)의 둘레면에 접하는 부위)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차부(3lb)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3 및 제4 회전체(35, 36)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로스터(1)에서는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칸막이판(9)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개구(9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두 커피는 상기 예비 가열실(3)에서 상기 지지판(12)의 하방으로부터 밀려 올라온 열풍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기 개구(9a)를 통하여 상기 드럼(30)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모터(34, 38)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회전체(31, 32, 35, 36)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원두 커피가 수용된 드럼(30)이 회전한다.
또한 상기 드럼(30)의 중심보다 약간 하방 위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축(40)이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축(40)은 원통 형태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우단이 도시하지 않은 우측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좌단측 도중부는 도시하지 않은 좌측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며, 좌단은 이 로스터(1)의 좌측판(1c)보다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46)에는 상기 회전축(40)의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제1 내지 제4 비터(41…44)가 각각 소정 거리를 두고 순서대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내지 제4 비터(41…44)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된 축(41a…44a)과, 이 축(41a…44a)의 끝단에 형성되며 대략 반원형으로 성형된 교반 날개부(4lb…44b)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비터(41)와 제2 비터(42)의 고정 위치는 이 회전축(40)의 일단 측에서 타단 측에 걸쳐 순서대로 90도 어긋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각 교반 날개부(4lb…44b)는 회전축(40)에 대하여 각각 40도 비틀려져 있다. 또한, 이 로스터(1)의 좌측판(1c)에는 이 회전축(40)을 회전 구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제3 구동 모터가 고정되고, 이 제3 구동 모터의 구동축과 회전축(40)은 도시하지 않은 체인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40)이 회전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비터(41…44)에 의해 원두 커피는 드럼(30)의 우측에서 좌측에 걸쳐 교반되면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40)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반사 부재(45…48)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 반사 부재(45)는 상기 제1 비터(41)의 배치 위치보다 로스터(1)의 좌측판(1c)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46)는 상기 제1 비터(41)와 제2 비터(42) 사이에, 또한 상기 제3 반사 부재(47)는 상기 제2 비터(42)와 제3 비터(47) 사이에, 상기 제4 반사 부재(48)는 상기 제3 비터(43)와 제4 비터(4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내지 제4 반사 부재(45…48)는 각각 하면이 상기 회전축(40)의 외주면에 올려지고 원호상으로 절곡된 절곡부(45a…48a)와, 이 절곡부(45a…48a)와 연속하며 상기 회전축(40)의 정면측으로 수직 하강하여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수직 하강판부 (45b…48b)와, 이 어느 하나의 수직 하강판부(45b…48b)와 대향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절곡부(45a…48a)와 연속하며 상기 회전축(40)의 후면측으로 수직 하강하여 이루어지는 다른 하나의 수직 하강판(45c…48c)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수직 하강판부(45b…48b)와 상기 다른 하나의 수직 하강부(45c…48c)의 각각 하단측에는 두께부(45d…48d, 45e…48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30)의 하방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열 수단인 가스 버너(49)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스 버너(149)는 배관(49a)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가스 공급 수단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방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된 원두 커피를 가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30)의 좌측에는 이 드럼(30) 내에서 볶아진 원두 커피를 이 로스터(1)로부터 배출하여 관로(52)를 통하여 다른 곳으로 이송하는 로터리 밸브(5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30)의 좌측에는 이 드럼(30)의 좌단으로부터 배출된 원두 커피를 이 로터리 밸브(53) 내로 이끄는 배출로(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로터리 밸브(53)는 상부에 볶아진 원두 커피가 유입되는 도시하지 않은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두 커피가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관로(52)에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53a)와, 이 케이스(53a) 내에 수납되어 제4 구동 모터(5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 본체를 구성 요소로 하며, 상기 밸브 본체에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원두 커피가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수용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밸브 본체의 수용실 내로 유입된 원두 커피는 상기 제4 구동 모터(54)의 구동에 의해 배출구까지 이동되어 상 기 관로(52) 내에 낙하한다.
또한 상기 드럼(30)이 배치된 본 가열실(29)에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본 가열실(29) 내의 공기(가열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덕트(58)의 일단이 고정되고, 이 제1 덕트(58)의 타단 측에는 흡기 팬(59)이 배치되고, 이 제1 덕트(58)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 팬(59)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흡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흡기 팬(59)의 배기구(59a)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덕트(60)의 일단이 접속되고, 이 제2 덕트(60)의 타단은 보조 히터(6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이 보조 히터(61)와, 상기 정면측 칸막이판(10)과 가이드판(13)에 의해 형성된 도 2에 도시한 열풍 유로(14)는 제3 덕트(62)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이 로스터(1)에서는 상기 본 가열실(29) 내의 열풍은 상기 흡기 팬(59)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덕트(58)와 제2 덕트(60)와 제3 덕트(62)를 통하여 상기 열풍 유로(14) 내에 이르게 되고, 상기 지지판(12)의 하방으로부터 이 지지판(12)에 형성된 다수 개의 투공을 통과하여 상기 예비 가열실(3) 내에 (밀려 올려지듯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로스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투입구(2)로부터 공기 수송에 의해 유입된 원두 커피는 상기 원통체(5)의 내부와 앵커(6)를 통과하여 상기 예비 가열실(3)로 유입되고 지지판(12) 상에 지지된다. 그리고, 이 지지판(12) 상에 지지된 원두 커피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이 지지판(12)에 형성된 다수 개의 투공을 통과하여 상기 예비 가열실(3) 내로 (밀려 올려지듯이) 유입된다. 이러한 열풍에 의해 상기 예비 가열실(9) 내의 원두 커 피는 가열 및 건조되면서 상기 칸막이판(9)에 형성된 개구(9a)로부터 상기 본 가열실(29) 내에서 회전하는 드럼(30) 내로 유입된다. 이 드럼(30)에 유입된 원두 커피는 이 드럼(30)의 회전 구동과 상기 제1 내지 제4 비터(41…44)의 회전 구동에 의해 교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31, 32)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차부(3lb)의 회전에 의해 진동하면서 전동하는 드럼(30) 내에서 상하로 조금씩 튕겨지면서 이 가열 장치(1)의 좌측으로 서서히 이동된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 회전체(31, 32, 35, 36)가 예컨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들 제1 내지 제4 회전체(31, 32, 35, 36)에 의해 상기 드럼(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드럼(30)의 회전에 의해 이 드럼(30) 내에 수용된 분립체인 원두 커피(P)는 이 드럼(30)의 회전 중심의 하방보다 드럼(30)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31, 32)에 형성된 단차부(3lb)에 의해 드럼(30)에 진동이 가해지면, 상기 이동하던 원두 커피(P)는 다소 튕겨지듯이 드럼(30)의 중심의 하방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러한 원두 커피(P)의 이동이 반복되면서,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비터(41…44)에 의해 원두 커피는 드럼(30)의 우측에서 좌측에 걸쳐 교반되면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드럼(30)의 하방에는 가열 수단인 가스 버너(49)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예비 가열실(3) 내에서 예비 가열된 원두 커피는 이 드럼(30) 내에서 본격적으로 볶아진다(가열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40)에는 전술한 제1 내지 제4 반사 부재(45…48)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스 버너(49)에 의한 열은 이들 제1 내지 제4 반사 부재(45…48)의 내측면에서 반사되어 원두 커피(P) 측으로 집속된 상태로 방사된다. 그리고, 볶아진 원두 커피(P) 는 상기 배출로(55)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로터리 밸브(53)에 의해 상기 관로(52) 내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가스 버너(49)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 가열실(29) 내로부터 상기 제1 덕트(58)와 제2 덕트(60)와 제3 덕트(62)를 통하여 상기 열풍 유로(14) 내에 이르게 되고, 상기 지지판(12)의 하방으로부터 이 지지판(12)에 형성된 다수 개의 투공을 통과하여 상기 예비 가열실(3) 내로 (밀려 올려지듯이) 유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로스터(1)에 의하면, 본 가열실(29) 내에 배치된 드럼(30) 내에서 볶아지기 이전 단계에서 상기 예비 가열실(3) 내에서 예비 가열 및 건조되므로, 상기 드럼(30) 내에서는 분립체인 원두 커피의 내부까지 효과적으로 볶을 수 있어 매우 고품질의 원두 커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 로스터(1) 내에서의 예비 가열은 상기 지지판(12)의 하방으로부터 밀려져 올라오는 열풍에 의한 것이므로, 예비 가열에 불균일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예비 가열실(3) 내에서의 예비 가열에 의해 이 로스터(1)가 냉각한 경우에도, 드럼(30) 내의 습도가 낮으므로 상기 로스터(1)의 내부에서의 결로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어 오염의 원인이 되는 위험성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특히, 이 로스터(1)에서는 예비 가열실(3) 내의 공기가 상기 배기 팬(2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오염의 발생을 더욱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가열실(3) 내에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본 가열실(29) 내에서 상기 가스 버너(49)에 의해 가열된 공기이므로, 이 가스 버너(49)의 에너지가 유효하게 활용되어 에너지 절약 효과도 높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로스터(1) 에서는 상기 본 가열실(29) 내의 열풍을 상기 예비 가열실(3) 내에 공급하는 루트 도중에 보조 히터(61)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겨울철 등의 경우나 한냉지에 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이 예비 가열실(3) 내에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이 보조 히터(61)를 구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로스터(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차부가 드럼(3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31, 32)(드럼(30)의 회전에 의해 내부의 분립체(원두 커피(P))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체)에만 형성되고 반대측에 배치된 제3 및 제4 회전체(35, 36)에는 형성되지 않으므로, 드럼(30) 내에 수용된 원두 커피(P)는 마치 불에 올려 놓은 프라이팬을 조리사가 뒤집음으로써 (볶음밥 등과 같은) 조리하는 식품을 프라이팬의 끝 쪽에서 안쪽 끝쪽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동작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로스터(1)에 의하면, 보다 많은 개개의 원두 커피(P)의 표면 전체를 골고루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로스터(1)는 분립체로서 원두 커피(P)를 볶는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분립체용 로스터는 당연히 이러한 원두 커피(P)를 볶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차 잎이나 쌀겨 등의 각종 곡물로 이루어지는 분립체를 볶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로스터(1)에서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열 수단으로서 가스 버너를 사용하고 있으나, 적어도 드럼 내에 수용된 분립체를 볶을 수 있는 것이면 전기 히터 등과 같이 다른 가열 수단을 사용하여도 좋다.
제1 발명에서는 투입구와 상기 드럼 사이에는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예비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드럼에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예비 가열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예비 가열실에서 분립체의 함수율을 낮출 수 있고, 따라서 이 예비 가열실을 통과한 분립체는 상기 드럼 내에서 골고루 내부까지 매우 효과적으로 볶아져 표면만 검게 타는 사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분립체용 로스터가 냉각된 경우에도 드럼 내의 습도는 낮으므로, 내부에서의 결로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어 오염의 원인이 되는 위험성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명(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되어 지지 부재에 지지된 분립체는 이 지지 부재에 형성된 다수 개의 투공을 통과한 열풍에 의해 가열된다. 즉, 예비 가열실 내의 분립체는 지지 부재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분출되는 열풍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이 제2 발명에 의하면, 특별한 교반 장치나 구동 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저렴하고 매우 효과적으로 분립체를 예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발명에서는 예비 가열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분립체용 로스터가 냉각된 경우에도 드럼 안 뿐만 아니라 예비 가열실 쌍방의 습도를 보다 더 낮출 수 있으므로 분립체용 로스터 내부에서의 결로의 발생을 더 억제할 수 있어, 오염의 원인이 되는 위험성을 더욱 더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3 발명에서는 상기 열풍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예비 가열실에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분립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로서 드럼에 수용된 분립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별개의 가열 수단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가열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종래의 분립체용 로스터에 비해 런닝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4 발명(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드럼은 복수 개의 회전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단차부가 복수 개 형성되고 이들 단차부에 의해 상기 드럼이 진동하므로, 드럼 내에 수용된 분립체는 드럼의 진동에 의해 표면 전체를 골고루 균일하게 볶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반드시 모두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일부의 회전체에만 단차부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에 의해 드럼이 진동하도록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 제5 발명(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드럼이 전동하고, 상기 단차부에 의해 드럼이 진동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분립체를 진동시키면서 골고루 볶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럼은 회전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 회전체에 지지되어 이루어지므로, 드럼의 회전 중에 회전체에 의해 제공되는 진동에 의해 이 드럼이 이동하지 않아 매우 안정된 상태에서 계속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6 발명(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단차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내부의 분립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의 쌍방 또는 상기 제3 및 제4 회전체의 쌍방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이 드럼의 중심의 하방보다 이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 분립체는 상기 단 차부에 의한 진동으로 인해 이 드럼의 내주면에서 벗어나 상기 중심의 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이러한 제6 발명에 의하면, 드럼 내의 분립체는 마치 불 위에 올려진 프라이팬을 조리사가 뒤집음으로써 (볶음밥 등과 같은) 조리하는 식품을 프라이팬의 끝쪽에서 안쪽 끝쪽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동작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6 발명에 의하면, 훨씬 많은 개개의 분립체의 표면 전체를 골고루 균일하게 볶을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분립체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이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수용되는 드럼 및 이 드럼 내에 수용된 분립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갖는 분립체용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상기 드럼 사이에는 이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예비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드럼에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예비 가열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예비 가열실은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지지됨과 동시에 다수 개의 투공이 형성된 분립체 지지 부재와, 이 분립체 지지 부재의 하방으로부터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수단 및 이 예비 가열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용 로스터.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복수 개의 회전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단차부가 복수 개 형성되고, 이들 단차부에 의해 상기 드럼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용 로스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홈부 내에 삽입된 플랜지부가 전동하는 링형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용 로스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드럼의 일측 하방에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연결축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회전체와, 상기 드럼의 타측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축과 평행한 다른 하나의 연결축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3 및 제4 회전체로 구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내부의 분립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의 쌍방 또는 상기 제3 및 제4 회전체의 쌍방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용 로스터.
  7. 분립체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이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수용되는 드럼 및 이 드럼 내에 수용된 분립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갖는 분립체용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상기 드럼 사이에는 이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예비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드럼에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예비 가열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예비 가열실은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분립체가 지지됨과 동시에 다수 개의 투공이 형성된 분립체 지지 부재와, 이 분립체 지지 부재의 하방으로부터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수단 및 이 예비 가열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열풍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예비 가열실에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분립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이며,
    상기 드럼은 복수 개의 회전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단차부가 복수 개 형성되고, 이들 단차부에 의해 상기 드럼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용 로스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드럼의 일측 하방에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연결축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회전체와, 상기 드럼의 타측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축과 평행한 다른 하나의 연결축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3 및 제4 회전체로 구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내부의 분립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의 쌍방 또는 상기 제3 및 제4 회전체의 쌍방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용 로스터.
KR1020067004743A 2003-09-10 2004-09-01 분립체용 로스터 KR100804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8095A JP2005083697A (ja) 2003-09-10 2003-09-10 粉粒体用熱処理装置
JPJP-P-2003-00318093 2003-09-10
JPJP-P-2003-00318095 2003-09-10
JP2003318093A JP2005080602A (ja) 2003-09-10 2003-09-10 粉粒体用ロース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739A KR20060105739A (ko) 2006-10-11
KR100804106B1 true KR100804106B1 (ko) 2008-02-18

Family

ID=3431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743A KR100804106B1 (ko) 2003-09-10 2004-09-01 분립체용 로스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83337A1 (ko)
EP (1) EP1665943A4 (ko)
KR (1) KR100804106B1 (ko)
WO (1) WO20050253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041A1 (ko) 2018-10-11 2020-04-16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로스팅 장치 및 이것의 제어 방법
EP4159051A2 (en) 2021-09-29 2023-04-05 Stronghold Technology, Inc. Roas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728B1 (ko) * 2013-06-20 2015-03-25 김욱일 커피 로스터의 생두, 원두 유출입 구조
KR101626517B1 (ko) 2013-07-30 2016-06-01 (주) 씨엠테크 커피 배전기
CN108968112B (zh) * 2017-06-01 2021-05-18 志勇无限创意股份有限公司 烘豆装置
KR101985598B1 (ko) * 2017-10-13 2019-06-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이의 개별회전이 가능한 식품건조기
WO2023014698A1 (en) * 2021-08-02 2023-02-09 Bellwether Coffee Co. Coffee roasting system with roasting and cooling subsystems, and methods for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5076A (ko) * 1974-03-19 1975-10-01
JPH08189767A (ja) * 1994-12-29 1996-07-23 Tamagawa Mach Kk 連続乾燥又は焙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2978A (en) * 1920-10-21 1924-10-28 James M Edwards Roasting apparatus
US1974019A (en) * 1932-03-10 1934-09-18 Biedermann Bros Inc Batch roaster
US2422102A (en) * 1943-03-19 1947-06-10 William C Kline Coffee roasting apparatus
US2639133A (en) * 1949-08-26 1953-05-19 Patrick T Clary Coffee roaster
US3964175A (en) * 1974-11-11 1976-06-22 Michael Sivetz Coffee roasting system
IT1158395B (it) * 1982-06-08 1987-02-18 Vittoria Spa Off Impianto automatico e ad elevata resa termica per la tostatura del caffe' o di altri prodotti
US5386764A (en) * 1993-07-27 1995-02-07 Ratajczek; William J. Grain roaster/cooler with preheater
US5638607A (en) * 1995-11-08 1997-06-17 Source Intermarketing Ag Coffee roa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5076A (ko) * 1974-03-19 1975-10-01
JPH08189767A (ja) * 1994-12-29 1996-07-23 Tamagawa Mach Kk 連続乾燥又は焙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041A1 (ko) 2018-10-11 2020-04-16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로스팅 장치 및 이것의 제어 방법
EP4159051A2 (en) 2021-09-29 2023-04-05 Stronghold Technology, Inc. Roas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5340A1 (ja) 2005-03-24
EP1665943A1 (en) 2006-06-07
EP1665943A4 (en) 2017-05-17
KR20060105739A (ko) 2006-10-11
US20060283337A1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663B2 (en) Coffee roaster
KR100804106B1 (ko) 분립체용 로스터
CN101219409A (zh) 厨房垃圾干燥处理机
JP4285956B2 (ja) 茶葉加熱処理装置
KR20120018857A (ko) 무쇠솥 타입의 직화형 커피 로스터
JP2001204448A (ja) 回転ドラム式焙煎機
JP2019110824A (ja) 焙煎装置
JP2000342158A (ja) コーヒ豆石焼装置
JP2005083697A (ja) 粉粒体用熱処理装置
JP2005080602A (ja) 粉粒体用ロースター
US1890642A (en) Coffee roaster
KR200339695Y1 (ko) 자동식 곡물 구이장치
JPH07255446A (ja) コーヒー豆焙煎機
JPH052077Y2 (ko)
JPS61268146A (ja) ポツプコ−ン製造装置
JP7247406B1 (ja) 焙煎機用螺旋羽根とこれを利用した焙煎機
JPH10248545A (ja) ほうじ茶製造装置
JPH0423437Y2 (ko)
CN215274566U (zh) 一种自控温电热炒药机
JPH0130075Y2 (ko)
JP4436095B2 (ja) エネルギー集束具
JPH0432960Y2 (ko)
JP2000279151A (ja) 焙煎装置ならびにコーヒーメーカ
KR20180037643A (ko) 회전 구이용 화덕
KR20220000863U (ko) 원두 로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