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517B1 - 커피 배전기 - Google Patents

커피 배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517B1
KR101626517B1 KR1020130090331A KR20130090331A KR101626517B1 KR 101626517 B1 KR101626517 B1 KR 101626517B1 KR 1020130090331 A KR1020130090331 A KR 1020130090331A KR 20130090331 A KR20130090331 A KR 20130090331A KR 101626517 B1 KR101626517 B1 KR 10162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hamber
support
support plate
drum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728A (ko
Inventor
민흥식
안영근
양성진
박형우
민진우
Original Assignee
(주) 씨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엠테크 filed Critical (주) 씨엠테크
Priority to KR102013009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517B1/ko
Priority to JP2016529696A priority patent/JP2016529888A/ja
Priority to US14/908,754 priority patent/US10448663B2/en
Priority to EP14832840.4A priority patent/EP3028584A4/en
Priority to PCT/KR2014/002904 priority patent/WO2015016454A1/ko
Priority to CN201480042900.0A priority patent/CN105431058B/zh
Publication of KR2015001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정 영역에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방에 위치하는 드럼챔버; 상기 드럼챔버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드럼챔버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 및 상기 드럼챔버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드럼챔버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커피 배전기에 관한 것으로, 드럼챔버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1지지부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므로, 상기 드럼챔버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배전기{A coffee roaster}
본 발명은 커피 배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드럼챔버 내부에 고정된 가열수단을 마련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열효율이 높아 커피 생두의 로스팅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피 배전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 생두에 열을 가하여 일정시간 동안 커피의 내부 조직을 변화시키는 가공 공정을 배전 혹은 로스팅이라고 하며, 이처럼 커피를 로스팅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를 커피 배전기라 한다. 커피의 맛은 생두의 품종에 따라서 차이가 있긴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커피 로스터를 이용해 커피를 로스팅 하는 과정에서의 온도, 습도, 시간 등에 따라서 커피의 맛이 결정된다.
그런데 대형 커피 브랜드의 경우에는 대형화된 공장에서 첨단 시설과 기술을 사용하여 생두를 볶은 후에 포장하여 각 매장으로 공급되거나 판매하게 되는데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의 경우 로스팅 완료 후의 시간이 경과할수록 커피 고유의 맛과 향을 소멸되기 때문에 로스팅 후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커피를 소비하는 것이 커피의 맛과 향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체 매장 내에 커피 배전기를 구비하여 생원두를 직접 구입하고, 이를 필요한 만큼만 볶아낸 후 소비함으로써 신선도를 장점으로 커피를 판매하는 소규모의 카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따라서 생두를 볶아낼 수 있는 커피 배전기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커피 배전기로 원통형의 드럼을 가로로 눕혀 회전시키면서 가스버너나 기름버너를 이용해 드럼표면을 가열함으로써 뜨거워진 드럼 내부 공기에 의해 배전이 이루어지고, 배전이 완료되면 전방의 문을 열어 배전이 완료된 커피 원두를 냉각기로 배출하는 직화식 배전기가 국내특허출원 제10-2000-27797호로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피 배전기는 껍질받이(11)와 생두받이(12) 가 설치되는 전면지지판(10)과, 생두를 투입하기 위한 공급수단(21)과, 생두배출공(22)을 작동부재(23)에 의해 개폐시키는 배출도어(24)가 설치되며 상기 전면지지판(10)과 결합되는 배면 지지판(20)과, 상기 전면 지지판(10)과 배면 지지판(20) 사이에 설치되고 생두가 배전되는 드럼챔버(30)와, 상기 드럼챔버(30)가 회전작동되도록 배면지지판(20)에 내설된 제1구동부재(31)와, 상기 드럼챔버(30) 내부를 가열하도록 상기 배면 지지판(20)에 설치된 가열수단(40)과, 상기 드럼챔버(3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배면 지지판(20)에 설치된 온도센서(50)와, 상기 드럼챔버(30)로부터 배출되는 생두가 상기 생두받이(12) 내부로 골고루 배출되도록 상기 배면 지지판(20)에 설치된 제2구동부재(61)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 컨베이어(60)와, 상기 전면 지지판(10)에 설치되어 생두의 로스팅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커피 배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종래의 커피배전기는 드럼챔버(30) 전체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열수단(40)과 근접한 드럼챔버(30)의 표면은 드럼챔버(30)의 내부보다 표면을 먼저 가열되므로 드럼챔버(30)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생두는 껍질만 타게 되고 속은 덜 익혀지므로 골고루 로스팅 되지 않는다.
둘째, 종래의 커피배전기는 드럼챔버(30)가 전체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큰 동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드럼챔버(30)의 하중이 회전축에 그대로 전달되어 회전축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많다. 따라서, 제1구동부재(31)의 용량과 사이즈가 커지고 작동소음도 커지며 이로 인한 제작비 및 전력소비량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예상된다.
셋째, 종래의 커피배전기는 온도센서(50)가 드럼챔버(30)의 내부 온도만을 측정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가열수단(40)이 생두 자체의 온도와는 무관하게 온/오프 되면서 드럼챔버(30)의 내부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생두가 정상적으로 로스팅 되지 못하게 되므로 온도변화와 가열시간에 민감한 로스팅의 특성상 커피의 맛과 향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온도센싱 구조에 따르면 동일한 상태의 로스팅 결과를 얻기가 매우 힘들어서 같은 맛과 향의 커피를 재현해 내기 매우 힘들게 된다. 따라서, 가정용이나 소형으로의 상품화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정확한 로스팅 동작이 이뤄지는 커피 배전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정 영역에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방에 위치하는 드럼챔버; 상기 드럼챔버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드럼챔버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 및 상기 드럼챔버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드럼챔버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커피 배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드럼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배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부는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는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배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열수단은 평판 형태이고, 상기 평판형태의 가열수단은 지면으로부터 5도 내지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커피 배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럼챔버의 직경은 상기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배전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챔버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1지지부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므로, 상기 드럼챔버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도 상기 윈도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부를 연 후에, 상기 드럼챔버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빼 냄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드럼챔버를 청소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배전되는 커피 생두의 표면온도를 직접 감지함으로써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정확한 로스팅 동작이 이뤄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피 배전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의 드럼챔버 및 지지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배전기의 드럼챔버 및 지지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배전기의 드럼챔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의 배출가스 유도과정을 도시한 부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방, 예를 들면 전방에는 개구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112)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어부(113)는 지지프레임(113a) 및 상기 지지프레임(113a)에 결합되는 윈도우부(113b)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113)가 상기 개구부(112)를 닫은 상태에서도 상기 윈도우부(113b)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정 영역에 가열수단(140)을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수단(14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면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수단(140)은 균일한 열전달을 위하여 평판형태의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평판형태의 세라믹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평판형태의 가열수단은 지면으로부터 5도 내지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드럼 챔버가 일정방향,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드럼챔버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른 관성에 의하여, 생두가 드럼챔버의 저면에 주로 위치하는 것이 아닌, 도 3a의 좌측 저면(도면부호 151의 방향)에 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평판형태의 가열수단을 드럼챔버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함으로써, 가열수단의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인 상기 세라믹 히터(140)의 면적과 개수는 드럼챔버(120)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생두를 배전하기 위한 드럼챔버(120)를 포함한다.
도 4a를 참조한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럼챔버(120)는 원통의 드럼형상인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드럼챔버(120)의 형상을 원통의 드럼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원통에 가까운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드럼챔버(120)를 원통이 아닌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하는 경우, 배전 시에 회전하는 드럼챔버와 생두간에 마찰력이 증대되므로, 생두의 껍질 벗기기에 유리하고 배전되는 생두가 균일하게 교반되면서 회전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각형의 연결부에 틈(124)을 구비함으로써 껍질을 보다 용이하게 벗겨지게 하고 발생된 껍질은 제 1수납함(160)으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한 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드럼챔버(120')는 12각형의 드럼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드럼챔버(120')의 양단부에는 원형의 플랜지부(122)를 포함하여 배전을 위한 드럼챔버 회전 시에 다각형 형상의 드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챔버(1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방, 예를 들면, 전방에 위치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챔버의 내부에 생두가 유입되어 상기 생두가 배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챔버(120)의 내부에 생두가 위치하고, 상기 드럼챔버(1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생두는 배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챔버(120)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철, 스테인레스스틸 등과 같이 열전도가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30) 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가열수단(140)이 상기 드럼챔버(120)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럼챔버(120)가 상기 가열수단(140)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계속해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100)는 상기 드럼챔버(120)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드럼챔버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150b)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드럼챔버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15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151)도 상기 드럼챔버(120)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150b)는 구동모터(150a)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150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150b)는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150b)는 상기 구동모터(150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드럼챔버(120)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151)는 상기 드럼챔버(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150b)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챔버(12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럼챔버(120)가 상기 가열수단(140)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드럼챔버(120)는,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1지지부(150b)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므로, 상기 가열수단(140)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151)는 상기 드럼챔버(120)의 회전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챔버(12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배전기(100)는 상기 가열수단이 구비된 고정된 상태의 지지플레이트(130)를 중심으로, 상기 드럼챔버(120)가 별도의 중심회전축 없이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드럼챔버(120)의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제1지지부(1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마찰력에 의해 드럼챔버(120)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커피 배전기의 경우, 히터가 드럼 외부에 설치되어 열전달 및 효율 떨어지고, 금속히터를 사용하므로 생두의 겉과 속이 균일하게 배전되기 어려우며, 배전시간을 줄이기 위해 발열온도를 높이면 겉은 타고 속은 익지 않는 불균일한 배전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
또한, 가열수단을 챔버 내부에 포함하는 커피 배전기의 경우에라도, 회전하는 드럼챔버 내부에 회전동력 축을 포함하거나, 생두의 교반장치를 별도로 필요로 하므로 대용량인 커피 배전기의 경우 장치의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모터의 부하가 커지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는, 드럼챔버(120)가 외주면에 구비된 제1지지부(150b)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회전축이나 동력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생두 배전을 위한 내부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게 되며, 이로써 드럼챔버(120) 내부에 수용된 생두는 드럼챔버의 회전과 함께 자동으로 교반되며 골고루 배전될 수 있다.즉, 무리한 하중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작은 동력만으로도 생두를 배전하는 드럼챔버(1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1지지부(150b)의 용량과 사이즈 및 전력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이즈가 작고 소음 및 전력소모가 작은 커피 배전기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이때, 도 4c를 참조한 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드럼챔버(120")의 내부에는 배전 시에 생두가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하고, 배전 후에도 생두가 빠른 시간 내에 배출부(133)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의 임펠러(1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1지지부(150b)는 구동모터(150a)와 연결되고, 또한 제2지지부(151)는 별도의 구동모터와 연결됨이 없이, 드럼챔버(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2지지부도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챔버에 구동력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챔버(120)는 외주면에 인접한 제1지지부(150b) 및 제2지지부(151)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외주면의 마찰력만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시 드럼챔버(120) 외주면과 제1지지부(150b) 및 제2지지부(151)의 외주면이 마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드럼챔버(120)가 제1지지부(150b)와 이격되어 제대로 회전력을 공급받지 못하고 미끄러져 겉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챔버(120)의 보다 원활한 회전을 위해 드럼챔버(120)의 외주면에 기어부(123)및 상기 드럼챔버(120)의 외주면과 인접한 제1지지부(150b) 의 외주면에 기어부(154)를 포함하여 회전 시에 서로 맞물려 돌아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4b 및 도5a 참조)
이로써, 상기 제1지지부(150b)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제공받아 동력손실이나 미끄럼 현상 없이 정확한 속도비로 회전력을 드럼챔버(120)에 전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수명도 긴 장점이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방, 예를 들면 전방에는 개구부(112)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112)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드럼챔버(120)의 직경은 상기 개구부(112)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부(113)가 상기 개구부(112)를 닫은 상태에서도 상기 윈도우부(113b)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배전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드럼챔버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는 등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부를 연 후에, 상기 드럼챔버(120)를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빼 냄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드럼챔버를 청소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럼챔버(120)가 상기 제1지지부(150b) 및 상기 제2지지부(151)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1지지부(150b)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즉, 상기 드럼챔버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드럼챔버를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빼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럼챔버(150)의 회전을 담당하는 제1지지부(150b)의 회전축 및 제2지지부(151)의 회전축이 드럼챔버(150) 외부에 구성되므로 모터와 무관하게 드럼챔버(120)를 분리시킬 수 있어 정비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해진다.
계속해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정 영역, 예를 들면 상부에 위치하는 호퍼(111)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111)를 통해, 생두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 일정영역, 예를 들면,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배출가스 및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1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기(170)로부터 흡입된 배출가스 및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연기(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송풍기(170) 및 상기 제연기(180)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100)는 상기 드럼챔버(120) 저부에 구비되고 배전과정에서 발생한 생두껍질이 저장되는 제1수납함(160) 및 상기 제1수납함(160) 저부에 구비되고 배전된 생두가 저장되는 제2수납함(1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수납함 저부에 구비되고 배전된 생두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190); 및 생두의 배전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납함(160) 및 상기 제2수납함(161)은 커피 배전기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서랍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수납함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의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100)는 일정 영역에 가열수단(140)을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수단(14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면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상기 호퍼(111)로부터 공급받은 생두가 상기 드럼챔버(120) 내부로 투입되기 위한 유입부(131) 및 배전된 생두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133)를 포함한다.
즉, 상기 호퍼(111)로부터 공급된 생두는 상기 유입부(131)를 통해 드럼챔버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드럼챔버가 회전하면서 배전된 생두는 상기 배출부(133)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제1수납함(160)의 저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수납함(161)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부(133)의 후면에는 와이어 또는 사각판이 부착된 자동배출수단(135)이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배출수단(135)은 솔레노이드 장치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즉,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자동배출수단(135)이 상기 배출부(133)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133)의 상부에 솔레노이드가 연결되어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따라 작동바가 전후진하면서 배출부(133)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 시에는 배출부(133)가 차단된 상태로 있다가, 배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자동배출수단(135)이 작동되어 상기 배출부(133)가 열리며, 상기 배출부(133)로부터 제2수납함(161)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162)을 통해 생두가 떨어지면서 자동으로 저장된다.
한편, 상기 드럼챔버가 회전하면서 생두를 배전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생두껍질은 상기 드럼챔버의 저부에 구비되는 제1수납함(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생두의 배전시 발생되는 배출가스 및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공(1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생두를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드럼챔버(120)의 내부에는 상기 생두로부터 일정한 배출가스 및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배기공(132)을 통해, 상기 배출가스 및 연기가 드럼챔버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 일정영역, 예를 들면,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배출가스 및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1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기(170)는 상기 배기공(132)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 및 연기를 흡입하고, 또한, 흡입된 배출가스 및 연기는 상기 제연기(180)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배전된 생두는 상기 배출부(133)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제1수납함(160)의 저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수납함(161)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함(161)에 저장된 배전된 생두가 냉각되면서, 배출가스 및 연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된 배출가스 및 연기도 상기 송풍기(170)를 통해 흡입되고, 상기 제연기(180)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수납함(161) 저부에는 냉각팬(190)이 구비되어 배전된 생두를 냉각할 수 있다.
즉, 배전이 완료되어 상기 제2수납함(161)에 떨어진 생두는 냉각팬(190)에 의해 즉시 냉각될 수 있으며, 냉각과정을 거친 공기는 상기 제2수납함(161) 상부에 구비된 배출공(162)를 통해 송풍기(170)로 유도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수납함(161) 저부로부터 상부의 배출공(162)을 향해 냉각팬(190)이 바람을 부는 것과 동시에 생두가 냉각되고, 상기 배출공(162) 상부에는 송풍기(170)가 작동하고 있으므로, 냉각에 쓰인 공기는 상기 배출공(162)을 통해 송풍기(170)로 유도되어 최종적으로 제연기(180)를 거쳐 외부로 방출되므로, 배전 후 생두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b를 참조한 바, 배전 시에 상기 드럼챔버(120)로부터 발생하는 배출가스 및 연기가 상기 드럼챔버(120)의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배기공(132)을 통해 빠져나와 바로 송풍기(170)로 유도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배전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2수납함(161)에 저장된 생두가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배출가스 및 연기도 배출공(162)을 통해 송풍기(170)로 유도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배기공(132) 및 상기 제2수납함(161)의 배출공(162)은 배관이 연결되어 송풍기(170)의 유도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전 중에 발생하는 가스나 배전 후에 발생하는 열기 모두 송풍기(170)의 유도에 제연기(180)를 통과하여 커피 배전기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생두의 배전 중, 또는 배전 후에 발생하는 가스와 연기가 배관이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송풍기(170)로 유도하여 제연기(180)를 거쳐 배전기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생두의 배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연기에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곧바로 송풍기(170)로 유도되는 경우에는 열기와 수분에 의해 송풍기(170)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배전 중에 발생하는 가스와 연기의 수분을 제거한 후 송풍기(170)로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는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의 배출가스 유도과정을 도시한 부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두의 배전 중에 드럼챔버(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과 열기를 머금은 가스가 배기공(132)을 통해 곧바로 송풍기(170)로 유도되지 않고 응축과정을 거친 후에 송풍기(170)로 유도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과정 중에 드럼챔버(120) 내부에서 수분과 열기를 머금은 가스는 배기공(132)을 통해 배출된 후, 배기관(163)을 통해 제2수납함(161)에 마련된 구멍(133)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멍(133)을 통해 제2수납합(161)으로 유입된 수분과 열기를 머금은 가스는 상기 제2수납함(161)의 차가운 공기와 만나 냉각되면서 상기 제2수납함(161) 상부에 마련된 응축부(164)에서 응축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응축부(164)은 상판(164a), 응축수 저장소(164) 및 하판(164c)로 구성되고, 상판(164a) 및 하판(164c)의 일부는 메쉬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망은 배전 후에 제2수납함(161)에 모인 생두에서 2차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껍질이 팬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스가 상기 제2수납함(161)으로 유입되거나, 또는 응축과정을 거친 가스의 배출이 모두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수납함(161) 상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부(164)에서 응축과정을 거쳐 응결된 물이 제2수납함(161)에 저장된 생두에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구멍(133)과 인접한 하판(164c)에는 메쉬망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응축과정을 거쳐 수분이 제거된 배출가스는 배출공(162)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162)과 인접한 하판(164c)에는 메쉬망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응축과정을 거쳐 수분이 제거된 배출가스는 응축부(164) 및 배출공(162)을 통과하여 송풍기(170)로 유도된다.
따라서, 배전 중에 드럼챔버(120)에서 발생한 배출가스는 배출관(163) 및 응축부(164)에 의해 열기와 수분이 제거된 후 송풍기(170)로 유도되므로, 송풍기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팬(190)은 배전 중에도 작동할 수 있다. 즉, 생두가 배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공기가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배기공(132)을 통과한 후 배출관(163)을 통해 상기 제2수납함(161)으로 유입되고, 냉각팬(190)에 의해 상기 제2수납함(161)으로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와 만나 상기 응축부(164)에 서 열기와 수분이 제거된 후 송풍기(170)로 유도되므로, 최종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한 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수납함(161)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162)을 통해 송풍기(170)가 연결되므로 송풍기의 흡입 통해 제2수납함(161)에 배전된 생두의 냉각효과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냉각팬이 없더라도 효과적인 냉각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상기 드럼챔버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34)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회전하는 드럼 챔버(120) 내부에서 교반되는 생두의 표면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종래의 커피 배전기에 구비된 온도센서는 커피 생두의 표면온도가 아닌 드럼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생두의 상태, 외기온도 등에 따라 변화가 심하여 재현성이 떨어지고, 초보자는 이용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의 온도센서(134)는 드럼챔버(120) 내부의 생두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므로, 보다 정확한 상태의 온도 감지를 통해 세밀한 배전 제어가 가능하므로, 외부환경 및 온도에 구애받지 않고 커피의 맛과 향, 영양소 등을 고려한 최적의 커피 배전을 초보자라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134)는 드럼챔버(120) 내부의 분위기온도측정용 센서(134a) 및 실제 생두에 접촉하여 원두의 표면온도측정용센서(134b)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드럼챔버(120) 내부의 분위기온도와 실제 생두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면서 제어를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분위기온도측정용센서(134a)는 배전되는 생두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고, 표면온도측정용센서(134b)는 반드시 배전되는 생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생두의 투입량이 적정량보다 많은 경우 분위기온도측정용센서(134a)에 생두가 접촉되면서 생두 투입량 과다에 따른 경고 및 자동배출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134), 세라믹 히터(140) 및 및 솔레노이드와 같은 동작들은 제어부를 통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는 각종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현재의 상태가 표시되는 출력부와, 상기 입, 출력부 및 온도센서(134), 제1지지부(150) 세라믹 히터(140),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각종 내부장치의 제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 출력부는 하우징(110)에 마련된 메뉴창을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컴에 내장된 프로그램에는 커피의 종류에 따른 생두의 여러가지 배전 조건들이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뉴창에 원하는 타입의 커피를 선택하기만 하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생두가 적정온도와 적정시간 동안 자동으로 배전되어 제2수납함(161)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하우징(110)에 마련된 메뉴창을 통해 생두가 배전되는 진행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의 드럼챔버 및 지지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배전기의 드럼챔버 및 지지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배전기의 드럼챔버(120, 120')는 내외주면에 관통된 슬릿형상의 복수개의 껍질배출공(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드럼챔버(120, 120')에 수용된 생두가 챔버의 회전과 함께 껍질배출공(121)의 슬릿형상에 마찰되면서 생두로부터 떨어진 껍질이 중력방향에 의해 자연적으로 드럼챔버(120)의 저부에 형성된 제1수납함(160)으로 탈락되도록 한 것으로, 껍질배출공(121)의 형상이 반드시 본 발명의 슬릿형상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배전 과정에서는 커피 원두가 열에 의하여 기름성분 등이 휘발 되면서 가스 및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스 및 연기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배기공(132)을 통해 수시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공을 통해 배출된 가스 및 연기는 송풍기(170)를 거쳐 제연기(180)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되는데, 상기 제연기(180)에는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또는 고온에서 순간적으로 완전연소 시켜 연기를 제거하는 히터를 포함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커피 배전기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미세한 수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배전시 발생하는 연기를 제연기(180)가 효과적으로 제거 하므로 좁은 실내에서나 가정에서도 안전하고 쾌적한 커피 배전기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배전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배전하고자 하는 생두를 호퍼(111)에 투입하면, 상기 호퍼(111)와 연결된 유로를 통과한 생두는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유입부(131)를 통해 호퍼 하부에 위치한 드럼챔버(120) 내부로 떨어진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메뉴창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커피의 종류를 선택하면, 제어부가 사용자가 선택한 커피에 맞도록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134), 구동모터(150a), 가열수단(140) 및 솔레노이드와 같은 동작들을 제어한다.
먼저, 제1지지부(150b)가 드럼챔버(12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된다. 이와 동시에 가열수단(140)이 생두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발열되는데, 생두의 온도는 지지플레이트(130)에 설치된 온도센서(134)에 의해 제어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되다가 상기 온도센서(134)로부터 감지된 온도의 평균온도값이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제어부가 가열수단(14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드럼챔버(120)의 표면온도가 아닌 생두의 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되므로 보다 정밀한 배전이 가능하다.
또한, 드럼챔버(120)는 회전하지만 가열수단(140)은 지지플레이트(13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므로 드럼챔버(120)의 내부온도는 균일하게 상승되면서 생두가 골고루 배전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드럼챔버(120)나 가열수단이 같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챔버(120)의 표면온도가 불균일하게 상승하면서 생두의 태에서 껍질만 타버리게 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드럼챔버(120) 내부의 생두의 배전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 및 연기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배기공(132)을 통해 송풍기(170)로 유도되어 배출되며, 상기 배기공(132)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 및 연기는 제연기(180)를 통과한 후 비교적 깨끗한 공기가 최종적으로 커피 배전기 외부로 방출된다.
다음으로, 드럼챔버(120) 내부에서 배전되는 생두는 회전하는 드럼챔버(120)의 내외주면에 관통형성된 슬릿 형상의 껍질배출구멍에 마찰되면서 껍질이 벗겨져 드럼챔버(120) 저부에 형성된 제1수납함(161)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배전된 생두들이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센서(13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는 세라믹 히터(140)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자동배출수단(135)의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배출부(162)를 개방시킨다. 그 결과, 생두는 제2수납함(161)에 떨어져 저장된다.
다음으로, 배전이 완료된 생두는 제2수납함(161) 저부에 형성된 냉각팬(190)의 바람에 의해 즉시 냉각되며, 냉각과정을 거친 공기는 제2수납함(160) 상부의 배출공(162)을 통해 송풍기(170)에 유도되어 제연기(180)를 거쳐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배기공(132) 및 상기 제2수납함(161)의 배출공(162)은 배관이 서로 만나면서 송풍기(170)에 연결되므로, 생두가 배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공기가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배기공(132)을 통과한 후, 냉각팬(190)에 의해 배출공(162)에서 방출되는 차가운 공기와 연결된 배관에서 만나 혼합되어 송풍기를 거쳐 온도를 낮춘 후 제연기(180)를 통해 배출되므로, 최종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따라서, 고온에 의한 커피 배전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배전기는, 드럼챔버(12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1지지부(150b)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므로, 상기 드럼챔버(120)가 상기 가열수단(140)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부(113)가 상기 개구부(112)를 닫은 상태에서도 상기 윈도우부(113b)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부를 연 후에, 상기 드럼챔버(120)를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빼 냄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드럼챔버를 청소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배전되는 커피 생두의 표면온도를 직접 감지함으로써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정확한 로스팅 동작이 이뤄질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커피 배전기 110: 하우징
111: 호퍼 120: 드럼챔버
121: 껍질배출공 130: 지지플레이트
131: 유입부 132: 배기공
133: 배출부 134: 온도센서
135: 자동배출수단 140: 가열수단
150a: 구동모터 150b: 제1지지부
151: 제2지지부 163: 배기관
164: 응축부 170: 송풍기
180: 제연기 190: 냉각팬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정 영역에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방에 위치하는 드럼챔버;
    상기 드럼챔버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드럼챔버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 및
    상기 드럼챔버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드럼챔버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는 회전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챔버가 회전하며,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드럼챔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챔버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제1기어부 및 상기 제1지지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챔버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빼 내고,
    상기 드럼챔버는 내외주면에 관통된 복수개의 껍질배출공을 더 포함하는 커피 배전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커피 배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평판 형태이고,
    상기 평판형태의 가열수단은 지면으로부터 5도 내지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커피 배전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챔버의 직경은 상기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배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는 커피 배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드럼챔버 내부로 생두를 투입하기 위한 유입부 및 배전된 생두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배전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생두의 배전시 발생되는 배출가스 또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공 및 상기 드럼챔버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커피 배전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응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부는 상기 배기공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 또는 연기를 냉각 및 응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배전기.
KR1020130090331A 2013-07-30 2013-07-30 커피 배전기 KR10162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331A KR101626517B1 (ko) 2013-07-30 2013-07-30 커피 배전기
JP2016529696A JP2016529888A (ja) 2013-07-30 2014-04-04 コーヒー焙煎機
US14/908,754 US10448663B2 (en) 2013-07-30 2014-04-04 Coffee roaster
EP14832840.4A EP3028584A4 (en) 2013-07-30 2014-04-04 Coffee roaster
PCT/KR2014/002904 WO2015016454A1 (ko) 2013-07-30 2014-04-04 커피 배전기
CN201480042900.0A CN105431058B (zh) 2013-07-30 2014-04-04 咖啡烘焙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331A KR101626517B1 (ko) 2013-07-30 2013-07-30 커피 배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705A Division KR20160048046A (ko) 2016-04-18 2016-04-18 커피 배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728A KR20150014728A (ko) 2015-02-09
KR101626517B1 true KR101626517B1 (ko) 2016-06-01

Family

ID=5243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331A KR101626517B1 (ko) 2013-07-30 2013-07-30 커피 배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48663B2 (ko)
EP (1) EP3028584A4 (ko)
JP (1) JP2016529888A (ko)
KR (1) KR101626517B1 (ko)
CN (1) CN105431058B (ko)
WO (1) WO20150164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4954B1 (en) * 2014-11-05 2020-02-05 Koninklijke Philips N.V. Coffee roasting apparatus, coffe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CN105935249A (zh) * 2016-06-28 2016-09-14 洪英玉 咖啡烘焙机
WO2018053436A1 (en) * 2016-09-16 2018-03-22 Integrated Roasting Technologies, In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substance processing
CN107692277A (zh) * 2017-11-21 2018-02-16 肖仕清 一种炒瓜子机
CN108542269A (zh) * 2018-04-17 2018-09-18 上海涉宇液压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电加热咖啡烘烤机
WO2019204445A1 (en) * 2018-04-20 2019-10-24 Bellwether Coffee Co. Roasting system having roasting drum with actuatable hatch
KR20210020879A (ko) 2018-04-20 2021-02-24 벨웨더 커피 컴퍼니 자가-정렬 교반기 및 도어 베어링 조립체를 갖는 로스팅 시스템
US11839230B2 (en) 2018-06-08 2023-12-12 Bellwether Coffee Co.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substance processing
BR112021010213A2 (pt) * 2018-12-21 2021-08-24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parelho e método para torrar grãos de café
WO2021124978A1 (ja) * 2019-12-18 2021-06-24 穴織カーボン株式会社 焙煎器/焙煎機及び焙煎方法
USD970957S1 (en) 2020-02-04 2022-11-29 Bellwether Coffee Co. Roasting housing
EP4210509A1 (en) * 2020-09-08 2023-07-19 Mikafi GmbH Coffee roaster
CN112293769A (zh) * 2020-09-17 2021-02-02 詹一郎 一种咖啡豆烘焙机
US20220395136A1 (en) * 2021-06-14 2022-12-15 Sharkninja Operating Llc Temperature Controlled Accessory for Countertop Cooking System
TWI814144B (zh) * 2021-11-23 2023-09-01 木榮科技有限公司 烘豆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530B2 (ja) * 1988-08-12 1996-06-05 株式会社東芝 缶体の回転装置
JP4415199B2 (ja) * 2007-11-22 2010-02-17 芳春 松下 回転釜加熱処理装置と製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3760A (en) * 1981-10-05 1985-03-12 Omega Air Flow-21, Ltd. Forced convection oven
JPS59141495A (ja) * 1983-02-02 1984-08-14 Nec Corp ガ−ネツト単結晶厚膜育成方法
JPS617990U (ja) * 1984-06-20 1986-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焙煎器
JPH01112973A (ja) * 1987-10-27 1989-05-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焙煎器
JPH01215271A (ja) * 1988-02-19 1989-08-29 Potsuka Corp:Kk コーヒー豆焙煎装置
JPH01291777A (ja) * 1988-05-20 1989-11-24 Brother Ind Ltd 焙煎器の焙煎過程制御装置
JPH0733676Y2 (ja) * 1990-05-02 1995-08-02 日本碍子株式会社 粒状食品用加熱装置
US5182981A (en) * 1992-07-01 1993-02-02 Robert Wilcox Revolving peanut roasting apparatus
JP3655341B2 (ja) * 1995-03-20 2005-06-02 株式会社サミー 焙煎装置
US5638607A (en) 1995-11-08 1997-06-17 Source Intermarketing Ag Coffee roaster
KR20000027797A (ko) 1998-10-29 2000-05-15 김영환 정전기 방지 회로의 모스 트랜지스터
EP1107670A4 (en) 1998-11-19 2005-05-04 Praxis Werke Inc COFFEE OIL PROCESS AND APPARATUS
US6036988A (en) * 1999-01-08 2000-03-14 Source Intermarketing Ag Method an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KR100342091B1 (ko) 2000-05-23 2002-06-26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US6382087B1 (en) * 2001-07-31 2002-05-07 Sadamu Iiyama Coffee bean roaster with recirculated, filtered exhaust airflow
KR100463341B1 (ko) * 2002-09-18 2004-12-23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EP1665943A4 (en) * 2003-09-10 2017-05-17 Tsukasa industry Co. Limited Roaster for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JP2005083697A (ja) 2003-09-10 2005-03-31 Tsukasa Kogyo Kk 粉粒体用熱処理装置
JP2005080602A (ja) * 2003-09-10 2005-03-31 Tsukasa Kogyo Kk 粉粒体用ロースター
JP4415194B2 (ja) * 2004-11-02 2010-02-17 株式会社吉田園 茶葉乾燥火入焙煎装置
KR100636613B1 (ko) 2005-04-04 2006-10-20 윤성목 나무뿌리에 엉겨있는 토사의 제거장치
US20080134907A1 (en) * 2006-12-11 2008-06-12 Sadamu Iiyama Recirculated, cooled, airflow system for a roaster
KR101073072B1 (ko) * 2010-01-12 2011-10-12 남승국 커피 로스터
KR101181717B1 (ko) * 2010-01-27 2012-09-19 홍진표 커피로스터
KR101272459B1 (ko) * 2011-02-08 2013-07-15 김춘재 커피 로스터
KR101217086B1 (ko) * 2011-02-23 2012-12-31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커피 로스터 및 로스팅 제어방법
WO2013006718A1 (en) 2011-07-07 2013-01-10 Nuroast, Inc.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foodstuffs
JP5992815B2 (ja) 2012-12-10 2016-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制御装置、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530B2 (ja) * 1988-08-12 1996-06-05 株式会社東芝 缶体の回転装置
JP4415199B2 (ja) * 2007-11-22 2010-02-17 芳春 松下 回転釜加熱処理装置と製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31058B (zh) 2018-04-06
JP2016529888A (ja) 2016-09-29
CN105431058A (zh) 2016-03-23
US10448663B2 (en) 2019-10-22
EP3028584A4 (en) 2017-03-29
KR20150014728A (ko) 2015-02-09
US20160183586A1 (en) 2016-06-30
EP3028584A1 (en) 2016-06-08
WO2015016454A1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517B1 (ko) 커피 배전기
US4425720A (en) Coffee roaster
KR101036997B1 (ko) 커피볶음기
JPH01215271A (ja) コーヒー豆焙煎装置
US5771600A (en) Coffee-bean roasting attachment for a rotisserie
KR101181717B1 (ko) 커피로스터
CN103987282A (zh) 用于加热食品的容器、系统和方法
KR20140107850A (ko)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커피 로스터 제어방법
KR950005901B1 (ko) 커피콩 볶음장치
JP2006204737A (ja) コーヒー焙煎粉砕装置
EP2106228A1 (en)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and coffee bean roaster using the same
KR20160048046A (ko) 커피 배전기
CN112089078A (zh) 一种小型的封闭式咖啡豆烘焙机
US20220313002A1 (en) Roaster / roasting machine and roasting method
US6214397B1 (en) Home use coffee bean roasting device and method of roasting
TW202007283A (zh) 烘焙裝置
KR101691979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1854990B1 (ko) 커피 로스팅 냉각장치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커피 로스팅 시스템
CN213486835U (zh) 一种小型的封闭式咖啡豆烘焙机
JPH03266966A (ja) コーヒー豆焙煎装置
KR20130121570A (ko) 열풍식 커피생두 샘플 로스팅 장치
JPH056792Y2 (ko)
KR101393723B1 (ko)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JPH052077Y2 (ko)
JPH0733676Y2 (ja) 粒状食品用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