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723B1 -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 Google Patents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723B1
KR101393723B1 KR1020120044890A KR20120044890A KR101393723B1 KR 101393723 B1 KR101393723 B1 KR 101393723B1 KR 1020120044890 A KR1020120044890 A KR 1020120044890A KR 20120044890 A KR20120044890 A KR 20120044890A KR 101393723 B1 KR101393723 B1 KR 101393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coffee beans
duc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571A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Priority to KR102012004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72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의 샘플용 커피 생두를 신속하게 볶을 수 있고, 로스팅시 커피 생두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커피 생두가 투입되어 로스팅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와 상기 드럼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덕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SAMPLING ROASTER FOR GREEN COFFEE BEAN}
본 발명은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량의 샘플용 커피 생두를 신속하게 볶을 수 있고, 로스팅시 커피 생두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분, 제과 등의 식품회사에서 사용되는 곡물 볶음장치는 대량의 곡물을 볶거나 뻥튀기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쌀이나 옥수수 등의 곡물을 밀폐된 용기에 넣어 가열하여 볶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곡물 볶음장치는 곡물은 물론 커피 원두를 볶을 때에도 사용된다.
원두커피는 생원두를 고온에서 볶을 때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맛과 향이 발생하게 되며, 생원두의 맛과 향이 원두의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나, 품종에 따른 차이보다는 생원두를 볶는 과정이나 기술(온도, 시간)에 따라 그 맛과 향이 크게 좌우된다.
더하여, 생원두는 로스팅 후 보관기간이 오래되면 맛과 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최근에는 커피숍에서 커피 원두를 직접 로스팅할 수 있도록 원두커피 볶음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커피 원두 볶음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커피 원두 볶음장치로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463341호 및 제10-0679674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피 원두 복음장치는 용량이 커 커피 생두를 소량으로 로스팅할 수 없으며, 로스팅시 발생되는 커피 생두의 피가 커피 생두와 함께 배출되어 커피 생두를 깨끗하게 로스팅할 수 없는 문제점 있다.
또한, 종래의 커피 원두 복음장치는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원두를 신속하게 냉각할 수 없어 로스팅된 커피 생두가 열화되어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소량의 샘플용 커피 생두를 신속하게 볶을 수 있고, 로스팅시 커피 생두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을 드럼부에서 배출시켜 커피 생두의 깨끗하게 로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별도의 냉각드럼에서 신속하게 냉각시켜 커피 생두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본체 내부의 부품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커피 생두가 투입되어 로스팅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드럼부와, 드럼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부 및 공기 배출부와 드럼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덕트부를 포함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와, 회전축 부재와 결합되어 회전축 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일면이 연결덕트부와 연통되는 가열탱크; 및 가열탱크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열탱크와 상기 연결덕트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가열탱크의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드럼부를 포함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부가 공기 배출구를 통한 원두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되는 원두 이탈방지부재; 및 가열탱크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부가 이격되게 2개 이상 구비되며, 연결덕트부의 하단부가 공기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분기되어 드럼부에 각각 연결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배출부에 연결덕트부를 통해 상기 드럼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메인덕트부재 및 메인덕트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덕트부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송풍팬을 구비하는 피 집진부가 포함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 집진부에 메인 턱트부재와 연결되는 집진덕트; 및 상기 집진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생두 피가 낙하되도록 상기 집진덕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사이클론부재를 포함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부에서 로스팅된 커피원두가 저장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부로 흡입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배출부에 냉각부와 연결되는 보조 덕트부재가 더 포함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가열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가 설치되는 하부본체; 및 드럼부 및 상기 연결덕트부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본체에서 회전되는 상부몸체가 포함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덕트부에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부재가 더 포함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 덕트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덕트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 덕트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 차단판 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공기 차단판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로드부재로 이루어진 덕트 차단부를 포함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에 의하면, 소량의 샘플용 커피 생두를 신속하게 볶을 수 있고, 로스팅하는 과정에서 커피 생두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이 공기 배출부를 통해 드럼부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커피 생두의 깨끗하게 로스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에 의하면,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 원두를 본체의 회전을 통해 드럼부에서 냉각드럼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피원두를 냉각드럼에서 신속하게 냉각시켜 커피 생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에 의하면, 상부본체가 하부본체의 전방으로 회전되므로, 본체 내부의 부품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 공기 배출부 및 연결덕트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 공기 배출부 및 연결덕트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 집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 집진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덕트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며, 본 실시 예에 따른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는 본체(10), 커피 생두가 투입되도록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부(20), 드럼부(2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부(30) 및 드럼부(20)와 공기 배출부(30)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부(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는 드럼부(20)에서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50), 드럼부(2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60) 및 드럼부(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70)를 더 포함한다.
본체(10)는 냉각부(50), 가열부(60) 및 공기 배출부(30)가 설치되는 하부본체(11)와, 드럼부(20) 및 연결덕트부(40)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1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10)는 상부본체(13)의 전방 하단부가 하부본체(11)의 전방 상단부에 힌지부(1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본체(13)가 하부본체(11)의 전방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상부본체(13)의 회전을 통해 본체(10) 내부의 부품 교체 및 유지보수시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본체(13)는 내부 중앙부에 드럼부(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설치프레임(13a)이 구비되고, 전면에 드럼부(20)로 커피 생두를 투입하거나 또는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 원두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인출입부(13b)가 구비된다.
인출입부(13b)는 투입되는 커피 생두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인출입부(13b)는 힌지를 통해 상부본체(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부본체(13)는 인출입부(13b)의 하부에 반원 형태의 유도플레이트(13c)가 구비된다. 유도플레이트(13c)는 드럼부(20)에서 배출되는 커피 원두를 냉각부(50)로 유도한다. 더하여, 상부본체(13)는 양측면에 파지부(13d)가 더 형성된다.
한편, 하부본체(11)는 유도플레이트(13c)의 하측에 냉각부(50)가 위치되도록 평탄부(11a)가 형성된다.
가열부(60)는 드럼부(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부본체(11)에 결합되는 버너(61)와, 버너(61)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하여 버너(61)의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부재(63)를 포함한다.
또한, 가열부(60)는 버너(61)의 화염이 드럼부(20)로 집중되도록 버너(61)를 커버하는 화염유도부재(65)를 더 포함한다. 화염유도부재(6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버너(61)의 화염이 드럼부(20) 이외의 다른 부위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시킨다.
구동부(70)는 하부본체(11)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71), 모터(71)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1 풀리(73), 드럼부(20)에 결합되는 제2 풀리(75) 및 제1 풀리(73)와 제2 풀리(75)를 연결하는 벨트(77)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드럼부(20)가 벨트구동방식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드럼부(20)를 체인구동방식 또는 기어구동방식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20)는 상부본체(13)의 설치프레임(13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21), 이 회전축 부재(21)에 결합되며 커피 원두가 투입되는 가열탱크(23) 및 이 가열탱크(23)의 일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25)를 포함한다. 이러한, 드럼부(20)는 커피 원두를 소량으로 자주 로스팅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10)에 2개의 드럼부(20)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회전축 부재(21)는 일단부가 가열탱크(23)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구(21a)를 통해 설치프레임(13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지지구(21a)는 설치프레임(13a)에 고정되며, 회전축 부재(21)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축 부재(21)는 커버부재(25)와 설치프레임(13a)을 관통하여 지지구(2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타단부에 제2 풀리(75)가 결합된다.
가열탱크(23)는 양면이 개방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가열부(60)의 상측에 위치되며, 전면이 상부본체(13)에 밀착되고, 후면이 커버부재(25)에 의해 커버되어 내부에 투입된 커피 생두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드럼부(20)는 커피 생두가 빠르게 로스팅되도록 외면에 구멍(23a)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가열부(60)의 열기가 구멍(23a)을 통해 드럼부(20)의 내부로 빠르게 전달되어 커피 생두의 로스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열탱크(23)는 회전축 부재(21)가 결합되도록 내부에 결합부재(23b)가 형성된다. 결합부재(23b)는 회전축 부재(21)가 용접을 통해 접합된다.
커버부재(25)는 가열탱크(23)의 후면과 연결덕트부(40)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덕크부(40)에 볼트를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부재(25)는 가열탱크(23)의 내부 공기가 연결덕트부(40)를 통해 공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상단부에 공기 배출구(25a)가 형성된다.
한편, 드럼부(20)는 커버부재(25)의 공기 배출구(25a)를 통해 커피 원두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공기 배출구(25a)를 커버하는 원두 이탈방지부재(27), 가열탱크(23)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29)를 더 포함한다.
원두 이탈방지부재(27)는 볼트를 통해 커버부재(25)에 결합되어 공기 배출구(25a)의 전방을 커버한다.
온도센서(29)는 일단부가 가열탱그(2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프레임(13a)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드럼부(20)는 커피 생두가 로스팅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 가스, 커피 생두 피 등이 공기 배출부(30)의 공기 흡입을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 생두는 상부본체(13)가 하부본체(11)의 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열탱크(23)에서 내각부(50)로 배출되어 신속하게 냉각된다.
도 2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부(30)는 하부본체(11)에 결합되는 메인덕트부재(31), 이 메인덕트부재(31)와 연결되어 가열탱크(23) 및 냉각부(50)의 공기를 강제흡입하는 피 집진부(33), 및 메인덕트부재(31)와 냉각부(50)를 연결하는 보조 덕트부재(35)를 포함한다.
메인덕트부재(31)는 하나의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하부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며, 일단부가 피 집진부(33)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보조덕트부(35)에 연결된다.
또한, 메인덕트부는(31)는 연결덕트부(40)와 연통되도록 중앙부 상단에 연통구멍(31a)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U"자형 플레이트(31b)를 통해 연결덕트부(40)에 안정되게 결합된다.
보조 덕트부재(35)는 메인덕트부재(31)와 복수의 냉각부(50)를 연결하도록 메인덕트부재(31)에 결합되는 제1 덕트(35a), 이 제1 덕트(35a)의 양단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냉각부(50)에 각각 연결되는 제2 덕트(35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공기 배출부(30)는 피 집진부(33)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메인덕트부재(31) 및 보조 덕트부재(35)를 통해 가열탱크(23)와 냉각부(50)의 공기를 를 강제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더하여, 공기 배출부(30)는 보조 덕트부재(35)를 통해 메인덕트부재(31)로 흡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보조 덕트부재(35)에 설치되는 덕트 차단부(37)를 더 포함한다.
덕트 차단부(37)는 보조 덕트부재(35)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덕트부재(31)로 흡입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덕트 차단부(37)는 제1 덕트(35a)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 차단판 부재(37a) 및 이 공기 차단판 부재(37a)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로드부재(37b)를 포함한다.
공기 차단판 부재(37a)는 제1 덕트(35a)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덕트(35a)에 연결되는 메인덕트부재(31)로 삽입되어 메인덕트부재(31)를 커버한다.
작동로드부재(37b)는 일단부가 공기 차단판 부재(37a)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작동로드부재(37b)는 제1 덕트(35a) 및 본체(10)에 지지되어 이동하면서 공기 차단판 부재(37a)를 이동시킨다.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피 집진부(50)는 본체(10)의 일측에 위치되어 메인덕트부재(31)와 연결되며, 송풍팬(33a)을 구비하는 집진덕트(33b)와, 집진덕트(33b)의 내부에 구비되는 사이클론부재(33c)를 포함한다.
집진덕트(33b)는 본체(10)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부 측면이 메인덕트부재(31)와 연결된다. 또한, 집진덕트(33b)는 메인덕트부재(31)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상부에 송풍팬(33a)이 결합된다.
더하여, 집진덕트(33b)의 하부에는 낙하하는 피를 제거하기 위한 용기(33d)가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사이클론부재(33c)는 원추관부재(33c-1)와 이 원추관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내관부재(33c-2)로 이루어진다.
도 4,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덕트부(40)는 메인덕트부재(31)와 가열탱크(23)를 연결하도록 설치프레임(13a)에 볼트를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덕트부(40)는 메인덕트부재(31)에 지지되는 바디부(41)와, 바디부(41)에서 분기되어 2개의 가열탱크(23)와 각각 연통되는 분기부(43)로 구성된다.
바디부(41)는 하단이 메인덕트부재(31)의 연통구멍(31a)에 접촉되며, 지지구(31b)를 통해 메인덕트부재(31)에 안정되게 결합된다.
분기부(43)는 방지부(60)와 가열탱크(23)와 연통되도록 전면에 공기 유입구(43a)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덕트부(40)는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납작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댐퍼부재(45)가 구비된다.
댐퍼부재(45)는 연결덕트부(40)를 통해 메인덕트부재(31)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연결덕트부(40)를 개폐시킨다. 이러한, 댐퍼부재(45)는 분기부(43)를 각각 밀폐하도록 분기부(43)의 내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댐퍼부재(45)는 분기부(43)를 개폐하도록 분기부(45) 내부를 개폐하는 플레이트부재(45a)와, 이 플레이트부재(45a)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로드(45b)를 포함한다.
작동로드(45b)는 일단이 플레이트부재(45a)와 접합되고 타단이 상부본체(13)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냉각부(50)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가 결합플랜지(51)를 통해 보조 덕트부재(35)에 연결된다. 또한, 냉각드럼부재(50)는 공기 배출부(20)의 공기 흡입에 따라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내부에 타공판(53)이 구비되고, 이 타공판(53) 위로 커피 원두가 수용된다.
이러한, 냉각드럼부재(50)는 공기 배출부(30)의 작동에 따라 개방된 상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커피 원두를 냉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피 원두를 신속하게 냉각하면 커피 원두가 자체 열에 의해 열 변화되는 것이 방지되어 맛과 향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가열탱크(23)에 커피 생두를 투입한 후, 버너(61)를 점화시키고, 구동부(70)를 작동시키면 가열탱크(23)가 회전되면서 가열탱크(23)의 커피 생두가 로스팅된다. 이때, 가열탱크(23)가 이격되게 2개 구비되어 있어 커피 생두를 서로 다른 가열탱크(23)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연속되게 로스팅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샘플링용 커피 원두를 신속하게 로스팅할 수 있다.
더하여, 버너(61)의 열기가 화염유도부재(65)를 통해 가열탱크(23)로 집중되고, 가열탱크(23)에 구멍(23a)이 형성되어 있어 가열탱크(23)의 내부가 빠르게 가열된다. 이로 인하여, 커피 원두의 로스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커피 생두를 로스팅하는 동안 공기 배출부(30)를 통해 가열탱크(23)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로스팅할 때 발생되는 연기와 가스가 가열탱크(23)에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커피 원두의 맛과 향이 향상된다. 즉, 로스팅되는 커피 원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탱크(23)의 연기와 가스가 공기 배출부(30)를 통해 배출되면서 외부의 깨끗한 공기가 가열탱그(23)로 유입므로, 가열탱크(23)의 내부 공기 상태를 쾌적하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커피 원두를 로스팅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커피 원두의 로스팅 환경이 개선되어 커피 원두의 맛과 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 원두가 냉각부(50)로 투입되어 냉각되므로, 커피 원두의 열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보조 덕트부재(35)를 통해 냉각부(5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냉각부(50)로 유입되므로, 커피 원두를 보다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로스팅시 가열된 커피 원두가 자체 열에 의해 열 변화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커피 원두의 맛과 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덕트부재(3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피 집진부(33)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기되므로,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커피 생두의 피(껍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로스팅시 커피 생두에서 떨어지는 피가 공기 배출부(30)의 공기 흡입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므로, 로스팅된 커피 원두에 이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하부본체
13 : 상부본체 13a : 설치프레임
20 : 드럼부 21 : 회전축 부재
23 : 가열탱크 25 : 커버부재
27 : 원두 이탈방지부재 29 : 온도센서
30 : 공기 배출부 31 : 메인덕트부재
33 : 피 집진부 35 : 보조 덕트부재
40 : 연결덕트부 45 : 댐퍼부재
50 : 냉각부 60 : 가열부
70 : 구동부

Claims (12)

  1. 본체(10);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커피 생두가 투입되어 로스팅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드럼부(20);
    상기 드럼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부(30); 및
    상기 공기 배출부와 상기 드럼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덕트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부는 이격되게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부는 하단부가 상기 공기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분기되어 상기 드럼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21);
    상기 회전축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 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일면이 상기 연결덕트부와 연통되는 가열탱크(23); 및
    상기 가열탱크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열탱크와 상기 연결덕트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가열탱크의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구(25a)가 형성되는 커버부재(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한 원두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되는 원두 이탈방지부재(27); 및
    상기 가열탱크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29);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연결덕트부를 통해 상기 드럼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메인덕트부재(31); 및
    상기 메인덕트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덕트부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송풍팬(33a)을 구비하는 피 집진부(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 집진부는,
    상기 메인 턱트부재와 연결되는 집진덕트(33b); 및
    상기 집진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생두 피가 낙하되도록 상기 집진덕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사이클론부재(33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에서 로스팅된 커피원두가 저장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부로 흡입되는 냉각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냉각부와 연결되는 보조 덕트부재(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가열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가 설치되는 하부본체(11); 및
    상기 드럼부 및 상기 연결덕트부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본체에서 회전되는 상부몸체(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부는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부재(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보조 덕트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덕트 차단부(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차단부는
    상기 보조 덕트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 차단판 부재(37a); 및
    일단부가 상기 공기 차단판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로드부재(37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KR1020120044890A 2012-04-27 2012-04-27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KR101393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890A KR101393723B1 (ko) 2012-04-27 2012-04-27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890A KR101393723B1 (ko) 2012-04-27 2012-04-27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571A KR20130121571A (ko) 2013-11-06
KR101393723B1 true KR101393723B1 (ko) 2014-05-30

Family

ID=4985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890A KR101393723B1 (ko) 2012-04-27 2012-04-27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7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158A (ja) 1999-05-31 2000-12-12 Yodogawa Engineering Kk コーヒ豆石焼装置
KR20090055112A (ko) * 2007-11-28 2009-06-02 한영준 커피 로스터
KR100973471B1 (ko) * 2010-04-26 2010-08-03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볶음장치
KR101036997B1 (ko) 2008-10-06 2011-05-25 송유진 커피볶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158A (ja) 1999-05-31 2000-12-12 Yodogawa Engineering Kk コーヒ豆石焼装置
KR20090055112A (ko) * 2007-11-28 2009-06-02 한영준 커피 로스터
KR101036997B1 (ko) 2008-10-06 2011-05-25 송유진 커피볶음기
KR100973471B1 (ko) * 2010-04-26 2010-08-03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볶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571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072B1 (ko) 커피 로스터
KR101626517B1 (ko) 커피 배전기
US5609097A (en) Coffee bean roaster with visual display column
KR100679674B1 (ko) 곡물볶음장치
US8495954B2 (en) Equipment for roasting coffee beans and edible seeds in general
KR101782417B1 (ko) 커피 로스터
US4489506A (en) Material treatment
US20010023544A1 (en) Roasting Appliance
KR101917924B1 (ko) 진공식 로스터
KR101393723B1 (ko)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KR101167254B1 (ko) 곡물 볶음기
KR101363013B1 (ko) 열풍식 커피생두 샘플 로스팅 장치
KR101359355B1 (ko) 커피 로스터
KR101344979B1 (ko) 볶음곡물 냉각장치
KR20170101461A (ko) 열풍 김구이기
US20060283337A1 (en) Roaster for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KR102597803B1 (ko) 가정용 열풍하향식 원두가공기
KR101716000B1 (ko) 열풍 김구이기
KR20160048046A (ko) 커피 배전기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101759629B1 (ko) 열풍 김구이기
KR101864503B1 (ko) 공정이 간소화된 진공식 커피 로스터
JPH0425998Y2 (ko)
KR20240026041A (ko)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JP3028773U (ja) 焙煎機及び焙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