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016Y1 - 튀김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튀김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016Y1
KR200278016Y1 KR2020020006510U KR20020006510U KR200278016Y1 KR 200278016 Y1 KR200278016 Y1 KR 200278016Y1 KR 2020020006510 U KR2020020006510 U KR 2020020006510U KR 20020006510 U KR20020006510 U KR 20020006510U KR 200278016 Y1 KR200278016 Y1 KR 200278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nk
main body
fry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영
Original Assignee
이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영 filed Critical 이길영
Priority to KR2020020006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016Y1/ko

Links

Landscapes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튀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히터가 구비된 가열탱크(5)와 건조대(10)가 구비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 내부에 수납되는 기름탱크(2)와, 모터(20)에 의해 가열탱크(5)의 상측에서 승강되는 승강대(3)와, 상기 기름탱크(2)와 각 가열탱크(5) 및 건조대(10)의 기름을 배출하거나 펌프(28)에 의해 공급하는 기름배출 및 공급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분을 조작하게 되는 컨트롤부(4)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많은 양의 튀김 재료를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그리고, 균일한 품질로 조리할 수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향상된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튀김 조리장치{The cooking device for fried food}
본 고안은 각종 튀김 요리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된 튀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간과 온도의 조절이 용이하고 다량의 튀김을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기름의 배출 및 공급 등 처리가 위생적이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튀김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튀김요리는 각종 생선류, 육류 및 채소류 등 그 재료의 선택범위가 넓으면서 비교적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어서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베스트푸드, 치킨점 등의 증가로 인하여 그 조리가 보다 전문화, 대량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튀김요리는 기름탱크에 식용유를 붓고 가열하면서 튀김재료를 넣어서 조리하는 비교적 간편한 조리방법이 사용되는데, 종래 일반적인 조리장치로서는 기름을 가열하는 용기와 튀김망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튀김 조리수단으로서는 보다 전문화되고 대량화되는 업소의 실정에 맞지 않을 뿐더러 가열온도의 조절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음식물의 안정된 품질을 유지할 수 없었으며, 조리사의 개인적인 숙련도에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한 후의 기름의 처리가 불편하고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어서 소비자들로 인하여 신뢰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다량의 튀김요리를 조리할 수 있는 튀김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름의 가열온도와 시간 등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튀김요리를 다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튀김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름의 공급과 배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위생적이면서 편리한 기름의 처리가 가능한 튀김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튀김장치의 사시도
도 2 - 본원 튀김장치의 승강장치를 나타낸 개략 배면 사시도
도 3 - 본원 장치의 하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 본원 장치의 기름 배출 및 공급라인을 나타낸 배관 사시도
도 5 - 본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기름탱크
3 ; 승강대 4 ; 컨트롤부
5 ; 가열탱크 6 ; 히터
7 ; 온도센서 9 ; 기름 공급구
10 ; 건조대 12 ; 건조망
14 ; 수납부 15 ; 도어
17 ; 안내레일 18 ; 튀김망
19 ; 래크 20 ; 모터
21 ; 피니언 22 ; 걸이대
24 ; 배출관 25 ; 배출밸브
26 ; 자유배출관 27 ; 흡입관
28 ; 펌프 29 ; 공급관
30 ; 선택밸브 31 ; 보조밸브
32 ; 보조 공급관 33 ; 거름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윗면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가열탱크가 형성되어 그 내측벽에 히터 및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탱크의 일측으로 건조대가 형성되어 역시 바닥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 내부에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전면의 도어에의해 개폐토록 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토록 수납되는 기름탱크와; 상기 가열탱크의 주연부에서 모터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상단이 가열탱크 쪽으로 하향 절곡되어 그 선단에 걸이대가 형성되어 있는 튀김망 승강대와; 상기 각 가열탱크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기름탱크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배출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관과, 상기 건조대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기름탱크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자유배출관을 포함하는 기름 배출라인과; 상기 기름탱크의 측방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로 흡입관이 연결되고, 이 펌프로부터 인출된 공급관이 선택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각 가열탱크의 측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름 공급라인과; 상기 본체의 전면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와 튀김망 승강대 및 펌프의 조작을 전기적으로 상호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하측의 기름탱크의 기름이 펌프에 의해 각 가열탱크로 공급되고, 튀김재료를 담은 튀김망을 승강대의 걸이대에 걸고 승강대를 하강시키면, 튀김망이 가열탱크의 기름에 잠겨지면서 조리되고, 조리가 완료되면 승강대를 상승시켜서 재료를 건조대에서 건조시키게 되며, 사용후의 기름은 배출밸브를 통해 하측의 기름탱크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들은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해 가열온도와 가열시간 등을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기름탱크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면서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안내레일이 더 설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펌프로부터 인출되는 공급관의 일단에 보조밸브에 의해 분리되는 보조 공급관이 더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공급관에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여 가열탱크의 소제를 하는 등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름탱크는 그 바닥면이 이중으로 되어 상측에 거름망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거름망의 하측 부위에서 상기 흡입관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튀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튀김장치의 배면 사시도로서 승강대의 구동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체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대별하여 본체(1)와, 기름탱크(2)와, 승강대(3)와, 기름 배출라인과, 기름 공급라인 및 컨트롤부(4)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는 윗면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가열탱크(5)가 형성되어 있는데, 각 가열탱크(5)의 내측벽에는 히터(6)와 온도센서(7)가 설치되어 있고, 그 바닥면에는 배출구(8)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 일단에는 기름 공급구(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탱크(5)의 측방으로는 건조대(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건조대(10)는 가열탱크(5)보다 낮은 깊이로 되어 있고 그 바닥면에는 역시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건조망(12)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1)의 하단에는 이동의 편리성을 위하여 바퀴(13)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 내부에는 도어(15)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14)의 바닥면에는 기름탱크(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기름탱크(2)는 일측면으로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름탱크(2)의 안정된 고정상태의 유지와 인입 및 인출의 편리성을 위하여 수납부(14)의 바닥면에 안내레일(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대(3)는 튀김망(18)을 걸어서 승강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가열탱크(5)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1)의 내부에 위치된 부분이 래크(19)로 이루어져서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21)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승강대(3)의 상단은 전방으로 다시 하향 절곡되어 승강대(3)의 하강시 그 선단부가 가열탱크(5)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되고, 선단의 일측에는 수평으로 걸이대(22)가 부착되어 있다.
승강대(3)는 가열탱크(5)의 수에 따라 그 수를 달리 할 수 있으며, 한 개의 가열탱크에 대하여서도 폭이 좁은 튀김망 또는 폭이 넓은 튀김망의 사용에 따라 걸이대(22)의 폭이 선택되어질 수 있다.
또한, 튀김망(18)은 상기 걸이대(22)에 걸 수 있도록 일단에 훅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름의 배출 및 공급라인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각 가열탱크(5)와 건조대(10)의 배출구(8,11)로부터 배출관(24,26)이 인출되어 기름탱크(2)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각 가열탱크(5)로부터 인출되는 배출관(24)에는 배출밸브(25)가 설치되어 본체(1)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건조대(10)의 배출구로부터 인출되는 배출관은 밸브가 없는 자유배출관(26)으로 되어 있으며, 기름탱크(2)의 배출구(16)로부터 흡입관(27)이 인출되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28)로 연결되고, 펌프(28)로부터 인출되는 공급관(29)은 가열탱크(5)의 수에 따라 분기되어 각 가열탱크(5)의 기름 공급구(9)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분기관은 본체(1)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선택밸브(30)에 의해 가열탱크가 선택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29)의 일단에는 보조밸브(31)에 의해 분기되는 별도의 보조 공급관(32)이 더 설치되어 이 보조 공급관(32)에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여 가열탱크를 청소하거나 다른 곳으로 기름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름탱크(2)의 바닥면은 이중으로 되어 거름망(33)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1)의 전면에는 컨트롤부(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컨트롤부(4)는 히터(6)와 온도센서(7)의 설정 및 조작과, 승강대(3)를 움직이는 모터(20) 및 펌프(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원 장치의 가동과 정지를 비롯하여 기름의 가열온도 및 시간의 설정과 타이머에 의한 모터 및 펌프의 동작 등을 설정하여 자동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각 부분의 개별적인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름탱크(2)에 기름이 담겨져 있는 상태에서 펌프(28)를 가동시키면 기름탱크(2)의 기름이 흡입관(27) 및 공급관(29)을 거쳐 각 가열탱크(5)로 공급되는데, 이 때, 보조밸브(31)는 가열탱크 쪽으로 선택되어지고, 공급하고자 하는 가열탱크 쪽으로 선택밸브(30)가 선택되어지게 되며, 공급관(29)을 통해 공급되는 기름은 기름 공급구(9)를 통해 가열탱크(5)로 공급된다.
그리고, 컨트롤부(4)의 조작에 의해 히터(6)를 동작시키게 되며, 이 때 가열온도와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 장치의 사용상태를 일례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이와 같이 튀김 재료를 담는 튀김망(18)을 승강대(3)의 걸이대(22)에 걸고 승강대(3)를 하강시키면, 승강대(3)가 하강하여 튀김망(18)이 가열탱크(5)의 내측으로 함께 하강하여 기름에 잠기게 되어 튀김재료가 조리되고, 음식재료가 튀겨지면 승강대(3)는 다시 상승하게 되고, 튀김망(18)의 재료를 건조대(10)의 건조망(12)에 옮겨 놓음으로서 재료에 묻어 있는 기름을 배출시키게 된다.
사용한 후의 기름은 기름 배출밸브(25)에 의해 배출관(24)을 통해 기름탱크(2)로 배출시키게 되며, 보조 공급관(32)에 별도의 호스 등을 연결하여 이 호스를 이용하여 가열탱크(5)를 소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 조작들은 제한적으로 컨트롤부의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되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승강대는 래크와 피니언의 결합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체인이나 벨트에 의해서도 구성되어질 수 있으며, 승강대나 각 밸브의 위치 등은 사용상의 편의성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히터가 구비된 가열탱크(5)와 건조대(10)가 구비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 내부에 수납되는 기름탱크(2)와, 모터(20)에 의해 가열탱크(5)의 상측에서 승강되는 승강대(3)와, 상기 기름탱크(2)와 각 가열탱크(5) 및 건조대(10)의 기름을 배출하거나 펌프(28)에 의해 공급하는 기름배출 및 공급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분을 조작하게 되는 컨트롤부(4)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많은 양의 튀김 재료를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그리고, 균일한 품질로 조리할 수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향상된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윗면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가열탱크(5)가 형성되어 그 내측벽에 히터(6) 및 온도센서(7)가 설치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배출구(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탱크(5)의 일측으로 건조대(10)가 형성되어 역시 바닥면에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 내부에는 수납부(14)가 형성되어 전면의 도어(15)에 의해 개폐토록 되어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수납부(14)에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토록 수납되는 기름탱크(2)와;
    상기 가열탱크(5)의 주연부에서 모터(20)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상단이 가열탱크(5) 쪽으로 하향 절곡되어 그 선단에 걸이대(22)가 형성되어 있는 튀김망 승강대(3)와;
    상기 각 가열탱크(5)의 배출구(8)로부터 상기 기름탱크(2)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배출밸브(25)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관(24)과, 상기 건조대(10)의 배출구(11)로부터 상기 기름탱크(2)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자유배출관(26)을 포함하는 기름 배출라인과;
    상기 기름탱크(2)의 측방으로부터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28)로 흡입관(27)이 연결되고, 이 펌프(28)로부터 인출된 공급관(29)이 선택밸브(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각 가열탱크(5)의 측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름 공급라인과;
    상기 본체(1)의 전면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6)와 튀김망 승강대(3) 및 펌프(28)의 조작을 전기적으로 상호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탱크(2)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면서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14)의 바닥면에 안내레일(17)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28)로부터 인출되는 공급관(29)의 일단에 보조밸브(31)에 의해 분리되는 보조 공급관(3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3)에 장착되는 튀김망(18)은 승강대(3)의 걸이대(22)에 걸 수 있도록 훅크부(23)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KR2020020006510U 2002-03-06 2002-03-06 튀김 조리장치 KR200278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510U KR200278016Y1 (ko) 2002-03-06 2002-03-06 튀김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510U KR200278016Y1 (ko) 2002-03-06 2002-03-06 튀김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016Y1 true KR200278016Y1 (ko) 2002-06-20

Family

ID=7311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510U KR200278016Y1 (ko) 2002-03-06 2002-03-06 튀김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01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64B1 (ko) * 2010-03-15 2010-10-04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기
KR101146881B1 (ko) * 2011-12-26 2012-05-16 김재곤 튀김장치
KR101181159B1 (ko) * 2011-11-14 2012-09-17 김재곤 튀김장치
KR101292727B1 (ko) 2011-04-20 2013-08-01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유 제거수단을 구비한 튀김기
KR200477266Y1 (ko) * 2014-11-06 2015-05-26 윤동규 세척이 용이한 다용도 캐비닛형 후라이어
KR20220066473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에이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KR102651269B1 (ko) * 2023-05-15 2024-03-26 주식회사 케이알푸드 식재료 데침 싱크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64B1 (ko) * 2010-03-15 2010-10-04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기
KR101292727B1 (ko) 2011-04-20 2013-08-01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유 제거수단을 구비한 튀김기
KR101181159B1 (ko) * 2011-11-14 2012-09-17 김재곤 튀김장치
KR101146881B1 (ko) * 2011-12-26 2012-05-16 김재곤 튀김장치
KR200477266Y1 (ko) * 2014-11-06 2015-05-26 윤동규 세척이 용이한 다용도 캐비닛형 후라이어
KR20220066473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에이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KR102413869B1 (ko) * 2020-11-16 2022-06-28 주식회사 에이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KR102651269B1 (ko) * 2023-05-15 2024-03-26 주식회사 케이알푸드 식재료 데침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6136A1 (en) Liquid movement and control within a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KR100777116B1 (ko) 무인 자동 취사장치
JP2010505583A (ja) 無人自動炊飯装置
US3477361A (en) Deep fat fryer filtering system
GB2035546A (en) Frying apparatus
KR100732627B1 (ko) 닭고기 염지/숙성 방법 및 염지/숙성장치
US6360652B1 (en) Cooking machine
KR200278016Y1 (ko) 튀김 조리장치
CN108577508A (zh) 一种多功能烹饪柜
KR20090095776A (ko) 자동 취사장치
CN109820428A (zh) 一种先腌制调味再烹调的自动烹饪方法
CA23373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hermalizing pre-cooked food portions
KR100897071B1 (ko) 육류 찜질장치
KR102083784B1 (ko) 시간 조절이 가능한 튀김망 상하 이송장치
US2722941A (en) Combination spray and agitator dishwashing machine with elevating rack
KR20120109168A (ko) 식품조리용 튀김기
CN111972593A (zh) 降糖煮饭方法
US3336859A (en) Food preparation
KR200278014Y1 (ko) 튀김 조리장치
CN115316837A (zh) 一种烹饪装置及方法
WO2023123562A1 (zh) 一种牛肉制品的混合加工设备
CN211862248U (zh) 一种洗菜柜台
KR200402442Y1 (ko) 즉석튀김장치
CN211862247U (zh) 一种智能橱柜
CN212117562U (zh) 一种多功能智能橱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