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473A -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473A
KR20220066473A KR1020200152530A KR20200152530A KR20220066473A KR 20220066473 A KR20220066473 A KR 20220066473A KR 1020200152530 A KR1020200152530 A KR 1020200152530A KR 20200152530 A KR20200152530 A KR 20200152530A KR 20220066473 A KR20220066473 A KR 20220066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frying pot
pot
fryer
electric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869B1 (ko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블
Priority to KR102020015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8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9Fry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4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heated with burners
    • A47J37/1247Details of the burners; Details of the channels for guiding the combustion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47J37/1261Details of the heating elements; Fixation of the heating elements to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튀김기름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튀김솥과, 상기 튀김솥 속에 하나씩 안치되는 걸름부재와, 상기 튀김솥에 저장된 튀김기름을 각각 독립적으로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튀김솥 다수개를 각각 분리 가능하게 나란히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수단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Frying apparatus with separable oil pot}
본 발명은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튀김기름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튀김솥과, 상기 튀김솥 속에 각각 하나씩 안치되는 걸름부재와, 상기 튀김솥에 저장된 튀김기름을 독립적으로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튀김솥 다수개를 각각 분리 가능하게 나란히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수단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요리는 생선이나 닭고기, 야채 등의 식재료에다 밀가루로 된 튀김옷을 입혀서 기름에 튀긴 음식을 말하는데, 특유의 바삭하고 고소한 식감으로 인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튀김요리를 제공하는 패스트 푸드점이나 치킨 전문점, 튀김요리 전문점 등에서는 보통 20~30리터의 튀김기름을 180~20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튀김요리를 할 수 있는 튀김장치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튀김기름은 식재료를 튀겨서 익혀주는 역할을 할 뿐 실제로 요리과정에서 소모되는 양은 매우 적기 때문에 대부분 동일한 튀김기름을 여러 번의 튀김요리에 반복적으로 재사용 한다. 따라서 튀김기름은 튀김요리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산화 및 산패가 진행되고, 음식물 찌꺼기가 늘어나면서 점도가 점점 증가할 뿐 아니라 색깔이 짙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토코페롤이나 폴리페놀 등과 같은 산화방지제가 함유된 튀김기름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튀김기름을 정제하는 기능을 갖춘 튀김장치, 또는 기름이 물 위에 뜨는 성질을 이용하여 기름과 물을 함께 사용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등에 관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튀김기름을 재사용하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튀김요리의 맛과 풍미가 저하되고, 심하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고 튀김요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고려해 볼 때 튀김기름을 자주 교체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특허 제10-1416259호(2014년 07월 01일) 특허 제10-1581119호(2015년 12월 22일) 특허 제10-2159137호(2020년09월17일)
이처럼 종래의 튀김장치는 튀김대상 식재료의 양과 상관없이 많은 양의 튀김기름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기 때문에 튀김요리의 맛과 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또한 튀김기름을 교체할 때는 많은 양을 한꺼번에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튀김기름의 소모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튀김장치는 튀김대상 식재료의 종류와 상관없이 한번의 요리과정에서는 한 종류의 튀김기름을 사용해야 하고, 또한 동일한 온도조건에서 튀김요리를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결국 요리조건이 다른 여러 식재료를 동시에 요리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튀김대상 식재료의 양에 따라 적정량의 새로운 튀김기름을 사용할 수 있어서 튀김요리의 맛과 품질을 높일 수 있고 튀김기름의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튀김기름을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튀김대상 식재료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튀김기름의 종류와 튀김 온도를 달리할 수 있고, 따라서 요리조건이 다른 여러 식재료를 동시에 튀김요리 할 수 있는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는, 튀김기름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맞붙여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튀김솥과; 상기 튀김솥 속에 각각 하나씩 안치되는 걸름망과, 상기 걸름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솥 밖으로 확장된 손잡이를 갖는 걸름부재와; 상기 튀김솥에 저장된 튀김기름을 각각 독립적으로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튀김솥에 상기 걸름부재가 수납된 상태로 다수개의 튀김솥을 각각 분리 가능하게 나란히 수용하는 튀김솥 수용부와, 상기 가열수단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수단이 금속관 형태의 전열히터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히터는, 상기 튀김기름에 침지되는 발열봉과, 상기 발열봉에서 연장되어 상기 튀김솥 밖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단자봉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튀김솥 수용부의 일변을 따라 상기 전열히터의 단자봉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단자접속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수단이 가스버너로 구성되고, 상기 가스버너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튀김솥의 저면을 향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불꽃을 분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스버너로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다수개의 소형 튀김솥이 각각 독립적으로 나란히 분할 배치되어 있어서, 튀김대상 식재료의 양에 따라 적정량의 튀김기름을 사용할 수 있어서 튀김기름의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튀김기름을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장치는, 필요에 따라 각 튀김솥 마다 서로 다른 튀김기름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각 튀김솥 마다 독립적으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어서 튀김요리의 맛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요리조건이 다른 여러 식재료를 동시에 튀김요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장치는, 상기 튀김솥이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고, 각 튀김솥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청소와 세척,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튀김솥(10)과 걸름부재(20) 및 전열히터(30a)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하우징(4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에서 가스버너(30b)와 하우징(4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의 구성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는, 첨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튀김기름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튀김솥(10)과, 상기 튀김솥(10) 속에 하나씩 안치되는 걸름부재(20)와, 상기 튀김기름을 각각 독립적으로 가열하는 가열수단(30)과, 다수개의 튀김솥(10)을 각각 분리 가능하게 나란히 수용하는 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튀김솥(1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량의 튀김기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튀김솥(10)은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도록 예컨대 직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튀김솥(10)의 상단 테두리에는 외향 플랜지부(11)가 돌출되어 있으며, 직사각형 구조에서 양쪽 단변측 플랜지(11)에는 각각 상기 튀김솥(10)을 들어 올릴 수 있는 파지돌부(12)가 상향 돌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튀김솥(10)의 저면에는 튀김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배출공(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튀김솥(10)의 크기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통닭조각 한 마리 정도를 튀길 수 있는 용량, 즉 튀김기름 약 1리터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튀김솥(10)의 튀김기름은 통닭 한 마리를 튀길 때 마다 매번 교체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루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종래 통닭용 튀김장치의 경우, 튀김기름 약 20~30리터를 한꺼번에 사용하고, 이러한 튀김기름은 통상 5~7일 동안 반복해서 수십 마리의 통닭을 튀겨낸 이후에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걸름부재(20)는, 상기 튀김솥(10) 속에서 튀김요리가 완료된 식재료, 예컨대 통닭조각을 건져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튀김솥(10)의 내부공간(11) 속에 각각 하나씩 안치되는 걸름망(21)과, 상기 걸름망(2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솥(10) 밖으로 확장된 손잡이(22)를 갖는다.
상기 걸름망(21)은 통상적인 튀김장치의 걸름망과 마찬가지로 금속성 망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튀김솥(10)의 내부공간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2)는 사용자가 걸름부재(20)를 조작하기에 용이한 형상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름부재(20)에는 손잡이(2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받침돌부(2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돌부(23)는 튀김솥(10)의 플랜지부(11) 위에 걸쳐져서 상기 걸름부재(20)가 튀김솥(10) 속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튀김솥(10)의 일측 파지돌부(13)에는 상기 받침돌부(23)가 통과하는 돌부관통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30)은 상기 튀김솥(10)에 저장된 튀김기름을 각각 독립적으로 가열해 주는 기능을 한다. 첨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30)으로서 전열히터(30a)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전열히터(30a)는 금속관 형태의 발열봉(31)과 한쌍의 단자봉(32)을 갖는다. 상기 발열봉(31)은 튀김솥(10)의 내벽과 걸름부재(20)의 걸름망(21) 사이에 배치되어 튀김기름 속에 침지되는 것으로, 튀김솥(10)의 측벽과 바닥을 따라 ‘L’ 자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열히터(30a)는 시즈히터(Sheath Heater)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봉(32)은 상기 발열봉(31)에서 상기 걸름부재(20)의 손잡이(2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튀김솥(10) 외부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하향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단자봉(32)은 외부 전원과 접속하여 상기 발열봉(31)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발열봉(31)와 단자봉(32) 사이에는 걸고리부(33)가 상향돌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고리부(33)는 사용자가 튀김솥(10)에서 전열히터(30a)를 편리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튀김솥(10)에서 걸름부재(20)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전열히터(30)를 분리해야 한다. 사용자는 상기 걸고리부(33)를 직접 손으로 잡거나,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전열히터(30a)를 들어 올릴 수도 있다. 상기 걸고리부(33)는 절연 및 단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우징(40)은 본 발명에 따른 튀김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 튀김솥 수용부(41)와 스위치(42)를 갖는다. 먼저 상기 튀김솥 수용부(41)는 상기 튀김솥(10)에 각각 상기 걸름부재(20)와 전열히터(30a)가 수납된 상태로 다수개의 튀김솥(10)을 각각 분리 가능하게 나란히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첨부 도 1에서는 상기 하우징(40)의 튀김솥 수용부(41)에 튀김솥(10) 14개가 설치된 튀김장치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튀김솥(10)의 용량과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예컨대 10~20개 정도의 튀김솥(10)이 일렬로 나란히 안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튀김솥(10)의 상단 테두리에 돌출된 외향 플랜지부(11)가 상기 튀김솥 수용부(41)의 테두리 위에 안정적으로 걸터앉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위치(42)는, 상기 가열수단(30)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전열히터(30a)의 단자봉(32)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위치(42)는 통상적인 노브(knob)형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하우징(40)의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상기 튀김솥 수용부(41)의 일변을 따라 나란히 단자접속홀(43)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단자접속홀(43)에는 상기 전열히터(30a)의 단자봉(32)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접속된다. 즉, 상기 단자접속홀(43)에 단자봉(32)이 삽입되면 전열히터(30a)에 전원이 공급되고, 단자봉(32)이 이탈하면 전열히터(30a)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상기 단자접속홀(4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튀김솥(10)과 동일한 개수로 각각 스위치(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42)를 이용하여 각 전열히터(30a)의 발열량을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각 튀김솥(10)에 저장되어 있는 튀김기름의 온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은 전체적으로 주방용 싱크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는 다리부(44) 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다리부(44) 대신에 이동롤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튀김대상 식재료의 양과 종류에 따라 튀김솥(10)의 일부 또는 전부에 튀김기름을 채운다. 이때,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튀김기름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튀김솥(10)에는 각 식재료를 튀기는데 적합하도록 서로 다른 튀김기름을 채울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10)의 튀김솥 수용부(41)에다 튀김솥(10)을 안치하고, 상기 튀김솥(10) 내부에다 걸름부재(20)와 전열히터(30a)를 설치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10)에 먼저 튀김솥(10)과 걸름부재(20) 및 전열히터(30a)를 설치한 후에 튀김기름을 채울 수도 있다.
이어서, 스위치(42)를 조작하여 전열히터(30a)에 전력을 인가하고, 튀김기름이 적정 온도에 도달하면, 식재료를 투입하여 튀김요리를 실시한다. 튀김요리가 완료되면, 먼저 상기 걸름부재(20)를 이용하여 상기 튀김요리를 건져 올린다. 그리고, 튀김기름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름부재(20)와 전열히터(30a)를 제거한 다음, 튀김솥(10)을 분리하여 튀김기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첨부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가열수단(30)으로서 가스버너(30b)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가스버너(30b)는 통상적인 조리용기에 사용되는 가스버너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40) 내부에서 튀김솥(10)의 저면을 향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불꽃을 분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버너(30b)는 상기 튀김솥(10)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도록 길이 방향을 확장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버너(30b)에는 각각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34)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공급관(34)에는 각각 상기 가스버너(30b)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제어하는 스위치(42)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가열수단(30)인 전열히터(30a)가 하우징(40)과 분리된 딴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해, 제2 실시예에서는 가열수단(30)인 가스버너(30b)가 하우징(40)과 한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차이가 있고, 또한 열원이 전기와 연소가스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외 튀김솥(10)과 걸름부재(20)의 구조와 기능은 동일하다.
(10) 튀김솥 (11) 플랜지부
(12) 파지돌부 (13) 기름배출공
(14) 돌부관통공 (20) 걸름부재
(21) 걸름망 (22) 손잡이
(23) 받침돌부 (30) 가열수단
(30a) 전열히터 (30b) 가스버너
(31) 발열봉 (32) 단자봉
(33) 걸고리부 (34) 가스공급관
(40) 하우징 (41) 튀김솥 수용부
(42) 스위치 (43) 단자접속홀
(44) 다리부

Claims (7)

  1. 튀김기름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맞붙여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튀김솥과;
    상기 튀김솥 속에 각각 하나씩 안치되는 걸름망과, 상기 걸름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솥 밖으로 확장된 손잡이를 갖는 걸름부재와;
    상기 튀김솥에 저장된 튀김기름을 각각 독립적으로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튀김솥에 상기 걸름부재가 수납된 상태로 다수개의 튀김솥을 각각 분리 가능하게 나란히 수용하는 튀김솥 수용부와, 상기 가열수단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튀김기름에 침지되는 발열봉과, 상기 발열봉에서 연장되어 상기 튀김솥 밖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단자봉을 갖는 금속관 형태의 전열히터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튀김솥 수용부의 일변을 따라 상기 전열히터의 단자봉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단자접속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히터는 시즈히터(Sheath Heate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히터는 상기 발열봉과 단자봉 사이에 상기 전열히터를 들어 올릴 수 있는 걸고리부가 상향 돌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튀김솥의 저면을 향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불꽃을 분사하도록 설치된 가스버너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스버너로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솥은 상단 테두리가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튀김솥의 상단 테두리에는 외향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튀김솥의 플랜지에는 상기 튀김솥을 들어 올릴 수 있는 파지돌부가 상향 돌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부재에는 상기 손잡이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튀김솥의 플랜지부 위에 걸쳐지는 받침돌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튀김솥의 일측 파지돌부에는 상기 받침돌부가 통과하는 돌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KR1020200152530A 2020-11-16 2020-11-16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KR10241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530A KR102413869B1 (ko) 2020-11-16 2020-11-16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530A KR102413869B1 (ko) 2020-11-16 2020-11-16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473A true KR20220066473A (ko) 2022-05-24
KR102413869B1 KR102413869B1 (ko) 2022-06-28

Family

ID=8180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530A KR102413869B1 (ko) 2020-11-16 2020-11-16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86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393Y1 (ko) * 1999-08-05 2000-02-15 오예환 전기튀김기용 배전판 분리 구조
KR100303856B1 (ko) * 1999-04-20 2001-09-24 김오중 전자제어식 튀김조리장치
KR200278016Y1 (ko) * 2002-03-06 2002-06-20 이길영 튀김 조리장치
KR20030080531A (ko) * 2002-04-09 2003-10-17 박종찬 다수개의 버너가 장착된 음식점용 가스레인지의 제어방법및 그 제어구조
KR20130062156A (ko) * 2011-12-02 2013-06-12 주식회사 서전테크 전기웍 및 그 제조방법
KR101416259B1 (ko) 2012-02-17 2014-07-09 주식회사 동방포쎄 수유식 튀김장치
KR101581119B1 (ko) 2014-04-15 2015-12-30 강현호 수유 튀김기
KR102159137B1 (ko) 2020-01-30 2020-09-23 김재곤 기름 순환 정제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856B1 (ko) * 1999-04-20 2001-09-24 김오중 전자제어식 튀김조리장치
KR200166393Y1 (ko) * 1999-08-05 2000-02-15 오예환 전기튀김기용 배전판 분리 구조
KR200278016Y1 (ko) * 2002-03-06 2002-06-20 이길영 튀김 조리장치
KR20030080531A (ko) * 2002-04-09 2003-10-17 박종찬 다수개의 버너가 장착된 음식점용 가스레인지의 제어방법및 그 제어구조
KR20130062156A (ko) * 2011-12-02 2013-06-12 주식회사 서전테크 전기웍 및 그 제조방법
KR101416259B1 (ko) 2012-02-17 2014-07-09 주식회사 동방포쎄 수유식 튀김장치
KR101581119B1 (ko) 2014-04-15 2015-12-30 강현호 수유 튀김기
KR102159137B1 (ko) 2020-01-30 2020-09-23 김재곤 기름 순환 정제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869B1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9703B1 (en) A multi-purpose cooking device through heating of a water bath
US4768426A (en) Oil filter apparatus and method for deep oil pressure cooking apparatus
US4798939A (en) Pressurized liquid cooker with integrated radiant heating apparatus
KR102363803B1 (ko) 튀김 조리장치
US2532639A (en) Food cooker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101626499B1 (ko) 튀김장치
KR102413869B1 (ko)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KR101664344B1 (ko) 업소용 전자기 유도가열 튀김기
KR102381053B1 (ko) 에어프라이어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CN203776652U (zh) 一种自动烹饪设备
JP2007325864A (ja) 油揚げ装置及び油揚げ調理方法
KR102046256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JP2009189402A (ja) 調理装置
DE2623946C3 (de) Umluft-Wärme-, -Back- und -Bratgerät
KR20230043424A (ko) 침지형 튀김기
KR102383750B1 (ko) 튀김용 바스켓
CN213696631U (zh) 一种快速升温的炸炉
KR200496732Y1 (ko) 이동식 구이판이 포함된 구이장치
CN213821086U (zh) 一种新型油炸炉
KR20100006259A (ko) 튀김기
JP2007068882A (ja) 連続二度揚げ調理が可能な調理装置
KR200179439Y1 (ko) 탁자용 튀김기
JP2001137131A (ja) 調理用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