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529Y1 -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건조저장빈 - Google Patents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건조저장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529Y1
KR200288529Y1 KR2020020018430U KR20020018430U KR200288529Y1 KR 200288529 Y1 KR200288529 Y1 KR 200288529Y1 KR 2020020018430 U KR2020020018430 U KR 2020020018430U KR 20020018430 U KR20020018430 U KR 20020018430U KR 200288529 Y1 KR200288529 Y1 KR 200288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er
shaft
mounting hole
auxiliar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택모
최인호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filed Critical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Priority to KR2020020018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5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529Y1/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건조저장실 하부의 곡물층이 과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곡물의 품질을 높이고 농가의 소득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곡물 건조저장빈은 내부에 건조저장실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지붕구조물, 본체의 내측하부에 배치된 곡물배출스크류장치, 본체의 외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버킷엘리베이터 및 버킷엘리베이터 하부에 배치된 바닥형 곡물투입장치,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곡물투입스크류장치, 균분기, 건조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보조열원 및 송풍장치, 건조저장실내에 저장된 곡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때, 교반장치에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의 하부는 곡물배출스크류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분리 또는 꺽이는 결합구조를 가지도록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보조오거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Bin for containing grains including verticulity auger shaft having sub-auger}
본 고안은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 건조저장빈에 곡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장치에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의 하부에 보조오거를 선택적으로 장착함으로써, 건조저장실 하부의 곡물층이 과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곡물의 품질을 높이고 농가의 소득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 건조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손상없이 보관 및 운송을 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수분 함량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약 20~30%의 수분??량을 갖는데, 이러한 수분함량을 갖는 곡물류는 저장을 위한 보관시에 쉽게 변질되기 때문에 일정한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미곡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는 곡물 건조저장빈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곡물 건조저장빈은 투입되는 고수분 곡물과 저수분 곡물을 교반 혼합시키고, 상온의 공기 또는 미약하게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여 벼, 보리 등의 곡물을일정 수분함량까지 건조시켜서 고품질이 유지되는 상태로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곡물은 필요시에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곡물 건조저장빈에서 건조저장실내의 곡물을 교반 혼합시키는 교반장치는 건조저장실 상부의 균분기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을 하는 가로축과 이러한 가로축을 좌, 우로 이동하면서 자체적으로 회전을 하는 나선형의 수직오거축을 구비한다. 이때, 수직오거축은 가로축의 회전 및 수직오거축의 좌, 우 움직임으로 인하여 건조저장실내의 곡물을 좌, 우로 섞어주고 또한, 나선형의 수직오거축이 자체적으로 회전하여 건조저장실내의 곡물을 상, 하로 섞어주어 건조저장실내의 모든 곡물을 골고루 잘 섞어주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곡물 건조저장빈은 수직오거축의 하단과 곡물배출스크류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곡물배출스크류장치의 상부까지만 수직오거축이 연장되기 때문에 건조저장실 바닥부터 곡물배출스크류장치 까지의 곡물층은 미교반 상태로 계속 건조되어 곡물의 품질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곡물 건조저장빈에 곡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장치에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의 하부에 보조오거를 선택적으로 장착함으로써, 건조저장실 하부의 곡물층이 과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곡물의 품질을 높이고 농가의 소득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의 전체적인 개략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수직오거축 및 보조오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수직오거축 및 보조오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고,
도 3a, 3b, 3c, 3d, 3e 및 3f는 수직오거축에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g는 도 3f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곡물 건조저장빈 112 : 수직오거축
113 : 제 1 스크류 114 : 보조오거
115 : 제 2 스크류 116 : 제 1 결합돌기
118 : 제 1결합홈 120 : 제 2 결합돌기
122 : 제 2 결합홈 124 : 제 3 결합돌기
126 : 제 3 결합홈 134 : 제 4 결합돌기
136 : 제 4 결합홈 140 : 제 1 플랜지
144 : 제 2 플랜지 150 : 스프링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곡물저장실내의 곡물을 교반할 수 있도록 교반장치를 가지고, 교반장치는 지붕 구조물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어 균분기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하단에 장착되는 몸체,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에 의해서 건조저장실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가로축, 가로축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2개의 이송구 및 각각의 이송구 하부에 장착되어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오거축을 포함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에 있어서,
수직오거축은 각각의 이송구 하부에 장착되어 곡물배출스크류장치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며 수직오거축의 외주면상에는 수직오거축을 감싸면서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나선형의 제 1 스크류가 형성되고, 수직오거축의 하단에는 분리 또는 꺽이는 결합구조를 가지도록 보조오거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보조오거의 외주면상에는 보조오거를 감싸면서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나선형의 제 2 스크류가 형성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곡물 건조저장빈에 곡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장치에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의 하부에 보조오거를 선택적으로 장착함으로써, 건조저장실 하부의 곡물층이 과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곡물의 품질을 높이고 농가의 소득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의 전체적인 개략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수직오거축 및 보조오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수직오거축 및 보조오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곡물 건조저장빈(100)은 원통형 본체(12), 본체(12)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지붕구조물(14), 본체(12)의 내측하부에 배치된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 본체(12)의 외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버킷엘리베이터(18) 및 버킷엘리베이터(18) 하부에 배치된 바닥형 곡물투입장치(20)를 포함한다. 또한, 곡물 건조저장빈(100)은 본체(12)의 상부에 배치되는 곡물투입스크류장치(22), 균분기(24),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건조저장실(26), 건조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보조열원 및 송풍장치(28), 건조저장실(26)내에 저장된 곡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장치(30)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저장실(26)내의 곡물을 상, 하, 좌, 우로 골고루 섞어주는 교반장치(30)는 지붕 구조물(14)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어 균분기(24)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지지부재(31), 지지부재(31)의 하단에 장착되는 몸체(32), 몸체(32)의 일측에 장착되며 몸체(32)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에 의해서 건조저장실(26)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가로축(34), 가로축(34)에 좌, 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2개의 이송구(36) 및 각각의 이송구(36) 하부에 장착되어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오거축(112)을 포함한다. 이때,수직오거축(112)은 각각의 이송구(36) 하부에 장착되어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며, 수직오거축(112)의 하단에는 분리 또는 꺽이는 결합구조를 가지도록 보조오거(114)가 선택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오거축(112)은 수직오거축(112)을 감싸면서 외주면을 따라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 1 스크류(113)가 형성되고, 보조오거(114)는 보조오거(114)를 감싸면서 외주면을 따라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 2 스크류(1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수직오거축(112)은 하단 중앙부에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1 결합돌기(116)가 형성되고, 제 1 결합돌기(116)의 하단 인접위치에는 제 1 결합돌기(116)를 관통하는 제 1 장착공(117)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는 제 1 결합돌기(11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결합홈(118)이 형성된 보조오거(114)가 끼워진다. 이때, 제 1 결합홈(118)에는 제 1 장착공(117)에 연통되는 제 2 장착공(119)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장착공(117) 및 제 2 장착공(119)으로는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S)이 끼워지고, 이러한 결합축(S)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킨다. 이때,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113) 및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115)는 수직오거축(112)의 상단에서부터 보조오거(114)의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하기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의 결합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a, 3b, 3c, 3d, 3e 및 3f는 수직오거축에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수직오거축(112)은 하단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2 결합돌기(120)가 형성되고, 제 2 결합돌기(120)의 외주면상 일측 및 타측에는 상, 하로 이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는 제 2 결합돌기(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결합홈(122)이 형성된 보조오거(114)가 끼워진다. 이때, 제 2 결합홈(122)에는 제 2 결합돌기(120)에 형성된 암나사와 연통되도록 제 1 체결공(121)이 형성되고, 제 1 체결공(121)으로 볼트(B)를 체결하여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킨다. 이때,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113) 및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115)는 수직오거축(112)의 상단에서부터 보조오거(114)의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3b를 참고하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수직오거축(112)은 하단 중앙부에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3 결합돌기(124)가 형성되고, 제 3 결합돌기(124)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 3 결합돌기(124)를 관통하는 제 3 장착공(125a) 및 제 4 장착공(125b)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는 제 3 결합돌기(124)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3 결합홈(126)이 형성된 보조오거(114)가 끼워진다. 이때, 제 3 결합홈(126)에는 제 3 결합돌기(124)에 형성된 제 3 장착공(125a) 및 제 4 장착공(125b)과 연통되는 제 5 장착공(127a) 및 제 6 장착공(127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연통되는 제 3 장착공(125a) 및 제 5 장착공(127a)과 제 4 장착공(125b) 및 제 6 장착공(127b)으로는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S)이 끼워지고, 이러한 결합축(S)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킨다. 이때,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113) 및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115)는 수직오거축(112)의 상단에서부터 보조오거(114)의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3c를 참고하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수직오거축(112)의 하단 인접위치의 외주면상 일측 및 타측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보조오거(114)의 상단 인접위치의 외주면상 일측 및 타측에도 암나사를 형성한다. 이러한 수직오거축(112)의 하단 및 보조오거(114)의 상단을 맞댄 후 수직오거축(112) 및 보조오거(114)의 결합부분에 원통형상의 제 1 플랜지(140)를 끼운다. 이때, 제 1 플랜지(140)에는 수직오거축(112) 및 보조오거(114)에 형성된 암나사와 연통되는 제 2 체결공(142a) 및 제 3 체결공(142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2 체결공(142a) 및 제 3 체결공(142b)으로 볼트(B)를 체결하여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킨다. 이때,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113) 및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115)는 수직오거축(112)의 상단에서부터 보조오거(114)의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3d를 참고하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가지기 위해서는 수직오거축(112)의 하단 인접위치에는 수직오거축(112)을 관통하는 제 7 장착공(128)이 형성되고, 보조오거(114)의 상단 인접위치에는 보조오거(114)를 관통하는 제 8 장착공(129)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오거축(112)의 하단 및 보조오거(114)의 상단을 맞댄 후 수직오거축(112) 및 보조오거(114)의 결합부분에 원통형상의 제 2 플랜지(144)를 끼운다. 이때, 제 2 플랜지(144)에는 수직오거축(112) 및 보조오거(114)에 형성된 제 7 장착공(128) 및 제 8 장착공(129)과 연통되는 제 9 장착공(131) 및 제 10 장착공(1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연통되는 제 7 장착공(128) 및 제 9 장착공(131)과 제 8 장착공(129) 및 제 10 장착공(132)으로는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S)이 끼워지고, 이러한 결합축(S)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킨다. 이때,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113) 및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115)는 수직오거축(112)의 상단에서부터 보조오거(114)의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3e를 참고하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보조오거(114)의 상단에 원통형의 제 3 플랜지(146)를 일부분만 끼워 넣어 용접 고정시키며 제 3 플랜지(146)의 상부면에는 일측 및 타측이 관통되는 제 11 장착공(147)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3 플랜지(146)의 개방된 상부면은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 끼워진다. 이때,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는 제 11 장착공(147)에 연통되는 제 12 장착공(1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통되는 제 11 장착공(147) 및 제 12 장착공(133)으로는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S)이 끼워지며 결합축(S)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킨다. 이때,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113) 및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115)는 수직오거축(112)의 상단에서부터 보조오거(114)의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3f를 참고하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가 꺽이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수직오거축(112)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둥글게 만곡되고 납작한 형상을 가지는 제 4 장착돌기(134)가 형성되고, 제 4 장착돌기(134)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 4 장착돌기(134)를 관통하는 제 13 장착공(135a) 및 제 14 장착공(135b)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는 제 4 장착돌기(134)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제 4 장착돌기(134)를 따라 선회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된 제 4 결합홈(136)이 형성된 보조오거(114)가 선회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제 4 결합홈(136)에는 제 13 장착공(135a) 및 제 14 장착공(135b)에 연통되는 제 15 장착공(137a) 및 제 16 장착공(137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연통되는 제 13 장착공(135a) 및 제 15 장착공(137a)으로는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S)이 끼워지고 이러한 결합축(S)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수직오거축(112)과 보조오거(114)를 선회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도 3g를 참고하면, 서로 연통되는 제 14 장착공(135b) 및 제 16 장착공(137b)으로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핀(150)이 장착되어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서 상황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꺽어진 보조오거(114)가 자중에 의해서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이때,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113) 및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115)는 수직오거축(112)의 상단에서부터 보조오거(114)의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논이나 밭 등의 산지에서 수확한 후 경운기 등의 운송장치를 이용하여 곡물 건조저장빈(100)까지 운반된 벼나 보리 등의 곡물은 바닥형 곡물투입장치(20)를 통해 투입된다. 이때, 곡물의 투입량은 수분 함유량이나 곡물의 상태, 예를들어 볏짚, 쭉정이 등의 이물질 포함정도에 다라서 변동될 수 있다. 그런데, 투입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기준량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볏짚, 나뭇가지, 쓰레기, 풀 등의 이물질은 곡물 건조저장빈(100) 내부에서 곡물의 순환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가능한한 곡물의 투입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형 곡물투입장치(20)를 통해서 곡물을 투입한 후에는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곡물 건조저장빈(100)을 작동 시킨다. 즉 제어장치를 조작하여 제어 시스템 중에서 투입모드를 선택하면, 버킷엘리베이터(18)가 작동하게 된다. 그러면, 곡물은 버킷엘리베이터(18)에 의해서 승강된 후 곡물투입스크류장치(22)내로 투입된다. 다음으로 곡물투입스크류장치(22)를 따라 들어간 곡물은 건조저장실(26) 상부에 배치되는 균분기(24)위로 떨어진다.
균분기(24)위로 떨어진 곡물은 일정 높이의 피라미드 형태로 ??인 후 자중에 의해서 건조저장실(26)내로 분산된다. 그리하여 건조저장실(26)의 타공망(40)내에곡물이 소정의 높이만큼 ??이기 시작하면 교반장치(30)를 작동시킨다. 이때, 교반장치(30)의 하부에 장착되는 수직오거축(112)의 하단과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를 곡물 건조저장빈(100) 외부로 이탈 시킨다. 이와 같이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를 외부로 이탈 시킨 후 교반장치(30)를 작동 시킨다. 즉, 제어장치를 조작하여 제어시스템 중에서 교반모드를 선택하면, 교반장치(30)의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 가 활성화 되고 이에 의해 가로축(34)이 회전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가로축(34)이 회전함과 아울러 하부에 수직오거축(112)이 장착된 2개의 이송구(36)가 가로축(34)을 따라 횡방향으로 운동한다. 이에 의해 가로축(34)은 곡물 건조저장빈(100)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공전운동하면서 곡물 건조저장빈(100)의 내부를 횡단한다.
이와 같이 가로축(34)을 따라서 왕복운동을 하는 이송구(36)의 운동은 가로축(34)이 곡물 건조저장빈(100) 내부를 공전하는 동안에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송구(36)가 가로축(34)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고 가로축(34)이 공전운동을 함과 아울러 이송구(36)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작동하여 수직오거축(112)을 회전 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수직오거축(112)은 하부에 있는 곡물을 나선형의 수직오거축(112)을 따라서 상부로 강제 이동 시킨다. 따라서, 건조저장실(26) 내에 위치하는 하부의 곡물이 상부로 끌어올려짐과 동시에 수분이 적은 곡물과 수분이 많은 곡물이 고르게 혼합됨으로써, 상부곡물과 하부곡물의 수분함량 차이가 없어지게 되고, 곡물의 완전한 교반이 달성된다. 이때, 교반장치(30)에 의해서 곡물을 교반하는 동안에 상온 통풍만으로 최적의 수분함량을 갖게 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하여 보조열원 및 송풍장치(28)에서 건조 열풍을 발생시켜 타공망(40)을 통하여 건조저장실(26) 내부로 투입시키고 건조하고 난 건조 열풍은 배기덕트(29)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서 수분이 제거된 곡물은 외부로 배출 시켜야 된다. 이때, 외부로 이탈 시켰던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를 다시 내부로 재조립하여 작동시켜야 된다. 그런데,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를 작동시키게 되면 수직오거축(112)의 하단과 간섭이 일어나므로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 장착된 보조오거(114)를 분리하거나 꺽이게 하여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를 작동시킨다. 즉, 제어장치를 조작하여 제어시스템 중에서 배출모드를 선택하며,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가 작동한다. 이와 같이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를 따라 배출된 곡물이 적정 수준의 건조가 되지 않았다면 다시 버킷엘리베이터(18)를 따라 승강되고 곡물투입스크류장치(22)에 의해 건조저장실(26)로 투입되어 재건조 되게 된다.
만일, 곡물이 곡물 건조저장빈(100)내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최적의 함수율을 갖도록 충분히 건조되면 곡물은 곡물 건조저장빈(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는 달리 곡물이 최적의 함수율에 부합할 만큼 충분하게 건조되지 못한 경우에는 곡물 건조저장빈(100)내로 다시 장입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곡물 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100)은 곡물을 교반하는 교반장치(30)에서 이송구(36)의 하단에 장착되어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나선형의 수직오거축(112) 및 수직오거축(112)의 하단에 장착되며 타공망(40)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는 나선형의 보조오거(114)를 구비함으로써, 보조오거(114)가 타공망(40)에서부터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까지의 미교반 곡물을 교반시켜 곡물의 과건조를 방지하며, 곡물의 품질을 높여 농가의 소득제고에 기여하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곡물저장실(26)내의 곡물을 교반할 수 있도록 교반장치(30)를 가지며, 상기 교반장치(30)는 지붕 구조물(14)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어 균분기(24)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지지부재(31), 상기 지지부재(31)의 하단에 장착되는 몸체(32), 상기 몸체(32)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32)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에 의해서 상기 건조저장실(26)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가로축(34), 상기 가로축(34)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2개의 이송구(36) 및 상기 각각의 이송구(36) 하부에 장착되어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오거축(112)을 포함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100)에 있어서,
    상기 수직오거축(112)은 상기 각각의 이송구(36) 하부에 장착되어 곡물배출스크류장치(16)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상에는 상기 수직오거축(112)을 감싸면서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나선형의 제 1 스크류(113)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하단에는 분리 또는 꺽이는 결합구조를 가지도록 보조오거(114)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상에는 상기 보조오거(114)를 감싸면서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나선형의 제 2 스크류(1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오거축(112)에 상기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오거축(112)은 하단 중앙부에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1 결합돌기(116)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돌기(116)의 하단 인접위치에는 상기 제 1 결합돌기(116)를 관통하는 제 1 장착공(117)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결합돌기(11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결합홈(118)이 형성된 보조오거(114)가 끼워지며 상기 제 1 장착공(117)에 연통되는 제 2 장착공(119)이 상기 제 1 결합홈(118)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장착공(117) 및 상기 제 2 장착공(119)으로는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S)이 끼워지고, 이러한 상기 결합축(S)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키며,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스크류(113)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스크류(115)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오거축(112)은 하단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2 결합돌기(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결합돌기(120)의 외주면상 일측 및 타측에는 상, 하로 이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결합돌기(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결합홈(122)이 형성된 상기 보조오거(114)가 끼워지며 상기 제 2 결합홈(122)에는 상기 제 2 결합돌기(120)에 형성된 암나사와 연통되도록 제 1 체결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공(121)으로 볼트(B)를 체결하여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키며,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스크류(113)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스크류(115)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오거축(112)에 상기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오거축(112)은 하단 중앙부에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3 결합돌기(124)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결합돌기(124)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제 3 결합돌기(124)를 관통하는 제 3 장착공(125a) 및 제 4 장착공(125b)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는 상기 제 3 결합돌기(124)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3 결합홈(126)이 형성된 상기 보조오거(114)가 끼워지며 상기 제 3 결합홈(126)에는 상기 제 3 장착공(125a) 및 상기 제 4 장착공(125b)과 연통되는 제 5 장착공(127a) 및 제 6 장착공(127b)이 형성되고,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제 3 장착공(125a) 및 상기 제 5 장착공(127a)과 상기 제 4 장착공(125b) 및 상기 제 6 장착공(127b)으로는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S)이 끼워지며 상기 결합축(S)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키며,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스크류(113)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스크류(115)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오거축(112)은 하단 인접위치의 외주면상 일측 및 타측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오거(114)는 상단 인접위치의 외주면상 일측 및 타측에도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하단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상단을 맞댄 후 상기 수직오거축(112)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결합부분에 원통형상의 제 1 플랜지(140)를 끼움과 아울러 상기 수직오거축(112) 및 상기 보조오거(114)에 형성된 암나사와 연통되는 제 2 체결공(142a) 및 제 3 체결공(142b)을 상기 제 1 플랜지(140)에 형성하여 상기 제 2 체결공(142a) 및 상기 제 3 체결공(142b)으로 볼트(B)를 체결하여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키며,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스크류(113)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스크류(115)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하단 인접위치에는 상기 수직오거축(112)을 관통하는 제 7 장착공(128)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오거(114)의 상단 인접위치에는 상기 보조오거(114)를 관통하는 제 8 장착공(129)이 형성되며, 상기수직오거축(112)의 하단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상단을 맞댄 후 상기 수직오거축(112)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결합부분에 원통형상의 제 2 플랜지(144)를 끼움과 아울러 상기 제 7 장착공(128) 및 상기 제 8 장착공(129)과 연통되는 제 9 장착공(145a) 및 제 10 장착공(145b)을 상기 제 2 플랜지(144)에 형성하여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제 7 장착공(128) 및 상기 제 9 장착공(145a)과 상기 제 8 장착공(129) 및 상기 제 10 장착공(145b)으로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S)이 끼워지며 상기 결합축(S)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키며,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스크류(113)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스크류(115)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가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오거(114)의 상단에 원통형의 제 3 플랜지(146)를 일부분만 끼워 넣어 용접 고정시키며 상기 제 3 플랜지(146)의 상부면에는 일측 및 타측이 관통되는 제 11 장착공(147)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기 제 3 플랜지(146)는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 11 장착공(147)과 연통되는 제 12 장착공(133)이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S)이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제 11 장착공(147) 및 상기 제 12 장착공(133)에 끼워지며 상기 결합축(S)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를 결합시키며,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스크류(113)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스크류(115)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가 꺽이는 결합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오거축(112)은 하측으로 둥글게 만곡되고 납작한 형상을 가지는 제 4 장착돌기(134)가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4 장착돌기(134)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제 4 장착돌기(134)를 관통하는 제 13 장착공(135a) 및 제 14 장착공(135b)이 형성되고, 상기 제 4 장착돌기(134)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4 장착돌기(134)의 납작한 면을 따라 선회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된 제 4 결합홈(136)이 형성된 상기 보조오거(114)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4 결합홈(136)에는 상기 제 13 장착공(135a) 및 상기 제 14 장착공(135b)에 연통되는 제 15 장착공(137a) 및 제 16 장착공(137b)이 형성되고,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제 13 장착공(135a) 및 상기 제 15 장착공(137a)으로는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S)이 끼워지며 상기 결합축(S)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상기 수직오거축(112)과 상기 보조오거(114)를 선회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스크류(113) 및 상기 보조오거(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스크류(115)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
  9. 제 8 항에 있어서,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제 14 장착공(135b) 및 상기 제 16 장착공(137b)으로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핀(150)이 장착되어 상기 수직오거축(112)의 하부에서 상황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꺽여진 상기 보조오거(114)가 자중에 의해서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 건조저장빈.
KR2020020018430U 2002-06-18 2002-06-18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건조저장빈 KR200288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30U KR200288529Y1 (ko) 2002-06-18 2002-06-18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건조저장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30U KR200288529Y1 (ko) 2002-06-18 2002-06-18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건조저장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529Y1 true KR200288529Y1 (ko) 2002-09-11

Family

ID=7312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30U KR200288529Y1 (ko) 2002-06-18 2002-06-18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건조저장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5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889B1 (ko) 2015-12-15 2017-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사료 종자의 수확 후 처리 시스템
KR102241033B1 (ko) 2019-12-16 2021-04-16 신흥기업 주식회사 곡물 저장시설용 냉각시스템
KR102539456B1 (ko) * 2022-12-08 2023-06-05 원용돌 복사열 및 송풍을 이용한 농수산물 자연 건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889B1 (ko) 2015-12-15 2017-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사료 종자의 수확 후 처리 시스템
KR102241033B1 (ko) 2019-12-16 2021-04-16 신흥기업 주식회사 곡물 저장시설용 냉각시스템
KR102539456B1 (ko) * 2022-12-08 2023-06-05 원용돌 복사열 및 송풍을 이용한 농수산물 자연 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0569B (zh) 有机废弃物的发酵干燥处理装置
CA1143371A (en) Bulk animal feedstuff mixing vehicle
CN107388780A (zh) 一种节能型家禽饲料干燥装置
CN108308671A (zh) 一种具有原料混合功能的饲料制粒烘干装置
US3755918A (en) Grain storage bin construction
KR200288529Y1 (ko)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건조저장빈
CN113480339B (zh) 发酵装置,具有其的多段混合式有机肥发酵系统及方法
US6110733A (en) Rotary composter
CN112586783B (zh) 一种油脂饲料防结块松散装置
GB2035822A (en) Mixing bulk materials
KR100907555B1 (ko) 축산분뇨 건조처리장치
KR200468739Y1 (ko) 가수 장치를 구비한 tmr 배합-운송 차량
WO1999035456A1 (en) Agricultural crop drier
US5517767A (en) Grass and other yard waste materials dryer apparatus and method
CN207430132U (zh) 一种饲料加工过程混合装置
CN105486043A (zh) 一种高效谷物烘干机
CN206227578U (zh) 一种微振式饲料干燥车
PL196568B1 (pl) Nieciągły albo okresowy sposób i urządzenie do co najmniej częściowej sterylizacji albo jednorodnej i pełnej pasteryzacji podłoża
CN210036138U (zh) 一种复合肥料生产用烘干机
EP1088193B1 (en) A drier for grain and granular materials in general
KR0185256B1 (ko) 열 절약형 회전식 퇴비 건조발효장치
CN220054969U (zh) 一种饲料加工的原料存储装置
JPH1118689A (ja) 飼料の煮熟調整装置
CN214126489U (zh) 下料可控的牲畜喂料器
CN205482178U (zh) 一种高效谷物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