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994B1 - 원심분리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분리 탈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4994B1 KR101014994B1 KR1020077029187A KR20077029187A KR101014994B1 KR 101014994 B1 KR101014994 B1 KR 101014994B1 KR 1020077029187 A KR1020077029187 A KR 1020077029187A KR 20077029187 A KR20077029187 A KR 20077029187A KR 101014994 B1 KR101014994 B1 KR 1010149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rotating shaft
- shaft portion
- dewatering
- centrifug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 B04B15/12—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for drying or washing the separated solid part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원심분리탈수와 동시에, 송풍에 의해 피탈수물을 건조할 수 있는 원심분리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피탈수물(1)을 수납하는 탈수통체(2)를 장치 본체 (3)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이 탈수통체(2)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피탈수물(1)에 부착하고 있는 수분을 원심분리 탈수하는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3)에, 구동원(4)에 의해 회전하는 중공형상의 회전축부(5)를 세워 설치하고, 이 회전축부(5)의 주위에 이 회전축부(5)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탈수통체 (2)를 설치하고, 상기 중공형상의 회전축부(5)의 내부와 상기 탈수통체(2)의 내부를 연이어 통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상기 구동원(4)에 의한 회전축부(5)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탈수통체(2)내에 수납한 피탈수물(1)을 원심 분리 탈수할 때, 회전축부(5) 내에 도입되는 공기가 이 회전축부(5)내로부터 탈수통체(2) 내로 도입되어 피탈수물(1)을 이 송풍과 상기 원심력에 의해 건조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탈수물을 원심분리에 의해서 탈수함과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는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예를 들면, 쌀을 가공할 때에, 쌀을 씻어 젖은 다량의 쌀을 원심분리 탈수장치로 탈수·제거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일반적인 원심분리 탈수장치는, 피탈수물을 수납하는 탈수통체를 장치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한 구성이며, 이 탈수통체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피탈수물에 부착하고 있는 수분을 원심분리 탈수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5-192594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의한 탈수를 실시하면, 어느 정도의 수분은 제거되지만, 실질적으로 쌀의 표면은 젖은 채로 있다.
그 때문에, 탈수 완료후에도 쌀끼리 부착하거나 탈수후에 반송기에 의해서 반송할 때나, 계량기로 계량할 때 등에 쌀이 기기에 부착하여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때때로 있고, 작업 진행의 방해가 되고 있다. 또한, 일단 제조 라인상의 기기에 부착한 쌀은 미생물적으로 불안정하게 되어 제품의 부패로 연결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 점은, 원심 탈수후에 송풍이나 가열 건조를 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고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건조 공정에 필요로 하는 조작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양산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고, 능숙하게 조작하지 않으면 건조가 불균일해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에 비추어,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심분리 탈수와 동시에, 송풍에 의해 피탈수물을 건조할 수 있는 획기적인 원심분리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피탈수물(1)을 수납하는 탈수통체(2)를 장치 본체(3)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이 탈수통체(2)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피탈수물(1)에 부착하고 있는 수분을 원심분리 탈수하는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3)에, 구동원(4)에 의해 회전하는 중공(中空)형상의 회전축부(5)를 세워 설치하고, 이 회전축부(5)의 주위에 이 회전축부(5)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탈수통체(2)를 설치하고, 상기 중공형상의 회전축부(5)의 내부와 상기 탈수통체(2)의 내부를 연이어 통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상기 구동원(4)에 의한 회전축부(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탈수통체 (2)내에 수납한 피탈수물(1)을 원심분리 탈수할 때, 회전축부(5)내로 도입되는 공기가 이 회전축부(5)내로부터 탈수통체(2)내로 도입되어 피탈수물(1)을 이 송풍과 상기 원심력에 의해 건조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탈수통체(2)는, 상기 장치 본체(3)에 대해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 탈수통체(2)의 상부에 피탈수물(1)의 투입구(2A)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부에 피탈수물(1)의 취출구(2B)를 설치하여, 탈수통체(2)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취출구(2B)로부터 피탈수물(1)이 자중 낙하하여 꺼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탈수통체와의 사이에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송풍 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 핀이 회전축부의 바깥둘레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원심분리 탈수와 송풍에 의한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탈수 완료후에 특별한 건조 조작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와 같은 탈수 공정으로 피탈수물을 탈수·건조할 수 있는 극히 실용성이 뛰어난 획기적인 원심분리 탈수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 2∼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확실하게 또한 양호하게 탈수통체내에 송풍되어 효율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건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이 단축하게 되는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원심분리 탈수장치가 된다.
특히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회전축부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도입되는 공기 인입류를 일으키게 함과 동시에, 이 회전축부내로 인입되는 공기가 상기 탈수통체내에 도입되기 때문에, 회전축부 주위의 탈수통체내에 효과적으로 송풍을 실시하여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고, 청구항 4, 5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하는 구성을 간단하고 쉽게 설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6∼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탈수통체로부터 간단하게 탈수 처리후의 피탈수물이 꺼내지므로, 이 탈수 처리후의 피탈수물을 다음 공정 등으로 반송하는 것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원심분리 탈수장치가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발명을 어떻게 실시할 것인지)를,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어 간단하게 설명한다.
탈수통체(2)내에 피탈수물(1)을 수납하고, 구동원(4)에 의해 장치 본체(3)에 대해 회전축부(5)를 회전시키면, 이 회전축부(5)와 함께 탈수통체(2)도 회전하여 이 원심력에 의해 피탈수물(1)에 부착하고 있는 수분이 분리 탈수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중공형상의 회전축부(5)내의 공기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이 회전축부(5)내와 연이어 통하는 탈수통체(2)내에 도입되게 되어, 탈수통체(2)내의 피탈수물(1)은 이 회전축부(5)내로부터의 송풍과 상기 원심력에 의해 건조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부(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송풍 핀(6)을 설치하고, 이 송풍 핀(6)의 부착 위치 및 형상을, 상기 회전축부(5)내의 공기가 상기 탈수통체(2) 내에 도입되도록 설정하면, 이 송풍 핀(6)에 의해 확실하게 또한 극히 양호하게 탈수통체(2)내에 송풍이 이루어지므로, 건조까지 요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이 탈수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심분리와 송풍에 의한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탈수 완료 후에 새롭게 특별한 건조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와 같은 탈수 공정으로 피탈수물(1)을 탈수·건조할 수 있다.
그 결과, 건조한 피탈수물(1)은, 제조 라인상에서 기기에 부착하는 경우가 없고, 제조의 방해가 되거나 기기에 부착하고 있던 미생물이 부착하는 것과 같은 경우도 없으므로, 피탈수물(1)의 정확한 계량도 가능해져,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되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탈수통체(2)는, 상기 장치 본체(3)에 대해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 탈수통체(2)의 상부에 피탈수물(1)의 투입구(2A)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부에 피탈수물(1)의 취출구(2B)를 설치하고, 탈수통체(2)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취출구(2B)로부터 피탈수물(1)이 자중 낙하하여 꺼내지도록 구성하면, 간단하게 탈수 처리후의 피탈수물(1)을 꺼낼 수 있어, 다음 공정 등으로 반송하는 것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원심분리 탈수장치는, 탈수통체의 상부에 취출구를 겸하는 투입구가 설치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탈수 처리후에는 탈수통체의 상부 취출구로부터 피탈수물을 끌어올려 꺼내야만 했으므로, 이 작업이 번거로운 동시에, 쌀과 같이 미세한 피처리물은 탈수통체에 남기 쉽고, 오염 등도 축적되기 쉬웠지만,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탈수물(1)은 자동적으로 낙하하여 나오므로 피탈수물(1)을 끌어올리는 귀찮은 작업은 불필요하고,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피탈수물(1)은 건조하고 있기 때문에, 탈수통체(2)내에 부착하여 남는 경우도 없는 등, 한층 실용적이 된다.
[도 1]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원심분리 탈수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3] 본 실시예의 탈수처리 완료후, 탈수통체로부터 피탈수물을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도 3의 평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피탈수물 2 탈수통체
2A 투입구 2B 취출구
3 장치 본체 4 구동원
5 회전축부 6 송풍 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피탈수물(1)을 수납하는 탈수통체(2)를 장치 본체(3)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이 탈수통체(2)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피탈수물(1)에 부착하고 있는 수분을 원심분리 탈수하는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3)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판부(3A)와, 이 저판부(3A) 상에 배치되는 천정이 있는(도시 생략)의 원통형 용기체(3B)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이 원통형 용기체(3B)는, 도시를 생략한 동력원에 의해 저판부(3A)에 대해 상하이동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다(도 3중의 화살표 Y1 참조.).
또한, 이 저판부(3A)의 중심부에 회전축부(5)를 상하 관통상태로 하여 세워 설치하고, 이 장치 본체(3)의 하부에 배치한 모터 등의 구동원(4)에 연결하여, 이 구동원(4)에 의해 회전축부(5)가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원심분리 탈수후에, 적어도 구동원(4)에 의해서 저판부(3A)를 회전시켜, 피탈수물을 배 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회전축부(5)는, 작은 지름의 둥근 파이프를 채택하여, 적어도 상단부가 개방하는 중공 형상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회전축부(5)의 주위에 이 회전축부(5)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탈수통체(2)를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탈수통체(2)는, 펀칭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면에서 보아 링형상의 통체를 구성하고, 이 링형상의 탈수통체(2)의 중심부에 회전축부(5)가 통과하도록 배치한 후, 탈수통체(2)와 상기 회전축부(5)의 사이에 윗면에서 보아 링형상의 개재부재(7)를 개재 고정시킴으로써, 회전축부(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탈수통체(2)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개재부재(7)는, 회전축부(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서 탈수통체(2)도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개재부재(7)는, 회전축부(5)에 대해서 이 회전축부(5)의 축길이방향으로 소정 범위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 개재부재(7)의 상하이동에 따라서, 탈수통체(2)도 상하이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도 3중의 화살표 YO참조.). 한편, 탈수통체(2)와 개재부재(7)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원통형 용기체(3B)도 연동하여 상하이동제어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탈수통체(2)는, 상부와 하부를 개방 형성하여 상부 개방부를 피탈수물(1)의 투입구(2A)로 하고, 하부 개방부를 피탈수물(1)의 취출구(2B)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부(5)의 저판부(3A) 근방 위치의 회전축부(5)에, 이 회전축부(5)와 함께 회전하는 원반형의 얹어놓음부(8)를 설치하고, 이 얹어놓음부(8)가 상기 취출구(2B)를 폐색하여 투입구(2A)로부터 투입된 피탈수물(1)를 얹어놓는 저면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탈수통체(2)내에 피탈수물(1)을 투입할 때나 원심분리 탈수중에는 탈수통체(2)의 취출구(2B)가 얹어놓음부(8)에 놓여 폐색한 상태가 되고, 탈수 완료후에는 상기 원통형 용기체(3B)와 함께 탈수통체(2)가 상승 이동 제어되어 취출구(2B)가 얹어놓음부(8)로부터 부상하여, 이 취출구(2B)로부터 피탈수물(1)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꺼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얹어놓음부(8)는, 취출구(2B)가 놓여지는 부위를, 그 바깥둘레가장자리를 향하여 하강 경사지는 경사면(8A)으로 하고, 취출구(2B)로부터 자중 낙하하는 피탈수물(1)이 이 경사면(8A)을 따라서 얹어놓음부(8) 하부의 장치 본체(3)의 저판부(3A)의 바깥둘레부에 낙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취출구(2B)도, 경사면(8A)에 얹어 놓았을 때에 폐색 상태가 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장치 본체(3)내의 저부에, 저판부(3A)의 바깥둘레부에 낙하하여 온 피탈수물(1)을 장치 본체(3)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아암(9)을 설치하고 있다.
이 배출 아암(9)은, 상기 저판부(3A)의 근방에, 이 저판부(3A)와 함께 회전하지 않으면서 저판부(3A)의 윗면을 따라 수평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원통형 용기체(3B)를 상승 이동하여 이 원통형 용기체(3B) 아래 가장자리와 저판부 (3A)의 윗면의 사이에 틈새(배출 틈새)(12)가 개방되면, 이 배출 틈새(12)로부터 장치 본체(3)내로 선회 이동하여 상기 얹어놓음부(8)와 저판부(3A)의 사이에 설치된 틈새로 들어가도록 작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에 따라 이 배출 아암(9)이 저판부(3A)상의 피탈수물(1)을 배출 틈새(12)로 안내 배출하여, 이 배출 틈새(12)로부터 장치 본체(3) 바깥에 설치된 수납부(10)로 피탈수물(1)이 배출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도 4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공형상의 회전축부(5)의 내부와 상기 탈수통체(2)의 내부를 연이어 통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상기 구동원(4)에 의한 회전축부 (5)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탈수통체(2) 내에 수납한 피탈수물(1)을 원심분리 탈수할 때, 회전축부(5)내에 도입되는 공기가 이 회전축부(5)내로부터 탈수통체(2)내로 도입되어 피탈수물(1)을 이 송풍과 상기 원심력에 의해 건조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부(5)의 중간 정도의 둘레면부에 통기구멍(11)을 복수 관통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11)과 상기 탈수통체 (2)의 펀칭구멍에 의해 회전축부(5)의 내부와 탈수통체(2)의 내부가, 이 회전축부 (5)와 탈수통체(2)의 사이의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연이어 통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부(5)내에 도입되는 공기가, 회전축부(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전축부(5)의 방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자연스럽게 발생하여, 이 에 따라 회전축부(5)내의 공기가 주위에 존재하는 탈수통체(2)내로 도입되어, 이 송풍(기류)에 의한 건조 작용이 피탈수물(1)에 대해서 부여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부(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송풍 핀 (6)을 설치하고, 이 송풍 핀(6)의 부착 위치 및 형상을, 상기 회전축부(5)내의 공기가 상기 탈수통체(2)내에 도입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축부(5)와 상기 탈수통체(2)의 사이에, 회전축부(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송풍 핀(6)을 설치하고, 이 송풍 핀(6)이 상기 회전축부(5)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도입되는 공기 인입류(도 1 중의 화살표 Y2)를 일으키게 하는 동시에, 이 회전축부(5)내로 인입되는 공기가 상기 탈수통체(2)내에 도입(도 1 중의 화살표 Y3)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회전축부(5)의 상기 통기구멍(11)을 가진 바깥둘레면에, 판 형상의 송풍 핀(6)을 4매(枚) 부설하고, 이 송풍 핀(6)도 회전축부(5)와 함께 회전하면서 탈수통체(2)내로 송풍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장치 본체(3){원통형 용기체(3B)}의 천정부에는, 장치 본체(3) 외부로부터 회전축부(5) 내에 공기를 끌어 들이기 위한 도시가 생략된 인입구멍과, 도 1 중의 화살표 Y4로 나타낸 탈수통체(2) 내를 통과하여 원통형 용기체(3B)의 안쪽 벽면을 상승하는 공기를 장치 본체(3)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도시를 생략한 배출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재부재(7)의 상부 공간부와, 탈수통체(2)와 회전축부(5)의 사이의 공간부를, 이 개재부재(7)를 개재하여 연이어 통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이 개재부재(7)의 위쪽 공간부로부터도 탈수통체(2)와 회전축부(5)의 사이의 공간부에 공기가 도입(도 1 중 화살표 Y5)되어 원심력, 송풍 핀(6)에 의해서 탈수통체(2)내로 도입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원심분리 탈수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피탈수물(1)로서 젖은 쌀(1)(이하, 간단히 '쌀(1)'이라 칭한다.)을 채택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장치 본체(3)의 천정을 개방하여 탈수통체(2) 내에 상부 투입구(2A)로부터 다량의 쌀(1)을 투입 수납하고, 장치 본체(3)의 천정을 폐색하여 구동원(4)에 의해 장치 본체(3)에 대해 회전축부(5)를 회전시키면, 화살표 Y6와 같이 이 회전축부(5)와 함께 탈수통체(2), 저판부(3A), 개재부재(7), 얹어놓음부(8)도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탈수통체(2)내의 피탈수물(1)에 부착하고 있는 수분이 분리 탈수하게 된다.
또한, 이 때, 회전축부(5)의 회전에 따라 송풍 핀(6)이 회전하고, 이 송풍 핀(6)이 상기 회전축부(5)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도입되는 공기 인입류(화살표 Y2)를 일으키게 하는 동시에, 이 회전축부(5)내로 끌여들여지는 공기가 상기 탈수통체(2)내에 도입(화살표 Y3으로부터 Y4로)된다. 또한, 개재부재(7)의 위쪽 공간부의 공기도, 회전축부(5)와 탈수통체(2)의 사이의 공간부에 도입(화살표 Y5)되고, 탈수통체(2)내로 도입(화살표 Y4)되게 된다.
즉, 원심분리 탈수중에는, 항상 장치 본체(3)내에서 상기와 같은 기류가 발생하여, 이 기류(송풍력)와 상기 원심력에 의해서 쌀(1)은 분리 탈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에 부착한 수분이 효율적으로 건조하게 된다.
따라서, 원심분리와 송풍에 의한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새롭게 특별한 건조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확실하게 쌀(1)의 탈수(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실제로 출원인이 종래의 원심분리 탈수장치와 본 실시예의 원심분리 탈수장치로 쌀(1)에의 탈수 상황의 비교 실험을 행한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표 1중의 '축만'이란 종래의 원심분리 탈수장치를 나타내고, '축에 구멍과 핀'이란 본 실시예의 원심분리 탈수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축에 구멍'이란 본 실시예의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있어서 송풍 핀(6)을 생략한 구조의 장치를 나타내며, '축에 핀'이란 종래의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있어서 회전축부에 송풍 핀을 부설한 구조의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표 1 구조의 차이에 의한 겉보기 수분(표면의 부착된 물+쌀 내부의 수분)과 성상 비교
탈수 조건(예)
피탈수물 : 정백도(精白度) 90%의 백미(침지후 1시간)
탈수통체(2)의 외벽부의 원심 가속도 : 800m/sec2
탈수(건조) 시간 : 2분간
수온 및 실온: 20℃
구조 | 겉보기 수분(%) | 성상 |
축만 | 33.0 | 표면이 젖어, 쌀이 부착하고 있다 |
축에 구멍 | 32.5 | 약간 젖어, 다소 부착한다 |
축에 핀 | 32.5 | 상기와 동일 |
축에 구멍과 핀 | 32.0 | 표면이 건조하여, 쌀이 뿔뿔이 흩어진다 |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의하면, 쌀(1)의 표면이 건조하여, 쌀(1)끼리 부착하지 않고 떨어져 흩어진 상태까지 탈수되는 것이 확인되고, 또한 송풍 핀(6)을 생략한 구성에 있어서도, 완전하게 건조하기까지는 이르지 않지만, 종래 장치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건조 작용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단순히, 축부에 송풍 핀을 설치하는 것보다도, 회전축부(5) 내의 공기를 송풍 핀(6)에 의해 주위의 탈수통체(2)를 향해 송풍하는 구성으로 하는 편이, 장치 본체(3)내에서 양호한 기류를 일으켜 건조에 유효하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치에 의해서 탈수 처리한 쌀(1)은 건조되기 때문에, 제조 라인상에서 기기에 부착하는 경우가 없고, 제조에 방해가 되거나 기기에 부착하고 있던 미생물이 부착하는 것과 같은 경우도 없으므로, 정확한 계량도 가능해진다.
또한, 다량의 쌀(1)을 모두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계측된 쌀(1)의 양에 대한 수분의 양도 항상 일정하게 되어, 그 후의 취사를 위해 가해지는 물의 양이 항상 일정해도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탈수(건조) 완료후에는, 상기 원통형 용기체(3B){탈수통체(2)}를 상승 이동 제어하면, 취출구(2B)가 얹어놓음부(8){경사면(8A)}로부터 부상하여 개방함과 동시에, 원통형 용기체(3B) 아래가장자리와 저판부(3A)의 사이에 배출 틈새(12)가 생 겨, 이 배출 틈새(12)로부터 저판부(3A)를 따라서 장치 본체(3)내에 상기 배출 아암(9)이 선회 진입 이동한다. 또한, 취출구(2B)가 개방하는 것에 의해서 경사면(8A)상에 쌀(1)이 자중 낙하하지만, 이 때, 쌀(1)은 건조하고 있기 때문에, 탈수통체(2)내에 부착하여 남는 경우가 없고, 또한, 쌀(1)끼리가 부착하는 경우도 없고 유동성 좋게 낙하한다.
그리고, 이 경사면(8A)을 따라서 쌀(1)은 아래쪽의 저판부(3A)의 바깥둘레부로 더 낙하하고, 저판부(3A)를 회전(화살표 Y6)시킴으로써 배출 아암(9)에 의해서 배출 틈새(12)로 배출 안내되어 수납부(10)에 수납되게 된다. 한편, 경사면(8A)의 경사도를 45∼60℃ 정도의 예각도로 설정하면, 쌀(1)이 이 경사면(8A)상을 깨끗하게 분산하면서 원활하게 떨어지게 되어, 예를 들면 다음 공정에서 쌀(1)을 뿔뿔이 흩어지게 하는 처리가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쌀(1)용의 원심분리 탈수장치로서, 상기와 같은 경사면(8A)의 경사 각도 설정을 행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다. 또한, 쌀(1)을 꺼내는 것은, 얹어놓음부(8){경사면(8A)}를 아래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도 가능해지지만, 탈수통체(2)와 얹어놓음부(8)가 상대적으로 상하이동함으로써 틈새를 생기게 하여, 취출구(2B)를 설치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탈수통체(2)를 가동 자유롭게 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일 먼저 탈수통체(2)의 상부 투입구(2A)로부터 쌀(1)을 투입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나중에는 탈수 완료후의 쌀(1)을 꺼내는 것까지도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매우 조작이 간단하고 실용성이 뛰어나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 요건의 구체적 구성은 적절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 피탈수물을 수납하는 탈수통체를 장치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이 탈수통체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피탈수물에 부착하고 있는 수분을 원심분리 탈수하는 원심분리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중공형상의 회전축부를 세워 설치하고, 이 회전축부의 주위에 이 회전축부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탈수통체를 설치하여, 상기 중공형상의 회전축부의 내부와 상기 탈수통체의 내부를 연이어 통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한 회전축부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탈수통체내에 수납한 피탈수물을 원심분리 탈수할 때, 회전축부내에 도입되는 공기가 이 회전축부내로부터 탈수통체내에 도입되어 피탈수물을 이 송풍과 상기 원심력에 의해 건조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탈수통체는,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 탈수통체의 상부에 피탈수물의 투입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부에 피탈수물의 취출구를 설치하고, 탈수통체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취출구로부터 피탈수물이 자중 낙하하여 꺼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탈수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탈수통체와의 사이에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송풍 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탈수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핀이 회전축부의 바깥둘레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탈수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214658A JP4824962B2 (ja) | 2005-07-25 | 2005-07-25 | 遠心分離脱水装置 |
JPJP-P-2005-00214658 | 2005-07-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8872A KR20080028872A (ko) | 2008-04-02 |
KR101014994B1 true KR101014994B1 (ko) | 2011-02-16 |
Family
ID=3768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29187A KR101014994B1 (ko) | 2005-07-25 | 2005-12-20 | 원심분리 탈수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967150B2 (ko) |
JP (1) | JP4824962B2 (ko) |
KR (1) | KR101014994B1 (ko) |
CN (1) | CN100561089C (ko) |
WO (1) | WO200701319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3678B1 (ko) | 2007-10-29 | 2008-10-15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회전축 내에 장착된 소형 초음속터빈에 의하여 작동하는원심분리기 |
JP5297218B2 (ja) * | 2009-02-06 | 2013-09-25 | 株式会社ファイブプラネット | 加工装置 |
ITRM20120388A1 (it) * | 2012-08-03 | 2014-02-04 | Algea As | Metodo ed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farina di alghe. |
JP2014119192A (ja) * | 2012-12-17 | 2014-06-30 | Kureha Corp | 脱水乾燥装置および重合体の製造方法 |
CN107816861A (zh) * | 2017-10-25 | 2018-03-20 | 广州林腾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易排料中药离心脱水装置 |
CN108811782A (zh) * | 2018-06-06 | 2018-11-16 | 荆门畅享光年机电技术服务有限公司 | 一种采用滚筛的大米加工设备 |
CN112326496B (zh) * | 2020-04-28 | 2022-07-19 | 苏州喜全软件科技有限公司 | 一种微波技术用材料含水率检测装置 |
CN112856931B (zh) * | 2021-01-13 | 2022-06-07 | 安徽宴泰食品有限公司 | 用于食醋加工原料处理装置 |
CN115479460B (zh) * | 2022-08-24 | 2024-04-16 | 永州市浯溪农业开发有限公司 | 水稻干燥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6212A (ja) | 2002-06-11 | 2004-03-04 | Dan-Takuma Technologies Inc | 洗浄乾燥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76564A (ja) * | 1982-12-28 | 1984-05-01 | Nippon Enbairo Kogyo Kk | 遠心分離容器 |
JPS607950A (ja) * | 1983-06-27 | 1985-01-16 | Nippon Enbairo Kogyo Kk | 遠心分離容器および遠心分離方法 |
JPS62204899A (ja) * | 1986-03-06 | 1987-09-09 | Yasuro Ito | 含水固形分脱水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2779870B2 (ja) | 1991-02-04 | 1998-07-23 | ハウス食品株式会社 | レトルト殺菌機 |
JP2772586B2 (ja) | 1991-02-04 | 1998-07-02 | ハウス食品株式会社 | レトルト殺菌機 |
JPH04281869A (ja) * | 1991-03-08 | 1992-10-07 | Iwatani Raifu Atsupu Kk | 乾燥装置 |
JP3302012B2 (ja) | 1991-03-11 | 2002-07-15 | 株式会社日阪製作所 | 噴霧式レトルト殺菌機 |
DE9106768U1 (de) * | 1991-06-03 | 1991-07-25 | Stelzer Ruehrtechnik Gmbh, 3530 Warburg | Begasungsrührer |
JPH0568913A (ja) * | 1991-09-11 | 1993-03-23 | Yoshikazu Yui | 生ゴミの自動脱水封入装置 |
JPH07106321B2 (ja) | 1992-01-17 | 1995-11-15 | 覺 井村 | 無洗米製造装置 |
JPH07144150A (ja) * | 1993-04-13 | 1995-06-06 | N S P:Kk | 液体分離装置 |
JP3056924B2 (ja) | 1993-11-15 | 2000-06-26 | ハウス食品株式会社 | シャワー式レトルト殺菌装置 |
JP2851238B2 (ja) | 1994-04-22 | 1999-01-27 | 東洋水産株式会社 | 包装食品の加圧加熱殺菌方法 |
AUPN314095A0 (en) * | 1995-05-23 | 1995-06-15 |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 A process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of coal and mineral slurries |
CN2241311Y (zh) * | 1995-09-13 | 1996-11-27 | 瑞安市海洋机械厂 | 离心式电热干燥机 |
JP2779340B2 (ja) | 1996-02-15 | 1998-07-23 | 株式会社日阪製作所 | 揺動型スプレー式レトルト殺菌方法及び装置 |
JP2779341B2 (ja) | 1996-02-15 | 1998-07-23 | 株式会社日阪製作所 | 回転型スプレー式レトルト殺菌方法及び装置 |
US5956858A (en) * | 1996-05-21 | 1999-09-28 |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 Apparatus for the dewatering of coal and mineral slurries |
JP3676494B2 (ja) | 1996-05-27 | 2005-07-27 | 株式会社日阪製作所 | 揺動回転型スプレー式レトルト殺菌機への配線・配管 接続構造 |
JP3677121B2 (ja) | 1996-07-26 | 2005-07-27 | 株式会社日阪製作所 | 揺動回転型スプレー式レトルト殺菌方法及び装置 |
CN2360160Y (zh) * | 1998-12-28 | 2000-01-26 | 张鸿飞 | 强力快速干燥机 |
JP2004225279A (ja) * | 2003-01-20 | 2004-08-12 | Kazumi Ishikawa | 骨材用急速脱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骨材の急速脱水方法 |
-
2005
- 2005-07-25 JP JP2005214658A patent/JP4824962B2/ja active Active
- 2005-12-20 KR KR1020077029187A patent/KR10101499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12-20 CN CNB2005800502685A patent/CN10056108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2-20 US US11/915,449 patent/US796715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2-20 WO PCT/JP2005/023380 patent/WO200701319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6212A (ja) | 2002-06-11 | 2004-03-04 | Dan-Takuma Technologies Inc | 洗浄乾燥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8872A (ko) | 2008-04-02 |
JP4824962B2 (ja) | 2011-11-30 |
US7967150B2 (en) | 2011-06-28 |
WO2007013192A1 (ja) | 2007-02-01 |
CN101208571A (zh) | 2008-06-25 |
CN100561089C (zh) | 2009-11-18 |
US20090211961A1 (en) | 2009-08-27 |
JP2007029828A (ja) | 2007-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4994B1 (ko) | 원심분리 탈수장치 | |
JP2007029828A5 (ko) | ||
JP2008267738A (ja) | 低速移動撹拌伝熱式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 |
US6655039B2 (en) | Centrifugal dryer | |
CN1952571A (zh) | 动态立式烘干机 | |
CN111609688B (zh) | 一种蔬菜干燥用防碳化装置 | |
JP4359119B2 (ja) | 回転胴型中揉機 | |
CN205957671U (zh) | 一种高效率的钛白粉干燥装置 | |
CN115111902A (zh) | 一种新型材料烘干上料装置 | |
CN209623268U (zh) | 塑料颗粒烘干装置 | |
CN113405335A (zh) | 谷物干燥装置 | |
US1048905A (en) | Centrifugal machine. | |
JP2001041650A (ja) | 遠心分離乾燥処理装置 | |
CN211894845U (zh) | 一种加工玉米淀粉的螺旋输送机 | |
CN110329732A (zh) | 一种纳米荧光材料生产用输送设备 | |
JP2000245344A (ja) | 遠心脱水機 | |
JPS6159101B2 (ko) | ||
CN220288025U (zh) | 一种药材干燥装置 | |
CN220132427U (zh) | 一种羽绒拼堆机 | |
CN216080869U (zh) | 一种石油化工固体物料干燥装置 | |
CN216857676U (zh) | 一种离心管批量自动清洗装置 | |
CN207751288U (zh) | 一种具有调节功能的闪蒸干燥机 | |
JP2008297691A (ja) | 古紙用小型製紙装置 | |
JPH08233462A (ja) | 穀粒乾燥貯蔵施設の撹拌装置 | |
KR930004055Y1 (ko) | 농,수산물 건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