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410B1 -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410B1
KR101014410B1 KR1020047006634A KR20047006634A KR101014410B1 KR 101014410 B1 KR101014410 B1 KR 101014410B1 KR 1020047006634 A KR1020047006634 A KR 1020047006634A KR 20047006634 A KR20047006634 A KR 20047006634A KR 101014410 B1 KR101014410 B1 KR 10101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ffusion
semiconductor device
impurities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4625A (ko
Inventor
미츠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34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80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 H01L29/80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with heterojunction gate, e.g. transistors with semiconductor layer acting as gate insulating layer, MIS-like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0445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crystalline silicon carbide
    • H01L21/0455Making n or p doped regions or layers, e.g. using diff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H01L21/2258Diffusion into or out of AIIIBV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01L21/3242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for the formation of PN junctions without addition of impur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893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PN junction gate, i.e. JFET
    • H01L29/66924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PN junction gate, i.e. JFET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6Compound semiconductors
    • H01L2924/1032III-V
    • H01L2924/10329Gallium arsenide [Ga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6Compound semiconductors
    • H01L2924/1032III-V
    • H01L2924/10336Aluminium gallium arsenide [AlGa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6Compound semiconductors
    • H01L2924/1032III-V
    • H01L2924/10338Indium gallium phosphide [InG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1회의 확산으로 확산층 내에 있어서의 불순물의 확산깊이를 균일하게 하여 소망의 임계전압을 얻고, 겸하여, 수득율(yield factor)을 향상시키는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기판(12)에 형성된 채널층(16)과, 채널층(16)의 상면에 형성된 확산정지층(17)과, 확산정지층의 상면에 형성된 확산층(18)과, 확산층(18)의 적어도 일부에 확산정지층(17)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불순물이 확산되는 도핑영역(25)을 가지며, 확산정지층(17)은 확산층(18)에 있어서의 불순물의 확산속도보다도 늦은 확산속도를 가지며, 확산층(18)으로부터의 불순물의 확산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확산층에 불순물을 확산하고, 게이트를 구성하는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체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통신단말의 소형화 및 저소비전력화가 강하게 요청되고 있다. 이들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송신용 파워앰프에 관하여, 단일 정전원으로의 동작이 가능한 것, 보다 저전압구동이 가능한 것, 보다 구동효율이 높은 것 등이 필요하다. 현재, 이와 같은 파워 앰프용으로서 실용화되어 있는 디바이스로는,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이하 JFET라고 칭한다.), 헤테로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Hetero FET, 이하 HFET라고 칭한다.), 숏트키배리어게이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etal-Semiconductor Filed Effect Transistor, 이하 MESFET라 칭한다) 및 P형 게이트를 이용한 헤테로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p형 게이트 HFET)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p형 게이트 HFET는 게이트에 있어서 pn접합을 가지므로 게이트에 인가하는 전압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일 정전원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헤테로구조를 가지므로 선형성이 우수한 소자이다. 또한, 이 FET의 임계전압은 에피텍셜(epitaxial) 성장에 의해 형성된 각 층의 Al이나 In의 조성, 각 층의 두께, 캐리어 농도 등, 에피텍셜 성장시에 결정되는 요인과, P형 게이트의 확산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메이커에 있어서는, 양산시에 타사의 에피텍셜 기판 메이커에 의해 제조된 에피텍셜 기판을 이용하고, 에피텍셜 기판을 가공하여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것이 많다. 한편 에피텍셜 기판 메이커에 있어서는 p형 게이트HFET를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면, GaAs 등의 기판에 GaAs, AlGaAs, InGaAs 등의 에피텍셜층을 성장시킨다. 그렇지만 이들의 층에는 각각 Al이나 In의 조성량의 불균일, 캐리어 농도의 불균일, 두께의 불균일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에피텍셜 기판에 포함되는 각층의 두께나 캐리어 농도의 컨트롤을 디바이스 메이커가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반도체기판으로서 GaAs기판(112)에 버퍼층(114)이 형성되고, 버퍼층(114)의 상면에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구성하는 채널층(116)이 형성되고, 채널층(116)의 상면에 확산층으로서 AlGaAs층(118)이 형성되어 있다. AlGaAs층(118)상에 절연막으로서 SiN막(1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AlGaAs층(118)상에는 SiN막(120)에 의해 절연된 게이트전극(124), 소스전극(121), 드레인전극(123)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전극(124)의 하층에 형성된 확산층의 AlGaAs층(118)에는 캐리어로서, 예를들면 p형불순물의 Zn을 선택적으로 확산하는 것으로, 도핑영역(125)이 형성되고, 반도체장치(101)가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개 2001-188077호 공보에 있어서, GaAs나 AlGaAs에 p형 불순물인 Zn을 확산하기 위해,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고, 그 특성으로부터 확산계수를 계산하고, 또한, 소망의 임계치전압을 얻기 위한 확산량을 계산하고, 그 계산결과에 근거하여 재차 웨이퍼를 고온으로 하여 불순물을 확산하고, 웨이퍼 냉각 후에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확산깊이를 제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확산시간이나 온도, 가스유량의 변화에 수반하여, 확산깊이가 변화하므로 반도체 디바이스의 특성의 집중화가 불가능하였다. 여기서, "집중화"란, 예를 들면, 임계치전압이 소망의 값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종래의 반도체 디바이스(10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도핑영역(125)을 형성할 때 도핑영역(125)의 제어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웨이퍼의 중심부에서 제조되는 IC(Integrated Circuit)와 주변부에서 제조되는 IC는 임계치전압이 다른 경우가 있었다. 그 결과 1장의 웨이퍼로부터 제조되는 각 반도체 디바이스(101)의 임계치전압은 균일하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당연히 IC로서는 사용할 수 없고, 수득률(yield factor)은 저하된다. 또, 이것 이외에도, 웨이퍼의 온도상승이나 냉각에 시간이 걸리고, 프로세스의 TAT(Turn Around Time)가 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특성을 유지하고, 1회의 확산으로 소망의 임계치전압을 얻을 수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1회의 확산으로 확산층에 형성되는 도핑영역이 불순물의 확산깊이를 균일하게 하여 소망의 임계치전압을 얻고, 겸하여 수득률을 향상시키는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기판에 형성된 채널층과, 채널층의 상면에 형성된 확산정지층과, 확산정치층의 상면에 형성된 확산층과, 확산층의 적어도 일부에 확산정지층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불순물이 확산되는 도핑영역을 가지고, 확산정지층은 확산층에 있어서의 불순물의 확산속도보다도 늦은 확산속도를 가지며, 확산층으로부터의 불순물의 확산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에 의하면, 확산층은 확산정치층보다도 불순물의 확산이 빠른층에 의해 형성되고, 그 하층의 확산정지층은 확산층보다 불순물의 확산이 늦은 층에 의해 형성된다. 그 때문에, 불순물은 확산층 내에서는 확산이 빠르고, 확산정지층 내에서는 확산이 급격하게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도핑영역에 있어서의 불순물의 확산깊이가 균일하게 제어되고, 반도체장치는 균일한 임계치전압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채널층의 상층에 확산정지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확산정치층의 상층에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확산층의 적어도 일부에 확산방지층과 접하도록 불순물이 도입된 도핑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며, 확산정지층을 형성 하는 공정에 있어서, 확산정지층은 확산정지층보다도 불순물의 확산속도가 늦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도핑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불순물의 확산은 확산정치층에 의해 정지된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확산층은 그 하층의 확산정지층에 비해서 불순물의 확산이 빠르므로 불순물은 확산층 내에서는 확산이 빠르고 확산정지층 내에서는 확산이 급격히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도핑영역에 있어서의 불순물의 확산깊이가 균일하게 제어되고, 반도체장치가 균일한 임계치전압을 얻도록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반도체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확산시간에 대한 확산깊이의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2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3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3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3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 3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a, 1b, 101. 반도체장치 12, 112. GaAs기판(반도체기판)
14, 114. 버퍼층 16, 116. 채널층
17. GaAs층(확산정지층) 18. InGaP층(확산층)
19. GaAs층(증발방지층) 19a. n형GaAs층
20, 120. SiN막(절연막) 21, 121. 소스전극
22a. 개구부 23, 123. 드레인전극
24, 124. 게이트전극 25, 125. 도핑영역
118. AlGaAs층(확산층)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종류의 한정이 부가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실시의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 도시하는 각층은 보기쉽게 하기 위해 거의 균등한 두께로서 하고 있지만, 이와같은 각층의 두께의 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장치(1)는 반도체기판으로서 예를들면 GaAs기판(12)상에 버퍼층(14) 및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구성하는 채널층(16)이 형성되어 있다.
채널층(16)의 상층에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확산정지층으로서의 GaAs층(17)이 형성되어 있다. GaAs층(17)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GaAs층(17)의 상층에는 확산층(18)이 적층되어 있다. 이 확산층(18)은 캐리 어인 예를들면 p형불순물의 Zn이 확산되기 쉽고, 불순물이 소정의 확산깊이까지 선택적으로 확산된다.
확산층(18)은, 종래와 같은 AlGaAs층 대신에, 예를 들면, InGaP층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InGaP층(18)의 상층에는 절연막으로서 SiN막(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InGaP층(18) 상에 SiN막(20)에 의해 절연된 게이트전극(24), 소스전극(21), 드레인전극(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전극(24)의 하층에 형성되어 있는 확산층의 InGaP층(18)에, 캐리어인, 예를 들면, p형 불순물인 Zn을 선택적으로 확산하는 것으로, 도핑영역(25)이 형성되어, 게이트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GaAs층(17)은 상층에 형성된 InGaP층(18)에 비해서, 불순물의 확산이 늦는다. 따라서 InGaP층(18)에 선택적으로 확산된 불순물은 확산정지층의 GaAs층(17)까지 도달하면 급격하게 확산이 억제된다. 결국 GaAs층(17)은 InGaP층(18)으로부터의 불순물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불순물이 확산되는 깊이가 정확하게 제어된다. 이와같이 불순물의 확산깊이가 정확하게 제어되면, 이들 게이트(24)를 포함하는 p형게이트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임계치전압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반도체장치(1)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고,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동작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 도 7은 각각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p형 게이트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GaAs기판(12) 상에, GaAs층으로 이루어지는 버퍼층(14)을 형성하고, 버퍼층(14)의 상면에 채널로 이루어지는 채널층(16)을 형성한다. 버퍼층(14) 및 채널층(16)은 에피텍셜 성장 등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채널층(16)의 상면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확산정지층으로서 GaAs층(17)을 에피텍셜성장등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aAs층(17)의 상면에 GaAs층에 비해서 불순물의 확산속도가 빠른 확산층(캐리어의 도프층)의 일례로서 InGaP층(18)을 에피텍셜 성장 등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에, InGaP층(18)의 상면에 선택 확산 마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SiN막(20)을 추적(推積)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SiN막(20)에 있어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 등에 상당하는 개구부(22a)를 형성한다.
개구부(22a)에 의해 노출된 InGaP층(18)의 상면에, 예를 들면, p형 불순물인 Zn을 약 600도의 온도에서 선택적으로 확산하고, 도핑영역(25)을 형성하여, 게이트구조를 구성한다. 여기서 p형 불순물은 InGaP층(18)에 대하여 확산하고, InGaP층(18) 보다 확산이 늦은 확산정지층의 GaAs층(17)에 대하여 확산이 정지된다. 따라서 확산층의 InGaP층(18)에 있어서는 불순물의 확산이 빠르고, 그 하층의 확산정지층의 GaAs층(17)에 있어서는 확산이 급격하게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 결과 반도체장치(1)는 1회의 확산에 의해 도핑영역(25)에 있어서 불순물의 확산깊이가 균일하게 제어되고, 예를 들면, 동일한 웨이퍼의 중심부에 대하여 제조된 경우와, 주변부에 대하여 제조된 경우라도 균일한 임계치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 환원하면 확산정지층의 GaAs층(17)에 있어서는 확산층의 InGaP층(18)에서 분리되는 것에 따라서 불순물의 농도가 저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반도체장치(1)는 확산층의 InGaP층(18)에 형성되는 도핑영역(25)에 있어서 불순물은 확산깊이가 균일하게 되고, 균일한 임계치전압을 얻을 수 있다.
최후에 개구부(22a)에 의해 노출된 InGaP층(18)의 상면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게이트전극(24)등이 형성되고, p형게이트FET가 형성된다.
도 8은 확산시간에 대한 확산깊이의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는, 확산정지층(DSL)의 GaAs층(17)이, 예를 들면, 200nm정도로 형성되고, 확산층(DL)의 InGaP층(18)이, 예를 들면, 300nm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횡축은 확산시간(tp)을 나타내고, 종축은 두께(dp)를 나타낸다.
상기의 특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확산시간 10[A. U]까지는 불순물이 확산층(DL)의 InGaP층(18) 내에 깊게 확산되고, 확산시간 10[A. U] 정도에 있어서 확산정지층(DSL)의 GaAs층(17)까지 도달한다. 그러나 불순물의 확산을, 예를 들면, 확산시간 10[A. U] 이상 길게 행하여도, 확산정지층에 있어서 불순물이 확산되는 깊이는 깊게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반도체장치(1)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래보다 확산깊이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각 반도체장치(1)는 임계치전압이 균일하게 되고 수득률이 향상된다.
여기서, 불순물 Zn의 확산은, 매우 저농도인, 1016cm-3 이하의 범위에서 채널층에 도달할 가능성도 있다. 또, 확산정지층의 막 두께는 임계치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확산정지층(17)은 확산층(18)보다 불순물의 확산이 늦은 층에 의해 형성되고, 확산층(18)측에서 분리되는 것에 따라서 서서히 불순물의 농도가 저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도체장치(1)는 확산층(18)에 형성되는 도핑영역(25)에 있어서 불순물은 확산깊이가 균일하게 제어되고, 균일한 임계치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 불순물로서 Zn을 이용하고, 확산정지층(17)에 GaAs층을 이용함으로써 확산층(18)으로부터의 불순물로서의 Zn의 확산이 늦게 확산하기 어렵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1회의 확산으로 확산층의 InGaP층(18)내에 있어서의 불순물의 확산깊이를 균일하게 하고, 소망의 임계치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겸하여 수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실시의 형태>
도 9는 제 2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1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1a)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1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1)와 거의 동일의 구성이므로 동일의 구성은 도 3과 공통의 부호를 이용해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4~도 7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과 거의 동일한 순서이므로, 동일한 순서는 도 4~도 7과 공통의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1a)는, 예를 들면, GaAs기판(12) 상에 버퍼층(14) 및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구성하는 채널층(16)이 형성되어 있다. 채널층(16)의 상층에는 확산정지층(16)으로서 GaAs층(17)이 형성되고, GaAs층(17)의 상층에는 확산층(18)이 적층되어 있다. InGaP층(18)의 상층에는 증발방지층으로서 AlGaAs층(19)이 형성되고, AlGaAs층(19)의 상층에는 절연막으로서 SiN막(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AlGaAs층(19) 상에 SiN막(20)에 의해 절연된 게이트전극(24), 소스전극(21), 드레인전극(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전극(24)의 하층에 형성되어 있는 증발방지층의 AlGaAs층(19) 및 확산층의 InGaP층(18)에, 캐리어인, 예를 들면, p형불순물인 Zn이 선택적으로 확산되고, 도핑영역(25)이 형성되어 게이트를 구성하고 있다.
반도체장치(1a)에 있어서 제 1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1)와는, InGaP층(18)과, 게이트전극(24) 등 및 SiN막(20)과의 사이에, 예를 들면, 증발방지층의 GaAs층(19)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증발방지층은 예를 들면, AlGaAs층이라도 좋다. 증발방지층은 반도체장치의 제조에 있어서의 가열공정에 의해 확산층에 포함되는 원소의 증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확산층과 확산정지층에 있어서의 불순물을 확산하는 속도의 관계가 유지된다.
반도체장치(1a)는 이와 같은 구성이며, 다음에 이 반도체장치(1a)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제 1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도 4~도 6까지가 동일하므로, 주로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GaAs기판(12)의 상에 GaAs층으로 이루어지는 버퍼층(14)을 형성하고, 버퍼층(14)의 상면에 채널로 이루어지는 채널층(16)을 형성한다. 다음에 채널층(16)의 상면에 확산정지층으로서 GaAs층(17)을 형성한다. 다음에 GaAs층(17)의 상면에 GaAs층에 비해서 불순물의 확산속도가 빠른 확산층으로서 InGaP층(18)을 형성한다. 버퍼층(14), 채널층(16), 확산정지층(17) 및 확산층(18)은, 예를 들면, 에피텍셜 성장 등에 의해 형성된다.
InGaP층(18)을 에피텍셜성장에 의해 형성한 후,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확산층의 InGaP층(18)상에 상기 증발방지층의 GaAs층(19)을 에피텍셜성장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의 도 7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증발방지층의 GaAs층(19)상에 SiN막(20)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SiN막(20)을 마스크로서 예를들면 p형불순물의 Zn이 증발방지층의 GaAs층(19) 및 확산정지층의 InGaP층(18)에 약 600도의 온도에서 선택적으로 확산된다.
이 때 InGaP층(18)에서 불순물이 확산되고, 확산정지층의 GaAs층(17)까지 도달되면, 불순물의 확산은 급격하게 정지한다. 따라서 InGaP층(18) 등에 도 11에 나타내는 도핑영역(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증발방지층의 GaAs층(19)에, 게이트전극(24)등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예를들면 확산정지층(17)을 AlGaAs층을 포함하는 층에 의해 형성하고, 불순물로서 Zn을 이용함으로써 확산정지 층(17)을 예를들면 GaAs층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증발방지층(19)은, 반도체장치를 제조하는 때의 가열에 있어서, 확산층(18)에 포함되는 원소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장치는 임계치전압이 균일하게 된다. 예를 들면, 증발방지층(19)으로서 GaAs층을 이용하여, 확산층(18)의 원소의 증발을 방지하고, 임계치전압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증발방지층(19)으로서 AlGaAs층을 이용할 수 있다. 증발방지층(19)으로서 AlGaAs층을 이용함으로써 증발방지층(19)을 예를들면 GaAs층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압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이것에 더하여, 반도체장치(1a)의 제조에 있어서 가열을 행할 때, 증발방지층의 GaAs층(19)은 확산층에 포함되는 원소, 예를 들면, InGaP층(18)에 있어서는 P 등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디바이스(1a)는 임계치전압이 균일하게 되고 수득률이 향상된다.
<제 3실시의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1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반도체장치(1b)는, 도 3에 있어서 제 1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1a)와 거의 동일의 구성이므로, 동일의 구성은 도 3과 공통의 부호를 이용해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4~도 7에 나타내는 제 1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과 거의 동일의 순서이므로, 제 1실시 형태와 동일한 순서는 도 4~도 7과 공통의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1b)는 GaAs기판(12)상에 버퍼층(14) 및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구성하는 채널층(16)이 형성되고, 채널층(16)의 상층에는 확산정지층으로서 GaAs층(17)이 적층되어 있다. GaAs층(17)의 상층에는 확산층의 InGaP층이 형성되어 있다. InGaP층(18)의 상층에는 n형GaAs층(19a)이 형성되어 있다. n형GaAs층(19a)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InGaP층(18)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노출된 InGaP층(18)에 도핑영역(25)이 형성되고, 도핑영역(25)의 상면에 게이트전극(24)이 형성되고, 게이트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 n형GaAs층(19a)의 상면에는 절연막으로서 SiN막(20)이 형성되고, SiN막(20)에 의해 절연된 소스전극(21) 및 드레인전극(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장치(1b)에 있어서는, 제 1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 디바이스(1)와는 달리, InGaP층(18)과 게이트전극(24) 및 SiN막(20)과의 사이에, 예를 들면, GaAs층(19a)(n형GaAs층)이 설치되어 있고, 또 게이트전극(24)이 GaAs층(19a)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반도체장치(1b)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도 15는 각각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제 1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도 4~도 6까지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GaAs기판(12)의 상에 버퍼층(14)을 형성하고, 버퍼층(14)의 상면에 채널이 되는 채널층(16)을 형성한다. 다음에 채널층(16)의 상면에 확산정지층으로서 GaAs층(17)을 형성하고, GaAs층(17)의 상면에 확산층으로서 InGaP층(18)을 형성한다.
InGaP층(18)을 형성한 후,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산정지층의 InGaP층(18)상에, 예를 들면, n형GaAs층(19a)을 형성한다. 다음에 GaAs층(19a)의 상면에 SiN막(20)을 형성한다. SiN막(20)은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게이트로 되는 부분이 반응성 이온에칭(Reactive Ion Etching, 이하 RIE로 칭한다.)에 의해 제거된다. 다음에 SiN막(20)으로 형성된 개구부에서 노출하는 GaAs(19a)에 있어서, 예를 들면, p형 불순물인 Zn을 약 600도의 온도에서 선택적으로 확산시킨다. 이 경우, 표면이 GaAs층이므로 증기압이 높은 As의 압력을 걸어 둔다.
소정의 시간(Zn)을 확산시키면, Zn은 GaAs층(19a)를 통과하고, 확산정지막보다 확산속도가 빠른 InGaP층(18)에 도달한다. InGaP층(18) 내에서는 Zn의 확산이 빠르므로 다음의 확산정지층의 GaAs층(17)에 도달한 때에는 거기서 확산이 정지하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Zn의 확산깊이를 에피텍셜 성장의 제어막 두께의 콘트롤과 동등한 두께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노출된 GaAs층(19a)을 에칭하여 개구부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ET의 게이트로 되는 메탈을 그 개구부 내에 증착한다. 오믹 전극으로서 InGaP층(18)의 상면에, 예를 들면, AuGeNi 등을 형성하고, 게이트전극(24)으로 한다. 상기의 공정에 의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의 반도체장치(1b)가 형성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제 1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이것에 더해서 이와같은 Zn의 확산깊이의 제어를 FET의 게이트형성에 이용하면 임계치전압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불순물로서 p형 불순물인 Zn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이외의 불순물을 채용하여도 동일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반도체장치에 있어서의 각층으로서 재질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의 각 구성은 그 일부를 생략한다던지, 상기와는 다르도록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채널층(16)은 예를들면 AlGaAs/InGaAs의 더블도프더블헤테로 구조라도 좋다. 또 예를들면 AlGaAs/GaAs의 싱글헤테로 구조의 HEMT(High Electr0n Mobility Transistor :초고속트랜지스터)라도 좋다. 또한 이 채널층은 n-형InGaAs의 도프채널구조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회의 확산으로 확산층에 형성되는 도핑영역에 있어서, 불순물의 확산깊이를 균일하게 하여 소망의 임계치전압을 얻을 수 있고, 겸하여 수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IC나 LSI등의 반도체소자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IC나 LSI 등의 반도체소자의 제조에 있어서, 임계전압을 소망의 값으로 제어하는 공정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20)

  1. 기판(12)에 형성된 채널층(16)과,
    상기 채널층(16)의 상면에 형성된 확산정지층(17)과,
    상기 확산정지층(17)의 상면에 형성된 확산층(18)과,
    상기 확산층(18)의 상층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확산층(18)에 포함되는 원소가 가열에 의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증발방지층(19)과,
    상기 확산층(18)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확산정지층(17)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불순물이 확산되는 도핑영역(25)을 가지며,
    상기 확산층에 포함되는 원소는 상기 기판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일정의 농도이며,
    상기 확산정지층(17)은 상기 확산층(18)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의 확산속도보다도 늦은 확산속도를 가지며, 상기 확산층(18)으로부터의 상기 불순물의 확산을 정지시켜서 하층의 상기 채널층에 상기 불순물을 확산시키지 않는 막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2)은 Ⅲ-Ⅴ족 화합물반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18)은 InGaP층을 포함하는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영역(25)에 있어서 상기 확산정지층(17)은, 상기 확산층 측에서 분리되는 것에 따라서 상기 불순물의 농도가 저하하고 있는 반도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은 Zn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정지층(17)은 GaAs층을 포함하는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은 Zn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정지층(17)은 AlGaAs층을 포함하는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방지층(19)은 GaAs층을 포함하는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방지층(19)은 AlGaAs층을 포함하는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18)이 p형게이트에 적용된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인 반도체장치.
  11. 기판(12)에 채널층(16)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채널층(16)의 상층에 확산정지층(17)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확산정지층(17)의 상층에 확산층(18)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확산층(18)의 상층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확산층(18)에 포함되는 원소가 가열에 의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증발방지층(19)을 형성하는 공정과,
    적어도 상기 확산층(18)의 일부에, 상기 확산정지층(17)과 접하도록 불순물이 도입된 도핑영역(25)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확산정지층(17)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확산정지층(17)은 상기 확산층(18)보다도 상기 불순물의 확산속도가 늦은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확산층(18)으로부터의 상기 불순물의 확산을 정지시켜서 하층의 상기 채널층에 상기 불순물을 확산시키지 않는 막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도핑영역(25)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의 확산은 상기 확산정지층(17)에 있어서 정지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2)은 화합물반도체기판을 이용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영역(25)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18)측에서 분리되는 것에 따라서, 상기 확산정지층(17)의 상기 불순물의 농도가 저하하도록 형성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18)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18)은 InGaP층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정지층(17)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확산정지층(17)은 GaAs층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핑영역(25)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은 Zn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정지층(17)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확산정지층(17)은 AlGaAs층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핑영역(25)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은 Zn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7. 삭제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방지층(19)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증발방지층(19)은 GaAs층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는 반도제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방지층(19)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증발방지층(19)은 AlGaAs층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는 반도제장치의 제조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18)이 p형게이트에 적용된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47006634A 2002-09-05 2003-08-29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1014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0245A JP2004103656A (ja) 2002-09-05 2002-09-05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2-00260245 2002-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625A KR20050034625A (ko) 2005-04-14
KR101014410B1 true KR101014410B1 (ko) 2011-02-15

Family

ID=3197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634A KR101014410B1 (ko) 2002-09-05 2003-08-29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09100B2 (ko)
EP (1) EP1548818A4 (ko)
JP (1) JP2004103656A (ko)
KR (1) KR101014410B1 (ko)
CN (1) CN1596464B (ko)
TW (1) TWI235436B (ko)
WO (1) WO2004023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2571B2 (en) * 2005-08-04 2011-03-08 Hitachi Cable, Ltd. III-V group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buffer layer having III-V group compound semiconductor crystal
WO2008128123A1 (en) * 2007-04-13 2008-10-23 University Of North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Fort Worth Formulation of active agent loaded activated plga nanoparticles for targeted cancer nano-therapeutics
US20100290982A1 (en) * 2007-04-13 2010-11-18 University Of North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Fort Worth Solid in oil/water emulsion-diffusion-evaporation formulation for preparing curcumin-loaded plga nanoparticles
US9136116B2 (en) * 2011-08-04 2015-09-15 Av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formation of P-N junctions in gallium nitride based electronics
US8969912B2 (en) 2011-08-04 2015-03-03 Av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a GaN vertical JFET utilizing a regrown channel
JP2015026629A (ja) * 2011-11-18 2015-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装置の構造及び製造方法
JP5857390B2 (ja) * 2012-03-30 2016-02-10 住友電工デバイ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8937317B2 (en) 2012-12-28 2015-01-20 Av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packaging gallium nitride electronics
US9324645B2 (en) 2013-05-23 2016-04-26 Av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packaging vertical gallium nitride power devices
US8947154B1 (en) 2013-10-03 2015-02-03 Av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gallium nitride electronics
US9324809B2 (en) 2013-11-18 2016-04-26 Av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leaved boost converter with co-packaged gallium nitride power devices
CN106887469B (zh) * 2017-03-22 2019-05-07 武汉光谷量子技术有限公司 一种雪崩二极管的外延结构及雪崩二极管的制造方法
CN107611174B (zh) * 2017-09-06 2020-12-18 英诺赛科(珠海)科技有限公司 氮化镓基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7418A (ja) * 1983-10-05 1985-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不純物拡散方法
US20020003245A1 (en) 2000-02-28 2002-01-10 Nec Corporation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5A (en) * 1843-09-01 Fiee-laddeb
JPS5346666B2 (ko) 1975-01-20 1978-12-15
US4502898A (en) * 1983-12-21 1985-03-05 At&T Bell Laboratories Diffusion procedure for semiconductor compound
US4843033A (en) * 1985-09-27 1989-06-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outdiffusion of zinc into III-V substrates using zinc tungsten silicide as dopant source
JPS6320878A (ja) 1986-07-14 1988-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トダイオ−ドの製造方法
US5188978A (en) * 1990-03-02 1993-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ed silicon doping of III-V compounds by thermal oxidation of silicon capping layer
GB2248966A (en) * 1990-10-19 1992-04-22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Field effect semiconductor devices
US5243207A (en) * 1991-03-15 1993-09-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to integrate HBTs and FETs
EP0531550B1 (en) * 1991-03-28 1997-12-29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Field effect transistor
JPH04364027A (ja) * 1991-06-10 1992-12-16 Victor Co Of Japan Ltd GaAsへのZnの拡散方法
US5350709A (en) * 1992-06-13 1994-09-27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of doping a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JP3294411B2 (ja) * 1993-12-28 2002-06-24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7249780A (ja) * 1994-03-08 1995-09-26 Sanyo Electric Co Ltd 電界効果型半導体素子
JP3258835B2 (ja) * 1994-11-10 2002-02-1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界効果型半導体装置
US5872031A (en) * 1996-11-27 1999-02-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nhancement-depletion logic based on gaas mosfets
JPH10223651A (ja) * 1997-02-05 1998-08-21 Nec Corp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3174293B2 (ja) * 1998-01-14 2001-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0100829A (ja) * 1998-09-25 2000-04-07 Sony Corp 接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10946B1 (en) * 1999-05-06 2002-06-25 Sony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with source and drain electrodes in ohmic contact with a semiconductor layer
JP4631103B2 (ja) * 1999-05-19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07765B2 (ja) * 1999-09-09 2005-10-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界効果型半導体装置
JP2001217257A (ja) * 2000-01-31 2001-08-10 Son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16906B2 (ja) * 2000-03-06 2005-11-1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DE10015884A1 (de) * 2000-03-30 2001-10-11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Schottky-Diode
US6429103B1 (en) * 2000-04-13 2002-08-06 Motorola, Inc. MOCVD-grown emode HIGFET buffer
JP2003017791A (ja) * 2001-07-03 2003-01-17 Sharp Corp 窒化物半導体素子及びこの窒化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6867078B1 (en) * 2003-11-19 2005-03-1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a microwave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high operating volt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7418A (ja) * 1983-10-05 1985-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不純物拡散方法
US20020003245A1 (en) 2000-02-28 2002-01-10 Nec Corporation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66090A1 (en) 2004-12-30
JP2004103656A (ja) 2004-04-02
WO2004023544A1 (ja) 2004-03-18
KR20050034625A (ko) 2005-04-14
EP1548818A4 (en) 2008-09-24
TWI235436B (en) 2005-07-01
TW200416892A (en) 2004-09-01
EP1548818A1 (en) 2005-06-29
US7109100B2 (en) 2006-09-19
CN1596464B (zh) 2010-11-03
CN1596464A (zh)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78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gallium nitride vertical JFET with self-aligned source and gate
US6410947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process of production of same
KR101014410B1 (ko)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US8847224B2 (en) Fin-based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nd method for fabrication
US6509609B1 (en) Grooved channel schottky MOSFET
US5350709A (en) Method of doping a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US714146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hannel layer,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with a conductive impurity region
US5888859A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4804635A (en) Method of manufacture of galluim arsenide field effect transistors
US8581365B2 (en) Bipolar junction transistor with layout controlled base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KR930000603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37180B1 (ko) 모스 트랜지스터의 구조
KR100426285B1 (ko) 단일 집적화된 증가 및 공핍 모드 (p-)HEMT 소자의구조 및 그 제조 방법
US6255710B1 (en) 3-D smart power IC
JP2007200984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同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及び、同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579765B1 (en)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s
JPH04225533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5942772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6338264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97495A (ja) 静電保護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66947A (ja) エッチング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2921930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集積回路
JP3407926B2 (ja) ドーピング方法、半導体装置、抵抗層、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半導体回路素子の製造方法、電気伝導領域の作製方法、量子細線の形成方法、量子箱の形成方法、量子細線トランジスタ、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電子波干渉素子
JP269763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30009811B1 (ko) 금속-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