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717B1 -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 - Google Patents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717B1
KR101012717B1 KR1020080058028A KR20080058028A KR101012717B1 KR 101012717 B1 KR101012717 B1 KR 101012717B1 KR 1020080058028 A KR1020080058028 A KR 1020080058028A KR 20080058028 A KR20080058028 A KR 20080058028A KR 101012717 B1 KR101012717 B1 KR 10101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pedestrian
prevent
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992A (ko
Inventor
박성환
김명보
Original Assignee
김명보
(주)로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보, (주)로드텍 filed Critical 김명보
Priority to KR102008005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717B1/ko
Publication of KR2009013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 도로 등의 주변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볼라드(bollard)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라드에 보행자 손상방지 수단과, 보행자의 차도 횡단시 주위를 환기시켜 사고예방을 이루도록 한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여 안전사고를 보다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도로 등의 주변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에는 외부로부터의 가해지는 가압력 및 충격을 흡수하고, 복원 동작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공기가 자동으로 배출 및 유입되는 에어 홀을 갖는 다수의 에어 볼로 이루어지는 손상방지수단이 형성되어 보행자의 충돌시 보행자의 손상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라드, 사고방지, 가이드, 손상방지

Description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have a pedestrian accident prevention function bollard}
본 발명은 공원, 도로 등의 주변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볼라드(bollard)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라드에 보행자 손상방지 수단과, 보행자의 차도 횡단시 주위를 환기시켜 사고예방을 이루도록 한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여 안전사고를 보다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진입 방지용 볼라드는 차도와 인도 경계선, 공원입구, 자전거 전용도로의 경계부분과 그 외 인도의 보행자를 보호해야 할 부분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진입 방지용 볼라드(말뚝 또는, 기둥)는 대부분이 차량의 진입 방지를 위해 상당한 강도를 가진 금속, 석(石), 합성수지 등의 원통형의 구조물로 제작,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진입 방지용 볼라드는 단순히 차량이 인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라드가 설치된 곳임을 알 수 있도록 주 위를 환기시키기 위한 어떠한 안전표시나 보행자 보호장치도 없을 뿐만 아니라, 볼라드의 상호 간격이 좁게 매설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의 야간 통행시 걸려 넘어지거나, 정강이와 무릎 등이 부딪혀 오히려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어린이 보호구역에는 신호등이 없거나, 신호등이 있더라도 어린이들의 더욱더 안전한 통행을 위해 등하교시에 학부모 또는 선생님들이 직접 깃발을 들고 나와서 수신호로 안전통행을 유도하고 있으나, 별도의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24시간 안전가이드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라드에 보행자 손상방지 수단과, 도로 횡단을 안전하게 이루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여,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과 준법정신을 고취시키며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기능을 갖는 볼라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원, 도로 등의 주변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에는 외부로부터의 가해지는 가압력 및 충격을 흡수하고, 복원 동작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공기가 자동으로 배출 및 유입되는 에어 홀을 갖는 다수의 에어 볼로 이루어지는 손상방지수단이 형성되어 보행자의 충돌시 보행자의 손상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손상방지수단은 상기 볼라드에 직접 형성되거나, 또는 캡 형태나 밴드형태의 베이스에 에어 볼이 결합 되어 형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볼라드에는, 보행자의 급하고 무분별한 도로 횡단을 방지하도록 양측으로 결합 되어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결합부 측에는 보행자 등의 접촉시 파손이나 훼손이 방지되도록 상·하·좌·우로 유동이 자유롭게 탄성부를 형성하고 신축성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 바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라드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바와 결합 되어 상기 가이드 바를 자동으로 회전동작시키는 동력원인, 정·역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일체로 결합 되는 원동풀리와, 상기 원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 되는 종동풀리로 이루어지는 구동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라드와,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바에는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외부의 빛을 받으면 반사되는 반사체나, 태양 광 또는 불빛을 축적하여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시키는 축광체 또는 LED, 전구와 같은 식별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보행자 등과의 접촉 및 충돌로 인한 충격력을 흡수하고 분산되도록 하여 보행자에게로 전달이 방지되거나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부딪힘 시에 발생 되는 보행자의 손상을 예방하거나 덜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광을 이루고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형성된 가이드 수단에 의해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보행자의 보다 안전하고 용이한 도로 횡단을 이룰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a 및 도 1b를 볼라드 몸체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의 손상방지수단의 에어 볼을 베이스 없이 볼라드에 직접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볼의 공기 배출 및 흡입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의 일 실시 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볼라드 내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를 볼라드 내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상방지수단(110)과, 가이드 수단(12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손상방지수단(110)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112)와, 상기 베이스(112)에 결합 되어 충격, 가압력, 인장력 등에 강한 내구성을 갖고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에어 볼(111)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12)는 볼라드 몸체(101)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은 캡(cap) 형태로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것은 밴드(band)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볼라드의 형상이나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베이스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볼(111)은 보행자 등의 충돌, 접촉에 의해 가압된 후 신속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속적인 펌핑이 가능하도록 그 내부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일 측으로는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에어 홀(111a)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 볼(111)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또는 가압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작동되면서 펌핑 기능이 유지되도록 상기 베이스(112)에 속이 빈, 공간을 갖고 돌출되어 결합 형성된다.
또한, 반복적인 펌핑의 수행을 통해 항상 일정한 공기 압을 보유하여 보행자의 충돌 또는 강한 접촉시 쿠션을 제공하여 신체 손상을 방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에어 볼(111)은 상기 베이스(112)에 교체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볼라드 몸체(101)에 결합 홈(102)을 형성하여 직접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 홈(102)은 다소 깊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돕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상방지수단(110)의 에어 볼(111) 대신에, 완충력과 탄성력을 구비한 폴리우레탄 또는 연질의 고무 등 합성수지를 사용한 탄성 볼(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 볼은 속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전체가 충격력과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에어 볼(111)과, 탄성 볼은, 구형(球形))으로 하여 그 형태를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지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구형(半球形),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 수단(120)은 기본적으로 플렉시블(Flexible)하고 신축성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막대형의 가이드 바(bar)(121)로 구성되어 상기 볼라드 몸체(101)의 양측으로 결합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바(121)는 보행자에 의해 부딪히거나 밀쳐지더라도 신속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가능하도록 결합 부분 측에는 상·하·좌·우 로 유동될 수 있는 탄성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122)가 형성되도록 하고, 표면에는 특히 야간에 인식이 용이하도록 불빛을 받으면 즉시 위험을 알려주게 되는 빛 반사체와, 태양 광 또는 불빛을 축적하여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하는 축광 안료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전구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121)는 야간에 빛을 발광하게 됨으로써,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볼라드(100)의 위치를 미리 알림과 동시에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게 되어 안전한 보행과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볼라드 몸체(101)에는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야간에도 용이하게 볼라드(1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바(121)에 형성되는 것과 동일하게 외부 빛이 받으면 반사되는 반사체나, 태양 광 또는 불빛을 축적하여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시키는 축광체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전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식별수단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손상방지수단(110)과 가이드 수단(120)이 형성된 볼라드(100)가 설치된 곳에서는 보행자가 통행시 잘못하여 볼라드(100)와 부딪히거나 접촉하게 될 때, 보행자의 충격력이 손상방지수단(110)을 압박하게 되면서 모든 충격력이 다수의 에어 볼(111)로 흡수됨과 동시에 에어 볼(111)은 압착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에어 볼(111)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던 공기가 에어 홀(111a)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행자가 상기 볼라드 몸체(101)와 부딪히거나 강한 접촉시에 외 부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에어 볼(111)이 쿠션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신체로 전해지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되어 부상을 방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충격력 등에 의해 에어 볼(111)을 억누르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에어 볼(111)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부피의 팽창으로 인한 흡입력이 발생 되어 에어 볼(111)의 내부 체적에 상응하는 양의 외부 공기가 에어 홀(111a)을 통해 에어 볼(111)의 내부로 흡입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보행자 등이 상기 볼라드 몸체(101)에 접촉 또는 충돌시에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즉, 외 압력이 에어 볼(111)에 가해지면 이를 에어 볼(111)이 흡수함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고, 그 반작용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시켜 항상 안전한 쿠션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행자가 상기 볼라드(100)가 설치된 도로를 횡단하고자 할 경우, 상기 볼라드 몸체(101)의 횡 방향 양측으로 연장 설치된 상기 가이드 수단(120)의 가이드 바(121)에 의해 일단 정지하게 되므로 주의가 환기되어, 보행자는 급하고 무분별한 횡단을 피하여 좌우를 살핀 후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게 되어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야간에는 빛을 발광하게 되는 식별수단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가이드 바(121)에 의해 보행자는 보다 용이하고 안전한 통행과 도로횡단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6,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수단을 항상 자동으로 구동시키 기 위한 구동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력원으로서 정회전과 역회전하는 제 1 모터(131) 및 제 2 모터(132)와, 상기 제 1 모터(131) 및 제 2 모터(132)의 축에 일체로 결합 되어 상기 제 1 모터(131) 및 제 2 모터(132)의 정·역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원동풀리(133), (134)와, 상기 원동풀리(133), (134)와 벨트(135), (136)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는 종동풀리(137),(13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종동풀리(137),(138)의 일 측으로는 상기 종동풀리(137),(138)와 동 축을 이루도록 탄성부(122)를 갖는 가이드 바(121)가 각각 결합 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바(121)는 상기 제 1 모터(131) 및 제 2 모터(132)가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하기 때문에 일 측의 가이드 바가 상승 구동시에 타 측의 가이드 바는 하강 구동을 이룰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양측 가이드 바가 동시에 상하 구동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장치(130)는, 상기 제 1 모터(131)와 제 2 모터(132)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원동풀리(133),(134)가 회전되고, 상기 원동풀리(133),(134)와 벨트(135), (136)에 의해 연결된 종동풀리(137),(138)가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각 종동풀리(137),(138)의 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결합 되어 연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121)가 각각 상하로 회전 동작함에 따라, 볼라드(100)와 볼라드(100) 사이의 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8, 9,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동장치(140)는, 정회전과 역회전하는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의 축에 일체로 결합 되어 연동하는 원동풀리(142)와, 상기 원동풀리(142)와 벨트(143)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는 종동풀리(144)와, 상기 종동풀리(144)와 대향 하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회전체(148)와, 상기 종동풀리(144) 및 회전체(148)의 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일단이 결합 되고, 타 단은 롤러(147)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롤러(147)가 슬라이딩 동작하는 슬롯(145a),(146a)을 형성한 제 1 슬라이더(145)와, 제 2 슬라이더(146)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 1 슬라이더(145) 및 제 2 슬라이더(146)의 상단 내측으로 상기 종동풀리(144)와 회전체(148)와 동일 축 상으로 탄성부(122)를 갖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121)가 결합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장치(140)는 상기 모터(141)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원동풀리(142)가 회전되고, 상기 원동풀리(142)와 벨트(143)에 의해 연결된 상기 종동풀리(144)가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슬라이더(145)와 제 2 슬라이더(146)가 상하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슬라이더(145)와 제 2 슬라이더(146)의 슬롯(145a),(146a)을 통해 롤러(147)가 이동되므로 상기 제 1 슬라이더(145) 및 제 2 슬라이더(146)는 상하 동작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 바(121)는 상하 회전 동작함에 따라, 볼라드(100)와 볼라드(100) 사이의 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장치(130),(140)은 필요에 따라 신호등 신호에 맞춰 가이드 바(121)가 연동하도록 모터제어회로를 신호제어기와 연동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타이머 등을 부가하여 일정한 설정시간에 맞춰 신호등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는 보행자의 통행이 한산한 심야시간에는 타이머 등을 조정하여 가이드 바의 회전동작 주기를 길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볼라드(100)에 의하면 손상방지수단(110)과 가이드 수단(120)을 구비함으로써, 보행자의 부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행자의 성급하고 무분별한 이동을 방지하고 일단 정지시켜 도로의 좌우를 살피도록 하기 때문에 주의를 환기로 안전하고 용이한 도로 횡단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를 볼라드 몸체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손상방지수단의 에어 볼을 베이스 없이 볼라드에 직접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볼의 공기 배출 및 흡입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의 일 실시 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볼라드 내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를 볼라드 내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볼라드 101 : 볼라드 몸체
101a : 식별수단 110 : 손상방지수단
111 : 에어 볼 111a : 에어 홀
112 : 베이스 120 : 가이드 수단
121 : 가이드 바(guid bar) 122 : 탄성체
130 : 구동장치 131 : 제 1 모터
132 : 제 2 모터 133, 134 : 원동풀리
135, 136 : 벨트 137, 138 : 종동풀리
140 : 구동장치 141 : 모터
142 : 원동풀리 143 : 벨트
144 : 종동풀리 145 : 제 1 슬라이더
145a, 146a : 슬롯 146 : 제 2 슬라이더
147 : 롤러 148 : 회전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공원, 도로 등의 주변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가해지는 가압력 및 충격을 흡수하고, 복원동작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공기가 자동으로 배출 및 유입되는 에어 홀을 갖는 다수의 에어 볼로 이루어지는 손상방지수단과, 보행자의 급하고 무분별한 도로 횡단을 방지하도록 양측으로 결합 되어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결합부 측에는 보행자의 접촉시 파손이나 훼손이 방지되도록 사방으로 유동이 자유롭게 탄성부를 형성한 한쌍의 가이드바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바와 결합 되어 상기 가이드 바를 자동으로 회전동작시키는 동력원인, 정·역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일체로 결합 되는 원동풀리와, 상기 원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되는 종동풀리로 이루어지는 구동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사고방지 기능을 갖는 볼라드.
  5. 삭제
KR1020080058028A 2008-06-19 2008-06-19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 KR101012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028A KR101012717B1 (ko) 2008-06-19 2008-06-19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028A KR101012717B1 (ko) 2008-06-19 2008-06-19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992A KR20090131992A (ko) 2009-12-30
KR101012717B1 true KR101012717B1 (ko) 2011-02-09

Family

ID=4169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028A KR101012717B1 (ko) 2008-06-19 2008-06-19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7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96Y1 (ko) 2011-08-18 2013-04-25 (주)모스트디자인 축광기능을 가진 친환경 발광 볼라드
KR101345534B1 (ko) 2012-08-13 2013-12-26 임종대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KR101345550B1 (ko) 2012-08-13 2013-12-26 임종대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KR102162561B1 (ko) * 2020-04-10 2020-10-07 유정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09Y1 (ko) * 2010-08-25 2013-02-04 김원일 도로용 안전 펜스
CN112431153B (zh) * 2020-11-27 2021-12-28 重庆芳园建设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防冲撞的路障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129A (en) 1980-08-18 1982-03-01 Hiroshi Asaga Impact energy absorbing device
KR200203168Y1 (ko) * 2000-05-12 2000-11-15 최연수 탄성체 구조물
KR200255636Y1 (ko) * 2001-08-13 2001-12-13 강경식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
KR20020003168A (ko) * 2001-11-29 2002-01-10 정배근 유선방송 전송망용 케이블 고정금구
KR20020055636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닝 시스템의 블로어 유니트 구조
KR20040037211A (ko) * 2001-09-28 2004-05-04 어레이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교정
KR200437211Y1 (ko) * 2007-09-13 2007-11-15 (주)미그린 충격흡수 볼라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129A (en) 1980-08-18 1982-03-01 Hiroshi Asaga Impact energy absorbing device
KR200203168Y1 (ko) * 2000-05-12 2000-11-15 최연수 탄성체 구조물
KR20020055636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닝 시스템의 블로어 유니트 구조
KR200255636Y1 (ko) * 2001-08-13 2001-12-13 강경식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
KR20040037211A (ko) * 2001-09-28 2004-05-04 어레이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교정
KR20020003168A (ko) * 2001-11-29 2002-01-10 정배근 유선방송 전송망용 케이블 고정금구
KR200437211Y1 (ko) * 2007-09-13 2007-11-15 (주)미그린 충격흡수 볼라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96Y1 (ko) 2011-08-18 2013-04-25 (주)모스트디자인 축광기능을 가진 친환경 발광 볼라드
KR101345534B1 (ko) 2012-08-13 2013-12-26 임종대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KR101345550B1 (ko) 2012-08-13 2013-12-26 임종대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KR102162561B1 (ko) * 2020-04-10 2020-10-07 유정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992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717B1 (ko)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
US8434965B2 (en) Impact absorption facility for road
KR100732916B1 (ko) 도로용 안전발광난간
ES2310120B1 (es) Paso de peatones con detector y avisador de presencia.
KR101131851B1 (ko) 횡단보도의 야간 조명 및 보조 신호등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101119952B1 (ko)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100955309B1 (ko)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
KR101337335B1 (ko) 볼라드
KR200188358Y1 (ko)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장치
KR20110112521A (ko)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KR101449876B1 (ko) 볼라드
KR200307144Y1 (ko) 내 충격성을 갖는 볼라드
KR200452730Y1 (ko) 개폐형 볼라드
KR200422066Y1 (ko) 차량 이탈 방지턱
US7179015B1 (en) Remote controlled tire deflator
KR102057335B1 (ko) 스마트 안전휀스
KR100701059B1 (ko) 차량진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횡단보도의 도로구조
KR100536475B1 (ko) 일방통행로 역진입 통제장치
KR100657561B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394498Y1 (ko) 석재 볼라드
KR200326788Y1 (ko) 건널목 야간 발광 표시기 장치
KR101071375B1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KR200335017Y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200320547Y1 (ko) 일방통행로 역진입 통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