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309B1 -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309B1
KR100955309B1 KR1020090038809A KR20090038809A KR100955309B1 KR 100955309 B1 KR100955309 B1 KR 100955309B1 KR 1020090038809 A KR1020090038809 A KR 1020090038809A KR 20090038809 A KR20090038809 A KR 20090038809A KR 100955309 B1 KR100955309 B1 KR 100955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elete delete
iron
needle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무
Priority to KR102009003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309B1/ko
Priority to PCT/KR2009/003103 priority patent/WO201012870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침의 동작을 위한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고, 무게를 경량화 하여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하며, 운전자에게 안전상태와 위험상태를 알려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바리케이드장치는 상부에 다수의 장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갖춘 하우징과; 플레이트의 장공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하우징 상부로 직립하여 돌출하거나 돌출하지 않도록 접히는 다수의 철침과; 철침들의 회전동작을 위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바리케이트, 철침, 피봇축

Description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BARRICADE APPARATUS FOR PREVENTION ESCAPE OF VEHCLES}
본 발명은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우징 상부의 철침이 회전에 의해 돌출하거나 회전에 의해 접히는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승용차 등 차량의 보급률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차량을 이용한 범죄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음주운전자가 많아지면서 도로에서 수배차량 단속 및 음주운전단속이 빈번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수배차량의 검색이나 음주운전 단속 시에는 경찰이 도로의 1개 또는 2개의 차선을 막은 상태에서 차량의 내부를 살피거나 차량의 운전자를 상대로 음주상태 여부를 확인한다. 또 차량의 도주를 차단하기 위하여 차선의 전방에 도주 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를 설치한다.
종래 도주 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로는 무거운 철재 파이프 형태의 구조물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바리케이트장치는 무게가 매우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동하여 설치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즉 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하고자 할 경우 대형 차량으로 옮겨야 했고, 여러명의 작업인원이 동원되어야 했다. 따라서 긴급이 요구하는 상황에서는 사용이 곤란하였다. 또 도주 차량이 대형 트럭이나 덤프 트럭 같은 대형 차량인 경우 이러한 바리케이트장치를 밀고 도주할 수 있었다.
삭제
삭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주차량의 펑크를 유도하는 철침이 하우징의 상면 윗쪽으로 돌출하거나 철침이 하우징 내부로 다시 진입하여 접힐 수 있는 형태의 바리케이트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이 바리케이트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의 하우징의 각 관통공과 일치하는 위치에 고정된 다수의 철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모터와; 상기 플레이트 아랫쪽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에 철침이 마련된 플레이트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에 설치된 다수의 캠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삭제
그러나 이러한 바리케이트장치는 무게가 무거울 뿐 아니라 철침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때 철침이 플레이트와 함께 수직으로 승강하기 때문에 구동장치에 부하가 많이 걸려 전력소비가 큰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침이 회전에 의해 돌출하거나 접힐 수 있도록 하여 철침의 동작을 위한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저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게를 경량화 하여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에게 안전상태와 위험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장치는 상부에 다수의 장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갖춘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의 장공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상부로 직립하여 돌출하거나 돌출하지 않도록 접히는 다수의 철침과; 상기 철침들의 회전동작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에 단턱 및 이 단턱과 이어지는 수직벽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벽에는 동작상태를 알리기 위한 다수의 녹색램프와 다수의 적색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된 나선축과, 상기 나선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철침들의 회전시키도록 상기 나선축에 결합된 이동판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플레이트 상부에는 고무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리모컨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콘트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침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하는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차량의 바퀴에 박혀 이탈할 수 있는 파이프가 결합되며, 피봇축에 결합되는 부분이 구부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는 상부에 다수의 장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갖춘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의 장공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상부로 직립하여 돌출하거나 돌출하지 않도록 접히는 다수의 철침과; 상기 철침들의 회전동작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철침들로부터 연장된 연장부를 밀어주도록 동작하는 솔레노이드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는 상부에 다수의 장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갖춘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의 장공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상부로 직립하여 돌출하거나 돌출하지 않도록 접히는 다수의 철침과; 상기 철침들의 회전동작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철침들의 연장부를 밀어주는 캠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는 하우징에 설치된 철침들이 회전에 의해 돌출하거나 접힐 수 있기 때문에 철침의 동작을 위한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저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는 철침들이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방식이어서 종래처럼 철침들의 승강을 위한 플레이트 등이 필요없기 때문에 종래보다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바라케이트장치는 운전자에게 안전상태와 위험상태를 알릴 수 있는 녹색램프와 적색램프를 구비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장치의 철침이 접힌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장치의 철침이 돌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에 따른 바리케이드장치(100)는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공(18)이 형성된 평판형태의 플레이트(17)를 구비하고, 소정의 높이와 횡방향의 길이를 구비하며,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 상부에는 단턱(11)과, 이 단턱(11)으로부터 이어지며 다수의 구멍(13)이 형성된 수직벽(12)이 마련되며, 수직벽의 구멍(13)에는 녹색램프(15a)와 적색램프(15b)가 번갈아 설치되어 있다.
삭제
하우징(10) 상부에는 플레이트(17) 상면을 덮는 고무판(14)이 설치되어 있고, 플레이트(17)의 각 장공들(18)에는 회전이 가능한 철침들(20)이 설치되어 있다. 철침들(20)은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끝단이 뾰족하게 연마되어 있고, 그 외면에 파이프(22)가 끼워져 있으며, 장공(18)을 통해 하우징(10) 내측으로 진입하는 부분이 소정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또 철침(20)의 굽힘지점에는 하우징(10)에 지지된 피봇축(25)이 설치되어 철침들(20)이 피봇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0) 내에 위치하는 각 철침(20) 단부 쪽에는 축(26)이 결합되는 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축(26)에는 철침(20)의 동작을 위한 이동판(31)이 연결되어 있다. 이동판(31)은 축(26)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39)과 그 하단에 결합된 너트(38)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동판(31)의 너트(38)에는 모터(3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축(35)이 결합된다. 모터(30)의 동작에 의해 나선축(35)이 회전하면 이동판(31)이 이동하고, 이동판(31)의 이동에 의해 철침들(20)이 회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침들(20)이 하우징 위로 돌출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침들(20)이 접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모터(30)는 일반 콘센트에 연결되는 교류 전류 또는 휴대용 밧데리에서 제공되는 직류 전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바리케이트장치의 동작 및 사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삭제
삭제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장치(100)는 그 자체가 과속방지턱과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차량의 과속주행을 막는데 이용할 수 있고, 수배차량의 검색이나 음주운전 단속 시 검문지점으로부터 약간 전방에 설치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차량의 도주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하우징(100)이 내충격성과 내구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가벼운 합성수지재이기 때문에 차량의 트렁크에 넣고 다니면서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볍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침들(20)이 접힌 상태에서는 철침들(20)이 플레이트(17) 상부에 설치된 고무판(14)보다 낮은 높이를 유지하기 때문에 철침들(20)이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이처럼 철침들(20)이 접힌상태에서는 하우징(10)의 수직벽(12)에 마련된 녹색램프(15a)가 점등됨으로써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검문하던 차량이 바리케이트장치의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주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검문도중 도주차량이 발생하면 바리케이트장치를 작동시켜 차량이 도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검문자는 리모콘(미도시)으로 바리케이트장치(100) 내부의 콘트롤러(미도시)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모터(30)를 작동시킨다.
모터(30)가 작동하면 나선축(35)이 회전하고, 나선축(35)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판(31)이 이동하여 각 철침(20)의 하단과 연결된 축(26)을 밀어준다. 따라서 각 철침(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직립하게 됨으로써 상단 뾰족한 부분이 하우징(10) 상부로 돌출하게 된다. 또 이때는 녹색램프(15a)가 꺼지고 적색램프(15b)가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린다.
삭제
이러한 상태에서 도주차량이 주행할 경우에는 타이어가 철침(20)에 찔리게 되므로 타이어의 펑크가 생긴다. 또 철침(20)이 타이어를 찌를 때는 철침(20)의 외면에 결합된 파이프(22)가 철침(20)으로부터 이탈하여 타이어에 박힌다. 이는 철침(20)과 파이프(22) 내면 사이의 마찰력보다 타이어와 파이프(22) 외면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이다. 이처럼 파이프(22)가 타이어에 박히면, 타이어 내부의 바람이 파이프(22)를 통해 빠르게 방출되므로 차량은 도주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이다. 이는 모터(30)의 동력이 축(37)을 통해 복수의 구동베벨기어(51)로 전달되고, 상호 이격된 복수의 나선축(36)에 결합된 피동베벨기어들(52)이 각 구동베벨기어들(51)과 치합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각 나선축(36)에는 이동판의 너트(38)가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하나의 모터(30)로 복수의 나선축(36)을 회전시킴으로써 여러 개소에 위치하는 이동판들을 동시에 작동시키고 이를 통해 철침들(20)이 돌출하거나 접히는 동작이 더욱 원활히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이다. 이는 상호 이격된 위치의 나선축들(36a,36b,36c) 중 어느 하나(36a)에 모터(30)를 연결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나선축들(36b,36c)은 풀리들(61,62,63,64)과 벨트들(65,66)을 통해 동력이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이다. 이는 구동모터 대신 직선운동을 구현하는 솔레노이드구동장치(70)가 설치된 경우이다. 솔레노이드구동장치(70)에 전류가 인가되어 액츄에이터(72)가 앞으로 돌출되면서 이동판(75)을 밀어주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솔레노이드구동장치(70)가 동작하면, 철침들(20)은 피봇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도 8의 상태에서 도 9의 상태로 동작한다.
삭제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이다. 제5실시 예의 바리케이트장치는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공(18)이 형성된 평판형태의 플레이트(17)를 구비하고, 소정의 높이와 횡방향으로 긴 길이를 구비하며,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 상부의 플레이트(17)에 형성되는 장공들(18)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각 장공들(18)에는 회전동작에 의해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하거나 돌출하지 않도록 접히는 다수의 철침들(20)이 설치되고, 하우징(10) 내부에는 이러한 철침들(20)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가 설치된다.
또 하우징(10)의 상측 전방에는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된 단턱(11)과, 이 단턱(11)으로부터 이어진 수직벽(12)이 마련되며, 수직벽(12)에는 그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녹색램프(15a)와 적색램프(15b)가 번갈아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측 후방에도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는 장공들(18)이 형성된 위치의 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각 철침들(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피봇축(25a) 및 제2피봇축(25b)을 구비한다. 제1피봇축(25a)과 제2피봇축(25b)에 설치된 다수의 철침들(20)은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끝단이 뾰족하게 연마되어 있고, 그 외면에 파이프(22)가 끼워져 있으며, 장공(18)을 통해 하우징(10) 내측으로 진입하는 부분이 소정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철침들(20)은 굽힘지점이 제1 및 제2피봇축(25a,25b)에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2피봇축(25a,25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 구동장치는 하우징(10) 내측으로 연장된 각 철침(20) 단부 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피봇축(25a) 및 제2피봇축(25b)과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연결축(26a) 및 제2연결축(26b)과, 제1연결축(26a)과 제2연결축(26b)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바(27)와, 철침들(20)의 회전 동작을 위해 제1연결축(26a) 쪽에 근접하여 설치된 캠(82)과, 캠(82)을 회전시키도록 그 축(81)이 캠(82)에 연결된 모터(8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모터(80)의 구동에 의해 캠(82)이 회전하면, 캠(82)의 꼭지점(82a)이 철침들(2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를 한쪽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모터(80)와 캠(82)이 구동하면 철침들(20)은 제1 및 제2피봇축(25)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하므로 도 11의 상태에서 도 12의 상태로 돌출하도록 동작한다. 또 캠(82)의 위치가 도 12의 상태에서 도 11의 상태로 동작하면, 철침들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물론 철침의 복귀동작은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등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캠(82)의 회전위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센싱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 바리케이트장치의 분해사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의 철침이 접힌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의 철침이 돌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바리케이트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삭제

Claims (13)

  1.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는 다수의 장공들(18)이 형성된 플레이트(17)가 그 상부에 마련되고, 상측 전방에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된 단턱(11) 및 이 단턱(11)과 이어진 수직벽(12) 갖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수직벽(12)에 그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번갈아 설치된 다수의 녹색램프(15a) 및 적색램프(15b)와;
    상기 플레이트(17)의 각 장공(1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상부로 돌출하거나 돌출하지 않도록 접히는 다수의 철침(20)과;
    상기 철침들(20)의 회전동작을 위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장공들(18)이 형성된 위치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각 철침들(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피봇축(25a) 및 제2피봇축(25b)과, 제1피봇축(25a) 및 제2피봇축(25b)과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연장된 각 철침(20)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연결축(26a) 및 제2연결축(26b)과, 제1연결축(26a)과 제2연결축(26b)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바(27)와, 상기 철침들(20)의 회전 동작을 위해 제1연결축(26a) 쪽에 근접하여 설치된 캠(82)과, 이 캠(82)을 회전시키는 모터(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케이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침들(20)은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돌출하는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바퀴에 박혀 이탈하는 파이프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피봇축(25a,25b)에 결합되는 부분이 구부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케이트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90038809A 2009-05-04 2009-05-04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 KR100955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809A KR100955309B1 (ko) 2009-05-04 2009-05-04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
PCT/KR2009/003103 WO2010128705A1 (ko) 2009-05-04 2009-06-10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809A KR100955309B1 (ko) 2009-05-04 2009-05-04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309B1 true KR100955309B1 (ko) 2010-04-30

Family

ID=4222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809A KR100955309B1 (ko) 2009-05-04 2009-05-04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5309B1 (ko)
WO (1) WO201012870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052A (ko) 2015-01-21 2016-07-29 하종식 차량 도주방지를 위한 타이어킬러형 바리케이드
CN107642055A (zh) * 2017-10-26 2018-01-30 张连军 一种市政用道路维修警示标志牌
KR20190019356A (ko) 2017-08-17 2019-02-27 이필성 이동식 바리케이드
US11680378B1 (en) * 2020-06-30 2023-06-20 Peter Barrett Spike str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4881A (zh) * 2021-03-17 2021-07-27 安徽翔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车辆限重功能的检测道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440U (ko) * 1998-10-21 2000-05-15 박용환 차량도주방지용 이동식 철침장치
KR200415636Y1 (ko) * 2005-12-28 2006-05-04 정종광 도주방지용 전동 펑크발생 장치턱
EP1873315A1 (en) * 2003-02-12 2008-01-02 Qinetiq Limited Vehicle arresting device
KR20090027874A (ko) * 2007-09-13 2009-03-18 정구관 차량 검문검색용 도주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683B1 (ko) * 2005-05-20 2006-10-02 허영길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440U (ko) * 1998-10-21 2000-05-15 박용환 차량도주방지용 이동식 철침장치
EP1873315A1 (en) * 2003-02-12 2008-01-02 Qinetiq Limited Vehicle arresting device
KR200415636Y1 (ko) * 2005-12-28 2006-05-04 정종광 도주방지용 전동 펑크발생 장치턱
KR20090027874A (ko) * 2007-09-13 2009-03-18 정구관 차량 검문검색용 도주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052A (ko) 2015-01-21 2016-07-29 하종식 차량 도주방지를 위한 타이어킬러형 바리케이드
KR20190019356A (ko) 2017-08-17 2019-02-27 이필성 이동식 바리케이드
CN107642055A (zh) * 2017-10-26 2018-01-30 张连军 一种市政用道路维修警示标志牌
US11680378B1 (en) * 2020-06-30 2023-06-20 Peter Barrett Spike st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8705A1 (ko)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309B1 (ko)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트장치
CN110242084B (zh) 一种地下立体车库用车位校准设备
US8164483B1 (en) Portable electro-mechanical signal system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010276B1 (ko) 차량용 바리케이드
CN105569394B (zh) 横移停车位
KR200396011Y1 (ko) 주차금지 표시장치
KR101012717B1 (ko)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
KR100628683B1 (ko)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장치
KR101224474B1 (ko) 출입통제용 바리케이드
KR200188358Y1 (ko)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장치
EP2397387A1 (en) Barrier installation, barrier and method therefor
JP3164287U (ja) 車両方向転換機
KR200391880Y1 (ko) 차량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장치
CN2801882Y (zh) 临检闸道之遥控管制器
CN211454803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光强自适应信号灯
KR100701059B1 (ko) 차량진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횡단보도의 도로구조
KR101071757B1 (ko) 안전 장치와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자전거
CN105545035A (zh) 转向停车位
CN201062347Y (zh) 地埋式防撞道闸
CN108374369B (zh) 一种道路施工车辆防撞缓冲车
CN202187304U (zh) 阻车钉路闸
KR20210011855A (ko) 차량 도주방지용 장치
CN219045121U (zh) 一种便携式遥控路障
CN108360420B (zh) 一种具有伪装功能的路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