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561B1 -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 - Google Patents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2561B1 KR102162561B1 KR1020200044136A KR20200044136A KR102162561B1 KR 102162561 B1 KR102162561 B1 KR 102162561B1 KR 1020200044136 A KR1020200044136 A KR 1020200044136A KR 20200044136 A KR20200044136 A KR 20200044136A KR 102162561 B1 KR102162561 B1 KR 1021625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bar
- module
- pedestrian
- rotation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라드의 양측으로 차단바를 돌출시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단바를 통한 횡단보도의 통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행시에는 차단바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본체부에 넣어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통행의 효과적인 조절과 보행자 등의 충돌에 따른 차단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라드의 양측으로 차단바를 돌출시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단바를 통한 횡단보도의 통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행시에는 차단바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본체부에 넣어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통행의 효과적인 조절과 보행자 등의 충돌에 따른 차단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나 인도 등에 기둥 형태로 설치되어 차량 진입을 제한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볼라드는 주로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에 설치되며, 예컨대 횡단보도, 주택 밀집지역, 주차장 출입구 및 건물이 밀집된 복잡한 거리에서의 보행자 안전 등을 위해 설치되고 있다.
특히, 볼라드는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횡단보도가 형성된 인도에 설치되어 차량이 인도로 침입하거나 보행자의 통행을 가로막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기존에는 바닥에 고정되는 일반적인 볼라드 구조물만을 설치하거나 단순한 조명만이 설치될 뿐이었다.
따라서, 횡단보도에 설치된 볼라드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횡단을 보조하고 보행자의 안전성을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음에도 그러한 기능을 가진 볼라드를 찾을 수 없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838879호(2018.03.09. 등록)"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볼라드의 양측으로 차단바를 돌출시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단바를 통한 횡단보도의 통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행시에는 차단바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본체부에 넣어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통행의 효과적인 조절과 보행자 등의 충돌에 따른 차단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단바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행자 등과의 충돌에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차단바의 회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장치의 구성과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 대한 보행자의 통행 조절과 함께 차량의 통행 조절도 가능하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단바의 회전시 본체부와의 충돌을 통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단바 내에 조명부를 설치하여 더욱 효과적인 통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복수의 조명모듈을 조명설치판에 형성하여 차단부 내로의 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명부의 설치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명모듈 각각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잔여수명을 진단하여 이에 대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의 교체가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가 차단바에 의해 통행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근접정도를 측정하여 경고하도록 함으로써 차단바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잔여거리, 보행속도 및 통행신호의 잔여시간을 고려하여 횡단을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통행시간 내 보행자의 횡단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통행신호의 점등 후에도 횡단보도에 대한 차량의 근접이 위험한 수준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차단바의 수평 상태로 복귀시켜 보행자의 통행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보장하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단바의 회전이 설정된 각도대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회전부의 이상, 이상시점의 예측 및 점검의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회전부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는 횡단보도가 형성된 지점의 양측 인도에 일정 간격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양측으로 돌출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단바와, 상기 본체부 내에 형성되어 차단바를 작동시키는 차단바작동부와, 상기 차단바 내에 삽입되어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와, 볼라드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바작동부는 상기 본체부 양측으로 돌출된 차단바를 하향 회전시켜 수직인 상태에서 본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작동부는 양측의 차단바를 각각 90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차단바의 작동을 지지하는 작동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차단바의 끝단을 밀거나 당겨 차단바를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의 끝단에 형성되어 차단바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걸림축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지지부는, 상기 차단바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차단바지지부재와, 상기 차단바에 고정되어 상기 차단바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바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탄성체와; 상기 회전축의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회전축삽입공과; 상기 회전실린더에 의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차단바 끝단에 '┛'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걸림축이 삽입되는 걸림축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절곡단;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축삽입공은 회전절곡단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는 각각 별도의 회전실린더에 연결되어 회전하거나 또는 하나의 회전실린더 전후 측으로 각각 연결되어 본체부의 양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하나의 회전실린더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는 상기 본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한 쌍이 돌출되어 횡단보도를 지나는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회전되는 차단바를 지지하는 차단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바닥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볼라드몸체와, 상기 볼라드몸체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본체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바지지부는 상기 볼라드몸체 내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는 차단바가 접촉될 수 있는 대향면에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차단바 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이 안착되며, 차단바 내에 삽입되어 입출되는 조명설치판과; 상기 조명설치판이 지지되어 입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입출레일과; 상기 차단바의 반대측 끝단에 관통 형성되어 조명설치판이 입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레일은 입출레일의 끝단에 형성되어 조명설치판을 지지하는 차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덮개는 삽입공의 폐쇄시 조명설치판을 눌러 고정시키는 누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상태를 감시하는 조명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모듈은 조명모듈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감시부는 상기 조명모듈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는 작동정보수신모듈과, 작동되는 조명모듈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정보를 전류측정센서로 요청하는 전류정보요청모듈과, 상기 전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정보를 수신하는 전류정보수신모듈과, 각 조명모듈의 초기 전류량과 측정된 전류량의 비율에 따라 남은 성능의 잔여지수를 산출하는 잔여지수산출모듈과, 잔여지수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조명모듈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이상판단모듈과, 이상으로 판단된 조명모듈에 근접한 조명모듈을 점멸시키는 이상점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는 횡단보도측의 보행자를 감지하는 보행자센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바의 기본 동작에 대한 작동을 조절하는 차단바조절부와, 보행자의 접근 속도에 따라 차단바를 세워 차단바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바조절부는 횡단보도 신호의 통행 및 정지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보행신호연동모듈과, 통행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의 작동에 따라 차단바를 90도 하향 회전시키는 하강회전모듈과, 정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차단바를 90도 상승 회전시켜 지면과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회전모듈과, 상기 돌출회전모듈에 의한 차단바의 회전중 및 회전후 일정시간 내에 횡단보도측의 보행자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보행자감지모듈과,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 차단바를 다시 하강 회전시키는 하강복귀모듈과, 보행자에게 빠른 횡단을 지시하는 횡단지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돌방지부는 상기 차단바가 본체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볼라드로부터 일정 범위 내로 보행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근감지모듈과,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보행자의 접근속도를 산출하는 속도산출모듈과, 보행자와의 거리 및 접근속도에 따라 볼라드에 근접되고 있는 정도를 산정하는 근접도연산모듈과, 근접도가 볼라드에 부딪힐 위험이 있는 경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바를 하강회전시키는 비상회전모듈과, 접근하는 보행자에게 충돌방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충돌방지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행신호의 남은 시간과 보행자의 횡단속도를 고려하여 횡단을 안내하는 횡단보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횡단보장부는 횡단하는 보행자가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보행자인식모듈과, 보행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모듈과, 보행자의 횡단속도를 연산하는 횡단속도연산모듈과, 통행신호의 잔여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잔여시간수신모듈과, 보행자의 횡단속도와 거리, 잔여시간에 따라 횡단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도달가능여부판단모듈과, 횡단이 어려운 경우 보행자에게 증속을 지시하는 증속지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증속지시모듈은 상기 차단바를 일정 범위에서 상하 회전시켜 증속 필요를 알리는 경고진동모듈과, 점등을 통해 알리는 경고점등모듈과, 증속의 필요를 음성으로 알리는 경고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는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센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근접에 따라 횡단을 대기하는 보행자에게 위험을 알리고 횡단보도의 통행을 차단하는 위험경고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험경고부는 횡단보도의 신호등으로부터 통행신호정보를 수신하는 통행신호수신모듈과,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모듈과, 차량의 접근속도를 산출하는 차량속도산출모듈과, 차량의 거리 및 접근속도에 따라 횡단보도의 위험을 인지하는 위험인지모듈과, 위험이 인지되는 경우 하강 회전하는 차단바를 다시 올려 통행을 차단시키는 비상차단모듈과, 통행을 차단하는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바의 회전 작동을 감시하는 회전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바지지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회전감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감시부는 상기 회전축의 설정된 회전각도와 상기 회전감지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회전각도의 오차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회전부의 작동 이상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이상감지부와, 상기 이상감지부에 의해 이상으로 진단되지는 않았으나 이상 발생 시점이 근접한 경우 이상 발생 시점을 예측하여 알리는 이상예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예측부는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의 오차가 이상으로 진단되는 설정값 이하의 위험 범위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위험값인지모듈과, 위험범위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횟수를 산출하는 연속횟수산출모듈과, 오차값을 연속횟수만큼 합산하여 이상 위험에 근접한 정도를 나타내는 위험지수를 산정하는 위험지수산정모듈과, 위험지수에 따라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상하여 제공하는 이상시점예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시부는 이상으로 감지되거나 이상 위험 시점이 예측되지 않더라도 오차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회전부의 작동에 대한 급격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점검을 요청하는 점검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요청부는 오차의 변화정도를 계산하는 변화율연산모듈과, 오차율의 변화정도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오차율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지속횟수를 산출하는 지속횟수산출모듈과, 지속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점검을 지시하는 점검지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볼라드의 양측으로 차단바를 돌출시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단바를 통한 횡단보도의 통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행시에는 차단바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본체부에 넣어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통행의 효과적인 조절과 보행자 등의 충돌에 따른 차단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단바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행자 등과의 충돌에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차단바의 회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장치의 구성과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 대한 보행자의 통행 조절과 함께 차량의 통행 조절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단바의 회전시 본체부와의 충돌을 통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단바 내에 조명부를 설치하여 더욱 효과적인 통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복수의 조명모듈을 조명설치판에 형성하여 차단부 내로의 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명부의 설치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명모듈 각각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잔여수명을 진단하여 이에 대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의 교체가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가 차단바에 의해 통행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근접정도를 측정하여 경고하도록 함으로써 차단바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잔여거리, 보행속도 및 통행신호의 잔여시간을 고려하여 횡단을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통행시간 내 보행자의 횡단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통행신호의 점등 후에도 횡단보도에 대한 차량의 근접이 위험한 수준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차단바의 수평 상태로 복귀시켜 보행자의 통행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보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단바의 회전이 설정된 각도대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회전부의 이상, 이상시점의 예측 및 점검의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회전부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조명부의 평면도(a), A-A,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c)
도 8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8의 차단바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8의 충돌방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8의 횡단보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8의 위험경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8의 회전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8의 조명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좌우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전후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조명부의 평면도(a), C-C, D-D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c)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차단바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조명부의 평면도(a), A-A,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c)
도 8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8의 차단바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8의 충돌방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8의 횡단보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8의 위험경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8의 회전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8의 조명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좌우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전후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조명부의 평면도(a), C-C, D-D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c)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차단바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볼라드는 횡단보도(C)가 형성된 지점의 양측 인도에 일정 간격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 양측으로 돌출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단바(2)와, 상기 본체부(1) 내에 형성되어 차단바(2)를 작동시키는 차단바작동부(3)와, 상기 본체부(1)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차단바(2)를 지지하는 차단바지지부(4)와, 상기 차단바(2) 내에 삽입되어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5)와, 볼라드 주변의 보행자 또는 차량을 감지하는 센싱부(6)와, 볼라드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7)와, 본체부(1) 상단에 형성되어 보행자 등을 촬영하는 카메라부(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는 기존 볼라드와 같이 횡단보도에 형성되어 차량의 진입을 막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차단바(2)를 통해 보행자의 통행을 조절하도록 하여 횡단보도의 안전한 횡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볼라드는 본체부(1) 양측으로 차단바(2)를 돌출시켜 보행자의 횡단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고, 횡단보도의 통행 신호시에는 차단바(2)를 하강 회전하여 보행자의 통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하측으로 회전하는 차단바(2)는 횡단보도(C)의 통행신호가 유지되는 동안 지면과 90도를 이루는 상태로 본체부(1) 내로 수용되도록 하여 보행자와의 충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볼라드는 차단바(2)를 따라 조명부(5)를 형성하여 차단바(2)의 정확한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횡단보도의 통행에 따른 다양한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안전한 통행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명부(5)는 차단바(2)에 입출되는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명부(5)에 대한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볼라드는 제어부(7)를 통한 차단바(2)의 작동조절을 통해 보행자의 횡단보도에 대한 안전한 횡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차단바(2)와의 충돌을 방지하며, 차량과의 충돌 위험또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차단바(2)의 회전작동 및 조명부(5)의 작동에 대한 감시를 통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는 볼라드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C)가 형성된 인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체부(1) 양측으로 차단바(2)를 돌출시켜 횡단보도(C)에 대한 보행자의 통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단바(2)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양측이 아닌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보행자와 함께 차량의 통행을 차단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는 바닥에 고정되는 볼라드몸체(11)와 볼라드몸체(11)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본체뚜껑(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라드몸체(11)는 바닥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라드몸체(11)는 내부에 차단바작동부(3)가 수용되도록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바작동부(3)의 회전부(31), 작동지지부(33)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차단바(2)가 돌출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차단바(2)가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뚜껑(12)은 볼라드몸체(11)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볼라드몸체(11) 내부의 차단바작동부(3)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뚜껑(12) 상에도 조명부(5)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본체뚜껑(12)의 상단에는 카메라부(8)가 형성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2)는 상기 본체부(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횡단보도(C)에 대한 보행자의 통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손상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2)는 상기 차단바작동부(3)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며,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본체부(1)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횡단보도 신호등의 통행신호가 점등될 경우 하측로 회전하여 본체부(1) 내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시 통행신호가 종료되면 본체부(1) 밖으로 상승하여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바(2)는 횡단보도에 대한 통행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보행자의 통행시에는 차단바(2)를 본체부(1) 내에 수용하여 보행자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바(2)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양측이 아닌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횡단보도(C)를 지나는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을 모두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횡단보도의 통행신호시에는 차량측 차단바(2)는 본체부(1)로부터 돌출되도록 올리고, 인도측 차단바(2)는 내리도록 하며, 횡당보도의 정지신호시에는 차량측 차단바(2)를 내리고, 인도측 차단바(2)를 올리도록 하며, 이를 위해 각 차단바(2)는 별개의 회전부(31)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바(2)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차단바(2)가 각각 별개의 회전부(31)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회전부(31)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단바(2)가 하나의 회전부(31)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경우에는 양측의 차단바(2)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회전부(31)의 전후측에서 각각 회전부(31)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바(2)는 회전부(31)의 후술할 회전실린더(311)를 통한 원활한 회전을 위해 그 끝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2)는 내부에 조명부(5)가 형성되도록 하며, 차단바(2) 상에 탄성체(21)를 형성하도록 하여 차단바(2)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축삽입공(22) 및 회전절곡단(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1)는 차단바(2) 상에 형성되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고무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라드몸체(11) 밖으로 돌출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차단바(2)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행자와의 충돌에도 차단바(2)의 파손 가능성을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보행자의 안전 또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삽입공(22)은 상기 차단바작동부(3)의 후술할 회전축(332)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차단바(2)가 회전축(332)과 함께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절곡단(23)은 차단바(2)의 끝단에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회전부(31)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회전실린더(311)가 형성되는 본체부(1)측 끝단에 '┛'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실린더(311)의 상하 방향 작동만으로 차단바(2)의 9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절곡단(23) 상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관통되는 걸림축삽입공(231)이 형성되도록 하며, 걸림축삽입공(231)에는 회전부(31)의 후술할 걸림축(312)이 삽입되어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에 따라 차단바(2)가 9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절곡단(23)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바(2) 각각에 회전부(31)가 형성되는 경우 양측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걸림축(312)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작동부(3)는 차단바(2)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차단바(2)의 상하 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차단바(2)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바작동부(3)는 횡단보도의 정지신호시 차단바(2)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본체부(1)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통행신호가 켜지는 경우 하측으로 90도 회전하여 본체부(1) 내에 수용되고, 다시 정지신호가 켜지면 차단바(2)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바작동부(3)는 회전부(31), 작동지지부(3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31)는 차단바(2)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상하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31)는 회전실린더(311), 걸림축(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실린더(311)는 그 작동에 따라 차단바(2)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에 따라 회전실린더바(311a)가 입출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실린더바(311a)의 끝단에는 걸림축(312)이 형성되어 차단바(2)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하며, 회전실린더바(311a)의 입출에 따라 차단바(2)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실린더(311)는 회전실린더바(311a)를 돌출시키는 경우 차단바(2)가 하측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90도를 이루게 되며, 회전실린더바(311a)를 당기는 경우 차단바(2)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하게 된다.
상기 걸림축(312)은 상기 회전실린더바(311a)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양단이 상기 차단바(2)의 걸림축삽입공(2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축(312)은 회전실린더바(311a)의 입출에 따라 차단바(2)의 끝단을 당기거나 밀어 차단바(2)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절곡단(23)의 걸림축삽입공(22)이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걸림축(312)은 걸림축삽입공(22)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단바(2)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회전실린더(311a)의 상하 방향 입출만으로도 차단바(2)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지지부(33)는 상기 회전부(3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차단바(2)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지지부(33)는 차단바(2)를 지지하는 차단바지지부재(331), 차단바(2)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는 상기 차단바(2)의 양측에서 차단바(2)를 지지하여 차단바(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1)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는 회전축(332)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차단바(2)가 회전축(332)과 함께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 상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축(332)과 연결되는 감속기를 별도로 형성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회전축(332)의 회전속도를 줄여 차단바(2)가 90도로 정확하게 회전하면서 차단바(2)가 본체부(1)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는 회전축(332)의 회전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회전감지모듈(33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332)과 연결하여 회전축(332)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단바(2)가 설정된 각도대로 회전하고 있는지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후술할 회전감시부(72)에서 회전부(31) 작동의 이상 및 이상 발생 시점의 예상, 성능 저하에 따른 점검의 요청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332)은 차단바(2)의 회전축삽입공(2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단바(2)가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회전축(332)과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332)은 차단바(2)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축(332)의 회전각도를 통해 차단바(2)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회전감지모듈(331a)에 의해 차단바(2)의 회전각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지지부(4)는 본체부(1)에 형성되어 차단바(2)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회전하는 차단바(2)를 지지하여 충돌에 의한 파손 및 과도한 회전에 따른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바지지부(4)는 탄성지지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재(41)는 상기 차단바(2)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차단바(2)를 탄성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바(2)는 상기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에 따라 하향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질 때, 차단바(2)의 회전에 의한 관성 또는 회전실린더(311) 작동의 오류에 따라 90도를 넘어 과도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탄성지지부재(41)를 통해 차단바(2)를 지지하도록 하여 본체부(1)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회전축(332)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부(5)는 차단바(2) 내에 형성되어 빛을 발산하는 구성으로, 차단바(2)에 조명효과를 부여하여 시인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각종 경고신호의 점등을 통해 보행자의 안전한 횡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조명부(5)는 차단바(2) 내에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조명부(5)의 설치와 관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부(5)는 조명모듈(51), 조명설치판(52), 입출레일(53), 삽입공(54), 개폐덮개(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51)은 차단바(2) 내에 형성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차단바(2)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명모듈(51)은 조명설치판(52) 상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조명설치판(52)의 입출을 통해 차단바(2)에 대한 설치와 관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모듈(51)은 led 등 다양한 조명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설치판(52)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그 교체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51)에는 조명모듈(51)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미도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류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에 따라 후술할 조명감시부(73)에 의해 조명모듈(51)의 상태가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설치판(52)은 조명모듈(51)이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일정 길이와 너비를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차단바(2) 상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설치판(52) 상에는 복수의 조명모듈(51)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조명모듈(5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와 전선들이 고정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명설치판(52)은 상기 차단바(2) 상에 입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조명모듈(51)의 설치 및 교체시 조명설치판(52)을 삽입시키고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51)의 설치와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삽입 및 인출의 편리를 위해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설치판(52)은 차단바(2) 상의 입출레일(53)을 따라 입출되어 일정한 경로를 따른 삽입 및 인출과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54)을 통해 입출된다.
상기 입출레일(53)은 조명설치판(52)이 입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명설치판(52)의 양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출레일(53)은 조명설치판(52)의 삽입 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 측에는 차단턱(531)이 형성되어 입출레일(53)을 따라 삽입되는 조명설치판(52)이 차단턱(53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공(54)은 차단바(2)의 본체부(1) 반대측 끝단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차단바(2) 내에 조명설치판(52)이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조명모듈(51)의 설치 및 교체시 조명설치판(52)을 삽입공(54)을 통해 입출시키도록 하며, 상기 개폐덮개(55)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덮개(55)는 상기 삽입공(54)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조명설치판(52)의 입출시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덮개(55) 상에는 누름돌기(551)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돌기(551)에 의해 상기 조명설치판(52)이 눌려져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누름돌기(5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54)의 폐쇄시 상기 조명설치판(52)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명설치판(52)이 차단바(2)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싱부(6)는 본체부(1)에 형성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보행자를 감지하는 보호자센싱모듈(61)과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센싱모듈(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은 상기 본체부(1)에 형성되어 보행자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측과 인도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은 레이저 또는 초음파 등의 광신호를 통해 보행자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시간에 따라 보행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신호를 발생시켜 그 거리의 차이에 따라 보행자의 볼라드에 대한 근접 속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은 본체부(1)에 접근하는 보행자의 속도 산출을 위해 횡단보도를 따라 또는 인도측의 복수의 지점을 감지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인지를 위해 복수의 일정 지점을 감지하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은 감지되는 보행자 정보를 상기 작동조절부(71)로 전달하며, 전달되는 보행자 정보에 따라 차단바(2)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량센싱모듈(62)은 차량이 횡단보도(C)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차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보행자센싱모듈(61)과 같이 레이저 또는 초음파 등의 광신호를 통해 보행자 및 보행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점에서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의 이동속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량센싱모듈(62)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는 상기 작동조절부(71)로 전달되며, 후술할 위험경고부(714)에 의해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는 볼라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차단바(2)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71), 상기 차단바(2)의 회전 작동을 감시하는 회전감시부(72), 상기 조명부(5)의 작동을 감시하는 조명감시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조절부(71)는 상기 차단바작동부(3)의 작동을 조절하여 차단바(2)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횡단보도(C) 신호등의 통행신호 및 정지신호에 따른 차단바(2)의 동작을 조절하고, 차단바(2)에 대한 충돌의 방지, 통행신호 동안의 보행자 횡단을 보장하고, 차량의 접근시 보행자의 횡단을 제한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조절부(71)는 차단바조절부(711), 충돌방지부(712), 횡단보장부(713), 위험경고부(7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조절부(711)는 횡단보도(C) 신호등의 통행신호 및 정지신호에 따를 차단바(2)의 동작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특히 통행신호가 종료되었음에도 아직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한 보행자가 있는 경우에는 차단바(2)를 비상 회전시켜 보행자가 차단바(2)에 의해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하고, 차단바(2) 등과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단바조절부(7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횡단보도의 정지신호시 차단바(2)를 본체부(1) 양측으로 돌출시켜 보행자의 횡단을 차단하며, 횡단보도의 통행신호가 점등되면 차단바(2)를 수직으로 하향 회전시켜 본체부(1)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통행신호가 종료되면 차단바(2)를 다시 상승시켜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회전시킴으로써 본체부(1)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바조절부(71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바(2)가 본체부(1)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각 차단바(2)를 반대로 작동시켜 횡단보도의 통행신호시에는 차량측 차단바(2)를 본체부(1)로부터 돌출시키며 보행자측 차단바(2)를 본체부(1) 내에 수용하도록 하고, 정지신호시에는 이와는 반대로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조절부(711)는 보행신호연동모듈(711a), 하강회전모듈(711b), 돌출회전모듈(711c), 보행자감지모듈(711d), 하강복귀모듈(711e), 횡단지시모듈(711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신호연동모듈(711a)은 횡단보도(C) 신호등의 통행신호 및 정지신호에 관한 정보를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통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등, 통행신호의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하여 이에 대한 볼라드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강회전모듈(711b)은 횡단보도(C) 신호등으로부터 통행신호가 점등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본체부(1) 양측으로 돌출된 차단바(2)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을 통해 회전실린더바(311a)를 상측으로 돌출시키는 경우 상기 차단바(2)의 끝단이 상승하면서 90도 하향회전하여 지면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바(2)가 수직을 넘어 과도하게 회전하거나 관성에 의해 수직을 넘어가는 경우에도 탄성지지부재(41)와 접촉되어 차단바(2) 또는 본체뚜껑(12)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돌출회전모듈(711c)은 차단바(2)를 90도 회전시켜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본체부(1)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강회전모듈(711b)과는 반대로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을 통해 회전실린더바(311a)를 당기도록 한다.
상기 보행자감지모듈(711d)은 상기 돌출회전모듈(711c)에 의해 차단바(2)가 상승회전하는 동안 그리고 상승회전 종료후 일정시간 내에 보행자가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 더욱 정확하게는 횡단보도측 보행자센싱모듈(61)로부터 보행자가 감지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보행자감지모듈(711d)에 의해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통행신호가 종료되었음에도 아직 보행자가 횡단보도(C)를 건너지 못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차단바(2)를 다시 하강시키도록 하여 보행자가 차단바(2)에 의해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바(2)와의 충돌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강복귀모듈(711e)은 상기 보행자감지모듈(711d)에 의해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 즉각 차단바(2)를 다시 하향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에 따라 회전실린더바(311a)를 돌출시켜 차단바(2)가 하향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강복귀모듈(711e)은 뒤늦은 보행자의 횡단을 보장하고 보행자가 차단바(2)에 부딪혀 다치거나 차단바(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강복귀모듈(711e)은 보행자의 통과후 자동으로 다시 상승 회전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하강복귀모듈(711e)에 의해 차단바(2)를 하향 회전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승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횡단지시모듈(711f)은 횡단이 늦은 보행자에 대해 빠른 횡단을 촉구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조명부(5)를 통해 경고신호를 점등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차단바(2)를 하향 회전시킨 상태에서 일정 범위의 회전을 반복하여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돌방지부(712)는 차단바(2)에 대한 보행자의 충돌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보행자가 차단바(2)를 향해 접근하는 속도를 감지하여 충돌 위험이 인지되는 경우 차단바(2)를 비상 회전시키고 충돌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차단바(2)에 대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2)는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통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급하게 길을 건너거나 스마트폰 등을 보면서 길을 건너는 보행자가 차단바(2)를 미처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가 충돌 위험이 있을 정도로 볼라드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차단바(2)를 하향 회전시키고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차단바(2)에 대한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차단바(2)의 손상을 방지하고 차단바(2)와의 충돌을 통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충돌방지부(712)는 접근감지모듈(712a), 속도산출모듈(712b), 근접도연산모듈(712c), 비상기립모듈(712d), 충돌방지신호출력모듈(712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근감지모듈(712a)은 본체부(1)의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단바(2)가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에 의해 보행자를 감지하도록 하며, 횡단보도측 및 인도측 모두 본체부(1)로부터 일정 거리의 보행자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속도산출모듈(712b)은 본체부(1)로부터의 일정 거리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 보행자의 근접속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에 의해 감지되는 보행자와의 거리에 따라 보행자의 근접속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복수의 보행자센싱모듈(61)을 마련하여 보행자의 근접속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근접도연산모듈(712c)은 보행자와의 거리와 보행자의 근접속도에 따라 보행자가 본체부(1)에 가까워지는 정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거리가 가깝고 근접속도가 높을수록 높은 근접도가 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근접도연산모듈(712c)에 의해 산정되는 근접도는 근접속도를 보행자와의 거리로 나누어 산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근접도가 높을수록 차단바(2)에 대한 충돌위험이 높은 것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비상회전모듈(712d)은 상기 근접도연산모듈(712c)에 의해 산정되는 근접도가 경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단바(2)를 하향회전시켜 보행자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실린더(311)를 작동시켜 회전실린더바(311a)를 상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비상회전모듈(712d)은 보행자가 차단바(2)를 인지하지 못하고 충돌 위험이 있는 속도로 접근하는 경우 차단바(2)를 즉각 하향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와의 충돌에 따른 손상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돌방지신호출력모듈(712e)은 비상회전모듈(712d)에 의해 차단바(2)를 하향회전시킴과 함께 충돌을 방지하는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경고음성 또는 경고음, 조명부(5)의 경고 점등, 차단바(2)의 진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횡단보장부(713)는 보행자가 횡단보도의 통행시간 내에 횡단보도를 건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볼라드로부터 보행자와의 거리와 보행자의 횡단속도를 고려하여 통행시간 내에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횡단속도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증속을 지시하여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횡단보장부(713)는 보행자인식모듈(713a), 거리감지모듈(713b), 횡단속도연산모듈(713c), 잔여시간수신모듈(713d), 도달가능여부판단모듈(713e), 증속지시모듈(713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자인식모듈(713a)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가 일정 지점에 도달하는 것을 인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에 따라 보행자를 인식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보행자인식모듈(713a)은 횡단보도측 보행자센싱모듈(61)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중앙선을 통과하여 일정 거리가 남은 지점의 보행자를 인식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리감지모듈(713b)은 상기 보행자인식모듈(713a)에 의해 보행자가 인식되는 경우 보행자와의 거리에 따라 횡단보도의 남은 거리를 산출해내는 구성으로,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에 의해 보행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하고, 감지된 거리에서 횡단보도의 끝과 볼라드와의 거리를 차감하여 횡단보도의 남은 거리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횡단속도연산모듈(713c)은 상기 보행자인식모듈(713a)에 의해 인식된 보행자의 횡단속도를 연산하는 구성으로, 보행자센싱모듈(61)에 의해 출력되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반사 시간을 통해 횡단속도를 산출하거나 또는 복수이 보행자센싱모듈(61)에 의해 측정되는 보행자와의 거리에 따라 보행자의 횡단속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잔여시간수신모듈(713d)은 횡단보도의 통행시간에 대한 잔여시간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횡단보도의 신호등으로부터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달가능여부판단모듈(713e)은 횡단보도의 남은 거리와 보행자의 횡단속도를 고려하여 도달예상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통행신호의 잔여시간과 비교하여 보행자가 통행시간 내에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증속지시모듈(713f)은 상기 도달가능여부판단모듈(713e)에 의해 보행자가 횡단보도의 통행시간 내에 건너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보행자에게 증속을 지시하는 구성으로, 경고진동모듈(713f-1), 경고점등모듈(713f-2), 경고음성출력모듈(713f-3)을 모두 포함하여 보행자의 확실한 횡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고진동모듈(713f-1)은 차단바(2)의 회전 진동을 발생시켜 보행자에게 빨리 건너야 함을 알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경고음성출력모듈(713f-3)에 의한 증속의 지시와 함께 차단바(2)가 흔들리도록 하여 보행자에게 대한 지시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고진동모듈(713f-1)은 상기 차단바(2)가 하향 회전한 상태에서 일정 범위만큼 상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을 통해 상기 회전실린더바(311a)를 일정 길이만큼 입출시킴으로써 차단바(2)의 회전 진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고점등모듈(713f-2)은 상기 조명부(5)를 점등시켜 보행자에게 증속을 지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통행신호 및 정지신호시의 점등 색상과는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되도록 하고 경고의 의미를 부여하도록 빠른 속도의 깜빡임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경고음성출력모듈(713f-3)은 보행자에게 증속을 지시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더 빨리 횡단하세요" 등의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단바(2)의 경고진동 및 조명부(5)의 경고점등과 함께 안내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보행자의 증속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험경고부(714)는 횡단보도(C)에 대기중인 보행자가 통행신호의 점등과 함께 횡단보도(C)를 건너려고 하는 경우, 차량의 근접을 감지하여 차단바(2)가 하향회전하는 것을 복귀시키도록 함으로써 신호를 어기는 차량에 의한 횡단보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험경고부(714)는 통행신호수신모듈(714a), 차량감지모듈(714b), 차량속도산출모듈(714c), 위험인지모듈(714d), 비상차단모듈(714e), 경보신호출력모듈(714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행신호수신모듈(714a)은 횡단보도(C) 신호등의 통행신호가 점등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통행신호의 수신에 따라 차단바(2)를 상승 회전시키면서 차량센싱모듈(62)에 의한 차량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량감지모듈(714b)은 통행신호가 수신됨과 동시에 차량센싱모듈(62)에 의해 횡단보도(C)에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그 접근속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량속도산출모듈(714c)은 상기 차량감지모듈(714b)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횡단보도(C)에 대한 근접속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지점에서 차량을 감지하여 그 측정시간에 따라 차량의 근접속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험인지모듈(714d)은 차량의 근접속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위험을 인지하는 구성으로, 차단바(2)의 하향회전을 차단하면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비상차단모듈(714e)은 위험이 인지되는 경우 통행신호의 점등에 따라 하향회전하던 차단바(2)를 다시 상승 회전시켜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행자의 횡단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보신호출력모듈(714f)은 차단바(2)에 의해 횡단 통제와 함께 차량이 위험하게 근접하고 있음을 점등 및 경고음성에 의해 알려 보행자의 횡단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하며, 일 예로 "차량이 접근하고 있습니다. 건너지 마세요" 등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시부(72)는 상기 차단바(2)의 회전을 감시하여 회전부(31)에 의한 회전이 설정된 각도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감지모듈(331a)에 의해 차단바(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332)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도록 하고, 측정된 회전각도를 설정된 값과 비교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31)는 회전실린더(311)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 또는 걸림축(312), 회전축(332) 등의 구성이 제대로 회전하지 못하거나 걸림축(312)이 걸림축삽입공(231)을 따라 제대로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회전부(31)를 통한 차단바(2)의 정확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상기 차단바(2)는 90도로 회전하여 지면과 수평인 상태와 수직인 상태를 반복하므로, 상기 회전감시부(72)는 회전축(332)이 90도로 회전하는지 감시하여 회전부(31)의 작동상태를 진단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감시부(72)는 차단바(2)의 회전각도가 90도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회전부(31) 작동의 이상을 진단하거나 또는 이상으로 진단되지 않더라도 회전각도의 오차가 위험범위에서 일정횟수 이상 연속되는 경우 그 오차정도에 따라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상할 수 있도록 하고, 이상이 진단되거나 이상 위험 시점이 예측되지 않더라도 회전각도의 오차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회전부(31)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회전부(31)에 대한 점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감시부(72)는 이상감지부(721), 이상예측부(722), 점검요청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감지부(721)는 회전부(31)의 작동 이상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감지모듈(331a)에 의해 측정되는 회전각도가 설정된 회전각도인 90도에서 일정정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이상으로 진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상감지부(721)는 회전부(31)의 작동 이상을 신속하게 인지하여 이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관리자에 대한 별도의 단말기로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상예측부(722)는 이상감지부(721)에 의해 이상으로 진단되지 않더라도 회전각도의 오차가 위험범위에서 연속되는 경우 이에 따른 위험지수를 산정하여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측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상예측부(722)는 위험값인지모듈(722a), 연속횟수산출모듈(722b), 위험지수산정모듈(722c), 이상시점예상모듈(72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값인지모듈(722a)은 회전각도의 오차가 위험범위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여기서 위험범위라 함은 이상감지부(721)에 의해 이상으로 진단되는 회전각도에 대한 오차의 설정값 이하의 일정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위험범위는 이상이 확정적으로 발생되지는 않았으나 근시일내에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상기 위험값인지모듈(722a)은 회전각도의 오차가 위험범위에 존재하는 것이 인지되는 경우 오차값을 저장하고 그 연속횟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연속횟수산출모듈(722b)은 회전각도의 오차가 위험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그 연속횟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차단바(2)의 회전시마다 오차가 위험범위에 존재하는 것이 연속되는 횟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위험지수산정모듈(722c)은 회전각도의 오차값 및 그 연속횟수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연속되는 횟수마다의 오차값을 모두 합산하여 위험지수를 산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위험지수산정모듈(722c)에 의해 산정되는 위험지수가 높을수록 근시일내에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음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이상시점예상모듈(722d)은 위험지수산정모듈(722c)에 의해 산정되는 위험지수에 따라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상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위험지수에 따라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시점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이에 따른 이상 발생 위험 시점을 예상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위험지수에 따른 이상 발생 위험 시점 정보는 실험적 또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험지수를 10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가장 높은 1구간일 경우에는 1일 내, 2구간일 경우에는 3일 내 등 각 구간에 따라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상하여 관리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검요청부(723)는 상기 이상감지부(721)에 의해 이상이 감지되거나 이상예측부(722)에 의해 이상 위험 시점이 예측되지 않더라도 회전각도의 오차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회전부(31)의 기능 저하로 판단하여 회전부(31)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점검요청부(723)는 변화율연산모듈(723a), 기준값비교모듈(723b), 지속횟수산출모듈(723c), 점검지시모듈(72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화율연산모듈(723a)은 회전각 오차의 변화정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차단바(2)의 회전시마다 오차가 변화하는 정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기준값비교모듈(723b)은 상기 변화율연산모듈(723a)에 의해 산출되는 오차의 변화정도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오차의 변화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지속횟수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속횟수산출모듈(723c)은 오차의 변화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기준값을 초과하는 지속횟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연속되는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점검의 필요롤 알리도록 한다.
상기 점검지시모듈(723d)은 오차의 변화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설정된 횟수를 넘어 계속되는 경우 회전부(31)의 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점검의 필요를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감시부(72)는 이상감지부(721)를 통해 회전부(31)의 작동 이상을 신속하게 감지하면서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도 이상에 근접한 경우에는 이상예측부(722)에 의해 이상이 발생될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측하도록 하여 이에 대한 대비가 미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상이 진단되거나 이상 위험 시점이 예측되는 않는 경우에도 오차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회전부(31)의 작동을 미리 점검하도록 하여 이상이 발생될 시점을 늦출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감시부(72)는 회전부(31)의 작동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회전부(31)의 작동 수명을 늘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감시부(73)는 상기 조명부(5)의 작동을 감시하는 구성으로, 조명모듈(51)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조명모듈(51)의 잔여 수명 또는 이상 여부와 이에 따른 교체시기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51)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감시부(73)는 작동정보수신모듈(731), 전류정보요청모듈(732), 전류정보수신모듈(733), 잔여지수산출모듈(734), 이상판단모듈(735), 이상점멸모듈(7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정보수신모듈(731)은 각 조명모듈(51)의 작동이 개시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작동의 개시 후 각 조명모듈(51)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전류정보요청모듈(732)은 각 조명모듈(51)의 작동이 개시되는 경우 각 조명모듈(51)에 대한 전류 정보를 요청하는 구성으로, 각 조명모듈(51)에 형성된 전류측정센서(미도시)에 대해 전류 정보를 요청하도록 한다.
상기 전류정보수신모듈(733)은 상기 전류측정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값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각 조명모듈(51)에 대한 전류값 정보를 식별하여 수신·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잔여지수산출모듈(734)은 수신된 전류값 정보에 따라 각 조명모듈(51)의 잔여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여기서 잔여지수라 함은 작동이 가능한 정도, 즉 잔여 수명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잔여지수산출모듈(734)은 각 조명모듈(51)의 측정된 전류값을 초기 전류값으로 나누어 잔여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잔여지수가 높을수록 잔여 수명이 많이 남아있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잔여지수산출모듈(734)은 산출된 잔여지수를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상판단모듈(735)에 의한 이상 판단의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상판단모듈(735)은 상기 잔여지수산출모듈(734)에 의해 산출된 잔여지수를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잔여지수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조명모듈(51)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각 조명모듈(51)의 잔여 수명이 일정 정도 미만인거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상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이상판단모듈(735)은 이상이 발생한 조명모듈(51)의 위치를 별도 사용자단말기 등을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 이상점멸모듈(736)에 의해 차단바(2) 자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이상점멸모듈(736)은 이상이 발생한 조명모듈(51)에 가장 인접한 조명모듈(51)을 점멸시키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이상이 발생한 조명모듈(51)의 위치를 작업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조명모듈(51)을 교체하고자 하는 작업자는 이상이 발생한 조명모듈(51)의 위치를 쉽게 식별하고, 해당 위치의 조명설치판(52)을 차단바(2)로부터 인출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조명모듈(51)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8)는 볼라드 주변을 촬영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뚜껑(12)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 및 차량센싱모듈(62)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할 수 있고, 볼라드 주변의 촬영을 통해 사고 등의 발생시 cctv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8)는 볼라드 주변의 인도측 및 횡단보도측 보행자를 촬영하도록 하거나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차량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으며,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통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고 속도, 거리 등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차단바조절부(711), 충돌방지부(712), 횡단보장부(713), 위험경고부(714) 등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를 도 15 내지 도 20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볼라드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체부(1''), 차단바(2''), 차단바작동부(3''), 차단바지지부(4''), 조명부(5''), 센싱부(6''), 제어부(7''), 카메라부(8'')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는 일 실시예와는 달리 횡단보도의 통행신호시 차단바(2'')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여 차단바(2'')의 존재를 보행자가 더욱 쉽게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차단바(2'')를 통한 통행조절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수직으로 세워진 차단바(2'')를 하강시켜 본체부(1'') 내에 수용함으로써 차단바(2'')와 보행자 등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볼라드는 차단바(2'')의 회전이 상측으로 이루어져 세워지며 하강하여 본체부(1'')에 수용되는 것만을 달리하고, 대부분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는 볼라드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일 실시예와 같이 볼라드몸체(11''), 본체뚜껑(12'')을 포함하며, 볼라드몸체(11'') 내에는 회전부(31''), 승강부(32''), 작동지지부(33'')가 형성되고, 볼라드몸체(11'') 양측으로 차단바(2'')가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차단바(2'')는 볼라드몸체(11')에서 수직 방향으로 한 쌍이 돌출되도록 하여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을 모두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뚜껑(12'')에는 차단바지지부(4'')가 형성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차단바(2'')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2'')는 상기 본체부(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횡단보도(C)에 대한 보행자의 통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단바작동부(3'')에 의해 회전 및 승강이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차단바(2'')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본체부(1'')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횡단보도 신호등의 통행신호가 점등될 경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회전하며,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강하여 본체부(1'') 내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시 통행신호가 종료되면 본체부(1'') 밖으로 상승하여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바(2'')는 차단바(2'')의 동작에 대한 보행자의 시인성을 높여 효과적인 통행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보행자의 통행시에는 차단바(2'')를 본체부(1'') 내에 수용하여 보행자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바(2'')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내부에 조명부(5'')가 형성되도록 하며, 차단바(2'') 상에 탄성체(21'')를 형성하도록 하여 차단바(2'')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축삽입공(22'')을 통해 회전축(332'')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바(2'')는 본체부(1'')측 끝단에 회전분기단(23'')을 형성하여 회전부(31'')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21'') 및 회전축삽입공(22'')에 관한 설명은 일 실시예와 같다.
상기 회전분기단(23'')은 차단바(2'')의 본체부(1'')측 끝단에 양측으로 분기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회전분기단(23'')에는 걸림축삽입공(231'')이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부(31'')의 걸림축(312'')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후술할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에 따라 걸림축(312'')이 당겨지거나 밀리도록 하여 차단바(2'')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작동부(3'')는 차단바(2'')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차단바(2'')의 상하 방향 회전과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차단바(2'')를 지지하여 회전 및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바작동부(3'')는 횡단보도의 정지신호시 차단바(2'')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본체부(1'')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통행신호가 켜지는 경우 상측으로 90도 회전하여 세워지고 본체부(1'') 내로 하강하여 수용되고, 다시 정지신호가 켜지면 차단바(2'')가 상승하여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바작동부(3'')는 회전부(31''), 승강부(32''), 작동지지부(3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31'')는 차단바(2'')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상하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31'')는 회전실린더(311''), 걸림축(312''), 지지축(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실린더(311'')는 그 작동에 따라 차단바(2'')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에 따라 회전실린더바(311a'')가 입출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실린더바(311a'')의 끝단에는 걸림축(312'')이 형성되어 차단바(2'')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하고, 회전실린더(311'')의 하단에는 지지축(313'')이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작동지지부(33'')의 후술할 차단바지지부재(331'')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실린더(311'')는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실린더바(311a'')도 차단바(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실린더(311'')바의 입출에 따라 차단바(2'')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실린더(311'')는 회전실린더바(311a'')를 돌출시키는 경우 차단바(2'')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회전하며, 회전실린더바(311a'')를 당기는 경우 차단바(2'')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하게 된다.
상기 걸림축(312'')은 상기 회전실린더바(311a'')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양단이 상기 차단바(2'')의 걸림축삽입공(2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축(312'')은 회전실린더바(311a'')의 입출에 따라 차단바(2'')의 끝단을 당기거나 밀어 차단바(2'')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축(313'')은 상기 회전실린더(311'')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축(313'')은 회전실린더(311'')가 차단바지지부재(331'')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에 따라 차단바(2'')의 상하 방향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32'')는 차단바(2'')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부(31'')에 의해 차단바(2'')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32'')는 회전부(31'')를 지지한 상태에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양측의 회전부(31'')를 동시에 지지하여 함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부(32'')는 차단바(2'')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21'')와, 회전부(31'')를 지지하는 지지판(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321'')는 차단바(2'')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볼라드몸체(11'') 내부의 바닥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강실린더바(321a'')를 상하 방향으로 입출시켜 상기 지지판(322'')을 승강시키도록 하고, 회전부(31'') 및 이와 연결된 차단바(2'')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322'')은 상기 승강실린더바(321a'')의 상단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양측 상부에 차단바지지부재(331'')가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승강실린더(321'')의 작동에 따라 차단바지지부재(331'') 및 이와 연결된 차단바(2'')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지지부(33'')는 상기 회전부(31'') 및 승강부(32'')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차단바(2'')의 회전 및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지지부(33'')는 차단바(2'')를 지지하는 차단바지지부재(331''), 차단바(2'')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332''), 차단바지지부재(33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는 상기 차단바(2'')의 양측에서 차단바(2'')를 지지하여 차단바(2'')의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판(322'') 상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는 일정 높이와 너비를 갖는 판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바(2'')의 양측에서 차단바(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는 그 상부에 회전축(332'')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차단바(2'')가 회전축(332'')과 함께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차단바지지부재(331'')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부(31'')의 지지축(313'')이 삽입되어 회전실린더(31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는 회전축(332'')의 회전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회전감지모듈(33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332'')과 연결하여 회전축(332'')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단바(2'')가 설정된 각도대로 회전하고 있는지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후술할 회전감시부(72)에서 회전부(31'') 작동의 이상 및 이상 발생 시점의 예상, 성능 저하에 따른 점검의 요청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332'')은 차단바(2'')의 회전축삽입공(2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단바(2'')가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회전축(332'')과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바(2'')는 회전축(3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고, 차단바지지부재(331'')의 승강과 함께 승강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332'')은 차단바(2'')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축(332'')의 회전각도를 통해 차단바(2'')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회전감지모듈(331a'')에 의해 차단바(2'')의 회전각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가이드부재(333'')는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가 승강가이드부재(333'')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가이드부재(333'')는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가 일정 경로를 따라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차단바(2'') 또한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지지부(4'')는 본체뚜껑(12'')에 형성되어 차단바(2'')를 지지하도록 하며, 차단바(2'')가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질 때 본체뚜껑(12'')과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차단바(2'')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바지지부(4'')는 탄성지지부재(41'') 및 차단바가이드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재(41'')는 상기 차단바(2'')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점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차단바(2'')와의 충돌시에도 차단바(2'') 또는 본체뚜껑(1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2'')는 상기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데, 차단바(2'')의 회전에 의한 관성 또는 회전실린더(311'') 작동의 오류에 따라 90도를 넘어 과도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과도한 회전의 경우에도 상기 탄성지지부재(41'')를 통해 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이 발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가이드부재(42'')는 차단바(2'')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차단바(2'')의 양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차단바(2'')를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차단바(2'')의 승강시 차단바(2'')가 좌우로 쏠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바가이드부재(42'')는 차단바(2'')의 승강시 차단바(2'')가 흔들려 본체부(1'')와 부딪히거나 차단바작동부(3'')의 구성에 무리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바가이드부재(42'')는 차단바(2'')와 접촉될 수 있는 내측으로 탄성을 가진 보호탄성부재(421'')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단바(2'')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부(5'') 및 센싱부(6'')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7'')는 볼라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차단바(2'')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71''), 상기 차단바(2'')의 회전 작동을 감시하는 회전감시부(72''), 상기 조명부(5'')의 작동을 감시하는 조명감시부(7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감시부(72'') 및 조명감시부(73'')에 관한 설명은 일 실시예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또한, 상기 작동조절부(71'')도 일 실시예와 같이 차단바조절부(711''), 충돌방지부(712''), 횡단보장부(713''), 위험경고부(714'')를 포함하고, 차단바조절부(711'')의 작동만이 상이하며, 충돌방지부(712''), 횡단보장부(713''), 위험경고부(714'')에 있어서도 차단바(2'')의 회전이 상측으로 이루어져 90도로 세워지는 작동만을 달리하게 되므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차단바조절부(711'')는 횡단보도(C) 신호등의 통행신호 및 정지신호에 따를 차단바(2'')의 동작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일 실시예와 달리 횡단보도의 통행신호시 차단바(2'')를 수직으로 세워 하강시켜 본체부(1'')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통행신호가 종료되면 차단바(2'')를 다시 상승시켜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하향 회전시킴으로써 본체부(1'')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바조절부(711'')도 일 실시예와 같이 통행신호가 종료되었음에도 아직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한 보행자가 있는 경우에는 보행자의 횡단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차단바조절부(711'')는 차단바(2'')를 비상 기립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바조절부(711'')는 보행신호연동모듈(711a''), 기립회전모듈(711b''), 차단바하강모듈(711c''), 차단바상승모듈(711d''), 차단회전모듈(711e''), 보행자감지모듈(711f''), 기립회복모듈(711g''), 횡단지시모듈(711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신호연동모듈(711a'')은 횡단보도(C) 신호등의 통행신호 및 정지신호에 관한 정보를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통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등, 통행신호의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하여 이에 대한 볼라드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립회전모듈(711b'')은 횡단보도(C) 신호등으로부터 통행신호가 점등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본체부(1'') 양측으로 돌출된 차단바(2'')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세우는 구성으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을 통해 회전실린더바(311a'')를 당기는 경우 상기 차단바(2'')의 끝단이 당겨져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바(2'')가 수직을 넘어 과도하게 회전하거나 관성에 의해 수직을 넘어가는 경우에도 탄성지지부재(41'')와 접촉되어 차단바(2'') 또는 본체뚜껑(12'')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차단바하강모듈(711c'')은 기립회전모듈(711b'')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차단바(2'')를 하강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실린더(321'')를 작동시켜 승강실린더바(321a'')를 당기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단바하강모듈(711c'')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바(2'')가 본체부(1'')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최대한 차단바(2'')를 하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차단바(2'')의 하강시 차단바(2'')는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차단바가이드부재(42'')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일정 경로를 따라 하강하므로 안정적인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바지지부재(331'') 또한 승강가이드부재(333'')에 지지되어 일정 경로를 따른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바하강모듈(711c'')은 차단바(2'') 및 차단바(2'')를 지지하는 차단바지지부재(331'')가 차단바가이드부재(42'') 및 승강가이드부재(333'')에 지지되어 일정 경로를 따라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주변 구성과의 충돌이나 과도한 부하없이 안정적인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상승모듈(711d'')은 상기 승강실린더(321'')의 작동을 통해 차단바(2'')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통행신호가 종료되면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차단바(2'')의 안정적인 상승에 관한 설명은 차단바하강모듈(711c'')에 의한 하강의 경우와 같다.
상기 차단회전모듈(711e'')은 차단바상승모듈(711d'')에 의해 상승된 차단바(2'')를 90도 회전시켜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본체부(1'')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기립회전모듈(711b'')과는 반대로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을 통해 회전실린더바(311a'')를 돌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보행자감지모듈(711f'')은 상기 차단회전모듈(711e'')에 의해 차단바(2'')가 하강회전하는 동안 그리고 하강회전 종료후 일정시간 내에 보행자가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보행자센싱모듈(61''), 더욱 정확하게는 횡단보도측 보행자센싱모듈(61'')로부터 보행자가 감지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보행자감지모듈(711f'')에 의해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통행신호가 종료되었음에도 아직 보행자가 횡단보도(C)를 건너지 못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차단바(2'')를 다시 세우도록 하여 보행자가 차단바(2'')에 의해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바(2'')와의 충돌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립회복모듈(711g'')은 상기 보행자감지모듈(711f'')에 의해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 즉각 차단바(2'')를 다시 수직으로 세우도록 하는 구성으로, 회전실린더(311'')의 작동에 따라 회전실린더바(311a'')를 당겨 차단바(2'')가 세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기립회복모듈(711g'')은 뒤늦은 보행자의 횡단을 보장하고 보행자가 차단바(2'')에 부딪혀 다치거나 차단바(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립회복모듈(711g'')은 보행자의 통과후 자동으로 다시 하강 회전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기립회복모듈(711g'')에 의해 차단바(2'')를 세운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하강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횡단지시모듈(711h'')은 횡단이 늦은 보행자에 대해 빠른 횡단을 촉구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조명부(5'')를 통해 경고신호를 점등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차단바(2'')를 수직인 상태에서 일정 범위의 회전을 반복하여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본체부 11,11'': 볼라드몸체 12,12'': 본체뚜껑
2,2'': 차단바 21,21'': 탄성체 22,22'': 회전축삽입공
23: 회전절곡단 23'': 회전분기단 231,231'': 걸림축삽입공
3,3'': 차단바작동부 31,31'': 회전부 311,311'': 회전실린더
311a,311a'': 회전실린더바 312,312'': 걸림축 313'': 지지축
32'': 승강부 321'': 승강실린더 321a'': 승강실린더바
322'': 지지판 33,33'': 작동지지부 331,331'': 차단바지지부재
331a,331a'': 회전감지모듈 332,332'': 회전축 333'': 승강가이드부재
4,4'': 차단바지지부 41,41'': 탄성지지부재 42'': 차단바가이드부재
421'': 보호탄성부재
5,5'': 조명부 51,51'': 조명모듈 52,52'': 조명설치판
53,53'': 입출레일 531,531'': 차단턱 54,54'': 삽입공
55,55'': 개폐덮개 551,551'': 누름돌기
6,6'': 센싱부 61,61'': 보호자센싱모듈 62,62'': 차량센싱모듈
7,7'': 제어부 71,71'': 작동조절부 711,711'': 차단바조절부
712,712'': 충돌방지부 713,713'': 횡단보장부 714,714'': 위험경고부
72,72'': 회전감시부 721: 이상감지부 722: 이상예측부
723: 점검요청부 73,73'': 조명감시부
C: 횡단보도
2,2'': 차단바 21,21'': 탄성체 22,22'': 회전축삽입공
23: 회전절곡단 23'': 회전분기단 231,231'': 걸림축삽입공
3,3'': 차단바작동부 31,31'': 회전부 311,311'': 회전실린더
311a,311a'': 회전실린더바 312,312'': 걸림축 313'': 지지축
32'': 승강부 321'': 승강실린더 321a'': 승강실린더바
322'': 지지판 33,33'': 작동지지부 331,331'': 차단바지지부재
331a,331a'': 회전감지모듈 332,332'': 회전축 333'': 승강가이드부재
4,4'': 차단바지지부 41,41'': 탄성지지부재 42'': 차단바가이드부재
421'': 보호탄성부재
5,5'': 조명부 51,51'': 조명모듈 52,52'': 조명설치판
53,53'': 입출레일 531,531'': 차단턱 54,54'': 삽입공
55,55'': 개폐덮개 551,551'': 누름돌기
6,6'': 센싱부 61,61'': 보호자센싱모듈 62,62'': 차량센싱모듈
7,7'': 제어부 71,71'': 작동조절부 711,711'': 차단바조절부
712,712'': 충돌방지부 713,713'': 횡단보장부 714,714'': 위험경고부
72,72'': 회전감시부 721: 이상감지부 722: 이상예측부
723: 점검요청부 73,73'': 조명감시부
C: 횡단보도
Claims (9)
- 횡단보도가 형성된 지점의 양측 인도에 일정 간격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양측으로 돌출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단바와, 상기 본체부 내에 형성되어 차단바를 작동시키는 차단바작동부와, 상기 차단바 내에 삽입되어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와, 볼라드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횡단보도측의 보행자를 감지하는 보행자센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바작동부는 상기 본체부 양측으로 돌출된 차단바를 하향 회전시켜 수직인 상태에서 본체부에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차단바작동부는 양측의 차단바를 각각 90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차단바의 작동을 지지하는 작동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차단바의 끝단을 밀거나 당겨 차단바를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의 끝단에 형성되어 차단바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걸림축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지지부는, 상기 차단바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차단바지지부재와, 상기 차단바에 고정되어 상기 차단바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바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탄성체와; 상기 회전축의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회전축삽입공과; 상기 회전실린더에 의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차단바 끝단에 '┛'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걸림축이 삽입되는 걸림축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절곡단;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축삽입공은 회전절곡단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바의 기본 동작에 대한 작동을 조절하는 차단바조절부와, 보행자의 접근 속도에 따라 차단바를 세워 차단바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바조절부는,
횡단보도 신호의 통행 및 정지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보행신호연동모듈과, 통행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의 작동에 따라 차단바를 90도 하향 회전시키는 하강회전모듈과, 정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차단바를 90도 상승 회전시켜 지면과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회전모듈과, 상기 돌출회전모듈에 의한 차단바의 회전중 및 회전후 일정시간 내에 횡단보도측의 보행자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보행자감지모듈과,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 차단바를 다시 하강 회전시키는 하강복귀모듈과, 보행자에게 빠른 횡단을 지시하는 횡단지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돌방지부는,
상기 차단바가 본체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볼라드로부터 일정 범위 내로 보행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근감지모듈과,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보행자의 접근속도를 산출하는 속도산출모듈과, 보행자와의 거리 및 접근속도에 따라 볼라드에 근접되고 있는 정도를 산정하는 근접도연산모듈과, 근접도가 볼라드에 부딪힐 위험이 있는 경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바를 하강회전시키는 비상회전모듈과, 접근하는 보행자에게 충돌방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충돌방지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는
각각 별도의 회전실린더에 연결되어 회전하거나 또는 하나의 회전실린더 전후 측으로 각각 연결되어 본체부의 양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하나의 회전실린더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는
상기 본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한 쌍이 돌출되어 횡단보도를 지나는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회전되는 차단바를 지지하는 차단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바닥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볼라드몸체와, 상기 볼라드몸체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본체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바지지부는,
상기 볼라드몸체 내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는 차단바가 접촉될 수 있는 대향면에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차단바 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이 안착되며, 차단바 내에 삽입되어 입출되는 조명설치판과; 상기 조명설치판이 지지되어 입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입출레일과; 상기 차단바의 반대측 끝단에 관통 형성되어 조명설치판이 입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레일은 입출레일의 끝단에 형성되어 조명설치판을 지지하는 차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덮개는 삽입공의 폐쇄시 조명설치판을 눌러 고정시키는 누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행신호의 남은 시간과 보행자의 횡단속도를 고려하여 횡단을 안내하는 횡단보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횡단보장부는,
횡단하는 보행자가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보행자인식모듈과, 보행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모듈과, 보행자의 횡단속도를 연산하는 횡단속도연산모듈과, 통행신호의 잔여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잔여시간수신모듈과, 보행자의 횡단속도와 거리, 잔여시간에 따라 횡단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도달가능여부판단모듈과, 횡단이 어려운 경우 보행자에게 증속을 지시하는 증속지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증속지시모듈은,
상기 차단바를 일정 범위에서 상하 회전시켜 증속 필요를 알리는 경고진동모듈과, 점등을 통해 알리는 경고점등모듈과, 증속의 필요를 음성으로 알리는 경고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바의 회전 작동을 감시하는 회전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바지지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회전감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감시부는,
상기 회전축의 설정된 회전각도와 상기 회전감지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회전각도의 오차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회전부의 작동 이상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이상감지부와, 상기 이상감지부에 의해 이상으로 진단되지는 않았으나 이상 발생 시점이 근접한 경우 이상 발생 시점을 예측하여 알리는 이상예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예측부는,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의 오차가 이상으로 진단되는 설정값 이하의 위험 범위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위험값인지모듈과, 위험범위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횟수를 산출하는 연속횟수산출모듈과, 오차값을 연속횟수만큼 합산하여 이상 위험에 근접한 정도를 나타내는 위험지수를 산정하는 위험지수산정모듈과, 위험지수에 따라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상하여 제공하는 이상시점예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4136A KR102162561B1 (ko) | 2020-04-10 | 2020-04-10 |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4136A KR102162561B1 (ko) | 2020-04-10 | 2020-04-10 |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2561B1 true KR102162561B1 (ko) | 2020-10-07 |
Family
ID=7288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4136A KR102162561B1 (ko) | 2020-04-10 | 2020-04-10 |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256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3867B1 (ko) * | 2020-11-09 | 2021-06-11 | 송다인 |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
CN113026596A (zh) * | 2021-04-01 | 2021-06-25 | 陕西电力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电力施工安全动态信息警示装置 |
JP2022120702A (ja) * | 2021-02-05 | 2022-08-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102562903B1 (ko) * | 2022-06-13 | 2023-08-02 | 양수호 | 횡단보도용 안전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4734B1 (ko) * | 2007-04-20 | 2008-01-15 | 주식회사 포스트엠비 | 차량 안전 차단기 |
KR101012717B1 (ko) * | 2008-06-19 | 2011-02-09 | 김명보 |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 |
KR20110006497U (ko) * | 2009-12-22 | 2011-06-29 | 한국철도공사 | 철도 건널목용 유압식 장대형 전동차단기 |
-
2020
- 2020-04-10 KR KR1020200044136A patent/KR1021625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4734B1 (ko) * | 2007-04-20 | 2008-01-15 | 주식회사 포스트엠비 | 차량 안전 차단기 |
KR101012717B1 (ko) * | 2008-06-19 | 2011-02-09 | 김명보 | 보행자 사고방지기능을 갖는 볼라드 |
KR20110006497U (ko) * | 2009-12-22 | 2011-06-29 | 한국철도공사 | 철도 건널목용 유압식 장대형 전동차단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3867B1 (ko) * | 2020-11-09 | 2021-06-11 | 송다인 |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
JP2022120702A (ja) * | 2021-02-05 | 2022-08-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7452455B2 (ja) | 2021-02-05 | 2024-03-1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13026596A (zh) * | 2021-04-01 | 2021-06-25 | 陕西电力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电力施工安全动态信息警示装置 |
KR102562903B1 (ko) * | 2022-06-13 | 2023-08-02 | 양수호 | 횡단보도용 안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2561B1 (ko) | 차단바를 가지는 볼라드 | |
KR101884324B1 (ko) | 횡단보도 음성안내 보조장치 | |
US12002350B2 (en) | System for detecting pedestrian at crosswalk and preventing accident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
KR102148421B1 (ko) |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도로 전광판(vms) 시스템 | |
KR101385525B1 (ko) | 스쿨존 안전통행 시스템 | |
KR101095846B1 (ko) | 휀스형 차단기 | |
KR101969840B1 (ko) |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 |
JP2013100008A (ja) | 車両ドア開閉の検知装置および検知方法 | |
KR20200028081A (ko) |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 | |
KR101372803B1 (ko) | 스쿨존 횡단보도 안내 장치 | |
WO2021112277A1 (ko) |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 관리 시스템 | |
KR20120120549A (ko) | 횡단 보도 안전 장치 | |
KR102399951B1 (ko) | 도로 통합 관제 시스템 | |
KR200429332Y1 (ko) |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 |
KR101851189B1 (ko) | 자동차도로 및 터널 내 자동차 추돌 방지 시스템 | |
JP2013203488A (ja) | 倒れ検知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 |
KR101333602B1 (ko) |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 |
KR102520997B1 (ko) | 차량 출입 통제장치 | |
JP5454395B2 (ja) | 乗客コンベアの利用者倒れ検知装置 | |
KR100647522B1 (ko) | 철도건널목의 자동차 차단장치 | |
KR102391929B1 (ko) | 영상분석 기반의 횡단보도 위험 알림 시스템 | |
JP5508296B2 (ja) | 倒れ検知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 |
JP5776289B2 (ja) | 倒れ検知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 |
WO2019199123A1 (ko) |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 |
ES2346914T3 (es) | Linea de barreras de proteccion y sistema de seguridad para calzad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